KR100859757B1 - 호이스트의 운반물 추락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호이스트의 운반물 추락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9757B1
KR100859757B1 KR1020070015493A KR20070015493A KR100859757B1 KR 100859757 B1 KR100859757 B1 KR 100859757B1 KR 1020070015493 A KR1020070015493 A KR 1020070015493A KR 20070015493 A KR20070015493 A KR 20070015493A KR 100859757 B1 KR100859757 B1 KR 100859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pe
rope
hoist
load cell
brak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5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6062A (ko
Inventor
함길규
Original Assignee
(주)진영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영이엔지 filed Critical (주)진영이엔지
Priority to KR1020070015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9757B1/ko
Publication of KR20080076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6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9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9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66C15/02Safety gear for retaining load-engaging elements in the event of rope or cable brea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54Safety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1Cable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2Trolleys or run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건의 운반에 사용되는 호이스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로프가이드로드(100)와, 로드셀(200)로 구성되어 와이어로프(300)에 연결된 운반물연결수단(500)을 유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고정하는 호이스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드셀(200)의 하단부에 제동장치(10)를 구비하고, 상기 제동장치(10)의 수직축선상에 전원차단레버(30)를 형성하며, 상기 제동장치(10)의 하단부 외주면에 제1물림홈(2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호이스트를 사용하는 중에 와이어로프(300)가 절개될 시, 와이어로프(300)를 제동장치(10)가 제동하고, 전원차단레버(30)가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후크(400) 및 운반물의 추락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호이스트장치의 운반물 추락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호이스트 크레인, 로드셀, 추락방지, 브레이크, 와이어로프

Description

호이스트의 운반물 추락 방지 장치{Prevent folling carriage apparatus of hois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제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동순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동장치 20: 제1물림홈
30: 전원차단장치 40: 제2물림홈
100: 로프가이드로드 200: 로드셀
300: 와이어로프 400: 후크
500: 운반물연결수단 600: 회전체
700: 구동모터 800: 와이어로프드럼
본 발명은 후크에 운반물을 연결하여 상하 및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호이스트에 관한 것으로, 2개의 로프가이드로드와 그 사이에 설치되는 로드셀에 의해 로프를 유동적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호이스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드셀의 하단부에 로드셀의 회전에 따라 회동이 가능한 제동장치를 구비하여, 와이어로프의 절단 시에, 이탈되는 와이어로프에 의해 제동장치가 회동하여 상기 로드셀에 상기 와이어로프를 밀착시켜 제동함으로써, 후크 및 운반물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호이스트의 운반물 추락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이스트 장치는 공장이나 작업장에서 물건을 끌어올리거나, 원하는 위치로 운반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로서, 권상용 로프 끝에 매달아 구성되는 운반물연결수단의 후크에 운반물을 연결하고, 구동모터를 회전시켜 로프를 당기게 함으로써, 운반물을 상하 이동 할 수 있도록 하며, 주로 천장에 레일을 따라 전후 또는 좌우 로 운반물을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호이스트에 사용되어 운반물의 하중을 지탱하는 와이어로프는 여러 가닥의 스텐리스 재질의 철사를 꼬아서 만든 강성의 로프를 사용하며, 상기 와이어로프는 운반물에 의한 피로하중과 지속적인 움직임으로 인해 마찰력이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해 오랜 시간 사용하여 와이어로프의 가는 철사가 한 가닥이라도 절개될 시, 절개된 부분에 계속적으로 마찰과 하중이 집중되어 완전히 절개되어 운반물 이 추락 할 수 있는 위험에 노출되게 된다.
따라서 호이스트의 운반물이 추락 할 경우, 작업자가 상해를 입을 위험이 있으며, 크린룸과 같이 고가의 장비들로 이루어져 있는 작업장에서는 엄청난 물적 손실을 초래 할 수 있는 위험성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2개의 로프가이드로드와 그 사이에 로드셀을 형성하여 구성되는 호이스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로프를 안내하는 호이스트 장치의 로드셀의 하단부에 제동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제동장치의 하단 외주면과 상기 로프가이드로드의 외주면에 제1,2물림홈을 각각 구성하며, 상기 제동장치의 수직축선상에 전원차단레버를 형성하여 구성함으로써, 와이어로프가 절단 시, 호이스트 장치에서 상기 와이어로프가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후크 및 운반물이 아래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호이스트의 운반물 추락 방지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와이어로프를 권취 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되고 양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2개의 로프가이드 로드와, 상기 2개의 로프가이드로드의 중간에 설치되어 와이어로프를 "U" 형태로 굽어지게 안내하는 로드셀을 구비하며, 상기 로프가이드로드의 바깥쪽 양측부에서 하단부로 향하는 와이어로프를 후크의 양측부에 형성된 회전체에 권취 하고, 최종적으로는 구동모터의 축 선상에 형성되는 와이어로프드럼에 권취 되도록 하여, 상기 와이어로프드럼의 회전에 의해 운반물연결수단의 후크를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통상의 호이스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드셀의 하단부에 상기 로드셀의 회전과 연계하여 회동 하도록 구성되는 제동장치를 구성하여, 상기 와이어로프의 일측이 절단 시, 상기 제동장치가 로드셀과 회동하여 상부로 이동하여 일측으로 이탈되는 와이어로프를 로드셀측으로 밀어 꺾음으로써 운반물연결수단의 추락을 방지토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동장치의 회동 시 로프가이드로드의 외주면에 접하는 외주면에 제1물림홈을 형성하고, 상기 로프가이드로드의 외주면에 제2물림홈을 형성하여 상기 제동장치의 제1물림홈과 로프가이드로드의 제2물림홈이 맞물려 와이어로프의 이송을 제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동장치(10)의 수직축선상에서 ‘ON’스위치(30a)에 위치하여 상기 제동장치(10)의 회전에 따라 회동하여 좌우 양측의 ‘OFF’스위치(30b)에 위치할 경우, 전원을 차단시켜 로프가이드로드(100)와 로드셀(200) 및 와이어로프드럼(800)의 구동을 강제로 정지시키는 전원차단레버(3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를 나타낸 단면도이 고, 도 4는 도 3의 제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동순서를 나타낸 정면도로써,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장치의 구성에 의하면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바와 같이, 호이스트장치의 내부에서 와이어로프(300)를 상부에 권취하여 하부로 이어지도록 하는 두 개의 로프가이드로드(100)와, 상기 두 개의 로프가이드로드(100)의 중앙에서 와이어로프(300)를 ‘U’자 형태로 안내하는 로드셀(200)이 구비된다.
상기 로드셀(200)은 호이스트장치에 중앙이 회전축에 의해 결합되어 자체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하부에 상기 로드셀(200)과 연계하여 회동하는 제동장치(10)를 구비하며, 도 3에서 보는바와 같이, 상기 로드셀(200)의 하부에 와이어로프(300)를 권취할 수 있도록 좌우방향의 둘레부 중앙에 홈부(210)를 형성하고, 상기 제동장치(10)의 상부에 로프홈(11)을 형성하여 와이어로프(300)를 로프홈(11)으로 받쳐서 로드셀(200)의 홈부(210)에 밀착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호이스트장치의 하부에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바와 같이, 운반물을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후크(400)를 구비하는 운반물연결수단(500)이 구비되며, 상기 운반물연결수단(500)은 양측에 와이어로프(300)를 걸 수 있도록 하는 회전체(600)를 구비하여 상기 회전체(600)에 상기 로프가이드로드(100)에서 하부로 이어지는 와이어로프(300)를 각각 도면 1을 보는 방향에서 상하방향으로 권취하여 고정하고, 상기 운반물연결수단(500)에 권취 되어 상부로 이어지는 와이어로프(300)의 양측을 구동모터(700)에 의해 회전되는 와이어로프드럼(800)에 권취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한 호이스트장치의 구동 시, 와이어로프드럼(800)을 회전시켜 감거나 풀도록 하여 운반물연결수단(500)을 상하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한 호이스트장치는 천정 등에 구비되는 이송수단에 의하여 전후 및 좌우로 이송이 되도록 함으로서 운반물을 작업장의 원하는 위치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성 되는 것이며, 이때, 상기 로프가이드로드(100) 및 로드셀(200)은 와이어로프(300)를 좌우로 미세한 길이만을 이송시켜 운반물의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만 수행하는 하는 것이다.
이에 도 5를 참조하여 상기한 구성의 호이스트장치의 작동에서 와이어로프(300)가 끊어질 경우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면, 도 5 (a)에서 도시한바와 같이, 호이스트장치의 정상적인 작동에서는 상기 와이어로프드럼(800)이 회전하여 와이어로프(300)를 감거나 풀도록 함으로써, 운반물연결수단(500)의 양측에 구비되는 회전체(600)에 의해 운반물연결수단(500)이 상하 이송이 되도록 하며, 상기 로프가이드로드(100)와 그 중앙에 구비되는 로드셀(200)은 회전을 하지 않고. 운반물연결수단(500)이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미세한 회전에 그치는 동작만 한다.
한편 호이스트장치의 작동 중 와이어로프(300)의 일측이 끊어질 경우에는 도 5 (b)에서 도시한바와 같이, 운반물연결수단(500)에 걸린 운반물의 무게에 의하여 끊어진 와이어의 타측으로 급속하게 와이어가 풀리게 되고, 상기 로드셀(200)이 회전을 하여 일측으로 회동하여 도 5 (c)에서와 같이 와이어로프(300)에 닿아 밀어주도록 하여 로드셀(200)의 측면에 밀착을 시키도록 하는 것이며, 이로 인해 상기 와이어로프(300)가 제동장치(10)에 의해 꺾임과 동시에 로드셀(200)의 회전을 제동시켜 와이어로프(300)를 강제로 정지시켜 이탈되는 것을 막음으로써 와이어의 하부에 고정된 운반물연결수단(500)의 추락을 막을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여기서 도 5 (c)에서 보는바와 같이, 상기 제동장치(10) 하부의 둘레부에 제1물림홈을 형성하고, 상기 로프가이드로드(100)의 둘레부에 제2물림홈을 형성하여 로드셀(200)을 따라서 제동장치(10)가 회동할 시, 둘레부의 제1물림홈이 로프가이드로드(100)의 둘레부에 형성되는 제2물림홈과 맞물려지도록 구성하여 강력한 힘으로 와이어로프(300)를 로드셀(200) 측으로 밀착시킴과 동시에 와이어로프(300)를 더욱 크게 꺾이도록 하여 와이어로프(300)의 이탈을 더욱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한 로드셀(200)의 중앙에 전원차단레버(30)를 구비하여 상기 로드셀(200)의 회전과 연계하여 회동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로드셀(200)의 중앙의 위치에 ‘ON’스위치(30a)와 좌우 일정 각도의 양측으로 ‘OFF’스위치(30b)를 각각 구비하도록 구성하여 상기에서 와이어로프(300)가 끊어질 경우 로드셀(200)에 의해 전원차단레버(30)가 일측으로 회전하여 ‘OFF’스위치(30b)에 위치되면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시킴으로써, 로프가이드로드(100)과 로드셀(200) 및 와이어로프드럼(800)의 구동모터(700)를 강제 정지시키도록 하여 운반물의 추락방지를 보다 안정적으로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질 수도 있다.
참고로 도 5에서 보는바와 같이 상기에서는 도면을 기준으로 와이어로프(300)의 오른쪽이 절개될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와이어로프(300)의 왼쪽 부분이 절개될 경우에는, 운반물연결수단(500)(도1을 참조)에 연결된 와이어로프(300)의 오른쪽에서 하방으로 하중이 작용하게 되어, 로드셀(200)과, 로프가이드로드(100) 및 제동장치(10)가 상술한 방향과 반대로 작동이 가능하며, 이때, 전원차단레버(30)는 양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서, 각각 전원차단이 가능하도록 도 5에 도시한바와 같이 'ON'스위치(30a)의 양측에 'OFF'스위치(30b)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르면, 호이스트의 작동 시에, 와이어로프가 절단되어 발생되는 후크 및 운반물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어, 인명피해와 물적 피해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그 기대되는 효과가 아주 우수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Claims (4)

  1. 와이어로프(300)를 권취 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되고 양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2개의 로프가이드 로드(100)와, 상기 2개의 로프가이드로드(100)의 중간에 설치되어 와이어로프(300)를 "U" 형태로 굽어지게 안내하는 로드셀(200)을 구비하며, 상기 로프가이드로드(100)의 바깥쪽 양측부에서 하단부로 향하는 와이어로프(300)를 후크(400)의 양측부에 형성된 회전체(600)에 권취 하고, 최종적으로는 구동모터(700)의 축 선상에 형성되는 와이어로프드럼(800)에 권취 되도록 하여, 상기 와이어로프드럼(800)의 회전에 의해 운반물연결수단(500)의 후크(400)를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통상의 호이스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드셀(200)의 하단부에 상기 로드셀(200)의 회전과 연계하여 회동 하도록 구성되는 제동장치(10)를 구성하여, 상기 와이어로프(300)의 일측이 절단 시, 상기 제동장치(10)가 로드셀(200)과 회동하여 상부로 이동하여 일측으로 이탈되는 와이어로프(300)를 로드셀(200)측으로 밀어 꺾음으로써 운반물연결수단(500)의 추락을 방지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의 운반물 추락 방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장치(10)의 회동 시 로프가이드로드(100)의 외주면에 접하는 외주면에 제1물림홈(20)을 형성하고, 상기 로프가이드로드(100)의 외주면에 제2물림홈(40)을 형성하여 상기 제동장치(10)의 제1물림홈(20)과 로프가이드로드(100)의 제2물림홈(40)이 맞물려 와이어로프(300)의 이송을 제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의 운반물 추락 방지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장치(10)의 수직축선상에서 ‘ON’스위치(30a)에 위치하여 상기 제동장치(10)의 회전에 따라 회동하여 좌우 양측의 ‘OFF’스위치(30b)에 위치할 경우, 전원을 차단시켜 로프가이드로드(100)와 로드셀(200) 및 와이어로프드럼(800)의 구동을 강제로 정지시키는 전원차단레버(3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의 운반물 추락 방지 장치
  4. 삭제
KR1020070015493A 2007-02-14 2007-02-14 호이스트의 운반물 추락 방지 장치 KR100859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5493A KR100859757B1 (ko) 2007-02-14 2007-02-14 호이스트의 운반물 추락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5493A KR100859757B1 (ko) 2007-02-14 2007-02-14 호이스트의 운반물 추락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6062A KR20080076062A (ko) 2008-08-20
KR100859757B1 true KR100859757B1 (ko) 2008-09-24

Family

ID=39879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5493A KR100859757B1 (ko) 2007-02-14 2007-02-14 호이스트의 운반물 추락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97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4926B1 (ko) 2019-05-27 2020-11-05 (주)고려호이스트 호이스트의 추락방지 장치
KR102190630B1 (ko) 2020-04-08 2020-12-14 조성범 자동차 허브드럼 호이스트 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1193B1 (ko) * 2019-02-20 2020-10-28 이익환 싱글 와이어 타입 호이스트의 와이어 파단 시 기계식 추락방지장치가 형성된 후크
KR102383883B1 (ko) * 2020-03-31 2022-04-07 한경환 환자용 호이스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6919A (ko) * 1999-09-09 2001-04-06 이구택 크레인 추락 및 과부하방지 회로
KR20030075616A (ko) * 2002-03-20 2003-09-26 주식회사 포스코 기어 회전력을 이용한 호이스트 비상 제동장치
KR20040053709A (ko) * 2002-12-17 2004-06-24 주식회사 고려호이스트 에어밸런싱 호이스트의 브레이크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6919A (ko) * 1999-09-09 2001-04-06 이구택 크레인 추락 및 과부하방지 회로
KR20030075616A (ko) * 2002-03-20 2003-09-26 주식회사 포스코 기어 회전력을 이용한 호이스트 비상 제동장치
KR20040053709A (ko) * 2002-12-17 2004-06-24 주식회사 고려호이스트 에어밸런싱 호이스트의 브레이크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4926B1 (ko) 2019-05-27 2020-11-05 (주)고려호이스트 호이스트의 추락방지 장치
KR102190630B1 (ko) 2020-04-08 2020-12-14 조성범 자동차 허브드럼 호이스트 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6062A (ko) 2008-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82395T3 (es) Método y aparato de cableado
KR100859757B1 (ko) 호이스트의 운반물 추락 방지 장치
ES2335898T3 (es) Metodo y aparato para cambiar el cable de un ascensor con polea de traccion.
JPWO2014045616A1 (ja) 掴線器
CN112645209B (zh) 一种建筑施工用多钢管同步吊运装置
KR101244370B1 (ko) 무대장치
KR101462646B1 (ko) 소방호스 건조장치
CN109592608A (zh) 一种安全钳及载货台
JP6518225B2 (ja) ケーブルグリッパ
KR101393739B1 (ko) 중량물 회전장치
KR102473817B1 (ko) 크레인 호이스트의 호이스팅 장치
JP2003292290A (ja) ウインチ
JP6756077B2 (ja) 岸壁クレーン
CN110759165A (zh) 厂区线缆铺设用旋转式放线装置
CN210528098U (zh) 一种钢丝绳释放装置
JP6467210B2 (ja) 物干し装置
JP6203104B2 (ja) 荷揚げ装置
CN107686068B (zh) 一种桥式起重机钢丝绳防过放装置
JP7066421B2 (ja) フック外れ止め防止装置及び巻上機
KR200254184Y1 (ko) 섬유질 로프 권상기구
KR20140002823U (ko) 크레인의 승강도르래
CN220998910U (zh) 一种具有防护功能的建材传输装置
KR101177562B1 (ko) 무대장치
CN215101663U (zh) 一种塔机变幅小车主滑轮防脱绳装置
JP2018043822A (ja) アンカー装置およびアンカー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