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2646B1 - 소방호스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소방호스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2646B1
KR101462646B1 KR1020130051124A KR20130051124A KR101462646B1 KR 101462646 B1 KR101462646 B1 KR 101462646B1 KR 1020130051124 A KR1020130051124 A KR 1020130051124A KR 20130051124 A KR20130051124 A KR 20130051124A KR 101462646 B1 KR101462646 B1 KR 101462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latform
hose
wire
bea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1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2078A (ko
Inventor
정갑성
Original Assignee
정갑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갑성 filed Critical 정갑성
Priority to KR1020130051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2646B1/ko
Publication of KR20140132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2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2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2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3/00Hose accessories
    • A62C33/02Apparatus for cleaning or drying h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3/00Machines and apparatus for drying fabrics, fibres, yarns, or other materials in long length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3/10Arrangements for feeding, heating or supporting materials; Controlling movement, tension or position of materials
    • F26B13/14Rollers, drums, cylinders; Arrangement of drives, supports, bearings, clea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레일홈을 가지는 한 쌍의 가이드빔; 상기 가이드빔의 상측을 연결하는 연결빔; 상기 가이드빔의 레일홈에 바닥면과 양측면에 모두 접촉한 상태로 레일홈을 따라 가이드되고 소방호스의 거치를 가능하게 하는 승강대; 상기 가이드빔과 연결빔 및 승강대에 구성되어 연결빔에 일단이 고정된 와이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복수개의 가이드용 도르레; 상기 가이드빔의 일측에 구성되고 와이어의 타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도르레를 통해 가이드되는 와이어의 권취 또는 권해를 가능하게 하는 와이어드럼; 상기 와이어드럼에 연결되어 정역회전시 와이어드럼에 권취 또는 권해되는 와이어와 도르레의 가이드 동작을 통하여 승강대가 가이드빔을 따라 승강되도록 하는 구동모터; 상기 가이드빔의 상측단과 하측단에 각각 설치되어 승강대의 상승 및 하강 제한 위치를 감지하는 승강센서; 및 외부로부터 입력 신호와 승강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구동모터의 동작을 제어하여 승강대가 상승 및 하강 제한 위치의 범위 이내에서 승강 동작되도록 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소방호스 건조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소방호스 건조장치{Apparatus for drying fire hoses}
본 발명은 소방호스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방호스가 승강대에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거치되도록 하고 또한, 승강대에 소방호스가 편중되더라도 승강대가 안정적으로 승강되도록 할 수 있는 소방호스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가 발생되면, 화재현장에서 소방차가 긴급 출동하여 소방수(消防水)를 이용하여 화재를 진압하게 된다. 이때, 소방수 분사수단으로 사용되는 소방호스나 소방관이 착용한 소방복, 헬멧, 소방장갑 및 소방화 등의 각종 소방장비들은 화재진압 현장에서 발생된 먼지나 그을음 및 연소분진 등에 의해 심하게 오염되게 된다. 따라서 화재진압으로 오염된 소방호스 등의 소방장비들은 다음 화재발생시에 신속히 출동할 수 있도록 화재진압을 마치고 귀환한 후 곧바로 세척하여 건조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대부분 종래에는 상기 소방장비들의 경우 자연건조방식을 통하여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으나, 특히 소방호스의 경우에는 길이가 길어 호스 내부의 물기를 제거하는데 어려움이 많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소방호스를 호스 걸이에 걸은 채 상승시켜 건조되도록 하는 소방호스 건조장치가 공개실용신안 20-2011-3780호 등에 개시된 바 있다.
종래의 소방호스 건조장치는, 상방으로 길게 뻗은 다수의 지지대와 그 중 일부에 설치된 구동장치와 브레이크 장치를 가지며, 각각의 상기 지지대를 연결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장치에 연동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의 양측 끝단에 각각 설치된 구동기어, 각각의 상기 지지대를 연결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추동축, 상기 추동축의 양측 끝단에 각각 설치된 추동기어를 각측의 상기 구동기어 및 상기 추동기어와 맞물려 연결하는 체인 및 상기 각 측의 체인의 일부와 연결된 채로 설치되어 다수의 호스걸이가 있는 상하로 이동 가능한 승강대를 포함하여, 소방호스를 호스걸이에 걸어 놓은 상태에서 승강대의 상승시 소방호스가 건조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소방호스 건조장치는, 상기 승강대의 승강시 승강대에 구성된 가이드롤러가 지지대의 레일홈 등에 접촉되어 가이드 되도록 하고 있으나, 단지 상기 롤러가 'ㄷ'자 형상을 가지는 지지대의 레일홈 바닥면 또는 양측면에만 접촉되기 때문에, 상기 호스걸이에 거치된 소방호스의 무게가 승강대에 편중되는 경우 승강대가 레일홈의 양측면 또는 바닥면을 향하여 기울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승강대의 가이들 롤러가 구성된 부분이 레일홈에 강제로 끼이게 되어 승강대의 승강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또는, 많은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승강대에만 호스걸이가 구성되기 때문에, 호스걸이에 소방호스가 거치된 후 승강대의 상승시 승강대의 하측부 즉, 호스걸이에 일부가 거치된 소방호스의 단부(니쁠 부분)는 자유단(自由斷) 상태를 가지기 때문에, 건조시 바람 등이 부는 경우 자유단 부분이 흔들리게 되어 소방호스가 추락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15m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 소방호스를 호스걸이에 거치하는 경우 승강대에 그 무게가 편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능한 한 소방호스의 중심부(일단으로부터 7m 정도 되는 부위)가 호스걸이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일부를 호스걸이에 거치한 후 일단을 견인하여 중심부가 호스걸이에 위치하도록 해야 하는데, 이때, 상기 호스걸이의 경우 단순히 승강대에 절곡된 거치용 걸이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호스걸이와 소방호스 상호간의 마찰에 의해 호스걸이에 소방호스의 중심부 거치를 위한 단부의 견인 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강대에 구성된 가이드롤러가 지지대 레일홈의 바닥면 뿐만 아니라 양측면에도 접촉되도록 하여 소방호스의 편중에 따른 소음을 억제하고 승강대의 가이드롤러가 레일홈에 강제로 끼이게 되는 것이 방지되어 승강대의 안정적인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소방호스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지지대의 하측부에 승강대의 호스걸이에 거치된 소방호스의 단부가 수용되도록 하는 버켓이 구성되어 호스걸이에 거치된 소방호스의 단부가 고정단 상태를 가지도록 하여 바람이 불어도 소방호스가 호스걸이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소방호스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호스걸이의 외측에 회전용 걸이롤이 구성되어 호스걸이에 소방호스의 중심부 거치를 위한 단부의 견인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소방호스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레일홈을 가지는 한 쌍의 가이드빔; 상기 가이드빔의 상측을 연결하는 연결빔; 상기 가이드빔의 레일홈에 바닥면과 양측면에 모두 접촉한 상태로 레일홈을 따라 가이드되고 소방호스의 거치를 가능하게 하는 승강대; 상기 가이드빔과 연결빔 및 승강대에 구성되어 연결빔에 일단이 고정된 와이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복수개의 가이드용 도르레; 상기 가이드빔의 일측에 구성되고 와이어의 타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도르레를 통해 가이드되는 와이어의 권취 또는 권해를 가능하게 하는 와이어드럼; 상기 와이어드럼에 연결되어 정역회전시 와이어드럼에 권취 또는 권해되는 와이어와 도르레의 가이드 동작을 통하여 승강대가 가이드빔을 따라 승강되도록 하는 구동모터; 상기 가이드빔의 상측단과 하측단에 각각 설치되어 승강대의 상승 및 하강 제한 위치를 감지하는 승강센서; 및 외부로부터 입력 신호와 승강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구동모터의 동작을 제어하여 승강대가 상승 및 하강 제한 위치의 범위 이내에서 승강 동작되도록 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소방호스 건조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소방호스 건조장치는, 상기 가이드빔의 하측부에 구성되어 상기 승강대가 상승하는 경우 소방호스의 단부가 고정되도록 하는 버켓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강대는, 사각틀 형상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양측 상하측에 각각 구성되어 상기 레일홈의 바닥면과 양측면에 각각 접촉 회전되는 제1 및 제2롤러를 통하여 프레임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복수개의 가이드롤러; 및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일정간격으로 구성되어 소방호스의 거치를 가능하게 하는 복수개의 호스걸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승강대는, 상기 복수개의 호스걸이 외측에 회전용 걸이롤이 더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버켓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빔을 폭 방향으로 가로지르며 구성되며 내부의 탄성스프링을 통하여 소정거리 출입 동작되는 걸림턱; 상기 걸림턱의 하측부에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한 쌍의 가이드빔에 연결 구성되는 회동편; 상기 한 쌍의 가이드빔을 폭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회동편의 단부에 구성되어 상기 걸림턱과 함께 소방호스 단부에 걸림력을 제공하는 각관; 및 상기 회동편과 가이드빔의 연결부위에 구성되어 상기 회동편이 일정한 각도로 젖혀지거나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회동시켜 상기 회동편의 단부에 형성된 각관과 걸림턱 사이의 공간에 소방호스 단부 위치시 회동편이 하측을 향하여 젖혀져 소방호스 단부의 수용을 용이하게 하고 수용 후에는 다시 반대방향으로 복원되도록 회동시켜 걸림턱과 각관의 단부 사이에 걸림력을 제공하는 회동조작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승강대에 구성된 가이드롤러가 가이드빔 레일홈의 바닥면 뿐만 아니라 양측면에도 접촉되어 승강대의 승강을 가이드함으로써, 소방호스의 편중에 따른 소음을 억제하고 승강대의 가이드롤러가 레일홈에 강제로 끼이게 되는 것이 방지되어 안정적인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빔의 하측부에 승강대의 호스걸이에 거치된 소방호스의 단부가 수용되도록 하는 버켓이 구성됨으로써, 호스걸이에 거치된 소방호스의 단부가 고정단 상태를 가지도록 하여 바람이 불어도 소방호스가 호스걸이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스걸이의 외측에 회전용 걸이롤이 구성되어 호스걸이에 소방호스의 중심부 거치를 위한 단부의 견인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방호스 건조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소방호스 건조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및
도 3은 도 1의 소방호스 건조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방호스 건조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소방호스 건조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소방호스 건조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방호스 건조장치는, 'ㄷ'자 형상의 레일홈(111)을 가지는 한 쌍의 가이드빔(110), 상기 가이드빔(110)의 상측을 연결하는 연결빔(120), 상기 가이드빔(110)의 레일홈(111)에 바닥면(111a)과 양측면(111b)에 모두 접촉한 상태로 레일홈(111)을 따라 가이드되고 소방호스의 거치를 가능하게 하는 승강대(130), 상기 가이드빔(110)의 하측부에 구성되어 상기 승강대(130)가 소방호스의 건조작업을 위해 상승하는 경우 소방호스의 단부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버켓(140), 상기 가이드빔(110)과 연결빔(120) 및 승강대(130)에 구성되어 연결빔(120)에 일단이 고정된 와이어(W)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복수개의 가이드용 도르레(150), 상기 가이드빔(110)의 일측에 구성되고 와이어(W)의 타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도르레(150)를 통해 가이드되는 와이어(W)의 권취 또는 권해를 가능하게 하는 와이어드럼(160), 상기 와이어드럼(160)에 풀리 등과 같은 동력전달부재를 통해 연결되어 정역회전시 와이어드럼(160)에 권취 또는 권해되는 와이어(W)와 도르레(150)의 가이드 동작을 통하여 승강대(130)가 가이드빔(110)을 따라 승강되도록 하여 승강대(130)에 거치된 소방호스의 건조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구동모터(170), 상기 가이드빔(110)의 상측단과 하측단에 각각 설치되어 승강대(130)의 상승 및 하강 제한 위치를 감지하는 승강센서(180) 및 외부로부터 입력 신호와 승강센서(180)의 감지신호에 따라 구동모터(170)의 동작을 제어하여 승강대(130)가 상승 및 하강 제한 위치의 범위 이내에서 승강 동작되도록 하는 제어수단(190)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빔(110)은 상방으로 소정의 높이를 가지면서 지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연결빔(120)은 상기 가이드빔(110)의 상측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가이드빔(110)의 상측단에 용접 또는 볼팅 결합되어 건조장치의 골격을 이룬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빔(110)은, 'ㄷ'자 형상의 레일홈(111)을 가지는 데, 별도로 상기 레일홈을 구성하지 않도록 H 빔 등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대(130)는, 상기 가이드빔(110)의 레일홈(111)에 바닥면(111a)과 양측면(111b)에 모두 접촉한 상태로 레일홈(111)을 따라 가이드되고 소방호스의 거치를 가능하게 하는 리프트용 건조수단으로, 사각틀 형상의 프레임(131), 상기 프레임(131)의 양측 상하측에 각각 구성되어 상기 레일홈(111)의 바닥면(111a)과 양측면(111b)에 각각 접촉 회전되는 제1 및 제2롤러(132a,132b)를 통하여 안정적인 승강이 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복수개의 가이드롤러(132), 상기 프레임(131)의 상측에 일정간격으로 구성되어 소방호스의 거치를 가능하게 하는 복수개의 호스걸이(133) 및 상기 복수개의 호스걸이(133)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소방호스의 중심부 거치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회전용 걸이롤(134)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승강대(130)에 의하면, 후술된 구동모터(17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의해 가이드빔(110)을 따라 승강시 가이드롤러(132)가 가이드빔(110) 레일홈(111)의 바닥면(111a)과 양측면(111b)에 접촉 회전됨으로써, 소방호스의 무게가 편중되더라도 승강대(130)의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안정적인 승강을 가능하게 하고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소방호스가 거치되는 호스걸이(133)에 회전용 걸이롤(134)이 구성됨으로써, 소방호스의 중심부 거치를 위하여 호스걸이(133)에 소방호스의 일부분을 거치한 후 일단의 견인 작업시 마찰이 최소화되어 소방호스의 거치 작업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즉, 길이가 긴 소방호스를 호스걸이(133)에 분산하여 거치하는 경우 승강대(130)에 소방호스의 무게가 편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방호스의 거치 상태를 분산하기 위한 소방호스의 견인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버켓(140)은, 상기 연결빔(120)과 마찬가지로, 상기 가이드빔(110)의 하측을 연결하도록 폭 방향으로 구성되어 상기 승강대(130)가 소방호스의 건조작업을 위해 상승하는 경우 소방호스의 단부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지지수단으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빔(110)을 폭 방향으로 가로지르며 구성되며 내부의 탄성스프링을 통하여 소정거리 출입 동작되는 걸림턱(141), 상기 걸림턱(141)의 하측부에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한 쌍의 가이드빔(110)에 연결 구성되는 회동편(142), 상기 한 쌍의 가이드빔(110)을 폭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회동편(142)의 단부에 구성되어 상기 걸림턱(141)과 함께 소방호스 단부에 걸림력을 제공하는 각관(143) 및 상기 회동편(142)과 가이드빔(110)의 연결부위에 구성되어 상기 회동편(142)이 일정한 각도로 젖혀지거나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회동시켜 상기 회동편(142)의 단부에 형성된 각관(143)과 걸림턱(141) 사이의 공간에 소방호스 단부 위치시 회동편(142)이 하측을 향하여 젖혀져 소방호스 단부(니쁠)의 수용을 용이하게 하고 수용 후에는 다시 반대방향으로 복원되도록 회동시켜 걸림턱(141)과 각관(143)의 단부 사이에 걸림력을 제공하는 회동조작수단(144)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걸림턱(141)은, 상기 회동편(142)의 단부와 함께 소방호스의 니쁠에 걸림력 제공시 탄성스프링을 통해 소정거리 출입 동작되도록 하여 소방호스가 완전히 눌리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소방호스 내부에 수용된 물의 배수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동조작수단(144)은, 상기 회동편(142)이 하측부 또는 상측부로 소정 간격을 가지며 회동 또는 정지되도록 하는 것으로, 공지의 라쳇기어 및 기어풀림장치 등을 포함하며, 상기 기어풀림장치에 의해 라쳇기어가 어느 한 방향으로 선택 회동되거나 정지된 상태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버켓(140)에 의하면, 상기 호스걸이(133)에 소방호스의 중심부가 거치된 후 상기 승강대(130)가 소방호스의 건조작업을 위해 상승하는 경우 소방호스의 단부가 각관(143)과 걸림턱(141) 사이에 수용된 상태에서 걸림턱(141)과 각관(143)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여, 바람 등에 의해 소방호스의 단부가 날리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호스걸이(133)로부터 소방호스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인명사고 등과 같은 안전사고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용 도르레(150)는, 상기 가이드빔(110)과 연결빔(120) 및 승강대(130)에 구성되어 연결빔(120)에 일단이 고정된 와이어(W)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으로, 승강대(130) 프레임(131)의 상측 중앙에 구성된 제1도르레(151), 연결빔(120)의 중심부에 구성된 제2도르레(152), 한 쌍의 가이드빔(110) 중 제1가이드빔(110A)의 상측단에 구성되거나 연결빔(120)의 일측에 구성된 제3도르레(153) 및 상기 제3도르레(153)에 대응되도록 제1가이드빔(110A)의 하측단에 구성되는 제4도르레(15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W)는, 상기 연결빔(120)의 중심부에 일단이 고정된 와이어(W)가 제1도르레(151)를 통하여 승강대(130) 프레임(131) 상측을 경유한 상태에서 제2도르레(152)를 통하여 연결빔(120)의 중심부를 경유한 후, 다시 제3도르레(153)를 통하여 제1가이드빔(110A)의 상측단을 경유한 상태에서 제4도르레(154)를 통하여 제1가이드빔(110A)의 하측단을 경유한 후, 와이어드럼(160)에 타단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와이어드럼(160)은, 상기 가이드빔(110)의 일측 즉, 제1가이드빔(110A)의 일측에 구성되고 와이어(W)의 타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도르레(150)를 통해 가이드되는 와이어(W)의 권취 또는 권해를 가능하게 하는 권취수단으로, 권취드럼에는 와이어(W)의 권취 또는 권해시 꼬임이 발생되지 않도록 와이어(W)에 두께에 대응되는 권취폭이 나선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모터(170)는, 상기 와이어드럼(160)에 풀리와 벨트 등과 같은 동력전달부재를 통해 연결되어 정역회전시 와이어드럼(160)에 권취 또는 권해되는 와이어(W)와 도르레(150)의 가이드 동작을 통하여 승강대(130)가 가이드빔(110)을 따라 승강되도록 하여 승강대(130)에 거치된 소방호스의 건조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구동수단으로, 감속기와 와이어드럼(160)에 벨트를 통해 연결되는풀리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드럼(160)과 구동모터(170)는, 각각 풀리와 벨트 또는 기어와 체인을 통해 상호간 연결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직접 구동축끼리 연결되는 방식에 비해 편마모를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승강센서(180)는, 상기 가이드빔(110)의 상측단과 하측단에 각각 설치되어 승강대(130)의 상승 및 하강 제한 위치를 감지하는 것으로, 승강대(130)의 상승 또는 하강시 상승거리와 하강거리의 한계점을 지정하는 리미트 스위치 등의 상승센서(181)와 하강센서(182)가 해당 위치에 구성되어 승강대(130)의 상측단과 하측단의 접촉시 해당 감지신호를 제어수단(190)에 제공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상승센서(181)는, 상기 가이드빔(110)의 상측단에 소정거리를 두고 복수개가 설치되도록 하여, 어느 하나의 센서가 오동작되더라도 다른 센서가 동작되도록 하여 가이드빔(110)의 높이에 따른 유지보수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상기 제어수단(190)은, 상기 승강센서(180)와 구동모터(17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승강대(130)의 상승 및 하강 신호 입력시 구동모터(170)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 되도록 하고, 이때, 승강센서(180)의 감지신호에 따라 구동모터(170)의 회전을 정지시켜 승강대(130)가 상승 및 하강 제한 위치의 범위 이내에서 안정적으로 승강 동작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방호스 건조장치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한 쌍의 가이드빔(110)의 레일홈(111)의 바닥면(111a)과 양측면(111b)에 승강대(130)의 프레임(131) 양측 상하측에 구성된 가이드롤러(132)의 제1 및 제2롤러(132a,132b)가 회전 가능하게 접촉된 상태를 가지는 상태에서, 가이드빔(110)의 하측부에 위치된 승강대(130)의 호스걸이(133)에 소방호스가 거치된다.
이때, 상기 호스걸이(133)에 회전 가능하게 회전용 걸이롤(134)이 형성됨으로써, 소방호스의 단부 견인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어, 소방호스의 중심부가 호스걸이(133)에 용이하게 거치될 수 있다.
이후, 작업자 등으로부터 승강대(130)의 상승 신호에 대응된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수단(190)에 의해 구동모터(170)가 정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와이어드럼(160)에 와이어(W)가 권취되면서, 승강대(130)가 가이드빔(110)의 레일홈(111)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레일홈(111)에는 승강대(130) 가이드롤러(132)의 제1 및 제2롤러(132a,132b)가 각각 한 쌍의 가이드빔(110)의 레일홈(111)의 바닥면(111a)과 양측면(111b)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상태를 가짐으로써, 상기 소방호스의 무게가 승강대(130)에 편중되더라도 승강대(130)의 기울어짐이 방지되고, 이를 통하여 안정적인 승강이 가능하고 소음이 억제될 수 있다.
이후, 가이드빔(110)의 상측단부에 구성된 상승센서(181)로부터 감지신호가 발생될 때까지 승강대(130)는 계속 상승하여 제한된 높이까지 상승하게 되고, 이때, 상승센서(181)로부터 감지신호가 발생되면, 제어수단(190)에 의해 구동모터(170)의 구동이 정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와이어드럼(160)의 와이어(W) 권취가 정지되면서, 승강대(130)의 상승은 정지하게 된다.
이후, 또는 상기 호스걸이(133)에 소방호스의 중심부가 거치된 후에, 가이드빔(110)의 하측부에 구성된 버켓(140)의 회동편(142)이 젖혀진 상태에서 각관(143)과 걸림턱(141) 사이에 소방호스의 단부가 수용된 후 다시 회동편(142)이 해당 위치에 정지되도록 하여 소방호스의 단부가 걸림턱(141)과 각관(143)에 걸림 지지되어 바람 등에 의해 소방호스의 단부가 날리게 되는 것이 방지되고 호스걸이(133)로부터 소방호스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후, 일정시간 동안 소방호스가 건조되고, 최적의 상태로 건조된 후에는, 가이드빔(110)의 하측단부에 구성된 하강센서(182)로부터 감지신호가 발생될 때까지 구동모터(170)가 역회전하게 되어 와이어드럼(160)으로부터 와이어(W)가 권해되고, 이를 통하여 승강대(130)가 가이드빔(110)의 레일홈(111)을 따라 하강하게 된다.
이후, 버켓(140)의 구성부들을 역순으로 작용시켜 소방호스의 단부가 회동편(142)으로부터 수용해제 된 상태에서 호스걸이(133)로부터 소방호스의 거치가 해제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에 의하면, 승강대(130)에 구성된 가이드롤러(132)가 가이드빔(110) 레일홈(111)의 바닥면(111a) 뿐만 아니라 양측면(111b)에도 접촉되어 승강대(130)의 승강을 가이드함으로써, 소방호스의 편중에 따른 소음을 억제하고 승강대(130)의 가이드롤러(132)가 레일홈(111)에 강제로 끼이게 되는 것이 방지되어 안정적인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빔(110)의 하측부에 승강대(130)의 호스걸이(133)에 거치된 소방호스의 단부가 수용되도록 하는 버켓(140)이 구성됨으로써, 호스걸이(133)에 거치된 소방호스의 단부가 고정단 상태를 가지도록 하여 바람이 불어도 소방호스가 호스걸이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스걸이(133)의 외측에 회전용 걸이롤(134)이 구성되어 호스걸이(133)에 소방호스의 중심부 거치를 위한 단부의 견인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5)

  1. 레일홈(111)을 가지는 한 쌍의 가이드빔(110);
    상기 가이드빔(110)의 상측을 연결하는 연결빔(120);
    상기 가이드빔(110)의 레일홈(111)에 바닥면(111a)과 양측면(111b)에 모두 접촉한 상태로 레일홈(111)을 따라 가이드되고 소방호스의 거치를 가능하게 하는 승강대(130);
    상기 가이드빔(110)과 연결빔(120) 및 승강대(130)에 구성되어 연결빔(120)에 일단이 고정된 와이어(W)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복수개의 가이드용 도르레(150);
    상기 가이드빔(110)의 일측에 구성되고 와이어(W)의 타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도르레(150)를 통해 가이드되는 와이어(W)의 권취 또는 권해를 가능하게 하는 와이어드럼(160);
    상기 와이어드럼(160)에 연결되어 정역회전시 와이어드럼(160)에 권취 또는 권해되는 와이어(W)와 도르레(150)의 가이드 동작을 통하여 승강대(130)가 가이드빔(110)을 따라 승강되도록 하는 구동모터(170);
    상기 가이드빔(110)의 상측단과 하측단에 각각 설치되어 승강대(130)의 상승 및 하강 제한 위치를 감지하는 승강센서(180);
    외부로부터 입력 신호와 승강센서(180)의 감지신호에 따라 구동모터(170)의 동작을 제어하여 승강대(130)가 상승 및 하강 제한 위치의 범위 이내에서 승강 동작되도록 하는 제어수단(190); 및
    상기 가이드빔(110)의 하측부에 구성되어 상기 승강대(130)가 상승하는 경우 소방호스의 단부가 고정되도록 하는 버켓(140);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대(130)는,
    사각틀 형상의 프레임(131);
    상기 프레임(131)의 양측 상하측에 각각 구성되어 상기 레일홈(111)의 바닥면(111a)과 양측면(111b)에 각각 접촉 회전되는 제1 및 제2롤러(132a,132b)를 통하여 프레임(131)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복수개의 가이드롤러(132); 및
    상기 프레임(131)의 상측에 일정간격으로 구성되어 소방호스의 거치를 가능하게 하는 복수개의 호스걸이(133)를 포함하고,
    상기 버켓(140)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빔(110)을 폭 방향으로 가로지르며 구성되며 내부의 탄성스프링을 통하여 소정거리 출입 동작되는 걸림턱(141);
    상기 걸림턱(141)의 하측부에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한 쌍의 가이드빔(110)에 연결 구성되는 회동편(142);
    상기 한 쌍의 가이드빔(110)을 폭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회동편(142)의 단부에 구성되어 상기 걸림턱(141)과 함께 소방호스 단부에 걸림력을 제공하는 각관(143); 및
    상기 회동편(142)과 가이드빔(110)의 연결부위에 구성되어 상기 회동편(142)이 일정한 각도로 젖혀지거나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회동시켜 상기 회동편(142)의 단부에 형성된 각관(143)과 걸림턱(141) 사이의 공간에 소방호스 단부 위치시 회동편(142)이 하측을 향하여 젖혀져 소방호스 단부의 수용을 용이하게 하고 수용 후에는 다시 반대방향으로 복원되도록 회동시켜 걸림턱(141)과 각관(143)의 단부 사이에 걸림력을 제공하는 회동조작수단(1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호스 건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호스걸이(133) 외측에 회전용 걸이롤(134)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호스 건조장치.
  5. 삭제
KR1020130051124A 2013-05-07 2013-05-07 소방호스 건조장치 KR101462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1124A KR101462646B1 (ko) 2013-05-07 2013-05-07 소방호스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1124A KR101462646B1 (ko) 2013-05-07 2013-05-07 소방호스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2078A KR20140132078A (ko) 2014-11-17
KR101462646B1 true KR101462646B1 (ko) 2014-11-20

Family

ID=52290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1124A KR101462646B1 (ko) 2013-05-07 2013-05-07 소방호스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264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499B1 (ko) * 2014-12-01 2016-02-12 주식회사 조강에프오디 안전멈춤장치를 구비하는 소방호스 건조장치
KR101755369B1 (ko) 2017-03-16 2017-07-11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옥내 소화전용 소방호스 보관장치
KR20210129889A (ko) * 2020-04-21 2021-10-29 조광석 소방호스 배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96057A (zh) * 2022-07-14 2022-09-23 王梦坤 一种消防水带晾晒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8416A (ko) * 2001-08-28 2003-03-06 구자복 열풍순환 시스템을 이용한 소방호스 건조타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8416A (ko) * 2001-08-28 2003-03-06 구자복 열풍순환 시스템을 이용한 소방호스 건조타워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499B1 (ko) * 2014-12-01 2016-02-12 주식회사 조강에프오디 안전멈춤장치를 구비하는 소방호스 건조장치
KR101755369B1 (ko) 2017-03-16 2017-07-11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옥내 소화전용 소방호스 보관장치
KR20210129889A (ko) * 2020-04-21 2021-10-29 조광석 소방호스 배수장치
KR102414189B1 (ko) * 2020-04-21 2022-06-27 조광석 소방호스 배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2078A (ko) 2014-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2646B1 (ko) 소방호스 건조장치
CA255488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aching from outside an upper level of a tall structure
JP2014005117A (ja) エレベータ昇降路内の長尺物点検装置及び長尺物点検方法
JP4753932B2 (ja) ゴンドラ装置
KR101514259B1 (ko) 무대설비용 승강장치
US11034557B2 (en) Rail-guided lifting device
KR101466229B1 (ko) 태양발전 겸용 비상대피구
KR20110003780U (ko) 소방 장비 건조장치
KR200464796Y1 (ko) 무대구동장치
KR100859757B1 (ko) 호이스트의 운반물 추락 방지 장치
JP2015157663A (ja) エレベータコンペンチェーン/ケーブルの引掛り検知装置
KR102027254B1 (ko) 주행 로봇
CN113697658B (zh) 一种装配式厂房大跨度钢架结构整体吊装施工工艺
JP5948542B1 (ja) 簡易クレーン
CN111620256A (zh) 起吊装置及起吊系统
JP3556507B2 (ja) スタッカークレーン
CN212315402U (zh) 起吊装置及起吊系统
JP6467210B2 (ja) 物干し装置
CN219313698U (zh) 输送线装置
CN217627215U (zh) 一种防坠落桥式起重机
KR102590849B1 (ko) 이중레일구조의 곤돌라장치
CN218371215U (zh) 一种海上施工吊装多吊点同步自动脱钩装置
JP2018088755A (ja) ケーブル配線用ガイドロープ布設装置
JP2008247568A (ja) スタッカクレーンの昇降体落下防止装置およびスタッカクレーン
KR200254184Y1 (ko) 섬유질 로프 권상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