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9326A - 코일 장치 - Google Patents

코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9326A
KR20210119326A KR1020210037143A KR20210037143A KR20210119326A KR 20210119326 A KR20210119326 A KR 20210119326A KR 1020210037143 A KR1020210037143 A KR 1020210037143A KR 20210037143 A KR20210037143 A KR 20210037143A KR 20210119326 A KR20210119326 A KR 20210119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turn
core
winding
w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7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0687B1 (ko
Inventor
기요후미 후지와라
히로유키 이와타
에이에쓰 아베
기세풍
안치후
Original Assignee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티디케이한국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티디케이한국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19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9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0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0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01F17/045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with core of cylindric geometry and coil wound along its longitudinal axis, i.e. rod or drum co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01F27/306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23Wi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06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with special arrangement or spacing of turns of the winding(s), e.g. to produce desired self-resonan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01F27/292Surface mounted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7/00Fixed inductances not covered by group H01F17/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06Coil winding
    • H01F41/064Winding non-flat conductive wires, e.g. rods, cables or cords
    • H01F41/069Winding two or more wires, e.g. bifilar wi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01F2017/048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with encapsulating core, e.g. made of resin and magnetic pow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Abstract

[과제] 2개의 코일 요소를 동일한 장치 내에 배치하고 있어, 권선의 점유율을 향상시킨 코일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권심부를 가지는 코어와, 제1 와이어와 제2 와이어가 상기 권심부에 다층으로 권회되어 있는 권회부를 가지는 코일 장치로서, 상기 권회부는, 동일 턴의 상기 제1 와이어와 상기 제2 와이어가, 서로 이웃하여 같은 층에 감겨져 있는 제1 부분과, 동일 턴의 상기 제1 와이어와 상기 제2 와이어가, 서로 이웃하지 않고 상이한 층에 감겨져 있는 제2 부분을 가지는 코일 장치.

Description

코일 장치{COIL DEVICE}
본 발명은, 코일 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 상세하게는, 2개의 코일 요소를 동일한 장치 내에 배치하는 코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2개의 코일 요소를 동일한 장치 내에 배치하는 코일 장치는, 예를 들어 파워 인덕터, 노이즈 필터, 트랜스 등으로서,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또, 높은 전류치에 대응할 필요가 있는 회로 등에서는, 적층 타입의 칩 코일보다, 코어에 와이어를 감은 권선 타입의 코일 장치가 적합하게 이용되고 있다.
특허 문헌 1에서는, 2개의 권선을 코어에 감음으로써, 2개의 권선을 장치 내에 있어서 자기적으로 조합한 코일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코일 장치에서는, 코일 장치 내, 특히 권심부의 양단 부근에 있어서, 권선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간극이 커져, 이 때문에 코일 장치 내에 있어서의 권선의 점유율이 낮다는 과제를 가지고 있다. 권선의 점유율이 낮은 경우, 코일 장치의 인덕턴스가 저하되거나, 코일 장치의 소형화의 방해가 되는 경우가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3-324018호 공보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상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2개의 코일 요소를 동일한 장치 내에 배치하고 있어, 권선의 점유율을 향상시킨 코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코일 장치는,
권심부를 가지는 코어와, 제1 와이어와 제2 와이어가 상기 권심부에 다층으로 권회되어 있는 권회부를 가지는 코일 장치로서,
상기 권회부는,
동일 턴의 상기 제1 와이어와 상기 제2 와이어가, 서로 이웃하여 같은 층에 감겨져 있는 제1 부분과,
동일 턴의 상기 제1 와이어와 상기 제2 와이어가, 서로 이웃하지 않고 상이한 층에 감겨져 있는 제2 부분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코일 장치에서는, 동일 턴의 제1 와이어와 제2 와이어가 서로 이웃하여 같은 층에 감겨져 있는 제1 부분과, 동일 턴의 제1 와이어와 제2 와이어가 서로 이웃하지 않고 상이한 층에 감겨져 있는 제2 부분을 가짐으로써, 특히 권심부의 양단 부근 등에 있어서 형성되기 쉬운 경향이 있는, 와이어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간극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코일 장치는, 권선의 점유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인덕턴스를 향상시킴과 함께, 소형화의 관점에서 유리하다.
또, 예를 들어, 상기 권회부 중 상기 권심부에 접촉하는 최내층은, 상기 제1 부분으로만 이루어져 있어도 된다.
최내층은, 권선의 요철의 영향을 받지 않고 권심부에 감을 수 있으므로, 제1 부분 만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권선의 점유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상기 권회부는, 동일 턴의 상기 제1 와이어와 상기 제2 와이어가, 서로 이웃하지 않고 같은 층에 감겨져 있는 제3 부분을 가져도 된다.
또, 예를 들어, 상기 권회부는, 동일 턴의 상기 제1 와이어와 상기 제2 와이어가, 서로 이웃하여 상이한 층에 감겨져 있는 제4 부분을 가져도 된다.
제1 부분과 제2 부분에 더하여, 제3 부분이나 제4 부분을 가짐으로써, 코일 장치는, 권선과 권선의 사이나, 권선과 코어 사이의 간극을 감소시켜, 권선의 점유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상기 제2 부분에 있어서, 동일 턴의 상기 제1 와이어와 상기 제2 와이어 중 외측의 층에 감겨져 있는 한 쪽의 와이어는, 동일 턴의 상기 제1 와이어와 상기 제2 와이어 중 상기 외측의 층보다 상기 권심부에 가까운 내측의 층에 감겨져 있는 다른 쪽의 와이어보다, 상기 권심부의 권축 방향에 관해서 중심측에 위치해도 된다.
제2 부분에 있어서 내측의 층에 감겨져 있는 다른 쪽의 와이어를, 권축 방향의 중심으로부터 이격하는 권심부의 단부의 가까이에 배치함으로써, 비교적 간극이 형성되기 쉬운 권심부의 단부의 가까이에 있어서의 와이어의 점유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상기 권회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와이어의 최종 턴과, 상기 제2 와이어의 최종 턴은, 모두, 상기 권심부의 권축 방향에 관한 한 쪽의 단부이며, 상기 권회부로부터 떨어진 상기 제1 와이어 및 상기 제2 와이어의 단부가 인출되는 측인 권심 제1 단부보다, 상기 권축 방향에 관한 다른 쪽의 단부인 권심 제2 단부의 가까이에 배치되어도 된다.
제1 와이어와 제2 와이어의 최종 턴을, 권심 제2 단부의 가까이에 배치함으로써, 제1 와이어 및 제2 와이어의 권회부로부터의 인출 부분을, 완만한 각도로 코어의 모서리에 접촉시킬 수 있기 때문에, 와이어의 표면이 손상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상기 제1 와이어의 상기 최종 턴 및 상기 제2 와이어의 상기 최종 턴은, 상기 제1 부분에 포함되어도 된다.
최종 턴의 제1 와이어와, 최종 턴의 제2 와이어가 서로 이웃하여 동일한 층에 감겨져 있음으로써, 제1 와이어 및 제2 와이어를, 권회부로부터 임의의 방향으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상기 권회부는, 상기 제1 부분에 포함되는 상기 제1 와이어의 제1의 턴보다 뒤에 감겨져 있고, 상기 제1 와이어의 상기 제1의 턴이 포함되는 제1의 층보다 상기 권심부에 가까운 제2의 층에 감겨져 있는 상기 제1 와이어의 제2의 턴을 가져도 되고,
상기 권회부는, 상기 제1 와이어의 상기 제1의 턴과 동일 턴인 상기 제2 와이어의 제1의 턴보다 뒤에 감겨져 있고, 상기 제1 와이어의 상기 제2의 턴과 동일 턴이며 상기 제2의 층에 감겨져 있는 상기 제2 와이어의 제2의 턴을 가져도 된다.
제1 턴보다 뒤에 감겨져 있으며, 또한 내측의 층에 배치되는 제2 턴을 가지는 권회부는, 권회 중의 제1 와이어 및 제2 와이어에 의해 형성되는 경사 및 요철을 이용하여 제1 와이어 및 제2 와이어를 감음으로써, 와이어 사이 및 와이어와 코어 사이의 간극을 줄여, 와이어의 점유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상기 제1 와이어 중 상기 권심부로부터의 거리가 가장 큰 제3의 턴 및 상기 제2 와이어 중 상기 권심부로부터의 거리가 가장 큰 제4의 턴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권심부에 있어서의 권축 방향의 중심 위치를 통과하여 권축 방향에 직교하는 선과 교차되어도 된다.
이와 같은 코일 장치는, 권심부의 권축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부근에, 권회부에 있어서 가장 권심부에서 먼 부분이 배치되기 때문에, 제1 와이어 및 제2 와이어가 권축 방향의 한쪽측에 치우쳐 배치되는 것을 방지하여, 와이어의 점유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상기 권심부는, 상기 권심부의 권축 방향에 관해서 중앙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권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중앙 외주면과, 상기 중앙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권심부의 상기 권축 방향의 한 쪽의 단부인 권심 제1 단부까지, 및 상기 중앙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권심부의 상기 권축 방향의 다른 쪽의 단부인 권심 제2 단부까지 연장되는 단부 만곡면을 가져도 되고,
상기 단부 만곡면은, 상기 제1 와이어 및 상기 제2 와이어에 있어서의 와이어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의 곡률보다 작은 곡률을 가져도 된다.
권심부가 이와 같은 단부 만곡면을 가짐으로써, 제1 와이어 및 제2 와이어와 권심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작게 하여, 와이어의 점유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상기 코어는, 상기 권심부의 권축 방향의 한 쪽의 단부인 권심 제1 단부에 접속하는 제1 플랜지부와, 상기 권심부의 상기 권축 방향의 다른 쪽의 단부인 권심 제2 단부에 접속하는 제2 플랜지부를 가져도 된다.
제1 플랜지부나 제2 플랜지부를 가지는 코어를 이용하면, 제1 플랜지부 및 제2 플랜지부에 가까운 장소에 간극이 생기기 쉬운데, 권회부가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가지는 코일 장치는, 제1 플랜지부 및 제2 플랜지부가 있어도, 와이어의 점유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상기 제2 부분에 있어서, 동일 턴의 상기 제1 와이어와 상기 제2 와이어 중 외측의 층에 감겨져 있는 한 쪽의 와이어는, 상기 제1 플랜지부 및 상기 제2 플랜지부로부터 이격해도 되고, 동일 턴의 상기 제1 와이어와 상기 제2 와이어 중 상기 외측의 층보다 상기 권심부에 가까운 내측의 층에 감겨져 있는 다른 쪽의 와이어는, 상기 제1 플랜지부 또는 상기 제2 플랜지부에 접촉해도 된다.
제1 플랜지부 및 제2 플랜지부에 가까운 위치에는, 와이어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간극이 생기기 쉬운 경향이 있지만, 제2 부분에 있어서의 다른 쪽의 와이어가 제1 플랜지부 또는 제2 플랜지부에 접촉함으로써 간극이 형성되기 어려워져, 와이어의 점유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상기 제1 플랜지부에는, 서로 절연되어 있는 제1 전극부, 제2 전극부, 제3 전극부 및 제4 전극부가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상기 제1 와이어가 접속되는 상기 제1 전극부 및 상기 제3 전극부는, 상기 제1 플랜지부의 1개의 대각선 상에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상기 제2 와이어가 접속되는 상기 제2 전극부 및 상기 제4 전극부는, 상기 제1 플랜지부의 다른 1개의 대각선 상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코일 장치에서는, 제1 와이어와 제2 와이어의 한 쪽의 단부가, 다른 쪽의 단부에 대해 모두 180도 회전한 위치의 전극부에 접속되기 때문에, 자동 권선기에 의해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코일 장치를 비스듬한 상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코일 장치를 비스듬한 하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코일 장치에 포함되는 제1 와이어와 제2 와이어에 의한 권회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권회부의 제1 부분을 강조하여 표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내는 권회부의 제2 부분을 강조하여 표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3에 나타내는 권회부의 제3 부분을 강조하여 표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3에 나타내는 권회부의 제4 부분을 강조하여 표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도 3에 나타내는 권회부의 일부를 강조하여 표시한 개념도이다.
도 9는, 참고예에 따른 코일 장치에 포함되는 제1 와이어와 제2 와이어의 권회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코일 장치(10)를 비스듬한 상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도 8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코일 장치(10)는, 예를 들어 초크 코일, 노이즈 필터 등으로서 이용되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차재용으로서 이용되는 인덕터 장치이며, 2개의 코일 요소가 동일한 코일 장치(10) 내에 배치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 장치(10)는, 코어(20)와, 외장 수지(15)와, 외장 수지(15)에 덮여 있는 권회부(30)(도 3 참조)를 가진다. 또, 도 2는, 코일 장치(10)를 비스듬한 하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 장치(10)는, 제1 전극부(61)와, 제2 전극부(62)와, 제3 전극부(63)와, 제4 전극부(64)를 가진다.
코일 장치(10)의 단면도인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어(20)는, 권심부(22)와, 제1 플랜지부(24)와, 제2 플랜지부(26)를 가지는 드럼 코어(20)이다. 권심부(22)는, 제1 와이어(30a)와 제2 와이어(30b)가 다층으로 권회되어 있다. 권심부(22)의 횡단면(X-Y축 평면의 단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정방형 단면, 장방형 단면, 원형 단면, 혹은, 그 외의 단면 형상이어도 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대략 원형상으로 되어 있다(도시 생략).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심부(22)는, 권심부(22)의 권축 방향에 관해서 중앙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권축 방향(Z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중앙 외주면(22c)과, 중앙 외주면(22c)으로부터 권심부(22)의 권축 방향의 한 쪽의 단부인 권심 제1 단부(22a)까지, 및 중앙 외주면(22c)으로부터 권심부(22)의 권축 방향의 다른 쪽의 단부인 권심 제2 단부(22b)까지 연장되는 단부 만곡면(22d)을 가진다. 도 3과 같은 권축을 통과하는 단면에서 보아, 중앙 외주면(22c)은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있는데 반해, 단부 만곡면(22d)은 만곡하고 있다. 단부 만곡면(22d)은, 제1 와이어(30a) 및 제2 와이어(30b)에 있어서의 와이어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의 곡률보다 작은 곡률을 가진다. 단부 만곡면(22d)이, 도 3에 나타내는 와이어 단면의 곡률보다 작은 곡률을 가짐으로써, 제1 와이어(30a) 및 제2 와이어(30b)와 권심부(22)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작게 할 수 있다.
제1 플랜지부(24)는, 권심부(22)의 권축 방향의 한 쪽의 단부(Z축 부(負)방향측의 단부)인 권심 제1 단부(22a)에 접속한다. 또, 제2 플랜지부(26)는, 권심부(22)의 권축 방향의 다른 쪽의 단부(Z축 정(正)방향측의 단부)인 권심 제2 단부(22b)에 접속한다. 또한, 도 3~도 9에서는, 외장 수지(15) 및 전극부(61~64) 등은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코일 장치(10)의 코어(20)는, 도 1~도 3에 나타내는 제1 플랜지부(24) 및 제2 플랜지부(26)를 가지는 것이, 코일 장치(10)의 실장성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단, 코어(20)는, 권심부(22)를 가지는 다른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코일 장치(10)의 설명에 이용하는 X축, Y축 및 Z축은, 상호 수직이며, Z축은, 권축 방향에 일치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외장 수지(15)는, 도 3에 나타내는 권회부(30)를 덮고 있다. 권회부(30)를 외장 수지(15)로 덮음으로써, 권회부(30)의 제1 와이어(30a) 및 제2 와이어(30b)를 유효하게 보호할 수 있음과 함께, 쇼트 불량 등도 억제할 수 있다. 또, 외장 수지(15)는, 자성체 함유 수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자성체 함유의 외장 수지(15)가, 자장이 지나가는 길이 되어, 코일 장치(10)의 자기 특성이 향상된다. 외장 수지(15)에 포함되는 자성체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코어(20)를 구성하는 자성체분(粉)과 동일한 자성체분, 혹은 그 외의 자성체분이 예시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플랜지부(24)의 하면에는, 서로 절연되어 있는 제1 전극부(61), 제2 전극부(62), 제3 전극부(63) 및 제4 전극부(64)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와이어(30a)의 양단부는, 제1 전극부(61)와 제3 전극부(63)에 접속되어 있으며, 제2 와이어(30b)의 양단부는, 제2 전극부(62)와 제4 전극부(64)에 접속되어 있다.
제1 와이어(30a)가 접속되는 제1 전극부(61) 및 제3 전극부(63)는, 제1 플랜지부(24)의 1개의 대각선(24a) 상에 배치되어 있고, 제2 와이어(30b)가 접속되는 제2 전극부(62) 및 제4 전극부(64)는, 제1 플랜지부(24)의 다른 1개의 대각선(24b)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코일 장치(10)에서는, 제1 와이어(30a)와 제2 와이어(30b)의 한 쪽의 단부가, 다른 쪽의 단부에 대해 모두 180도 회전한 위치의 전극부에 접속되기 때문에, 자동 권선기에 의해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제1~제4 전극부(61~64)는, 도전성 금속판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재질로서는, 터프 피치 강, 인 청동, 황동, 철, 니켈 등을 들 수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제4 전극부(61~64)는, 은이나 주석 등의 도금층, 페이스트층 또는 박막 등, 도전성 금속판 이외의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1 와이어(30a) 및 제2 와이어(30b)의 양단부는, 레이저 용접을 이용하여 제1~제4 전극부(61~64)에 접속되어 있다. 단, 제1 와이어(30a) 및 제2 와이어(30b)의 제1~제4 전극부(61~64)로의 접속 방법은 레이저 용접에만 한정되지는 않고, 열압착, 휴징, 납땜 등의 다른 방법으로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도 3에 나타내는 권회부(30)를 형성하는 제1 와이어(30a) 및 제2 와이어(30b)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구리 등으로 구성되는 평각선, 환선, 연선, 리츠선, 편조선 등의 도전성 심선, 혹은 이들 도전성 심선이 절연 피복되어 있는 와이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AIW(폴리이미드 와이어), UEW(폴리우레탄 와이어), UEW, USTC 등의 공지의 권선을 이용할 수 있다. 제1 와이어(30a) 및 제2 와이어(30b)의 선 직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0.1~0.5mm이다. 2 개의 와이어(30a, 30b)의 선 직경 및 재질 등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도 3은, 권회부(30)에 있어서의 제1 와이어(30a)와 제2 와이어(30b)의 권회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며, 코어(20) 및 권회부(30)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권회부(30)에 있어서의 흰 동그라미는 제1 와이어(30a)를 나타내고 있으며, 권회부(30)에 있어서의 망점 동그라미는 제2 와이어(30b)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동그라미 안의 숫자는, 각각의 제1 와이어(30a) 및 제2 와이어(30b)에 있어서의 부분이, 몇 턴째의 부분인지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제1 와이어(30a) 및 제2 와이어(30b)의 감기가 시작되는 제1 턴의 부분에는 숫자의 「1」이 기재되어 있고(제1 와이어(30a)의 제1 턴(38a) 및 제2 와이어(30b)의 제1 턴(38b)), 제1 와이어(30a) 및 제2 와이어(30b)의 감기가 종료되는 제22 턴의 부분에는 숫자의 「22」가 기재되어 있다(제1 와이어(30a)의 제22 턴(36a) 및 제2 와이어(30b)의 제22 턴(36b)).
도 3에 나타내는 권회부(30)는, 후술하는 코일 장치(10)에 있어서의 권회부(30)의 형성 방법에서도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1 와이어(30a)와 제2 와이어(30b)를, 동시에 권심부(22)에 감음으로써 형성된다. 제1 와이어(30a)와 제2 와이어(30b)는, 코일 장치(10)의 내부에 있어서 자기적으로 조합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회부(30)는, 제1 와이어(30a)와 제2 와이어(30b)를 권심부(22)에 6층 감기함으로써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와이어(30a)와 제2 와이어(30b)의 턴 수는, 모두 22턴이다. 코일 장치(10)가 가지는 권회부(30)는, 제1 와이어(30a) 및 제2 와이어(30b)가 다층으로 권회되어 있으면, 층수 및 턴 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 제1 와이어(30a)와 제2 와이어(30b)의 턴 수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이해도 된다.
도 3에 나타내는 권회부(30)는, 도 4에 나타내는 제1 부분(31)과, 도 5에 나타내는 제2 부분(32)과, 도 6에 나타내는 제3 부분(33)과, 도 7에 나타내는 제4 부분(34)을 가진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권회부(30)에 있어서의 제1 부분(31)을 진하게(강조하여) 표시하고, 권회부(30)에 있어서의 다른 부분(32~34)을 연하게 표시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부분(31)은, 동일 턴의 제1 와이어(30a)와 제2 와이어(30b)가, 서로 이웃하여 같은 층에 감겨져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턴에서 제7 턴, 제9 턴에서 제11 턴, 제14 턴, 제18 턴~제20 턴, 제22 턴이 제1 부분(31)을 구성하고 있다. 제1 부분(31)으로서는, 도 3에 나타내는 제1 와이어(30a)의 제1 턴(38a) 및 제2 와이어(30b)의 제1 턴(38b)이나, 제1 와이어(30a)의 제22 턴(36a) 및 제2 와이어(30b)의 제22 턴(36b) 등을 들 수 있다.
제1 부분(31)은, 권회부(30) 중에 포함되는 4개의 부분 중에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특히 권심부(22)에 가까운 부분과, 권심부(22)에 있어서의 권축 방향의 중심 위치를 통과하여 권축 방향에 직교하는 중심선(27)에 가까운 부분은, 제1 부분(31)의 비율이 많다. 특히, 권회부(30) 중 권심부(22)에 접촉하는 최내층인 제1층(41)은, 제1 부분(31) 만으로 이루어진다. 최내층인 제1층(41)은, 권회할 때에 내측층의 요철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제1 부분(31)과 제4 부분(34)(도 7 참조) 만으로 구성하는 것이 와이어의 점유율을 높이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고, 제1 부분(31) 만으로 구성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단, 최내층인 제1층(41)에, 제2 부분(32)(도 5 참조)의 일부 등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내는 권회부(30)에 있어서의 제2 부분(32)을 진하게(강조하여) 표시하고, 권회부(30)에 있어서의 다른 부분(31, 33, 34)을 연하게 표시하고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부분(32)은, 동일 턴의 제1 와이어(30a)와 제2 와이어(30b)가, 서로 이웃하지 않고 상이한 층에 감겨져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2 턴, 제15 턴, 제16 턴이 제2 부분(32)을 구성하고 있다. 제2 부분(32)으로서는, 도 5에 나타내는 제1 와이어(30a)의 제12 턴(32a) 및 제2 와이어(30b)의 제12 턴(32b)이나, 제1 와이어(30a)의 제16 턴(32c) 및 제2 와이어(30b)의 제16 턴(32d)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와이어(30a)의 제16 턴(32c)은 제3층(43)에 위치하고, 제2 와이어(30b)의 제16 턴(32d)은 제4층(44)에 위치하기 때문에, 양자는 상이한 층에 감겨져 있다. 또, 도 3 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와이어(30a)의 제16 턴(32c)과, 제2 와이어(30b)의 제16 턴(32d)의 사이에는, 제1 와이어(30a)의 제15 턴과 제17 턴이 끼여 있으며, 양자는 서로 이웃하지 않고, 접촉하고 있지 않다.
또, 제2 부분(32)에 있어서, 동일 턴의 제1 와이어(30a)와 제2 와이어(30b) 중 외측의 층에 감겨져 있는 한 쪽의 와이어는, 동일 턴의 제1 와이어(30a)와 제2 와이어(30b) 중 외측의 층보다 권심부(22)에 가까운 내측의 층에 감겨져 있는 다른 쪽의 와이어보다, 권심부(22)의 권축 방향에 관해서 중심측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제2 부분(32)에 있어서, 외측의 층인 제4층(44)에 감겨져 있는 제1 와이어(30a)의 제12 턴(32a)은, 내측의 층인 제3층(43)에 감겨져 있는 제2 와이어(30b)의 제12 턴(32b)보다, 권심부(22)의 권축 방향에 관해서, 중심선(27)의 가까이에 위치한다.
제2 부분(32)에 있어서 외측의 층에 감겨져 있는 한 쪽의 와이어보다, 내측의 층에 감겨져 있는 다른 쪽의 와이어가 권축 방향에 관해서 중심선(27)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음으로써, 제1 플랜지부(24)나 제2 플랜지부(26)의 가까이에서 와이어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간극이 형성되는 문제를 적절히 방지할 수 있다. 제2 부분(32)의 제15 턴 및 제16 턴(32c, 32d)도 이와 같은 관계를 만족한다. 단, 제2 부분(32)에 포함되는 모든 부분이 이 관계를 만족할 필요는 없고, 제2 부분(32)의 일부 만이 이 관계를 만족하고 있어도 된다.
또, 도 5에 나타내는 제2 부분(32)에 있어서, 동일 턴의 제1 와이어(30a)와 제2 와이어(30b) 중 외측의 층에 감겨져 있는 한 쪽의 와이어는, 제1 플랜지부(24) 및 제2 플랜지부(26)로부터 이격하고 있고, 동일 턴의 제1 와이어(30a)와 제2 와이어(30b) 중 외측의 층보다 권심부에 가까운 내측의 층에 감겨져 있는 다른 쪽의 와이어는, 제1 플랜지부(24) 또는 제2 플랜지부(26)에 접촉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2 부분(32)에 있어서, 외측의 층인 제4층(44)에 감겨져 있는 제1 와이어(30a)의 제12 턴(32a)은 제1 플랜지부(24) 및 제2 플랜지부(26)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며, 내측의 층인 제3층(43)에 감겨져 있는 제2 와이어(30b)의 제12 턴(32b)은 제2 플랜지부(26)에 접촉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2 플랜지부(26)와 와이어(30a, 30b)의 간극을 제2 와이어(30b)의 제12 턴(12b)이 메우고, 또한 제1 와이어(30a)의 제12 턴(32a)과 제2 와이어(30b)의 제12 턴(32b)의 사이를 제2 와이어(30b)의 제9 턴이나 제13 턴 등의 다른 와이어가 메움으로써, 제2 플랜지부(26)의 가까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문제를 적절히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도 3에 나타내는 권회부(30)에 있어서의 제3 부분(33)을 진하게(강조하여) 표시하고, 권회부(30)에 있어서의 다른 부분(31, 32, 34)을 연하게 표시하고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부분(33)은, 동일 턴의 제1 와이어(30a)와 제2 와이어(30b)가, 서로 이웃하지 않고 같은 층에 감겨져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8 턴, 제13 턴, 제21 턴이 제3 부분(33)을 구성하고 있다. 제3 부분(33)으로서는, 도 6에 나타내는 제1 와이어(30a)의 제13 턴(33a) 및 제2 와이어(30b)의 제13 턴(33b)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와이어(30a)의 제13 턴(33a)은 제4층(44)에 위치하고, 제2 와이어(30b)의 제13 턴(33b)은 제4층(44)에 위치하기 때문에, 양자는 같은 층에 감겨져 있다. 또, 제1 와이어(30a)의 제13 턴(33a)과, 제2 와이어(30b)의 제13 턴(33b)의 사이에는, 제1 와이어(30a)의 제12 턴과 제20 턴 및 제2 와이어(30b)의 제20 턴이 끼여 있으며, 양자는 서로 이웃하지 않고, 접촉하고 있지 않다.
도 7은, 도 3에 나타내는 권회부(30)에 있어서의 제4 부분(34)을 진하게(강조하여) 표시하고, 권회부(30)에 있어서의 다른 부분(31~33)을 연하게 표시하고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4 부분(34)은, 동일 턴의 제1 와이어(30a)와 제2 와이어(30b)가, 서로 이웃하여 상이한 층에 감겨져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4 부분(34)으로서는, 제1 와이어(30a)의 제17 턴(34a) 및 제2 와이어(30b)의 제17 턴(34b)을 들 수 있다. 제1 와이어(30a)의 제17 턴(34a)은 제4층(44)에 위치하고, 제2 와이어(30b)의 제17 턴(34b)은 제5층(45)에 위치하기 때문에, 양자는 상이한 층에 감겨져 있다. 또, 제1 와이어(30a)의 제17 턴(34a)과, 제2 와이어(30b)의 제17 턴(34b)은 서로 이웃하고 있으며, 서로 접촉하고 있다.
도 9는, 참고예에 따른 코일 장치(110)의 권회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코일 장치(110)는, 코일 장치(10)와 동일한 코어(20)에, 제1 와이어(130a)와 제2 와이어(130b)를 동시에 권회하여 형성한 권회부(130)를 가진다.
도 9에 나타내는 권회부(130)에 있어서, 제1 와이어(130a)와 제2 와이어(130b)는, 동일 턴들이 항상 접촉한 상태로 권회되어 있으며, 동일 턴의 제1 와이어(130a)와 제2 와이어(130b)가, 서로 이웃하여 같은 층에 감겨져 있는 제1 부분과, 동일 턴의 제1 와이어(130a)와 제2 와이어(130b)가, 서로 이웃하여 상이한 층에 감겨져 있는 제4 부분의 2개의 부분 만을 가진다. 이와 같은 권회부(130)는, 예를 들어 제2층과 제2 플랜지부(26) 사이의 부분 등에, 제1 와이어(130a) 및 제2 와이어(130b)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비교적 큰 간극(공극)(190)이 형성되는 문제가 있다. 또, 권회부(130)는, 제1 플랜지부(24)에 가까운 제17 턴 및 제18 턴의 주변에도 간극(192)이 많은 경향을 보인다.
이에 반해, 도 3에 나타내는 권회부(30)는, 도 6에 나타내는 제3 부분(33)이나 도 5에 나타내는 제2 부분(32)을 가짐으로써, 제1 와이어(30a)와 제2 와이어(30b) 사이 및 와이어(30a, 30b)와 코어(20) 사이의 간극을 줄여, 와이어의 점유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도 3에 나타내는 권회부(30)는, 동일 턴의 제1 와이어(30a)와 제2 와이어(30b)가 접촉하지 않는 제2 부분(32)이나 제3 부분(33)을 형성함으로써,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와이어(130a)와 제2 와이어(130b)를 항상 접촉시켜 권회부(130)를 형성한 경우에 생기는 간극을 작게 할 수 있어, 와이어의 점유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회부(30)의 제2 부분(32)은, 제2 와이어(30b)의 제12 턴(32b)이나, 제1 와이어(30a)의 제16 턴(32c)처럼, 소정의 층(제3층(43))의 권축 방향 양단부에, 동일 턴에 있어서의 한 쪽의 와이어 만이, 내측(내층측)으로 빠지는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코일 장치(10)는, 권회 시에, 제1 와이어(30a) 및 제2 와이어(30b)가, 제1 플랜지부(24) 또는 제2 플랜지부(26)에 눌려 손상되는 문제를 방지하면서, 플랜지부(24, 26)와 와이어(30a, 30b)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왜냐하면, 코일 장치(10)에서는, 권회부(30)의 형성 시에 있어서, 제1 와이어(30a) 및 제2 와이어(30b) 중 한 쪽 만이, 그 하층의 와이어의 요철을 따라 자연스럽게 플랜지부(24, 26)와 다른 와이어(30a, 30b)의 간극에 들어가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코일 장치(10)에 있어서의 권회부(30)의 형성 시에는, 와이어(30a, 30b)를 권축 방향으로 끌어당기는 힘을 작게 할 수 있어, 와이어(30a, 30b)가 제1 플랜지부(24) 또는 제2 플랜지부(26)에 접촉하거나, 제1 플랜지부(24) 또는 제2 플랜지부(26)에 대해 쓸려, 와이어(30a, 30b)가 손상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코일 장치(10)의 제조 방법 및 권회부(30)의 형성 방법의 일례를 들면서, 코일 장치(10)의 구조를 더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코일 장치(10)의 제조 방법 및 권회부(30)의 형성 방법은, 이하에 나타내는 예 만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에 나타내는 코일 장치(10)에 있어서의 권회부(30)의 형성의 제1 단계에서는, 우선, 제1~제4 전극부(61~64)가 장착된 코어(20)를, 자동 권선기에 세트한다. 코어(20)는, 예를 들어 압축 성형, CIM(세라믹 인젝션 몰딩) 성형, MIM(메탈 인젝션 몰딩) 성형 등에 의해 성형되고, 필요에 따라 소성됨으로써 제조된다. 또, 제1~제4 전극부(61~64)는 예를 들어 접착 등에 의해 코어(20)에 고정된다. 단, 코어(20)의 형성 방법 및 제1~제4 전극부(61~64)의 고정 방법은, 이들 만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에, 자동 권선기에 세트한 코어(20)에 대해, 도 3에 나타내는 제1 와이어(30a) 및 제2 와이어(30b)를 유도하는 노즐을 조작하여, 제1 와이어(30a)와 제2 와이어(30b)를, 권심부(22)에 있어서의 감기가 시작되는 위치(제1 와이어(30a)의 제1 턴(38a) 및 제2 와이어(30b)의 제1 턴(38b)의 위치)에 접촉시킨다.
다음에, 노즐이 제1 와이어(30a)와 제2 와이어(30b)를 끌어당기면서, 자동 권선기가 코어(20)를 회전시킴으로써, 도 3에 나타내는 제1 턴에서 제22 턴까지 순서로 제1 와이어(30a)와 제2 와이어(30b)를 권회하여, 권회부(30)를 형성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제11 턴까지는, 제8 턴(제3 부분(33)(도 6 참조))을 제외하고, 제1 부분(31)에 포함된다.
이 때, 도 3에 나타내는 권회부(30)는, 도 9에 나타내는 권회부(130)와는 상이하며, 내측의 제1층(41)에서 외측의 제6층(46)으로 차례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외측의 층의 일부를, 그것보다 내측의 층보다 먼저 형성한다. 도 8은, 도 3에 나타내는 권회부(30)의 일부를 강조하여 표시한 개념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회부(30)는, 제1 부분(31)에 포함되는 제1 와이어(30a)의 제1의 턴인 제7 턴(31b)보다 뒤에 감겨져 있으며, 제1 와이어(30a)의 제7 턴(31b)이 포함되는 제1의 층인 제3층(43)보다 권심부(22)에 가까운 제2의 층인 제2층(42)에 감겨져 있는 제1 와이어(30a)의 제2의 턴인 제10 턴(37a)을 가진다. 또, 권회부(30)는, 제1 와이어(30a)의 제7 턴(31b)과 동일 턴인 제2 와이어(30b)의 제7 턴(31b)보다 뒤에 감겨져 있으며, 제1 와이어(30a)의 제10 턴(37a)과 동일 턴이며 제2의 층인 제2층(42)에 감겨져 있는 제2 와이어(30b)의 제10 턴(37b)을 가진다.
또,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와이어(30a) 및 제2 와이어(30b)의 제1의 턴인 제7 턴(31a, 31b)은, 제1 와이어(30a) 및 제2 와이어(30b)의 제2의 턴인 제10 턴(37a, 37b)보다, 권심부(22)의 권축 방향에 관해서 중심측(중심선(27)의 가까이)에 위치한다. 제1 와이어(30a) 및 제2 와이어(30b)의 제7 턴(31a, 31b)과, 제1 와이어(30a) 및 제2 와이어(30b)의 제8 턴의 관계도, 이것과 동일하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회부(30)를 형성할 때에, 권심부(22)의 권축 방향에 관해서 중심측을 먼저 피라미드형상으로 형성하고, 권심부(22)의 권축 방향에 관해서 양단측을 나중에 형성한다. 이것에 의해, 나중에 양단측에 형성되는 턴(제10 턴, 제8 턴)을 구성하는 와이어(30a, 30b)는, 이미 피라미드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턴과 플랜지부(24, 26)의 간극에 들어가도록 유도된다. 이 때문에, 이와 같은 코일 장치(10)는, 플랜지부(24, 26)와 와이어(30a, 30b)의 간극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제3층(43)의 양단부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부분(32)이 형성되고, 플랜지부(24, 26)와 와이어(30a, 30b)의 간극이나, 와이어(30a, 30b) 사이의 간극을 작게 하여, 와이어(30a, 30b)의 점유율을 높일 수 있다(제12 턴에서 제17 턴).
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회부(30)에 있어서의 제1 와이어(30a)의 최종 턴인 제22 턴(36a)과, 제2 와이어(30b)의 최종 턴인 제22 턴(36b)은, 모두, 권심부(22)의 권축 방향에 관한 한 쪽의 단부이며, 권회부(30)로부터 떨어진 제1 와이어(30a) 및 제2 와이어(30b)의 단부가 인출되는 측인 권심 제1 단부(22a)보다, 권축 방향에 관한 다른 쪽의 단부인 권심 제2 단부(22b)의 가까이에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제1 와이어(30a) 및 제2 와이어(30b)의 최종 턴인 제22 턴(36a, 36b)이, 전극부(61~64) 등이 배치되는 제1 플랜지부(24)에 접속하는 권심 제1 단부(22a)로부터 이격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전극부(61~64)를 향해 인출되는 제1 와이어(30a) 및 제2 와이어(30b)가, 제1 플랜지부(24)에 접촉하여 굴곡되는 각도를 작게 할 수 있어, 제1 와이어(30a) 및 제2 와이어(30b)의 제1 플랜지부(24)와의 접촉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와이어(30a)의 최종 턴인 제22 턴(36a) 및 제2 와이어(30b)의 최종 턴인 제22 턴(36b)은, 제1 부분(31)에 포함된다. 제1 와이어(30a)의 제22 턴(36a)과 제2 와이어(30b)의 제22 턴(36b)이 접촉하고 있음으로써, 제1 와이어(30a) 및 제2 와이어(30b)의 쌍방의 제22 턴(36a, 36b)을, 제1 플랜지부(24)로부터 크게 이격시킬 수 있다.
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와이어(30a) 중 권심부(22)로부터의 거리가 가장 큰 제3의 턴인 제22 턴(36a) 및 제2 와이어(30b) 중 권심부(22)로부터의 거리가 가장 큰 제3의 턴인 제22 턴(36b) 중 적어도 한쪽은, 권심부(22)에 있어서의 권축 방향의 중심 위치를 통과하여 권축 방향에 직교하는 중심선(27)과 교차한다.
이와 같은 코일 장치(10)는, 권축 방향의 중앙 부분, 즉 제1 플랜지부(24) 및 제2 플랜지부(26)로부터 이격한 위치에, 권회부(30)가 가장 다층이 되는 부분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코일 장치(10)는, 제1 플랜지부(24)나 제2 플랜지부(26)에 가까운 권심 제1 단부(22a)나 권심 제2 단부(22b)의 외주에 형성되는 층 수를 억제하여, 와이어(30a, 30b) 사이 및 와이어(30a, 30b)와 코어(20) 사이의 간극을 줄여, 와이어(30a, 30b)의 점유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제22 턴(36a, 36b)까지 권회부(30)가 형성되면, 노즐이 제1 와이어(30a) 및 제2 와이어(30b)의 단부를 제1 플랜지부(24)로 인출한다. 또한, 제1 와이어(30a)의 양단부를 제1 전극부(61) 및 제3 전극부(63)에 고정하고, 제2 와이어(30b)의 양단부를 제2 전극부(62) 및 제4 전극부(64)에 고정한다. 또한, 제1 와이어(30a) 및 제2 와이어(30b)의 한 쪽의 단부는, 권회부(30)를 형성하기 전에, 전극부(61~64)에 고정 또는 가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마지막에 권회부(30)의 외주에,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외장 수지(15)를 형성하고, 권회부(30)를 외장 수지(15)로 덮음으로써, 도 1~도 8에 나타내는 코일 장치(10)를 얻는다.
도 3~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일 장치(10)에서는, 동일 턴의 제1 와이어(30a)와 제2 와이어(30b)가 서로 이웃하여 같은 층에 감겨져 있는 제1 부분(31) 뿐만이 아니라, 동일 턴의 제1 와이어(30a)와 제2 와이어(30b)가 서로 이웃하지 않고 상이한 층에 감겨져 있는 제2 부분(32)을 가진다. 이와 같은 코일 장치(10)에서는, 특히 권심부(22)의 양단 부근 등에 있어서 형성되기 쉬운 경향이 있는, 와이어(30a, 30b)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간극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코일 장치(10)는, 권선의 점유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인덕턴스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소형화의 관점에서도 유리하다.
이상, 실시 형태를 들어 본 발명의 코일 장치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만 한정되지 않고, 다른 많은 실시 형태나 변형예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 장치(10)에서는, 감기가 시작되는 위치가 제1 플랜지부(24)측이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2 플랜지부(26)측으로부터 감기 시작하는 것이어도 상관없다.
10, 110: 코일 장치 15: 외장 수지
20: 코어 22: 권심부
22a: 권심 제1 단부 22b: 권심 제2 단부
22c: 중앙 외주면 22d: 단부 만곡면
24: 제1 플랜지부 24a, 24b: 대각선
26: 제2 플랜지부 27: 중심선
30, 130: 권회부 30a, 130a: 제1 와이어
30b, 130b: 제2 와이어 31: 제1 부분
31a, 31b: 제1 턴(제1의 턴) 37a, 37b: 제10 턴(제2의 턴)
32: 제2 부분
32a: 제1 와이어(30a)의 제12 턴(한쪽의 와이어)
32b: 제2 와이어(30b)의 제12 턴(다른 쪽의 와이어)
32c: 제1 와이어(30a)의 제16 턴(다른 쪽의 와이어)
32d: 제2 와이어(30b)의 제16 턴(한쪽의 와이어)
33: 제3 부분 33a, 33b: 제13 턴
34: 제4 부분 34a, 34b: 제17 턴
36a: 제1 와이어(30a)의 제22 턴(제3의 턴)
36b: 제2 와이어(30b)의 제22 턴(제4의 턴)
41: 제1층(최내층) 42: 제2층
43: 제3층 44: 제4층
45: 제5층 46: 제6층
61: 제1 전극부 62: 제2 전극부
63: 제3 전극부 64: 제4 전극부
190, 192: 간극

Claims (14)

  1. 권심부를 가지는 코어와, 제1 와이어와 제2 와이어가 상기 권심부에 다층으로 권회되어 있는 권회부를 가지는 코일 장치로서,
    상기 권회부는,
    동일 턴의 상기 제1 와이어와 상기 제2 와이어가, 서로 이웃하여 같은 층에 감겨져 있는 제1 부분과,
    동일 턴의 상기 제1 와이어와 상기 제2 와이어가, 서로 이웃하지 않고 상이한 층에 감겨져 있는 제2 부분을 가지는,
    코일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권회부 중 상기 권심부에 접촉하는 최내층은, 상기 제1 부분 만으로 이루어지는, 코일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권회부는, 동일 턴의 상기 제1 와이어와 상기 제2 와이어가, 서로 이웃하지 않고 같은 층에 감겨져 있는 제3 부분을 가지는, 코일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권회부는, 동일 턴의 상기 제1 와이어와 상기 제2 와이어가, 서로 이웃하여 상이한 층에 감겨져 있는 제4 부분을 가지는, 코일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에 있어서, 동일 턴의 상기 제1 와이어와 상기 제2 와이어 중 외측의 층에 감겨져 있는 한 쪽의 와이어는, 동일 턴의 상기 제1 와이어와 상기 제2 와이어 중 상기 외측의 층보다 상기 권심부에 가까운 내측의 층에 감겨져 있는 다른 쪽의 와이어보다, 상기 권심부의 권축 방향에 관해서 중심측에 위치하는, 코일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권회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와이어의 최종 턴과, 상기 제2 와이어의 최종 턴은, 모두, 상기 권심부의 권축 방향에 관한 한 쪽의 단부이며, 상기 권회부로부터 떨어진 상기 제1 와이어 및 상기 제2 와이어의 단부가 인출되는 측인 권심 제1 단부보다, 상기 권축 방향에 관한 다른 쪽의 단부인 권심 제2 단부의 가까이에 배치되는, 코일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의 상기 최종 턴 및 상기 제2 와이어의 상기 최종 턴은, 상기 제1 부분에 포함되는, 코일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권회부는, 상기 제1 부분에 포함되는 상기 제1 와이어의 제1의 턴보다 뒤에 감겨져 있고, 상기 제1 와이어의 상기 제1의 턴이 포함되는 제1의 층보다 상기 권심부에 가까운 제2의 층에 감겨져 있는 상기 제1 와이어의 제2의 턴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권회부는, 상기 제1 와이어의 상기 제1의 턴과 동일 턴인 상기 제2 와이어의 제1의 턴보다 뒤에 감겨져 있고, 상기 제1 와이어의 상기 제2의 턴과 동일 턴이며 상기 제2의 층에 감겨져 있는 상기 제2 와이어의 제2의 턴을 가지는, 코일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 및 상기 제2 와이어의 상기 제1의 턴은, 상기 제1 와이어 및 상기 제2 와이어의 상기 제2의 턴보다, 상기 권심부의 권축 방향에 관해서 중심측에 위치하는, 코일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 중 상기 권심부로부터의 거리가 가장 큰 제3의 턴 및 상기 제2 와이어 중 상기 권심부로부터의 거리가 가장 큰 제4의 턴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권심부에 있어서의 권축 방향의 중심 위치를 통과하여 권축 방향에 직교하는 선과 교차하는, 코일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권심부는, 상기 권심부의 권축 방향에 관해서 중앙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권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중앙 외주면과, 상기 중앙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권심부의 상기 권축 방향의 한 쪽의 단부인 권심 제1 단부까지, 및 상기 중앙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권심부의 상기 권축 방향의 다른 쪽의 단부인 권심 제2 단부까지 연장되는 단부 만곡면을 가지며,
    상기 단부 만곡면은, 상기 제1 와이어 및 상기 제2 와이어에 있어서의 와이어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의 곡률보다 작은 곡률을 가지는, 코일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상기 권심부의 권축 방향의 한 쪽의 단부인 권심 제1 단부에 접속하는 제1 플랜지부와, 상기 권심부의 상기 권축 방향의 다른 쪽의 단부인 권심 제2 단부에 접속하는 제2 플랜지부를 가지는, 코일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에 있어서, 동일 턴의 상기 제1 와이어와 상기 제2 와이어 중 외측의 층에 감겨져 있는 한 쪽의 와이어는, 상기 제1 플랜지부 및 상기 제2 플랜지부로부터 이격하고 있고, 동일 턴의 상기 제1 와이어와 상기 제2 와이어 중 상기 외측의 층보다 상기 권심부에 가까운 내측의 층에 감겨져 있는 다른 쪽의 와이어는, 상기 제1 플랜지부 또는 상기 제2 플랜지부에 접촉하는, 코일 장치.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부에는, 서로 절연되어 있는 제1 전극부, 제2 전극부, 제3 전극부 및 제4 전극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와이어가 접속되는 상기 제1 전극부 및 상기 제3 전극부는, 상기 제1 플랜지부의 1개의 대각선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와이어가 접속되는 상기 제2 전극부 및 상기 제4 전극부는, 상기 제1 플랜지부의 다른 1개의 대각선 상에 배치되어 있는, 코일 장치.
KR1020210037143A 2020-03-24 2021-03-23 코일 장치 KR1024806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52784 2020-03-24
JP2020052784A JP2021153110A (ja) 2020-03-24 2020-03-24 コイル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9326A true KR20210119326A (ko) 2021-10-05
KR102480687B1 KR102480687B1 (ko) 2022-12-23

Family

ID=77809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7143A KR102480687B1 (ko) 2020-03-24 2021-03-23 코일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1153110A (ko)
KR (1) KR102480687B1 (ko)
CN (1) CN113451015B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4018A (ja) 2002-04-30 2003-11-14 Tokyo Parts Ind Co Ltd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JP2006032818A (ja) * 2004-07-21 2006-02-02 Sumida Corporation コイル装置および巻線方法
JP2011129776A (ja) * 2009-12-18 2011-06-30 Tdk Corp トランス
KR20120138713A (ko) * 2012-06-25 2012-12-26 삼성전기주식회사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008655A (ko) * 2011-06-14 2013-01-22 삼성전기주식회사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5738A (ja) * 1994-08-12 1996-02-27 Murata Mfg Co Ltd トランス
JPH1174133A (ja) * 1997-08-29 1999-03-16 Toshiba Corp 静止誘導機器の巻線
JP4673499B2 (ja) * 2001-05-01 2011-04-20 コーア株式会社 チップ型コイル
JP2005039446A (ja) * 2003-07-18 2005-02-10 Toko Inc バルントランス
JP4148115B2 (ja) * 2003-12-02 2008-09-1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イル巻線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コイル部品
JP4421436B2 (ja) * 2004-09-30 2010-02-24 太陽誘電株式会社 面実装コイル部品
JP4513586B2 (ja) * 2005-01-31 2010-07-28 Tdk株式会社 コイル部品
JP5585934B2 (ja) * 2010-06-01 2014-09-10 Tdk株式会社 コイル部品及びコイル部品の製造方法
JP2011223025A (ja) * 2011-07-04 2011-11-04 Kyocera Corp セラミックコア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チップ状電子部品
US10340074B2 (en) * 2016-12-02 2019-07-02 Cyntec Co., Ltd. Transformer
JP6794844B2 (ja) * 2017-01-23 2020-12-02 Tdk株式会社 コモンモードフィルタ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4018A (ja) 2002-04-30 2003-11-14 Tokyo Parts Ind Co Ltd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JP2006032818A (ja) * 2004-07-21 2006-02-02 Sumida Corporation コイル装置および巻線方法
JP2011129776A (ja) * 2009-12-18 2011-06-30 Tdk Corp トランス
KR20130008655A (ko) * 2011-06-14 2013-01-22 삼성전기주식회사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138713A (ko) * 2012-06-25 2012-12-26 삼성전기주식회사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451015B (zh) 2024-09-24
US20210304943A1 (en) 2021-09-30
JP2021153110A (ja) 2021-09-30
CN113451015A (zh) 2021-09-28
KR102480687B1 (ko) 2022-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4568B2 (en) Common mode filter
JP4796560B2 (ja) 巻線型コイル部品
JP6601383B2 (ja) インダクタ部品
JP6569653B2 (ja) 巻線型コイル部品
JP2017143118A (ja) コイル部品
US11929201B2 (en) Surface mount indu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21193755A (ja) コイル部品
JP6965858B2 (ja) 表面実装インダ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1462350B2 (en) Coil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10223818B (zh) 共模扼流线圈
JP4451242B2 (ja)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JP2022002330A (ja) コイル部品
JP2020107861A (ja) コイル部品の製造方法
US9859048B2 (en) Coil component
JP7288297B2 (ja) コイル部品及び電子機器
KR20210119326A (ko) 코일 장치
JP7135923B2 (ja) インダクタ部品
US12119154B2 (en) Coil device
US20210280355A1 (en) Coil device
WO2017115603A1 (ja) 表面実装インダ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123630B1 (ko) 공통모드 필터 및 제작 방법
JP6813068B2 (ja) インダクタ部品
US20220319754A1 (en) Coil component
JP7230682B2 (ja) インダクタ部品
JP2022149637A (ja) コイル部品及びコイル部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