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8984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8984A
KR20210118984A KR1020217030534A KR20217030534A KR20210118984A KR 20210118984 A KR20210118984 A KR 20210118984A KR 1020217030534 A KR1020217030534 A KR 1020217030534A KR 20217030534 A KR20217030534 A KR 20217030534A KR 20210118984 A KR20210118984 A KR 202101189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heet
core cover
core
liquid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0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0789B1 (ko
Inventor
도시후미 오츠보
노리히로 도키타
요시히사 와타베
다츠야 다무라
유키 노다
노부유키 가토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8125328A external-priority patent/JP683801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8125326A external-priority patent/JP683913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8125325A external-priority patent/JP683801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8125327A external-priority patent/JP6838014B2/ja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18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8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0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0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2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0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 A61F13/51108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the top sheet having corrugations or embossments having one axis relatively longer than the other axis, e.g. forming channels or groove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6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being formed of multipl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 A61F13/5139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creating a visual effect, e.g. having a printed or coloured topsheet, printed or coloured sub-layer but being visible from the topsheet, other than embossing for purposes of bonding, wicking, acquisition, leakage-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01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96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having visual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13/537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sed by the performance of the layer, e.g. acquisition rate, distribution time, transfer ti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specific fibre orientation or wea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13/8405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0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organ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6Deodorants or malodour counteractants, e.g. to inhibit the formation of ammoni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2013/5100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with special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2013/5100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with special fibres
    • A61F2013/5101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with special fibres being cellulos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 A61F2013/51355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for improving fluid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01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61F2013/51441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being a fibrous material
    • A61F2013/5145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being a fibrous material being treat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1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being made in fibre but being not pulp
    • A61F2013/53034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being made in fibre but being not pulp being natural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2013/5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being a tissue-wrapped co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2013/5376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zed by its geometry
    • A61F2013/5377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zed by its geometry with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13/8405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 A61F2013/8408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with odour contro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ermatolog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흡수성 물품에 사용하는 화학 물질을 가급적 감소시킬 수 있고, 제3자가 배설을 착각할 우려가 없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한다.
흡수성 물품인 일회용기저귀(101)는, 피부 대향면 측에 위치하는 투액성의 표면 시트(131)와, 피부 비대향면 측에 위치하는 불투액성의 이면 시트와,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132)의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체(120)를 포함한다. 흡수체(120)는, 흡액성 코어(121)와, 흡액성 코어(121)를 피복하는 코어 커버 시트(122)를 포함한다. 코어 커버 시트(122)는, 흡액성 코어(121)의 피부 대향면 측의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며, 제1 펄프 섬유를 포함하는 제1 코어 커버 시트(122a)와, 흡액성 코어(121)의 피부 비대향면 측의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며, 제2 펄프 섬유를 포함하는 제2 코어 커버 시트(122b)를 갖는다. 제2 펄프 섬유의 카파 값이 제1 펄프 섬유의 카파 값보다도 작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BSORBENT ARTICLE}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며, 보다 자세하게는 경실금 패드, 팬티라이너, 생리용 냅킨, 질분비물 흡수용 패드, 뇨흡수 패드, 성인용 및 유아용의 일회용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 티슈 등의 종이를 표백하지 않고서 사용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티슈 페이퍼 등을 표백하지 않고서 사용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표 2011-505505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 2016-120192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공개 소56-53745호 공보
(제1 발명의 과제)
그런데, 최근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에 관해서 사용자 또는 간병인의 건강에 대한 의식이 높아지고, 보다 안전한 물건을 사용하려는 지향, 유기 등의 천연 소재를 사용하려는 지향이 고조되어, 이들 지향을 만족하는 흡수성 물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그래서, 기저귀에 있어서, 흡액성 코어를 피복하는 코어 커버 시트에, 표백을 하지 않는 티슈를 이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기저귀에 표백을 하지 않는 티슈를 이용하면, 이 티슈가 옅은 다색(茶色)이어서 뇨의 색과 비슷하기 때문에, 간병 등을 행하는 제3자가 배뇨를 알아차리기 힘들 우려가 있고, 배뇨를 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배뇨를 했다고 생각하여 기저귀를 교환해 버릴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원의 제1 발명은, 흡수성 물품에 사용하는 화학 물질을 가급적 감소시킬 수 있어, 제3자가 배설을 착각할 우려가 없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제2 발명의 과제)
종래, 흡수성 코어와 비(非)피부 측 시트의 사이에 유색의 소취 시트를 배치해 놓은 일회용 생리용 냅킨이 공지되어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2에는, 입자상의 활성탄을 소취제로서 이용한 소취제 함유 시트와, 이 시트의 표리면을 피복하는 2장의 피복 시트로 소취 시트를 형성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발명에서는, 소취 시트가, 흡수성 코어와 비피부 측 시트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피부 대향면에서 냅킨을 봤을 때, 소취 시트의 색을 거의 시인할 수 없어, 소취 시트의 색을 유효하게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최근 생리용 냅킨 등의 흡수성 물품에 대하여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그래서 본원의 제2 발명은, 흡수성 물품에 사용하는 화학 물질을 가급적 감소시킬 수 있고, 사용하고 있는 색을 유효하게 활용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제3 및 제4 발명의 과제)
종래, 투액성의 표면 시트와, 불투액성의 이면 시트와, 표리면 시트 사이에 개재된 흡수체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은 공지되어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3에는, 탈리그닌 처리가 되어 있지 않은 목재 펄프 섬유를 포함하는 흡수체를 갖춘 흡수성 물품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 개시된 흡수성 물품에서는, 흡수체에 포함되는 목재 펄프 섬유가 탈리그닌 처리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목재 펄프 섬유는 천연 목재 유래의 내츄럴한 색조를 가져, 흡수체가 표면 시트를 통해 투시되었을 때에, 착용자 등에 대하여, 천연 재료를 사용한 내츄럴 지향이 높은 제품이라는 인상을 줄 수 있다.
그러나, 목재 또는 비목재 펄프에 주로 포함되는,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리그닌의 각 성분 중, 셀룰로오스 성분이 고도의 친수성인 데 대하여, 리그닌은 친수성이 낮아 소수성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따라서, 탈리그닌 처리되어 있지 않은 펄프 섬유는 소수성이 높아, 흡수체 전체에 상기 펄프 섬유가 분포되어 있는 경우에는, 체액을 흡수체의 표면에서 내부로 끌어들여 흡수, 유지할 수 없다.
제3 및 제4 발명은 종래 발명의 개량이며, 목재 본래의 내츄럴한 색조를 가짐과 더불어, 체액을 충분히 흡수, 유지할 수 있는 흡수체를 갖춘 흡수성 물품의 제공을 과제로 한다.
(제1 발명의 해결 수단)
제1 발명은, 피부 대향면 측에 위치하는 투액성의 표면 시트와, 피부 비대향면 측에 위치하는 불투액성의 이면 시트와,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의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체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제1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은, 흡수체가, 흡액성 코어와 흡액성 코어를 피복하는 코어 커버 시트를 포함하고, 코어 커버 시트는, 흡액성 코어의 피부 대향면 측의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며, 제1 펄프 섬유를 포함하는 제1 코어 커버 시트와, 흡액성 코어의 피부 비대향면 측의 적어도 일부를 피복하며, 제2 펄프 섬유를 포함하는 제2 코어 커버 시트를 가지고, 제2 펄프 섬유의 카파 값이 제1 펄프 섬유의 카파 값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제1 펄프 섬유의 카파 값이 8∼40이고, 제2 펄프 섬유의 카파 값과 제1 펄프 섬유의 카파 값의 차가 2.4 이상이다. 이 때문에, 제1 코어 커버 시트의 제1 펄프 섬유는 비교적 리그닌 성분이 많기 때문에, 화학 물질을 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제2 펄프 섬유의 카파 값과 제1 펄프 섬유의 카파 값의 차가 7.2 이상이다. 이 때문에, 흡수체의 피부 대향면을, 목재 유래의 색조로 할 수 있어, 천연 소재를 사용한 내츄럴 지향이 높은 물품이라는 인상을 줄 수 있다.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제1 코어 커버 시트는, 흡액성 코어의 피부 비대향면과 제2 코어 커버 시트의 사이에 위치하는 양 옆가장자리부를 갖는다. 이 때문에, 피부 대향면으로부터 시인할 수 있는 제1 코어 커버 시트의 면적을 가급적 감소시켜 백색의 면적을 넓힐 수 있어, 사용자에게 청결성 있는 물품이라는 인상을 줄 수 있다.
흡수성 물품은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을 가지고, 양 옆가장자리부의 상기 가로 방향의 치수의 합계는 흡액성 코어의 상기 가로 방향의 치수의 1/3보다도 작다. 이 때문에, 피부 비대향면으로부터 제2 코어 커버 시트를 시인할 수 있어, 배뇨의 유무를 착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흡액성 코어의 양 옆가장자리의 가로 방향의 외측에, 제1 코어 커버 시트가 두께 방향에서 겹쳐 있다. 이 때문에, 흡액성 코어의 양 옆가장자리의 다색을 짙게 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흡액성 코어의 위치를 인식시킬 수 있다.
흡수성 물품은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을 가지며, 제1 코어 커버 시트의 양 옆가장자리 및 제2 코어 커버 시트의 양 옆가장자리는 흡액성 코어의 양 옆가장자리보다도 가로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오고, 흡액성 코어의 양 옆가장자리의 가로 방향 외측에 있어서, 제1 코어 커버 시트와 제2 코어 커버 시트가 접합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피부 대향면 측에서 본 제1 코어 커버 시트의 시인 가능한 면적을 가급적 넓혀, 목재 유래의 색조를 갖는 부분을 크게 할 수 있어, 천연 소재를 사용한 내츄럴 지향이 높은 물품이라는 인상을 줄 수 있다.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제1 코어 커버 시트와 제2 코어 커버 시트의 접합부의 길이 치수가 50 mm 이하이다. 이 때문에,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합제의 사용을 가급적 감소시켜, 자재가 낭비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배설물의 유무를 이면 시트의 외측에서 식별할 수 있는 인디케이터가 흡액성 코어의 피부 비대향면 측에 위치하고, 인디케이터와 제2 코어 커버 시트가 두께 방향에서 겹쳐 있다. 인디케이터 주위의 제2 코어 커버 시트가 백색이기 때문에, 배뇨의 유무를 착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흡수성 물품은, 표면 시트와 제1 코어 커버 시트의 사이에 별도 부재가 위치한다. 이 때문에, 제1 코어 커버 시트에 의해서, 사용자에게 별도 부재의 위치를 파악하게 할 수 있다.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표면 시트는, 세로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가로 방향에 있어서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볼록부와 오목부를 가지고, 오목부가 흡수체에 접촉하고 있는 한편, 볼록부가 흡수체로부터 떨어져 있다. 이 때문에, 볼록부에서는 제1 코어 커버 시트의 다색을 옅게 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청결성 있는 물품이라는 인상을 줄 수 있다.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흡액성 코어는, 세로 방향 중앙에 있어서, 흡액성 코어의 상기 가로 방향의 치수가 작은 협폭 영역을 가지고, 이면 시트에 있어서의 협폭 영역과 겹치는 부위가 착색부를 갖는다. 이 때문에, 협폭 영역 외측에 있어서의 제1 코어 커버 시트가 피부 비대향면 측으로부터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청결성 있는 물품이라는 인상을 줄 수 있다.
(제2 발명의 해결 수단)
제2 발명은, 피부 대향면 측에 위치하는 투액성의 표면 시트와, 피부 비대향면 측에 위치하는 불투액성의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의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체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는, 흡액성 코어와, 상기 흡액성 코어의 적어도 상기 피부 대향면 측을 피복하는 코어 커버 시트를 가짐과 더불어, 상기 흡수체를 구성하는 자재가 리그닌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표면 시트를 통해 상기 흡수체를 봤을 때, Lab 표색계에 있어서의 L치, a치 및 b치가 0.5≤상기 a치≤10.0, 7≤상기 b치≤15, 70≤상기 L치≤90의 어느 조건이나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를 통해 상기 흡액성 코어에 표준 경혈을 적하했을 때, 상기 피부 대향면 측에서 본 경혈 흡수 영역과 경혈 비흡수 영역에 있어서, Lab 표색계에 있어서의 상기 a치의 차가 50 이하이고, 상기 b치의 차가 20 이하이다. 이 때문에, a치 및 b치에 있어서의 양자의 차를 작게 하여, 사용 후의 흡수성 물품을 사용자 또는 간병인이 봤을 때의 혐오감을 억제할 수 있다.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코어 커버 시트는, 상기 흡액성 코어의 적어도 상기 피부 대향면 측을 피복하는 제1 피복부를 가지며, 상기 제1 피복부와 상기 표면 시트가 접착제를 통해 서로 접합되고, 상기 코어 커버 시트의 리그닌 성분의 함유율이 상기 흡액성 코어의 리그닌 성분의 함유율보다도 높고,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에서부터 상기 흡액성 코어의 일부까지 연속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오목형부를 갖는다. 이 때문에, 경혈 및 뇨 등의 배설물을 오목형부에 체류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표면 시트 및 코어 커버 시트를 통해 간접적으로 경혈에 접하는 흡액성 코어의 표면적을 크게 할 수 있어, 표리면 시트를 통해 흡액성 코어에 빠르게 배설물을 흡수, 유지할 수 있다.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오목형부는 바닥이 있으며, 상기 표면 시트, 상기 코어 커버 시트 및 상기 흡액성 코어의 일부가 압축되고, 상기 오목형부의 바닥부는 상기 오목형부의 주변 영역과 비교하여 밀도가 높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오목형부에 고인 배설물을 빠르게 흡액성 코어로 끌어들여, 배설물을 흡수, 유지할 수 있다.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오목형부는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흡수체를 상기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다. 이 때문에, 오목형부의 바닥부에는 불투액성의 이면 시트가 위치하므로, 오목형부에 고인 배설물이 흡수체의 피부 비대향면 측으로 새어나오는 일이 없고, 오목형부의 둘레면부로부터 흡액성 코어에 배설물을 흡수·유지할 수 있다.
(제3 발명의 해결 수단)
제3 발명은, 피부 대향면 측에 위치하는 투액성의 표면 시트와, 피부 비대향면 측에 위치하는 불투액성의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의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체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제3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은, 상기 흡수체는, 흡액성 코어와 상기 흡액성 코어의 적어도 상기 피부 대향면 측을 피복하는 코어 커버 시트를 가지고, 상기 코어 커버 시트는, 상기 흡액성 코어의 상기 피부 대향면 측을 피복하는 제1 피복부에 있어서, 리그닌 성분의 함유율이 주변 영역보다도 높고, 평면에서 봤을 때 산재하여 위치하는 복수의 고(高)리그닌 영역을 가지고, 상기 코어 커버 시트의 리그닌 성분의 함유율이 상기 흡액성 코어의 리그닌 성분의 함유율보다도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은 이하의 실시양태를 포함한다.
(1) 상기 코어 커버 시트의 리그닌 성분의 함유율이 0.2∼10%이다.
(2) 상기 코어 커버 시트의 크레이프 비율이 7∼20%이며, 포메이션 지수가 50-300이다.
(3) 상기 코어 커버 시트는 목재 또는 비목재의 펄프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흡액성 코어는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포함한다.
(4) 상기 흡액성 코어가 악취 흡착 성능을 갖는 입자를 포함한다.
(5) 상기 흡수체는, 상기 피부 대향면 측에서 상기 피부 비대향면 측으로 향하여 오목하게 되는 복수의 오목형부를 갖는다.
(6) 상기 코어 커버 시트는, 상기 흡액성 코어의 상기 피부 비대향면 측을 피복하는 제2 피복부를 더 가지고, 상기 제2 피복부에 복수의 상기 고리그닌 영역이 위치한다.
(7) 상기 표면 시트는 코튼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 커버 시트의 클렘 흡수도가 상기 표면 시트의 클렘 흡수도보다도 높다.
(8) 상기 표면 시트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에 비해서 섬유 밀도가 빽빽한 제2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고리그닌 영역과 접합되고,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저(低)리그닌 영역과 접합된다.
(9) 상기 표면 시트는 복층 구조를 가지며, 피부 대향면 측에 위치하는 층이 주로 코튼 섬유로 구성되어 있다.
(10) 상기 표면 시트의 클렘 흡수도가 상기 코어 커버 시트의 클렘 흡수도보다도 낮다.
(제4 발명의 해결 수단)
제4 발명은, 피부 대향면 측에 위치하는 투액성의 표면 시트와, 피부 비대향면 측에 위치하는 불투액성의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의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체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제4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은, 흡수체는 흡액성 코어와 상기 흡액성 코어의 적어도 상기 피부 대향면 측을 피복하는 코어 커버 시트를 가지고, 상기 코어 커버 시트는 상기 흡액성 코어의 상기 피부 대향면 측을 피복하는 제1 피복부를 가지며, 상기 제1 피복부와 상기 표면 시트가 접착제를 통해 서로 접합되어 있고, 상기 코어 커버 시트의 리그닌 성분의 함유율이 상기 흡액성 코어의 리그닌 성분의 함유율보다도 높고,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표면 시트에서부터 상기 흡액성 코어의 일부까지 연속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오목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은 이하의 실시양태를 포함한다.
(1) 상기 코어 커버 시트는, 상기 흡액성 코어의 상기 피부 비대향면 측을 피복하는 제2 피복부를 더 가지고, 상기 제2 피복부와 상기 이면 시트가 접착제를 통해 서로 접합된다.
(2) 상기 오목형부는 바닥을 가지며, 상기 표면 시트, 상기 코어 커버 시트및 상기 흡액성 코어의 일부가 압축되어 있고, 상기 오목형부가 위치하는 박육 부분은 상기 오목형부가 위치하지 않은 후육 부분과 비교하여 밀도가 높게 되어 있다.
(3) 상기 오목형부는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흡수체를 상기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개구이다.
(4) 상기 접착제는 SIS계의 핫멜트 접착제이다.
(5) 상기 코어 커버 시트는, 리그닌 성분의 함유율이 주변 영역보다도 높으며, 평면에서 봤을 때 산재하여 위치하는 복수의 고리그닌 영역을 갖는다.
(6) 상기 코어 커버 시트의 크레이프 비율이 7∼20%이고, 포메이션 지수가 50-300이다.
(7) 상기 표면 시트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에 비해서 섬유 밀도가 빽빽한 제2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고리그닌 영역과 접합되고,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주변 영역과 접합된다.
(8) 상기 표면 시트는 복층 구조를 가지며, 피부 대향면 측에 위치하는 층이 주로 코튼 섬유로 구성되어 있다.
(10) 상기 표면 시트의 클렘 흡수도가 상기 코어 커버 시트의 클렘 흡수도보다도 낮다.
제1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제2 코어 커버 시트(122b)의 제2 펄프 섬유의 카파 값이 제1 코어 커버 시트의 펄프 섬유의 카파 값보다도 작고, 제1 코어 커버 시트는 미표백 펄프 섬유를 많이 포함한다. 따라서, 미표백 펄프 섬유는 화학 물질의 사용이 적기 때문에, 화학 물질의 사용을 감소시킨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더구나, 피부 비대향면 측에 위치하는 제2 코어 커버 시트는, 카파 값이 작은 백색이기 때문에, 배설의 유무를 착각할 우려를 줄일 수 있다.
제2 발명에 따른 일회용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흡수체가, 흡액성 코어와 흡액성 코어의 적어도 피부 대향면 측을 피복하는 코어 커버 시트를 가짐과 더불어, 흡수체를 구성하는 자재가 리그닌 성분을 포함한다. 이 때문에, 흡수체에 미표백 펄프 섬유를 사용하여, 화학 물질의 사용을 감소시킨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더구나, 표면 시트를 통해 흡수체를 봤을 때, Lab 표색계에 있어서의 L치, a치 및 b치가 0.5≤a치≤50.0, 7≤b치≤15, 70≤L치≤90의 어느 조건이나 만족한다. 구성하는 자재가 리그닌 성분을 포함하면, 이 리그닌 성분에 의해서 흡수체의 색이 옅은 다색으로 된다. 옅은 다색을 한 흡수체를 갖는 흡수성 물품에, 경혈 또는 뇨 등의 배설물이 배설되어, 흡수체가 배설물을 흡수·유지했을 때, 경혈의 적색 또는 뇨의 황색이 억제된다. 그 때문에, 사용 후의 흡수성 물품을 사용자 또는 간병인이 봤을 때의 혐오감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흡수체에 사용하고 있는 색을 유효하게 활용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제3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체가 목재 유래의 색조를 가짐으로써 내츄럴한 재료를 사용한 피부에 순한 제품이라는 인상을 줄 수 있음과 더불어, 흡수체는 적절한 표면 시트와의 접착성과 흡액성을 실현할 수 있다.
제4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코어 커버 시트가 리그닌 성분을 비교적 많이 포함하므로, 목재 등의 천연 재료 유래의 내츄럴한 색조를 가짐과 더불어, 두께 방향에 있어서 표면 시트에서부터 흡액성 코어의 일부까지 연속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오목형부를 가지므로, 체액을 빠르게 흡수, 유지할 수 있다.
도면은 제1∼제4 발명의 특정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발명의 불가결한 구성뿐만 아니라, 선택적 및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포함한다.
도 1은 제1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일례로서 도시하는 일회용 기저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사이드시임부를 박리하여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펼친 상태의 기저귀를 피부 대향면에서 본 일부 파단 전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선 단면도이다.
도 4는 흡수체의 평면도이다.
도 5의 (a)는 도 4의 V(a)선으로 둘러싼 영역의 일부 확대도, (b)는 도 4의 V(b)선으로 둘러싼 영역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6은 제1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기저귀의 도 2와 같은 식의 일부 파단 전개 평면도이다.
도 7은 표면 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VIII-VIII선 단면도이다.
도 9는 제3 실시형태의 기저귀의 도 2와 같은 식의 일부 파단 전개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X-X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2 실시형태의 기저귀의 도 2와 같은 식의 일부 파단 전개 평면도이다.
도 12는 제1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일례로서 도시하는 생리용 냅킨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제2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일례로서 도시하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을 표면 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4는 흡수체를 이면 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XV-XV선 단면도이다.
도 16은 흡수체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XVII선으로 둘러싼 영역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18은 도 15의 1점쇄선 XVIII-XVIII선으로 둘러싼 영역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19는 제2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의 평면도이다.
도 20의 (a)는 도 19의 XX(a)-XX(a)선 단면도. (b)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체의 변형예의 일례에 있어서의, 도 20(a)과 같은 식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제2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22는 제3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일례로서 도시하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을 표면 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3은 흡수체를 이면 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4는 도 22의 XXIV-XXIV선 단면도이다.
도 25는 흡수체의 평면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XXVI선으로 둘러싼 영역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27은 도 24의 1점쇄선 XXVII-XXVII선으로 둘러싼 영역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28은 제3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의 평면도이다.
도 29의 (a)는 도 28의 XXIX(a)-XXIX(a)의 단면도, (b)는 제3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체의 변형예의 일례에 있어서의, 도 29(a)와 같은 식의 단면도이다.
도 30은 제3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31은 제4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생리용 냅킨을 표면 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32는 생리용 냅킨을 이면 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33은 흡수체의 평면도이다.
도 34는 도 33의 XXXIV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5는 흡수체의 변형예의 일례에 있어서의 도 34와 같은 식의 단면도이다.
도 36은 제4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의 흡수체의 평면도이다.
도 37은 도 36의 XXXVII선으로 둘러싼 영역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38은 제4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의 도 34와 같은 식의 단면도이다.
도 39는 제4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제1 발명>
하기 실시형태는 첨부 도면에 도시하는 일회용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며, 발명의 불가결한 구성뿐만 아니라, 선택적 및 바람직한 구성을 포함한다.
<제1 발명의 제1 실시형태>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일례인 일회용 기저귀(101)를 설명한다. 일회용 기저귀(101)는 서로 교차(직교)하는 가로 방향(X)과 세로 방향(Y)과 두께 방향(Z)을 갖는다.
도 1∼도 3을 참조하면, 일회용 기저귀(101)는, 그 폭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를 2등분하는 세로 중심선 및 그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를 2등분하는 가로 중심선을 가지고, 피부 대향면(내면) 및 그 반대쪽의 피부 비대향면과 허리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환상의 탄성 허리 패널(102)과, 탄성 허리 패널(102)의 피부 대향면 측에 부착된 흡수 샤시(103)와, 전방 허리 영역(104)과, 전방 허리 영역(105)과, 전후방 허리 영역(104, 105) 사이에 위치하는 크로치 영역(106)을 포함한다.
탄성 허리 패널(102)은, 허리 둘레 방향으로 신축하는 탄성 벨트 기능을 가지고, 전방 허리 영역(104)을 형성하는 전방 허리 패널(107)과 전방 허리 영역(105)을 형성하는 후방 허리 패널(108)을 포함한다.
전방 허리 패널(107)은, 내측 끝가장자리(107a)와, 외측 끝가장자리(107b)와, 외측 끝가장자리(107b)에서 세로 방향(Y) 안쪽으로 연장되는 제1 양 옆가장자리(전방 허리 영역의 양 옆가장자리)(107c, 107d)와, 제1 양 옆가장자리(107c, 107d)에서 세로 방향(Y) 안쪽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제2 양 옆가장자리(107e, 107f)에 의해 획정된 대략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다.
후방 허리 패널(108)은, 내측 끝가장자리(108a)와, 외측 끝가장자리(108b)와, 외측 끝가장자리(108b)에서 세로 방향(Y) 안쪽으로 연장되는 제1 양 옆가장자리(전방 허리 영역(105)의 양 옆가장자리)(108c, 108d)와, 제1 양 옆가장자리(108c, 108d)에서 세로 방향(Y) 안쪽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제2 양 옆가장자리(108e, 108f)에 의해서 획정된 대략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다.
서로 대향하는 전방 허리 패널(107)의 제1 양 옆가장자리(107c, 107d)와 후방 허리 패널(108)의 제1 양 옆가장자리(108c, 108d)는 서로 겹치며, 세로 방향(Y)으로 단속적으로 늘어선 사이드 시임(109)에 의해서 연결(예컨대 열엠보스 가공, 소닉 등에 의한 각종 열용착 수단에 의해서 연결)되어, 허리 개구(110)와 한 쌍의 다리 개구(111)가 획정된다.
전후방 허리 패널(107, 108)은, 각각 피부 대향면 측에 위치하는 내층 시트(내면 시트)(112, 113)와, 피부 비대향면 측에 위치하는 외층 시트(외면 시트)(114, 115)를 포함한다. 내외층 시트(112∼115)는 질량 10∼30 g/㎡의 SMS(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섬유 부직포, 스펀본드 섬유 부직포 혹은 에어스루 섬유 부직포, 또는 플라스틱 시트, 개공 플라스틱 시트 및 이들의 라미네이트 시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전후방 허리 패널(107, 108)의 내층 시트(112, 113)와 외층 시트(114, 115)의 사이에는, 스트링형 또는 스트랜드형의 여러 가닥의 전후방 허리 탄성체(탄성 부재)(116, 117)가 가로 방향(X)으로 신축 가능하게 각각 배치되어 있고, 전후방 허리 패널(107, 108)은 적어도 가로 방향(X)으로 탄성화되어 있다.
전후방 허리 탄성체(116, 117)는, 각각 흡수 샤시(103)와 겹치는 전후방 허리 영역(104, 105)의 중앙부에 있어서 그 일부가 절단 또는 제거되어 있으며, 전후방 비신축 영역(18, 19)이 획정된다. 이와 같이, 전후방 비신축 영역(18, 19)이 전후방 허리 영역(104, 105)의 중앙부에 위치하므로, 전후방 허리 패널(107, 108)의 내면에 위치하는 흡수 샤시(103)의 중앙부(흡액성 코어의 중앙부)에 전후방 허리 탄성체(116, 117)의 수축력이 직접 작용되어 개더 등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그 수축력이 작용함으로 인한 흡수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전후방 허리 탄성체(116, 117)로서는, 예컨대 섬도가 470∼1240 dtex이고, 1.5∼3.5배로 신장된 상태에서 배치된 스트링형 또는 스트랜드형의 탄성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전후방 허리 탄성체(116, 117)의 섬도, 신장 배율, 각 탄성체 사이의 이격 치수(피치) 등의 조건은 적절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방 허리 영역(104)의 내외층 시트(112, 114)와 전방 허리 영역(105)의 내외층 시트(113, 115)는, 이들의 내면에 핫멜트 접착제는 도포되어 있지 않으며, 사이드 시임(109)에 의한 접합 부분을 제외하고, 각각 전후방 허리 탄성체(116, 117)에 도포된 핫멜트 접착제를 통해서만 서로 접합된다. 핫멜트 접착제는, 전후방 허리 탄성체(116, 117)의 전체 둘레에 있어서, 내외층 시트(112∼115)와 대향하는 부분에 도포되어 있으면 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흡수 샤시(103)는, 피부 대향면 측에 위치하는 투액성의 표면 시트(131)와, 피부 비대향면 측에 위치하는 불투액성의 이면 시트(132)와, 이들 양 시트(131, 132)의 사이에 위치하며, 세로 방향(Y)에 있어서의 중앙부가 협폭 형상의 흡액성을 갖는 흡수체(120)를 포함한다. 표면 시트(131)와 흡수체(120)는, 핫멜트 접착제 등의 공지된 접합 수단에 의해서 서로 접합되어, 흡액층(130)이 형성된다. 또한, 흡수체(120)와 이면 시트(132)의 사이에서, 뇨 등의 배설물의 누설을 억제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통기성을 갖는 불투액성의 샘방지 시트(136)를 배치해 놓는다. 샘방지 시트(136)의 가로 방향(X)의 치수 및 세로 방향(Y)의 치수는, 흡액성 코어(121)의 가로 방향(X)의 치수 및 세로 방향(Y)의 치수보다도 크고, 흡액성 코어(121)의 피부 비대향면 전역을 샘방지 시트(136)로 피복하고 있다.
이면 시트(132)는, 흡수체(120)의 양 옆가장자리에서부터 가로 방향(X) 외측에 위치하는 양 측부(134)를 갖는다. 양 측부(134)는,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절곡 라인(135)을 따라 피부 대향면 측으로 접어 구부러지고, 표면 시트(131)에 고정되어 세로 방향(Y)으로 서로 격리하는 양단 고정부(133)와, 표면 시트(131)의 양 옆가장자리부에 고정되며, 가로 방향(X) 외측에 위치하는 근위(近位) 가장자리부(137)와, 양단 고정부(133)의 사이에서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며, 또한 근위 가장자리부(137)와 평행한 원위(遠位) 가장자리부(자유 가장자리부)(138)를 갖는다.
원위 가장자리부(138)는, 이면 시트(132)의 가로 방향(X) 외측의 가장자리부를 접어 구부려 고정함으로써 형성한 슬리브형을 이루고,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스트링형 또는 스트랜드형의 카프 탄성체(128)가 신장 상태에서 수축 가능한 양태로 이면 시트(132)에 고정되어 있다. 카프 탄성체(128)가 수축함으로써, 원위 가장자리부(138)가 표면 시트(131)로부터 떨어져, 착용자의 대퇴부에 원위 가장자리부(138)가 접촉하여 샘방지 카프를 형성하고, 샘방지 카프가 배설물의 누설을 방지한다. 이면 시트(132)의 양 측부(134)에 있어서, 카프 탄성체(128)의 가로 방향(X) 외측에는,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스트링형 또는 스트랜드형의 다리 탄성체(129)가 신장 상태에서 수축 가능한 양태로 이면 시트(132)에 고정되어 있다. 다리 탄성체(129)가 수축함으로써, 이면 시트(132)의 양 측부(134)가 착용자의 대퇴부에 접촉한다.
표면 시트(131)는, 투액성을 갖는 각종 섬유 부직포, 예컨대 질량 약 15∼45 g/㎡의 에어스루 섬유 부직포, 다공 플라스틱 필름, 이들의 라미네이트 시트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면 시트(132)는, 불투액성 및 투습성의 플라스틱 필름, 불투액성의 섬유 부직포, 이들의 라미네이트 시트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흡수체(120)는, 초흡수성 폴리머 입자(SAP)와 플러프 목재 펄프, 레이온 섬유 등의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혼합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부형(賦型)한 흡액성 코어(121)와, 그 보형성 및 액확산성의 향상을 위해서 흡액성 코어(121) 전체를 포피(包被)하는 투액성의 코어 커버 시트(122)를 갖는다.
흡액성 코어(121)는, 세로 방향(Y)의 양 단부에 위치하며 가로 방향(X)의 치수가 일정한 광폭 영역(121c)과, 세로 방향(Y)의 중앙에 위치하며 광폭 영역보다도 가로 방향(X)의 치수가 작은 협폭 영역(121d)을 갖고 있다. 기저귀(101) 착용 상태에 있어서, 협폭 영역(121d)이 다리의 크로치에 위치하여, 다리를 움직일 때에 강성이 큰 흡액성 코어(121)의 양 옆가장자리(121a, 121b)에 다리가 맞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이면 시트(132)는, 이 협폭 영역(121d)과 겹치는 부위에 착색부를 가져, 협폭 영역(121d) 외측에 있어서의 제1 코어 커버 시트(122a)가 피부 비대향면 측으로부터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청결성 있는 물품이라는 인상을 줄 수 있다.
코어 커버 시트는, 흡액성 코어(121)의 피부 대향면 측에 위치하며, 제1 펄프 섬유를 포함하는 제1 코어 커버 시트(122a)와, 흡액성 코어(121)의 피부 비대향면 측에 위치하며, 제2 펄프 섬유를 포함하는 제2 코어 커버 시트(122b)를 갖는다.
제1 및 제2 코어 커버 시트(122a, 122b)는, 가로 방향(X)의 치수가 흡액성 코어의 가로 방향(X)의 치수보다도 크고, 흡액성 코어(121) 전체를 포피하고 있다. 흡액성 코어(121)의 가로 방향(X) 외측에 있어서, 제1 및 제2 코어 커버 시트가 서로 접촉하도록 적층되고, 접촉한 부분에서 핫멜트 접착제 등의 공지된 접합 수단에 의해서 접합되어 있다.
제1 및 제2 코어 커버 시트(122a, 122b)는, 각종 공지된 섬유 부직포 또는 티슈로 형성되어 있으며, 주로 펄프 섬유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코어 커버 시트(122a)는, 탈리그닌 처리가 되어 있지 않은 미표백 펄프 섬유(제1 펄프 섬유)(142)를 많이 포함하고 있다. 제2 코어 커버 시트(122b)는, 탈리그닌 처리가 이루어진 표백 펄프 섬유(제2 펄프 섬유)(141)를 많이 포함하고 있다. 펄프 섬유는, 침엽수 또는 활엽수를 원료로 하여 얻어지는 목재 펄프 섬유 이외에, 린터, 마닐라삼, 양마, 짚, 대나무, 바나나를 원재료로 하는 비목재 펄프 섬유를 포함한다.
펄프 섬유는, 일반적으로 원료 칩 처리 공정을 거친 후에, 원료 칩에 약품을 가하여 고온·고압 하에서 펄펄 끓여 리그닌을 증해(蒸解)하는 증해 공정(탈리그닌 처리의 제1 단계), 펄프 중의 이물을 제거하는 스크린 공정, 증해 공정에서 잔존한 리그닌을 산소로 분해하는 산소 노출 공정(탈리그닌 처리의 제2 단계), 복수 종류의 약품을 사용하여 펄프를 표백하는 표백 공정을 거침으로써, 표백된 표백 펄프 섬유(141)로 된다. 미표백 펄프 섬유(142)는, 이들 각 공정 중, 예컨대 탈리그닌 처리의 제1 단계인 증해 공정과 스크린 공정만을 거친 것이며, 일정 정도의 탈리그닌 처리가 실시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표백 펄프 섬유(142)의 리그닌 함유율은 0.2∼10.0%이다.
미표백 펄프 섬유(142)와 표백 펄프 섬유(141)의 리그닌 함유율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서 측정했다.
<리그닌 함유율의 측정 방법>
ADF의 정량
시약: 산성 디터전트 용액<세틸트리메틸암모늄브로미드(헥사데실트리메틸암모늄브로미드) 10 g을 500 mL의 1 N 황산에 녹인 것>
아세톤
소포제로서 데카히드로나프탈렌(옵션)
<측정 수순>
샘플 300 g을 칭량하여, 50 mL 삼각플라스크에 넣고, 산성 디터전트 용액을 30 mL 가했다. 알루미늄 호일로 뚜껑을 덮고, 끓는 물 속에 삼각플라스크를 넣어, 60분간 분해했다. 분해 후, 유리 섬유 여과지(GA-200)를 깐 구치 도가니로 옮겨 흡인 여과하고, 잔사를 열수와 아세톤으로 세척했다. 바람에 말린 후, 열건조했다. 또한, 건조 후 항량(恒量)하고, 회분(灰分)을 뺀 것의 무게가 ADF이지만, 리그닌 정량 후의 회분을 이것에 이용할 수는 없다.
리그닌 정량
시약: 72% 황산
<측정 수순>
위에서 건조시킨 구치 도가니에 72% 황산을 몇 방울 늘어뜨려 전체를 적신 후, ADF량의 약 2배의 황산을 가하고, 1시간마다 황산을 적절하게 가하면서 3-4시간 방치했다. 그 후 흡인 여과하고, 열수로 노액(爐液)이 산성을 보이지 않게 될 때까지 세척했다. 바람에 말린 후, 열건조하여 항량한다. 구치 도가니를 550℃로 회화(灰化)하여, 회분을 구했다.
도 5의 (a), (b)를 참조하면, 제1 코어 커버 시트(122a)는, 비교적 리그닌 성분의 함유율이 낮은 저리그닌 영역(리그닌 저함유 영역)(151)과, 저리그닌 영역(151)보다도 리그닌 성분의 함유율이 높은 고리그닌 영역(리그닌 고함유 영역)(152)을 갖는다. 저리그닌 영역(151)은 주로 표백 펄프 섬유(141)가 집합하여 형성되어 있고, 고리그닌 영역(152)은 주로 미표백 펄프 섬유(142)가 집합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1 코어 커버 시트(122a)의 평면에서 봤을 때, 저리그닌 영역(151)은, 비교적 제1 코어 커버 시트(122a) 외표면의 넓은 범위에 위치하는 주변 영역인 데 대하여, 고리그닌 영역(152)은, 저리그닌 영역(151)에 대하여 산재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배치 양태를 가지므로, 제1 코어 커버 시트(122a)는, 저리그닌 영역(151)을 바다, 고리그닌 영역(152)을 섬으로 하는 해도(海島) 구조를 갖는다고도 말할 수 있다. 또한, 제2 코어 커버 시트(122b)는 예컨대 표백 펄프 섬유(141)에 의해서만 형성되어 있다.
제1 코어 커버 시트(122a)는, 미표백 펄프 섬유(142)를 많이 포함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목재 등의 식물 원료 유래의 옅은 다색을 갖는다. 제2 코어 커버 시트(122b)는, 미표백 펄프 섬유(142)를 포함하지 않고서 표백 펄프 섬유(141)만을 포함하기 때문에 백색을 갖는다. 또한, 제1 및 제2 코어 커버 시트(122a, 122b) 이외의 다른 시트(131, 132)는, 구성 섬유에 이산화티탄 등의 백색 안료를 이겨 넣음으로써 전체적으로 백색을 가지므로, 제1 코어 커버 시트(122a)는, 기저귀(101)의 내면에서 봤을 때, 다른 시트(131, 132)로부터 투과하여 용이하게 시인된다. 한편, 제2 코어 커버 시트(122b)는 전체적으로 백색을 갖기 때문에, 기저귀(101)의 외면에서 봤을 때, 다른 시트(131, 132)와 구별하여 시인하기는 어렵다.
제1 코어 커버 시트(122a)는, 그 초지(抄紙) 공정에 있어서, 표백 펄프 섬유(141)와 미표백 펄프 섬유(142)의 혼합물을 얽히게 하여 시트형으로 형성한 것으로, 저리그닌 영역(151)은 주로 표백 펄프 섬유(141), 고리그닌 영역(152)은 주로 미표백 펄프 섬유(142)가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양 영역(151, 152)의 경계는 불명료한 것이며,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1 코어 커버 시트(122a)의 외표면 전체에 있어서, 저리그닌 영역(151) 내에 고리그닌 영역(152)을 산재하게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각 펄프 섬유(141, 142)의 혼합 방법, 혼합률, 제조 시의 반송 컨베이어의 반송 속도, 컨베이어 상에 복수의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공기를 통해 펄프 섬유를 퇴적시킬 때의 노즐 직경, 분무 공기의 풍량, 풍속 등을 적절하게 조정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제반 조건을 조정함으로써 양 영역(151, 152)을 형성하는 것이므로, 저리그닌 영역(151)의 일부에 미표백 펄프 섬유(142), 고리그닌 영역(152)에 표백 펄프 섬유(141)가 각각 포함되는 경우도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저리그닌 영역(151)과 고리그닌 영역(152)은, 각각 표백 펄프 섬유(141), 미표백 펄프 섬유(142)만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고리그닌 영역(152)은, 제1 코어 커버 시트(122a)에 있어서의 주변 영역인 저리그닌 영역(151)보다도 리그닌 성분의 함유량이 높은 영역을 의미하므로, 표백 펄프 섬유(141)와 미표백 펄프 섬유(142)를 혼재한 시트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레이온 섬유나 합성 섬유를 포함하는 섬유 부직포 시트에 리그닌 성분 함유액을 산점적(散点的)으로 스며들게 함으로써, 주변 영역보다도 리그닌 성분의 함유량이 높은 고리그닌 영역(152)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코어 커버 시트(122a)는, 주로 미표백 펄프 섬유(142)를 포함하는 복수의 고리그닌 영역(152)을 가지므로, 표백 펄프 섬유(141)만을 포함하는 제2 코어 커버 시트(122b)와 비교하여, 표면에서 봤을 때, 식물 원료 유래의 옅은 다색(나무색)을 가져, 착용자 또는 착용 보조자에 대하여, 천연 재료를 사용한 피부에 순한 제품이라는 이미지를 줄 수 있다. 또한, 제1 코어 커버 시트(122a)가 옅은 다색을 가지므로, 배설된 뇨(배설물)이 표면 시트(131)를 투과하여, 흡수체(120)에 흡수, 유지되었을 때에, 뇨의 황색이 억제된다. 이에 따라, 뇨의 색을 직접적으로 시인함으로 인한 혐오감을 억제할 수 있다. 아울러, 리그닌 성분은 항균 작용을 가지므로, 사용 후의 잡균의 번식을 억제하여 위생적으로 폐기 처리할 수 있다.
표백 펄프 섬유(141) 및 미표백 펄프 섬유(142)는, 리그닌 함유율이 각각 다름에 따라 카파 값이 각각 다르다. 미표백 펄프 섬유(142)는 리그닌 함유율이 크기 때문에 카파 값이 큰 한편, 표백 펄프 섬유(141)는 리그닌 함유율이 작기 때문에 카파 값이 작다. 이 때문에, 양자를 비교하면, 표백 펄프 섬유(141)의 카파 값이 미표백 펄프 섬유(142)의 카파 값보다도 작다. 표백 펄프 섬유(141)의 카파 값은 1∼2이다. 미표백 펄프 섬유(142)의 카파 값은 8∼40이다. 여기서, 카파 값의 시험 방법은 JIS8211에 의한 것이다.
이 기저귀(101)에 의하면, 제2 코어 커버 시트(122b)의 표백 펄프 섬유(141)의 카파 값이 제1 코어 커버 시트(122a)의 미표백 펄프 섬유(142) 카파 값보다도 작고, 제1 코어 커버 시트(122a)는 미표백 펄프 섬유(142)를 많이 포함한다. 따라서, 미표백 펄프 섬유(142)는 화학 물질의 사용이 적기 때문에, 화학 물질의 사용을 감소시킨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더구나, 피부 비대향면 측에 위치하는 제2 코어 커버 시트(122b)의 펄프 섬유의 카파 값이 작고 백색이기 때문에, 배설의 유무를 착각할 우려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시트의 펄프 섬유의 카파 값 K에 관해서, 단위중량 당 미표백 펄프 섬유(142)의 카파 값 K1과 단위중량 당 표백 펄프 섬유(141)의 카파 값 K2를 구하여, 이들의 합(즉 K=K1+K2)을 시트의 펄프 섬유의 카파 값으로 하고 있다. 표 1의 최상란의 시트 a는, 미표백 펄프 섬유(142)의 비율이 0.0이고, 표백 펄프 섬유(141)의 비율이 1.0으로 시트를 형성하면(환언하면, 표백 펄프 섬유(141)만으로 시트를 형성하면), 그 시트의 펄프 섬유의 카파 값이 1.0임을 의미한다. 표 1의 최하란의 시트 k는, 미표백 펄프 섬유(142)의 비율이 25.0이고, 표백 펄프 섬유(141)의 비율이 0.0으로 시트를 형성하면(환언하면, 미표백 펄프 섬유(142)만으로 시트를 형성하면), 그 시트의 펄프 섬유의 카파 값이 25.0임을 의미한다. 표 1의 위에서부터 2번째 란의 시트 b는, 단위중량 당 미표백 펄프 섬유(142)의 카파 값 K1이 2.5이고, 단위중량 당 표백 펄프 섬유(141)의 카파 값이 0.9이기 때문에, 시트의 펄프 섬유의 카파 값이 3.4가 된다.
Figure pat00001
흡액성 코어와 제1 코어 커버 시트와 샘방지 시트와 이면 시트를 이 순서로 적층하여, 이면 시트 측에서 육안으로 봤을 때, 옅은 다색이 보이는지 여부의 평가 실험을 했다. 시트 d∼시트 k는, 피험자가 옅은 다색임을 시인할 수 있고, 시트 a∼시트 c는, 피험자가 백색임을 시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제1 코어 커버 시트(122a)의 펄프 섬유의 카파 값은 8.2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백 공정을 적절하게 바이패스함으로써, 미표백의 정도를 크게 하여, 펄프 섬유의 카파 값이 40.0의 시트이면, 위화감이 없는 다색의 시트로 되는 것이 분명하게 되었기 때문에, 카파 값은 40.0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백 펄프 섬유(141)만으로 형성한 코어 커버 시트(122)의 펄프 섬유의 카파 값은 1.0이다. 이 때문에, 제2 코어 커버 시트(122b)에, 표 1의 시트 a를 이용하며 또한 제1 코어 커버 시트(122a)에 시트 d를 이용하면, 시트 d의 펄프 섬유의 카파 값이 8.2이기 때문에, 양자의 차는 7.2이 된다. 또한, 제1 코어 커버 시트(122a)에 시트 d를 이용하면, 시트 d의 펄프 섬유의 카파 값이 8.2이고, 제2 코어 커버 시트(122b)에 시트 c를 이용하면, 시트 c의 펄프 섬유의 카파 값이 5.8이기 때문에, 양자의 차는 2.4가 된다. 이들 결과에 의해서, 제1 코어 커버 시트(122a)의 펄프 섬유의 카파 값이 8∼40이고, 제2 코어 커버 시트(122b)의 펄프 섬유의 카파 값과 제1 코어 커버 시트(122a)의 펄프 섬유의 카파 값의 차가 2.4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적합하게는, 제1 코어 커버 시트(122a)의 펄프 섬유의 카파 값이 8∼40이고, 제2 코어 커버 시트(122b)의 펄프 섬유의 카파 값과 제1 코어 커버 시트(122a)의 펄프 섬유의 카파 값의 차가 7.2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시트를 이용하는 이유로서는, 피부 비대향면 측에 위치하는 제2 코어 커버 시트(122b)에 백색의 시트를 사용하여, 사용자 및 간병인에게 청결감 있는 제품이라는 인상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적어도 시트 c, 보다 적합하게는 시트 a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부 대향면 측에 위치하는 제1 코어 커버 시트(122a)에 옅은 다색의 시트를 사용하여, 천연 소재를 사용한 내츄럴 지향이 높은 물품이라는 인상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적어도 시트 d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백 펄프 섬유(141)의 비율[%]과 미표백 펄프 섬유(142)의 비율[%]을 변화시켜 형성한 시트의 Lab 표색계에 있어서의 L치, a치, b치, ΔE치를 표 2에 나타낸다. 측정기 및 측정 방법은 후술하는 것과 동일하다.
Figure pat00002
또한, 표 2의 시트를 피험자에게 보게 하여, 그 시트가 옅은 다색인지 여부의 평가 실험을 했다. 그러자, 시트 D에서는 피험자의 대부분이 옅은 다색임을 인식할 수 있고, 시트 E에서는 대부분의 피험자가 옅은 다색임을 인식할 수 있었다.
이 때문에, 제1 코어 커버 시트(122a)를 피부 대향면 측에서 본 Lab 표색계에 있어서의 L치, a치 및 b치가,
82.81≤상기 L치≤92.53
-0.24≤상기 a치≤1.57
9.08≤상기 b치≤17.87
의 어느 조건이나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후술하는 실험 결과로부터, 제1 코어 커버 시트(122a)를 포함하는 흡수체를 피부 대향면 측에서 본 Lab 표색계에 있어서의 L치, a치 및 b치가,
70.00≤상기 L치≤90.00
0.50≤상기 a치≤10.00
7.00≤상기 b치≤15.00
의 어느 조건이나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1 코어 커버 시트(122a)의 양 옆가장자리(122c, 122d) 및 제2 코어 커버 시트의 양 옆가장자리부(122e, 122f)는, 흡액성 코어(121)의 양 옆가장자리(121a, 121b)보다도 가로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오고, 흡액성 코어(121)의 양 옆가장자리(121a, 121b)의 가로 방향(X) 외측에 있어서, 제1 코어 커버 시트(122a)와 제2 코어 커버 시트(122b)가 접합부(127)에서 접합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피부 대향면 측에서 본 제1 코어 커버 시트(122a)의 시인할 수 있는 면적을 가급적 넓혀, 목재 유래의 색조를 갖는 부분을 크게 할 수 있어, 천연 소재를 사용한 내츄럴 지향이 높은 물품이라는 인상을 줄 수 있다. 또한, 제1 코어 커버 시트(122a)의 가로 방향(X)의 치수보다도 제2 코어 커버 시트(122b)의 가로 방향(X)의 치수가 크고, 제1 코어 커버 시트(122a) 전역이 제2 코어 커버 시트(122b)로 덮이기 때문에, 피부 비대향면 측에서 기저귀(101)를 보면, 제1 코어 커버 시트(122a)의 옅은 다색을 시인하기 어려워, 제3자에게 청결감 있는 물품이라는 인상을 줄 수 있다.
또한, 접합부(127)의 길이 치수가 50 mm 이하이다. 이 때문에,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합제의 사용을 가급적 감소시켜, 자재가 낭비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발명의 제2 실시형태>
도 6은 제1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101)의 도 2와 같은 식의 전개 평면도이고, 도 7은 그 기저귀(101)의 흡수체(120)에 이용되는 표면 시트(131a)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의 VIII-VIII선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101)의 기본 구성은 제1 실시형태의 기저귀(101)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상이한 점에 관해서만 이하에 설명한다.
표면 시트(131a)는, 세로 방향(Y)으로 각각 연장되어 가로 방향(X)에 있어서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볼록부(161)와 오목부(162)를 가지고, 오목부(162)가 흡수체(120)에 접촉하고 있는 한편, 볼록부(161)가 흡수체(120)로부터 떨어져 있다. 이 때문에, 볼록부(161)에서는 제1 코어 커버 시트(122a)의 다색을 얇게 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청결성 있는 물품이라는 인상을 줄 수 있다.
또한, 제1 코어 커버 시트(122a)는, 흡액성 코어(121)의 피부 비대향면과 제2 코어 커버 시트(122b)의 사이에 위치하는 양 옆가장자리부(122c, 122d)를 갖는다. 이 때문에, 피부 대향면에서 시인할 수 있는 제1 코어 커버 시트(122a)의 면적을 가급적 감소시켜 백색의 면적을 넓힐 수 있어, 사용자에게 청결성 있는 물품이라는 인상을 줄 수 있다.
또한, 제1 코어 커버 시트(122a)의 양 옆가장자리부 중 한쪽의 옆가장자리부(122c)의 가로 방향(X)의 치수(W1)와 다른 쪽의 옆가장자리부(122d)의 가로 방향(X)의 치수(W2)의 합계(W3)는, 흡액성 코어(121)의 가로 방향(X)의 치수(W4)의 1/3보다도 작다. 이 때문에, 피부 비대향면으로부터 제2 코어 커버 시트(122b)를 시인할 수 있어, 배뇨의 유무를 착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지만, 흡액성 코어(121)의 양 옆가장자리(121a, 121b)의 가로 방향(X) 외측에 있어서, 제1 코어 커버 시트(122a)가 두께 방향(Z)으로 겹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흡액성 코어(121)의 양 옆가장자리(121a, 121b)의 다색을 짙게 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흡액성 코어(121)의 위치를 인식시킬 수 있다.
<제1 발명의 제3 실시형태>
도 9는 제1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101)의 도 2와 같은 식의 전개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X-X선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101)의 기본 구성은 제1 실시형태의 기저귀(101)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상이한 점에 관해서만 이하에 설명한다.
이 기저귀(101)는, 표면 시트(131)와 제1 코어 커버 시트(122a)의 사이에 별도 부재인 중간 시트(139)가 위치한다. 중간 시트(139)는, 표백 펄프 섬유로 구성되어 있거나, 혹은 구성 섬유에 이산화티탄 등의 안료를 이겨서 넣어, 백색이다. 이 때문에, 옅은 다색의 제1 코어 커버 시트(122a)에 의해서, 사용자에게 중간 시트(139)의 위치를 파악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기저귀(101)에는, 뇨 등의 배설물의 유무를 이면 시트의 외측에서 식별할 수 있는 인디케이터(171)가 흡액성 코어(121)의 피부 비대향면 측에 위치하고, 인디케이터(171)와 제2 코어 커버 시트(122b)가 두께 방향(Z)에서 겹쳐 있다. 인디케이터(171) 주위의 제2 코어 커버 시트(122b)가 백색이기 때문에, 배뇨의 유무를 착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기저귀 제조사의 인디케이터의 Lab 표색계에 있어서의 L치, a치, b치, ΔE치를 표 3에 나타낸다. 측정기 및 측정 방법은 후술하는 것과 동일하다.
Figure pat00003
표 3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각 사의 인디케이터의 b치는 15.85∼22.72이며 황색이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하는 인디케이터(171)도 이 범위에 포함된다. 이 기저귀(101)의 제2 코어 커버 시트(122b)는 백색이기 때문에, 인디케이터(171)의 위치를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다.
<제1 발명의 제4 실시형태>
도 11은 제1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101)의 도 2와 같은 식의 전개 평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저귀(101)의 기본 구성은 제1 실시형태의 기저귀(101)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상이한 점에 관해서만 이하에 설명한다.
이 기저귀(101)의 흡수체(120)에서는, 제1 코어 커버 시트(122a)와 제2 코어 커버 시트(122b)의 대향면 사이에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163)를 개재시켜 놓는다. 흡수체(120)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163)가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합제를 통해 시트(122a, 122b)에 고정되어 있는 제1 접합 영역(164)과, 제1 접합 영역(164)의 주위에 배치하며, 제1 코어 커버 시트(122a)와 제2 코어 커버 시트(122b)를 직접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합제를 통해 접합되어 있는 제2 접합 영역(165)을 갖고 있다. 제1 접합 영역(164)은 세로 방향(Y)으로 간격을 두고서 배치되어 있고, 복수의 제1 접합 영역(164)의 사이에는 제2 접합 영역(165)을 배치하고 있다. 또한, 흡액성 코어(121)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163)에 의해서만 형성되어 있다.
<제1 발명의 제5 실시형태>
도 12는 제1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사용의 일례를 도시하는 것이며, 본 실시예에 있어서, 흡수체(120)는 생리용 냅킨(흡수성 물품)(180)에 사용되고 있다.
생리용 냅킨(180)은, 피부 대향면(내면) 측 및 그 반대쪽의 피부 비대향면(외면) 측과, 볼록하게 구부러진 형상의 제1 및 제2 끝가장자리(180a, 180b)와, 가로 중심선(Q)이 위치하는 중앙부에 있어서 볼록하게 구부러진 제1 및 제2 옆가장자리(180c, 180d)와, 피부 대향면 측에 위치하는 투액성의 표면 시트(131)와, 피부 비대향면 측에 위치하는 신축성이면서 또한 불투액성인 이면 시트(132)와, 이들 양 시트(131, 132) 사이에 위치하는 흡액성의 흡수체(120)를 포함한다.
흡수체(120)는, 제1 끝가장자리(180a)와 대향하는 제1 끝가장자리(120a)와 제2 끝가장자리(180b)와 대향하는 제2 끝가장자리(120b)와, 제1 및 제2 끝가장자리(120a, 120b) 사이에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옆가장자리(120c, 120d)를 갖는다. 표리면 시트(181, 182)는, 흡수체(120)의 외주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나오고, 표면 시트(181)의 피부 대향면 측에는, 가로 방향(X)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도록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사이드 시트(184)가 배치된다. 한 쌍의 사이드 시트(184)는, 표면 시트(181)에 공지된 접착 수단 또는 용착 수단을 포함하는 사이드 접합부(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접합된다.
생리용 냅킨(180)의 세로 방향(Y)의 중앙 부분에는, 가로 방향(X) 외측으로 볼록하게 되는, 양 옆가장자리부(187)의 일부에 의해서 형성된 윙부(188)가 위치한다. 또한 서로 적층된 시트(181, 182, 184)는, 생리용 냅킨(180)의 외주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하는 외주 시일부(189)를 통해 서로 접합되어 있다.
또한, 코어 커버 시트(122) 전체가 목재 등의 식물 원료 유래의 옅은 다색이기 때문에, 표면 시트(181)를 통해 흡액성 코어(121)에 인공 경혈을 적하(5 ml)했을 때, 피부 대향면 측에서 본 경혈 흡수 영역과, 흡액성 코어(121)를 포함하는 경혈 비흡수 영역에 있어서, L*a*b 표색계(L*a*b 색 공간, 이하, 단순히 「Lab라고 약칭한다.」)의 a치, b치 및 L치를 측정했다. 실시예 1에는, 중간 시트를 갖고 있지 않으며, 제1 코어 커버 시트(122a)의 단위면적 당 질량이 14 g/㎡인 생리용 냅킨(180)을 이용하고, 실시예 2에는, 중간 시트를 갖고 있지 않으며, 제1 코어 커버 시트(122a)의 단위면적 당 질량이 20 g/㎡인 생리용 냅킨(180)을 이용했다. 또한, 이들 실시예 1∼2와 비교하기 위해서, 리그닌 성분을 포함하는 제1 코어 커버 시트와 리그닌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중간 시트를 가지고, 제1 코어 커버 시트(122a)의 단위면적 당 질량이 14 g/㎡인 비교예 1의 냅킨, 리그닌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백색의 코어 커버 시트를 이용하고 있고 표면 시트에 코튼을 이용하고 있는 비교예 2의 냅킨, 그리고 리그닌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백색의 코어 커버 시트를 이용하고 있고 표면 시트에 코튼을 이용하지 않은 비교예 3의 냅킨에도, 마찬가지로 표면 시트를 통해 흡액성 코어(121)에 표준 경혈을 적하했을 때, 피부 대향면 측에서 본 경혈 흡수 영역과 경혈 비흡수 영역에 있어서, Lab 표색계의 a치, b치 및 L치를 측정해 보았다. 그 실험 결과를 표 4∼표 7에 나타낸다. 또한, 인공 경혈에는, 이온수, 글리세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염화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색소 적102호, 색소 적2호, 색소 황5호(각 색소는 가부시키가이샤마루베니쇼카이 제조)를 적량 혼합한 것을 사용했다.
(색차의 측정 방법에 관해서)
색차의 측정은, 닛폰덴쇼쿠고교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색차계 ZE6000(표준 백판[X=93.19, Y=95.20, Z=112.28], 반사 측정 직경 30 mm)를 이용하여 JIS Z 8722에 준거하여 행했다. 측정은 샘플마다 5회 행하고, 측정치의 평균치를 각 샘플의 L치, a치 및 b치로 했다.
Figure pat00004
a치는 주로 적색과 녹색에 관한 것이며, 값이 커지면 적색을 띠고, 값이 작아지면 녹색을 띤다. 마이너스의 수가 되면, 보다 녹색이 짙어진다. 표 4를 참조하면, 비교예 2, 3의 냅킨에서는, 백색의 코어 커버 시트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비흡수 영역의 a치가 마이너스의 수인 한편, 흡수 영역의 a치가 50.0 이상이므로, 양자의 차가 크고, 흡수 영역의 적색이 눈에 띈다. 한편, 실시예 1∼2의 냅킨에서는, 옅은 다색의 제1 코어 커버 시트(122a)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비흡수 영역의 a치가 플러스의 수인 0.5 이상이며, 흡수 영역의 a치가 50.0보다 작으므로, 양자의 차가 50 이하로, 흡수 영역의 적색이 눈에 띄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비교예 1의 냅킨에서는 옅은 다색의 코어 커버 시트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비흡수 영역의 a치가 플러스의 수이지만, 백색의 중간 시트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흡수 영역의 a치가 50를 넘어 버린다. 이 때문에, 흡수 영역의 적색이 눈에 띄어 버린다. 이들을 고려하면, 비흡수 영역의 a치는 0.50≤a치≤1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수 영역의 a치는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수 영역과 비흡수 영역의 차가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a치에 관해서 실시예 1, 2의 냅킨이 바람직하고, 비교예 1∼3의 냅킨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Figure pat00005
b치는 주로 황색과 청색에 관한 것이며, 값이 커지면 황색을 띠고, 값이 작아지면 청색을 띤다. 표 5를 참조하면, 비교예 2의 냅킨에서는, 백색의 코어 커버 시트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비흡수 영역의 b치가 7보다도 작고, 흡수 영역의 b치가 27을 넘어, 양자의 차가 20을 넘어 버려, 양자의 차가 크고, 흡수 영역의 황색이 눈에 띈다. 비교예 3의 냅킨에서는, 백색의 코어 커버 시트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흡수 영역의 b치가 27을 넘어, 양자의 차가 크고, 흡수 영역의 황색이 눈에 띈다. 한편, 실시예 1∼2의 냅킨에서는, 옅은 다색의 제1 코어 커버 시트(122a)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비흡수 영역의 b치가 7 이상 15 이하이고, 흡수 영역의 b치가 30 이하로, 양자의 차가 20 이하이므로, 흡수 영역의 황색이 눈에 띄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비교예 1의 냅킨에서는 옅은 다색의 코어 커버 시트를 이용하고 있지만, 백색의 중간 시트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비흡수 영역의 b치가 7보다 작다(b치가 0에 가까워지면 청색을 띤다). 이 때문에, 흡수 영역과 비흡수 영역의 색의 차가 커, 흡수 영역의 색이 눈에 띄는 것을 억제할 수 없다. 이들을 고려하면, 비흡수 영역의 b치는 7.00≤b치≤15.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수 영역의 b치는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수 영역과 비흡수 영역의 차가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b치에 관해서 실시예 1, 2의 냅킨이 바람직하고, 비교예 1∼3의 냅킨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L치는 색의 밝기에 관한 것으로, 값이 커지면 백색을 띠고, 값이 작아지면 흑색을 띤다. 표 6을 참조하면, L치에 관해서는 70 이상이고, 90 이하인 것(70.00≤L치≤90.00)이 바람직하다. L치에 관해서 실시예 1, 2의 냅킨이 바람직하고, 비교예 1∼3의 냅킨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Figure pat00006
그런데, 제1 코어 커버 시트(122a) 전체가 목재 등의 식물 원료 유래의 옅은 다색이고, 흡수체(120)가 옅은 다색인 한편, 윙부(188)는 백색이다. 그래서, 흡액성 코어(121)를 포함하는 흡수체(120)와, 흡수체(120)를 포함하지 않는 윙부(188)에 있어서, Lab 표색계의 a치를 측정해 보았다. 실시예 1에는, 중간 시트를 갖지 않으며, 흡수체의 단위면적 당 질량이 14 g/㎡인 생리용 냅킨(180)을 이용했다. 또한, 실시예 1과 비교하기 위해서, 리그닌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코어 커버 시트를 각각 이용하고 있는 비교예 1∼3의 냅킨도, 마찬가지로 흡액성 코어(121)를 포함하는 흡수체(120)와, 흡수체(120)를 포함하지 않는 윙부(188)에 있어서, Lab 표색계의 a치를 측정해 보았다. 그 실험 결과를 표 7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7
표 7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실시예 1의 냅킨만이 양차의 차가 0.5 이상인 한편, 비교예 1∼3의 냅킨은 양자의 차가 0.5보다 작다. 양자의 차가 0.5 이상이면, 흡수체의 주연부와 윙부(188)를 포함하는 그 밖의 영역과의 경계가 명확하게 되기 때문에, 착용자 또는 간병인이 흡수체(12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흡액성 코어(121)가 리그닌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것에 한정되지 않고, 흡액성 코어(121)가 리그닌 성분을 포함하여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미리 전후방 허리 영역의 양 옆가장자리부가 접합된 소위 팬츠형 기저귀를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것에 한정되지 않고, 개방형 기저귀에도 적용할 수 있다.
위에 개시한 본 발명의 복수의 실시형태는 분리하거나 또는 서로 조합하여 채택할 수 있다.
흡수성 물품을 구성하는 부재에는, 특별히 명기되어 있지 않은 한,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재료 이외에, 이런 종류의 분야에서 통상 이용되고 있는 공지된 재료를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고 있는 「제1」 및「제2」 등의 용어는, 같은 요소, 위치 등을 단순히 구별하기 위해서 이용하고 있다.
<제2 발명>
하기 제2 발명의 실시형태는 첨부 도면에 도시하는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며, 발명의 불가결한 구성뿐만 아니라, 선택적 및 바람직한 구성을 포함한다.
<제2 발명의 제1 실시형태>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일례인 생리용 냅킨(210)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생리용 냅킨(210)은 서로 교차(직교)하는 세로 방향(Y)과 가로 방향(X)과 두께 방향(Z)를 갖는다.
도 13∼도 15를 참조하면, 생리용 냅킨(210)은, 그 폭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를 2등분하는 세로 중심선(P) 및 그 길이 치수에 있어서의 치수를 2등분하는 가로 중심선(Q)을 가지고, 피부 대향면(내면) 측 및 그 반대쪽의 피부 비대향면(외면) 측과, 볼록하게 구부러진 형상의 제1 및 제2 끝가장자리(210a, 210b)와, 가로 중심선(Q)이 위치하는 중앙부에 있어서 볼록하게 구부러진 제1 및 제2 옆가장자리(210c, 210d)와, 피부 대향면 측에 위치하는 투액성의 표면 시트(211)와, 피부 비대향면 측에 위치하는 불투액성의 이면 시트(212)와, 이들 양 시트(211, 212) 사이에 위치하는 흡액성의 흡수체(220)를 포함한다. 표면 시트(211)와 흡수체(220)는, 핫멜트 접착제 등의 공지된 접합 수단에 의해서 서로 접합되어, 흡액층(213)이 형성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생리용 냅킨(210)의 유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표면 시트(211)와 흡수체(220)의 사이에 비교적 부피가 큰 섬유 부직포 제조의 중간 시트를 배치하여도 좋다. 또한, 흡수체(220)와 이면 시트(212)의 사이에서, 체액의 누설을 억제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통기성을 갖는, 불투액성의 섬유 부직포 또는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하는 샘방지 시트를 배치하여도 좋다.
흡수체(220)는, 제1 끝가장자리(210a)와 대향하는 제1 끝가장자리(220a)와 제2 끝가장자리(210b)와 대향하는 제2 끝가장자리(220b)와, 제1 및 제2 끝가장자리(220a, 220b) 사이에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옆가장자리(220c, 220d)를 갖는다. 표리면 시트(211, 212)는 흡수체(220)의 외주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나와 있다. 표면 시트(211)의 피부 대향면 측에는, 가로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도록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사이드 시트(214)가 배치된다. 한 쌍의 사이드 시트(214)는, 표면 시트(211)에 공지된 접착 수단 또는 용착 수단을 포함하는 사이드 접합부(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접합된다. 도시하지 않지만, 사이드 시트(214)에는, 착용 상태에 있어서 신체 측으로 기립하는 샘방지 벽을 형성하기 위해서,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탄성 재료를 신장 상태에서 수축 가능하게 배치하여도 좋다. 또한, 사이드 시트(214)를 고정하기 위한 사이드 접합부는, 꽃무늬나 기하학 모양 등의 의장 요소를 갖는,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시일 라인이라도 좋다.
생리용 냅킨(210)은, 표면 시트(211), 이면 시트(212) 및 사이드 시트(214)로 형성된, 흡수체(220)의 제1 및 제2 끝가장자리(220a, 220b)의 세로 방향(Y) 외측에 있어서 가로 방향(X)으로 연장되는 양 단부(216)와, 흡수체(220)의 제1 및 제2 옆가장자리(220c, 220d)의 가로 방향(X) 외측에 있어서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양 옆가장자리부(217)를 갖는다. 생리용 냅킨(210)의 세로 방향(Y)의 중앙 부분에는, 가로 방향(X) 외측으로 볼록하게 되는, 양 옆가장자리부(217)의 일부에 의해서 형성된 윙부(218)가 위치한다. 또한, 서로 적층된 시트(211, 212, 214)는, 냅킨(210)의 외주 가장자리를 따라서 위치하는 외주 시일부(219)를 통해 서로 접합되어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생리용 냅킨(210)의 이면 측에는 복수의 고정 부착 영역(230)을 배치하고 있다. 고정 부착 영역(230)은 생리용 냅킨(210)을 속옷 등의 피복에 고정 부착하기 위한 것이며,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라인형으로 도포된 점착제나 감압성 접착제로 형성된다. 고정 부착 영역(230)은, 흡수체(220)와 겹치는 영역에서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중앙 영역(231)과, 윙부(218)에 위치하는 사이드 영역(232)을 갖는다. 고정 부착 영역(230)은 플라스틱 필름 제조의 세퍼레이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피복된다.
표면 시트(211)는, 투액성을 갖는 각종 섬유 부직포, 예컨대 질량 약 15∼45 g/㎡의 에어스루 섬유 부직포, 다공 플라스틱 필름, 이들의 라미네이트 시트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면 시트(212)는, 불투액성 및 투습성의 플라스틱 필름, 불투액성의 섬유 부직포, 이들의 라미네이트 시트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사이드 시트(214)에는 표면 시트(211)와 같은 시트재를 이용할 수 있다. 단, 체액이 옆으로 새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서는, 소수성 혹은 발수성을 갖는 시트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시트(211)로서, 표면 측이 요철형을 갖는 시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시트의 표면은, 세로 방향(Y) 또는 가로 방향(X)으로 교대로 배치된 복수 라인의 오목부와 복수 라인의 볼록부로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복수 라인의 볼록부와 오목부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섬유량을 컨트롤하여 부피가 작은 부분과 부피가 큰 부분을 형성하는 방법, 엠보스/데보스 가공에 의해서 오목부를 형성하는 방법, 요철형으로 부형하는 방법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볼록부와 오목부는 서로 섬유 밀도가 다르게, 한쪽이 성기고 다른 쪽이 빽빽하게 되도록 섬유가 배치되어 있다. 섬유가 성기게 배치된 부분(제1 부분)과 후기하는 코어 커버 시트(222)의 고리그닌 영역(252)이 접합됨으로써 접합 강도가 보다 높아지는 한편, 섬유가 빽빽하게 배치된 부분(제2 부분)과 저리그닌 영역(251)이 접합됨으로써 흡액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비교적 단시간에 반복하여 경혈이 배설된 경우라도, 오목부에 경혈을 일시적으로 고이게 함으로써, 표면 시트(211)의 표면 및 표면 시트(211)와 코어 커버 시트(222)의 사이에서 경혈이 옆으로 새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표면 시트(211)의 오목부의 일부는, 압착 줄홈을 형성하는 압착부나 엠보스 가공에 의해서 형성된 압축 오목부 등에 의해서 실질적으로(연속적 또는 비연속적으로) 둘러싸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오목부에 고인 체액이 가로 방향(X) 및 세로 방향(Y)으로 새어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아울러, 표면 시트의 표면이 요철형인 경우에는, 표면에서 봤을 때, 옅은 다색의 코어 커버 시트(222)가 오목부에 있어서 볼록부와 비교하여 짙게 시인되므로, 색의 그라데이션에 의한 장식적 효과를 생기게 한다.
외주 시일부(219)는, 접착제에 의한 접합, 초음파 용착, 열 용착, 레이저 용착, 고주파 용착 등의 공지된 용착 수단에 의한 접합 및 엠보스 가공에 의한 접합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행할 수 있다. 또한, 두께 방향(Z)에서 적층된 시트(211, 212, 214)는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제를 통해 서로 접합된다. 핫멜트 접착제의 도공 방법으로서는, 스파이럴 도공, 코터 도공, 커튼 코터 도공, 스프레이 도공 등의 각종 공지된 도공 방법을 들 수 있다.
도 15, 도 16을 참조하면, 흡수체(220)는, 초흡수성 폴리머 입자(SAP)와 플러프 목재 펄프, 레이온 섬유 등의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혼합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부형한 흡액성 코어(221)와, 그 보형성 및 액확산성의 향상을 위해서 흡액성 코어(221) 전체를 포피하는 투액성의 코어 커버 시트(222)를 갖는다.
코어 커버 시트(222)는, 세로 방향(Y)의 치수가 흡액성 코어(221)의 세로 방향(Y)의 치수보다도 크고, 그 양 옆가장자리부(222a, 222b)는, 흡액성 코어(221) 전체를 포피하도록, 흡액성 코어(221)의 가로 방향(X) 중앙 부분에 있어서의 바닥면 측에서 서로 겹치게 위치한다. 양 옆가장자리부(222a, 222b)가 서로 접혀 포개어짐으로써, 흡수체(220)의 가로 방향(X)의 중앙 부분에는,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양 옆가장자리부(222a, 222b)끼리 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중첩 부분(223)이 형성된다.
코어 커버 시트(222)는, 흡액성 코어(221)의 피부 대향면 측을 피복하는 제1 피복부(225)와, 흡액성 코어(221)의 피부 비대향면 측을 피복하는 제2 피복부(226)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코어 커버 시트(222)는 1장의 연속되는 시트로 형성되어 있지만, 제1 피복부(225)를 형성하는 제1 코어 커버 시트와, 제1 코어 커버 시트는 별체이며 제2 피복부(226)를 형성하는 제2 코어 커버 시트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 17을 참조하면, 코어 커버 시트(222)는, 각종 공지된 섬유 부직포 또는 티슈로 형성되어 있고, 주로 펄프 섬유(240)로 구성되어 있다. 코어 커버 시트(222)의 펄프 섬유(240)는, 탈리그닌 처리가 이루어진 표백 펄프 섬유(241)와, 탈리그닌 처리가 되어 있지 않은 미표백 펄프 섬유(242)를 갖는다. 여기서, 펄프 섬유(240)는 침엽수 또는 활엽수를 원료로 하여 얻어지는 목재 펄프 섬유 이외에, 린터, 마닐라삼, 양마, 짚, 대나무, 바나나를 원재료로 하는 비목재 펄프 섬유를 포함한다.
또한, 코어 커버 시트(222)는, 예컨대 레이온 섬유 등의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 반합성 셀룰로오스 섬유 등의 친수성 섬유로 구성된 제1 층(상층 또는 하층)과, 탈리그닌 처리가 되어 있지 않은 미표백 펄프 섬유(242)를 포함하는 제2 층(하층 또는 상층)을 포함하는 복층 구조를 갖고 있어도 좋다. 이러한 경우에는, 후기하는 것과 같이, 제2 층이 저리그닌 영역(251)과 고리그닌 영역(252)을 포함하는 해도 구조를 갖는 경우라도, 제1 층에 있어서 체액을 충분히 확산할 수 있기 때문에, 코어 커버 시트(222) 전체에 있어서의 체액 확산의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여러 번에 걸쳐 체액을 흡수한 후라도, 표면 시트(211)와의 접합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음과 더불어, 적합한 흡액성을 유지할 수 있다.
펄프 섬유(240)는, 일반적으로 원료 칩 처리 공정을 거친 후에, 원료 칩에 약품을 가하여 고온·고압 하에서 펄펄 끓여 리그닌을 증해하는 증해 공정(탈리그닌 처리의 제1 단계), 펄프 중의 이물을 제거하는 스크린 공정, 증해 공정에서 잔존한 리그닌을 산소로 분해하는 산소 노출 공정(탈리그닌 처리의 제2 단계), 복수 종류의 약품을 사용하여 펄프를 표백하는 표백 공정을 거침으로써, 표백된 표백 펄프 섬유(241)로 된다. 미표백 펄프 섬유(242)는, 이들 각 공정 중, 탈리그닌 처리의 제1 단계인 증해 공정와 스크린 공정만을 거친 것으로, 일정 정도의 탈리그닌 처리가 실시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표백 펄프 섬유(242)의 리그닌 함유율은 0.2∼10.0%이다.
미표백 펄프 섬유(242)의 리그닌 함유율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서 측정했다.
<리그닌 함유율의 측정 방법>
ADF의 정량
시약: 산성 디터전트 용액<세틸트리메틸암모늄브로미드(헥사데실트리메틸암모늄브로미드) 10 g을 500 mL의 1 N 황산에 녹인 것>
아세톤
소포제로서 데카히드로나프탈렌(옵션)
<측정 수순>
샘플 300 g을 칭량하여, 50 mL 삼각플라스크에 넣고, 산성 디터전트 용액을 30 mL 가했다. 알루미늄 호일로 뚜껑을 덮고, 끓는 물 중에 삼각플라스크를 넣어, 60분간 분해했다. 분해 후, 유리 섬유 여과지(GA-200)를 깐 구치 도가니로 옮겨 흡인 여과하고, 잔사를 열수와 아세톤으로 세척했다. 바람에 말린 후, 열건조했다. 또한, 건조 후 항량하여, 회분을 뺀 것의 무게가 ADF이지만, 리그닌 정량 후의 회분을 이것에 이용할 수는 없다.
리그닌 정량
시약: 72% 황산
<측정 수순>
위에서 건조시킨 구치 도가니에 72% 황산을 여러 방울 늘어뜨려 전체를 적신 후, ADF량의 약 2배의 황산을 가하고, 1시간마다 황산을 적절하게 가하면서 3-4시간 방치했다. 그 후 흡인 여과하여, 열수로 노액이 산성을 보이지 않게 될 때까지 세척했다. 바람에 말린 후, 열건조하여 항량한다. 구치 도가니를 550℃로 회화하여, 회분을 구했다.
코어 커버 시트(222)의 제1 피복부(225)는, 비교적 리그닌 성분의 함유율이 낮은 저리그닌 영역(리그닌 저함유 영역)(251)과, 저리그닌 영역(251)보다도 리그닌 성분의 함유율이 높은 고리그닌 영역(리그닌 고함유 영역)(252)을 갖는다. 저리그닌 영역(251)은 주로 표백 펄프 섬유(241)가 집합하여 형성되어 있고, 고리그닌 영역(252)은 주로 미표백 펄프 섬유(242)가 집합하여 형성되어 있다. 코어 커버 시트(222)의 제1 피복부(225)의 평면에서 봤을 때, 저리그닌 영역(251)은 비교적 코어 커버 시트(222) 외표면의 넓은 범위에 위치하는 주변 영역인 데 대하여, 고리그닌 영역(252)은 저리그닌 영역(251)에 대하여 산재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배치 양태를 가지므로, 코어 커버 시트(222) 전체 또는 적어도 제1 피복부(225)는, 저리그닌 영역(251)을 바다, 고리그닌 영역(252)을 섬으로 하는 해도 구조를 갖는다고도 말할 수 있다.
코어 커버 시트(222)는, 복수의 고리그닌 영역(252)을 가지므로, 전체적으로 목재 등의 식물 원료 유래의 옅은 다색을 갖는다. 코어 커버 시트(222) 이외의 다른 시트(211, 212, 214)는, 구성 섬유에 이산화티탄 등의 백색 안료를 이겨 넣음으로써 전체적으로 백색을 가지므로, 코어 커버 시트(222)는, 생리용 냅킨(210)의 표면 및/또는 이면에서 봤을 때, 다른 시트(211, 212, 214)로부터 투과하여 용이하게 시인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코어 커버 시트(222)는, 그 초지 공정에 있어서, 표백 펄프 섬유(241)와 미표백 펄프 섬유(242)의 혼합물을 얽히게 하여 시트형으로 형성한 것이며, 저리그닌 영역(251)은 주로 표백 펄프 섬유(241), 고리그닌 영역(252)은 주로 미표백 펄프 섬유(242)가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양 영역(251, 252)의 경계는 불명료한 것이며,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또한, 이와 같이 코어 커버 시트(222)의 외표면 전체에 있어서, 저리그닌 영역(251) 내에 고리그닌 영역(252)을 산재하도록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각 펄프 섬유(241, 242)의 혼합 방법, 혼합률, 제조 시의 반송 컨베이어의 반송 속도, 컨베이어 상에 복수의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공기를 통해 펄프 섬유(240)를 퇴적시킬 때의 노즐 직경, 분무 공기의 풍량, 풍속 등을 적절하게 조정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제반 조건을 조정함으로써 양 영역(251, 252)을 형성하는 것이므로, 저리그닌 영역(251)의 일부에 미표백 펄프 섬유(242), 고리그닌 영역(252)에 표백 펄프 섬유(241)가 각각 포함되는 경우도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저리그닌 영역(251)과 고리그닌 영역(252)은, 각각 표백 펄프 섬유(241), 미표백 펄프 섬유(242)만으로 형성되는 것은 아니며, 또한 펄프 섬유 이외의 다른 섬유를 포함하는 경우도 있고, 예컨대 저리그닌 영역(251)에 있어서의 펄프 섬유 중의 표백 펄프 섬유(241)의 함유율은 50∼100%, 고리그닌 영역(252)의 펄프 섬유 중의 미표백 펄프 섬유(242)의 함유율은 50∼100%이다.
고리그닌 영역(252)은, 코어 커버 시트(222)에 있어서의 주변 영역인 저리그닌 영역(251)보다도 리그닌 성분의 함유량이 높은 영역을 의미하므로, 표백 펄프 섬유(241)와 미표백 펄프 섬유(242)를 혼재한 시트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레이온 섬유나 합성 섬유를 포함하는 섬유 부직포 시트에 리그닌 성분 함유액을 산점적으로 스며들게 함으로써, 주변 영역보다도 리그닌 성분의 함유량이 높은 고리그닌 영역(252)을 형성할 수 있다.
코어 커버 시트(222)는, 주로 미표백 펄프 섬유(242)를 포함하는 복수의 고리그닌 영역(252)을 가지므로, 미표백 펄프 섬유만을 포함하는 코어 커버 시트를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표면에서 봤을 때, 식물 원료 유래의 옅은 다색(나무색)을 가져, 착용자 또는 착용 보조자에 대하여, 천연 재료를 사용한 피부에 순한 제품이라는 이미지를 줄 수 있다. 또한, 코어 커버 시트(222)가 옅은 다색을 가지므로, 배설된 경혈이 표면 시트(211)를 투과하여 흡수체(220)에 흡수, 유지되었을 때에, 경혈의 붉은 빛이 억제된다. 이로써, 경혈을 직접적으로 시인함으로 인한 혐오감을 억제함과 더불어, 예컨대 월경 초기의 착용자 등에 대하여, 경혈의 붉은 빛을 시인함으로 인한 정신적인 불안을 누그러트릴 수 있다. 아울러, 리그닌 성분은 항균 작용을 가지므로, 사용 후의 잡균의 번식을 억제하여 위생적으로 폐기 처리할 수 있다.
코어 커버 시트(222)가, 이러한 내츄럴한 외관, 경혈의 붉은 빛의 억제 및 일정한 항균 작용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코어 커버 시트(222)의 리그닌 성분의 함유율은 0.2∼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코어 커버 시트(222)의 리그닌 성분의 함유율이 0.2% 미만인 경우에는, 코어 커버 시트(222)의 옅은 다색의 색감이 백색을 갖는 다른 시트(211, 212, 214)와 시각상 구별할 수 없을 정도로 희미해질 우려가 있다. 한편, 코어 커버 시트(222)의 리그닌 성분의 함유율이 10%를 넘는 경우에는, 리그닌 성분에 의한 색감이 짙어져, 천연 재료에 의한 내츄럴한 외관을 해칠 우려가 있음과 더불어, 경혈의 붉은 빛이 시인되기 어렵게 되어 경혈량을 정확히 파악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통상 코어 커버 시트는, 흡액성 코어의 보형(保形) 이외에, 표면 시트를 투과한 체액을 흡수, 확산하면서 흡액성 코어로 이행시키는 역할을 갖는 것이므로, 친수성의 시트가 적합하게 사용되고 있다. 고리그닌 영역(252)의 미표백 펄프 섬유(242)는, 리그닌 성분을 많이 포함함으로써 친수 정도가 낮아, 비교적 소수성이라고 말할 수 있으므로, 예컨대 제1 피복부(225) 전체가 고리그닌 영역(252)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표면 시트(211)를 투과한 경혈을 고리그닌 영역(252)에서 흡수, 유지할 수 없어, 빠르게 경혈을 흡액성 코어(221)로 이행시킬 수 없다.
도 18을 참조하면, 코어 커버 시트(222)의 제1 피복부(225)는, 저리그닌 영역(251)과 그 주변에 산재하는 복수의 고리그닌 영역(252)을 가지므로, 단면에서 봤을 때, 이들 양 영역(251, 252)이 가로 방향(X)으로 교대로 나타나고 있다. 고리그닌 영역(252)은 저리그닌 영역(251) 내에 산재하여 배치되어 있으므로, 가로 방향(X)뿐만 아니라, 세로 방향(Y)에서도 저리그닌 영역(251)과 고리그닌 영역(252)은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피복부(225)의 단면에서 봤을 때, 저리그닌 영역(251)과 고리그닌 영역(252)이 가로 방향(X) 및 세로 방향(Y)으로 교대로 위치함으로써, 표면 시트(211)를 투과한 경혈을 친수성의 저리그닌 영역(251)에서 끌어들이게 하여 빠르게 흡액성 코어(221)로 이행하여, 흡수, 유지하게 할 수 있어, 소요(所要)의 흡수 속도를 갖는다.
또한, 친수성의 저리그닌 영역(251)에서는, 경혈을 흡수하여 표백 펄프 섬유가 팽윤함으로써, 표면 시트(211)와 코어 커버 시트(222)의 핫멜트 접착제를 통한 접합 계면에 있어서 접합 부분이 박리되어 접합 강도가 저하할 우려가 있다. 한편, 고리그닌 영역(252)은 저리그닌 영역(251)보다도 친수성이 낮고 소수성이므로, 경혈을 흡수하여 팽윤하기 어려워, 접합 부분이 박리되는 일은 없으며, 코어 커버 시트(222)와 표면 시트(211)의 접합 계면에 있어서의 접합 강도가 저리그닌 영역(251)과 비교하여 높아진다.
따라서, 코어 커버 시트(222) 전체가 저리그닌 영역(251)으로 형성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코어 커버 시트(222)와 표면 시트(211)의 접합 강도가 높아져, 착용 중에 표면 시트(211)가 흡수체(220)로부터 박리되거나 들뜨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양 시트(211, 222)의 접합 강도를 올리기 위해서 접착제량을 늘리는 경우에는, 시트 강성이 높아져 유연성 및 투액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지만, 이러한 불이익을 일으키지 않는다.
아울러, 흡액성 코어(221)는, 주로 SAP 입자와 표백 처리한 플러프 펄프를 포함하고, 옵션으로서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갖는 경우가 있지만, 미표백 펄프 섬유(242)를 포함하는 것은 아니며, 코어 커버 시트(222)에 비해서 리그닌 함유량이 낮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표면 시트(211)를 투과하여 코어 커버 시트(222)에 흡수, 확산된 경혈은, 코어 커버 시트(222)와 비교하여 친수 정도가 높은 흡액성 코어(221)로 끌려들어가는 식으로 빠르게 이행되기 쉽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코어 커버 시트(222)에 있어서 저리그닌 영역(251)에 산재하도록 복수의 고리그닌 영역(252)이 위치함으로써, 내츄럴한 외관을 가짐과 더불어, 경혈의 은폐성이나 항균성이 우수하며, 또한 코어 커버 시트(222)와 표면 시트(211)의 적절한 접합 강도와 흡액성을 갖는다.
또한, 흡액성 코어(221)는 SAP 입자만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경우에는, 흡수체(220)는 SAP 입자만을 포함하는 흡액성 코어(221)와 그것을 포피하는 코어 커버 시트(222)로 구성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코어 커버 시트(222)가 저리그닌 영역(251)을 가짐으로써 액유지성이 비교적 낮은 한편, 흡액성 코어(221)가 높은 흡액 용량을 갖는 SAP 입자만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흡수체(220) 전체적으로 적절한 흡액성을 발휘할 수 있다.
저리그닌 영역(251)과 고리그닌 영역(252)은, 표백 펄프 섬유(241)와 미표백 펄프 섬유(242)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서로의 경계 라인의 형상이 불명료하여, 평면에서 봤을 때는 적어도 직선형이 아니라 파상(波狀)을 갖는다. 따라서, 저리그닌 영역(251)과 고리그닌 영역(252)의 경계 근방의 단위폭(예컨대 1.0 mm) 당, 저리그닌 영역(251)에 의한 소요의 흡수 면적을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흡수체(220)의 가로 방향(X)의 중앙 부분에는, 코어 커버 시트(222)의 양 옆가장자리부(222a, 222b)가 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중첩 부분(223)이 위치하고 있다. 중첩 부분(223)은 코어 커버 시트(222)가 접혀 포개여져 있는 부분이므로, 흡수체(220)의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미표백 펄프 섬유에 의한 옅은 다색이 보다 짙게 시인되어, 외관에서 봤을 때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라인으로서 의장적인 액센트가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라인을 흡수체(220)의 중앙 부분을 나타내는 표시로서 파악하여, 생리용 냅킨(210)을 속옷 등에 붙일 때의 위치 결정에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흡액성 코어(221)가 다량의 경혈을 흡수하여 그 양 끝가장자리로부터 경혈이 스며나오는 경우라도, 그 양 끝가장자리의 세로 방향(Y)의 외측에 소수성의 고리그닌 영역(252)을 비교적 많이 포함한 중첩 부분(223)이 위치함으로써, 경혈이 흡수체(220)의 양 옆가장자리(220a, 220b)에서 외측으로 스며나오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코어 커버 시트(222)의 포메이션 지수는 50∼3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코어 커버 시트(222)의 포메이션 지수가 50 미만이면, 펄프 섬유가 고밀 또한 균일하게 배치됨으로써 투액성이 저하하여, 빠르게 경혈을 흡액성 코어(221)로 이행시킬 수 없다. 한편, 포메이션 지수가 300을 넘는 경우에는, 극도로 포메이션이 나쁜 부분이 형성되어 인장 강도가 저하하여, 사용 중에 일부가 파단될 우려가 있다.
<포메이션 지수의 측정 방법>
코어 커버 시트(222)의 포메이션 지수는, 노무라쇼지가부시키가이샤 제조 포메이션 테스터 FMT-MIII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측정 면적은 250 mm×180 mm, 측정 시간은 3초/샘플이며, 3장의 샘플의 표면 양면의 포메이션 지수를 측정하여, 그 평균치를 측정치로 했다. 포메이션 지수는 측정치가 작을수록 전반적인 포메이션 불균일이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
미표백 펄프 섬유(242)는 표백 펄프 섬유(241)와 비교하여 강성이 높으므로, 코어 커버 시트가 미표백 펄프 섬유(242)만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비교적 유연성이 낮아져, 표면 시트(211)의 움직임에 추종할 수 없고, 코어 커버 시트가 표면 시트(211)로부터 박리될 우려가 있지만, 고리그닌 영역(252)이 저리그닌 영역(251)에 산재함으로써 크게 유연성을 해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코어 커버 시트(222)는 소요의 유연성을 가지며, 구체적으로는 코어 커버 시트(222)의 크레이프 비율은 7∼20%이다. 코어 커버 시트(222)의 크레이프 비율이 7% 미만인 경우에는, 코어 커버 시트(222)의 강성이 비교적 높아져 표면 시트(211)의 움직임에 추종할 수 없고, 한편 크레이프 비율이 20%를 넘는 경우에는, 코어 커버 시트(222)가 지나치게 유연하게 되어, 제조 중이나 사용 중에 시트 찢어짐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크레이프 비율의 측정 방법>
코어 커버 시트(222)의 크레이프 비율은 수중신도법(水中伸度法)에 의해 측정했다. 코어 커버 시트(222)를 100 mm×100 mm로 절단하여 측정 시료를 제작하고, 측정 시료를 수중에 10초간 침지한 후 끌어올려, 치수의 변화량으로부터 다음 식에 의해 크레이프 비율을 산출한다. 측정은 3회 행하여(n=3), 평균치를 측정치로 한다.
크레이프 비율(%)={(물에 침지한 후의 치수)/(물에 침지하기 전의 치수)-1}×100
표면 시트(211)에는, 코튼 섬유(오가닉 코튼을 포함한다)를 포함하는 친수성 시트를 이용할 수 있다. 표면 시트(211)로서 이러한 시트를 이용한 경우에는, 쿠션성, 촉감성 및 흡액성이 우수하다. 또한, 코튼 섬유를 포함하는 표면 시트(211)와 고리그닌 영역(252)을 갖는 코어 커버 시트(222)에 의해서 흡액층을 형성함으로써, 코어 커버 시트(222)에서는 구성 섬유의 액유지성이 비교적 작은 한편, 표면 시트는 높은 흡습성을 갖기 때문에, 흡수체(220) 내의 습기를 표면 시트(211)에서 흡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생리용 냅킨과 신체 사이에서의 습기의 발생을 억제하여, 내부의 후덥지근함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표면 시트(211)는, 친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복층 구조를 가지고, 피부 대향면 측에 위치하는 층이 실질적으로 코튼 섬유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피부에 가까운 부분에서 코튼 섬유가 보다 효율적으로 습기를 흡습할 수 있다.
단, 코어 커버 시트의 클렘 흡수도는, 코튼 섬유를 포함하는 표면 시트(211)의 클렘 흡수도보다도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코어 커버 시트(222)의 클렘 흡수도가 그 피부 대향면 측에 위치하는 표면 시트(211)의 클렘 흡수도보다도 높음으로써, 표면 시트(211)에 있어서 흡수, 확산된 경혈을 코어 커버 시트(222)가 끌어들이는 식으로 흡수하여 빠르게 흡액성 코어(221)로 이행시킬 수 있어, 표면 시트(211) 상의 액 잔류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클렘 흡수도의 측정 방법>
코어 커버 시트(222)의 클렘 흡수도의 측정은 클렘 흡수 시험(JIS-L1907, P8141)에 준거하여 행했다. 측정 기구로서, 자, 스톱워치, 플라스틱 용기 및 인공뇨(청색 1호로 착색)를 이용했다. 코어 커버 시트(222)로부터 폭 25 mm, 길이 150 mm의 크기로 잘라낸 시트를 샘플(N=3)로 했다. 우선, 인공뇨를 플라스틱 용기에 인공뇨의 깊이가 10 mm 이상이 될 때까지 넣었다. 이어서, 채취한 시험편을 고정 척으로 고정하여, 샘플 선단으로부터 5 mm의 깊이로 인공뇨에 잠기도록 셋트했다. 이것을 그대로의 상태로 120초 방치했다(환경: 온도 20℃/습도 60%). 인공뇨가 샘플을 따라서 상승하여, 샘플 상에서의 빨려올라가는 거리를 인공뇨의 표면에서 측정했다. 빨려올라가는 거리가 긴 쪽이 클렘 흡수도가 높음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표면 시트로서 코튼 섬유를 포함하는 시트, 그 하층에 위치하는 코어 커버 시트로서 주로 표백 펄프 섬유를 포함하는 티슈를 사용한 경우에는, 모두 액유지성이 높으므로, 빠르게 흡액성 코어로 경혈을 이행시킬 수 없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코어 커버 시트(222)가 고리그닌 영역(252)을 가짐으로써 전체적으로 액유지성이 낮아져, 경혈을 아래쪽으로 원활하게 이행시킬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다.
흡액성 코어(221)는, 이미 말한 것과 같이, 옵션으로서 코튼, 펄프 섬유 등의 셀룰로오스 섬유 이외에, 아세테이트 등의 반합성 셀룰로오스 섬유나 레이온 등의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갖는다. 코어 커버 시트(222)도 흡액성 코어(221)와 마찬가지로, 표백 펄프 섬유(241)와 미표백 펄프 섬유(242)를 포함하는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가지므로 친화성이 높아, 흡수체의 외곽에 위치하는 압착 줄홈 등에 있어서, 코어 커버 시트(222)와 흡액성 코어(221)가 서로 용착되는 경우에는 접합 강도가 향상된다.
흡액성 코어(221)는, 활성탄이나 제올라이트 등으로 형성된, 경혈 등의 체액의 악취 흡착 기능을 갖는 복수의 기능성 입자를 갖고 있어도 좋다. 흡액성 코어(221)가 악취의 흡착성을 갖춤으로써, 코어 커버 시트(222)의 항균성과 맞물려 보다 위생적이면서 또한 청결하게 생리용 냅킨(210)을 사용, 폐기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코어 커버 시트(222) 전체에 있어서, 저리그닌 영역(251)을 포함하는 주변 영역에 산재하도록 복수의 고리그닌 영역(252)이 위치하므로, 코어 커버 시트(222) 중의 흡수체(220)의 피부 대향면 측을 피복하는 제1 피복부(225)뿐만 아니라, 흡수체(220)의 피부 비대향면 측을 피복하는 제2 피복부(226)에서도 복수의 고리그닌 영역(252)이 산재되어 있다. 따라서, 단면에서 봤을 때, 제2 피복부(226)에서도 저리그닌 영역(251)과 고리그닌 영역(252)이 가로 방향(X)으로 교대로 위치하고 있다.
고리그닌 영역(252)은 저리그닌 영역(251)과 비교하여 시트에 대한 접착 강도가 높다고 말할 수 있기 때문에, 고리그닌 영역(252)을 갖지 않는 통상의 코어 커버 시트를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이면 시트(212)와의 접합 강도가 우수하다. 따라서, 접합 강도를 올리기 위해서 접착제의 단위면적 당 질량을 높일 필요는 없으며, 접착제의 증가에 의해서 시트 강성이 높아져, 흡수체(220)에의 추종성이 저하하는 일도 없다.
또한, 코어 커버 시트(222) 전체가 목재 등의 식물 원료 유래의 옅은 다색이기 때문에, 표면 시트(211)를 통해 흡액성 코어(221)에 인공 경혈을 적하(5 ml)했을 때, 피부 대향면 측에서 본 경혈 흡수 영역과, 흡액성 코어(221)를 포함하는 경혈 비흡수 영역에 있어서, L*a*b 표색계(L*a*b 색 공간, 이하, 단순히 「Lab라고 약기한다.」)의 a치, b치 및 L치를 측정했다. 실시예 1에는, 중간 시트를 갖지 않으며, 코어 커버 시트의 단위면적 당 질량이 14 g/㎡인 생리용 냅킨(210)을 이용하고, 실시예 2에는, 중간 시트를 갖지 않으며, 코어 커버 시트의 단위면적 당 질량이 20 g/㎡인 생리용 냅킨(210)을 이용했다. 또한, 이들 실시예 1∼2와 비교하기 위해서, 리그닌 성분을 포함하는 코어 커버 시트와 리그닌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중간 시트를 가지며, 코어 커버 시트의 단위면적 당 질량이 14 g/㎡인 비교예 1의 냅킨, 리그닌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백색의 코어 커버 시트를 이용하고 있으며 표면 시트에 코튼을 이용하고 있는 비교예 2의 냅킨, 그리고 리그닌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백색의 코어 커버 시트를 이용하고 있으며 표면 시트에 코튼을 이용하지 않은 비교예 3의 냅킨에도, 마찬가지로 표면 시트를 통해 흡액성 코어(221)에 표준 경혈을 적하했을 때, 피부 대향면 측에서 본 경혈 흡수 영역과 경혈 비흡수 영역에 있어서, Lab 표색계의 a치, b치 및 L치를 측정했다. 그 실험 결과를 표 8∼표 10에 나타낸다. 또한 인공 경혈에는, 이온수, 글리세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염화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색소 적102호, 색소 적2호, 색소 황5호(각 색소는 가부시키가이샤마루베니쇼카이 제조)를 적량 혼합한 것을 사용했다.
Figure pat00008
(색차의 측정 방법에 관해서)
색차의 측정은, 닛폰덴쇼쿠고교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색차계 ZE6000(표준 백판[X=93.19, Y=95.20, Z=112.28], 반사 측정 직경30 mm)을 이용하여 JIS Z 8722에 준거하여 행했다. 측정은 샘플마다 5회 행하여, 측정치의 평균치를 각 샘플의 L치, a치 및 b치로 했다.
a치는 주로 적색과 녹색에 관한 것이며, 값이 커지면 적색을 띠고, 값이 작아지면 녹색을 띤다. 마이너스의 수가 되면, 보다 녹색이 짙어진다. 표 8을 참조하면, 비교예 2, 3의 냅킨에서는, 백색의 코어 커버 시트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비흡수 영역의 a치가 마이너스의 수인 한편, 흡수 영역의 a치가 50.0 이상이므로, 양자의 차가 커, 흡수 영역의 적색이 눈에 띈다. 한편, 실시예 1∼2의 냅킨에서는, 옅은 다색의 코어 커버 시트(222)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비흡수 영역의 a치가 플러스의 수인 0.5 이상이고, 흡수 영역의 a치가 50.0보다 작기 때문에, 양자의 차가 50 이하로, 흡수 영역의 적색이 눈에 띄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비교예 1의 냅킨에서는 옅은 다색의 코어 커버 시트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비흡수 영역의 a치가 플러스의 수이지만, 백색의 중간 시트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흡수 영역의 a치가 50을 넘어 버린다. 이 때문에, 흡수 영역의 적색이 눈에 띄어 버린다. 이들을 고려하면, 비흡수 영역의 a치는 0.5≤a치≤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수 영역의 a치는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수 영역과 비흡수 영역의 차가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a치에 관해서 실시예 1, 2의 냅킨이 바람직하고, 비교예 1∼3의 냅킨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Figure pat00009
b치는 주로 황색과 청색에 관한 것이며, 값이 커지면 황색을 띠고, 값이 작아지면 청색을 띤다. 표 9를 참조하면, 비교예 2의 냅킨에서는, 백색의 코어 커버 시트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비흡수 영역의 b치가 7보다도 작고, 흡수 영역의 b치가 27을 넘어, 양자의 차가 20을 넘어 버려, 양자의 차가 커, 흡수 영역의 황색이 눈에 띈다. 비교예 3의 냅킨에서는, 백색의 코어 커버 시트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흡수 영역의 b치가 27을 넘고, 양자의 차가 커, 흡수 영역의 황색이 눈에 띈다. 한편, 실시예 1∼2의 냅킨에서는, 옅은 다색의 코어 커버 시트(222)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비흡수 영역의 b치가 7 이상 15 이하이며, 흡수 영역의 b치가 30 이하로, 양자의 차가 20 이하이므로, 흡수 영역의 황색이 눈에 띄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비교예 1의 냅킨에서는 옅은 다색의 코어 커버 시트를 이용하고 있지만, 백색의 중간 시트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비흡수 영역의 b치가 7보다 작다(b치가 0에 가깝게 되면 청색을 띤다). 이 때문에, 흡수 영역과 비흡수 영역의 색의 차가 커, 흡수 영역의 색이 눈에 띄는 것을 억제할 수 없다. 이들을 고려하면, 비흡수 영역의 b치는 7≤b치≤15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수 영역의 b치는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수 영역과 비흡수 영역의 차가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b치에 관해서 실시예 1, 2의 냅킨이 바람직하고, 비교예 1∼3의 냅킨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L치는 색의 밝기에 관한 것이며, 값이 커지면 백색을 띠고, 값이 작아지면 흑색을 띤다. 표 10을 참조하면, L치에 관해서는 70 이상 9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L치에 관해서 실시예 1, 2의 냅킨이 바람직하고, 비교예 1∼3의 냅킨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Figure pat00010
그런데, 코어 커버 시트(222) 전체가 목재 등의 식물 원료 유래의 옅은 다색이고, 흡수체(220)가 옅은 다색인 한편, 윙부(218)는 백색이다. 그래서, 흡액성 코어(221)를 포함하는 흡수체(220)와 흡수체(220)를 포함하지 않는 윙부(218)에 있어서, Lab 표색계의 a치를 측정했다. 실시예 1에는, 중간 시트를 갖지 않으며, 코어 커버 시트의 단위면적 당 질량이 14 g/㎡인 생리용 냅킨(210)을 이용했다. 또한, 실시예 1과 비교하기 위해서, 리그닌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코어 커버 시트를 각각 이용하고 있는 비교예 1∼3의 냅킨도, 마찬가지로 흡액성 코어(221)를 포함하는 흡수체(220)와, 흡수체(220)를 포함하지 않는 윙부(218)에 있어서, Lab 표색계의 a치를 측정했다. 그 실험 결과를 표 11에 나타낸다. 또한, 시료인 냅킨 위에 표준 백판을 씌우고 광선을 아래에서 대어 a치를 측정했다. 이것은, 윙부(218)는 빛을 투과하여, 냅킨 배면 측의 색에 따라 측정 결과가 달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Figure pat00011
표 1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실시예 1의 냅킨만이 양차의 차가 0.5 이상인 한편, 비교예 1∼3의 냅킨은 양자의 차가 0.5보다 작다. 양자의 차가 0.5 이상이면, 흡수체의 주연부와 윙부(218)를 포함하는 그 밖의 영역과의 경계가 명확하게 되기 때문에, 착용자 또는 간병인이 흡수체(22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흡액성 코어(221)가 리그닌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것에 한정되지 않고, 흡액성 코어(221)가 리그닌 성분을 포함하여도 좋다.
<제2 발명의 제2 실시형태>
도 19는 제2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210)의 평면도, 도 20(a)은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15와 같은 식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210)의 기본 구성은 제1 실시형태의 그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상이한 점에 관해서만 이하에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생리용 냅킨(210)은, 흡액층(213)에 있어서 표면 시트(211)에서 이면 시트(212) 측으로 향하여 오목하게 되는 복수의 오목형부(260)와, 복수의 오목형부(260)를 둘러싸도록 비연속적으로 환상으로 연장되는 압착 줄홈(270)을 갖는다. 오목형부(260)는 바닥을 가지며, 평면에서 봤을 때, 세로 방향(Y) 및 가로 방향(X)에 있어서 서로 이격하여 위치하고 있다. 오목형부(260)는, 도시한 양태 이외에, 원형, 타원형, 삼각형, 직사각형 등의 각종 공지된 형상을 갖는다.
오목형부(260)는 예컨대 가압 가열 처리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공지된 엠보스 가공에 있어서, 표면 시트(211) 측에서 엠보스 핀을 꽉 눌러 표면 시트(211)와 함께 흡수체(220)를 압축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흡수체(220) 중의 오목형부(260)가 위치하는 박육 부분(261)은, 그 주변에 위치하는 오목형부(260)가 위치하지 않은 후육 부분(262)과 비교하여 섬유 밀도가 높게 되어 있다. 코어 커버 시트(222)는, 복수의 고리그닌 영역(252)을 가짐으로써 비교적 체액의 확산성이 낮아, 흡액성 코어(221) 전체로 체액을 확산하여 흡수시킬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액성 코어(221)의 내부까지 연장되는 복수의 오목형부(260)를 가짐으로써, 체액을 오목형부(260)에 직접 체류시킬 수 있으며, 표면 시트(211) 및 코어 커버 시트(222)를 통해 경혈에 간접적으로 접하는 흡액성 코어(221)의 표면적이 커져, 흡액성 코어(221)에 있어서 양 시트(211, 222)를 통해 빠르게 경혈을 흡수,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오목형부(260)가 위치하는 박육 부분(261)은 후육 부분(262)에 비해서 섬유 밀도가 높으므로, 오목형부(260)에 고인 체액을 보다 빠르게 아래쪽으로 끌어들여 흡수, 유지할 수 있다.
도 20(b)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210)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도 20(a)와 같은 식의 단면도이다.
도 20(b)을 참조하면, 본 변형예에 따른 오목형부(260)는, 흡액층(213)을 두께 방향(Z)으로 관통하는 개구로 형성된다. 오목형부(260)의 바닥면에는 불투액성의 이면 시트(212)가 위치하므로, 관통 개구에 고인 체액은 외부로 새어나가는 일은 없으며, 개구의 둘레면의 벽으로부터 흡수체(220)에 흡수, 유지된다.
<제2 발명의 제3 실시형태>
도 21은 제2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사용예의 일례를 도시하는 것이며, 본 사용예에서는, 흡수체(220)는 일회용 기저귀(흡수성 물품)(280)에 사용되고 있다. 일회용 기저귀(280)는, 전후방 허리 패널(284, 285)의 양 옆가장자리부를 접합하는 사이드 시임을 박리하여,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펼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일회용 기저귀(280)는, 전방 허리 영역(281)과 후방 허리 영역(282)과 전후방 허리 영역(281, 282) 사이에 위치하는 크로치 영역(283)을 갖는다. 또한, 기저귀(280)는, 전방 허리 영역(281)과 크로치 영역(283)의 일부를 정의하는 전방 허리 패널(284)과, 후방 허리 영역(282)과 크로치 영역(283)의 일부를 정의하는 후방 허리 패널(285)과, 전후방 허리 패널(284, 285)의 피부 대향면 측에 있어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흡액 구조체(286)를 구비하고, 전후방 허리 패널(284, 285)의 양 옆가장자리부끼리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세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배치된 복수의 시임부를 통해 서로 접합됨으로써, 허리 개구와 한 쌍의 다리 개구가 정의된다. 흡수체(220)는, 흡액 구조체(286) 내에 있어서 크로치 영역(283)에서 전후방 허리 영역(281, 282)으로 연장되어 있다.
기저귀(280)는, 미리 전후방 허리 영역(281, 282)의 양 옆가장자리부가 접합된 소위 팬츠형이며, 생리용 냅킨(210)과 마찬가지로, 흡수체(220)는 흡액성 코어(221)와 그것을 피복하는 코어 커버 시트(222)로 구성되어 있고, 코어 커버 시트(222)는, 저리그닌 영역(251)을 포함하는 주변 영역과, 주변 영역에 산재하는 복수의 고리그닌 영역(252)을 포함한다. 흡수체(220)는, 코어 커버 시트(222)의 옅은 다색이 기저귀(280)의 내면 및/또는 외면에서 봤을 때 투시됨으로써, 천연 재료를 사용한 내츄럴한 느낌의 제품 이미지를 줌과 더불어 항균성이 우수하고, 배뇨나 무른변 등의 체액을 코어 커버 시트(222)에서 흡액성 코어(221)로 빠르게 이행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으로서는, 팬츠형 기저귀뿐만 아니라, 개방형 기저귀라도 좋다.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표면 시트(211)와 코어 커버 시트(222)의 사이에는, 부피가 크고 쿠션성이 우수한 별체의 시트를 배치하여도 좋다. 별체의 시트는 표면 시트(211)와 접합되므로, 실질적으로 표면 시트(211)의 일부라고도 말할 수 있다.
또한, 코어 커버 시트(222)를 2장의 섬유 부직포 시트로 구성하여, 피부 대향면에 위치하는 코어 커버 시트에, 상술한 표백 펄프 섬유(241)와 미표백 펄프 섬유(242)를 포함하는 시트를 이용하고, 피부 비대향면에 위치하는 코어 커버 시트에, 표백 펄프 섬유(241)만을 포함하는 시트를 이용하여도 좋다. 이러한 냅킨이라면, 피부 대향면에서 시인하면 흡수체(220)가 옅은 다색이고, 피부 비대향면에서 시인하면 흡수체(220)가 백색이다. 따라서, 복수의 냅킨을 갖는 포장체의 개구를 피부 비대향면 측에 형성하면, 사용자에게 청결감 있는 물품이라는 인상을 줄 수 있는 한편, 포장체의 개구를 피부 대향면 측에 형성하면, 사용자에게 천연 재료를 사용한 피부에 순한 물품이라는 이미지를 줄 수 있다.
위에 개시한 본 발명의 복수의 실시형태는 분리하거나 또는 서로 조합하여 채택할 수 있다.
흡수성 물품(210, 280)을 구성하는 각 구성 부재에는, 특별히 명기되어 있지 않은 한,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재료 이외에, 이런 종류의 분야에서 통상 이용되고 있는 각종 공지된 재료를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고 있는, 「제1」 및 「제2」의 용어는, 같은 요소, 위치 등을 단순히 구별하기 위해서 이용하고 있다.
<제3 발명>
<제3 발명의 제1 실시형태>
하기 제3 발명의 실시형태는 첨부 도면에 도시하는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며, 발명의 불가결한 구성뿐만 아니라, 선택적 및 바람직한 구성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일례인 생리용 냅킨(310)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생리용 냅킨(310)은 세로 방향(Y)과 가로 방향(X)과 두께 방향(Z)을 갖는다.
도 22∼도 24를 참조하면, 생리용 냅킨(310)은, 그 폭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를 2등분하는 세로 중심선(P) 및 그 길이 치수에 있어서의 치수를 2등분하는 가로 중심선(Q)을 가지며, 피부 대향면(내면) 측 및 그 반대쪽의 피부 비대향면(외면) 측과, 볼록하게 구부러진 형상의 제1 및 제2 끝가장자리(310a, 310b)와, 가로 중심선(Q)이 위치하는 중앙부에 있어서 볼록하게 구부러진 제1 및 제2 옆가장자리(310c, 310d)와, 피부 대향면 측에 위치하는 투액성의 표면 시트(311)와, 피부 비대향면 측에 위치하는 불투액성의 이면 시트(312)와, 이들 양 시트(311, 312) 사이에 위치하는 흡액성의 흡수체(320)를 포함한다. 표면 시트(311)와 흡수체(320)는 핫멜트 접착제 등의 공지된 접합 수단에 의해서 서로 접합되어, 흡액층(313)이 형성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생리용 냅킨(310)의 유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표면 시트(311)와 흡수체(320)의 사이에 비교적 부피가 큰 섬유 부직포 제조의 중간 시트를 배치하여도 좋다. 또한, 흡수체(320)와 이면 시트(312)의 사이에서, 체액이 새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통기성을 갖는, 불투액성의 섬유 부직포 또는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하는 샘방지 시트를 배치하여도 좋다.
흡수체(320)는, 제1 끝가장자리(310a)와 대향하는 제1 끝가장자리(320a)와 제2 끝가장자리(310b)와 대향하는 제2 끝가장자리(320b)와, 제1 및 제2 끝가장자리(320a, 320b) 사이에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옆가장자리(320c, 320d)를 갖는다. 표리면 시트(311, 312)는, 흡수체(320)의 외주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나오고, 표면 시트(311)의 피부 대향면 측에는, 가로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도록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사이드 시트(314)가 배치된다. 한 쌍의 사이드 시트(314)는, 표면 시트(311)에 공지된 접착 수단 또는 용착 수단을 포함하는 사이드 접합부(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접합된다. 도시하지 않지만, 사이드 시트(314)에는, 착용 상태에서 신체 측으로 기립하는 샘방지 벽을 형성하기 위해서,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탄성 재료를 신장 상태로 수축 가능하게 배치하여도 좋다. 또한, 사이드 시트(314)를 고정하기 위한 사이드 접합부는, 꽃무늬나 기하학 모양 등의 의장 요소를 갖는,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시일 라인이라도 좋다.
생리용 냅킨(310)은, 표면 시트(311), 이면 시트(312) 및 사이드 시트(314)로 형성된, 흡수체(320)의 제1 및 제2 끝가장자리(320a, 320b)의 세로 방향(Y) 외측에 있어서 가로 방향(X)으로 연장되는 양 단부(316)와, 흡수체(320)의 제1 및 제2 옆가장자리(320c, 320d)의 가로 방향(X) 외측에 있어서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양 옆가장자리부(317)를 갖는다. 생리용 냅킨(310)의 세로 방향(Y)의 중앙 부분에는, 가로 방향(X) 외측으로 볼록하게 되는, 양 옆가장자리부(317)의 일부에 의해서 형성된 윙부(318)가 위치한다. 또한, 서로 적층된 시트(311, 312, 314)는, 생리용 냅킨(310)의 외주 가장자리를 따라서 위치하는 외주 시일부(319)를 통해 서로 접합되어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생리용 냅킨(310)의 이면 측에는 복수의 고정 부착 영역(330)이 배치된다. 복수의 고정 부착 영역(330)은 생리용 냅킨(310)을 속옷 등의 피복에 고정 부착하기 위한 것이며,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라인형으로 도포된 점착제나 감압성 접착제로 형성된다. 고정 부착 영역(330)은, 흡수체(320)와 겹치는 영역에 있어서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중앙 영역(331)과, 윙부(318)에 위치하는 사이드 영역(332)을 갖는다. 고정 부착 영역(330)은 플라스틱 필름 제조의 세퍼레이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피복된다.
표면 시트(311)는, 투액성을 갖는 각종 섬유 부직포, 예컨대 질량 약 15∼45 g/㎡의 에어스루 섬유 부직포, 다공 플라스틱 필름, 이들의 라미네이트 시트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면 시트(312)는, 불투액성 및 투습성의 플라스틱 필름, 불투액성의 섬유 부직포, 이들의 라미네이트 시트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사이드 시트(314)에는 표면 시트(311)와 같은 시트재를 이용할 수 있다. 단, 체액이 옆으로 새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서는, 소수성 혹은 발수성을 갖는 시트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시트(311)로서, 표면 측이 요철형을 갖는 시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시트의 표면은, 세로 방향(Y) 또는 가로 방향(X)으로 교대로 배치된 복수 라인의 오목부와 복수 라인의 볼록부로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복수 라인의 볼록부와 오목부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섬유량을 컨트롤하여 부피가 적은 부분과 부피가 큰 부분을 형성하는 방법, 엠보스/데보스 가공에 의해서 오목부를 형성하는 방법, 요철형으로 부형하는 방법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볼록부와 오목부는, 서로 섬유 밀도가 다르게, 한쪽이 성기고 다른 쪽이 빽빽하게 되도록 섬유가 배치되어 있다. 섬유가 성기게 배치된 부분(제1 부분)과 후기하는 코어 커버 시트(322)의 고리그닌 영역(352)이 접합됨으로써 접합 강도가 보다 높아지는 한편, 섬유가 빽빽하게 배치된 부분(제2 부분)과 저리그닌 영역(351)이 접합됨으로써 흡액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비교적 단시간에 반복하여 경혈이 배설된 경우라도, 오목부에 경혈을 일시적으로 고이게 함으로써, 표면 시트(311)의 표면 및 표면 시트(311)와 코어 커버 시트(322)의 사이에서 경혈이 옆으로 새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표면 시트(311)의 오목부의 일부는, 압착 줄홈을 형성하는 압착부나 엠보스 가공에 의해서 형성된 압축 오목부 등에 의해서 실질적으로(연속적 또는 비연속적으로) 둘러싸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오목부에 고인 체액이 가로 방향(X) 및 세로 방향(Y)으로 새어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아울러, 표면 시트의 표면이 요철형인 경우에는, 표면에서 봤을 때, 옅은 다색의 코어 커버 시트(322)가 오목부에 있어서 볼록부와 비교하여 짙게 시인되므로, 색의 그라데이션에 의한 장식적 효과를 생기게 한다.
외주 시일부(319)는, 접착제에 의한 접합, 초음파 용착, 열 용착, 레이저 용착, 고주파 용착 등의 공지된 용착 수단에 의한 접합 및 엠보스 가공에 의한 접합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행할 수 있다. 또한, 두께 방향(Z)에서 적층된 시트(311, 312, 314)는,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제를 통해 서로 접합된다. 핫멜트 접착제의 도공 방법으로서는, 스파이럴 도공, 코터 도공, 커튼 코터 도공, 스프레이 도공 등의 각종 공지된 도공 방법을 들 수 있다.
도 24, 도 25를 참조하면, 흡수체(320)는, 초흡수성 폴리머 입자(SAP)와 플러프 목재 펄프, 레이온 섬유 등의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혼합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부형한 흡액성 코어(321)와, 그 보형성 및 액확산성의 향상을 위해서 흡액성 코어(321) 전체를 포피하는 투액성의 코어 커버 시트(322)를 갖는다.
코어 커버 시트(322)는, 세로 방향(Y)의 치수가 흡액성 코어의 세로 방향(Y)의 치수보다도 크고, 그 양 옆가장자리부(322a, 322b)는, 흡액성 코어(321) 전체를 포피하도록 흡액성 코어(321)의 가로 방향(X) 중앙 부분에 있어서의 바닥면 측에서 서로 겹치게 위치한다. 양 옆가장자리부(322a, 322b)가 서로 접혀 포개어짐으로써, 흡수체(320)의 가로 방향(X)의 중앙 부분에는,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양 옆가장자리부(322a, 322b)끼리 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중첩 부분(323)이 형성된다.
코어 커버 시트(322)는, 흡액성 코어(321)의 피부 대향면 측을 피복하는 제1 피복부(325)와, 흡액성 코어(321)의 피부 비대향면 측을 피복하는 제2 피복부(326)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코어 커버 시트(322)는 1장의 연속되는 시트로 형성되어 있지만, 제1 피복부(325)를 형성하는 제1 코어 커버 시트와, 제1 코어 커버 시트는 별체이며 제2 피복부(326)를 형성하는 제2 코어 커버 시트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 26을 참조하면, 코어 커버 시트(322)는, 각종 공지된 섬유 부직포 또는 티슈로 형성되어 있으며, 주로 펄프 섬유(340)로 구성되어 있다. 코어 커버 시트(322)의 펄프 섬유(340)는, 탈리그닌 처리가 이루어진 표백 펄프 섬유(341)와, 탈리그닌 처리가 되어 있지 않은 미표백 펄프 섬유(342)를 갖는다. 여기서 펄프 섬유(340)는, 침엽수 또는 활엽수를 원료로 하여 얻어지는 목재 펄프 섬유 이외에, 린터, 마닐라삼, 양마, 짚, 대나무, 바나나를 원재료로 하는 비목재 펄프 섬유를 포함한다.
또한, 코어 커버 시트(322)는, 예컨대 레이온 섬유 등의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 반합성 셀룰로오스 섬유 등의 친수성 섬유로 구성된 제1 층(상층 또는 하층)과, 탈리그닌 처리가 되어 있지 않은 미표백 펄프 섬유(342)를 포함하는 제2 층(하층 또는 상층)을 포함하는 복층 구조를 갖고 있어도 좋다. 이러한 경우에는, 후기하는 것과 같이, 제2 층이 저리그닌 영역(351)과 고리그닌 영역(352)을 포함하는 해도 구조를 갖는 경우라도, 제1 층에 있어서 체액을 충분히 확산할 수 있기 때문에, 코어 커버 시트(322) 전체에 있어서의 체액 확산의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여러 번에 걸쳐 체액을 흡수한 후라도, 표면 시트(311)와의 접합성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음과 더불어, 적합한 흡액성을 유지할 수 있다.
펄프 섬유(340)는, 일반적으로 원료 칩 처리 공정을 거친 후에, 원료 칩에 약품을 가하여 고온·고압 하에서 펄펄 끓여 리그닌을 증해하는 증해 공정(탈리그닌 처리의 제1 단계), 펄프 중의 이물을 제거하는 스크린 공정, 증해 공정에서 잔존한 리그닌을 산소로 분해하는 산소 노출 공정(탈리그닌 처리의 제2 단계), 복수 종류의 약품을 사용하여 펄프를 표백하는 표백 공정을 거침으로써, 표백된 표백 펄프 섬유(341)로 된다. 미표백 펄프 섬유(342)는, 이들 각 공정 중, 탈리그닌 처리의 제1 단계인 증해 공정과 스크린 공정만을 거친 것으로, 일정 정도의 탈리그닌 처리가 실시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표백 펄프 섬유(342)의 리그닌 함유율은 0.2∼10.0%이다.
미표백 펄프 섬유(342)의 리그닌 함유율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서 측정했다.
<리그닌 함유율의 측정 방법>
ADF의 정량
시약: 산성 디터전트 용액<세틸트리메틸암모늄브로미드(헥사데실트리메틸암모늄브로미드) 10 g을 500 mL의 1 N 황산에 녹인 것>
아세톤
소포제로서 데카히드로나프탈렌(옵션)
<측정 수순>
샘플 300 g을 칭량하여, 50 mL 삼각플라스크에 넣고, 산성 디터전트 용액을 30 mL 가했다. 알루미늄 호일로 뚜껑을 덮고, 끓는 물 중에 삼각플라스크를 넣어, 60분간 분해했다. 분해 후, 유리 섬유 여과지(GA-200)를 깐 구치 도가니로 옮겨 흡인 여과하고, 잔사를 열수와 아세톤으로 세척했다. 바람에 말린 후, 열건조했다. 또한, 건조 후 항량하여, 회분을 뺀 것의 무게가 ADF이지만, 리그닌 정량 후의 회분을 이것에 이용할 수는 없다.
리그닌 정량
시약: 72% 황산
<측정 수순>
위에서 건조시킨 구치 도가니에 72% 황산을 여러 방울 늘어뜨려 전체를 적신 후, ADF량의 약 2배의 황산을 가하고, 1시간마다 황산을 적절하게 가하면서 3-4시간 방치했다. 그 후 흡인 여과하고, 열수로 노액이 산성을 보이지 않을 때까지 세척했다. 바람에 말린 후, 열건조하여 항량한다. 구치 도가니를 550℃로 회화하여, 회분을 구했다.
코어 커버 시트(322)의 제1 피복부(325)는, 비교적 리그닌 성분의 함유율이 낮은 저리그닌 영역(리그닌 저함유 영역)(351)과, 저리그닌 영역(351)보다도 리그닌 성분의 함유율이 높은 고리그닌 영역(리그닌 고함유 영역)(352)을 갖는다. 저리그닌 영역(351)은 주로 표백 펄프 섬유(341)가 집합하여 형성되어 있고, 고리그닌 영역(352)은 주로 미표백 펄프 섬유(342)가 집합하여 형성되어 있다. 코어 커버 시트(322)의 제1 피복부(325)의 평면에서 봤을 때, 저리그닌 영역(351)은 비교적 코어 커버 시트(322)의 외표면의 넓은 범위에 위치하는 주변 영역인 데 대하여, 고리그닌 영역(352)은 저리그닌 영역(351)에 대하여 산재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배치 양태를 가지므로, 코어 커버 시트(322) 전체 또는 적어도 제1 피복부(325)는, 저리그닌 영역(351)을 바다, 고리그닌 영역(352)을 섬으로 하는 해도 구조를 갖는다고도 말할 수 있다.
코어 커버 시트(322)는, 복수의 고리그닌 영역(352)을 가지므로, 전체적으로 목재 등의 식물 원료 유래의 옅은 다색을 갖는다. 코어 커버 시트(322) 이외의 다른 시트(311, 312, 314)는, 구성 섬유에 이산화티탄 등의 백색 안료를 이겨 넣음으로써 전체적으로 백색을 가지므로, 코어 커버 시트(322)는, 생리용 냅킨(310)의 표면 및/또는 이면에서 봤을 때, 다른 시트(311, 312, 314)로부터 투과하여 용이하게 시인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코어 커버 시트(322)는, 그 초지 공정에 있어서, 표백 펄프 섬유(341)와 미표백 펄프 섬유(342)의 혼합물을 얽히게 하여 시트형으로 형성한 것이며, 저리그닌 영역(351)은 주로 표백 펄프 섬유(341), 고리그닌 영역(352)은 주로 미표백 펄프 섬유(342)가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양 영역(351, 352)의 경계는 불명료한 것이며,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또한, 이와 같이 코어 커버 시트(322)의 외표면 전체에 있어서, 저리그닌 영역(351) 내에 고리그닌 영역(352)을 산재하게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각 펄프 섬유(341, 342)의 혼합 방법, 혼합율, 제조 시의 반송 컨베이어의 반송 속도, 컨베이어 상에 복수의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공기를 통해 펄프 섬유(340)를 퇴적시킬 때의 노즐 직경, 분무 공기의 풍량, 풍속 등을 적절하게 조정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제반 조건을 조정함으로써 양 영역(351, 352)을 형성하는 것이므로, 저리그닌 영역(351)의 일부에 미표백 펄프 섬유(342), 고리그닌 영역(352)에 표백 펄프 섬유(341)가 각각 포함되는 경우도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저리그닌 영역(351)과 고리그닌 영역(352)은, 각각 표백 펄프 섬유(341), 미표백 펄프 섬유(342)만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또한 펄프 섬유 이외의 다른 섬유를 포함하는 경우도 있으며, 예컨대 저리그닌 영역(351)에 있어서의 펄프 섬유 중 표백 펄프 섬유(341)의 함유율은 50∼100%, 고리그닌 영역(352)의 펄프 섬유 중 미표백 펄프 섬유(342)의 함유율은 50∼100%이다.
고리그닌 영역(352)은, 코어 커버 시트(322)에 있어서의 주변 영역인 저리그닌 영역(351)보다도 리그닌 성분의 함유량이 높은 영역을 의미하므로, 표백 펄프 섬유(341)와 미표백 펄프 섬유(342)를 혼재한 시트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레이온 섬유나 합성 섬유를 포함하는 섬유 부직포 시트에 리그닌 성분 함유액을 산점적으로 스며들게 함으로써, 주변 영역보다도 리그닌 성분의 함유량이 높은 고리그닌 영역(352)을 형성할 수 있다.
코어 커버 시트(322)는, 주로 미표백 펄프 섬유(342)를 포함하는 복수의 고리그닌 영역(352)을 가지므로, 미표백 펄프 섬유만을 포함하는 코어 커버 시트를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표면에서 봤을 때, 식물 원료 유래의 옅은 다색(나무색)을 가져, 착용자 또는 착용 보조자에 대하여, 천연 재료를 사용한 피부에 순한 제품이라는 이미지를 줄 수 있다. 또한, 코어 커버 시트(322)가 옅은 다색을 가지므로, 배설된 경혈이 표면 시트(311)를 투과하여, 흡수체(320)에 흡수, 유지되었을 때에, 경혈의 붉은 빛이 억제된다. 이로써, 경혈을 직접적으로 시인함으로 인한 혐오감을 억제함과 더불어, 예컨대 월경 초기의 착용자 등에 대하여, 경혈의 붉은 빛을 시인함으로 인한 정신적인 불안을 누그러트릴 수 있다. 아울러, 리그닌 성분은 항균 작용을 가지므로, 사용 후의 잡균의 번식을 억제하여 위생적으로 폐기 처리할 수 있다.
코어 커버 시트(322)가 이러한 내츄럴한 외관, 경혈의 붉은 빛의 억제 및 일정한 항균 작용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코어 커버 시트(322)의 리그닌 성분의 함유율은 0.2∼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코어 커버 시트(322)의 리그닌 성분의 함유율이 0.2% 미만인 경우에는, 코어 커버 시트(322)의 옅은 다색의 색감이 백색을 갖는 다른 시트(311, 312, 314)와 시각상 구별할 수 없을 정도로 희미해질 우려가 있다. 한편, 코어 커버 시트(322)의 리그닌 성분의 함유율이 10%를 넘는 경우에는, 리그닌 성분에 의한 색감이 짙어져, 천연 재료에 의한 내츄럴한 외관을 해칠 우려가 있음과 더불어, 경혈의 붉은 빛이 시인되기 어렵게 되어 경혈량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통상 코어 커버 시트는, 흡액성 코어의 보형 이외에, 표면 시트를 투과한 체액을 흡수, 확산하면서 흡액성 코어로 이행시키는 역할을 갖는 것이므로, 친수성의 시트가 적합하게 사용되고 있다. 고리그닌 영역(352)의 미표백 펄프 섬유(342)는, 리그닌 성분을 많이 포함함으로써 친수 정도가 낮아, 비교적 소수성이라고 말할 수 있으므로, 예컨대 제1 피복부(325) 전체가 고리그닌 영역(352)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표면 시트(311)를 투과한 경혈이 고리그닌 영역(352)에서 흡수, 유지할 수 없어, 빠르게 경혈을 흡액성 코어(321)로 이행시킬 수 없다.
도 27을 참조하면, 코어 커버 시트(322)의 제1 피복부(325)는, 저리그닌 영역(351)과 그 주변에 산재하는 복수의 고리그닌 영역(352)을 가지므로, 단면에서 봤을 때, 이들 양 영역(351, 352)이 가로 방향(X)으로 교대로 나타나고 있다. 고리그닌 영역(352)은 저리그닌 영역(351) 내에 산재하여 배치되어 있으므로, 가로 방향(X)뿐만 아니라, 세로 방향(Y)에서도 저리그닌 영역(351)과 고리그닌 영역(352)은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피복부(325)의 단면에서 봤을 때, 저리그닌 영역(351)과 고리그닌 영역(352)이 가로 방향(X) 및 세로 방향(Y)으로 교대로 위치함으로써, 표면 시트(311)를 투과한 경혈을 친수성의 저리그닌 영역(351)에 있어서 끌어들이게 하여 빠르게 흡액성 코어(321)로 이행하여, 흡수, 유지하게 할 수 있어, 소요의 흡수 속도를 갖는다.
또한, 친수성의 저리그닌 영역(351)에서는, 경혈을 흡수하여 표백 펄프 섬유가 팽윤함으로써, 표면 시트(311)와 코어 커버 시트(322)의 핫멜트 접착제를 통한 접합 계면에 있어서 접합 부분이 박리되어 접합 강도가 저하할 우려가 있다. 한편, 고리그닌 영역(352)은 저리그닌 영역(351)보다도 친수성이 낮아, 소수성이므로, 경혈을 흡수하여 팽윤하기 어려워, 접합 부분이 박리되는 일이 없고, 코어 커버 시트(322)와 표면 시트(311)의 접합 계면에 있어서의 접합 강도가 저리그닌 영역(351)과 비교하여 높아진다.
따라서, 코어 커버 시트(322) 전체가 저리그닌 영역(351)으로 형성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코어 커버 시트(322)와 표면 시트(311)의 접합 강도가 높아져, 착용 중에 표면 시트(311)가 흡수체(320)로부터 박리되거나 들뜨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양 시트(311, 322)의 접합 강도를 올리기 위해서 접착제량을 늘리는 경우에는, 시트 강성이 높아져 유연성 및 투액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지만, 이러한 불이익을 일으키는 일이 없다.
아울러, 흡액성 코어(321)는 주로 SAP 입자와 표백 처리한 플러프 펄프를 포함하고, 옵션으로서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갖는 경우가 있지만, 미표백 펄프 섬유(342)를 포함하는 것은 아니며, 코어 커버 시트(322)와 비교하여 리그닌 함유량이 낮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표면 시트(311)를 투과하여 코어 커버 시트(322)에 흡수, 확산된 경혈은, 코어 커버 시트(322)와 비교하여 친수 정도가 높은 흡액성 코어(321)에 끌려들어가는 식으로 빠르게 이행되기 쉽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코어 커버 시트(322)에 있어서 저리그닌 영역(351)에 산재하도록 복수의 고리그닌 영역(352)이 위치함으로써, 내츄럴한 외관을 가짐과 더불어, 경혈의 은폐성이나 항균성이 우수하며, 또한 코어 커버 시트(322)와 표면 시트(311)의 적절한 접합 강도와 흡액성을 갖는다.
또한, 흡액성 코어(321)는 SAP 입자만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경우에는, 흡수체(320)는 SAP 입자만을 포함하는 흡액성 코어(321)와 그것을 포피하는 코어 커버 시트(322)로 구성된다. 코어 커버 시트(322)가 저리그닌 영역(351)을 가짐으로써 액유지성이 비교적 낮은 한편, 흡액성 코어(321)가 높은 흡액 용량을 갖는 SAP 입자만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흡수체(320) 전체적으로 적절한 흡액성을 발휘할 수 있다.
저리그닌 영역(351)과 고리그닌 영역(352)은, 표백 펄프 섬유(341)와 미표백 펄프 섬유(342)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서로의 경계 라인의 형상이 불명료하여, 평면에서 봤을 때는 적어도 직선형이 아니라 파상을 갖는다. 따라서, 저리그닌 영역(351)과 고리그닌 영역(352)의 경계 근방의 단위폭(예컨대 1.0 mm) 당, 저리그닌 영역(351)에 의한 소요의 흡수 면적을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도 24를 참조하면, 흡수체(320)의 가로 방향(X)의 중앙 부분에는, 코어 커버 시트(322)의 양 옆가장자리부(322a, 322b)가 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중첩 부분(323)이 위치하고 있다. 중첩 부분(323)은 코어 커버 시트(322)가 접혀 포개어져 있는 부분이므로, 흡수체(320)의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미표백 펄프 섬유에 의한 옅은 다색이 보다 짙게 시인되어, 외관에서 봤을 때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라인으로서 의장적인 액센트가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라인을 흡수체(320)의 중앙 부분을 나타내는 표시로서 파악하여, 생리용 냅킨(310)을 속옷 등에 붙일 때의 위치 결정에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흡액성 코어(321)가 다량의 경혈을 흡수하여 그 양 끝가장자리로부터 경혈이 스며나오는 경우라도, 그 양 끝가장자리의 세로 방향(Y) 외측에 소수성의 고리그닌 영역(352)을 비교적 많이 포함한 중첩 부분(323)이 위치함으로써, 경혈이 흡수체(320)의 양 옆가장자리부(320a, 320b)에서 외측으로 스며나오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코어 커버 시트(322)의 포메이션 지수는 50∼3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코어 커버 시트(322)의 포메이션 지수가 50 미만이면, 펄프 섬유가 고밀 또한 균일하게 배치됨으로써 투액성이 저하하여, 빠르게 경혈을 흡액성 코어(321)로 이행시킬 수 없다. 한편, 포메이션 지수가 300을 넘는 경우에는, 극도로 포메이션이 나쁜 부분이 형성되어 인장 강도가 저하하여, 사용 중에 일부가 파단될 우려가 있다.
<포메이션 지수의 측정 방법>
코어 커버 시트(322)의 포메이션 지수는 노무라쇼지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포메이션 테스터 FMT-MIII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측정 면적은 250 mm×180 mm, 측정 시간은 3초/샘플이며, 3장의 샘플의 표면 양면의 포메이션 지수를 측정하여, 그 평균치를 측정치로 했다. 포메이션 지수는 측정치가 작을수록 포메이션 불균일이 적음을 의미한다.
미표백 펄프 섬유(342)는 표백 펄프 섬유(341)와 비교하여 강성이 높으므로, 코어 커버 시트가 미표백 펄프 섬유(342)만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비교적 유연성이 낮아져, 표면 시트(311)의 움직임에 추종할 수 없어, 코어 커버 시트가 표면 시트(311)로부터 박리될 우려가 있지만, 고리그닌 영역(352)이 저리그닌 영역(351)에 산재함으로써 크게 유연성을 해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코어 커버 시트(322)는 소요의 유연성을 가지며, 구체적으로는 코어 커버 시트(322)의 크레이프 비율은 7∼20%이다. 코어 커버 시트(322)의 크레이프 비율이 7% 미만인 경우에는, 코어 커버 시트(322)의 강성이 비교적 높아져 표면 시트(311)의 움직임에 추종할 수 없고, 한편 크레이프 비율이 20%를 넘는 경우에는, 코어 커버 시트(322)가 지나치게 유연하게 되어, 제조 중이나 사용 중에 시트 찢어짐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크레이프 비율의 측정 방법>
코어 커버 시트(322)의 크레이프 비율은 수중신도법에 의해 측정했다. 코어 커버 시트(322)를 100 mm×100 mm로 절단하여 측정 시료를 제작하고, 측정 시료를 수중에 10초간 침지한 후 끌어올려, 치수의 변화량으로부터 다음 식에 의해 크레이프 비율을 산출한다. 측정은 3회 행하여(n=3), 평균치를 측정치로 한다.
크레이프 비율(%)={(물에 침지한 후의 치수)/(물에 침지하기 전의 치수)-1}×100
표면 시트(311)에는, 코튼 섬유(오가닉 코튼을 포함한다)를 포함하는 친수성의 시트를 이용할 수 있다. 표면 시트(311)로서 이러한 시트를 이용한 경우에는, 쿠션성, 촉감성 및 흡액성이 우수하다. 또한, 코튼 섬유를 포함하는 표면 시트(311)와 고리그닌 영역(352)을 갖는 코어 커버 시트(322)에 의해서 흡액층을 형성함으로써, 코어 커버 시트(322)에서는 구성 섬유의 액유지성이 비교적 작은 한편, 표면 시트는 높은 흡습성을 갖기 때문에, 흡수체(320) 내의 습기를 표면 시트(311)에서 흡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생리용 냅킨과 신체 사이에서의 습기의 발생을 억제하여, 내부의 후덥지근함을 억제할 수 있다.
단, 코어 커버 시트의 클렘 흡수도는, 코튼 섬유를 포함하는 표면 시트(311)의 클렘 흡수도보다도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코어 커버 시트(322)의 클렘 흡수도가 그 피부 대향면 측에 위치하는 표면 시트(311)의 클렘 흡수도보다도 높음으로써, 표면 시트(311)에 있어서 흡수, 확산된 경혈을 코어 커버 시트(322)가 끌어들이는 식으로 흡수하여 빠르게 흡액성 코어(321)로 이행시킬 수 있어, 표면 시트(311) 상의 액 잔류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클렘 흡수도의 측정 방법>
코어 커버 시트(322)의 클렘 흡수도의 측정은 클렘 흡수 시험(JIS-L1907, P8141)에 준거하여 행했다. 측정 기구로서, 자, 스톱워치, 플라스틱 용기 및 인공뇨(청색 1호로 착색)를 이용했다. 코어 커버 시트(322)로부터 폭 25 mm, 길이 150 mm의 크기로 잘라낸 시트를 샘플(N=3)로 했다. 우선, 인공뇨를 플라스틱 용기에 인공뇨의 깊이가 10 mm 이상이 될 때까지 넣었다. 이어서, 채취한 시험편을 고정 척으로 고정하여, 샘플 선단으로부터 5 mm의 깊이로 인공뇨에 잠기도록 셋트했다. 이것을 그대로의 상태로 120초 방치했다(환경: 온도 20℃/습도 60%). 인공뇨가 샘플을 따라서 상승하여, 샘플 상에서의 빨려올라가는 거리를 인공뇨의 표면에서 측정했다. 빨려올라가는 거리가 긴 쪽이 클렘 흡수도가 높음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표면 시트로서 코튼 섬유를 포함하는 시트, 그 하층에 위치하는 코어 커버 시트로서 주로 표백 펄프 섬유를 포함하는 티슈를 사용한 경우에는, 모두 액유지성이 높으므로, 빠르게 흡액성 코어로 경혈을 이행시킬 수 없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코어 커버 시트(322)가 고리그닌 영역(352)을 가짐으로써 전체적으로 액유지성이 낮아져, 경혈을 아래쪽으로 원활하게 이행시킬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표면 시트(311)는 복층 구조를 갖고 있어도 좋으며, 그 경우에는, 피부 대향면 측에 위치하는 층(상층)이 실질적으로 코튼 섬유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피부에 가까운 부분에서 코튼 섬유가 보다 효율적으로 습기를 흡습할 수 있다.
또한, 표면 시트(311)가 복층 구조를 가지고, 피부 대향면 측에 위치하는 층(상층)을 주로 코튼 섬유, 피부 비대향면 측에 위치하는 층(하층)을 주로 소수성의 합성 수지 섬유로 각각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표면 시트(311)가 피부 측에 흡수성의 코튼 섬유를 포함함에도 불구하고, 표면 시트(311)의 클렘 흡수도가 코어 커버 시트(322)의 클렘 흡수도보다도 낮아진다. 표면 시트(311)의 클렘 흡수도가 코어 커버 시트(322)의 클렘 흡수도보다도 낮아짐으로써, 생리용 냅킨(310)의 표면에서 체액을 확산시키지 않고, 그보다도 흡수체(320)에 가까운 코어 커버 시트(322)에서 체액을 확산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흡수체(320)에 흡수된 체액이 표면 측으로 회귀하는 것(리웨트백(rewet back))을 억제할 수 있다.
흡액성 코어(321)는, 이미 말한 것과 같이, 옵션으로서 코튼, 펄프 섬유 등의 셀룰로오스 섬유 이외에, 아세테이트 등의 반합성 셀룰로오스 섬유나 레이온 등의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갖는다. 코어 커버 시트(322)도 흡액성 코어(321)와 마찬가지로, 표백 펄프 섬유(341)와 미표백 펄프 섬유(342)를 포함하는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가지므로 친화성이 높아, 흡수체의 외곽에 위치하는 압착 줄홈 등에 있어서, 코어 커버 시트(322)와 흡액성 코어(321)가 서로 용착 되는 경우에는 접합 강도가 향상된다.
흡액성 코어(321)는, 활성탄이나 제올라이트 등으로 형성된, 경혈 등의 체액의 악취 흡착 기능을 갖는 복수의 기능성 입자를 갖고 있어도 좋다. 흡액성 코어(321)가 악취의 흡착성을 갖춤으로써, 코어 커버 시트(322)의 항균성과 맞물려, 보다 위생적이며 또한 청결하게 생리용 냅킨(310)을 사용, 폐기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코어 커버 시트(322) 전체에 있어서, 저리그닌 영역(351)을 포함하는 주변 영역에 산재하도록 복수의 고리그닌 영역(352)이 위치하므로, 코어 커버 시트(322) 중의 흡수체(320)의 피부 대향면 측을 피복하는 제1 피복부(325)뿐만 아니라, 흡수체(320)의 피부 비대향면 측을 피복하는 제2 피복부(326)에서도 복수의 고리그닌 영역(352)이 산재하고 있다. 따라서, 도 24에 도시하는 단면에서 봤을 때, 제2 피복부(326)에서도 저리그닌 영역(351)과 고리그닌 영역(352)이 가로 방향(X)으로 교대로 위치하고 있다.
고리그닌 영역(352)은 시트에 저리그닌 영역(351)과 비교하여 시트에 대한 접착 강도가 높다고 말할 수 있기 때문에, 고리그닌 영역(352)을 갖지 않는 통상의 코어 커버 시트를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이면 시트(312)와의 접합 강도가 우수하다. 따라서, 접합 강도를 올리기 위해서 접착제의 단위면적 당 질량을 높일 필요는 없으며, 접착제의 증가에 의해서 시트 강성이 높아져, 흡수체(320)에의 추종성이 저하하는 일도 없다.
<제3 발명의 제2 실시형태>
도 28은 제3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310)의 평면도, 도 29(a)는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24와 같은 식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310)의 기본 구성은 제1 실시형태의 그것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상이한 점에 관해서만 이하에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생리용 냅킨(310)은, 흡액층(313)에 있어서 표면 시트(311)에서 이면 시트(312) 측으로 향하여 오목하게 되는 복수의 오목형부(360)와, 복수의 오목형부(360)를 둘러싸도록 비연속적으로 환상으로 연장되는 압착 줄홈(370)을 갖는다. 오목형부(360)는 바닥을 가지며, 평면에서 봤을 때, 세로 방향(Y) 및 가로 방향(X)에 있어서 서로 이격하여 위치하고 있다. 오목형부(360)는, 도시한 양태 이외에, 원형, 타원형, 삼각형, 직사각형 등의 각종 공지된 형상을 갖는다.
오목형부(360)는 예컨대 가압 가열 처리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공지된 엠보스 가공에 있어서, 표면 시트(311) 측에서 엠보스 핀을 꽉 눌러 표면 시트(311)와 함께 흡수체(320)를 압축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흡수체(320) 중의 오목형부(360)가 위치하는 박육 부분(361)은, 그 주변에 위치하는 오목형부(360)가 위치하지 않는 후육 부분(362)과 비교하여 섬유 밀도가 높게 되어 있다. 코어 커버 시트(322)는, 복수의 고리그닌 영역(352)을 가짐으로써 비교적 체액의 확산성이 낮아, 흡액성 코어(321) 전체로 체액을 확산하여 흡수시킬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액성 코어(321)의 내부까지 연장되는 복수의 오목형부(360)를 가짐으로써, 체액을 오목형부(360)에 직접 체류시킬 수 있고, 표면 시트(311) 및 코어 커버 시트(322)를 통해 경혈에 간접적으로 접하는 흡액성 코어(321)의 표면적이 커져, 흡액성 코어(321)에 있어서 양 시트(311, 322)를 통해 빠르게 경혈을 흡수,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오목형부(360)가 위치하는 박육 부분(361)은 후육 부분(362)과 비교하여 섬유 밀도가 높으므로, 오목형부(360)에 고인 체액을 보다 빠르게 아래쪽으로 끌어들여 흡수, 유지할 수 있다.
도 29(b)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310)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도 29(a)와 같은 식의 단면도이다.
도 29(b)를 참조하면, 본 변형예에 따른 오목형부(360)는, 흡액층(313)을 두께 방향(Z)으로 관통하는 개구로 형성된다. 오목형부(360)의 바닥면에는 불투액성의 이면 시트(312)가 위치하므로, 관통 개구에 고인 체액은 외부로 새어나오는 일은 없으며, 개구의 둘레면의 벽으로부터 흡수체(320)에 흡수, 유지된다.
<제3 발명의 제3 실시형태>
도 30은 제3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사용예의 일례를 도시하는 것이며, 본 사용예에서는, 흡수체(320)는 일회용 기저귀(흡수성 물품)(380)에 사용되고 있다. 일회용 기저귀(380)는, 전후방 허리 패널(384, 385)의 양 옆가장자리부를 접합하는 사이드 시임을 박리하여,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펼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일회용 기저귀(380)는, 전방 허리 영역(381)과 후방 허리 영역(382)과 전후방 허리 영역(381, 382) 사이에 위치하는 크로치 영역(383)을 갖는다. 또한, 일회용 기저귀(380)는, 전방 허리 영역(381)과 크로치 영역(383)의 일부를 정의하는 전방 허리 패널(384)과, 후방 허리 영역(382)과 크로치 영역(383)의 일부를 정의하는 후방 허리 패널(385)과, 전후방 허리 패널(384, 385)의 피부 대향면 측에 있어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흡액 구조체(386)를 구비하고, 전후방 허리 패널(384, 385)의 양 옆가장자리부끼리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세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배치된 복수의 시임부를 통해 서로 접합됨으로써, 허리 개구와 한 쌍의 다리 개구가 정의된다. 흡수체(320)는, 흡액 구조체(386) 내에 있어서 크로치 영역(383)에서 전후방 허리 영역(381, 382)으로 연장되어 있다.
일회용 기저귀(380)는, 미리 전후방 허리 영역(381, 382)의 양 옆가장자리부가 접합된 소위 팬츠형이며, 생리용 냅킨(310)과 마찬가지로, 흡수체(320)는 흡액성 코어(321)와 그것을 피복하는 코어 커버 시트(322)로 구성되어 있고, 코어 커버 시트(322)는, 저리그닌 영역(351)을 포함하는 주변 영역과, 주변 영역에 산재하는 복수의 고리그닌 영역(352)을 포함한다. 흡수체(320)는, 코어 커버 시트(322)의 옅은 다색이 일회용 기저귀(380)의 내면 및/또는 외면에서 봤을 때 투시됨으로써, 천연 재료를 사용한 내츄럴한 느낌의 제품 이미지를 줌과 더불어 항균성이 우수하여, 배뇨나 무른변 등의 체액을 코어 커버 시트(322)에서 흡액성 코어(321)로 빠르게 이행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으로서는, 팬츠형 기저귀뿐만 아니라, 개방형 기저귀라도 좋다.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표면 시트(311)와 코어 커버 시트(322)의 사이에는, 부피가 크고 쿠션성이 우수한 별체의 시트를 배치하여도 좋다. 별체의 시트는 표면 시트(311)와 접합되므로, 실질적으로 표면 시트(311)의 일부라고도 말할 수 있다.
흡수성 물품(310, 380)을 구성하는 각 구성 부재에는, 특별히 명기되어 있지 않은 한,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재료 이외에, 이런 종류의 분야에서 통상 이용되고 있는 각종 공지된 재료를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고 있는 「제1」 및 「제2」라는 용어는, 같은 요소, 위치 등을 단순히 구별하기 위해서 이용하고 있다.
<제4 발명>
<제4 발명의 제1 실시형태>
하기 제4 발명의 실시형태는 첨부 도면에 도시하는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며, 발명의 불가결한 구성뿐만 아니라, 선택적 및 바람직한 구성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일례인 생리용 냅킨(410)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생리용 냅킨(410)은 세로 방향(Y)과 가로 방향(X)과 두께 방향(Z)를 갖는다.
도 31∼도 33을 참조하면, 생리용 냅킨(410)은, 그 폭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를 2등분하는 세로 중심선(P) 및 그 길이 치수에 있어서의 치수를 2등분하는 가로 중심선(Q)을 가지며, 피부 대향면(내면)(402) 측 및 그 반대쪽의 피부 비대향면(외면)(403) 측과, 볼록하게 구부러진 형상의 제1 및 제2 끝가장자리(410a, 410b)와, 가로 중심선(Q)이 위치하는 중앙부에 있어서 볼록하게 구부러진 제1 및 제2 옆가장자리(410c, 410d)와, 피부 대향면 측에 위치하는 투액성의 표면 시트(411)와, 피부 비대향면 측에 위치하는 불투액성의 이면 시트(412)와, 이들 양시트(411, 412) 사이에 위치하는 흡액성의 흡수체(420)를 포함한다. 표면 시트(411)와 흡수체(420)는 핫멜트 접착제 등의 공지된 접합 수단에 의해서 서로 접합되어, 흡액층(413)이 형성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생리용 냅킨(410)의 유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표면 시트(411)와 흡수체(420)의 사이에 비교적 부피가 큰 섬유 부직포 제조의 중간 시트를 배치하여도 좋다. 또한, 흡수체(420)와 이면 시트(412)의 사이에서, 체액이 새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통기성을 갖는, 불투액성의 섬유 부직포 또는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하는 샘방지 시트를 배치하여도 좋다.
흡수체(420)는, 제1 끝가장자리(410a)와 대향하는 제1 끝가장자리(420a)와 제2 끝가장자리(410b)와 대향하는 제2 끝가장자리(420b)와, 제1 및 제2 끝가장자리(420a, 420b) 사이에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옆가장자리(420c, 420d)를 갖는다. 표리면 시트(411, 412)는, 흡수체(420)의 외주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나오고, 표면 시트(411)의 피부 대향면 측에는, 가로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도록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사이드 시트(414)가 배치된다. 한 쌍의 사이드 시트(414)는, 표면 시트(411)에 사이드 접합부(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접합된다. 도시하지 않지만, 사이드 시트(414)에는, 착용 상태에서 신체 측으로 기립하는 샘방지 벽을 형성하기 위해서,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탄성 재료를 신장 상태로 수축 가능하게 배치하여도 좋다. 또한, 사이드 시트(414)를 고정하기 위한 사이드 접합부는, 꽃무늬나 기하학 모양 등의 의장 요소를 갖는,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시일 라인이라도 좋다.
생리용 냅킨(410)은, 표면 시트(411), 이면 시트(412) 및 사이드 시트(414)로 형성된, 흡수체(420)의 제1 및 제2 끝가장자리(420a, 420b)의 세로 방향(Y) 외측에 있어서 가로 방향(X)으로 연장되는 양 단부(416)와, 흡수체(420)의 제1 및 제2 옆가장자리(420c, 420d)의 가로 방향(X) 외측에 있어서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양 옆가장자리부(417)를 갖는다. 생리용 냅킨(410)의 세로 방향(Y)의 중앙 부분에는, 가로 방향(X) 외측으로 볼록하게 되는, 양 옆가장자리부(417)의 일부에 의해서 형성된 윙부(418)가 위치한다. 또한, 서로 적층된 시트(411, 412, 414)는, 생리용 냅킨(410)의 외주 가장자리를 따라서 위치하는 외주 시일부(419)를 통해 서로 접합되어 있다.
도 32를 참조하면, 생리용 냅킨(410)의 이면 측에는 복수의 고정 부착 영역(430)이 배치된다. 복수의 고정 부착 영역(430)은 생리용 냅킨(410)을 속옷 등의 피복에 고정 부착하기 위한 것이며,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라인형으로 도포된 점착제나 감압성 접착제로 형성된다. 고정 부착 영역(430)은, 흡수체(420)와 겹치는 영역에 있어서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중앙 영역(431)과, 윙부(418)에 위치하는 사이드 영역(432)을 갖는다. 고정 부착 영역(430)은 플라스틱 필름 제조의 세퍼레이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피복된다.
표면 시트(411)는, 투액성을 갖는 각종 섬유 부직포, 예컨대 질량 약 15∼45 g/㎡의 에어스루 섬유 부직포, 다공 플라스틱 필름, 이들의 라미네이트 시트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면 시트(412)는, 불투액성 및 투습성의 플라스틱 필름, 불투액성의 섬유 부직포, 이들의 라미네이트 시트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사이드 시트(414)에는 표면 시트(411)와 같은 시트재를 이용할 수 있다. 단, 체액이 옆으로 새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서는, 소수성 혹은 발수성을 갖는 시트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시트(411)로서, 표면 측이 요철형을 갖는 시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시트의 표면은, 세로 방향(Y) 또는 가로 방향(X)으로 교대로 배치된 복수 라인의 오목부와 복수 라인의 볼록부로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복수 라인의 볼록부와 오목부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섬유량을 컨트롤하여 부피가 작은 부분과 부피가 큰 부분을 형성하는 방법, 엠보스/데보스 가공에 의해서 오목부를 형성하는 방법, 요철형으로 부형하는 방법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볼록부와 오목부는, 서로 섬유 밀도가 다르게, 한쪽이 성기고 다른 쪽이 빽빽하도록 섬유가 배치되어 있다. 섬유가 성기게 배치된 부분(제1 부분)과 후기하는 코어 커버 시트(422)의 고리그닌 영역(452)이 접합됨으로써 접합 강도가 보다 높아지는 한편, 섬유가 빽빽하게 배치된 부분(제2 부분)과 저리그닌 영역(451)이 접합됨으로써 흡액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비교적 단시간에 반복하여 경혈이 배설된 경우라도, 오목부에 경혈을 일시적으로 고이게 함으로써, 표면 시트(411)의 표면 및 표면 시트(411)와 코어 커버 시트(422)의 사이에서 경혈이 옆으로 새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표면 시트(411)의 오목부의 일부는, 압착 줄홈을 형성하는 압착부나 엠보스 가공에 의해서 형성된 압축 오목부 등에 의해서 실질적으로(연속적 또는 비연속적으로) 둘러싸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오목부에 고인 체액이 가로 방향(X) 및 세로 방향(Y)으로 새어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아울러, 표면 시트의 표면이 요철형인 경우에는, 표면에서 봤을 때, 옅은 다색의 코어 커버 시트(422)가 오목부에 있어서 볼록부와 비교하여 짙게 시인되므로, 색의 그라데이션에 의한 장식적 효과를 생기게 한다.
외주 시일부(419)는, 접착제에 의한 접합, 초음파 용착, 열 용착, 레이저 용착, 고주파 용착 등의 공지된 용착 수단에 의한 접합 및 엠보스 가공에 의한 접합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행할 수 있다. 또한, 두께 방향(Z)에 있어서 적층된 시트(411, 412, 414)는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제를 통해 서로 접합된다. 핫멜트 접착제의 도공 방법으로서는, 스파이럴 도공, 코터 도공, 커튼 코터 도공, 스프레이 도공 등의 각종 공지된 도공 방법을 들 수 있다.
도 33, 도 34를 참조하면, 흡수체(420)는, 초흡수성 폴리머 입자(SAP)와 플러프 목재 펄프, 레이온 섬유 등의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혼합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부형한 흡액성 코어(421)와, 그 보형성 및 액확산성의 향상을 위해서 흡액성 코어(421) 전체를 포피하는 투액성의 코어 커버 시트(422)를 갖는다.
코어 커버 시트(422)는, 세로 방향(Y)의 치수가 흡액성 코어의 세로 방향(Y)의 치수보다도 크고, 그 양 옆가장자리부(422a, 422b)는, 흡액성 코어(421) 전체를 포피하도록 흡액성 코어(421)의 가로 방향(X)의 중앙 부분에 있어서의 바닥면 측에서 서로 겹쳐지도록 위치한다. 양 옆가장자리부(422a, 422b)가 서로 접혀 포개어짐으로써, 흡수체(420)의 가로 방향(X)의 중앙 부분에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 옆가장자리부(422a, 422b)끼리 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중첩 부분(423)이 형성된다.
코어 커버 시트(422)는, 흡액성 코어(421)의 피부 대향면 측을 피복하는 제1 피복부(425)와, 흡액성 코어(421)의 피부 비대향면 측을 피복하는 제2 피복부(426)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코어 커버 시트(422)는 1장의 연속되는 시트로 형성되어 있지만, 제1 피복부(425)를 형성하는 제1 코어 커버 시트와, 제1 코어 커버 시트와는 별체이며 제2 피복부(426)를 형성하는 제2 코어 커버 시트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코어 커버 시트(422)는, 각종 공지된 섬유 부직포 또는 티슈로 형성되어 있으며, 주로 펄프 섬유로 구성되어 있다. 코어 커버 시트(422)의 펄프 섬유는, 탈리그닌 처리가 이루어진 표백 펄프 섬유와, 탈리그닌 처리가 되어 있지 않은 미표백 펄프 섬유를 갖는다. 여기서 펄프 섬유는, 침엽수 또는 활엽수를 원료로 하여 얻어지는 목재 펄프 섬유 이외에, 린터, 마닐라삼, 양마, 짚, 대나무, 바나나를 원재료로 하는 비목재 펄프 섬유를 포함한다.
또한, 코어 커버 시트(422)는, 예컨대 레이온 섬유 등의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 반합성 셀룰로오스 섬유 등의 친수성 섬유로 구성된 제1 층(상층 또는 하층)과, 탈리그닌 처리가 되어 있지 않은 미표백 펄프 섬유(442)를 포함하는 제2 층(하층 또는 상층)을 포함하는 복층 구조를 갖고 있어도 좋다. 이러한 경우에는, 후기하는 것과 같이, 제2 층이 후기하는 저리그닌 영역(451)과 고리그닌 영역(452)을 포함하는 해도 구조를 갖는 경우라도, 제1 층에서 체액을 충분히 확산할 수 있기 때문에, 코어 커버 시트(422) 전체에 있어서의 체액 확산의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여러 번에 걸쳐 체액을 흡수한 후라도, 표면 시트(411)와의 접합성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음과 더불어, 적합한 흡액성을 유지할 수 있다.
코어 커버 시트(422)는, 미표백 펄프 섬유를 가지므로, 전체적으로 목재 등의 식물 원료 유래의 옅은 다색(나무색)을 갖는다. 코어 커버 시트 이외의 다른 시트(411, 412, 414)는, 구성 섬유에 이산화티탄 등의 백색 안료를 이겨 넣음으로써 전체적으로 백색을 가지므로, 코어 커버 시트(422)는, 생리용 냅킨(410)의 표면 및/또는 이면에서 봤을 때, 다른 시트(411, 412, 414)로부터 투과하여 용이하게 시인된다.
펄프 섬유는, 일반적으로, 원료 칩 처리 공정을 거친 후에, 원료 칩에 약품을 가하여 고온·고압 하에서 펄펄 끓여 리그닌을 증해하는 증해 공정(탈리그닌 처리의 제1 단계), 펄프 중의 이물을 제거하는 스크린 공정, 증해 공정에서 잔존한 리그닌을 산소로 분해하는 산소 노출 공정(탈리그닌 처리의 제2 단계), 복수 종류의 약품을 사용하여 펄프를 표백하는 표백 공정을 거침으로써, 표백된 표백 펄프 섬유로 된다. 미표백 펄프 섬유는, 이들 각 공정 중, 탈리그닌 처리의 제1 단계인 증해 공정과 스크린 공정만을 거친 것이며, 일정 정도의 탈리그닌 처리가 실시된 것이다.
코어 커버 시트(422)에 포함되는 미표백 펄프 섬유의 리그닌 함유율은 0.2∼10.0%이다.
미표백 펄프 섬유의 리그닌 함유율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서 측정했다.
<리그닌 함유율의 측정 방법>
ADF의 정량
시약: 산성 디터전트 용액 세틸트리메틸암모늄브로미드(헥사데실트리메틸암모늄브로미드) 10 g을 500 mL의 1 N 황산에 녹인 것.
아세톤
소포제로서 데카히드로나프탈렌(옵션)
<측정 수순>
샘플 300 g을 칭량하여, 50 mL 삼각플라스크에 넣고, 산성 디터전트 용액을 30 mL 가했다. 알루미늄 호일로 뚜껑을 덮어, 끓는 물 중에 삼각플라스크를 넣고, 60분간 분해했다. 분해 후, 유리 섬유 여과지(GA-200)를 깐 구치 도가니로 옮겨 흡인 여과하여, 잔사를 열수와 아세톤으로 세척했다. 바람에 말린 후, 열건조했다. 또한, 건조 후 항량하여, 회분을 뺀 것의 무게가 ADF이지만, 리그닌 정량 후의 회분을 이것에 이용할 수는 없다.
리그닌 정량
시약: 72% 황산
<측정 수순>
위에서 건조시킨 구치 도가니에 72% 황산을 여러 방울 늘어트려 전체를 적신 후, ADF량의 약 2배의 황산을 가하고, 1시간마다 황산을 적절하게 가하면서 3-4시간 방치했다. 그 후 흡인 여과하여, 열수로 노액이 산성을 보이지 않을 때까지 세척했다. 바람에 말린 후, 열건조하여 항량한다. 구치 도가니를 550℃로 회화하여, 회분을 구했다.
코어 커버 시트(422)는, 미표백 펄프 섬유를 가지므로, 표백 펄프 섬유만을 포함하는 코어 커버 시트를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표면에서 봤을 때, 식물 원료 유래의 옅은 다색을 가져, 착용자 또는 착용 보조자에 대하여, 천연 재료를 사용한 피부에 순한 제품이라는 이미지를 줄 수 있다. 또한, 코어 커버 시트(422)가 옅은 다색을 가지므로, 배설된 경혈이 표면 시트(411)를 투과하여, 흡수체(420)에 흡수, 유지되었을 때에, 경혈의 붉은 빛이 억제된다. 이로써, 경혈을 직접적으로 시인함으로 인한 혐오감을 억제함과 더불어, 예컨대 월경 초기의 착용자 등에 대하여, 경혈의 붉은 빛을 시인함으로 인한 정신적인 불안을 누그러트릴 수 있다. 아울러, 리그닌 성분은 항균 작용을 가지므로, 사용 후의 잡균의 번식을 억제하여 위생적으로 폐기 처리할 수 있다.
코어 커버 시트(422)가 이러한 내츄럴한 외관, 경혈의 붉은 빛의 억제 및 일정한 항균 작용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코어 커버 시트(422)의 리그닌 성분의 함유율은 2-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코어 커버 시트(422)의 리그닌 성분의 함유율이 2% 미만인 경우에는, 코어 커버 시트(422)의 옅은 다색의 색감이 백색을 갖는 다른 시트(411, 412, 414)와 시각상 구별할 수 없을 정도로 희미해질 우려가 있다. 한편, 코어 커버 시트(422)의 리그닌 성분의 함유율이 10%를 넘는 경우에는, 리그닌 성분에 의한 색감이 짙어져, 천연 재료에 의한 내츄럴한 외관을 해칠 우려가 있음과 더불어, 경혈의 붉은 빛이 시인되기 어렵게 되어 경혈량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도 33 및 도 34를 참조하면, 흡액층(413)은, 세로 방향(Y)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 단부 영역(413A, 413B)과, 제1 단부 영역(413A)과 제2 단부 영역(413B)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영역(413C)을 갖는다. 흡액층(413)은, 표면 시트(411)에서 이면 시트(412) 측으로 향하여 오목하게 되는 복수의 오목형부(460)와, 복수의 오목형부(460)를 둘러싸도록 비연속적으로 환상으로 연장되는 압착 줄홈(470)을 더 갖는다.
압착 줄홈(470)은, 제1 단부 영역(413A)에 위치하는 굽은 형상의 제1 외곽 줄홈(471)과, 제2 단부 영역(413B)에 위치하는 굽은 형상의 제2 외곽 줄홈(472)과, 제1 외곽 줄홈(471)과 제2 외곽 줄홈(472)의 사이이며 중간 영역(413C)에 위치하는 제3 외곽 줄홈(473)과, 제1 외곽 줄홈(471) 내에 위치하는 제1 내곽 줄홈(474)과, 제2 외곽 줄홈(472) 내에 위치하는 제2 내곽 줄홈(475)을 갖는다.
오목형부(460)는 바닥을 가지며, 표면 시트(411)에서부터 흡액성 코어(421)의 일부까지 연속하여 연장되어 있고, 평면에서 봤을 때, 세로 방향(Y) 및 가로 방향(X)에 있어서 서로 이격하여 위치하고 있다. 오목형부(460)는, 제1 및 제2 내곽 줄홈(474, 475)과 제3 외곽 줄홈(473)에 둘러싸인 영역에 위치하는 제1 오목형부(460a)와, 제1 외곽 줄홈(471)과 제1 내곽 줄홈(474)에 둘러싸인 영역에 배치된 제2 오목형부(460b)와, 제2 외곽 줄홈(472)과 제2 내곽 줄홈(475)에 둘러싸인 영역에 배치된 제3 오목형부(460c)를 갖는다.
제1 오목형부(460a)는 대략 원형인 데 대하여, 제2 및 제3 오목형부(460b, 460c)는 제1 오목형부(460a)와는 달리 대략 십자형을 갖는다. 제1 오목형부(460a)는 제2 및 제3 오목형부(460b, 460c)보다도 빽빽하게 배치되어 있다. 오목형부(460)는, 도시한 양태 이외에, 원형, 타원형, 삼각형, 직사각형 등의 각종 공지된 형상을 갖고 있어도 좋다. 제1 오목형부(460a)의 각종 치수로서, 예컨대 그것이대략 원 형상을 갖는 경우에는 직경이 1.0∼1.5 mm, 가로 방향(X)의 피치는 3.0∼5.0 mm, 세로 방향(Y)의 피치는 5.0∼7.0 mm이다. 여기서 피치란, 제1 오목형부(460a)의 중심점 사이의 이격 치수를 의미한다.
흡액층(413)에 복수의 오목형부(460)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착용 중에 흡수체(420)가 꼬이거나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제1 오목형부(460a)가 배치된 영역은, 착용자의 배설구와 대향하는, 흡수체(420)에 있어서 다른 영역과 비교하여 두꺼운 부분이므로, 제1 오목형부(460a)를 배치함으로써 강성을 높여, 착용 중의 꼬임이나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흡수체(420)의 전역에서 세로 방향(Y)으로 환상으로 연장되는 압착 줄홈(470)이 형성됨으로써, 압착 줄홈(470)을 통해 체액을 빠르게 확산할 수 있음과 더불어, 흡수체(420)를 신체의 형상을 따라 전체적으로 만곡형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흡액층(413)의 오목형부(460)는 예컨대 가압 가열 처리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공지된 엠보스 가공에 있어서, 흡액층(413)의 표면 시트(411) 측으로부터 가열된 엠보스 핀을 꽉 눌러 표면 시트(411)와 함께 흡수체(420)를 압축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통상 코어 커버 시트는, 흡액성 코어의 보형 이외에, 표면 시트를 투과한 체액을 흡수, 확산하면서 흡액성 코어로 이행시키는 역할을 갖기 때문에, 친수성의 시트가 적합하게 사용되고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 따른 코어 커버 시트(422)에 포함되는 미표백 펄프 섬유는 리그닌 성분의 함유량이 높으므로 친수 정도가 낮아 소수성으로, 표면 시트(411)를 투과한 경혈을 충분히 흡수, 유지할 수 없어, 빠르게 흡액성 코어(421)로 이행시킬 수 없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액성 코어(421)의 내부까지 연장되는 복수의 오목형부(460)를 가짐으로써, 경혈을 오목형부(460)에 직접 체류시킬 수 있고, 표면 시트(411) 및 코어 커버 시트(422)를 통해 경혈에 간접적으로 접하는 흡액성 코어(421)의 표면적이 커져, 흡액성 코어(421)에 있어서 양 시트(411, 422)를 통해 빠르게 체액을 흡수, 유지할 수 있다.
코어 커버 시트(422)는 미표백 펄프 섬유를 가짐으로써, 통상의 티슈를 포함하는 코어 커버 시트와 비교하여 확산성이 낮으므로, 오목형부(460)로 들어간 경혈는 확산되는 일 없이, 오목형부(460)의 바닥부 및 둘레벽에 유지되기 때문에, 복수의 오목형부(460)의 배치 부분에 있어서 스팟적으로 체액을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체액이 흡액성 코어(421)의 양 옆가장자리까지 확산되어, 사이드 시트(414)를 타고서 경혈이 신체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표면 시트(411)와 코어 커버 시트(422)의 핫멜트 접착제를 통한 접합계면에 있어서, 표백 펄프 섬유는 경혈을 흡수하여 팽윤되고, 접합 부분이 박리되어 접합 강도가 저하할 우려가 있다. 미표백 펄프 섬유는, 표백 펄프 섬유(441)보다도 친수성이 낮고 소수성이므로, 경혈을 흡수하여 팽윤되기 어려워, 접합 부분이 박리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코어 커버 시트(422)는, 표백 펄프 섬유와 미표백 펄프 섬유가 혼재하고 있음으로써, 착용 중에 표면 시트(411)가 박리되거나 들뜨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양 시트(411, 422)의 접합 강도를 올리기 위해서 접착제량을 늘리는 경우에는, 시트 강성이 높아져 유연성 및 투액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지만, 미표백 펄프 섬유의 함유량을 조정함으로써, 이러한 불이익을 생기게 하는 일 없이 접합 강도를 컨트롤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코어 커버 시트(422)의 제2 피복부(426)는, 이면 시트(412)와 핫멜트 접착제를 통해 서로 접합되어 있다. 코어 커버 시트(422)는 미표백 펄프 섬유를 포함하므로, 표백 펄프 섬유만을 포함하는 코어 커버 시트에 비해서, 이면 시트(412)와 코어 커버 시트(422)가 핫멜트 접착제를 통해 접합되는 접합 계면에 있어서 박리되기 어려우며, 소요의 접합 강도를 갖는다. 따라서, 시트의 박리를 방지하기 위해서 핫멜트 접착제의 질량을 높일 필요는 없으며, 핫멜트 접착제의 질량을 높임으로써 시트의 강성이 높아져 흡수체(420)에의 추종성이 저하하는 일도 없다.
코어 커버 시트(422)의 제1 피복부(425)와 표면 시트(411), 제2 피복부(426)와 이면 시트(412)는, 각각 고무계의 접착제, 예컨대 SIS계의 핫멜트 접착제를 통해 서로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시트(411, 412, 422)가 서로 SIS계의 접착제를 통해 접합됨으로써, 유기 용매를 사용한 EVA 수지계 접착제 등과 비교하여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 값을 저감할 수 있어, 보다 피부에 순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흡수체(420) 중 오목형부(460)가 위치하는 박육 부분(오목형부(460)의 바닥부)(461)은, 그 주변에 위치하는 오목형부(460)가 위치하지 않은 후육 부분(462)과 비교하여 밀도가 높게 되어 있다. 오목형부(460)가 위치하는 박육 부분(461)의 밀도가 높게 되어 있으므로, 오목형부(460)에 진입한 경혈은 박육 부분(461)에 의해 신속하게 흡수, 확산된다.
코어 커버 시트(422)의 포메이션 지수는 50∼3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코어 커버 시트(422)의 포메이션 지수가 50 미만이면, 펄프 섬유가 고밀 또한 균일하게 배치됨으로써 투액성이 저하하여, 빠르게 경혈을 흡액성 코어(421)로 이행시킬 수 없다. 한편, 포메이션 지수가 300을 넘는 경우에는, 극도로 포메이션이 나쁜 부분이 형성되어 인장 강도가 저하하여, 사용 중에 일부가 파단될 우려가 있다.
<포메이션 지수의 측정 방법>
코어 커버 시트(422)의 포메이션 지수는 노무라쇼지가부시키가이샤 제조 포메이션 테스터 FMT-MIII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측정 면적은 250 mm×180 mm, 측정 시간은 3초/샘플이며, 3장의 샘플의 표면 양면의 포메이션 지수를 측정하여, 그 평균치를 측정치로 했다. 포메이션 지수는 측정치가 작을수록 포메이션 불균일이 적음을 의미한다.
미표백 펄프 섬유는 표백 펄프 섬유와 비교하여 강성이 높으므로, 코어 커버 시트(422)가 미표백 펄프 섬유만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비교적 유연성이 낮아져, 표면 시트(411)의 움직임에 추종할 수 없어, 코어 커버 시트가 표면 시트(411)로부터 박리될 우려가 있지만, 표백 펄프 섬유도 포함함으로써 유연성을 크게 해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코어 커버 시트(422)는 소요의 유연성을 갖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코어 커버 시트(422)의 크레이프 비율은 7∼20%이다. 코어 커버 시트(422)의 크레이프 비율이 7% 미만인 경우에는, 코어 커버 시트(422)의 강성이 비교적 높아져 표면 시트(411)의 움직임에 추종할 수 없다. 한편, 크레이프 비율이 20%를 넘는 경우에는, 코어 커버 시트(422)가 지나치게 유연하게 되어, 제조 중이나 사용 중에 시트 찢어짐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크레이프 비율의 측정 방법>
코어 커버 시트(422)의 크레이프 비율은 수중신도법에 의해 측정했다. 코어 커버 시트(422)를 100 mm×100 mm로 절단하여 측정 시료를 제작하고, 측정 시료를 수중에 10초간 침지한 후 끌어올려, 치수의 변화량으로부터 다음 식에 의해 크레이프 비율을 산출한다. 측정은 3회 행하여(n=3), 평균치를 측정치로 한다.
크레이프 비율(%)={(물에 침지한 후의 치수)/(물에 침지하기 전의 치수)-1}×100
표면 시트(411)에는, 코튼 섬유(오가닉 코튼을 포함한다)를 포함하는 친수성의 시트를 이용할 수 있다. 표면 시트(411)로서 이러한 시트를 이용한 경우에는, 쿠션성, 촉감성 및 흡액성이 우수하다. 또한, 코튼 섬유를 포함하는 표면 시트(411)와 고리그닌 영역(452)을 갖는 코어 커버 시트(422)에 의해서 흡액층을 형성함으로써, 코어 커버 시트(422)에서는 구성 섬유의 액유지성이 비교적 작은 한편, 표면 시트는 높은 흡습성을 갖기 때문에, 흡수체(420) 내의 습기를 표면 시트(411)에서 흡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생리용 냅킨과 신체 사이에서의 습기의 발생을 억제하여, 내부의 후덥지근함을 억제할 수 있다.
코어 커버 시트(422)의 클렘 흡수도는, 코튼 섬유를 포함하는 표면 시트(411)의 클렘 흡수도보다도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코어 커버 시트(422)의 클렘 흡수도가 그 피부 대향면 측에 위치하는 표면 시트(411)의 클렘 흡수도보다도 높음으로써, 표면 시트(411)에서 흡수, 확산된 경혈을 코어 커버 시트(422)가 끌어들이는 식으로 흡수하여 빠르게 흡액성 코어(421)로 이행시킬 수 있어, 표면 시트(411) 상의 액 잔류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클렘 흡수도의 측정 방법>
코어 커버 시트(422)의 클렘 흡수도의 측정은 클렘 흡수 시험(JIS-L1907, P8141)에 준거하여 행했다. 측정 기구로서, 자, 스톱워치, 플라스틱 용기 및 인공뇨(청색 1호로 착색)를 이용했다. 코어 커버 시트(422)로부터 폭 25 mm, 길이 150 mm의 크기로 잘라낸 시트를 샘플(N=3)로 했다. 우선, 인공뇨를 플라스틱 용기에 인공뇨의 깊이가 10 mm 이상으로 될 때까지 넣었다. 이어서, 채취한 시험편을 고정 척으로 고정하여, 샘플 선단에서부터 5 mm의 깊이로 인공뇨에 잠기도록 셋트했다. 이것을 그대로의 상태로 120초 방치했다(환경: 온도 20℃/습도 60%). 인공뇨가 샘플을 따라서 상승하여, 샘플 상에서의 빨려올라가는 거리를 인공뇨의 표면에서 측정했다. 빨려올라가는 거리가 긴 쪽이 클렘 흡수도가 높음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표면 시트(411)는 복층 구조를 갖고 있어도 좋으며, 그 경우에는 피부 대향면 측에 위치하는 층(상층)이 실질적으로 코튼 섬유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피부에 가까운 부분에서 코튼 섬유가 보다 효율적으로 습기를 흡습할 수 있다.
또한, 표면 시트(411)가 복층 구조를 가지고, 피부 대향면 측에 위치하는 층(상층)을 주로 코튼 섬유, 피부 비대향면 측에 위치하는 층(하층)을 주로 소수성의 합성 수지 섬유로 각각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표면 시트(411)가 피부 측에 흡수성의 코튼 섬유를 포함함에도 불구하고, 표면 시트(411)의 클렘 흡수도가 코어 커버 시트(422)의 클렘 흡수도보다도 낮아진다. 표면 시트(411)의 클렘 흡수도가 코어 커버 시트(422)의 클렘 흡수도보다도 낮아짐으로써, 생리용 냅킨(410)의 표면에서 체액을 확산시키지 않고, 그보다도 흡수체(420)에 가까운 코어 커버 시트(422)에서 체액을 확산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흡수체(420)에 흡수된 체액이 표면 측으로 회귀하는 것(리웨트백)을 억제할 수 있다.
흡액성 코어(421)는, 이미 상술한 것과 같이, 옵션으로서 코튼, 펄프 섬유 등의 셀룰로오스 섬유 이외에, 아세테이트 등의 반합성 셀룰로오스 섬유나 레이온 등의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갖는다. 코어 커버 시트(422)도 흡액성 코어(421)와 마찬가지로, 표백 펄프 섬유와 미표백 펄프 섬유를 포함하는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가지므로 친화성이 높아, 압착 줄홈(470)에 있어서 코어 커버 시트(422)와 흡액성 코어(421)가 서로 용착되는 경우에는, 접합 강도가 향상된다.
또한, 흡액성 코어(421)는 SAP 입자만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경우에는, 흡수체(420)는 SAP 입자만을 포함하는 흡액성 코어(421)와 그것을 포피하는 코어 커버 시트(422)로 구성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코어 커버 시트(422)가 후기하는 저리그닌 영역(451)을 가짐으로써 액유지성이 비교적 낮은 한편, 흡액성 코어(421)가 높은 흡액 용량을 갖는 SAP 입자만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흡수체(420) 전체적으로 적절한 흡액성을 발휘할 수 있다.
흡액성 코어(421)는, 활성탄이나 제올라이트 등으로 형성된, 경혈 등의 체액의 악취 흡착 기능을 갖는 복수의 기능성 입자를 갖고 있어도 좋다. 흡액성 코어(421)가 악취의 흡착성을 갖춤으로써, 코어 커버 시트(422)의 항균성과 맞물려, 보다 위생적이며 또한 청결하게 생리용 냅킨(410)을 사용, 폐기할 수 있다.
다시 도 33 및 도 34를 참조하면, 흡수체(420)의 가로 방향(X)의 중앙 부분에는, 코어 커버 시트(422)의 양 옆가장자리부(422a, 422b)가 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중첩 부분(423)이 위치하고 있다. 중첩 부분(423)은 코어 커버 시트(422)가 접혀 포개어져 있는 부분이므로, 흡수체(420)의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미표백 펄프 섬유에 의한 옅은 다색이 보다 짙게 시인되어, 외관에서 봤을 때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라인으로서 의장적인 액센트가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라인을 흡수체(420)의 중앙 부분을 나타내는 표시로서 파악하여, 생리용 냅킨(410)을 속옷 등에 붙일 때의 위치 결정에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흡액성 코어(421)가 다량의 경혈을 흡수하여 그 양 끝가장자리로부터 경혈이 스며나오는 경우라도, 그 양 끝가장자리의 세로 방향(Y)의 외측에 소수성의 미표백 펄프 섬유를 비교적 많이 포함한 중첩 부분(423)이 위치함으로써, 경혈이 흡수체(420)의 양 옆가장자리(420c, 420d)에서 외측으로 스며나오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35는 흡수체(420)의 변형예의 일례에 있어서의, 도 34와 같은 식의 단면도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흡액층(413)에 형성된 복수의 오목형부(460)가 표면 시트(411)와 흡수체(420)를 관통하는 개구로 형성된다. 이러한 개구는, 흡액층(413)의 두께 치수 전체에 대하여 도려내기 가공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오목형부(460)의 바닥면에는 불투액성의 이면 시트(412)가 위치하므로, 바닥면에 고인 체액은 외부로 새어나오는 일은 없고, 개구의 둘레면의 벽으로부터 흡수체(420)에 흡수, 유지된다.
<제4 발명의 제2 실시형태>
도 36은 제4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410)의 흡수체(420)의 평면도, 도 37은 도 36의 XXXVII선으로 둘러싼 영역의 일부 확대도, 도 38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의 도 34와 같은 식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코어 커버 시트(422)의 제1 피복부(425)는, 비교적 리그닌 성분의 함유율이 낮은 저리그닌 영역(리그닌 저함유 영역)(451)과, 저리그닌 영역(451)보다도 리그닌 성분의 함유율이 높은 고리그닌 영역(리그닌 고함유 영역)(452)을 갖는다. 저리그닌 영역(451)은 주로 표백 펄프 섬유(441)가 집합하여 형성되어 있고, 고리그닌 영역(452)은 주로 미표백 펄프 섬유(442)가 집합하여 형성되어 있다. 코어 커버 시트(422)의 제1 피복부(425)의 평면에서 봤을 때, 저리그닌 영역(451)은 비교적 코어 커버 시트(422)의 외표면의 넓은 범위에 위치하는 주변 영역인 데 대하여, 고리그닌 영역(452)은 저리그닌 영역(451)에 대하여 산재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배치 양태를 가지므로, 코어 커버 시트(422)의 제1 피복부(425)는, 저리그닌 영역(451)을 바다, 고리그닌 영역(452)을 섬으로 하는 해도 구조를 갖는다고도 말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코어 커버 시트(422)는, 그 초지 공정에 있어서, 표백 펄프 섬유(441)와 미표백 펄프 섬유(442)의 혼합물을 얽히게 하여 시트형으로 형성한 것이며, 저리그닌 영역(451)은 주로 표백 펄프 섬유(441), 고리그닌 영역(452)은 주로 미표백 펄프 섬유(442)가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양 영역(451, 452)의 경계는 불명료한 것이며,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또한, 이와 같이 코어 커버 시트(422)의 외표면 전체에 있어서, 저리그닌 영역(451) 내에 고리그닌 영역(452)을 산재하게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각 펄프 섬유(441, 442)의 혼합 방법, 혼합율, 제조 시의 반송 컨베이어의 반송 속도, 컨베이어 상에 복수의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공기를 통해 펄프 섬유(440)를 퇴적시킬 때의 노즐 직경, 분무 공기의 풍량, 풍속 등을 적절하게 조정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제반 조건을 조정함으로써 양 영역(451, 452)을 형성하는 것이므로, 저리그닌 영역(451)의 일부에 미표백 펄프 섬유(442), 고리그닌 영역(452)에 표백 펄프 섬유(441)가 각각 포함되는 경우도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저리그닌 영역(451)과 고리그닌 영역(452)은, 각각 표백 펄프 섬유(441), 미표백 펄프 섬유(442)만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또한 펄프 섬유 이외의 다른 섬유를 포함하는 경우도 있으며, 예컨대 저리그닌 영역(451)의 펄프 섬유 중 표백 펄프 섬유(441)의 함유율은 50∼100%, 고리그닌 영역(452)의 펄프 섬유 중 미표백 펄프 섬유(442)의 함유율은 50∼100%이다.
고리그닌 영역(452)은, 코어 커버 시트(422)에 있어서의 주변 영역인 저리그닌 영역(451)보다도 리그닌 성분의 함유량이 높은 영역을 의미하므로, 표백 펄프 섬유(441)와 미표백 펄프 섬유(442)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레이온 섬유나 합성 섬유를 포함하는 섬유 부직포 시트에 리그닌 성분의 함유액을 산점적으로 스며들게 함으로써, 주변 영역보다도 리그닌 성분의 함유량이 높은 고리그닌 영역(452)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8을 참조하면, 코어 커버 시트(422)의 제1 피복부(425)는, 저리그닌 영역(451)과 그 주변에 산재하는 복수의 고리그닌 영역(452)을 가지므로, 단면에서 봤을 때, 이들의 양 영역(451, 452)이 가로 방향(X)으로 교대로 나타나고 있다. 고리그닌 영역(452)은 저리그닌 영역(451) 내에 산재하여 배치되어 있으므로, 가로 방향(X)뿐만 아니라, 세로 방향(Y)에서도 저리그닌 영역(451)과 고리그닌 영역(452)은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피복부(425)의 단면에서 봤을 때, 저리그닌 영역(451)과 고리그닌 영역(452)이 가로 방향(X) 및 세로 방향(Y)으로 교대로 위치함으로써, 표면 시트(411)를 투과한 경혈을 친수성의 저리그닌 영역(451)에서 흡수하여, 빠르게 흡액성 코어(421)로 이행하여, 흡수, 유지하게 할 수 있으며, 소요의 흡수 속도를 갖는다.
저리그닌 영역(451)과 고리그닌 영역(452)은, 표백 펄프 섬유(441)와 미표백 펄프 섬유(442)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서로의 경계 라인의 형상이 불명료하여, 평면에서 봤을 때는, 적어도 직선형이 아니라 사행한 듯한 파상을 갖는다. 따라서, 저리그닌 영역(451)과 고리그닌 영역(452)의 경계 근방의 단위폭(예컨대 1.0 mm) 당 소요의 흡수 면적을 유지할 수 있다.
<제4 발명의 제3 실시형태>
도 39는 제4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며, 흡수체(420)는 일회용 기저귀(흡수성 물품)(480)에 사용되고 있다. 일회용 기저귀(480)는, 전후방 허리 패널(484, 485)의 양 옆가장자리부를 접합하는 사이드 시임을 박리하여,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펼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일회용 기저귀(480)는, 전방 허리 영역(481)과 후방 허리 영역(482)과 전후방 허리 영역(481, 482) 사이에 위치하는 크로치 영역(483)을 갖는다. 또한, 기저귀(480)는, 전방 허리 영역(481)과 크로치 영역(483)의 일부를 정의하는 전방 허리 패널(484)과, 후방 허리 영역(482)과 크로치 영역(483)의 일부를 정의하는 후방 허리 패널(485)과, 전후방 허리 패널(484, 485)의 피부 대향면 측에 있어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흡액 구조체(486)를 구비하고, 전후방 허리 패널(484, 485)의 양 옆가장자리부끼리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세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배치된 복수의 시임부를 통해 서로 접합됨으로써, 허리 개구와 한 쌍의 다리 개구가 정의된다. 흡수체(420)는, 흡액 구조체(486) 내에 있어서 크로치 영역(483)에서 전후방 허리 영역(481, 482)으로 연장되어 있다.
기저귀(480)는, 미리 전후방 허리 영역(481, 482)의 양 옆가장자리부가 접합된 소위 팬츠형이며, 생리용 냅킨(410)과 마찬가지로, 흡수체(420)는 흡액성 코어(421)와 그것을 피복하는 코어 커버 시트(422)로 구성되어 있고, 코어 커버 시트(422)는 미표백 펄프 섬유(442)를 포함하며, 흡액층(413)에는 복수의 오목형부(460)가 형성되어 있다. 흡수체(420)는, 코어 커버 시트(422)의 옅은 다색이 기저귀(480)의 내면 및/또는 외면에서 봤을 때 투시됨으로써, 천연 재료를 사용한 내츄럴한 느낌의 제품 이미지를 줌과 더불어 항균성이 우수하면서, 배뇨나 무른변 등의 체액을 복수의 오목형부(460)를 통해 코어 커버 시트(422)에서 흡액성 코어(421)로 빠르게 이행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으로서는, 팬츠형 기저귀뿐만 아니라, 개방형 기저귀라도 좋다.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표면 시트(411)와 코어 커버 시트(422)의 사이에는, 부피가 크고 쿠션성이 우수한 별체의 시트를 배치하여도 좋다. 별체의 시트는 표면 시트(411)와 접합되므로, 실질적으로 표면 시트(411)의 일부라고도 말할 수 있다.
흡수성 물품(410, 480)을 구성하는 각 구성 부재에는, 특별히 명기되어 있지 않은 한,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재료 이외에, 이런 종류의 분야에서 통상 이용되고 있는 각종 공지된 재료를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고 있는 「제1」 및 「제2」의 용어는, 같은 요소, 위치 등을 단순히 구별하기 위해서 이용하고 있다.
101: 일회용 기저귀(흡수성 물품), 121: 흡액성 코어, 121d: 협폭 영역, 122a: 제1 코어 커버 시트(코어 커버 시트), 122c: 양 옆가장자리부, 122d: 양 옆가장자리부, 122b: 제2 코어 커버 시트(코어 커버 시트), 122e: 양 옆가장자리부, 122f: 양 옆가장자리부, 127: 접합부, 131: 표면 시트, 131a: 표면 시트, 132: 이면 시트, 139: 중간 시트(별도 부재), 141: 표백 펄프 섬유, 142: 미표백 펄프 섬유, 161: 볼록부, 162: 오목부, 171: 인디케이터, 180: 일회용 냅킨(흡수성 물품), L1: 접합부의 길이 치수, W1: 양 옆가장자리부 중 한쪽의 옆가장자리부의 가로 방향의 치수, W2: 양 옆가장자리부 중 다른 쪽의 옆가장자리부의 가로 방향의 치수, W4: 흡수체의 가로 방향의 치수, X: 가로 방향, Y: 세로 방향, Z: 두께 방향, 210: 생리용 냅킨(흡수성 물품), 211: 표면 시트, 212: 이면 시트, 220: 흡수체, 221: 흡액성 코어, 222: 코어 커버 시트, 225: 제1 피복부, 226: 제2 피복부, 240: 펄프 섬유, 241: 표백 펄프 섬유, 242: 미표백 펄프 섬유, 251: 저리그닌 영역, 252: 고리그닌 영역, 260: 오목형부, 280: 일회용 기저귀(흡수성 물품), 310: 생리용 냅킨(흡수성 물품), 311: 표면 시트, 312: 이면 시트, 320: 흡수체, 321: 흡액성 코어, 322: 코어 커버 시트, 325: 제1 피복부, 326: 제2 피복부, 340: 펄프 섬유, 341: 표백 펄프 섬유, 342: 미표백 펄프 섬유, 351: 저리그닌 영역, 352: 고리그닌 영역, 360: 오목형부, 380: 일회용 기저귀(흡수성 물품), 402: 피부 대향면, 403: 피부 비대향면, 410: 생리용 냅킨(흡수성 물품), 411: 표면 시트, 412: 이면 시트, 420: 흡수체, 421: 흡액성 코어, 422: 코어 커버 시트, 425: 제1 피복부, 426: 제2 피복부, 440: 펄프 섬유, 441: 표백 펄프 섬유, 442: 미표백 펄프 섬유, 451: 저리그닌 영역, 452: 고리그닌 영역, 460: 오목형부, 460a: 제1 오목형부, 460b: 제2 오목형부, 460c: 제3 오목형부, 480: 일회용 기저귀(흡수성 물품)

Claims (12)

  1. 두께 방향을 가지며, 피부 대향면 측에 위치하는 투액성의 표면 시트와, 피부 비대향면 측에 위치하는 불투액성의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체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는, 흡액성 코어와, 상기 흡액성 코어의 적어도 상기 피부 대향면 측을 피복하는 코어 커버 시트를 가지며,
    상기 코어 커버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가 접착제를 통해 서로 접합되어 있고,
    상기 코어 커버 시트는 미표백 펄프를 포함하며,
    상기 코어 커버 시트가 옅은 갈색을 가지고 있어 상기 흡성 물품을 표면에서 봤을 때 시인할 수 있고,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표면 시트로부터 상기 흡액성 코어의 일부까지 연속해서 연장되는 복수의 오목형부를 갖는 상기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커버 시트의 리그닌 성분의 함유율이 0.2∼10%인 흡수성 물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커버 시트는, 상기 흡액성 코어의 상기 피부 비대향면 측을 피복하는 제2 피복부를 더 가지며, 상기 제2 피복부와 상기 이면 시트가 접착제를 통해 서로 접합되는 흡수성 물품.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형부는 바닥이 있으며, 상기 표면 시트, 상기 코어 커버 시트 및 상기 흡액성 코어의 일부가 압축되어 있고, 상기 오목형부가 위치하는 박육 부분은 상기 오목형부가 위치하지 않은 후육 부분과 비교하여 밀도가 높게 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형부는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흡수체를 상기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개구인 흡수성 물품.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SIS(Styrene-Isoprene-Styrene)계 핫멜트 접착제인 흡수성 물품.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커버 시트는, 리그닌 성분의 함유율이 높은 고리그닌 영역과, 상기 고리그닌 영역에 대한 주변 영역을 가지며, 상기 코어 커버 시트를 평면에서 봤을 때 상기 고리그닌 영역은 산재하여 위치하는 것인 흡수성 물품.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커버 시트의 크레이프 비율이 7∼20%이고, 포메이션 지수(Formation Index)가 50∼300인 흡수성 물품.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에 비해서 섬유 밀도가 빽빽한 제2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고리그닌 영역과 접합되고,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주변 영역과 접합되는 흡수성 물품.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는 복층 구조를 가지며, 피부 대향면 측에 위치하는 층이 코튼 섬유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의 클렘 흡수도가 상기 코어 커버 시트의 클렘 흡수도보다 낮은 흡수성 물품.
  12. 피부 대향면 측에 위치하는 투액성의 표면 시트와, 피부 비대향면 측에 위치하는 불투액성의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체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는, 흡액성 코어와 상기 흡액성 코어의 적어도 상기 피부 대향면 측을 피복하는 코어 커버 시트를 가지며,
    상기 코어 커버 시트는 미표백 펄프를 포함하는 티슈이고,
    표면 시트는 코튼 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KR1020217030534A 2018-06-29 2019-06-28 흡수성 물품 KR1025607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25328A JP6838015B2 (ja) 2018-06-29 2018-06-29 吸収性物品
JPJP-P-2018-125328 2018-06-29
JP2018125326A JP6839135B2 (ja) 2018-06-29 2018-06-29 吸収性物品
JPJP-P-2018-125326 2018-06-29
JPJP-P-2018-125325 2018-06-29
JP2018125325A JP6838013B2 (ja) 2018-06-29 2018-06-29 吸収性物品
JP2018125327A JP6838014B2 (ja) 2018-06-29 2018-06-29 吸収性物品
JPJP-P-2018-125327 2018-06-29
KR1020207003086A KR102381597B1 (ko) 2018-06-29 2019-06-28 흡수성 물품
PCT/JP2019/025912 WO2020004645A1 (ja) 2018-06-29 2019-06-28 吸収性物品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3086A Division KR102381597B1 (ko) 2018-06-29 2019-06-28 흡수성 물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8984A true KR20210118984A (ko) 2021-10-01
KR102560789B1 KR102560789B1 (ko) 2023-07-26

Family

ID=6898544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0534A KR102560789B1 (ko) 2018-06-29 2019-06-28 흡수성 물품
KR1020207003086A KR102381597B1 (ko) 2018-06-29 2019-06-28 흡수성 물품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3086A KR102381597B1 (ko) 2018-06-29 2019-06-28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2) KR102560789B1 (ko)
CN (3) CN112334111B (ko)
WO (1) WO20200046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99848B1 (en) 2020-03-19 2022-04-13 Ontex BV Absorbent articles and methods of making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53745A (en) 1979-09-19 1981-05-13 Johnson & Johnson Baby Prod Structure for absorption
JPH09510754A (ja) * 1994-03-24 1997-10-28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エステル化高リグニン含有量セルロース繊維
JP2004003098A (ja) * 2002-05-07 2004-01-08 Weyerhaeuser Co 増白済みフラッフパルプ
JP2011505505A (ja) 2007-12-05 2011-02-24 シャンドング フユイン ペーパー アンド エンヴァイロンメンタル プロテクション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わら類原色紙製品とその製造方法
JP2016120192A (ja) 2014-12-25 2016-07-07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17221277A (ja) * 2016-06-13 2017-12-21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7531A (en) * 1976-08-09 1977-09-13 Colgate-Palmoliv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differential pad
US4327729A (en) * 1977-06-27 1982-05-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ow-density disposable absorbent bandage having low stretch, wet strength center ply to provide improved pad integrity in use
DE3943404C1 (ko) * 1989-12-30 1990-11-29 Vp-Schickedanz Ag, 8500 Nuernberg, De
JP3018304B2 (ja) * 1992-02-21 2000-03-13 株式会社日本吸収体技術研究所 衛生用吸収体製品
US5538783A (en) * 1992-08-17 1996-07-23 Hansen; Michael R. Non-polymeric organic binders for binding particles to fibers
DE19750890A1 (de) * 1997-11-18 1999-05-27 Alexander Maksimow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aus Zellstoff-Fasern bestehenden Faserstoffbahn
WO2001018302A1 (en) * 1999-09-03 2001-03-15 Rayonier Products And Financial Services Company Soft, absorbent material for use in absorbent articles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WO2006119392A1 (en) * 2005-05-02 2006-11-09 International Paper Company Ligno cellulosic materials and the products made therefrom
JP5111952B2 (ja) * 2007-06-22 2013-01-09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吸収性物品
JP5497987B2 (ja) * 2007-06-22 2014-05-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074913B2 (ja) * 2007-12-19 2012-11-14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548431B2 (ja) * 2009-11-13 2014-07-16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11189035A (ja) * 2010-03-16 2011-09-29 Livedo Corporation 吸収体およびおむつ
US8975210B2 (en) * 2010-04-23 2015-03-10 The Procter & Gamble Co. Web substrate having activated color regions in deformed regions
US20120226249A1 (en) * 2011-03-04 2012-09-06 Michael Scott Prodoehl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Having Wide Color Gamut Indicia Printed Thereon
JP5812641B2 (ja) * 2011-03-25 2015-11-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体および吸収性物品
JP6026314B2 (ja) * 2013-02-19 2016-11-16 日本製紙クレシア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9205006B2 (en) * 2013-03-15 2015-12-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nonwoven substrates having fibrils
BR112015022887A2 (pt) * 2013-03-15 2017-07-18 Gp Cellulose Gmbh celulose modificada a partir de fibras químicas de kraft e métodos de fazer e usar as mesmas
JP6411066B2 (ja) * 2014-05-12 2018-10-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体用の不織布シートを含む吸収性物品、及び当該吸収性物品に用いられる不織布シート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53745A (en) 1979-09-19 1981-05-13 Johnson & Johnson Baby Prod Structure for absorption
JPH09510754A (ja) * 1994-03-24 1997-10-28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エステル化高リグニン含有量セルロース繊維
JP2004003098A (ja) * 2002-05-07 2004-01-08 Weyerhaeuser Co 増白済みフラッフパルプ
JP2011505505A (ja) 2007-12-05 2011-02-24 シャンドング フユイン ペーパー アンド エンヴァイロンメンタル プロテクション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わら類原色紙製品とその製造方法
JP2016120192A (ja) 2014-12-25 2016-07-07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17221277A (ja) * 2016-06-13 2017-12-21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1597B1 (ko) 2022-04-01
CN112334111A (zh) 2021-02-05
CN114748248A (zh) 2022-07-15
CN114748248B (zh) 2022-09-27
CN114748249B (zh) 2023-04-25
CN114748249A (zh) 2022-07-15
KR102560789B1 (ko) 2023-07-26
KR20200019754A (ko) 2020-02-24
CN112334111B (zh) 2022-06-24
WO2020004645A1 (ja) 2020-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41038C (en) Absorbent article having hydrophobic leak protection zones
KR100976835B1 (ko) 착색된 흡수성 물품
JP4627500B2 (ja) 使い捨ておむつ
TW200301690A (en) Disposable body fluids absorbent article
JP6839135B2 (ja) 吸収性物品
JP6838015B2 (ja) 吸収性物品
KR102381597B1 (ko) 흡수성 물품
JP7158513B2 (ja) 吸収性物品
JP3973469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
JP6838014B2 (ja) 吸収性物品
JP6838013B2 (ja) 吸収性物品
JP6015519B2 (ja) 吸収パッド、及び使い捨ておむつ
JP2023080446A (ja) 吸収性物品
TWI797350B (zh) 吸收性物品
WO2023282321A1 (ja) 吸収性物品
WO2023218829A1 (ja) 吸収性物品
JP2020000716A5 (ko)
JP7413595B1 (ja) 吸収性物品
WO2023282320A1 (ja) 吸収性物品
AU2017428323B2 (en) Disposable hygiene article with liquid side barriers
RU2765708C2 (ru) Одноразовое гигиеническое изделие с боковыми барьерами для жидкости
JP2020054436A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