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6486A -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 소포제, 윤활제, 화장료용 기재 및 그것을 포함하는 화장료,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 및 신체용 세정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 소포제, 윤활제, 화장료용 기재 및 그것을 포함하는 화장료,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 및 신체용 세정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6486A
KR20210116486A KR1020217022682A KR20217022682A KR20210116486A KR 20210116486 A KR20210116486 A KR 20210116486A KR 1020217022682 A KR1020217022682 A KR 1020217022682A KR 20217022682 A KR20217022682 A KR 20217022682A KR 20210116486 A KR20210116486 A KR 20210116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kylene oxide
hair
mass
oxide derivative
prefer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2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쇼코 이치카와
유스케 하라
가즈키 스나다
고지 세키구치
Original Assignee
니치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치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치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16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64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2Polyalkylene ox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9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 C08G65/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from cyclic ethers and other compounds
    • C08G65/260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from cyclic ethers and other compounds the other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08G65/260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from cyclic ethers and other compounds the other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hydroxyl groups
    • C08G65/2609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from cyclic ethers and other compounds the other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hydroxyl groups containing aliphatic hydrox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45/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oxygen
    • C10M145/1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145/24Polyethers
    • C10M145/26Polyoxyalkyl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45/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oxygen
    • C10M145/1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145/24Polyethers
    • C10M145/26Polyoxyalkylenes
    • C10M145/38Polyoxyalkylenes esterified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73/00Lubricating compositions containing more than 10% water
    • C10M173/02Lubricating compositions containing more than 10% water not containing mineral or fatty o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4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65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650/2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characterised by the polymer type
    • C08G2650/58Ethylene oxide or propylene oxide copolymers, e.g. pluron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 C08G65/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from cyclic ethers and other compounds
    • C08G65/264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from cyclic ethers and other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 used
    • C08G65/2645Metals or compounds thereof, e.g. salts
    • C08G65/2663Metal cyanide catalysts, i.e. DMC'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9/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9/10Macromolecular compounds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2209/103Polyethers, i.e. containing di- or higher polyoxyalkylene groups
    • C10M2209/104Polyethers, i.e. containing di- or higher polyoxyalkylene groups of alkylene oxides containing two carbon atoms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9/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9/10Macromolecular compounds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2209/103Polyethers, i.e. containing di- or higher polyoxyalkylene groups
    • C10M2209/105Polyethers, i.e. containing di- or higher polyoxyalkylene groups of alkylene oxides containing three carbon atoms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9/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9/10Macromolecular compounds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2209/103Polyethers, i.e. containing di- or higher polyoxyalkylene groups
    • C10M2209/108Polyethers, i.e. containing di- or higher polyoxyalkylene groups etherified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06Oiliness; Film-strength; Anti-wear; Resistance to extreme pressur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18Anti-foaming property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08Hydraulic fluids, e.g. brake-flu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20Metal work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Polyethers (AREA)

Abstract

(해결 수단) 식 (1) 로 나타내고, 또한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 측정에 의해 구해지는 크로마토그램으로부터 산출되는 중량 평균 분자량 (Mw) 과 z 평균 분자량 (Mz) 의 비율 Mz/Mw 가 식 (2) 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 Z-[O-(PO)a-(PO)b/(EO)c]-H]n ···· (1) (Z 는, 탄소수 1 ∼ 24 또한 1 ∼ 6 개의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로부터, 모든 수산기를 제외한 잔기를 나타내고, n 은 1 ∼ 6 의 수를 나타내고, PO 는 옥시프로필렌기를 나타내고, EO 는 옥시에틸렌기를 나타내고, a 및 b 는, 각각 PO 의 부가 몰수를 나타내고, a 는 1 ∼ 100 의 수를 나타내고, b 는 1 ∼ 100 의 수를 나타내고, c 는 1 ∼ 200 을 나타내고, a + b + c ≥ 10 또한 b/c = 1/5 ∼ 5/1 이고, (PO)b/(EO)c 는 PO 와 EO 가 랜덤 부가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PO 와 EO 의 랜덤률 x 가 0.1 ≤ x ≤ 1 이다.) 5 ≤ Mz/Mw ≤ 60 ···· (2)

Description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 소포제, 윤활제, 화장료용 기재 및 그것을 포함하는 화장료,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 및 신체용 세정제 조성물
본 발명은, 신규한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 소포제, 윤활제, 화장품용 기재 및 그것을 포함하는 화장료 등, 여러 가지 용도에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는 신규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는, 옥시에틸렌 (EO) 이나 옥시프로필렌 (PO) 등을 개환 부가 중합시킴으로써 제조된다. EO 나 PO 등의 부가 몰수나 부가 형태를 제어함으로써 친수성/친유성의 밸런스 및 분자량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유제, 폴리머 원료, 분산제, 계면 활성제 등, 다수의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EO, PO 의 랜덤 부가물은 EO 부가 몰수와 PO 부가 몰수에 의해 수분산성·수용성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수계의 소포제, 윤활제, 화장품 기재 등에 사용되고 있다.
수계의 소포제는, 종이 펄프 제조업, 도료 제조업, 시멘트 제조업, 섬유 가공업, 발효 공업, 폐수 등, 다방면에 걸친 장소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시멘트 용도에서는 여름부터 겨울의 외기, 발효 용도에서는 40 ℃ 부근, 섬유 가공 용도에서는 50 ℃ 이상으로, 폭넓은 온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소포제가 요구되고 있다. 소포제로는, 실리콘유나 고급 알코올을 주성분으로 한 수중 유형 에멀션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에멀션 소포제는, 장기 사용에 있어서, 소포제의 침강 및 편재가 일어나기 쉽고, 시간 경과에 수반하여 소포성이 서서히 소실되어 버린다는 문제나, 침전물을 형성하여 설비나 제품을 오염시킨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수분산성이 양호한 소포제로서, 폴리알킬렌글리콜계 소포제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고급 알코올에 EO 및 PO 를 랜덤 또는 블록 부가한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수계 소포제가, 범용적인 기포제에 대해 양호한 소포성을 나타내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
윤활제 분야에 있어서, 작동유 등의 분야에 있어서는, 불연성으로 고온에서의 안정성이 높고, 분리나 부패의 걱정이 없기 때문에, 냉각 효율이 우수한 수계 윤활유로서 알킬렌옥사이드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에는, 디올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이, 수용성과 윤활성이 우수한 윤활유용 기유 (基油) 로서 보고되고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특허문헌 3 에서는, 폴리에틸렌글리콜에 옥시프로필렌을 부가시켜 이루어지는 리버스 블록형의 폴리에테르를 함유하는 금속 가공유 조성물이, 소포성능을 갖는 윤활제로서 개시되어 있다.
또, 화장품 기재, 예를 들어 모발용 화장료에 있어서는, 헤어스타일의 세트 유지력인 스타일링성을 높이기 위해, 고형상의 납, 유지나, 피막 형성 폴리머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실온에서 고형상의 납, 유지를 사용한 정발제 (整髮劑) 조성물에서는, 정발시의 정발제 조성물의 퍼짐성이 나쁘고, 정발 후에 모발이 끈적이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피막 형성 폴리머를 사용한 정발제 조성물에서는, 퍼짐성이나 끈적임을 경감시킬 수 있지만, 정발 후에 피막 형성 폴리머에서 유래하여 모발의 표면에 피막이 형성되기 때문에, 정발한 두발이 딱딱하여, 뻣뻣한 원인이 된다. 이러한 뻣뻣함을 해소하기 위해,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가 감촉의 제어에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4 에서는,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와 피막 형성성 고분자를 혼합함으로써, 균질인 투명 피막을 모발 상에 형성하여, 끈적거림이나 뻣뻣함이 없어 충분한 스타일링성과 재정발성을 발휘하는 화장료가 보고되고 있다.
피막 형성 폴리머를 첨가하지 않는 정발제 조성물로는, 특허문헌 5 에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 및 유제, 물을 혼합한 유화 정발제 조성물이, 뻑뻑함이 없어 머리카락의 정돈이나 스타일링성을 갖는다고 보고되고 있다.
또, 피부용 화장료는, 피부가 본래 갖고 있는 기능인, 각질층의 배리어 기능이나 수분 유지 기능을 보조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피부용 화장료를 사용한 스킨 케어는, 화장수로의 수분 보급으로 시작하여, 유액이나 크림 등의 유성 성분이 배합된 화장품을 사용하는 방법이 취해져 있다. 이들 피부용 화장료는, 보습 효과 외에, 피부 표면에 도포할 때의 사용감이 양호하다는 것이 요구되고 있으며, 도포시의 피부 친화성이나 감촉에 깊이감이 있는 화장료 등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최근에는, 혈행을 촉진시켜 보다 높은 스킨 케어 효과를 실감하기 위해서, 마사지를 하면서 피부 화장료를 사용하는 사용자도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6 에는, 당 알코올,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수용성 폴리머를 배합함으로써, 마사지시의 액감에 두께가 있고, 퍼짐성이 양호하며, 미끈거림이 저감된 화장료가 제안되어 있다.
최근, 모발용 세정제에서는, 피지 오염을 떨어뜨리는 세정력에 더하여, 헹굼시의 매끄러움이나 보습감 등 부가 가치를 높여 출시되고 있다.
부가 가치를 높이는 수법으로서, 보습제나 에몰리언트제 (유분) 를 첨가하는 수법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7 은, 특정한 폴리알킬렌글리콜 유도체를 세정제에 배합함으로써, 기포성 및 기포질을 향상시켜, 헹굼시의 뻑뻑함을 저감시키고 있다.
또, 세정·헹굼 중 뿐만 아니라, 건조시킨 후의 머리카락의 정돈을 향상시킨 제품이나, 머리카락이 정돈되는 효과를 지속시킨 제품의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특허문헌 8 에는 특정한 고분자량 성분과 폴리알킬렌글리콜 유도체,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 카티온성 폴리머를 배합함으로써, 머리카락이 잘 뒤집어지지 않고, 또한 모발에 정돈이나 감촉상 바람직한 매끄러움 및 부드러움을 부여한 모발용 세정제가 보고되고 있다.
최근, 신체용 세정제에서는, 피지 오염을 떨어뜨리는 세정력에 더하여, 헹굼시의 매끄러움이나 보습감 등 부가 가치를 높여 출시되고 있다.
신체용 세정제의 부가 가치를 높이는 수법으로서, 보습제나 에몰리언트제 (유분) 를 첨가하는 수법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9 에, 특정한 글리세린 유도체 및 계면 활성제를 특정한 비율로 조합함으로써, 기포질이나 헹굼시의 감촉이 양호하고, 건조 후의 피부가 당기지 않고, 시간 경과적 안정성이나 저온 보존으로부터의 복원성이 우수한 세정제 조성물이 보고되고 있다.
또, 보습 효과가 지속되는 제품의 개발도 시도되고 있다. 특허문헌 10 에는 폴리옥시프로필렌디글리세릴에테르,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과, 카티온성 폴리머를 혼합함으로써, 피부의 매끄러움, 촉촉함, 및 연용 (連用) 후의 당김의 없음을 향상시킨 세정제 조성물이 보고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09624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13198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8-23197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09647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12066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9845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4141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7-13725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4141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67694호
그러나,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소포제에서는, 소포 효과에 온도 의존성이 있어, 용도나 공정, 계절마다 사용하는 소포제를 변경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경우가 있었다.
특허문헌 2 에 기재된 윤활제에서는, 알킬렌옥사이드와 같은 계면 활성제를 사용했을 경우, 기포의 발생이 현저해져 윤활 불량이나 작업성의 저하와 같은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특허문헌 3 에 기재된 윤활제에서는, 사용시에 가공열에 의해 윤활제가 가열되어 50 ℃ 이상의 고온이 되었을 때, 윤활제에 기포가 생겨, 윤활성과 소포성을 양립하는 것이 어려웠다.
특허문헌 4 에서는, 정발 후의 머리카락의 질감이 딱딱해져, 손가락 통과성의 양호함이나 질감의 부드러움을 유지한 채로 스타일링하는 것이 어려웠다.
특허문헌 5 에서는, 비오는 날 등 고습도하나, 드라이어나 헤어 아이론 등의 열에 의해 머리카락이 건조되었을 때에는, 정돈이 나빠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6 에서는, 높은 스킨 케어 효과를 얻고자 강하게 마사지했을 때, 피부에 마찰감을 느끼는 경우가 있었다.
한편, 화장품이나 토일리트리의 시장에서는, 담배 냄새, 야키니쿠 등의 조리 냄새와 같은 냄새 케어에도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부착취 (付着臭) 를 억제하는 수법으로는, 숯 등의 냄새 흡착능을 이용하는 수법이나, 향료 등으로 마스킹하는 수법이 있다. 그러나, 향기의 종류·강도의 기호는 사람에 따라 상이하며, 강한 향기를 좋아하는 사람도 있고, 무향료나 미향료를 좋아하는 사람도 있다. 세정제 자체에 억취 (抑臭) 효과가 부여되어 있으면, 무향료나 미향료를 좋아하는 사람도, 스스로의 좋아하는 강도의 향기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그러한 요구에 대해, 세정제에 첨가하는 향료를 줄인 경우에는, 부착취의 억제 효과가 약해져 버려, 부착취가 억제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이 때문에, 헹굼시의 감촉이 매끈하고, 세정 후에 머리카락의 정돈이 지속되며, 담배 냄새나 조리 냄새를 억제할 수 있는 모발용 세정제가 요구되고 있다.
또, 이와 같은 배경으로부터, 헹굼시의 감촉이 매끈하고, 세정 후에 피부의 촉촉함이 지속되며, 담배 냄새나 조리 냄새를 억제할 수 있는 신체용 세정제 조성물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고분자량체를 함유한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로서, 소포제, 윤활제, 화장품용 기재 및 그것을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등 여러 가지 용도에 적합한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과제는, 고분자량체를 함유한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에 의해, 온도에 상관없이 충분한 소포성능이 얻어지는 소포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과제는, 고분자량체를 함유한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에 의해, 충분한 윤활성과 소포성을 겸비하는 윤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과제는, 고분자량체를 함유한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에 의해, 스타일링성이 양호하고, 스타일링 후의 정돈이나 손가락 통과성, 질감의 부드러움이 우수한 모발용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과제는, 고분자량체를 함유한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에 의해, 도포시의 피부 친화성이 양호하고, 깊이감이 있으며, 마사지시의 마찰감을 저감시키는 피부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과제는, 헹굼시의 감촉이 매끈하고, 세정 후에 머리카락의 정돈이 지속되며, 담배 냄새나 조리 냄새를 억제할 수 있는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과제는, 헹굼시의 감촉이 매끈하고, 세정 후에 피부의 촉촉함이 지속되며, 담배 냄새나 조리 냄새를 억제할 수 있는 신체용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사항을 감안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 측정으로 구해지는 분자량 패턴이 좌우 비대칭이고, 분자량 분포가 고분자량측으로 치우친, 여러 가지 용도에 적합한 신규 알킬옥사이드 유도체가,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었다.
즉, 본 발명은 이하와 같다.
(1) 식 (1) 로 나타내고, 또한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 측정에 의해 구해지는 크로마토그램으로부터 산출되는 중량 평균 분자량 (Mw) 과 z 평균 분자량 (Mz) 의 비율 Mz/Mw 가 식 (2) 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
Z-[O-(PO)a-(PO)b/(EO)c]-H]n ···· (1)
(식 (1) 중,
Z 는, 탄소수 1 ∼ 24 또한 1 ∼ 6 개의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로부터, 모든 수산기를 제외한 잔기를 나타내고,
n 은 1 ∼ 6 의 수를 나타내고,
PO 는 옥시프로필렌기를 나타내고,
EO 는 옥시에틸렌기를 나타내고,
a 및 b 는, 각각 상기 옥시프로필렌기 PO 의 부가 몰수를 나타내고,
c 는 상기 옥시에틸렌기 EO 의 부가 몰수를 나타내고,
a 는 1 ∼ 100 의 수를 나타내고, b 는 1 ∼ 100 의 수를 나타내고, c 는 1 ∼ 200 을 나타내고, a + b + c ≥ 10 또한 b/c = 1/5 ∼ 5/1 이고,
(PO)b/(EO)c 는 상기 옥시프로필렌기 PO 와 상기 옥시에틸렌기 EO 가 랜덤 부가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상기 옥시프로필렌기 PO 와 상기 옥시에틸렌기 EO 의 랜덤률 x 가 0.1 ≤ x ≤ 1 이다.)
5 ≤ Mz/Mw ≤ 60 ···· (2)
(2) 상기 크로마토그램으로부터 산출되는 테일링 계수 (TF) 가 식 (3) 및 식 (4) 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의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
TF = W0.05L/2a ··· (3)
1.5 ≤ TF ≤ 5.0 ··· (4)
(상기 크로마토그램 상에서 굴절률 강도가 L/20 이 되는 2 점 중, 용출 시간이 빠른 쪽을 점 R 로 하고, 용출 시간이 느린 쪽을 점 S 로 하고, 점 R 과 점 S 를 연결한 직선 H 와, 상기 크로마토그램 상의 굴절률 강도가 최대가 되는 극대점 K 로부터 베이스 라인 B 로 그은 수선의 교점을 T 로 했을 때, 점 S 와 교점 T 의 거리를 a 로 하고, 점 R 과 점 S 의 거리를 W0.05L 로 한다.)
(3) 상기 랜덤률 x 가 0.5 ≤ x < 1 인, (1) 또는 (2) 의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
(4) (1) ∼ (3) 중 어느 하나의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포제.
(5) (1) ∼ (3) 중 어느 하나의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제.
(6) (1) ∼ (3) 중 어느 하나의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 기재.
(7) (6) 의 화장품용 기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용 화장료.
(8) (6) 의 화장품용 기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용 화장료.
(9) (A) (1) ∼ (3) 중 어느 하나의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를 0.01 ∼ 20 질량%, (B)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를 1 ∼ 50 질량%, 및 (C) 카티온성 폴리머를 0.01 ∼ 3 질량% 를 함유하는,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
(10) (A) (1) ∼ (3) 중 어느 하나의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를 0.01 ∼ 20 질량%, (D)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를 0.1 ∼ 50 질량%, 및 (E) 다가 알코올을 0.5 ∼ 50 질량% 함유하는, 신체용 세정제 조성물.
본 발명에 의해, 분자량 분포가 고분자량측으로 치우친, 여러 가지 용도에 적합한 신규 알킬옥사이드 유도체를 제공할 수 있었다.
또 본 발명의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소포제에 의하면, 온도에 상관없이 충분한 소포성능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윤활제에 의하면, 상접 (相接) 하는 개체간의 마찰 계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모발용 화장료에 의하면, 스타일링성이 양호하고, 스타일링 후의 정돈이나 손가락 통과성, 질감의 부드러움이 우수한 모발용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피부용 화장료에 의하면, 고분자량체를 함유한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에 의해, 도포시의 피부 친화성이 양호하고, 깊이감이 있으며, 마사지시의 마찰감을 저감시키는 피부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신규 알킬옥사이드 유도체를 세정제 조성물에 배합함으로써, 헹굼시의 감촉이 매끈하고, 세정 후에 머리카락의 정돈이 지속되며, 담배 냄새나 조리 냄새를 억제할 수 있는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신규 알킬옥사이드 유도체를 세정제 조성물에 배합함으로써, 헹굼시의 감촉이 매끈하고, 세정 후에 피부의 촉촉함이 지속되며, 담배 냄새나 조리 냄새를 억제할 수 있는 신체용 세정제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서 정의되는 Mz/Mw 를 설명하기 위한 모델 크로마토그램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서 정의되는 TF 를 설명하기 위한 모델 크로마토그램도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호 「∼」 를 사용하여 규정된 수치 범위는 「∼」 의 양단 (상한 및 하한) 의 수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2 ∼ 5」 는, 2 이상, 5 이하를 나타낸다.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
본 발명의 알킬옥사이드 유도체는, 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이다.
Z-[O-(PO)a-(PO)b/(EO)c]-H]n ···· (1)
식 (1) 에 있어서, Z 는, 탄소수 1 ∼ 24,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 12,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 6 이고, 또한 1 ∼ 6 개의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로부터 모든 수산기를 제외한 잔기이고, n 은 Z 의 화합물의 수산기의 수로 1 ∼ 6 이다. 1 ∼ 6 개의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 (Z(OH)n) 으로는, n = 1 이면,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n = 2 이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n = 3 이면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n = 4 이면 에리트리톨, 펜타에리트리톨, 소르비탄, 디글리세린, 알킬글리코사이드, n = 5 이면 자일리톨, n = 6 이면 디펜타에리트리톨, 소르비톨, 이노시톨 등을 들 수 있다. 또, 1 ∼ 6 개의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로서,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해도 된다. n 은 바람직하게는 1 ∼ 4 이고, n = 1 ∼ 3 이 가장 바람직하다.
식 (1) 에 있어서, Z 는, R1 이어도 되고, 또 이 경우에 n = 1 이다. 이 경우, R1 은, 탄소수 1 ∼ 24 의 탄화수소기이다. R1 로 나타나는 탄소수 1 ∼ 24 의 탄화수소기는, 탄소와 수소로 이루어지는 관능기이고, 알킬기, 알케닐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또는 아르알킬기에서 선택되는 1 종이고, 바람직하게는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이고, 탄소수 1 ∼ 12 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가 보다 바람직하고, 탄소수 1 ∼ 6 의 알킬기가 가장 바람직하다. 탄소수 1 ∼ 6 의 알킬기로는 직사슬이어도 되고 분기이어도 되지만, 직사슬의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탄소수 1 ∼ 6 의 직사슬 알킬기로는,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헥실기 등을 들 수 있다. R1 로 나타나는 탄소수 1 ∼ 24 의 탄화수소기는 1 종만이어도 되고, 2 종 이상이어도 된다.
PO 는 옥시프로필렌기, EO 는 옥시에틸렌기, a, b 는 각각 PO, EO 의 부가 몰수를 나타낸다. a 는 1 ∼ 100 의 수를 나타내고, b 는 1 ∼ 100 의 수를 나타내고, c 는 1 ∼ 200 을 나타내고, a + b + c ≥ 10 이다. (PO)b/(EO)c 는, PO 와 EO 가 랜덤 부가되어 이루어지는 폴리옥시알킬렌기를 나타내고, PO 와 EO 의 몰비 (b/c) 는 1/5 ∼ 5/1, PO 와 EO 의 랜덤률 x 가 0.1 ≤ x ≤ 1 이다.
a + b + c 가 10 미만이면, 소포제에 있어서의 온도의 범용성이나, 윤활제에 있어서의 윤활성이나, 모발용 화장료의 스타일링성이 불충분해질 가능성이 있고, 모발 세정제 조성물의 경우에는 정돈의 지속성, 담배 냄새나 조리 냄새의 억제 효과가 불충분해질 가능성이 있으며, 신체 세정제 조성물의 경우에는, 촉촉함의 지속성, 담배 냄새나 조리 냄새의 억제 효과가 불충분해질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a + b + c 를 10 이상으로 하지만, 15 이상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a + b + c 가 커짐에 따라 점도가 상승한다. 분산·배합의 용이함의 관점에서, a + b + c 는 1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2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0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PO, EO 의 전체 부가 몰수 n × (a + b + c) 는, 3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50 이상으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55 이상으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 12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0 이하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80 이하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b/c 가 1/5 미만이면, 소포제에 있어서의 온도의 범용성이나, 윤활제에 있어서의 윤활성이 나빠질 가능성이나, 모발용 화장료가 끈적거려 손가락 통과성이 나빠질 가능성이 있고, 5/1 이상이면 수분산성이나 수용해성이 나빠질 가능성이 있다.
모발 세정제 조성물의 경우에는, b/c 가 1/5 미만이면, 세정제의 헹굼성이 나빠질 가능성이 있다. 5/1 이상이면 수분산성이나 수용해성이 나빠질 가능성이 있다.
신체 세정제 조성물의 경우에는, b/c 가 1/5 미만이면, 세정제의 헹굼성이 나빠질 가능성이 있다. 5/1 이상이면, 수용해성이 나빠질 가능성이 있다.
PO 와 EO 의 랜덤률 x 는, 식 (5) 로부터 구해진다.
x = (b + c)/(a + b + c) ··· (5)
랜덤률 x 는 0.1 ≤ x ≤ 1 로 한다. 랜덤률 x 가 0.1 미만이 되면, 소포제에 있어서의 온도의 범용성이나, 윤활제에 있어서의 윤활성이나, 모발용 화장료의 스타일링성이 불충분해질 가능성이 있으므로, 0.1 이상으로 하지만, 0.5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0.6 이상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8 이상으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 랜덤률 x 는 1 이하이지만, x < 1 인 것이 바람직하고, 0.99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97 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모발 세정제 조성물의 경우에는, 랜덤률 x 는 0.1 ≤ x ≤ 1 로 한다. 랜덤률 x 가 0.1 미만이 되면, 정돈의 지속성, 담배 냄새나 조리 냄새의 억제 효과가 불충분해질 가능성이 있다. 0.1 이상으로 하지만, 0.6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0.7 이상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8 이상으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 랜덤률 x 는 1 이하이지만, x < 1 인 것이 바람직하고, 0.99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97 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신체 세정제 조성물의 경우에는, 랜덤률 x 는 0.1 ≤ x ≤ 1 로 한다. 랜덤률 x 가 0.1 미만이 되면, 촉촉함의 지속성, 담배 냄새나 조리 냄새의 억제 효과가 불충분해질 가능성이 있다. 0.1 이상으로 하지만, 0.5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0.6 이상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8 이상으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 랜덤률 x 는 1 이하이지만, x < 1 인 것이 바람직하고, 0.99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97 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의 GPC 특성)
본 발명의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는,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 (GPC) 에 있어서, 시차 굴절률계를 사용하여 얻어진 크로마토그램에 의해 얻어지는 분자량으로 규정된다. 이 크로마토그램이란, 굴절률 강도와 용출 시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유도체에서는, 크로마토그램으로부터 얻어지는 중량 평균 분자량 (Mw) 과 z 평균 분자량 (Mz) 의 비율 Mz/Mw 가 5 ≤ Mz/Mw ≤ 60 이다.
도 1 의 크로마토그램의 모델도를 참조하면서, Mz/Mw 의 산출 방법에 대해 더욱 설명한다. 가로축은 용출 시간을, 세로축은 시차 굴절률계를 사용하여 얻어진 굴절률 강도를 나타낸다.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프에 시료 용액을 주입하여 전개하면, 가장 분자량이 높은 분자로부터 용출이 시작되고, 굴절률 강도의 증가에 수반하여, 용출 곡선이 상승해 나간다. 그 후, 굴절률 강도가 최대가 되는 극대점을 지나면, 용출 곡선은 하강해간다.
여기서 Mw, Mz 는 GPC 로부터 각각 하기 식에 의해 구해진다.
Figure pct00001
단, N 은 폴리머 분자의 수, M 은 분자량, C 는 시료 농도이다. Mw 는, 분자량을 가중치로서 사용한 가중 평균, Mz 는, 분자량의 2 승을 가중치로서 사용한 가중 평균이다. Mw 는 고분자량의 존재에 영향을 받고, Mz 는 Mw 보다 더욱 크게 고분자량의 존재에 영향을 받는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는 도 1 에 나타낸 크로마토그램과 같은 Mw, Mz 가 얻어진다.
Mz/Mw 가 5 보다 작아지면, 소포제에 있어서의 온도의 범용성이나, 윤활제에 있어서의 윤활성이나, 모발용 화장료의 스타일링성이 불충분해질 가능성이 있다. 이 관점에서, Mz/Mw 가 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5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Mz/Mw 가 60 보다 커지면, 분자량 분포에 있어서의 고분자량측의 치우침이 커져 점도의 상승 등을 볼 수 있어, 각 제제에 분산·배합하기 어려워진다. 이 관점에서, Mz/Mw 가 6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모발 세정제 조성물의 경우에는, Mz/Mw 가 5 보다 작아지면, 정돈의 지속성, 담배 냄새나 조리 냄새의 억제 효과가 불충분해질 가능성이 있으므로, 5 이상으로 하지만, 15 이상이 바람직하고, 20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30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Mz/Mw 가 60 보다 커지면, 분자량 분포에 있어서의 고분자량측의 치우침이 커져 점도의 상승 등을 볼 수 있어, 각 제제에 분산·배합하기 어려워진다. 이 관점에서, Mz/Mw 를 60 이하로 하지만, 5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신체 세정제 조성물의 경우에는, Mz/Mw 가 5 보다 작아지면, 촉촉함의 지속성, 담배 냄새나 조리 냄새의 억제 효과가 불충분해질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Mz/Mw 를 5 이상으로 하지만, 15 이상이 바람직하고, 20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30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Mz/Mw 가 60 보다 커지면, 분자량 분포에 있어서의 고분자량측의 치우침이 커져 점도의 상승 등을 볼 수 있어, 각 제제에 분산·배합하기 어려워진다. 이 관점에서, Mz/Mw 를 60 이하로 하지만, 5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에 있어서, 시차 굴절률계를 사용하여 얻어진 굴절률 강도와 용출 시간으로 나타내는 크로마토그램이 좌우 비대칭이고,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여 구해지는 크로마토그램의 테일링 계수 (TF) 가 1.50 ≤ TF ≤ 5.0 을 만족시킨다.
도 2 의 크로마토그램의 모델도를 참조하면서, TF 의 산출 방법에 대해 더욱 설명한다. 가로축은 용출 시간을, 세로축은 시차 굴절률계를 사용하여 얻어진 굴절률 강도를 나타낸다.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프에 시료 용액을 주입하여 전개하면, 가장 분자량이 높은 분자로부터 용출이 시작되고, 굴절률 강도의 증가에 수반하여, 용출 곡선이 상승해간다. 그 후, 굴절률 강도가 최대가 되는 극대점 K 를 지나면, 용출 곡선은 하강해간다.
또, 본 발명의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의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에 있어서, 크로마토그램의 굴절률 강도의 극대점이 복수 있는 경우에는, 그들 중 굴절률 강도가 가장 큰 점을 극대점 K 로 한다. 또한 동일한 굴절률 강도의 극대점이 복수 있는 경우에는, 용출 시간이 느린 쪽을 굴절률 강도의 극대점 K 로 한다. 이 때,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에 사용한 전개 용매 등에서 기인하는 피크나, 사용한 칼럼이나 장치에서 기인하는 베이스 라인의 요동에 의한 의사 (疑似) 피크는 제외한다.
(1) 크로마토그램 상의 굴절률 강도의 극대점 K 로부터 베이스 라인 B 에 수선을 긋고, 그 길이를 L 로 한다.
(2) 굴절률 강도가 L/20 이 되는 크로마토그램 상의 2 점 중, 용출 시간이 빠른 쪽을 점 R 로 하고, 용출 시간이 느린 쪽을 점 S 로 한다.
(3) 점 R 과 점 S 를 연결한 직선 H 와, 굴절률 강도의 극대점 K 로부터 베이스 라인 B 에 그은 수선의 교점을 T 로 한다.
(4) 점 S 와 교점 T 의 거리를 a, 점 R 과 점 S 의 거리를 W0.05L 로 한다.
TF = W0.05L/2a ··· (3)
1.5 ≤ TF ≤ 5.0 ··· (4)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TF 가 1.5 ≤ TF ≤ 5.0 을 만족시킨다. TF 를 1.5 이상으로 함으로써, 소포제에 있어서의 온도의 범용성이나, 윤활제에 있어서의 윤활성이나, 모발용 화장료의 스타일링성이나 모발의 부드러움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이 관점에서는, TF 를 2.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TF 가 커질수록, 분자량 분포에 있어서의 고분자 양측의 치우침이 커지고, 그것에서 유래하는 점도의 상승 등을 볼 수 있다. TF 가 5.0 보다 커지면, 분자량 분포에 있어서의 고분자량측의 치우침이 커져 점도의 상승 등을 볼 수 있어, 각 제제에 분산·배합하기 어려워진다. 이 관점에서, TF 는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Mz/Mw 및 TF 를 구하기 위한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 (GPC) 는, 시스템으로서 SHODEX (등록상표) GPC101GPC 전용 시스템, 시차 굴절률계로서 SHODEX RI-71s, 가드 칼럼으로서 SHODEX KF-G, 칼럼으로서 HODEX KF804L 을 3 개 연속 장착하고, 칼럼 온도 40 ℃, 전개 용제로서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을 1 ㎖/분의 유속으로 흘리고, 얻어진 반응물의 0.1 중량%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용액 0.1 ㎖ 를 주입하고, BORWIN GPC 계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굴절률 강도와 용출 시간으로 나타내는 크로마토그램을 얻는다.
본 발명의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를 제조할 때에는, 바람직하게는, 개시제로서, 복합 금속 시안화물 촉매 (이하, DMC 촉매로 약기한다) 의 존재하에서, 탄소수 3 의 알킬렌옥사이드, 즉 옥시프로필렌을 개환 부가시킨다. 반응 용기 내에, 분자 중에 적어도 1 개의 수산기를 갖는 개시제와 DMC 촉매를 첨가하고, 불활성 가스 분위기의 교반하, 옥시프로필렌을 연속 혹은 단속적으로 첨가하여 부가 중합한다. 옥시프로필렌은 가압하여 첨가해도 되고, 대기압하에서 첨가해도 된다.
이 때, 옥시프로필렌의 평균 공급 속도에 제한은 없지만 옥시프로필렌의 주입량에 의해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옥시프로필렌의 전체 공급량의 5 ∼ 20 wt% 를 공급하는 동안의 속도 (단위 시간당 공급량) 를 V1, 옥시프로필렌의 전체 공급량의 20 ∼ 50 wt% 를 공급하는 동안의 속도를 V2, 옥시프로필렌의 전체 공급량의 50 ∼ 100 wt% 를 공급하는 동안의 속도를 V3 으로 했을 때, V1/V2 = 1.1 ∼ 2.0, V2/V3 = 1.1 ∼ 1.5 가 되도록 옥시프로필렌의 평균 공급 속도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반응 온도는, 50 ℃∼ 150 ℃ 가 바람직하고, 70 ℃∼ 110 ℃ 가 보다 바람직하다. 반응 온도가 150 ℃ 보다 높으면, 촉매가 실활될 우려가 있다. 반응 온도가 50 ℃ 보다 낮으면, 반응 속도가 느려 생산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개시제로는, 식 (1) 에 있어서, Z(OH)n 으로서, 탄소수 1 ∼ 24 또한 수산기의 수 x 가 1 ∼ 6 인 화합물 혹은 그것들 화합물에 옥시프로필렌을 부가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개시제로는, 예를 들어, 부탄올, 부틸프로필렌글리콜, 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 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세릴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Z 가 R1 인 경우에는, 개시제로는, R1 로 나타내는 탄소수 1 ∼ 24 의 탄화수소기를 갖는 1 가 알코올 (R1OH) 을 사용할 수 있다.
개시제 및 옥시프로필렌에 포함되는 미량의 수분량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개시제에 포함되는 수분량에 대해서는, 0.5 wt% 이하, 옥시프로필렌에 대해서는 0.01 wt%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DMC 촉매의 사용량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생성되는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에 대하여, 0.0001 ∼ 0.1 wt% 가 바람직하고, 0.001 ∼ 0.05 wt% 가 보다 바람직하다. DMC 촉매의 반응계에 대한 투입은 맨 처음에 일괄적으로 도입해도 되고, 순차 분할하여 도입해도 된다. 중합 반응 종료 후, 복합 금속 착물 촉매의 제거를 실시한다. 촉매의 제거는 여과 분리나 원심 분리, 합성 흡착제에 의한 처리 등 공지된 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DMC 촉매는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식 (8) 로 나타낼 수 있다.
Md[M'y(CN)z]e(H2O)f·(R)g ··· (8)
식 (8) 중, M 및 M' 는 금속, R 은 유기 배위자, d, e, y 및 z 는 금속의 원자가와 배위수에 따라 변하는 양의 정수이고, f 및 g 는, 금속의 배위수에 따라 변하는 양의 정수이다.
금속 M 으로는, Zn (II), Fe (II), Fe (III), Co (II), Ni (II), Al (III), Sr (II), Mn (II), Cr (III), Cu (II), Sn (II), Pb (II), Mo (IV), Mo (VI), W (IV), W (VI)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Zn (II) 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금속 M' 로는, Fe (II), Fe (III), Co (II), Co (III), Cr (II), Cr (III), Mn (II), Mn (III), Ni (II), V (IV), V (V)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Fe (II), Fe (III), Co (II), Co (III) 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유기 배위자 R 로는 알코올, 에테르, 케톤, 에스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알코올이 보다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유기 배위자는 수용성의 것이고, 구체예로는, tert-부틸알코올, n-부틸알코올, iso-부틸알코올,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글라임),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글라임)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tert-부틸알코올이 배위한 Zn3[Co(CN)6]2 이다.
(소포제)
본 발명의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는, 소포제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포제는 식 (1) 로 나타내는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 단체, 혹은 수계로 사용할 때의 수분산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가 수성 성분의 용해된 제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수성 성분으로는, 물, 에틸알코올이나 프로필알코올 등과의 저급 알코올, 물 및 저급 알코올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물의 배합 비율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의 농도는 0.1 ∼ 99 wt% 인 것이 바람직하다.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의 농도가 0.1 wt% 미만이면 소포력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의 농도가 99 wt% 이상이면 핸들링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소포제는, 필요에 따라, 유기 용제, 광물유, 동식물유 등의 공지된 소포제나, 안정제, 증점제, 방부제 등의 그 밖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해도 된다.
본 발명의 소포제의 사용 용도로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예를 들어, 아미노산 발효, 카르복실산 발효, 효소 발효, 항생 물질 발효 등의 발효 공업 용도, 종이 펄프 제조 공업, 건축 공업, 염료 공업, 염색 공업, 고무 공업, 합성 수지 공업, 잉크 공업, 도료 공업, 섬유 공업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포제를 사용할 때, 소포하는 것이 필요한 수성 매체에 대한 배합 비율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예를 들어, 수성 매체 100 wt% 에 대하여 통상 0.0001 ∼ 10 wt%, 바람직하게는 0.0001 ∼ 5 wt%,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 ∼ 5 wt% 이다.
(윤활제)
본 발명의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는, 윤활제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윤활제는, 식 (1) 로 나타내는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 단체, 혹은 수계로 사용할 때의 수분산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가 수성 성분의 용해된 제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수성 성분으로는, 물, 에틸알코올이나 프로필알코올 등과의 저급 알코올, 물 및 저급 알코올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윤활제는 수용성이고, 윤활성과 소포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함수계의 절삭유, 슬라이딩면 윤활유, 압연유, 인발유, 프레스유, 단조유, 알루미늄 디스크 및 실리콘 웨이퍼의 연마, 절단 등의 가공에 사용하는 금속 가공유, 그리고 물-글리콜계 작동유 등의 수계 윤활유에 사용되는 기유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윤활제는, 필요에 따라, 청정 분산제, 산화 방지제, 유성제, 유화제, 극압제, 금속 불활성화제, 방청제, 점도 지수 향상제 및 유동점 강하제 등, 윤활제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다른 성분을 첨가해도 된다.
(화장품용 기재)
본 발명의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는, 원료로서 화장료에 배합함으로써 화장료에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모발용 화장료, 그 중에서도 스타일링제에 배합했을 때에는, 정돈이나 손가락 통과성 양호하고, 모발의 부드러운 질감을 유지한 채로 세트 유지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 피부용 화장료에서는, 도포시의 피부 친화성이 양호하고, 깊이감이 있으며, 마사지시의 마찰감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는, 화장료에 있어서 감촉 개량제, 스타일링제로서 사용되고, 그 농도는 0.5 ∼ 25 wt% 인 것이 바람직하다.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의 농도가 0.5 wt% 보다 낮을 때, 충분히 효과를 발휘할 수 없게 된다. 이 관점에서는,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의 농도가 0.5 wt% 이상이 바람직하고, 1 wt%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25 wt% 보다 높은 농도이면, 건조시에, 끈적끈적한 감촉이 되어 버리므로 화장료로서 바람직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모발용 화장료이어도 된다.
모발용 화장료에는, 필요에 따라 물 및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첨가 성분, 예를 들어 유성 기제, 계면 활성제, 알코올류, 보습제, 고분자·증점·겔화제, 산화 방지제, 방부제, 살균제, 킬레이트제, pH 조정제·산·알칼리, 자외선 흡수제, 미백제, 용제, 각질 박리·용해제, 진양제, 소염제, 제한제, 청량제, 환원제·산화제, 고분자 분체, 비타민류 및 그 유도체류, 당류 및 그 유도체류, 유기산류, 무기 분체류, 향료, 색소 등,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다른 성분을 첨가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화장료는, 피부용 화장료이어도 된다. 피부용 화장료에는, 필요에 따라 물 및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첨가 성분, 예를 들어 유성 기제, 계면 활성제, 알코올류, 다가 알코올, 보습제, 고분자·증점·겔화제, 산화 방지제, 방부제, 살균제, 킬레이트제, pH 조정제·산·알칼리, 자외선 흡수제, 미백제, 용제, 각질 박리·용해제, 진양제, 소염제, 제한제, 청량제, 환원제·산화제, 고분자 분체, 비타민류 및 그 유도체류, 당류 및 그 유도체류, 유기산류, 무기 분체류, 향료, 색소 등,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다른 성분을 첨가해도 된다.
(모발용 세정 조성물)
본 발명의 모발용 세정 조성물 전체량을 100 질량% 로 했을 때, (A) 성분의 함유량은, 0.01 ∼ 20 질량% 이고, 바람직하게는 0.1 ∼ 15 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 10 질량% 이다. (A) 성분의 함유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정돈의 지속성, 담배 냄새나 조리 냄새의 억제 효과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고, 함유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세정제의 헹굼성이 나빠질 가능성이 있다.
(성분 (B) :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
본 발명에 사용되는 (B) 성분은,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에 기포력이나 세정력을 부여하기 위해서 배합되는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이다.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알킬황산에스테르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에테르황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아미드에테르황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아세트산염, 알킬인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염, α-올레핀술폰산염, 고급 지방산염, N-아실아미노산염, N-아실이세티온산염, N-아실메틸타우린염, N-아실폴리펩티드염, 알킬술포숙신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알킬황산에스테르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염, N-아실메틸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이 바람직하고, N-아실메틸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들의 알킬기, 혹은 아실기의 탄소수는, 세정력이나 기포력의 관점에서, 10 ∼ 18 인 것이 바람직하고, 12 ∼ 14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알킬기나 아실기는, 포화 지방산 유래, 불포화 지방산 유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혼합 지방산 유래의 것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혼합 지방산으로는, 예를 들어, 야자유 지방산, 팜핵유 지방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카운터 이온으로는,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염, 알칼리 토금속염, 암모늄염, 알칸올아민염, 아미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B) 성분으로서, 상기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모발용 세정 조성물 전체량을 100 질량% 로 했을 때, (B) 성분의 함유량은, 조성물 전체량에 대하여 1 ∼ 50 질량% 이고, 바람직하게는 3 ∼ 30 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5 ∼ 20 질량% 이다. (B) 성분의 함유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점도나 기포의 미세함, 기포 탄력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고, 함유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기포량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성분 (C) : 카티온성 폴리머)
본 발명에 사용되는 (C) 성분은, 카티온성 폴리머이고, 예를 들어, 디알킬디알릴암모늄클로라이드의 호모폴리머, 디알킬디알릴암모늄클로라이드와 (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디알킬디알릴암모늄클로라이드와 (메트)아크릴아미드의 공중합체, 폴리염화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카티온화 셀룰로오스, 카티온화 전분, 카티온화 구아검, 카티온화 타라검, 카티온화 로커스트빈검, 카티온화 잔탄검, 카티온화 페누그릭검, 비닐이미다졸리늄트리클로라이드와 비닐피롤리돈의 공중합체,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와 디메틸디알릴암모늄클로라이드의 공중합체, 비닐피롤리돈과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과 알킬아미노아크릴레이트와 비닐카프로락탐의 공중합체, 비닐피롤리돈과 메타크릴아미드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의 공중합체, 알킬아크릴아미드와 아크릴레이트와 알킬아미노알킬아크릴아미드와 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아디프산과 디메틸아미노하이드록시프로필에틸렌트리아민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카티온화 셀룰로오스, 카티온화 구아검, 카티온화 타라검, 디알킬디알릴암모늄클로라이드의 호모폴리머, 디알킬디알릴암모늄클로라이드와 (메트)아크릴아미드의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또한,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나타내고, (메트)아크릴은 아크릴 또는 메타크릴을 나타낸다.
카티온성 폴리머의 카티온화도는, 켈달법 등의 N 함유율의 측정값으로부터 계산할 수 있고, 0.2 ∼ 3 meq/g 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 2 meq/g 이다. 또한, 카티온화도의 단위인 meq/g 란 시료 1 g 당 N 카티온기의 밀리 당량수를 나타낸다.
또, 카티온성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 만 ∼ 300 만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만 ∼ 200 만의 범위이다.
이와 같은 카티온성 폴리머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레오가드 LP, GP, MGP (모두 라이온 (주) 제조), UCARE LR-30M, JR-400, JR-30M (모두 다우·케미컬사 제조), 라볼검 CG-M, CG-M7, CG-M8M (모두 다이닛폰 스미토모 제약 (주) 제조), N-Hance3000 (허큘레스·재팬 (주)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C) 성분으로서, 상기 카티온성 폴리머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모발용 세정 조성물 전체량을 100 질량% 로 했을 때, (C) 성분의 함유량은, 조성물 전체량에 대하여 0.01 ∼ 3.0 질량% 이고, 바람직하게는 0.1 ∼ 2 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3 ∼ 1 질량% 이다. (C) 성분의 함유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점도 및 기포 탄력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고, 함유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용기로부터의 배출성이 나빠지거나, 기포량이 저하되거나, 세정제의 헹굼성이 나빠질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모발 세정제 조성물은, 상기의 (A) ∼ (C) 의 각 성분 외에, 용제를 함유한다. 이러한 용제로는, 물, 저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물로는, 예를 들어, 정제수, 이온 교환수, 증류수, RO (Reverse Osmosis) 수, 수돗물, 공업용수 등을 들 수 있다. 저급 알코올로는, 예를 들어, 에탄올, 2-프로판올, 에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용제 중 특히 정제수 등의 물이 바람직하다.
용제는, (A) ∼ (C) 의 각 성분 및 임의로 함유할 수 있는 다른 성분을 소정량으로 조정하는 양으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용제의 함유량은, 조성물 전체량에 대하여 30 ∼ 99 질량% 이고, 바람직하게는 50 ∼ 95 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65 ∼ 90 질량% 이다.
본 발명의 모발 세정제 조성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 세정제 조성물의 형태로는, 액상, 겔상 등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또, 사용 형태는 한정되지 않고, 헤어 샴푸, 린스 인 샴푸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 세정제 조성물에 있어서는, 세정료에 상용되고 있는 첨가제를 본 발명의 성능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배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테아르산글리콜 등의 펄화제를 배합하여 광택이 있는 유탁색의 펄상 액체 샴푸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모발 세정제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물 및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첨가 성분, 예를 들어 유성 기제, 계면 활성제, 알코올류, 보습제, 고분자·증점·겔화제, 산화 방지제, 방부제, 살균제, 킬레이트제, pH 조정제·산·알칼리, 자외선 흡수제, 미백제, 용제, 각질 박리·용해제, 진양제, 소염제, 제한제, 청량제, 환원제·산화제, 고분자 분체, 비타민류 및 그 유도체류, 당류 및 그 유도체류, 유기산류, 무기 분체류, 향료, 색소, 세정제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다른 성분을 첨가해도 된다.
(신체 세정제 조성물)
신체용 세정제 조성물 전체량을 100 질량% 로 했을 때, 상기의 (A) 성분의 함유량은, 0.01 ∼ 20 질량% 이고, 바람직하게는 0.1 ∼ 15 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 10 질량% 이다. (A) 성분의 함유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보습 효과의 지속성, 담배 냄새나 조리 냄새의 억제 효과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고, 함유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세정제의 헹굼성이 나빠질 가능성이 있다.
(성분 (D) :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
본 발명에 사용되는 (D) 성분은, 신체용 세정제 조성물에 기포력이나 세정력을 부여하기 위해서 배합되는 계면 활성제이고,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이다.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고급 지방산염, 알킬황산에스테르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에테르황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아미드에테르황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아세트산염, 알킬인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염, α-올레핀술폰산염, 고급 지방산염, N-아실아미노산염, N-아실이세티온산염, N-아실메틸타우린염, N-아실폴리펩티드염, 알킬술포숙신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고급 지방산염, 알킬황산에스테르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염, N-아실메틸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이 바람직하고, N-아실메틸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들의 알킬기, 혹은 아실기의 탄소수는, 세정력이나 기포력의 관점에서, 10 ∼ 18 인 것이 바람직하고, 12 ∼ 14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알킬기나 아실기는, 포화 지방산 유래, 불포화 지방산 유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혼합 지방산 유래의 것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혼합 지방산으로는, 예를 들어, 야자유 지방산, 팜핵유 지방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카운터 이온으로는,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염, 알칼리 토금속염, 암모늄염, 알칸올아민염, 아미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 코코일메틸타우린나트륨, 코코일메틸타우린타우린나트륨, 코코일글루탐산나트륨, 라우로일메틸알라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D) 성분으로서, 상기 계면 활성제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신체용 세정제 조성물 전체량을 100 질량% 로 했을 때, 상기의 (D) 성분의 함유량 (합계값) 은, 0.1 ∼ 50 질량% 이고, 바람직하게는 3 ∼ 35 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5 ∼ 30 질량% 이다. (D) 성분의 함유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헹굼시의 감촉이나 제제의 점도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고, 함유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촉촉함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성분 (E) : 다가 알코올)
본 발명에 사용되는 (E) 성분은, 다가 알코올이다. 이 다가 알코올의 탄소수는 3 ∼ 6 인 것이 바람직하고, 가수는 2 ∼ 4 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다가 알코올로는, 예를 들어, 글리세린, 펜틸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리트리톨,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디글리세린, 헥실렌글리콜, 이소프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루콜, 디글리세린이다.
신체용 세정제 조성물 전체량을 100 질량% 로 했을 때, 상기의 (E) 성분의 함유량은, 조성물 전체량에 대하여 0.1 ∼ 50 질량% 이고, 바람직하게는 0.5 ∼ 40 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 ∼ 25 질량% 이다. (E) 성분의 함유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피부의 촉촉함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고, 함유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헹굼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신체 세정제 조성물은, 상기의 (A), (D), (E) 의 각 성분 외에, 용제를 함유한다. 이러한 용제로는, 물, 저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물로는, 예를 들어, 정제수, 이온 교환수, 증류수, RO (Reverse Osmosis) 수, 수돗물, 공업용수 등을 들 수 있다. 저급 알코올로는, 예를 들어, 에탄올, 2-프로판올, 에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용제 중 특히 정제수 등의 물이 바람직하다.
용제는, (A), (D), (E) 의 각 성분 및 임의로 함유할 수 있는 다른 성분을 소정량으로 조정하는 양으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신체용 세정제 조성물 전체량을 100 질량% 로 했을 때, 용제의 함유량은, 30 ∼ 99 질량% 이고, 바람직하게는 50 ∼ 95 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65 ∼ 90 질량% 이다.
본 발명의 신체 세정제 조성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체 세정제 조성물의 형태로는, 액상, 겔상 등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또, 사용 형태는 한정되지 않고, 보디 소프, 클렌징료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체 세정제 조성물에 있어서는, 세정료에 상용되고 있는 첨가제를 본 발명의 성능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배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테아르산글리콜 등의 펄화제를 배합하여 광택이 있는 유탁색의 펄상 액체 보디 소프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신체 세정제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물 및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첨가 성분, 예를 들어 유성 기제, 계면 활성제, 알코올류, 다가 알코올, 보습제, 고분자·증점·겔화제, 산화 방지제, 방부제, 살균제, 킬레이트제, pH 조정제·산·알칼리, 자외선 흡수제, 미백제, 용제, 각질 박리·용해제, 진양제, 소염제, 제한제, 청량제, 환원제·산화제, 고분자 분체, 비타민류 및 그 유도체류, 당류 및 그 유도체류, 유기산류, 무기 분체류, 향료, 색소 등, 신체용 세정제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다른 성분을 첨가해도 된다.
실시예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의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복합 금속 시안화물 착물 촉매의 합성)
염화아연 2.1 g 을 포함하는 2.0 ㎖ 의 수용액 중에, 칼륨헥사시아노코발테이트 K3Co(CN)6 을 0.84 g 포함하는 15 ㎖ 의 수용액을, 40 ℃ 에서 교반하면서 15 분간에 걸쳐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물 16 ㎖, tert-부틸알코올 16 g 을 첨가하고, 70 ℃ 로 승온시키고, 1 시간 교반하였다. 실온까지 냉각 후, 여과 조작 (1 회째 여과) 을 실시하여, 고체를 얻었다. 이 고체에, 물 14 ㎖, tert-부틸알코올 8.0 g 을 첨가하고, 30 분간 교반한 후 여과 조작 (2 회째 여과) 을 실시하여, 고체를 얻었다.
또한 다시, 이 고체에 tert-부틸알코올 18.6 g, 메탄올 1.2 g 을 첨가하고, 30 분간 교반한 후 여과 조작 (3 회째 여과) 을 실시하고, 얻어진 고체를 40 ℃, 감압하에서 3 시간 건조시켜, 복합 금속 시안화물 착물 촉매 0.7 g 을 얻었다.
(합성예 1 : 실시예 화합물 1 의 합성)
온도계, 압력계, 안전 밸브, 질소 가스 취입관, 교반기, 진공 배기관, 냉각 코일, 증기 재킷을 장비한 5 ℓ 오토클레이브에, 부틸프로필렌글리콜 100 g 과 복합 금속 시안화물 착물 촉매 0.04 g 을 주입하고, 질소 치환 후, 110 ℃ 로 승온시키고, 0.3 ㎫ 이하의 조건으로, 질소 가스 취입관으로부터, 옥시프로필렌 132 g 을 적하하고, 반응조 내의 압력과 온도의 시간 경과적 변화를 측정한 결과, 3 시간 후, 반응조 내의 압력이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그 후, 반응조 내를 110 ℃ 로 유지하면서, 0.5 ㎫ 이하의 조건으로, 질소 가스 취입관으로부터, 서서히 옥시프로필렌 1494 g 과 옥시에틸렌 1258 g 의 혼합물을 적하하였다. 첨가 종료 후, 110 ℃ 에서 1 시간 반응시키고, 75 ∼ 85 ℃ 에서 1 시간 감압 처리 후, 여과를 실시하였다. 얻어진 화합물 1 에 대해,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측정을 실시하였다.
단, 부틸프로필렌글리콜은 닛폰 유화제 제조, 옥시프로필렌은 스미토모 화학 제조, 옥시에틸렌은 닛폰 촉매 제조의 것을 사용하였다.
(합성예 2 ∼ 13 : 실시예 화합물 2 ∼ 6, 실시예 화합물 A1 ∼ A4, 비교예 화합물 1, 2, 비교예 화합물 A'1 의 합성)
출발 원료, 옥시프로필렌과 옥시에틸렌의 부가 몰수, 랜덤률 이외에는, 합성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얻어진 실시예 화합물 2 ∼ 6, 실시예 화합물 A1 ∼ A4, 비교예 화합물 1, 2, 비교예 화합물 A'1 에 대해,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측정을 실시하였다.
(합성예 14, 15 : 비교예 화합물 3, 비교예 화합물 A'2 의 합성)
온도계, 압력계, 안전 밸브, 질소 가스 취입관, 교반기, 진공 배기관, 냉각 코일, 증기 재킷을 장비한 5 ℓ 오토클레이브에, 부틸프로필렌글리콜 100 g 과 촉매로서의 수산화칼륨 6.0 g 을 주입하고, 질소 치환 후, 110 ℃ 로 승온시키고, 0.5 ㎫ 이하의 조건으로, 질소 가스 취입관으로부터, 서서히 옥시프로필렌 1626 g 과 옥시에틸렌 1258 g 의 혼합물을 적하하였다. 첨가 종료 후, 110 ℃ 에서 1.5 시간 반응시키고, 75 ∼ 85 ℃ 에서 1 시간 감압 처리 후, 반응물을 5 ℓ 가지형 플라스크로 옮기고, 신속하게 1 N 염산으로 중화시키고, 질소 가스 분위기하에서 탈수 후, 여과를 실시하였다.
합성예 1 ∼ 9 의 크로마토그램으로부터 구해지는 Mz/Mw 및 TF 의 값, 또한 화합물의 특성을 표 1 에 나타낸다. 단, 수산기가는 JIS K-1557-1 에 준거하여 측정한 것이고, 분자량은 수산기가로부터 산출한 것이다.
Figure pct00002
(소포제 성능)
합성예 1 ∼ 9 의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의 소포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소포 시험을 실시하였다. 사포닌을 수돗물로 희석시킴으로써, 사포닌 0.04 % 수용액을 조제하고,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를 125 ppm 이 되도록 첨가하였다. 1000 ㎖ 메스 실린더에 조제한 시료를 200 ㎖ 투입하고, 수용액을 20 ℃ 로 유지하면서 100 ㎖/min 으로 10 분간 에어 버블링하였다. 메스 실린더의 저변으로부터 기포의 최고점까지의 체적을 시료의 체적으로 하고, 에어 버블링 후의 시료의 체적 증가율을 산출하였다. 체적 증가율은 하기의 식에 의해 계산되고, 체적 증가율의 값이 작을수록 소포성이 우수하다.
체적 증가율 (%) =
(에어 버블링 후의 시료의 체적 - 에어 버블링 전의 시료의 체적) (㎖)/에어 버블링 전의 시료의 체적 (㎖) × 100
◎ : 체적 증가율이 110 % 미만이고, 소포성이 우수하다
○ : 체적 증가율이 110 % 이상, 200 % 미만이고, 소포성이 우수하다
△ : 체적 증가율이 200 % 이상, 300 % 미만이고, 소포성이 떨어진다
× : 체적 증가율이 300 % 이상이고, 소포성이 떨어진다
또, 이것과 동일한 실험을 40 ℃, 60 ℃ 에서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냈다.
(윤활제 성능)
합성예 1 ∼ 9 의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의 윤활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마찰 계수를 측정하였다.
윤활성의 시험은 SRV Lubricant and material test system (optimal 사 제조) 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시험은 볼/디스크로 실시하고, 시험편은 각각 SUJ-2 를 사용하였다. 시험 조건은 온도 50 ℃, 하중 40 N, 진폭 1 ㎜, 진동수 50 ㎐ 이고,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 5 % 수용액을 사용하여 마찰 계수 (μ) 를 측정하였다. 윤활성에 대해, 하기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냈다.
◎ : 마찰 계수 (μ) 가 0.11 이하이다
○ : 마찰 계수 (μ) 가 0.11 보다 크고, 0.12 이하이다
△ : 마찰 계수 (μ) 가 0.12 보다 크고, 0.14 이하이다
× : 마찰 계수 (μ) 가 0.14 보다 크다
윤활제로서 사용했을 때의 소포성을 평가하였다.
5 % 수용액에 희석시킨 시료 50 ㎖ 를 100 ㎖ 실린더에 취하고, 10 초간 흔든 후, 기포가 사라질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소포성에 대해, 하기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냈다.
◎ : 15 초 이내에 소포되어, 소포성이 우수하다
○ : 15 초보다 길고 30 초 이내에 소포되어, 소포성이 우수하다
△ : 30 초보다 길고 60 초 이내에 소포되어, 소포성이 떨어진다
× : 소포에 60 초보다 긴 시간을 필요로 하여, 소포성이 떨어진다
(스타일링성능)
합성예 1 ∼ 9 의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의 스타일링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컬 리텐션 시험을 실시하였다.
합성예 1 ∼ 9 의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를 사용하여, 표 4 의 조성으로 스타일링 미스트를 조제하였다. 조제 방법은 하기와 같다.
(1) 성분 A 를 칭량하고, 80 ℃ 에서 5 분간 교반·용해시킨다
(2) 실온까지 방랭한다
(3) 실온에서 성분 B 를 첨가하고, 균일해질 때까지 교반한다
얻어진 스타일링 미스트를 미스트 스프레이 보틀에 충전하고, 25 ㎝, 1 g 의 모속 (毛束) 에 500 ㎕ 를 균일하게 도포하고, 직경 2 ㎝ 의 로드에 권부하며, 25 ℃, 습도 40 % 의 항온항습의 일정 조건하에서 하룻밤 건조시키고 그 후, 로드로부터 모속을 떼어내고, 컬된 모속의 길이 (L1) 를 측정하였다. 다음으로, 온도 25 ℃, 습도 80 % 의 항온항습의 일정 조건하에서 매달고, 2 시간 후에 다시 길이 (L2) 를 측정하였다. 컬 리텐션값 (%) 을 하기 식에 기초하여 산출하고, 하기의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5 에 나타냈다.
컬 리텐션값은, 모속의 길이 (L1) 와 모속의 길이 (L2) 를 다음 식에 대입하여 산출하였다. 또한, 컬 리텐션의 값이 「100」 에 가까울수록, 컬된 모속의 변화의 정도가 적은 것을 나타내고, 고습도하에 있어서의 정발 유지력이 우수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컬 리텐션값 (%) = ((25 - L2)/(25 - L1)) × 100
(컬 리텐션에 의한 정발 유지력의 평가 기준)
◎ : 컬 리텐션값이 85 % 이상이다
○ : 컬 리텐션값이 75 % 이상 85 % 미만이다
△ : 컬 리텐션값이 55 % 이상 75 % 미만이다
× : 컬 리텐션값이 55 % 미만이다
(모속의 정돈, 손가락 통과성, 부드러움의 평가)
합성예 1 ∼ 9 의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의 모속의 정돈, 손가락 통과성, 부드러움을 평가하기 위해서, 패널리스트에 의한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25 ㎝, 4 g 의 모속에 1000 ㎕ 를 균일하게 도포하고, 드라이어를 사용하여 3 분간 말린 후, 온도 25 ℃, 습도 60 % 의 항온항습의 일정 조건하에 모속을 1 시간 정치 (靜置) 시켰다. 관능 평가 패널 10 명에게, 모발에 손끝으로 닿게 하여, 모속의 정돈, 손가락 통과성, 부드러움에 대해, 하기 평가 기준에 따라 관능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5 에 나타냈다.
(스타일링 후의 정돈의 평가)
모발의 정돈에 관해,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 10 명 중 8 명 이상이 모발 끝의 정돈이 양호하다고 회답
○ : 10 명 중 6 명 이상이 모발 끝의 정돈이 양호하다고 회답
△ : 10 명 중 4 명 이상이 모발 끝의 정돈이 양호하다고 회답
× : 10 명 중 3 명 이하가 모발 끝의 정돈이 양호하다고 회답
(스타일링 후의 손가락 통과성의 평가)
모발의 손가락 통과성에 관해,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 10 명 중 8 명 이상이 손가락 통과성이 양호하다고 회답
○ : 10 명 중 6 명 이상이 손가락 통과성이 양호하다고 회답
△ : 10 명 중 4 명 이상이 손가락 통과성이 양호하다고 회답
× : 10 명 중 3 명 이하가 손가락 통과성이 양호하다고 회답
(스타일링 후의 부드러움의 평가)
모발의 부드러움에 관해, 이하의 기준으로 점수를 매겼다.
◎ : 10 명 중 8 명 이상이 바람직하게 부드럽다고 회답
○ : 10 명 중 6 명 이상이 바람직하게 부드럽다고 회답
△ : 10 명 중 4 명 이상이 바람직하게 부드럽다고 회답
× : 10 명 중 3 명 이하가 바람직하게 부드럽다고 회답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표 2 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 사용한 화합물 1 ∼ 6 은, 모두 20, 40, 60 ℃ 에 있어서의 소포성이 우수하다.
표 3 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 사용한 화합물 1 ∼ 6 은, 모두 윤활성 및 소포성이 우수하다.
표 5 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 사용한 화합물 1 ∼ 6 은, 모두 스타일링성과, 스타일링 후의 모발의 정돈, 손가락 통과성, 부드러움이 우수하였다.
이에 대해, 표 2, 표 3, 표 5 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에 해당하지 않는 비교예 화합물 1 ∼ 3 은, 소포성, 윤활성, 스타일링성과 스타일링 후의 모발의 정돈, 손가락 통과성, 부드러움 모두를 만족시키는 것은 없었다.
[피부용 화장료]
이하, 피부용 화장료의 바람직한 조합물 조성예를 나타낸다.
(화장수의 조합물 조성예)
상기 서술한 실시예 화합물 1 및 하기 성분을 표 6 에 나타내는 양으로, 실온 (25 ℃) 에서 균일해질 때까지 혼합함으로써 화장수를 조제하였다. 도포시의 피부 친숙함이 우수하고, 감촉에 깊이감이 있으며, 마사지시의 마찰감을 저감시킨 액상의 화장수가 얻어졌다.
Figure pct00007
(미용액의 조합물 조성예)
상기 서술한 실시예 화합물 1 및 하기 성분을 표 7 에 나타내는 양으로, 예비 혼합한 B 를 A 에 첨가하고, 실온 (25 ℃) 에서 균일해질 때까지 혼합함으로써 미용액을 조제하였다. 도포시의 피부 친숙함이 우수하고, 감촉에 깊이감이 있으며, 마사지시의 마찰감을 저감시킨 액상의 미용액이 얻어졌다.
Figure pct00008
(유액의 조합물 조성예)
상기 서술한 실시예 화합물 1 및 하기 성분을 표 8 에 나타내는 양으로, A, B 상을 각각 혼합하고, 75 ∼ 80 ℃ 로 과열하고, 호모믹서를 사용하여 혼합한 후에 냉각시키고, C 를 첨가하여 균일해질 때까지 혼합함으로써 유액을 조제하였다. 도포시의 피부 친숙함이 우수하고, 감촉에 깊이감이 있으며, 마사지시의 마찰감을 저감시킨 액상의 유액이 얻어졌다.
Figure pct00009
(크림의 조합물 조성예)
상기 서술한 실시예 화합물 1 및 하기 성분을 표 9 에 나타내는 양으로, A, B 상을 각각 혼합하고, 75 ∼ 80 ℃ 로 과열하며, 호모믹서를 사용하여 혼합한 후에 냉각시키고, C 를 첨가하여 균일해질 때까지 혼합함으로써 유액을 조제하였다. 도포시의 피부 친숙함이 우수하고, 감촉에 깊이감이 있으며, 마사지시의 마찰감을 저감시킨 액상의 유액이 얻어졌다.
Figure pct00010
[모발 세정제 조성물의 실시예]
본 발명 실시예 화합물 A1 ∼ 4, 비교예 화합물 A'1, A'2 의 크로마토그램으로부터 구해지는 Mz/Mw, 화합물의 특성을 표 10 에 나타낸다. 단, 수산기가는 JIS K-1557-1 에 준거하여 측정한 것이고, 분자량은 수산기가로부터 산출한 것이다.
Figure pct00011
표 11, 표 12 에 나타내는 각 모발 세정제 조성물을 조제하고, 하기 방법에 의해 평가를 실시하였다.
(헹굼시에 있어서의 감촉의 매끈함)
정상 패널리스트 10 명에게, 실시예, 비교예에서 조제한 세정료 조성물을 사용하게 하여, 헹굼시의 감촉에 대해 관능 평가를 실시함으로써, 헹굼시의 감촉의 매끈함을 하기 평점 기준에 의해 3 단계로 상대 평가하였다. 10 명의 합계점을 산출하고, 이하의 평가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평점 기준
3 점 : 헹굼시의 감촉이 매끈하다
2 점 : 헹굼시의 감촉이 약간 매끈하다
1 점 : 헹굼시의 감촉이 매끈하지 않다
평가 기준
◎ : 25 점 이상
○ : 20 점 이상, 25 점 미만
△ : 20 점 미만
(세정 후에 있어서의 모발의 정돈의 지속성)
정상 패널리스트 10 명에게, 실시예, 비교예에서 조제한 세정료 조성물을 사용하게 하여, 드라이어로 건조시킨 후, 세정 3 시간 후에 모발의 정돈에 대해 관능 평가를 실시함으로써, 모발의 정돈의 지속성을 평가하였다. 하기 평점 기준에 의해 3 단계로 상대 평가하고, 10 명의 합계점을 산출하고 이하의 평가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평점 기준
3 점 : 세정 3 시간 후의 모발이 정돈되어 있다
2 점 : 세정 3 시간 후의 모발이 약간 정돈되어 있다
1 점 : 세정 3 시간 후의 모발이 정돈되어 있지 않다
평가 기준
◎ : 25 점 이상
○ : 20 점 이상, 25 점 미만
△ : 20 점 미만
(담배 냄새나 조리 냄새의 억제 효과)
모발속 5 그램을 10 % 라우릴황산나트륨, 실시예 처방물 및 비교예 처방물로 세정하고, 드라이어로 건조시킨 후, 25 ℃, 습도 40 % 의 항온항습의 일정 조건하에서 하룻밤 정치시켰다. 넓이 약 4 다다미 (疊), 흡연자가 2 명 있는 흡연실에 15 분 정치시킨 후, 취출하고, 건조 후, 25 ℃, 습도 40 % 의 항온항습의 일정 조건하에서 30 분 정치시켜, 모발 시료를 얻었다.
실시예 처방물 및 비교예 처방물로 세정한 모발 시료의 냄새를, 10 % 라우릴황산나트륨으로 세정한 모발 시료의 냄새와 비교하여, 패널리스트 10 명이 하기 평점 기준에 의해 3 단계로 상대 평가하였다. 10 명의 합계점을 산출하고, 이하의 평가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평점 기준
3 점 : 냄새의 억제 효과가 있다
2 점 : 냄새의 억제 효과가 약간 있다
1 점 : 냄새의 억제 효과가 없다
평가 기준
◎ : 25 점 이상
○ : 20 점 이상, 25 점 미만
△ : 20 점 미만
Figure pct00012
Figure pct00013
표 11, 표 12 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1 ∼ 7 은, 모두, 헹굼시에 있어서의 감촉의 매끈함, 세정 후에 있어서의 모발의 정돈의 지속성, 담배 냄새나 조리 냄새의 억제 효과가 우수하다.
이에 대해, 표 12 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에 해당하지 않는 비교예 1 ∼ 4 는, 헹굼시에 있어서의 감촉의 매끈함, 세정 후에 있어서의 모발의 정돈의 지속성, 담배 냄새나 조리 냄새의 억제 효과 모두를 만족시키는 것은 없었다.
즉, 비교예 1 에서는, b/c 가 5 를 초과하는 비교 화합물 A'1 을 사용하고 있지만, 세정 후에 있어서의 모발의 정돈의 지속성이나 담배 냄새나 조리 냄새의 억제 효과가 떨어진다.
비교예 2 에서는, Mz/Mw 가 낮고, a = 0 인 비교 화합물 A'2 를 사용하고 있지만, 세정 후에 있어서의 모발의 정돈의 지속성이나 담배 냄새나 조리 냄새의 억제 효과가 떨어진다.
비교예 3 에서는, 이종의 화합물을 사용하고 있지만, 세정 후에 있어서의 모발의 정돈의 지속성이나 담배 냄새나 조리 냄새의 억제 효과가 떨어진다.
비교예 4 에서는, 이종의 화합물을 사용하고 있지만, 담배 냄새나 조리 냄새의 억제 효과가 떨어진다.
[신체 세정제 조성물의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 화합물 A1 ∼ A4, 비교예 화합물 A'1, A'2 의 크로마토그램으로부터 구해지는 Mz/Mw, 화합물의 특성을 표 13 에 나타낸다. 단, 수산기가는 JIS K-1557-1 에 준거하여 측정한 것이고, 분자량은 수산기가로부터 산출한 것이다.
Figure pct00014
또, 표 14, 표 15 에 나타내는 각 신체용 세정제 조성물을 조제하고, 하기 방법에 의해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표 14, 표 15 중의 각 수치의 단위는 「질량%」 이다.
(헹굼시에 있어서의 감촉의 매끈함)
정상 패널리스트 10 명에게, 실시예, 비교예에서 조제한 세정료 조성물을 사용하게 하여, 헹굼시의 감촉에 대해 관능 평가를 실시함으로써, 헹굼시의 감촉의 매끈함을 하기 평점 기준에 의해 3 단계로 상대 평가하였다. 10 명의 합계점을 산출하고, 이하의 평가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평점 기준
3 점 : 헹굼시의 감촉이 매끈하다
2 점 : 헹굼시의 감촉이 약간 매끈하다
1 점 : 헹굼시의 감촉이 매끈하지 않다
평가 기준
◎ : 25 점 이상
○ : 20 점 이상, 25 점 미만
△ : 20 점 미만
(세정 후에 있어서의 촉촉함의 지속성)
정상 패널리스트 10 명에게, 실시예, 비교예에서 조제한 세정료 조성물을 사용하게 하여, 세정 3 시간 후에 보습감에 대해 관능 평가를 실시함으로써, 촉촉함의 지속성을 하기 평점 기준에 의해 3 단계로 상대 평가하였다. 10 명의 합계점을 산출하고, 이하의 평가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평점 기준
3 점 : 세정 3 시간 후의 피부가 촉촉하다
2 점 : 세정 3 시간 후의 피부가 약간 촉촉하다
1 점 : 세정 3 시간 후의 피부가 촉촉하지 않다
평가 기준
◎ : 25 점 이상
○ : 20 점 이상, 25 점 미만
△ : 20 점 미만
(담배 냄새나 조리 냄새의 억제 효과)
인공 피혁을 10 % 라우릴황산나트륨, 실시예 처방물 및 비교예 처방물로 세정하고, 드라이어로 건조시킨 후, 25 ℃, 습도 40 % 의 항온항습의 일정 조건하에서 하룻밤 정치시켰다. 넓이 약 4 다다미, 흡연자가 2 명 있는 흡연실에 15 분 정치시킨 후, 취출하고, 건조 후, 25 ℃, 습도 40 % 의 항온항습의 일정 조건하에서 30 분 정치시켜, 시료를 얻었다.
실시예 처방물 및 비교예 처방물로 세정한 시료의 냄새를, 10 % 라우릴황산나트륨으로 세정한 시료의 냄새와 비교하여, 패널리스트 10 명이 하기 평점 기준에 의해 3 단계로 상대 평가하였다. 10 명의 합계점을 산출하고, 이하의 평가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평점 기준
3 점 : 냄새의 억제 효과가 있다
2 점 : 냄새의 억제 효과가 약간 있다
1 점 : 냄새의 억제 효과가 없다
평가 기준
◎ : 25 점 이상
○ : 20 점 이상, 25 점 미만
△ : 20 점 미만
Figure pct00015
Figure pct00016
표 14, 표 15 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1 ∼ 8 은, 모두 헹굼시에 있어서의 감촉의 매끈함, 세정 후에 있어서의 촉촉함의 지속성, 담배 냄새나 조리 냄새의 억제 효과가 우수하다.
이에 대해, 표 15 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비교예 1 ∼ 4 에서는, 헹굼시에 있어서의 감촉의 매끈함, 세정 후에 있어서의 촉촉함의 지속성, 담배 냄새나 조리 냄새의 억제 효과를 모두 만족시키는 것은 없었다.
즉, 비교예 1 에서는, b/c 가 5 를 초과하는 비교 화합물 A'1 을 첨가하고 있지만, 세정 후에 있어서의 촉촉함의 지속성 및 담배 냄새나 조리 냄새의 억제 효과가 떨어졌다.
비교예 2 에서는, Mz/Mw 가 낮고, a = 0 인 비교 화합물 A'2 를 첨가하고 있지만, 세정 후에 있어서의 촉촉함의 지속성 및 담배 냄새나 조리 냄새의 억제 효과가 떨어졌다.
비교예 3 에서는, 이종의 화합물을 첨가하고 있지만, 세정 후에 있어서의 촉촉함의 지속성 및 담배 냄새나 조리 냄새의 억제 효과가 떨어졌다.
비교예 4 에서는, 이종의 화합물을 첨가하고 있지만, 담배 냄새나 조리 냄새의 억제 효과가 떨어졌다.
이하, 바람직한 조합물 조성예를 나타낸다.
(실시예 9 : 오일 인 보디 소프)
(A 상)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0.5 질량%
물 잔분
(B 상)
라우르산 10 질량%
미리스트산 3 질량%
팔미트산 1 질량%
48 % KOH 8 질량%
코코일메틸타우린나트륨 3 질량%
코카마이도프로필베타인 1 질량%
(C 상)
테트라올레산소르베스 40 3 질량%
정제 마카다미아유 0.5 질량%
(D 상) 본 발명의 화합물 A1 2 질량%
조제 방법 :
A 상을 80 ℃ 에서 균일해질 때까지 교반한다. A 상에 대해, B 상, C 상을 순서대로 첨가하고, 그때마다 80 ℃ 에서 균일해질 때까지 교반한다.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D 상을 첨가하고, 균일해질 때까지 교반하고, 조제 종료로 한다.
결과 :
헹굼시에 있어서의 감촉의 매끈함, 세정 후에 있어서의 촉촉함의 지속성, 담배 냄새나 조리 냄새의 억제 효과가 우수하다.
(실시예 10 : 세안 페이스트)
(A 상)
라우르산 10 질량%
미리스트산 8 질량%
팔미트산 2 질량%
48 % KOH 11 질량%
스테아르산글리세릴 2 질량%
스테아르산소르비탄 1 질량%
코코일메틸타우린나트륨 4 질량%
글리세린 25 질량%
(B 상)
시트르산 Na 0.2 질량%
본 발명의 화합물 A1 2 질량%
물 잔분
조제 방법 :
A 상을 80 ℃ 에서 균일해질 때까지 교반한다.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B 상을 첨가하여 균일해질 때까지 교반하고, 조제 종료로 한다.
결과 :
헹굼시에 있어서의 감촉의 매끈함, 세정 후에 있어서의 촉촉함의 지속성, 담배 냄새나 조리 냄새의 억제 효과가 우수하다.
(실시예 11 : 펌프 포머)
(A 상)
본 발명의 화합물 A1 1 질량%
코코일메틸타우린나트륨 5 질량%
코카마이도프로필베타인 4 질량%
코카마이드 DEA 1 질량%
디라우르산 PEG-75 1.5 질량%
글리세린 10 질량%
물 잔분
조제 방법 :
A 상을 균일해질 때까지 교반하고, 조제 종료로 한다.
결과 :
헹굼시에 있어서의 감촉의 매끈함, 세정 후에 있어서의 촉촉함의 지속성, 담배 냄새나 조리 냄새의 억제 효과가 우수하다.
(실시예 12 : 클렌징 워터)
(A 상)
본 발명의 화합물 A1 1 질량%
PEG-8 (카프릴/카프르산)글리세릴 3 질량%
라우레스황산나트륨 0.3 질량%
폴리소르베이트 20 1 질량%
BG (부틸렌클리콜) 2 질량%
물 잔분
조제 방법 :
A 상을 균일해질 때까지 교반하고, 조제 종료로 한다.
결과 :
헹굼시에 있어서의 감촉의 매끈함, 세정 후에 있어서의 촉촉함의 지속성, 담배 냄새나 조리 냄새의 억제 효과가 우수하다.

Claims (10)

  1. 식 (1) 로 나타내고, 또한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 측정에 의해 구해지는 크로마토그램으로부터 산출되는 중량 평균 분자량 (Mw) 과 z 평균 분자량 (Mz) 의 비율 Mz/Mw 가 식 (2) 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
    Z-[O-(PO)a-(PO)b/(EO)c]-H]n ···· (1)
    (식 (1) 중,
    Z 는, 탄소수 1 ∼ 24 또한 1 ∼ 6 개의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로부터, 모든 수산기를 제외한 잔기를 나타내고,
    n 은 1 ∼ 6 의 수를 나타내고,
    PO 는 옥시프로필렌기를 나타내고,
    EO 는 옥시에틸렌기를 나타내고,
    a 및 b 는, 각각 상기 옥시프로필렌기 PO 의 부가 몰수를 나타내고,
    c 는 상기 옥시에틸렌기 EO 의 부가 몰수를 나타내고,
    a 는 1 ∼ 100 의 수를 나타내고, b 는 1 ∼ 100 의 수를 나타내고, c 는 1 ∼ 200 을 나타내고, a + b + c ≥ 10 또한 b/c = 1/5 ∼ 5/1 이고,
    (PO)b/(EO)c 는 상기 옥시프로필렌기 PO 와 상기 옥시에틸렌기 EO 가 랜덤 부가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상기 옥시프로필렌기 PO 와 상기 옥시에틸렌기 EO 의 랜덤률 x 가 0.1 ≤ x ≤ 1 이다.)
    5 ≤ Mz/Mw ≤ 60 ···· (2)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마토그램으로부터 산출되는 테일링 계수 (TF) 가 식 (3) 및 식 (4) 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
    TF = W0.05L/2a ··· (3)
    1.5 ≤ TF ≤ 5.0 ··· (4)
    (상기 크로마토그램 상에서 굴절률 강도가 L/20 이 되는 2 점 중, 용출 시간이 빠른 쪽을 점 R 로 하고, 용출 시간이 느린 쪽을 점 S 로 하고, 점 R 과 점 S 를 연결한 직선 H 와, 상기 크로마토그램 상의 굴절률 강도가 최대가 되는 극대점 K 로부터 베이스 라인 B 에 그은 수선의 교점을 T 로 했을 때, 점 S 와 교점 T 의 거리를 a 로 하고, 점 R 과 점 S 의 거리를 W0.05L 로 한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랜덤률 x 가 0.5 ≤ x < 1 인,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포제.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제.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 기재.
  7. 제 6 항에 기재된 화장품용 기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용 화장료.
  8. 제 6 항에 기재된 화장품용 기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용 화장료.
  9. (A)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를 0.01 ∼ 20 질량%, (B)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를 1 ∼ 50 질량%, 및 (C) 카티온성 폴리머를 0.01 ∼ 3 질량% 를 함유하는,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
  10. (A)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를 0.01 ∼ 20 질량%, (D)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를 0.1 ∼ 50 질량%, 및 (E) 다가 알코올을 0.5 ∼ 50 질량% 함유하는, 신체용 세정제 조성물.
KR1020217022682A 2019-01-21 2020-01-16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 소포제, 윤활제, 화장료용 기재 및 그것을 포함하는 화장료,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 및 신체용 세정제 조성물 KR202101164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07867 2019-01-21
JP2019007867 2019-01-21
JPJP-P-2019-173711 2019-09-25
JP2019173711 2019-09-25
JP2019181820 2019-10-02
JPJP-P-2019-181820 2019-10-02
PCT/JP2020/001252 WO2020153223A1 (ja) 2019-01-21 2020-01-16 アルキレンオキシド誘導体、消泡剤、潤滑剤、化粧料用基材およびそれを含む化粧料、毛髪用洗浄剤組成物および身体用洗浄剤組成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6486A true KR20210116486A (ko) 2021-09-27

Family

ID=71736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2682A KR20210116486A (ko) 2019-01-21 2020-01-16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 소포제, 윤활제, 화장료용 기재 및 그것을 포함하는 화장료,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 및 신체용 세정제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089869A1 (ko)
EP (1) EP3916037A4 (ko)
JP (1) JP6799788B1 (ko)
KR (1) KR20210116486A (ko)
CN (1) CN113348196B (ko)
WO (1) WO20201532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02524B2 (ja) * 2019-01-21 2023-01-12 日油株式会社 アルキレンオキシド誘導体、潤滑剤、消泡剤、化粧品用基材およびそれを含む化粧料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1977A (ja) 1995-02-24 1996-09-10 Yushiro Chem Ind Co Ltd 水溶性金属加工用油剤
JP2006241412A (ja) 2005-03-07 2006-09-14 Nof Corp 洗浄剤組成物
JP2009067694A (ja) 2007-09-11 2009-04-02 Lion Corp 皮膚洗浄剤組成物
JP2012131982A (ja) 2010-11-30 2012-07-12 Sanyo Chem Ind Ltd 潤滑油用基油および潤滑油組成物
JP2015096247A (ja) 2013-11-15 2015-05-21 松本油脂製薬株式会社 消泡剤
JP2015096477A (ja) 2013-11-15 2015-05-21 花王株式会社 毛髪化粧料
JP2015098452A (ja) 2013-11-19 2015-05-28 花王株式会社 化粧料
JP2015120661A (ja) 2013-12-24 2015-07-02 株式会社マンダム 乳化整髪剤組成物
JP2017137254A (ja) 2016-02-02 2017-08-10 花王株式会社 毛髪洗浄剤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914161D0 (en) * 1989-06-20 1989-08-09 Shell Int Research Monoepoxide-polyol adducts,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DE19918727A1 (de) * 1999-04-24 2000-10-26 Bayer Ag Langkettige Polyetherpolyole mit hohem Anteil primärer OH-Gruppen
JP2013241581A (ja) * 2012-04-23 2013-12-05 Takemoto Oil & Fat Co Ltd ポリエーテルの製造方法
WO2018030283A1 (ja) * 2016-08-10 2018-02-15 日油株式会社 アルキルオキシラン誘導体、毛髪用化粧料、油圧作動油組成物、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樹脂組成物およびオイルクレンジング料
US20200207911A1 (en) * 2017-05-29 2020-07-02 Nof Corporation Alkylene oxide derivatives, wetting agent, solubilizing agent, and solubilizing composition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1977A (ja) 1995-02-24 1996-09-10 Yushiro Chem Ind Co Ltd 水溶性金属加工用油剤
JP2006241412A (ja) 2005-03-07 2006-09-14 Nof Corp 洗浄剤組成物
JP2009067694A (ja) 2007-09-11 2009-04-02 Lion Corp 皮膚洗浄剤組成物
JP2012131982A (ja) 2010-11-30 2012-07-12 Sanyo Chem Ind Ltd 潤滑油用基油および潤滑油組成物
JP2015096247A (ja) 2013-11-15 2015-05-21 松本油脂製薬株式会社 消泡剤
JP2015096477A (ja) 2013-11-15 2015-05-21 花王株式会社 毛髪化粧料
JP2015098452A (ja) 2013-11-19 2015-05-28 花王株式会社 化粧料
JP2015120661A (ja) 2013-12-24 2015-07-02 株式会社マンダム 乳化整髪剤組成物
JP2017137254A (ja) 2016-02-02 2017-08-10 花王株式会社 毛髪洗浄剤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99788B1 (ja) 2020-12-16
EP3916037A4 (en) 2022-10-19
EP3916037A1 (en) 2021-12-01
JPWO2020153223A1 (ja) 2021-02-18
CN113348196B (zh) 2023-09-15
US20220089869A1 (en) 2022-03-24
CN113348196A (zh) 2021-09-03
WO2020153223A1 (ja) 2020-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97859B1 (en) Cosmetic bases and cosmetics containing the same
JPS58213705A (ja) 皮膚コンデイシヨニング組成物
JP6683524B2 (ja) 水性クレンジング化粧料
JP2007320872A (ja) 頭髪化粧料
KR20210116486A (ko) 알킬렌옥사이드 유도체, 소포제, 윤활제, 화장료용 기재 및 그것을 포함하는 화장료,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 및 신체용 세정제 조성물
JPH0971517A (ja) 毛髪化粧料
KR20060009895A (ko) 세정제 조성물
JP5189836B2 (ja) 油分含有化粧料組成物
JP2007161596A (ja) 毛髪化粧料
JP4610115B2 (ja) クレンジング化粧料
JP4085667B2 (ja) 透明ゲル状洗浄剤組成物
US7872083B2 (en) Polymer and cosmetic preparation
JP2007297300A (ja) 整髪用乳化組成物
JP2002161020A (ja) 泡沫状化粧料
JP2022062699A (ja) 皮膚軟化剤および洗浄剤
JP6819020B2 (ja) 水中油型乳化皮膚化粧料
JP2002003343A (ja) 毛髪処理剤組成物
JP3251719B2 (ja) 皮膚化粧料
JP7265712B2 (ja) 水中油型乳化皮膚化粧料
JPH07138136A (ja) 毛髪用洗浄剤組成物
JP2009234967A (ja) 洗浄剤組成物
JP2022175998A (ja) 温感皮膚洗浄料
JP2022120410A (ja) 水中油滴型皮膚洗浄化粧料
WO2024053562A1 (ja) 化粧料基剤
JP2021138631A (ja) 光沢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