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2032A - 트림 고정용 클립 - Google Patents

트림 고정용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2032A
KR20210112032A KR1020200027084A KR20200027084A KR20210112032A KR 20210112032 A KR20210112032 A KR 20210112032A KR 1020200027084 A KR1020200027084 A KR 1020200027084A KR 20200027084 A KR20200027084 A KR 20200027084A KR 20210112032 A KR20210112032 A KR 20210112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trim
unit
fixing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7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0013B1 (ko
Inventor
도유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Priority to KR1020200027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0013B1/ko
Publication of KR20210112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2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0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0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06Arrangements of fasteners and clip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inner vehicle liners or mou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8Fixation or mounting means specific for door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F16B5/0621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 F16B5/0664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at least one of the sheets or plates having integrally formed or integrally connected snap-in-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언더커버 체결용 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더 상세하게는 헤드부와 바디부가 가용성연결부로 연결되어 언더커버에 체결용 클립을 조립하는 것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헤드에 형성된 나사체결고정부에 의해 차체에 설치된 블트가 견고하게 체결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언더커버(200)의 저면에 상부면이 접촉하는 안착부(121)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하부에는 체결부(122)가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122)와 안착부(121)를 관통하는 수용공(123)이 관통되어 형성된 몸통부(120)와: 상기 몸통부(120)에 형성된 수용공(123)에 삽입이 이루어지는 나사고정체결부(130)가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광하협형상의 삽입공(111)이 관통되어 형성된 머리부(110)와: 상기 머리부(110)와 몸통부(120)에 일체로 좌굴현상에 의해 벌어지도록 형성되는 다리부(140)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트림 고정용 클립{Trim fastening clip}
본 발명은 트림 고정용 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더 상세하게는 차체에 설치되는 트림의 장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트림이 차체에 설치된 상태에서 이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트림 고정용 클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트림을 차체에 결합할 때에는 클립으로 고정시켜 부착하고 있다.
이와같이 트림을 차체에 고정시킬 때 사용하는 종래의 클립은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클립(10)의 양측면 중앙부가 내측으로 절곡시켜 삼각형 형상의 걸림편(11)이 내측을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클립(10)은 트림(12)에 돌출형성된 형성된 브라켓(13)에 삽입시키는 것에 의해 걸림편(11)이 양측으로 약간 벌어지면서 삽설된 다음 걸림편(11)의 뾰족한 부분이 브라켓(13)에 찍혀 고정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클립(10)은 걸림편(11)의 뾰족한 부분이 브라켓(13)에 찍혀 고정되는 관계로, 트림(12)에 설치된 브라켓(13)에 클립(10)을 결합시, 상기 브라켓(13)에 스크래치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클립(10)에 의해 의해 차체(20)에 장착되어 있는 트림(12)을 차체(20)로 부터 탈거 시 웰드라인(WELD LINE)으로 인한 스크래치가 발생되어 교체 또는 수리 작업성이 저하됨은 물론, 클립(10)의 체결력이 저하되어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8-043980호 일본등록특허공보 제3070905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2-009465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트림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브라켓에 클립을 결합시에도 상기 브라켓에 스크래치등과 같은 변형이 발생하지 않으며 고정되게 결합되도록 하는 트림 고정용 클립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트림을 차체로 부터 탈거시에도 클립이 브라켓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어 내구성이 향상되고, 트림에 진동등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상기 클립이 브라켓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트림 고정용 클립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트림(300)에 설치되는 브라켓(200)의 돌출부(210)가 삽입되는 삽입부(110)와; 상기 삽입부(110)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부(210)의 외측면에 내측면이 밀착되는 밀착부(120)와; 상기 밀착부(120)의 내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돌기(121)와: 상기 걸림돌기(121)가 내측면에 형성된 밀착부(120)의 외측에 탄성변형가능하게 형성되는 탄성변형부(130)와; 상기 탄성변형부(130)의 하부에 형성되는 안착부(140)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한편, 상기 밀착부(120) 및 걸림돌기(121)는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됨을 밝혀 둔다.
또한, 상기 안착부(140)의 하부에는 차체(400)의 외측면에 접촉하는 걸림부가 형성됨을 밝혀 둔다.
한편, 상기 탄성변형부(130)는 상단부가 밀착부(120)의 외측면에 연결된 상부지지다리(131)와,
상기 상부지지다리(131)의 하단부에 상단부가 연결되고 하단부는 각각 밀착부(120)의 좌우 양측단부에 연결된 한쌍의 하부지지다리(132)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밀착부(120)의 내측면이 브라켓(200)의 돌출부(210) 외측면에 접촉되도록 삽입되어 있는 클립(100)을 차체(400)에 형성된 구멍(410)에 삽입시 적은 힘으로로도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상기 구멍(410)에 삽입되어 있는 클립(100)을 인출시에는 두개의 하부지지다리(132)에 의해 안내되면서 구멍(410)으로 부터 클립(100)이 인출되어지게 됨으로써, 상기 체체에 트림을 분리 및 조립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 함을 밝혀 둔다.
또한, 상기 상부지지다리(131)의 길이는 하부지지다리(132)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 함을 밝혀 둔다.
한편, 상기 클립(100)의 삽입부(110)에 삽입되는 브라켓(200)의 돌출부(210)에는 걸림돌기(121)가 삽입되는 걸림공(211)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걸림공(211)에 돌출부가 삽입되는 것에 의해 클립(100)이 유동되지 않으며 견고하게 트림(30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을 밝혀 둔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트림에 설치된 브라켓의 돌출부를 삽입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돌축부에 형성된 걸림공에 걸림돌기가 삽입되면서 안정되게 클립이 조립된 상태를 유지하게됨은 물론, 상기 브라켓의 돌출부에 결합이 이루어진 클립에 의해 안정되게 트림이 차체에 조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상기 클립을 브라켓에 가 조립시키는 것은 물론, 상기 브라켓이 고정설치된 트림을 차체에 고정되게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로인해 트림을 차체에 조립시 작업성이 향상되어지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종래 트림 고정용 클립에 의해 트림이 차체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다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트림 고정용 클립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트림 고정용 클립이 트림에 설치되는 브라켓에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트림 고정용 클립이 결합된 트림이 차체 조립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트림 고정용 클립에 의해 트림이 차체에 장착된 상태를 일부절개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트림 고정용 클립이 브라켓에 조립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트림 고정용 클립이 차체에 장착된 상태를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인 트림 고정용 클립을 보인 사시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트림 고정용 클립이 트림에 설치되는 브라켓에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트림 고정용 클립이 결합된 트림이 차체 조립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트림 고정용 클립에 의해 트림이 차체에 장착된 상태를 일부절개사시도 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트림 고정용 클립이 브라켓에 조립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고, 도 7은 본 발명인 트림 고정용 클립이 차체에 장착된 상태를 정면도 이다.
본 발명인 트림 고정용 클립은 도 2내지 도 7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트림(300)에 설치되는 브라켓(200)의 돌출부(210)가 삽입되는 삽입부(110)와; 상기 삽입부(110)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부(210)의 외측면에 내측면이 밀착되는 밀착부(120)와; 상기 밀착부(120)의 내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돌기(121)와: 상기 걸림돌기(121)가 내측면에 형성된 밀착부(120)의 외측에 탄성변형가능하게 형성되는 탄성변형부(130)와; 상기 탄성변형부(130)의 하부에 형성되는 안착부(14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밀착부(120) 및 걸림돌기(121)는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안착부(140)의 하부에는 차체(400)의 외측면에 접촉하는 걸림부(141)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탄성변형부(130)는 상단부가 밀착부(120)의 외측면에 연결된 상부지지다리(131)와, 상기 상부지지다리(131)의 하단부에 상단부가 연결되고 하단부는 각각 밀착부(120)의 좌우 양측단부에 연결된 한쌍의 하부지지다리(13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지지다리(131)의 길이는 하부지지다리(132)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클립(100)의 삽입부(110)에 삽입되는 브라켓(200)의 돌출부(210)에는 걸림돌기(121)가 삽입되는 걸림공(211)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트림(300)에 설치된 브라켓(200)의 돌출부(210)에 클립(100)의 삽입부(110) 하부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하부로 하중을 가해주게 되면, 상기 클립(100)의 삽입부(110)에 브라켓(200)의 돌출부(210)가 삽입되면서 조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된다.
이때, 상기 클립(100)의 밀착부(120)에 형성된 각각의 걸림돌기(121)는 돌추부()에 형성된 걸림공(211)에 각각 삽입되면서, 상기 클립(100)이 고정되게 브라켓(200)에 조립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클립(10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브라켓으로 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클립(100)을 브라켓(200)에 조립시킨 상태에서 트림(300)을 차체(400)에 조립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차체(400)에 형성된 구멍(410)에 브라켓(200)의 돌출부(210)에 결합되어 있는 클립(100)을 삽입시킨다.
이때, 상기 구멍(410)의 내측면이 상부다리()의 외측면에 접촉되면서 삽입되는 것에 의해 을 탄성변형부(130)가 밀착부 방향으로 변형이 이루어지면서 차체(400)에 형성된 구멍에 용이하게 클립(100)이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차체(400)에 형성된 구멍(410)에 클립(100)이 삽입되면, 상기 클립(100)의 탄성변형부(130)에 구비된 하부지지다리(132)의 외측면은 각각 차체(400)의 상부면에 접촉되고, 상기 차체(400)의 하부는 걸림부(141)에 접촉되면서 지지도록 차체(400)가 안정되게 안착부(140)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로인해 차량을 운행시 진동이 발생하여 차체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클립(0이 차체로 부터 이탈되지 않으며 고정되게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클립(100)에 의해 의해 차체(400)에 장착되어 있는 트림(300)을 차체(400)로 부터 탈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클립(100)의 안착부(140)로 부터 차체(400)가 인출되도록 트림(300)을 잡아당기면 상기 탄성변형부(130)가 밀착부(120)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면서 안착부(140)로 부터 차체(400)가 인출되면서 트림(300)이 분리되어지게 된다.
이로인해 트림(300)을 차체(400)에 조립 및 분리시켜 교체 또는 수리시에도 웰드라인(WELD LINE)으로 인한 스크래치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110 : 삽입부 120 : 밀착부
121 : 걸림돌기 130 : 탄성변형부
131 :상부지지다리 132 : 하부지지다리
140 : 안착부 141 : 걸림부
200 : 브라켓 210 : 돌출부
211 : 걸림공 300 : 트림

Claims (6)

  1. 트림(300)에 설치되는 브라켓(200)의 돌출부(210)가 삽입되는 삽입부(110)와; 상기 삽입부(110)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부(210)의 외측면에 내측면이 밀착되는 밀착부(120)와; 상기 밀착부(120)의 내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돌기(121)와: 상기 걸림돌기(121)가 내측면에 형성된 밀착부(120)의 외측에 탄성변형가능하게 형성되는 탄성변형부(130)와; 상기 탄성변형부(130)의 하부에 형성되는 안착부(1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림 고정용 클립.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120) 및 걸림돌기(121)는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림 고정용 클립.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140)의 하부에는 차체(400)의 외측면에 접촉하는 걸림부(14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림 고정용 클립.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변형부(130)는 상단부가 밀착부(120)의 외측면에 연결된 상부지지다리(131)와, 상기 상부지지다리(131)의 하단부에 상단부가 연결되고 하단부는 각각 밀착부(120)의 좌우 양측단부에 연결된 한쌍의 하부지지다리(13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림 고정용 클립.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립(100)의 삽입부(110)에 삽입되는 브라켓(200)의 돌출부(210)에는 걸림돌기(121)가 삽입되는 걸림공(211)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림 고정용 클립.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다리(131)의 길이는 하부지지다리(132)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림 고정용 클립.
KR1020200027084A 2020-03-04 2020-03-04 트림 고정용 클립 KR102310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084A KR102310013B1 (ko) 2020-03-04 2020-03-04 트림 고정용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084A KR102310013B1 (ko) 2020-03-04 2020-03-04 트림 고정용 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032A true KR20210112032A (ko) 2021-09-14
KR102310013B1 KR102310013B1 (ko) 2021-10-08

Family

ID=77774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7084A KR102310013B1 (ko) 2020-03-04 2020-03-04 트림 고정용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00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5388A (ko) * 2020-08-24 2022-03-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체결 구조
KR102633510B1 (ko) * 2022-08-19 2024-02-06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의 트림고정용 클립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3980A (ko) 1996-12-05 1998-09-05 김종진 유도결합 프라스마 발광분광분광기의 프라스마 토치 세정방법
JPH11247813A (ja) * 1998-03-05 1999-09-14 Nifco Inc 二つの部材の連結具
JP2009197900A (ja) * 2008-02-21 2009-09-03 Daiwa Kasei Ind Co Ltd 二部材組付け構造
KR20120094653A (ko) 2011-02-17 2012-08-27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플라스틱 클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3980A (ko) 1996-12-05 1998-09-05 김종진 유도결합 프라스마 발광분광분광기의 프라스마 토치 세정방법
JPH11247813A (ja) * 1998-03-05 1999-09-14 Nifco Inc 二つの部材の連結具
JP2009197900A (ja) * 2008-02-21 2009-09-03 Daiwa Kasei Ind Co Ltd 二部材組付け構造
KR20120094653A (ko) 2011-02-17 2012-08-27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플라스틱 클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0013B1 (ko) 2021-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43749B2 (ja) クリップ及び支持部材
KR102310013B1 (ko) 트림 고정용 클립
JP5027919B2 (ja) クリップ
JPH1054411A (ja) クリップ
JP2018199358A (ja) グロメット
US8366150B2 (en) Reinforcement tube assembly
JP5254128B2 (ja) 鏡板の上部固定金具
JP2011526559A (ja) 自動車前部用の機構
JP2009142484A (ja) バックバネの取付け構造
CN111946712A (zh) 汽车用防松螺母
KR200452513Y1 (ko) 의자
JP3216777U (ja) オプション部材の取付構造
KR101019750B1 (ko) 마운팅부시
KR20090015369A (ko) 자동차용 어시스트 핸들의 결합구조
KR101987876B1 (ko) 트림 고정용 클립 어셈블리
KR102361302B1 (ko) 언더커버 체결용 클립
JP2019100440A (ja) プラスチックファスナー
JP2001173614A (ja) クリップ
US20030189352A1 (en) Fixing structure of protector
KR100694236B1 (ko) 자동차용 후드 개방 핸들
JP4471291B2 (ja) 車輌用灯具の洗浄装置
KR970002545Y1 (ko) 탄성클립을 이용한 자동차용 범퍼몰딩의 결합구조
KR100453857B1 (ko) 자동차의 프론트 범퍼 고정구조
KR0131784Y1 (ko) 자동차의 쉬라우드 사이드 트림의 마운팅 구조
KR200297566Y1 (ko) 자동차 뒷선반의 장착용 그로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