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9750B1 - 마운팅부시 - Google Patents

마운팅부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9750B1
KR101019750B1 KR1020090073184A KR20090073184A KR101019750B1 KR 101019750 B1 KR101019750 B1 KR 101019750B1 KR 1020090073184 A KR1020090073184 A KR 1020090073184A KR 20090073184 A KR20090073184 A KR 20090073184A KR 101019750 B1 KR101019750 B1 KR 101019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mounting bush
fastener
bush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3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5786A (ko
Inventor
기현도
Original Assignee
(주)에이패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패스 filed Critical (주)에이패스
Priority to KR1020090073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9750B1/ko
Publication of KR20110015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5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9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9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2Bolts or sleeves for positioning of machine parts, e.g. notched taper pins, fitting pins, sleeves, eccentric positioning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싱가공을 통해 마운팅부시를 마운팅홀에 간편하고 견고하게 장착하고, 마운팅부시에 파스너를 조립하여 부품들을 더욱 쉽게 간편하게 장탈착할 수 있도록 한 마운팅부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마운팅부시에 있어서, 외주면 중간의 둘레를 따라 플랜지를 형성하고, 중앙을 관통 형성하여 그 내주면은 일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한 바디와; 중앙을 관통 형성하여 상기 바디의 머리부에 고정 결합한 캡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프레싱 가공을 통해 바디의 확개부를 외측으로 확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프레임에 형성된 마운팅홀 내부에 마운팅부시를 프레싱하여 결합하고, 마운팅부시 내부에 파스너를 간편하게 끼움 결합함으로써, 프레임과 조립부품을 더욱 신속하고 간편하게 조립 및 분리하고, 재조립 역시 간편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마운팅부시, 마운팅홀, 프레싱, 프레임.

Description

마운팅부시{MOUNTING BUSH}
본 발명은 마운팅부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싱가공을 통해 마운팅부시를 마운팅홀에 간편하고 견고하게 장착하고, 마운팅부시에 파스너를 조립하여 부품들을 더욱 쉽게 간편하게 장탈착할 수 있도록 한 마운팅부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시는 구멍 내면에 삽입하는, 두께가 얇은 재질의 원통체를 말하는 것으로, 일반 가전제품에서부터 자동차 제조를 위한 부품 조립에 이르기까지 산업 전분야에 걸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자동차 섀시 부품의 연결 설치(linkage mounting)용 부품으로 많이 사용되며, 차량 구동시 힘의 전달 및 방진 작용을 한다.
한편, 도 1과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부시 중 마운팅부시의 일례에 대해 도시한 것으로, 크게 금속재의 파이프부(2)와 고무재의 러버부(3)로 결합 구성되어, 프레임(4)의 어느 일부에 형성된 마운팅홀(5)에 삽입 장착한다.
즉, 러버부(3)의 양단측이 플랜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마운팅홀(5)에 압착 삽입되고, 상기 러버부(3) 중앙에 형성된 구멍에는 금속재의 파이프부(2)가 삽 입되어 마운팅홀(5)에 마운팅부시(1)를 장착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프레임(4)에 마운팅부시(1)를 설치한 이 후에는, 마운팅부시(1)의 파이프부(2) 내부에 볼트(6)를 삽입하고, 이 볼트(6)의 선단이 다른 부품의 브래킷이나 너트 등에 체결되도록 볼트(6)의 머리를 회전시켜 부품들을 연결 설치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마운팅부시는 볼트를 통해 부품과 또 다른 부품을 체결함으로써, 부품들을 결합하거나 혹은 분리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드라이버와 같은 별도의 공구를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이로 인해 부품 체결 작업성과 제품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한 종래의 마운팅부시는 마운팅부시가 단순히 마운팅홀에 삽입되어 압입 장착됨으로써, 볼트의 결합 및 분리 과정에서 마운팅부시가 마운팅홀에서 빠져나올 수 있는 우려도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프레싱가공을 통해 마운팅부시를 마운팅홀에 고정 장착하여 마운팅부시를 간편하고 견고하게 마운팅홀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한 마운팅부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른 부품에 파스너를 장착하고, 이 파스너를 마운팅부시에 삽입 결합함으로써, 부품들을 더욱 쉽고 간편하게 장탈착할 수 있도록 한 마운팅부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마운팅부시에 있어서, 외주면 중간의 둘레를 따라 플랜지를 형성하고, 중앙을 관통 형성하여 그 내주면은 일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한 바디와; 중앙을 관통 형성하여 상기 바디의 머리부에 고정 결합한 캡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프레싱 가공을 통해 바디의 확개부를 외측으로 확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바디의 머리부 외주면 둘레를 따라 제1걸림턱을 형성하고, 상기 제1걸림턱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캡 단부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제2걸림턱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확개부의 확개 형성을 통해 확개부와 플랜지 사이에 환형홈을 조성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프레임에 형성된 마운팅홀 내부에 마운팅부시를 프레싱하여 결합하고, 마운팅부시 내부에 파스너를 간편하게 끼움 결합함으로써, 부품들을 더욱 신속하고 간편하게 조립하여 작업성 및 제품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조립된 부품의 분리작업이 필요한 경우 파스너의 간편한 버튼 조작만으로 부품들을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 있고, 또한 분리된 부품은 파스너의 간편한 끼움 결합을 통해 재조립이 가능함으로써, 부품들의 분리작업은 물론 재조립작업 역시 매우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마운팅부시에 대한 것으로, 크게 바디(11)와, 캡(17)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바디(11)는 중앙이 관통 형성된 대략의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한 것으로, 바디(11)의 외주면 중간부분 둘레를 따라 플랜지부(14)를 돌출 형성하여 마운팅부시(10)를 프레임(20)에 장착하는 경우 플랜지부(14)가 마운팅홀(21) 상면 테두리에 걸려지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바디(11) 일단에 형성된 머리부(12)는 그 일단 외주면 둘레를 따라 제1걸림턱(13)을 돌출 형성하여 캡(17)이 끼워질 수 있게 구성한다.
또한,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상기 바디(11) 일단에 형성된 확개부(15)는 프 레임(20)과 결합 이전에는 외주면이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프레싱가공을 통해 마운팅부시(10)를 프레임(20)에 결합하면서 상기 확개부(15)가 외측으로 확개 형성된다. 또, 상기 확개부(15)가 외측으로 확개 형성되면서, 확개 형성된 확개부(15)와 플랜지부(14) 사이에 환형홈(16)이 조성되어 상기 환형홈(16) 부분이 마운팅홀(21) 내주면 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또, 도 6과 같이 상기 바디(11) 내주면은 머리부(12)로부터 확개부(15)를 향하여 그 내경이 점차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하여 확개부(15) 내부에 삽입되는 파스너(30)의 버튼(35)이 자연스럽게 가압될 수 있게 구성한다.
한편, 캡(17)은 중앙이 관통 형성된 대략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바디(11)의 머리부(12)에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캡(17)은 일단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제2걸림턱(18)을 형성하여 상기 머리부(12)에 형성된 제1걸림턱(13)과 서로 후킹되는 상태로 고정 장착된다. 그리고, 파스너(30)가 마운팅부시(10)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캡(17) 상면 테두리에 파스너(30)의 버튼(35)이 걸려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파스너(30)는 확개부(15)를 통해 내부로 끼워지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본 출원인에 의해 국내에 특허 출원번호 제10-2008-68949호로 선출원 발명된 "다용도 파스너"가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7을 통해 간단하게 살펴보면, 몸체(31) 단부에 헤드부(32)를 형성하고, 상기 헤드부(32) 중앙에 형성된 삽입홀(33) 내부에 스프링(34)과 버튼(35)을 삽입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에 결합캡(37)을 끼우되, 상기 버튼(35)의 돌기부(36)가 결합캡(37)에 형성된 출입홀(38) 외부로 돌출되게 구비한다.
즉, 버튼(35)이 바디(11) 내측의 경사진 면에 가압되면 삽입홀(33)에 내장된 스프링(34)이 가압되면서 버튼(35)을 삽입홀(33) 내부로 탄력 상태로 가압시키고, 지속적인 가압작용을 통해 버튼(35)이 캡(17) 단부로 돌출되는 순간 스프링(34)의 탄발력에 의해 버튼(35)을 캡(17) 외부에 걸려지게 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상기한 파스너(30)는 본 발명의 조립부품(40)에 장착되는 일례를 도시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파스너(30)의 구성이 상기한 파스너(3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마운팅부시(10)에 끼워질 수 있는 구성의 파스너라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마운팅부시(10)를 프레임(20)에 장착하여 부품들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하부지지봉(22) 상면에 마운팅부시(10)의 캡(17)이 하부로 향하도록 하여 안착시킨 후, 프레임(20)에 형성된 마운팅홀(21)을 상기 마운팅부시(10)의 위치와 일치시켜 프레임(20)을 하부지지봉(22) 상면에 안착시킨다.
그리고, 하부지지봉(22)의 직상부에 위치한 상부지지봉(23)을 하부로 가압하여 마운팅부시(10)의 확개부(15)를 프레싱 가공한다. 이처럼, 상부지지봉(23)을 통해 마운팅부시(10)를 프레싱 가공하게 되면, 상기 마운팅부시(10)의 확개부(15)가 외측으로 확개되면서 마운팅홀(21) 상면 테두리에 걸려지게 되고, 이로 인해 마운팅부시(10)를 마운팅홀(21)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 후, 파스너(30)를 마운팅부시(10) 내부로 끼우게 되는데, 상기 파스 너(30)는 조립하고자 하는 조립부품(40)에 이미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 있으므로, 상기 조립부품(40)에 장착된 파스너(30)를 마운팅부시(10)와 일치시키고, 마운팅부시(10) 중앙의 구멍 내부로 밀어 넣게 되면, 파스너(30)에 장착된 버튼(35)이 마운팅부시(10) 내측의 경사진 면을 따라 탄성 상태로 눌려지게 된다.
이에, 파스너(30)가 장착된 조립부품(40)을 더 강한 힘으로 가압하게 되면 파스너(30)의 버튼(35)이 마운팅부시(10)의 구멍을 벗어나게 되면서 버튼(35)에 가해지는 탄성 복원력으로 인해 순간적으로 마운팅부시(10) 외부로 튀어나오듯 돌출되고, 이로 인해 캡(17) 일면에 버튼(35)이 걸려지면서 파스너(30)를 마운팅부시(10)에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한 결합을 통해 프레임(20)과 조립부품(40)을 서로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이 후, 상기한 프레임(20)과 조립부품(40)의 분리가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파스너(30)의 버튼(35)을 눌러 마운팅부시(10)로부터 상기 파스너(30)를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조립부품(40)의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분리된 조립부품(40)은 상기한 조립작용과 동일하게 다시 결합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부품들을 간편하게 재조립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마운팅부시(10)는 프레임(20)에 형성된 마운팅홀(21) 내부에 마운팅부시(10)를 간편하게 프레싱 가공하여 고정 결합하고, 상기 마운팅부시(10) 내부에 파스너(30)를 가압하여 끼움 결합함으로써, 조립부품(40)을 프레임(20)에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부품들을 더욱 신속하고 간편하게 조립하여 작업성 및 제품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작업에 소요 되는 제반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마운팅부시(10)는 조립부품(40)과 프레임(20)을 서로 조립 장착한 이 후, 조립부품(40)의 분리작업이 필요한 경우 파스너(30)의 간편한 버튼(35) 조작만으로 조립부품(40)을 프레임(2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고, 또한 분리된 조립부품(40)은 다시 상기한 파스너(30)의 끼움 결합을 통해 재조립이 가능함으로써, 분리작업은 물론 재조립작업 역시 매우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마운팅부시를 프레임에 결합하기 이전의 분리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마운팅부시에 볼트를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마운팅부시의 결합 전 사시도,
도 4a, 4b는 본 발명에 의한 마운팅부시를 프레임에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마운팅부시를 프레임에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마운팅부시에 파스너를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한 파스너의 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 마운팅부시 11 : 바디
12 : 머리부 13 : 제1걸림턱
14 : 플랜지부 15 : 확개부
16 : 환형홈 17 : 캡
18 : 제2걸림턱 20 : 프레임
21 : 마운팅홀 22 : 하부지지봉
23 : 상부지지봉 30 : 파스너
31 : 몸체 32 : 헤드부
33 : 삽입홀 34 : 스프링
35 : 버튼 36 : 돌기부
37 : 결합캡 38 : 출입홀
40 : 조립부품

Claims (3)

  1. 마운팅부시에 있어서,
    외주면 중간의 둘레를 따라 플랜지부(14)를 형성하고, 중앙을 관통 형성하여 그 내주면은 일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한 바디(11)와;
    중앙을 관통 형성하여 상기 바디(11)의 머리부(12)에 고정 결합한 캡(17)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프레싱 가공을 통해 바디(11)의 확개부(15)를 외측으로 확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부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11)의 머리부(12) 외주면 둘레를 따라 제1걸림턱(13)을 형성하고, 상기 제1걸림턱(13)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캡(17) 단부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제2걸림턱(18)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부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개부(15)의 확개 형성을 통해 확개부(15)와 플랜지부(14) 사이에 환형홈(16)을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부시.
KR1020090073184A 2009-08-10 2009-08-10 마운팅부시 KR101019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184A KR101019750B1 (ko) 2009-08-10 2009-08-10 마운팅부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184A KR101019750B1 (ko) 2009-08-10 2009-08-10 마운팅부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5786A KR20110015786A (ko) 2011-02-17
KR101019750B1 true KR101019750B1 (ko) 2011-03-08

Family

ID=43774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3184A KR101019750B1 (ko) 2009-08-10 2009-08-10 마운팅부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97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62169A (zh) * 2017-11-02 2018-02-06 陈小龙 汽车用换挡箱与衬套的压装夹具
CN107877442B (zh) * 2017-11-02 2019-08-23 广州和信实业有限责任公司 一种汽车异形工件快压快取机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5037A (ko) * 2001-08-14 2003-02-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마운팅 부시 구조
JP2004042269A (ja) 2002-07-08 2004-02-12 Sano Seisakusho:Kk ガイドピンとガイドブッシュ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5037A (ko) * 2001-08-14 2003-02-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마운팅 부시 구조
JP2004042269A (ja) 2002-07-08 2004-02-12 Sano Seisakusho:Kk ガイドピンとガイドブッシ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5786A (ko) 201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52441B (zh) 铆钉紧固件组装件
US10077790B2 (en) Spring clip with three cantilevered bars and integral 4-way locator
KR101019750B1 (ko) 마운팅부시
RU2498145C2 (ru) Узел зубчатого хомута, хомут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ее трубное соединение
WO2016205412A1 (en) Fastener-retaining system and method
KR100747253B1 (ko) 엔진 본체와 엔진커버 결합장치
US7484745B2 (en) Brinelling bushing joint assembly
JP2003074316A (ja) バルブスプリングアセンブリ及びその装備方法
KR101024110B1 (ko) 스티어링휠용 휠커버 조립방법
JPH0654936U (ja) エンジン支持構造
KR200473822Y1 (ko) 드라이버용 비트 소켓
JP2007237949A (ja) センターベアリングサポートの装着構造
KR100668061B1 (ko) 볼조인트 체결구조
JPH11334539A (ja) 車両用ワイパ装置
CN107237737B (zh) 压缩机固定结构及具有该压缩机固定结构的除湿机
KR200486026Y1 (ko) 차량용 보조핸들
CN201636174U (zh) 一种螺母
WO2019031165A1 (ja) 鞍乗り型車両のナンバープレート取付部構造
KR100821234B1 (ko) 캐스터
CN213730376U (zh) 一种膨胀螺丝装配工具
CN221097286U (zh) 稳定杆的衬套、稳定杆总成及车辆
JP4286078B2 (ja) ステアリングギヤハウジングの固定構造
KR100528009B1 (ko) 차량용 엔진커버 어셈블리
KR20080025839A (ko) 자동차용 등속 조인트의 볼트 및 와셔 어셈블리
CN101709736A (zh) 一种螺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