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8591A - 차량용 러기지보드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러기지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8591A
KR20210108591A KR1020200023358A KR20200023358A KR20210108591A KR 20210108591 A KR20210108591 A KR 20210108591A KR 1020200023358 A KR1020200023358 A KR 1020200023358A KR 20200023358 A KR20200023358 A KR 20200023358A KR 20210108591 A KR20210108591 A KR 20210108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roller
wire
handle
lugg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3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아
황진호
조민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3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8591A/ko
Priority to US16/995,030 priority patent/US11465563B2/en
Priority to CN202010877108.4A priority patent/CN113306499A/zh
Publication of KR20210108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85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1Liners for load platforms or load compartments
    • B60R13/011Liners for load platforms or load compartments for internal load compartments, e.g. car trunks
    • B60R13/013Liners for load platforms or load compartments for internal load compartments, e.g. car trunks comprising removable or hinged parts, e.g. for accessing stor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6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ools or spar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62D43/005Protective coverings for spare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36Luggag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4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linear movement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러기지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방보드(10) 및 후방보드(20)로 분리 구성되어서 러기지룸(1)내에서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전방보드(10) 및 후방보드(20)가 동시 작동 및 개별 작동이 가능하며, 전방보드(10)와 후방보드(20)가 접하는 파팅라인(100)의 위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러기지보드 장치{LUGGAGE BOARD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러기지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러기지보드가 전방보드 및 후방보드로 분리 구성되고, 전방보드 및 후방보드가 작동기구에 의해 동시 작동 및 개별 작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차량용 러기지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레저용 차량(RV, SUV, MPV 등)에는 리어시트의 후방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러기지룸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러기지룸의 바닥은 러기지보드로 구성되고, 러기지보드의 하측으로는 스페어타이어나 또는 공구 등을 수납할 수 있는 러기지트레이가 구비되어 있어서, 러기지보드의 개폐동작에 의해 러기지트레이의 수납공간이 개방되거나 밀폐된다.
종래의 일반적인 구조는 러기지트레이상에 러기지보드가 단순히 얹혀지게 설치된 구조로, 러기지보드를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없음에 따라 러기지보드상에 화물의 적재시나 또는 화물의 인출시 작업자가 불편함을 느끼는 단점이 있다.
즉, 러기지보드가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구조이면 작업자는 차량의 후방위치에서 러기지보드상에 화물을 적재한 다음, 러기지보드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화물을 러기지룸의 전방쪽으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러기지룸의 후방공간을 쉽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화물의 인출시에도 러기지보드를 후방으로 이동시켜서 화물을 인출하게 되면, 작업자는 보다 쉽게 러기지보드로부터 화물을 인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의 일반적인 러기지보드는 한 개의 패널형식으로 형성된 단일 보드의 구조로서, 러기지보드의 하측 공간을 부분적으로 개방시킬 수 없음에 따라 작업자는 사용상 불편함이 느낄 수도 있는 단점이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02-0052909호
본 발명은, 전방보드 및 후방보드로 분리 구성된 러기지보드가 러기지룸내에서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성으로 이를 통해 화물의 수납 및 인출시 작업의 편의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특히 전방보드 및 후방보드가 작동기구에 의해 동시 작동 및 개별 작동이 가능한 구성으로 러기지보드의 하측 공간을 부분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사용상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러기지보드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러기지보드 장치는, 러기지룸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전방보드 및 후방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보드는 전방보드와 상관없이 개별적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전방보드와 함께 이동하고; 상기 전방보드와 후방보드가 함께 이동할 때에 전방보드와 후방보드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동일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방보드와 후방보드는 차량의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방보드 및 후방보드는 차량의 전후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전방보드 및 후방보드의 이동은 작업자에 의한 수동식 이동구조나 또는 모터와 랙 및 피니언을 이용한 전동식 이동구조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러기지보드 장치는, 러기지룸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전방보드 및 후방보드; 상기 전방보드 및 후방보드의 이동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설치된 전방롤러 및 후방롤러; 상기 전방롤러 및 후방롤러를 감싸면서 컨베이어벨트타입으로 설치되고 롤러의 회전과 함께 이동하도록 설치된 롤러와이어; 상기 전방보드에 고정되고 롤러와이어와 일체로 결합된 전방보드블록; 및 상기 후방보드에 고정되고 작동핸들과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며 작동핸들의 조작시 롤러와이어를 홀딩 및 언홀딩하도록 동작하는 홀딩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러기지룸을 형성하는 러기지트레이에 전방보드 및 후방보드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고정 설치된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레일에 삽입되어서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전방보드블록 및 홀딩기구와 각각 연결된 가이드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방보드와 후방보드는 러기지룸내에서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되면서 전후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방롤러와 후방롤러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게 설치되고; 상기 롤러와이어는 내측부와 외측부가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방롤러와 후방롤러의 둘레를 감싸는 롤러와이어는 수평방향으로 평행한 내측부 및 외측부로 구분되고; 상기 전방보드블록은 전방보드와 롤러와이어의 내측부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방롤러와 후방롤러의 둘레를 감싸는 롤러와이어는 수평방향으로 평행한 내측부 및 외측부로 구분되고; 상기 홀딩기구는 후방보드에 고정된 홀더하우징; 상기 홀더하우징에 구비되고 작동핸들의 케이블과 연결되며 작동핸들의 조작시 롤러와이어의 외측부를 홀딩 및 언홀딩하도록 동작하는 외측와이어홀더; 및 상기 홀더하우징에 구비되고 작동핸들의 케이블과 연결되며 작동핸들의 조작시 롤러와이어의 내측부를 홀딩 및 언홀딩하도록 동작하는 내측와이어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측와이어홀더와 내측와이어홀더는 각각 두 개의 스틸로드가 홀더하우징에 대해 회전하면서 끝단이 오므라드는 동작 및 벌어지는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두 개의 스틸로드의 끝단에 롤러와이어를 잡아주는 마찰패드가 각각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핸들은 후방보드에 핸들축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외측핸들 및 내측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핸들내에 내측핸들이 위치하면서 외측핸들과 내측핸들은 한 개의 핸들축을 중심으로 개별적으로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케이블은 외측핸들과 외측와이어홀더를 연결하는 외측케이블 및 내측핸들과 내측와이어홀더를 연결하는 내측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측핸들이 후방보드와 평행하도록 눕혀진 상태이면 외측와이어홀더의 스틸로드는 끝단이 벌어진 상태를 유지해서 롤러와이어의 외측부는 외측와이어홀더와 연결되지 않은 언홀딩상태가 되고; 상기 외측핸들이 후방보드에 대해 세워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외측와이어홀더의 스틸로드는 끝단이 오므라드는 동작을 해서 롤러와이어의 외측부는 외측와이어홀더와 연결된 홀딩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측핸들이 후방보드와 평행하도록 눕혀진 상태이면 내측와이어홀더의 스틸로드는 끝단이 벌어진 상태를 유지해서 롤러와이어의 내측부는 내측와이어홀더와 연결되지 않은 언홀딩상태가 되고; 상기 내측핸들이 후방보드에 대해 세워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내측와이어홀더의 스틸로드는 끝단이 오므라드는 동작을 해서 롤러와이어의 내측부는 내측와이어홀더와 연결된 홀딩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측핸들과 내측핸들이 모두 눕혀진 상태에서 후방보드를 후방으로 당기면, 전방보드블록과 롤러와이어의 내측부가 상시 연결된 홀딩상태에서, 롤러와이어의 외측부는 외측와이어홀더와 연결되지 않은 언홀딩상태가 되고, 롤러와이어의 내측부는 내측와이어홀더와 연결되지 않은 언홀딩상태가 됨에 따라, 후방보드만이 후방으로 이동해서 후방보드의 하부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측핸들을 회전시켜서 세우고 내측핸들은 눕혀진 상태에서 후방보드를 후방으로 당기면, 전방보드블록과 롤러와이어의 내측부가 상시 연결된 홀딩상태에서, 롤러와이어의 외측부는 외측와이어홀더와 연결된 홀딩상태가 되고, 롤러와이어의 내측부는 내측와이어홀더와 연결되지 않은 언홀딩상태가 됨에 따라, 전방보드는 전방으로 이동하고 동시에 후방보드는 후방으로 이동해서 전방보드 및 후방보드의 하부가 동시에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측핸들은 눕혀지고 내측핸들을 회전시켜서 세운 상태에서 후방보드를 후방으로 당기면, 전방보드블록과 롤러와이어의 내측부가 상시 연결된 홀딩상태에서, 롤러와이어의 외측부는 외측와이어홀더와 연결되지 않은 언홀딩상태가 되고, 롤러와이어의 내측부는 내측와이어홀더와 연결된 홀딩상태가 됨에 따라, 전방보드와 후방보드는 모두 후방으로 동시에 이동하고, 전방보드와 후방보드의 동시 후방이동에 의해 전방보드와 후방보드를 구분하는 파팅라인의 위치가 후방위치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핸들은 후방보드의 전방측에 위치하면서 후방보드의 좌우방향 길이를 양분하는 중간지점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전방롤러 및 후방롤러, 롤러와이어, 전방보드블록, 홀딩기구, 케이블, 가이드레일, 가이드롤러는 작동핸들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전방보드 및 후방보드로 분리 구성된 러기지보드가 러기지룸내에서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전방보드 및 후방보드가 동시 작동 및 개별 작동이 가능하며, 전방보드와 후방보드가 접하는 파팅라인의 위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조절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를 통해 러기지보드의 하측 공간을 부분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특히 화물의 수납 및 인출시 작업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러기지보드 장치가 차량의 러기지룸에 설치된 상태의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러기지보드 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핸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내지 도 6은 도 2의 Ⅰ-Ⅰ선과 Ⅱ-Ⅱ선 및 Ⅲ-Ⅲ선 단면도로서, 도 5와 도 6은 전방보드블록 및 홀딩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외측와이어홀더 및 내측와이어홀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내지 도 10은 후방보드만이 후방으로 이동해서 개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 내지 도 13은 전방보드와 후방보드가 반대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해서 개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 내지 도 16은 전방보드와 후방보드가 동시에 후방으로 이동해서 파팅라인의 위치가 변경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 전동식 작동기구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러기지보드 장치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1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러기지보드 장치가 도시되어 있는 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러기지보드가 전방보드(10) 및 후방보드(20)로 분리 구성되고, 전방보드(10)와 후방보드(20)는 모두 러기지룸(1)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후방보드(20)는 전방보드(10)와 상관없이 개별적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전방보드(1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는 구성이고, 특히 전방보드(10)와 후방보드(20)가 함께 이동할 때에는 전방보드(10)와 후방보드(20)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동일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성이 특징이다.
전방보드(10)와 후방보드(20)는 러기지룸(1)내에서 차량의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특히 전방보드(10)와 후방보드(20)는 차량의 전후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전방보드(10) 및 후방보드(20)의 이동은 작업자에 의한 수동식 이동구조나 또는 도 17과 같이 모터(2)와 랙(3) 및 피니언(4)을 이용한 전동식 이동구조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모터(2)의 동작은 작업자의 스위치(5)조작에 의해 진행될 수 있다.
수동식 이동구조는 전동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용이 저렴하지만 사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고, 반대로 전동식 이동구조는 수동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사용은 편하지만 비용이 비싼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수동식 이동구조를 기본으로 하고 있고,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러기지보드 장치는, 러기지룸(1)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전방보드(10) 및 후방보드(20); 상기 전방보드(10) 및 후방보드(20)의 이동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설치된 전방롤러(30) 및 후방롤러(40); 상기 전방롤러(30) 및 후방롤러(40)를 감싸면서 컨베이어벨트타입으로 설치되고 롤러의 회전과 함께 이동하도록 설치된 롤러와이어(50); 상기 전방보드(10)에 고정되고 롤러와이어(50)와 일체로 결합된 전방보드블록(60); 및 상기 후방보드(20)에 고정되고 작동핸들(70)과 케이블(80)을 통해 연결되며 작동핸들(70)의 조작시 롤러와이어(50)를 홀딩 및 언홀딩하도록 동작하는 홀딩기구(90);를 포함한다.
러기지룸(1)의 전방쪽위치에 전방보드(10)가 배치되고, 전방보드(10)의 후방위치에 후방보드(20)가 배치되며, 전방보드(10)의 후방면과 후방보드(20)의 전방면은 서로 접촉하도록 설치되며, 서로 접촉하는 전방보드(10)의 후방면 및 후방보드(20)의 전방면은 전방보드(10)와 후방보드(20)의 영역을 구획하는 파팅라인(100, parting line)이 된다.
전방보드(10)와 후방보드(20)는 각각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며, 전방보드(10)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전방보드(10)의 전방부는 하측으로 이동해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숨겨진 상태가 되고, 후방보드(2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후방보드(20)의 후방부도 하측으로 이동해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숨겨진 상태가 된다.
전방롤러(30)와 후방롤러(40)는 전후방향으로 이격되어서 일렬로 배치되고, 특히 전방롤러(30)와 후방롤러(40)는 모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중심부에는 롤러축(31,41)의 일단이 결합되어서 롤러축(31,41)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롤러축(31,41)의 타단은 러기지트레이(110)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전방롤러(30) 및 후방롤러(40)의 둘레면을 감싸면서 트랙형식으로 설치된 롤러와이어(50)는 내측부(51)와 외측부(52)가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설치된 구조가 특징이다.
롤러와이어(50)는 내측부(51)는 롤러를 기준으로 보드의 내측방향쪽으로 위치된 와이어가 되고, 반대로 롤러와이어(50)는 외측부(52)는 롤러를 기준으로 보드의 외측방향쪽으로 위치된 와이어가 된다.
전방롤러(30) 및 후방롤러(40)가 회전하면 롤러와이어(50)가 컨베이어벨트와 같은 형식으로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반대로 롤러와이어(50)가 이동하면 전방롤러(30) 및 후방롤러(40)가 회전할 수 있다.
전방보드블록(60)은 전방보드(10)와 롤러와이어(50)의 내측부(51)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즉, 전방보드블록(60)의 상단은 전방보드(10)와 결합되어서 일체화를 이루고, 전방보드블록(60)에는 하측으로 연장된 돌기부(61)가 구비되고, 돌기부(61)가 롤러와이어(50)의 내측부(51)와 결합되어서 일체화된 구조가 될 수 있다.
전방보드블록(60)의 돌기부(61)와 롤러와이어(50)의 내측부(51)가 상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전방보드블록(60)과 롤러와이어(50)의 내측부(51)는 항상 홀딩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된다.
다른 예로 전방보드블록(60)의 돌기부(61)는 후술하는 외측와이어홀더 또는 내측와이어홀더와 동일한 구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럴 경우 롤러와이어(50)의 내측부(51)를 항상 홀딩상태가 되도록 잡고 있도록 구성해야 한다.
홀딩기구(90)는 후방보드(20)와 롤러와이어(50)의 내측부(51) 및 외측부(52)를 필요에 따라 홀딩(holding)하거나 또는 언홀딩(unholding)하기 위한 구성으로, 후방보드(20)에 고정된 홀더하우징(91), 상기 홀더하우징(91)에 구비되고 작동핸들(70)의 케이블(80)과 연결되며 작동핸들(80)의 조작시 롤러와이어(50)의 외측부(52)를 홀딩 및 언홀딩하도록 동작하는 외측와이어홀더(92), 및 상기 홀더하우징(91)에 구비되고 작동핸들(70)의 케이블(80)과 연결되며 작동핸들(70)의 조작시 롤러와이어(50)의 내측부(51)를 홀딩 및 언홀딩하도록 동작하는 내측와이어홀더(93)를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와이어홀더(92)와 내측와이어홀더(93)는 구성이 동일하며, 좌측도면은 언홀딩상태이고, 우측도면은 홀딩상태를 나타낸다.
외측와이어홀더(92)와 내측와이어홀더(93)는 각각 두 개의 스틸로드(921,931)가 케이블(80)과 연결되면서 홀더하우징(91)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케이블(80)의 당김 및 풀림 동작시 두 개의 스틸로드(921,931)는 끝단이 서로 오므라드는 동작 및 벌어지는 동작을 하며, 상기 두 개의 스틸로드(921,931)의 끝단에는 롤러와이어(50)의 내측부(51) 또는 외측부(52)를 잡아주는 마찰패드(922,932)가 각각 결합된 구조이다.
케이블(80)의 당김에 의해 두 개의 스틸로드(921,931)는 끝단이 서로 오므라들게 되면, 마찰패드(922,932)가 롤러와이어(50)의 내측부(51) 또는 외측부(52)를 잡아주게 됨에 따라 홀딩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반대로 케이블(80)의 풀림에 의해 두 개의 스틸로드(921,931)는 끝단이 서로 벌어지게 되면, 롤러와이어(50)의 내측부(51) 또는 외측부(52)는 언홀딩상태가 된다.
작동핸들(70)은 후방보드(20)에 핸들축(120)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외측핸들(71) 및 내측핸들(72)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핸들(71)내에 내측핸들(72)이 위치하면서 외측핸들(71)과 내측핸들(72)은 한 개의 핸들축(120)을 중심으로 개별적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도 3의 위쪽 도면은 후방보드(20)에 설치된 작동핸들(70)을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아래쪽 도면은 외측핸들(71)과 내측핸들(72)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3의 아래쪽 그림에서 좌측 도면은 외측핸들(71)과 내측핸들(72)이 모두 후방보드(20)와 평행하도록 눕혀진 상태이고, 가운데 도면은 외측핸들(71)은 핸들축(120)을 중심으로 회전해서 세워진 상태이고 내측핸들(72)은 눕혀진 상태이며, 우측 도면은 외측핸들(71)은 눕혀진 상태이고 내측핸들(72)은 핸들축(120)을 중심으로 회전해서 세워진 상태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핸들(71)과 내측핸들(72)은 한 개의 핸들축(120)을 중심으로 개별적으로 회전이 가능한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80)은 외측핸들(71)과 외측와이어홀더(92)를 연결하는 외측케이블(81), 및 내측핸들(72)과 내측와이어홀더(93)를 연결하는 내측케이블(82)을 포함한다.
따라서, 외측핸들(71)이 후방보드(20)와 평행하도록 눕혀진 상태이면 외측와이어홀더(92)의 스틸로드(921)는 끝단이 벌어진 상태를 유지해서 롤러와이어(50)의 외측부(52)는 외측와이어홀더(92)와 연결되지 않은 언홀딩상태가 되고, 외측핸들(71)이 후방보드(20)에 대해 세워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외측와이어홀더(92)의 스틸로드(921)는 끝단이 오므라드는 동작을 해서 롤러와이어(50)의 외측부(52)는 외측와이어홀더(92)와 연결된 홀딩상태가 된다.
그리고, 내측핸들(72)이 후방보드(20)와 평행하도록 눕혀진 상태이면 내측와이어홀더(93)의 스틸로드(931)는 끝단이 벌어진 상태를 유지해서 롤러와이어(50)의 내측부(51)는 내측와이어홀더(93)와 연결되지 않은 언홀딩상태가 되고, 내측핸들(72)이 후방보드(20)에 대해 세워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내측와이어홀더(93)의 스틸로드(931)는 끝단이 오므라드는 동작을 해서 롤러와이어(50)의 내측부(51)는 내측와이어홀더(93)와 연결된 홀딩상태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러기지룸(1)을 형성하는 러기지트레이(110)에 전방보드(10) 및 후방보드(20)의 이동방향(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고정 설치된 가이드레일(130), 및 상기 가이드레일(120)에 삽입되어서 가이드레일(120)을 따라 이동하고 전방보드블록(60) 및 홀딩기구(90)와 각각 연결된 가이드롤러(140)를 더 포함한다.
전방보드블록(60)에서 측방으로 연장된 롤러축(62)이 구비되고, 롤러축(62)의 단부에 가이드롤러(140)의 중심이 결합되어서 가이드롤러(140)는 롤러축(62)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롤러축(6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가이드롤러(140)가 전방보드(10)의 측부에 위치한 가이드레일(130)속에 삽입되어서 가이드레일(13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구조가 된다.
또한, 홀더하우징(91)에서 측방으로 연장된 롤러축(94)이 구비되고, 롤러축(94)의 단부에 가이드롤러(140)의 중심이 결합되어서 가이드롤러(140)는 롤러축(94)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롤러축(9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가이드롤러(140)가 후방보드(20)의 측부에 위치한 가이드레일(130)속에 삽입되어서 가이드레일(13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구조가 된다.
본 발명에 따라 작동핸들(70)은 후방보드(20)의 전방측에 위치하면서 후방보드(20)의 좌우방향 길이를 양분하는 중간지점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작동핸들(70)을 중심으로 전방롤러(30) 및 후방롤러(40), 롤러와이어(50), 전방보드블록(60), 홀딩기구(90), 케이블(80), 가이드레일(130), 가이드롤러(140)들이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설치됨으로써, 전방보드(10)와 후방보드(20)는 보다 안정된 상태로 동작을 할 수 있는 구조가 된다.
이하,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및 도 4 내지 도 6은 전방보드(10)와 후방보드(20)의 파팅라인(100)이 러기지룸(1)의 전후방향을 따라 중간정도의 지점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이며, 러기지트레이(100)는 전방보드(10)와 후방보드(20)에 의해 덮여져서 외부로의 노출이 차단된 상태이며, 또한 작동핸들(70)은 외측핸들(71)과 내측핸들(72)이 모두 후방보드(20)와 평행하도록 눕혀진 상태이다.
상기와 같이 작동핸들(70)의 외측핸들(71)과 내측핸들(72)이 모두 후방보드(20)와 평행하도록 눕혀진 상태에서, 작업자가 작동핸들(70)속으로 손을 넣고 도 8 내지 도 10과 같이 후방보드(20)를 후방으로 당기면, 전방보드블록(60)과 롤러와이어(50)의 내측부(51)가 상시 연결된 홀딩상태에서, 롤러와이어(50)의 외측부(52)는 외측와이어홀더(92)와 연결되지 않은 언홀딩상태를 유지하고, 롤러와이어(50)의 내측부(51)는 내측와이어홀더(93)와 연결되지 않은 언홀딩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후방보드(20)만이 후방으로 이동하고(화살표 M1), 이로 인해 후방보드(20)의 하부만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방된다.
그리고, 도 2와 같이 작동핸들(70)의 외측핸들(71)과 내측핸들(72)이 모두 후방보드(20)와 평행하도록 눕혀진 상태에서, 도 11 내지 도 13과 같이 외측핸들(71)만 회전시켜서 세우고 내측핸들(72)은 그대로 눕혀진 상태를 유지한 채로 작업자가 후방보드(20)를 후방으로 당기면, 전방보드블록(60)과 롤러와이어(50)의 내측부(51)가 상시 연결된 홀딩상태에서, 롤러와이어(50)의 외측부(52)는 외측와이어홀더(92)와 연결된 홀딩상태가 되고, 롤러와이어(50)의 내측부(51)는 내측와이어홀더(93)와 연결되지 않은 언홀딩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함에 따라, 전방보드(10)는 전방으로 이동하고(화살표 M2) 동시에 후방보드(20)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화살표 M3), 이로 인해 전방보드(10) 및 후방보드(20)의 하부가 동시에 개방되어서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도 2와 같이 작동핸들(70)의 외측핸들(71)과 내측핸들(72)이 모두 후방보드(20)와 평행하도록 눕혀진 상태에서, 도 14 내지 도 16과 같이 외측핸들(71)은 그대로 눕혀진 상태를 유지하고 내측핸들(72)만 회전시켜서 세운 상태를 유지한 채로 작업자가 후방보드(20)를 후방으로 당기면, 전방보드블록(60)과 롤러와이어(50)의 내측부(51)가 상시 연결된 홀딩상태에서, 롤러와이어(50)의 외측부(52)는 외측와이어홀더(92)와 연결되지 않은 언홀딩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하고, 롤러와이어(50)의 내측부(51)는 내측와이어홀더(93)와 연결된 홀딩상태가 됨에 따라, 전방보드(10)와 후방보드(20)는 모두 후방으로 동시에 이동하게 되며(화살표 M4), 전방보드(10)와 후방보드(20)의 동시 후방이동에 의해 전방보드(10)와 후방보드(20)를 구분하는 파팅라인(100)의 위치가 후방위치로 변경된다.
상기와 같은 파팅라인(100)의 위치변경을 통해 전방보드(10) 또는 후방보드(20)의 개방시 외부로 노출되는 러기지트레이(110)의 면적을 사용자의 의도에 맞도록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전방보드(10) 및 후방보드(20)로 분리 구성된 러기지보드가 러기지룸(1)내에서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전방보드(10) 및 후방보드(20)가 동시 작동 및 개별 작동이 가능하며, 전방보드(10)와 후방보드(20)가 접하는 파팅라인(100)의 위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조절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를 통해 러기지보드의 하측 공간을 부분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고, 특히 화물의 수납 및 인출시 작업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러기지보드(10)의 동작을 구속하는 록킹기구(20)의 해제시 러기지룸(1)내에 위치한 러기지보드(10)가 트랜스버스트림(2)패널의 위쪽으로 자동 팝업되는 구성으로, 사용상 편의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를 통해 상품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 러기지룸 2 - 모터
3 - 랙 4 - 피니언
5 - 스위치 10 - 전방보드
20 - 후방보드 30 - 전방롤러
31,41,62,94 - 롤러축 40 - 후방롤러
50 - 롤러와이어 51 - 내측부
52 - 외측부 60 - 전방보드블록
61 - 돌기부 70 - 작동핸들
71 - 외측핸들 72 - 내측핸들
80 - 케이블 81 - 외측케이블
82 - 내측케이블 90 - 홀딩기구
91 - 홀더하우징 92 - 외측와이어홀더
93 - 내측와이어홀더 100 - 파팅라인
110 - 러기지트레이 120 - 핸들축
130 - 가이드레일 140 - 가이드롤러
921,931 - 스틸로드 922,932 - 마찰패드

Claims (17)

  1. 러기지룸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전방보드 및 후방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보드는 전방보드와 상관없이 개별적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전방보드와 함께 이동하고;
    상기 전방보드와 후방보드가 함께 이동할 때에 전방보드와 후방보드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동일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러기지보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방보드와 후방보드는 차량의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러기지보드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방보드 및 후방보드는 차량의 전후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전방보드 및 후방보드의 이동은 작업자에 의한 수동식 이동구조나 또는 모터와 랙 및 피니언을 이용한 전동식 이동구조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러기지보드 장치.
  4. 러기지룸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전방보드 및 후방보드;
    상기 전방보드 및 후방보드의 이동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설치된 전방롤러 및 후방롤러;
    상기 전방롤러 및 후방롤러를 감싸면서 컨베이어벨트타입으로 설치되고 롤러의 회전과 함께 이동하도록 설치된 롤러와이어;
    상기 전방보드에 고정되고 롤러와이어와 일체로 결합된 전방보드블록; 및
    상기 후방보드에 고정되고 작동핸들과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며 작동핸들의 조작시 롤러와이어를 홀딩 및 언홀딩하도록 동작하는 홀딩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러기지보드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러기지룸을 형성하는 러기지트레이에 전방보드 및 후방보드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고정 설치된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레일에 삽입되어서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전방보드블록 및 홀딩기구와 각각 연결된 가이드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러기지보드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전방보드와 후방보드는 러기지룸내에서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되면서 전후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러기지보드 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방롤러와 후방롤러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게 설치되고;
    상기 롤러와이어는 내측부와 외측부가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러기지보드 장치.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방롤러와 후방롤러의 둘레를 감싸는 롤러와이어는 수평방향으로 평행한 내측부 및 외측부로 구분되고;
    상기 전방보드블록은 전방보드와 롤러와이어의 내측부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러기지보드 장치.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방롤러와 후방롤러의 둘레를 감싸는 롤러와이어는 수평방향으로 평행한 내측부 및 외측부로 구분되고;
    상기 홀딩기구는 후방보드에 고정된 홀더하우징;
    상기 홀더하우징에 구비되고 작동핸들의 케이블과 연결되며 작동핸들의 조작시 롤러와이어의 외측부를 홀딩 및 언홀딩하도록 동작하는 외측와이어홀더; 및
    상기 홀더하우징에 구비되고 작동핸들의 케이블과 연결되며 작동핸들의 조작시 롤러와이어의 내측부를 홀딩 및 언홀딩하도록 동작하는 내측와이어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러기지보드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외측와이어홀더와 내측와이어홀더는 각각 두 개의 스틸로드가 홀더하우징에 대해 회전하면서 끝단이 오므라드는 동작 및 벌어지는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두 개의 스틸로드의 끝단에 롤러와이어를 잡아주는 마찰패드가 각각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러기지보드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작동핸들은 후방보드에 핸들축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외측핸들 및 내측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핸들내에 내측핸들이 위치하면서 외측핸들과 내측핸들은 한 개의 핸들축을 중심으로 개별적으로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케이블은 외측핸들과 외측와이어홀더를 연결하는 외측케이블 및 내측핸들과 내측와이어홀더를 연결하는 내측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러기지보드 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외측핸들이 후방보드와 평행하도록 눕혀진 상태이면 외측와이어홀더의 스틸로드는 끝단이 벌어진 상태를 유지해서 롤러와이어의 외측부는 외측와이어홀더와 연결되지 않은 언홀딩상태가 되고;
    상기 외측핸들이 후방보드에 대해 세워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외측와이어홀더의 스틸로드는 끝단이 오므라드는 동작을 해서 롤러와이어의 외측부는 외측와이어홀더와 연결된 홀딩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러기지보드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내측핸들이 후방보드와 평행하도록 눕혀진 상태이면 내측와이어홀더의 스틸로드는 끝단이 벌어진 상태를 유지해서 롤러와이어의 내측부는 내측와이어홀더와 연결되지 않은 언홀딩상태가 되고;
    상기 내측핸들이 후방보드에 대해 세워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내측와이어홀더의 스틸로드는 끝단이 오므라드는 동작을 해서 롤러와이어의 내측부는 내측와이어홀더와 연결된 홀딩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러기지보드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외측핸들과 내측핸들이 모두 눕혀진 상태에서 후방보드를 후방으로 당기면, 전방보드블록과 롤러와이어의 내측부가 상시 연결된 홀딩상태에서, 롤러와이어의 외측부는 외측와이어홀더와 연결되지 않은 언홀딩상태가 되고, 롤러와이어의 내측부는 내측와이어홀더와 연결되지 않은 언홀딩상태가 됨에 따라, 후방보드만이 후방으로 이동해서 후방보드의 하부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러기지보드 장치.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외측핸들을 회전시켜서 세우고 내측핸들은 눕혀진 상태에서 후방보드를 후방으로 당기면, 전방보드블록과 롤러와이어의 내측부가 상시 연결된 홀딩상태에서, 롤러와이어의 외측부는 외측와이어홀더와 연결된 홀딩상태가 되고, 롤러와이어의 내측부는 내측와이어홀더와 연결되지 않은 언홀딩상태가 됨에 따라, 전방보드는 전방으로 이동하고 동시에 후방보드는 후방으로 이동해서 전방보드 및 후방보드의 하부가 동시에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러기지보드 장치.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외측핸들은 눕혀지고 내측핸들을 회전시켜서 세운 상태에서 후방보드를 후방으로 당기면, 전방보드블록과 롤러와이어의 내측부가 상시 연결된 홀딩상태에서, 롤러와이어의 외측부는 외측와이어홀더와 연결되지 않은 언홀딩상태가 되고, 롤러와이어의 내측부는 내측와이어홀더와 연결된 홀딩상태가 됨에 따라, 전방보드와 후방보드는 모두 후방으로 동시에 이동하고, 전방보드와 후방보드의 동시 후방이동에 의해 전방보드와 후방보드를 구분하는 파팅라인의 위치가 후방위치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러기지보드 장치.
  1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작동핸들은 후방보드의 전방측에 위치하면서 후방보드의 좌우방향 길이를 양분하는 중간지점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전방롤러 및 후방롤러, 롤러와이어, 전방보드블록, 홀딩기구, 케이블, 가이드레일, 가이드롤러는 작동핸들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러기지보드 장치.
KR1020200023358A 2020-02-26 2020-02-26 차량용 러기지보드 장치 KR2021010859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358A KR20210108591A (ko) 2020-02-26 2020-02-26 차량용 러기지보드 장치
US16/995,030 US11465563B2 (en) 2020-02-26 2020-08-17 Luggage board apparatus for vehicle
CN202010877108.4A CN113306499A (zh) 2020-02-26 2020-08-27 用于车辆的行李板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358A KR20210108591A (ko) 2020-02-26 2020-02-26 차량용 러기지보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8591A true KR20210108591A (ko) 2021-09-03

Family

ID=77365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3358A KR20210108591A (ko) 2020-02-26 2020-02-26 차량용 러기지보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465563B2 (ko)
KR (1) KR20210108591A (ko)
CN (1) CN11330649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2589A (ko) * 2020-12-10 2022-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보드장치
US11854327B1 (en) * 2023-01-06 2023-12-26 Kuwait University Secure baggage claim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2909A (ko) 2000-12-26 2002-07-04 이계안 자동차의 러기지 보드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9A (en) * 1935-06-03 1935-09-10 Girl Christian Attachment for coupes
US5996866A (en) * 1998-09-29 1999-12-07 Lear Corporation Phone holder for vehicle console
US20020140245A1 (en) * 1999-11-23 2002-10-03 Coleman James C. Interlocking slidable assembly useful for a movable floor extension for motor vehicle cargo areas
DE10223042B4 (de) * 2002-05-22 2004-11-11 Sai Automotive Sal Gmbh Ladeboden für ein Fahrzeug mit Abstandselement und Beladevorrichtung
US20030234550A1 (en) * 2002-06-24 2003-12-25 Brooks Vincent L. Traveling console
JP4967906B2 (ja) * 2007-08-01 2012-07-0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室後部の収納構造
US8215688B2 (en) * 2008-10-15 2012-07-10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Vehicle floor console
DE102013008303A1 (de) * 2013-05-15 2014-11-20 Wirkner Gmbh Halteeinrichtung für einen transportablen Tonträger
US9902339B2 (en) * 2016-02-02 2018-02-27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Retractable storage apparatus
US10377317B2 (en) * 2016-12-12 2019-08-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console with coupled motion and enhanced storage capabilities
US10377319B2 (en) * 2017-10-04 2019-08-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older for mobile device
GB2568709A (en) * 2017-11-24 2019-05-29 Jaguar Land Rover Ltd Load floor for a load space for a vehicle
US10793082B2 (en) * 2018-01-05 2020-10-06 Ghsp, Inc. Vehicle shifter module with pop-up phone holder
US10793081B2 (en) * 2018-10-31 2020-10-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eployable electronic device hold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2909A (ko) 2000-12-26 2002-07-04 이계안 자동차의 러기지 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306499A (zh) 2021-08-27
US20210261062A1 (en) 2021-08-26
US11465563B2 (en) 202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34553B1 (en) Flexible seat system
KR20210108591A (ko) 차량용 러기지보드 장치
KR102644578B1 (ko) 자동차용 멀티 무빙 콘솔
JP4215105B2 (ja) 車両荷室内の収納部構造
US20180037168A1 (en) Height adjustable load compartment floor system
KR101583993B1 (ko)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JP5573363B2 (ja) 車両用センターコンソール装置
CA2435049A1 (en) Split lift gate swing seat
US9227569B2 (en) Loading shelf for a vehicle luggage compartment
US20200324705A1 (en) Luggage Box Apparatus for Vehicle
JP2011246004A (ja) 車両用センターコンソール装置
US7410199B2 (en) Vehicle including a retractable sliding seat
JP2002087166A (ja) 自動車のラゲージフロア装置
JP4915507B2 (ja) 車両の座席構造
JP3735653B2 (ja) シート装置
JP2009241631A (ja) 自動車荷室のボード開閉装置
KR102673076B1 (ko) 자동차용 하프 무빙 콘솔
JP3968072B2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装置
JP3686850B2 (ja) シート格納装置
CN114901512B (zh) 座椅装置
CN107878193A (zh) 用于开采车辆的座椅模块
JP3924462B2 (ja) トノカバー係合手段構造物
KR20210001416A (ko) 자동차용 하프 무빙 콘솔
JP2005052405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4023425B2 (ja) 自動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