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4702A - 마이크로에멀전 조성물 및 그의 경화물, 그리고, 그것을 포함한 화장료 - Google Patents

마이크로에멀전 조성물 및 그의 경화물, 그리고, 그것을 포함한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4702A
KR20210104702A KR1020217018030A KR20217018030A KR20210104702A KR 20210104702 A KR20210104702 A KR 20210104702A KR 1020217018030 A KR1020217018030 A KR 1020217018030A KR 20217018030 A KR20217018030 A KR 20217018030A KR 20210104702 A KR20210104702 A KR 20210104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microemulsion
oil
acid
microemulsio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8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쿠야 아베
Original Assignee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04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470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8Micro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5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unsaturated aliphatic groups, e.g. vin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10General cosmetic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6Optical properties
    • A61K2800/262Transparent; Transluc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음이온성 계면활성제, (B)하기 식(I)에 나타내는 1분자 중에 적어도 2개의 하이드로실릴기를 갖는 오가노폴리실록산, (C)하기 식(II)에 나타내는 1분자 중에 적어도 2개의 올레핀성 불포화기를 갖는 오가노폴리실록산, (D)1가 또는 다가의 알코올, (E)물로 이루어지며, 25℃에 있어서 외관이 투명 내지는 반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에멀전 조성물이다. 이에 따라, 하이드로실릴기나 올레핀성 불포화기와 같은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오가노폴리실록산을 유상에 이용한 경우에 있어서, 외관이 투명 내지는 반투명한 마이크로에멀전 조성물이 제공된다.
Figure pct00022

Description

마이크로에멀전 조성물 및 그의 경화물, 그리고, 그것을 포함한 화장료
본 발명은 마이크로에멀전 조성물 및 그의 경화물, 그리고, 그것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계면활성제, 수상, 유상으로 이루어지는 투명 내지는 반투명한 마이크로에멀전은, 연속상이 물인 수분산형 에멀전, 연속상이 기름인 유분산형 에멀전, 연속상이 물과 기름으로 이루어지는 양연속 에멀전의 3종으로 대별된다. 특히 양연속구조를 갖는 마이크로에멀전 조성물은, 기능성이나 사용감을 높인 화장료를 얻을 수 있고, 클렌징제나 피부, 모발의 세정제로서 사용하는 조성물을 들 수 있다(특허문헌 1~7).
양연속 마이크로에멀전 조성물은, 수분산형 에멀전이나 유분산형 에멀전에 비해, 다량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필요가 있는데, 화장품으로서 사용했을 때에 활성제 유래의 끈적임이나 오일리한 감각이 남기 때문에, 가벼운 감촉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계면활성제의 사용량을 줄일 필요가 있다(특허문헌 8). 또한, 유상에 실리콘유를 이용한 경우, 감촉 개선이 가능하지만, 보고예가 적고 계면활성제의 종류는 한정된다.
천연계면활성제인 서팩틴을 이용함으로써, 실리콘유를 함유한 마이크로에멀전 조성물의 제작이 가능하다. 특허문헌 9에는, 서팩틴, 아미노변성 실리콘, 수계 용매로 이루어지는 유화조성물을 보고하고 있다. 유화력이 높고 계면활성제의 양이 소량이면 되는 점이 특징적인데, 활성제가 음이온성이므로 비이온성인 계면활성제와 비교하여, 활성제에서 유래하는 끈적이는 느낌은 강하게 남는다. 또한, 사용가능한 실리콘은 한정적이며, 하이드로실릴기나 올레핀성 불포화기와 같은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오가노폴리실록산을 사용한 보고예는 없다.
한편, 끈적이는 느낌을 저감하는 방법으로서, 보송보송한 느낌이나 매끄러움 등의 사용감 및 신전성을 부여가능한 실리콘입자의 사용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0, 11). 특히 실리콘고무 구상 입자에 폴리오가노실세스퀴옥산을 피복하여 이루어지는 실리콘 미립자는, 부드러운 감촉을 갖고 있으며, 분산성이 우수한 점에서, 많은 화장료에 배합되어 있다. 그러나, 그 제작방법은 모두 외관이 백탁한 수분산형 에멀전을 경유하고 있으며, 외관이 투명한 마이크로에멀전을 경유한 보고는 기재하고 있지 않다.
일본특허공개 2009-196909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15-105255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17-66085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04-217640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13-32348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14-224061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10-222324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11-178769호 공보 국제공개 제2018/008653호 일본특허공개 2010-132877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17-193702호 공보 국제공개 제2015/022936호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하이드로실릴기나 올레핀성 불포화기와 같은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오가노폴리실록산을 유상에 이용한 경우에 있어서, 외관이 투명 내지는 반투명한 마이크로에멀전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 및, 투명성을 유지한 상태에서의 마이크로에멀전 부가경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 그리고, 마이크로에멀전 부가경화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A)음이온성 계면활성제
(B)하기 식(I)에 나타내는 1분자 중에 적어도 2개의 하이드로실릴기를 갖는 오가노폴리실록산
[화학식 1]
Figure pct00001
(R1은,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30의, 지방족 불포화결합을 갖지 않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1가 탄화수소기이고,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30의, 지방족 불포화결합을 갖지 않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1가 탄화수소기이고, 일부는 수소원자일 수도 있고, a는 0≤a≤300, b는 0≤b≤50, 또한 5≤a+b≤350이다. b=0일 때, R2의 어느 2개 이상은 수소원자이다.)
(C)하기 식(II)에 나타내는 1분자 중에 적어도 2개의 올레핀성 불포화기를 갖는 오가노폴리실록산
[화학식 2]
Figure pct00002
(R3은,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30의, 지방족 불포화결합을 갖지 않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1가 탄화수소기이고,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2~30의, 지방족 불포화결합을 갖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1가 탄화수소기, 또는, R3이고, c는 0≤c≤500, d는 0≤d≤50, 또한, 5≤c+d≤550이다. d=0일 때,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2~30의, 지방족 불포화결합을 갖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1가 탄화수소기이다.)
(D)1가 또는 다가의 알코올
(E)물
로 이루어지며, 25℃에 있어서 외관이 투명 내지는 반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에멀전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에멀전 조성물이면, 하이드로실릴화촉매를 첨가함으로써, 외관의 투명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부가경화반응이 가능하며, 투명 내지는 반투명한 마이크로에멀전 부가경화 조성물의 제작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에멀전 조성물을 수중에 첨가했을 때에 분산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마이크로에멀전 조성물이면, 화장료 등의 용도에 호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천연계면활성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A)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이면, 환경에 대한 부하를 저감할 수 있고, 안전성이 높아, 마이크로에멀전 조성물에 호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연계면활성제가, 하기 식(III)에 나타내는 환상 펩티드기를 포함한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3]
Figure pct00003
(식 중, X는, 류신, 이소류신, 및, 발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낸다.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9~18의, 지방족 불포화결합을 갖지 않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1가 탄화수소기이다. L-Leu는 L체의 류신, D-Leu는 D체의 류신, L-Val은 L체의 발린을 가리킨다. 또한, 카르복실기의 쌍이온(對イオン)은 알칼리금속이온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천연계면활성제가, 상기 식(III)으로 표시되는 것이면, 마이크로에멀전 조성물에 보다 호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식(III)에 있어서의 X가 류신, R5가 탄소수 12의 탄화수소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III)에 나타낸 천연계면활성제가, 이러한 것이면, 마이크로에멀전 조성물에 더욱 호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에멀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A)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이 0.1~10wt%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A)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이면, 마이크로에멀전이 충분히 형성된다.
또한, 상기 (D)1가 또는 다가의 알코올이 글리세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D)1가 또는 다가의 알코올이 글리세린이면, 넓은 농도범위에서 D상(계면활성제상)을 형성가능하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에멀전 조성물이 양연속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마이크로에멀전 조성물이 양연속구조를 형성하는 것이면, 상기 마이크로에멀전 조성물을 이용하여 화장료를 조제했을 때에, 기능성이나 사용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C)에 포함되는 올레핀성 불포화기 1몰에 대하여, 상기 (B)에 포함되는 하이드로실릴기가 0.5~3.0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B)에 포함되는 하이드로실릴기가 이러한 몰량이면, 상기 마이크로에멀전 조성물을 부가경화시켰을 때에, 부가경화반응이 충분히 진행되어, 충분한 감촉이 얻어진다. 또한, 부가경화 후의 투명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에멀전 조성물은, (F)하이드로실릴화촉매를 첨가함으로써 부가경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F)하이드로실릴화촉매를 첨가함으로써, 상기 마이크로에멀전 조성물을 부가경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마이크로에멀전 조성물이 부가경화한 것으로서, 투명 내지는 반투명한 외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에멀전 부가경화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러한 마이크로에멀전 부가경화 조성물은, 외관의 투명성을 갖고,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유래의 끈적임이 저감된 것이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에 기재된 마이크로에멀전 부가경화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상기 마이크로에멀전 부가경화 조성물이 배합된 화장료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유래의 끈적임이 저감되어, 사용감, 산뜻한 느낌, 및, 경시안정성이 양호하며, 화장지속력이 좋고, 발림(伸び)이나 마무리가 좋고, 내찰과성이 우수한 화장료가 된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에멀전 조성물은, 하이드로실릴화촉매를 첨가함으로써, 외관의 투명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부가경화반응이 가능하며, 투명 내지는 반투명한 마이크로에멀전 부가경화 조성물의 제작이 가능하다. 이 마이크로에멀전 부가경화 조성물이 배합된 화장료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유래의 끈적임이 저감되어, 사용감, 산뜻한 느낌, 및, 경시안정성이 양호하며, 화장지속력이 좋고, 발림이나 마무리가 좋고, 내찰과성이 우수한 화장료가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자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하기 식(I) 및 (II)로 표시되는 하이드로실릴기나 올레핀성 불포화기와 같은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오가노폴리실록산을 유상으로 함으로써, 외관이 투명 내지는 반투명한 마이크로에멀전 조성물이 용이하게 제공가능한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에멀전 조성물에 하이드로실릴화촉매를 첨가함으로써, 투명 내지는 반투명한 마이크로에멀전 부가경화 조성물의 제작이 가능한 것을 발견하였다. 나아가 얻어진 마이크로에멀전 부가경화 조성물을 함유한 화장료는, 활성제 유래의 끈적임이 저감되어, 사용감, 산뜻한 느낌, 및, 경시안정성이 우수한 화장료가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이루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하기 (A)~(E)를 포함한 25℃에 있어서 외관이 투명 내지는 반투명한 마이크로에멀전 조성물이다.
(A)음이온성 계면활성제
(B)하기 식(I)에 나타내는 1분자 중에 적어도 2개의 하이드로실릴기를 갖는 오가노폴리실록산
[화학식 4]
Figure pct00004
(R1은,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30의, 지방족 불포화결합을 갖지 않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1가 탄화수소기이고,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30의, 지방족 불포화결합을 갖지 않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1가 탄화수소기이고, 일부는 수소원자일 수도 있고, a는 0≤a≤300, b는 0≤b≤50, 또한 5≤a+b≤350이다. b=0일 때, R2의 어느 2개 이상은 수소원자이다.)
(C)하기 식(II)에 나타내는 1분자 중에 적어도 2개의 올레핀성 불포화기를 갖는 오가노폴리실록산
[화학식 5]
Figure pct00005
(R3은,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30의, 지방족 불포화결합을 갖지 않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1가 탄화수소기이고,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2~30의, 지방족 불포화결합을 갖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1가 탄화수소기, 또는, R3이고, c는 0≤c≤500, d는 0≤d≤50, 또한, 5≤c+d≤550이다. d=0일 때,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2~30의, 지방족 불포화결합을 갖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1가 탄화수소기이다.)
(D)1가 또는 다가의 알코올
(E)물
이러한 마이크로에멀전 조성물이면, 하이드로실릴화촉매를 첨가함으로써, 외관의 투명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부가경화반응이 가능하며, 투명 내지는 반투명한 마이크로에멀전 부가경화 조성물의 제작이 가능하다.
[A성분]
본 발명에 이용되는 (A)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분자구조 중에 음이온의 친수기를 갖고, 소수기로서 직쇄 또는 분지쇄의 탄화수소쇄, 방향족환 또는 복소환, 및, 그들을 복합한 것으로부터 형성된다. 예를 들어, 스테아르산나트륨이나 팔미트산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지방산비누(脂肪酸セッケン), 알킬에테르카르본산 및 그의 염, 아미노산과 지방산의 축합물염, 알칸설폰산염, 알켄설폰산염, 지방산에스테르의 설폰산염, 지방산아미드의 설폰산염, 포르말린축합계 설폰산염, 알킬황산에스테르염, 제2급 고급알코올황산에스테르염, 알킬 및 알릴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 지방산에스테르의 황산에스테르염, 지방산알킬올아미드의 황산에스테르염, 로트유 등의 황산에스테르염류, 알킬인산염, 에테르인산염, 알킬알릴에테르인산염, 아미드인산염, N-아실유산염, N-아실사르코신염, N-아실아미노산계 활성제, 레시틴·담즙산·서팩틴으로 대표되는 천연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을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특히 천연계면활성제의 이용이 바람직하다.
천연계면활성제란, 환경에 대한 부하를 저감하기 때문에 안전성이 높다고 여겨지는 생체성분 유래의 계면활성제이다. 일반적인 합성계면활성제와 비교하여 부피가 크고, 다관능성을 갖는다는 점에서 화학구조가 특이적이며, 석유 유래의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점에서, 특수기능성, 생분해성, 저독성, 생물활성 등의 특징을 갖고, 최근 주목을 받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레시틴, 담즙산, 서팩틴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천연계면활성제 중에서도 특히, 서팩틴의 이용이 바람직하다.
서팩틴은, 하기 식(III)에 나타내는 환상 펩티드기 함유의 천연계면활성제이다. 서팩틴은, 고초균으로부터 생산되는 바이오 서팩턴트이며, 7개의 아미노산을 구성요소로 하는 환상 펩티드구조의 친수부와, 탄화수소기로 이루어지는 소수부를 갖고 있다. 서팩틴은, 탄화수소기의 알킬쇄 길이나 분지도가 상이한 화합물의 총칭이다. 나트륨염인 서팩틴Na는, 다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비교하면 피부자극성이 낮다. 또한, 환상 펩티드구조끼리가 분자 간에서 수소결합에 의해 서로 끌어당김으로써, 임계미셀농도가 0.0003wt%로 매우 낮은 값을 나타내는 성질을 갖는다.
[화학식 6]
Figure pct00006
(식 중, X는, 류신, 이소류신, 및, 발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낸다.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9~18의, 지방족 불포화결합을 갖지 않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1가 탄화수소기이다. L-Leu는 L체의 류신, D-Leu는 D체의 류신, L-Val은 L체의 발린을 가리킨다. 또한, 카르복실기의 쌍이온은 알칼리금속이온으로 이루어진다.)
X는, 류신, 이소류신, 및, 발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잔기이다. 바람직하게는 류신이다.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9~18의, 지방족 불포화결합을 갖지 않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1가 탄화수소기이다. 예를 들어, 탄소수 9~18의 알킬기, 아릴기, 아랄킬기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노닐기, 데실기, 운데실기, 도데실기, 트리데실기, 테트라데실기 등을 들 수 있다. 특히는, 탄소수 9~12의 노닐기, 데실기, 운데실기, 도데실기가 바람직하다.
상기 식(III)에 나타내는 환상 펩티드기 함유의 천연계면활성제(서팩틴)에 있어서, 아미노산 잔기가 류신, R5가 분지를 포함한 탄소수 12의 탄화수소쇄인 것이 바람직하고, 카르복실기의 쌍이온이 나트륨이온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예로서, 특허문헌 12에 기재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물질은 이하의 예로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주식회사카네카제의 「카네카·서팩틴」을 사용할 수 있다.
[B성분]
본 발명에 이용되는 (B)1분자 중에 적어도 2개의 하이드로실릴기를 갖는 오가노폴리실록산은 아래 식(I)로 나타내어 진다.
[화학식 7]
Figure pct00007
(R1은,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30의, 지방족 불포화결합을 갖지 않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1가 탄화수소기이고,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30의, 지방족 불포화결합을 갖지 않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1가 탄화수소기이고, 일부는 수소원자일 수도 있고, a는 0≤a≤300, b는 0≤b≤50, 또한 5≤a+b≤350이다. b=0일 때, R2의 어느 2개 이상은 수소원자이고, b=1일 때, R2의 어느 1개 이상은 수소원자이다.)
상기 식(I) 중, R1은,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30,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10의, 지방족 불포화결합을 갖지 않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1가 탄화수소기이다. 예를 들어, 탄소수 1~30의 알킬기, 아릴기, 아랄킬기, 또는, 이들 기의 탄소원자에 결합하는 수소원자가 할로겐원자, 아미노기, 혹은, 카르복실기로 치환된 기이다. 그 중에서도, 탄소수 1~10의 알킬기, 아릴기, 아랄킬기, 불소치환 알킬기, 클로로치환 알킬기, 아미노치환 알킬기, 카르복실치환 알킬기가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펜틸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페닐기, 톨릴기, 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 헵타데카플루오로데실기, 클로로프로필기, 클로로페닐기 등을 들 수 있다. 특히는, 탄소수 1~5의 알킬기, 페닐기 또는 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가 바람직하다.
상기 식(I) 중,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30,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10의, 지방족 불포화결합을 갖지 않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1가 탄화수소기, 혹은, 수소원자이다. 탄화수소기의 예로는, 탄소수 1~30의 알킬기, 아릴기, 아랄킬기, 또는 이들 기의 탄소원자에 결합하는 수소원자가 할로겐원자, 아미노기 혹은 카르복실기로 치환된 기이다. 그 중에서도, 탄소수 1~10의 알킬기, 아릴기, 아랄킬기, 불소치환 알킬기, 클로로치환 알킬기, 아미노치환 알킬기, 카르복실치환 알킬기가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펜틸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페닐기, 톨릴기, 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 헵타데카플루오로데실기, 클로로프로필기, 클로로페닐기 등을 들 수 있다. 특히는, 탄소수 1~5의 알킬기, 페닐기 또는 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 수소원자가 바람직하다.
상기 식(I)에 있어서, a는 0≤a≤300이고, 10≤a≤100이 바람직하다. a가 300보다 크면, 분자구조가 커지므로, 유화 후의 안정성이 나빠진다. b는 0≤b≤50이고, 0≤b≤30이 바람직하다. b가 50보다 크면, 부가반응시에 있어서의 가교점이 많아지므로, 얻어진 경화물이 딱딱해짐으로써 감촉이 손상된다. a+b는 5≤a+b≤350이고, 10≤a+b≤150이 바람직하다. a+b가 5보다 작으면, 부가반응 후의 경화물의 분자량이 작아지므로, 얻어진 경화물의 성상이 액상에 가까워 감촉이 손상된다. a+b가 350보다 크면, 분자구조가 커지므로, 유화 후의 안정성이 나빠진다.
[C성분]
본 발명에 이용되는 (C)1분자 중에 적어도 2개의 올레핀성 불포화기를 갖는 오가노폴리실록산은 하기 식(II)로 표시된다.
[화학식 8]
Figure pct00008
(R3은,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30의, 지방족 불포화결합을 갖지 않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1가 탄화수소기이고,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2~30의, 지방족 불포화결합을 갖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1가 탄화수소기, 또는, R3이고, c는 0≤c≤500, d는 0≤d≤50, 또한, 5≤c+d≤550이다. d=0일 때,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2~30의, 지방족 불포화결합을 갖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1가 탄화수소기이다.)
상기 식(II) 중, R3은,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30,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10의, 지방족 불포화결합을 갖지 않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1가 탄화수소기이다. 예를 들어, 탄소수 1~30의 알킬기, 아릴기, 아랄킬기, 또는, 이들 기의 탄소원자에 결합하는 수소원자가 할로겐원자, 아미노기 혹은 카르복실기로 치환된 기이다. 그 중에서도, 탄소수 1~10의 알킬기, 아릴기, 아랄킬기, 불소치환 알킬기, 클로로치환 알킬기, 아미노치환 알킬기, 카르복실치환 알킬기가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펜틸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페닐기, 톨릴기, 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 헵타데카플루오로데실기, 클로로프로필기, 클로로페닐기 등을 들 수 있다. 특히는, 탄소수 1~5의 알킬기, 페닐기, 또는, 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식(II) 중,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2~30,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10의, 지방족 불포화결합을 갖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1가 탄화수소기, 또는, R3과 동일한 기이다. 지방족 불포화결합을 갖는 탄화수소기는, 예를 들어, 비닐기, 알릴기, 프로페닐기, 헥세닐기, 스티릴기 등을 들 수 있다. 특히는, 비닐기가 바람직하다. R4가 R3과 동일한 경우, 상기와 같다.
상기 식(II)에 있어서, c는 0≤c≤500, d는 0≤d≤50이다. c는 0≤c≤500이고, 10≤c≤400이 바람직하다. c가 500보다 크면, 분자구조가 커지므로, 유화 후의 안정성이 나빠진다. d는 0≤d≤50이고, 바람직하게는 0≤d≤30, 더욱 바람직하게는 0≤d≤10이다. d가 50보다 크면, 부가반응시에 있어서의 가교점이 많아지므로, 얻어진 경화물이 딱딱해짐으로써 감촉이 손상된다. c+d는 5≤c+d≤550이고, 10≤c+d≤400이 바람직하다. c+d가 5보다 작으면, 부가반응 후의 경화물의 분자량이 작아지므로, 얻어진 경화물의 성상이 액상에 가까워 감촉이 손상된다. c+d가 550보다 크면, 분자구조가 커지므로, 유화 후의 안정성이 나빠진다.
[D성분]
본 발명에 이용되는 (D)1가 또는 다가의 알코올은,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1가의 알코올, 및, 다가의 알코올로서 구체적으로는, 1급의 저급, 또는, 고급알코올, 에리스리톨, 말티톨, 자일리톨, 소르비톨 등의 당알코올, 1,3-BG, 글리세린, PG, DPG 등의 다가의 알코올을 들 수 있고,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당히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수용성인 다가의 알코올의 이용이 바람직하다.
다가의 알코올은, 탄소수 5~10의 1,2-알칸디올과, 그 이외의 다가의 알코올로부터 1종 혹은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가의 알코올의 이용은, (A)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조합함으로써, HLB(Hydrophilic-Liphilic Balance)의 조정이 가능해져, D상의 형성이 용이해진다.
탄소수 5~10의 1,2-알칸디올이란, 구체적으로는, 1,2-펜탄디올, 1,2-헥산디올, 1,2-헵탄디올, 1,2-옥탄디올, 1,2-노난디올, 1,2-데칸디올이다. 이들 중, 1,2-헥산디올, 1,2-헵탄디올, 및, 1,2-옥탄디올 중의 1종 이상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수 5~10의 1,2-알칸디올 이외의 다가의 알코올로는, 화장품원료로서 이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이소프렌글리콜, 소르비톨, 만니톨, 글루콜(グルコ-ル)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특히 디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글리세린을 이용한 경우, 넓은 농도범위에서 D상을 형성가능한 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D)1가 또는 다가의 알코올의 총배합량은, 화장료 중, 1.0~70질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50질량%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1.0질량% 이상의 배합량이면, 마이크로에멀전을 충분히 얻을 수 있다.
[마이크로에멀전의 제조방법]
유화를 행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유화분산기를 이용하면 되고, 그의 예로서 호모디스퍼 등의 고속회전 원심방사형 교반기, 호모믹서 등의 고속회전 전단형 교반기, 호모지나이저 등의 고압분사식 유화분산기, 콜로이드밀, 초음파유화기 등을 들 수 있다.
(A)~(E)의 5성분을 혼합할 때는, 전상온도유화법이나 D상유화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유화공정).
전상온도유화법이란, HLB가 균형을 이루는 전상온도(PIT) 부근에서 교반을 행한 후, 신속하게 냉각함으로써 미세한 에멀전을 생성하는 처방이다. PIT 부근에서는, 기름/물 간의 계면장력이 현저히 저하되므로, 미세한 유화입자가 생성되기 쉽다.
D상유화법이란, 수용성의 다가의 알코올을 첨가함으로써 계면활성제의 HLB을 조정하고, D상을 형성시킨 후에 기름을 첨가함으로써 O/D에멀전을 거쳐, 물을 첨가함으로써 미세한 에멀전을 생성가능하다.
D상유화법의 경우, 구체적으로는, (A)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D)성분으로서의 다가의 알코올의 혼합물 중에, 호모디스퍼에서의 전단을 가한 조건으로 (B)성분 및 (C)성분의 오가노폴리실록산을 서서히 배합함으로써 D상을 형성시킨다. 그 후, 소정량의 (E)물을 서서히 첨가함으로써, 투명 내지는 반투명한 마이크로에멀전이 얻어진다.
마이크로에멀전은 기름이 수중에 가용화된 미셀수용액상, 물이 기름 중에 가용화된 역미셀유용액상, 물·기름이 함께 연속구조를 취하는 양연속상의 3타입이 있고, 어느 하나의 상에 해당한다.
마이크로에멀전 조성물이 수성인지, 유성인지의 확인은, 다음의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마이크로에멀전 조성물의 몇 방울을 대과잉의 물에 적하하면 신속하게 균일 분산하고, 대과잉의 기름에 적하하면 분산하지 않을 때는 수성이며, 반대로 대과잉의 기름에 적하하면 신속하게 균일 분산하고, 대과잉의 물에 적하하면 분산하지 않을 때는 유성이다. 기름이 수중에 가용화된 미셀수용액은, 수중에 첨가했을 때에 신속하게 분산하고, 기름 중에 첨가했을 때에 분산하지 않는 점에서 수성이다. 물이 기름 중에 가용화된 역미셀유용액상의 경우, 수중에 첨가했을 때에 분산하지 않고, 기름 중에 첨가했을 때에 신속하게 분산하는 점에서 유성이다. 물·기름이 함께 연속구조를 취하는 양연속상은, 수성 또는 유성 중 어느 하나이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에멀전 조성물은, 수중에 첨가했을 때에 분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기름이 수중에 가용화된 미셀수용액, 물·기름이 함께 연속구조를 취하는 양연속상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마이크로에멀전 조성물이 미셀수용액상인지, 양연속상인지는 다음의 방법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에멀전 조성물은, 양연속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연속구조를 갖고 있는 것은, 공지의 동결할단 레플리카법에 의한 전자현미경 사진 관찰로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간편하게는, 색소의 분산시험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색소의 분산시험은, 수성색소와 유성색소의 각각을 첨가하고, 신속하게 물 및 기름의 쌍방에 혼합함으로써, 양친매성인 것을 확인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에멀전 조성물에 있어서, (A)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0.1~10wt%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유화성능이 우수한 점에서, 소량의 첨가로 에멀전의 형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에멀전 조성물에 있어서, (B), (C), (D), (E) 각 성분의 함유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바람직하게는, (A)성분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10질량부에 대하여, (B)성분의 오가노폴리실록산이 10~500질량부, (C)성분의 오가노폴리실록산이 10~1000질량부, (D)성분의 1가 또는 다가의 알코올이 10~500질량부, (E)성분의 물이 10~800질량부이다.
[마이크로에멀전 부가경화 조성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마이크로에멀전 조성물은, 상기 마이크로에멀전 조성물에 대하여, (F)하이드로실릴화촉매를 첨가함으로써, 하이드로실릴화반응에 의해 부가경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하이드로실릴화촉매의 첨가는, 마이크로에멀전 조성물의 상기 유화공정 후에 첨가할 수 있다.
(C)에 포함되는 올레핀성 불포화기 1몰에 대하여, (B)에 포함되는 하이드로실릴기가 0.5~3.0몰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이드로실릴기량이 0.5몰 이상이면, 그 후의 부가경화반응이 충분히 진행되어, 충분한 감촉이 얻어지게 된다. 또한 하이드로실릴기량이 3.0몰 이하이면, 마이크로에멀전의 투명성이 양호해진다.
하이드로실릴화반응은, 백금촉매 또는 로듐촉매 등의 백금족 금속계 촉매의 존재하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하이드로실릴화촉매로는, 예를 들어, 염화백금산, 알코올변성 염화백금산, 염화백금산-비닐실록산착체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촉매의 사용량은, 백금 또는 로듐량으로 마이크로에멀전 조성물 전체량에 대하여, 50pp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0pp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촉매의 사용량이면, 과잉하게 포함함으로써 시료가 착색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투명성이 양호해진다.
상기에 든 금속계 촉매는 소수적이므로, 수중유형(미셀수용액상)의 마이크로에멀전 조성물에 직접 첨가하는 경우, 경화반응속도가 느린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같은 분산제로 촉매를 피복함으로써, 반응속도를 올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양연속구조를 갖는 마이크로에멀전은 물과 기름이 모두 연속상인 점에서, 상기에 든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에 의한 피복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금속계 촉매를 첨가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반응의 진행이 가능하다.
백금족 금속계 촉매는, 상기한 바와 같이 유화공정 후에 첨가할 수도 있으나, 미리 (B)성분, (C)성분과 함께 용해시켜 둘 수도 있다. 백금족 금속계 촉매를 유화공정 후에 첨가하는 경우에는, 용매에 용해하여 첨가할 수도 있다. 또한, 물에 대한 분산성이 나쁜 경우에는, 백금족 금속계 촉매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에 용해한 상태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백금족 금속계 촉매를 미리 (B)성분, (C)성분과 함께 용해시켜 둘 경우에는, 유화공정이 종료될 때까지의 동안에 부가반응이 일어나지 않도록, 예를 들어 5℃ 이하의 저온으로 냉각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가반응은, 상온, 예를 들어 20~25℃에서 행할 수 있다. 반응을 위한 교반시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통상, 1~24시간이다. 반응이 완결되지 않는 경우에는, 100℃ 미만의 가열하에서 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온도범위에서 행함으로써, 에멀전의 구조가 붕괴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가경화 후에도 투명 내지는 반투명한 외관을 갖는 마이크로에멀전 부가경화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B), (C)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에멀전 조성물을 부가경화시킨 마이크로에멀전 부가경화 조성물이면, 부가경화반응에 수반하는 발열이나 구조의 수축에 의한, 에멀전의 상에의 영향이 억제되어, 반응 후의 투명성이 양호해진다.
[마이크로에멀전 부가경화 조성물의 물성]
본 발명의 마이크로에멀전 부가경화 조성물을, 감촉개량제로서 화장료에 배합함으로써, 계면활성제 유래의 끈적임이 저감되어, 사용감, 산뜻한 느낌, 및, 경시안정성이 우수한 화장료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수계나 유화계 조성물에의 배합의 편리성의 점에서, 양연속구조를 갖는 마이크로에멀전 부가경화 조성물을 제작하여, 중간체 조성물로 해도 된다. 즉, 양연속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마이크로에멀전 부가경화 조성물에 물을 첨가함으로써, 수상에 분산시킨 수분산형 에멀전을 중간체 조성물로서 일단 조제하고, 이것을 배합한 화장료를 조제할 수 있다.
[화장료]
본 발명의 마이크로에멀전 부가경화 조성물은, 각종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데, 특히 피부나 모발에 외용되는 모든 화장료의 원료로서 적용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마이크로에멀전 부가경화 조성물의 배합량은, 화장료 전체의 0.1~40질량%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0.1~10질량%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0.1질량% 이상이면, 충분한 감촉이 얻어지고, 40질량% 이하이면, 사용감이 양호해진다.
[기타 성분]
본 발명의 마이크로에멀전 부가경화 조성물 및 그것을 함유한 화장료에는, 기타 성분으로서, 통상의 화장료에 사용되는 다양한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기타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G)로서 (B) 및 (C)성분 이외의 유제, (H)분체, (I)(A)성분 이외의 계면활성제, (J)가교형 오가노폴리실록산, (K)피막제, (L)기타 첨가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당히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성분은, 화장료의 종류 등에 따라 적당히 선택사용되며, 또한 그 배합량도 화장료의 종류 등에 따른 공지의 배합량으로 할 수 있다.
(G):(B) 및 (C)성분 이외의 유제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그 목적에 따라 (G) (B) 및 (C)성분 이외의 유제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유제를 배합할 수 있다. 통상의 화장료에 사용되는 것이면, 고체, 반고체, 액상, 어떠한 유제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천연동식물유지류 및 반합성유지, 탄화수소유, 고급알코올, 에스테르유, 관용의 실리콘오일, 불소계 유제, 자외선흡수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유제를 배합하는 경우, 유제의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화장료 전체의 1~95질량%가 바람직하고, 1~3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실리콘오일
실리콘오일로는, 디메틸폴리실록산, 트리스트리메틸실록시메틸실란, 카프릴릴메티콘(カプリリルメチコン), 페닐트리메티콘, 테트라키스트리메틸실록시실란,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헥실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디메틸실록산·메틸페닐실록산 공중합체 등의 저점도로부터 고점도의 직쇄 혹은 분지상의 오가노폴리실록산,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테트라메틸테트라하이드로젠시클로테트라실록산, 테트라메틸테트라페닐시클로테트라실록산 등의 환상 오가노폴리실록산, 아미노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 피롤리돈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 피롤리돈카르본산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 고중합도의 검상 디메틸폴리실록산, 검상 아미노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 검상의 디메틸실록산·메틸페닐실록산 공중합체 등의 실리콘고무, 및, 실리콘검이나 고무의 환상 오가노폴리실록산용액, 스테아록시실리콘(ステアロキシリコ-ン) 등의 고급알콕시변성 실리콘, 고급지방산변성 실리콘, 알킬변성 실리콘, 장쇄알킬변성 실리콘, 아미노산변성 실리콘, 불소변성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천연동식물유지류 및 반합성유지
천연동식물유지류 및 반합성유지로는, 예를 들어 아보카도유, 아마인유, 아몬드유, 백랍(イボタロウ), 들깨유, 올리브유, 카카오지, 카폭 납(蠟; 왁스)(カポックロウ), 비자나무유, 카나우바 납, 간유, 칸데릴라 납, 정제 칸데릴라 납, 우지, 우각지, 우골지, 경화우지, 행인유, 경랍, 경화유, 소맥배아유, 참기름, 쌀배아유, 쌀겨유, 사탕수수 납, 산다화유, 새플라워유(홍화유), 시어버터, 참오동나무유(シナギリ油), 시나몬유, 호호바 납, 스쿠알란, 스쿠알렌, 쉘락 납, 터틀유, 대두유, 다실유(茶實油), 동백나무유, 월견초유, 옥수수유, 돈지, 유채유, 일본 오동나무유, 겨납(ヌカロウ), 배아유, 마지, 퍼식유(パ-シック油), 팜유, 팜핵유, 피마자유, 경화 피마자유, 피마자유 지방산메틸에스테르, 해바라기유, 포도유, 베이베리 납, 호호바유, 마카다미아넛츠유, 밀랍, 밍크유, 메도우폼유, 면실유, 면랍, 목랍, 목랍핵유, 몬탄 납, 야자유, 경화 야자유, 트리야자유 지방산글리세라이드, 양지, 낙화생유, 라놀린, 액상 라놀린, 환원 라놀린, 라놀린알코올, 경질 라놀린, 아세트산라놀린, 아세트산라놀린알코올, 라놀린지방산이소프로필, POE라놀린알코올에테르, POE라놀린알코올아세테이트, 라놀린지방산폴리에틸렌글리콜, POE수소첨가 라놀린알코올에테르, 난황유 등을 들 수 있다. 단, POE는 폴리옥시에틸렌을 의미한다.
·탄화수소유
탄화수소유로는, 직쇄상, 분지상, 추가로 휘발성의 탄화수소유 등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오조케라이트, α-올레핀올리고머, 경질 이소파라핀, 이소도데칸, 이소헥사데칸, 경질유동 이소파라핀, 스쿠알란, 합성 스쿠알란, 식물성 스쿠알란, 스쿠알렌, 세레신, 파라핀, 파라핀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왁스, (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코폴리머, (부틸렌/프로필렌/스티렌)코폴리머, 유동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프리스탄, 폴리이소부틸렌, 수첨 폴리이소부텐,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바셀린, 고급지방산 등을 들 수 있다. 고급지방산으로는,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헨산, 운데실렌산, 올레산, 리놀산, 리놀렌산, 아라키돈산, 에이코사펜타엔산(EPA), 도코사헥사엔산(DHA), 이소스테아르산, 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등을 들 수 있다.
·고급알코올
고급알코올로는, 라우릴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팔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헥사데실알코올, 올레일알코올, 이소스테아릴알코올, 헥실도데칸올, 옥틸도데칸올, 세토스테아릴알코올, 2-데실테트라데시놀,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POE콜레스테롤에테르, 모노스테아릴글리세린에테르(바실알코올), 모노올레일글리세릴에테르(세라킬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유
에스테르유로는, 아디프산디이소부틸, 아디프산2-헥실데실, 아디프산디-2-헵틸운데실, 모노이소스테아르산N-알킬글리콜,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올프로판, 디-2-에틸헥산산에틸렌글리콜, 2-에틸헥산산세틸,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에리스리톨, 옥탄산세틸, 옥틸도데실검에스테르, 올레산올레일, 올레산옥틸도데실, 올레산데실,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 구연산트리에틸, 석신산2-에틸헥실, 아세트산아밀,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세바스산디이소프로필, 세바스산디-2-에틸헥실, 유산세틸, 유산미리스틸, 이소노난산이소노닐, 이소노난산이소트리데실, 팔미트산이소프로필, 팔미트산2-에틸헥실, 팔미트산2-헥실데실, 팔미트산2-헵틸운데실, 12-하이드록시스테아릴산콜레스테릴, 디펜타에리스리톨지방산에스테르,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미리스트산옥틸도데실, 미리스트산2-헥실데실, 미리스트산미리스틸, 디메틸옥탄산헥실데실, 라우르산에틸, 라우르산헥실, N-라우로일-L-글루타민산-2-옥틸도데실에스테르, 라우로일사르코신이소프로필에스테르, 사과산디이소스테아릴, 글리세라이드유 등을 들 수 있다. 글리세라이드유로는, 아세토글리세릴, 트리이소옥탄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트산글리세릴, 트리베헨산글리세릴,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릴, 디-2-헵틸운데칸산글리세릴, 트리미리스트산글리세릴, 미리스트산이소스테아르산디글리세릴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제
불소계 유제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퍼플루오로데칼린, 퍼플루오로옥탄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흡수제
자외선흡수제로는, 파라아미노안식향산 등의 안식향산계 자외선흡수제, 안트라닐산메틸 등의 안트라닐산계 자외선흡수제, 살리실산메틸, 살리실산옥틸, 살리실산트리메틸시클로헥실 등의 살리실산계 자외선흡수제,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등의 계피계 자외선흡수제, 2,4-디하이드록시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계 자외선흡수제, 우로카닌산에틸 등의 우로카닌산계 자외선흡수제, 4-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등의 디벤조일메탄계 자외선흡수제,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폰산, 트리아진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흡수제는, 자외선흡수산란제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자외선흡수산란제로는 미립자 산화티탄, 미립자 철함유 산화티탄, 미립자 산화아연, 미립자 산화세륨 및 그들의 복합체 등, 자외선을 흡수산란하는 분체를 들 수 있고, 이들 자외선을 흡수산란하는 분체를 미리 유제에 분산시킨 분산물을 이용할 수도 있다.
(H)분체
분체는, 통상의 화장료에 사용되는 것이면, 그 형상(구상, 침상, 판상 등)이나 입자경(연무상, 미립자, 안료급 등), 입자구조(다공질, 무공질 등)에 상관없이,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리콘 구상 분체, 무기분체, 유기분체, 계면활성제 금속염분체, 유색안료, 펄안료, 금속분말안료, 타르색소, 천연색소 등을 들 수 있다.
·무기분체
구체적으로는, 무기분체로는, 산화티탄, 산화지르코늄, 산화아연, 산화세륨, 산화마그네슘, 황산바륨, 황산칼슘,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탈크, 마이카, 카올린, 세리사이트, 백운모, 합성운모, 금운모, 홍운모, 흑운모, 리티아운모, 규산, 무수규산, 규산알루미늄, 규산마그네슘, 규산알루미늄마그네슘, 규산칼슘, 규산바륨, 규산스트론튬, 텅스텐산금속염,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버미큘라이트, 하이디라이트(ハイジライト), 벤토나이트, 몬모릴로나이트, 헥토라이트, 제올라이트, 세라믹스 파우더, 제2 인산칼슘, 알루미나, 수산화알루미늄, 질화붕소, 질화보론, 실리카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분체를 들 수 있다.
·유기분체
유기분체로는, 폴리아미드 파우더, 폴리에스테르 파우더, 폴리에틸렌 파우더, 폴리프로필렌 파우더, 폴리스티렌 파우더, 폴리우레탄, 벤조구아나민 파우더, 폴리메틸벤조구아나민 파우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파우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파우더, 셀룰로오스, 실크 파우더, 나일론 파우더, 12나일론, 6나일론, 실리콘 파우더, 스티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디비닐벤젠·스티렌 공중합체, 비닐 수지, 요소 수지, 페놀 수지, 불소 수지, 규소 수지, 아크릴 수지, 멜라민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미(微)결정 섬유분체, 전분가루, 라우로일라이신(ラウロイルリジン)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분체를 들 수 있다.
·계면활성제 금속염분체
계면활성제 금속염분체(금속비누)로는, 스테아르산아연, 스테아르산알루미늄, 스테아르산칼슘,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미리스트산아연, 미리스트산마그네슘, 세틸인산아연, 세틸인산칼슘, 세틸인산아연나트륨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분체를 들 수 있다.
·유색안료
유색안료로는, 산화철, 수산화철, 티탄산철의 무기적색안료, γ-산화철 등의 무기갈색계 안료, 황산화철, 황토 등의 무기황색계 안료, 흑산화철, 카본블랙 등의 무기흑색안료, 망간바이올렛, 코발트바이올렛 등의 무기자색안료, 수산화크롬, 산화크롬, 산화코발트, 티탄산코발트 등의 무기녹색안료, 감청, 군청 등의 무기청색계 안료, 타르계 색소를 레이크화한 것, 천연색소를 레이크화한 것, 및 이들 분체를 복합화한 합성수지 분체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분체를 들 수 있다.
·펄안료
펄안료로는, 산화티탄피복 운모, 산화티탄피복 마이카,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티탄피복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티탄피복 탈크, 어린박, 산화티탄피복 착색운모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분체를 들 수 있다.
·금속분말안료
금속분말안료로는, 알루미늄 파우더, 카퍼 파우더, 스테인레스 파우더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분체를 들 수 있다.
·타르색소
타르색소로는, 적색3호, 적색104호, 적색106호, 적색201호, 적색202호, 적색204호, 적색205호, 적색220호, 적색226호, 적색227호, 적색228호, 적색230호, 적색401호, 적색505호, 황색4호, 황색5호, 황색202호, 황색203호, 황색204호, 황색401호, 청색1호, 청색2호, 청색201호, 청색404호, 녹색3호, 녹색201호, 녹색204호, 녹색205호, 등색201호, 등색203호, 등색204호, 등색206호, 등색207호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분체를 들 수 있다.
·천연색소
천연색소로는, 카르민산, 락카인산(ラッカイン酸), 카르타민, 브라질린, 크로신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분체를 들 수 있다.
이들 분체는, 분체를 복합화한 것이나, 일반유제, 실리콘오일, 불소 화합물, 계면활성제 등으로 처리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가수분해성 실릴기나 규소원자에 직접결합한 수소원자를 갖는 알킬기로 처리한 것, 가수분해성 실릴기나 규소원자에 직접결합한 수소원자를 갖는 직쇄상 및/또는 분지상의 오가노폴리실록산, 가수분해성 실릴기나 규소원자에 직접결합한 수소원자를 갖고 장쇄알킬로 공변성된 직쇄상 및/또는 분지상 오가노폴리실록산, 가수분해성 실릴기나 규소원자에 직접결합한 수소원자를 갖고 폴리옥시알킬렌으로 공변성된 직쇄상 및/또는 분지상 오가노폴리실록산, 가수분해성 실릴기나 규소원자에 직접결합한 수소원자를 갖는 아크릴-실리콘계 공중합체 등도 필요에 따라 1종, 또는 2종 이상 이용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실리콘처리제로, 카프릴실란(신에쓰화학공업(주)제: AES-3083), 또는, 트리메톡시실릴디메티콘 등의 실란류 또는 실릴화제, 디메틸실리콘(신에쓰화학공업(주)제: KF-96A 시리즈), 메틸하이드로젠형 폴리실록산(신에쓰화학공업(주)제: KF-99P, KF-9901 등), 실리콘분지형 실리콘처리제(신에쓰화학공업(주)제: KF-9908, KF-9909 등) 등의 실리콘오일, 아크릴실리콘(신에쓰화학공업(주)제: KP-574, KP-541) 등을 들 수 있다. 표면처리를 실시한 착색안료의 구체예로는, 신에쓰화학공업(주)제: KTP-09 시리즈, 특히, KTP-09W, 09R, 09Y, 09B 등을 들 수 있다. 소수화처리 미립자 산화티탄 혹은 소수화처리 미립자 산화아연을 함유하는 분산체의 구체예로는, 신에쓰화학공업(주)제: SPD-T5, T6, T7, T5L, Z5, Z6, Z5L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 구상 분체
실리콘 구상 분체로는 가교형 실리콘 파우더(즉, 디오가노실록산단위의 반복연쇄가 가교한 구조를 갖는 오가노폴리실록산으로 이루어지는, 이른바 실리콘고무 파우더), 실리콘 수지입자(3차원 망상 구조의 폴리오가노실세스퀴옥산 수지입자), 실리콘 수지피복 실리콘고무 파우더 등을 들 수 있다.
가교형 실리콘 파우더, 실리콘 수지입자의 구체예로는,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등의 명칭으로 알려져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분체로서, 혹은, 실리콘오일을 포함하는 팽윤물로서 시판되며, 예를 들어, KMP-598, 590, 591, KSG-016F 등(모두 신에쓰화학공업(주)제)의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다. 이들 분체는, 구상 분체 특유의 롤링효과에 의해, 화장료의 윤활성을 부여하여, 사용감을 개선한다.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실리콘 수지피복 실리콘고무 파우더는, 특히, 끈적임의 방지 등의 감촉의 향상효과나, 주름·모공 등의 요철 보정효과 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실리콘 수지피복 실리콘고무 분말의 구체예로는, 하기의 화장품 표시명칭으로 정의되는, (비닐디메티콘/메티콘실세스퀴옥산)크로스폴리머, (디페닐디메티콘/비닐디페닐디메티콘/실세스퀴옥산)크로스폴리머, 폴리실리콘-22, 폴리실리콘-1크로스폴리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은, KSP-100, 101, 102, 105, 300, 411, 441 등(모두 신에쓰화학공업(주)제)의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다. 이들 분체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분체를 배합하는 경우, 분체의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화장료 전체의 0.1~90질량%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35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I)(A)성분 이외의 계면활성제
(A)성분 이외의 계면활성제로는, 비이온성, 양이온성 및 양성의 계면활성제가 있는데,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화장료에 사용되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고,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당히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들 계면활성제 중에서도, 가교형 폴리에테르변성 실리콘, 가교형 폴리글리세린변성 실리콘, 직쇄 또는 분지상 폴리옥시에틸렌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직쇄 또는 분지상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직쇄 또는 분지상 폴리옥시에틸렌·알킬공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직쇄 또는 분지상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공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직쇄 또는 분지상 폴리글리세린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직쇄 또는 분지상 폴리글리세린·알킬공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인 것이, (A)성분을 포함하는 유제와의 상용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들 계면활성제에 있어서, 친수성의 폴리옥시에틸렌기,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기, 또는, 폴리글리세린 잔기의 함유량이, 분자 중의 10~70%를 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계면활성제의 구체예로는, 신에쓰화학공업(주)제의 KSG-210, 240, 310, 320, 330, 340, 320Z, 350Z, 710, 810, 820, 830, 840, 820Z, 850Z, KF-6011, 6013, 6017, 6043, 6028, 6038, 6048, 6100, 6104, 6105, 6106 등을 들 수 있다.
(I)성분을 배합하는 경우의 배합량은, 화장료 중 0.01~15질량%가 바람직하다.
(J)가교형 오가노폴리실록산
가교형 오가노폴리실록산으로는, 통상 화장품에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당히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 가교형 오가노폴리실록산은, 상기의 (H)에서 설명한 실리콘 구상 분체와 달리, 구상 형상을 갖고 있지 않다.
또한, (J)성분은, 상기의 (I)(A)성분 이외의 계면활성제와는 달리, 분자구조 중, 폴리에테르 또는 폴리글리세린구조를 갖지 않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제로 팽윤함으로써, 구조점성을 갖는 엘라스토머이다. 구체예로는, 화장품 표시명칭으로 정의되는,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 (디메티콘/페닐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 (비닐디메티콘/라우릴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 (라우릴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디메티콘/비스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실온에서 액상의 오일을 포함하는 팽윤물로서 시판되며, 구체예로는, 신에쓰화학공업(주)제의 KSG-15, 1510, 16, 1610, 18A, 19, 41A, 42A, 43, 44, 042Z, 045Z, 048Z 등을 들 수 있다.
(J)성분을 배합하는 경우의 배합량은, 고형분으로서 화장료 중 0.01~30질량%가 바람직하다.
(K)피막제
피막제로는, 기존의 피막형성제를 병용할 수 있다. 기존의 피막제로는, 통상 화장료에 배합할 수 있는 원료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는,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아크릴산알킬 등의 라텍스류, 덱스트린, 알킬셀룰로오스나 니트로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유도체, 트리(트리메틸실록시)실릴프로필카르밤산풀루란(トリ(トリメチルシロキシ)シリルプロピルカルバミド酸プルラン) 등의 실리콘화 다당 화합물, (아크릴산알킬/디메티콘)코폴리머 등의 아크릴-실리콘계 그래프트 공중합체, 트리메틸실록시규산 등의 실리콘 수지, 실리콘변성 폴리노보넨, 불소변성 실리콘 수지 등의 실리콘계 수지, 불소 수지, 방향족계 탄화수소 수지, 폴리머에멀전 수지, 테르펜계 수지, 폴리부텐, 폴리이소프렌, 알키드 수지, 폴리비닐피롤리돈변성 폴리머, 로진변성 수지, 폴리우레탄 등이 이용된다.
이들 중에서도 특히, 실리콘계의 피막제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트리(트리메틸실록시)실릴프로필카르밤산풀루란(시판품으로는, 용제에 용해된 것으로서, 신에쓰화학공업(주)제: TSPL-30-D5, ID), (아크릴산알킬/디메티콘)코폴리머(시판품으로는, 용제에 용해된 것으로서, 신에쓰화학공업(주)제: KP-543, 545, 549, 550, 545L 등), 트리메틸실록시규산(시판품으로는, 용제에 용해된 것으로서, 신에쓰화학공업(주)제: KF-7312J, X-21-5250 등), 실리콘변성 폴리노보넨(시판품으로는, 용제에 용해된 것으로서, 신에쓰화학공업(주)제: NBN-30-ID 등), 및, 오가노실록산그래프트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K)성분을 배합하는 경우의 배합량은, 화장료 중 0.1~20질량%가 바람직하다.
(L)기타 첨가제
기타 첨가제로는, 유용성 겔화제, 수용성 증점제, 제한제, 방부제·살균제, 향료, 염류, 산화방지제, pH조정제, 킬레이트제, 청량제, 항염증제, 피부미용성분(미백제, 세포부활제, 피부거칠음개선제, 혈행촉진제, 피부수렴제, 항지루제 등), 비타민류, 아미노산류, 핵산, 호르몬, 포접(包接)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L)성분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당히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L)성분을 배합하는 경우의 배합량은, 화장료 중 0.1~20질량%가 바람직하다.
·유용성 겔화제
유용성 겔화제로는, 알루미늄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징크미리스테이트 등의 금속비누; N-라우로일-L-글루타민산, α,γ-디-n-부틸아민 등의 아미노산유도체; 덱스트린팔미트산에스테르, 덱스트린스테아르산에스테르, 덱스트린2-에틸헥산산팔미트산에스테르 등의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자당 팔미트산에스테르, 자당 스테아르산에스테르 등의 자당 지방산에스테르; 프락토올리고당 스테아르산에스테르, 프락토올리고당 2-에틸헥산산에스테르 등의 프락토올리고당 지방산에스테르; 모노벤질리덴소르비톨, 디벤질리덴소르비톨 등의 소르비톨의 벤질리덴유도체; 디스테아르디모늄헥토라이트, 스테아랄코늄헥토라이트, 헥토라이트의 유기변성 점토광물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증점제
수용성 증점제로서, 아라비아 고무, 트래거캔스, 갈락탄, 캐럽 검, 구아 검, 카라야 검, 카라기난, 펙틴, 한천, 퀸스시드(마르멜로), 전분(쌀, 옥수수, 감자, 밀 등), 알게콜로이드, 트랜트 검(トラントガム), 로커스트빈 검 등의 식물계 고분자, 크산탄검, 덱스트란, 석시노글루칸, 풀루란 등의 미생물계 고분자, 콜라겐, 카제인, 알부민, 젤라틴 등의 동물계 고분자, 카르복시메틸전분, 메틸하이드록시프로필전분 등의 전분계 고분자,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메틸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니트로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황산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결정 셀룰로오스, 양이온화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가루 등의 셀룰로오스계 고분자, 알긴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등의 알긴산계 고분자, 폴리비닐메틸에테르,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등의 비닐계 고분자, 폴리옥시에틸렌계 고분자,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계 고분자,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염코폴리머 등의 아크릴계 고분자, 폴리에틸렌이민, 양이온 폴리머 등 다른 합성수용성 고분자, 벤토나이트, 규산알루미늄마그네슘, 몬모릴로나이트, 바이델라이트, 논트로나이트, 사포나이트, 헥토라이트, 무수규산 등의 무기계 수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식물계 고분자, 미생물계 고분자, 동물계 고분자, 전분계 고분자, 셀룰로오스계 고분자, 알긴산계 고분자,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계 고분자, 아크릴계 고분자, 및, 무기계 수용성 고분자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한 수용성 증점제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제한제
제한제로서, 클로르하이드록시알루미늄, 알란토인클로르하이드록시알루미늄 등의 하이드록시할로겐화알루미늄, 염화알루미늄 등의 할로겐화알루미늄, 알란토인알루미늄염, 탄닌산, 감탄닌(カキタンニン), 황산알루미늄칼륨, 산화아연, 파라페놀설폰산아연, 소명반(燒きミョウバン)(burnt Alum; 구운백반), 테트라클로로(Al/지르코늄)수화물, 트리클로로하이드렉스글리신(Al/지르코늄)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높은 효과를 발현하는 성분으로서, 하이드록시할로겐화알루미늄, 할로겐화알루미늄, 그리고, 이들 옥시할로겐화지르코닐 및 하이드록시할로겐화지르코닐과의 착체 또는 혼합물(예를 들어, 테트라클로로(Al/지르코늄)수화물, 트리클로로하이드렉스글리신(Al/지르코늄)) 등이 바람직하다.
·방부제·살균제
방부제·살균제로는, 파라옥시안식향산알킬에스테르, 안식향산, 안식향산나트륨, 소르브산, 소르브산칼륨, 페녹시에탄올,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살리실산,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석탄산, 파라클로르메타크레졸, 헥사클로로펜, 염화벤잘코늄, 염화클로르헥시딘, 트리클로로카바닐리드(トリクロロカルバニリド), 부틸카르밤산요오드화프로피닐, 폴리라이신, 감광소, 은, 식물엑기스 등을 들 수 있다.
·향료
향료로는, 천연향료 및 합성향료가 있다. 천연향료로는 꽃, 잎, 목재, 과피 등으로부터 분리한 식물성 향료, 머스크, 시베트 등의 동물성 향료가 있다. 합성향료로는 모노테르펜 등의 탄화수소류, 지방족 알코올, 방향족 알코올 등의 알코올류, 테르펜알데히드, 방향족 알데히드 등의 알데히드류, 지환식 케톤 등의 케톤류, 테르펜계 에스테르 등의 에스테르류, 락톤류, 페놀류, 옥사이드류, 함질소 화합물류, 아세탈류 등을 들 수 있다.
·염류
염류로는, 무기염, 유기산염, 아민염 및 아미노산염을 들 수 있다. 무기염으로는, 예를 들어, 염산, 황산, 탄산, 질산 등의 무기산의 나트륨염, 칼륨염, 마그네슘염, 칼슘염, 알루미늄염, 지르코늄염, 아연염 등을 들 수 있다. 유기산염으로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 디하이드로아세트산, 구연산, 사과산, 석신산, 아스코르브산, 스테아르산 등의 유기산류의 염을 들 수 있다. 아민염 및 아미노산염으로는, 예를 들어,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아민류의 염, 글루타민산 등의 아미노산류의 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기타, 히알루론산, 콘드로이틴황산 등의 염이나, 더 나아가, 제제 처방 중에서 사용되는 산-알칼리의 중화염 등도 사용할 수 있다.
·산화방지제
산화방지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카로티노이드, 아스코르브산 및 그의 염,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빌, 토코페놀, 아세트산토코페놀, 토코페롤, p-t-부틸페놀, 부틸하이드록시아니솔,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피트산, 페룰산, 티오타우린, 히포타우린, 아황산염, 에리소르브산 및 그의 염, 클로로겐산, 에피카테킨, 에피갈로카테킨,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 아피게닌, 캄페롤, 미리세틴, 케르세틴 등을 들 수 있다.
·pH조정제
pH조정제로는, 유산, 구연산, 글리콜산, 석신산, 주석산, dl-사과산, 탄산칼륨,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암모늄 등을 들 수 있다.
·킬레이트제
킬레이트제로는, 알라닌, 에데트산나트륨염, 폴리인산나트륨, 메타인산나트륨, 인산 등을 들 수 있다.
·청량제
청량제로는, L-멘톨, 캠퍼, 유산멘틸 등을 들 수 있다.
·항염증제
항염증제로는, 알란토인, 글리시리진산 및 그의 염, 글리시레트산 및 글리시레트산스테아릴, 트라넥삼산, 아줄렌 등을 들 수 있다.
·피부미용성분
피부미용성분으로는, 태반 추출액, 알부틴, 글루타티온, 바위취 추출물 등의 미백제, 로얄젤리, 감광소, 콜레스테롤유도체, 유우(송아지)혈액 추출액 등의 세포부활제, 피부거칠음개선제, 노닐산바닐릴아미드(ノニル酸ワレニルアミド), 니코틴산벤질에스테르, 니코틴산β-부톡시에틸에스테르, 캡사이신, 진저론, 칸타리스틴크, 익타몰, 카페인, 탄닌산, α-보르네올, 니코틴산토코페롤, 이노시톨헥사니코티네이트, 시클란델레이트, 신나리진, 톨라졸린, 아세틸콜린, 베라파밀, 세파란틴, γ-오리자놀 등의 혈행촉진제, 피부수렴제, 황, 티안트롤(チアントロ-ル) 등의 항지루제 등을 들 수 있다.
·비타민류
비타민류로는, 비타민A유, 레티놀, 아세트산레티놀, 팔미트산레티놀 등의 비타민A류, 리보플라빈, 부티르산리보플라빈, 플라빈아데닌디뉴클레오티드 등의 비타민B2류, 피리독신염산염, 피리독신디옥타노에이트, 피리독신트리팔미테이트 등의 비타민B6류, 비타민B12 및 그의 유도체, 비타민B15 및 그의 유도체 등의 비타민B류, L-아스코르브산, L-아스코르브산디팔미트산에스테르, L-아스코르브산-2-황산나트륨, L-아스코르브산인산디에스테르디칼륨 등의 비타민C류, 에르고칼시페롤, 콜레칼시페롤 등의 비타민D류, α-토코페롤, β-토코페롤, γ-토코페롤, 아세트산dl-α-토코페롤, 니코틴산dl-α-토코페롤, 석신산dl-α-토코페롤 등의 비타민E류, 니코틴산, 니코틴산벤질, 니코틴산아미드 등의 니코틴산류, 비타민H, 비타민P, 판토텐산칼슘,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아세틸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의 판토텐산류, 비오틴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노산류
아미노산류로는, 글리신, 발린, 류신, 이소류신, 세린, 트레오닌, 페닐알라닌, 아르기닌, 라이신, 아스파라긴산, 글루타민산, 시스틴, 시스테인, 메티오닌, 트립토판 등을 들 수 있다.
·핵산
핵산으로는, 디옥시리보핵산 등을 들 수 있다.
·호르몬
호르몬으로는, 에스트라디올, 에테닐에스트라디올 등을 들 수 있다.
·포접 화합물
포접 화합물로는, 시클로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화장료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닌데, 예를 들어, 미용액, 유액, 크림, 헤어케어,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자외선차단제, 컨실러, 치크 컬러, 립스틱, 글로스, 밤, 마스카라, 아이섀도우, 아이라이너, 보디 메이크업, 데오드란트제, 손톱용 화장료 등, 다양한 제품에 응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 중에서도 특히, 파운데이션, 립스틱, 마스카라, 아이라이너 등의 메이크업 화장료나 자외선차단 효과를 부여한 화장료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의 성상으로는, 액상, 크림상, 고형상, 페이스트상, 겔상, 무스상, 스프레이상, 점토상, 파우더상, 스틱상 등의 다양한 성상을 선택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11)
표 2~3에 나타내는 조성으로, (A)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SFNa(카네카·서팩틴, 카네카주식회사), (B)1분자 중에 적어도 2개의 하이드로실릴기를 갖는 오가노폴리실록산으로서 하기 식에 나타내는 오가노폴리실록산(1)~(3), (C)1분자 중에 적어도 2개의 올레핀성 불포화기를 갖는 오가노폴리실록산으로서 하기 식에 나타내는 오가노폴리실록산(4)~(6), (D)1가 또는 다가의 알코올의 1종으로서 다가의 알코올인 글리세린, (G) (B) 및 (C)성분 이외의 유제로서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KF-995) 또는 직쇄 오가노폴리실록산(KF-96A-6cs)(25℃에 있어서의 점도가 20mm2/s 이하인 하이드로실릴기, 올레핀성 불포화기를 포함하지 않는 실리콘오일), 휘발성 탄화수소유로서 이소도데칸, 및, 에스테르유로서 팔미트산-2-에틸헥실을 각각 200mL 유리 비커에 투입하고, 실온에서 디스퍼를 이용하여 교반 용해 후, (E)물을 실온하에서 적하함으로써, 마이크로에멀전을 조제하였다. 표 2~3 중, 배합량은 질량%로 나타낸다. 또한, 오가노폴리실록산(1)~(6)의 동점도, 비닐기 함유량, 및, 하이드로실릴기 함유량을 표 1에 나타낸다.
[화학식 9]
Figure pct00009
[표 1]
Figure pct00010
수분산성은 10ml의 물에 실시예 1~11에서 조제한 마이크로에멀전 1방울을 첨가하고, 분산성을 조사하였다(수분산성 시험). 마찬가지로, 유분산성은 10ml의 D5(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용액에 마이크로에멀전 1방울을 첨가하고, 분산성을 조사하였다(유분산성 시험). 표 2~3에, 25℃에 있어서의 마이크로에멀전의 외관의 평가와 함께, 그들의 결과를 나타낸다.
[표 2]
Figure pct00011
[표 3]
Figure pct00012
상기 표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11에서는 25℃에 있어서 외관이 투명 내지는 반투명한 마이크로에멀전이 얻어졌다. 수중에 마이크로에멀전을 적하한 결과, 모두 균일 분산한 점에서, 물에의 분산성이 확인되었다. 한편, 기름 중에 마이크로에멀전을 적하한 결과, 모두 기름에는 분산하지 않고, 분리되었다.
무색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얻어진 마이크로에멀전(실시예 3~4, 6, 8~10)에 대해서 색소용해시험을 행하였다. 시험방법으로서, 수용성에 대해서는, 얻어진 마이크로에멀전에 수용성 색소(청색1호)의 수용액(농도 0.1질량%)을 첨가함으로써, 용해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유용성에 대해서는, 상기와 동일하게, 얻어진 마이크로에멀전에 유용성 색소(β카로틴)의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용액(농도 1.0질량%)을 첨가하고, 용해성을 조사하였다. 수용성 색소와 유용성 색소 모두 균일하게 용해된 점에서, 마이크로에멀전은 양연속구조인 것이 확인되었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표 4]
Figure pct00013
(실시예 12~17)
상기에서 얻어진 외관이 투명 또는 반투명한 실시예 3~4, 6, 8~10의 마이크로에멀전 100g을 포함한 200mL 유리 비커를 교반장치 상에서 20~25℃로 유지한 상태로, 교반하에서 염화백금산-비닐실록산착체의 톨루엔용액(백금농도; 0.5wt%) 0.1g(마이크로에멀전 조성물 전체량에 대하여 백금량으로 5ppm)을 첨가하고, 상기와 동일한 온도범위에서 12시간 교반함으로써, (B)의 하이드로실릴기를 갖는 오가노폴리실록산과 (C)의 비닐기를 갖는 오가노폴리실록산의 부가경화반응을 행하여, 마이크로에멀전 부가경화 조성물을 제작하였다. NMR측정에 의해 모두 비닐기 유래의 피크가 소실된 점에서, 반응의 진행을 확인하였다. 표 5에, 반응 전의 마이크로에멀전 및 그의 부가경화물의 25℃에 있어서의 외관의 평가, 실시예 3~4, 6, 8~10과 동일하게 행한 색소용해성 시험, 수분산성 시험, 및, 유분산성 시험의 결과를 나타낸다.
[표 5]
Figure pct00014
상기 표 5와 같이, 실시예 12~17에서는 25℃에 있어서의 외관이 투명 또는 반투명한 마이크로에멀전 부가경화 조성물이 얻어졌다. 이와 같이, 반응 전의 외관을 유지한 점에서, 경화반응에 의한 상전이에의 영향은 적다고 추찰된다. 또한 색소용해성 시험에 있어서, 수용성 색소와 유용성 색소 모두 균일하게 용해된 점에서, 반응 전의 마이크로에멀전과 마찬가지로, 반응 후의 마이크로에멀전 부가경화 조성물은 양연속구조인 것이 확인되었다. 나아가 수중에 마이크로에멀전을 적하한 결과, 모두 균일 분산한 점에서, 물에의 분산성이 확인되었다. 한편, 기름 중에 마이크로에멀전을 적하한 결과, 모두 기름에는 분산하지 않고, 분리되었다.
반응 전의 마이크로에멀전 및 반응 후의 마이크로에멀전 부가경화 조성물 5g을 각각 물 95ml에 분산시키고, 그들 수분산액을 준비하였다. 준비한 반응 전후의 수분산액을 손등에 스포이트를 이용하여 약 0.02g 떨어뜨리고, 손가락으로 직경 약 2cm의 크기로 펼쳤다. 3분간 풍건한 후, 손가락으로 강하게 문지른 결과, 반응 전의 마이크로에멀전은 계면활성제에서 유래하는 끈적임이 얻어졌으나, 반응 후의 마이크로에멀전은 고형물이 엉켜(よれて) 탈락한 점에서, 경화반응의 진행이 시사되었다. 또한 상기 고형물의 영향으로 끈적임의 저감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마이크로에멀전 조성물은, 하이드로실릴화촉매를 첨가함으로써, 외관의 투명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부가경화반응이 가능하며, 투명 내지는 반투명한 마이크로에멀전 부가경화 조성물의 제작이 가능한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마이크로에멀전 부가경화 조성물은, 외관의 투명성을 갖고,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유래의 끈적임이 저감된 것이 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비교예 1~4)
표 6에 나타내는 조성으로, (A)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SFNa(카네카·서팩틴, 카네카주식회사), (D)1가 또는 다가의 알코올의 1종으로서 다가의 알코올인 글리세린, (G)하이드로실릴기 및 올레핀성 불포화기를 포함하지 않는 실리콘유로서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KF-995), 직쇄 오가노폴리실록산(KF-96A-6cs, 하기 식에 나타내는 오가노폴리실록산(7), 하기 식에 나타내는 오가노폴리실록산(8))을 유리 비커에 투입하고, 실온에서 디스퍼를 이용하여 교반 용해 후, (E)물을 실온하에서 적하함으로써, 마이크로에멀전을 조제하였다. 배합량은 질량%로 나타낸다. 또한, 표 6에, 마이크로에멀전의 25℃에 있어서의 외관의 평가, 실시예 3~4, 6, 8~10과 동일하게 행한 색소용해성 시험, 수분산성 시험, 및, 유분산성 시험의 결과를 나타낸다.
[화학식 10]
Figure pct00015
[표 6]
Figure pct00016
상기 표 6과 같이 비교예 1~4에서는 외관이 투명한 마이크로에멀전이 얻어졌다. 또한 색소용해성 시험에 있어서, 수용성 색소와 유용성 색소 모두 균일하게 용해된 점에서, 얻어진 마이크로에멀전이 양연속구조인 것이 확인되었다. 나아가 수중에 마이크로에멀전을 적하한 결과, 모두 균일 분산한 점에서, 물에의 분산성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2~17과 동일하게 준비한 비교예 1~4의 수분산액을, 손등에 스포이트를 이용하여 약 0.02g 떨어뜨리고, 손가락으로 직경 약 2cm의 크기로 펼쳤다. 3분간 풍건한 후, 손가락으로 강하게 문지른 결과, 계면활성제에서 유래하는 끈적임이 얻어졌다.
(실시예 18, 비교예 5)
[특성평가]
상기 실시예 12의 마이크로에멀전 부가경화 조성물 및 비교예 3의 마이크로에멀전을 이용하여 조제한 화장료(실시예 18, 비교예 5)를 피부 상에 도포했을 때의 사용감(끈적임 없음), 산뜻한 느낌(윤기 있음(みずみずしさ)), 및, 조제한 화장료의 경시안정성(50℃·1개월 보존 후의 상태)에 대해서, 표 7에 나타낸 평가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결과를 전문패널(10명)의 평가값에 기초하여, 하기 판정기준에 따라 판정하였다. 결과를 표 8에 병기한다. 또한, 실시예 18, 비교예 5는 표 8에 나타내는 처방에 따라 조제하였다.
<화장료의 조제>
표 8 중의 성분(1)에 성분(2)을 균일하게 혼합함으로써, 수분산형 화장수(실시예 18, 비교예 5의 화장료)를 얻었다.
[표 7]
Figure pct00017
판정기준
◎: 평균점이 4.5점 이상
○: 평균점이 3.5점 이상 4.5점 미만
△: 평균점이 2.5점 이상 3.5점 미만
×: 평균점이 1.5점 이상 2.5점 미만
××: 평균점이 1.5점 미만
[표 8]
Figure pct00018
상기 표 8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화장료(수분산형 화장수)는 사용감(끈적임 없음), 산뜻한 느낌(윤기 있음), 경시안정성(50℃·1개월 보존시의 상태)이 양호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는, 화장지속력이 좋고, 발림이나 마무리가 좋고, 내찰과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형태는 예시이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어떠한 것이어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2)

  1. (A)음이온성 계면활성제
    (B)하기 식(I)에 나타내는 1분자 중에 적어도 2개의 하이드로실릴기를 갖는 오가노폴리실록산
    [화학식 1]
    Figure pct00019

    (R1은,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30의, 지방족 불포화결합을 갖지 않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1가 탄화수소기이고,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30의, 지방족 불포화결합을 갖지 않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1가 탄화수소기이고, 일부는 수소원자일 수도 있고, a는 0≤a≤300, b는 0≤b≤50, 또한 5≤a+b≤350이다. b=0일 때, R2의 어느 2개 이상은 수소원자이다.)
    (C)하기 식(II)에 나타내는 1분자 중에 적어도 2개의 올레핀성 불포화기를 갖는 오가노폴리실록산
    [화학식 2]
    Figure pct00020

    (R3은,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30의, 지방족 불포화결합을 갖지 않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1가 탄화수소기이고,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2~30의, 지방족 불포화결합을 갖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1가 탄화수소기, 또는, R3이고, c는 0≤c≤500, d는 0≤d≤50, 또한, 5≤c+d≤550이다. d=0일 때,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2~30의, 지방족 불포화결합을 갖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1가 탄화수소기이다.)
    (D)1가 또는 다가의 알코올
    (E)물
    로 이루어지며, 25℃에 있어서 외관이 투명 내지는 반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에멀전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에멀전 조성물을 수중에 첨가했을 때에 분산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에멀전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천연계면활성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에멀전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계면활성제가, 하기 식(III)에 나타내는 환상 펩티드기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에멀전 조성물.
    [화학식 3]
    Figure pct00021

    (식 중, X는, 류신, 이소류신, 및, 발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낸다.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9~18의, 지방족 불포화결합을 갖지 않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1가 탄화수소기이다. L-Leu는 L체의 류신, D-Leu는 D체의 류신, L-Val은 L체의 발린을 가리킨다. 또한, 카르복실기의 쌍이온은 알칼리금속이온으로 이루어진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식(III)에 있어서의 X가 류신, R5가 탄소수 12의 탄화수소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에멀전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에멀전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A)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이 0.1~10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에멀전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D)1가 또는 다가의 알코올이 글리세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에멀전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에멀전 조성물이 양연속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에멀전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에 포함되는 올레핀성 불포화기 1몰에 대하여, 상기 (B)에 포함되는 하이드로실릴기가 0.5~3.0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에멀전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에멀전 조성물은, (F)하이드로실릴화촉매를 첨가함으로써 부가경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에멀전 조성물.
  11. 제10항에 기재된 마이크로에멀전 조성물이 부가경화한 것으로서, 투명 내지는 반투명한 외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에멀전 부가경화 조성물.
  12. 제11항에 기재된 마이크로에멀전 부가경화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KR1020217018030A 2018-12-19 2019-11-11 마이크로에멀전 조성물 및 그의 경화물, 그리고, 그것을 포함한 화장료 KR202101047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237526A JP7048480B2 (ja) 2018-12-19 2018-12-19 マイクロエマルション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並びに、それを含んだ化粧料
JPJP-P-2018-237526 2018-12-19
PCT/JP2019/044045 WO2020129461A1 (ja) 2018-12-19 2019-11-11 マイクロエマルション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並びに、それを含んだ化粧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4702A true KR20210104702A (ko) 2021-08-25

Family

ID=71102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8030A KR20210104702A (ko) 2018-12-19 2019-11-11 마이크로에멀전 조성물 및 그의 경화물, 그리고, 그것을 포함한 화장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062121A1 (ko)
EP (1) EP3900700B1 (ko)
JP (1) JP7048480B2 (ko)
KR (1) KR20210104702A (ko)
CN (1) CN113194922B (ko)
WO (1) WO20201294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50655B2 (ja) * 2019-10-15 2023-04-03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水分散型エマルション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エマルション付加硬化組成物、及び化粧料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7640A (ja) 2002-12-27 2004-08-05 Kao Corp 皮膚洗浄剤組成物
JP2009196909A (ja) 2008-02-20 2009-09-03 Mandom Corp クレンジング化粧料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2010132877A (ja) 2008-10-31 2010-06-17 Shin-Etsu Chemical Co Ltd シリコーンエラストマー球状微粒子をポリオルガノシルセスキオキサンで被覆したシリコーン微粒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222324A (ja) 2009-03-25 2010-10-07 Shiseido Co Ltd 毛髪洗浄剤組成物
JP2011178769A (ja) 2010-03-04 2011-09-15 Shiseido Co Ltd 日焼け止め用組成物
JP2013032348A (ja) 2011-07-04 2013-02-14 Kao Corp 皮膚洗浄剤組成物
JP2014224061A (ja) 2013-05-16 2014-12-04 株式会社マンダム 透明液状クレンジング化粧料
WO2015022936A1 (ja) 2013-08-12 2015-02-19 株式会社カネカ 界面活性剤組成物
JP2015105255A (ja) 2013-12-02 2015-06-08 日本エマルジョン株式会社 クレンジング化粧料
JP2017066085A (ja) 2015-09-30 2017-04-06 株式会社ナリス化粧品 バイコンティニュアス型クレンジング化粧料
JP2017193702A (ja) 2016-04-15 2017-10-26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付加硬化性シリコーン樹脂組成物
WO2018008653A1 (ja) 2016-07-05 2018-01-11 株式会社カネカ 乳化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る化粧料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5737B2 (ja) * 1987-09-28 1997-01-29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液状化粧料
GB9708182D0 (en) * 1997-04-23 1997-06-11 Dow Corning Sa A method of making silicone in water emulsions
JP2011116894A (ja) * 2009-12-04 2011-06-16 Dow Corning Toray Co Ltd シリコーンオイルエマルジョン、その製造方法、およびシリコーンオイル組成物
JP5841348B2 (ja) * 2010-04-30 2016-01-13 東レ・ダウコーニング株式会社 新規な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それを含む界面活性剤、エマルジョン組成物、粉体処理剤、油性原料の増粘剤、ゲル化剤、ゲル状組成物、化粧料用原料並びに、これらを含む外用剤及び化粧料
JP5809849B2 (ja) 2011-05-30 2015-11-11 東レ・ダウコーニング株式会社 低臭性糖アルコール変性シリコーンの製造方法
FR2981571B1 (fr) * 2011-10-21 2013-11-08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des particules d'aerogel de silice et des huiles siliconees
EP2906194B1 (en) * 2012-10-11 2018-06-06 Dow Corning Corporation Aqueous silicone polyether microemulsions
JP6110450B1 (ja) * 2015-09-29 2017-04-05 株式会社 資生堂 微細エマルション型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US10933012B2 (en) 2016-03-14 2021-03-02 Dow Silicones Corporation Siloxane composition
US11607376B2 (en) * 2017-05-27 2023-03-21 Wacker Chemie Ag Oil-in-water microemulsions and the preparation thereof
JP6882148B2 (ja) * 2017-11-29 2021-06-02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両連続型マイクロエマルション組成物及び化粧料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7640A (ja) 2002-12-27 2004-08-05 Kao Corp 皮膚洗浄剤組成物
JP2009196909A (ja) 2008-02-20 2009-09-03 Mandom Corp クレンジング化粧料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2010132877A (ja) 2008-10-31 2010-06-17 Shin-Etsu Chemical Co Ltd シリコーンエラストマー球状微粒子をポリオルガノシルセスキオキサンで被覆したシリコーン微粒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222324A (ja) 2009-03-25 2010-10-07 Shiseido Co Ltd 毛髪洗浄剤組成物
JP2011178769A (ja) 2010-03-04 2011-09-15 Shiseido Co Ltd 日焼け止め用組成物
JP2013032348A (ja) 2011-07-04 2013-02-14 Kao Corp 皮膚洗浄剤組成物
JP2014224061A (ja) 2013-05-16 2014-12-04 株式会社マンダム 透明液状クレンジング化粧料
WO2015022936A1 (ja) 2013-08-12 2015-02-19 株式会社カネカ 界面活性剤組成物
JP2015105255A (ja) 2013-12-02 2015-06-08 日本エマルジョン株式会社 クレンジング化粧料
JP2017066085A (ja) 2015-09-30 2017-04-06 株式会社ナリス化粧品 バイコンティニュアス型クレンジング化粧料
JP2017193702A (ja) 2016-04-15 2017-10-26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付加硬化性シリコーン樹脂組成物
WO2018008653A1 (ja) 2016-07-05 2018-01-11 株式会社カネカ 乳化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る化粧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194922A (zh) 2021-07-30
EP3900700A1 (en) 2021-10-27
JP7048480B2 (ja) 2022-04-05
WO2020129461A1 (ja) 2020-06-25
US20220062121A1 (en) 2022-03-03
EP3900700A4 (en) 2022-11-09
EP3900700B1 (en) 2023-09-13
JP2020100565A (ja) 2020-07-02
CN113194922B (zh) 2023-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9552B1 (ko) 화장료
KR100965027B1 (ko) 분체 조성물 및 유중 분체 분산물, 및 이들을 포함하는화장료
JP5359593B2 (ja) 複合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化粧料
JP5229187B2 (ja) シリコーン複合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化粧料
JP5368394B2 (ja) 新規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化合物およびそれを含む化粧料
KR20110115091A (ko) 워터릴리징 메이크업 화장료
JP2009256616A (ja) グリセリン変性シリコーン及びそれを含む化粧料
JP6451836B2 (ja) 化粧料組成物
WO2017018358A1 (ja) 硬化シリコーン粒子、これを配合した化粧料
JP2007269689A (ja) 油中粉体分散物及びそれを配合した化粧料
JPWO2019044590A1 (ja) 油中水乳化型スティック状デオドラント剤
JP2009132638A (ja) 化粧料
JP5682662B2 (ja) 複合粒子の製造方法
JP7250655B2 (ja) 水分散型エマルション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エマルション付加硬化組成物、及び化粧料
CN113194922B (zh) 微乳液组合物及其固化物、以及含有该固化物的化妆品
KR20230157366A (ko) 실리콘 고무 입자의 수분산물 및 화장료
JP2009084187A (ja) 化粧料
JP7250725B2 (ja) マイクロエマルション組成物並びにそれを含んだ化粧料
WO2019044391A1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及び化粧料
WO2024058043A1 (ja) 油中水型化粧料
KR20230154841A (ko) 화장료
JP2009084188A (ja) 化粧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