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2414A - 커튼 에어백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커튼 에어백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2414A
KR20210102414A KR1020217022224A KR20217022224A KR20210102414A KR 20210102414 A KR20210102414 A KR 20210102414A KR 1020217022224 A KR1020217022224 A KR 1020217022224A KR 20217022224 A KR20217022224 A KR 20217022224A KR 20210102414 A KR20210102414 A KR 20210102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fold line
airbag
vehicle body
curtain air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2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7986B1 (ko
Inventor
토모야 카또
타까시 무라야마
료따 이시가끼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ublication of KR20210102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2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7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7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2Curtain-type airbags deploying mainly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ir top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1Packaging straps or envelopes for inflatabl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y are fol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6External teth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
    • B60R2021/23538Se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7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connections between panels
    • B60R2021/23576Se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커튼 에어백(1)은 차체(50)에 설치되고, 인플레이터(2)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에 의해 팽창 전개하며, 일면 및 타면을 가진다. 커튼 에어백은 하연을 따른 제1 영역(11)과, 제1 접는 선(11a)을 경계로 하여 제1 영역의 상방과 이웃하는 제2 영역(12)과, 제2 영역을 사이에 두고 제1 접는 선의 반대측에 형성된 제2 접는 선(12a)을 경계로 하여 제2 영역의 상방과 이웃하는 제3 영역(13)을 구비하고, 제2 영역의 일면측에 대향하도록 제1 영역은 제1 접는 선에서 되접은 상태로 되어 있으며, 되접은 제1 영역이 제2 영역과 제3 영역 사이에 끼우도록 제2 영역은 제2 접는 선에서 되접는 상태로 되어 있고, 제3 영역은 제2 접는 선을 감는 시점으로 하여 타면측에서 상방을 향하여 감아올리는 상태로 되어 있고,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제3 영역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커튼 에어백 및 그 제조 방법
본 기술은 커튼 에어백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많은 차량은 충돌 시에 승차인을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에어백 장치를 장비하고 있다. 차종에 따라서는 커튼 에어백 장치를 장비하고 있다. 커튼 에어백 장치는 차량의 도어 상측으로 접어 수납된 커튼 에어백과, 차량의 충돌 시에 동작하고 커튼 에어백의 내부에 가스를 분사하는 인플레이터를 구비한다. 커튼 에어백은 인플레이터의 분사 가스 작용에 의해 차량 내에서 팽창 전개하고, 승차인은 팽창 전개한 에어백에 의해 받아져 차량 내의 각 부로의 측면 충돌로부터 보호된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1 : 일본특허공개2016-22918호 공보
전개 시에 있어서, 커튼 에어백 전부의 하단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도 하측으로 돌출한다. 수납 시에 있어서, 돌출한 부분이 중심에 배치되도록 커튼 에어백은 권회(卷回)된다. 경사진 방향으로부터의 충돌이 발생했을 경우, 차량 외부를 향한 관성력이 커튼 에어백에 작용하고, 돌출한 부분이 창문으로부터 차량 외부로 나오는 경우가 있고, 승차인 보호 성능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본 개시는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경사진 방향으로부터의 충돌이 발생해도 승차인 보호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커튼 에어백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에 관한 커튼 에어백은 차체에 설치되고, 인플레이터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에 의해 팽창 전개하며 일면 및 타면을 가지는 커튼 에어백으로서, 하연(下緣)을 따라 제1 영역과, 제1 접는 선을 경계로 하여 상기 제1 영역의 상방과 이웃하는 제2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을 가운데 두고 상기 제1 접는 선의 반대측에 형성된 제2 접는 선을 경계로 하여, 상기 제2 영역의 상방과 이웃하는 제3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일면측과 대향하도록,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1 접는 선에서 되접힌 상태로 되어 있으며, 되접힌 상기 제1 영역이 상기 제2 영역과 상기 제3 영역 사이에 끼우도록,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2 접는 선에서 되접은 상태가 되어 있고, 상기 제2 접는 선을 감는 시점으로 하여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타면측에서 상방을 향하여 감아 올린 상태가 되어 있으며 차체에 설치되어 수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상기 제3 영역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는, 가장자리를 따라 제1 영역, 예를 들어 전개 시에 있어서의 하연 부분이 제1 접는 선에서 되접히고, 제1 영역이 되접힌 상태에서 제2 영역은 제2 접는 선에서 되접히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커튼 에어백의 일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3 영역은 커튼 에어백의 타면측, 즉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반대측으로 감겨 있다. 그 때문에 커튼 에어백의 타면을 외측으로 향해 커튼 에어백을 배치했을 경우, 전개하는 커튼 에어백에 차량 외부를 향한 관성력이 작용한 경우에도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차량 내부를 향하여 열리기 때문에 차량 외부로 나가지 않는다.
본 개시에 관한 커튼 에어백은 전개 시에 있어서, 상기 제1 접는 선은 상기 차체의 도어 트림(door trim)의 상연부(上緣部)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는, 전개 시에 제1 접는 선은 도어 트림의 상연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제1 영역은 도어의 내측으로 전개하기 쉬워진다.
본 개시에 관한 커튼 에어백은 상기 제1 영역은 전개 시에 있어서 상기 차체의 전측(前側)에 배치되고, 상기 차체의 도어 트림의 상연부보다도 하방으로 연장하는 하방 팽창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는, 하방 팽창부는 도어의 내측에서 팽창하고 승차인의 도어로 향한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에 관한 커튼 에어백은 상기 차체의 전후 방향으로 잡아당기기 때문에 일단부가 상기 차체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전후 방향 단부에 설치된 스트랩(strap)을 구비하고, 상기 스트랩은 상기 차체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접는 선의 상방이면서 되접힌 상기 제2 영역의 상하 폭의 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는, 인장이 부여되는 스트랩보다도 하측에 제2 영역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고속으로 전개된다.
본 개시에 관한 커튼 에어백은 상기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은 비팽창부를 가지고, 상기 제2 접는 선에서 되접힌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과 상기 제3 영역을 상기 비팽창부에서 임시 고정하는 임시 봉제부를 구비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는 임시 봉제부를 설치함으로써 제3 영역을 감는 경우에, 제1 영역 및 제3 영역의 전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비팽창부에 임시 봉제부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임시 봉제부는 커튼 에어백의 팽창을 방해하지 않는다.
본 개시에 관한 커튼 에어백은, 상기 임시 봉제부는 상기 차체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 및 중간부에 설치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는 전후 방향의 단부 및 중간부를 임시 고정함으로써 감는 장치를 사용하여 에어백을 감는 경우에, 감는 장치에 대하여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에 관한 커튼 에어백은 심(Seam)에 의해 구획된 팽창부를 구비하고, 상기 비팽창부는 상기 심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는 봉제부는 심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봉제부는 커튼 에어백의 팽창에 영향주지 않는다.
본 개시에 관한 커튼 에어백은 상기 차체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폭은 동일하다.
본 개시에 있어서는 되접는 영역은 최소로 되고, 또한 제1 접는 선의 상하 위치가 설정되는 경우, 제2 접는 선의 위치도 저절로 설정되어 제1 접는 선 및 제2 접는 선의 설정이 용이하다.
본 개시에 관한 커튼 에어백은 감는 장치에 걸림 고정하기 위한 걸림 고정 구멍이 상기 제2 영역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는 두께가 큰 되접는 영역을 피하여, 두께가 얇은 제3 영역에 걸림 고정 구멍을 형성하고, 걸림 고정 구멍의 형성을 용이하게 한다.
본 개시에 관한 커튼 에어백의 제조 방법은 차체에 설치되고, 인플레이터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에 의해 팽창 전개하고, 일면 및 타면을 가지는 커튼 에어백의 제조 방법으로서, 전개된 커튼 에어백의 하연을 따르는 제1 영역을, 제1 접는 선을 경계로 하여 상기 제1 영역의 상방과 이웃하는 제2 영역의 상기 일면측에 상기 제1 영역이 대향하도록 상기 제1 접는 선에서 되접고, 상기 제2 영역과, 제2 접는 선을 경계로 하여 상기 제2 영역의 상방과 이웃하는 제3 영역 사이에, 되접힌 상기 제1 영역이 끼우도록 상기 제2 접는 선에서 상기 제2 영역을 되접고, 되접힌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과 상기 제3 영역을 임시 고정하고, 상기 제2 접는 선을 감는 시점으로 하여 상기 제3 영역을 타면측에서 상방을 향하여 감아올린다.
본 개시에 있어서는, 가장자리를 따르는 제1 영역, 예를 들어 전개 시에 있어서의 하연 부분이 제1 접는 선에서 되접히고, 제1 영역이 되접힌 상태에서 제2 영역은 제2 접는 선에서 되접히고,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커튼 에어백의 일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3 영역은 커튼 에어백의 타면측, 즉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반대측으로 감겨 있다. 그 때문에 커튼 에어백의 타면을 외측으로 향해 커튼 에어백을 배치했을 경우, 전개하는 커튼 에어백에 차량 외부를 향한 관성력이 작용한 경우에도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차량 내부를 향하여 열리기 때문에 차량 외부로 나가지 않는다.
본 개시에 관한 커튼 에어백 및 그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가장자리를 따라 제1 영역, 예를 들어 전개 시에 있어서의 하연 부분이 제1 접는 선에서 되접히고, 제1 영역이 되접힌 상태에서 제2 영역은 제2 접는 선에서 되접히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커튼 에어백의 일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3 영역은 커튼 에어백의 타면측, 즉 제 1 영역 및 제2 영역의 반대측으로 감겨 있다. 그 때문에 커튼 에어백의 타면을 외측으로 향하여 커튼 에어백을 배치한 경우, 전개하는 커튼 에어백에 차량 외부를 향한 관성력이 작용했을 경우에도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차량 내부를 향하여 열리기 때문에, 차량 외부로 나가지 않으며 승차인 보호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커튼 에어백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적 측면도이다.
도 2는 전개된 에어백을 나타내는 모식적 우측 측면도이다.
도 3은 태브(tab) 및 고정 도구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우측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IV-IV선을 절단선으로 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에어백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에어백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에어백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에어백의 측면도이다.
도 7은 에어백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에어백의 측면도이다.
도 8은 에어백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에어백의 측면도이다.
도 9는 에어백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에어백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에어백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에어백의 측면도이다.
도 11a는 에어백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에어백의 모식적 전면도이다.
도 11b는 에어백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에어백의 모식적 전면도이다.
도 11c는 에어백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에어백의 모식적 전면도이다.
도 11d는 에어백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에어백의 모식적 후면도이다.
도 11e는 에어백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에어백의 모식적 후면도이다.
도 11f는 에어백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에어백의 모식적 후면도이다.
도 11g는 에어백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에어백의 모식적 전면도이다.
도 11h는 에어백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에어백의 모식적 전면도이다.
도 12a는 에어백의 팽창 전개를 설명하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12b는 에어백의 팽창 전개를 설명하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12c는 에어백의 팽창 전개를 설명하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형태에 관한 커튼 에어백(1)을 나타내는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커튼 에어백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적 측면도이다. 커튼 에어백(이하, 에어백)(1)은 차체(50)의 루프 사이드 레일부(roop side rail)(51)에 설치되어 있고, 헤드라이닝(head lining)(도시 없음)에 의해 커버된다. 인플레이터(2)는 루프 사이드 레일부(51)에 설치되어 있다. 루프 사이드 레일부(51)의 하방에 도어 트림(52)이 설치되어 있고, 창유리(53)는 루프 사이드 레일부(51)와 도어 트림(52) 사이에 배치된다. 인플레이터(2)는 에어백(1) 내에 가스를 공급한다.
도 2는 전개된 에어백(1)을 나타내는 모식적 우측 측면도, 도 3은 태브(3) 및 고정 도구(4)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우측 측면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IV-IV선을 절단선으로 한 단면도이다. 에어백(1)은 대칭 형상을 가지는 시트 재료가 서로 겹쳐져 일체가 된 주머니 형상물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에어백(1)을 주머니 형상으로 서로 봉제한 직물 등 두 장의 직물로 구성한 예시를 들어 설명하는데, 최초부터 주머니 형상으로 방직한 한 장의 직물로 제조해도 된다.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에어백(1)의 길이 방향(전후 방향) 상측에는 여러 개의 태브(3)가 소정 거리를 두고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태브(3)에 대응한 여러 개의 고정 도구(4)가 태브(3)의 하측에서 에어백(1)에 설치되어 있다. 고정 도구(4)의 상부에는 개구부(4a)가 형성되어 있고, 고정 도구(4)의 하부에는 태브(3)를 걸림 고정하기 위한 태브 걸림 고정부(4c)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4a)에는 루프 형상 기포(base fabric)(4b)가 삽입되어 있고, 상기 루프 형상 기포(4b)를 개재하여 고정 도구(4)는 에어백(1)의 기포(1a)에 설치되어 있다. 고정 도구(4)는 루프 형상 기포(4b)에 의해 기포(1a)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평행한 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다. 태브(3) 및 루프 형상 기포(4b)는 에어백(1)의 기포(1a)에 봉제에 의해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태브(3) 및 고정 도구(4)는 예를 들어 에어백(1)의 우측면에 배치된다.
태브(3)는 에어백(1)이 권회된 상태 또는 접힌 상태를 보유 지지하기 위하여, 권회되고 또한 접힌 에어백(1)을 원주 방향으로 적어도 일주하고, 고정 도구(4)의 태브 걸림 고정부(4c)에 걸림 고정된다. 예를 들어, 태브 걸림 고정부(4c)는 돌출부이고, 태브(3)는 관통 구멍을 가지며, 신축성을 가지는 직물에 의해 구성된다. 태브(3)의 관통 구멍에 태브 걸림 고정부(4c)를 삽입시킴으로써 태브(3)는 태브 걸림 고정부(4c)에 걸림 고정된다. 에어백(1)은 차체(50)의 루프 사이드 레일부(51)에 고정 도구(4)에 의해 설치된다. 또한 에어백(1)의 상연부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 중앙부에, 인플레이터(2)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5)가 설치되어 있다. 접속부(5)는 에어백(1)의 상연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에어백(1)의 전방부에 있어서의 하측 부분은 하방으로 돌출하고, 제1 영역(11)을 구성한다. 제1 영역(11)과, 에어백(1)의 제1 영역(11) 이외의 부분의 경계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접는 선(11a)이 형성된다. 제1 접는 선(11a)은 에어백(1)의 하연과 대략 평행하다. 제1 영역(11)의 상측과 인접하는 영역은 제2 영역(12)을 구성한다. 제2 영역(12)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한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제2 영역(12)의 상하 폭은 제1 영역(11)과 대략 동일한 폭이다. 제2 영역(12)의 상측과 인접하는 영역은 제3 영역(13)을 구성한다. 제2 영역(12)과 제3 영역(13)의 경계에 제2 접는 선(12a)이 형성된다.
에어백(1)에는 심(6)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심(6)에 의해 팽창부(7)와 비팽창부(8)가 구획되어 있다. 팽창부(7) 및 비팽창부(8)는 제1 영역(11), 제2 영역(12) 및 제3 영역(13)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비팽창부(8)는 에어백(1)의 주위에 형성된 부분과, 이 부분으로부터 중앙부로 연장한 부분을 포함한다. 팽창부(7)는 주로 에어백(1)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고, 제1 영역(11)에 형성된 하방 팽창부(7a)를 포함한다. 전개 시에 있어서, 하방 팽창부(7a)는 도어 트림(52)의 상연부보다도 하방으로 연장한다.
에어백(1)에 있어서의 제2 접는 선(12a)의 상측에 스트랩(9)이 설치되어 있다. 스트랩(9)은 가늘고 길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한다. 스트랩(9)의 후단부가 에어백(1)의 전연부(前緣部)에 있어서의 비팽창부(8)에 설치되어 있다. 스트랩(9)의 전단부를 차체(50)에 고정함으로써 에어백(1)은 전후 방향으로 잡아당겨지고, 에어백(1)에 텐션(tension)이 부여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영역(12)을 제2 접는 선(12a)에서 상측으로 되접는 경우, 스트랩(9)은 되접힌 제2 영역(12)의 상하 폭의 범위 내에 배치된다.
에어백(1)을 감는 감는 장치(도시 생략)에 걸림 고정하기 위한 걸림 고정 구멍(10)이 스트랩(9)의 상측에 설치되어 있다. 걸림 고정 구멍(10)은 비팽창부(8)에 형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영역(12)을 제2 접는 선(12a)에서 상측으로 되접는 경우, 걸림 고정 구멍(10)은 되접힌 제2 영역(12)보다도 상측에 배치된다.
이어서 에어백(1)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 ~ 도 10은 에어백(1)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에어백(1)의 측면도, 도 11a ~ 도 11c, 도 11g 및 도 11h는 에어백(1)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에어백(1)의 모식적 전면도, 도 11d ~ 도 11f는 에어백(1)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에어백(1)의 모식적 후면도이다. 도 2 및 도 1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기 상태에 있어서 에어백(1)은 전개되고 있다. 또한 여기에서의 전면 및 후면은 차량 전후 방향에 대응하고, 측면은 차량의 좌우측향에 대응한다. 도 11a는 도 2에 대응하고, 도 11b ~ 도 11d는 각각 도 5 ~ 도 7에 대응한다. 도 11e 및 도 11f 는 도 8에 대응한다. 도 11g 및 도 11h는 각각 도 9 및 도 10에 대응한다. 도 11a ~ 도 11c, 도 11g 및 도 11h는 에어백(1)을 전방에서 육안 인식한 도이고, 도 11d ~ 도 11f는 에어백을 후방에서 육안 인식한 도이다.
도 5 및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1 영역(11)이 제2 영역(12)의 우측면에 대향하도록, 제1 접는 선(11a)에서 제1 영역(11)을 상측으로 되접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영역(11) 및 제2 영역(12)의 상하 폭은 대략 동일하므로, 제1 영역(11) 및 제2 영역(12)은 에어백(1)의 우측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겹친다. 여기서, '우'는 차량 후방부에서 전방을 육안 인식했을 때의 우측 방향을 나타낸다. '좌'는 차량 후방부에서 전방을 육안 인식했을 때의 좌측 방향을 나타낸다.
그리고 도 6 및 도 1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되접힌 제1 영역(11)이 제2 영역(12) 및 제3 영역(13) 사이에 끼우도록, 제2 접는 선(12a)에서 제2 영역(12)을 우측면의 상측을 향하여 되접는다. 그리고 제1 영역(11) 및 제2 영역(12)을 임시 봉제부(20)에 의해 제3 영역(13)으로 임시 고정시킨다. 임시 봉제부(20)는 제1 영역(11) 및 제2 영역(12)을 제3 영역(13)에 연결시킨다. 임시 봉제부(20)는 에어백(1)의 전후 양단부 및 전후 방향 중앙부 세 곳에 형성되고, 감는 장치를 사용하여 에어백(1)을 감는 경우에, 감는 장치에 대하여 제1 영역(11) 및 제2 영역(12)의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한다. 임시 봉제부(20)는 심(6) 사이의 비팽창부(8)에 형성되고, 또한 에어백(1)의 팽창 때에 임시 봉제부(20)는 절단되기 때문에 임시 봉제부(20)는 에어백(1)의 팽창 전개에 영향주지 않는다.
이어서 도 7 및 도 11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측면 및 좌측면을 바뀌도록 에어백(1)을 뒤집는다. 뒤집음으로써 전후 및 좌우측향은 반대가 된다. 그 때문에 도 7, 도 8에 있어서 전후를 나타내는 화살표는 도 5, 도 6과 반대가 되고, 도 11d ~ 도 11f에 있어서 좌우를 나타내는 화살표는 도 11a ~ 도 11c와 반대로 하였다. 도 7에 있어서 제2 영역(12)은 제3 영역(13)의 뒤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8 및 도 11e의 화살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되접은 제1 영역(11) 및 제2 영역(12)과 함께, 제2 접는 선(12a)을 감는 시점으로 하여 제3 영역(13)을 에어백(1)의 좌측면측으로 감아올린다. 즉, 제1 영역(11) 및 제2 영역(12)을 되접는 방향과 반대 반향으로 제3 영역(13)을 감는다. 도 8에 있어서 일점쇄선은 감기 시작할 때에 있어서의 에어백(1)의 윤곽을 나타낸다. 도 8의 실선 및 도 11f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영역(13)은 에어백(1)의 상단 부근까지 감긴다.
그리고 도 9 및 도 11g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측향을 축 방향으로 하여 에어백(1)을 180도 회전시키고, 에어백(1)의 상하를 역전시킨다. 그리고 도 9에 있어서 상하를 나타내는 화살표는 도 5 ~ 도 8과 반대로 하고, 도 11g에 있어서 상하를 나타내는 화살표는 도 11a ~ 도 11f와 반대로 하였다. 또한 도 9의 전후를 나타내는 화살표는 도 7 및 도 8과 반대로 하였다.
이어서 도 10 및 도 11h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태브(3)를 롤링 형상의 제3 영역(13)의 외주면에 감고, 고정 도구(4)의 태브 걸림 고정부(4c)에 설치함으로써 에어백(1)은 제조된다.
에어백(1)을 차체(50)에 설치하는 경우, 고정 도구(4)에 의해 루프 사이드 레일부(51)에 봉 형상이 된 에어백(1)을 고정시킨다. 또한 스트랩(9)의 전단부를 차체(50)에 고정한다.
도 12a ~도 12c는 에어백(1)의 팽창 전개를 설명하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1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개 전 에어백(1)은 차량 후방에서 육안 인식했을 때, 차내의 좌측면(도 12a ~ 도 12c에서는 전방에서 육안 인식하고 있으므로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에 있어서 창유리(53)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때, 또한 에어백(1)은 도 11h에 나타내는 자세, 즉 상하 반대 자세로서, 도 11h의 우측에 위치하는 고정 도구(4)가 차내의 좌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인플레이터(2)로부터 가스가 공급된 경우, 제3 영역(13)이 먼저 팽창을 시작하고, 팽창에 의해 태브(3)는 고정 도구(4)로부터 분리되며, 도 12b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백(1)은 하방으로 늘어난다. 그리고 제1 영역(11) 및 제2 영역(12)을 남기고 제3 영역(13)이 완전히 풀리며 전개한다. 그런 다음 도 12c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접힌 제1 영역(11) 및 제2 영역(12)은 팽창하고, 우측으로, 다시 말해 차내를 향하여 전개한다. 전개한 에어백(1)의 제1 접는 선(11a)은 도어 트림(52)의 상연부에 배치되고, 제1 영역(11)은 도어 트림(52)의 상연부보다도 하방으로 연장한다.
또한 도 1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 형상으로 된 에어백(1)을 차내에 고정시킨 경우, 제3 영역(13)의 우측면은 롤링 형상의 에어백(1)의 지름 방향 외측을 향하고 있고, 좌측면은 지름 방향 내측을 향하고 있으므로, 에어백(1)과 차체의 좌우측향은 일치하지 않는다. 도 12b 및 도 1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백(1)이 하방으로 전개한 경우, 제3 영역(13)의 우측면은 차체의 우측을 향하고, 좌측면은 차체의 좌측을 향하며, 에어백(1)과 차체의 좌우측향은 일치하다.
도 2에 있어서 고정 도구(4)는 태브(3)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 도구(4)는 전후 방향으로 평행한 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다. 그 때문에 고정 도구(4)의 상하 위치는 변경 가능하고, 상하 방향에 있어서 에어백(1)의 제조 시에 있어서의 고정 도구(4)의 방향과, 차체에 설치된 에어백(1)의 전개 시에 있어서의 고정 도구(4)의 방향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실시형태에 관한 에어백(1) 및 그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전개한 에어백(1)의 하연을 따라 제1 영역(11)이 제1 접는 선(11a)에서 되접히고, 제1 영역(11)이 되접힌 상태에서 제2 영역(12)은 제2 접는 선(12a)에서 되접히며, 제1 영역(11) 및 제2 영역(12)은 에어백(1)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3 영역은 에어백(1)의 좌측, 다시 말해 제1 영역(11) 및 제2 영역(12)의 반대측으로 감겨 있다. 그 때문에 에어백(1)의 좌측면을 차량 외부로 향하여 커튼 에어백(1)을 배치한 경우, 차량 외부를 향한 관성력이 에어백(1)에 작용한 경우에도 제1 영역(11) 및 제2 영역(12)은 우측으로, 다시 말해 차내를 향하여 전개하고, 차량 외부를 향하여 전개하지 않는다. 차량 외부를 향하여 전개한 경우, 닫힌 창유리(53)가 깨질 우려가 있고, 또는 열린 창유리(53)로부터 용이하게 차량 외부로 나올 우려가 있는 바, 실시형태에 관한 에어백(1)은 차량 내부를 향하여 전개하므로, 승차인 보호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개 시에 제1 접는 선(11a)은 도어 트림(52)의 상연부에 배치되므로, 제1 영역(11)은 도어의 내측으로 전개하기 쉬워진다. 또한 하방 팽창부(7a)는 도어의 내측에서 팽창하고 승차인의 도어로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인장력이 부여되는 스트랩(9)보다도 하측에 제2 영역(12)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영역(11) 및 제2 영역(12)은 고속으로 전개된다.
또한 임시 봉제부(20)를 설치함으로써 제3 영역(13)을 감는 경우에, 제1 영역(11) 및 제2 영역(12)의 전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비팽창부(8)에 임시 봉제부(20)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임시 봉제부(20)는 팽창부(7)의 팽창을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에어백(1)의 전후 방향 양단부 및 중간부를 임시 고정함으로써, 감는 장치를 사용하여 에어백(1)을 감는 경우에, 감는 장치에 대하여 제1 영역(11) 및 제2 영역(12)의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임시 봉제부(20)는 심(6)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임시 봉제부(20)는 에어백(1)의 팽창에 영향주지 않는다. 또한 제1 영역(11) 및 제2 영역(12)의 상하 폭과 동일하므로 되접는 영역은 최소가 된다. 또한 제1 접는 선(11a)의 상하 위치가 설정된 경우, 제2 접는 선(12a)의 위치도 저절로 설정되고, 제1 접는 선(11a) 및 제2 접는 선(12a)의 설정은 용이하다.
또한 두께가 큰 되접은 제1 영역(11) 및 제2 영역(12)을 피하여, 두께가 얇은 제3 영역(13)에 걸림 고정 구멍(10)을 형성하고, 걸림 고정 구멍(10)의 형성을 용이하게 한다.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접는 선(11a)은 에어백(1)의 하연과 대략 평행하지만, 에어백(1)의 하연에 대하여 교차하도록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1 접는 선(11a)이 경사져 있어도 제1 영역(11) 및 제2 영역(12)은 팽창 전개 시에 차체(50)의 내측으로 전개할 수 있다.
이번 개시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고려해야 할 것이다. 각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기술적 특징은 서로 조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 및 청구 범위와 균등한 범위가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1 : 커튼 에어백
2 : 인플레이터
6 : 심
7 : 팽창부
7a : 하방 팽창부
8 : 비팽창부
9 : 스트랩
10 : 걸림 고정 구멍
11 : 제1 영역
11a : 제1 접는 선
12 : 제2 영역
12a : 제2 접는 선
13 : 제3 영역
20 : 임시 봉제부
50 : 차체
52 : 도어 트림

Claims (10)

  1. 차체에 설치되고, 인플레이터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에 의해 팽창 전개하고, 일면 및 타면을 가지는 커튼 에어백으로서,
    하연(下緣)을 따르는 제1 영역과,
    제1 접는 선을 경계로 하여 상기 제1 영역의 상방과 이웃하는 제2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접는 선의 반대측에 형성된 제2 접는 선을 경계로 하여 상기 제2 영역의 상방과 이웃하는 제3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일면측과 대향하도록,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1 접는 선에서 되접은 상태로 되어 있고,
    되접은 상기 제1 영역이 상기 제2 영역과 상기 제3 영역 사이에 끼우도록,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2 접는 선에서 되접은 상태로 되어 있고,
    상기 제2 접는 선을 감는 시점으로 하여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타면측에서 상방을 향하여 감아올린 상태로 되어 있고,
    차체에 설치되어 수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상기 제3 영역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커튼 에어백.
  2. 제1항에 있어서,
    전개 시에 있어서, 상기 제1 접는 선은 상기 차체의 도어 트림의 상연부(上緣部)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커튼 에어백.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전개 시에 있어서, 상기 차체의 전측(前側)에 배치되고, 상기 차체의 도어 트림의 상연부보다도 하방으로 연장하는 하방 팽창부를 포함하는 커튼 에어백.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의 전후 방향으로 인장하기 위하여, 일단부가 상기 차체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전후 방향 단부에 설치된 스트랩을 구비하고,
    상기 스트랩은 상기 차체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접는 선의 상방인, 되접은 상기 제2 영역의 상하 폭의 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는 커튼 에어백.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은 비팽창부를 가지고,
    상기 제2 접는 선에서 되접은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과, 상기 제3 영역을 상기 비팽창부에서 임시 고정하는 임시 봉제부를 구비하는 커튼 에어백.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봉제부는 상기 차체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 및 중간부에 설치되는 커튼 에어백.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심에 의해 구획된 팽창부를 구비하고,
    상기 비팽창부는 상기 심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커튼 에어백.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폭은 동일한 커튼 에어백.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감는 장치에 걸림 고정하기 위한 걸림 고정 구멍이 상기 제2 영역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는 커튼 에어백.
  10. 차체에 설치되고, 인플레이터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에 의해 팽창 전개하고, 일면 및 타면을 가지는 커튼 에어백의 제조 방법으로서,
    전개된 커튼 에어백의 하연을 따르는 제1 영역을, 제1 접는 선을 경계로 하여 상기 제1 영역의 상방과 이웃하는 제2 영역의 상기 일면측에 상기 제1 영역이 대향하도록 상기 제1 접는 선에서 되접고,
    상기 제2 영역과, 제2 접는 선을 경계로 하여 상기 제2 영역의 상방과 이웃하는 제3 영역 사이에, 되접은 상기 제1 영역이 끼우도록 상기 제2 접는 선에서 상기 제2 영역을 되접고,
    되접은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과, 상기 제3 영역을 임시 고정하고,
    상기 제2 접는 선을 감는 시점으로 하여 상기 제3 영역을 타면측에서 상방을 향하여 감아올리는
    커튼 에어백의 제조 방법.
KR1020217022224A 2018-12-20 2019-12-02 커튼 에어백 및 그 제조 방법 KR1025679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238812 2018-12-20
JP2018238812 2018-12-20
PCT/JP2019/047029 WO2020129590A1 (ja) 2018-12-20 2019-12-02 カーテンエアバッグ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2414A true KR20210102414A (ko) 2021-08-19
KR102567986B1 KR102567986B1 (ko) 2023-08-18

Family

ID=71100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2224A KR102567986B1 (ko) 2018-12-20 2019-12-02 커튼 에어백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524652B2 (ko)
EP (1) EP3900986B1 (ko)
JP (1) JP7132355B2 (ko)
KR (1) KR102567986B1 (ko)
CN (1) CN113474223B (ko)
WO (1) WO20201295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9706A (ko) * 2021-01-07 2022-07-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백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1167A (ja) * 2005-12-15 2007-06-28 Honda Motor Co Ltd 乗員保護装置
US20100007121A1 (en) * 2008-07-11 2010-01-14 Tk Holdings Inc. Side curtain airbag
JP2015039928A (ja) * 2013-08-21 2015-03-02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エアバッグ
US20150375710A1 (en) * 2014-06-25 2015-12-31 Takata AG Airbag for a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and method for folding an airbag for a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KR20160022918A (ko) 2013-06-26 2016-03-02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가색 인쇄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24996B2 (ja) * 1999-04-15 2002-09-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乗員拘束装置
JP4572485B2 (ja) * 2001-05-09 2010-11-04 タカタ株式会社 自動車乗員頭部の保護バッグ
US7377547B2 (en) * 2006-02-06 2008-05-27 Honda Motor Co., Ltd. Method for storing a side curtain air bag
GB2486623B (en) * 2009-10-28 2017-01-18 Key Safety Systems Inc Ejection countermeasures for curtain air bags
KR101210776B1 (ko) * 2010-09-03 2012-12-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커튼 에어백 쿠션
JP5762108B2 (ja) * 2011-04-21 2015-08-12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エアバッグ
KR101494694B1 (ko) * 2011-10-25 2015-02-24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용 무릎 에어백
JP5951880B2 (ja) * 2013-02-28 2016-07-13 豊田合成株式会社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及びエアバッグの折り畳み方法
WO2014132810A1 (ja) * 2013-02-28 2014-09-04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カーテンエアバッグ
DE102013011154B4 (de) * 2013-07-04 2023-07-06 Zf Automotive Germany Gmbh Verfahren zum Zusammenlegen eines Seitengassacks und Seitengassack
JP6131827B2 (ja) * 2013-10-30 2017-05-24 豊田合成株式会社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6277077B2 (ja) 2014-07-24 2018-02-07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及びカーテンエアバッグの折り畳み方法
WO2016067796A1 (ja) * 2014-10-29 2016-05-06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JP6298000B2 (ja) * 2015-03-23 2018-03-20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車両用エアバッグ体及び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EP3611061B1 (en) * 2016-01-15 2021-03-03 Autoliv Development AB Curtain airbag device and structure for mounting to vehicle
US10836342B2 (en) * 2017-10-31 2020-11-17 Toyoda Gosei Co., Ltd. Airbag for head protection
JP7070302B2 (ja) * 2018-10-03 2022-05-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1167A (ja) * 2005-12-15 2007-06-28 Honda Motor Co Ltd 乗員保護装置
US20100007121A1 (en) * 2008-07-11 2010-01-14 Tk Holdings Inc. Side curtain airbag
KR20160022918A (ko) 2013-06-26 2016-03-02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가색 인쇄
JP2015039928A (ja) * 2013-08-21 2015-03-02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エアバッグ
US20150375710A1 (en) * 2014-06-25 2015-12-31 Takata AG Airbag for a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and method for folding an airbag for a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00986A4 (en) 2022-09-21
KR102567986B1 (ko) 2023-08-18
JP7132355B2 (ja) 2022-09-06
US20220055567A1 (en) 2022-02-24
EP3900986A1 (en) 2021-10-27
US11524652B2 (en) 2022-12-13
CN113474223A (zh) 2021-10-01
WO2020129590A1 (ja) 2020-06-25
CN113474223B (zh) 2023-07-14
EP3900986B1 (en) 2023-10-18
JPWO2020129590A1 (ja) 202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95154B2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
JP3520836B2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5411660B2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US20140217707A1 (en) Airbag device
WO2013061935A1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6214787B2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JP4985502B2 (ja) 後突用エアバッグ装置
JP5366774B2 (ja)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の折畳方法
JP6277077B2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及びカーテンエアバッグの折り畳み方法
JPWO2014061323A1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
JP2007216821A (ja) サイドエアバッグ
KR102567986B1 (ko) 커튼 에어백 및 그 제조 방법
WO2013146076A1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2007099085A (ja) エアバッグ
JP2010083240A (ja)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6872373B2 (ja) エアバッグ
JP7368210B2 (ja) エアバッグ及びその折畳方法
JP2005029035A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5641648B2 (ja) エアバッグ
JP7209924B2 (ja) カーテンシールドエアバッグ装置
JP6768079B2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JP5034552B2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を備えた車両の後部構造
JP2016124497A (ja) エアバッグ
JP2019156391A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およびサイドエアバッグ製造方法
JP5634186B2 (ja) 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