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0002A - 커넥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커넥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0002A
KR20210100002A KR1020200174226A KR20200174226A KR20210100002A KR 20210100002 A KR20210100002 A KR 20210100002A KR 1020200174226 A KR1020200174226 A KR 1020200174226A KR 20200174226 A KR20200174226 A KR 20200174226A KR 20210100002 A KR20210100002 A KR 20210100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acle
plug
pitch
connector
conta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4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8724B1 (ko
Inventor
타카시 오모다치
다이스케 마치하라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00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0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8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8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2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플러그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해서 경사시키면서 플러그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에서 발거 가능한 커넥터 어셈블리를 개량한다.
서로 대향하는 제1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26)과 제1 플러그 피치 외측면 (31)은, 모두 평면이며 감합 상태에 있어서 서로 면 접촉 가능하다. 감합 상태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제2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27)과 제2 플러그 피치 외측면(32) 사이의 피치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 D2는, 감합 상태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제1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26)과 제1 플러그 피치 외측면(31) 사이의 피치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 D1보다도 크다. 두 개의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25)의 제1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26) 사이의 피치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 D3는, 두 개의 플러그 피치 외측면(30)의 제1 플러그 피치 외측면(31) 사이의 피치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 D4보다도 길다.

Description

커넥터 어셈블리{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특개2019-133798호 공보)은, 본원의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선 기판(100)에 탑재되는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101)와, 배선기판(102)에 탑재되는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103)을 구비하고, 리셉터클 커넥터(101)와 플러그 커넥터(103)가 감합(嵌合)함으로써 배선 기판(100)과 배선 기판(102)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104)를 개시하고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01)는, 감합 방향으로 연장되어 리셉터클 커넥터(101)에 대한 플러그 커넥터(103)의 삽발(揷拔,꽂거나 빼기)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105) 및 가이드부(106)를 가진다. 플러그 커넥터(103)는, 리셉터클 커넥터(101)와 플러그 커넥터(103)가 끼워 맞춰진 상태에서 가이드부(105) 및 가이드부(106) 사이에 배치되는 고정 금구(金具)(107)을 갖는다. 그리고, 가이드부(105) 및 가이드부(106)는, 리셉터클 커넥터(101)와 플러그 커넥터(103)가 끼워 맞춰진 상태에서, 고정 금구(107)가 가이드부(106)를 향해서 기울어지면서 발거(拔去)되는 것을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19-133798호
상기 특허문헌 1의 구성에서는, 고정 금구(107)를 가이드부(105)를 향해서 경사시키면서 발거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플러그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해서 경사시키면서 플러그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로부터 발거 가능한 커넥터 어셈블리를 개량하는 것에 있다.
본원 발명의 관점에 의하면,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와, 상기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를 수용하는 플러그 본체를 구비하고, 플러그측 기판에 탑재 가능한 플러그 커넥터와,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와, 상기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를 수용하는 리셉터클 본체를 구비하여, 리셉터클측 기판에 탑재 가능한 리셉터클 커넥터를 구비하여,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를 감합시킴으로써, 상기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와 상기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가 각각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커넥터 어셈블리이며, 상기 리셉터클 본체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가 끼워 맞춰진 감합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수용하는 각통부(角筒部)를 가지며, 상기 각통부는, 상기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가 나열되는 방향으로서의 피치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리셉터클 피치의 내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본체는, 상기 감합 상태에서 상기 두 개의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에 대해서 상기 피치 방향으로 각각 대향하는 두 개의 플러그 피치 외측면을 가지고, 각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은, 제1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과, 제2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을,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서 발거하는 발거 방향에 있어서 이 기재 순서로 포함하고, 각 플러그 피치 외측면은 상기 결합 상태에서 상기 제1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과 상기 피치 방향으로 대향하는 제1 플러그 피치 외측면과, 상기 감합상태에서 상기 제2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과 상기 피치 방향으로 대향하는 제2 플러그 피치 외측면을, 상기 발거 방향에 있어서 이 기재 순서로 포함하고, 서로 대향하는 상기 제1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과 상기 제1 플러그 피치 외측면은, 모두 평면이며 상기 감합 상태에 있어서 서로 면 접촉 가능하며, 상기 감합 상태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상기 제2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과 상기 제2 플러그 피치 외측면 사이의 상기 피치 방향에서의 거리는, 상기 감합 상태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상기 제1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과 상기 제1 플러그 피치 외측면 사이의 상기 피치 방향에서의 거리보다도 크고, 상기 두 개의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의 상기 제1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 사이의 상기 피치 방향에서의 치수는, 상기 두 개의 플러그 피치 외측면의 상기 제1 플러그 피치 외측면 사이의 상기 피치 방향에서의 치수보다 큰, 커넥터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두 개의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상기 피치 방향으로 돌출하는 리셉터클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리셉터클돌출부에 상기 제1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이 형성되어 있다 .
바람직하게는, 상기 두 개의 플러그 피치 외측면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상기 피치 방향으로 돌출하는 플러그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러그 돌출부에 상기 제1 플러그 피치 외측면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셉터클 본체는, 상기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를 유지하는 수지제의 리셉터클 하우징과,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에 장착되는 리셉터클 보조 금구를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 보조 금구는, 상기 두 개의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러그 본체는, 상기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를 유지하는 수지제의 플러그 하우징과,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장착되는 플러그 보조 금구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보조 금구는, 상기 두 개의 플러그 피치 외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통부는, 상기 피치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짧은쪽 측벽과, 상기 피치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긴쪽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긴쪽 측벽은, 상기 두 개의 짧은쪽 측벽보다도 낮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셉터클 본체는, 상기 발거 방향으로 돌출하는 섬부(島部)를 가지며, 상기 플러그 본체는, 상기 감합 상태에서 상기 섬부를 수용하는 섬 부 수용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섬부는 상기 두 개의 긴쪽 측벽보다도 낮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경사 발거에 관해서 개선된 커넥터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도 1은,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의 감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고,
도 2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의 감합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리셉터클 커넥터를 피치 방향으로 이분할 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폭 방향으로 이분할 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플러그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7은, 플러그 커넥터를 피치 방향으로 이분할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고,
도 8은, 플러그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플러그 커넥터가 리셉터클 커넥터에 감합한 상태의 측면 단면도이고,
도 10은, 플러그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에서 경사 발거하는 초기의 단계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고,
도 11은, 플러그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에서 경사 발거하는 중기의 단계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고,
도 12는, 특허문헌 1의 도 7을 간략화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1)(커넥터 어셈블리)를 나타내고 있다.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1)는, 리셉터클 커넥터(2) 및 플러그 커넥터(3)를 구비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2)는, 리셉터클측 기판(4)의 커넥터 탑재면(4A)에 탑재 가능한 커넥터로서,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5)와,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5)를 수용하는 리셉터클 본체(6)를 포함한다. 리셉터클 본체(6)는, 리셉터클 하우징(7)과, 두 개의 리셉터클 보조 금구(8)를, 포함한다.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5)는, 각각 금속제의 판을 타발(打拔) 가공 및 굽힘 가공하여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5)는, 2열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5)는 1열을 이루도록 배치되어도 좋다. 리셉터클 하우징(7)은 절연 수지제이며,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5)를 유지한다. 두 개의 리셉터클 보조 금구(8)는, 금속제의 판을 타발 가공 및 굽힘 가공해서 형성되어 있으며, 리셉터클 하우징(7)을 리셉터클측 기판(4)의 커넥터 탑재면(4A)에 고정한다.
플러그 커넥터(3)는, 플러그측 기판(9)의 커넥터 탑재면(9A)에 탑재 가능한 커넥터로서,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10)와,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10)를 수용하는 플러그 본체(11)를 포함한다. 플러그 본체(11)는, 플러그 하우징(12)과, 두 개의 플러그 보조 금구(13)를 포함한다.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10)는, 각각 금속제의 판을 타발 가공 및 굽힘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10)는, 2열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10)는 1열을 이루도록 배치되어도 좋다. 플러그 하우징 (12)은 절연 수지제이며,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10)를 유지한다. 두 개의 플러그 보조 금구(13)는, 금속제의 판을 타발 가공 및 굽힘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으며, 플러그 하우징(12)을 플러그측 기판(9)의 커넥터 탑재면(9A)에 고정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리셉터클측 기판(4)은, 예를 들면, 종이 페놀 기판이나 유리 에폭시 기판 등의 리지드 기판이며, 플러그측 기판(9)은 플렉서블 기판이다. 그러나, 이를 대체하여 리셉터클측 기판(4) 및 플러그측 기판(9)을 모두 리지드 기판으로 해도 좋고, 모두 플렉서블 기판으로 해도 좋다. 또한, 리셉터클측 기판(4)을 플렉서블 기판으로 하고, 플러그측 기판(9)을 리지드 기판으로 해도 좋다.
그리고, 리셉터클 커넥터(2)에 플러그 커넥터(3)를 삽입함으로써, 리셉터클커넥터(2)와 플러그 커넥터(3)는 서로 감합한다. 리셉터클 커넥터(2)와 플러그 커넥터(3)을 서로 감합시킴으로써,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5)와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10)가 각각 일대일로 접촉한다.
이때, 도 2를 참조해서, 삽발 방향과 피치방향, 폭 방향을 정의한다. 삽발 방향과 피치 방향, 폭 방향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이다.
삽발(揷拔) 방향은, 플러그 커넥터(3)를 리셉터클 커넥터(2)에 꽂거나 빼는 방향이다. 삽발 방향은 삽입 방향과 발거 방향을 포함한다. 삽입 방향은, 플러그 커넥터(3)를 리셉터클 커넥터(2)에 삽입하는 방향이다. 발거 방향은, 삽입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플러그 커넥터(3)를 리셉터클 커넥터(2)에서 빼는(발거) 방향이다. 삽입 방향은 하방(下方)으로도 칭한다. 발거 방향은 상방(上方)으로도 칭한다. 하방 및 상방은, 설명의 편의상 사용하는 용어로서,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1)의 실제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자세를 한정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삽발 방향은, 높이 방향으로도 칭한다.
피치 방향은, 2열을 이루는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5) 중 어느 한 쪽의 열에 속하는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5)가 나열되는 방향이다. 피치 방향은, 피치 내방과 피치 외방을 포함한다. 피치 내방은, 피치 방향에 있어서 리셉터클 컨택트(5)의 중앙을 향하는 방향이다. 피치 외방은, 피치 내방과 반대의 방향이며, 피치 방향에 있어서 리셉터클 컨택트(5)의 중앙에서 멀어지는 방향이다.
폭 방향은, 삽발 방향과 피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며,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5)가 이루는 2열이 서로 대향하는 방향이다. 폭 방향은, 폭 내방과 폭 외방을 포함한다. 폭 내방은, 폭 방향에 있어서 리셉터클 컨택트(5)의 중앙을 향하는 방향이다. 폭 외방은, 폭 방향에 있어서 리셉터클 컨택트(5)의 중앙에서 멀어지는 방향이다.
그런데, 예를 들면 스마트폰으로 대표되는 휴대형 전자 기기에 있어서는, 감합 상태에서의 높이 치수가 예를 들면 0.5[mm] 내지 1.0[mm] 정도의 저배형(低背型)의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가 즐겨 채용된다. 이에 대해, 플러그 커넥터가 리셉터클 커넥터에 감합한 것을 더 명확하게 실감할 수 있도록, 감합 상태에서의 높이 치수가 예를 들면 2.5[mm] 정도의 고배형(高背型)의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가 사용될 수 있다. 고배형의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에 있어서는, 플러그 커넥터가 리셉터클 커넥터에 피치 방향 및 폭 방향으로 구속된 상태에서 플러그 커넥터가 리셉터클 커넥터 내를 삽발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가 길어지게 되므로, 감합한 것을 보다 명확하게 실감할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고배형의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에서는, 플러그 커넥터를 리셉터클 컨택트에서 경사 발거하면 플러그 커넥터 또는 리셉터클 컨택트가 파손할 우려가 있다. 이때 경사 발거란, 플러그 커넥터를 리셉터클 컨택트에 대해서 기울이면서 플러그 커넥터를 리셉터클 컨택트로부터 빼는(발거)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의 고배화와 경사 발거는 트레이드 오프의 관계에 있었다. 따라서, 본원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 끝에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고배화와 경사 발거를 양립시키는 기술을 발명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계속해서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1)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2)의 형상은, 리셉터클커넥터(2)를 피치 방향으로 이분할하는 면에 관해서 리셉터클 커넥터(2)를 폭 방향으로 이분할하는 면에 관해서 대칭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본체(6)는, 리셉터클 하우징(7)과 두 개의 리셉터클 보조 금구(8)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리셉터클 하우징(7)과 두 개의 리셉터클 보조 금구(8)의 형상을 개별적으로 설명하는 것을 대신하여, 그들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본체(6)의 형상을 설명한다. 리셉터클 하우징(7) 및 두 개의 리셉터클 보조 금구(8)에 관해서는, 본 명세서의 말미에서 언급하는 것으로 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본체(6)는, 플러그 커넥터(3)과 리셉터클 커넥터(2)가 끼워 맞춰진 감합 상태에서 플러그 커넥터(3)를 수용하도록 삽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각통부(20)와, 각통부(20)의 하방을 폐색하는 저부(21)와, 저부(21)에서 상방으로 돌출하는 섬부(22)를, 포함한다.
각통부(20)는, 피치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짧은쪽 측벽(23)과, 폭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긴쪽 측벽(24)을 포함한다. 각통부(20)는, 저부(21)의 외주연에서 상방으로 돌출해서 형성되어 있다.
저부(21)는, 리셉터클측 기판(4)의 커넥터 탑재면(4A)과 대향하는 저면(21A)을 갖는다.
섬부(22)는, 두 개의 짧은쪽 측벽(23)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두 개의 짧은쪽 측벽(23)에서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섬부(22)는, 두 개의 긴쪽 측벽(24)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두 개의 긴쪽 측벽(24)에서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즉, 섬부(22)는, 평면에서 보아 각통부(20)에 둘러싸이면서 각통부(20)에서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두 개의 긴쪽 측벽(24)은, 두 개의 짧은쪽 측벽(23)보다도 낮다. 또한, 섬부(22)는, 두 개의 긴쪽 측벽(24)보다도 낮다. 자세하게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짧은쪽 측벽(23)의 높이 치수를 높이 치수 23H으로 정의하고, 섬부(22)의 높이 치수를 높이 치수 22H로 정의한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긴쪽 측벽(24)의 높이 치수를 높이 치수 24H로 정의한다. 높이 치수 23H 및 높이 치수 22H, 높이 치수 24H는, 모두 저부(21)의 저면(21A)을 기준으로 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높이 치수 23H은, 높이 치수 24H보다도 크고, 높이 치수 24H는, 높이 치수 22H보다도 크다.
각통부(20)는, 피치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리셉터클 피치 내 측면(25)을 갖는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25)은, 제1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26)과 제2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27)을 포함한다. 제1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26)과 제2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27)은, 발거 방향으로 이 기재 순서로 이웃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1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26)과 제2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27)은, 모두 피치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평면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3)의 형상은, 플러그 커넥터(3)를 피치 방향으로 이분할(二分割)하는 면에 관해서 대칭이면서 동시에 플러그 커넥터(3)를 폭 방향으로 이분할 하는 면에 관해서 대칭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본체(11)는, 플러그 하우징(12)과 두 개의 플러그 보조 금구(13)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플러그 하우징(12)과 두 개의 플러그 보조 금구(13)의 형상을 개별적으로 설명하는 것을 대신해서 그들을 포함하는 플러그 본체(11)의 형상을 설명한다. 플러그 하우징(12)과 두 개의 플러그 보조 금구(13)에 관해서는, 본 명세서의 말미에서 언급하는 것으로 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본체(11)는 대략 직육면체 모양을 이루고 있으며, 감합 상태에서 두 개의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25)에 대해서 피치 방향으로 각각 대향하는 두 개의 플러그 피치 외측면(30)을 갖는다. 플러그 피치 외측면(30)은, 제1 플러그 피치 외측면(31)과 제2 플러그 피치 외측면(32)을 포함한다. 제1 플러그 피치 외측면(31) 및 제2 플러그 피치 외측면(32)은, 발거 방향으로 이 기재 순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다. 각 플러그 피치 외측면(30)의 제1 플러그 피치 외측면(31)은, 감합 상태에서, 대응하는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25)의 제1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26)과 피치 방향으로 대향한다. 각 플러그 피치 외측면(30)의 제2 플러그 피치 외측면(32)은, 감합 상태에서 대응하는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25)의 제2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27)과 피치 방향으로 대향한다. 제1 플러그 피치 외측면(31) 및 제2 플러그 피치 외측면(32)은, 모두 피치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평면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본체(11)에는, 감합 상태에서 리셉터클 커넥터(2)의 섬부(22)를 수용하는 섬부 수용 오목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섬부 수용 오목부(33)는, 하방으로 개구하는 오목부이다.
도 9에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1)의 감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의 감합 상태에 있어서, 각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25)의 제1 리셉터클 피치 내 측면(26)과, 대응하는 플러그 피치 외측면(30)의 제1 플러그 피치 외측면(31)은, 피치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면서 동시에 서로 면 접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26)과 제1 플러그 피치 외측면(31)이 면 접촉 가능하게 함으로써, 예를 들면 점 접촉만 가능한 경우와 비교해서, 제1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26)이나 제1 플러그 피치 외측면(31)의 접촉에 따른 마모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9의 감합 상태에 있어서, 각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25)의 제2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27)과, 대응하는 플러그 피치 외측면(30)의 제2 플러그 피치 외측면(32)은, 피치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면서 동시에 서로 접촉 불능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피치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제1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26)과 제1 플러그 피치 외측면(31) 사이의 틈새의 피치 방향에서의 거리를 거리 D1으로 하고, 피치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제2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27)과 제2 플러그 피치 외측면(32) 사이의 틈새의 피치 방향에서의 거리를 거리 D2로 하면, D2>D1의 관계가 성립한다.
또한, 도 9의 감합 상태에 있어서, 두 개의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25)의 제1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26) 사이의 피치 방향에서의 거리를 거리 D3로 하고, 두 개의 플러그 피치 외측면(30)의 제1 플러그 피치 외측면(31) 사이의 피치 방향에서의 거리를 거리 D4로 하면, D3>D4의 관계가 성립한다. 따라서, 감합 상태에 있어서, 2개의 제1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26)의 양쪽이 두 개의 제1 플러그 피치 외측면(31)에 대해서 동시에 접촉하는 일은 없다. 즉, 감합 상태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3)는, 리셉터클 커넥터(2)에 대해서 피치 방향으로 약간의 여유를 가지고 있다.
이어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해서, 플러그 커넥터(3)를 리셉터클 커넥터(2)에 대해서 폭방향에 대해 평행한 회전축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플러그 커넥터(3)를 리셉터클 커넥터(2)에서 비스듬히 발거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3)를 리셉터클 커넥터(2)에서 발거하기 위해 화살표 P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측 기판(9)을 상방으로 끌어 올리면, 끌어올리는 힘과, 각 플러그 컨택트(10)와 각 리셉터클 컨택트(5) 사이에서 작용하는 마찰력이, 우력(偶力)이 되어 플러그 커넥터(3)가 리셉터클 커넥터(2)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회전한다. 그때, 두 개의 플러그 피치 외측면(30) 중 낮은 쪽이 되는 플러그 피치 외측면(30)의 제1 플러그 피치 외측면(31)이 대응하는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25)의 제1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26)의 상단 가장자리(上端緣)(26A)와 선 접촉하고, 플러그 커넥터(3)는, 상단 가장자리(26A)와 선 접촉하면서 한층 더 회전하게 된다. 즉, 플러그 커넥터(3)를 리셉터클 커넥터(2)에서 발거하는 초기의 단계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3)의 회전 중심은 상단 가장자리(26A)가 된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3)의 회전 중심이 개구 상단인 종래품과 비교해서 회전 중심이 리셉터클측 기판(4)에 가깝기 때문에, 플러그 커넥터(3)가 리셉터클 커넥터(2)에 수용된 상태에서 리셉터클 커넥터(2)에 대해서 크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3)를 리셉터클 커넥터(2)로부터 경사 발거하기 쉬워진다.
이어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3)를 리셉터클 커넥터( 2)에서 발거하기 위해 화살표 P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측 기판(9)을 상방으로 한층 더 끌어올리면, 플러그 커넥터(3)와 리셉터클 커넥터(2)의 물리적 간섭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3)가 리셉터클 커넥터(2)에 대해서 한층 더 상대적으로 회전한다. 그때, 두 개의 플러그 피치 외측면(30) 중 낮은 쪽의 플러그 피치 외측면(30)의 제2 플러그 피치 외측면(32)이 대응하는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25)의 제2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27)의 상단 가장자리(27A)와 선 접촉하고, 플러그 커넥터(3)는, 상단 가장자리(27A)와 선 접촉하면서 한층 더 회전하게 된다. 즉, 플러그 커넥터(3)를 리셉터클 커넥터(2)에서 발거하는 중기의 단계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3)의 회전 중심은 상단 가장자리(27A)가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상기 실시 형태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즉,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1)(커넥터 어셈블리)는, 리셉터클 커넥터(2)와 플러그 커넥터(3)를 구비한다. 플러그 커넥터(3)는,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10)와,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10)를 수용하는 플러그 본체(11)를 구비하고, 플러그측 기판(9)에 탑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2)는,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5)와,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 (5)를 수용하는 리셉터클 본체(6)를 구비하고, 리셉터클측 기판(4)에 탑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3) 및 리셉터클 커넥터(2)를 감합시킴으로써,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10)와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5)가 각각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본체(6)는, 플러그 커넥터(3)와 리셉터클 커넥터(2)가 끼워 맞춰진 감합 상태에서 플러그 커넥터(3)를 수용하는 각통부(20)를 갖는다. 각통부(20)는 피치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25)을 포함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본체(11)는 감합 상태에서 두 개의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25)에 대해서 피치 방향으로 각각 대향하는 두 개의 플러그 피치 외측면(30)을 갖는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25)은, 제1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26)과 제2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27)을, 플러그 커넥터(3)를 리셉터클 커넥터(2)에서 발거하는 발거 방향에 있어서 이 기재 순서로 포함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플러그 피치 외측면(30)은, 감합 상태에서 제1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26)과 피치 방향으로 대향하는 제1 플러그 피치 외측면(31)과, 감합 상태에서 제2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27)과 피치 방향으로 대향하는 제2 플러그 피치 외측면(32)을, 발거 방향에 있어서 이 기재 순서로 포함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는 제1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26)과 제1 플러그 피치 외측면(31)은, 모두 평면이며 감합 상태에 있어서 서로 면 접촉 가능하다. 이상의 구성에 따르면, 제1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26)과 제1 플러그 피치 외측면(31)이 점 접촉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제1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26)과 제1 플러그 피치 외측면(31)의 상호 접촉에 기인하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합 상태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제2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27)과 제2 플러그 피치 외측면(32) 사이의 피치 방향에서의 거리 D2는, 감합 상태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제1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26)과 제1 플러그 피치 외측면(31) 사이의 피치 방향에서의 거리 D1보다도 크다. 이상의 구성에 따르면, 경사 발거의 초기 단계에서, 플러그 커넥터(3)의 회전 중심을 리셉터클측 기판(4)에 가까이 할 수 있기 때문에,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1)의 고배화(高背化)와 경사 발거를 양립할 수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 개의 리셉터클피치 내측면(25)의 제1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26) 사이의 피치 방향에서의 거리 D3(치수)은, 두 개의 플러그 피치 외측면(30)의 제1 플러그 피치 외측면(31) 사이의 피치 방향에서의 거리 D4(치수)보다도 길다(크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감합 상태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3)는, 리셉터클 커넥터(2)에 대해서 피치 방향으로 약간의 여유를 갖는다. 이 피치 방향에서의 여유는, 플러그 커넥터(3)를 리셉터클 커넥터(2)에서 경사 발거할 때에 플러그 커넥터(3)가 회전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2)는, 리셉터클 커넥터(2)를 피치 방향으로 이분할 하는 면에 관해서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3)도 마찬가지로, 플러그 커넥터(3)를 피치 방향으로 이분할 하는 면에 관해서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3)를 리셉터클 커넥터(2)에 대해서 폭 방향에 평행한 회전축으로 회전시키면서 플러그 커넥터(3)를 리셉터클 커넥터(2)에서 빼는 경사 발거에 있어서, 그 회전 방향이 한정되는 일이 없고, 따라서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1)의 발거 동작에 있어서의 양호한 조작성이 실현된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통부(20)는, 피치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짧은쪽 측벽(23)과, 폭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긴쪽 측벽(24)을 포함한다. 두 개의 긴쪽 측벽(24)은, 두 개의 짧은 쪽 측벽(23)보다도 낮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플러그 커넥터(3)를 리셉터클 커넥터(2)에 대해서 피치 방향에 대해 평행한 회전축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플러그 커넥터(3)를 리셉터클 커넥터(2)에서 경사 발거할 때에, 플러그 커넥터(3)와 리셉터클 커넥터(2)의 물리적인 간섭이 완화된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본체(6)는, 발거 방향으로 돌출하는 섬부(22)를 갖는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본체(11)는 감합 상태에서 섬부(22)를 수용하는 섬부 수용 오목부(33)가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섬부(22)는 두 개의 긴쪽 측벽(24)보다도 낮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플러그 커넥터(3)를 리셉터클 커넥터(2)에 대해서 피치 방향 또는 폭 방향에 대해서 평행한 회전축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플러그 커넥터(3)를 리셉터클 커넥터(2)에서 경사 발거할 때에, 리셉터클 커넥터(2)의 섬부(22)와 플러그 커넥터(3)의 물리적 간섭이 완화된다.
이어서, 도 5 및 도 8을 참조해서, 리셉터클 커넥터(2) 및 플러그 커넥터(3)의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하우징(7)은 각통부(20)에 대응하는 하우징 각통부(40)와, 저부(21)에 대응하는 하우징 저부(41), 섬부(22)에 대응하는 하우징 섬부(42)를 포함한다.
하우징 각통부(40)는, 두 개의 짧은쪽 측벽(23)에 각각 대응하는 두 개의 하우징 짧은쪽 측벽(43)과, 두 개의 긴쪽 측벽(24)에 각각 대응하는 두 개의 하우징 긴쪽 측벽(44)을 포함한다. 하우징 각통부(40)는, 하우징 저부(41)의 외주연에서 상방으로 돌출해서 형성되어 있다.
각 리셉터클 보조 금구(8)는, 대응하는 하우징 짧은쪽 측벽(43)의 피치 내방에 배치되는 짧은쪽 측벽 커버부(50)와, 대응하는 하우징 짧은쪽 측벽(43)의 위쪽 가장자리(上緣)를 덮는 짧은쪽 측벽 보호부(51)와, 두 개의 하우징 긴쪽 측벽(44)의 위쪽 가장자리를 각각 덮는 두 개의 긴쪽 측벽 보호부(52)와, 리셉터클측 기판(4)에 납땜되는 두 개의 납땜 다리부(53)를 포함한다.
짧은쪽 측벽 커버부(50)의 피치 내방을 향한 짧은쪽 측벽 커버부 내면(50A)이, 전술의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25)에 상당한다. 짧은쪽 측벽 커버부 내면(50A)에는, 피치 내방으로 돌출하는 리셉터클 돌출부(54)가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 돌출부(54)는, 절두 사각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 돌출부(54)의 절두면이 전술한 제1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26)에 대응하고 있다. 짧은쪽 측벽 커버부 내면(50A) 중 리셉터클 돌출부(54)의 상방의 부분(56)이 전술한 제2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27)에 상당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하우징(12)은, 거의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플러그 보조 금구(13)는, 플러그 하우징(12)의 피치 외방에 배치되는 짧은쪽 측면 커버부(60)와, 플러그 하우징(12)의 하방에 배치되는 짧은쪽 측면 보호부(61)와, 플러그측 기판(9)에 납땜되는 두 개의 납땜 다리부(62)를, 포함한다.
짧은쪽 측면 커버부(60)의 피치 외방을 향하는 짧은쪽 측면 커버부 외면(60A)이, 전술한 플러그 피치 외측면(30)에 상당한다. 짧은쪽 측면 커버부 외면(60A)에는, 피치 외방으로 돌출하는 플러그 돌출부(64)가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돌출부(64)는, 절두 사각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돌출부(64)의 절두면(65)이 전술의 제1 플러그 피치 외측면(31)에 대응하고 있다. 짧은쪽 측면 커버부 외면(60A) 중 플러그 돌출부(64)의 상방 부분(66)이 전술의 제2 플러그 피치 외측면(32)에 상당한다.
이상의 구성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 개의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25)(짧은쪽 측벽 커버부 내면(50A))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피치 방향으로 돌출하는 리셉터클 돌출부(54)가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 돌출부(54)에 제1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26)(절두면(5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두 개의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25)(짧은쪽 측벽 커버부 내면(50A))의 양쪽에 리셉터클 돌출부(54)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피치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제1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26)과 제1 플러그 피치 외측면(31) 사이의 틈새의 피치 방향에서의 거리 D1과, 피치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제2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27)과 제2 플러그 피치 외측면(32) 사이의 틈새의 피치 방향에서의 거리 D2가, D2>D1의 관계를 충족하고, 두 개의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25)의 제1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26) 사이의 피치 방향에서의 거리 D3와, 두 개의 플러그 피치 외측면(30)의 제1 플러그 피치 외측면(31) 사이의 피치 방향에서의 거리 D4가, D3>D4의 관계를 만족하면 되는 것으로, 반드시 본 실시형태의 리셉터클 돌출부(54)의 형상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리셉터클 본체(6)는,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5)를 유지하는 수지제의 리셉터클 하우징(7)과, 리셉터클 하우징(7)에 장착되는 두 개의 리셉터클 보조 금구(8)를 포함한다. 각 리셉터클 보조 금구(8)는, 각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25)을 가진다. 그러나, 이에 대체해서, 리셉터클 본체(6)는, 리셉터클 보조 금구(8)를 하나만 포함하도록 해도 좋고, 리셉터클 보조 금구(8)를 포함하지 않아도 좋고, 리셉터클 하우징(7)이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25)을 가져도 좋다. 또한, 리셉터클 본체(6)가 한 개만 리셉터클 보조 금구(8)를 포함하는 경우, 리셉터클 보조 금구(8)가 두 개의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25)을 가져도 좋다. 예를 들면, 두 개의 리셉터클 보조 금구(8)가 서로 연결되어도 좋다.
또한,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 개의 플러그 피치 외측면(30) (짧은쪽 측면 커버부 외면(60A))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피치 방향으로 돌출하는 플러그 돌출부(64)가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돌출부(64)에 제1 플러그 피치 외측면(31)(절두면(6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두 개의 플러그 피치 외측면(30)(짧은쪽 측면 커버부 외면(60A))의 양쪽에 플러그 돌출부(64)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피치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제1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26)과 제1 플러그 피치 외측면(31) 사이의 틈새의 피치 방향에서의 거리 D1과, 피치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제2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27)과 제2 플러그 피치 외측면(32) 사이의 틈새의 피치 방향에서의 거리 D2가, D2>D1의 관계를 충족하고, 두 개의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25)의 제1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26) 사이의 피치 방향에서의 거리 D3와, 두 개의 플러그 피치 외측면(30)의 제1 플러그 피치 외측면(31) 사이의 피치 방향에서의 거리 D4가, D3>D4의 관계를 충족하면 되는 것으로, 반드시 본 실시 형태의 플러그 돌출부(64)의 형상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플러그 본체(11)는,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10)를 유지하는 수지제의 플러그 하우징(12)과, 플러그 하우징(12)에 장착되는 두 개의 플러그 보조 금구(13)를 포함한다. 각 플러그 보조 금구(13)는, 각 플러그 피치 외측면(30)을 갖는다. 그러나, 이에 대체하여, 플러그 본체(11)는 플러그 보조 금구(13)를 하나만 포함하도록 해도 좋고, 플러그 보조 금구(13)를 포함하지 않아도 좋으며, 플러그 하우징(12)이 플러그 피치 외측면(30)을 가져도 좋다. 또한, 플러그 본체(11)가 하나만 플러그 보조 금구(13)를 포함하는 경우, 플러그 보조 금구(13)가 두 개의 플러그 피치 외측면(30)을 가져도 좋다. 예를 들면, 두 개의 플러그 보조 금구(13)가 서로 연결되어도 좋다.
더 말하자면, 피치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제1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26)과 제1 플러그 피치 외측면(31) 사이의 틈새의 피치 방향에서의 거리 D1과, 피치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제2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27)과 제2 플러그 피치 외측면(32) 사이의 틈새의 피치 방향에서의 거리 D2는, D2>D1의 관계를 충족하고, 두 개의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25)의 제1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26) 사이의 피치 방향에서의 거리 D3와, 두 개의 플러그 피치 외측면(30)의 제1 플러그 피치 외측면(31) 사이의 피치 방향에서의 거리 D4가, D3>D4의 관계를 충족하면 되는 것으로, 리셉터클 돌출부(54) 및 플러그 돌출부(64) 중 어느 한 쪽을 생략해도 좋다.
1;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커넥터 어셈블리)
2; 리셉터클 커넥터
3; 플러그 커넥터
4; 리셉터클측 기판
4A; 커넥터 탑재면
5; 리셉터클 컨택트
6; 리셉터클 본체
7; 리셉터클 하우징
8; 리셉터클 보조 금구
9; 플러그측 기판
9A; 커넥터 탑재면
10; 플러그 컨택트
11; 플러그 본체
12; 플러그 하우징
13; 플러그 보조 금구(金具)
20; 각통부(角筒部)
21; 저부
21A; 저면
22; 섬부(島部)
22H; 높이 치수
23; 짧은쪽 측벽
23H; 높이 치수
24; 긴쪽 측벽
24H; 높이 치수
25;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
26; 제1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
26A; 상단 가장자리(上端緣)
27; 제2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
27A; 상단 가장자리
30; 플러그 피치 외측면
31; 제1 플러그 피치 외측면
32; 제2 플러그 피치 외측면
33; 섬부 수용 오목부
40; 하우징 각통부
41; 하우징 저부
42; 하우징 섬부
43; 하우징 짧은쪽 측벽
44; 하우징 긴쪽 측벽
50; 짧은쪽 측벽 커버부
50A; 짧은쪽 측벽 커버부 내면
51; 짧은쪽 측벽 보호부
52; 긴쪽 측벽 보호부
53; 납땜 다리부
54; 리셉터클 돌출부
55; 절두면(截頭面)
56; 부분(部分)
60; 짧은쪽 측면 커버부
60A; 짧은쪽 측면 커버부 외면
61; 짧은쪽 측면 보호부
62; 납땜 다리부
64; 플러그 돌출부
65; 절두면
66; 부분
D1; 거리
D2; 거리
D3; 거리(치수)
D4; 거리(치수)
P; 화살표

Claims (7)

  1.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와, 상기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를 수용하는 플러그 본체를 구비하고, 플러그측 기판에 탑재 가능한 플러그 커넥터와,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와, 상기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를 수용하는 리셉터클 본체를 구비하고, 리셉터클측 기판에 탑재 가능한 리셉터클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를 감합(嵌合)시킴으로써, 상기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와 상기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가 각각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커넥터 어셈블리이며,
    상기 리셉터클 본체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가 끼워맞춰진 감합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수용하는 각통부(角筒部)를 가지며,
    상기 각통부는, 상기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가 나열되는 방향으로서의 피치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본체는, 상기 감합 상태에서 상기 두 개의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에 대해서 상기 피치 방향으로 각각 대향하는 두 개의 플러그 피치 외측면을 가지고,
    각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은,
    제1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과,
    제2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을,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서 빼는 발거(拔去) 방향에 있어서 이 기재 순서로 포함하고,
    각 플러그 피치 외측면은,
    상기 감합 상태에서 상기 제1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과 상기 피치 방향으로 대향하는 제1 플러그 피치 외측면과,
    상기 감합 상태에서 상기 제2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과 상기 피치 방향으로 대향하는 제2 플러그 피치 외측면을,
    상기 발거 방향에 있어서 이 기재 순서로 포함하고,
    서로 대향하는 상기 제1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과 상기 제1 플러그 피치 외측면은, 모두 평면이며 상기 감합 상태에 있어서 서로 면(面) 접촉 가능하며,
    상기 감합 상태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상기 제2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과 상기 제2 플러그 피치 외측면 사이의 상기 피치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는, 상기 감합 상태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상기 제1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과 상기 제1 플러그 피치 외측면 사이의 상기 피치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보다도 크고,
    상기 두 개의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의 상기 제1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 사이의 상기 피치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는, 상기 두 개의 플러그 피치 외측면의 상기 제1 플러그 피치 외측면 사이의 상기 피치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보다도 큰,
    커넥터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상기 피치 방향으로 돌출하는 리셉터클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리셉터클 돌출부에 상기 제1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이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플러그 피치 외측면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상기 피치 방향으로 돌출하는 플러그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러그 돌출부에 상기 제1 플러그 피치 외측면이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본체는,
    상기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를 유지하는 수지제의 리셉터클 하우징과,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에 장착되는 리셉터클 보조 금구(金具)를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 보조 금구는, 상기 두 개의 리셉터클 피치 내측면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갖는,
    커넥터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본체는,
    상기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를 유지하는 수지제의 플러그 하우징과,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장착되는 플러그 보조 금구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보조 금구는, 상기 두 개의 플러그 피치 외측면의 적어도 어느 한쪽을 갖는,
    커넥터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통부는, 상기 피치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짧은쪽 측벽과, 상기 피치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긴쪽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긴쪽 측벽은, 상기 두 개의 짧은쪽 측벽보다도 낮은,
    커넥터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본체는, 상기 발거 방향으로 돌출하는 섬부(島部)를 가지며,
    상기 플러그 본체는, 상기 감합 상태에서 상기 섬부를 수용하는 섬부 수용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섬부는, 상기 두 개의 긴쪽 측벽보다도 낮은,
    커넥터 어셈블리.
KR1020200174226A 2020-02-05 2020-12-14 커넥터 어셈블리 KR1025287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2970260P 2020-02-05 2020-02-05
US62/970,260 2020-02-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002A true KR20210100002A (ko) 2021-08-13
KR102528724B1 KR102528724B1 (ko) 2023-05-04

Family

ID=77062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4226A KR102528724B1 (ko) 2020-02-05 2020-12-14 커넥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101585B1 (ko)
JP (1) JP7536614B2 (ko)
KR (1) KR102528724B1 (ko)
CN (1) CN113224594B (ko)
TW (1) TWI75601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8163A (ko) 2022-08-24 2024-03-05 주식회사 신화콘텍 카메라 모듈용 커넥터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65443B2 (ja) * 2019-07-31 2023-04-2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配線板組立体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78808B2 (ja) * 2001-05-28 2003-12-15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2015220005A (ja) * 2014-05-15 2015-12-07 Smk株式会社 基板対基板用コネクタ
JP2019133798A (ja) 2018-01-30 2019-08-08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4024A (ja) 1997-08-29 1999-03-16 Omron Corp 電気コネクタ
JP4613927B2 (ja) 2007-04-24 2011-01-19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コネクタ
JP4555329B2 (ja) * 2007-11-08 2010-09-29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5660756B2 (ja) * 2008-10-14 2015-01-28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Molex Incorporated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5659212B2 (ja) 2012-11-16 2015-01-2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TW201517422A (zh) * 2013-10-21 2015-05-01 Santa Electronics Inc 電連接器
US9065228B2 (en) * 2013-11-21 2015-06-23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US9391398B2 (en) 2014-03-20 2016-07-12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assembly
JP6136078B2 (ja) 2015-02-09 2017-05-31 Smk株式会社 基板接続用コネクタ装置
JP6751912B2 (ja) 2016-12-27 2020-09-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取付金具、コネクタ、及び接続装置
JP6399063B2 (ja) * 2016-09-07 2018-10-03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JP7026522B2 (ja) * 2018-01-31 2022-02-28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JP6681951B2 (ja) 2018-08-08 2020-04-1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6816747B2 (ja) * 2018-10-01 2021-01-20 Smk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セッ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78808B2 (ja) * 2001-05-28 2003-12-15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2015220005A (ja) * 2014-05-15 2015-12-07 Smk株式会社 基板対基板用コネクタ
JP2019133798A (ja) 2018-01-30 2019-08-08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8163A (ko) 2022-08-24 2024-03-05 주식회사 신화콘텍 카메라 모듈용 커넥터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101585B1 (en) 2021-08-24
KR102528724B1 (ko) 2023-05-04
JP7536614B2 (ja) 2024-08-20
JP2021125459A (ja) 2021-08-30
CN113224594A (zh) 2021-08-06
US20210242616A1 (en) 2021-08-05
TW202131562A (zh) 2021-08-16
TWI756015B (zh) 2022-02-21
CN113224594B (zh) 2023-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2713B2 (en) Connector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connecting target and to substrate
US20080188103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pick-up cap
JP6996694B2 (ja) 垂直式ダイレクトpcbコネクタ
KR20210100002A (ko) 커넥터 어셈블리
JP2005332749A (ja) 電気コネクタ
US9979122B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nector
US9722356B2 (en) Connector
JP2007109522A (ja) 電気コネクタ
US11146004B2 (en) Connector assembly
JP2011060478A (ja) コネクタ
US6368124B1 (en) Card edge connector with daughter board retainer
JP7044622B2 (ja) コネクタ組立体
JP2006127836A (ja) コネクタ装置
KR100589883B1 (ko) 소켓 장치
US20240275094A1 (en) Connector device
JP6675232B2 (ja) コネクタ
US20170264035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structure
KR20220112665A (ko) 기판 커넥터
KR101338219B1 (ko)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어셈블리
JP5417134B2 (ja) キャップ及び該キャップを用いたコネクタ装置
US7815444B2 (en) Low profile electrical connector
KR20170069126A (ko)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CN117525998A (zh) 高密度正交卡缘连接器
KR20220057412A (ko)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의 컨택트 및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KR20120123358A (ko) 연성 인쇄 회로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