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2665A - 기판 커넥터 - Google Patents

기판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2665A
KR20220112665A KR1020210183944A KR20210183944A KR20220112665A KR 20220112665 A KR20220112665 A KR 20220112665A KR 1020210183944 A KR1020210183944 A KR 1020210183944A KR 20210183944 A KR20210183944 A KR 20210183944A KR 20220112665 A KR20220112665 A KR 20220112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wall
support
axial direction
board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3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상준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112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26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04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comprising a separate cable clamping part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에 설치되는 절연부; 상기 절연부에 결합되어서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전송컨택트; 및 상기 전송컨택트보다 더 큰 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판에 실장되어서 상기 절연부를 상기 기판에 고정시키는 홀드다운(Hold Dow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드다운은, 상기 절연부에 결합된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된 제1접속부;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접속부와 이격된 제2접속부;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제1접속부의 사이에서 상기 기판에 실장되어서 상기 가이드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 및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제2접속부의 사이에서 상기 기판에 실장되어서 상기 가이드부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기판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판 커넥터{Substrate Connector}
본 발명은 기판들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전자기기에 설치되는 기판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Connector)는 전기적 연결을 위해 각종 전자기기에 마련된다. 예컨대, 커넥터는 휴대폰,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등과 같은 전자기기에 설치되어서, 전자기기 내에 설치된 각종 부품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기판 커넥터는, 기판과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는 홀드다운(Hold Down)을 포함한다. 상기 홀드다운은 기판 커넥터 간을 결합시키는 결합작업시 기판 커넥터의 지지력을 확보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홀드다운은 상기 기판 커넥터에서 절연을 담당하는 절연부재에 비해 높은 강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는 상기 홀드다운이 상기 기판 커넥터를 지지하는 기능을 담당하였다. 그런데, 최근 기판 커넥터가 설치된 전자기기는 고성능을 갖추면서도 소형화 구현이 요구되고 있다. 그 일환으로 적용 전자기기에 따라서는 기판 커넥터에 고전류 인가를 요구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기판 커넥터에서 전원(Power), 신호(Signal), 데이터(Data) 등을 전송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전송컨택트보다 큰 체적을 갖는 상기 홀드다운이 고전류 인가를 담당하게 되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는 상기 홀드다운이 기판 커넥터 간의 조립시 각 기판 커넥터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상기 기판 커넥터들에 각각 결합된 상기 홀드다운들은 서로 삽입을 가이드하면서 기판 커넥터들이 서로 용이하게 조립되도록 구현되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홀드다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홀드다운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홀드다운(4')은 가이드부(40'), 제1접속부(41'), 및 제2접속부(4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40')는 가이드상벽(401'), 가이드내벽(402'), 가이드외벽(403'), 및 가이드실장부재(404')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40')는 상대커넥터의 홀드다운의 삽입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가이드부(40')는 상기 가이드부(40')의 양측에 배치된 상기 제1접속부(41'), 및 상기 제2접속부(42')와 함께 상대커넥터의 홀드다운의 삽입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홀드다운(4')에 상대커넥터의 홀드다운이 삽입되면 상기 가이드부(40')에 가압력(F' 화살표 방향)이 작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상벽(401')은 상기 제1접속부(41')와 상기 제2접속부(42')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내벽(402')은 기판에 실장된 상기 가이드실장부재(40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홀드다운(4')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홀드다운(4')은 상대커넥터의 홀드다운이 삽입되는 경우, 상기 가압력(F' 화살표 방향)이 작용하는 후방에 배치된 상기 가이드외벽(403')이 다른 부재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홀드다운(4')은 상기 가압력(F' 화살표 방향)을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지지력이 확보되지 않음으로써, 상대커넥터의 홀드다운과 오정렬(Misalignment)상태로 서로 조립되는 경우 상기 가압력(F' 화살표 방향)에 의해 상기 홀드다운(4')이 밀림, 파손 또는 변형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커넥터 간 조립시 홀드다운(Hold Down)의 변형 내지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기판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판에 설치되는 절연부; 상기 절연부에 결합되어서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전송컨택트; 및 상기 전송컨택트보다 더 큰 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판에 실장되어서 상기 절연부를 상기 기판에 고정시키는 홀드다운(Hold Dow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드다운은, 상기 절연부에 결합된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된 제1접속부;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접속부와 이격된 제2접속부;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제1접속부의 사이에서 상기 기판에 실장되어서 상기 가이드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 및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제2접속부의 사이에서 상기 기판에 실장되어서 상기 가이드부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 각각이 가이드부와 제1접속부의 사이, 및 가이드부와 제2접속부의 사이에 배치되어서 가이드부를 지지하여 지지력을 강화함으로써, 상대커넥터와 오정렬 상태로 조립시 홀드다운이 밀림, 파손 또는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홀드다운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홀드다운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홀드다운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홀드다운을 반대쪽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홀드다운을 뒤집어서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홀드다운을 뒤집에서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와 상대커넥터의 조립시 홀드다운과 상대커넥터의 홀드다운이 충돌하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가이드부가 가압력에 의해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제1지지부의 단면계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홀드다운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13은 도 13의 I-I선을 기준으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홀드다운을 절단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II-II선을 기준으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홀드다운을 절단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드다운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홀드다운을 반대쪽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사시도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홀드다운을 뒤집어서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홀드다운을 뒤집에서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휴대폰,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등과 같은 전자기기(미도시)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전자기기에서 기판과 상대커넥터가 결합된 기판을 연결하는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상기 기판은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플러그 커넥터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리셉터클 커넥터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 모두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가 상기 플러그 커넥터로 구현되는 경우 다음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기판에 결합되기 위한 절연부(2), 상기 절연부(2)에 결합되고 상기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전송컨택트(3), 및 상기 전송컨택트(3)보다 더 큰 허용전류를 갖도록 상기 전송컨택트(3)보다 더 큰 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판에 실장되어서 상기 절연부(2)를 상기 기판에 고정시키는 홀드다운(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홀드다운(4)은 상기 절연부(2)에 결합된 가이드부(40), 상기 가이드부(40)에 결합된 제1접속부(41), 및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접속부(41)와 이격된 제2접속부(42),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부(40)와 상기 제1접속부(41)의 사이에서 상기 기판에 실장되어서 상기 가이드부(40)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43), 및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부(40)와 상기 제2접속부(42)의 사이에서 상기 기판에 실장되어서 상기 가이드부(40)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44)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지지부(43)와 상기 제2지지부(44) 각각이 상기 가이드부(40)와 상기 제1접속부(41)의 사이, 및 상기 가이드부(40)와 상기 제2접속부(42)의 사이에 실장됨으로써, 추가적인 실장면적을 확보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는 추가적인 실장면적을 통해 상기 홀드다운(4)을 지지하는 지지력을 확보함으로써, 상대커넥터와 조립시 상기 홀드다운(4)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홀드다운(4)이 파손 또는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지지부(43)와 상기 제2지지부(44)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가이드부(40)에 결합되어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43)와 상기 제2지지부(44)는 별도의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절연부(2), 상기 전송컨택트(3), 및 상기 홀드다운(4)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절연부(2)는 상기 홀드다운(4)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절연부(2)는 상기 홀드다운(4) 및 상기 전송컨택트(3) 각각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절연부(2)에는 상기 전송컨택트(3)가 복수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송컨택트(3)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2)에는 상기 전송컨택트(3)들이 복수개의 열을 이루면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연부(2)에는 상기 전송컨택트(3)들이 2개의 열을 이루면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절연부(2)는 결합홈(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홈(21)에는 상기 전송컨택트(3)가 결합된다. 상기 결합홈(21)은 상기 전송컨택트(3)의 측벽으로부터 소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송컨택트(3)는 상기 결합홈(21)에 삽입되어서 상기 절연부(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2) 및 상기 전송컨택트(3)는 인서트 몰딩을 통해 결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가 상기 전송컨택트(3)를 복수개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절연부(2)는 상기 결합홈(21)을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홈(21)들은 복수개의 열을 이루면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2)는 상기 전송컨택트(3)들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결합홈(2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절연부(2)는 안착홈(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홈(22)에는 상대커넥터의 절연부가 삽입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와 상기 상대커넥터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22)은 복수개의 열을 이루면서 배치된 상기 결합홈(21)들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홀드다운(4)은 상대커네터와 결합작업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의 지지력을 확보하는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절연부(2)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높은 강성을 갖는 상기 홀드다운(4)을 통해 상기 결합작업의 용이성을 증대시킴과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와 상기 상대커넥터 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홀드다운(4)은 상기 절연부(2)에 결합되어서 상기 절연부(2)에 지지된다. 상기 홀드다운(4)은 상기 절연부(2)에 형성된 삽입홈(23)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절연부(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23)은 상기 결합홈(21)과 상기 안착홈(22) 각각에 대해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2)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드다운(4) 및 상기 절연부(2)는 인서트 몰딩을 통해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홀드다운(4)은 전도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홀드다운(4)은 상대커넥터의 홀드다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홀드다운(4)은 상대커넥터의 홀드다운과 결합됨에 따라 상대커넥터의 홀드다운에 접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의 상기 홀드다운(4)이 상대커넥터의 홀드다운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홀드다운(4)은 상기 가이드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40)는 상기 절연부(2)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부(40)는 상기 삽입홈(24, 도 4에 도시됨)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40)는 상기 절연부(2)의 상측을 덮도록 상기 절연부(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40)는 상기 절연부(2)의 상측을 지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40)는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가이드부(40)를 통해 상기 절연부(2)가 상기 기판에 고정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가이드부(40)는 가이드상벽(401), 가이드내벽(402), 및 가이드외벽(40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상벽(401)은 상기 절연부(2)의 상측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가이드상벽(401)은 상기 절연부(2)의 삽입홈(23)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상벽(401)은 상기 절연부(2)의 상측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절연부(2)가 상기 기판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내벽(402)은 상기 가이드상벽(401)의 일측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가이드내벽(402)은 상기 가이드상벽(401)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내벽(402)은 상기 가이드상벽(401)의 아래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내벽(402)은 상기 절연부(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외벽(403)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수직한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내벽(402)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가이드상벽(401)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가이드외벽(403)은 상기 가이드상벽(401)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외벽(403)은 상기 가이드상벽(401)의 아래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외벽(403)은 상기 절연부(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가이드외벽(403)은 상기 가이드내벽(402)과 평행하게 상기 가이드상벽(401)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내벽(402)과 상기 가이드외벽(403)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외벽(403)과 상기 가이드내벽(402)의 사이에는 상기 절연부(2)가 삽입되기 위한 홈[이하, '제1삽입홉(40a)'이라 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삽입홈(40a)에는 상기 절연부(2)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상벽(401), 상기 가이드내벽(402), 및 상기 가이드외벽(403)은 상기 절연부(2)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삽입홈(40a)에 상기 절연부(2)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절연부(2)는 상기 가이드상벽(401), 상기 가이드내벽(402), 및 상기 가이드외벽(403)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삽입홈(40a)을 통해 상기 절연부(2)와 상기 홀드다운(4)이 서로 고정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상벽(401), 상기 가이드내벽(402), 및 상기 가이드외벽(403)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상벽(401), 상기 가이드내벽(402), 및 상기 가이드외벽(403)은 판재에 대한 굽힘 가공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가이드부(40)는 가이드실장부재(40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실장부재(404)는 상기 가이드내벽(402)으로부터 돌출된 것이다. 상기 가이드실장부재(404)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내벽(402)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실장부재(404)는 상기 가이드내벽(402)의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내벽(402)의 후방(BD 화살표 방향)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내벽(402)에서 상기 가이드외벽(403)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가이드실장부재(404)는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홀드다운(4)은 상기 가이드실장부재(404)를 통해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실장부재(404)는 상기 가이드내벽(402)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가이드실장부재(404)를 통해 가이드내벽(402)을 지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가이드실장부재(404)를 통해 상기 가이드부(40)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가이드실장부재(404)를 통해 상대커넥터와 오정렬 상태로 조립시 상기 가이드부(40)의 상측에 가해지는 힘을 지지하는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가이드내벽(402)은 상기 가이드실장부재(404)를 향해 연장될수록 폭이 좁아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상벽(401) 쪽에 배치된 상기 가이드내벽(402)의 부분은 상기 가이드실장부재(404) 쪽에 배치된 상기 가이드내벽(402)의 부분보다 폭이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내벽(402)은 'T'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다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가이드내벽(402)의 폭이 감소된 부분에 상기 절연부(2)가 배치됨으로써, 상기 가이드내벽(402)이 상기 절연부(2)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력이 강화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홀드다운(4)은 상기 제1접속부(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41)는 상기 가이드부(40)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제1접속부(41)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부(4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41)는 상기 상대커넥터의 홀드다운에 접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접속부(41)를 통해 접지(Ground)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41)는 상기 절연부(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41)의 내측에 절연부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41)는 상기 상대커넥터의 삽입을 가이드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제1접속부(41)는 제1접속부재(4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재(411)는 상대커넥터의 홀드다운에 접속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접속부재(411)는 상기 가이드상벽(401)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재(411)는 상기 절연부(2)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접속부재(411)는 상기 절연부(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제1접속부(41)는 제1실장부재(4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실장부재(412)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접속부(41)는 상기 제1실장부재(412)를 통해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41)는 상기 제1실장부재(412)는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실장부재(412)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제1접속부(41)는 제1고정부재(4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재(413)는 상기 제1접속부재(411)에 결합될 것이다. 상기 제1고정부재(413)는 상기 절연부(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부(41)는 상기 제1고정부재(413)를 통해 상기 절연부(2)에 고정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접속부(41)가 상기 절연부(2)에 고정되어 상기 홀드다운(4)에 대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대커넥터와 조립시 상기 제1접속부(41)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제1접속부(41)가 파손 또는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재(413)는 상기 가이드부(40)의 전방(FD 화살표 방향)에서 상기 절연부(2)에 고정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40)의 전방(FD 화살표 방향)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외벽(403)에서 상기 가이드내벽(402)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고정부재(413)는 상기 제1접속부(41)와 상기 가이드부(40)가 상기 가이드부(40)의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40)의 후방(BD 화살표 방향)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내벽(402)에서 상기 가이드외벽(403)을 향하는 방향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와 상대커넥터가 오정렬상태로 조립시 상기 가이드부(40)에 가해지는 힘을 상기 가이드부(40)의 전방(FD 화살표 방향)에서 지지하는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대커넥터와 오정렬 상태로 조립시 상기 가이드부(40)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40)가 파손 또는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홀드다운(4)은 상기 제2접속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부(4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접속부(41)와 이격된 것이다. 상기 제2접속부(4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접속부(41)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접속부(4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접속부(41)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부(4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접속부(41)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제2접속부(42)는 제2접속부재(421), 제2실장부재(422), 및 제2고정부재(4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부재(421), 상기 제2실장부재(422), 및 상기 제2고정부재(423) 각각은 상기 제1접속부재(411), 상기 제1실장부재(412), 및 상기 제1고정부재(413) 각각과 대략 일치되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접속부(41)와 상기 제2접속부(4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대칭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접속부(41)와 상기 제2접속부(42)는 서로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져 배치되는 방향에 차이가 있을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홀드다운(4)의 제조하는 제조작업의 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홀드다운(4)은 상기 제1지지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43)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부(40)와 상기 제1접속부(41)의 사이에서 상기 기판에 실장되어서 상기 가이드부(40)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제1지지부(43)는 상기 가이드부(40)에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제1지지부(43)는 상기 가이드외벽(40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43)는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지지부(43)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실장부재(404)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지지부(43)가 상기 가이드실장부재(404)의 외측에서 상기 기판에 실장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지지부(43)를 통해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실장면적이 증가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가이드부(40)를 지지하는 추가적인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부(43)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외벽(403)의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43)는 상기 가이드외벽(403)에서 상기 가이드내벽(402) 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지지부(43)의 길이(D1)는 상기 가이드외벽(403)과 상기 가이드내벽(402)이 서로 이격된 거리(D2)보다 더 짧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지지부(43)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외벽(403)과 상기 가이드내벽(402)의 사이에서 상기 기판에 실장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지지부(43)를 통해 상기 가이드외벽(403)과 상기 가이드내벽(402)이 서로 이격된 공간에서 추가적인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대커넥터와 오정렬 상태로 조립시 상기 가이드부(40)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40)가 파손 또는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제1지지부(43)는 제1지지면(4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면(431)은 상기 가이드상벽(401)과 상기 가이드내벽(402)을 향해 배치된 것이다. 상기 제1지지면(431)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되는 상기 가이드상벽(401)과 상기 가이드내벽(402)을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지지면(431)을 통해 상기 가이드부(40)를 지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지지면(431)을 통해 상대커넥터와 오정렬 상태로 조립시 상기 가이드부(40)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40)가 밀림, 파손 또는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여 상기 제1지지면(431)이 상기 가이드상벽(401)과 상기 가이드내벽(402)을 지지하는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와 상대커넥터가 조립되는 경우 상기 홀드다운(4)과 상기 상대커넥터의 홀드다운(1A)이 서로 충돌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홀드다운(4)에는 상기 상대커넥터의 홀드다운(1A)에 의해 가압력(F 화살표 방향)이 작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40)는 상기 가압력(F 화살표 방향)에 의해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후방(BD 화살표 방향)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내벽(402)에서 상기 가이드외벽(403)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상벽(401)과 상기 가이드내벽(402)은 상기 가압력(F 화살표 방향)에 의해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상벽(401)과 상기 가이드내벽(402)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뒤로 밀릴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지지면(431)이 상기 가이드상벽(401)과 상기 가이드내벽(402)에 각각 접촉하여 상기 가이드상벽(401)과 상기 가이드내벽(402)을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지지면(431)을 통해 상기 가이드상벽(401)과 상기 가이드내벽(402)이 이동가능한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40)는 내면(40f)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40)의 내면(40f)은 상기 가이드상벽(401)의 내면(401f)과 상기 가이드내벽(402)의 내면(402f)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40)의 내면(40f)은 상기 제1지지면(431)을 향하는 면이다. 상기 가이드부(40)의 내면(40f)은 상기 제1지지면(431)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지지면(431)은 상기 가이드부(40)의 내면(40f)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지지면(431)을 통해 상기 가이드부(40)의 내면(40f)과 접촉시 접촉면적이 넓게 형성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지지면(431)과 상기 가이드부(40)의 내면(40f)이 서로 접촉되면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면(431)은 굴곡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5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제1지지부(43)는 상기 기판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세워져서 상기 가이드부(4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지지부(43)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의 길이보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의 길이가 더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지지부(43)가 상기 가압력(F 화살표 방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두꺼운 두께를 가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압력(F 화살표 방향)이 작용하는 방향의 연장선상으로 상기 제1지지부(43)가 두꺼운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대커넥터와 조립시 상기 가압력(F 화살표 방향)을 지지하는 지지력을 강화함으로써, 상기 홀드다운(4)이 파손 또는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지지부(43)는 상기 기판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지지부(43)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제1두께(B1)를 가지며, 상기 수직방향(Z축 방향)을 따라 제1높이(H1)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지지부(43)가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비교예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지지부(43)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제2두께(B2)를 가지며, 상기 수직방향(Z축 방향)을 따라 제2높이(H2)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보(Beam)는 외력이 가해질 때 변형이 일어난다. 보에 외력이 가해지면 외력의 크기에 대응하여 보에는 응력(저항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 때, 보에 발생하는 휨응력의 크기를 계산하는 기준을 단면계수(
Figure pat00001
)로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b는 외력이 작용하는 단면의 두께를 의미하고, h는 외력이 작용하는 단면의 높이를 의미한다. 따라서, 보의 단면계수가 클수록 외력에 저항하는 힘이 강해질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상기 제1지지부(43)가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것에 대한 상기 제1두께(B1)와 상기 제1높이(H1)를 단면계수 공식에 대입한 것과, 상기 제1지지부(43)가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비교예에 대한 제2두께(B2)와 상기 제2높이(H2)를 단면계수 공식이 대입한 것을 비교하면, 단면계수 공식에서 높이방향의 h부분이 세제곱되므로 상기 제1지지부(43)가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비교예에 비하여 상기 제1지지부(43)가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경우 단면계수가 크게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지지부(43)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높이방향의 크기가 커지면 단면계수가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지지부(43)가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비교예에 비하여 상기 제1지지부(43)가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경우, 상기 제1지지부(43)가 외력에 저항하는 힘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4를 참고하면, 상기 홀드다운(4)은 상기 제2지지부(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44)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부(40)와 상기 제2접속부(42)의 사이에서 상기 기판에 실장되어서 상기 가이드부(40)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제2지지부(44)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지지부(43)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44)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지지부(43)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44)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지지부(43)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44)는 수직방향으로 세워져서 상기 가이드부(40)에 결합되고 상기 제1지지부(43)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4를 참고하면, 상기 제2지지부(44)는 제2지지면(4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면(441)은 상기 제1지지면(431)과 대략 일치되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지지부(43)와 상기 제2지지부(44)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대칭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지지부(43)와 상기 제2지지부(44)는 서로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져 배치되는 방향에 차이가 있을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홀드다운(4)을 제조하는 제조작업의 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14를 참고하면, 상기 제1지지부(43)와 상기 제2지지부(44)는 상기 가이드외벽(403)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가이드실장부재(404)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가이드실장부재(404)의 양측에서 상기 가이드부(40)를 추가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가이드부(40)를 지지하는 지지력을 강화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14를 참고하면, 상기 제1지지부(43)와 상기 제2지지부(44)는 상기 가이드부(40)의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부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접속부(41)와 상기 제2접속부(42)는 상기 가이드부(40)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접속부(41)와 상기 제2접속부(42)를 통해 상기 가이드부(40)의 양측에서 상기 가이드부(40)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제1지지부(43)와 상기 제2지지부(44)를 통해 상기 가이드부(40)의 후방(BD 화살표 방향)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접속부(41), 상기 제2접속부(42), 상기 제1지지부(43), 및 상기 제2지지부(44)를 통해 상기 가이드부(40)를 여러 곳에서 지지함으로써, 상기 가이드부(40)를 지지하는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접속부(41)는 상기 가이드상벽(401)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접속부(42)는 상기 가이드상벽(401)의 타측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접속부(41)와 상기 제2접속부(4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접속부(41)와 상기 제2접속부(4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접속부(41)와 상기 제2접속부(42)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가이드부(4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43)와 상기 제2지지부(44)는 상기 가이드외벽(40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43)와 상기 제2지지부(44)는 상기 가이드외벽(403)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지지부(43)와 상기 제2지지부(44)는 상기 가이드내벽(402)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지지부(43)와 상기 제2지지부(44)가 상기 가압력(F 화살표 방향, 도 9에 도시됨)이 작용되는 지점과 가까운 위치에서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지지부(43)와 상기 제2지지부(44)를 통해 상기 가압력(F 화살표 방향, 도 9에 도시됨)이 작용되는 지점과 가까운 위치에서 상기 가이드부(40)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가이드부(40)를 지지하는 지지력이 강화될 수 있다.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지지부(43)와 상기 제2지지부(44)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지지부(43)와 상기 제2지지부(44)는 제1길이(L1)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상벽(401)은 폭 방향의 제2길이(L2)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길이(L1)는 상기 제2길이(L2)보다 더 짧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압력(F1 화살표 방향, 도 9에 도시됨)이 작용되는 범위의 내측에 상기 제1지지부(43)와 상기 제2지지부(44)가 배치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지지부(43)와 상기 제2지지부(44)가 상기 가압력(F1 화살표 방향, 도 9에 도시됨)이 작용되는 범위의 내측에서 상기 가이드부(40)를 지지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가이드부(40)를 지지하는 지지력이 강화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홀드다운(4)을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드다운(4)들은 상기 절연부(2)에 서로 이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홀드다운(4)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이격되어 상기 절연부(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홀드다운(4)들의 사이에는 상기 전송컨택트(3)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홀드다운(4)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절연부(2)의 양측단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홀드다운(4)들은 상기 절연부(2)의 상측을 덮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홀드다운(4)은 상기 절연부(2)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홀드다운(4)들은 상기 절연부(2)를 상기 기판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홀드다운(4)들을 통해 여러 곳에서 상기 절연부(2)를 고정함으로써, 상기 절연부(2)가 상기 기판에 고정되는 고정력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로 구현되는 경우, 다음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8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홀드다운(4)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홀드다운(4)은 가이드부(40), 제1접속부(41), 제2접속부(42), 제1지지부(43), 및 제2지지부(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41), 상기 제2접속부(42), 상기 제1지지부(43), 및 상기 제2지지부(44)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가 플러그 커넥터로 구현되는 경우에 있어서 제1접속부(41), 제2접속부(42), 제1지지부(43), 및 제2지지부(44) 각각과 대략 일치되게 구현(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됨)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1접속부(41)는 제1접속부재(411), 제1실장부재(412), 및 제1고정부재(4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접속부재(411), 상기 제1실장부재(412), 및 상기 제1고정부재(413)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가 플러그 커넥터로 구현되는 경우에 있어서 제1접속부재(411), 제1실장부재(412), 및 제1고정부재(413) 각각과 대략 일치되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 내지 도 18을 참고하면, 상기 제2접속부(42)는 제2접속부재(421), 제2실장부재(422), 및 제2고정부재(4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접속부재(421), 상기 제2실장부재(422), 및 상기 제2고정부재(423)는 상기 제1접속부재(411), 상기 제1실장부재(412), 및 상기 제1고정부재(413) 각각과 대략 일치되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 내지 도 18을 참고하면, 상기 가이드부(40)는 가이드상벽(401), 가이드내벽(402), 가이드외벽(403), 및 가이드실장부재(404)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상벽(401), 상기 가이드내벽(402), 상기 가이드외벽(403), 및 상기 가이드실장부재(404)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가 플러그 커넥터로 구현되는 경우에 있어서 가이드상벽(401), 가이드내벽(402), 가이드외벽(403), 및 가이드실장부재(404) 각각과 대략 일치되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15 내지 도 18을 참고하면, 상기 가이드실장부재(404)는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가이드실장부재(404)는 상기 가이드내벽(402)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실장부재(404)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실장부재(404)는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실장부재(404)는 상기 제1접속부(41) 및 상기 제2접속부(42)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접속부(41)와 상기 제2접속부(42)가 상기 가이드실장부재(404)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실장부재(404)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대커넥터의 홀드다운이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1접속부(41)와 상기 제2접속부(42)가 상기 가이드실장부재(404)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상기 홀드다운(4)이 밀림,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8을 참고하면, 상기 홀드다운(4)은 내측접속부(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접속부(45)는 상기 가이드부(40)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내측접속부(45)는 상기 가이드실장부재(404)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내측접속부(45)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내벽(402)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내측접속부(45)는 상기 가이드부(40)에 대해 전방(FD 화살표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측접속부(45)는 상기 가이드실장부재(404)에 의해 상기 가이드내벽(402)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내측접속부(45)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접속부(41)와 상기 제2접속부(4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4': 홀드다운
40': 가이드부
401': 가이드상벽
402': 가이드내벽
403': 가이드외벽
404': 가이드실장부재
41': 제1접속부
42': 제2접속부
1: 기판 커넥터
2: 절연부
21: 결합홈
22: 안착홈
23: 삽입홈
3: 전송컨택트
31: 컨택트접속부재
32: 컨택트실장부재
33: 컨택트연결부재
4: 홀드다운
40: 가이드부
40a: 삽입홈
40f: 내면
401: 가이드상벽
402: 가이드내벽
403: 가이드외벽
404: 가이드실장부재
41: 제1접속부
411: 제1접속부재
412: 제1실장부재
413: 제1고정부재
42: 제2접속부
421: 제2접속부재
422: 제2실장부재
423: 제2고정부재
43: 제1지지부
431: 제1지지면
44: 제2지지부
441: 제2지지면
45: 내측접속부

Claims (15)

  1. 기판에 설치되는 절연부;
    상기 절연부에 결합되어서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전송컨택트; 및
    상기 전송컨택트보다 더 큰 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판에 실장되어서 상기 절연부를 상기 기판에 고정시키는 홀드다운(Hold Down)을 포함하고,
    상기 홀드다운은,
    상기 절연부에 결합된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된 제1접속부;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접속부와 이격된 제2접속부;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제1접속부의 사이에서 상기 기판에 실장되어서 상기 가이드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 및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제2접속부의 사이에서 상기 기판에 실장되어서 상기 가이드부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기판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세워져서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제1축방향으로의 길이보다 상기 제1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으로의 길이가 더 길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는 수직방향으로 세워져서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지지부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절연부의 상측에 결합된 가이드상벽, 상기 가이드상벽의 일측에 결합된 가이드외벽, 상기 제1축방향에 수직한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외벽과 이격되도록 상기 가이드상벽의 타측에 결합된 가이드내벽, 및 상기 제2축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내벽으로부터 돌출된 가이드실장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내벽은 상기 가이드실장부재를 향해 연장될수록 폭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실장부재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기판에 실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외벽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지지부의 길이는 상기 가이드외벽과 상기 가이드내벽이 서로 이격된 거리보다 더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가 서로이격된 거리는 상기 가이드상벽의 폭 방향의 길이보다 더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가이드외벽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가이드실장부재의 양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부와 상기 제2접속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상기 기판에 실장되며,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기판에 실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가이드상벽과 상기 가이드내벽을 향해 배치된 제1지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면은 상기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후방 쪽으로 이동되는 가이드상벽과 가이드내벽을 지지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상벽의 내면과 상기 가이드내벽의 내면은 상기 가이드부의 내면을 이루고,
    상기 제1지지면은 상기 가이드부의 내면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부는 상대커넥터의 홀드다운에 접속하기 위한 제1접속부재, 상기 제1접속부재에 결합된 제1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제1고정부재는 상기 절연부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드다운은 상기 전송컨택트보다 더 큰 허용전류를 갖도록 상기 전송컨택트보다 더 큰 체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KR1020210183944A 2021-02-04 2021-12-21 기판 커넥터 KR202201126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976 2021-02-04
KR20210015976 2021-02-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2665A true KR20220112665A (ko) 2022-08-11

Family

ID=82803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3944A KR20220112665A (ko) 2021-02-04 2021-12-21 기판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1266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2085282U (zh) 端子总成以及电连接器
KR101899267B1 (ko)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US7549882B2 (en) Connector capable of absorbing an error in mounting position
EP3324492B1 (en) Connector
US7909648B2 (en) Electric connector having ground contacts formed from a grounding shield
CN101908685B (zh) 具有带角度端口的托架和插座组件
US10243288B2 (en) Female-type electrical connector, male-type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tilizing same
US7651372B2 (en) Electric connector with shields on mating housings
KR100997427B1 (ko) 전기커넥터
KR20020021385A (ko) 모듈방식 전기 커넥터 및 커넥터시스템
JP2021009836A (ja) マルチチャネルコネクタ及びその組立体
US20230013147A1 (en) Compact electrical connector
KR20000034964A (ko) 스위치 부착 동축커넥터
JP5315912B2 (ja) 多連装電気コネクタ
TW201322568A (zh) 連接器及包括該連接器的性能板、母板、半導體測試裝置
JP2019075362A (ja) コネクタ
US20230344177A1 (en) Connector set and connector
JP5408433B2 (ja) 電気コネクタ
EP3429031A1 (en) Poke-in connector
KR20220112665A (ko) 기판 커넥터
US7445470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housing
KR20220100505A (ko) 기판 커넥터
TWI689137B (zh) 用於高速信號傳輸的連接器
KR20220130570A (ko) 기판 커넥터
KR20220130595A (ko) 기판 커넥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