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0505A - 기판 커넥터 - Google Patents

기판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0505A
KR20220100505A KR1020210170994A KR20210170994A KR20220100505A KR 20220100505 A KR20220100505 A KR 20220100505A KR 1020210170994 A KR1020210170994 A KR 1020210170994A KR 20210170994 A KR20210170994 A KR 20210170994A KR 20220100505 A KR20220100505 A KR 20220100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axial direction
wall
coupled
resp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0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상준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100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05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에 결합되기 위한 절연부; 상기 절연부에 결합되고, 상기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전송컨택트; 및 상기 전송컨택트보다 더 큰 허용전류를 갖도록 상기 전송컨택트보다 더 큰 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판에 실장되어서 상기 절연부를 상기 기판에 고정시키는 홀드다운(Hold Down)을 포함하고, 상기 홀드다운은 상기 절연부에 결합된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된 제1접속부, 및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제1접속부의 사이에서 상기 기판에 실장되어서 상기 가이드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지지부로부터 후방 쪽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가이드외벽, 및 상기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외벽으로부터 전방 쪽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가이드내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접속부는 상기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외벽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기판에 실장되며,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내벽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기판에 실장된 기판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판 커넥터{Substrate Connector}
본 발명은 기판들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전자기기에 설치되는 기판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Connector)는 전기적 연결을 위해 각종 전자기기에 마련된다. 예컨대, 커넥터는 휴대폰,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등과 같은 전자기기에 설치되어서, 전자기기 내에 설치된 각종 부품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기판 커넥터는, 기판과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는 홀드다운(Hold Down)을 포함한다. 상기 홀드다운은 기판 커넥터 간을 결합시키는 결합작업시 기판 커넥터의 지지력을 확보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홀드다운은 상기 기판 커넥터에서 절연을 담당하는 절연부재에 비해 높은 강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는 상기 홀드다운이 상기 기판 커넥터를 지지하는 기능을 담당하였다. 그런데, 최근 기판 커넥터가 설치된 전자기기는 고성능을 갖추면서도 소형화 구현이 요구되고 있다. 그 일환으로 적용 전자기기에 따라서는 기판 커넥터에 고전류 인가를 요구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기판 커넥터에서 전원(Power), 신호(Signal), 데이터(Data) 등을 전송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전송컨택트보다 큰 체적을 갖는 상기 홀드다운이 고전류 인가를 담당하게 되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는 상기 홀드다운이 기판 커넥터 간의 조립시 각 기판 커넥터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상기 기판 커넥터들에 각각 결합된 상기 홀드다운들은 서로 삽입을 가이드하면서 기판 커넥터들이 서로 용이하게 조립되도록 구현되었다. 그러나, 상기 기판 커넥터들이 오정렬(Misalignment)상태로 서로 조립되는 경우 상기 홀드다운들이 서로 충돌함에 따라 상기 홀드다운이 파손 또는 변형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커넥터 간 조립시 홀드다운(Hold Down)의 변형 내지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기판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판에 결합되기 위한 절연부; 상기 절연부에 결합되고, 상기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전송컨택트; 및 상기 전송컨택트보다 더 큰 허용전류를 갖도록 상기 전송컨택트보다 더 큰 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판에 실장되어서 상기 절연부를 상기 기판에 고정시키는 홀드다운(Hold Dow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드다운은 상기 절연부에 결합된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된 제1접속부, 및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제1접속부의 사이에서 상기 기판에 실장되어서 상기 가이드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지지부로부터 후방 쪽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가이드외벽, 및 상기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외벽으로부터 전방 쪽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가이드내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는 상기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외벽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내벽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판에 결합되기 위한 절연부; 상기 절연부에 결합되고, 상기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전송컨택트; 및 상기 전송컨택트보다 더 큰 허용전류를 갖도록 상기 전송컨택트보다 더 큰 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판에 실장되어서 상기 절연부를 상기 기판에 고정시키는 홀드다운(Hold Dow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드다운은 상기 절연부에 결합된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된 제1접속부, 상기 제1접속부와 이격되어 배치된 제3접속부, 및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제3접속부 사이에 배치된 제1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지지부로부터 후방 쪽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가이드외벽, 및 상기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외벽으로부터 전방 쪽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가이드내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는 상기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외벽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내벽으로부터 돌출되어서 상기 제3접속부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접속부와 제1지지부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기판에 실장되어서 가이드부를 지지하여 홀드다운에 대한 지지력을 강화함으로써, 상대커넥터와 오정렬 상태로 조립시 홀드다운이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홀드다운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홀드다운을 반대쪽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홀드다운을 뒤집어서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홀드다운을 뒤집에서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홀드다운에 가압력이 작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홀드다운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9는 도 8의 I-I선을 기준으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홀드다운을 절단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10는 도 8의 II-II선을 기준으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홀드다운을 절단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다른 형태의 홀드다운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홀드다운을 반대쪽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사시도
도 13는 도 11에 도시된 홀드다운을 뒤집어서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홀드다운을 뒤집어서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또 다른 형태의 홀드다운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16는 도 15에 도시된 홀드다운을 반대쪽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사시도
도 17는 도 15에 도시된 홀드다운을 뒤집어서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홀드다운을 뒤집에서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휴대폰,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등과 같은 전자기기(미도시)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전자기기에서 기판과 상대커넥터가 결합된 기판을 연결하는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상기 기판은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기판에 결합되기 위한 절연부(2), 상기 절연부(2)에 결합되고 상기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전송컨택트(3), 및 상기 전송컨택트(3)보다 더 큰 허용전류를 갖도록 상기 전송컨택트(3)보다 더 큰 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판에 실장되어서 상기 절연부(2)를 상기 기판에 고정시키는 홀드다운(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홀드다운(4)은 상기 절연부(2)에 결합된 가이드부(40), 상기 가이드부(40)에 결합된 제1접속부(41), 및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부(40)와 상기 제1접속부(41)의 사이에서 상기 기판에 실장되어서 상기 가이드부(40)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부(40)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지지부(43)로부터 후방(B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가이드외벽(403), 및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외벽(403)으로부터 전방(FD 화살표 방향) 쪽에 이격되어 배치된 가이드내벽(40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접속부(41)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외벽(403)으로부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기판에 실장된다. 상기 제2지지부(44)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내벽(402)으로부터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지지부(43)가 상기 가이드부(40)와 상기 제1접속부(41)의 사이에 실장됨으로써, 추가적인 실장면적을 확보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는 추가적인 실장면적을 통해 상기 홀드다운(4)을 지지하는 지지력을 강화함으로써, 상대커넥터와 조립시 상기 홀드다운(4)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홀드다운(4)이 파손 또는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절연부(2)는 상기 홀드다운(4)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절연부(2)는 상기 홀드다운(4) 및 상기 전송컨택트(3) 각각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절연부(2)에는 상기 전송컨택트(3)가 복수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송컨택트(3)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2)에는 상기 전송컨택트(3)들이 복수개의 열을 이루면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연부(2)에는 상기 전송컨택트(3)들이 2개의 열을 이루면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절연부(2)는 결합홈(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홈(21)에는 상기 전송컨택트(3)가 결합된다. 상기 결합홈(21)은 상기 전송컨택트(3)의 측벽으로부터 소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송컨택트(3)는 상기 결합홈(21)에 삽입되어서 상기 절연부(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2) 및 상기 전송컨택트(3)는 인서트 몰딩을 통해 결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가 상기 전송컨택트(3)를 복수개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절연부(2)는 상기 결합홈(21)을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홈(21)들은 복수개의 열을 이루면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2)는 상기 전송컨택트(3)들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결합홈(2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절연부(2)는 안착홈(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홈(22)에는 상대커넥터의 절연부가 삽입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와 상기 상대커넥터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22)은 복수개의 열을 이루면서 배치된 상기 결합홈(21)들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홀드다운(4)은 상대커네터와 결합작업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의 지지력을 확보하는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절연부(2)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높은 강성을 갖는 상기 홀드다운(4)을 통해 상기 결합작업의 용이성을 증대시킴과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와 상기 상대커넥터 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홀드다운(4)은 상기 절연부(2)에 결합되어서 상기 절연부(2)에 지지된다. 상기 홀드다운(4)은 상기 절연부(2)에 형성된 삽입홈(23)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절연부(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23)은 상기 결합홈(21)과 상기 안착홈(22) 각각에 대해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2)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드다운(4) 및 상기 절연부(2)는 인서트 몰딩을 통해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홀드다운(4)은 전도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홀드다운(4)은 상대커넥터의 홀드다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홀드다운(4)은 상대커넥터의 홀드다운과 결합됨에 따라 상대커넥터의 홀드다운에 접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의 상기 홀드다운(4)이 상대커넥터의 홀드다운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홀드다운(4)은 상기 가이드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40)는 상기 절연부(2)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부(40)는 상기 삽입홈(24, 도 2에 도시됨)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40)는 상기 절연부(2)의 상측을 덮도록 상기 절연부(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40)는 상기 절연부(2)의 상측을 지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40)는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가이드부(40)를 통해 상기 절연부(2)가 상기 기판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가이드부(40)는 가이드상벽(401), 가이드내벽(402), 및 가이드외벽(40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상벽(401)은 상기 절연부(2)의 상측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가이드상벽(401)은 상기 절연부(2)의 삽입홈(23)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상벽(401)은 상기 절연부(2)의 상측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절연부(2)가 상기 기판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내벽(402)은 상기 가이드상벽(401)의 일측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가이드내벽(402)은 상기 가이드상벽(401)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내벽(402)은 상기 가이드상벽(401)의 아래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내벽(402)은 상기 절연부(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외벽(403)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수직한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내벽(402)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가이드상벽(401)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가이드외벽(403)은 상기 가이드상벽(401)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외벽(403)은 상기 가이드상벽(401)의 아래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외벽(403)은 상기 절연부(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가이드외벽(403)은 상기 가이드내벽(402)과 평행하게 상기 가이드상벽(401)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내벽(402)과 상기 가이드외벽(403)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외벽(403)과 상기 가이드내벽(402)의 사이에는 상기 절연부(2)가 삽입되기 위한 홈[이하, '제1삽입홉(40a)'이라 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삽입홈(40a)에는 상기 절연부(2)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상벽(401), 상기 가이드내벽(402), 및 상기 가이드외벽(403)은 상기 절연부(2)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삽입홈(40a)에 상기 절연부(2)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절연부(2)는 상기 가이드상벽(401), 상기 가이드내벽(402), 및 상기 가이드외벽(403)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삽입홈(40a)을 통해 상기 절연부(2)와 상기 홀드다운(4)이 서로 고정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상벽(401), 상기 가이드내벽(402), 및 상기 가이드외벽(403)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상벽(401), 상기 가이드내벽(402), 및 상기 가이드외벽(403)은 판재에 대한 굽힘 가공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가이드내벽(402)은 가이드실장부재(40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실장부재(404)는 상기 가이드내벽(402)으로부터 돌출된 것이다. 상기 가이드실장부재(404)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내벽(402)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실장부재(404)는 상기 가이드내벽(402)의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내벽(402)의 후방(BD 화살표 방향)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내벽(402)에서 상기 가이드외벽(403)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가이드실장부재(404)는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홀드다운(4)은 상기 가이드실장부재(404)를 통해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실장부재(404)는 상기 가이드내벽(402)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가이드실장부재(404)를 통해 가이드내벽(402)을 지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가이드실장부재(404)를 통해 상기 가이드부(40)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가이드실장부재(404)를 통해 상대커넥터와 오정렬 상태로 조립시 상기 가이드부(40)의 상측에 가해지는 힘을 지지하는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홀드다운(4)은 상기 제1접속부(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41)는 상기 가이드부(40)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제1접속부(41)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부(4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접속부(41)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외벽(403)으로부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41)는 상기 상대커넥터의 홀드다운에 접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접속부(41)를 통해 접지(Ground)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41)는 상기 절연부(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41)의 내측에 절연부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41)는 상기 상대커넥터의 삽입을 가이드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제1접속부(41)는 제1접속부재(4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재(411)는 상대커넥터의 홀드다운에 접속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접속부재(411)는 상기 가이드상벽(401)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재(411)는 상기 절연부(2)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접속부재(411)는 상기 절연부(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제1접속부(41)는 제1실장부재(4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실장부재(412)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접속부(41)는 상기 제1실장부재(412)를 통해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41)는 상기 제1실장부재(412)는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실장부재(412)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제1접속부(41)는 제1고정부재(4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재(413)는 상기 제1접속부재(411)에 결합될 것이다. 상기 제1고정부재(413)는 상기 절연부(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부(41)는 상기 제1고정부재(413)를 통해 상기 절연부(2)에 고정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접속부(41)가 상기 절연부(2)에 고정되어 상기 홀드다운(4)에 대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대커넥터와 조립시 상기 제1접속부(41)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제1접속부(41)가 파손 또는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재(413)는 상기 가이드부(40)의 전방(FD 화살표 방향)에서 상기 절연부(2)에 고정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40)의 전방(FD 화살표 방향)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외벽(403)에서 상기 가이드내벽(402)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고정부재(413)는 상기 제1접속부(41)와 상기 가이드부(40)가 상기 가이드부(40)의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40)의 후방(BD 화살표 방향)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내벽(402)에서 상기 가이드외벽(403)을 향하는 방향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와 상대커넥터가 오정렬상태로 조립시 상기 가이드부(40)에 가해지는 힘을 상기 가이드부(40)의 전방(FD 화살표 방향)에서 지지하는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대커넥터와 오정렬 상태로 조립시 상기 가이드부(40)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40)가 파손 또는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홀드다운(4)은 상기 제2접속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부(4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접속부(41)와 이격된 것이다. 상기 제2접속부(4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접속부(41)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접속부(4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접속부(41)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부(4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접속부(41)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제2접속부(42)는 제2접속부재(421), 제2실장부재(422), 및 제2고정부재(4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부재(421), 상기 제2실장부재(422), 및 상기 제2고정부재(423) 각각은 상기 제1접속부재(411), 상기 제1실장부재(412), 및 상기 제1고정부재(413) 각각과 대략 일치되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접속부(41)와 상기 제2접속부(4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대칭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접속부(41)와 상기 제2접속부(42)는 서로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져 배치되는 방향에 차이가 있을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홀드다운(4)의 제조하는 제조작업의 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홀드다운(4)은 상기 제1지지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43)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부(40)와 상기 제1접속부(41)의 사이에서 상기 기판에 실장되어서 상기 가이드부(40)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제1지지부(43)는 상기 가이드부(40)에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제1지지부(43)는 상기 가이드내벽(40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43)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내벽(402)로부터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지지부(43)가 상기 제1접속부(41)가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지지부(43)와 상기 제1접속부(41)가 서로 교차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상기 가이드부(40)를 지지하는 지지력이 강화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접속부(41)와 상기 제1지지부(43)를 통해 상기 가이드부(40)를 지지하는 지지력을 강화함으로써, 상대커넥터와 오정렬 상태로 조립시 상기 가이드부(40)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40)가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43)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실장부재(404)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지지부(43)가 상기 가이드실장부재(404)의 외측에서 상기 기판에 실장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지지부(43)를 통해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실장면적이 증가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가이드부(40)를 지지하는 추가적인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를 참고하면, 상기 제1지지부(43)는 수직방향으로 세워져서 상기 가이드부(4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지지부(43)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의 길이보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의 길이가 더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지지부(43)가 상기 가압력(F 화살표 방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두꺼운 두께를 가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압력(F 화살표 방향)이 작용하는 방향의 연장선상으로 상기 제1지지부(43)가 두꺼운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대커넥터와 조립시 상기 가압력(F 화살표 방향)을 지지하는 지지력을 강화함으로써, 상기 홀드다운(4)이 파손 또는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가이드부(40)의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의 폭(D1)은 상기 제1지지부(43)의 최외곽면과 상기 제2지지부(44)의 최외곽면 사이의 폭(D2)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43)의 최외곽면과 상기 제2지지부(44)의 최외곽면 사이의 폭(D2)을 가이드부(40)의 폭(D1)보다 크게 확보하여, 외부 압력에 대한 지지력을 더 많이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과도한 외부 압력에 상기 가이드부(40)가 파손되더라도 상기 제1지지부(43) 및 상기 제2지지부(44)는 파손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홀드다운 전체에 대한 최소한의 지지구조는 확보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에 있어서 상기 홀드다운(4)은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접속부(41)가 앞서 설명한 형태와 다른 형태를 가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4를 참고하면, 상기 제1접속부(41)는 상대커넥터의 홀드다운에 접속하기 위한 제1접속부재(411), 상기 제1접속부재(411)에 결합된 제1실장부재(412), 및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실장부재(412)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제1접속부재(411)에 결합된 제1고정부재(4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고정부재(413)는 상기 절연부(2)에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접속부재(411)에 대해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고정부재(413)가 상기 절연부(2)에 고정되는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실장면적을 확보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고정부재(413)를 통해 추가적인 실장면적을 확보하여 상기 홀드다운(4)을 지지하는 지지력을 강화함으로써, 상대커넥터와 오정렬 상태로 조립시 상기 홀드다운(4)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홀드다운(4)이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4를 참고하면, 상기 제1접속부재(411)는 역U자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실장부재(412)는 상기 제1접속부재(411)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재(413)는 상기 제1접속부재(411)의 타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실장부재(41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고정부재(413)와 이격됨과 아울러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고정부재(413)와 이격될 수 있다. (제1실장부재(412)가 X,Y축을 기준으로 이격되는 대상이 제1고정부재(413)으로 같으니 확인 부탁드립니다.^^)상기 제1실장부재(41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고정부재(413)보다 외측 쪽에서 상기 제1접속부재(411)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측 쪽이란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부(4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재(413)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접속부재(411)의 내측 쪽에서 결합된 후 상기 제1접속부재(411)의 외측 쪽으로 돌출됨으로써, 넓은 면적으로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고정부재(413)를 통해 추가적인 실장면적을 확보할 수 있고, 추가적인 실장면적을 통해 상기 홀드다운(4)에 대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를 참고하면, 상기 홀드다운(4)은 상기 제2지지부(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44)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부(40)와 상기 제2접속부(42)의 사이에서 상기 기판에 실장되어서 상기 가이드부(40)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제2지지부(44)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지지부(43)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44)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지지부(43)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44)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지지부(43)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44)는 수직방향으로 세워져서 상기 가이드부(40)에 결합되고 상기 제1지지부(43)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지지부(44)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내벽(402)으로부터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제1지지부(43)와 상기 제2지지부(44)는 상기 가이드내벽(402)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가이드실장부재(404)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지지부(43)와 상기 제2지지부(44)를 통해 상기 가이드부(40)의 양측에서 상기 가이드부(40)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가이드부(40)를 지지하는 지지력을 강화함으로써, 상대커넥터와 오정렬 상태로 조립시 상기 가이드부(40)에 가해지는 힘이 의해 상기 가이드부(40)가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43)와 상기 제2지지부(44)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대칭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지지부(43)와 상기 제2지지부(44)는 서로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져 배치되는 방향에 차이가 있을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홀드다운(4)을 제조하는 제조작업의 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제1지지부(43)와 상기 제2지지부(44)는 상기 가이드부(40)의 후방(BD 화살표 방향)으로부터 전방(FD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접속부(41)와 상기 제2접속부(42)는 상기 가이드부(40)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접속부(41)와 상기 제2접속부(42)를 통해 상기 가이드부(40)의 양측에서 상기 가이드부(40)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제1지지부(43)와 상기 제2지지부(44)를 통해 상기 가이드부(40)의 후방(BD 화살표 방향)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접속부(41), 상기 제2접속부(42), 상기 제1지지부(43), 및 상기 제2지지부(44)를 통해 상기 가이드부(40)를 여러 곳에서 지지함으로써, 상기 가이드부(40)를 지지하는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접속부(41)는 상기 가이드상벽(401)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접속부(42)는 상기 가이드상벽(401)의 타측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접속부(41)와 상기 제2접속부(4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접속부(41)와 상기 제2접속부(4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접속부(41)와 상기 제2접속부(42)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가이드부(4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43)와 상기 제2지지부(44)는 상기 가이드내벽(40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43)와 상기 제2지지부(44)는 상기 가이드내벽(402)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지지부(43)와 상기 제2지지부(44)는 상기 가이드외벽(403)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지지부(43)와 상기 제2지지부(44)가 상기 가압력(F 화살표 방향, 도 7에 도시됨)이 작용되는 지점과 가까운 위치에서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지지부(43)와 상기 제2지지부(44)를 통해 상기 가압력(F 화살표 방향, 도 7에 도시됨)이 작용되는 지점과 가까운 위치에서 상기 가이드부(40)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가이드부(40)를 지지하는 지지력이 강화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제1지지부(43)와 상기 제2지지부(44)는 상기 가이드내벽(402)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지지부(43)와 상기 제2지지부(44)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지지부(43)와 상기 제2지지부(44)의 사이에는 상기 가이드부(40)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지지부(43)와 상기 제2지지부(44)를 통해 상기 가이드부(40)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지지부(43)와 상기 제2지지부(44)를 통해 상기 홀드다운(4)을 지지하는 지지력을 강화함으로써, 상대커넥터와 오정렬 상태로 조립시 상기 홀드다운(4)에 작용되는 힘에 의해 상기 홀드다운(4)이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5 내지 도 18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에 있어서, 상기 홀드다운(4)은 제3접속부(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접속부(45)는 상기 제1접속부(41)와 이격되어 배치된 것이다. 상기 제3접속부(45)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접속부(41)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지지부(43)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접속부(41)와 상기 제3접속부(45)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43)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내벽(402)으로부터 돌출되어서 상기 제3접속부(45)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지지부(43)가 상기 제3접속부(45)와 상기 가이드내벽(402)을 결합함으로써, 상기 제3접속부(45)와 상기 가이드내벽(402)이 서로를 지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제1지지부(43)를 통해 지지력을 확보함으로써, 상대커넥터와 오정렬 상태로 조립시 상기 홀드다운(4)에 작용되는 힘에 의해 상기 홀드다운(4)이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접속부(41)는 상대커넥터의 홀드다운에 접속하기 위한 제1접속부재(411), 상기 제1접속부재(411)에 결합된 제1실장부재(412), 및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실장부재(412)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제1접속부재(411)에 결합된 제1고정부재(4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고정부재(413)는 상기 절연부(2)에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접속부재(411)에 대해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고정부재(413)가 상기 절연부(2)에 고정되는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실장면적을 확보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고정부재(413)를 통해 추가적인 실장면적을 확보하여 상기 홀드다운(4)을 지지하는 지지력을 강화함으로써, 상대커넥터와 오정렬 상태로 조립시 상기 홀드다운(4)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홀드다운(4)이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8을 참고하면, 상기 제1접속부재(411)는 역U자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실장부재(412)는 상기 제1접속부재(411)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재(413)는 상기 제1접속부재(411)의 타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실장부재(41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고정부재(413)와 이격됨과 아울러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고정부재(413)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실장부재(41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고정부재(413)보다 외측 쪽에서 상기 제1접속부재(411)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측 쪽이란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부(4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재(413)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접속부재(411)의 내측 쪽에서 결합된 후 상기 제1접속부재(411)의 외측 쪽으로 돌출됨으로써, 넓은 면적으로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고정부재(413)를 통해 추가적인 실장면적을 확보할 수 있고, 추가적인 실장면적을 통해 상기 홀드다운(4)에 대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8을 참고하면, 상기 제3접속부(45)는 제3접속부재(451), 및 제3고정부재(4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접속부재(451), 및 상기 제3고정부재(452) 각각은 상기 제1접속부재(411), 및 상기 제1고정부재(413) 각각과 대략 일치되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 내지 도 18을 참고하면, 상기 제1고정부재(413)와 상기 제3고정부재(452)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고정부재(413)와 상기 제3고정부재(452)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고정부재(413)와 상기 제3고정부재(452) 각각이 상기 기판에 실장됨으로써, 추가적인 실장면적을 확보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고정부재(413)와 상기 제3고정부재(452)를 통해 상기 홀드다운(4)을 고정하는 고정력을 강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대커넥터와 오정렬 상태로 조립시 상기 홀드다운(4)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홀드다운(4)이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8을 참고하면, 상기 홀드다운(4)은 제4접속부(46)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4접속부(46)는 제4접속부재(461), 및 제4고정부재(4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접속부재(461), 및 상기 제4고정부재(462) 각각은 상기 제3접속부재(451), 및 상기 제3고정부재(452) 각각과 대략 일치되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3접속부(45)와 상기 제4접속부(46)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대칭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3접속부(45)와 상기 제4접속부(46)는 서로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져 배치되는 방향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ㄴ 상기 홀드다운(4)을 제조하는 제조작업의 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8을 참고하면, 상기 홀드다운(4)은 제2지지부(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44)는 상기 제1지지부(43)와 대략 일치되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지지부(44)는 상기 제2접속부(42)와 상기 가이드내벽(402) 각각에 결합되어서 상기 제2접속부(42)와 상기 가이드내벽(402)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44)는 상기 가이드내벽(402)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지지부(44)는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내벽(402)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44)는 상기 제1지지부(43)가 상기 가이드내벽(402)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내벽(402)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홀드다운(4)을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드다운(4)들은 상기 절연부(2)에 서로 이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홀드다운(4)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이격되어 상기 절연부(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홀드다운(4)들의 사이에는 상기 전송컨택트(3)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홀드다운(4)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절연부(2)의 양측단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홀드다운(4)들은 상기 절연부(2)의 상측을 덮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홀드다운(4)은 상기 절연부(2)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홀드다운(4)들은 상기 절연부(2)를 상기 기판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홀드다운(4)들을 통해 여러 곳에서 상기 절연부(2)를 고정함으로써, 상기 절연부(2)가 상기 기판에 고정되는 고정력이 증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기판 커넥터
2: 절연부
21: 결합홈
22: 안착홈
23: 삽입홈
3: 전송컨택트
4: 홀드다운
40: 가이드부
40a: 삽입홈
401: 가이드상벽
402: 가이드내벽
403: 가이드외벽
404: 가이드실장부재
41: 제1접속부
411: 제1접속부재
412: 제1실장부재
413: 제1고정부재
42: 제2접속부
421: 제2접속부재
422: 제2실장부재
423: 제2고정부재
43: 제1지지부
44: 제2지지부
45: 제3접속부
451: 제3접속부재
452: 제3고정부재
46: 제4접속부
461: 제4접속부재
462: 제4고정부재

Claims (15)

  1. 기판에 결합되기 위한 절연부;
    상기 절연부에 결합되고, 상기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전송컨택트; 및
    상기 전송컨택트보다 더 큰 허용전류를 갖도록 상기 전송컨택트보다 더 큰 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판에 실장되어서 상기 절연부를 상기 기판에 고정시키는 홀드다운을 포함하고,
    상기 홀드다운은 상기 절연부에 결합된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된 제1접속부, 및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제1접속부의 사이에서 상기 기판에 실장되어서 상기 가이드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지지부로부터 후방 쪽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가이드외벽, 및 상기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외벽으로부터 전방 쪽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가이드내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접속부는 상기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외벽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기판에 실장되며,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내벽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기판에 실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제1축방향으로의 길이보다 상기 제1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으로의 길이가 더 길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드다운은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지지부와 이격되도록 상기 가이드내벽에 결합된 제2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내벽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내벽에 결합된 가이드실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가이드내벽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가이드실장부재의 양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가이드내벽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절연부에 결합된 가이드상벽, 및 상기 가이드상벽과 마주보도록 배치된 가이드실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상벽은 상기 가이드내벽과 상기 가이드외벽 각각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실장부재는 상기 제2축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내벽으로부터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제2축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내벽으로부터 돌출된 가이드실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실장부재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기판에 실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드다운은 상기 가이드부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져서 결합된 제2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제2지지부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부는 상대커넥터의 홀드다운에 접속하기 위한 제1접속부재, 및 상기 제1접속부재에 결합된 제1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부재는 상기 절연부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부는 상대커넥터의 홀드다운에 접속하기 위한 제1접속부재, 상기 제1접속부재에 결합된 제1실장부재, 및 상기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실장부재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제1접속부재에 결합된 제1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부재는 상기 절연부에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접속부재에 대해 외측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드다운은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지지부와 이격되도록 상기 가이드내벽에 결합된 제2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의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의 폭은 상기 제1지지부의 최외곽면과 상기 제2지지부의 최외곽면 사이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12. 기판에 결합되기 위한 절연부;
    상기 절연부에 결합되고, 상기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전송컨택트; 및
    상기 전송컨택트보다 더 큰 허용전류를 갖도록 상기 전송컨택트보다 더 큰 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판에 실장되어서 상기 절연부를 상기 기판에 고정시키는 홀드다운(Hold Down)을 포함하고,
    상기 홀드다운은 상기 절연부에 결합된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된 제1접속부, 상기 제1접속부와 이격되어 배치된 제3접속부, 및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제3접속부 사이에 배치된 제1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지지부로부터 후방 쪽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가이드외벽, 및 상기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외벽으로부터 전방 쪽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가이드내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접속부는 상기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외벽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기판에 실장되며,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내벽으로부터 돌출되어서 상기 제3접속부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홀드다운은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3접속부와 이격되도록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된 제4접속부, 및 상기 제4접속부와 상기 가이드부 각각에 결합된 제2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접속부와 상기 제4접속부는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부의 양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절연부에 결합된 가이드상벽, 및 상기 가이드상벽과 마주보도록 배치된 가이드실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상벽은 상기 가이드내벽과 상기 가이드외벽 각각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실장부재는 상기 제2축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내벽으로부터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부는 상대커넥터의 홀드다운에 접속하기 위한 제1접속부재, 상기 제1접속부재에 결합된 제1실장부재, 및 상기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실장부재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제1접속부재에 결합된 제1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부재는 상기 절연부에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접속부재에 대해 외측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KR1020210170994A 2021-01-08 2021-12-02 기판 커넥터 KR202201005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02325 2021-01-08
KR1020210002325 2021-01-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0505A true KR20220100505A (ko) 2022-07-15

Family

ID=82401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0994A KR20220100505A (ko) 2021-01-08 2021-12-02 기판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0050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9267B1 (ko)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TWM618159U (zh) 端子模組以及背板連接器
US7179127B2 (en) Connector minimized in cross-talk and electrical interference
US6431914B1 (en) Grounding scheme for a high speed backplane connector system
US7549882B2 (en) Connector capable of absorbing an error in mounting position
CN212085282U (zh) 端子总成以及电连接器
CN100576657C (zh) 电转接器及其组件
US7651372B2 (en) Electric connector with shields on mating housings
US10243288B2 (en) Female-type electrical connector, male-type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tilizing same
US7497701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housing
US8403701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grounding members
US7736176B2 (en) Modular jack assembly having improved connecting terminal
US9318829B2 (en) Power connector and power contact thereof with improved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engaging arm
JP5315912B2 (ja) 多連装電気コネクタ
KR20210054449A (ko) 기판 커넥터
US20050026502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printed circuit board mounted therein
JP5408433B2 (ja) 電気コネクタ
KR100567587B1 (ko) 접지 연결용 홀드다운을 갖춘 전기 커넥터
KR20220100505A (ko) 기판 커넥터
US7445470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housing
KR20220112665A (ko) 기판 커넥터
KR20220130570A (ko) 기판 커넥터
KR20220130595A (ko) 기판 커넥터
CN110718797A (zh) 电连接器
KR102148179B1 (ko) 커넥터 어셈블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