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0570A - 기판 커넥터 - Google Patents

기판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0570A
KR20220130570A KR1020220003863A KR20220003863A KR20220130570A KR 20220130570 A KR20220130570 A KR 20220130570A KR 1020220003863 A KR1020220003863 A KR 1020220003863A KR 20220003863 A KR20220003863 A KR 20220003863A KR 20220130570 A KR20220130570 A KR 202201305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coupled
wall
insulating
axi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3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령구
오상준
이석
전형빈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130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05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에 결합되기 위한 절연부; 상기 절연부에 결합되고, 상기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전송컨택트; 및 상기 전송컨택트보다 더 큰 허용전류를 갖도록 상기 전송컨택트보다 더 큰 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판에 실장되어서 상기 절연부를 상기 기판에 고정시키는 홀드다운(Hold Down)을 포함하고, 상기 홀드다운은, 상기 절연부에 결합된 가이드부;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부에 대해 전방에 배치된 제1접속부; 상기 제1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을 따라 제1접속부로부터 이격된 제2접속부;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접속부에 대해 후방에 배치되어서 상기 제1접속부와 상기 가이드부 각각에 결합된 제1지지부; 및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접속부에 대해 후방에 배치되어서 상기 제2접속부와 상기 가이드부 각각에 결합된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기판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판 커넥터{Substrate Connector}
본 발명은 기판들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전자기기에 설치되는 기판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Connector)는 전기적 연결을 위해 각종 전자기기에 마련된다. 예컨대, 커넥터는 휴대폰,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등과 같은 전자기기에 설치되어서, 전자기기 내에 설치된 각종 부품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기판 커넥터는, 기판과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는 홀드다운(Hold Down)을 포함한다. 상기 홀드다운은 기판 커넥터 간을 결합시키는 결합작업시 기판 커넥터의 지지력을 확보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홀드다운은 상기 기판 커넥터에서 절연을 담당하는 절연부재에 비해 높은 강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는 상기 홀드다운이 상기 기판 커넥터를 지지하는 기능을 담당하였다. 그런데, 최근 기판 커넥터가 설치된 전자기기는 고성능을 갖추면서도 소형화 구현이 요구되고 있다. 그 일환으로 적용 전자기기에 따라서는 기판 커넥터에 고전류 인가를 요구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기판 커넥터에서 전원(Power), 신호(Signal), 데이터(Data) 등을 전송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전송컨택트보다 큰 체적을 갖는 상기 홀드다운이 고전류 인가를 담당하게 되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는 상기 홀드다운이 기판 커넥터 간의 조립시 각 기판 커넥터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상기 기판 커넥터들에 각각 결합된 상기 홀드다운들은 서로 삽입을 가이드하면서 기판 커넥터들이 서로 용이하게 조립되도록 구현되었다.
도 9는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홀드다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홀드다운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홀드다운(4')은 가이드부(40'), 제1접속부(41'), 및 제2접속부(4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40')는 가이드상벽(401'), 가이드내벽(402'), 및 가이드외벽(403')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40')는 상대커넥터의 홀드다운의 삽입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가이드부(40')는 상기 가이드부(40')의 양측에 배치된 상기 제1접속부(41'), 및 상기 제2접속부(42')와 함께 상대커넥터의 홀드다운의 삽입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홀드다운(4')에 상대커넥터의 홀드다운이 삽입되면 상기 가이드부(40')에 가압력(F' 화살표 방향)이 작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상벽(401')은 상기 제1접속부(41')와 상기 제2접속부(4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홀드다운(4')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홀드다운(4')은 상대커넥터의 홀드다운이 삽입되는 경우, 상기 가압력(F' 화살표 방향)이 작용하는 후방에 배치된 상기 가이드외벽(403')이 다른 부재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홀드다운(4')은 상기 가압력(F' 화살표 방향)을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지지력이 확보되지 않음으로써, 상대커넥터의 홀드다운과 오정렬(Misalignment)상태로 서로 조립되는 경우 상기 가압력(F' 화살표 방향)에 의해 상기 홀드다운(4')이 밀림, 파손 또는 변형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커넥터 간 조립시 홀드다운(Hold Down)의 변형 내지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기판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에 결합되기 위한 절연부; 상기 절연부에 결합되고, 상기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전송컨택트; 및 상기 전송컨택트보다 더 큰 허용전류를 갖도록 상기 전송컨택트보다 더 큰 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판에 실장되어서 상기 절연부를 상기 기판에 고정시키는 홀드다운(Hold Dow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드다운은, 상기 절연부에 결합된 가이드부;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부에 대해 전방에 배치된 제1접속부; 상기 제1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을 따라 제1접속부로부터 이격된 제2접속부;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접속부에 대해 후방에 배치되어서 상기 제1접속부와 상기 가이드부 각각에 결합된 제1지지부; 및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접속부에 대해 후방에 배치되어서 상기 제2접속부와 상기 가이드부 각각에 결합된 제2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가 제1접속부와 제2접속부 각각에 결합되어서 가이드부에 대해 전방에서 가이드부를 지지함으로써, 상대커넥터와 오정렬 상태로 조립시 홀드다운이 파손 또는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를 통해 가이드부를 여러 곳에서 지지하여 지지력을 확보함으로써, 상기 홀드다운의 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홀드다운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홀드다운을 반대쪽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도 3의 I-I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6은 도 3의 II-II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홀드다운에 제1가압력과 제2가압력이 작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홀드다운에 제1가압력과 제2가압력이 작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
도 9는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홀드다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홀드다운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휴대폰,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등과 같은 전자기기(미도시)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전자기기에서 기판과 상대커넥터가 결합된 기판을 연결하는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상기 기판은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기판에 결합되기 위한 절연부(2), 상기 절연부(2) 결합되고 상기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전송컨택트(3), 및 상기 전송컨택트(3)보다 더 큰 허용전류를 갖도록 상기 전송컨택트(3)보다 더 큰 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판에 실장되어서 상기 절연부(2)를 상기 기판에 고정시키는 홀드다운(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8를 참고하면, 상기 홀드다운(4)은 상기 절연부(2)에 결합된 가이드부(40),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부(40)에 대해 전방에 배치된 제1접속부(41),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접속부(41)로부터 이격된 제2접속부(42),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접속부(41)에 대해 후방에 배치되어서 상기 제1접속부(41)와 상기 가이드부(40) 각각에 결합된 제1지지부(43), 및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접속부(42)에 대해 후방에 배치되어서 상기 제2접속부(42)와 상기 가이드부(40) 각각에 결합된 제2지지부(44)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접속부(41)와 상기 제2접속부(42)가 상기 제1지지부(43)와 상기 제2지지부(44) 각각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40)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부(40)에 대해 전방에서 상기 가이드부(40)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상대커넥터와 조립시 상기 가이드부(40)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40)가 파손 또는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가이드부(40)가 상기 제1지지부(43)와 상기 제2지지부(44)를 통해 상기 제1접속부(41)와 상기 제2접속부(42) 각각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부(40)의 양측에서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가이드부(40)가 여러 곳에서 지지되어 지지력을 확보함으로써 상기 홀드다운(4)의 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절연부(2), 상기 전송컨택트(3), 및 상기 홀드다운(4)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절연부(2)는 상기 홀드다운(4)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절연부(2)는 상기 홀드다운(4) 및 상기 전송컨택트(3) 각각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절연부(2)에는 상기 전송컨택트(3)가 복수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송컨택트(3)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2)에는 상기 전송컨택트(3)들이 복수개의 열을 이루면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연부(2)에는 상기 전송컨택트(3)들이 2개의 열을 이루면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절연부(2)는 결합홈(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홈(21)에는 상기 전송컨택트(3)가 결합된다. 상기 결합홈(21)은 상기 전송컨택트(3)의 측벽으로부터 소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송컨택트(3)는 상기 결합홈(21)에 삽입되어서 상기 절연부(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2) 및 상기 전송컨택트(3)는 인서트 몰딩을 통해 결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가 상기 전송컨택트(3)를 복수개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절연부(2)는 상기 결합홈(21)을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홈(21)들은 복수개의 열을 이루면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2)는 상기 전송컨택트(3)들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결합홈(2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절연부(2)는 안착홈(22), 및 안착돌기(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홈(22)에는 상기 상대커넥터가 갖는 절연부 및 전송컨택트가 삽입된다. 상기 절연부(2)는 상기 상대커넥터의 전송컨택트가 결합된 절연부가 상기 안착홈(22)에 삽입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22)은 내측에 상기 안착돌기(23)가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22)은 홀드다운삽입홈(4a, 도 4에 도시됨)에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안착돌기(23)는 상기 안착홈(22)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안착돌기(23)는 복수개의 열을 이루면서 배치된 결합홈(21)들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돌기(23)는 상기 상대커넥터의 절연부에 삽입되어서 상기 상대커넥터의 절연부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안착돌기(23)는 상기 결합홈(21)에 결합된 전송컨택트(3)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안착돌기(23)는 상기 상대커넥터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의 전송컨택트(3)와 상기 상대커넥터의 전송컨택트가 서로 접속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홀드다운(4)은 상대커네터와 결합작업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의 지지력을 확보하는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절연부(2)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높은 강성을 갖는 상기 홀드다운(4)을 통해 상기 결합작업의 용이성을 증대시킴과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와 상기 상대커넥터 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홀드다운(4)은 상기 절연부(2)에 결합되어서 상기 절연부(2)에 지지된다. 상기 홀드다운(4)은 상기 절연부(2)에 형성된 삽입홈(24)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절연부(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24)은 상기 결합홈(21)과 상기 안착홈(22) 각각에 대해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절연부(2)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드다운(4) 및 상기 절연부(2)는 인서트 몰딩을 통해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홀드다운(4)은 전도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홀드다운(4)은 상기 상대커넥터의 홀드다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홀드다운(4)은 상기 상대커넥터의 홀드다운과 결합됨에 따라 상기 상대커넥터의 홀드다운에 접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의 상기 홀드다운(4)이 상기 상대커넥터의 홀드다운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8를 참고하면, 상기 홀드다운(4)은 상기 가이드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40)는 상기 절연부(2)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부(40)는 상기 삽입홈(24, 도 2에 도시됨)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40)는 상기 절연부(2)의 상측을 덮도록 상기 절연부(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40)는 상기 절연부(2)의 상측을 지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40)는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가이드부(40)를 통해 상기 절연부(2)가 상기 기판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8를 참고하면, 상기 가이드부(40)는 가이드상벽(401), 가이드내벽(402), 및 가이드외벽(40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상벽(401)은 상기 절연부(2)의 상측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가이드상벽(401)은 상기 절연부(2)의 삽입홈(24)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상벽(401)은 상기 절연부(2)의 상측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절연부(2)가 상기 기판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내벽(402)은 상기 가이드상벽(401)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가이드내벽(402)은 상기 가이드상벽(401)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내벽(402)은 상기 가이드상벽(401)의 아래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내벽(402)은 상기 절연부(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외벽(403)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내벽(402)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가이드상벽(401)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가이드외벽(403)은 상기 가이드상벽(401)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외벽(403)은 상기 가이드상벽(401)의 아래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외벽(403)은 상기 절연부(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가이드외벽(403)은 상기 가이드내벽(402)과 평행하게 상기 가이드상벽(401)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내벽(402)과 상기 가이드외벽(403)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외벽(403)과 상기 가이드내벽(402)의 사이에는 상기 절연부(2)가 삽입되기 위한 홈[이하, '삽입홉(40a)'이라 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40a)에는 상기 절연부(2)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상벽(401), 상기 가이드내벽(402), 및 상기 가이드외벽(403)은 상기 절연부(2)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40a)에 상기 절연부(2)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절연부(2)는 상기 가이드상벽(401), 상기 가이드내벽(402), 및 상기 가이드외벽(403)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삽입홈(40a)을 통해 상기 절연부(2)와 상기 홀드다운(4)이 서로 고정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상벽(401), 상기 가이드내벽(402), 및 상기 가이드외벽(403)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상벽(401), 상기 가이드내벽(402), 및 상기 가이드외벽(403)은 판재에 대한 굽힘 가공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8를 참고하면, 상기 가이드내벽(402)은 내벽실장부재(402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벽실장부재(402a)는 상기 가이드내벽(402)으로부터 돌출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내벽실장부재(402a)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내벽(402)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내벽실장부재(402a)는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홀드다운(4)은 상기 내벽실장부재(402a)를 통해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8를 참고하면, 상기 가이드외벽(403)은 상기 외벽실장부재(403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벽실장부재(403a)는 상기 가이드외벽(403)으로부터 돌출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외벽실장부재(403a)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외벽(403)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벽실장부재(403a)는 상기 내벽실장부재(402a)와 서로 상이한 위치에서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가이드부(40)가 상기 내벽실장부재(402a)와 상기 외벽실장부재(403a)를 통해 상기 기판의 여러 곳에서 실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가이드부(40)가 기판의 여러 곳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가이드부(40)가 기판에 고정되는 고정력이 증대되어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외벽실장부재(403a)는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홀드다운(4)은 상기 외벽실장부재(403a)를 통해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외벽실장부재(403a)는 상기 내벽실장부재(402a)와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외벽실장부재(403a)는 상기 내벽실장부재(402a)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8를 참고하면, 상기 홀드다운(4)은 상기 제1접속부(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4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부(40)에 대해 전방에 배치된 것이다. 상기 제1접속부(41)는 상기 상대커넥터의 홀드다운에 접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접속부(41)를 통해 접지(Ground)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41)는 상기 절연부(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41)의 내측에 절연부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41)는 상기 상대커넥터의 삽입을 가이드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8를 참고하면, 상기 제1접속부(41)는 제1절연고정부재(4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절연고정부재(411)는 상기 절연부(2)에 고정된 것이다. 상기 제1절연고정부재(411)는 상기 절연부(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절연고정부재(411)는 상기 절연부(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절연고정부재(411)는 상기 절연부(2)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상대커넥터의 삽입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제1절연고정부재(411)의 일부는 상기 절연부(2)의 내부에 매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절연부(2)가 상기 제1절연고정부재(411)의 상측을 덮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절연부(2)가 상기 제1절연고정부재(411)의 상측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절연고정부재(411)가 상기 절연부(2)에 매립됨으로써, 상기 제1지지부(43)를 지지하는 지지력이 강화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절연부(2)에 매립된 상기 제1절연고정부재(411)를 통해 상기 제1지지부(43)를 지지하는 지지력을 확보함으로써, 상기 상대커넥터와 조립시 상기 홀드다운(4)이 파손 또는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8를 참고하면, 상기 제1접속부(41)는 제1내측실장부재(412), 및 제1외측실장부재(4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내측실장부재(412)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절연고정부재(411)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것이다. 상기 제1내측실장부재(412)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절연고정부재(411)의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내측실장부재(412)는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홀드다운(4)은 상기 제1내측실장부재(412)를 통해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외측실장부재(413)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절연고정부재(411)의 타측으로부터 돌출된 것이다. 상기 제1외측실장부재(413)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절연고정부재411)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외측실장부재(413)는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홀드다운(4)은 상기 제1외측실장부재(413)를 통해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외측실장부재(413)는 상기 제1내측실장부재(412)와 서로 상이한 위치에서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접속부(41)가 상기 제1외측실장부재(413)와 상기 제1내측실장부재(412)를 통해 상기 기판의 여러 곳에 실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접속부(41)가 상기 기판의 여러 곳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제1접속부(41)가 기판에 고정되는 고정력이 증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외측실장부재(413)와 상기 제1내측실장부재(412)를 통해 상기 기판에 지지되는 지지력을 확보함으로써, 상기 상대커넥터와 조립시 상기 제1접속부(41)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제1접속부(41)가 파손 또는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8를 참고하면, 제1접속부(41)는 제1접속홈(411a), 및 제1접속부재(414)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홈(411a)은 상기 제1절연고정부재(411)에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제1접속홈(411a)은 상기 제1절연고정부재(411)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홈(411a)에는 상기 제1접속부재(414)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재(414)는 상기 상대커넥터의 홀드다운에 접속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접속부재(414)는 상기 제1접속홈(411a)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재(414)는 상기 제1내측실장부재(41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재(414)는 상기 제1내측실장부재(412)의 상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재(414)는 상기 제1내측실장부재(412)에 결합된 부분을 기준으로 탄성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접속부재(414)를 통해 상기 상대커넥터의 홀드다운에 접촉되는 접촉안정성이 증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접속부재(414)가 탄성적으로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 등이 있더라도 상기 상대커넥터의 홀드다운과 안정적으로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8를 참고하면, 상기 홀드다운(4)은 상기 제1지지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43)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접속부(41)에 대해 후방에 배치된 것이다. 상기 제1지지부(43)는 상기 제1접속부(41)와 상기 가이드부(40)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지지부(43)는 상기 제1접속부(41)와 상기 가이드부(40)를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지지부(43)는 상기 가이드부(40)의 일측과 상기 제1절연고정부재(411)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43)는 상기 상대커넥터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상기 가이드내벽(402)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가이드부(40)를 지지하도록 상기 가이드외벽(403)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지지부(43)를 통해 상기 가이드부(40)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상대커넥터와 조립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부(40)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40)가 파손 또는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지지부(43)가 상기 상대커넥터에 의한 힘이 작용되는 부분의 후방에서 결합되어 상기 상대커넥터와 조립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부(40)가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지지부(43), 상기 제1접속부(41), 및 상기 가이드부(4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지지부(43), 상기 제1접속부(41), 및 상기 가이드부(40)는 판재에 대한 굽힘 가공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8를 참고하면, 상기 홀드다운(4)은 상기 제2지지부(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44)는 상기 제1지지부(43)와 대략 일치되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지지부(44)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접속부(42)에 대해 후방에 배치되어서 상기 제2접속부(42)와 상기 가이드부(40) 각각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제2지지부(44)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부(40)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지지부(44)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부(40)의 타측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지지부(44)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지지부(43)와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40)의 양측으로 상기 제1지지부(43)와 상기 제2지지부(44)가 배치되어 상기 제1접속부(41), 및 상기 제2접속부(42) 각각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가이드부(40)를 지지하는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지지부(43)와 상기 제2지지부(44)를 통해 상기 가이드부(40)에 대한 지지력을 확보함으로써, 상기 홀드다운(4)의 강성이 향상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8를 참고하면, 상기 홀드다운(4)은 상기 제2접속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부(4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접속부(41)로부터 이격된 것이다. 상기 제2접속부(42)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접속부(41)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접속부(42)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접속부(41)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부(42)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접속부(41)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8를 참고하면, 상기 제2접속부(42)는 제2절연고정부재(421), 제2내측실장부재(422), 제2외측실장부재(423), 제2접속부재(424), 및 제2접속홈(421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절연고정부재(421), 상기 제2내측실장부재(422), 상기 제2외측실장부재(423), 상기 제2접속부재(424), 및 상기 제2접속홈(421a) 각각은 상기 제1절연고정부재(411), 상기 제1내측실장부재(412), 상기 제1외측실장부재(413), 상기 제1접속부재(414), 및 상기 제1접속홈(411a) 각각과 대략 일치되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접속부(41)와 상기 제2접속부(4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대칭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접속부(41)와 상기 제2접속부(42)는 서로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져 배치되는 방향에 차이가 있을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홀드다운(4)을 제조하는 제조작업의 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8를 참고하면, 상기 홀드다운(4)은 내측가이드부(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가이드부(45)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수직한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부(40)로부터 이격되도록 결합된 것이다. 상기 내측가이드부(45)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부(40)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측가이드부(45)는 상기 가이드내벽(402)과 서로 상이한 위치에서 상기 상대커넥터의 삽입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내측가이드부(45)와 상기 가이드내벽(402)을 통해 상기 상대커넥터의 삽입을 가이드함으로써 상기 상대커넥터와 조립시 원할하게 조립될 수 있다.
상기 내측가이드부(45)는 상기 제1접속부(41)와 상기 제2접속부(4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측가이드부(45)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접속부(41)와 상기 제2접속부(4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내측가이드부(45)는 상기 가이드부(40)의 상기 내측가이드부(45)
도 3 내지 도 8를 참고하면, 상기 내측가이드부(45)는 내측가이드부재(4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가이드부재(451)는 상기 상대커넥터의 홀드다운에 접속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내측가이드부재(451)는 상기 가이드부(4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내측가이드부재(451)는 상기 내벽실장부재(402a)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내측가이드부재(451)는 상기 내벽실장부재(402a)를 통해 상기 가이드부(4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내측가이드부재(45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내벽(402)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8를 참고하면, 상기 내측가이드부(45)는 내측고정부재(4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고정부재(452)는 상기 내측가이드부재(451)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내측고정부재(452)는 상기 절연부(2)에 결합되어 상기 내측가이드부(45)와 상기 가이드부(4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내측고정부재(452)를 통해 상기 가이드부(40)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내측고정부재(452)가 상기 가이드부(40)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상대커넥터와 조립시 상기 가이드부(40)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40)가 파손 또는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내측고정부재(452)는 상기 내측가이드부재(451)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내측고정부재(45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상기 내측가이드부재(451)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내측고정부재(452)는 상기 절연부(2)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내측고정부재(452)는 상기 안착돌기(23, 도 2에 도시됨)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내측고정부재(452)는 상기 안착돌기(23)에 고정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내측고정부재(452)는 후크(Hook)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안착돌기(23)에 고정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홀드다운(4)은 홀드다운삽입홈(4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드다운삽입홈(4a)은 상기 상대커넥터의 홀드다운이 삽입되기 위한 홈이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홀드다운삽입홈(4a)의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부(40)와 상기 내측가이드부(45)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홀드다운삽입홈(4a)의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내벽(402)과 상기 내측가이드부재(45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홀드다운삽입홈(4a)의 양측에는 상기 제1접속부(41)와 상기 제2접속부(42)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홀드다운삽입홈(4a)의 양측에는 상기 제1절연고정부재(411)와 상기 제2절연고정부재(421)가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가이드내벽(402), 상기 내측가이드부재(451), 상기 제1절연고정부재(411), 및 상기 제2절연고정부재(421)는 상기 홀드다운삽입홈(4a)의 4개의 측방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홀드다운삽입홈(4a)에는 상기 상대커넥터의 홀드다운이 삽입되므로, 상기 가이드내벽(402), 상기 내측가이드부재(451), 상기 제1절연고정부재(411), 및 상기 제2절연고정부재(421) 각각은 4개의 측방에서 상기 상대커넥터의 홀드다운의 삽입을 가이드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에 상기 상대커넥터의 홀드다운이 삽입되는 경우 상기 상대커넥터의 홀드다운에 의해 2가지 방향에서 힘이 작용할 수 있다. 즉, 상기 홀드다운삽입홈(4a, 도 4에 도시됨)에 상기 상대커넥터의 홀드다운이 삽입되는 경우 2가지 방향에서 힘이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의 홀드다운(4)에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작용되는 힘[이하, 제1가압력(F1 화살표 방향)이라 함]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의 홀드다운(4)에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작용되는 힘[이하, 제2작용힘(F2 화살표 방향)이라 함]이 있다.
상기 제1가압력(F1 화살표 방향)은 상기 가이드부(40)에 작용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부(40)는 상기 제1가압력(F1 화살표 방향)에 의해 후방으로 밀릴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지지부(43)와 상기 제2지지부(44)가 각각 상기 제1접속부(41)와 상기 제2접속부(42)에 결합되어서 상기 가이드부(40)의 후방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제1가압력(F1 화살표 방향)을 버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지지부(43)와 상기 제2지지부(44)를 통해 상기 제1가압력(F1 화살표 방향)을 버팀으로써, 상기 홀드다운(4)이 상기 제1가압력(F1 화살표 방향)에 의해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가압력(F2 화살표 방향)는 상기 제1접속부(41) 또는 제2접속부(42)에 작용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압력(F2 화살표 방향)이 상기 제1접속부(41) 또는 제2접속부(42)에 작용되는 경우 그 방향에 있어서 차이만 있을 뿐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제1접속부(41)에 상기 제2가압력(F2 화살표 방향)이 작용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2가압력(F2 화살표 방향)은 상기 제1접속부(41)에 작용될 수 있다.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접속부(41)는 상기 제2가압력(F2 화살표 방향)에 의해 후방으로 밀릴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지지부(43) 가 각각 상기 가이드부(40)에 결합되어서 상기 제1접속부(41)의 후방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제2가압력(F2 화살표 방향)을 버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지지부(43)를 통해 상기 제2가압력(F2 화살표 방향)을 버팀으로써, 상기 홀드다운(4)이 상기 제2가압력(F2 화살표 방향)에 의해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홀드다운(4)을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드다운(4)들은 상기 절연부(2)에 이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홀드다운(4)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이격되어 상기 절연부(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홀드다운(4)들의 사이에는 상기 전송컨택트(3)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홀드다운(4)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절연부(2)의 양측단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홀드다운(4)들은 상기 절연부(2)의 상측을 덮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홀드다운(4)은 상기 절연부(2)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홀드다운(4)들은 상기 절연부(2)를 상기 기판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홀드다운(4)들을 통해 여러 곳에서 상기 절연부(2)를 고정함으로써, 상기 절연부(2)가 상기 기판에 고정되는 고정력이 증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기판 커넥터
2: 절연부
21: 결합홈
22: 안착홈
23: 안착돌기
24: 삽입홈
3: 전송컨택트
4: 홀드다운
4a: 홀드다운삽입홈
40: 가이드부
40a: 절연부삽입홈
401: 가이드상벽
402: 가이드내벽
402a: 내벽실장부재
403: 가이드외벽
403a: 외벽실장부재
41: 제1접속부
411: 제1절연고정부재
411a: 제1접속홈
412: 제1내측실장부재
413: 제1외측실장부재
414: 제1접속부재
42: 제2접속부
421: 제2절연고정부재
421a: 제2접속홈
422: 제2내측실장부재
423: 제2외측실장부재
424: 제2접속부재
43: 제1지지부
44: 제2지지부
45: 내측가이드부
451: 내측가이드부재
452: 내측고정부재

Claims (10)

  1. 기판에 결합되기 위한 절연부;
    상기 절연부에 결합되고, 상기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전송컨택트; 및
    상기 전송컨택트보다 더 큰 허용전류를 갖도록 상기 전송컨택트보다 더 큰 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판에 실장되어서 상기 절연부를 상기 기판에 고정시키는 홀드다운(Hold Down)을 포함하고,
    상기 홀드다운은,
    상기 절연부에 결합된 가이드부;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부에 대해 전방에 배치된 제1접속부;
    상기 제1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을 따라 제1접속부로부터 이격된 제2접속부;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접속부에 대해 후방에 배치되어서 상기 제1접속부와 상기 가이드부 각각에 결합된 제1지지부; 및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접속부에 대해 후방에 배치되어서 상기 제2접속부와 상기 가이드부 각각에 결합된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부는 상기 절연부에 고정된 제1절연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과 상기 제1절연고정부재 각각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절연부의 상측에 결합된 가이드상벽, 상기 가이드상벽에 결합된 가이드내벽, 및 상기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내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가이드상벽에 결합된 가이드외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부는 상대커넥터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상기 가이드내벽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가이드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가이드외벽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절연부에 결합된 제1절연고정부재, 상기 제2축방향을 따라 상기 제1절연고정부재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제1내측실장부재, 및 상기 제2축방향을 따라 상기 제1절연고정부재의 타측으로부터 돌출된 제1외측실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내측실장부재와 상기 제1외측실장부재는 서로 상이한 위치에서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부는 상기 절연부에 고정된 제1절연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제1절연고정부재와 상기 가이드부 각각에 결합되며,
    상기 제1절연고정부재의 일부는 상기 절연부의 내부에 매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드다운은 상기 제1축방향에 수직한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이격된 내측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절연부의 상측에 결합된 가이드상벽, 및 상기 가이드상벽에 결합된 가이드내벽을 포함하며,
    상기 내측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내벽은 서로 상이한 위치에서 상대커넥터의 삽입을 가이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드다운은 상기 제1축방향에 수직한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이격되도록 결합된 내측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가이드부는 상대커넥터의 홀드다운에 접속하기 위한 내측가이드부재, 및 상기 내측가이드부재에 결합된 내측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고정부재는 상기 절연부에 결합되어 상기 내측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8. 제7항에 이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절연부의 상측에 결합된 가이드상벽, 상기 가이드상벽에 결합된 가이드내벽, 및 상기 내측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내벽 각각에 결합된 내벽실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벽실장부재는 상기 내측고정부재가 상기 절연부에 결합된 결합력을 이용하여 상기 가이드내벽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절연부의 상측에 결합된 가이드상벽, 상기 가이드상벽에 결합된 가이드내벽, 및 상기 제1축방향에 수직한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내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가이드상벽에 결합된 가이드외벽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내벽은 상기 제2축방향을 따라 돌출된 내벽실장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외벽은 상기 제2축방향을 따라 돌출된 외벽실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벽실장부재와 상기 외벽실장부재는 서로 상이한 위치에서 상기 기판에 실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부는 상대커넥터의 홀드다운에 접속되기 위한 제1접속부재, 상기 절연부에 고정된 제1절연고정부재, 및 상기 제1절연고정부재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제1내측실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절연고정부재에는 상기 제1접속부재가 배치되기 위한 제1접속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접속부재는 상기 제1내측실장부재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KR1020220003863A 2021-03-18 2022-01-11 기판 커넥터 KR202201305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35580 2021-03-18
KR1020210035580 2021-03-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0570A true KR20220130570A (ko) 2022-09-27

Family

ID=83452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3863A KR20220130570A (ko) 2021-03-18 2022-01-11 기판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057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2085282U (zh) 端子总成以及电连接器
US7086902B1 (en) Connector with improved shielding member
US7108554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hielding member
US7179127B2 (en) Connector minimized in cross-talk and electrical interference
US7549882B2 (en) Connector capable of absorbing an error in mounting position
US7980893B2 (en) Coaxial connector and connector device
US10243288B2 (en) Female-type electrical connector, male-type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tilizing same
US20180294602A1 (en) Connector assembly with an improved latch member having a shorter length
US20150031249A1 (en) Power connector and power contact thereof with improved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engaging arm
JP2021174770A (ja) 基板側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TW201322568A (zh) 連接器及包括該連接器的性能板、母板、半導體測試裝置
JP2010092811A (ja) 多連装電気コネクタ
US7241160B2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for camera module
TWM538265U (zh) 電子連接器
JP2014197455A (ja) 中継電気コネクタ
KR20210054449A (ko) 기판 커넥터
US11146004B2 (en) Connector assembly
KR20220130570A (ko) 기판 커넥터
US7445470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housing
KR102535074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시스템
KR20040076806A (ko) 접지 연결용 홀드다운을 갖춘 전기 커넥터
KR20220130595A (ko) 기판 커넥터
KR20220100505A (ko) 기판 커넥터
KR20220112665A (ko) 기판 커넥터
JP2006331711A (ja) コネク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