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8620A - 옥덩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옥덩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98620A KR20210098620A KR1020200012363A KR20200012363A KR20210098620A KR 20210098620 A KR20210098620 A KR 20210098620A KR 1020200012363 A KR1020200012363 A KR 1020200012363A KR 20200012363 A KR20200012363 A KR 20200012363A KR 20210098620 A KR20210098620 A KR 2021009862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tract
- jade
- freeze
- cosmetic composition
- vin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22—Chlorophycota or Chlorophyta [green algae], e.g. Chlorella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4—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lyophilisation, freeze-dr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덩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옥덩굴 추출물, 바람직하게는 옥덩굴 에탄올 추출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옥덩굴 동결건조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옥덩굴 추출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옥덩굴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바탕으로 하는 우수한 항산화 활성, 티로시나제 억제 활성을 바탕으로 하는 우수한 미백 효과 및 일산화질소 생성 억제 활성을 바탕으로 하는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옥덩굴 추출물 제조 방법에 따르면,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티로시나제 억제 활성 및 일산화질소 생성 억제 활성이 우수한 옥덩굴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옥덩굴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바탕으로 하는 우수한 항산화 활성, 티로시나제 억제 활성을 바탕으로 하는 우수한 미백 효과 및 일산화질소 생성 억제 활성을 바탕으로 하는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옥덩굴 추출물 제조 방법에 따르면,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티로시나제 억제 활성 및 일산화질소 생성 억제 활성이 우수한 옥덩굴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옥덩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옥덩굴 추출물, 바람직하게는 옥덩굴 에탄올 추출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옥덩굴 동결건조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옥덩굴 추출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점점 심해지는 환경오염이나 미제먼지 등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면서 이에 대비 또는 대응하기 위한 특화된 기능을 가진 가전제품, 개인용품, 식ㅇ음료품이 각 분야에서 활발하게 개발 및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제품에는 특히 환경 친화적이며 오염물질이 많이 배출되지 않는 소재들이 이용되고 있다. 화장품 분야 또한 마찬가지로 이러한 환경오염이나 미세먼지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제품 개발에 힘쓰고 있다.
미세먼지는 다환방향족 탄화수소와 중금속 등의 오염물질로 뒤덮여 있어 피부에 닿으면 모낭을 통해 세포가 있는 곳까지 침투하여 콜라겐 등을 파괴하고, 이에 따라 피부노화를 앞당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세포 손상은 물론 색소 침착이나 피부 염증을 일으켜 조기 피부 노화를 유발한다.
한편, 옥덩굴(Caulerpa okamurae)은 제주도, 남해, 동해 등에서 서식하는 녹조류로 기후변화 지표종으로 알려져 있으며, ,체형과 색이 아름다워 주로 수족관 등의 관상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자는 최근 심각해지고 있는 환경오염 및 미세먼지에 따른 피부 트러블을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는 화장품을 개발하고자 노력하던 중, 여러 가지 생리활성의 가능성이 있는 해조류 중에서 상기와 같은 옥덩굴에 주목하게 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피부 트러블의 예방 또는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능성 화장품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해조류인 옥덩굴을 사용하여 피부 트러블의 예방 또는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능성을 가진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화장품 조성물에 기능성 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는 옥덩굴 추출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옥덩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옥덩굴 추출물은 옥덩굴 에탄올 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옥덩굴 추출물은 a) 옥덩굴을 동결건조 및 분말화하여 옥덩굴 동결건조분말을 수득하는 단계; 및 b) 상기 옥덩굴 동결건조분말을 추출원료로 사용하고, 70 내지 100%(v/v)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추출 방법으로 수득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조성물은 피부 노화 방지, 피부 미백 또는 피부 염증 개선의 용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a) 옥덩굴을 동결건조 및 분말화하여 옥덩굴 동결건조분말을 수득하는 단계; 및 b) 상기 옥덩굴 동결건조분말을 추출원료로 사용하고, 70 내지 100%(v/v)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티로시나제 억제 활성 및 일산화질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옥덩굴 추출물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옥덩굴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바탕으로 하는 우수한 항산화 활성, 티로시나제 억제 활성을 바탕으로 하는 우수한 미백 효과 및 일산화질소 생성 억제 활성을 바탕으로 하는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옥덩굴 추출물 제조 방법에 따르면,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티로시나제 억제 활성 및 일산화질소 생성 억제 활성이 우수한 옥덩굴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옥덩굴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옥덩굴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옥덩굴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PC: 양성대조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옥덩굴 추출물의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옥덩굴 추출물의 세포독성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옥덩굴 추출물의 일산화질소 생성 억제능 조사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옥덩굴 추출물 함유 수분크림의 사용 전, 사용 15분 후 및 사용 30분 후의 피부수분도, 피부멜라닌, 피부탄력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옥덩굴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옥덩굴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PC: 양성대조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옥덩굴 추출물의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옥덩굴 추출물의 세포독성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옥덩굴 추출물의 일산화질소 생성 억제능 조사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옥덩굴 추출물 함유 수분크림의 사용 전, 사용 15분 후 및 사용 30분 후의 피부수분도, 피부멜라닌, 피부탄력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옥덩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옥덩굴은 녹조류의 일종으로 학명은 콜레르파 오카무래(Caulerpa okamurae)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옥덩굴 추출물은 옥덩굴의 착즙액이거나 옥덩굴을 용매로 추출하여 수득한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착즙액의 경우 통상적인 착즙장치, 예를 들어 과일 등의 식물재료로부터 즙을 추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착즙기를 이용하여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용매로 추출하여 수득한 추출물의 경우, 용매를 이용한 통상적인 추출방법 또는 추출장치를 사용하여 수득할 수 있다.
이때 추출용매로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용매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 가능한 용매는 물, 탄소수 1~4의 알코올, 아세톤,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이산화탄소 또는 이들 중 둘 이상이 혼합된 용매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 에탄올, 이들의 혼합액 또는 주정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제시된 효과를 높이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00%(v/v) 에탄올 용액, 예를 들어 에탄올과 물을 70 : 30 내지 100 : 0의 부피비로 혼합한 용매 또는 에탄올 함량이 70 내지 100%(v/v)인 주정을 사용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00%(v/v),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00%(v/v) 에탄올 용액을 사용한다.
또한, 이때 추출원료로 사용되는 옥덩굴은 다양한 형태로 적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분말의 형태로 적용한다. 옥덩굴 분말은 해산물, 특히 조류나 식물을 분말화하는 통상적인 방법을 통해 수득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10메시(mesh)의 크기(10메시의 체를 통과할 수 있는 크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메시의 크기(30메시의 체를 통과할 수 있는 크기), 더욱 바람직하게는 45메시의 크기(45메시의 체를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분말화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에 제시된 효과를 높이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동결건조를 수행한 다음 분말화하여 수득한 분말, 즉 동결건조분말의 형태로 적용한다. 옥덩굴의 동결건조는 해산물, 특히 조류나 식물을 동결건조하는 통상적인 방법을 통해 수득할 수 있다.
콜레르파 속의 조류는 일반적으로 헛뿌리(rhizoid), 기는 줄기(stolon) 및 엽상체(frond) 등의 부위로 구분할 수 있으며, 옥덩굴은 이 엽상체가 마치 포도송이와 같이 생겼다. 본 발명의 경우 상기와 같은 옥덩굴의 부위에 상관없이 추출물 제조에 이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제시된 효과를 높이기 위해 엽상체를 위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이때 추출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 예를 들어 추출원료를 추출용매에 첨가하고 정치, 진탕 또는 초음파 추출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초음파 추출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추출원료인 옥덩굴, 예를 들어 옥덩굴의 생물, 분말 또는 동결건조분말을 상기 추출용매에 1 내지 100g/ℓ로 첨가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g/ℓ로 첨가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g/ℓ로 첨가한다. 또한 이때 추출조건은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00℃에서 1 내지 100시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90℃에서 10 내지 50시간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에서 10 내지 20시간이다. 수차례 반복 추출, 즉 1차 추출한 다음 여과하여 추출액을 수득하고 추출잔사에 다시 추출용매를 첨가하고 2차 추출하는 방식을 반복하는 추출을 수행하고, 각 차수에서 수득된 추출액을 모으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반복 추출은 2 내지 3차 반복 추출이 적당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용매를 사용한 추출 이후 바람직하게는 추출액을 여과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여과 후 감압농축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여과, 감압농축 후 동결건조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옥덩굴 추출물은 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함유하고, DPPH 라디칼 소거능, 티로시나제 억제 활성 및 일산화질소 생성 억제 활성을 발휘할 수 있어, 특히 피부에 적용하는 화장품에 유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옥동굴 추출물 그 자체일 수 있으며, 이 밖에 화장품학적으로 허용된 담체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담체는 약학적으로 허용된 담체도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 예를 들어 수분크림, 화장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맛사지 크림, 팩 및 영양 에센스 등으로 제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상기 옥덩굴 추출물 이외에 다른 기능성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능성 물질은 예를 들어 옥덩굴 이외 다른 원료의 추출물 또는 발효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추출물로 옥덩굴 추출물 만을 포함할 수 있고, 다른 원료의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a) 옥덩굴을 동결건조 및 분말화하여 옥덩굴 동결건조분말을 수득하는 단계; 및 b) 상기 옥덩굴 동결건조분말을 추출원료로 사용하고, 70 내지 100%(v/v)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티로시나제 억제 활성 및 일산화질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옥덩굴 추출물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옥덩굴 추출물 제조 방법에서 추출조건 등의 구체적인 사항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옥덩굴 추출물 제조
1-1. 옥덩굴 착즙액 제조
국내 바다에서 해수가 담긴 상태로 옥덩굴을 채취한 다음, 여기서 옥덩굴을 건져 내어 5 ~ 10분간 증류수에 담그고 흐르는 물에 3회 정도 씻은 후 체에 받친 채로 상온에 두어 표면의 물기를 제거하였다. 이후 착즙기로 착즙한 다음 필터로 2회 여과하여 고형물이 제거된 착즙액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착즙액은 냉장보관하면서 사용하였다.
1-2. 옥덩굴 동결건조 물 추출물 제조
국내 바다에서 해수가 담긴 상태로 옥덩굴을 채취한 다음, 여기서 옥덩굴을 건져 내어 5 ~ 10분간 증류수에 담그고 흐르는 물에 3회 정도 씻은 후 체에 받친 채로 상온에 두어 표면의 물기를 제거하였다. 이후 믹서로 분쇄하여 용기에 담고 -80℃에서 하루 동안 보관한 다음 동결건조기에서 3일간 동결건조하였다. 이후 45메시(mesh) 이하(45메시의 체를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분쇄하여 동결건조분말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동결건조분말은 -20℃에서 보관하면서 사용하였다.
상기 옥덩굴 동결건조분말(추출재료) 25g에 물(추출용매) 500㎖을 첨가[추출재료(g):추출용매(㎖)=1:20]하고 60℃에서 12시간 씩 3차에 걸쳐 초음파 추출한 다음 감압농축하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추출물은 냉동보관하면서 사용하였다.
1-3. 옥덩굴 동결건조 에탄올 추출물 제조
상기 1-2에서 추출용매로 물 대신 94.5%(v/v) 에탄올(에탄올+물)을 사용하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1-4. 옥덩굴 물 추출물 제조
상기 1-2에서 추출원료로 옥덩굴 동결건조분말 대신 시중에서 판매되는 건조된 옥덩굴을 구입하여 분말화한 것을 사용하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이때 분말화는 45메시(mesh)의 크기(45메시의 체를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수행하였다.
1-5. 옥덩굴 에탄올 추출물 제조
상기 1-4에서 추출용매로 물 대신 94.5%(v/v) 에탄올(에탄올+물)을 사용하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2.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
상기 제조된 각 추출물을 대상으로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였다.
상기 각 추출물을 농도별로 시료용매(2차 증류수, DDW)에 녹인 시료 및 갈릭산 표준물 시료(0, 20, 40, 60, 80, 100㎎/㎖) 각각 100㎕에 2% Na2CO3 용액 2㎖을 가하고 충분히 교반한 다음 3분간 상온에서 방치하고 50% 폴린 & 시오칼토 페놀 시약(Folin & Ciocalteu's phenol reagent) 100㎕를 가하여 볼텍싱한 후 암실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750㎚에서 블랭크(blank)를 대조로 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갈릭산 표준물을 사용하여 구한 검량선으로부터 계산하였다.
상기 1-1에서 수득한 옥덩굴 착즙액(이하, '착즙액'이라 한다), 상기 1-2에서 수득한 옥덩굴 동결건조 물 추출물(이하, '동결건조 물 추출물'이라 한다), 상기 1-3에서 수득한 옥덩굴 동결건조 에탄올 추출물(이하, '동결건조 에탄올 추출물'이라 한다), 상기 1-4에서 수득한 옥덩굴 물 추출물(이하, '일반 물 추출물'이라 한다) 및 상기 1-5에서 수득한 옥덩굴 에탄올 추출물(이하, '일반 에탄올 추출물'이라 한다)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비교한 결과, 동결건조 에탄올 추출물이 34.381㎎/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다음으로 일반 물 추출물이 33.90㎎/g, 착즙액 및 일반 에탄올 추출물이 29.66㎎/g, 동결건조 물 추출물이 23.90㎎/g을 나타내었다(도 1 참조).
3.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상기 제조된 각 추출물을 대상으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다.
상기 각 추출물을 농도별로 시료용매(2차 증류수, DDW)에 녹인 시료 및 루틴 하이드레이트(rutin hydrate) 표준물 시료(0, 10, 20, 30, 40, 50㎎/㎖) 2㎖에 5% NaNO2 용액 3㎖을 가하여 혼합하고 실온에서 6분간 반응시켰다. 이후 10% Al(NO3)3 3㎖을 가하여 충분히 교반하고 증류수 10㎖을 채워서 혼합한 후 15분간 반응시켰다. 이후 분광광도계(Therno scientific Multiskan GO, 미국)를 이용하여 510㎚에서 블랭크를 대조로 하여 각 용액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루틴 하이드레이트 표준물을 사용하여 구한 검량선으로부터 계산하였다.
각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비교한 결과, 동결건조 에탄올 추출물이 21.65㎎/㎖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착즙액이 18.64㎎/㎖, 일반 에탄올 추출물이 17.25㎎/㎖, 동결건조 물 추출물이 3.46㎎/㎖ 그리고 일반 물 추출물이 2.90㎎/㎖로 나타났다(도 2 참조).
4.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측정
상기 제조된 각 추출물을 대상으로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 Seon-hee you(2016)의 방법에서 변형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0.1mM DPPH(2,2-다이페닐-1-피크릴하이드라질)용액 180㎕를 96-웰 플레이트에 첨가한 후, 각 추출물의 농도별 시료 20㎕를 가하여 37℃에서 30분간 항온처리한 후 517㎚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시료는 각 시료에 DMSO 1㎖을 첨가하여 100㎎/㎖의 농도로 추출한 뒤 이를 연속희석하여 사용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는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을 사용하였다. 측정된 흡광도를 바탕으로 아래의 식을 사용하여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계산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 100-{(첨가군 흡광도/무첨가군 흡광도)x100}
각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비교한 결과, 착즙액에 비해 다른 추출물 모두 2 ~ 3배 정도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물을 용매로 사용한 추출물에 비해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한 추출물이 2 ~ 3배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도 3 참조). 50㎎/㎖의 농도에서 동결건조 에탄올 추출물은 40.6%, 일반 에탄올 추출물은 37.0%로 나타났고, 100㎎/㎖의 농도에서 동결건조 에탄올 추출물은 67.0%, 일반 에탄올 추출물은 60.9%로 나타났다.
5.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 측정
상기 제조된 각 추출물을 대상으로 티로시나제(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0.02M PBS(pH=6.8) 용액 50㎕를 96-웰 플레이트에 첨가한 후, 상기 각 추출물을 여러 농도로 준비한 시료 50㎕를 첨가하고, 0℃에 보관한 1mM L-DOPA 용액 50㎕를 첨가한 다음 10분간 상온에 놓아두었다. 이후 티로시나제(200유닛)(티로시나제 첨가군) 또는 0.02M PBS 50㎕(티로시나제 비첨가군)를 가하고 25℃에서 10분간 항온처리한 후 475㎚에서 흡광도Multiskan GO ,51119200, Thermo)를 측정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는 아르부틴(arbutin)을 10㎎/㎖의 농도로 사용하였다.
각 추출물의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을 비교한 결과,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아르부틴이 10㎎/㎖ 농도에서 약 62%의 저해 활성을 나타낸 반면, 같은 농도에서 동결건조 에탄올 추출물이 더 높은 저해 활성(74%)을 나타냈다(도 4 참조). 5㎎/㎖ 농도에서도 동결건조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은 저해 활성을 나타냈고, 다른 추출물들 또한 농도 의존적인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을 나타냈다(도 4 참조).
6. 세포독성실험(MTT 분석법)
상기 제조된 각 추출물을 대상으로 세포독성실험(MTT 분석법)을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B16F1(Lot No.38093, KCLB 80007, 한국) 생쥐 흑색종 세포는 한국세포주은행(Korean Cell Line Bank; KCLB, 한국)으로부터 구입하였으며, 배지로는 RPMI-1640(Roswell Park Memorial Institute-1640 Medium; Gibico, 미국) 배지에 10% FBS(Fetal Bovine Serum; Gibco, 미국)와 1% 페니실린(100U/㎖)/스트렙토마이신(100㎍/㎖)/암포테리신 B(0.25㎍/㎖)을 첨가한 것을 사용하였다. 37℃, 5% CO2 조건 하에서 배양하였다.
각 시료에 대한 세포 생존율을 EZ-Cytox(Enhanced Cell Viability Assay kit, DoGenBio Co.,Ltd.)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세포를 5×104 cell/well의 농도로 96-웰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24시간 배양한 후 배지를 제거하였다. 여기에 새로운 배지[RPMI-1640 배지에 10% FBS와 1% 페니실린(100U/㎖)/스트렙토마이신(100㎍/㎖)/암포테리신 B(0.25㎍/㎖)이 첨가된 배지] 180㎕ 및 농도별로 희석한 시료(각 추출물을 농도별로 2차 증류수에 녹인 시료)를 각각 20㎕ 첨가하여 24시간 배양한 다음 EZ-Cytox 시약 100㎕를 각 웰에 첨가하고 1시간 동안 37℃, 5% CO2 배양하였다. 1시간 동안 배양한 후 ELISA 리더를 이용하여 45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각 추출물의 세포독성을 실험한 결과, 동결건조 에탄올 추출물이 실험한 모든 농도에서 세포독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다른 추출물들에 비해 세포독성으로부터 안전한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5 참조).
7. 일산화질소 생성 억제능 조사
상기 제조된 각 추출물을 대상으로 일산화질소 생성 억제능 조사를 수행하였다.
RAW 264.7 세포를 2.5×105 cell/㎖의 농도로 12-웰 플레이트에 분주한 다음 24시간 배양하였다. 이때 배지로는 DMEM(10% FBS, 1% 페니실린(100U/㎖)/스트렙토마이신(100㎍/㎖)/암포테리신 B(0.25㎍/㎖)) 배지를 사용하였다.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하고 여기에 각 시료를 농도별(0.05 ~ 0.1㎎/㎖)로 희석한 새로운 배지를 첨가하여 1시간 동안 전처리한 뒤 LPS(10ng/㎖)를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37℃, 5% CO2 조건의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시료처리 24시간 후에 세포배양 상등액을 원심분리한 후 얻은 배양액 100㎕와 그리스(Griess) 시약 A액(1% 설파닐아미드) 50㎕ + B액(0.1% N-(1-나프틸)에틸렌다이아민 다이히드로클로라이드) 50㎕를 혼합하여 96-웰 플레이트에서 20분간 반응시킨 후 ELISA 리더를 이용하여 54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1M NaNO2로 표준곡선을 작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세포배양 상등액에 함유되어 있는 NO의 값을 계산하였다.
각 추출물의 일산화질소 생성 억제능을 비교한 결과, 물을 용매로 사용한 추출물 보다는 착즙액이, 착즙액 보다는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한 추출물이 더 우수한 일산화질소 생성 억제능을 나타냈고, 그 중에서도 동결건조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우수한 일산화질소 생성 억제능을 나타냈다(도 6 참조).
8. 옥덩굴 추출물을 이용한 수분크림 제조
상기 1-3의 옥덩굴 동결건조 에탄올 추출물을 사용하여 다음 표 1의 조성 및 아래에 제시된 제조 순서에 따라 수분크림을 제조하였다.
원료명 | 중량% |
DC-245 | 6.0 |
TCG-M | 1.5 |
1,3 BG | 6.0 |
Glycerine | 3.0 |
Nikkol HCO-60 | 0.6 |
TEA(10%) | 4.0 |
카보머 U-21 | 0.4 |
히알루론산 나트륨 | 2.0 |
95% 에탄올 | 2.0 |
M.P | 0.2 |
P.P | 0.05 |
향 | 0.05 |
옥덩굴 추출물 | 10 |
DW | 64.2 |
총 | 100 |
<제조 순서>
- 수상과 알콜상을 칭량 후 알콜상은 약간 가열하여 HCO-60을 녹인다.
- 수상에 카보풀과 알콜상을 첨가 한 후 호모 믹서로 1분간 교반(5000rpm)
- 추출물과 향을 넣고 호모믹서로 2분간 교반(5000rpm)
- TEA를 넣고 5분간 호모믹서로 교반(5000rpm)
상기와 같이 제조한 수분크림을 평가하기 위해 수분크림 사용에 따른 피부수분도, 피부멜라닌, 피부탄력도를 측정하였다. 피부측정에는 Multi skin test center MC 1000(Courage-Khazaka Electronic Co., 독일) 기기를 이용하였다. 상기 피부측정기기를 통해 피부수분도, 피부멜라닌, 피부탄력도를 각각 측정하였고, 세안 5분 후, 수분크림 사용 15분 후 1차 측정, 수분크림 사용 30분 후 2차 측정하였다.
피부수분도, 피부멜라닌, 피부탄력도 측정 결과, 피부수분도의 경우 수분크림을 바르기 전의 수치인 47.7에서 수분크림을 바르고 15분 후 66.7, 30분 후 71로 큰 피부수분상승을 보였고, 멜라닌 수치의 경우 바르기 전의 수치인 15에서 수분크림을 바르고 15분 후 14, 30분 후 14로 수분크림의 사용으로 한층 더 맑아지는 피부톤을 나타내었다. 피부탄력도의 경우 수분크림을 바르기 전의 수치인 68.7에서 수분크림을 바르고 15분 후 77.7, 30분 후 77.3로 수분크림 사용에 의한 탄력도의 상승을 나타내었다(도 7 참조). 이러한 효과는 본 발명의 옥덩굴 추출물이 포함된 수분크림의 사용으로 피부의 촉촉함을 채워주어 피부의 밸란스에 도움을 주고 피부탄력도를 유지시켜주며, 피부미백효과에도 도움을 준 것으로 생각된다.
Claims (5)
- 옥덩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옥덩굴 추출물은 옥덩굴 에탄올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옥덩굴 추출물은
a) 옥덩굴을 동결건조 및 분말화하여 옥덩굴 동결건조분말을 수득하는 단계; 및
b) 상기 옥덩굴 동결건조분말을 추출원료로 사용하고, 70 내지 100%(v/v)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추출 방법으로 수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조성물은 피부 노화 방지, 피부 미백 또는 피부 염증 개선의 용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 a) 옥덩굴을 동결건조 및 분말화하여 옥덩굴 동결건조분말을 수득하는 단계; 및
b) 상기 옥덩굴 동결건조분말을 추출원료로 사용하고, 70 내지 100%(v/v)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티로시나제 억제 활성 및 일산화질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옥덩굴 추출물 제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12363A KR102385422B1 (ko) | 2020-02-03 | 2020-02-03 | 옥덩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12363A KR102385422B1 (ko) | 2020-02-03 | 2020-02-03 | 옥덩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98620A true KR20210098620A (ko) | 2021-08-11 |
KR102385422B1 KR102385422B1 (ko) | 2022-04-13 |
Family
ID=77314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12363A KR102385422B1 (ko) | 2020-02-03 | 2020-02-03 | 옥덩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8542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05789B1 (ko) * | 2022-10-14 | 2023-03-06 | 조선대학교 산학협력단 | 항염증용 약학 조성물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012040A (ja) * | 2009-06-30 | 2011-01-20 | Toshihiko Endo | 海ぶどう、特にフィリピン共和国セブ島及びボホール島近海を原産地とする海ぶどうを原料として製造する製剤、医薬品、化粧品、及び食品や食品添加物の使用。 |
KR101252149B1 (ko) * | 2013-01-16 | 2013-04-08 | 주식회사 더마랩 |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
KR20150091770A (ko) * | 2014-02-04 | 2015-08-12 |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 옥덩굴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
KR20150138565A (ko) * | 2014-05-30 | 2015-12-10 |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갖는 큰잎모자반 용매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1697614B1 (ko) | 2014-11-20 | 2017-01-18 | 한약진흥재단 | 백작약, 백출, 백지 및 백질려를 포함하는 항산화 활성 및 미백, 주름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기능성 화장품 |
JP2017128540A (ja) * | 2016-01-21 | 2017-07-27 | ▲徳▼豐銘國際股▲分▼有限公司 | アレルギーを抑制する海ブドウ抽出物、その調製方法及び応用 |
KR20180000770U (ko) * | 2016-09-07 | 2018-03-15 | 티씨아이 코 엘티디 | 미백 및/또는 피부 보습 촉진 기능을 구비하는 바다 포도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세 입자 구조 |
-
2020
- 2020-02-03 KR KR1020200012363A patent/KR10238542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012040A (ja) * | 2009-06-30 | 2011-01-20 | Toshihiko Endo | 海ぶどう、特にフィリピン共和国セブ島及びボホール島近海を原産地とする海ぶどうを原料として製造する製剤、医薬品、化粧品、及び食品や食品添加物の使用。 |
KR101252149B1 (ko) * | 2013-01-16 | 2013-04-08 | 주식회사 더마랩 |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
KR20150091770A (ko) * | 2014-02-04 | 2015-08-12 |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 옥덩굴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
KR20150138565A (ko) * | 2014-05-30 | 2015-12-10 |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갖는 큰잎모자반 용매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1697614B1 (ko) | 2014-11-20 | 2017-01-18 | 한약진흥재단 | 백작약, 백출, 백지 및 백질려를 포함하는 항산화 활성 및 미백, 주름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기능성 화장품 |
JP2017128540A (ja) * | 2016-01-21 | 2017-07-27 | ▲徳▼豐銘國際股▲分▼有限公司 | アレルギーを抑制する海ブドウ抽出物、その調製方法及び応用 |
KR20180000770U (ko) * | 2016-09-07 | 2018-03-15 | 티씨아이 코 엘티디 | 미백 및/또는 피부 보습 촉진 기능을 구비하는 바다 포도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세 입자 구조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Vol.14, No.6, pp.798-802(2005.12.31. 공개) 1부.* *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05789B1 (ko) * | 2022-10-14 | 2023-03-06 | 조선대학교 산학협력단 | 항염증용 약학 조성물 |
WO2024080714A1 (ko) * | 2022-10-14 | 2024-04-18 |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 항염증용 약학 조성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85422B1 (ko) | 2022-04-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Sari et al. | Antioxidant and tyrosinase inhibitor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of brown seaweed (Turbinaria conoides) as lightening ingredient | |
JP7358350B2 (ja) | ダリア組成物、ダリア組成物の粉末、化粧料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 |
KR20130090150A (ko) | 황칠 추출/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기능성 화장품 | |
KR20080078753A (ko) | 식물에서 기능성 화장품 성분 추출 방법 | |
KR102385422B1 (ko) | 옥덩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 |
KR20160002125A (ko) |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2489463B1 (ko) | 마이크로파 처리된 황칠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 |
KR102471009B1 (ko) | 왕자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2181596B1 (ko) | 알로에, 레몬 및 청귤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항산화, 보습 활성을 갖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 |
KR101965250B1 (ko) | 효소처리된 카카두플럼 추출물이 유효성분으로 함유된 항산화, 항염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추출물의 제조방법 | |
JP2006298800A (ja) | 線維芽細胞活性化作用を有するポリフェノール、それを含有する食品製剤及び化粧品 | |
KR20210134589A (ko) | 분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 |
KR101003470B1 (ko) | 고대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 |
JP2003089630A (ja) | 美白剤 | |
KR101487942B1 (ko) | 피부 미백을 위한 석류농축액을 이용한 인삼조성물 제조방법 및 인삼조성물 | |
KR101822043B1 (ko) | 블루 로터스 및 아이슬란드 이끼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WO2008156330A1 (en) | Use of xanthorrhizol for anti-wrinkle treatment | |
KR20000045575A (ko) | 우방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화장료 | |
JP6252079B2 (ja) | 線維芽細胞増殖促進剤 | |
KR102575303B1 (ko) | 식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콜라겐 합성 촉진용 조성물 | |
KR20140019536A (ko) | 비양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2313083B1 (ko) | 등수국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 |
KR102329921B1 (ko) | 락토바실러스 속 신균주를 이용한 바다제비집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 |
KR102316110B1 (ko) | 호두 껍질 및 감꼭지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305237B1 (ko) | 이삭여뀌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