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4080714A1 - 항염증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염증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4080714A1
WO2024080714A1 PCT/KR2023/015558 KR2023015558W WO2024080714A1 WO 2024080714 A1 WO2024080714 A1 WO 2024080714A1 KR 2023015558 W KR2023015558 W KR 2023015558W WO 2024080714 A1 WO2024080714 A1 WO 202408071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inflammatory
pharmaceutical composition
extract
present
health 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1555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춘성
Original Assignee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2408071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408071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5Chlorophycota or chlorophyta (green algae), e.g. Chlorel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ti-inflammatory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health functional foods.
  • Inflammation is a phenomenon in which inflammatory mediators such as cytokines and chemokines are synthesized and released.
  • Chronic inflammation is a condition in which inflammatory cytokines and chemokines increase in response to physi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causing the immune system to continue to function at a low level. it means.
  • causes of chronic inflammation include genetic susceptibility, visceral obesity, chronic infection, and cellular aging.
  • Degenerative arthritis is a type of chronic inflammatory disease in which the cartilage that covers the ends of bones and protects them wears away and disappears.
  • the cause is a combination of aging, genetic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and occurs when weak cartilage is overused for a long time or when excessive exercise puts strain on the joints.
  • degenerative arthritis develops, inflammation occurs around the joints, causing pain and deformation.
  • the pathological symptoms of degenerative arthritis are characterized by localized areas of articular cartilage loss in synovial joints, which are associated with bone hypertrophy and thickening of the joint capsule.
  • the cause of degenerative arthritis is thought to involve complex interactions between cells and soluble mediators such as cytokines, growth factors, inflammatory mediators, metalloproteinases (MMPs), and chondrodegenerative enzymes.
  • the most widely used drugs for the treatment of degenerative arthritis are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 side effects may include gastrointestinal disorders in the form of heartburn, discomfort, diarrhea, or constipation, and long-term use may cause gastric ulcers and bleeding.
  •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ti-inflammatory pharmaceutical composition.
  •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ti-inflammatory health functional food.
  • An anti-inflammatory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an extract of Caulerpa okamurae .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nti-inflammatory effect.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nhibiting the expression of cartilage matrix degrading enzymes and has a cartilage protection effect.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moting the expression of cartilage matrix components decomposed by inflammation.
  • Figure 1 is a graphical representation of the results of the MTT assay, which is an evaluation of the toxic effect of jade vine alcohol extract on chondrocytes.
  • Figure 2 graphically shows the results of Nitric Oxide assay on cartilage cells of jade vine alcohol extract.
  • Figure 3 graphically shows the results of the PGE 2 assay on chondrocytes of jade vine alcohol extract.
  • Figure 4 shows the chondroprotective effect of jade vine alcohol extract on cartilage cells, analyzing the expression of ADMTS-4, ADMTS-5, MMT-1, MMT-3, and MMT-13, which are catabolic enzymes that decompose cartilage matrix. This is one result.
  • Figure 5 is data showing the cartilage protection effect of jade vine alcohol extract on cartilage cells, and i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expression of collagen type II, a component of cartilage matrix.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i-inflammatory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an extract of Caulerpa okamurae .
  • Jade vine is a seaweed distributed in Japan and Australia, and in Korea in Cheongha, Guryongpo, Yeonghae, Busan, and Namhaedo.
  • the jade vine extract refers to a substance separated from the jade vine by a solvent from a liquid mixture or a solid mixture.
  • the extract may be in solution, concentrate or powder form.
  • the extraction solvent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is an extraction solvent commonly used in the art.
  • the extraction solvent may include C1 to C2 alcohol.
  • the extraction solvent may be a mixture of water and C1 to C2 alcohol.
  • the volume percent of C1 to C2 alcohol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an appropriate level for preparing the jade vine extract.
  • the volume percent of C1 to C2 alcohol is 10 volume % to 90 volume %, 10 volume % to 80 volume %, 10 volume % to 70 volume %, 10 volume % to 60 volume %, 10 volume % to 50 volume %. %, it may be 15 vol% to 50 vol%, 15 vol% to 45 vol%, and 20 vol% to 40 vol%.
  • the extraction method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is an extraction method commonly used in the industry.
  • it may be hot water extraction, heat extraction, ultrasonic extraction, cold immersion extraction, distillation extraction, reflux cooling extraction,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of these.
  • a specific example may be heat extraction.
  • the extraction temperature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an appropriate level for preparing the jade vine extract. For example, it may be carried out at 50°C to 95°C, 60°C to 95°C, 70°C to 95°C, 80°C to 95°C, or 85°C to 95°C.
  • the extraction time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an appropriate level for preparing the jade vine extract. For example, it may be performed for 0.5 hours to 4 hours, 1 hour to 3.5 hours, 1 hour to 3 hours, or 1.5 hours to 2.5 hours.
  • the anti-inflammatory means suppressing inflammation.
  • the inflammation refers to a state in which, for example, biological factors (bacteria, fungi, viruses, etc.) act on the living body and the living body produces a defensive response against it.
  • the composition has an anti-inflammatory effect and can be used to prevent or treat inflammatory diseases.
  • the inflammatory diseases include, for example, degenerative arthritis, rheumatoid arthritis, dermatitis, allergy, atopy, asthma, conjunctivitis, cataracts, periodontitis, rhinitis, otitis media, pharyngitis, tonsillitis, pneumonia, sepsis, gastric ulcer, gastritis, Crohn's disease, hemorrhoids, and ankylosing spondylitis.
  • lupus fibromyalgia, psoriasis, arthritis, periarthritis, tendinitis, tenosynovitis, myositis, hepatitis, cystitis, nephritis, multiple sclerosis, diabetes, scleroderma, gout, neurodegenerative diseases, neuroinflammatory diseases, silicosis, atherosclerosis and ischemia. It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this.
  • prevention refers to all actions that inhibit or delay the onset of degenerative arthritis by administering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or health functional foods.
  • treatment means any action that improves or beneficially changes the symptoms of a metabolic disease by administering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or health functional food.
  •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know the exact criteria for diseases for which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or health functional fo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ffective by referring to the data presented by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etc. You will be able to judge the extent of treatment.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 th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is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ubstance, composition, such as a liquid or solid filler, diluent, excipient, or solvent that serves to transport the active ingredient from one organ or part of the body to another organ or part of the body. Or it means a vehicle.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as a pharmaceutical by adding one or mor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along with the jade vine alcohol extract.
  • 'pharmaceutically acceptable' refers to something that is physiologically acceptable and does not usually cause allergic reactions or similar reactions when administered to humans.
  • the carrier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saline, buffered saline, water, glycerol, and ethanol, and any suitable agent known in the art may be used.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ministered orally or parenterally.
  • administration means introducing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to a subject for administration by an appropriate method.
  • Parenteral administration methods may include, but are limited to, intravenous, intramuscular, intraarterial, intramedullary, intrathecal, intracardiac, transdermal, subcutaneous, intraperitoneal, intranasal, enteral, topical, sublingual, or rectal administration. It doesn't work.
  • prepar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they can be formulated in the form of injections, creams, lotions, external ointments, oils, moisturizers, gels, aerosols, and nasal inhalants by methods known in the art.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ulated into powder, granules, tablets, pills, sugar-coated tablets, capsules, solutions, gels, syrups, slurries, suspensions, etc. using methods known in the art. It can be.
  • oral preparations can be prepared by combining the active ingredient with solid excipients, grinding them, adding suitable auxiliaries, and processing them into a granule mixture to obtain tablets or dragees.
  • excipients examples include sugars including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and maltitol, starches including corn starch, wheat starch, rice starch and potato starch, cellulose, Fillers such as celluloses including methyl cellulose,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and hydroxypropylmethyl-cellulose, gelatin, polyvinylpyrrolidone, etc. may be included. Additionally, depending on the case, cross-linked polyvinylpyrrolidone, agar, alginic acid, or sodium alginate may be added as a disintegrant. Furthermore,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ti-coagulants, lubricants, wetting agents, flavorings, emulsifiers, and preservatives.
  • the appropriate total daily amount of use of the above agent can be determined by the treating physician within the scope of sound medical judgment.
  • the specific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for a particular subject will depend on the type and degree of response to be achieved, the specific composition, including whether other agents are used as the case may be, the subject's age, weight, general health, gender and diet, and time of administration. It is desirable to apply it differently depending on various factors including the route of administration, secretion rate of the composition, treatment period, drugs used together or simultaneously with the specific composition, and similar factors well known in the medical field. Therefore, the preferred dosag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details and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lone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or in combination with methods using surgery, hormone therapy, drug therapy, and biological response regulators.
  • the subject to which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can be any animal that can develop an inflammatory disease, and the animals include humans and primates, as well as livestock such as cows, pigs, sheep, horses, dogs and cat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i-inflammatory health functional food containing an extract of Caulerpa okamurae .
  • the health functional food can be used to prevent or improve inflammatory diseases.
  • the inflammatory diseases include, for example, degenerative arthritis, rheumatoid arthritis, dermatitis, allergy, atopy, asthma, conjunctivitis, cataracts, periodontitis, rhinitis, otitis media, pharyngitis, tonsillitis, pneumonia, sepsis, gastric ulcer, gastritis, Crohn's disease, hemorrhoids, and ankylosing spondylitis.
  • lupus fibromyalgia, psoriasis, arthritis, periarthritis, tendinitis, tenosynovitis, myositis, hepatitis, cystitis, nephritis, multiple sclerosis, diabetes, scleroderma, gout, neurodegenerative diseases, neuroinflammatory diseases, silicosis, atherosclerosis and ischemia. It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this.
  • the health functional fo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beverages containing the above extracts (including alcoholic beverages), fruits and processed foods thereof (e.g. canned fruits, bottled foods, jams, marmalades, etc.), fish, meat and processed foods thereof (e.g. ham, sausages, etc.) corned beef, etc.), bread and noodles (e.g. udon, buckwheat noodles, ramen, spaghetti, macaroni, etc.), fruit juice, various drinks, cookies, taffy, dairy products (e.g. butter, cheese, etc.), edible vegetable oil, margarine, vegetable protein , retort food, frozen food, various seasonings (e.g. soybean paste, soy sauce, sauce, etc.).
  • fruits and processed foods thereof e.g. canned fruits, bottled foods, jams, marmalades, etc.
  • fish meat and processed foods thereof
  • meat and processed foods thereof e.g. ham, sausages, etc.
  • corned beef etc.
  • bread and noodles e.
  • the health functional fo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ulated into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powders, capsules, liquid formulations, etc. They may be formulated to further include one or more of carriers, diluents, excipients, and additives.
  • Additives that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health functional fo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natural carbohydrates, flavors, nutrients, vitamins, minerals (electrolytes), flavors (synthetic flavors, natural flavors, etc.), colorants, fillers (cheese, chocolate) etc.), pectic acid and its salts, alginic acid and its salts, organic acids, protective colloidal thickeners, pH adjusters, stabilizers, preservatives, antioxidants, glycerin, alcohol, carbonating agents and one or more ingredi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ulp. You can use it.
  • the health functional fo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various nutrients, vitamins, minerals (electrolytes), flavoring agents such as synthetic and natural flavors, colorants and fillers (cheese, chocolate, etc.), pectic acid and its salts, alginic acid and It may contain its salt, organic acid, protective colloidal thickener, pH adjuster stabilizer, preservative, glycerin, alcohol, carbonating agent used in carbonated beverages, etc.
  • the health functional fo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pulp for the production of natural fruit juice and vegetable drinks. These ingredients can be us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 carriers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erythritol, starch, gum acacia, calcium phosphate, alginate, gelatin, calcium phosphate, calcium silicate, microcrystalline cellulose
  • examples include, but are limited to, polyvinylpyrrolidone, cellulose, methylcellulose, water, sugar syrup, methyl hydroxy benzoate, propyl hydroxy 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mineral oil, and mixtures thereof. That is not the case.
  • the content of the health functional fo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in the above-described formulation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depending on the form and purpose of use, user condition, type and severity of symptoms, etc., preferably 0.001 to 99.9% by weight based on the weight of solids. May be 0.01 to 50% by weight, but is not limited thereto.
  • Rat chondrocytes were collected from the knee joints of rats around 5 days after birth and primary cultured. Chondrocytes were seeded at 1 ⁇ 10 6 cell/mL in a 12-well plate. After overnight, each plate was treated with jade vine alcohol extract at 0, 250, 500, 1000, and 2000 ⁇ g/mL and reacted for 24 hours. 100 ⁇ L per mL of MTT solution (5 mg/mL) was added to each plate and allowed to react for additional 4 hours. Afterwards, the formed formazan was dissolved in DMSO and the absorbance was measured at 590 nm. Cell viability was calculated using Equation 1 below.
  • Chondrocytes were seeded at 1 ⁇ 10 6 cell/mL in a 12-well plate. After overnight, each plate was pretreated with jade vine alcohol extract at 200, 400, and 600 ⁇ g/mL for 1 hour, then treated with 10 ng/mL of IL-1 ⁇ and reacted for 24 hours. After removing the reaction solution, 100 ⁇ L of media and 100 ⁇ L of Griess reagent were mixed and the absorbance was measured at 540 nm. After creating a standard calibration curve with NaNO 3 , the concentration of nitrate accumulated in the culture medium was measured ( Figure 2).
  • Chondrocytes were seeded at 1 ⁇ 10 6 cell/mL in a 12-well plate. After overnight, jade vine alcohol extract was added to each plate at 0, 0.25, and 0.5. After pretreatment with 1 mg/mL for 1 hour, the cells were treated with 10 ng/mL of IL-1 ⁇ and reacted for 24 hours. Media was harvested and analyzed using the PGE 2 elisa kit ( Figure 3).
  • PGE 2 Prostaglandin E 2
  • jade vine alcohol extract inhibits PGE 2 activity and has an anti-inflammatory effect on cartilage cells.
  • Chondrocytes were seeded at 1 ⁇ 10 6 cell/mL in a 12-well plate. After overnight, each plate was pretreated with jade vine alcohol extract at 0, 0.25, 0.5, and 1 mg/mL for 1 hour, then treated with 10 ng/mL of IL-1 ⁇ and reacted for 24 hours. After removing the reaction solution, the total protein was extracted and quantified using protein extraction buffer. After performing Western blotting with the same amount of protein, primary antibodies were attached to each protein to analyze its expression (Figure 4).
  • Chondrocytes were seeded at 1 ⁇ 10 6 cell/mL in a 12-well plate. After overnight, each plate was pretreated with jade vine alcohol extract at 0, 50, 100, and 200 ⁇ g/mL for 1 hour, then treated with 10 ng/mL of IL-1 ⁇ and reacted for 24 hours. After removing the reaction solution, the total protein was extracted and quantified using protein extraction buffer. After performing Western blotting with the same amount of protein, primary antibodies were attached to each protein to analyze its expression (Figure 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heumat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Immu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덩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연골세포에 독성을 가지지 않으며, 항염증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은 연골기질 분해 효소(ADAMTS-4, 5 및 MMT-1, 3, 13)의 발현을 억제시키고 염증으로 분해된 연골기질 구성 물질(collagen type Ⅱ)의 발현을 촉진시켜 연골을 보호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Description

항염증용 약학 조성물
본 발명은 항염증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염증은 사이토카인, 케모카인과 같은 염증유발 매개체가 합성되어 방출되는 현상으로, 만성 염증은 생리적, 환경적 요인에 반응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과 케모카인이 증가하여 면역 체계가 낮은 수준에서 계속 기능하도록 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만성염증의 원인으로는 유전적 감수성, 내장비만, 만성감염, 세포노화 등이 있다.
퇴행성 관절염은 만성 염증 질환의 한 종류로 뼈의 끝부분을 덮고 있어 뼈를 보호해주는 연골이 닳아서 없어지는 상태를 말한다. 그 원인으로는 노화, 유전적인 요소 및 환경적인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오랫동안 약한 연골을 무리하게 사용하거나 심한 운동으로 관절에 무리가 오면 발생한다. 퇴행성 관절염이 발병하면, 관절 주변에 염증이 생겨 통증과 변형이 발생한다.
퇴행성 관절염의 병리학적 증상은 윤활막 관절(synovial joints)에서 관절 연골 소실의 국소적인 부위를 특징으로 하며, 이는 뼈의 비대(hypertrophy) 및 관절 캡슐(joint capsule)의 비후(thickening)와 연관된다. 퇴행성 관절염의 원인은 세포와 사이토카인, 성장인자, 염증매개자, 메탈로프로티나아제(MMPs) 및 연골분해성(chondrodegenerative) 효소와 같은 수용성 매개자들과의 복합 상호작용을 포함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퇴행성 관절염의 치료에 가장 널리 쓰이는 약물은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이다. 다만, 이의 부작용으로 속 쓰림, 거북함, 설사 또는 변비의 형태로 위장관계 장애가 나타날 수 있으며, 장기 복용시 위궤양 및 출혈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기존 퇴행성 관절염 치료 약물의 부작용 문제로 인하여 부작용 위험이 적은 약물 개발에 대한 수요가 높은 실정이다. 천연물 유래 약물이 상기한 부작용 문제에 대한 우려를 해소시킬 수 있는 유망한 후보로 여겨지고 있다.
이에, 다양한 천연물 유래 소재들이 제시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퇴행성 관절염과 같은 염증 질환의 개선용으로 개발된 소재들에 대해서 그 효능이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어, 여전히 향상된 효능의 천연물 유래 소재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항염증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항염증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옥덩굴(Caulerpa okamurae)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약학 조성물.
2. 위 1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C1 내지 C2 알코올을 포함하는 용매 추출물인, 항염증용 약학 조성물.
3. 위 2에 있어서, 상기 용매에 상기 C1 내지 C2 알코올은 10부피% 내지 50부피%로 포함되는, 항염증용 약학 조성물.
4. 위 1에 있어서, 퇴행성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인 항염증용 약학 조성물.
5. 옥덩굴(Caulerpa okamurae)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건강기능식품.
6. 위 5에 있어서, 퇴행성 관절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인 항염증용 건강기능식품.
7. 위 5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C1 내지 C2 알코올을 포함하는 용매 추출물인, 항염증용 건강기능식품.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염증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연골기질분해효소들의 발현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연골보호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염증으로 분해된 연골기질 구성성분의 발현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옥덩굴 주정 추출물의 연골세포에 대한 독성효능 평가인 MTT assay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옥덩굴 주정 추출물의 연골세포에 대한 Nitric Oxide assay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옥덩굴 주정 추출물의 연골세포에 대한 PGE2 assay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연골세포에 대한 옥덩굴 주정 추출물의 연골 보호 효과를 보여주는 것으로, 연골기질을 분해하는 이화효소인 ADMTS-4, ADMTS-5, MMT-1, MMT-3, MMT-13의 발현을 분석한 결과이다.
도 5는 연골세포에 대한 옥덩굴 주정 추출물의 연골 보호 효과를 보여주는 자료로, 연골기질의 구성요소인 collagen type Ⅱ의 발현을 분석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옥덩굴(Caulerpa okamurae)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옥덩굴은 일본, 오스트레일리아에 분포되고 한국에서는 청하, 구룡포, 영해, 부산, 남해도 등에 분포하는 해조류이다.
상기 옥덩굴 추출물은 액체 혼합물 또는 고체 혼합물로부터 용매에 의해 옥덩굴로부터 분리된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추출물은 용액, 농축물 또는 분말 상태일 수 있다.
추출용매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추출용매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추출용매는 C1 내지 C2 알코올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출용매는 물 및 C1 내지 C2 알코올의 혼합물일 수 있다.
추출용매가 C1 내지 C2 알코올을 포함하는 경우, C1 내지 C2 알코올의 부피%는 옥덩굴 추출물을 제조하기에 적절한 정도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1 내지 C2 알코올의 부피%는 10부피% 내지 90부피%, 10부피% 내지 80부피%, 10부피% 내지 70부피%, 10부피% 내지 60부피%, 10부피% 내지 50부피%, 15부피% 내지 50부피%, 15부피% 내지 45부피%, 20부피% 내지 40부피%일 수 있다.
추출방법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추출방법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수 추출, 가열 추출, 초음파 추출, 냉침 추출, 증류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이 중 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가열 추출일 수 있다.
추출온도는 옥덩굴 추출물을 제조하기에 적절한 정도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50℃ 내지 95℃, 60℃ 내지 95℃, 70℃ 내지 95℃, 80℃ 내지 95℃, 85℃ 내지 95℃에서 수행될 수 있다.
추출시간은 옥덩굴 추출물을 제조하기에 적절한 정도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0.5시간 내지 4시간, 1시간 내지 3.5시간, 1시간 내지 3시간, 1.5시간 내지 2.5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항염증은 염증을 억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염증은 예를 들면 생물학적(세균, 진균, 바이러스 등) 인자가 생체에 작용하여 생체는 그것에 대해서 방어적 반응을 일으킨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조성물은 항염증 효과가 있어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염증 질환은 예를 들면 퇴행성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피부염, 알레르기, 아토피, 천식, 결막염, 백내장, 치주염, 비염, 중이염, 인후염, 편도염, 폐렴, 폐혈증, 위궤양, 위염, 크론병, 치질, 강직성 척추염, 루푸스, 섬유근통, 건선, 관절염, 견관절주위염, 건염, 건초염, 근육염, 간염, 방광염, 신장염, 다발성 경화증, 당뇨병, 피부경화증, 통풍, 퇴행성 신경변성 질환, 신경염증 질환, 규폐증, 죽상동맥경화증 및 허혈 등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예방"이란 약학 조성물 및/또는 건강기능식품의 투여로 퇴행성 관절염 발병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치료" 또는 "개선"이란 약학 조성물 및/또는 건강기능식품의 투여로 대사 질환의 증세를 호전시키거나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대한의학협회 등에서 제시된 자료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 및/또는 건강기능식품이 효과가 있는 질환의 정확한 기준을 알고, 개선, 향상 및 치료된 정도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신체의 한 기관 또는 부분으로부터 신체의 다른 기관 또는 부분으로 활성 성분을 수송하는 역할을 하는 액체 또는 고체 충진제, 희석제, 부형제 또는 용매와 같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물질, 조성물 또는 운반체(vehicle)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옥덩굴 주정 추출물과 함께 추가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1종 이상의 담체를 첨가하여 약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것을 말한다. 상기 담체로는 식염수, 완충 식염수, 물, 글리세롤 및 에탄올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계에 알려진 적합한 제제가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될 수 있다.
용어 "투여"는 적절한 방법으로 투여 대상에게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비경구적인 투여방법으로는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골수내, 경막내, 심장내, 경피, 피하, 복강내, 비강내, 장관, 국소, 설하 또는 직장내 투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비경구 투여용 제제의 경우에는 주사제, 크림제, 로션제, 외용연고제, 오일제, 보습제, 겔제, 에어로졸 및 비강 흡입제의 형태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제형화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제제의 경우에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분말, 과립, 정제, 환제, 당의정제, 캡슐제, 액제, 겔제, 시럽제, 슬러리제, 현탁액 등으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용 제제는 활성성분을 고체 부형제와 배합한 다음 이를 분쇄하고 적합한 보조제를 첨가한 후 과립 혼합물로 가공함으로써 정제 또는 당의정제를 수득할 수 있다. 적합한 부형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및 말티톨 등을 포함하는 당류와 옥수수 전분, 밀 전분, 쌀 전분 및 감자 전분 등을 포함하는 전분류,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 및 하이드록시 프로필메틸-셀룰로즈 등을 포함하는 셀룰로즈류, 젤라틴 폴리비닐피롤리돈 등과 같은 충전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다라 가교결합 폴리비닐피롤리돈, 한천, 알긴산 또는 나트륨 알기네이트 등을 붕해제로 첨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제의 적합한 총 1일 사용량은 올바는 의학적 판단범위 내에서 처치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특정 대상에 대한 구체적인 치료적 유효량은 달성하고자 하는 반응의 종류와 정도, 경우에 따라 다른 제제가 사용되는지의 여부를 비롯한 구체적 조성물, 대상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기간, 구체적 조성물과 함께 사용되거나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와 의약 분야에 잘 알려진 유사 인자에 따라 다르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전술한 사항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으며,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수술, 호르몬 치료, 약물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게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적용될 수 있는 대상은 염증 질환이 발생할 수 있는 임의의 동물일 수 있으며, 상기 동물은 인간 및 영장류뿐만 아니라, 소, 돼지, 양, 말, 개 및 고양이 등의 가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옥덩굴(Caulerpa okamurae)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옥덩굴 추출물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염증 질환은 예를 들면 퇴행성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피부염, 알레르기, 아토피, 천식, 결막염, 백내장, 치주염, 비염, 중이염, 인후염, 편도염, 폐렴, 폐혈증, 위궤양, 위염, 크론병, 치질, 강직성 척추염, 루푸스, 섬유근통, 건선, 관절염, 견관절주위염, 건염, 건초염, 근육염, 간염, 방광염, 신장염, 다발성 경화증, 당뇨병, 피부경화증, 통풍, 퇴행성 신경변성 질환, 신경염증 질환, 규폐증, 죽상동맥경화증 및 허혈 등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상기 추출물을 포함한 음료(알코올성 음료 포함), 과실 및 그의 가공식품(예: 과일 통조림, 병조림, 잼, 마말레이드 등), 어류, 육류 및 그 가공식품(예: 햄, 소시지콘비프 등), 빵류 및 면류(예: 우동, 메밀국수, 라면, 스파게티, 마카로니 등), 과즙, 각종 드링크, 쿠키, 엿, 유제품(예: 버터, 치즈 등), 식용식물유지, 마가린, 식물성 단백질, 레토르트 식품, 냉동식품, 각종 조미료(예: 된장, 간장, 소스 등) 등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분말제, 캡슐제, 액제 제형 등으로 제형화된 것일 수도 있다. 이들은 담체, 희석제, 부형제 및 첨가제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에 더 포함될 수 있는 첨가제로는, 천연 탄수화물, 향미제,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풍미제(합성 풍미제, 천연 풍미제 등), 착색제, 충진제(치즈, 초콜렛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산화 방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화제 및 과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충진제(치즈, 초콜렛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천연 과일 주스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담체, 부형제, 희석제 및 첨가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슈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에리스리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칼슘,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미세결정성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즈, 메틸셀룰로즈, 물, 설탕시럽, 메틸 하이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 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트산 마그네슘, 미네랄 오일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제형 내 유효성분으로서의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의 함량은 사용 형태 및 목적, 사용자 상태, 증상의 종류 및 경중 등에 의하여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으며, 고형분 중량 기준으로 0.001 내지 99.9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0 중량%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조예
원물 대비 20배수(중량)의 30부피% 주정을 첨가한 후, 90℃에서 2시간 동안 환류추출 수행 후 여과지로 용질과 용매를 분리하였다. 이후 회전감압농축기로 용매를 증발시키고 동결건조하여 옥덩굴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옥덩굴 추출물을 아래 실험들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1. 옥덩굴 주정 추출물의 연골세포 독성효능 평가(MTT assay)
생후 5일경 랫트의 무릎 관절에서 연골세포(rat chondrocytes; RC)를 채취하여 초대배양하였다. 12-well plate에 연골세포를 1×106 cell/mL로 시딩하였다. 하룻밤 지난 후 옥덩굴 주정 추출물을 각 plate에 0, 250, 500, 1000, 2000 μg/mL로 처리하여 24간 동안 반응시켰다. 각 plate에 MTT 용액(5 mg/mL)을 mL당 100 μL씩 첨가 후 4시간 동안 추가 반응시켰다. 그 후, 형성된 formazan을 DMSO에 넣어 용해한 후 5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 생존율은 하기 수학식 1로 계산하였다.
[수학식 1]
Figure PCTKR2023015558-appb-img-000001
실험 결과, 옥덩굴 주정 추출물이 연골세포에 독성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
2. 옥덩굴 주정 추출물의 연골세포 항염증 효과 평가(Nitric oxide assay)
연골세포를 12-well plate에 1×106 cell/mL로 시딩하였다. 하룻밤 지난 후 옥덩굴 주정 추출물을 각 plate에 200, 400, 600 μg/mL로 1시간 전처리한 후, IL-1β 10 ng/mL를 처리하여 24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액 제거 후, media 100 μL와 Griess reagent 100 μL를 혼합하여 540 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NaNO3로 표준검량선 작성 후, 배양액 내에 축적된 질산염 농도를 측정하였다(도 2).
축적된 질산염 양이 적을수록 염증이 억제되었다고 간주되며, 실험 결과 옥덩굴 주정 추출물이 연골세포에 항염증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ure PCTKR2023015558-appb-img-000002
연골세포를 12-well plate에 1×106 cell/mL로 시딩하였다. 하룻밤 지난 후 옥덩굴 주정 추출물을 각 plate에 0, 0.25, 0.5. 1 mg/mL로 1시간 전처리한 후, IL-1β 10 ng/mL를 처리하여 24간 동안 반응시켰다. media를 수확하여 PGE2 elisa ki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도 3).
PGE2(Prostaglandin E2)는 염증반응을 유도하는 중요한 인자로, 실험 결과 옥덩굴 주정 추출물이 PGE2 활성을 억제하여 연골세포에 항염증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4. 옥덩굴 주정 추출물의 연골 보호 효과 확인(Anti-catabolic activity)
연골세포를 12-well plate에 1×106 cell/mL로 시딩하였다. 하룻밤 지난 후 옥덩굴 주정 추출물을 각 plate에 0, 0.25, 0.5, 1 mg/mL로 1시간 전처리한 후, IL-1β 10 ng/mL를 처리하여 24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액 제거 후, protein extraction buffer를 이용하여 전체 단백질을 추출 및 정량하였다. 동량의 단백질로 웨스턴 블롯을 수행한 후 각각 일차 항체를 부착하여 그 발현을 분석하였다(도 4).
연골기질을 분해하는 이화효소들의 발현이 감소할수록 연골기질의 분해가 억제되어 연골 보호 효과가 있다고 간주된다. 실험 결과 옥덩굴 주정 추출물이 연골기질을 분해하는 대표적인 이화효소(ADAMTS-4, 5, MMP-1, 3, 13)들의 발현을 억제시킴으로써 연골 보호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5. 옥덩굴 주정 추출물의 연골 보호 효과 확인(chondroprotective effect)
연골세포를 12-well plate에 1×106 cell/mL로 시딩하였다. 하룻밤 지난 후 옥덩굴 주정 추출물을 각 plate에 0, 50, 100, 200 μg/mL로 1시간 전처리한 후, IL-1β 10 ng/mL를 처리하여 24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액 제거 후, protein extraction buffer를 이용하여 전체 단백질을 추출 및 정량하였다. 동량의 단백질로 웨스턴 블롯을 수행한 후 각각 일차 항체를 부착하여 그 발현을 분석하였다(도 5).
염증에 의해 분해된 연골기질을 구성하는 물질들의 발현이 회복될수록 연골 보호 효과가 있다고 간주되며, 실험 결과 옥덩굴 주정 추출물이 연골기질을 구성하는 대표적인 구성성분(collagen type Ⅱ, Aggrecan 등)의 발현을 회복시킴으로써 연골 보호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7)

  1. 옥덩굴(Caulerpa okamurae)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약학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C1 내지 C2 알코올을 포함하는 용매 추출물인, 항염증용 약학 조성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용매에 상기 C1 내지 C2 알코올은 10부피% 내지 50부피%로 포함되는, 항염증용 약학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퇴행성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인 항염증용 약학 조성물.
  5. 옥덩굴(Caulerpa okamurae)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건강기능식품.
  6. 청구항 5에 있어서, 퇴행성 관절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인 항염증용 건강기능식품.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C1 내지 C2 알코올을 포함하는 용매 추출물인, 항염증용 건강기능식품.
PCT/KR2023/015558 2022-10-14 2023-10-11 항염증용 약학 조성물 WO202408071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2182 2022-10-14
KR1020220132182A KR102505789B1 (ko) 2022-10-14 2022-10-14 항염증용 약학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80714A1 true WO2024080714A1 (ko) 2024-04-18

Family

ID=85509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15558 WO2024080714A1 (ko) 2022-10-14 2023-10-11 항염증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05789B1 (ko)
WO (1) WO20240807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5789B1 (ko) * 2022-10-14 2023-03-06 조선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염증용 약학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2149B1 (ko) * 2013-01-16 2013-04-08 주식회사 더마랩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20150138565A (ko) * 2014-05-30 2015-12-1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갖는 큰잎모자반 용매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98370A (ko) * 2019-02-12 2020-08-20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콜레르파 라세모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항산화 조성물
KR20210098620A (ko) * 2020-02-03 2021-08-11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옥덩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2505789B1 (ko) * 2022-10-14 2023-03-06 조선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염증용 약학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5514A (ko) 2013-12-26 2015-07-06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해조류에서 추출한 후코잔틴을 포함하는 항염증성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2149B1 (ko) * 2013-01-16 2013-04-08 주식회사 더마랩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20150138565A (ko) * 2014-05-30 2015-12-1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갖는 큰잎모자반 용매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98370A (ko) * 2019-02-12 2020-08-20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콜레르파 라세모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항산화 조성물
KR20210098620A (ko) * 2020-02-03 2021-08-11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옥덩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2505789B1 (ko) * 2022-10-14 2023-03-06 조선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염증용 약학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Mokpo National University", 1 January 2018, GRADUATE SCHOOL OF MOKPO NATIONAL UNIVERSITY, KR, article MAHANDHAR, B.: "Caulerpa okamurae attenuates obesity-induced inflammation and insulin resistance in RAW 264.7 macrophages and 3T3-L1 adipocytes. ", pages: 1 - 102, XP00955435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5789B1 (ko) 202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4080714A1 (ko) 항염증용 약학 조성물
JPH09291039A (ja) プロシアニジンを有効成分とする抗肥満剤
JP5282932B2 (ja) ポリフェノール抽出物の製造方法、骨粗鬆症予防剤、糖質消化酵素阻害剤、これらを用いた機能性組成物、およびこの機能性組成物を含む、食品組成物、特定保健用食品組成物、医薬部外品組成物、医薬組成物
WO2024019499A1 (ko) 골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US9839660B2 (en) Metabolism accelerating composition comprising Astragali radix extract
WO2017073849A1 (ko)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05074961A1 (ja) 体脂肪調整剤
KR102505790B1 (ko) 방사무늬돌김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15026107A1 (ko) 생강의 용매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위장장애 및 위장관 운동장애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06054429A1 (ja) ダイフラクトース アンハイドライド含有経口組成物
KR20130041636A (ko) 마카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피로, 염증성 장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JP4723320B2 (ja) 血中レプチン濃度上昇剤
WO2011145909A2 (ko) 판두라틴 유도체 또는 보에센베르기아 판두라타 추출물의 근육 증가 촉진, 항-피로 및 운동수행능력 향상에 관한 새로운 용도
WO2019117616A1 (ko) 아가토바쿨룸 속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폐 범주성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WO2005051405A1 (ja) Il−8産生促進剤とその用途
KR102502196B1 (ko) 퇴행성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24080475A1 (ko)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JP7464951B2 (ja) 廃用性筋萎縮抑制剤及び廃用性筋萎縮抑制用食品組成物
WO2020218148A1 (ja) 過酸化脂質生成抑制剤
KR102045847B1 (ko) 관능성 및 항당뇨 활성이 증대된 옥미수·호박 가미 경옥고
JP7262391B2 (ja) フソバクテリウム属細菌および/またはステレラ属細菌の菌数抑制剤
WO2015122728A1 (ko) 고련피 추출물 또는 수염가래꽃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결핵의 치료 및 예방용 항결핵 조성물
JP2015193547A (ja) 運動様作用を有するレスベラトロール加熱処理組成物
KR102545762B1 (ko) 세모가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71492A (ko) 도토리 화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87764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