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2196B1 - 퇴행성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퇴행성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2196B1
KR102502196B1 KR1020220116235A KR20220116235A KR102502196B1 KR 102502196 B1 KR102502196 B1 KR 102502196B1 KR 1020220116235 A KR1020220116235 A KR 1020220116235A KR 20220116235 A KR20220116235 A KR 20220116235A KR 102502196 B1 KR102502196 B1 KR 102502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pharmaceutical composition
degenerative arthritis
purpura
functional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6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춘성
이슬아
Original Assignee
조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조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116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21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2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2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3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one mass, e.g. osteoporosis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2Algae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Rheu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참모자반 추출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이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은 연골세포에 독성을 가지지 않으며, 항염증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은 연골기질 분해 효소(ADAMTS-4, 5 및 MMT-1, 3, 13)의 발현을 억제시키고 염증으로 분해된 연골기질 구성 물질(collagen type Ⅱ)의 발현을 촉진시켜 연골을 보호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Description

퇴행성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EGENERATIVE ARTHRITIS}
본 발명은 퇴행성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이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퇴행성 관절염은 뼈의 끝부분을 덮고 있어 뼈를 보호해주는 연골이 닳아서 없어지는 상태를 말한다. 그 원인으로는 노화, 유전적인 요소 및 환경적인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오랫동안 약한 연골을 무리하게 사용하거나 심한 운동으로 관절에 무리가 오면 발생한다. 퇴행성 관절염이 발병하면, 관절 주변에 염증이 생겨 통증과 변형이 발생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국민관심질병 통계에 따르면, 2019년 퇴행성 관절염 환자 수는 404만 명으로 집계되었다. 이는 2015년 353만 명이었던 것에 비해 14% 증가한 것이며, 이 중 60대 이상이 82.3%를 차지하고 있다. 최근에는 비만, 과체중, 바르지 못한 자세 등으로 인해 젊은 층에서의 발병률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퇴행성 관절염의 병리학적 증상은 윤활막 관절(synovial joints)에서 관절 연골 소실의 국소적인 부위를 특징으로 하며, 이는 뼈의 비대(hypertrophy) 및 관절 캡슐(joint capsule)의 비후(thickening)와 연관된다. 퇴행성 관절염의 원인은 세포와 사이토카인, 성장인자, 염증매개자, 메탈로프로티나아제(MMPs) 및 연골분해성(chondrodegenerative) 효소와 같은 수용성 매개자들과의 복합 상호작용을 포함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퇴행성 관절염의 치료에 가장 널리 쓰이는 약물은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이다. 다만, 이의 부작용으로 속 쓰림, 거북함, 설사 또는 변비의 형태로 위장관계 장애가 나타날 수 있으며, 장기 복용시 위궤양 및 출혈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기존 퇴행성 관절염 치료 약물의 부작용 문제로 인하여 부작용 위험이 적은 약물 개발에 대한 수요가 높은 실정이다. 천연물 유래 약물이 상기한 부작용 문제에 대한 우려를 해소시킬 수 있는 유망한 후보로 여겨지고 있다.
이에, 다양한 천연물 유래 소재들이 제시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퇴행성 관절염 개선용으로 개발된 건강기능식품 소재들에 대해서 그 효능이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어, 여전히 향상된 효능의 천연물 유래 소재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571792호
본 발명은 퇴행성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퇴행성 관절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참모자반 추출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위 1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C1 내지 C2 알코올을 포함하는 용매 추출물인, 퇴행성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위 2에 있어서, 상기 용매에 상기 C1 내지 C2 알코올은 10부피% 내지 50부피% 포함되는, 퇴행성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위 1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가열 추출물인, 퇴행성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참모자반 추출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관절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6. 위 5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C1 내지 C2 알코올을 포함하는 용매 추출물인, 퇴행성 관절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7. 위 6에 있어서, 상기 용매에 상기 C1 내지 C2 알코올은 10부피% 내지 50부피% 포함되는, 퇴행성 관절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8. 위 5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가열 추출물인, 퇴행성 관절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은 연골세포에 항염증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은 연골기질분해효소들의 발현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연골보호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은 염증으로 분해된 연골기질 구성성분의 발현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참모자반 주정 추출물의 연골세포에 대한 독성효능 평가인 MTT assay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참모자반 주정 추출물의 연골세포에 대한 Nitric Oxide assay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연골세포에 대한 참모자반 주정 추출물의 연골 보호 효과를 보여주는 것으로, 연골기질을 분해하는 이화효소인 ADMTS-4, ADMTS-5, MMT-1, MMT-3, MMT-13의 발현을 분석한 결과이다.
도 4는 연골세포에 대한 참모자반 주정 추출물의 연골 보호 효과를 보여주는 자료로, 연골기질의 구성요소인 collagen type Ⅱ의 발현을 분석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참모자반 추출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참모자반(Sargassum fulvellum)은 다년생 갈조류로 뿌리는 가반상이고 줄기는 외줄이며 여기에서 긴 가지를 많이 낸다. 가지는 삼릉주이며 다소 비틀어졌다. 잎이 변태해서 생긴 기포가 있어 수중에서 몸이 자연스럽게 펼쳐져 있으며, 저조선 부근의 바위에 붙어산다. 식용, 비료 또는 해조 공업의 원료로도 이용된다.
용어 "추출물(extract)"은 액체 혼합물 또는 고체 혼합물로부터 용매에 의해 분리된 물질을 의미한다.
추출물은 용액, 농축물 또는 분말 상태일 수 있다.
추출용매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추출용매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추출용매는 C1 내지 C2 알코올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출용매는 물 및 C1 내지 C2 알코올의 혼합물일 수 있다.
추출용매가 C1 내지 C2 알코올을 포함하는 경우, C1 내지 C2 알코올의 부피%는 참모자반 추출물을 제조하기에 적절한 정도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1 내지 C2 알코올의 부피%는 10부피% 내지 90부피%, 10부피% 내지 80부피%, 10부피% 내지 70부피%, 10부피% 내지 60부피%, 10부피% 내지 50부피%, 15부피% 내지 50부피%, 15부피% 내지 45부피%, 20부피% 내지 40부피%일 수 있다.
추출방법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추출방법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수 추출, 가열 추출, 초음파 추출, 냉침 추출, 증류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이 중 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가열 추출일 수 있다.
추출온도는 참모자반 추출물을 제조하기에 적절한 정도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50℃ 내지 95℃, 60℃ 내지 95℃, 70℃ 내지 95℃, 80℃ 내지 95℃, 85℃ 내지 95℃에서 수행될 수 있다.
추출시간은 참모자반 추출물을 제조하기에 적절한 정도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0.5시간 내지 4시간, 1시간 내지 3.5시간, 1시간 내지 3시간, 1.5시간 내지 2.5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예방"이란 약학 조성물 및/또는 건강기능식품의 투여로 퇴행성 관절염 발병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치료" 또는 "개선"이란 약학 조성물 및/또는 건강기능식품의 투여로 대사 질환의 증세를 호전시키거나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대한의학협회 등에서 제시된 자료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 및/또는 건강기능식품이 효과가 있는 질환의 정확한 기준을 알고, 개선, 향상 및 치료된 정도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신체의 한 기관 또는 부분으로부터 신체의 다른 기관 또는 부분으로 활성 성분을 수송하는 역할을 하는 액체 또는 고체 충진제, 희석제, 부형제 또는 용매와 같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물질, 조성물 또는 운반체(vehicle)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참모자반 주정 추출물과 함께 추가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1종 이상의 담체를 첨가하여 약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것을 말한다. 상기 담체로는 식염수, 완충 식염수, 물, 글리세롤 및 에탄올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계에 알려진 적합한 제제가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될 수 있다.
용어 "투여"는 적절한 방법으로 투여 대상에게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비경구적인 투여방법으로는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골수내, 경막내, 심장내, 경피, 피하, 복강내, 비강내, 장관, 국소, 설하 또는 직장내 투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비경구 투여용 제제의 경우에는 주사제, 크림제, 로션제, 외용연고제, 오일제, 보습제, 겔제, 에어로졸 및 비강 흡입제의 형태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제형화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제제의 경우에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분말, 과립, 정제, 환제, 당의정제, 캡슐제, 액제, 겔제, 시럽제, 슬러리제, 현탁액 등으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용 제제는 활성성분을 고체 부형제와 배합한 다음 이를 분쇄하고 적합한 보조제를 첨가한 후 과립 혼합물로 가공함으로써 정제 또는 당의정제를 수득할 수 있다. 적합한 부형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및 말티톨 등을 포함하는 당류와 옥수수 전분, 밀 전분, 쌀 전분 및 감자 전분 등을 포함하는 전분류,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 및 하이드록시 프로필메틸-셀룰로즈 등을 포함하는 셀룰로즈류, 젤라틴 폴리비닐피롤리돈 등과 같은 충전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다라 가교결합 폴리비닐피롤리돈, 한천, 알긴산 또는 나트륨 알기네이트 등을 붕해제로 첨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제의 적합한 총 1일 사용량은 올바는 의학적 판단범위 내에서 처치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특정 대상에 대한 구체적인 치료적 유효량은 달성하고자 하는 반응의 종류와 정도, 경우에 따라 다른 제제가 사용되는지의 여부를 비롯한 구체적 조성물, 대상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기간, 구체적 조성물과 함께 사용되거나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와 의약 분야에 잘 알려진 유사 인자에 따라 다르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전술한 사항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으며,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퇴행성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수술, 호르몬 치료, 약물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게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적용될 수 있는 대상은 퇴행성 관절염이 발생할 수 있는 임의의 동물일 수 있으며, 상기 동물은 인간 및 영장류뿐만 아니라, 소, 돼지, 양, 말, 개 및 고양이 등의 가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참모자반 추출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관절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골관절 통증 개선, 골관절 기능 개선, 골관절 염증 부종의 감소 및 퇴행성 관절염 예방 또는 개선에 도움이 된다.
상기 추출물의 추출용매, 추출방법, 추출온도 및 추출시간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상기 추출물을 포함한 음료(알코올성 음료 포함), 과실 및 그의 가공식품(예: 과일 통조림, 병조림, 잼, 마말레이드 등), 어류, 육류 및 그 가공식품(예: 햄, 소시지콘비프 등), 빵류 및 면류(예: 우동, 메밀국수, 라면, 스파게티, 마카로니 등), 과즙, 각종 드링크, 쿠키, 엿, 유제품(예: 버터, 치즈 등), 식용식물유지, 마가린, 식물성 단백질, 레토르트 식품, 냉동식품, 각종 조미료(예: 된장, 간장, 소스 등) 등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분말제, 캡슐제, 액제 제형 등으로 제형화된 것일 수도 있다. 이들은 담체, 희석제, 부형제 및 첨가제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에 더 포함될 수 있는 첨가제로는, 천연 탄수화물, 향미제,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풍미제(합성 풍미제, 천연 풍미제 등), 착색제, 충진제(치즈, 초콜렛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산화 방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화제 및 과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충진제(치즈, 초콜렛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천연 과일 주스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담체, 부형제, 희석제 및 첨가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슈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에리스리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칼슘,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미세결정성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즈, 메틸셀룰로즈, 물, 설탕시럽, 메틸 하이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 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트산 마그네슘, 미네랄 오일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제형 내 유효성분으로서의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의 함량은 사용 형태 및 목적, 사용자 상태, 증상의 종류 및 경중 등에 의하여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으며, 고형분 중량 기준으로 0.001 내지 99.9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0 중량%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조예. 참모자반 추출물의 제조
원물 대비 20배수의 30%주정을 첨가한 후, 90℃에서 2시간 동안 환류추출 수행 후 여과지로 용질과 용매를 분리하였다. 이후 회전감압농축기로 용매를 증발시키고 동결건조하여 참모자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참모자반 추출물을 아래 실험들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참모자반 추출물의 퇴행성 관절염 치료 및 개선 효과 확인
1. 참모자반 주정 추출물의 연골세포 독성효능 평가(MTT assay)
생후 5일경 랫트의 무릎 관절에서 연골세포(rat chondrocytes; RC)를 채취하여 초대배양하였다. 12-well plate에 연골세포를 1×106 cell/mL로 시딩하였다. 하룻밤 지난 후 참모자반 주정 추출물을 각 plate에 0, 250, 500, 1_000, 2000 μg/mL로 처리하여 24간 동안 반응시켰다. 각 plate에 MTT 용액(5 mg/mL)을 mL당 100 μL씩 첨가 후 4시간 동안 추가 반응시켰다. 그 후, 형성된 formazan을 DMSO에 넣어 용해한 후 5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 생존율은 하기 수학식 1로 계산하였다.
[수학식 1]
Figure 112022096794687-pat00001
실험 결과, 참모자반 주정 추출물이 연골세포에 독성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
2. 참모자반 주정 추출물의 연골세포 항염증 효과 평가(Nitric oxide assay)
연골세포를 12-well plate에 1×106 cell/mL로 시딩하였다. 하룻밤 지난 후 참모자반 주정 추출물을 각 plate에 0, 50, 100, 200 μg/mL로 1시간 전처리한 후, IL-1β 10 ng/mL를 처리하여 24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액 제거 후, media 100 μL와 Griess reagent 100 μL를 혼합하여 540 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NaNO3로 표준검량선 작성 후, 배양액 내에 축적된 질산염 농도를 측정하였다(도 2).
축적된 질산염 양이 적을수록 염증이 억제되었다고 간주되며, 실험 결과 참모자반 주정 추출물이 연골세포에 항염증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참모자반 주정 추출물의 연골 보호 효과 확인(Anti-catabolic activity)
연골세포를 12-well plate에 1×106 cell/mL로 시딩하였다. 하룻밤 지난 후 참모자반 주정 추출물을 각 plate에 0, 50, 100, 200 μg/mL로 1시간 전처리한 후, IL-1β 10 ng/mL를 처리하여 24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액 제거 후, protein extraction buffer를 이용하여 전체 단백질을 추출 및 정량하였다. 동량의 단백질로 웨스턴 블롯을 수행한 후 각각 일차 항체를 부착하여 그 발현을 분석하였다(도 3).
연골기질을 분해하는 이화효소들의 발현이 적을수록 연골기질의 분해가 억제되어 연골 보호 효과가 있다고 간주되며, 실험 결과 참모자반 주정 추출물이 연골기질을 분해하는 대표적인 이화효소(ADAMTS-4, 5, MMP-1, 3, 13)들의 발현을 억제시킴으로써 연골 보호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 참모자반 주정 추출물의 연골 보호 효과 확인(chondropropective effect)
연골세포를 12-well plate에 1×106 cell/mL로 시딩하였다. 하룻밤 지난 후 참모자반 주정 추출물을 각 plate에 0, 50, 100, 200 μg/mL로 1시간 전처리한 후, IL-1β 10 ng/mL를 처리하여 24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액 제거 후, protein extraction buffer를 이용하여 전체 단백질을 추출 및 정량하였다. 동량의 단백질로 웨스턴 블롯을 수행한 후 각각 일차 항체를 부착하여 그 발현을 분석하였다(도 4).
염증에 의해 분해된 연골기질을 구성하는 물질들의 발현이 회복될수록 연골 보호 효과가 있다고 간주되며, 실험 결과 참모자반 주정 추출물이 연골기질을 구성하는 대표적인 구성성분(collagen type Ⅱ, Aggrecan 등)의 발현을 회복시킴으로써 연골 보호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8)

  1. 참모자반 추출물을 포함하며,
    상기 참모자반 추출물은 C1 내지 C2 알코올을 10부피% 내지 50부피%로 포함하는 용매 추출물인, 퇴행성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가열 추출물인, 퇴행성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참모자반 추출물을 포함하며,
    상기 참모자반 추출물은 C1 내지 C2 알코올을 10부피% 내지 50부피%로 포함하는 용매 추출물인, 퇴행성 관절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가열 추출물인, 퇴행성 관절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20220116235A 2022-09-15 2022-09-15 퇴행성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502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6235A KR102502196B1 (ko) 2022-09-15 2022-09-15 퇴행성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6235A KR102502196B1 (ko) 2022-09-15 2022-09-15 퇴행성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2196B1 true KR102502196B1 (ko) 2023-02-20

Family

ID=85329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6235A KR102502196B1 (ko) 2022-09-15 2022-09-15 퇴행성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219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7103A (ko) * 2002-12-24 2004-07-02 벤트리 주식회사 해조추출물을 포함하는 퇴행성관절염 조성물
KR20140067826A (ko) * 2012-11-27 2014-06-05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71792B1 (ko) 2013-12-27 2015-11-25 주식회사 에코마인 해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7103A (ko) * 2002-12-24 2004-07-02 벤트리 주식회사 해조추출물을 포함하는 퇴행성관절염 조성물
KR20140067826A (ko) * 2012-11-27 2014-06-05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71792B1 (ko) 2013-12-27 2015-11-25 주식회사 에코마인 해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9291039A (ja) プロシアニジンを有効成分とする抗肥満剤
JP2018524398A (ja) 筋肉疾患の予防、改善または治療用または筋機能改善用組成物
KR100597235B1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2505789B1 (ko) 항염증용 약학 조성물
KR102483466B1 (ko) 골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505790B1 (ko) 방사무늬돌김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346884B1 (ko) 마카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피로, 염증성 장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JP5409439B2 (ja) コウゾ抽出物を含む免疫機能強化用組成物
KR102502196B1 (ko) 퇴행성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899555B1 (ko) 노각나무 추출물 및 옻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관절염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1145909A2 (ko) 판두라틴 유도체 또는 보에센베르기아 판두라타 추출물의 근육 증가 촉진, 항-피로 및 운동수행능력 향상에 관한 새로운 용도
JP2005179316A (ja) 便秘改善作用を有する組成物
KR20150031373A (ko)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KR102045847B1 (ko) 관능성 및 항당뇨 활성이 증대된 옥미수·호박 가미 경옥고
KR102135295B1 (ko) 넓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근지구력 증강용 조성물
KR20200044766A (ko) 넓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우울증 또는 스트레스 개선용 조성물 및 넓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
KR102545762B1 (ko) 세모가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051541A (ko) 흑마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풍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4080475A1 (ko)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JP2020094015A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関節機能改善剤、及び経口用組成物
KR102204098B1 (ko) 감초건강탕을 포함하는 거식증 치료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2037531B1 (ko) 왕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216211B1 (ko) 풋사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517662B1 (ko) 차가버섯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 질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633488B1 (ko) 배초향 추출물 또는 틸리아닌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 질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