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117616A1 - 아가토바쿨룸 속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폐 범주성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가토바쿨룸 속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폐 범주성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117616A1
WO2019117616A1 PCT/KR2018/015755 KR2018015755W WO2019117616A1 WO 2019117616 A1 WO2019117616 A1 WO 2019117616A1 KR 2018015755 W KR2018015755 W KR 2018015755W WO 2019117616 A1 WO2019117616 A1 WO 201911761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train
culture solution
present
agathobaculum
agatob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1575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병찬
김경심
이철호
장동호
김용훈
노정란
최동희
황정환
고준
김재훈
박혜연
서윤정
유영경
이인복
최영근
최정현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to US16/772,255 priority Critical patent/US11607433B2/en
Priority to EP18889101.4A priority patent/EP3725320B1/en
Publication of WO201911761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11761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7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ingredients other than fatty acid triglyce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2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ion or working-up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23K10/18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of live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5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rod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0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1/1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by extrac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an autistic categorical disorder comprising Agatoba coolum strain as an active ingredient.
  • Autism is a brain developmental disorder characterized by disability of social interaction, limitation of homologous behavior and range of interest, and impaired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Autism is a disease that usually starts and is diagnosed in the third year of life and affects a wide range of developmental stages, and usually causes a serious illness to the patient and his or her family, It is a very big disease. Recently,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has been used for the diagnosis of autism, emphasizing that the degree and prognosis of autism is very diverse. ASD includes autism, and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PDD), including Asperger's syndrome, Rett's Disorder, childhood collapse disorder, and other developmental disorders not otherwise specified (PDD NOS) .
  • PDD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 Autism is a disease that has increased rapidly over the past 20 years. According to the CDC report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Disease Control (CDC) in 2012, the prevalence of autism has already exceeded one per 100 persons. Especially, In the present study, it was reported that 2.64% of children aged 7-12 years have autism or other autistic disorder (Kim et al., Am J Psychiatry 2011 168: 904-912).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4-0074053 discloses a new lactic acid bacterium strain, an edible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a drug and a veterinary product, an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7-0086492 discloses " A method and a composition for improving the autologous categorical disorder, and a method and a composition for improving the autologous categorical disorder, none.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needs. It has been found that when Agatobaculum sp. Strain isolated from the present invention is orally administered to VPA (valproic acid) -induced autism model mous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accomplished by confirming the effect of remarkably improving the autistic spectrum disorder including repetitive behavior of the mouse, hyperactivity, lack of sociality and cognitive-memory dysfunctional behavior.
  • VPA valproic aci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microorganism which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strain of Agathobaculum sp., An endoplasmic reticulum-derived endoplasmic reticulum, a culture of the strain, a concentrate of the culture, a dried product of the culture, There is provided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n autism spectrum disorder comprising one or more kinds of active ingredients.
  •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microorganism which is effective for at least one speci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gathobaculum sp. Strain, Escherichia coli-derived endoplasmic reticulum, culture solution of said strain, concentrate of said culture solution, dried product of said culture solution and extract of said culture solution And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ameliorating an autism spectrum disorder.
  •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microorganism which is effective for at least one speci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gathobaculum sp. Strain, Escherichia coli-derived endoplasmic reticulum, culture solution of said strain, concentrate of said culture solution, dried product of said culture solution and extract of said culture solu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eed additive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ameliorating an autistic categorical disorder
  •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microorganism which is effective for at least one speci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gathobaculum sp. Strain, Escherichia coli-derived endoplasmic reticulum, culture solution of said strain, concentrate of said culture solution, dried product of said culture solution and extract of said culture solu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nimal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n autistic categorical disorder,
  • the intestinal microorganism Agatoba coolum strain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orally administered to VPA (valproic acid) -induced autism model mouse and BTBR autism model mouse.
  • VPA valproic acid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ffectively used as food, medicines or feed for preventing or treating autism spectrum disorders because it exhibits an effect of remarkably improving autism spectrum disorder including memory dysfunctional behavior and is very useful in related industries.
  • FIG. 1 is a result of analyzing repetitive behavior (A) and overactivity (B) behavior of a model mouse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Agatoba coolum SR79 strain isolated in the present invention.
  • VPA means valproic acid treatment
  • Vehicle means untreated control
  • SR means treatment of Agatoba coolum SR79 strain.
  • FIG. 2 shows the result of measuring the time of sniffing behavior with other mice in order to measure the improvement effect of the social behavior of the model mouse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the strain Ag79Baculum SR79 isolated in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btained by observing the sniffing behavior of BTRL mouse with other mice in order to measure the improvement effect of the sociability behavior of the model mouse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Agatoba coolum SR79 strain isolated in the present invention .
  • FIG. 4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improving the cognitive function of a model mouse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the strain Ag79Baculum SR79 isolated in the present invention.
  • A new object search time;
  • B the number of new object searches;
  • C the alteration percent entering the new space in the Y-maze alteration test for the behavioral behavior of the mouse
  • FIG. 5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a new object search time test for the cognitive function improving effect of a BTBR mouse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strain Ag79Baculum SR79 isolated in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gatobaculum sp. Strain, Agrobacterium sp. Strain, a strain derived from the strain, a culture solution of the strain, a concentrate of the culture solution, a dried product of the culture solution,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Agatoba coolum strain may be Agathobacillus butyriciproducens , and preferably Agatoba coolum butyracyprodusense is a mutant strai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ut is not limited to, Agatoba coolum bootisicipuzusense SR79 strain KCTC 13036BP.
  • the Agathobacillus butyriciproducens SR79 strain is an absolute anaerobic microorganism isolated directly from the intestines of a healthy Korean in which the present inventors have isolated a new genus and species other than the previously reported standard strains (Microbiological identification), and the microorganism was named as Agathobacillus butyriciproducens SR79.
  • the strain was accepted as a standard strain for the genus and species of Agathobaculum butyriciproducens , a new scientific name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or, in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Systematic and Evolutionary Microbiology.
  • Agathobacillus butyriciproducens SR79 strain was deposited on June 7, 2016 with the deposit number KCTC 13036BP to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 Agathobacillus butyriciproducens strain SR79 which is a newly isolated microorganism strain, has not been disclosed for the prophylactic or therapeutic use of diseases related to autism categorical disorder and the like. It has been found that there is use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related diseases.
  • the oral administration of the SR79 strain in the valproic acid-induced mouse model showing the behavioral phenotype of the autistic disorder and the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showed that the repetitive (Figure 1A), hyperactivity (Figure 1B), and social deficiency 2 and FIG. 3), and cognitive-memory dysfunction (FIG. 4 and FIG. 5) behavior.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SR79 strain has preventive and therapeutic effect on neurodevelopmental disorders such as autistic spectrum disorder an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autistic cognitive disorder refers to a disorder characterized by autism,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PDD) including Asperger's syndrome, Rett's Disorder, childhood collapse disorder, and PDD NOS And may include any of the symptoms generally reported as a symptom of autism categorical disorder, preferably a condition characterized by hyperactivity, social withdrawal, cognitive-memory dysfunction, and epileptic seizures , And the like.
  • PDD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pre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ny action that inhibits or delays the onset of an autism spectrum disorder by the administration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reatment” Suspicion of categorical disorder and any behavior that alleviates or alleviates symptoms of an onset entity.
  •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suitable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conventionally used in the manufacture of pharmaceutical compositions.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ulated into oral formulations such as powders, granules, tablets, capsules, suspensions, emulsions, syrups and aerosols, external preparations, suppositories and sterilized injection solutions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Can be used.
  • Examples of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that can be included 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maltitol, starch, acacia rubber, alginate, gelatin, calcium phosphate, Various compounds or mixtures including calcium silicate, cellulose, methylcellulos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pyrrolidone, water,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
  • a diluent or excipient such as a filler, an extender, a binder, a wetting agent, a disintegrant, or a surfactant is usually used.
  • Solid formul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capsules and the like, which may contain at least one excipient, such as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lactose, gelatin and the like.
  • lubricants such as magnesium stearate and talc are also used.
  • the liquid preparation for oral use include suspensions, solutions, emulsions, and syrups.
  • Formul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include sterilized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utions, suspensions, emulsions, freeze-dried preparations, and suppositories.
  • the suspending agent include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 such as olive oil, injectable ester such as ethyl oleate, and the like.
  • the suppository base include witepsol, macrogol, tween 61, cacao paper, laurin, glycerogelatin and the like.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in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mean the amount of the comp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effective to prevent or treat a disease at a reasonable benefit / risk ratio applicable to medical prevention or treatment
  • the effective dose level refers to the amount of the effective amount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ffective dose level is determined depending on the severity of the disease, the activity of the drug, the age, body weight, health, sex, sensitivity of the patient to the drug, The duration of the treatment, the factors including the drugs used in combination or concurrently with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used, and other factors well known in the medical field.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as an individual therapeutic agent or in combination with another therapeutic agent, and may be administered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with a conventional therapeutic agent. And can be administered singly or multiply. It is important to take into account all of the above factors and administer an amount that will achieve the maximum effect in the least amount without side effects.
  • the dosag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 example, but is not limited to, administering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mammal, including a human, at 1.0 ⁇ 10 9 CFU per day.
  • the frequency of administration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may be administered once a day or divided into several doses. The dose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any way.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n autistic cognitive disorder, comprising the step of administering to a subject having or susceptible to the onset of an autism- And a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the disease.
  • the composition can be used as an active ingredient of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categorical disorder, so that the composition can be used for preventing or treating an autistic spectrum disorder.
  • the term "individual” of the present invention encompasses, without limitation, mammals, including rats, cattle, humans, etc., who have or are at risk of developing an autism spectrum disorder.
  • the route of administration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an be administered through any conventional route as long as it can reach the target tissue.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can be administered through routes such as oral administration and rectal administration, and may be administered by other routes depending on the purpose.
  • the oral composition should be formulated so as to coat the active agent or protect it from decomposition at the top.
  • the composition may be administered by any device capable of transferring the active agent to the target cell.
  •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of producing an autologous corticosteroid containing an active ingredient, which comprises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strain, the strain derived from the strain, the culture solution of the strain, the concentrated solution of the culture solution, the dried product of the culture solution,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 the Agatoba coolum strain may be Agathobacillus butyriciproducens , and preferably the Agatoba coolum bootisicipseudosense is But are not limited to, the Agatoba coolum bootisicipuzusense SR79 strain with accession number KCTC 13036BP.
  • the above-mentioned "autism spectrum disorder” includes autism, asperger syndrome, Rett's disorder, childhood disability disorder, and PDD NOS (PDD), and may include any symptoms that are generally reported as symptoms of autism-categorical disorder, and preferably include hyperactivity symptoms, social withdrawal symptoms, cognitive- Dyslipidemic disorder, memory dysfunctional behavior, and epileptic seizure symptoms.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Such strains have been described above and may be added to health functional foods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or improving autism spectrum disorders.
  • the strain or a culture thereof may be directly added or used together with other foods or food ingredients, .
  • the amount of the active ingredient to be mixed can be suitab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intended use (prevention, health or therapeutic treatment).
  • the food (or the health functional fo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ingredients that are conventionally added at the time of food production and which ar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 a nutritional supplement a vitamin, an electrolyte, a flavoring agent, a coloring agent, an enhancer, a pectic acid and its salt, an alginic acid and its salt, an organic acid, a protective colloid thickener, a pH adjusting agent, a stabilizer, , Carbonates used in alcohol and carbonated beverag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one or more components may be further contained in citric acid, liquid fructose, sugar, glucose, acetic acid, malic acid, juice, etc. in addition to the strain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amount that can be included as an active ingredient of the food (or health functional f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age, sex, weight, condition, and symptom of the person of the desired food for preventing or improving the autistic spectrum disorder Preferably 0.01 to 10.0 g per day on an adult basis.
  • the ingestion of food having such a content can prevent or ameliorate an autistic categorical disorder.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microorganism prepara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n autistic spectrum disorder comprising culturing the strain.
  • the method for culturing the strai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according to a method commonly used in the art.
  • the microorganism prepara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n autistic spectrum diso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 strain of Agathobaculum sp., Preferably Agathobacillus butyriciproducens strain, as the active ingredient , Can be prepared using Agatoba coolum bootisicipseudosens SR79 strain, the deposit number of which is KCTC 13036BP.
  • the microbial agents for preventing or treating an autistic spectrum diso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as solutions, powders, suspensions, dispersions, emulsions, oily dispersions, pastes, dusts, injections or granul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nomic category comprising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strain, the strain derived from the strain, the culture solution of the strain, the concentrated solution of the culture solution, the dried product of the culture solution and the extract of the culture solution.
  • the strain is as described above and may be added to the feed additive composition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or improving the autistic disorder.
  • the feed addi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an auxiliary feed in the feed control method.
  • feed in the contex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mean any natural or artificial diet, single meal or the like or ingredients of the above formula for eating, ingesting, digesting or suitable for the animal.
  • the kind of the fe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eeds conventionally used in the art can be used.
  • Non-limiting examples of such feeds include vegetable feeds such as cereals, muscle roots, food processing busines logistics, algae, fibers, pharmaceutical buses, oils, fats, pastes or grain by-products; Animal feeds such as proteins, inorganic substances, fats, oils, fats, oils, monocellular proteins, animal plankton or foods.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microorganism which is effective for at least one speci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gathobaculum sp. Strain, Escherichia coli-derived endoplasmic reticulum, culture solution of said strain, concentrate of said culture solution, dried product of said culture solution and extract of said culture solu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nimal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n autistic categorical disorder,
  • composition may preferably be achieved by having the effect of preventing or treating a disorder of autism spectrum, as described above.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used as an animal pharmaceutical composition, the composition may be used as it is or may be used together with other pharmaceutical or quasi-drug components, and may be suitably us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amount of the active ingredient to be mixed can be suitab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intended use (prevention, health, improvement or therapeutic treatment).
  • mice As a test animal, C57BL6 / J mice were used and VPA was administered to pregnant mice. Autologous model mice were orally administered daily at a concentration of 1.0 ⁇ 10 9 CFU to the intestinal microorganism SR79 strain at 3 weeks of age. Behavioral studies related to neurodevelopmental disorders in mice were performed after the week on effects of microbial administration. At this time, 25% glycerol / PBS was orally administered to the vehicle in the same volume as SR79.
  • BTBR T + tf / J (BTBR) mouse model male which is widely used worldwide as an autistic cognitive disorder animal model, is used to infect the intestinal microorganism SR79 strain at a concentration of 1.0 ⁇ 10 9 CFU at 3 weeks
  • behavioral experiments related to the neurodevelopmental diseases of mice were carried out after 4 weeks of microbial administration.
  • 25% glycerol / PBS was orally administered to the vehicle in the same volume as SR79.
  • C57BL6 / J male mice of the same week were used as control mice.
  • FIG. 1 shows the result of analysis of mouse behavior for repetitive (A) and overactive (B) mice.
  • the number of repeated grooming behavio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d.
  • the group receiving the SR79 strain in the VPA-treated group showed a marked decrease in repetitive behavior (A, p ⁇ 0.01).
  • the analysis of the overactive behavior of the mic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aring behavior of the mice showed that the overactive behavior in VPA-treated mice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SR79 administration (B, p ⁇ 0.01).
  • FIG. 2 is a graph showing the time of observation of the sniffing behavior with other mice to measure the social behavior of the mouse. It was confirmed that the reduced social behavior of the VPA-treated mic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SR79 administration (## p ⁇ 0.01).
  • FIG. 3 also shows that sniffing behavior with other mice was measured in BTBR mice to observe social behavior of mice, and it was found that sniffing behaviors of sniffing behaviors (sniffing behavior) behavior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SR79 administration (#p ⁇ 0.05).
  • FIG. 4 is a test of the cognitive function improving effect of a mouse.
  • a novel object recognition test was used to test cognitive memory of a new object when a new object was provided with the present object.
  • This new object recognition learning memory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VPA-treated mice, and this cognitive learning memory was significantly improved by SR79 (A, new object search time; B, new object search Number of times, ## p ⁇ 0.01).
  • the Y-maze alteration test for the mouse's behavioral behavior measured the percentage of alteration entering the new space ( Figure 4C), and the reduction in working memory by VPA administr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the SR79 strain (# p < 0.05).
  • FIG. 5 shows that the cognitive function improving effect of the BTBR mouse was tested by measuring a new object search time,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SR79 strain improved significantl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r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폐 범주성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지는 아가토바쿨룸 속 균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장내 미생물 아가토바쿨룸 속 균주는 VPA(valproic acid) 유도성 자폐증 모델 마우스 및 BTBR 자폐증 모델 마우스에 경구투여한 결과, 비처리 대조구에 비해 마우스의 반복적 행동, 과활동성, 사회성 결핍 및 인지-기억 기능 장애 행동을 포함한 자폐 범주성 장애를 현저히 개선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자폐 범주성 장애의 예방이나 치료를 위한 식품, 의약품 또는 사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어, 관련 산업에 매우 유용하다.

Description

아가토바쿨룸 속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폐 범주성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본 발명은 아가토바쿨룸 속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폐 범주성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자폐증은 사회적 상호작용의 장애, 상동적 행동 및 관심 범위의 제한,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장애를 주 증상으로 하는 뇌 발달 장애이다. 자폐증은 보통 3세 이하에 시작되고 진단될 수 있으며 발달의 광범위한 범주에 영향을 주는 질환이므로 대체로 일생 동안 기능의 이상이 계속되어 환자 본인과 가족에게 심각한 고통을 초래하는 질환으로 의학적 및 사회적 손실비용이 매우 큰 질환이다. 최근에는 자폐의 정도와 예후가 매우 다양함을 강조하여 과거 사용되던 자폐증의 진단명을 자폐 범주성 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로 수정한 용어를 사용한다. 자폐 범주성 장애(ASD)에는 자폐증을 비롯하여 아스퍼거 증후군, Rett's Disorder, 아동기 붕괴성 장애, 달리 분류되지 않는 전반적 발달장애(PDD NOS) 등을 포함하는 전반적 발달장애(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PDD)이 포함된다.
자폐증은 최근 약 20여년 간에 걸쳐 그 유병률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질환으로 2012년 미국 질병 관리국 CDC 보고에 의하면 자폐증의 유병률은 100명당 1명을 이미 넘어선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한국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한 역학 연구에서는 유병율이 매우 높아, 7~12세 아동의 2.64%가 자폐증 또는 기타 자폐 범주성 장애를 갖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Kim et al., Am J Psychiatry 2011 168:904-912).
최근 연구 결과들은 장내 미생물이 사람의 장 건강 및 장 질환은 물론이고 뇌기능 조절 및 뇌질환의 발병 등에 적극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 그러나 장내 미생물인 신규한 아가토바쿨룸 부트리시프로두센스(Agathobaculum butyriciproducens) SR79 균주에 의한 자폐 범주성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효과에 대한 영향은 알려진 바 없다.
한편, 한국공개특허 제2004-0074053호에서는 '새로운 젖산균 균주, 이를 함유하는 식용 조성물, 약물 및 수의학적 제품'에 대해 개시하고 있고, 한국공개특허 제2017-0086492호에서는 '신경발달 장애에서의 행동을 개선시키기 위한 박테리아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자폐 범주성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지는 아가토바쿨룸 속 균주 및 이의 용도'에 대해서는 밝혀진 바가 전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분리한 아가토바쿨룸(Agathobaculum sp.) 속 균주를 VPA(valproic acid) 유도성 자폐증 모델 마우스에 경구투여한 결과, 비처리 대조구에 비해 마우스의 반복적 행동, 과활동성, 사회성 결핍 및 인지-기억 기능 장애 행동을 포함한 자폐 범주성 장애를 현저히 개선시키는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가토바쿨룸 속(Agathobaculum sp.) 균주, 상기 균주 유래 소포체, 상기 균주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 및 상기 배양액의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폐 범주성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가토바쿨룸 속(Agathobaculum sp.) 균주, 상기 균주 유래 소포체, 상기 균주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 및 상기 배양액의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폐 범주성 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가토바쿨룸 속(Agathobaculum sp.) 균주, 상기 균주 유래 소포체, 상기 균주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 및 상기 배양액의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폐 범주성 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가토바쿨룸 속(Agathobaculum sp.) 균주, 상기 균주 유래 소포체, 상기 균주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 및 상기 배양액의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폐 범주성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동물의약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장내 미생물 아가토바쿨룸 속 균주는 VPA(valproic acid) 유도성 자폐증 모델 마우스 및 BTBR 자폐증 모델 마우스에 경구투여한 결과, 비처리 대조구에 비해 마우스의 반복적 행동, 과활동성, 사회성 결핍 및 인지-기억 기능 장애 행동을 포함한 자폐 범주성 장애를 현저히 개선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자폐 범주성 장애의 예방이나 치료를 위한 식품, 의약품 또는 사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어, 관련 산업에 매우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분리한 아가토바쿨룸 속 SR79 균주 처리에 따른 모델 마우스의 반복적인 행동(A) 및 과활동성(B) 대한 행동을 분석한 결과이다. VPA는 발프로산(valproic acid) 처리를 의미하고, Vehicle는 비처리 대조구이고, SR은 아가토바쿨룸 속 SR79 균주 처리를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분리한 아가토바쿨룸 속 SR79 균주 처리에 따른 모델 마우스의 사회성 행동의 개선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다른 마우스와의 상호작용 행동(sniffing behavior)을 관찰하여 시간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분리한 아가토바쿨룸 속 SR79 균주 처리에 따른 모델 마우스의 사회성 행동의 개선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BTBR 마우스를 이용하여 다른 마우스와의 상호작용 행동(sniffing behavior)을 관찰하여 시간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분리한 아가토바쿨룸 속 SR79 균주 처리에 따른 모델 마우스의 인지기능 개선 효과를 테스트 결과이다. A, 새로운 물체 탐색 시간; B, 새로운 물체 탐색 횟수; C, 마우스의 작업행동에 대한 Y-maze alteration test에서 새로운 공간으로 들어가는 alteration 퍼센트
도 5는 본 발명에서 분리한 아가토바쿨룸 속 SR79 균주 처리에 따른 BTBR 마우스의 인지기능 개선 효과를 새로운 물체 탐색 시간을 측정하여 테스트한 결과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가토바쿨룸 속(Agathobaculum sp.) 균주, 상기 균주 유래 소포체, 상기 균주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 및 상기 배양액의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폐 범주성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균주에서, 상기 아가토바쿨룸 속 균주는 아가토바쿨룸 부트리시프로두센스(Agathobaculum butyriciproducens)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가토바쿨룸 부트리시프로두센스는 기탁번호가 KCTC 13036BP인 아가토바쿨룸 부트리시프로두센스 SR79 균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아가토바쿨룸 부트리시프로두센스(Agathobaculum butyriciproducens) SR79 균주는 본 발명자가 건강한 한국인 장내에서 직접 분리한 절대혐기성 미생물로서 기존에 보고된 표준균주와는 다른 새로운 속(Genus) 및 종(Species)으로 분류되는 신규 미생물임을 분자생물학적, 생리/생화학적 미생물 동정방법으로 확인하였고, 이의 미생물명을 아가토바쿨룸 부트리시프로두센스(Agathobaculum butyriciproducens) SR79로 제안하였는데, 본 발명에서 분리한 SR79 균주에 대해서는 본 발명자가 제안한 새로운 학명인 아가토바쿨룸 부트리시프로두센스(Agathobaculum butyriciproducens)에 대한 속 및 종에 대한 표준균주로 국제저널 (International Journal of Systematic and Evolutionary Microbiology)에서 수락하였다.
또한, 상기 아가토바쿨룸 부트리시프로두센스(Agathobaculum butyriciproducens) SR79 균주를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 기탁번호가 KCTC 13036BP로 2016년 6월 7일자로 기탁하였다.
신규 분리 미생물 균주인 아가토바쿨룸 부트리시프로두센스(Agathobaculum butyriciproducens) SR79 균주는 자폐 범주성 장애 관련 질환 등의 예방 또는 치료의 용도에 대해 개시된 바는 없으며, 본 발명자들에 의해 최초로 자폐 범주성 장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의 용도가 있음이 규명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자폐 범주성 장애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행동 표현형을 보이는 발프로산 유도 마우스 모델에서 SR79 균주의 경구 투여가 마우스의 반복적 행동(도 1A)와 과활동성(도 1B), 사회성 결핍(도 2 및 도 3), 인지-기억 기능 장애(도 4 및 도 5) 행동을 현저히 개선시키는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SR79 균주가 자폐 범주성 장애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등 신경발달 질환의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자폐 범주성 장애"는 자폐증을 비롯하여 아스퍼거 증후군, Rett's Disorder, 아동기 붕괴성 장애, 달리 분류되지 않는 전반적 발달장애(PDD NOS) 등을 포함하는 전반적 발달장애(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PDD)를 포함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자폐 범주성 장애의 증상으로서 보고된 증상이라면 어느 것이든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과잉행동 증상, 사회성 결여 증상, 인지-기억 기능 장애 행동 및 간질성 경련 증상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증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자폐 범주성 장애의 발병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고, "치료"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자폐 범주성 장애의 의심 및 발병 개체의 증상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약학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약학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포함한 다양한 화합물 혹은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균주 또는 상기 균주 유래 소포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용어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의학적 예방 또는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질환의 중증도, 약물의 활성,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성별, 환자의 약물에 대한 민감도, 사용된 본 발명 조성물의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사용된 본 발명의 조성물과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을 사람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에 하루 동안 1.0Х109 CFU로 투여하는 것이 좋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 빈도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1일 1회 투여하거나 또는 용량을 분할하여 수회 투여할 수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자폐 범주성 장애가 발병될 가능성이 있거나 또는 발병된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폐 범주성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상기 장내 미생물 SR79 균주, 상기 균주 유래 소포체, 상기 균주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 및 상기 배양액의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은 자폐 범주성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 조성물은 자폐 범주성 장애를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개체"란 자폐 범주성 장애가 발병될 가능성이 있거나 또는 발병된 쥐, 가축, 인간 등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을 제한 없이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자폐 범주성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도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경구 투여, 직장내 투여 등의 경로를 통해 투여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목적에 따라 다른 경로로도 투여될 수 있다. 다만, 경구 투여 시에는 위산에 의하여 상기 장내 미생물 SR79 균주가 변성될 수 있기 때문에 경구용 조성물은 활성 약제를 코팅하거나 위에서의 분해로부터 보호되도록 제형화 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활성 물질이 표적 세포로 이동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 상기 균주 유래 소포체, 상기 균주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 및 상기 배양액의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폐 범주성 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서, 상기 아가토바쿨룸 속 균주는 아가토바쿨룸 부트리시프로두센스(Agathobaculum butyriciproducens)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가토바쿨룸 부트리시프로두센스는 기탁번호가 KCTC 13036BP인 아가토바쿨룸 부트리시프로두센스 SR79 균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서, 상기 "자폐 범주성 장애"는 자폐증을 비롯하여 아스퍼거 증후군, Rett's Disorder, 아동기 붕괴성 장애, 달리 분류되지 않는 전반적 발달장애(PDD NOS) 등을 포함하는 전반적 발달장애(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PDD)를 포함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자폐 범주성 장애의 증상으로서 보고된 증상이라면 어느 것이든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과잉행동 증상, 사회성 결여 증상, 인지-기억 기능 장애 행동 및 간질성 경련 증상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증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균주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으며, 자폐 범주성 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건강기능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본 발명의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 등을 건강기능식품 조성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그 사용 목적 (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또는 건강기능식품)은,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고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증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및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함유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음료수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균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등에서 하나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또는 건강기능식품)의 유효성분으로 포함될 수 있는 양은 자폐 범주성 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을 원하는 사람의 연령, 성별, 체중, 상태, 질병의 증상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성인기준 1일 0.01 g 내지 10.0 g 정도로 포함되는 것이 좋으며, 이러한 함량을 갖는 식품을 섭취함으로써 자폐 범주성 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폐 범주성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미생물 제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균주를 배양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방법에 따라 배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폐 범주성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미생물 제제는 유효성분으로서 아가토바쿨룸 속(Agathobaculum sp.) 균주, 바람직하게는 아가토바쿨룸 부트리시프로두센스(Agathobaculum butyriciproducens) 균주, 가장 바람직하게는 기탁번호가 KCTC 13036BP인 아가토바쿨룸 부트리시프로두센스 SR79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폐 범주성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미생물 제제는 용액, 분말, 현탁액, 분산액, 에멀젼, 유성 분산액, 페이스트, 분진, 분사제 또는 과립제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상기 균주, 상기 균주 유래 소포체, 상기 균주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 및 상기 배양액의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자폐 범주성 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균주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으며, 자폐 범주성 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사료첨가제 조성물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는 사료관리법상의 보조사료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사료"는 동물이 먹고, 섭취하며, 소화시키기 위한 또는 이에 적당한 임의의 천연 또는 인공 규정식, 한끼식 등 또는 상기 한끼식의 성분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사료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료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곡물류, 근과류, 식품 가공 부산물류, 조류, 섬유질류, 제약 부산물류, 유지류, 전분류, 박류 또는 곡물 부산물류 등과 같은 식물성 사료; 단백질류, 무기물류, 유지류, 광물성류, 유지류, 단세포 단백질류, 동물성 플랑크톤류 또는 음식물 등과 같은 동물성 사료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아가토바쿨룸 속(Agathobaculum sp.) 균주, 상기 균주 유래 소포체, 상기 균주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 및 상기 배양액의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폐 범주성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동물의약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자폐 범주성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짐으로써 달성되는 것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동물의약품 조성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다른 의약품 또는 의약외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개선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동물모델과 SR79 균주 투여
실험동물로서, C57BL6/J 마우스를 사용하였으며 임신마우스에 VPA를 투여하여 태어난 자폐증 모델 수컷 마우스에 대해 생후 3주부터 장 유래 미생물 SR79 균주를 1.0 × 109 CFU 농도로 매일 경구로 투여하고 미생물 투여 4주 이후부터 미생물 투여에 대한 영향을 마우스의 신경발달 질환에 관련된 행동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때, 대조군(vehicle)에는 25% 글리세롤/PBS를 SR79와 동일 부피로 경구 투여하였다.
또한, 자폐 범주성 장애 동물모델로는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inbred BTBR T+tf/J (BTBR) 마우스 모델 수컷을 사용하여 생후 3주부터 장 유래 미생물 SR79 균주를 1.0 × 109 CFU 농도로 매일 경구로 투여하고 미생물 투여 4주 이후부터 미생물 투여에 대한 영향을 마우스의 신경발달 질환에 관련된 행동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때, 대조군 (vehicle)에는 25% 글리세롤/PBS를 SR79와 동일 부피로 경구투여 하였다. 이때, 대조군 마우스는 동일 주령의 C57BL6/J 수컷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 마우스의 반복적행동과 과활동성 분석
도 1은 마우스의 반복적인 행동(A) 및 과활동성(B) 대한 마우스의 행동을 분석한 결과이다. VPA 투여 마우스는 grooming 행동을 반복적으로 하는 횟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으나 VPA 투여 그룹에 SR79 균주를 먹인 그룹은 반복적인 행동이 현저히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A, ##p <0.01). 또한, 마우스의 rearing 행동 분석을 통해 마우스의 과활동성 행동을 분석한 결과에서도 VPA 투여 마우스에서 나타나는 과활동성 행동이 SR79 투여에 의해 의미있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B, ##p <0.01).
실시예 2. 마우스의 사회성행동 분석
도 2는 마우스의 사회성 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다른 마우스와의 상호작용 행동(sniffing behavior)을 관찰하여 시간을 측정한 것으로 VPA 투여 마우스의 감소된 사회성 행동이 SR79 투여에 의해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p <0.01).
또한, 도 3은 마우스의 사회성 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다른 마우스와의 상호작용 행동(sniffing behavior)을 관찰하여 시간을 BTBR 마우스에서 측정한 것으로 대조군인 C57BL6/J 마우스에 비해 감소된 상호작용 행동(sniffing behavior)이 SR79 투여에 의해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p <0.05).
실시예 3. 마우스의 인지기억력 테스트
도 4는 마우스의 인지기능 개선 효과를 테스트한 것으로 이전에 본 물체와 함께 새로운 물체를 제공하였을 때 새로운 물체에 대한 인지기억력을 테스트하는 novel object recognition test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새로운 물체 인지 학습 기억력이 VPA 투여 마우스에서 현저히 감소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인지학습 기억력은 SR79 균주 투여에 의해 의미있게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A, 새로운 물체 탐색 시간; B, 새로운 물체 탐색 횟수, ##p <0.01). 또한 마우스의 작업행동에 대한 Y-maze alteration test에서 새로운 공간으로 들어가는 alteration 퍼센트를 측정한 결과(도 4C), VPA 투여에 의한 작업기억력 감소가 SR79 균주 투여에 의해 의미있게 증가하는 것을 관찰하였다(#p <0.05). 또한, 도 5는 BTBR 마우스의 인지기능 개선 효과를 새로운 물체 탐색 시간을 측정하여 테스트한 것으로, SR79 균주 투여에 의해 의미있게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Figure PCTKR2018015755-appb-I000001

Claims (9)

  1. 아가토바쿨룸 속(Agathobaculum sp.) 균주, 상기 균주 유래 소포체, 상기 균주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 및 상기 배양액의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폐 범주성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가토바쿨룸 속 균주는 아가토바쿨룸 부트리시프로두센스(Agathobaculum butyriciproducen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 범주성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가토바쿨룸 부트리시프로두센스는 기탁번호가 KCTC 13036BP인 아가토바쿨룸 부트리시프로두센스 SR79 균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 범주성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폐 범주성 장애는 반복적 행동, 과활동성, 사회성 결핍 또는 인지-기억 기능 장애 행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 범주성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아가토바쿨룸 속(Agathobaculum sp.) 균주, 상기 균주 유래 소포체, 상기 균주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 및 상기 배양액의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폐 범주성 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아가토바쿨룸 속 균주는 아가토바쿨룸 부트리시프로두센스(Agathobaculum butyriciproducen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 범주성 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아가토바쿨룸 부트리시프로두센스는 기탁번호가 KCTC 13036BP인 아가토바쿨룸 부트리시프로두센스 SR79 균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 범주성 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8. 아가토바쿨룸 속(Agathobaculum sp.) 균주, 상기 균주 유래 소포체, 상기 균주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 및 상기 배양액의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폐 범주성 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첨가제 조성물.
  9. 아가토바쿨룸 속(Agathobaculum sp.) 균주, 상기 균주 유래 소포체, 상기 균주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 및 상기 배양액의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폐 범주성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동물의약품 조성물.
PCT/KR2018/015755 2017-12-12 2018-12-12 아가토바쿨룸 속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폐 범주성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9117616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772,255 US11607433B2 (en) 2017-12-12 2018-12-12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autism spectrum disorders including Agathobaculum sp. strain as active ingredient
EP18889101.4A EP3725320B1 (en) 2017-12-12 2018-12-12 Composition comprising agathobaculum sp. strain as effective ingredient for prevention, alleviation, or treatment of autism spectrum disor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0076A KR102218992B1 (ko) 2017-12-12 2017-12-12 아가토바쿨룸 속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폐 범주성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17-0170076 2017-12-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17616A1 true WO2019117616A1 (ko) 2019-06-20

Family

ID=66819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15755 WO2019117616A1 (ko) 2017-12-12 2018-12-12 아가토바쿨룸 속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폐 범주성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607433B2 (ko)
EP (1) EP3725320B1 (ko)
KR (1) KR102218992B1 (ko)
WO (1) WO20191176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9830B1 (ko) * 2016-06-14 2017-11-2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지는 아가토바쿨룸 속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340392B1 (ko) * 2018-10-08 2021-12-17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우울증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지는 장내 미생물 및 이의 용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4053A (ko) 2001-12-21 2004-08-21 악티알 파마수티카 엘디에이. 새로운 젖산균 균주, 이를 함유하는 식용 조성물, 약물 및수의학적 제품
JP2016084352A (ja) * 2009-10-09 2016-05-19 プロセラ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自閉症スペクトル障害と診断されたヒトにおいて自閉症スペクトル障害に関連する少なくとも一つの症状を低減するための、ペディオコッカス属を含む組成物及び方法
KR20170086492A (ko) 2014-10-30 2017-07-26 캘리포니아 인스티튜트 오브 테크놀로지 신경발달 장애에서의 행동을 개선시키기 위한 박테리아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방법
KR20170118828A (ko) * 2015-02-19 2017-10-25 인베스트먼트 사 노이샤텔 장내 미생물군에 의해 생산되는 치료 및 예방 조성물
KR101799830B1 (ko) * 2016-06-14 2017-11-2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지는 아가토바쿨룸 속 균주 및 이의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848757C (en) 2011-09-14 2021-11-09 University Of Guelph Methods to culture human gastrointestinal microorganism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4053A (ko) 2001-12-21 2004-08-21 악티알 파마수티카 엘디에이. 새로운 젖산균 균주, 이를 함유하는 식용 조성물, 약물 및수의학적 제품
JP2016084352A (ja) * 2009-10-09 2016-05-19 プロセラ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自閉症スペクトル障害と診断されたヒトにおいて自閉症スペクトル障害に関連する少なくとも一つの症状を低減するための、ペディオコッカス属を含む組成物及び方法
KR20170086492A (ko) 2014-10-30 2017-07-26 캘리포니아 인스티튜트 오브 테크놀로지 신경발달 장애에서의 행동을 개선시키기 위한 박테리아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방법
KR20170118828A (ko) * 2015-02-19 2017-10-25 인베스트먼트 사 노이샤텔 장내 미생물군에 의해 생산되는 치료 및 예방 조성물
KR101799830B1 (ko) * 2016-06-14 2017-11-2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지는 아가토바쿨룸 속 균주 및 이의 용도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HN, S.: "Agathobaculum butyriciproducens gen. nov. sp. nov., a strict anaerobic, butyrate-producing gut bacterium isolated from human faeces and reclassification of Eubacterium desmolans as Agathobaculum desmolans comb. nov", INTERNATIONAL JOURNAL OF SYSTEMATIC AND EVOLUTIONARY MICROBIOLOGY, vol. 66, no. 9, 2016, pages 3656 - 3661, XP055450815, DOI: 10.1099/ijsem.0.001195 *
KIM ET AL., AM J PSYCHIATRY, vol. 168, 2011, pages 904 - 912
See also references of EP3725320A4
VOGT, N. M.: "Gut microbiome alterations in Alzheimer's disease", SCIENTIFIC REPORTS, vol. 2017, no. 13537, 19 October 2017 (2017-10-19), pages 1 - 11, XP002788023, DOI: 10.1038/s41598-017-13601-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93678A1 (en) 2021-04-01
EP3725320B1 (en) 2024-02-21
KR20190069797A (ko) 2019-06-20
EP3725320C0 (en) 2024-02-21
KR102218992B1 (ko) 2021-02-23
EP3725320A4 (en) 2021-12-15
EP3725320A1 (en) 2020-10-21
US11607433B2 (en) 2023-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5581B2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reducing feces toxins and treating digestive disorders
WO2019199094A1 (ko)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지는 신규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균주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및 이의 용도
US11542468B2 (en) Agathobaculum sp. strain having prophylactic or therapeutic effects on degenerative brain diseases and use thereof
KR101800632B1 (ko)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이의 배양액 또는 이의 사균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감퇴, 약화 및 근위축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식품첨가제
JP2021503293A (ja) 新規乳酸菌及びその用途
WO2021132879A1 (ko) 한국인 영유아 유래 신규한 비피도박테리움 애니멀리스 락티스 lm1017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18043864A1 (ko) 탈모 예방, 발모 촉진 또는 성기능 개선능이 있는 류코노스톡 홀잡펠리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WO2019117616A1 (ko) 아가토바쿨룸 속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폐 범주성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Elmusharaf et al. Effect of a mannanoligosaccharide preparation on Eimeria tenella infection in broiler chickens
WO2020149647A1 (ko) 페디오코쿠스 이노피나투스를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0076043A1 (ko) 우울증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지는 장내 미생물 및 이의 용도
KR102104921B1 (ko) 항콕시듐 활성을 갖는 식물 부분 및 추출물
WO2017086608A1 (ko) 수용성 이온화칼슘 및 프락토올리고당 복합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 및 관절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070036872A1 (en) Alpha-glucosidase activity inhibitor
EP3789023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ognitive disorder-associated diseases, containing mumefural
CN110691599B (zh) 使用脂多糖的脑功能改善剂、食品和药品
WO2022097764A1 (ko) 프레가발린 및 티아넵틴을 포함하는 신경병성 통증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5122728A1 (ko) 고련피 추출물 또는 수염가래꽃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결핵의 치료 및 예방용 항결핵 조성물
WO2020122373A1 (ko) 자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9156335A1 (ko) 아위버섯의 추출물 또는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간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WO2022131776A1 (ko) 돌배 추출물 또는 돌배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2108392A1 (ko) 비피도박테리움 속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경화증에 대한 테라그노시스용 조성물
WO2014038878A2 (ko) 머스크랫의 사향을 함유하는 뇌신경세포 보호 및 뇌질환 예방, 완화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00048A (ko) 체불라닌을 포함하는 인지장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4106716A1 (ko) 2&#39;-푸코실락토오스를 포함하는 치매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8910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8889101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00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