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156335A1 - 아위버섯의 추출물 또는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간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 Google Patents

아위버섯의 추출물 또는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간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156335A1
WO2019156335A1 PCT/KR2018/016004 KR2018016004W WO2019156335A1 WO 2019156335 A1 WO2019156335 A1 WO 2019156335A1 KR 2018016004 W KR2018016004 W KR 2018016004W WO 2019156335 A1 WO2019156335 A1 WO 201915633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liver
fatty liver
powder
pharmaceutical composition
health 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1600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태훈
김재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노바셀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노바셀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노바셀테크놀로지
Publication of WO201915633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15633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8Fungi extrac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fatty liver diseas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supportive liver disease containing an extract or powder of awi mushroom as an active ingredient and a health functional food for improving liver function.
  • Fatty liver is a non-health condition that describes the fat content of the human liver in excess of 5% and is known to be caused by a number of complex causes, but it is largely associated with alcoholic fatty liver caused by heavy drinking and other alcohol-induced etiologies. It can be divided into fatty liver.
  • alcoholic steatohepatitis which is a fatty liver caused by drinking, is one of the most serious diseases of liver disease, the second most serious cause of death among the adult population in developed countries in their 40s and 50s. It was reported in 2009 as 32% on an adult basis.
  •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is a disease in which triglycerides accumulate in the liver regardless of alcohol consumption. It is recognized as a leading disease causing, and its meaning is very large. In particular, major adult diseases such as obesity, insulin-resistant diabetes and hyperlipidemia are recognized as risk factors, and active control and treatment are required (Jonathan et al., Metabolism. 65: 1096-1108, 2016).
  •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7-0084796 discloses an alcoholic fatty liver improvement, treatment or prevention composition comprising pine mushroom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a number of problems, including the above problems,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fatty liver disease containing the extract or powder of Awi mushroom, which is excellent in treating the fatty liver and has no side effects as an active ingredient.
  • problems are exemplary,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by.
  •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fatty liver disease which comprises an extract or powder of Pleurotus eryngii var.ferulea as an active ingredient.
  • a dietary supplement for improving or preventing fatty liver which contains an extract or powder of Pleurotus eryngii var. Ferulea as an active ingredient.
  • a method for treating fatty liver disease comprising administering to a subject an extract or powder of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Pleurotus eryngii var. Ferulea.
  •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fatty liver disease containing an extract or powder of Awi mushroom as an active ingredient, which shows excellent therapeutic efficacy without distinguishing alcoholic or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nd has no side effects.
  • the production effect of can be realized.
  •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ffects.
  • FIG. 1 is a photograph observing the effect of reducing the accumulation of fat in the liver after administration of Awi mushroom powder in a mouse animal model.
  • Figure 2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triglycerides in the liver of the normal diet group, high fat diet group and awi mushroom diet gro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graph recording the weight change in the dietary process of the diet diet group, high fat diet group and Awi mushroom diet gro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chedule for the alcoholic fatty liver improvement efficacy test administered to the mouse animal model of the extract Awi mushroom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graph analyzing the triglyceride content of the mouse liver pulverized after administration of the extract of the awiss mushroom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mouse animal model.
  • Figure 6 is a microscopic picture of the accumulation of triglycerides by staining the liver tissue of the mouse after administration of the extract of Awi mushroom in the mouse animal model.
  • Pleurotus eryngii var. Ferulea is a type of fungi of the fungus Pleurotus eryngii var. Ferulea, which has a white bag with a brown flat fungus.
  • the diameter of the yeast is 5 ⁇ 15cm, almost flat in hemispherical shape, and later enters the center slightly.
  • the surface is initially brown to light brown, shining and smooth. When they get old, they split up and form a turtle-like passage. It has a similar texture to Pleurotus eryngii and can be used as a substitute crop.
  • alcoholic steatohepatitis refers to a disease in which fat accumulates in the liver due to increased fatty acid biosynthesis or reduced degradation or excretion through oxidation, and various gene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associated with alcohol consumption. It is caused by the cause. If alcohol consumption persists, it can develop into liver diseases such as alcoholic hepatitis, cirrhosis and cirrhosis, along with liver dysfunction.
  •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refers to a disease in which triglycerides accumulate in the liver depending on genetic, environmental, and lifestyle causes, regardless of alcohol consumption.
  • Liver disease is recognized as a leading disease that causes cirrhosis or liver cancer, and its meaning is very significant. There are various causes, but major adult diseases such as obesity, insulin resistant diabetes and hyperlipidemia are recognized as risk factors.
  •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fatty liver disease which comprises an extract or powder of Pleurotus eryngii var. Ferulea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fatty liver disease may be alcoholic or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nd the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may be nonalcoholic fatty liver,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or nonalcoholic fatty liver associated cirrhosis.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ministered through oral or parenteral administration, more preferably oral administr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parenteral administration it is possible to administer via various routes such as intravenous injection, intranasal inhalation, intramuscular administration,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transdermal absorption, and the like.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liver diseas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at a dose of 0.1 mg / kg to 1 g / kg, more preferably at a dosage of 1 mg / kg to 600 mg / kg.
  • the dosage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age, sex and condition of the patient.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liver disease may be formulated into various formulations, which may be prepared by pouring into a retort pouch and dried by a method such as hot air drying or lyophilization, followed by powder, pills, and capsules. It may be formulated in a formulation such as, or may be formulated in a jelly form by mixing with a gelling component such as gelatin. Any known formulation commonly used in the manufacture of pharmaceutical preparations can be used.
  • one or mor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may be used in the preparation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carriers may be used in various conventional organic or intangible carriers such as excipients, lubricants, binders and Disintegrants, liquid preparations include solvents, solubilizers, suspending agents, isotonic agents, buffers and soothing agents.
  • additives such as conventional preservatives, antioxidants, colorants, sweeteners, adsorbents, wetting agents and the like may be appropriately used in appropriate amounts.
  • a dietary supplement for improving liver function which contains an extract or powder of Pleurotus eryngii var.ferulea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level of triglyceride in the liver may be lowered and the indicator indicating liver health may be improved, and the indicator indicating liver health may be ALT, AST, and ALP.
  • the health functional food it may be effective to improve and prevent fatty liver and the health functional food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oods, drinks, gum, tea and vitamin complexes.
  • the health functional food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capsule, tablets, powder, granules, liquid, pill, flaky, paste, syrup, gel, jelly, or bar-type formulations, and various formulations suitable for health functional food,
  • formulations such as milk preparations, drink preparations, powders, pills, capsules, tablets (coated tablets, dragees, sublingual tablets), jelly, and the like may be used.
  • a method for treating fatty liver disease comprising administering to a subject an extract or powder of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Pleurotus eryngii var. Ferulea.
  • Pleurotus eryngii var.ferulea Is a strain of birds and the English name is Ferula Oyster Mushroom, which is interpreted as oyster oyster mushroom. It grows wild in the Awi tree of Xinjiang province, which is the dry area of China, and its growth temperature is 8 ⁇ 20 °C, suitable for spring and autumn cultivation in Korea. It is known as a medicinal plant that is effective in relieving coughs and inflammation, and is effective in gastrointestinal diseases.
  •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studying the various fat metabolic diseases of the above-mentioned mushrooms, mouse extract 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by confirming the effect of improving fatty liver, and since Awi mushroom extract or Awi mushroom pow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reatly improved the symptoms of fatty liver without significant change in weight, It is expected that the therapeutic effect of fatty liver caused by various causes such as alcoholic fatty liver or non-alcoholic fatty liver without obesity is expected. Considering that it did not exist, the resul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very encouraging.
  • Pleurotus eryngii var.ferulea (Pf.) was cut into pieces or pieces, and then dried or cold-dried to prepare dried mushrooms having a weight reduced to about 1/10.
  • Coarse powder was prepared using a speed mill and the like, which was used for preparation or direct administration of the extract.
  • Pleurotus eryngii var. Ferulea (Pf.) Powder prepared in Example 1 was placed in a bag or extraction container made of gauze, and 50 g of water was mixed as an extraction solvent per 1 g of the powder, followed by 24 at 37 ° C. The supernatant of the shaker was centrifuged at 2500 rpm for 10 minutes and then the filtered supernatant was collected and used as a test material.
  • the present inventors prepared a high fat diet-induced mouse animal model to observe the fatty liver improvement effect of the above-mentioned mushroom mushroom powder.
  • obese and fatty liver model animals were prepared by supplying a C57BL / 6 male mouse with a high-fat diet of 60% of total calories from 8 weeks of age to 8 weeks or more as an experimental animal.
  • Experimental groups were classified by using a randomized block design for mice whose body weight was 40 g or more, in which obesity was sufficiently induced, and weight gain no longer occurred rapidly.
  • Awi mushroom administration group was formulated in a high-fat diet awi mushroom powder prepared in Example 1 in the amount of 0.4 ⁇ 0.8% and the control group was fed the same amount of casein (casein) to adjust the weight and calories for 8 weeks.
  • the intake of Awi mushrooms is about 5-20 mg / head / day based on weight (25-40 g) based on a daily diet of 2.5 g.
  • the animal feeding room temperature was maintained at 22 ⁇ 1 ° C. and the illumination was controlled at a 12 hour period (08; 00-20; 00).
  • mice that did not induce obesity and fatty liver through a general diet were used.
  • the present inventors extracted liver tissues from the experimental animals (general diet group, high fat diet group, and agaric mushroom feeding group) that performed the experiment in Experimental Example 1 to confirm the degree of fatty liver symptoms.
  • mice were sacrificed after completing the dietary experiment of Experimental Example 1, the liver tissues were extracted and photographed, while cryosections were prepared and micrographs were taken (FIG. 1).
  • liver tissues prepared from the livers extracted from the animals were placed in a 5% NP-40 solution and homogenized.
  • the homogenized liver tissue was slowly heated in a water bath at 80-100 ° C. for about 2-5 minutes and then cooled slowly at room temperature. Thereafter, heating and cooling were repeated to allow the triglyceride to dissolve well in the tissue. Thereafter, the solution was centrifuged for 2 minutes at a speed of 12,000 rpm or more and the triglyceride content was measured using the supernatant.
  • Triglycerides were used in serum triglyceride quantification kit (Sigma, USA).
  • the present inventors measured blood concentrations of ALT, AST, and ALP in blood, which are indicators of liver function, by using an automated measuring device (Fuji, Japan) after collecting blood from experimental animals that were tested in Experimental Example 1.
  • the present inventors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lcoholic fatty liver improvement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on of Awi mushroom extract using an 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mouse model.
  • the experimental animal model was autonomously fed with a liquid diet compliance period for 5 days in male C57BL / 6 mice of 9 weeks old, and the EtOH experimental group was supplied with 10% by adding 5% EtOH to the liquid diet.
  • the EtOH + Awi mushroom complex experimental group was supplied with 5% EtOH added to the liquid diet and then mixed with Awi mushroom powder and water once a day for 10 days (600 mg / kg / day). Only the liquid diet with the added maltose corresponding to the level was fed.
  • On day 11 the last day of the end of the experiment, 5 g / kg of EtOH was supplied by oral administration (explosion), and 9 hours later, mice were sacrificed to remove liver tissue (FIG. 4). Afterwards, triglyceride (TG) content was measured in liver lysate and oil red O staining was used to determine triglyceride accumulation in liver.
  • TG triglyceride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fatty liver disease containing the extract or powder of the above-mentioned mushroo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can be utilized as a health functional food for improving fatty liver disease, which is very effective in treating fatty liver due to its excellent side effect of improving fatty liver. .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작용이 없고 알코올성 또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 치료에 매우 효과적인 아위버섯의 추출물 또는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아위버섯의 추출물 또는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간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본 발명은 지방간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아위버섯의 추출물 또는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지방간 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간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의 음주 습관과 기름진 음식을 선호하는 서구식 식습관의 변화는 지방간 질환의 증가추세와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지방간이란 인체 간의 지방함량이 5%를 초과할 경우를 설명하는 비 건강 상태를 말하며 여러 복잡한 원인에 의해 유발된다고 알려져 있으나, 크게 과음으로 인한 알코올성 지방간과 알코올과 무관한 다른 병인과 연관되어 발생한 비알코올성 지방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음주로 인한 지방간인 알코올성 지방간(alcoholic steatohepatitis, ASH)은 선진국 40-50대 성인 인구의 사망원인 중 암 다음으로 심각한 질환인 간질환 중 하나로, 선진국 기준 알코올 섭취량이 최상위권인 우리나라에서는 지방간 발생율이 성인 기준으로 2009년 32%로 보고된 바 있다. 또한 알코올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 알코올성 지방간과는 달리 비알코올성 지방간(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SH)은 음주와 관계없이 간내 중성지방이 축적되는 질환을 의미하며 임상적으로는 진행성 간질환으로 간경변이나 간암을 유발하는 선행 질환으로 인식되어 그 의미가 매우 크다. 특히 비만과, 인슐린 저항성 당뇨병 및 고지혈증과 같은 주요 성인질환이 위험인자로 인식되면서 적극적인 조절 및 치료가 요구되고 있다(Jonathan et al., Metabolism. 65: 1096-1108, 2016).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7-0084796호는 잣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알코올성 지방간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의 경우, 알코올성 지방간의 유발을 예방하는 차원에서 건강기능식품으로써의 효과만을 나타내는 한계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방간 치료효능이 우수하면서 부작용이 없는 아위버섯의 추출물 또는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아위버섯(Pleurotus eryngii var. ferulea) 의 추출물 또는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아위버섯(Pleurotus eryngii var. ferulea)의 추출물 또는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개선 또는 예방용 건강기능식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의 아위버섯(Pleurotus eryngii var. ferulea)의 추출물 또는 분말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치료방법이 제공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알코올성 또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구분없이 우수한 치료효능을 나타내면서 부작용은 없는 아위버섯의 추출물 또는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생산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마우스 동물 모델에 아위버섯 분말을 투여 후 간 내 지방 축적 감소 효과를 관찰한 사진이다.
도 2는 일반식이군, 고지방식이군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위버섯 식이군의 간 내 중성지방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일반식이군, 고지방식이군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위버섯 식이군의 식이실험 과정에서의 체중변화를 기록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아위버섯 추출물을 마우스 동물모델에 투여하여 알콜성 지방간 개선 효능 실험을 위한 스케줄을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아위버섯 추출물을 마우스 동물모델에 투여한 후 상기 마우스 간 분쇄물의 트리글리세리드 함량을 분석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아위버섯 추출물을 마우스 동물모델에 투여한 후 상기 마우스의 간 조직을 염색하여 중성지방 축적 여부를 관찰한 현미경 사진이다.
용어의 정의: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아위버섯(Pleurotus eryngii var. ferulea)"은 주름버섯목 느타리과 느타리속에 해당하는 버섯의 한 종류로 갈색의 편평한 균모에 백색 자루를 가졌다. 균모의 지름은 5~15cm로 거의 반구형에서 점차 편평형으로 되며 나중에 중앙이 약간 들어간다. 표면은 처음 갈색에서 차차 연한 갈색으로 되며 빛이 나며 밋밋하다. 노후하면 갈라져서 거북등 같은 환문을 이룬다. 새송이버섯과 식감이 유사하여 대체작물로 활용이 가능하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알코올성 지방간(alcoholic steatohepatitis, ASH)"은 지방산 생합성 증가나 산화를 통한 분해 또는 배출 감소로 간 내에 지방이 축적되는 질환을 말하며, 알코올 섭취와 동반된 다양한 유전적, 환경적 원인을 통해 발병한다. 알코올 섭취가 지속될 경우 간 기능 장애와 함께 알코올성 간염, 간경화, 간경변등의 간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비알코올성 지방간(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SH)"은 음주와 관계없이 유전적, 환경적, 생활습관적 원인에 따라 간내 중성지방이 축적되는 질환을 의미하며 임상적으로는 진행성 간질환으로 간경변이나 간암을 유발하는 선행 질환으로 인식되어 그 의미가 매우 크다. 다양한 원인이 있으나 비만과, 인슐린 저항성 당뇨병 및 고지혈증과 같은 주요 성인질환이 위험인자로 인식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아위버섯(Pleurotus eryngii var. ferulea)의 추출물 또는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지방간 질환은 알콜성 또는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일 수 있고 상기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은 비알코올성 지방간,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또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연관 간경변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투여 또는 비경구투여를 통해 투여되는 것이 가능하며, 경구투여가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비경구로 투여되는 경우, 정맥내 주사, 비강내 흡입, 근육내 투여, 복강내 투여, 경피흡수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투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간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0.1 mg/kg 내지 1 g/kg의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1 mg/kg 내지 600 mg/kg의 투여량으로 투여된다. 한편, 상기 투여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및 상태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상기 간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다양한 제형으로 제형화될 수 있는데, 탕제로 제조되어 레토르트 파우치에 포장되어 제조될 수 있고, 열풍건조, 동결건조 등의 방법에 의해 건조된 후 산제, 환제, 캡슐 등의 제형으로 제형화될 수도 있으며, 젤라틴 등 젤화 성분과 혼합되어 젤리 형태로 제형화될 수도 있다. 약학적 제제의 제조에 통상 사용되는 공지된 제형은 어느 것이라도 사용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담체로는 통상적인 각종 유기 또는 무체 담체, 예를 들어, 고형제제에서는 부형제, 윤활제, 결합제 및 붕해제, 액체제제에서는 용매, 가용화제, 현탁화제, 등장화제, 완충제 및 무통화제(soothing agent)가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통상적인 보존제, 산화방지제, 착색제, 감미제, 흡착제, 습윤제 등과 같은 첨가제가 적절량으로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아위버섯(Pleurotus eryngii var. ferulea)의 추출물 또는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이 제공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에 있어서, 간내 중성지방 수준을 저하시키고 간 건강을 나타내는 지표를 개선할 수 있고 상기 간 건강을 나타내는 지표는 ALT, AST 및 ALP일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에 있어서, 지방간의 개선 및 예방에 효과적일 수 있고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식품류, 음료, 껌, 차 및 비타민 복합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캡슐, 정제, 분말, 과립, 액상, 환, 편상, 페이스트상, 시럽, 겔, 젤리 또는 바(bar) 형태의 제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건강기능식품에 적합한 다양한 제형, 예컨대, 탕제, 드링크제, 산제, 환제, 캡슐, 정제(코팅정, 당의정, 설하정 등), 젤리 등의 제형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의 아위버섯(Pleurotus eryngii var. ferulea)의 추출물 또는 분말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치료방법이 제공된다.
아위버섯(Pleurotus eryngii var. ferulea (Pf.)은 새송이의 변종으로 영어명칭은 페룰라 오이스터 머쉬룸(Ferula Oyster Mushroom)으로, 해석하면 아위나무 느타리버섯이다. 중국에서는 백령측이(白靈側耳)라고 부른다. 중국의 건조지대인 신강지방의 아위 나무에서 야생하는 것으로 생장온도는 8~20℃의 중온으로 우리나라의 봄, 가을 재배에 적합하다. 중국과 중앙아시아에서 자생하는 아위버섯은 막힌데를 풀어주고 기침과 염증을 해소시키고 위장 질환에 효험이 있는 약용식물로 알려져 있고 한의학 서적 등에 인체의 독소를 배출하고 기침을 멎게 하며 염증을 해소시키고 산부인과 계통 질환에도 효과가 있다고 소개된 고기능성 버섯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아위버섯의 여러 지방 대사질환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면서 아위버섯 추출물 또는 분말을 마우스 동물 모델에 투여한 결과 우수한 지방간 개선 효능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더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위버섯 추출물 또는 아위버섯 분말은 체중변화가 크지 않으면서도 지방간 증상을 매우 획기적으로 개선하였기 때문에, 알콜성 지방간이나 비만이 동반되지 않는 비알콜성 지방간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한 지방간에 대한 치료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가 된다. 종래에는 다양한 병인에 기인한 지방간에 대하여 포괄적으로 효과를 나타낸 지방간 치료제가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는 점을 고려하면, 본 발명의 결과는 매우 고무적인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야위버섯 분말 제조
아위버섯(Pleurotus eryngii var. ferulea (Pf.)을 편 또는 조각형태로 자른 후 건풍건조, 또는 냉풍건조하여 중량이 약 1/10로 줄어든 건조 버섯을 제조하였다. 그 후 상기 건조 아위버섯을 파쇄기 또는 스피드밀 등을 이용하여 조대분말화하였고, 이를 추출물 제조 또는 직접 투여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아위버섯의 추출물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아위버섯(Pleurotus eryngii var. ferulea (Pf.) 분말을 거즈로 된 봉지 또는 추출용기에 넣고 분말 1 g 당, 추출 용매로써 물 50 mL를 혼합한 후, 37℃에서 24시간 동안 진탕배양기에 추출하였다. 진탕배양기의 상등액을 2500 rpm으로 10분 동안 원심 분리한 후 여과한 상등액을 수집하여, 공시재료로 사용하였다.
실험예 1: 지방간 모델 동물의 제조 및 식이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아위버섯 분말의 지방간 개선 효능을 관찰하기 위하여 고지방 식이 유도 마우스 동물 모델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실험동물로 C57BL/6 계통의 수컷 마우스에게 8주령부터 총 칼로리의 60%가 지방인 고지방 식이(High-fat diet)를 8주 이상 공급함으로써 비만 및 지방간 모델 동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마우스 중 몸무게가 40g 이상으로 충분히 비만이 유도되고 더 이상 몸무게 증가가 급격히 일어나지 않는 마우스를 난괴법(randomized block design)을 이용하여 실험군을 분류하였다. 아위버섯 투여군은 고지방식이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아위버섯 분말을 0.4~0.8%의 함량으로 배합하였고 대조군은 동량의 카제인(casein)을 혼합하여 무게 및 칼로리를 맞추어 8주간 공급하였다. 아위버섯의 섭취량은 하루 식이 섭취량을 2.5 g을 기준으로 할 때, 몸무게(25-40 g)를 기준으로 약 5-20 mg/head/day이다. 사육기간 중 물과 사료는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고, 동물사육실 온도는 22±1℃를 유지하였으며 조명은 12시간 주기(08;00-20;00)로 조절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일반식이를 통해 비만 및 지방간이 유도되지 않은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실험예 2: 간 내 지방 축적 변화 분석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험예 1에서 실험을 수행한 실험동물들(일반식이군, 고지방식이군 및 아위버섯 급이군)을 대상으로 간조직을 적출하여 지방간 증상의 정도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험예 1의 식이 실험을 완료한 마우스를 희생시켜, 간조직을 적출한 후 이를 사진 촬영하는 한편, 동결박편(cryosection)을 제조하여 현미경 사진을 촬영하였다(도 1).
그 결과, 도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고지방 식이군의 경우 지방이 비대해져있고, 간조직 박편에서도 세포 사이에 끼어 있는 지방층이 관찰된 반면, 8주간 꾸준히 아위버섯 분말을 급이한 아위버섯 식이군의 간은 일반식이 마우스와 동일한 모습을 나타냈고, 동결박편 사진 역시 일반식이 마우스와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실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위버섯 분말의 급이시 간내 중성지방의 수치를 떨어뜨릴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실험예 1에서 실험을 수행한 실험동물들을 대상으로 간내 중성지방 수치를 측정하였다(도 2).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상기 실험동물로부터 적출되 간으로부터 100 mg 이상의 간 조직을 준비하여 5% NP-40 용액에 넣고 균질화하였다. 상기 균질화한 간 조직은 80-100℃의 항온수조(water bath)에서 약 2-5분간 서서히 가열한 후 상온에서 서서히 식혔다. 이후 가열과 냉각을 반복하여 조직내 중성지방이 잘 용해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 후 상기 용해액은 12,000 rpm이상의 속도에서 2분간 원심분리하고 상등액을 이용하여 중성지방 함량을 측정하였다. 중성지방은 혈청 트리글리세리드 정량 키트(Sigma, USA)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 고지방 식이군의 경우 혈중 트리글리세리드 농도가 매우 높았으나, 아위버섯 투여군에서 혈중 트리글리세리드 농도가 일반식이군 수준으로 떨어져 있어, 아위버섯의 간 내 지방 축적 감소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2).
한편, 상기 실험동물들의 몸무게 변화를 관찰한 결과 일반식이 마우스는 물론, 도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고지방 식이 마우스 및 아위버섯 식이 마우스 모두 급격한 체중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는 본 발명의 아위버섯 식이가 체중감량에 의한 효과가 아니라 직접적인 지방에 축적된 지방의 감소를 야기함으로써 지방간에 대한 치료효과를 나타냄을 시사하는 것이다.
실험예 3: 간 독성 분석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험예 1에서 실험을 수행한 실험동물들을 대상으로 혈액을 채취한 후 간기능의 지표인 혈중 ALT, AST 및 ALP의 농도를 자동화 측정장치(Fuji,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표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고지방 식이에 따른 상승한 ALT, AST 및 ALP 모두 일반식이 수준 또는 오히려 그 이하로 떨어지는 결과를 나타냈다.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위버섯 분말 또는 추출물이 지방간으로 인해 발생한 간 독성 및 기능 장애를 개선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아위버섯 분말 투여에 의한 간 독성 및 기능성 변화
실험군 ALT (IU/L) AST (IU/L) ALP (IU/L)
일반식이 31.0±5.1 163.5±52.2 195.0±23.6
고지방식이 75.2±13.8 182.4±30.2 212.0±33.4
아위버섯투여 34.8±5.7 160.4±32.5 114.0±28.1
실험예 4: 알콜성 지방간 개선 효능 실험
본 발명자들은 알콜성 지방간 질환 마우스 모델을 이용하여 아위버섯 추출물 투여에 따른 알콜성 지방간 개선 효능을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실험동물 모델은 9주령의 수컷 C57BL/6 마우스를 대상으로 5일간 액상식이(liquid diet) 순응기간을 두어 자율 급이하였고 EtOH 실험군은 상기 액상식이에 5% EtOH 첨가하여 10일간 공급하였다. 또한 EtOH+아위버섯 복합실험군은 액상식이에 5% EtOH 첨가하여 공급한 후 아위버섯 분말에 물을 섞어 10일간 1일 1회 경구투여하였으며(600 mg/kg/day) 대조군은 급이된 EtOH의 칼로리 수준에 상응하는 말토스를 추가한 액상식이만을 공급하였다. 최종 실험 종료일인 11일째 5 g/kg에 해당하는 EtOH를 경구투여로 공급(폭음)하고 9시간 후 마우스를 희생하여 간 조직을 적출하였다(도 4). 그 후 간 분쇄물(lysate) 내 트리글리세리드(triglyceride, TG) 함량을 측정하였고 Oil red O 염색을 이용하여 간 내 중성지방 축적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과 비교하여 EtOH 실험군에서 TG 수준이 현저히 증가하여 알콜성 지방간이 유도된 것을 확인하였으나 EtOH+아위버섯 복합실험군에서 TG 수준이 급격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도 5). 또한 Oil red O 염색 결과 대조군과 비교하여 EtOH 실험군에서 중성지방이 높게 축적된 것을 확인하였으나 EtOH+아위버섯 복합실험군에서는 중성지방이 축적이 현저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위버섯 추출물 투여가 알콜성 지방간 개선에 탁월한 효능이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아위버섯의 추출물 또는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부작용이 없고 우수한 지방간 개선 효능으로 인해 지방간 치료에 매우 효과적인 지방간 질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으로 활용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아위버섯(Pleurotus eryngii var. ferulea)의 추출물 또는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간 질환은 알콜성 또는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인, 약학적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은 비알코올성 지방간,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또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연관 간경변증인, 약학적 조성물.
  4. 아위버섯(Pleurotus eryngii var. ferulea)의 추출물 또는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5. 제4항에 있어서,
    간내 중성지방 수준을 저하시키고 간 건강을 나타내는 지표를 개선하는, 간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간 건강을 나타내는 지표는 ALT, AST 및 ALP인, 간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7. 제5항에 있어서,
    지방간의 개선 및 예방에 효과적인, 간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식품류, 음료, 껌, 차 및 비타민 복합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간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9.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의 아위버섯(Pleurotus eryngii var. ferulea)의 추출물 또는 분말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치료방법.
PCT/KR2018/016004 2018-02-12 2018-12-17 아위버섯의 추출물 또는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간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WO201915633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16880 2018-02-12
KR10-2018-0016880 2018-02-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56335A1 true WO2019156335A1 (ko) 2019-08-15

Family

ID=67549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16004 WO2019156335A1 (ko) 2018-02-12 2018-12-17 아위버섯의 추출물 또는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간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92586B1 (ko)
WO (1) WO20191563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9280B1 (ko) 2020-06-29 2022-08-05 (주)노바셀테크놀로지 신규 교잡품종 버섯의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433B1 (ko) * 2014-06-10 2015-03-11 주식회사 머쉬메드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60108771A (ko) * 2015-03-06 2016-09-20 한국식품연구원 능이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141027A (ko) * 2015-05-27 2016-12-08 경상북도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KR20160144608A (ko) * 2015-06-09 2016-12-19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락토비온산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433B1 (ko) * 2014-06-10 2015-03-11 주식회사 머쉬메드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60108771A (ko) * 2015-03-06 2016-09-20 한국식품연구원 능이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141027A (ko) * 2015-05-27 2016-12-08 경상북도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KR20160144608A (ko) * 2015-06-09 2016-12-19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락토비온산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OI, D.: "Antihyperglycemic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polysaccharide produced from Pleurotus ferulae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KOREAN JOURNAL OF CHEMICAL ENGINEERING, vol. 33, no. 6, 2016, pages 1872 - 1882 1877, 1881, XP035948807 *
CHOI, J.-H. ET AL.: "In vitro antioxidant and in vivo hypolipidemic effects of the King Oyster Culinary-Medicinal Mushroom, Pleurotus eryngii var. ferulae DDL01 (Agaricomycetes), in rats with high-fat diet-induced fatty liver and hyper lipidemia",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INAL MUSHROOMS, vol. 19, no. 2, 2017, pages 107 - 119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2586B1 (ko) 2020-12-18
KR20190098685A (ko) 2019-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07943A1 (ko) 다물린 에이 및 다물린 비 함량이 증가된 신규 돌외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대사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15190760A1 (ko)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RU2699011C2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силибин и l-карнитин
WO2020059995A1 (ko) 숙취해소에 뛰어나며 알코올에 의한 간 손상을 예방용 건강 음료 조성물
WO2019017603A2 (ko) 마름 추출물 및 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개선용 조성물
WO2013077634A1 (ko) 번데기동충하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10131910A2 (ko) 발효차를 함유하는 혈액 순환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및 건강 식품 조성물
KR100310979B1 (ko) 간질환 예방 및 치료용 생약조성물
WO2013047958A1 (ko) 감귤과피 추출물 또는 나리루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저해 억제용 조성물 및 감귤과피로부터 나리루틴을 추출하는 방법
WO2019156335A1 (ko) 아위버섯의 추출물 또는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간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WO2021034077A1 (ko) 지질대사 개선 및 비만 예방용 김치의 제조방법
KR100516180B1 (ko) 항고지혈증 조성물
WO2018093237A2 (ko) 포름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 야기된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9050123A1 (ko) 가자나무열매추출물 및 암라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개선용 식품 조성물
WO2017183902A1 (ko) 인진, 지유 및 울금 추출물 및 항바이러스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4171583A1 (ko) 뇌졸중 또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0076920A1 (ko) 상황버섯과 동충하초를 포함하는 항암용 건강식품
WO2019117616A1 (ko) 아가토바쿨룸 속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폐 범주성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9943560B2 (en) Medical compositions containing liquorice extracts with synergistic effect
WO2018131780A1 (ko) 위염 또는 소화성궤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0946986B (zh) 一种寡肽在制备防治非酒精性脂肪肝病药物中的应用
WO2022005056A1 (ko) 신규 교잡품종 버섯의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WO2009134010A2 (ko) 복합 생약재를 이용한 비만 및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643877B1 (ko) 장생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간질환의 억제,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알코올대사촉진용 조성물
CN109876088A (zh) 一种通过调节肠道菌群平衡发挥降糖作用的天然降糖制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90492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90492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