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7112A - 범용 콤바인 - Google Patents

범용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7112A
KR20210097112A KR1020217014644A KR20217014644A KR20210097112A KR 20210097112 A KR20210097112 A KR 20210097112A KR 1020217014644 A KR1020217014644 A KR 1020217014644A KR 20217014644 A KR20217014644 A KR 20217014644A KR 20210097112 A KR20210097112 A KR 20210097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vesting
reverse
shaft
switching devic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4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루 이타모치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마힌드라 노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마힌드라 노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마힌드라 노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97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71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69/06Gea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4Mowing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2Harves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범용 콤바인에 있어서, 예취부측을 역전 구동시킴에 의해, 그 예취부 내의 작물 등의 막힘을 해소할 수 있는 범용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주행기체와, 그 주행기체의 앞부분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된 예취부를 구비하고, 상기 주행기체의 앞부분에는,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이 전동되는 예취 전동축이 마련되고, 상기 예취부는, 상기 예취 전동축에 대해 상하로 병렬되면서 그 예취부에 동력을 입력하는 예취 입력축과, 상기 예취 전동축부터 상기 예취 입력축에 동력을 전동하는 정역전 전환 장치를 가지고, 상기 정역전 전환 장치는, 상기 예취 전동축부터 예취 입력축에의 전동 경로에서 상기 예취 입력축에 정전 동력을 전동하는 정전 상태와, 역전 동력을 전동하는 역전 상태의 전환을 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정역전 전환 장치는, 상기 예취 전동축의 단부측에서의 상기 주행기체의 측부측에 배치됐다.

Description

범용 콤바인
본 발명은, 예취부(刈取部)가 역전(逆轉) 구동 가능하게 구성된 범용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주행기체(走行機體)와, 그 주행기체의 앞부분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정전 구동시에 포장(圃場)의 작물을 예취(刈取)하여 후방으로 반송하는 예취부와, 그 예취부로부터 후방 반송된 작물을 탈곡 작업하는 탈곡 장치를 구비하고, 그 탈곡 장치 내의 급동(扱胴)을 수동에 의해 역전 구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에 의해, 탈곡 장치 내에서의 작물 등의 막힘을 스무스하게 해소할 수 있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범용 콤바인이 종래 공지이다.
그 구성에 의하면, 상기 탈곡 장치 내가 대량으로 투입된 작물에 의해 막힌 경우라도, 탈곡 장치 내의 급동을 수동으로 역전 구동시킴에 의해, 그 탈곡 장치 내의 막힘을 해소하기 위한 청소나 메인터넌스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그 구성의 범용 콤바인은 탈곡 장치 내에서 작물 등이 막힘에 의한 작동 불량을 스무스하면서 용이하게 해소할 수 있는 것이지만, 포장의 작물 등의 예취 작업을 행함과 함께 그 작물 등을 주행기체측을 향하여 후방 반송하는 상기 예취부의 메인터넌스 작업에 수고가 걸리는 경우가 있다는 과제가 있다.
일본 특개2011-250741호 공보
본 발명은, 포장의 작물 등의 예취 작업과 탈곡 작업을 행할 수 있는 범용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예취부측을 역전 구동시킴에 의해, 그 예취부 내의 작물 등의 막힘을 해소할 수 있는 범용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첫번째로, 앞부분에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이 전동(傳動)되는 좌우 방향의 예취 전동축이 마련된 주행기체와, 그 주행기체의 앞부분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고, 정전 구동시에 포장의 작물을 예취하여 후방으로 반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예취 전동축에 대해 상하로 병렬되면서 그 예취부에 동력을 입력하는 예취 입력축이 마련된 예취부와, 상기 예취 전동축부터 상기 예취 입력축에 동력을 전동하는 정역전(正逆轉) 전환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정역전 전환 장치는, 상기 예취 전동축부터 예취 입력축에의 전동 경로에서 상기 예취 입력축에 정전 동력을 전동하는 정전 상태와, 역전 동력을 전동하는 역전 상태의 전환을 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정역전 전환 장치는, 상기 예취 전동축의 단부측에서의 상기 주행기체의 측부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두번째로, 상기 정역전 전환 장치는, 상기 예취 입력축에 역전 동력을 출력하는 출력축과, 그 출력축부터 상기 예취 입력축에 동력을 전동하는 벨트 또는 체인을 가지며, 상기 예취 전동축과, 상기 출력축을 전후 방향으로 나열하여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세번째로, 상기 예취부는, 예취한 작물을 후방 반송하는 피더를 가지고, 상기 정역전 전환 장치는, 상기 예취 입력축에 전동하는 동력의 정역전 방향을 전환하는 조작 레버를 가지고, 그 조작 레버와 상기 정역전 전환 장치를, 상기 피더의 좌우 반대측에 배분하여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정역전 전환 장치에 의하면, 상기 예취부를 역전 구동 가능하게 구성함에 의해, 그 예취부 내의 청소나 메인터넌스 작업을 스무스하게 행할 수 있음과 함께, 그 정역전 전환 장치를, 보다 간이하면서 조립 용이한 구성으로, 주행기체의 측방측에 컴팩트하게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역전 전환 장치는, 상기 예취 입력축에 역전 동력을 출력하는 출력축과, 그 출력축부터 상기 예취 입력축에 동력을 전동하는 벨트 또는 체인을 가지며, 상기 예취 전동축과, 상기 출력축을 전후 방향으로 나열하여 배치한 것에 의하면, 상기 정역전 전환 장치를 상기 예취 전동축의 측방측에서 보다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역전 전환 장치는, 상기 예취 입력축에 전동하는 동력의 정역전 방향을 전환하는 조작 레버를 가지고, 그 조작 레버와 상기 정역전 전환 장치를, 상기 피더를 끼우도록 하여 좌우 반대측에 배분하여 배치한 것에 의하면, 상기 조작 레버에 의한 상기 예취부의 역전 구동시키는 전환 조작을 스무스하게 행할 수 있음과 함께, 상기 정역전 전환 장치 주위의 메인터넌스성도 양호하게 유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범용 콤바인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한 범용 콤바인의 평면도.
도 3은 본 범용 콤바인의 동력 계통도.
도 4는 탈곡 장치의 요부 정면도.
도 5는 탈곡 장치의 요부 측면도.
도 6은 정역전 전환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7(A) 및 (B)는, 정역전 전환 장치를 도시한 좌측면도 및, 정역전 전환 장치를 도시한 A-A 단면도.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한 범용 콤바인의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면에서, 본 범용 콤바인은, 주행부인 좌우 한 쌍의 크롤러식 주행 장치(1, 1)에 지지되는 주행기체(2)와, 그 주행기체(2)의 전방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어 포장의 곡간(穀杆)의 예취 작업을 행하는 예취부(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주행기체(2)는, 상기 예취부(3)의 바로 뒤측 근방에서의 오른쪽 가까이 위치에 오퍼레이터가 올라타서 조향 조작을 행하는 조종부가 형성된 캐빈(4)이 마련되고, 그 캐빈(4)의 후방 비스듬히 좌측에 상기 예취부(3)에서 예취된 곡간(穀稈)의 탈곡(脫穀) 작업 등을 행하는 탈곡 장치(6)가 설치되고, 그 캐빈(4)의 후방이면서 탈곡 장치(6)의 우측에 상기 탈곡 장치(6)에서 탈곡된 처리물인 곡립(穀粒)을 수용하는 그레인 탱크(7)가 배치되고, 그 탈곡 장치(6)의 후방에 탈곡 후의 지푸라기(고설(藁屑)) 등을 배출하는 배출부(5)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예취부(3)는, 예취한 곡간을 탈곡 장치(6)측에 반송하는 피더(8)와, 그 피더(8)의 전단측에 연결되어 전방측으로 연설되는 예취 프레임(9)과, 그 예취 프레임(9)의 전단측에 마련한 좌우 한 쌍의 디바이더(11)와, 그 예취 프레임(9)의 후단부의 상방측부터 전방을 향하여 연출된 좌우 한 쌍의 지지 암(12, 12)과, 그 좌우의 지지 암(12)의 연출단의 사이에 회전 자유롭게 가설 지지된 소입(搔入)릴(13)을 구비하고 있다.
좌우 일방측의 지지 암(12)과, 예취 프레임(9)과의 사이에는, 신축에 의해 상기 소입릴(13)을 예취부(3)의 본체에 대해 승강시키는 릴 실린더(14)가 배치되고, 좌우 타방측의 지지 암(12)에는, 소입릴(13)측에 동력을 전동하는 전동 케이스(16)가 마련되어 있다. 즉, 상기 소입릴(13)은, 상기 예취부(3)의 본체에 대해 승강 작동됨과 함께, 상기 전동 케이스(16)로부터 전동되는 동력에 의해 자신의 축 둘레로 회전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구성에 의하면, 상기 예취부(3)는, 포장의 곡간을 상기 좌우의 디바이더(11, 11)에 의해 내측의 예취측과, 외측의 비예취측으로 분초(分草)하고, 그 예취측의 식립(植立) 곡간은, 상기 소입릴(13)에 의해 예취부측으로 긁어 모으면서 디바이더(11)의 후방에 구비한 레시프로식의 예인(刈刃)(17)에 의해 곡간의 근원(根元)측이 예취된다. 이에 의해 예취된 곡간은, 상기 예취 프레임(9)측의 반송 오거(18)에 의해 상기 피더(8)의 전단측으로 보내지고, 그 피더(8)에 반송된 곡간이 피더(8)의 내부에 구비한 반송 컨베이어(19)에 의해 후방측에 반송된다. 피더(8)의 후단측에 반송된 예취 곡간은 상기 탈곡 장치(6)의 상부 전단측으로 보내진다.
또한, 상기 예취부(3)는, 상기 피더(8)의 후단측에 마련된 정역전 전환 장치(20)에 의해, 상술한 예취 작업을 행하는 정전 구동과, 상기 예취부(3)에 곡간 등이 막혀진 상태를 해소하기 위해 정전 구동과 반대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역전 구동을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정역전 전환 장치(20)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탈곡 장치(6)는, 그 탈곡 장치(6)의 상부측으로서 상기 피더(8)로부터 반송되는 예취 곡간의 탈곡 작업을 행하는 탈곡부와, 그 탈곡 장치(6)의 하부측으로서 상기 탈곡부에 의해 탈곡된 탈곡물(처리물)을 곡립과 지푸라기 등의 배진물(排塵物)로 선별하는 선별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탈곡부는, 상기 피더(8)의 후단측부터 예취 곡간이 투입되는 급실(扱室)과, 그 급실의 전후 방향 전체에 걸쳐서 형성된 전후 방향의 급동(扱胴) 회전축 둘레로 회전 구동 자유롭게 마련되고, 전단측이 깔때기형이 되는 원통형상의 급동(15)과, 그 급동의 하방에 배치된 수망(受網)(25)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선별부는, 상기 수망(25)을 통과한 탈곡물을 요동(搖動) 선별하는 요동 선별체와, 선별풍을 송풍하는 풍구(당기(唐箕)) 팬(21)과, 선별 후의 배진물을 기외(機外)에 배출하는 2번 선별 팬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 구성에 의하면, 요동 선별체로부터 누설(漏下)된 상기 처리물은, 풍구 팬(21)에 의한 선별풍에 의해, 선별된 1번물인 곡립과, 2번물로 선별되고, 선별된 곡립은, 양곡 스크류(도시 생략)에 의해 곡립을 저장하는 그레인 탱크(7) 내로 반송된다. 그 그레인 탱크(7) 내에 저장된 곡립은, 주행기체의 윗면 후방측에 지지된 오거(22)를 통하여, 기외에 배출할 수 있다.
다음에, 도 3에 의거하여, 본 범용 콤바인의 전동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범용 콤바인의 동력 계통도이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엔진(10)에서 발생시킨 회전 동력은, 출력축에 출력되고, 그 출력축(26)에는, 작업 풀리(27)가 일체 회전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상기 작업 풀리(27)에 전동되는 동력은, 작업 전동축(28)에 벨트 전동되고, 그 작업 전동축(28)에 전동된 동력에 의해, 상기 예취부(3) 및 상기 탈곡 장치(6)가 구동된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작업 풀리(27)와, 상기 작업 전동축(28)과 일체 회전하는 작업 전동 풀리(29)에 걸어 돌려지는 작업 전동 벨트(31)에는, 그 작업 전동 벨트(31)의 텐션을 조정하는 텐션 클러치(32)가 마련되어 있고, 엔진(10)으로부터 출력된 동력은, 상기 출력축(26)부터 작업 전동축(28)측으로 단속(斷續) 가능한 구성으로 전동된다.
상기 작업 전동축(28)은, 상기 탈곡 장치(6) 내의 테두리체의 좌우 폭에 걸쳐서 연설되어 있고, 그 테두리체측에 축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그 작업 전동축(28)에는, 제2 작업 풀리(33)와, 선별 풀리(34)가 일체 회전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작업 전동축(28)에 전동된 동력은, 제2 작업 풀리(33)와, 제2 작업 전동 풀리(36)에서 걸어 돌려지는 제2 작업 전동 벨트(37)를 통하여, 그 제2 작업 전동 풀리(36)와 일체 회전하는 예취 전동축(38)에 전동된다.
또한, 그 제2 작업 전동 벨트(37)에는, 작업 전동 벨트(31)와 같은 텐션 클러치(30)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작업 전동축(28)에 전동된 동력에 의해, 상기 예취부(3) 및 상기 탈곡 장치(6)를 구동시키는 외에, 상기 탈곡 장치(6)만을 구동시킬 수도 있다.
상기 예취 전동축(38)은, 상기 탈곡 장치(6)의 테두리체의 전단측으로, 그 테두리체의 좌우 폭에 걸쳐서 연설되어 있고, 그 예취 전동축(38)은, 측면시로 상기 피더(8)의 하방측에 배치되어 있다(도 5 등 참조).
그 예취 전동축(38)에 전동된 동력은, 상기 정역전 전환 장치(20)를 통하여, 상기 예취부(3)측에 동력을 전동하는 예취 입력축(41)에 전동된다. 이에 의해, 상기 예취부(3)는, 상기 예취 전동축(38)에 마련한 상기 정역전 전환 장치(20)에 의해, 포장의 작물의 예취 작업을 행하는 정전 구동과는 반대 방향으로 구동하는 역전 구동 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정역전 전환 장치(20)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이상에 의해, 상기 엔진으로부터 탈곡 장치(6)측의 상기 작업 전동축(28)에 전동된 동력은, 탈곡 장치(6) 내측부터 상기 예취 전동축(38)에 전동되고, 그 예취 전동축(38)을 통하여 기체 내측부터 상기 피더(8)의 하방을 통과하여 기체 외측의 상기 정역전 전환 장치(20)측에 전동되고, 그 정역전 전환 장치(20)를 통하여 상기 예취부(3)측에 동력을 입력하는 상기 예취 입력축(41)에 전동된다.
상기 예취 입력축(41)에 전동된 동력에 의해, 상기 예취부(3), 구체적으로는, 상기 피더(8) 내의 반송 컨베이어(19)나, 상기 소입 오거(18)나, 상기 예인(17)이나, 소입릴(13)을 정역전 구동시킬 수 있다(도 3 참조). 이때, 그 예취부(3)는, 원웨이 클러치를 개재함에 의해 예취부(3)의 일부, 구체적으로는, 상기 반송 컨베이어(19)와 소입 오거(18)만을 역전 구동시킬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소입 오거(18)나, 상기 피더(8) 내에 예취한 작물이나 잡초류 등이 막힌 경우라도, 상기 예취부(3)의 전체나 그 일부를 역전 구동시킴에 의해, 예취부(3)의 청소나 메인터넌스 작업을 보다 스무스하게 행할 수 있다.
다음에, 도 3 내지 7에 의거하여, 정역전 전환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탈곡 장치의 요부 정면도 및 요부 측면도이고, 도 6은, 정역전 전환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A) 및 (B)는, 정역전 전환 장치를 도시한 좌측면도 및, 정역전 전환 장치를 도시한 A-A 단면도이다.
상기 정역전 전환 장치(20)는, 상기 예취 전동축(38)의 단부측에 보스 부재(40)를 통하여 동일 축심상에서 일체 회전하도록 연결되는 입력축(42)과, 그 입력축(42)의 전방측에 배치된 출력축(43)과, 그 출력축(43)에 전동된 동력을 상방의 상기 예취 입력축(41)에 전동하는 상하 방향의 전동 체인(44)과, 상기 입력축(42) 및 출력축(43)을 덮음과 함께 주행기체(탈곡 장치)측에 지지하기 위한 부착 브래킷(48)과, 상기 출력축(43)에 전동되는 동력의 정전·역전을 전환하는 클러치 전환 기구(46)와, 그 클러치 전환 기구(46)에 의한 동력의 정역전 전환을 조작 가능하게 구성하는 클러치 조작 기구(47)와, 그 클러치 전환 기구(46)를 커버하는 케이스체(60)를 구비하고, 그 정역전 전환 장치(20) 전체의 좌우 외측이 착탈 가능한 커버체(49)에 의해 덮여 있다(도 7등 참조). 또한, 그 정역전 전환 장치(20)는, 상기 입력축(42)에 대신하여 예취 전동축(38)에 직접 장착되는 보스 부재를 마련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상기 클러치 전환 기구(46)는, 상기 입력축(42)과 일체 회전하는 역전 입력 기어(51)와, 그 역전 입력 기어(51)와 맞물리도록 상기 출력축(43)에 마련된 역전 출력 기어(52)와, 상기 입력축(42)측의 입력측 스프로켓(53)과 상기 출력축(43)측의 출력측 스프로켓(54)에 의해 걸어 돌려지는 정전 전동 체인(56)과, 상기 역전 출력 기어(52) 및 상기 출력측 스프로켓(54) 사이를 슬라이드 가능해지도록 상기 출력축(43)에 축장(軸裝)된 슬리브 형상의 전동 전환 부재(50)와, 그 전동 전환 부재(50)를 조작하는 클러치 조작부(57)를 갖고 있다.
상기 역전 출력 기어(52)와, 상기 출력측 스프로켓(54)은, 각각 상기 출력축(43)에 유전(遊轉) 가능하게 축지(軸支)되어 있다. 또한, 그 역전 출력 기어(52)에는, 상기 전동 전환 부재(50)측에 형성된 계지부(係止部)와 계합 가능한 역전측 계지(係止) 폴(61)이 형성되고, 그 출력측 스프로켓(54)에는, 상기 전동 전환 부재(50)측에 형성된 계지부와 계합 가능한 정전측 계지 폴(62)이 형성되어 있다(도 3 참조).
상기 전동 전환 부재(50)는, 상기 출력축(43)상을 슬라이드 자유롭게 구성됨과 함께, 그 출력축(43)과 스플라인 결합됨에 의해, 그 출력축(43)과 일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그 전동 전환 부재(50)는, 슬라이드 방향에 각각 계지 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출력측 스프로켓(54)(정전 전동 체인(56))측과, 역전 입력 기어(52)측의 어느 일방에 택일적으로 계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 조작부(57)는, 상기 클러치 조작 기구(47)를 통하여, 상기 출력축(43)에 따라 슬라이드 조작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그 클러치 조작부(57)의 슬라이드 조작에 응하여, 상기 전동 전환 부재(50)의 위치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그 클러치 조작부(57)에 의해, 상기 전동 전환 부재(50)가 계합되는 부재(출력측 스프로켓(54) 또는 상기 역전 입력 기어(52))를 전환할 수 있다.
그 구성에 의하면, 상기 출력축(43)(정역전 전환 장치(20))은, 상기 전동 전환 부재(50)(클러치 조작부(57))가 상기 출력측 스프로켓(54)측으로 슬라이드하여, 그 출력측 스프로켓(54)과 일체 회전하는 상태로 전환되면, 그 출력축(43)은, 상기 입력축(42)에 전동된 동력과 같은 방향으로 구동하는 정전 구동 상태가 된다. 그 한편으로, 상기 출력축(43)은, 상기 전동 전환 부재(50)(클러치 조작부(57))가 상기 역전 출력 기어(52)측으로 슬라이드하여, 그 역전 출력 기어(52)와 일체 회전하는 상태로 전환되면, 그 출력축(43)은, 상기 입력축(42)에 전동된 동력과 반대 방향으로 구동하는 역전 구동 상태가 된다.
상기 클러치 조작 기구(47)는, 상기 부착 브래킷(48)의 앞부분측에 축지된 전후 방향의 요동축(66)과, 그 요동축(66)을 축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요동 암(67)과, 그 요동 암(67)의 일방측에 부착된 인장 스프링(탄성 부재)(68)과, 그 요동 암(67)의 타방측에 부착된 와이어(69)와, 그 와이어(69)와 연계 가능하게 마련된 전환 레버(71)를 구비하고 있다(도 6(A) 및 (B) 참조).
상기 요동축(66)은, 상기 부착 브래킷(48)의 전방측부터 그 부착 브래킷(48) 내의 상기 출력축(43) 하측까지 연설되고, 그 요동축(66)의 축 회전에 응하여 상기 클러치 조작부(57)와 당접하는 당접부(도시 생략) 등이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그 요동축(66)은, 상기 요동 암(67)을 통하여, 그 요동축(66)을 축 회전시킴에 의해, 상기 클러치 조작부(57)를 상기 출력축(43)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요동 암(67)은, 상기 요동축(66)의 좌우 일방(도시하는 예에서는 왼쪽)측에 상기 인장 스프링(68)이 계지됨에 의해, 정면시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가세되어 있다. 이에 의해, 그 요동 암(67)은, 상기 클러치 조작부(57)를 상기 출력측 스프로켓(54)(좌우 내)측으로 슬라이드시켜, 그 클러치 조작부(57)가 출력측 스프로켓(54)과 일체 회전하도록 계합한 상태(정전 구동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그 요동 암(67)은, 상기 전환 레버(71)의 전후 요동 조작에 의해 상기 와이어(69)를 상기 인장 스프링(68)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인장함에 의해, 정면시로 시계 방향측으로 회동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그 요동 암(67)은, 상기 클러치 조작부(57)를 상기 역전 출력 기어(52)(좌우 외)측으로 슬라이드시킴에 의해, 그 클러치 조작부(57)가 역전 출력 기어(52)측과 일체 회전하도록 계합한 상태(역전 구동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전환 레버(71)는, 상기 피더(8)의 하측을 통과한 상기 와이어(69)를 통하여 상기 클러치 전환 기구(46)측에 연결됨에 의해, 상기 피더(8)의 좌우 내측에 부착되어 있다. 환언하면, 그 전환 레버(71)는, 상기 클러치 전환 기구(46)로 상기 피더(8)를 좌우에서 끼우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그 구성에 의해, 상기 클러치 조작 기구(47)(전환 레버(71) 등)는, 주행기체(탈곡 장치(6))측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그 클러치 조작 기구(47)를 떼어내는 일 없이, 상기 피더(8)를 탈곡 장치(6)측부터 착탈하여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할 수가 있다.
상기 부착 브래킷(48)은, 상기 정역전 전환 장치(20)를, 상기 탈곡 장치(6)의 전단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설된 탈곡 프레임(6a)의 전면측에 볼트 고정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입력축(42)과 출력축(43)을 축지함과 함께, 그 입력축(42) 및 출력축(43)의 전체를 수용하는 상자 형상으로 형성된 케이스체(60)가 볼트 고정되어 있다.
그 구성에 의하면, 그 부착 브래킷(48)은, 강고하게 형성된 상기 탈곡 프레임(6a)측에 고정되어 있어, 그 부착 브래킷(48)에 의해 지지되는 정역전 전환 장치(20)를 보다 강고하면서 안정적으로 부착할 수 있다.
덧붙여서, 상기 예취부(3)(피더(8))는, 상기 예취 입력축(41)을 축에 상기 탈곡 프레임(6a)측으로 상하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그 예취부(3)는, 상기 피더 부착 브래킷(9a)을 떼어냄에 의해 상기 탈곡 장치(6)측부터 떼어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그 부착 브래킷(48)에 의하면,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정역전 전환 장치(20)(상기 케이스체(60))를, 상기 탈곡 장치(6)의 전단측이면서 상기 피더(8)의 좌우 측방측에 형성된 빈 스페이스상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정역전 전환 장치(20)가 평면시로 주행기체 전체의 좌우 외측에 돌출시키지 않고 스페이스 효율 좋게 마련할 수 있다.
상기 커버체(49)는, 상기 피더(8)의 요동축(예취 전동축(38))의 좌우 외측에 부착되는 상기 정역전 전환 장치(20)(케이스체(60))의 좌우 외측 전체를 커버할 수 있도록 부착된다(도 1 참조). 이에 의해, 상기 피더(8)의 좌우 측방측에 뒤로 붙여진 상기 정역전 전환 장치(20)가 눈에 띄지 않게 됨과 함께, 상기 출력축(43)과, 상기 예취 입력축(41)에 마련한 스프로켓에 의해 걸어 돌려지는 상기 전동 체인(44)이 주행기체(2)의 측방에 노출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안전성이 향상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정역전 전환 장치(20)는, 상기 피더(8)의 측방측에 나타나는 상기 예취 전동축(38)의 좌우 외측 단부에 마련됨에 의해, 그 정역전 전환 장치(20)의 조립 작업이나 메인터넌스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그 정역전 전환 장치(20)는, 상기 탈곡 장치(6)의 전방이면서 상기 피더(8)의 외방측에 형성되는 평면시 노치상태로 형성되는 스페이스에 배치되어 있다. 환언하면, 그 정역전 전환 장치(20)는, 하강 상태의 상기 피더(8)와 측면시로 랩 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한, 그 정역전 전환 장치(20)는, 주행기체측에 축지되는 상기 예취 전동축(38)측에 장착되기 때문에, 그 주행기체 앞부분의 상기 예취부(3)의 착탈 작업을, 그 정역전 전환 장치(20)를 부착한 상태에서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예취부(3) 등의 메인터넌스 작업도 스무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역전 전환 장치(20)는, 상기 출력축(43)측의 역전 출력 기어(52)에, 상기 입력축(42)측의 상기 역전 입력 기어(51)보다도 지름이 큰 감속 기어를 이용하고 있다. 즉, 그 정역전 전환 장치(20)는, 상기 예취 입력축(41)에 역전 동력을 전동 하는 경우에는, 상기 역전 출력 기어(52)(감속 기어)를 통하여, 감속된 역전 동력이 상기 예취 입력축(41)측에 기어 전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예취부(3)는, 상기 정역전 전환 장치(20)에 의해 상기 역전 구동 상태로 전환됨에 의해, 그 예취부(3)를 정전 구동 상태인 경우와 비교하여 저속이면서 고(高)토오크인 상태에서 역전 구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예취부(3) 내에 막힌 작물 등을 예취부(3) 내측부터 효율 좋게 취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역전 전환 장치(20)는, 상기 예취 전동축(38)의 좌우 외측에 연결되는 입력축(42)의 앞측 근방에 상기 출력축(43)이 배치됨과 함께, 그 출력축(43)은, 상기 예취 입력축(41)의 하방 앞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그 정역전 전환 장치(20)는, 상기 입력축(42)(예취 전동축(38))측부터 상기 출력축(43)을 통하여 상기 예취 입력축(41)에 동력이 전동하는 전동 경로가 측면시로 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구성에 의해, 상하 방향의 상기 전동 체인(44)을 걸어 돌리는 상기 출력축(43)과, 상기 예취 입력축(41)과의 사이에, 그 전동 체인(44)의 장력을 유지하는 텐션 부여 부재(55)(도시하는 예에서는 판스프링)를 마련하는 스페이스를 충분히 확보하면서, 상기 정역전 전환 장치(20) 전체의 구성은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도 5 및 도 7(A)참조).
또한, 상술한 정역전 전환 장치(20)는, 상기 주행기체(2)(구체적으로는 탈곡 장치(6)의 테두리체의 전단)측에 마련한 상기 예취 전동축(38)과, 상기 예취부(3)(구체적으로는 피더(8) 내의 반송 컨베이어(19))측을 구동시키는 상기 예취 입력축(41)과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는데, 상기 예취 입력축(41)에 상당하는 전동축을 상기 주행기체(2)측에 마련하여 상기 정역전 전환 장치(20)를 상기 주행기체(2)(탈곡 장치(6))측에 마련한 구성으로 해도 좋고, 상기 예취 전동축(38)에 상당하는 전동축을 상기 예취부(3)(피더(8) 등)측에 마련하여 상기 정역전 전환 장치(20)를 상기 예취부(3)측에 마련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2: 주행기체
3: 예취부
10: 엔진
20: 정역전 전환 장치
38: 예취 전동축
41: 예취 입력축
43: 출력축
71: 전환 레버(조작 레버)

Claims (3)

  1. 앞부분에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이 전동되는 좌우 방향의 예취 전동축이 마련된 주행기체와,
    그 주행기체의 앞부분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고, 정전 구동시에 포장의 작물을 예취하여 후방으로 반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예취 전동축에 대해 상하로 병렬되면서 그 예취부에 동력을 입력하는 예취 입력축이 마련된 예취부와,
    상기 예취 전동축부터 상기 예취 입력축에 동력을 전동하는 정역전 전환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정역전 전환 장치는, 상기 예취 전동축부터 예취 입력축에의 전동 경로에서 상기 예취 입력축에 정전 동력을 전동하는 정전 상태와, 역전 동력을 전동하는 역전 상태의 전환을 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정역전 전환 장치는, 상기 예취 전동축의 단부측에서의 상기 주행기체의 측부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콤바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역전 전환 장치는, 상기 예취 입력축에 역전 동력을 출력하는 출력축과, 그 출력축부터 상기 예취 입력축에 동력을 전동하는 벨트 또는 체인을 가지며,
    상기 예취 전동축과, 상기 출력축을 전후 방향으로 나열하여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콤바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예취부는, 예취한 작물을 후방 반송하는 피더를 가지고,
    상기 정역전 전환 장치는, 상기 예취 입력축에 전동하는 동력의 정역전 방향을 전환하는 조작 레버를 가지고,
    그 조작 레버와 상기 정역전 전환 장치를, 상기 피더의 좌우 반대측에 배분하여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콤바인.
KR1020217014644A 2018-12-10 2019-11-19 범용 콤바인 KR202100971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230982 2018-12-10
JP2018230982A JP7142553B2 (ja) 2018-12-10 2018-12-10 汎用コンバイン
PCT/JP2019/045297 WO2020121753A1 (ja) 2018-12-10 2019-11-19 汎用コンバイン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7112A true KR20210097112A (ko) 2021-08-06

Family

ID=71075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4644A KR20210097112A (ko) 2018-12-10 2019-11-19 범용 콤바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142553B2 (ko)
KR (1) KR20210097112A (ko)
WO (1) WO202012175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50741A (ja) 2010-06-02 2011-12-15 Mitsubishi Agricultural Machinery Co Ltd コンバインの脱穀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79630A (ja) 2015-10-27 2017-05-18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2017209074A (ja) 2016-05-27 2017-11-30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6625580B2 (ja) 2017-03-28 2019-12-25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50741A (ja) 2010-06-02 2011-12-15 Mitsubishi Agricultural Machinery Co Ltd コンバインの脱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142553B2 (ja) 2022-09-27
JP2020092610A (ja) 2020-06-18
WO2020121753A1 (ja) 2020-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9436B2 (en) Integrated reversing system with belt engagement
JP6472357B2 (ja) コンバイン
JP6108945B2 (ja) コンバイン
US20160309651A1 (en) Drive System for the Reel of a Crop Harvesting Header
JP7041606B2 (ja) コンバイン
JP7083301B2 (ja) コンバイン
KR20210097112A (ko) 범용 콤바인
JP7196944B2 (ja) コンバイン
JP2009201474A (ja) コンバイン
JP5257245B2 (ja) コンバイン
KR20220013494A (ko) 범용 콤바인
JP6731880B2 (ja) コンバイン
JP7337040B2 (ja) コンバイン
JP2004337070A (ja) コンバイン
JP5864353B2 (ja) 収穫機用の収穫前処理装置
JP6619371B2 (ja) コンバイン
JP5814862B2 (ja) コンバイン
JP7260497B2 (ja) コンバイン
JP2011041505A (ja) コンバイン
US20220264796A1 (en) Combine and Threshing Device
JP2002095339A (ja) 刈取収穫機の排ワラ処理装置
WO2019181549A1 (ja) コンバイン
JP2002017139A (ja) コンバインの引起装置
JP2006262871A (ja) コンバインの伝動構造
JP4730508B2 (ja) コンバイ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