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3761A - 축전 장치의 탑재 구조 - Google Patents

축전 장치의 탑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3761A
KR20210093761A KR1020210004462A KR20210004462A KR20210093761A KR 20210093761 A KR20210093761 A KR 20210093761A KR 1020210004462 A KR1020210004462 A KR 1020210004462A KR 20210004462 A KR20210004462 A KR 20210004462A KR 20210093761 A KR20210093761 A KR 202100937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torage
storage stack
case
wall portion
rea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4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6683B1 (ko
Inventor
마사키 시마다
Original Assignee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93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3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6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6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K2001/040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characterised by their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K2001/040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characterised by their position
    • B60K2001/0416Arrangement in the rear part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K2001/040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characterised by their position
    • B60K2001/0433Arrangement under the rear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K2001/040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characterised by their position
    • B60K2001/0438Arrangement under the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2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 Y04S10/126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the energy generation units being or involving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i.e. power aggregation of EV or HEV, vehicle to grid arrangements [V2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축전 장치의 탑재 구조(10)는, 축전 스택(60) 및 수용 케이스(50)를 포함하는 축전 장치와, 플로어 부재(20)와, 후방측 브래킷(72)을 구비한다. 수용 케이스(50)는, 후방벽부(52b)을 갖는 하부 케이스(52)와, 상부 케이스(51)를 포함한다. 플로어 부재(20)에는, 후방측 브래킷(72)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82)가 마련되어 있다. 후방측 브래킷(72)은, 전단부(721)와, 설치부(82)에 설치되는 후단부(722)를 포함한다. 축전 스택(60)은, 후방벽부(52b)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수용 케이스(50) 내에 배치되어 있다. 후방측 브래킷(72)의 전단부(721)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축전 스택(60)의 상면(61)과 하면(62) 사이에 위치하도록 후방벽부(52b)에 고정되어 있다.

Description

축전 장치의 탑재 구조{MOUNTING STRUCTURE FOR POWER STORAGE DEVICE}
본 개시는, 차량에 있어서의 축전 장치의 탑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기 자동차 및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축전 장치가 탑재되어 있다. 축전 장치는, 축전 스택을 내부에 수용한 수용 케이스를 구비하고 있고, 예를 들어 플로어 패널에 고정된다.
종래의 축전 장치의 탑재 구조로서, 일본 특허 제5733089호 공보에는, 브래킷을 사용하여 수용 케이스의 전방측을 차량의 크로스 멤버에 고정하고, 레인포스(보강 부재)를 사용하여 수용 케이스의 후방측을 플로어 패널에 마련된 받침대부에 고정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제5733089호 공보에 개시된 축전 장치의 탑재 구조에 있어서는, 축전 장치는, 플로어 패널의 상방에 탑재되어 있다. 레인포스는, 수용 케이스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고, 후방을 향함에 따라 하방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다. 또한, 수용 케이스의 내부에 있어서는, 수용 케이스의 저부에 축전 스택이 볼트 체결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 특허 제5733089호 공보에 개시된 축전 장치의 탑재 구조에 있어서는, 차량이 후방 충돌된 경우에는, 플로어 패널로부터 레인포스를 타고 수용 케이스의 저부에 입력된 충격이, 당해 저부에 고정된 축전 스택으로 전달되어 버리는 것이 염려된다. 따라서, 축전 스택으로 입력되는 충격으로 축전 스택이 파손 등이 되지 않도록 레인포스나 플로어 패널의 일부, 혹은 플로어 패널과 수용 케이스 사이를 연결하는 브래킷, 수용 케이스 자체의 강도를 더 높이는 등의 대책이 필요해지는 경우가 있어, 축전 장치의 탑재 구조로서는 고비용으로 되는 경향이 있다.
본 개시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본 개시의 목적은, 차량이 후방 충돌된 경우에, 수용 케이스에 수용된 축전 스택에 충격이 입력되는 것을 더 저비용으로 억제 가능한 축전 장치의 탑재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개시에 기초하는 축전 장치의 탑재 구조는, 상면 및 하면을 갖는 축전 스택 및 당해 축전 스택을 수용하는 수용 케이스를 포함하는 축전 장치와, 차량의 바닥면을 형성하고, 상기 축전 장치가 고정되는 플로어 부재와, 상기 축전 장치의 후방부측을 상기 플로어 부재에 고정하기 위한 후방측 브래킷을 구비한다. 상기 수용 케이스는, 후방을 향하는 후방벽부를 갖고 상기 축전 스택의 상기 하면측이 고정되는 하부 케이스와, 상기 축전 스택의 상기 상면측을 덮도록 상기 하부 케이스에 고정되는 상부 케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플로어 부재에는, 상기 후방벽부의 후방측에 있어서, 상기 후방측 브래킷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후방측 브래킷은, 상기 후방벽부에 고정되는 전단부와, 상기 설치부에 설치되는 후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축전 스택은, 상기 후방벽부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상기 수용 케이스 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후방측 브래킷의 상기 전단부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축전 스택의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방벽부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차량이 후방 충돌된 경우에는, 플로어 패널에 입력된 충격은, 플로어 패널의 설치부에 설치된 후방측 브래킷을 통해 하부 케이스의 후방벽부에 입력된다. 여기서, 후방측 브래킷의 전단부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축전 스택의 상면과 하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부 케이스의 후방벽부에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하부 케이스의 후방벽부에 충격이 입력된 경우에는, 당해 후방벽부가, 당해 후방벽부의 근원측을 중심으로 하여 수용 케이스의 내측에 회동하도록 변형된다. 수용 케이스의 내부에 있어서는, 축전 스택이 하부 케이스의 후방벽부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변형된 후방벽부가 축전 스택에 간섭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차량이 후방 충돌된 경우에, 축전 스택에 충격이 입력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을 가짐으로써, 하부 케이스 자체, 혹은 보디 자체의 강성을 높이는 일 없이, 축전 스택으로의 충격의 입력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조 비용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본 개시에 기초하는 축전 장치의 탑재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후방벽부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축전 스택의 상기 상면보다도 낮은 위치에 상단을 갖고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후방측 브래킷의 상기 전단부는, 상기 후방벽부의 상기 상단보다도 낮은 위치에서 상기 후방벽부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후방 충돌에 의해 하부 케이스의 후방벽부가, 당해 후방벽부의 근원측을 중심으로 하여 수용 케이스의 내부측에 회동하도록 변형된 경우에, 후방벽부의 상단이 축전 스택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후방벽부의 상단측의 이동 거리를 짧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변형된 후방벽부가 축전 스택에 간섭하는 것을 더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본 개시에 기초하는 축전 장치의 탑재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축전 스택은, 후방을 향하는 후방면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상기 축전 스택의 상기 후방면에는, 후방측을 향해 돌출되는 단자부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이 경우에는, 상기 후방벽부의 상기 상단부는, 상기 단자부보다도 낮은 위치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후방 충돌에 의해 변형된 하부 케이스의 후방벽부가, 축전 스택의 후방면에 마련된 단자부에 간섭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후방 충돌 시에 단자부에 충격이 입력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본 개시에 기초하는 축전 장치의 탑재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상부 케이스는, 상기 단자부보다도 낮은 위치에 위치하는 하단을 갖고 또한 후방측으로부터 상기 후방면에 대향하는 벽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상기 벽부는, 상기 단자부의 후방측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보다도 후방측으로 팽출되는 팽출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방 충돌에 의한 하부 케이스의 후방벽부의 변형에 수반하여, 하부 케이스에 고정되어 있는 상부 케이스도 수용 케이스의 내측을 향해 변형된다. 상기 구성과 같이, 단자부의 후방측에 있어서, 상부 케이스가, 후방측을 향해 팽출되는 팽출부를 가짐으로써, 변형된 상부 케이스가 단자부에 간섭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후방 충돌 시에 단자부에 충격이 입력되는 것을 더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본 개시에 기초하는 축전 장치의 탑재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후방측 브래킷의 상기 전단부는, 상기 후방벽부에 용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후방측 브래킷을 후방벽부에 체결 부재 등을 사용하여 체결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소정의 위치에 안정적으로 후방측 브래킷을 고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축전 장치를 고정밀도로 차량에 탑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국면 및 이점은, 첨부의 도면과 관련하여 이해되는 본 발명에 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관한 축전 장치의 탑재 구조를 구비한 차량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II-II선을 따른 차량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의 축전 스택 주변의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에 관한 축전 장치의 탑재 구조를 구비한 차량이 후방 충돌된 경우에, 수용 케이스의 후방측이 변형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동일한 또는 공통되는 부분에 대하여 도면 내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또한, 도면 중에 있어서의 화살표 U방향은 상측 방향을 나타내고, 화살표 D방향은 하측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화살표 Fr 방향은 차량의 전방향을 나타내고, 화살표 Re 방향은 차량의 후방향을 나타낸다. 화살표 L방향은 차량의 좌측 방향을 나타내고, 화살표 R방향은 차량의 우측 방향을 나타낸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관한 축전 장치의 탑재 구조를 구비한 차량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II-II선을 따른 차량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실시 형태에 관한 축전 장치의 탑재 구조(10)를 구비한 차량(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100)은, 축전 장치의 탑재 구조(10)를 구비한다. 축전 장치의 탑재 구조(10)는, 축전 장치(30)를 차량(100)에 고정하는 구조이다. 당해, 축전 장치의 탑재 구조(10)는, 엔진 및 모터 제너레이터(모두 도시하지 않음)를 동력원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축전 장치의 탑재 구조(10)는, 엔진(내연 기관)을 구비하지 않는 전기 자동차에 적용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전 장치의 탑재 구조(10)가 적용되는 차량(100)은, 리어 크로스 멤버(2), 프론트측 크로스 멤버(3), 리어 모터(4), 플로어 부재(플로어 패널)(20), 축전 장치(30), 전방측 브래킷(71), 후방측 브래킷(72)을 구비한다.
축전 장치의 탑재 구조(10)는, 주로, 상술한 플로어 부재(20), 축전 장치(30) 및 후방측 브래킷(7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리어 크로스 멤버(2) 및 프론트측 크로스 멤버(3)는, 차량(100)의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리어 크로스 멤버(2) 및 프론트측 크로스 멤버(3)는,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리어 크로스 멤버(2) 및 프론트측 크로스 멤버(3)는, 플로어 부재(플로어 패널)(20)에 접합되어 있다.
리어 크로스 멤버(2)는, 리어 모터(4)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리어 크로스 멤버(2)는, 프론트측 크로스 멤버(3)보다도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리어 크로스 멤버(2)는, 프론트측 크로스 멤버(3)보다도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플로어 부재(20)는, 차량(100)의 바닥면을 형성한다. 플로어 부재(20)는, 평탄부(21)와, 만곡부(22)를 포함한다. 평탄부(21)는, 대략 평탄하게 마련되어 있고, 프론트측 크로스 멤버(3)로부터 후방측을 향해 연장된다. 만곡부(22)는, 평탄부(21)의 후방측으로부터 리어 크로스 멤버(2)를 향함에 따라 상방을 향해 만곡된다.
축전 장치(30)는, 플로어 부재(20)의 상방이며, 상기 만곡부(22)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축전 장치(30)는, 제1 유닛(31)과 제2 유닛(32)을 포함한다.
제1 유닛(31)은, 주로, 수용 케이스로서의 제1 케이스부(50)와, 축전 스택(60)을 포함한다.
축전 스택(60)은, 제1 케이스부(50)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축전 스택(60)은, 상하 방향에 대향하는 상면(61) 및 하면(62), 그리고 전후 방향에 대향하는 전방면(63) 및 후방면(64)을 갖는다. 전방면(63)은 차량의 전방을 향하고, 후방면(64)은 차량의 후방을 향한다. 축전 스택(60)은, 복수의 축전 셀(65)을 포함한다.
복수의 축전 셀(65)은,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축전 셀(65)은, 예를 들어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축전 셀(65)의 각각은, 후방을 향해 돌출되는 제1 단자부(66) 및 전방측을 향해 돌출되는 제2 단자부(67)를 갖는다. 제1 단자부(66)는, 정극 단자 또는 부극 단자이다. 제2 단자부(67)는, 제1 단자부(66)와 다른 극을 갖는 단자이고, 부극 단자 또는 정극 단자이다.
복수의 제1 단자부(66)는, 축전 스택(60)의 후방면(64)측에 있어서, 정극 단자와 부극 단자가 차량의 폭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제2 단자부(67)는, 축전 스택(60) 전방면(63)측에 있어서, 정극 단자와 부극 단자가 차량의 폭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제1 단자부(66)는, 제1 버스 바(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축전 셀(65) 중 한쪽의 축전 셀(65)의 정극 단자와, 다른 쪽의 부극 단자가 버스 바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복수의 제2 단자부(67)는, 제2 버스 바(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축전 셀(65) 중 한쪽의 축전 셀(65)의 정극 단자와, 다른 쪽의 부극 단자가 버스 바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제1 버스 바 및 제2 버스 바에 의해, 서로 인접하는 축전 셀(65)이, 축전 스택(60)의 후방면(64)측 및 축전 스택(60)의 전방면(63)측에서 교대로 접속됨으로써, 복수의 축전 셀(65)이 직렬로 접속된다.
또한, 복수의 제1 단자부(66)는, 축전 스택(60)의 후방면(64)에 마련된 단자부에 상당한다.
축전 셀(65)은, 예를 들어 니켈 수소 전지 또는 리튬 이온 전지 등의 이차 전지이다. 축전 셀(65)은, 예를 들어 각형 형상을 갖는다. 또한, 축전 셀(65)은, 각형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원통형 형상이어도 된다. 축전 셀(65)은, 액상의 전해질을 사용하는 것이어도 되고, 고체상의 전해질을 사용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축전 셀(65)은, 이차 전지에 한정되지 않고, 축전 가능한 커패시터 등이어도 된다.
제1 케이스부(50)는, 상부 케이스(51) 및 하부 케이스(52)를 포함한다. 하부 케이스(52)는, 상방을 향해 개구되는 대략 상자형 형상을 갖는다. 하부 케이스(52)에는, 축전 스택(60)의 하면(62)측이 고정된다.
하부 케이스(52)의 내측에는, 축전 스택(60)을 설치하기 위한 제1 설치부(53) 및 제2 설치부(54)가 마련되어 있다. 제1 설치부(53) 및 제2 설치부(54)는, 하부 케이스(52)의 내측에 있어서,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다. 축전 스택(60)의 하면(62)은,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양단을 갖고, 당해 양단이, 당해 제1 설치부(53) 및 제2 설치부(54)에 고정된다. 축전 스택(60)은, 하부 케이스(52)가 갖는 후방벽부(52b)(도 3 참조)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51)는, 하방을 향해 개구되는 대략 상자형 형상을 갖는다. 상부 케이스(51)는, 축전 스택(60)의 상면(61)측을 덮도록 마련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51)는, 하부 케이스(52)에 고정된다.
제2 유닛(32)은, 주로, 제2 케이스부(40), 정션 박스(43), 감시 유닛(44)을 포함한다. 정션 박스(43) 및 감시 유닛(44)은, 제2 케이스부(40)에 수용되어 있다.
정션 박스(43) 및 감시 유닛(44)의 각각은, 축전 스택(6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정션 박스(43)는, 축전 스택(60)과, 컨버터(도시하지 않음)나 인버터(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모터 제너레이터 등과 접속하는 배선의 접속부이다. 감시 유닛(44)은, 축전 스택(60)에 있어서의 각 축전 셀(65)의 상태를 감시한다.
전방측 브래킷(71)은, 축전 장치(30)의 전방부측을 플로어 부재(20)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전방측 브래킷(71)은,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전방측 브래킷(71)의 전단측은, 프론트측 크로스 멤버(3)에 체결되어 있다. 전방측 브래킷(71)은, 프론트측 크로스 멤버(3)의 후방측이며, 또한 하부 케이스(52)의 전방측에서, 플로어 부재(20)에 마련된 설치부(81)에 체결되어 있다.
전방측 브래킷(71)은, 하부 케이스(52)의 전방부측에 고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방측 브래킷(71)의 후단측이, 하부 케이스(52)의 전단측에 용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전방측 브래킷(71)을 소정의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플로어 부재(20)로의 설치 위치의 변동을 억제하여, 전방 브래킷(71)을 소형화할 수 있다.
후방측 브래킷(72)은, 축전 장치(30)의 후방부측을 플로어 부재(20)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후방측 브래킷(72)은, 하부 케이스(52)의 후방측에 있어서, 후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후방측 브래킷(72)은, 전단부(721)와, 후단부(722)를 포함한다. 전단부(72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후단부(722)는, 전단부(721)의 상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후단부(722)는, 하부 케이스(52)의 후방측에 있어서, 플로어 부재(20)에 마련된 설치부(82)에 설치되어 있다.
후방측 브래킷(72)은, 차량(100)의 후방을 향하도록 마련된 하부 케이스(52)의 후방벽부(52b)(도 3 참조)에 고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후방측 브래킷(72)의 전단부(721)가, 상하 방향에 있어서, 축전 스택(60)의 상면(61)과 하면(62) 사이에 위치하도록 후방벽부(52b)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후방측 브래킷(72)의 전단부(721)는, 당해 후방벽부(52b)에 용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후방측 브래킷(72)을 소정의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플로어 부재(20)로의 설치 위치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고, 후방측 브래킷(72)을 소형화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의 축전 스택 주변의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상술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축전 스택(60)의 주변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축전 스택(60)의 상부측을 덮도록 마련된 상부 케이스(51)는, 축전 스택(60)의 후방면(64)의 상부에 후방측으로부터 대향하는 벽부(51b)를 갖는다. 벽부(51b)는, 축전 스택(60)의 후방면(64)에 마련된 단자부(상기 제1 단자부(66))보다도 낮은 위치에 하단부(51b2)를 갖는다. 당해 하단부(51b2)는, 예를 들어 하부 케이스(52)의 후방벽부(52b)에 고정되어 있다.
벽부(51b)는, 상기 단자부(상기 제1 단자부(66))의 후방측에 있어서, 하단부(51b2)보다도 후방측을 향해 팽출되는 팽출부(51b1)를 갖는다. 즉,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축전 스택(60)의 후방면(64)으로부터 팽출부(51b1)까지의 거리는, 당해 후방면(64)으로부터 하단부(51b2)까지의 거리보다도 길다.
또한, 하부 케이스(52)의 후방벽부(52b)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축전 스택(60)의 상면(61)보다도 낮은 위치에 상단(52b1)을 갖는다. 당해 상단(52b1)은, 축전 스택(60)의 후방면(64)에 마련된 단자부(상기 제1 단자부(66))보다도 낮은 위치에 위치한다.
후방측 브래킷(72)의 전단부(721)는, 후방벽부(52b)의 상단(52b1)보다도 낮은 위치에서, 후방벽부(52b)에 고정되어 있다.
도 4는, 실시 형태에 관한 축전 장치의 탑재 구조를 구비한 차량이 후방 충돌된 경우에, 수용 케이스의 후방측이 변형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차량(100)이 후방 충돌된 경우에, 수용 케이스의 후방측이 변형되는 모습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100)이 후방 충돌된 경우에는, 리어 모터(4)가 전방측을 향해 이동하여, 플로어 부재(20)의 만곡부(22)를 압박한다. 이로써, 화살표 AR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충격이, 후방측 브래킷(72)에 입력되고, 당해 후방측 브래킷(72)을 통해 후방벽부(52b)에 입력된다.
여기서, 후방측 브래킷(72)의 전단부(721)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축전 스택의 상면(61)과 하면(62)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부 케이스(52)의 후방벽부(52b)에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하부 케이스(52)의 후방벽부(52b)에 충격이 입력된 경우에는, 도 4의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당해 후방벽부(52b)가, 당해 후방벽부(52b)의 근원측을 중심으로 하여 제1 케이스부(수용 케이스)(50)의 내측에 회동하도록 변형한다. 제1 케이스부(50)의 내부에 있어서는, 축전 스택(60)이 하부 케이스(52)의 후방벽부(52b)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변형된 후방벽부(52b)가 축전 스택(60)에 간섭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차량(100)이 후방 충돌된 경우에, 축전 스택(60)에 충격이 입력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 자체, 혹은 보디 자체의 강성을 높이는 일 없이, 축전 스택(60)으로의 충격의 입력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조 비용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후방벽부(52b)의 상단(52b1)은, 축전 스택(60)의 상면(61)보다도 낮은 위치에 위치하고, 후방측 브래킷(72)의 전단부(721)는, 후방벽부(52b)의 상단(52b1)보다도 낮은 위치에서 후방벽부(52b)에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후방 충돌에 의해 후방벽부(52b)가 상술한 바와 같이 변형된 경우에는, 후방벽부(52b)의 상단(52b1)이 축전 스택(60)의 상면(61)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후방벽부(52b)의 상단(52b1)측의 이동 거리를 짧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변형된 후방벽부(52b)가 축전 스택(60)에 간섭하는 것을 더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후방벽부(52b)의 상단(52b1)은, 축전 스택(60)의 후방면(64)에 마련된 단자부(상기 제1 단자부(66))보다도 낮은 위치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후방 충돌에 의해 변형된 하부 케이스의 후방벽부(52b)가, 축전 스택(60)의 후방면(64)에 마련된 단자부(제1 단자부(66))에 간섭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후방 충돌 시에 단자부(제1 단자부(66))에 충격이 입력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51)의 벽부(51b)에는, 상기 단자부(제1 단자부(66))의 후방측에 있어서, 벽부(51b)의 하단부(51b2)보다도 후방측을 향해 팽출되는 팽출부(51b1)가 마련되어 있다.
후방 충돌에 의해, 하부 케이스(52)의 후방벽부(52b)가 상술한 바와 같이 변형되는 경우에는, 하부 케이스(52)에 고정된 상부 케이스(51)(더 특정적으로는, 상부 케이스(51)의 벽부(51b))도, 도 4의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케이스부(50)의 내측을 향해 변형된다. 이러한 경우라도, 상술한 바와 같은 팽출부(51b1)가 마련되어 있음으로써, 변형된 상부 케이스(51)가 상기 단자부에 간섭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금회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나고, 청구범위와 균등의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Claims (5)

  1. 상면 및 하면을 갖는 축전 스택 및 당해 축전 스택을 수용하는 수용 케이스를 포함하는 축전 장치와,
    차량의 바닥면을 형성하고, 상기 축전 장치가 고정되는 플로어 부재와,
    상기 축전 장치의 후방부측을 상기 플로어 부재에 고정하기 위한 후방측 브래킷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 케이스는, 후방을 향하는 후방벽부를 갖고 상기 축전 스택의 상기 하면측이 고정되는 하부 케이스와, 상기 축전 스택의 상기 상면측을 덮도록 상기 하부 케이스에 고정되는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플로어 부재에는, 상기 후방벽부의 후방측에 있어서, 상기 후방측 브래킷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후방측 브래킷은, 상기 후방벽부에 고정되는 전단부와, 상기 설치부에 설치되는 후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축전 스택은, 상기 후방벽부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상기 수용 케이스 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후방측 브래킷의 상기 전단부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축전 스택의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방벽부에 고정되어 있는, 축전 장치의 탑재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벽부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축전 스택의 상기 상면보다도 낮은 위치에 상단을 갖고,
    상기 후방측 브래킷의 상기 전단부는, 상기 후방벽부의 상기 상단보다도 낮은 위치에서 상기 후방벽부에 고정되어 있는, 축전 장치의 탑재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전 스택은, 후방을 향하는 후방면을 갖고,
    상기 축전 스택의 상기 후방면에는, 후방측을 향해 돌출되는 단자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후방벽부의 상기 상단은, 상기 단자부보다도 낮은 위치에 위치하는, 축전 장치의 탑재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는, 상기 단자부보다도 낮은 위치에 위치하는 하단부를 갖고 또한 후방측으로부터 상기 후방면에 대향하는 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벽부는, 상기 단자부의 후방측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보다도 후방측으로 팽출되는 팽출부를 갖는, 축전 장치의 탑재 구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측 브래킷의 상기 전단부는, 상기 후방벽부에 용착되어 있는, 축전 장치의 탑재 구조.
KR1020210004462A 2020-01-20 2021-01-13 축전 장치의 탑재 구조 KR1024666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06576A JP7264070B2 (ja) 2020-01-20 2020-01-20 蓄電装置の搭載構造
JPJP-P-2020-006576 2020-01-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3761A true KR20210093761A (ko) 2021-07-28
KR102466683B1 KR102466683B1 (ko) 2022-11-14

Family

ID=76650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4462A KR102466683B1 (ko) 2020-01-20 2021-01-13 축전 장치의 탑재 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697336B2 (ko)
JP (1) JP7264070B2 (ko)
KR (1) KR102466683B1 (ko)
CN (1) CN113212136B (ko)
DE (1) DE1020211003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8500A (ko) * 2019-11-14 2021-05-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측면 충돌 시 하방이동 되는 배터리팩 마운팅 모듈
JP7240434B2 (ja) * 2021-03-30 2023-03-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車両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7361A (ko) * 2004-08-27 2007-05-04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전기 장치의 탑재 구조
US20110011654A1 (en) * 2008-02-07 2011-01-20 Honda Motor Co., Ltd Hybrid vehicle
US20110284299A1 (en) * 2009-06-25 2011-11-24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structure of a hybrid vehicle
KR20130140245A (ko) * 2012-06-14 2013-12-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고전압 배터리팩
JP2015000615A (ja) * 2013-06-14 2015-01-0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バッテリの車両搭載構造
KR20190001673A (ko) * 2017-06-28 2019-0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자동차용 차체 플로어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76927A (en) * 1974-08-30 1977-06-16 Chrysler Uk Vehicle battery assemblies
JPS5388626A (en) 1977-01-11 1978-08-04 Honda Motor Co Ltd Complex portion material
JP4178986B2 (ja) * 2003-02-13 2008-11-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電気機器の搭載構造
US7051825B2 (en) * 2003-05-21 2006-05-30 Honda Motor Co., Ltd. Structure for installing high-voltage equipment component to vehicle
KR100880388B1 (ko) * 2005-04-20 2009-01-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모듈용 하우징 부재
JP4385020B2 (ja) * 2005-06-02 2009-12-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電源装置
EP2402193B1 (en) * 2009-02-24 2015-09-30 Nissan Motor Co., Ltd. Battery mounting structure
JP5617492B2 (ja) * 2010-09-29 2014-11-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電池搭載構造
JP5477256B2 (ja) * 2010-10-26 2014-04-23 マツダ株式会社 電動車両のバッテリ搭載構造
JP5733089B2 (ja) 2011-08-01 2015-06-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装置の搭載構造
JP5734453B2 (ja) * 2011-11-14 2015-06-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の車載構造
JP5277362B1 (ja) * 2011-12-09 2013-08-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パックの車載構造
JP5983063B2 (ja) * 2012-06-08 2016-08-31 スズキ株式会社 バッテリパックの車載構造
JP6035916B2 (ja) * 2012-07-05 2016-11-30 スズキ株式会社 車体後部構造
JP2015187913A (ja) * 2012-08-09 2015-10-29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源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電動車両並びに蓄電装置
JP6070991B2 (ja) * 2013-05-14 2017-02-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蓄電装置
US9259998B1 (en) * 2014-10-20 2016-02-16 Honda Motor Co., Ltd. Vehicle body structure
JP6135694B2 (ja) * 2015-02-20 2017-05-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載電池
WO2016143214A1 (ja) * 2015-03-06 2016-09-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高圧系機器ユニット、車両用バッテリユニット及び車両
JP6520808B2 (ja) * 2016-04-21 2019-05-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バッテリ搭載構造
JP6631472B2 (ja) * 2016-11-07 2020-01-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下部構造
JP6965820B2 (ja) * 2018-04-23 2021-11-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装置の搭載構造
JP6757362B2 (ja) * 2018-05-25 2020-09-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下部構造
JP7099098B2 (ja) 2018-07-06 2022-07-12 株式会社リコー ヘッド支持機構、及び、画像形成装置
JP7052715B2 (ja) * 2018-12-28 2022-04-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下部構造
JP7286984B2 (ja) 2019-02-08 2023-06-06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電池パックの取付構造
WO2021145058A1 (ja) * 2020-01-17 2021-07-22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電動車両における電源ユニット及び後部シートの配置構造
JP7223801B2 (ja) * 2021-03-30 2023-02-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車両
JP7240434B2 (ja) * 2021-03-30 2023-03-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車両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7361A (ko) * 2004-08-27 2007-05-04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전기 장치의 탑재 구조
US20110011654A1 (en) * 2008-02-07 2011-01-20 Honda Motor Co., Ltd Hybrid vehicle
US20110284299A1 (en) * 2009-06-25 2011-11-24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structure of a hybrid vehicle
KR20130140245A (ko) * 2012-06-14 2013-12-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고전압 배터리팩
JP2015000615A (ja) * 2013-06-14 2015-01-0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バッテリの車両搭載構造
KR20190001673A (ko) * 2017-06-28 2019-0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자동차용 차체 플로어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264070B2 (ja) 2023-04-25
CN113212136B (zh) 2024-04-26
CN113212136A (zh) 2021-08-06
US20230294501A1 (en) 2023-09-21
KR102466683B1 (ko) 2022-11-14
US20210221212A1 (en) 2021-07-22
DE102021100362A1 (de) 2021-07-22
US11697336B2 (en) 2023-07-11
JP2021112986A (ja) 2021-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901361B (zh) 电池外壳的固定结构
CN107546346B (zh) 车载用蓄电池
CN108367660B (zh) 高电压控制设备单元的搭载构造
CN101312855B (zh) 束线排布结构
JP5821966B2 (ja) 蓄電装置の搭載構造
EP2767427B1 (en) Structure for mounting electric power storage device
US11124135B2 (en) Vehicle front-part structure
US20230294501A1 (en) Mounting structure for power storage device
JP2017193299A (ja) 車両のバッテリ搭載構造
JP4592366B2 (ja) 車両後部構造
CN110303867B (zh) 电池组
CN112477599A (zh) 电气设备的车载构造
JP5786818B2 (ja) 蓄電装置の搭載構造
JP2020145087A (ja) 電池配線モジュール及び電池パックアッセンブリ
WO2020137472A1 (ja) ワイヤーハーネスアセンブリ、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アセンブリの取り付け構造
JP2016192336A (ja) 蓄電装置
JP6500819B2 (ja) 蓄電装置
JP7435546B2 (ja) 車載電気機器
CN210123761U (zh) 电池组
JP2021125430A (ja) バッテリパック
JP2022126481A (ja) 車両駆動用バッテリユニット
CN111640886A (zh) 车辆
JP2021100358A (ja) 電力変換装置
JP2016051572A (ja) 蓄電装置およびグロメ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