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9095A -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9095A
KR20210089095A KR1020210001178A KR20210001178A KR20210089095A KR 20210089095 A KR20210089095 A KR 20210089095A KR 1020210001178 A KR1020210001178 A KR 1020210001178A KR 20210001178 A KR20210001178 A KR 20210001178A KR 20210089095 A KR20210089095 A KR 20210089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engine
width direction
bulkhead
chimn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1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루 오카야마
아키히코 마스타니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쥬기가이 마린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쥬기가이 마린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도모쥬기가이 마린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89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90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6Covers or casing arranged to protect plant or unit from marine environ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2Arrangements of propulsion power-unit exhaust uptakes; Funnels peculiar to vesse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합리적인 구조의 선박을 제공한다.
선박(100)에서는, 상갑판(10)의 위치에 있어서, 한 쌍의 엔진케이싱(17A, 17B)이, 거주구(13)에 대하여 선박폭방향(W)의 양측에 배치된다. 이 경우, 거주구(13)가 선박길이방향(FS)으로 뻗는 것과 같은 구조를 채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거주구(13)의 선박폭방향(W)의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선박(100)의 항행에 의하여 발생하는 풍압의 저항을 저감하여, 에너지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엔진케이싱(17A, 17B) 및 굴뚝(18)은, 거주구(13)의 선미측(S)에 배치되지 않는 것과 같은 위치관계가 된다. 이 경우, 굴뚝(18)에 대한 난류경계층(FL)(도 2 참조)은, 거주구(13)의 선미측(S)에 형성되는 난류경계층(도 6 참조)보다 작아진다. 따라서, 굴뚝(18)을 낮게 하여 부재량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선박{SHIP}
본 출원은 2020년 1월 7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20-000906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한다. 그 출원의 전체 내용은 이 명세서 중에 참고로 원용되어 있다.
본 발명은, 선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하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승무원이 거주하는 복수의 거실을 갖는 거주구와, 선박에 추진력을 부여하는 엔진 등을 수용하는 기관실(기관구역)과, 엔진케이싱을 구비한 선박이 알려져 있다. 이 선박에 있어서, 거주구는 선박폭방향으로 뻗어 있고, 기관실은, 거주구의 하방에 마련되어 있으며, 엔진케이싱은 거주구의 선미(船尾)측에 마련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8-062313호
여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거주구의 선박폭방향의 길이가 긴 선박은, 거주구의 선박폭방향의 길이가 짧은 선박에 비하여, 선박의 항행에 의하여 발생하는 풍압의 저항이 크다. 이 경우, 풍압의 저항에 의하여 손모(損耗)되는 연료의 비용을 저감시킬 것이 요구된다. 또, 거주구의 선미에는 난류경계층이 발생하기 때문에, 엔진케이싱에 마련된 굴뚝은, 당해 난류경계층보다 상방까지 뻗어 있다. 그 때문에, 굴뚝을 구성하는 부재를 저감할 것이 요구된다. 이상으로부터, 종래의 선박에서는, 부재량의 저감이나 에너지효율향상의 관점 등으로부터, 보다 합리적인 구조의 선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합리적인 구조의 선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관한 선박은, 주기(主機)가 배치되는 기관실과, 기관실의 상방에 배치되고, 갑판의 상측에 마련되는 거주구와, 상단측에 굴뚝을 가지며, 갑판의 상측에 마련되는 엔진케이싱을 구비하고, 갑판의 위치에 있어서, 한 쌍의 엔진케이싱이, 거주구에 대하여 선박폭방향의 양측에 배치된다.
이 선박에서는, 갑판의 위치에 있어서, 한 쌍의 엔진케이싱이, 거주구에 대하여 선박폭방향의 양측에 배치된다. 이 경우, 거주구가 선박길이방향으로 뻗는 것과 같은 구조를 채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거주구의 선박폭방향의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선박의 항행에 의하여 발생하는 풍압의 저항을 저감하여, 에너지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엔진케이싱 및 굴뚝은, 거주구의 선미측에 배치되지 않는 것과 같은 위치관계가 된다. 이 경우, 굴뚝에 대한 난류경계층은, 거주구의 선미측에 형성되는 난류경계층보다 작아진다. 따라서, 굴뚝을 낮게 하여 부재량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으로부터, 부재량의 저감이나 에너지효율향상의 관점 등으로부터, 보다 합리적인 구조의 선박을 제공할 수 있다.
거주구의 상단측으로부터 선박폭방향으로 뻗는 브리지윙은, 엔진케이싱에 지지되어도 된다. 이 경우, 거주구의 선박폭방향의 길이를 짧게 함으로써, 브리지윙이 길어져도, 복잡한 지지구조를 별도 마련하지 않아도, 엔진케이싱으로 지지할 수 있다.
기관실에는, 엔진, 보일러, 및 발전기가 마련되고, 선박폭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측의 엔진케이싱에는, 보일러에 접속된 굴뚝이 마련되며, 선박폭방향에 있어서의 타방측의 엔진케이싱에는, 발전기에 접속된 굴뚝, 및 엔진에 접속된 굴뚝이 마련되어도 된다. 이 경우, 배관구조가 작아지는 발전기를 선박폭방향에 있어서의 타방측에 배치함으로써, 당해 타방측의 기관실의 스페이스에 여유를 갖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당해 여유가 있는 스페이스에, 엔진이 큰 배관구조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합리적인 구조의 선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박의 선미측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III-III선을 따른 개략단면도이다.
도 4는 거주구 및 엔진케이싱의 사시도이다.
도 5는 거주구 및 엔진케이싱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개략평면도이다.
도 6은 비교예에 관한 선박의 선미측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측면도이다.
도 7은 비교예에 관한 선박의 선미측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선박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다만, 도면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 또는 동등의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 상하좌우 등의 위치관계는, 도면의 위치관계에 근거하는 것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박의 선미측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III-III선을 따른 개략단면도이다. 다만, 여기에서의 선박(100)은 탱커이다. 이하, 선박(100)의 선수(船首)-선미방향을 선박길이방향(FS)으로 기재하고, 선수방향을 선수측(F), 선미방향을 선미측(S)으로 기재한다. 또, 이하, 선박(100)의 우현-좌현방향을 선박폭방향(W)으로 기재하고, 선박(100)의 상하방향을 상하방향(UB)으로 기재하며, 상방을 상방(U), 하방을 선저측(B)으로 기재한다.
이 선박(100)에 있어서는, 도 1,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체(110) 내의 선미측(S)에 기관실(1)이 마련되고, 이 기관실(1)보다 선수측(F)에 제3 격벽(7)을 사이에 두고 연료탱크(2)가 배치된다. 또, 선박(100)에는, 기관실(1) 및 연료탱크(2)보다 선체(110) 내의 선수측(F)에 제1 격벽(5) 및 제3 격벽(7)을 사이에 두고 펌프실(3)이 배치되며, 이 펌프실(3)보다 선수측(F)에 제4 격벽(8)을 사이에 두고 카고스페이스(4)가 복수 배치된다. 카고스페이스(4)는, 예를 들면 화물유를 저류하는 공간이다.
선박(100)에는, 선체(110) 내의 선수측(F)에 선수부(60)가 배치되고, 이 선수부(60)보다 선미측(S)에 선수격벽(61)을 사이에 두고 카고스페이스(4)가 배치된다. 선박(100)에는, 선체(110) 내의 선미측(S)에 선미부(62)가 배치된다. 이 선미부(62)보다 선수측(F)에 선미격벽(63)을 사이에 두고 공간부(64)가 배치된다. 이 공간부(64)보다 선수측(F)에 제5 격벽(9)을 사이에 두고 기관실(1)이 배치된다. 이들 기관실(1), 펌프실(3), 카고스페이스(4)의 천장면은 상갑판(10)으로 구성되고, 바닥면측은, 선체(110)의 외각(外殼)을 형성하는 선저외판(船底外板)(11)과, 이 선저외판(11)의 선체 내측에 마련된 내저판(內底板)(12)에 의하여 2중 선저구조로 되어 있다. 거주구(13)는, 기관실(1)의 상방(U)에 마련되며, 상갑판(10) 상에 배치된다.
선박(100)의 전체구성에 대하여,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기관실(1)에는, 메인엔진인 주기(14) 등의 기기가 배치된다. 주기(14)는, 기관실(1) 내에서 가장 큰 기기로서 추진력을 발생하는 프로펠러를 구동하는 것이고, 기관실(1)의 선박폭방향(W)의 대략 중앙에 배치되며, 선박길이방향(FS) 및 상하방향(UB)으로 뻗어 있다. 다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관실(1)의 상방(U)에는, 거주구(13)나 브리지(16)(조타실)가 배치된다.
연료탱크(2)는, 예를 들면 선박길이방향(FS)에 있어서 펌프실(3) 및 카고스페이스(4)와 기관실(1)의 사이에 배치되며, 선박폭방향(W) 및 상하방향(UB)으로 뻗어 있다. 연료탱크(2)는, 선박길이방향(FS)에 있어서 기관실(1)과 펌프실(3)의 사이에 배치된 제1 탱크부위(21)와, 선박길이방향(FS)에 있어서 펌프실(3)을 통하지 않고 기관실(1)과 카고스페이스(4)의 사이에 배치된 한 쌍의 제2 탱크부위(22)를 갖는다. 한 쌍의 제2 탱크부위(22)는, 선박폭방향(W)에 있어서 제1 탱크부위(21)의 양측에 이웃하도록 배치된다.
펌프실(3)은, 기관실(1)의 선수측(F)에 배치된다. 펌프실(3)은, 예를 들면 선박폭방향(W)에서 보아 L자형을 나타낸다(특히 도 2를 참조). 펌프실(3)은, 상갑판(10)으로부터 상하방향(UB)으로 뻗어 있는 제1 펌프실부위(31)와, 제1 펌프실부위(31)의 하부와 연속되어 있는 제2 펌프실부위(32)를 갖는다. 제1 펌프실부위(31)는, 선박길이방향(FS)에 있어서 제1 탱크부위(21)보다 선수측(F)에 제1 격벽(5)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다. 제1 펌프실부위(31)는, 선박폭방향(W)의 대략 전체로 확산되는 제2 펌프실부위(32)보다 선박폭방향(W)의 폭은 작고, 예를 들면 연료탱크(2)의 제1 탱크부위(21)의 선박폭방향(W)의 폭과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제1 펌프실부위(31)는, 선박폭방향(W)에 있어서 연료탱크(2)의 제2 탱크부위(22)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2 펌프실부위(32)는, 제1 펌프실부위(31)의 선저측(B)에 배치된다. 제2 펌프실부위(32)는, 상하방향(UB)에 있어서 기관실(1)의 선수측의 공간 및 연료탱크(2)의 선저측(B)에 배치된다. 제2 펌프실부위(32)는, 기관실(1) 내의 주기(14)보다 선수측(F)에 배치된다. 제2 펌프실부위(32)는, 제1 펌프실부위(31) 및 연료탱크(2)의 제1 탱크부위(21)의 선저측(B)에 있어서 제4 격벽(8)으로부터 선미측(S)을 향하여 뻗음과 함께, 연료탱크(2)보다 선미측(S)으로 뻗어 기관실(1)의 공간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다만, 제2 펌프실부위(32)의 더 상세한 설명은, 제3 격벽(7)의 구성과 함께 후술한다.
제1 격벽(5)은, 선박길이방향(FS)에 있어서 연료탱크(2)의 제1 탱크부위(21)와 펌프실(3)의 제1 펌프실부위(31)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격벽(5)은, 상갑판(10)과 제2 펌프실부위(32)의 상면(후술하는 저벽(74))의 사이에서 상하방향(UB) 및 선박폭방향(W)으로 뻗어 있다. 제1 격벽(5)은, 그 상단부에 있어서 거주구(13)를 지지한다.
제2 격벽(6)은, 제1 격벽(5)의 선미측(S)에 있어서 선박길이방향(FS) 및 상하방향(UB)으로 뻗어 있다. 제2 격벽(6)은, 예를 들면 연료탱크(2) 내에 있어서, 제1 탱크부위(21)와 제2 탱크부위(22)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2 격벽(6)은, 연료탱크(2)를 선박폭방향(W)에 있어서 복수의 구획으로 나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격벽(6)은, 예를 들면 선박폭방향(W)에 있어서 제1 탱크부위(21)의 양단에 배치되는 한 쌍의 격벽이다. 한 쌍의 제2 격벽(6)은, 선박길이방향(FS)에 있어서 연료탱크(2) 내로 뻗어 있고, 연료탱크(2)를 제1 탱크부위(21)와 한 쌍의 제2 탱크부위(22)로 나눈다. 한 쌍의 제2 격벽(6)은, 예를 들면 제1 탱크부위(21)와 제2 탱크부위(22)를 나누기 때문에, 제1 격벽(5)과 후술하는 제3 격벽(7)의 상부격벽(73)의 사이에 있어서, 선박길이방향(FS)을 따라 뻗도록 배치된다. 또, 한 쌍의 제2 격벽(6)은, 상갑판(10)으로부터 제2 펌프실부위(32)의 상면(후술하는 저벽(74))까지 상하방향(UB)으로 뻗어 있다.
제3 격벽(7)은, 기관실(1)을 선수측(F)으로 구획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3 격벽(7)은, 선저측(B)에 있어서 상하방향(UB)으로 뻗어 있는 하부격벽(71)과, 하부격벽(71)의 상단부로부터 선수측(F)으로 뻗어 있고, 펌프터빈이 마련되는 단차부(72)와, 단차부(72)의 선수측(F)의 단부로부터 상하방향(UB)으로 뻗어 있는 상부격벽(73)을 갖는다. 하부격벽(71), 단차부(72), 및 상부격벽(73)은, 선박폭방향(W)으로 뻗어 있다. 기관실(1)의 선수측(F)은, 제3 격벽(7)의 상부격벽(73)에 의하여 연료탱크(2)와 구획된다. 기관실(1)의 선수측(F) 또한 선저측(B)은, 제3 격벽(7)의 하부격벽(71) 및 단차부(72)에 의하여 펌프실(3)의 제2 펌프실부위(32)와 구획된다. 하부격벽(71)은, 선박길이방향(FS)에 있어서 기관실(1)의 주기(14)와 펌프실(3)의 제2 펌프실부위(32)의 사이에 배치된다.
단차부(72)와 연료탱크(2)의 위치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차부(72)는, 연료탱크(2)의 각 탱크부위(21, 22)보다 선미측(S)의 위치에서, 당해 탱크부위(21, 22)의 선박폭방향(W)의 전역에 걸쳐 확산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 선박폭방향(W) 중, 제1 탱크부위(21)에 대응하는 영역에서는, 단차부(72)는, 상부격벽(73)보다 더 선수측(F)으로 연장되어, 제1 격벽(5)의 하단과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단차부(72)의 연장부분은, 제1 탱크부위(21)의 저벽(74)을 구성한다(도 2 참조). 또, 선박폭방향(W) 중, 제2 탱크부위(22)에 대응하는 영역에서는, 단차부(72)는, 상부격벽(73)보다 더 선수측(F)으로 연장되어, 제4 격벽(8)과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단차부(72)의 연장부분은, 제2 탱크부위(22)의 저벽(75)을 구성한다(도 2 참조). 이와 같은 형태에 의하여, 펌프실(3)의 제2 펌프실부위(32)는, 연료탱크(2)의 선저측(B)의 대략 전역에 걸쳐 공간을 형성하도록 확산된다. 다만, 제2 탱크부위(22)의 저벽(75)의 높이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구성에서는, 저벽(75)이 단차부(72) 및 저벽(74)과 동일한 높이위치에 배치되어 있었지만, 저벽(75)은, 내저판(12)에 의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단차부(72)의 하방에 있어서의 펌프실(3)의 제2 펌프실부위(32) 내에는, 복수 대의 펌프(33)가, 선박폭방향(W)으로 일렬로 나열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기관실(1) 내에 있어서 펌프(33)의 상방(U)의 위치인 단차부(72) 상에는, 각 펌프(33)를 구동하기 위한 펌프터빈(15)이 각각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펌프(33)는, 펌프터빈(15)에 의하여 구동되고 카고스페이스(4) 내의 화물유를 흡입하여, 육상시설의 접속구가 되는 상갑판(10) 상의 매니폴드에 송출하며, 육상시설로의 하역을 행한다. 펌프(33)는, 펌프터빈(15) 대신에, 전동의 모터에 의하여 구동력이 부여되어도 된다. 펌프(33)는, 화물유를 흡입하기 위한 화물유펌프로서 이용되어도 되고, 다른 일부는 밸러스트수(水)를 흡입하기 위한 밸러스트펌프로서 이용되어도 된다. 다만, 단차부(72)는 주기(14)의 상면보다 낮은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상부격벽(73)은, 하부격벽(71)보다 상방(U)에 배치됨과 함께, 하부격벽(71)보다 선수측(F)에 배치된다. 제1 격벽(5)은, 제3 격벽(7)의 상부격벽(73) 및 펌프터빈(15)보다 선수측(F)에 위치한다. 즉, 연료탱크(2)의 제1 탱크부위(21)는, 상부격벽(73)과 제1 격벽(5)의 사이에 배치된다. 다만, 연료탱크(2)의 제2 탱크부위(22)는, 상부격벽(73)과 제4 격벽(8)의 사이에 배치된다. 연료탱크(2)의 제1 탱크부위(21) 및 제2 탱크부위(22)의 선미측(S)에 배치되는 상부격벽(73)은, 예를 들면 선박길이방향(FS)에 있어서 동일평면을 따라 배치된다.
제4 격벽(8)은, 연료탱크(2)의 한 쌍의 제2 탱크부위(22)와 카고스페이스(4)의 사이, 및 펌프실(3)의 제1 펌프실부위(31)와 카고스페이스(4)의 사이에 배치된다. 연료탱크(2)의 한 쌍의 제2 탱크부위(22)와 카고스페이스(4)의 사이에 마련된 제4 격벽(8)과, 펌프실(3)의 제1 펌프실부위(31)와 카고스페이스(4)의 사이에 마련된 제4 격벽(8)은, 예를 들면 선박길이방향(FS)에 있어서 동일평면을 따라 배치된다.
제5 격벽(9)은, 기관실(1)을 선미측(S)으로 구획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5 격벽(9)은, 기관실(1)과 공간부(64)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5 격벽(9)은, 선박길이방향(FS) 및 선박폭방향(W)에 있어서, 공간부(64)의 형상에 맞추어 굴곡져 있어도 된다. 공간부(64)의 상방(U)에는, 예를 들면 공조장치실이나 창고가 마련된다. 다만, 선미부(62)의 상방(U)에는, 선박(100)의 조타를 행하기 위한 조타장치 등이 설치되는 구획인 조타기실이 배치된다. 공간부(64)에 있어서, 조타기실의 선저측(B)에는, 예를 들면 빌지, 약제나 윤활유 등을 저류하기 위한 탱크 등을 배치해도 되고, 다른 용도로 이용하는 비어있는 곳으로 해도 된다. 선수부(60) 또는 선미부(62)는, 밸러스트탱크로서 이용되어도 되고, 다른 용도로 이용하는 비어있는 곳으로 해도 된다. 제3 격벽(7), 제4 격벽(8), 제5 격벽(9), 선수격벽(61) 및 선미격벽(63)은, 선박폭방향(W)으로 뻗어 있음과 함께, 선저외판(11)부터 상갑판(10)까지 뻗어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기관실(1), 펌프실(3), 카고스페이스(4)의 선저측(B)은, 선저외판(11)과, 내저판(12)에 의하여 2중 선저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기관실(1)의 저부에는 제1 선저부(41)가 배치된다. 제1 선저부(41)에는, 빌지, 약제나 윤활유 등을 저류하기 위한 탱크 등을 배치해도 되며, 다른 용도로 이용하는 비어있는 곳으로 해도 된다. 펌프실(3)의 저부에는 제2 선저부(42)가 배치된다. 제2 선저부(42)는, 밸러스트탱크로서 이용되어도 되고, 다른 용도의 탱크를 배치해도 된다. 카고스페이스(4)의 저부에는 제3 선저부(43)가 배치된다. 제3 선저부(43)는, 밸러스트탱크로서 이용되어도 되고, 다른 용도로 이용하는 비어있는 곳으로 해도 된다.
기관실(1)의 상방(U)에는, 거주구(13)가 마련되고, 당해 거주구(13)의 상측에는 브리지(조타실)(16)가 배치된다. 거주구(13)는, 상하방향(UB)에 있어서 기관실(1)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의 상갑판(10) 상에 배치된다. 거주구(13)는, 예를 들면 기관실(1)보다 선수측(F)까지 뻗어 있음으로써, 선박길이방향(FS)의 길이가 선박폭방향(W)의 길이에 비하여 길게 구성된다. 거주구(13)는, 상부격벽(73)보다 선수측(F)으로 뻗어 있다. 다만, 선박의 거주구(13)는, 선수측(F)에 있어서 기관실(1)과 펌프실(3)의 사이의 격벽의 위치까지밖에 뻗어 있을 수 없다. 이 때문에, 거주구(13)는, 선박길이방향(FS)으로 최대한 길게 하기 위하여, 선수측(F)에 있어서 제1 격벽(5)까지 뻗어 있다. 거주구(13)는, 예를 들면 선박길이방향(FS)에 있어서 제1 격벽(5)부터 선미격벽(63)까지의 길이를 가지며, 선박폭방향(W)에 있어서 한 쌍의 제2 격벽(6) 간의 길이를 갖고, 상면시(上面視) 직사각형상을 나타낸다. 거주구(13)는, 예를 들면 제1 격벽(5), 한 쌍의 제2 격벽(6), 제5 격벽(9) 및 선미격벽(63)에 의하여 지지된다. 제1 격벽(5), 제5 격벽(9) 및 선미격벽(63)에 의하여, 거주구(13)의 선박길이방향(FS)에 있어서의 진동이 억제된다. 한 쌍의 제2 격벽(6) 및 제5 격벽(9)에 의하여, 거주구(13)의 선박폭방향(W)에 있어서의 진동이 억제된다.
거주구(13)는, 제1 격벽(5)의 상단으로부터 선미측(S)으로 뻗어 배치된다. 여기에서, 거주구(13)가 제1 격벽(5)의 상단으로부터 선미측(S)으로 마련되어 있는 상태란, 선박길이방향(FS)에 있어서, 거주구(13)의 선수측(F)의 단부(13a)가 제1 격벽(5)과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거주구(13)는, 예를 들면 선미격벽(63)의 상단으로부터 선수측(F)으로 뻗어 배치된다. 거주구(13)가 선미격벽(63)의 상단으로부터 선수측(F)으로 마련되어 있는 상태란, 선박길이방향(FS)에 있어서, 거주구(13)의 선미측(S)의 단부(13b)가 선미격벽(63)과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이로써, 거주구(13)의 진동을 저감하여, 배관, 배선의 결합의 점에서도 유리하게 된다. 거주구(13)는, 예를 들면 선박길이방향(FS)의 길이가 선박폭방향(W)의 길이에 비하여 긴 형상을 갖는다. 거주구(13)는, 예를 들면 선박폭방향(W)에 있어서 한 쌍의 제2 격벽(6)의 상단 간에 뻗어 배치된다. 거주구(13)가 한 쌍의 제2 격벽(6)의 상단 간에 마련되어 있는 상태란, 선박폭방향(W)에 있어서, 거주구(13)의 양단부(13c, 13d)가 한 쌍의 제2 격벽(6)과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도 3 참조).
다음으로, 도 3~도 5를 참조하여, 거주구(13), 엔진케이싱(17A, 17B) 및 그에 관한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거주구(13) 및 엔진케이싱(17A, 17B)의 사시도이다. 도 5는, 거주구(13) 및 엔진케이싱(17A, 17B)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개략평면도이다. 단, 도 5에서는, 거주구(13) 및 엔진케이싱(17A, 17B) 이외의 구조물을 생략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박폭방향(W)에 있어서의 거주구(13)의 우현측(R)에는 엔진케이싱(17A)이 마련되고, 거주구(13)의 좌현측(L)에는 엔진케이싱(17B)이 마련된다. 엔진케이싱(17A, 17B)은, 기관실(1)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의 상갑판(10)의 상측에 배치된다(도 2 참조). 엔진케이싱(17A, 17B)은, 제1 격벽(5) 및 제3 격벽(7)의 상부격벽(73)보다 선미측(S) 또한 제5 격벽(9)보다 선수측(F)에 배치된다. 엔진케이싱(17A, 17B)은 기관실(1)의 일부의 공간으로서 구성되며, 기관실(1) 내의 기기나 배관 등이 배치된다.
기관실(1)에는, 상술한 주기(14), 상술한 펌프터빈(15), 보일러(91), 및 발전기(90)가 마련된다. 펌프터빈(15)은, 단차부(72) 상에 있어서, 좌현측(L)에 치우쳐진 상태로 배열된다. 보일러(91)는, 펌프터빈(15)에 증기를 공급하여, 당해 펌프터빈(15)을 구동한다. 보일러(91)는, 기관실(1) 중, 주기(14)보다 좌현측(L)에 치우쳐진 상태로 배치된다. 이로써, 보일러(91)는, 좌현측(L)에 치우쳐진 펌프터빈(15)의 가까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보일러(91)와 펌프터빈(15)의 사이의 배관거리나 부재량 등을(도 6의 비교예에 비하여) 저감하고, 유체저항 등을 저감할 수 있다. 보일러(91)의 배기는, 배관(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엔진케이싱(17B)의 상측에 마련된 굴뚝(18Ba)으로부터 배출된다(도 4 및 도 5 참조). 또, 펌프터빈(15)은, 배관(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엔진케이싱(17B)의 상측에 마련된 굴뚝(18Bb)으로부터 배출된다(도 4 및 도 5 참조).
발전기(90)는, 단차부(72) 상에 있어서, 우현측(R)에 치우쳐친 상태로 배열된다. 즉, 펌프터빈(15)이 좌현측(L)에 치우쳐짐으로써, 우현측(R)의 스페이스에 여유가 생긴다. 따라서, 당해 여유가 생긴 스페이스에 밸러스트펌프(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고, 일단(一段) 상의 레벨위치에, 발전기(90)가 배치된다. 발전기(90)의 배기는, 배관(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엔진케이싱(17A)의 상측에 마련된 굴뚝(18Ab)으로부터 배출된다(도 4 및 도 5 참조). 여기에서, 발전기(90)로부터의 기체의 배출량은, 보일러(91)나 펌프터빈(15)에 비하여 적기 때문에, 배출을 위한 배관 등을 작게 할 수 있다. 기관실(1)의 우현측(R)은, 비교적 스페이스에 여유가 생긴다. 따라서, 기관실(1)의 우현측(R)에는, 배기량이 많은 주기(14)의 배기기구가 마련된다. 즉, 주기(14)의 배기용의 배관(92)은, 기관실(1)의 우현측(R)으로 뻗는다. 구체적으로, 배관(92)은, 주기(14)의 측면으로부터 우현측(R)으로 뻗는 수평부(92a)와, 수평부(92a)의 선단부로부터 상방으로 뻗는 연직부(92b)를 구비한다. 그리고, 배관(92)으로 수송된 기체는, 엔진케이싱(17A)의 상측에 마련된 굴뚝(18Aa)으로부터 배출된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갑판(10)의 상측에 있어서의 거주구(13) 및 엔진케이싱(17A, 17B)의 구성 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거주구(13)는, 상갑판(10)의 상측에 마련되어 있고, 당해 상갑판(10)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뻗도록 마련된다. 브리지(16)는, 거주구(13)의 상단면 중, 선수측(F)의 단부부근에 마련되어 있다. 여기에서, 브리지(16)의 전단부는, 거주구(13)의 전단의 위치에서 선박(100)의 주위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브리지(16)의 전단부의 선박폭방향(W)의 중앙위치를 감시위치(VP)의 기준위치로 한다.
브리지(16)의 선박폭방향(W)의 우현측(R) 및 좌현측(L)에는, 브리지윙(19A, 19B)이 마련된다. 브리지윙(19A)은, 거주구(13)의 상단측으로부터 선박폭방향(W)의 우현측(R)으로 수평으로 뻗는다. 브리지윙(19A)은, 엔진케이싱(17A)보다 우현측(R)까지 뻗어 있다. 브리지윙(19A)은, 엔진케이싱(17A)의 상단부에 지지된다. 브리지윙(19B)은, 거주구(13)의 상단측으로부터 선박폭방향(W)의 좌현측(L)으로 수평으로 뻗는다. 브리지윙(19B)은, 엔진케이싱(17B)보다 좌현측(L)까지 뻗어 있다. 브리지윙(19B)은, 엔진케이싱(17B)의 상단부에 지지된다.
선박폭방향(W)에 있어서의 좌현측(L)(일방측)의 엔진케이싱(17B)에는, 보일러(91)에 접속된 굴뚝(18Ba)이 마련되고, 펌프터빈(15)에 접속된 굴뚝(18Bb)이 마련된다. 굴뚝(18Ba, 18Bb)은, 엔진케이싱(17B)의 상면이며, 선미측(S) 근처의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상술한 브리지윙(19B)은, 엔진케이싱(17B)의 상면이며, 선수측(F) 근처의 위치에서 지지된다. 이로써, 브리지윙(19B)은, 굴뚝(18Ba, 18Bb)과 간섭하지 않도록 배치된다.
선박폭방향(W)에 있어서의 우현측(R)(타방측)의 엔진케이싱(17A)에는, 주기(14)에 접속된 굴뚝(18Aa)이 마련되고, 발전기(90)에 접속된 굴뚝(18Ab)이 마련된다. 굴뚝(18Aa, 18Ab)은, 엔진케이싱(17A)의 상면이며, 선미측(S) 근처의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상술한 브리지윙(19A)은, 엔진케이싱(17A)의 상면이며, 선수측(F) 근처의 위치에서 지지된다. 이로써, 브리지윙(19A)은, 굴뚝(18Aa, 18Ab)과 간섭하지 않도록 배치된다.
도 5를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의 배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 "엔진케이싱(17)", "굴뚝(18)"이라고 칭한 경우, 좌현측에 존재하는 것인지 우현측에 존재하는 것인지를 특별히 구별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엔진케이싱(17A, 17B)은, 상갑판(10)의 위치에 있어서, 거주구(13)에 대하여 선박폭방향(W)의 양측에 배치된다. 또, 한 쌍의 엔진케이싱(17A, 17B)은, 상갑판(10)의 위치에 있어서, 거주구(13)로부터 선박폭방향(W)의 외측으로 이간된 위치에 배치된다. 다만, "상갑판(10)의 위치에 있어서의" 위치관계란, 엔진케이싱(17A, 17B)의 상갑판(10)에 대한 부근(付根)부분(도 4의 "LM1"로 나타내는 부분)과, 거주구(13)의 상갑판(10)에 대한 부근부분(도 4의 "LM2"로 나타내는 부분)의 형상에 근거한 위치관계인 것으로 한다. 이후의 설명에서는, 특별한 주의기입이 없는 경우는, 상갑판(10)의 위치에 있어서의 위치관계를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한 쌍의 엔진케이싱(17A, 17B)이, 거주구(13)에 대하여 선박폭방향(W)의 양측에 배치되는 상태란, 선박폭방향(W)에서 보았을 때에, 거주구(13)의 적어도 일부가 엔진케이싱(17A, 17B)과 겹쳐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당해 상태가 어떠한 것인지를 설명하기 위하여, 거주구(13)에 대하여, 기준선(SL1, SL2)을 설정한다. 기준선(SL1)은, 거주구(13)의 선수측(F)의 단부(13a)를 통과하고, 또한 선박폭방향(W)으로 평행하게 뻗는 가상선이다. 기준선(SL2)은, 거주구(13)의 선미측(S)의 단부(13b)를 통과하고, 또한 선박폭방향(W)에 평행하게 뻗는 가상선이다. 이 경우, 엔진케이싱(17A, 17B)의 적어도 일부는, 기준선(SL1)과 기준선(SL2)의 사이의 영역에 존재하고 있다. 예를 들면, 엔진케이싱(17A, 17B)의 일방 또는 양방의 선수측(F)의 단부(17a)가, 기준선(SL2)보다 선미측(S)에 존재하는 경우, 엔진케이싱(17A, 17B)의 일방 또는 양방이 완전하게 거주구(13)의 선미측(S)에 배치된다. 엔진케이싱(17A, 17B)의 일방 또는 양방의 선미측(S)의 단부(17b)가, 기준선(SL1)보다 선수측(F)에 존재하는 경우, 엔진케이싱(17A, 17B)의 일방 또는 양방이 완전하게 거주구(13)의 선수측(F)에 배치된다. 이들의 상태는, 거주구(13)에 대하여 선박폭방향(W)의 양측에 배치되는 상태에는 해당하지 않는다.
여기에서, 굴뚝(18)은, 감시위치(VP)보다 높은 위치까지 뻗어 있다. 따라서, 굴뚝(18)은, 감시위치(VP)에서의 감시의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 선박(100)에 있어서는, 감시위치(VP)를 기준으로 하여, 감시의 방해가 되는 구조물을 배치할 수 없는 시야범위가 설정된다. 당해 시야범위는, 브리지(16)의 선박폭방향(W)의 중심선(CL1)(감시위치(VP)의 선수측(F)의 부분)을 기준으로 하는 우현측(R)의 기준각도(θ1), 및 좌현측(L)의 기준각도(θ1)로 설정되는 범위이다. 즉, 굴뚝(18Aa, 18Ab)은, 중심선(CL1)을 기준으로 하여, 우현측(R)에 기준각도(θ1)보다 큰 각도를 이루는 위치(기준선(SL3)보다 선미측(S))에 배치된다. 굴뚝(18Ba, 18Bb)은, 중심선(CL1)을 기준으로 하여, 좌현측(L)에 기준각도(θ1)보다 큰 각도를 이루는 위치(기준선(SL4)보다 선미측(S))에 배치된다. 기준각도(θ1)는, 예를 들면 중심선(CL1)으로부터 좌우 각각에 112.5˚로 설정되지만, 규칙에 준하여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다만, 선미측(S)에도, 굴뚝(18)을 마련할 수 없는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당해 범위는, 중심선(CL1)의 감시위치(VP)의 선미측(S)의 부분을 기준으로 하는 우현측(R)의 기준각도(θ2), 및 좌현측(L)의 기준각도(θ2)로 설정되는 범위이다. 즉, 굴뚝(18Aa, 18Ab)은, 중심선(CL1)을 기준으로 하여, 우현측(R)에 기준각도(θ2)보다 큰 각도를 이루는 위치(기준선(SL5)보다 선수측(F))에 배치된다. 굴뚝(18Ba, 18Bb)은, 중심선(CL1)을 기준으로 하여, 좌현측(L)에 기준각도(θ2)보다 큰 각도를 이루는 위치(기준선(SL6)보다 선수측(F))에 배치된다. 기준각도(θ2)는, 선미측(S)에 있어서의 다른 구조물과의 간섭 등을 생각하여, 예를 들면 15˚로 설정되지만, 상황에 따라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100)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비교예에 있어서의 선박에 대하여, 도 6 및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비교예에 관한 선박의 선미측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측면도이다. 도 7은, 비교예에 관한 선박의 선미측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단면도이다. 비교예에 있어서의 선박(200)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100)과 동일한 구성 또는 기능을 갖는 부위에 대해서는 동일한 숫자를 붙인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의 선박(200)에서는, 거주구(13)는, 선수측(F)에 있어서, 제3 격벽(7)의 상부격벽(73)까지 뻗어 있다. 거주구(13)는, 선박길이방향(FS)의 길이가 선박폭방향(W)의 길이에 비하여 짧게 구성된다. 거주구(13)의 선수측(F) 및 양 현측은, 한 쌍의 기관격벽(201) 및 제3 격벽(7)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즉, 선박길이방향(FS)에 있어서, 거주구(13)의 선수측(F)의 전단벽은, 제3 격벽(7)의 상부격벽(73)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3 격벽(7)의 단차부(72) 상에는, 펌프터빈(15)이 배치되어 있다. 이 펌프터빈(15)은, 특별히 어느 쪽의 방향으로 치우쳐 있는 것은 아니다.
선박폭방향(W)에 있어서, 거주구(13)는, 한 쌍의 기관격벽(201)이 배치되어 있는 간격에 맞추어 뻗어 있고, 거주구(13)의 선박폭방향(W)의 한 쌍의 측단벽은, 한 쌍의 기관격벽(201)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거주구(13)의 선미측(S)에 엔진케이싱(117)이 마련되어 있다. 당해 엔진케이싱(117)의 상단에는, 굴뚝(118)이 마련되어 있다. 도면에 있어서는, 굴뚝(118)은, 배관(192)을 통하여 주기(14)와 접속되어 있다. 다만, 엔진케이싱(117)에는, 다른 기기의 배기용의 굴뚝도 형성된다. 보일러(91)는, 엔진케이싱(117)과 동일하게, 거주구(13)의 선미측(S)에 마련된다.
비교예에 관한 선박(200)에서는, 거주구(13)의 선박폭방향(W)의 길이가 길어지기 때문에, 풍압에 의한 저항이 커진다. 또, 거주구(13)에서 형성되는 난류경계층(FL)이, 선미측(S)의 굴뚝(118)의 위치에서 커진다. 따라서, 굴뚝(118)을 난류경계층(FL)보다 높은 위치에서 개구하도록, 높은 위치에 마련할 필요가 있다. 또, 배관(192)은, 주기(14)의 측면부터 굴뚝(118)에 이를 때까지 복잡하고 긴 경로를 통과할 필요가 있다. 이상으로부터, 부재량이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100)에서는, 상갑판(10)의 위치에 있어서, 한 쌍의 엔진케이싱(17A, 17B)이, 거주구(13)에 대하여 선박폭방향(W)의 양측에 배치된다. 이 경우, 거주구(13)가 선박길이방향(FS)으로 뻗는 것과 같은 구조를 채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거주구(13)의 선박폭방향(W)의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선박(100)의 항행에 의하여 발생하는 풍압의 저항을 저감하여, 에너지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엔진케이싱(17A, 17B) 및 굴뚝(18)은, 거주구(13)의 선미측(S)에 배치되지 않는 것과 같은 위치관계가 된다. 이 경우, 굴뚝(18)에 대한 난류경계층(FL)(도 2 참조)은, 거주구(13)의 선미측(S)에 형성되는 난류경계층(도 6 참조)보다 작아진다. 따라서, 굴뚝(18)을 낮게 하여 부재량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배관(92)은, 주기(14)의 측면으로부터 굴곡져 바로 굴뚝(18Aa)에 도달한다. 따라서, 배관(92)을 심플하고, 또한 짧게 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부재량의 저감이나 에너지효율향상의 관점 등으로부터, 보다 합리적인 구조의 선박(100)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서는, 상갑판(10)에 있어서의 위치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여기에서, 예를 들면 거주구(13)가, 상갑판(10)의 상공의 위치에서만, 선미측(S)으로 뻗는 것과 같은 구조에 대하여 고려한다. 이 경우, 상갑판(10)의 위치에서는, 한 쌍의 엔진케이싱(17A, 17B)이, 거주구(13)에 대하여 선박폭방향(W)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지 않지만, 상갑판(10)의 상공의 위치에서는, 한 쌍의 엔진케이싱(17A, 17B)이, 거주구(13)에 대하여 선박폭방향(W)의 양측에 배치되는 것 같은 구조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당해 구조는, "한 쌍의 엔진케이싱(17A, 17B)은, 상갑판(10)의 위치에 있어서, 거주구(13)에 대하여 선박폭방향(W)의 양측에 배치되는" 상태에는 해당하지 않는다.
거주구(13)의 상단측으로부터 선박폭방향(W)으로 뻗는 브리지윙(19A, 19B)은, 엔진케이싱(17A, 17B)에 지지되어도 된다. 이 경우, 거주구(13)의 선박폭방향(W)의 길이를 짧게 함으로써, 브리지윙(19A, 19B)이 길어져도, 복잡한 지지구조를 별도 마련하지 않아도, 엔진케이싱(17A, 17B)으로 지지할 수 있다.
기관실(1)에는, 주기(14), 보일러(91), 및 발전기(90)가 마련되고, 선박폭방향(W)에 있어서의 좌현측(L)의 엔진케이싱(17B)에는, 보일러(91)에 접속된 굴뚝(18Ba)이 마련되며, 선박폭방향(W)에 있어서의 우현측의 엔진케이싱(17A)에는, 발전기(90)에 접속된 굴뚝(18Ab), 및 주기(14)에 접속된 굴뚝(18Aa)이 마련되어도 된다. 이 경우, 배관구조가 작아지는 발전기(90)를 선박폭방향(W)에 있어서의 우현측에 배치함으로써, 당해 우현측의 기관실(1)의 스페이스에 여유를 갖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당해 여유가 있는 스페이스에, 주기(14)가 큰 배관구조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본 발명을 그 실시형태에 근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연료탱크(2)의 구성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기관실(1)과 펌프실(3)이, 선박길이방향(FS)으로 이웃해도 된다. 또, 거주구(13)를 지지하는 격벽의 구조도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특별히 적합한 이유로, 선박(100)을 탱커로 하고 있지만, 오일뿐만 아니라 광석이나 석탄 등의 고형화물(벌크)도 실을 수 있는 겸용선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며, 요점은, 선미측(S)으로부터 선수측(F)을 향하여, 기관실, 연료탱크, 펌프실, 카고스페이스가 격벽을 사이에 두고 병설된 선박에 대하여 적용 가능하다.
1…기관실
13…거주구
14…주기(엔진)
17, 17A, 17B…엔진케이싱
18, 18Aa, 18Ab, 18Ba, 18Bb…굴뚝
19A, 19B…브리지윙
90…발전기
91…보일러
100…선박
FS…선박길이방향
W…선박폭방향

Claims (3)

  1. 주기가 배치되는 기관실과,
    상기 기관실의 상방에 배치되고, 갑판의 상측에 마련되는 거주구와,
    상단측에 굴뚝을 가지며, 상기 갑판의 상측에 마련되는 엔진케이싱을 구비하고,
    상기 갑판의 위치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엔진케이싱이, 거주구에 대하여 선박폭방향의 양측에 배치되는, 선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주구의 상단측으로부터 상기 선박폭방향으로 뻗는 브리지윙은, 상기 엔진케이싱에 지지되는, 선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관실에는, 엔진, 보일러, 및 발전기가 마련되고,
    상기 선박폭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측의 상기 엔진케이싱에는, 상기 보일러에 접속된 상기 굴뚝이 마련되며,
    상기 선박폭방향에 있어서의 타방측의 상기 엔진케이싱에는, 상기 발전기에 접속된 상기 굴뚝, 및 상기 엔진에 접속된 상기 굴뚝이 마련되는, 선박.
KR1020210001178A 2020-01-07 2021-01-06 선박 KR202100890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00906 2020-01-07
JP2020000906A JP7297690B2 (ja) 2020-01-07 2020-01-07 船舶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9095A true KR20210089095A (ko) 2021-07-15

Family

ID=76878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1178A KR20210089095A (ko) 2020-01-07 2021-01-06 선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297690B2 (ko)
KR (1) KR20210089095A (ko)
CN (1) CN11314799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006729A (ja) 2021-06-30 2023-01-1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車載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62313A (ja) 2016-10-14 2018-04-1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船舶の居住区構造及び貨物運搬船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35918Y1 (ko) * 1969-12-03 1973-10-27
JPS51112892U (ko) * 1975-03-08 1976-09-13
JPH045434Y2 (ko) * 1984-11-20 1992-02-17
JPS63131895U (ko) * 1987-02-23 1988-08-29
JP4237666B2 (ja) 2004-04-23 2009-03-11 住友重機械マリン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船舶におけるエンジンケーシング
DE102004060266B4 (de) * 2004-12-15 2006-10-12 Imawis Maritime Wirtschafts- Und Schiffbauforschung Gmbh Deckshaus
JP4835918B2 (ja) 2005-11-04 2011-12-14 清水建設株式会社 杭と柱の接合構造および接合工法
CN104203741B (zh) * 2012-03-21 2015-11-25 今治造船株式会社 船舶
JP3175981U (ja) 2012-03-22 2012-06-07 株式会社新来島どっく 船舶における煙突構造
KR101750122B1 (ko) * 2012-04-17 2017-06-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US9089806B2 (en) 2012-10-01 2015-07-28 Advanced Cleanup Technologies, Inc. Exhaust gas diverter and collection system for ocean going vessels
CN103723265A (zh) * 2012-10-15 2014-04-16 江苏省镇江船厂(集团)有限公司 改进艉视范围的上排烟全回转拖船
JP6608584B2 (ja) * 2013-06-19 2019-11-20 住友重機械マリン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船舶
JP6190685B2 (ja) 2013-09-30 2017-08-3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蓋付カップ容器
JP6002813B1 (ja) 2015-05-29 2016-10-05 株式会社大島造船所 船舶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62313A (ja) 2016-10-14 2018-04-1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船舶の居住区構造及び貨物運搬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147999A (zh) 2021-07-23
JP2021109475A (ja) 2021-08-02
JP7297690B2 (ja) 202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02813B1 (ja) 船舶
JP4382111B2 (ja) 液体貨物船の貨物ポンプ装置
EP2088075A1 (en) Piping structure for oil tanker
KR20170100472A (ko) 액화가스 저장설비를 구비한 부체 구조물
CN109562818B (zh) 具有多个燃料管路的船舶
JP5819755B2 (ja) 船舶
JP6388150B2 (ja) Lng船
KR20210089095A (ko) 선박
JP2008132974A (ja) 油槽船の配管構造
JP6617380B2 (ja) 船舶の機関室構造
JP2018193054A (ja) 船舶
JP3125225U (ja) 船舶における清水関連設備
JP5827040B2 (ja) タンカー船
JP6608584B2 (ja) 船舶
JP2018149920A (ja) 船舶
JP2008183105A (ja) 船舶
KR20210089096A (ko) 선박
KR100802584B1 (ko) 상갑판에 연료유 저장탱크를 갖는 선박
CN110662694A (zh) 海上浮体结构物
JP4237666B2 (ja) 船舶におけるエンジンケーシング
CN209096995U (zh) 一种用于小型船舶的动力驱动系统
JP2006248455A (ja) 上甲板裏の燃料タンク
JP2006123814A (ja) 船舶
JP2020152248A (ja) 船舶
KR101031266B1 (ko) 밸러스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