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8813A - 스토퍼 압입형 롤로드 마운팅 장치 - Google Patents

스토퍼 압입형 롤로드 마운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8813A
KR20210088813A KR1020200001762A KR20200001762A KR20210088813A KR 20210088813 A KR20210088813 A KR 20210088813A KR 1020200001762 A KR1020200001762 A KR 1020200001762A KR 20200001762 A KR20200001762 A KR 20200001762A KR 20210088813 A KR20210088813 A KR 20210088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rod
press
bracket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1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0562B1 (ko
Inventor
이관호
조희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대흥알앤티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대흥알앤티,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1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0562B1/ko
Publication of KR20210088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8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0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0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60K5/1291Supports comprising st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토퍼 압입형 롤로드 마운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의 서브프레임과 체결되는 브라켓부, 브라켓부의 내부로 압입되어 고정되는 인슐레이터부, 인슐레이터부의 일단에 형성되고, 브라켓부의 내측 둘레 홈으로 인입되어 브라켓부의 외주면에 고정 설치되는 스토퍼, 인슐레이터부로부터 스토퍼까지 연장되어 인슐레이터부 및 스토퍼 내부에 형성되는 코어, 차량의 변속기와 체결되고, 스토퍼와 접하도록 구성되는 로드부를 포함하고, 차량의 전진시 상기 인슐레이터부가 압축되어 변위가 제어되고, 차량의 후진시 상기 스토퍼가 변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스토퍼 압입형 롤로드 마운팅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토퍼 압입형 롤로드 마운팅 장치{Stopper press-fit roll rod mounting device}
본 발명은 스토퍼 압입형 롤로드 마운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바람직하게, 롤마운트의 전후 유동 발생시에 이음 및 변위과다 방지를 위한 스토퍼가 압입된 롤로드 마운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 및 변속기를 차체에 장착하는 방식은 크게 관성 지지와 중심 지지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관성 지지 방식은 엔진의 관성 주축을 이용한 지지 방식으로, 마운팅 개수에 따라 4점 지지 방식과 3점 지지 방식으로 구분된다.
4점 지지 방식은 차체의 사이드 멤버의 상단 또는 옆면에 엔진 마운트와 변속기 마운트가 위치되며, 서브 프레임에 프론트 및 리어 롤스톱퍼가 장착되는 방식이다. 이에 비해 3점 지지 방식은, 엔진의 일측에 구성되는 엔진 마운트와 변속기의 일측에 구성되는 변속기 마운트는 4점 지지 방식과 동일하게 차체의 사이드 멤버의 상단 또는 옆면에 장착되고, 프론트 및 리어 롤스토퍼 대신에 롤로드를 서브프레임 혹은 크로스 멤버에 마운팅하는 방식을 채택한다.
한편, 일반적으로 관성 3점 지지 방식에 적용되는 자동차의 롤로드는 파워트레인의 롤링 거동을 제어하며, 롤로드 자체는 차량 장착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거동을 일으킨다.
최근 제조사에서 자동차 플랫폼으로 중대형 차량의 고토크의 엔진에도 관성 3점 지지 방식을 채택함에 따라 롤로드를 많이 적용하고 있으며, 전차종 모두 일반 솔리드 타입의 롤로드를 적용하고 있다.
일반 솔리드 타입의 롤로드는 로드, 프론트 인슐레이터 및 리어 인슐레이터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종래 솔리드 타입 롤로드의 경우, 감쇄 기능이 없어서 시동 온/오프(on/off)나 팁 인/아웃(Tip in/out)쇼크 등에 의한 파워트레인의 대변위 발생시 변위를 감쇄시키지 못하고, 또한 이에 따른 여진이 승객에게 전달되어 불만을 야기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솔리드 타입의 롤로드는 중고주파 대역의 동스프링 특성 증가로 인해 가속투과 소음/부밍 소음 등과 같은 실내 소음에도 매우 불리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부품수가 많아 중량 및 원가가 상승하고 품질관리 측면에서도 불리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3792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브라켓부의 내부로 압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단일의 인슐레이터부를 포함하는 스토퍼 압입형 롤로드 마운팅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인슐레이터부와 일체로 가류되고, 브라켓부에 압입하여 조립시 접힘 구조를 갖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스토퍼 압입형 롤로드 마운팅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스토퍼 압입형 롤로드 마운팅 장치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차량의 서브프레임과 체결되는 브라켓부; 상기 브라켓부의 내부로 압입되어 고정되는 인슐레이터부; 상기 인슐레이터부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부의 내측 둘레 홈으로 인입되어 상기 브라켓부의 외주면에 고정 설치되는 스토퍼; 상기 인슐레이터부로부터 상기 스토퍼까지 연장되어 상기 인슐레이터부 및 상기 스토퍼 내부에 형성되는 코어; 차량의 변속기와 체결되고, 상기 스토퍼와 접하도록 구성되는 로드부; 를 포함하고, 차량의 전진시 상기 인슐레이터부가 압축되어 변위가 제어되고, 차량의 후진시 상기 스토퍼가 변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스토퍼 압입형 롤로드 마운팅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브라켓부의 내측 둘레 홈에 위치하고, 상기 코어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코어부; 및 상기 코어부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로드부와 적어도 일부가 접하고, 다수개로 분할 형성되는 로드 접촉부; 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스토퍼 압입형 롤로드 마운팅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코어부는 상기 브라켓부의 일끝단으로부터 상기 로드 접촉부의 일끝단이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스토퍼 압입형 롤로드 마운팅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코어부는 상기 로드 접촉부가 압축되는 경우 상기 브라켓부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이격되어 위치하는 스토퍼 압입형 롤로드 마운팅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로드 접촉부는, 상기 코어부와 마주하는 영역과 상기 로드부와 접하는 상기 코어의 외측 영역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스토퍼 압입형 롤로드 마운팅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코어부와 마주하는 영역보다 상기 로드부와 접하는 상기 코어의 외측 영역의 두께가 더 두껍도록 형성되는 스토퍼 압입형 롤로드 마운팅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가 상기 브라켓부에 압입되어 최초 체결되는 경우 상기 로드 접촉부가 뒤집어지고, 상기 스토퍼가 상기 브라켓부에 체결 완료되는 경우 상기 로드 접촉부의 형상이 원복되도록 구성되는 스토퍼 압입형 롤로드 마운팅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로드부의 일면이 상기 스토퍼의 외측 둘레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스토퍼 압입형 롤로드 마운팅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코어와 상기 로드부의 일면을 관통하여 상기 브라켓부와 상기 로드부를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볼트체결부; 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스토퍼 압입형 롤로드 마운팅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 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브라켓부의 내부로 압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단일의 인슐레이터부를 포함하여, 부품수를 축소할 수 있고 원가 절감이 가능한 스토퍼 압입형 롤로드 마운팅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인슐레이터부와 일체로 가류되고, 브라켓부에 압입하여 조립시 접힘 구조를 갖는 스토퍼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이음 발생을 방지하고 변위 과대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스토퍼 압입형 롤로드 마운팅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스토퍼 압입형 롤로드 마운팅 장치가 차량의 서브프레임 및 변속기와 체결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스토퍼 압입형 롤로드 마운팅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스토퍼 압입형 롤로드 마운팅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스토퍼 압입형 롤로드 마운팅 장치의 인슐레이터 및 스토퍼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스토퍼 압입형 롤로드 마운팅 장치의 스토퍼가 브라켓부 내부로 압입되는 상태 및 체결 완료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FRT ROLL('D'단)일 경우의 스토퍼 압입형 롤로드 마운팅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RR ROLL('R'단)일 경우의 스토퍼 압입형 롤로드 마운팅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시계 방향", "반시계 방향" 은 도면을 기준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스토퍼 압입형 롤로드 마운팅 장치가 차량의 서브프레임 및 변속기와 체결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스토퍼 압입형 롤로드 마운팅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는 스토퍼 압입형 롤로드 마운팅 장치는 차량의 서브프레임과 체결되는 브라켓부(100), 브라켓부(100)의 내부로 압입되어 고정되는 인슐레이터부(2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인슐레이터부(200)의 일단에 형성되고, 브라켓부(100)의 내측 둘레 홈으로 인입되어 브라켓부(100)의 외주면에 고정 설치되는 스토퍼(300), 인슐레이터부(200)로부터 스토퍼(300)까지 연장되어 인슐레이터부(200) 및 스토퍼(300) 내부에 형성되는 코어(4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차량의 변속기와 체결되고, 스토퍼(300)와 접하도록 구성되는 로드부(500)를 포함하고, 차량의 전진시 인슐레이터부(200)가 압축되어 변위가 제어되고, 차량의 후진시 스토퍼(300)가 변위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나아가, 코어(400)와 로드부(500)의 일면을 관통하여 브라켓부(100)와 로드부(500)를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볼트체결부(60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브라켓부(100)는 차량의 서브프레임과 체결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한 쌍의 볼트부재를 통해 차량의 서브프레임에 장착 고정될 수 있다. 브라켓부(100)의 일단은 인슐레이터부(200)가 인입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타단은 홈이 형성되어 스토퍼(300)가 압입될 수 있다.
인슐레이터부(200)는 브라켓부(100)의 내부로 압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브라켓부(100)에 형성된 내부 공간으로 인입되어 롤마운트에 전달되는 진동을 절연하는 절연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인슐레이터부(200)의 외측면에는 아우터 파이프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파이프를 통해 인슐레이터부(200)는 브라켓부(100)에 압입하여 고정될 수 있다. 아우터 파이프는 인슐레이터부(200)의 외측면에 끼워져, 인슐레이터부(200)가 브라켓부(100)의 내부로 인입되면 브라켓부(10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인슐레이터부(200)가 브라켓부(100)에 압축 고정되어 앞뒤로 과하게 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는 스토퍼 압입형 롤로드 마운팅 장치는, 차량의 전진시 인슐레이터부(200)가 압축되어 변위가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슐레이터부(200)는 고무 소재로 이루어져 인장하중에 비해 상대적으로 압축하중에 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슐레이터부(200)는 파워트레인의 주방향(차량 전진시 거동 방향, D단 주행시 거동 방향) 거동시 압축 하중을 받게 되어 변위를 제어할 수 있다.
스토퍼(300)는 인슐레이터부(200)의 일단에 형성되고, 브라켓부(100)의 내측 둘레 홈으로 인입되어 브라켓부(100)의 외주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스토퍼(300)는 인슐레이터부(200)와 일체로 성형되어 브라켓부(100)의 밖으로 돌출되도록 조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는 스토퍼 압입형 롤로드 마운팅 장치는, 차량의 후진시 스토퍼(300)가 변위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토퍼(300)는 브라켓부(100)와 로드부(500) 사이에 형성되어 변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스토퍼(300)는 파워트레인의 거동에 의한 하중 작용시 로드부(500)와 브라켓부(100) 사이에서 변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스토퍼(300)는 파워트레인의 R단 후진시와 같이 대변위 하중이 작용하지 않고 발생 빈도가 낮은 조건의 발생 변위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코어(400)는 인슐레이터부(200)로부터 스토퍼(300)까지 연장되어 인슐레이터부(200) 및 스토퍼(300)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코어(400)는 인슐레이터부(200)와 함께 가황되어 브라켓부(100) 내부로 압입될 수 있다. 인슐레이터부(200)의 중앙에 돌출된 코어(400)와 스토퍼(300)가 브라켓부(100)의 내측 둘레 홈으로 통과하여 조립될 수 있다.
코어(400)는 인슐레이터부(200)의 변위를 제어하고 내구성을 보완시킬 수 있다. 또한, 로드부(500)와 브라켓부(100)의 연결시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로드부(500)는 차량의 변속기와 체결되고 스토퍼(300)와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로드부(500)의 일면이 스토퍼(300)의 외측 둘레보다 크게 형성되어 스토퍼(300)와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로드부(500)는 차량의 변속기와 서브프레임 사이를 연결할 수 있도록 소정 길이를 갖는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로드부(500)의 일측 단부에는 변속기와 연결될 수 있도록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로드부(500)의 일측 단부에 진동을 절연하는 절연체를 삽입하여 변속기와 결합될 수 있다. 로드부(500)에 삽입된 절연체는 차량의 파워트레인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일차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다.
스토퍼(300)와 연결되는 로드부(500)의 타측 단부는 넓고 평평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로드부(500)의 타측 단부의 일면이 스토퍼(300)의 외측 둘레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볼트체결부(600)는 코어(400)와 로드부(500)의 일면을 관통하여 브라켓부(100)와 로드부(500)를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볼트체결부(600)는 코어(400)와 로드부(500)의 중심을 동시에 관통하여 브라켓부(100)를 로드부(500)의 타측 단부에 결합 고정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스토퍼 압입형 롤로드 마운팅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스토퍼 압입형 롤로드 마운팅 장치의 인슐레이터 및 스토퍼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는 스토퍼 압입형 롤로드 마운팅 장치의 스토퍼(300)는, 브라켓부(100)의 내측 둘레 홈에 위치하고, 코어(400)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코어부(310) 및 코어부(310)의 외측에 위치하여 로드부(500)와 적어도 일부가 접하고, 다수개로 분할 형성되는 로드 접촉부(3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코어부(310)는 브라켓부(100)의 일끝단으로부터 로드 접촉부(320)의 일끝단이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코어부(310)는 로드 접촉부(320)가 압축되는 경우 브라켓부(100)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코어부(310)는 코어(400)를 감싸면서 브라켓부(100)의 내측 둘레 홈에 위치할 수 있다. 로드 접촉부(320)는 코어부(310)의 외측에 위치하여 로드부(500)와 적어도 일부가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로드 접촉부(320)는 다수개로 분할 형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로드 접촉부(320)는 사각형의 형상을 갖고 4개로 분할 형성될 수 있다. 즉, 로드 접촉부(320)의 각 꼭지점에는 중앙부를 향하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로드 접촉부(320)가 브라켓부(100)의 내부로 압입되는 동안 홈을 기준으로 분할된 부분이 접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브라켓부(100)에 로드 접촉부(320)가 체결 완료되는 경우 홈을 기준으로 접혔던 로드 접촉부(320)는 형상이 원복될 수 있다.
브라켓부(100)의 내측 둘레 홈을 통과할 때 로드 접촉부(320)는 내측으로 접히면서 면적을 최소화 하고 통과 후에는 펼쳐짐으로써 브라켓부(100)와 로드부(500) 사이에 위치시 충분한 변위제어 및 충격흡수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로드 접촉부(320)는 브라켓부(100)에 최초 체결되는 경우와 체결 완료된 경우 형상이 달라지게 될 수 있다.
코어부(310)는 브라켓부(100)의 일끝단으로부터 로드 접촉부(320)의 일끝단이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로드 접촉부(320)가 내측으로 접혔을 때 브라켓부(100)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코어부(310)는 로드 접촉부(320)가 브라켓부(100)에 압입되면서 내측으로 접힌 경우 브라켓부(100)의 일끝단과 간섭되지 않도록 길이를 확보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스토퍼 압입형 롤로드 마운팅 장치의 스토퍼가 브라켓부 내부로 압입되는 상태 및 체결 완료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는 스토퍼 압입형 롤로드 마운팅 장치는, 로드 접촉부(320)는 코어부(310)와 마주하는 영역과 로드부(500)와 접하는 코어(400)의 외측 영역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로드 접촉부(320)는 코어부(310)와 마주하는 영역보다 로드부(500)와 접하는 코어(400)의 외측 영역의 두께가 더 두껍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토퍼(300)가 브라켓부(100)에 압입되어 최초 체결되는 경우 로드 접촉부(320)가 뒤집어지고, 스토퍼(300)가 브라켓부(100)에 체결 완료되는 경우 로드 접촉부(320)의 형상이 원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로드 접촉부(320)는 도 5에 도시되 바와 같이 다수개로 분할되어 코어부(310)와 마주하는 중심부 영역과 로드부(500)와 접하는 코어(400) 외측의 가장자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로드 접촉부(320)가 브라켓부(100)의 내부로 압입될 때, 스토퍼(300)는 접힘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로드부(500)와 접하는 코어(400)의 외측 영역의 두께는 코어부(310)와 마주하는 영역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300)가 브라켓부(100)에 압입되어 체결 완료되는 경우, 뒤집어졌던 로드 접촉부(320)의 형상은 두께 차이로 인해 쉽게 원복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 접촉부(320)의 로드부(500)와 접하는 코어(400) 외측 영역은 브라켓부(100)의 내측 둘레 홈보다 크도록 펼쳐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FRT ROLL('D'단)일 경우의 스토퍼 압입형 롤로드 마운팅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차량의 전진 주행시 파워트레인의 거동에 의해 변속기에 부하되는 회전 토크는 반시계 방향일 수 있다. 이때, 로드부(500)는 변속기와 연결되어 당겨질 수 있다. 로드부(500)는 변속기의 회전에 따라 인장되는 힘을 인슐레이터부(200)에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인슐레이터부(200)가 압축되며 변위가 제어될 수 있다.
인슐레이터부(200)는 고무 소재는 이루어져 인장하중에 비해 상대적으로 압축하중에 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파워트레인의 주방향(차량 전진시 거동 방향, D단 주행시 거동 방향) 거동시 도 6과 같이 압축 하중을 받게 되어 변위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RR ROLL('R'단)일 경우의 스토퍼 압입형 롤로드 마운팅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차량의 후진 주행시 파워트레인의 거동에 의해 변속기에 부하되는 회전 토크는 시계 방향일 수 있다. 이때, 로드부(500)는 변속기와 연결되어 압력을 인가받을 수 있다. 로드부(500)는 변속기의 회전에 따라 압축되는 힘을 인슐레이터부(200)에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스토퍼(300)가 로드부(500)와 브라켓부(100) 사이에서 변위를 제어될 수 있다. 즉, 스토퍼(300)는 파워트레인의 R단 후진시와 같이 대변위 하중이 작용하지 않고 발생 빈도가 낮은 조건의 발생 변위를 제어할 수 있다.
스토퍼(300)는 로드부(500)와 브라켓부(100) 사이에 위치하여 로드부(500)에 가해지는 충격을 제어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로드부(500)에 부하되는 힘에 대응할 수 있도록 소정의 면적을 가지고 로드부(500)와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은 단일의 인슐레이터부(200)와 일체로 가류되고, 브라켓부(100)에 압입하여 조립시 접힘 구조를 갖는 스토퍼(300)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이음 발생을 방지하고 변위 과대 문제를 방지할 수 있으면서 부품수를 축소할 수 있는 스토퍼 압입형 롤로드 마운팅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기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기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브라켓부
200: 인슐레이터부
300: 스토퍼
310: 코어부
320: 로드 접촉부
400: 코어
500: 로드부
600: 볼트체결부

Claims (9)

  1. 차량의 서브프레임과 체결되는 브라켓부;
    상기 브라켓부의 내부로 압입되어 고정되는 인슐레이터부;
    상기 인슐레이터부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부의 내측 둘레 홈으로 인입되어 상기 브라켓부의 외주면에 고정 설치되는 스토퍼;
    상기 인슐레이터부로부터 상기 스토퍼까지 연장되어 상기 인슐레이터부 및 상기 스토퍼 내부에 형성되는 코어;
    차량의 변속기와 체결되고, 상기 스토퍼와 접하도록 구성되는 로드부; 를 포함하고,
    차량의 전진시 상기 인슐레이터부가 압축되어 변위가 제어되고, 차량의 후진시 상기 스토퍼가 변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스토퍼 압입형 롤로드 마운팅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브라켓부의 내측 둘레 홈에 위치하고, 상기 코어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코어부; 및
    상기 코어부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로드부와 적어도 일부가 접하고, 다수개로 분할 형성되는 로드 접촉부; 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스토퍼 압입형 롤로드 마운팅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는 상기 브라켓부의 일끝단으로부터 상기 로드 접촉부의 일끝단이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스토퍼 압입형 롤로드 마운팅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는 상기 로드 접촉부가 압축되는 경우 상기 브라켓부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이격되어 위치하는
    스토퍼 압입형 롤로드 마운팅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접촉부는,
    상기 코어부와 마주하는 영역과 상기 로드부와 접하는 상기 코어의 외측 영역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스토퍼 압입형 롤로드 마운팅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와 마주하는 영역보다 상기 로드부와 접하는 상기 코어의 외측 영역의 두께가 더 두껍도록 형성되는
    스토퍼 압입형 롤로드 마운팅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가 상기 브라켓부에 압입되어 최초 체결되는 경우 상기 로드 접촉부가 뒤집어지고, 상기 스토퍼가 상기 브라켓부에 체결 완료되는 경우 상기 로드 접촉부의 형상이 원복되도록 구성되는
    스토퍼 압입형 롤로드 마운팅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의 일면이 상기 스토퍼의 외측 둘레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스토퍼 압입형 롤로드 마운팅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와 상기 로드부의 일면을 관통하여 상기 브라켓부와 상기 로드부를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볼트체결부; 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스토퍼 압입형 롤로드 마운팅 장치.
KR1020200001762A 2020-01-07 2020-01-07 스토퍼 압입형 롤로드 마운팅 장치 KR102310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762A KR102310562B1 (ko) 2020-01-07 2020-01-07 스토퍼 압입형 롤로드 마운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762A KR102310562B1 (ko) 2020-01-07 2020-01-07 스토퍼 압입형 롤로드 마운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8813A true KR20210088813A (ko) 2021-07-15
KR102310562B1 KR102310562B1 (ko) 2021-10-07

Family

ID=76889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1762A KR102310562B1 (ko) 2020-01-07 2020-01-07 스토퍼 압입형 롤로드 마운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0562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4912B1 (ko) * 2004-06-17 2005-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롤로드
JP2006076433A (ja) * 2004-09-09 2006-03-23 Tokai Rubber Ind Ltd サブフレーム機構および該サブフレーム機構に用いられるゴムマウント
KR20110060424A (ko) * 2009-11-30 2011-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롤로드 구조
KR20120014968A (ko) * 2010-08-11 2012-02-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브릿지형 리어 롤로드
KR20120059294A (ko) * 2010-11-30 2012-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롤로드
KR20130011055A (ko) * 2011-07-20 2013-01-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하이드로 롤로드 장치
KR20130020195A (ko) * 2011-08-19 2013-02-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서브프레임용 롤로드의 구조
KR101237929B1 (ko) 2010-09-03 2013-02-2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롤로드 구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4912B1 (ko) * 2004-06-17 2005-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롤로드
JP2006076433A (ja) * 2004-09-09 2006-03-23 Tokai Rubber Ind Ltd サブフレーム機構および該サブフレーム機構に用いられるゴムマウント
KR20110060424A (ko) * 2009-11-30 2011-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롤로드 구조
KR20120014968A (ko) * 2010-08-11 2012-02-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브릿지형 리어 롤로드
KR101237929B1 (ko) 2010-09-03 2013-02-2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롤로드 구조
KR20120059294A (ko) * 2010-11-30 2012-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롤로드
KR20130011055A (ko) * 2011-07-20 2013-01-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하이드로 롤로드 장치
KR20130020195A (ko) * 2011-08-19 2013-02-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서브프레임용 롤로드의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0562B1 (ko) 2021-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99059B2 (ja) 中空ドライブシャフト用ダイナミックダンパ
JP4356641B2 (ja) トルクロッド
US4223565A (en) Device for attenuating vibrations in a drive shaft of a motor vehicle
JP4421500B2 (ja) 防振装置
KR970002036A (ko) 서로 연결된 두 제진기시스템을 가진 이중 질량식 다이내믹 제진기 및 이 다이내믹 제진기를 갖춘 구동축
US5975505A (en) Mount insulator
KR102341479B1 (ko) 자동차용 파워트레인의 리어 마운팅 구조
KR102310562B1 (ko) 스토퍼 압입형 롤로드 마운팅 장치
JP4833883B2 (ja) 防振装置
JP4283853B2 (ja) リンク装置
US11383591B2 (en) Roll mount device for vehicle
WO2019131512A1 (ja) 電気自動車用防振装置の配設構造
JPH09280314A (ja) 防振装置
KR102283774B1 (ko) 프리로드 타입 마운트
JPH04302725A (ja) 円筒型防振装置
JP7457635B2 (ja) 防振装置
JPH09196095A (ja) 防振装置の弾性ストッパ
WO2012132105A1 (ja) 防振装置
JP7460572B2 (ja) 防振装置
JP2009079731A (ja) ダイナミックダンパ
KR200142216Y1 (ko) 자동차용 부유 엔진 마운트
JP2002276713A (ja) 連結ロッド
JP2009275746A (ja) トルクロッド
KR20230126526A (ko) 압입타입 모터마운팅 이중절연 부시구조
JPH012835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