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5443A - 공기조화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5443A
KR20210085443A KR1020190178470A KR20190178470A KR20210085443A KR 20210085443 A KR20210085443 A KR 20210085443A KR 1020190178470 A KR1020190178470 A KR 1020190178470A KR 20190178470 A KR20190178470 A KR 20190178470A KR 20210085443 A KR20210085443 A KR 20210085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pressure
heat exchanger
pipe
byp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8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치우
사용철
김각중
신일융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8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5443A/ko
Priority to PCT/KR2020/015132 priority patent/WO2021137408A1/en
Priority to JP2022539682A priority patent/JP7455211B2/ja
Priority to CN202080091544.7A priority patent/CN114902008B/zh
Priority to US17/088,773 priority patent/US11725855B2/en
Priority to EP20211005.2A priority patent/EP3845830A1/en
Publication of KR20210085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54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a combination of modes of operation covered by two or more of the groups F25B1/00 - F25B23/00
    • F25B25/005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a combination of modes of operation covered by two or more of the groups F25B1/00 - F25B23/00 using primary and secondary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0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 for the subsequent treatment of primary air in the room units
    • F24F3/065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 for the subsequent treatment of primary air in the room units with a plurality of evaporators or 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9/00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e.g. operating alternately or simultaneously
    • F25B29/003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e.g. operating alternately or simultaneously of the compression type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 F25B41/42Arrangements for diverging or converging flows, e.g. branch lines or jun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7/00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removing deposits or corrosion,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 F25B47/006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removing deposits or corrosion,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for preventing fro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5/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evaporator circuits, e.g. for varying refrigerating capacity
    • F25B5/0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evaporator circuits, e.g. for varying refrigerating capacity arranged in parall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03Indoor unit with water as a heat sink or hea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07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ree pipes connecting the outdoor side to the indoor side with multiple in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3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 F25B2313/0231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with simultaneous cooling and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3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 F25B2313/023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with bypa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3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 F25B2313/0233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in paralle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7Water-cooled 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04Refrigeration circuit bypassing means
    • F25B2400/0411Refrigeration circuit bypassing means for the expansion valve or capillary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06Dam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01Bypass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13Expansion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15Temperatures of a compressor or the drive means therefor
    • F25B2700/21152Temperatures of a compressor or the drive means therefor at the discharge side of the compres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16Temperatures of a condenser
    • F25B2700/21163Temperatures of a condenser of the refrigerant at the outlet of the conden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17Temperatures of an evaporator
    • F25B2700/21174Temperatures of an evaporator of the refrigerant at the inlet of the evapo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17Temperatures of an evaporator
    • F25B2700/21175Temperatures of an evaporator of the refrigerant at the outlet of the evapo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Machines With Reversible Cycl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는, 냉매와 물의 열교환을 수행하는 열교환기, 실외기의 고압기관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열교환기의 일측에 연결되는 고압가이드관, 실외기의 저압기관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고압가이드관에 합지되는 저압가이드관, 실외기의 액관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열교환기의 타측에 연결되는 액가이드관, 상기 고압기관의 바이패스 분기부와 상기 액가이드관의 바이패스 합지점을 연결하여, 상기 고압기관에 존재하는 고압의 냉매를 상기 액가이드관으로 바이패스 하는 바이패스 배관 및 상기 바이패스 배관에 설치되는 바이패스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장치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장치는 소정공간의 공기를 용도, 목적에 따라 가장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공기 조화 장치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장치 및 증발기를 포함하며, 냉매의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과정을 수행하는 냉동 싸이클이 구동되어 상기 소정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할 수 있다.
상기 소정공간은 상기 공기조화장치가 사용되는 장소에 따라, 다양하게 제안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소정공간은 가정 또는 사무 공간일 수 있다.
공기조화장치가 냉방 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실외기에 구비되는 실외 열교환기가 응축기 기능을 하며, 실내기에 구비되는 실내 열교환기가 증발기 기능을 수행한다. 반면에, 공기조화장치가 난방 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실내 열교환기가 응축기 기능을 하며, 상기 실외 열교환기가 증발기 기능을 수행한다.
최근에는 환경규제 정책에 따라 공기조화장치에 사용되는 냉매의 종류를 제한하고, 냉매 사용량을 줄이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냉매 사용량을 줄이기 위하여, 냉매와 소정의 유체간에 열교환을 수행하여 냉방 또는 난방을 수행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일례로, 상기 소정의 유체에는 물이 포함될 수 있다.
선행문헌인 미국특허 US 2015-0176864(공개일자: 2015년06월25일)에는 냉매와 물의 열교환을 통하여 냉방 또는 난방을 수행하는 공기조화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선행문헌에 개시된 공기조화장치는, 냉매와 물이 열교환하는 다수의 열교환기와, 각각의 열교환기가 증발기 또는 응축기로 작동하도록 냉매유로에 연결되는 두 개의 밸브장치가 구비된다. 즉, 종래의 공기조화장치는 상기 밸브장치의 제어를 통하여 상기 열교환기의 작동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공기조화장치는 실외기와 열교환 장치를 연결하는 3개의 배관을 더 포함한다. 상기 3개의 배관은, 고압의 기상 냉매가 유동하는 고압기관과, 저압의 기상 냉매가 유동하는 저압기관 및 액 냉매가 유동하는 액관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3개의 배관 구조에서 냉방 운전하는 경우, 실외기에서 응축된 냉매는 액관으로 유동하여 열교환기에서 증발되고, 증발된 냉매는 저압기관을 유동하여 실외기로 유입될 수 있다.
다만, 이 과정에서 열교환기에서 증발된 냉매의 온도가 매우 낮을 경우(예: 냉매의 온도가 0도 이하로 낮아질 경우), 열교환기를 흐르는 물이 얼게 되고, 이로 인해 열교환기가 동파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열교환기가 동파되면, 내부 누설에 의하여 물과 냉매가 섞이게 되고 결과적으로 시스템에 큰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공개번호 (공개일자) : US 2015-0176864 (2015년 06월 25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기의 냉방 운전 시, 냉매와 물이 열교환되는 열교환기가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내기가 냉방 운전 및 난방 운전을 동시에 수행하는 동시형 운전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열교환기가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수의 실내기의 운전 시, 다수의 열교환기 중 동파가 발생할 수 있는 열교환기를 판단하고, 해당 열교환기 측으로만 고온의 냉매를 보내줄 수 있는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내기의 운전 모드에 따라 바이패스 밸브의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열교환기의 성능을 유지시키면서 열교환기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는, 압축기 및 실외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냉매가 순환하는 실외기, 물이 순환하는 실내기, 상기 냉매와 물의 열교환을 수행하는 열교환기, 상기 실외기의 고압기관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열교환기의 일측에 연결되는 고압가이드관, 상기 실외기의 저압기관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고압가이드관에 합지되는 저압가이드관, 상기 실외기의 액관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열교환기의 타측에 연결되는 액가이드관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상기 고압기관의 바이패스 분기부와 액가이드관의 바이패스 합지점을 연결하여, 상기 고압기관에 존재하는 고압의 냉매를 상기 액가이드관으로 바이패스 하는 바이패스 배관 및 상기 바이패스 배관에 설치되는 바이패스 밸브를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바이패스 배관에 의해서 상기 고압기관을 흐르는 고온 고압의 냉매가 상기 열교환기 측으로 바이패스 되므로 상기 열교환기가 동파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실내기의 냉방 운전 시, 상기 바이패스 밸브가 개방되어 상기 고압기관의 고압의 냉매가 상기 액가이드관으로 바이패스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내기의 난방 운전 시, 상기 바이패스 밸브는 폐쇄되어, 상기 고압기관의 고압의 냉매가 상기 액가이드관으로 바이패스 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는 다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다수 개의 열교환기 중 일부의 열교환기는 냉매가 응축하는 응축기로 기능하고, 나머지 열교환기는 냉매가 증발하는 증발기로 기능할 때, 상기 바이패스 밸브는 개방되어, 상기 고압기관의 고압의 냉매가 상기 증발기로 기능하는 열교환기로 바이패스 될 수 있다.
즉, 실내기의 동시 운전 시, 상기 바이패스 밸브는 개방되어 상기 고압기관의 고압의 냉매가 상기 증발기로 기능하는 열교환기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열교환기가 동파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상기 고압가이드관에 설치되어 개폐 동작하는 고압밸브, 상기 저압가이드관에 설치되어 개폐 동작하는 저압밸브 및 상기 액가이드관에 설치되어 냉매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이패스 합지점은,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유량밸브의 사이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일측 단부는 상기 고압가이드관과 상기 저압가이드관이 합쳐지는 냉매 분기점을 형성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열교환기의 냉매유로와 연결되는 냉매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상기 냉매배관에 설치되어 냉매의 온도를 감지하는 기상냉매 센서, 상기 액가이드관에 설치되어 냉매의 온도를 감지하는 액냉매 센서 및 상기 기상냉매 센서 및 상기 액냉매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바이패스 밸브의 개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상냉매 센서 또는 상기 액냉매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제 1 기준온도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기상냉매 센서 또는 상기 액냉매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제 1 기준온도 이하인 경우, 상기 바이패스 밸브를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상냉매 센서 및 상기 액냉매 센서에서 감지된 냉매의 온도를 다시 감지하고, 상기 기상냉매 센서 및 상기 액냉매 센서에서 감지된 냉매의 온도가 각각 제 2 기준온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상냉매 센서 및 상기 액냉매 센서에서 감지된 냉매의 온도가 각각 제 2 기준온도 미만인 경우, 상기 바이패스 밸브의 개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상냉매 센서 및 상기 액냉매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각각 제 2 기준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바이패스 밸브의 개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상냉매 센서 및 상기 액냉매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각각 제 2 기준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바이패스 밸브의 개도가 기준 개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바이패스 밸브의 개도가 기준 개도 이상인 경우, 상기 바이패스 밸브의 개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는, 압축기 및 실외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냉매가 순환하는 실외기, 물이 순환하는 실내기, 상기 냉매와 물의 열교환을 수행하는 제 1 열교환기 및 제 2 열교환기, 상기 실외기의 고압기관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 1 열교환기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 1 고압가이드관, 상기 실외기의 고압기관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 2 열교환기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 2 고압가이드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상기 실외기의 저압기관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 1 고압가이드관에 합지되는 제 1 저압가이드관, 상기 실외기의 저압기관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 2 고압가이드관에 합지되는 제 2 저압가이드관, 상기 실외기의 액관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 1 열교환기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 1 액가이드관, 상기 실외기의 액관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 2 열교환기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 2 액가이드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상기 고압기관의 고압의 냉매를 상기 제 1 액가이드관 또는 상기 제 2 액가이드관으로 바이패스 하는 바이패스 배관 및 상기 바이패스 배관에 설치되는 바이패스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바이패스 배관은, 상기 고압기관의 제 1 바이패스 분기부로부터 분기되는 공통 배관, 상기 공통 배관의 제 2 바이패스 분기부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 1 액가이드의 제 1 바이패스 합지점에 연결되는 제 1 바이패스 배관, 및 상기 공통 배관의 제 2 바이패스 분기부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 2 액가이드관의 제 2 바이패스 합지점에 연결되는 제 2 바이패스 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이패스 배관에 의해서 상기 고압기관을 흐르는 고온 고압의 냉매가 상기 제 1 열교환기 또는 상기 제 2 열교환기 측으로 바이패스 되므로 상기 열교환기가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이패스 밸브는, 상기 제 1 바이패스 배관에 설치되는 제 1 바이패스 밸브 및 상기 제 2 바이패스 배관에 설치되는 제 2 바이패스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상기 실내기의 냉방 운전 시, 상기 제 1 바이패스 밸브 및 상기 제 2 바이패스 밸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개방하여, 상기 고압기관의 고압의 냉매를 상기 제 1 액가이드관 및 상기 제 2 액가이드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바이패스 할 수 있다. 따라서, 고압기관의 고압의 냉매는, 제 1 열교환기 및 제2 열교환기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상기 제 1 고압가이드관 및 상기 제 2 고압가이드관에 각각 설치되는 제 1 고압밸브와 제 2 고압밸브, 상기 제 1 저압가이드관 및 상기 제 2 저압가이드관에 각각 설치되는 제 1 저압밸브와 제 2 저압밸브 및 상기 제 1 액가이드관 및 상기 제 2 액가이드관에 각각 설치되는 제 1 유량밸브와 제 2 유량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바이패스 합지점은, 상기 제 1 열교환기와 상기 제 1 유량밸브의 사이 지점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바이패스 합지점은, 상기 제 2 열교환기와 상기 제 2 유량밸브의 사이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일측단부는 상기 제 1 고압가이드관과 상기 제 1 저압가이드관이 합쳐지는 제 1 냉매 분기점을 형성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제 1 열교환기의 냉매유로와 연결되는 제 1 냉매배관과, 일측 단부는 상기 제 2 고압가이드관과 상기 제 2 저압가이드관이 합쳐지는 제 2 냉매 분기점을 형성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제 2 열교환기의 냉매유로와 연결되는 제 2 냉매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상기 제 1 냉매배관 및 상기 제 2 냉매배관에 각각 설치되어 냉매의 온도를 감지하는 기상냉매 센서, 상기 제 1 액가이드관 및 상기 제 2 액가이드관에 각각 설치되어 냉매의 온도를 감지하는 액냉매 센서, 및 상기 기상냉매 센서 및 상기 액냉매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바이패스 밸브의 개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실내기의 냉방 운전 시, 냉매와 물이 열교환하는 열교환기가 동파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고압기관과 액가이드관을 연결하는 바이패스 배관을 통하여 고압기관의 고온의 냉매가 액가이드관을 통해 열교환기로 유입되므로, 고온의 냉매로 인하여 열교환기의 내부온도가 증가될 수 있다.
둘째, 다수의 실내기가 냉방 운전 및 난방 운전을 동시에 수행하는 동시형 운전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열교환기가 동파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수의 열교환기의 냉매유로의 입구측과 출구측에 각각 온도센서를 설치하여, 각 열교환기로 유입되는 냉매의 온도 및 각 열교환기로부터 배출되는 냉매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내기 운전 시, 동파가 발생할 수 있는 열교환기를 판단하고, 해당 열교환기 측으로만 고온의 냉매를 선택적으로 보내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온도센서를 통해 열교환기의 냉매 온도를 지속적으로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여 바이패스 밸브의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열교환기의 성능을 유지시키면서 동파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난방 운전 도중 압축기의 오일부족 현상이 발생할 때, 기관 내 쌓인 오일을 회수하기 위한 오일 회수 운전 시, 바이패스 밸브의 개도 조절을 통해 열교환기가 동파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싸이클 선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냉방 운전 시의 열교환 장치에서의 냉매의 유동 모습을 보여주는 싸이클 선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냉방 운전시 열교환기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한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동시운전 시의 열교환 장치에서의 냉매의 유동 모습을 보여주는 싸이클 선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동시 운전시 열교환기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한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오일 회수 운전 시의 열교환 장치에서의 냉매의 유동 모습을 보여주는 싸이클 선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오일 회수 운전시 열교환기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한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를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싸이클 선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는, 실외기(10), 실내기(50) 및 상기 실외기(10)와 상기 실내기(50)에 연결되는 열교환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외기(10)와 상기 열교환 장치(100)는 제 1 유체에 의하여 유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유체는 냉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매는 상기 열교환 장치(100)에 구비되는 열교환기의 냉매측 유로 및 상기 실외기(10)를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실외기(10)는, 압축기(11) 및 실외 열교환기(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15)의 일측에는 실외 팬(16)이 구비되어 외기를 상기 실외 열교환기(15) 측으로 불어주며, 상기 실외 팬(16)의 구동에 의하여 외기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15)의 냉매간에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실외기(10)는 메인 팽창밸브(18, EEV)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상기 실외기(10)와 상기 열교환 장치(100)를 연결하는 3개의 배관(20, 25, 2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3개의 배관(20, 25, 27)은, 고압의 기상 냉매가 유동하는 고압기관(20)과, 저압의 기상 냉매가 유동하는 저압기관(25)과, 액 냉매가 유동하는 액관(27)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실외기(10)와 상기 열교환 장치(100)는 "3배관 연결구조"를 가지며, 냉매는 3개의 배관(20, 25, 27)에 의해서 상기 실외기(10)와 상기 열교환 장치(100)를 순환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 장치(100)와 상기 실내기(50)는 제 2 유체에 의하여 유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유체는 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은 상기 열교환 장치(100)에 구비되는 열교환기의 물유로 및 상기 실내기(50)를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 장치(100)는 다수의 열교환기(101, 1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는 일 예로 판형 열교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내기(50)는 다수의 실내기(61, 62, 63, 6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실내기의 대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두며, 도 1에서는 일 예로, 4개의 실내기(61, 62, 63, 64)가 열교환 장치(100)에 연결된 것이 도시된다.
상기 다수의 실내기(61, 62, 63, 64)는, 제 1 실내기(61), 제 2 실내기(62), 제 3 실내기(63) 및 제 2 실내기(6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상기 열교환 장치(100)와 상기 실내기(50)를 연결하는 배관(30, 31, 32, 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관(30, 31, 32, 33)은, 상기 열교환 장치(100)와 각 실내기(61, 62, 63, 64)를 연결하는 제 1 실내기 연결관(30) 내지 제 4 실내기 연결관(33)을 포함할 수 있다.
물은 상기 실내기 연결관들(30, 31, 32, 33)을 통하여 상기 열교환 장치(100)와 상기 실내기(50)를 순환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실내기의 대수가 증가하면, 상기 열교환 장치(100)와 실내기를 연결하는 배관의 개수는 증가할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실외기(10)와 상기 열교환 장치(100)를 순환하는 냉매와, 상기 열교환 장치(100)와 상기 실내기(50)를 순환하는 물은 상기 열교환 장치(100)에 구비되는 열교환기(101, 102)를 통하여 열교환 된다.
상기 열교환을 통하여 냉각 또는 가열된 물은 상기 실내기(50)에 구비되는 실내 열교환기(61a, 62a, 63a, 64a)와 열교환 하여 실내공간의 냉방 또는 난방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하나의 열교환기에 2대 이상의 실내기가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하나의 열교환기에 1대의 실내기가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다수의 열교환기는 다수의 실내기의 개수와 동일한 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열교환 장치(1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열교환 장치(100)는, 각 실내기(61, 62, 63, 64)와 유동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열교환기 및 제 2 열교환기(101, 1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열교환기(101) 및 제 2 열교환기(102)는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열교환기(101, 102)는 일 예로 판형 열교환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물유로와 냉매유로가 교번하여 적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 열교환기(101, 102)는, 냉매유로와 물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냉매유로는 상기 실외기(10)와 유동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실외기(10)에서 배출된 냉매가 상기 냉매유로에 유입되거나 상기 냉매유로를 통과한 냉매가 상기 실외기(10)로 유입될 수 있다.
각 물유로는 각 실내기(61, 62, 63, 64)와 연결되며, 각 실내기(61, 62, 63, 64)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물유로에 유입되고, 상기 물유로를 통과한 물이 상기 각 실내기(61, 62, 63, 64)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장치(100)는 상기 제 1 열교환기(101)와 상기 제 2 열교환기(102)를 출입하는 냉매의 유동 방향과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절환유닛(R)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절환유닛(R)은 상기 열교환기(101,102)의 일측에 결합되는 냉매배관(110, 115) 및 상기 열교환기(101, 102)의 타측에 결합되는 액가이드관(141, 1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매배관(110, 115)과 상기 액가이드관(141, 142)은, 상기 물과 열교환하기 위해 상기 열교환기(101, 102)에 구비되는 냉매유로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냉매배관(110, 115)과 상기 액가이드관(141, 142)은, 상기 냉매가 상기 열교환기(101, 102)를 통과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냉매배관(110, 115)은 상기 제 1 열교환기(101)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 1 냉매배관(110) 및 상기 제 2 열교환기(102)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 2 냉매배관(11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가이드관(141, 142)은 상기 제 1 열교환기(101)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 1 액가이드관(141) 및 상기 제 2 열교환기(102)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 2 액가이드관(142)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냉매는 상기 제 1 냉매배관(110) 및 상기 제 1 액가이드관(141)에 의하여, 상기 제 1 열교환기(101)를 순환할 수 있다. 그리고 냉매는 상기 제 2 냉매배관(115) 및 상기 제 2 액가이드관(142)에 의하여, 상기 제 2 열교환기(102)를 순환할 수 있다.
상기 액가이드관(141, 142)은 상기 액관(27)과 연결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액관(27)은 상기 제 1 액가이드관(141)과 상기 제 2 액가이드관(142)으로 분기되는 액관 분기점(27a)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액가이드관(141)은 상기 액관 분기점(27a)으로부터 상기 제 1 열교환기(101)로 연장되며, 상기 제 2 액가이드관(142)은 상기 액관 분기점(27a)으로부터 상기 제 2 열교환기(102)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징치(1)는, 상기 냉매배관(110, 115)에 설치되는 기상냉매 센서(111, 116) 및 상기 액가이드관(141, 142)에 설치되는 액냉매 센서(146, 14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상냉매 센서(111, 116) 및 상기 액냉매 센서(146, 147)는 “냉매센서”라 이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매센서는, 상기 냉매배관(110, 115)과 상기 액가이드관(141, 142)을 유동하는 냉매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냉매센서는 냉매의 온도와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기상냉매 센서(111, 116)는 상기 제 1 냉매배관(110)에 설치되는 제 1 기상냉매센서(111) 및 상기 제 2 냉매배관(115)에 설치되는 제 2 기상냉매 센서(1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냉매 센서(146, 147)는 상기 제 1 액가이드관(141)에 설치되는 제 1 액냉매 센서(146) 및 상기 제 2 액가이드관(142)에 설치되는 제 2 액냉매 센서(14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상기 액가이드관(141, 142)에 설치되는 유량밸브(143,1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량밸브(143, 144)는 개도 조절을 통하여 냉매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유량밸브(143, 144)는 전자팽창밸브(EEV)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량밸브(143,144)는 개도 조절을 통하여 통과하는 냉매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전자팽창밸브는 개도 조절을 통하여 상기 팽창밸브(143, 144)를 지나는 냉매의 압력을 강하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자팽창밸브(143, 144)가 완전히 개방되면(full-open 상태) 냉매는 감압 없이 통과될 수 있고, 상기 팽창밸브(143, 144)의 개도가 작아지면 냉매는 감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냉매의 감압되는 정도는 상기 개도가 작아질수록 커진다.
상기 유량밸브(143, 144)는 상기 제 1 액가이드관(141)에 설치되는 제 1 유량밸브(143) 및 상기 제 2 액가이드관(142)에 설치되는 제 2 유량밸브(1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상기 유량밸브(143, 144)의 양측에 설치되는 스트레이너(148a, 148b, 149a. 149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이너(148a, 148b, 149a. 149b)는 상기 액가이드관(141, 142)을 유동하는 냉매의 노폐물을 여과하기 위한 장치이다. 일례로, 상기 스트레이너(148a, 148b, 149a. 149b)는 금속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이너(148a, 148b, 149a. 149b)는 상기 제 1 액가이드관(141)에 설치되는 제 1 스트레이너(148a, 148b) 및 상기 제 2 액가이드관(142)에 설치되는 제 2 스트레이너(149a. 149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스트레이너(148a, 148b)는 상기 제 1 유량밸브(143)의 일측에 설치되는 스트레이너(148a)와 상기 제 1 유량밸브(143)의 타측에 설치되는 스트레이너(148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냉매의 유동 방향이 전환되어도 상기 노폐물을 여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스트레이터(149a, 149b)는 상기 제 2 유량밸브(144)의 일측에 설치되는 스트레이너(149a) 및 상기 제 2 유량밸브(144)의 타측에 설치되는 스트레이너(149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매배관(110, 115)은 상기 고압기관(20)과 상기 저압기관(25)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액가이드관(141, 142)은 상기 액관(27)과 연결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냉매배관(110, 115)은 일측 단부에 냉매 분기점(112,117)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매 분기점(112, 117)에는 상기 고압기관(20)과 상기 저압기관(25)이 서로 합지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냉매배관(110, 115)의 일측 단부는 냉매 분기점(112,117)이 형성되며, 타측 단부는 상기 열교환기(101, 102)의 냉매유로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절환유닛(R)은 상기 고압기관(20)으로부터 상기 냉매배관(110, 115)으로 연장되는 고압가이드관(121, 1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압가이드관(121, 122)은 상기 고압기관(20)과 상기 냉매배관(110, 115)을 연결해줄 수 있다.
상기 고압가이드관(121, 122)은 상기 고압기관(20)의 고압 분기점(20a)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냉매배관(110, 115)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고압가이드관(121, 122)은, 상기 고압 분기점(20a)으로부터 상기 제 1 냉매배관(110)으로 연장되는 제 1 고압가이드관(121) 및 상기 고압 분기점(20a)으로부터 상기 제 2 냉매배관(115)으로 연장되는 제 2 고압가이드관(1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고압가이드관(121)은 상기 제 1 냉매 분기점(112)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고압가이드관(122)은 상기 제 2 냉매 분기점(117)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고압가이드관(121)은 상기 고압 분기점(20a)으로부터 상기 제 1 냉매 분기점(112)까지 연장되며, 상기 제 2 고압가이드관(122)은 상기 고압 분기점(20a)으로부터 상기 제 2 냉매분기점(117)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상기 고압가이드관(121, 122)에 설치되는 고압밸브(123, 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압밸브(123, 124)는 개폐 동작을 통하여 상기 고압가이드관(121, 122)으로 냉매의 유동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고압밸브(123, 124)는 상기 제 1 고압가이드관(121)에 설치되는 제 1 고압밸브(123) 및 상기 제 2 고압가이드관(122)에 설치되는 제 2 고압밸브(1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고압밸브(123)는 상기 고압 분기점(20a)과 상기 제 1 냉매 분기점(112) 사이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제 2 고압밸브(124)는 상기 고압 분기점(20a)과 상기 제 2 냉매 분기점(117) 사이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고압밸브(123)는 상기 고압기관(20)과 상기 제 1 냉매배관(110) 사이의 냉매 유동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고압밸브(124)는 상기 고압기관(20)과 상기 제 2 냉매배관(115) 사이의 냉매 유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절환유닛(R)은 상기 저압기관(25)으로부터 상기 냉매배관(110, 115)으로 연장되는 저압가이드관(125, 1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저압가이드관(125,126)은 상기 저압기관(25)과 상기 냉매배관(110, 115)을 연결해줄 수 있다.
상기 저압가이드관(125, 126)은 상기 저압기관(25)의 저압 분기점(25a)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냉매배관(110, 115)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저압가이드관(125, 126)은, 상기 저압 분기점(25a)으로부터 상기 제 1 냉매배관(110)으로 연장되는 제 1 저압가이드관(125) 및 상기 저압 분기점(25a)으로부터 상기 제 2 냉매배관(115)으로 연장되는 제 2 저압가이드관(12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저압가이드관(125)은 상기 제 1 냉매 분기점(112)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저압가이드관(126)은 상기 제 2 냉매분기점(117)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저압가이드관(125)은 상기 저압 분기점(25a)으로부터 상기 제 1 냉매 분기점(112)까지 연장되며, 상기 제 2 저압가이드관(126)은 상기 저압 분기점(25a)으로부터 상기 제 2 냉매 분기점(117)까지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매 분기점(115, 117)에서는, 상기 고압가이드관(121, 122) 및 상기 저압가이드관(125, 126)이 서로 합지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상기 저압가이드관(126, 127)에 설치되는 저압밸브(127, 1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압밸브(127, 128)는 개폐 동작을 통하여 상기 저압가이드관(125, 126)으로 냉매의 유동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저압밸브(127, 128)는 상기 제 1 저압가이드관(125)에 설치되는 제 1 저압밸브(127) 및 상기 제 2 저압가이드관(126)에 설치되는 제 2 저압밸브(12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저압밸브(127)는 상기 제 1 냉매분기점(112)과 후술할 제 1 평압배관(131)이 연결되는 지점 사이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저압밸브(128)는 상기 제 2 냉매분기점(117)과 후술할 제 2 평압배관(132)이 연결되는 지점 사이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절환유닛(R)은, 상기 제 1 냉매배관(110)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저압가이드관(125, 126)으로 연장되는 평압배관(131, 1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압배관(131, 132)은 상기 제 1 냉매배관(110)의 일 지점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 1 저압가이드관(125)으로 연장되는 제 1 평압배관(131) 및 상기 제 2 냉매배관(115)의 일 지점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 2 저압가이드관(126)으로 연장되는 제 2 평압배관(1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압배관(131, 132)과 상기 저압가이드관(125, 126)이 연결되는 지점은, 상기 저압 분기점(25a)과 상기 저압밸브(127,128)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평압배관(131)은 상기 제 1 냉매배관(110)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저압 분기점(25a)과 상기 제 1 저압밸브(127)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저압가이드관(125)으로 연장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평압배관(132)은, 상기 제 2 냉매배관(115)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저압 분기점(25a)과 상기 제 2 저압밸브(128)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저압가이드관(126)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상기 평압배관(131, 132)에 설치되는 평압밸브(135, 136) 및 평압 스트레이너(137, 1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압밸브(135, 136)는 개도 조절을 통하여 상기 냉매배관(110, 115)의 냉매를 상기 저압가이드관(125, 126)으로 바이패스 시킬 수 있다.
상기 평압밸브(135, 136)는 전자팽창밸브(EEV)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압밸브(135, 136)는 상기 제 1 평압배관(131)에 설치되는 제 1 평압밸브(135) 및 상기 제 2 평압배관(132)에 설치되는 제 2 평압밸브(13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압 스트레이너(137, 138)는 상기 제 1 평압배관(131)에 설치되는 제 1 평압 스트레이너(137) 및 상기 제 2 평압배관(132)에 설치되는 제 2 평압 스트레이너(13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압 스트레이너(137, 138)는 상기 평압밸브(135, 136)와 상기 냉매배관(110,115)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냉매배관(110, 115)으로부터 상기 평압밸브(135,136)로 유동하는 냉매의 노폐물을 여과하거나 이물질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평압배관(131, 132) 및 상기 평압밸브(135, 136)는, “평압회로”라고 이름할 수 있다.
상기 평압회로는, 상기 열교환기(101, 102)의 작동 모드가 전환되는 경우에 상기 냉매배관(110, 115)의 고압 냉매와 저압 냉매의 압력 차를 감소시키도록 작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열교환기(101, 102)의 작동 모드는, 응축기로 작동하는 응축기 모드와 증발기로 작동하는 증발기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열교환기(101, 102)가 응축기에서 증발기로 작동 모드를 전환하는 경우, 상기 고압밸브(123, 124)는 폐쇄(close)되고, 상기 저압밸브(127, 128)는 개방(open)될 수 있다.
상기 평압밸브(135, 136)의 개도 조절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서서히 진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압밸브(123, 124)와 상기 저압밸브(127)의 개도 제어도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평압배관(131, 132)으로 유입된 냉매에 의하여, 상기 냉매배관(110, 115)의 압력은 낮아질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평압밸브(135, 136)의 개방에 의해, 상기 저압가이드관(125, 126)과 상기 냉매배관(110, 115)의 압력 차가 소정의 범위 내로 작아져 평압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평압밸브(135, 136)는 다시 폐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열교환기(101, 102)를 통과한 저압 냉매는 큰 압력 차이 없이 상기 저압가이드관(125, 126)으로 유동할 수 있다.
결국, 상기 열교환기(101, 102)는 안정적으로 증발기로 작동이 전환되므로 상술한 압력 차에 기인하는 소음 발생 문제와 내구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상기 고압기관(20)과 상기 저압기관(25)을 연결하는 바이패스 배관(200, 210, 2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 배관(200, 210, 220)은 상기 고압기관(20)을 흐르는 고압의 냉매를 상기 열교환기(101, 102) 측으로 바이패스 하여 상기 열교환기(101, 102)가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열교환기(101, 102)는 물과 냉매가 열교환하는 과정에서 상기 냉매의 온도가 매우 낮을 경우(예: 냉매의 온도가 0도 이하가 될 경우), 상기 물의 온도가 0도 이하로 낮아져서 동파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101, 102)가 동파되면, 내부 누설에 의하여 물과 냉매가 섞이게 되고 결과적으로 시스템의 큰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열교환기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열교환기(101, 102)에 동파가 발생될 위험이 있을 경우, 상기 바이패스 배관(200, 210, 220)을 통하여 고온 고압의 냉매를 상기 열교환기(101, 102)로 제공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바이패스 배관(200, 210, 220)은 상기 고압기관(20)의 일 지점으로부터 분기되는 공통 배관(200)과, 상기 공통 배관(200)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 1 액가이드관(141)과 연결되는 제 2 바이패스 배관(220) 및 상기 공통 배관(200)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 2 액가이드관(142)과 연결되는 제 3 바이패스 배관(2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통 배관(200)은, 상기 고압기관(20)의 제 1 바이패스 분기점(20b)으로부터 분기되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공통 배관(200)에는 상기 고압기관(20)의 고압의 냉매가 흐를 수 있다.
상기 제 2 바이패스 배관(210)은, 상기 공통 배관(200)의 제 2 바이패스 분기점(141b)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 1 액가이드관(141)의 제 1 바이패스 합지점(141a)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바이패스 합지점(141a)은, 상기 제 1 액가이드관(141)에서 상기 제 1 유량밸브(143)와 상기 제 1 열교환기(101)의 사이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바이패스 합지점(141a)은 상기 제 1 유량밸브(143)와 상기 제 1 스트레이너(148b)의 사이에 해당하는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 바이패스 합지점(141a)은 상기 제 1 유량밸브(143)와 상기 제 1 액냉매 센서(146)의 사이에 해당하는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바이패스 배관(220)은, 상기 공통 배관(200)의 제 2 바이패스 분기점(141b)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 2 액가이드관(141)의 제 2 바이패스 합지점(142a)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바이패스 합지점(142a)은, 상기 제 2 액가이드관(142)에서 상기 제 2 유량밸브(144)와 상기 제 2 열교환기(102)의 사이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바이패스 합지점(142a)은 상기 제 2 유량밸브(144)와 상기 제 2 스트레이너(149b)의 사이에 해당하는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2 바이패스 합지점(142a)은 상기 제 2 유량밸브(144)와 상기 제 2 액냉매 센서(147)의 사이에 해당하는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상기 바이패스 배관(210, 220)에 설치되는 바이패스 밸브(215, 2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 밸브(215, 225)는 개도 조절을 통하여 냉매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 밸브(215, 225)는 전자팽창밸브(EEV)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이패스 밸브(215,225)는 개도 조절을 통하여 통과하는 냉매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 밸브(215)는 상기 제 2 바이패스 배관(210)에 설치되는 제 1 바이패스 밸브(215)와, 상기 제 3 바이패스 배관(220)에 설치되는 제 2 바이패스 밸브(225)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제 1 바이패스 밸브(215) 및 상기 제 2 바이패스 밸브(225)의 개폐에 의하여, 상기 고압기관(20)을 흐르는 고압의 냉매를 상기 제 1 열교환기(101) 또는 상기 제 2 열교환기(102)로 선택적으로 보내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열교환기(101) 및 제 2 열교환기(102)가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다수의 실내기(61, 62, 63, 64)에서 요구하는 냉방 또는 난방 모드에 따라 열교환기(101, 102)의 작동 모드를 전환하도록 상술한 고압밸브(123, 124), 저압밸브(127, 128), 평압밸브(135, 136) 및 유량밸브(143, 144)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매센서에서 감지된 냉매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바이패스 밸브(215, 225)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 장치(100)는, 상기 열교환기(101, 102)의 물유로에 연결되는 열교환기 유입관(161, 163)과, 열교환기 배출관(162, 16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유입관(161, 163)은 상기 제 1 열교환기(101)의 물유로 입구에 연결되는 제 1 열교환기 유입관(161)과, 상기 제 2 열교환기(102)의 물유로 입구에 연결되는 제 2 열교환기 유입관(163)을 포함한다.
상기 열교환기 배출관(162, 164)은 상기 제 1 열교환기(101)의 물유로 출구에 연결되는 제 1 열교환기 배출관(162)과, 상기 제 2 열교환기(102)의 물유로 출구에 연결되는 제 2 열교환기 배출관(164)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열교환기 유입관(161)에는 제 1 펌프(151)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열교환기 유입관(163)에는 제 2 펌프(15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열교환기 유입관(161)에는 제 1 합지관(181)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열교환기 유입관(163)에는 제 2 합지관(182)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열교환기 배출관(162)에는 제 3 합지관(183)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열교환기 배출관(164)에는 제 4 합지관(184)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합지관(181)에는 상기 각 실내 열교환기(61a, 62a, 63a, 64a)에서 배출된 물이 유동하는 제 1 물 배출관(171)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합지관(182)에는 상기 각 실내 열교환기(61a, 62a, 63a, 64a)에서 배출된 물이 유동하는 제 2 물 배출관(172)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물 배출관(171) 및 상기 제 2 물 배출관(172)은 병렬로 배치되고, 상기 실내 열교환기(61a, 62a, 63a, 64a)와 연통되는 공통 물 배출관(651, 652, 653, 654)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물 배출관(171), 상기 제 2 물 배출관(172) 및 상기 각 공통 물 배출관(651, 652, 653, 654)은 일 예로 삼방 밸브(173)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삼방 밸브(173)에 의해서 상기 공통 물 배출관(651, 652, 653, 654)의 물은 상기 제 1 물 배출관(171)과 상기 제 2 물 배출관(172) 중 어느 하나를 유동할 수 있다.
상기 공통 물 배출관(651, 652, 653, 654)은 상기 각 실내 열교환기(61a, 62a, 63a, 64a)의 배출 배관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3 합지관(183)에는 상기 각 실내 열교환기(61a, 62a, 63a, 64a)로 유입될 물이 유동하는 제 1 물 유입관(165a, 165b, 165c, 165d)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4 합지관(184)에는 상기 각 실내 열교환기(61a, 62a, 63a, 64a)로 유입될 물이 유동하는 제 2 물 유입관(167d)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물 유입관(165a, 165b, 165c, 165d)과 상기 제 2 물 유입관(167d)은 병렬로 배치되며, 상기 실내 열교환기(61a, 62a, 63a, 64a)와 연통되는 공통 유입관(611, 621, 631, 641)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각 제 1 물 유입관(165a, 165b, 165c, 165d)에는 제 1 밸브(166)가 구비되고, 상기 각 제 2 물 유입관(167d)에는 제 2 밸브(167)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다수의 실내기(61, 62, 63, 64)의 작동 모드가 모두 동일한 운전은 “전용운전”이라 이름한다. 상기 전용운전은 상기 다수의 실내기(61, 62, 63, 64)의 실내 열교환기(61a, 62a, 63a, 64a)가 오직 증발기로 작동하거나 또는 응축기로 작동하는 경우로 이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실내 열교환기(61a, 62a, 63a, 64a)는 정지(OFF)된 열교환기가 아니라 작동(ON)하는 열교환기를 기준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실내기(61, 62, 63, 64)의 작동 모드가 서로 다른 운전은 “동시운전”이라 이름한다. 상기 동시운전은 상기 다수의 실내 열교환기(61a, 62a, 63a, 64a) 중 일부가 응축기로 작동하고, 나머지 일부가 증발기로 작동하는 경우로 이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냉방 운전 시의 열교환 장치에서의 냉매의 유동 모습을 보여주는 싸이클 선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공기조화장치(1)가 냉방 운전되면(다수의 실내기가 냉방 운전되면), 상기 실외기(10)의 실외 열교환기(15)에서 응축된 고압의 액 냉매는 상기 액관(27)을 통하여 상기 절환유닛(R)으로 유입된다.
상기 액관(27)으로 유입된 냉매 중 일부의 냉매는 상기 액관 분기점(27a)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 1 액가이드관(141)으로 유입되며, 다른 일부의 냉매는 상기 액관 분기점(27a)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 2 액가이드관(142)으로 유입된다.
상기 제 1 액가이드관(141)으로 유입된 응축 냉매는, 상기 제 1 유량밸브(143)를 통과하면서 팽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팽창 냉매는 상기 제 1 열교환기(101)를 통과하면서 물의 열을 흡수하여 증발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열교환기(101)로 유입되는 냉매의 온도는, 상기 제 1 액냉매 센서(146)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열교환기(101)로부터 배출된 증발 냉매는, 상기 제 1 냉매배관(110)을 통해 상기 제 1 저압가이드관(125)으로 유입되어 상기 저압기관(25)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저압밸브(127)는 개방되고 상기 제 1 고압밸브(123)는 폐쇄된다.
상기 제 1 열교환기(101)로부터 배출되는 냉매의 온도는, 상기 제 1 기상냉매 센서(111)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액가이드관(142)으로 유입된 응축 냉매는, 상기 제 2 유량밸브(144)를 통과하면서 팽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팽창 냉매는 상기 제 2 열교환기(102)를 통과하면서 물의 열을 흡수하여 증발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열교환기(102)로 유입되는 냉매의 온도는, 상기 제 2 액냉매 센서(147)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열교환기(102)로부터 배출된 증발 냉매는, 상기 제 2 냉매배관(115)을 통해 상기 제 2 저압가이드관(126)으로 유입되어 상기 저압기관(25)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저압밸브(128)는 개방되고 상기 제 2 고압밸브(124)는 폐쇄된다.
상기 제 2 열교환기(102)로부터 배출되는 냉매의 온도는, 상기 제 2 기상냉매 센서(116)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상기 저압기관(27)으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실외기(10)의 압축기(11)로 흡입되고, 상기 실외기(10)의 실외 열교환기(15)에서 응축될 수 있다. 이러한 냉매 싸이클이 순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냉방 운전시 열교환기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한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4에서는 냉방 운전 시, 제 1 열교환기(101)가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에 대해서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제 2 열교환기(102)가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단계 S10에서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냉방운전을 수행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실외기(10)의 실외 열교환기(15)는 응축기로서 기능하고, 다수의 실내기(61, 62, 63, 64)는 냉방을 위하여 운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열교환기(101) 및 상기 제 2 열교환기(102)는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로서 기능할 수 있다.
즉, 상기 실외 열교환기(15)에서 응축된 냉매는 상기 제 1 열교환기(101) 및 상기 제 2 열교환기(102)를 통과하면서 증발될 수 있다.
단계 S20에서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제 1 기상냉매 센서(111) 및 제 1 액냉매 센서(146)를 통해 냉매의 온도를 감지한다.
상기 제 1 열교환기(101)로 유입되는 냉매의 온도는, 상기 제 1 액냉매 센서(146)에 의해 감지될 수 있고, 상기 제 1 열교환기(101)로부터 배출되는 냉매의 온도는, 상기 제 1 기상냉매 센서(111)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단계 S30에서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제 1 기상냉매 센서(111) 또는 제 1 액냉매 센서(146)에서 감지된 온도가 제 1 기준온도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상기 제 1 열교환기(101)의 동파 위험을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열교환기(101)로 유입되는 냉매의 온도 및 상기 제 1 열교환기(101)로부터 배출되는 냉매의 온도가 제 1 기준온도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 1 열교환기(101)로 유입되는 냉매의 온도 또는 상기 제 1 열교환기(101)로부터 배출되는 냉매의 온도가 매우 낮으면, 상기 제 1 열교환기(101)를 흐르는 물이 얼게 되면서 동파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기준온도는 일례로 물이 어는 온도인 0도가 될 수 있다.
제 1 기상냉매 센서(111) 또는 제 1 액냉매 센서(146)에서 감지된 온도가 제 1 기준온도 이하일 경우, 단계 S40에서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제 1 기준온도 이하로 감지된 시간이 기준시간 이상 유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제 1 기준온도 이하로 감지된 시간이 기준시간 이상 유지될 경우, 제 1 열교환기(101)가 동파될 가능성이 크므로, 제 1 기준온도 이하로 감지된 상태가 유지되는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준시간은 일례로 1분이 될 수 있다.
제 1 기준온도 이하로 감지된 시간이 기준시간 이상일 경우, 단계 S50에서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제 1 바이패스 밸브(215)를 개방시킨다.
상세히,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상기 제 1 열교환기(101)가 동파될 위험이 있을 경우, 상기 제 1 바이패스 밸브(215)를 개방시켜 상기 제 1 열교환기(101)로 고온 고압의 냉매를 유입시키도록 한다.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상기 제 1 바이패스 밸브(215)의 개도를 초기 개도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초기 개도값은 상기 제 1 바이패스 밸브(215)의 최대 개도각이 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초기 개도값은 500 펄스(pls)가 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바이패스 밸브(215)가 개방되면, 상기 고압기관(20)을 흐르는 고온 고압의 냉매는 상기 공통 배관(200) 및 상기 제 2 바이패스 배관(210)을 통하여 상기 제 1 열교환기(101) 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열교환기(101)의 내부온도가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열교환기가 동파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단계 S60에서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일정시간 경과 후, 제 1 기상냉매 센서(111) 및 제 1 액냉매 센서(146)를 통해 냉매의 온도를 감지한다.
그리고 단계 S70에서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제 1 기상냉매 센서(111) 및 제 1 액냉매 센서(146)에서 감지된 온도가 제 2 기준온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기준온도는 일례로 3도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상기 제 1 기상냉매 센서(111) 및 상기 제 1 액냉매 센서(146)에서 감지된 온도가 각각 3도 이상이 되면, 열교환기가 동파될 위험이 거의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제 1 기상냉매 센서(111) 및 제 1 액냉매 센서(146)에서 감지된 온도가 제 2 기준온도 미만일 경우, 단계 S80에서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제 1 바이패스 밸브(215)의 개도를 증가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기상냉매 센서(111) 및 상기 제 1 액냉매 센서(146)에서 감지된 온도가 제 2 기준온도(예: 3도) 미만일 경우에는, 여전히 열교환기가 동파될 위험이 있다고 판단하여 상기 제 1 바이패스 밸브(215)의 개도를 50 펄스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반면, 제 1 기상냉매 센서(111) 및 제 1 액냉매 센서(146)에서 감지된 온도가 제 2 기준온도 이상일 경우, 단계 S90에서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제 1 바이패스 밸브(215)의 개도가 기준 개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제 1 바이패스 밸브(215)의 개도가 기준 개도값 이상이면, 단계 S100에서 상기 제 1 바이패스 밸브(215)의 개도를 감소시킨다.
상세히, 상기 제 1 기상냉매 센서(111) 및 상기 제 1 액냉매 센서(146)에서 감지된 온도가 각각 제 2 기준온도(예: 3도) 이상일 경우에는, 열교환기가 동파될 위험이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 1 바이패스 밸브(215)의 개도값이 너무 클 경우, 상기 제 1 열교환기(101)로 유입되는 고압의 냉매량이 많아져서 결과적으로 열교환기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열교환기(101)로 유입되는 고압의 냉매량을 조절함으로써, 열교환기의 동파를 방지함과 동시에 열교환기의 성능을 유지시킬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상기 제 1 바이패스 밸브(215)의 개도가 40 내지 60 펄스 이상이면, 상기 제 1 바이패스 밸브(215)의 개도를 50 펄스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단계 S60으로 다시 진입할 수 있다.
이러한 알고리즘에 의하여, 상기 제 1 바이패스 밸브(215)의 개도값은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만일, 제 1 바이패스 밸브(215)의 개도가 기준 개도값(예: 40 펄스) 미만이면,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70에서 제 1 기상냉매 센서(111) 및 제 1 액냉매 센서(146)에서 감지된 온도가 제 2 기준온도 이상일 경우, 단계 S90을 생략하고 바로 단계 S100으로 진입하여 제 1 바이패스 밸브(215)의 개도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동시운전 시의 열교환 장치에서의 냉매의 유동 모습을 보여주는 싸이클 선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공기조화장치(1)가 동시 운전되면(다수의 실내기 중 일부는 냉방 운전되고, 다른 일부는 난방 운전되면), 상기 실외기(10)의 압축기(11)에서 압축된 고온의 기상 냉매는 상기 고압기관(20)을 통하여 상기 절환유닛(R)으로 유입된다.
상기 고압기관(20)으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제 1 고압가이드관(121)을 통하여 상기 제 1 냉매배관(110)으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제 1 고압밸브(123)는 개방되고, 상기 제 1 저압밸브(127)는 폐쇄된다.
상기 제 1 냉매배관(110)으로 유입된 압축 냉매는 상기 제 1 열교환기(101)로 유입되고 물과 열교환되어 응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냉매의 열을 흡수한 물은, 난방운전이 필요한 실내기(61, 62)를 순환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열교환기(101)로 유입되는 냉매의 온도는, 상기 제 1 기상냉매 센서(111)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열교환기(101)로부터 배출되는 냉매의 온도는, 상기 제 1 액냉매 센서(146)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열교환기(101)를 통과한 응축 냉매는, 상기 제 1 액가이드관(141)을 통해 상기 액관 분기점(27a)으로 유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응축 냉매는 상기 액관 분기점(27a)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 2 액가이드관(142)을 통해 상기 제 2 유량밸브(144)를 통과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유량밸브(144)는 개도 조절을 통해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제 2 유량밸브(144)를 통과한 팽창 냉매는, 상기 제 2 열교환기(102)를 통과하면서 물과 열교환하여 증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냉매와의 열교환에 의해 냉각된 물은, 냉방운전이 필요한 실내기(63, 64)를 순환할 수 있다.
상기 제 2 열교환기(102)를 통과한 증발 냉매는, 제 2 냉매배관(115)을 거쳐 상기 제 2 저압가이드관(126)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저압밸브(128)는 개방되고 상기 제 2 고압밸브(124)는 폐쇄된다.
그리고 상기 증발 냉매는, 상기 저압기관(25)으로 유입되어 상기 실외기(10)의 압축기(11)로 회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열교환기(102)로 유입되는 냉매의 온도는, 상기 제 2 액냉매 센서(147)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열교환기(102)로부터 배출되는 냉매의 온도는, 상기 제 2 기상냉매 센서(116)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동시 운전시 열교환기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한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6에서는 동시 운전 시, 제 2 열교환기(102)가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에 대해서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단계 S110에서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동시 운전을 수행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다수의 실내기(61, 62, 63, 64) 중 일부의 실내기(61, 62)는 난방을 위하여 운전되고, 나머지 실내기(63, 64)는 냉방을 위하여 운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열교환기(101)는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로서 기능하고, 상기 제 2 열교환기(102)는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로서 기능할 수 있다.
즉, 상기 실외기(10)의 압축기(11)에서 압축된 고온의 냉매는 상기 제 1 열교환기(101)에서 응축되고, 상기 제 2 열교환기(102)에서 증발될 수 있다.
단계 S120에서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제 2 기상냉매 센서(116) 및 제 2 액냉매 센서(147)를 통해 냉매의 온도를 감지한다.
상기 제 2 열교환기(102)로 유입되는 냉매의 온도는, 상기 제 2 액냉매 센서(147)에 의해 감지될 수 있고, 상기 제 2 열교환기(102)로부터 배출되는 냉매의 온도는, 상기 제 2 기상냉매 센서(116)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열교환기(102)를 흐르는 냉매의 온도를 감지하는 이유는, 동시 운전 시 상기 제 2 열교환기(102)가 증발기로서 기능하므로 오직 상기 제 2 열교환기(102)만이 동파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즉, 이 경우 상기 제 1 열교환기(101)는 응축기로서 기능하므로 동파될 위험이 없다.
단계 S130에서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제 2 기상냉매 센서(116) 또는 제 2 액냉매 센서(147)에서 감지된 온도가 제 1 기준온도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상기 제 2 열교환기(102)의 동파 위험을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열교환기(102)로 유입되는 냉매의 온도 및 상기 제 2 열교환기(102)로부터 배출되는 냉매의 온도가 제 1 기준온도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 2 열교환기(102)로 유입되는 냉매의 온도 또는 상기 제 2 열교환기(102)로부터 배출되는 냉매의 온도가 매우 낮으면, 상기 제 2 열교환기(102)를 흐르는 물이 얼게 되면서 동파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기준온도는 일례로 물이 어는 온도인 0도가 될 수 있다.
제 2 기상냉매 센서(116) 또는 제 2 액냉매 센서(147)에서 감지된 온도가 제 1 기준온도 이하일 경우, 단계 S140에서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제 1 기준온도 이하로 감지된 시간이 기준시간 이상 유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제 1 기준온도 이하로 감지된 시간이 기준시간 이상 유지될 경우, 제 2 열교환기(102)가 동파될 가능성이 크므로, 제 1 기준온도 이하로 감지된 상태가 유지되는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준시간은 일례로 1분이 될 수 있다.
제 1 기준온도 이하로 감지된 시간이 기준시간 이상일 경우, 단계 S150에서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제 2 바이패스 밸브(225)를 개방시킨다.
상세히,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상기 제 2 열교환기(102)가 동파될 위험이 있을 경우, 상기 제 2 바이패스 밸브(225)를 개방시켜 상기 제 2 열교환기(102)로 고온의 냉매를 유입시키도록 한다.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상기 제 2 바이패스 밸브(225)의 개도를 초기 개도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초기 개도값은 상기 제 2 바이패스 밸브(225)의 최대 개도각이 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초기 개도값은 500 펄스(pls)가 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바이패스 밸브(225)가 개방되면, 상기 고압기관(20)을 흐르는 고온 고압의 냉매는 상기 공통 배관(200) 및 상기 제 3 바이패스 배관(210)을 통하여 상기 제 2 열교환기(102) 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열교환기(102)의 내부온도가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열교환기가 동파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단계 S160에서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일정시간 경과 후, 제 2 기상냉매 센서(116) 및 제 2 액냉매 센서(147)를 통해 냉매의 온도를 감지한다.
그리고 단계 S170에서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제 2 기상냉매 센서(116) 및 제 2 액냉매 센서(147)에서 감지된 온도가 제 2 기준온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기준온도는 일례로 3도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상기 제 2 기상냉매 센서(116) 및 상기 제 2 액냉매 센서(147)에서 감지된 온도가 각각 3도 이상이 되면, 열교환기가 동파될 위험이 거의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제 2 기상냉매 센서(116) 및 제 2 액냉매 센서(147)에서 감지된 온도가 제 2 기준온도 미만일 경우, 단계 S180에서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제 2 바이패스 밸브(225)의 개도를 증가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기상냉매 센서(116) 및 상기 제 2 액냉매 센서(147)에서 감지된 온도가 제 2 기준온도(예: 3도) 미만일 경우에는, 열교환기가 동파될 위험이 있다고 판단하여 상기 제 2 바이패스 밸브(225)의 개도를 50 펄스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반면, 제 2 기상냉매 센서(116) 및 제 2 액냉매 센서(147)에서 감지된 온도가 제 2 기준온도 이상일 경우, 단계 S190에서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제 2 바이패스 밸브(225)의 개도가 기준 개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제 2 바이패스 밸브(225)의 개도가 기준 개도값 이상이면, 단계 S200에서 상기 제 2 바이패스 밸브(225)의 개도를 감소시킨다.
상세히, 상기 제 2 기상냉매 센서(116) 및 상기 제 2 액냉매 센서(147)에서 감지된 온도가 각각 제 2 기준온도(예: 3도) 이상일 경우에는, 열교환기가 동파될 위험이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 2 바이패스 밸브(225)의 개도값이 너무 클 경우, 상기 제 2 열교환기(102)로 유입되는 고온의 냉매량이 많아져서 결과적으로 열교환기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열교환기(102)로 유입되는 고온의 냉매량을 조절함으로써, 열교환기의 동파를 방지함과 동시에 열교환기의 성능을 유지시킬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상기 제 2 바이패스 밸브(225)의 개도가 40 내지 60 펄스 이상이면, 상기 제 2 바이패스 밸브(225)의 개도를 50 펄스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단계 S160으로 다시 진입할 수 있다.
이러한 알고리즘에 의하여, 상기 제 2 바이패스 밸브(225)의 개도값은 조절될 수 있다.
만일, 제 2 바이패스 밸브(225)의 개도가 기준 개도값(예: 40 펄스) 미만이면,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170에서 제 2 기상냉매 센서(116) 및 제 2 액냉매 센서(147)에서 감지된 온도가 제 2 기준온도 이상일 경우, 단계 S190을 생략하고 바로 단계 S200으로 진입하여 제 2 바이패스 밸브(225)의 개도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오일 회수 운전 시의 열교환 장치에서의 냉매의 유동 모습을 보여주는 싸이클 선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난방 운전 도중에 오일 회수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오일 회수 운전이란, 장시간 난방 운전 시 압축기의 오일부족 현상이 발생할 때, 배관 및 열교환기를 포함한 기관에 쌓인 오일을 회수하기 위한 운전 모드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상기 공기조화장치(1)가 오일 회수 운전되면, 냉난방 절환밸브(미도시)를 통해 냉방모드로 절환될 수 있다. 이때, 오일을 회수하기 위한 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압축기의 운전주파수가 증가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장치(1)가 오일 회수 운전되면, 상기 실외기(10)의 실외 열교환기(15)에서 응축된 고압의 액 냉매는 상기 액관(27)을 통하여 상기 절환유닛(R)으로 유입된다.
상기 액관(27)으로 유입된 냉매 중 일부의 냉매는 상기 액관 분기점(27a)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 1 액가이드관(141)으로 유입되며, 다른 일부의 냉매는 상기 액관 분기점(27a)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 2 액가이드관(142)으로 유입된다.
상기 제 1 액가이드관(141)으로 유입된 응축 냉매는, 상기 제 1 유량밸브(143)를 통과하면서 팽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팽창 냉매는 상기 제 1 열교환기(101)를 통과하면서 물의 열을 흡수하여 증발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열교환기(101)로 유입되는 냉매의 온도는, 상기 제 1 액냉매 센서(146)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열교환기(101)로부터 배출된 증발 냉매는, 상기 제 1 냉매배관(110)을 통해 상기 제 1 저압가이드관(125)으로 유입되어 상기 저압기관(25)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저압밸브(127)는 개방되고 상기 제 1 고압밸브(123)는 폐쇄된다.
상기 제 1 열교환기(101)로부터 배출되는 냉매의 온도는, 상기 제 1 기상냉매 센서(111)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액가이드관(142)으로 유입된 응축 냉매는, 상기 제 2 유량밸브(144)를 통과하면서 팽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팽창 냉매는 상기 제 2 열교환기(102)를 통과하면서 물의 열을 흡수하여 증발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열교환기(102)로 유입되는 냉매의 온도는, 상기 제 2 액냉매 센서(147)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열교환기(102)로부터 배출된 증발 냉매는, 상기 제 2 냉매배관(115)을 통해 상기 제 2 저압가이드관(126)으로 유입되어 상기 저압기관(25)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저압밸브(128)는 개방되고 상기 제 2 고압밸브(124)는 폐쇄된다.
상기 제 2 열교환기(102)로부터 배출되는 냉매의 온도는, 상기 제 2 기상냉매 센서(116)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상기 저압기관(27)으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실외기(10)의 압축기(11)로 흡입되고, 상기 실외기(10)의 실외 열교환기(15)에서 응축될 수 있다. 이러한 냉매 싸이클이 순환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오일 회수 운전시 열교환기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한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8에서는 오일 회수 운전 시, 제 1 열교환기(101)가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에 대해서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제 2 열교환기(102)가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단계 S210에서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오일 회수 운전을 수행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난방 운전 도중 압축기의 오일부족 현상이 발생하면, 기관 내 쌓인 오일을 회수하기 위하여 오일 회수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난방 운전에서 냉방 운전으로 절환되고, 상기 실외기(10)의 실외 열교환기(15)는 응축기로서 기능하고, 다수의 실내기(61, 62, 63, 64)는 냉방을 위하여 운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열교환기(101) 및 상기 제 2 열교환기(102)는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로서 기능할 수 있다.
즉, 상기 실외 열교환기(15)에서 응축된 냉매는 상기 제 1 열교환기(101) 및 상기 제 2 열교환기(102)를 통과하면서 증발될 수 있다.
단계 S220에서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제 1 기상냉매 센서(111) 및 제 1 액냉매 센서(146)를 통해 냉매의 온도를 감지한다.
상기 제 1 열교환기(101)로 유입되는 냉매의 온도는, 상기 제 1 액냉매 센서(146)에 의해 감지될 수 있고, 상기 제 1 열교환기(101)로부터 배출되는 냉매의 온도는, 상기 제 1 기상냉매 센서(111)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단계 S230에서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제 1 기상냉매 센서(111) 또는 제 1 액냉매 센서(146)에서 감지된 온도가 제 1 기준온도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상기 제 1 열교환기(101)의 동파 위험을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열교환기(101)로 유입되는 냉매의 온도 및 상기 제 1 열교환기(101)로부터 배출되는 냉매의 온도가 제 1 기준온도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 1 열교환기(101)로 유입되는 냉매의 온도 또는 상기 제 1 열교환기(101)로부터 배출되는 냉매의 온도가 매우 낮으면, 상기 제 1 열교환기(101)를 흐르는 물이 얼게 되면서 동파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기준온도는 일례로 물이 어는 온도인 0도가 될 수 있다.
제 1 기상냉매 센서(111) 또는 제 1 액냉매 센서(146)에서 감지된 온도가 제 1 기준온도 이하일 경우, 단계 S240에서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제 1 기준온도 이하로 감지된 시간이 기준시간 이상 유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제 1 기준온도 이하로 감지된 시간이 기준시간 이상 유지될 경우, 제 1 열교환기(101)가 동파될 가능성이 크므로, 제 1 기준온도 이하로 감지된 상태가 유지되는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준시간은 일례로 1분이 될 수 있다.
제 1 기준온도 이하로 감지된 시간이 기준시간 이상일 경우, 단계 S250에서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제 1 바이패스 밸브(215)를 개방시킨다.
상세히,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상기 제 1 열교환기(101)가 동파될 위험이 있을 경우, 상기 제 1 바이패스 밸브(215)를 개방시켜 상기 제 1 열교환기(101)로 고온 고압의 냉매를 유입시키도록 한다.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상기 제 1 바이패스 밸브(215)의 개도를 초기 개도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초기 개도값은 상기 제 1 바이패스 밸브(215)의 최대 개도각이 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초기 개도값은 500 펄스(pls)가 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바이패스 밸브(215)가 개방되면, 상기 고압기관(20)을 흐르는 고온의 냉매는 상기 공통 배관(200) 및 상기 제 2 바이패스 배관(210)을 통하여 상기 제 1 열교환기(101) 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열교환기(101)의 내부온도가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열교환기가 동파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단계 S260에서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일정시간 경과 후, 제 1 기상냉매 센서(111) 및 제 1 액냉매 센서(146)를 통해 냉매의 온도를 다시 감지한다.
그리고 단계 S270에서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제 1 기상냉매 센서(111) 및 제 1 액냉매 센서(146)에서 감지된 온도가 제 2 기준온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기준온도는 일례로 3도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상기 제 1 기상냉매 센서(111) 및 상기 제 1 액냉매 센서(146)에서 감지된 온도가 각각 3도 이상이 되면, 열교환기가 동파될 위험이 거의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제 1 기상냉매 센서(111) 및 제 1 액냉매 센서(146)에서 감지된 온도가 제 2 기준온도 미만일 경우, 단계 S280에서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제 1 바이패스 밸브(215)의 개도를 증가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기상냉매 센서(111) 및 상기 제 1 액냉매 센서(146)에서 감지된 온도가 제 2 기준온도(예: 3도) 미만일 경우에는, 열교환기가 동파될 위험이 있다고 판단하여 상기 제 1 바이패스 밸브(215)의 개도를 100 펄스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반면, 제 1 기상냉매 센서(111) 및 제 1 액냉매 센서(146)에서 감지된 온도가 제 2 기준온도 이상일 경우, 단계 S290에서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제 1 바이패스 밸브(215)의 개도가 기준 개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제 1 바이패스 밸브(215)의 개도가 기준 개도값 이상이면, 단계 S300에서 상기 제 1 바이패스 밸브(215)의 개도를 감소시킨다.
상세히, 상기 제 1 기상냉매 센서(111) 및 상기 제 1 액냉매 센서(146)에서 감지된 온도가 각각 제 2 기준온도(예: 3도) 이상일 경우에는, 열교환기가 동파될 위험이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 1 바이패스 밸브(215)의 개도값이 너무 클 경우, 상기 제 1 열교환기(101)로 유입되는 고온의 냉매량이 많아져서 결과적으로 열교환기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열교환기(101)로 유입되는 고온의 냉매량을 조절함으로써, 열교환기의 동파를 방지함과 동시에 열교환기의 성능을 유지시킬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상기 제 1 바이패스 밸브(215)의 개도가 40 내지 60 펄스 이상이면, 상기 제 1 바이패스 밸브(215)의 개도를 100 펄스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단계 S260으로 다시 진입할 수 있다.
이러한 알고리즘에 의하여, 상기 제 1 바이패스 밸브(215)의 개도값은 조절될 수 있다.
만일, 제 1 바이패스 밸브(215)의 개도가 기준 개도값(예: 40 펄스) 미만이면,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270에서 제 1 기상냉매 센서(111) 및 제 1 액냉매 센서(146)에서 감지된 온도가 제 2 기준온도 이상일 경우, 단계 S290을 생략하고 바로 단계 S300으로 진입하여 제 1 바이패스 밸브(215)의 개도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특히, 오일 회수 운전 시에는 오일을 신속하게 회수하기 위하여 압축기의 운전주파수가 증가될 수 있다. 압축기의 운전주파수가 증가되면, 저압이 낮아져서 결과적으로 고압과 저압의 압력차가 커지게 되고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냉매의 온도가 급격히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오일 회수 운전 시에는 열교환기가 동파될 가능성이 더욱 커지므로, 본 실시 예에서 앞서 설명된 냉방 운전 또는 동시 운전에 비하여, 제 1 바이패스 밸브의 개도값을 큰 폭으로 조절함으로써, 열교환기가 동파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0)

  1. 압축기 및 실외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냉매가 순환하는 실외기;
    물이 순환하는 실내기;
    상기 냉매와 물의 열교환을 수행하는 열교환기;
    상기 실외기의 고압기관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열교환기의 일측에 연결되는 고압가이드관;
    상기 실외기의 저압기관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고압가이드관에 합지되는 저압가이드관;
    상기 실외기의 액관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열교환기의 타측에 연결되는 액가이드관;
    상기 고압기관의 바이패스 분기부와 상기 액가이드관의 바이패스 합지점을 연결하여, 상기 고압기관에 존재하는 고압의 냉매를 상기 액가이드관으로 바이패스 하는 바이패스 배관; 및
    상기 바이패스 배관에 설치되는 바이패스 밸브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의 냉방 운전 시, 상기 바이패스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고압기관의 고압의 냉매를 상기 액가이드관으로 바이패스 하는 공기조화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의 난방 운전 시, 상기 바이패스 밸브는 폐쇄되어, 상기 고압기관의 고압의 냉매를 상기 액가이드관으로 바이패스 하는 것을 제한하는 공기조화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다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다수 개의 열교환기 중 일부의 열교환기는 냉매가 응축하는 응축기로 기능하고, 나머지 열교환기는 냉매가 증발하는 증발기로 기능할 때,
    상기 바이패스 밸브는 개방되어, 상기 고압기관의 고압의 냉매가 상기 증발기로 기능하는 열교환기로 바이패스 되는 공기조화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가이드관에 설치되어 개폐 동작하는 고압밸브;
    상기 저압가이드관에 설치되어 개폐 동작하는 저압밸브; 및
    상기 액가이드관에 설치되어 냉매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밸브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합지점은,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유량밸브의 사이 지점에 형성되는 공기조화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일측 단부는 상기 고압가이드관과 상기 저압가이드관이 합쳐지는 냉매 분기점을 형성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열교환기의 냉매유로와 연결되는 냉매배관을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배관에 설치되어 냉매의 온도를 감지하는 기상냉매 센서;
    상기 액가이드관에 설치되어 냉매의 온도를 감지하는 액냉매 센서; 및
    상기 기상냉매 센서 및 상기 액냉매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바이패스 밸브의 개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상냉매 센서 또는 상기 액냉매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제 1 기준온도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기상냉매 센서 또는 상기 액냉매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제 1 기준온도 이하인 경우, 상기 바이패스 밸브를 개방시키는 공기조화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상냉매 센서 및 상기 액냉매 센서에서 감지된 냉매의 온도를 다시 감지하고,
    상기 기상냉매 센서 및 상기 액냉매 센서에서 감지된 냉매의 온도가 각각 제 2 기준온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공기조화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상냉매 센서 및 상기 액냉매 센서에서 감지된 냉매의 온도가 각각 제 2 기준온도 미만인 경우, 상기 바이패스 밸브의 개도를 증가시키는 공기조화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상냉매 센서 및 상기 액냉매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각각 제 2 기준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바이패스 밸브의 개도를 감소시키는 공기조화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상냉매 센서 및 상기 액냉매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각각 제 2 기준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바이패스 밸브의 개도가 기준 개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바이패스 밸브의 개도가 기준 개도 이상인 경우, 상기 바이패스 밸브의 개도를 감소시키는 공기조화장치.
  14. 압축기 및 실외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냉매가 순환하는 실외기;
    물이 순환하는 실내기;
    상기 냉매와 물의 열교환을 수행하는 제 1 열교환기 및 제 2 열교환기;
    상기 실외기의 고압기관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 1 열교환기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 1 고압가이드관;
    상기 실외기의 고압기관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 2 열교환기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 2 고압가이드관;
    상기 실외기의 저압기관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 1 고압가이드관에 합지되는 제 1 저압가이드관;
    상기 실외기의 저압기관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 2 고압가이드관에 합지되는 제 2 저압가이드관;
    상기 실외기의 액관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 1 열교환기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 1 액가이드관;
    상기 실외기의 액관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 2 열교환기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 2 액가이드관;
    상기 고압기관의 고압의 냉매를 상기 제 1 액가이드관 또는 상기 제 2 액가이드관으로 바이패스 하는 바이패스 배관; 및
    상기 바이패스 배관에 설치되는 바이패스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바이패스 배관은,
    상기 고압기관의 제 1 바이패스 분기부로부터 분기되는 공통 배관;
    상기 공통 배관의 제 2 바이패스 분기부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 1 액가이드의 제 1 바이패스 합지점에 연결되는 제 1 바이패스 배관; 및
    상기 공통 배관의 제 2 바이패스 분기부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 2 액가이드관의 제 2 바이패스 합지점에 연결되는 제 2 바이패스 배관을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밸브는,
    상기 제 1 바이패스 배관에 설치되는 제 1 바이패스 밸브; 및
    상기 제 2 바이패스 배관에 설치되는 제 2 바이패스 밸브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의 냉방 운전 시, 상기 제 1 바이패스 밸브 및 상기 제 2 바이패스 밸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개방하여, 상기 고압기관의 고압의 냉매를 상기 제 1 액가이드관 및 상기 제 2 액가이드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바이패스 하는 공기조화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압가이드관 및 상기 제 2 고압가이드관에 각각 설치되는 제 1 고압밸브와 제 2 고압밸브;
    상기 제 1 저압가이드관 및 상기 제 2 저압가이드관에 각각 설치되는 제 1 저압밸브와 제 2 저압밸브; 및
    상기 제 1 액가이드관 및 상기 제 2 액가이드관에 각각 설치되는 제 1 유량밸브와 제 2 유량밸브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바이패스 합지점은, 상기 제 1 열교환기와 상기 제 1 유량밸브의 사이 지점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바이패스 합지점은, 상기 제 2 열교환기와 상기 제 2 유량밸브의 사이 지점에 형성되는 공기조화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일측 단부는 상기 제 1 고압가이드관과 상기 제 1 저압가이드관이 합쳐지는 제 1 냉매 분기점을 형성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제 1 열교환기의 냉매유로와 연결되는 제 1 냉매배관; 및
    일측 단부는 상기 제 2 고압가이드관과 상기 제 2 저압가이드관이 합쳐지는 제 2 냉매 분기점을 형성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제 2 열교환기의 냉매유로와 연결되는 제 2 냉매배관을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냉매배관 및 상기 제 2 냉매배관에 각각 설치되어 냉매의 온도를 감지하는 기상냉매 센서;
    상기 제 1 액가이드관 및 상기 제 2 액가이드관에 각각 설치되어 냉매의 온도를 감지하는 액냉매 센서; 및
    상기 기상냉매 센서 및 상기 액냉매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바이패스 밸브의 개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
KR1020190178470A 2019-12-30 2019-12-30 공기조화장치 KR20210085443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470A KR20210085443A (ko) 2019-12-30 2019-12-30 공기조화장치
PCT/KR2020/015132 WO2021137408A1 (en) 2019-12-30 2020-11-02 Air conditioning apparatus
JP2022539682A JP7455211B2 (ja) 2019-12-30 2020-11-02 空気調和装置
CN202080091544.7A CN114902008B (zh) 2019-12-30 2020-11-02 空调装置
US17/088,773 US11725855B2 (en) 2019-12-30 2020-11-04 Air conditioning apparatus
EP20211005.2A EP3845830A1 (en) 2019-12-30 2020-12-01 Air condition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470A KR20210085443A (ko) 2019-12-30 2019-12-30 공기조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443A true KR20210085443A (ko) 2021-07-08

Family

ID=73694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8470A KR20210085443A (ko) 2019-12-30 2019-12-30 공기조화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725855B2 (ko)
EP (1) EP3845830A1 (ko)
JP (1) JP7455211B2 (ko)
KR (1) KR20210085443A (ko)
CN (1) CN114902008B (ko)
WO (1) WO20211374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3047A (ko) * 2019-12-26 2021-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KR20210085443A (ko) 2019-12-30 2021-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KR20210098783A (ko) * 2020-02-03 2021-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76864A1 (en) 2009-09-10 2015-06-2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ir-condition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2824B2 (ja) * 1990-11-21 2000-07-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空気調和システム
JP3133519B2 (ja) * 1992-09-29 2001-02-13 三洋電機株式会社 吸収式冷凍機の熱媒体回路
JP3138154B2 (ja) * 1994-09-22 2001-02-26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4289901B2 (ja) * 2003-02-21 2009-07-01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油回収方法及び空気調和装置
CN2750229Y (zh) 2004-07-12 2006-01-04 劳特斯空调(江苏)有限公司 空调系统自适应装置
KR100586989B1 (ko) 2004-08-11 2006-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난방 공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4399667B2 (ja) 2004-09-08 2010-01-20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N100404980C (zh) * 2006-02-27 2008-07-23 黄道德 空气源热泵热水器
KR101264429B1 (ko) * 2006-09-01 2013-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냉식 공기조화기
JP5316074B2 (ja) 2009-02-24 2013-10-1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
US9322562B2 (en) 2009-04-01 2016-04-2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ir-conditioning apparatus
KR101084949B1 (ko) * 2009-06-18 2011-11-17 주식회사 귀뚜라미 범양냉방 수배관 동파방지 기능을 구비한 히트펌프 시스템
ES2699462T3 (es) 2009-09-10 2019-02-11 Mitsubishi Electric Corp Dispositivo acondicionador de aire
JP5279919B2 (ja) * 2009-10-27 2013-09-04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5323202B2 (ja) 2009-10-29 2013-10-23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5436575B2 (ja) 2009-11-30 2014-03-05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5709978B2 (ja) * 2011-03-28 2015-04-30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US9513036B2 (en) 2011-06-16 2016-12-0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ir-conditioning apparatus
WO2012172605A1 (ja) 2011-06-16 2012-12-20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CN103975202B (zh) 2012-01-05 2016-09-14 三菱电机株式会社 空调装置
JP5845957B2 (ja) 2012-02-20 2016-01-20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装置
KR102146371B1 (ko) 2013-09-25 2020-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204438585U (zh) * 2015-01-15 2015-07-01 特灵空调系统(中国)有限公司 空调系统
KR101702737B1 (ko) * 2015-01-15 2017-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 시스템
EP3306215B1 (en) 2015-06-02 2023-12-2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ir-conditioning device
KR101726073B1 (ko) 2015-10-01 2017-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 시스템
KR101706865B1 (ko) * 2015-10-19 2017-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2017096597A (ja) * 2015-11-27 2017-06-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及び、電磁弁キット
JP2017101854A (ja) * 2015-11-30 2017-06-08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装置
JP6481668B2 (ja) * 2015-12-10 2019-03-13 株式会社デンソー 冷凍サイクル装置
KR101854335B1 (ko) 2016-01-18 2018-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2015031B1 (ko) * 2016-01-28 2019-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WO2017138059A1 (ja) * 2016-02-08 2017-08-17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2017142038A (ja) 2016-02-12 2017-08-17 三菱重工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冷凍サイクル装置
KR101653945B1 (ko) * 2016-07-20 2016-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 시스템
CN111094871B (zh) 2017-09-29 2021-09-17 大金工业株式会社 冷冻装置
KR20200114031A (ko) 2019-03-27 2020-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 장치
KR20210083047A (ko) 2019-12-26 2021-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KR20210085443A (ko) 2019-12-30 2021-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KR20210096522A (ko) 2020-01-28 2021-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 장치
KR20210100461A (ko) 2020-02-06 2021-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76864A1 (en) 2009-09-10 2015-06-2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ir-condition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25855B2 (en) 2023-08-15
CN114902008B (zh) 2024-01-26
WO2021137408A8 (en) 2021-11-25
JP2023509017A (ja) 2023-03-06
WO2021137408A1 (en) 2021-07-08
JP7455211B2 (ja) 2024-03-25
EP3845830A1 (en) 2021-07-07
CN114902008A (zh) 2022-08-12
US20210199350A1 (en) 2021-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08987B2 (en) Heat pump with an auxiliary heat exchanger for compressor discharge temperature control
JP7455211B2 (ja) 空気調和装置
US10724776B2 (en) Exhaust heat recovery type of air-conditioning apparatus
US20230074034A1 (en) Air conditioner
CN113251509B (zh) 空气调节装置
US11415343B2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512881B2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JP2022528256A (ja) 空気調和装置
CN113251473B (zh) 空调装置
JP4898025B2 (ja) マルチ型ガスヒートポンプ式空気調和装置
US11506427B2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EP3742072B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KR20220045359A (ko) 냉난방 멀티 공기조화기
KR20240031467A (ko) 공기조화기
US20240027077A1 (en) Hybrid multi-air 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hybrid multi-air conditioning system
JPH07294026A (ja) 冷凍装置
JP2002106994A (ja) 冷凍サイクル
JPH0331662A (ja) 冷暖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