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3324A - 고용접선 강도 폴리에틸렌/폴리카보네이트 합금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고용접선 강도 폴리에틸렌/폴리카보네이트 합금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3324A
KR20210083324A KR1020217016373A KR20217016373A KR20210083324A KR 20210083324 A KR20210083324 A KR 20210083324A KR 1020217016373 A KR1020217016373 A KR 1020217016373A KR 20217016373 A KR20217016373 A KR 20217016373A KR 20210083324 A KR20210083324 A KR 20210083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ylene
copolymer
polyethylene
polycarbonate
high tang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6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옌 양
밍쿤 리
씨안보 후앙
난뱌오 예
웨이 통
씨앙마오 동
준웨이 아이
Original Assignee
킹파 사이언스 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킹파 사이언스 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킹파 사이언스 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83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332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69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8Stabilised against heat, light or radiation or oxy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08L2205/03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containing four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8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additives to improve the compatibility between two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용접선 강도 폴리에틸렌/폴리카보네이트 합금을 개시하였으며, 중량부에 따라 계산하면, 폴리에틸렌 5-40 중량부; 폴리카보네이트 40-85 중량부; 에틸렌 공중합체 화합제 1-15 중량부의 구성을 포함한다. 고용접선 강도 폴리에틸렌/폴리카보네이트 합금은 고용접선 강도, 양호한 용융 지수, 양호한 내열 노화 성능 등 장점을 구비한다.

Description

고용접선 강도 폴리에틸렌/폴리카보네이트 합금 및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은 고분자 재료 기술분야에 속하며, 특히 고용접선 강도 폴리에틸렌/폴리카보네이트 합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카보네이트(PC)는 성능이 우수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며, 우량한 역학 성능 및 우수한 치수 안정성을 구비하고, 열 안정성, 내후성, 크리프 내성 및 내열성이 양호하다. 그러나 PC분자 체인은 강성 라디칼을 구비하며, 따라서 그 멜트 점도가 높다.
폴리올레핀과 폴리카보네이트를 혼합하면 폴리카보네이트의 유동성을 제고시킬 수 있어, 가공 성능을 제고시킬 수 있으며, 가공 성능이 양호한 재료를 획득할 수 있다. 그러나 해당 합금은 호환성이 불량하고, 용접선 강도가 낮으며, 취약점으로써 부품의 단절 및 실효를 용이하게 야기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기술 결함들을 극복하기 위한 것이며, 고용접선 강도 폴리에틸렌/폴리카보네이트 합금을 제공하며 우수한 내열 노화 성능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폴리에틸렌/폴리카보네이트 합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기술방안을 통해 구현된다:
고용접선 강도 폴리에틸렌/폴리카보네이트 합금에 있어서, 중량부에 따라 계산하면,
폴리에틸렌 5-40 중량부;
폴리카보네이트 40-85 중량부;
에틸렌 공중합체 화합제 1-15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에틸렌은 분기율이 각 1000개의 탄소 원자 중 5-300개 측쇄를 함유하는 폴리에틸렌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측쇄는 1-10개의 탄소 원자를 구비하며; 바람직하게, 분기율이 각 1000개의 탄소 원자 중 20-100개 측쇄를 함유하는 폴리에틸렌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측쇄는 1-10개의 탄소 원자를 구비한다.
상기 에틸렌 공중합체 화합제는 아크릴산의 에틸렌 공중합체,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스티렌 부타디엔 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 에틸렌 부타디엔 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 에틸렌 프로필렌 스티렌 공중합체 중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아크릴산의 에틸렌 공중합체는 에틸렌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 아크릴산 에틸 공중합체, 에틸렌 아크릴산 부틸 공중합체 중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에틸렌 공중합체 화합제는 아크릴산의 에틸렌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에틸렌 공중합체 화합제는 반응 활성 그룹이 함유된 에틸렌 공중합체 화합제로부터 선택되며, 에틸렌 공중합체는 아크릴산의 에틸렌 공중합체,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스티렌 부타디엔 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 에틸렌 부타디엔 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 에틸렌 프로필렌 스티렌 공중합체 중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되며, 반응 활성 그룹은, 무수마레인산 그룹, 에폭시 그룹 중의 적어도 한가지이며, 반응 활성 그룹의 접목률(grafting ratio)은 0.1-15%이며; 상기 아크릴산의 에틸렌 공중합체는 에틸렌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 아크릴산 에틸 공중합체, 에틸렌 아크릴산 부틸 공중합체 중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에틸렌 공중합체 화합제는 아크릴산의 에틸렌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방향족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 상기 폴리카보네이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8만-2.8만이다.
중량부로 계산하면, 0-10 중량부의 가공 보조제 및/또는 첨가제를 더 포함한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과 에틸렌 공중합체 화합제 용융 지수에 대한 선택을 통해 본 발명의 용접선 강도가 더 제고되도록 한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 에틸렌 공중합체 화합제에 대한 선택을 통해 본 발명의 용접선 강도가 더 제고되도록 한다.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에틸렌은 합금으로 용융 혼합된 후, 폴리에틸렌은 분산상, 폴리카보네이트는 연속상인 상태 구조를 형성한다. 용접선 강도의 크기는 용접선 위치 분산상의 입자반경, 방향 및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에틸렌 사이의 표면 장력에 의해 공동 결정된다. 분산상의 입자반경이 작을 수록, 방향이 작을 수록, 표면 장력이 작을 수록 용접선 강도가 크다. 입자반경은 계산식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분산상 용융 지수가 크면, EDK가 작고, 보다 용이하게 분산상의 입자반경을 감소시키나; 고분자의 확산이론에 따르면, 분산상 용융 지수는 방향의 증대를 야기하며, 따라서 분산상 용융 지수의 선택은 입자 반경과 방향이 밸런스되도록 선택해야 하며, 최대 한도에서 입자반경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비교적 작은 방향을 유지해야만 고용접선 강도를 얻을 수 있다.
Figure pct00001
φ: 분산상 체적 분율(volume fraction); Pr: 충돌 확률; γ: 계면 결합력; σ12: 전단 응력.
또한, 일반적인 에틸렌 공중합체 화합제(compatibilizer)는 B-D형 접목 공중합체이며, B체인 부분 에틸렌 분자 체인 부분은 폴리에틸렌 구조와 유사하며, 유사한 화합으로 그와 폴리에틸렌의 화합성은 매우 양호하며; 또한, D체인 부분은 폴리카보네이트의 단기와 화학반응이 존재하며, D체인 부분은 화학 결합으로 폴리카보네이트와 결합하여 폴리카보네이트와의 화합성을 상응하게 제고시키며, 즉, 화합제는 브릿지 물질로서 폴리에틸렌과 폴리카보네이트를 연결하여 양자의 화합성을 제고시키고 표면 장력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폴리에틸렌과 폴리카보네이트의 합금에 에틸렌 공중합체 화합제를 추가 후 간접적으로 분산상의 입자반경을 감소시킨다. 그러나, 화합성의 제고로 인해 분자 체인 사이의 상호 작용력도 증가되며, 함금 시스템의 용융 지수를 감소시킨다.
에틸렌 공중합체 화합제의 용융 지수는 확산 정도와 속도에 영향을 준다. 용융 지수가 너무 낮을 경우, 용융 상태에서, 에틸렌 공중합체 화합제의 확산은 늦어지고, 화합제 증가 작용을 발휘할 수 없다. 용융 지수가 일정 정도에 도달 후, 에틸렌 공중합체 화합제는 분산상과 연속상의 계면으로 용이하게 확산되며, 합금 분산상과 연속상을 연결하여 계면 접합력을 제고시키고, 응력의 전달을 통해 분산상의 입자반경을 감소시키고 합금의 용접선 강도를 제고시킨다. 그러나 에틸렌 공중합체 화합제의 용융 지수는 너무 높아지고, 오히려 에틸렌 공중합체 화합제가 감소되며, 분산상, 연속상 두 상 사이가 서로 관통되는 정도로 되며, 용접선 강도를 감소시킨다.
에틸렌 공중합체 화합제의 활성 그룹 수량 및 유형은 폴리카보네이트와의 반응 활성에 영향을 주며, 반응 활성 그룹은 폴리카보네이트와의 반응 정도를 증가하며, 공간 입체 장애와 분자 간 작용력의 제고로 인해 용접선 강도를 제고시키고, 합금의 용융 지수를 감소시킨다.
종합하면, 본 발명은 40g/10min-150g/10min, 테스트 조건 230℃, 2.16kg의 용융 지수 범위내에서 폴리에틸렌의 용융 지수를 제고시키는 것을 통해, 최대 한도에서 입자 반경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비교적 작은 방향을 유지하며, 에틸렌 공중합체 화합제를 선택하여 간접적으로 분산상의 입자반경을 감소시키며; 이를 통해,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폴리카보네이트 합금에서, 분산상 입자 반경은 작고, 반경도 작으며, 최종적으로 폴리카보네이트 합금의 용접선 강도를 제고시킨다.
폴리에틸렌의 측쇄는 폴리에틸렌/폴리카보네이트 합금 계면층 두께에 영향을 주며, 동시에 분산상의 입자 반경과 방향에도 영향을 준다. 분기율이 1000개의 탄소 원자가 20-100개의 쇄측을 구비하는 범위내에서 제고될 시, 유동성이 양호하고, 보다 용이하게 분산상이 더 작은 입자 반경으로 파쇄되도록 하며, 또한, 분기율의 제고는 더 높은 폴리에틸렌/폴리카보네이트 합금 계면 작용력 및 계면 두께를 형성시키고, 방향을 감소시키며, 따라서, 해당 범위내에서 폴리에틸렌의 분기율을 제고시키면 최종적으로 폴리에틸렌/폴리카보네이트 합금의 용접선 강도를 제고시킨다. 그러나, 분기율이 1000개 탄소 원자가 100-300개 측쇄을 구비하는 범위에 있을 시, 보다 높은 분기율의 폴리에틸렌은 공간 입체 장애가 높고, 입자 반경에 대한 감소 작용이 뚜렷하지 못하며, 보다 많은 쇄측은 분산상의 방향을 증대시키며, 용접선 강도는 분기율이 1000개 탄소 원자가 100-300개 측쇄를 구비하는 범위내에서 점차 감소된다.
아크릴산의 에틸렌 공중합체는 비교적 높은 용체 강도를 구비하며, 극성 그룹은 폴리카보네이트와 유사 화합되며, 따라서 폴리카보네이트 합금의 용접선 강도를 뚜렷하게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용접선 강도 폴리에틸렌/폴리카보네이트 합금의 용접선 강도는 65% 이상이고, 용접선 강도 테스트는 ASTM D638 기준에 따라 테스트하며, 바람직하게, 상기 고용접선 강도 폴리에틸렌/폴리카보네이트 합금의 용접선 강도는 70%이상이며, 용접선 강도 테스트는 ASTM D638 기준에 따라 테스트한다.
고용접선 강도 폴리에틸렌/폴리카보네이트 합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에틸렌 공중합체 화합제, 가공 보조제 및/또는 첨가제를 비례에 따라 고속 믹서기에서 균일하게 혼합하고; 그 후 이축 압출기에 추가하여 220℃-240℃의 온도에서 용융 혼합을 진행한 후 조립, 냉각, 건조하여 고용접선 강도 폴리카보네이트 합금을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용접선 강도가 70% 이상인 고용접선 강도 폴리카보네이트 합금을 얻기 위해, 상기 폴리올레핀의 용융 지수는 40g/10min-150g/10min보다 크고, 테스트 조건은 230℃, 2.16kg이며; 바람직하게, 상기 폴리올레핀의 용융 지수는 60g/10min-150g/10min보다 크고, 테스트 조건은 230℃, 2.16kg이다.
더 나아가서, 상기 에틸렌 공중합체 화합제의 용융 지수는 0.2g/10min-50g/10min, 테스트 조건은 190℃, 2.16kg이며; 바람직하게, 상기 에틸렌 공중합체 화합제의 용융 지수는 0.4g/10min-35g/10min 이상이며, 테스트 조건은 190℃, 2.16kg이다.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유익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폴리카보네이트 합금에 에틸렌 공중합체 화합제를 추가하는 것을 통해 합금의 용접선 강도, TS 유지율을 제고시키고;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아크릴산의 에틸렌 공중합체는 합금의 용접선 강도, TS 유지율에 대한 제고가 비교적 큰 것을 발견하였다. 더 나아가서, 폴리에틸렌의 분기율 및 측쇄 길이는 합금의 용접선 강도, TS 유지율에 비교적 큰 영향을 주며; 본 발명은 또한 폴리에틸렌, 에틸렌 공중합체 화합제의 용융 지수에 대해 최적화를 진행하였으며, 얻은 합금의 용접선 강도, TS 유지율은 더 제고되며; 본 발명은 또한, 폴리카보네이트의 중량 평균 분자량도 합금의 용접선 강도, TS 유지율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즉, 폴리카보네이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8만-2.8만일 시, 합금의 용접선 강도, TS 유지율이 비교적 양호하다. 종합하면, 본 발명의 공용접선 강도 폴리에틸렌/폴리카보네이트 합금은 고용접선 강도, 우수한 내열 노화성 등 장점을 구비한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방식을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방식이나, 본 발명의 실시방식은 하기 실시예의 제한을 받지 않는다.
실시예, 비교예의 원료는 시중 판매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폴리에틸렌: 분기율은 1000개의 탄소 원자 중 함유하는 측쇄의 개수, 표 중의 분기율은 1000개 탄소 원자의 기수이다.
EMA: 에틸렌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EEA: 에틸렌 아크릴산 공중합체;
EMA-g-GMA: 에폭시 그룹 접목 에틸렌 메타크릴산(GMA는 에폭시 그룹);
EVA: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SEBS: 스티렌 에틸렌 부타디엔 스티렌 공중합체;
화합제(B): PP-G-MAH(무수 마레인산 접목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A):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중량 평균 분자량은 2.8만;
폴리카보네이트(B):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중량 평균 분자량은 1.8만;
폴리카보네이트(C):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중량 평균 분자량은 8천;
폴리카보네이트(D):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중량 평균 분자량은 3만;
노화 방지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노화 방지제=1: 1.
실시예와 비교예 중 폴리에틸렌/폴리카보네이트 합금의 제조 방법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화합제, 가공 보조제 및/또는 첨가제를 비례에 따라 고속 믹서기에서 균일하게 혼합하고; 그 후, 이축 압출기에 추가하여 220℃-240℃의 온도에서 용융 혼합을 진행한 후 조립, 냉각, 건조하여 고용접선 강도 폴리카보네이트 합금을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각 테스트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합금 용융 지수(MFR): ASTM D1238에 따라 측정하며, 폴리카보네이트 합금 테스트 조건은 260℃, 2.16kg이고;
(2) 용접선 강도: 용접선 계수를 사용하여 FKL로 표시:
FKL=TSX/TS0Х100%,
TSX는 용접선 인장 강도이고, TS0는 무용접선 인장 강도이며, ASTM D638기준을 사용하여 테스트한다.
(3) TS 유지율: ISO 527-2/1A에 따라, 몰딩 성형 제조된 두께가 4mm, 폭이 10mm인 테스트봉, 5mm/min의 테스트 속도, 23℃의 공기 중의 노화 전 및 노화 후 인장 강도(TS)를 테스트하여(적어도 5개의 동일 구성 및 형상 샘플 테스트 결과의 평균값), 노화 전의 인장 강도(Tinitial)를 얻는다. 열기 노화는 열 노화 오븐을 사용하며, 150℃의 온도로 조절하여 진행하고, 노화 시간 1000h 달성 후 샘플을 노화 오븐으로부터 꺼내고, 실온으로 냉각한 후 알루미늄 호일백으로 열밀봉하여, 역학 성능 평가 전 습기를 흡수하는 것을 방지하고, 테스트 속도는 5mm/min이며, 온도가 23℃의 인장 강도(TS)를 테스트하여(적어도 5개의 동일 구성 및 형상 샘플 테스트 결과의 평균값), 노화 후의 인장 강도(Taging)를 얻는다. 노화 전의 대응되는 역학 성능과 비교하여 인장 강도의 유지율을 계산하며 백분율로 표시하고, 노화 후 TS 유지율(R1)을 기록하며, R1의 계산은 아래와 같다:
R1=Taging /TinitialХ100%,
계산식에서, Taging 및 Tinitial는 각각 노화 후 및 노화 전의 인장 강도이다.
(4) 폴리에틸린 분기율: C-NMR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 방법, Galland방법에 따라 분기도를 테스트 하고, 분기도의 계산식은 (D+T)/(D+T+L)이다.
분기도(DB)= (D+T)/(D+T+L),
D는 수목상 유닛 수를 표시하고, T는 말단 유닛 수를 표시하며, L은 선형 유닛 수를 표시한다.
[표 1]
Figure pct00002
[표 2]
Figure pct00003
[표 3]
Figure pct00004
실시예 1-7 및 비교예 4로부터 알 수 있듯이, 에틸렌 공중합체 화합제 용융 지수의 상승에 따라, 제품의 용융 지수는 상승되고, 용접선 강도는 역 U 형상을 나타내며, 에틸렌 공중합체 화합제의 용융 지수가 0.4-35g/10min(테스트 조건 190℃, 2.16kg)일 시, 제품의 용접선 강도, TS 유지율은 모두 대폭 하강된다.
실시예 3/8-11로부터 알 수 있듯이, 폴리에틸렌 용융 지수의 상승에 따라, 제품의 용접선 강도, 용융 지수, TS 유지율은 모두 상승된다.
실시예 3 및 실시예 12-14로부터 알 수 있듯이, 반응 활성 그룹을 함유한 에틸렌 공중합체 화합제는 반응 활성 그룹을 함유하지 않는 에틸렌 공중합체 화합제에 비해, 용접선 강도 및 TS 유지율을 제고시킬 수 있으며, 반응 활성 그룹의 함량의 상승에 따라, 제품의 용접선 강도, TS 유지율은 상승된다.
실시예 10/23-26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분기율은 각 1000개의 탄소 원자에 20-100개의 측쇄의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실시예에서, 용접선 강도, TS 유지율이 비교적 높다.
실시예 8 및 비교예 3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폴리에틸렌의 용융 지수가 40g/10min(테스트 조건 230℃, 2.16kg)일 시, 제품의 용접선 강도는 대폭 하강되며, 용융 지수는 비교적 낮다.
실시예 1/15/16/17로부터 알 수 있듯이, 아크릴산의 에틸렌 공중합체를 화합제로 하는 제품의 각 항목의 성능들은 비교적 양호하다.

Claims (10)

  1. 고용접선 강도 폴리에틸렌/폴리카보네이트 합금에 있어서, 중량부에 따라 계산하면,
    폴리에틸렌 5-40 중량부;
    폴리카보네이트 40-85 중량부;
    에틸렌 공중합체 화합제 1-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용접선 강도 폴리에틸렌/폴리카보네이트 합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은 분기율이 각 1000개의 탄소 원자 중 5-300개 측쇄를 함유하는 폴리에틸렌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측쇄는 1-10개의 탄소 원자를 구비하며; 바람직하게, 분기율이 각 1000개의 탄소 원자 중 20-100개 측쇄를 함유하는 폴리에틸렌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측쇄는 1-10개의 탄소 원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용접선 강도 폴리에틸렌/폴리카보네이트 합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공중합체 화합제는 아크릴산의 에틸렌 공중합체,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스티렌 부타디엔 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 에틸렌 부타디엔 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 에틸렌 프로필렌 스티렌 공중합체 중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아크릴산의 에틸렌 공중합체는 에틸렌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 아크릴산 에틸 공중합체, 에틸렌 아크릴산 부틸 공중합체 중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용접선 강도 폴리카보네이트 합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공중합체 화합제는 아크릴산의 에틸렌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용접선 강도 폴리카보네이트 합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공중합체 화합제는 반응 활성 그룹이 함유된 에틸렌 공중합체 화합제로부터 선택되며, 에틸렌 공중합체는 아크릴산의 에틸렌 공중합체,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스티렌 부타디엔 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 에틸렌 부타디엔 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 에틸렌 프로필렌 스티렌 공중합체 중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되며, 반응 활성 그룹은, 무수마레인산 그룹, 에폭시 그룹 중의 적어도 한가지이며, 반응 활성 그룹의 접목률은 0.1-15%이며; 상기 아크릴산의 에틸렌 공중합체는 에틸렌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 아크릴산 에틸 공중합체, 에틸렌 아크릴산 부틸 공중합체 중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용접선 강도 폴리카보네이트 합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공중합체 화합제는 아크릴산의 에틸렌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용접선 강도 폴리카보네이트 합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방향족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폴리카보네이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8만-2.8만이며; 중량부로 계산하면, 0-10 중량부의 가공 보조제 및/또는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용접선 강도 폴리에틸렌/폴리카보네이트 합금.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용접선 강도 폴리에틸렌/폴리카보네이트 합금의 용접선 강도는 65% 이상이고, 용접선 강도 테스트는 ASTM D638 기준에 따라 테스트하며, 바람직하게, 상기 고용접선 강도 폴리에틸렌/폴리카보네이트 합금의 용접선 강도는 70%이상이며, 용접선 강도 테스트는 ASTM D638 기준에 따라 테스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용접선 강도 폴리에틸렌/폴리카보네이트 합금.
  9. 제 7 항의 고용접선 강도 폴리에틸렌/폴리카보네이트 합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에틸렌 공중합체 화합제, 가공 보조제 및/또는 첨가제를 비례에 따라 고속 믹서기에서 균일하게 혼합하고; 그 후 이축 압출기에 추가하여 220℃-240℃의 온도에서 용융 혼합을 진행한 후 조립, 냉각, 건조하여 고용접선 강도 폴리카보네이트 합금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용접선 강도 폴리카보네이트 합금의 제조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의 용융 지수는 40g/10min-150g/10min보다 크고, 테스트 조건은 230℃, 2.16kg이며; 바람직하게, 상기 폴리올레핀의 용융 지수는 60g/10min-150g/10min보다 크고, 테스트 조건은 230℃, 2.16kg이며; 상기 에틸렌 공중합체 화합제의 용융 지수는 0.2g/10min-50g/10min, 테스트 조건은 190℃, 2.16kg이며; 바람직하게, 상기 에틸렌 공중합체 화합제의 용융 지수는 0.4g/10min-35g/10min 이상이며, 테스트 조건은 190℃, 2.16k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용접선 강도 폴리카보네이트 합금의 제조 방법.
KR1020217016373A 2018-11-13 2019-10-30 고용접선 강도 폴리에틸렌/폴리카보네이트 합금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0833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1348967.3 2018-11-13
CN201811348967.3A CN109535682B (zh) 2018-11-13 2018-11-13 一种高熔接线强度聚乙烯/聚碳酸酯合金及其制备方法
PCT/CN2019/114376 WO2020098496A1 (zh) 2018-11-13 2019-10-30 一种高熔接线强度聚乙烯/聚碳酸酯合金及其制备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324A true KR20210083324A (ko) 2021-07-06

Family

ID=65847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6373A KR20210083324A (ko) 2018-11-13 2019-10-30 고용접선 강도 폴리에틸렌/폴리카보네이트 합금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403706A1 (ko)
EP (1) EP3868829A4 (ko)
JP (1) JP2022507323A (ko)
KR (1) KR20210083324A (ko)
CN (1) CN109535682B (ko)
WO (1) WO20200984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35682B (zh) * 2018-11-13 2021-04-06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熔接线强度聚乙烯/聚碳酸酯合金及其制备方法
CN111662486A (zh) * 2020-07-10 2020-09-15 上海叶心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生物基降解材料提高拉伸强度的方法
CN112143198A (zh) * 2020-09-18 2020-12-29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聚碳酸酯合金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6178829B (zh) * 2022-12-28 2024-04-30 上海云开塑胶制品有限公司 一种收缩率稳定的单向聚乙烯收缩膜及其制备方法
CN116003892A (zh) * 2022-12-28 2023-04-25 武汉金发科技有限公司 一种高力学和高耐环境应力开裂性能的聚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01369A (en) * 1961-05-29 1965-08-17 Allied Chem Heat stable polycarbonates containing metal salts of oxyacids of phosphorus
EP0106097B1 (en) * 1982-09-23 1987-05-13 General Electric Company Polycarbonate resin mixtures
US4563502A (en) * 1982-09-23 1986-01-07 General Electric Company Composition
US4522980A (en) * 1982-12-27 1985-06-11 General Electric Company Impact modified copolyester carbonate compositions
US4481331A (en) * 1983-03-22 1984-11-06 Gen Electric Polycarbonate resin mixture
JPS61252268A (ja) * 1985-05-02 1986-11-10 Toray Ind Inc ポリカ−ボネ−ト組成物
US5552480A (en) * 1992-02-28 1996-09-03 Idemitsu Petrochemical Co.,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US6221928B1 (en) * 1996-11-15 2001-04-24 Sentinel Products Corp. Polymer articles including maleic anhydride
BR9713408A (pt) * 1996-11-27 2000-01-25 Dow Chemical Co Composição de mistura de polìmeros.
JP2000017120A (ja) * 1998-07-01 2000-01-18 Mitsubishi Eng Plast Corp 熱可塑性樹脂組成物
FR2807440A1 (fr) * 2000-04-06 2001-10-12 Centre Nat Rech Scient Materiaux micro-composites polymere/polymere et procede pour leur preparation
JP4450557B2 (ja) * 2003-01-29 2010-04-14 三菱エンジニアリング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導電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CN104059346A (zh) * 2013-03-19 2014-09-24 苏州宇度医疗器械有限责任公司 白色阻燃聚碳酸酯复合材料的制备方法
CN104140661A (zh) * 2013-05-08 2014-11-12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聚碳酸酯/聚乙烯增容共混材料及其制备方法
US9346951B2 (en) * 2014-01-20 2016-05-24 Sk Innovation Co., Ltd. Polyalkylene carbonate resin composition
JP6519271B2 (ja) * 2015-03-30 2019-05-29 日本ポリエチレン株式会社 オレフィン系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
CN107735453B (zh) * 2015-08-21 2019-12-27 帝人株式会社 聚碳酸酯树脂组合物
CN106467651A (zh) * 2016-10-13 2017-03-01 上海中镭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薄壁制品的pc‑abs合金及其制备方法
CN106554610A (zh) * 2016-11-30 2017-04-05 四川锦泰佳环保建材有限公司 一种pc‑pe合金及其制备方法
CN106674961A (zh) * 2016-12-14 2017-05-17 上海锦湖日丽塑料有限公司 高喷漆良率滑石粉填充pc/pbt合金材料及其制备方法
CN107868425A (zh) * 2017-10-12 2018-04-03 杭州师范大学 一种高性能聚甲基乙撑碳酸酯材料及其制备方法
CN107903604A (zh) * 2017-12-12 2018-04-13 天津金发新材料有限公司 一种新型耐溶剂低密度的pc组合物
CN108047532A (zh) * 2017-12-12 2018-05-18 吴江市强塑阀门管件厂 一种传热管弹性密封圈的制备方法
CN109535682B (zh) * 2018-11-13 2021-04-06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熔接线强度聚乙烯/聚碳酸酯合金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98496A1 (zh) 2020-05-22
CN109535682A (zh) 2019-03-29
US20210403706A1 (en) 2021-12-30
EP3868829A4 (en) 2021-12-01
EP3868829A1 (en) 2021-08-25
JP2022507323A (ja) 2022-01-18
CN109535682B (zh) 202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83324A (ko) 고용접선 강도 폴리에틸렌/폴리카보네이트 합금 및 그 제조 방법
KR102534707B1 (ko) 고용접선 강도 폴리프로필렌/폴리카보네이트 합금 및 그 제조 방법
CN103059785B (zh) 一种耐热型透明聚烯烃热熔胶及其制备方法
US5346963A (en) Graft-modified, substantially linear ethylene polymers and methods for their use
CN101423733B (zh) 一种pp-r铝塑稳态管用透明热熔胶粘剂的制备方法
WO2020088333A1 (zh) 发热电缆用硅烷交联聚乙烯绝缘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3066141A (zh) 一种改性聚丙烯树脂组合物及由其制造的太阳能背板
CN109401643A (zh) 一种具有高粘接力钢带增强聚乙烯螺旋波纹管专用粘接树脂材料及其制备方法
CN108329564A (zh) 一种高阻隔聚乙烯材料及其制备方法
CN109880558B (zh) 锂电池软包材料用粘结树脂组合物的制备方法
CN101434681B (zh) 一种高熔体强度聚丙烯树脂及制备方法
US5250349A (en) Retortable packaging laminate structure with adhesive layer
CN101717474B (zh) 一种用于制备聚丙烯类热熔胶的胶粘剂母料及其制备方法
CN112812421B (zh) 一种改性聚烯烃复合物及其制备工艺与应用
CN112574699B (zh) 一种热复合膜用pet乙烯类热熔胶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8676309A (zh) 一种新能源汽车电池外壳专用阻燃asa材料及其制备方法
CN111303604B (zh) 一种聚碳酸酯/聚对苯二甲酸乙二醇-1,4-环己烷二甲醇酯合金材料及其制备方法
CN103044750A (zh) 双重改性制备中压抗水树聚乙烯绝缘料
CN114085453A (zh) 一种导热聚丙烯合金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9762108B (zh) 环保型永久性聚烯烃阻燃电缆料及其制备方法
CN115260945B (zh) 一种聚丙烯粘合树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073888B1 (ko) Evoh 압출용 블렌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3831635B (zh) 一种耐候玻纤增强聚丙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7312289A (zh) 一种适合超声波焊接的abs改性树脂及其制备方法
EP0390108B1 (en) Film of mixture of 4-methyl-1-pentene polymer and phenylene sulfide polym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