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3253A - 주출 스파우트 - Google Patents

주출 스파우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3253A
KR20210083253A KR1020217010197A KR20217010197A KR20210083253A KR 20210083253 A KR20210083253 A KR 20210083253A KR 1020217010197 A KR1020217010197 A KR 1020217010197A KR 20217010197 A KR20217010197 A KR 20217010197A KR 20210083253 A KR20210083253 A KR 202100832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ring spout
container
pouring
refill container
spo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0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쓰타로 오노
Original Assignee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83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32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38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wrappers disposed one inside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72Non-integral spouts
    • B65D75/5883Non-integral spouts connected to the package at the sealed junction of two packag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6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removable spouts which can be plugged in a discharging and in a clos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57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made separately from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76Hinges without elastic bias
    • B65D47/089Hinges without elastic bias located within a flat surface of the base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25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25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t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2547/063Details of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2575/52Details
    • B65D25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2575/586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with means for reclo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Abstract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리필 용기의 주출 스파우트에 포장 용기의 노즐을 정확하게 삽입시킬 수 있는 주출 스파우트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내용물을 포장 용기에 주입하기 위한 리필 용기(1)에 설치되고, 리필 용기(1)에 수용된 내용물을 주출하기 위한 주출 스파우트(10)로서, 리필 용기의 백 본체부에 맞붙이는 피접합부(11)와, 내용물을 주출하는 통형부(12)와, 피접합부(11)와 통형부(12)의 경계에서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플랜지부(13)와, 내용물을 리필 용기의 내부로부터 외부에 통하게 하기 위한 유로(14)와, 유로(14)를 개폐하기 위한 폐쇄 부재(20)를 적어도 구비하고, 플랜지부(13)의 수평 방향에서의 가장 이격한 양 단부가, 포장 용기를 구성하는 주출 유닛의 주벽부의 대향하는 부위로부터 약간 외측에 비어져 나와 있는, 주출 스파우트에 의해 과제를 해결한다.

Description

주출 스파우트
본 발명은, 주출(注出) 스파우트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플랜지부의 형태에 특징을 가지는, 리필 용기의 주출 스파우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포장 용기에 내용물을 보충하거나, 충전하거나 하기 위한 리필 용기가 있다. 이러한 리필 용기에는, 내용물을 주출하기 위한 주출 스파우트가 장착되어 있다. 주출 스파우트의 형태는 다양한 것이 있고, 통형을 이루는 주입구의 기단부(基端部)에 플랜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형태나 플랜지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형태 등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서 제안되고 있는 주출 스파우트는, 통형의 주입구의 기단부에 플랜지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주출 스파우트는, 거꾸로 한 가요성백(bag)의 스파우트를 반복하여 사용 용기의 입구부에 맞추어 압입(押入)할 때, 스파우트의 부분을 끼어 쥐는 손 끝으로 스파우트를 밀어내리기 쉽게 하고, 스파우트에서의 상기 폐쇄판의 개방 조작이 원활하게 행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효과를 얻기 위하여, 동(同)문헌에서 제안되고 있는 주출 스파우트는, 스파우트의 백 내측 통부와 백 외측 통부 사이의 플랜지부에, 가요성 백의 백 포장재의 중첩 방향을 따른 방향에서 상대하는 단부(端部) 각각을 바깥쪽을 향하여 연장하여, 백 내측 통부측의 한쪽 면에 손가락을 올릴 수 있는 돌출부를 설치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15-13655호 공보
특허문헌 1에서 제안되고 있는 주출 스파우트는, 플랜지부가 주출 스파우트의 중심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크게 돌출되어 있다. 그러므로, 플랜지부를 손 끝으로 압입할 때, 한쪽의 손가락 끝이 주입구의 가장 가까운 곳을 압입하고, 다른 쪽의 손가락 끝이 플랜지부의 외주부의 근방을 압입하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 리필 용기가 기울어져 버리고, 리필 용기의 주출 스파우트에 포장 용기의 노즐을 정확하게 삽입시킬 수 없다. 그 결과, 리필 용기의 내용물이 흘러내려 버린다는 사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리필 용기의 주출 스파우트에 포장 용기의 노즐을 정확하게 삽입시킬 수 있는 주출 스파우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한 주출 스파우트는, 내용물을 포장 용기에 주입하기 위한 리필 용기에 설치되고, 상기 리필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을 주출하기 위한 주출 스파우트로서, 상기 리필 용기를 구성하는 백 본체부에 맞붙이는 피접합부와, 상기 내용물을 주출하는 통형부와, 상기 피접합부와 상기 통형부의 경계부에서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내용물을 상기 리필 용기의 내부로부터 외부에 통하게 하기 위한 유로와, 상기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폐쇄 부재를 적어도 구비하고, 상기 포장 용기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주출하기 위한 주출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주출 유닛은, 내용물을 주출하는 노즐과, 상기 노즐의 주위를 둘러싸는 주벽부(周壁部)를 가지고, 상기 플랜지부의 수평 방향에서의 가장 이격한 양 단부가, 상기 주벽부의 대향하는 부위로부터 약간 외측으로 비어져 나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랜지부의 수평 방향에서의 가장 이격한 양 단부가, 주벽부의 대향하는 부위로부터 약간 외측으로 비어져 나와 있으므로, 통형부의 양측에 대어지는 손가락의 중심으로부터의 위치가 같거나 대략 같게 된다. 그러므로, 통형부의 양측에 대어진 손가락으로 주출 스파우트를 압입하는 힘을 같거나 대략 같게 할 수 있다. 가령, 통형부의 양측에 대어진 손가락으로 주출 스파우트를 압입하는 힘이 달랐다고 해도, 통형부의 근방을 압입하고 있으므로, 리필 용기가 기울어져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므로, 포장 용기의 노즐을 정확하게 주출 스파우트의 유로에 삽입할 수 있고, 리필 용기의 내용물을 흘리지 않고 포장 용기에 주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주출 스파우트에 있어서, 상기 피접합부는, 직교하는 2방향 중, 한쪽의 방향에서는, 상기 접합부의 상기 한쪽의 방향에서의 중심으로부터 양측을 향하여 끝이 가늘게 형성되고, 다른 쪽의 방향에서는, 외형이 원호형을 이루어 외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피접합부에서의 직교하는 2방향 중, 한쪽의 방향에서는, 접합부의 상기 한쪽의 방향에서의 중심으로부터 양측을 향하여 끝이 가늘게 형성되고, 다른 쪽의 방향에서는, 외형이 원호형을 이루어 외측으로 돌출하고 있으므로, 주출 스파우트와 백 본체부가 맞붙는 부위에 있어서, 주출 스파우트의 유로를 확보할 수 있다. 그러므로, 리필 용기로부터 포장 용기에 내용물을 원활하게 옮겨 담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주출 스파우트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의 외형이 원형, 타원형, 다각형 또는 이들의 조합 형상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랜지부의 외형이 원형, 타원형, 다각형 또는 이들의 조합 형상을 이루고 있으므로, 개개의 리필 용기에 따른 디자인의 플랜지부를 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주출 스파우트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통형부의 주위에서 원호형을 이루어 외측으로 돌출되는 원호부와, 상기 한쪽의 방향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에서의 상기 다른 쪽의 방향의 치수가 상기 통형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술한 2방향 중 한쪽의 방향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돌출부에서의 다른 쪽의 방향의 치수가 통형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손가락을 대는 플랜지부의 위치가 한정된다. 그 결과, 플랜지부를 압입하여, 포장 용기의 노즐을 유로에 삽입시킬 때, 리필 용기의 체세를 유지시키고, 기우는 것을 억제하고, 보다 정확하게 삽입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리필 용기의 주출 스파우트에 포장 용기의 노즐을 정확하게 삽입시킬 수 있는 주출 스파우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본 발명에 관한 주출 스파우트가 사용되고 있는 리필용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2] 본 발명에 관한 주출 스파우트를 측방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3] 제1 실시형태의 주출 스파우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사시도, (B)는 평면도이다.
[도 4] 제2 실시형태의 주출 스파우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사시도, (B)는 평면도이다.
[도 5] 제3 실시형태의 주출 스파우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사시도, (B)는 평면도이다.
[도 6] 리필용 용기로부터 내용물이 보충되는 포장 용기의 측면도이다.
[도 7] 주출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8] 주출 스파우트를 주출 유닛을 향하여 압입하는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9] 주출 스파우트의 유로에 노즐이 삽입되는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 및 도면에 기재한 형태와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발명을 포함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형태의 기재나 도면의 기재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기본 구성]
본 발명에 관한 주출 스파우트(10)는, 내용물을 포장 용기(30)에 주입하기 위한 리필 용기(1)에 설치되고, 리필 용기(1)에 수용된 내용물을 주출하기 위한 주출 스파우트(10)이다. 주출 스파우트(10)는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접합부(11), 통형부(12), 플랜지부(13), 유로(14), 및 폐쇄 부재(20)를 적어도 구비하고 있다. 피접합부(11)는 리필 용기(1)를 구성하는 백 본체부(5)에 맞붙이는 부위이다. 통형부(12)는 내용물을 주출하기 위한 부위이다. 플랜지부(13)는, 피접합부(11)와 통형부(12)의 경계부에서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부위이다. 유로(14)는 내용물을 리필 용기(1)의 내부로부터 외부에 통하게 하기 위한 부위이다. 그리고, 폐쇄 부재(20)는 유로(14)를 개폐하기 위한 구성 요소이다.
한편, 포장 용기(30)는 용기 본체(31)와, 용기 본체(31)에 수용된 내용물을 주출하기 위한 주출 유닛(40)을 구비하고 있다. 주출 유닛(40)은 내용물을 주출하는 노즐(43)과, 노즐(43)의 주위를 둘러싸는 주벽부(42)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플랜지부(13)의 수평 방향에서의 가장 이격한 양 단부가, 주벽부(42)의 대향하는 부위로부터 약간 외측으로 비어져 나와 있다.
「약간 외측으로 비어져 나와 있는」이란, 주벽부(42)의 대향하는 부위로부터 크게 돌출되어 있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플랜지부(13)의 수평 방향에서의 가장 이격한 양 단부는, 주벽부(42)의 대향하는 부위로부터 3㎜ 이상, 15㎜ 이하의 범위만큼 외측에 위치한다(한쪽의 비어져 나온 양임).
본 발명에 관한 주출 스파우트(10)에 의하면, 리필 용기(1)의 주출 스파우트(10)에 포장 용기(30)의 노즐(43)을 정확하게 삽입시킬 수 있고, 또한, 폐쇄 부재를 개봉하기 위해 효율적으로 플랜지에 압압(押壓)을 가할 수 있는 주출 스파우트(10)를 제공할 수 있다는 특유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주출 스파우트(10)가 사용되는 리필 용기(1)의 개요, 주출 스파우트(10)의 구체적인 구성, 리필 용기(1)에 수용된 내용물이 보충되어 사용되는 포장 용기(30)의 개요, 및 주출 스파우트(1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주출 스파우트가 사용되는 리필 용기]
본 발명에 관한 주출 스파우트(10)가 사용되는 리필 용기(1)는, 리필 용기(1)와는 별도로 사용되는 포장 용기(30)에 내용물을 보충하기 위한 용기로서 주로 사용된다. 리필 용기(1)의 형태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에는, 리필 용기(1)의 일례로서의 스탠딩 파우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 리필 용기(1)는, 대향하는 한 쌍의 평면부(2)와, 리필 용기(1)의 바닥부를 닫고 있는 바닥면부(3)와, 본 발명에 관한 주출 스파우트(10)를 가지고 있다.
평면부(2)는, 상단(上端) 에지끼리가 밀봉되고, 또한 양 측단(側端) 에지끼리가 밀봉되어 있다. 한 쌍의 평면부(2)의 하단(下端) 에지는, 바닥면부(3)에서의 각 평면부(2)의 하단 에지에 대향하는 끝에지부에 각각 밀봉되어 있다. 바닥면부(3)는, 중심의 접은 금(4)에서 둘로 접혀 있고, 접은 금(4)이 리필 용기(1)의 상측을 향하여 접어넣어져 있다. 바닥면부(3)는, 접어넣어진 형태로부터 리필 용기(1)의 평면부(2)가 배치되어 있는 방향으로 방향으로 넓어짐으로써, 리필 용기(1)의 바닥부를 넓힐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주출 스파우트(10)는, 리필 용기(1)의 상측 에지에 장착되어 있다. 주출 스파우트(10)는, 스파우트 본체(10a)와 주출 스파우트(10)의 통형부(12)를 개폐시키는 캡(11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출 스파우트(10)가 리필 용기(1)의 상부 중앙에 장착된 경우를 일례로서 들고 있다. 다만, 특별히 도면에는 나타내고 있지 않지만, 주출 스파우트(10)가 리필 용기(1)의 상부에 있어서, 폭 방향의 측부로 벗어난 위치에 설치해도 된다. 또한, 리필 용기(1)에 상단 에지와 측단 에지가 비스듬히 경사지는 경사부에 의해 연락된 부위를 형성하고, 경사부에 주출 스파우트(10)를 장착해도 된다.
리필 용기(1)는, 이 리필 용기(1)와는 별도로 준비된 포장 용기(30)(도 6을 참조)에 옮겨 담기 위한 용기로서 사용된다. 내용물을 포장 용기(30)에 옮겨 담는 경우에는, 주출 스파우트(10)를 닫고 있는 캡(110)을 분리하고, 리필 용기(1)의 상하를 거꾸로 한다. 그리고, 주출 스파우트(10)를 포장 용기(30)의 주출 유닛(40)에 찌르고, 리필 용기(1)로부터 직접 내용물을 포장 용기(30)에 옮겨 담는다. 그리고, 이 작용은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주출 스파우트의 제1 실시형태]
제1 실시형태의 주출 스파우트(1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13A)의 외경(外徑)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주출 스파우트(10)는 통형부(12), 플랜지부(13A), 피접합부(11) 및 폐쇄 부재(2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통형부(12) 및 피접합부(11)의 내부에는 유로(14)가 형성되어 있고, 유로(14)를 통하여 내용물을 외부에 주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통형부(12)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리필 용기(1)의 내용물을 외부에 주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통형부(12)의 내측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유로(14)가 축 방향 L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통형부(12)의 외주면에는 나사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이 나사부(18)는, 통형부(12)를 폐쇄하기 위한 캡(110) 내의 나사산과 걸어맞추어져 캡(110)이 비틀어 넣어지는 부위이다. 통형부(12)의 내부의 유로(14)에는, 가이드(19)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19)는, 주출 유닛(40)의 노즐(43)에 형성된 슬릿을 끼워 넣게 하고, 노즐을 축 방향 L에 안내하기 위한 구성부이다.
피접합부(11)는, 리필 용기(1)의 백 본체부(5)에 맞붙이는 부위로서, 외형이 배 모양을 이루고 있다. 즉, 피접합부(11)의 양 측면은, 직교하는 2방향 중, 한쪽의 방향인 X 방향의 중심부에서 다른 쪽의 방향인 Y 방향으로 반원형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6)를 가지고, X 방향의 양 단부는, 양단측을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고, 양 측면이 X 방향의 양 단부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돌출부(16)의 각 측면부에는, X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돌기부(17)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17)는, 통형부(12)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고, 플랜지부(13A)의 외주 에지의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돌기부(17)끼리의 사이는 공간이다. 이 돌기부(17)는, 백 본체부(5)에 대하여, 주출 스파우트(10)를 맞붙이기 쉽게 하기 위한 구성부이다.
폐쇄 부재(20)는, 유로(14)를 개폐하기 위한 구성 요소로서, 원반형을 이루고 있다. 폐쇄 부재(20)는, 통형부(12)의 축 방향 L의 일단 A측의 제1 면(21), 즉, 피접합부(11)측에서 유로(14)의 내측에 끼워넣어지는 것에 의해, 유로(14)를 폐쇄한다. 한편, 유로(14)를 폐쇄하고 있는 폐쇄 부재(20)는, 통형부(12)의 축 방향 L의 일단 A측의 제1 면(21)과는 반대측의 타단 B측의 제2 면으로부터 일단 A측을 향하여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유로(14)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폐쇄 부재(20)의 직경은, 유로(14)의 내경과 같거나 또는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폐쇄 부재(20)는, 연결 부재(23)에 의해 스파우트 본체(10a)에 연결되어 있다. 연결 부재(23)는 수지로 구성되어 있고, 가늘고 긴 끈형 또는 띠형을 이루고 있다.
플랜지부(13A)는, 주출 스파우트(10)의 유로(14)에 포장 용기(30)를 구성하는 주출 유닛(40)의 노즐(43)을 삽입할 때, 손가락을 대어, 리필 용기(1)를 포장 용기(30)에 압입할 때 이용하는 부위이다. 제1 실시형태의 플랜지부(13A)는, 그 외형이 원형을 이루고 있다. 플랜지부(13A)의 외형이 원형을 이루고 있으므로, 통형부(12)를 사이에 둔, 플랜지부(13A)의 양측이라면 어느 위치라도, 손가락을 대어 압입할 수 있도록, 플랜지부(13A)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플랜지부(13A)의 형상은 원형인 것에는 한정되지 않고, 타원형으로 형성해도 된다. 타원형으로 형성한 경우, 장축 방향은 X 방향에 일치시키고, 단축 방향은 Y 방향에 일치시킨다.
[주출 스파우트의 제2 실시형태]
제2 실시형태의 주출 스파우트(10)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13B)의 외경이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주출 스파우트(10)는 통형부(12), 플랜지부(13B), 피접합부(11) 및 폐쇄 부재(2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통형부(12) 및 피접합부(11)의 내부에는 유로(14)가 형성되어 있고, 유로(14)를 통하여 내용물을 외부에 주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실시형태의 주출 스파우트(10)의 구성은, 플랜지부(13B)의 형상이 상이할 뿐이며, 제1 실시형태의 주출 스파우트(10)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므로, 플랜지부(13B)의 구성 이외의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실시형태의 플랜지부(13B)는, 그 외형이 다각형을 이루고 있다. 도 4에 나타낸 예에서는, 플랜지부(13B)의 외형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13B)의 장축 방향은 X 방향에 일치하고, 플랜지부(13B)의 단축 방향은 Y 방향에 일치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낸 직사각형의 플랜지부(13B)에서는, X 방향에 있어서, 통형부(12)를 사이에 둔 플랜지부(13B)의 양측에 손가락을 대고, 플랜지부(13B)를 압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실시형태의 플랜지부(13B)의 외형은 직사각형인 것에는 한정되지 않고, 삼각형, 정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 다각형이라면, 그 형상에 한정은 없다. 플랜지부(13B)의 외형은, 리필 용기(1)의 기능이나 디자인 등에 따라서, 자유롭게 형성할 수 있다.
[주출 스파우트의 제3 실시형태]
제3 실시형태의 플랜지부(13C)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형부(12)의 주위에서 원호형을 이루어 외측으로 돌출되는 원호부(113)와, 한쪽의 방향인 X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직사각형부(213)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직사각형부(213)는, 다른 쪽의 방향인 Y 방향의 치수가 통형부(12)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원호부(113)는, 통형부(12)에서의 Y 방향의 양측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하여, 외측을 향하여 원호형으로 돌출되어 있다. 한편, 직사각형부(213)는 외형이 직사각형을 이루고 있고, X 방향을 향하여 통형부(12)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직사각형부(213)의 폭, 즉 Y 방향의 치수는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형부(12)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제3 실시형태의 주출 스파우트(10)는, 플랜지부(13C)가, 제1 실시형태의 주출 스파우트(10) 및 제2 실시형태의 주출 스파우트(10)에 비하여 면적이 작고, 또한 통형부(12)에 의해 가까운 영역에만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손가락을 대는 위치가 통형부(12)에 가까운 위치에 한정된다. 그 결과, 리필 용기(1)를 포장 용기(30)의 주출 유닛(40)을 향하여 압입할 때, X 방향에 있어서, 통형부(12)의 한쪽의 편측에 댄 손가락으로 압입하는 힘과, 다른 쪽의 편측에 댄 손가락으로 압입하는 힘이 달랐던 경우라도, 리필 용기(1)의 경사를 극력 억제할 수 있고, 포장 용기(30)가 구비하는 주출 유닛(40)의 노즐(43)을 유로(14) 내에 삽입시킬 수 있다.
이상, 제1 실시형태, 제2 실시형태, 제3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주출 스파우트(10)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에틸렌비닐 공중합체, 폴리염화비닐 등의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다만, 주출 스파우트(10)는 성형 가공 가능한 것이면 재료의 제한은 없다. 또한, 수지의 원료로서는 석유 유래, 식물 유래, 이들의 공중합, 혼합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포장 용기]
포장 용기(30)는, 리필 용기(1)에 수용된 내용물이 보충되어 사용되는 용기이다. 포장 용기(30)는 예를 들면 수지 등으로 구성된다. 도 6은, 포장 용기(30)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에 나타낸 포장 용기(30)는, 손잡이(32)가 설치된 용기 본체(31)와, 용기 본체(31)에 수용된 내용물을 주출하기 위한 주출 유닛(4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포장 용기(30)는, 리필 용기(1)로부터 옮겨진 내용물을 필요할 때 필요한 양만큼 포장 용기(30)로부터 꺼내서 사용할 수 있다.
포장 용기(30)의 주출 유닛(40)은, 본체부(41)와 본체부(41)를 개폐하기 위한 캡(49)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본체부(41)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벽부(42)와 이 주벽부(42)의 내측에 배치된 노즐(43)을 구비하고 있다. 주벽부(42)는 통형을 이루고, 내측은 공동(空洞)으로 되어 있다.
노즐(43)은 본체부(41)의 중앙 또는 대략 중앙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노즐(43)은 주벽부(42)와 연결되어 있고 주벽부(42)와 일체를 이루고 있다. 노즐(43)에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노즐(43)은 본체부(41)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돌출하고, 그 선단이, 주벽부(42)의 상단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7은, 노즐(43)의 형상의 하나의 예를 나타내고 있고, 노즐(43)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내용물 보충의 순서 및 주출 스파우트의 작용]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리필 용기(1)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을 포장 용기(30)에 보충하는 순서와, 본 실시형태의 주출 스파우트(1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도 8은, 리필 용기(1)의 주출 스파우트(10)와 포장 용기(30)의 주출 유닛(40)만을 나타내고, 도 9는, 주출 스파우트(10)의 작용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리필 용기(1) 및 포장 용기(30)의 용기 본체(31)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다. 다만, 주출 스파우트(10)는, 도 1에 나타낸 리필 용기(1)에 장착되고, 주출 유닛(40)은 도 6에 나타낸 포장 용기(30)에 설치된 도 7에 나타내는 주출 유닛(40)이다.
먼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출 스파우트(10)로부터 캡(110)을 분리하고, 리필 용기(1)의 상하를 반대로 하여, 리필 용기(1)의 하측에 주출 스파우트(10)를 위치시킨다. 주출 스파우트(10)의 유로(14)는, 폐쇄 부재(20)에 의해 닫혀 있으므로, 리필 용기(1)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이 흘러나오는 일은 없다.
다음으로, 도 8 및 도 9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출 스파우트(10)를, 캡(49)이 분리된 포장 용기(30)의 주출 유닛(40)의 위치에 일치시키고, 주출 유닛(40)의 노즐(43)을 주출 스파우트(10)의 유로(14)에 삽입시킨다. 즉, 주출 스파우트(10)를 구성하는 통형부(12)의 내측에 구성된 유로(14)에 주출 유닛(40)의 노즐(43)을 삽입시킨다. 그 때,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형부(12)의 양측에 위치하는 플랜지부(13)에 손가락을 대고, 플랜지부(13)를 주출 유닛(40)을 향하여 압입한다.
이어서, 통형부(12)에 노즐(43)을 삽입시킨 상태에서 주출 스파우트(10)를 주출 유닛(40) 측으로 더욱 밀어내린다. 주출 스파우트(10)를 밀어내리면, 노즐(43)의 슬릿이 주출 스파우트(10)의 가이드(19)를 끼워넣고, 노즐(43)이 축 방향 L로 안내된다. 그리고, 축 방향 L로 안내된 노즐(43)의 선단이 폐쇄 부재(20)를 밀어올린다. 그 결과, 도 9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폐쇄 부재(20)가 통형부(12)의 내측을 구성하고 있는 유로(14)로부터 분리된다. 즉, 폐쇄 부재(20)는, 통형부(12)의 축 방향 L에서의 일단 A측(피접합부(11)가 설치된 단부측)과는 반대측의 타단 B측(원통 주출부의 선단측)으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통형부(12)의 내주면(內周面)으로부터 분리된다. 이 때, 폐쇄 부재(20)는, 스파우트 본체(10a)와는 별체로서 구성되어 있고, 또한, 통형부(12)를 구성하는 유로(14)에 끼워넣어지는 것에 의해 유로(14)를 닫고 있을 뿐이므로, 노즐(43)이 폐쇄 부재(20) 그 자체를 파괴해 버리는 일이 없고, 원활하게 유로(14)로부터 분리된다. 그러므로, 파편이 발생하지 않고, 포장 용기(30)에 내용물만이 옮겨진다.
또한, 도 9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43)이 통형부(12)의 내부에 삽입되고, 폐쇄 부재(20)가 스파우트 본체(10a)로부터 떼어졌을 때, 통형 주출체의 선단부가 노즐(43)의 외주면에 접촉한다. 그러므로, 리필 용기(1)로부터 주출된 내용물은, 노즐(43)의 외측으로 누출되지 않고, 노즐(43)을 통하여 포장 용기(30)에 옮겨진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하면, (1) 통형부(12)를 사이에 둔, 플랜지부(13)의 양측이면, 어느 위치라도, 손가락을 대어 압입할 수 있고, (2) 플랜지부(13)의 외형은, 리필 용기(1)의 기능이나 디자인 등에 따라서, 자유롭게 형성할 수 있고, (3) 리필 용기(1)의 경사를 극력 억제할 수 있고, 포장 용기(30)가 구비하는 주출 유닛(40)의 노즐(43)을 유로(14) 내에 삽입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 결과, 리필 용기(1)의 주출 스파우트(10)에 포장 용기(30)의 노즐(43)을 정확하게 삽입시킬 수 있는 주출 스파우트(10)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1 : 리필 용기
2 : 평면부
3 : 바닥면부
4 : 접은 금
5 : 자루 본체부
10 : 주출 스파우트
10a : 스파우트 본체
11 : 피접합부
12 : 통형부
13, 13A, 13B, 13C : 플랜지부
14 : 유로
16 : 돌출부
17 : 돌기부
18 : 나사부
19 : 가이드
20 : 폐쇄 부재
21 : 제1 면
22 : 제2 면
23 : 연결 부재
30 : 포장 용기
31 : 용기 본체
32 : 손잡이
40 : 주출 유닛
41 : 본체부
42 : 주벽부
43 : 노즐
49 : 캡
110 : 캡
113 : 원호부
213 : 직사각형부

Claims (4)

  1. 내용물을 포장 용기에 주입하기 위한 리필 용기에 설치되고, 상기 리필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을 주출(注出)하기 위한 주출 스파우트로서,
    상기 리필 용기를 구성하는 백(bag) 본체부에 맞붙이는 피접합부; 상기 내용물을 주출하는 통형부; 상기 피접합부와 상기 통형부의 경계부에서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플랜지부; 상기 내용물을 상기 리필 용기의 내부로부터 외부에 통하게 하기 위한 유로; 및 상기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폐쇄 부재를 적어도 구비하고,
    상기 포장 용기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주출하기 위한 주출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주출 유닛은, 내용물을 주출하는 노즐과, 상기 노즐의 주위를 둘러싸는 주벽부(周壁部)를 가지고,
    상기 플랜지부의 수평 방향에서의 가장 이격한 양 단부(端部)가, 상기 주벽부의 대향하는 부위로부터 약간 외측으로 비어져 나와 있는,
    주출 스파우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접합부는, 직교하는 2방향 중, 한쪽의 방향에서는, 상기 접합부의 상기 한쪽의 방향에서의 중심으로부터 양측을 향하여 끝이 가늘게 형성되고, 다른 쪽의 방향에서는, 외형이 원호형을 이루어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주출 스파우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의 외형이, 원형, 타원형, 다각형 또는 이들의 조합 형상인, 주출 스파우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통형부의 주위에서 원호형을 이루어 외측으로 돌출되는 원호부와, 상기 한쪽의 방향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에서의 상기 다른 쪽의 방향의 치수가 상기 통형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는, 주출 스파우트.
KR1020217010197A 2018-10-30 2019-10-24 주출 스파우트 KR202100832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203604A JP7174593B2 (ja) 2018-10-30 2018-10-30 注出スパウト及び詰め替え容器から包装容器への内容物補充方法
JPJP-P-2018-203604 2018-10-30
PCT/JP2019/041728 WO2020090620A1 (ja) 2018-10-30 2019-10-24 注出スパウ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253A true KR20210083253A (ko) 2021-07-06

Family

ID=70464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0197A KR20210083253A (ko) 2018-10-30 2019-10-24 주출 스파우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623807B2 (ko)
EP (1) EP3875389A4 (ko)
JP (1) JP7174593B2 (ko)
KR (1) KR20210083253A (ko)
CN (1) CN112955382B (ko)
SG (1) SG11202104286WA (ko)
WO (1) WO20200906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76869B2 (ja) * 2021-11-22 2024-05-01 東洋製罐株式会社 スパウト付きパウチ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13655A (ja) 2013-07-03 2015-01-22 凸版印刷株式会社 スパウトとこのスパウトを取り付けたスタンディングパウチ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509118U1 (de) * 1995-06-02 1995-08-17 Georg Menshen Gmbh & Co Kg Kunststoff-Ausgießeinschweißteil für Kunststoff-Behälter
NL1006636C2 (nl) * 1997-07-21 1999-01-25 Itsac Nv Verbindingssamenstel voor een fluïdumverbinding.
NL1011960C2 (nl) * 1999-05-04 2000-11-07 Itsac Nv Houder, in het bijzonder een flexibele houder, met een afsluitbare opening en werkwijze voor het vullen van een dergelijke houder.
US6612466B1 (en) * 2000-08-21 2003-09-02 Illinois Tool Works Inc. Thin wall fitment for spouted pouch
US6860406B2 (en) * 2001-08-13 2005-03-01 Illinois Tool Works Inc. Flexible pouch fitment structure
EP1581432A2 (en) * 2001-09-10 2005-10-05 Jung-Min Lee Spout assembly
JP4352671B2 (ja) * 2002-09-06 2009-10-28 東洋製罐株式会社 手放し詰め替え容器
JP4148790B2 (ja) * 2003-01-29 2008-09-10 株式会社フジシール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パウチ容器
JP4424538B2 (ja) * 2004-04-30 2010-03-03 株式会社吉野工業所 薄肉容器
EP1676784A1 (en) * 2004-12-29 2006-07-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lexible container containing a liquid product, and a process for making a liquid-filled, flexible container
FR2933675B1 (fr) * 2008-07-08 2010-08-13 Seaquist General Plastics Element de fermeture d'un recipient en particulier fait dans un materiau de type feuille
ES2310499B1 (es) * 2008-07-18 2010-01-05 Volpak, S.A.U. "boca de descarga para bolsas flexibles".
JP5489703B2 (ja) * 2009-12-25 2014-05-1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詰め替え容器
JP5679676B2 (ja) 2010-02-24 2015-03-04 日本クロージャー株式会社 合成樹脂から一体に成形されたスパウト
JP5523899B2 (ja) * 2010-03-31 2014-06-1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詰替え用ノズル
US20120024858A1 (en) * 2010-07-29 2012-02-02 Ecolab Usa Inc. Vented flexible fitment
JP6061681B2 (ja) * 2010-12-27 2017-01-18 花王株式会社 包装体
DE202011001356U1 (de) * 2011-01-11 2012-04-12 Pöppelmann Holding GmbH & Co. KG Ausgießer und Behältnis mit einem solchen
US9617054B2 (en) * 2014-06-13 2017-04-11 Decko Products, Inc. Dual thread nozzle and cap assembly for dispensing pouch
TW201713575A (zh) * 2015-09-30 2017-04-16 陶氏全球科技有限責任公司 具有乙烯/α-烯烴多嵌段共聚物的配件
WO2017135958A1 (en) * 2016-02-04 2017-08-10 Silgan White Cap LLC Container assembly with vent
US10138448B2 (en) * 2016-04-11 2018-11-27 Veltek Associates, Inc Deactivation wipe kit
AR108467A1 (es) * 2016-05-27 2018-08-22 Dow Global Technologies Llc Accesorio con componente de mezcla y contenedor flexible con el mismo
NL2017333B1 (en) * 2016-08-18 2018-02-23 Scholle Ipn Ip Bv A closure assembly and container provided with such a closure assembly
JP6236139B1 (ja) * 2016-12-08 2017-11-22 藤森工業株式会社 詰め替え容器の注出用スパウト及び包装容器の注出ユニットとの連結構造
JP6960731B2 (ja) * 2016-12-08 2021-11-05 藤森工業株式会社 容器の注出用スパウト
JP6194132B1 (ja) * 2017-03-21 2017-09-06 藤森工業株式会社 容器の注出用スパウト
DE102017009693A1 (de) * 2017-10-13 2019-04-18 Georg Menshen Gmbh & Co. Kg Ausgießer für Beutelverpackungen
IT201700120600A1 (it) * 2017-10-24 2019-04-24 Guala Pack Spa Metodo di riempimento di un imballo a parete sottile munito di cannuccia
US11414248B2 (en) * 2017-12-19 2022-08-16 Dariusz Jerzy Krajewski Dispenser with a membrane for sachets
US10442582B1 (en) * 2018-08-14 2019-10-15 Phoenix Closures, Inc. Spout fitment apparatus for a flexible container
JP7193305B2 (ja) * 2018-10-30 2022-12-20 藤森工業株式会社 注出スパウト
WO2021064154A1 (en) * 2019-10-01 2021-04-08 Obrist Closures Switzerland Gmbh Closure for a pouch
US11673727B2 (en) * 2021-03-03 2023-06-13 Scholle Ipn Corporation Dispensing system for a flexible bag, flexible bag assembl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13655A (ja) 2013-07-03 2015-01-22 凸版印刷株式会社 スパウトとこのスパウトを取り付けたスタンディングパウ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623807B2 (en) 2023-04-11
EP3875389A4 (en) 2022-07-06
EP3875389A1 (en) 2021-09-08
JP7174593B2 (ja) 2022-11-17
CN112955382A (zh) 2021-06-11
WO2020090620A1 (ja) 2020-05-07
CN112955382B (zh) 2023-02-03
US20220009688A1 (en) 2022-01-13
SG11202104286WA (en) 2021-06-29
JP2020070035A (ja) 202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09969B1 (en) Deformable elastomeric valve and valve assembly
JP6194132B1 (ja) 容器の注出用スパウト
JP6236139B1 (ja) 詰め替え容器の注出用スパウト及び包装容器の注出ユニットとの連結構造
JP6183847B2 (ja) 詰替え容器用栓体
JP5756357B2 (ja) 詰替え用軟包装容器
KR20210083253A (ko) 주출 스파우트
JP6960731B2 (ja) 容器の注出用スパウト
JP2013203464A (ja) 詰め替え容器
JP5961547B2 (ja) 詰め替え容器
JP2010215282A (ja) 詰替え容器
US11845591B2 (en) Pouring spout
JP5492549B2 (ja) 詰め替え容器
JP5542462B2 (ja) 詰め替え容器
JP2023066296A (ja) 容器の注出具及び容器
JP3603110B2 (ja) 液体注出容器
JP5978126B2 (ja) 詰め替え容器
JP6979897B2 (ja) 容器
JP6568341B2 (ja) 中栓を有する注出容器
JP7193293B2 (ja) 注出用スパウトおよび包装容器
JP6890143B2 (ja) 詰め替え容器及び蓋
JP7193294B2 (ja) 注出用スパウトおよび包装容器
JP2015024864A (ja) 詰替え用軟包装容器
JP6145376B2 (ja) 詰め替え容器
JP6059883B2 (ja) 樹脂製アンプル
KR200236966Y1 (ko) 액체용기 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