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9011A -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달 조립체 - Google Patents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9011A
KR20210079011A KR1020190171047A KR20190171047A KR20210079011A KR 20210079011 A KR20210079011 A KR 20210079011A KR 1020190171047 A KR1020190171047 A KR 1020190171047A KR 20190171047 A KR20190171047 A KR 20190171047A KR 20210079011 A KR20210079011 A KR 20210079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casing
push
door lock
actuator
pull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1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8847B1 (ko
Inventor
최요환
권태훈
Original Assignee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1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8847B1/ko
Publication of KR20210079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9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8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8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53Handles or handle attachments facilitating operation, e.g. by children or burdene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033Spindles for handles, e.g. square spi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05B2015/0403Wound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05B2015/0437Attachments or mountings; Mounting of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순한 구조로 생산비 절감과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달 조립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푸쉬풀 도어락의 핸들에 설치된 베이스 케이싱; 상기 베이스 케이싱에 선회축을 매개로 선회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선회축을 기점으로 일단을 누르면 타단이 일정반경으로 선회되는 누름레버; 상기 누름레버의 상기 타단이 맞닿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캠면이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케이싱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 케이싱에 토션 스프링을 매개로 연결되며 회전에 의해 모티스를 구동시키는 모티스 작동체; 및 상기 모티스 작동체를 상기 베이스 케이싱에 회전가능하게 장착하도록 상기 모티스 작동체의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베이스 케이싱에 고정된 고정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달 조립체{Assembly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of push-pull door lock}
본 발명은 구동전달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푸쉬풀 도어락에 제공되는 구동전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락에는 레버 형태의 내외측 핸들이 구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도어락은 내측핸들을 회전시켜 도어의 데드볼트를 작동시킴으로써 도어의 잠금해체가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도어락은 데드볼트의 잠금상태를 해정하기 위해 문이 열리는 방향과 수직방향의 힘을 가한 상태에서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의 추가적인 힘을 가해야 하므로 사용자들에게 사용상의 불편함을 야기하였다.
한편 종래에는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데드볼트가 해정되는 소위 '푸쉬-풀 타입'(Push-Pull type)의 도어락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푸쉬-풀 타입의 도어락은 핸들의 어느 곳을 누르더라도 모티스와 구동(데드볼트 및 래치볼트의 구동)을 확실히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도어락 장치의 작동성능과 밀접한 연관성을 갖는다.
또한 종래의 푸쉬-풀 타입의 도어락은 누름 동작으로 인해 전달되는 누르는 힘을 얼마나 정확하게 모티스의 작동체로 전달하는 것이 작동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한 중요한 인자가 된다.
도 1은 종래의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달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로서, 종래의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달구조는 누름판(10)의 누름 포스트(12)가 수직 기어부(20)의 누름 선단(21)을 누르면, 기어부(23)를 통해 직교방향으로 기어 연결된 모티스 작동체(30)를 베이스판(40)에서 회전시켜 모티스의 해정이 이루어지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미설명 도면부호 11은 스프링 포스트이고, 22는 회전축이다.
그러나 종래의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달 구조는 베벨기어 방식으로 연결된 구조로서 장기간 사용시 기어의 마모에 의해 구동전달 성능이 저하되거나, 설치 공차 등의 유격이 구동성능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되므로 긴밀한 체결력이 요구되고 시공성도 떨어지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또한 기어 가공이나 부품 설치시 정밀한 작업이 요구되므로 생산비 절감에도 악영향을 끼치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선행문헌 1> :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631687호(공고일: 2016. 06. 20)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단순한 구조로 생산비 절감과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달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푸쉬풀 도어락의 핸들에 설치된 베이스 케이싱; 상기 베이스 케이싱에 선회축을 매개로 선회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선회축을 기점으로 일단을 누르면 타단이 일정반경으로 선회되는 누름레버; 상기 누름레버의 상기 타단이 맞닿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캠면이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케이싱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 케이싱에 토션 스프링을 매개로 연결되며 회전에 의해 모티스를 구동시키는 모티스 작동체; 및 상기 모티스 작동체를 상기 베이스 케이싱에 회전가능하게 장착하도록 상기 모티스 작동체의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베이스 케이싱에 고정된 고정 브라켓을 포함하는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달 조립체가 제공된다.
상기 누름레버와 상기 베이스 케이싱의 사이에는 코일스프링이 개재되고, 상기 누름레버의 상기 타단의 일부에는 상기 코일스프링의 선단이 안착되는 스프링 장착구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케이싱의 전면에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타단이 안착되는 스프링 고정부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캠면은 복수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캠면은 상기 모티스 작동체의 외주면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누름레버의 타단에는 복수의 상기 캠면에 각각 맞닿게 위치하며 상기 캠면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의 안내단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푸쉬풀 도어락의 베벨 기어방식의 구동전달 구조를 보다 구조적으로 심플하면서도, 종래의 기어맞물림을 배제함으로써 마모에 의한 고장이나 설치 공차 등의 시공상의 제약 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달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달 조립체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달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달 조립체의 분해된 상태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달 조립체의 작동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달 조립체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달 조립체의 작동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달 조립체의 모티스 작동체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달 조립체의 모티스 작동체의 측면도,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달 조립체의 모티스 작동체의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갖는다.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달 조립체는 베이스 케이싱(70)과 누름레버(60)와 사이에 모티스 작동체(80)가 설치된다.
여기서 누름레버(60)는 사용자가 베이스 케이싱(70)을 파지한 상태에서 당기는 방향으로 누르면 모티스 작동체(80)가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누름 커버(60)는 중간의 선회축(65; 도 6에서 65a,56b)을 기준으로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로 누름력을 가하는 부분인 제1단(61)이 상부측에 구성되고, 선회축(65)을 중심으로 하부측으로는 스프링 장착구(63)가 형성된 제2단(62)이 구성된다.
또한 베이스 케이싱(70)은 누름레버(60)의 제1단(61)이 대응하게 위치하는 제1 단부(71)가 누름레버(60)의 제2 단(62)이 위치하는 제2단부(72)로 구성된다. 또한 제2 단부(72)에는 토션 스프링(S1)이 연결된 상태로 모티스 작동체(80)의 하부축(81)이 삽입된다. 이에 따라 모티스 작동체(80)는 베이스 케이싱(70)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즉 도 10의 (b)와 같이 베이스 케이싱(70)의 상면에는 스프링 걸림돌기(71a)가 일정 높이로 돌출형성되고, 모티스 작동체(80)에는 스프링 걸림돌기(81a)가 하방으로 돌출형성된다. 이에 따라 토션 스프링(S1)의 일단은 모티스 작동체(80)의 스프링 걸림돌기(81a)에 걸리게 되고, 토션 스프링(S1)의 타단은 베이스 케이싱(70)에 돌출형성된 스프링 걸림돌기(71a)에 걸린 상태로 설치된다. 이와 같이 토션 스프링(S1)에 의해 모티스 작동체(80)가 회전방향으로 탄성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를 통해 모티스 작동체(80)가 일측방향으로 회전되더라도 다시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한편 도 2와 같이 모티스 작동체(80)의 잔방으로는 고정브라켓(90)이 장착되고, 이 고정브라켓(90)에는 지지홈(93)이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성된다. 이 지지홈(93)에는 모티스 작동체(80)의 상부축(82)이 삽입되고, 이 상태로 고정브라켓(90)은 고정단(91)을 통해 베이스 케이싱(70)에 고정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달 조립체는 베이스 케이싱(70)의 제1 단부(71)를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로 누름 레버(60)의 제1단(61)을 움켜쥐는 동작에 의해 누름레버(60)가 베이스 케이싱(70)에서 선회되는 작동을 한다. 구체적으로 누름레버(60)의 양측에는 선회축(65)이 돌출형성되고, 이 선회축(65)이 베이스 케이싱(70) 내에 삽입됨으로써 이 선회축(65)을 기준으로 누름레버(60)가 일정각도로 선회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누름 레버(60)의 제2단(62)에는 스프링 장착구(63)가 형성되고, 이 스프링 장착구(63)에는 내부에 고정 포스트가 형성되고 이 고정 포스트에 코일 스프링(S2)의 선단이 끼워지며, 코일 스프링(S2)의 타단은 베이스 케이싱(70)의 제2 단부(72)에 형성된 스프링 고정부(75; 도 3)에 장착된다. 이에 따라 누름 레버(60)의 제2단(62)이 눌러지는 경우 코일 스프링(S2)은 스프링 장착구(63)에서 수축된 상태를 이루게 되고, 스프링 장착구(63)에 형성된 고정 포스트는 도 8의 상태에서 스프링 고정부(75)의 중앙에 형성된 개방영역으로 안내되어 하강된다.
이와 같이 별도로 코일 스프링(S2)이 개재되는 것은 누름레버(60)가 베이스 케이싱(70)에서 일정 텐션을 갖는 상태로 유지되기 위함이다. 즉 누름레버(60)를 코일 스프링(S2)을 통해 일측으로 가압함으로써, 평상시 베이스 케이싱(70)에서 누름레버(60)가 유격에 의해 유동되거나 소음(타음)을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베이스 케이싱(70)의 제2 단부(72)에는 관통홀(70h; 도 3)이 형성되고, 이 관통홀(70h)에는 모티스 작동체(80)의 하부축(81)이 삽입된다. 이때 모티스 작동체(80)의 상부축(82)은 고정 브라켓(90)의 지지홈(93)에 수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모티스 작동체(80)는 베이스 케이싱(70)에서 좌우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모티스 작동체(80)는 도 3과 같이 토션 스프링(S1)이 개재된 상태로 베이스 케이싱(70)에 설치되고, 예를 들어 모티스 작동체(80)를 일측으로 강제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이 토션 스프링(S1)의 회전력에 의해 다시 원상태로 자동으로 복귀할 수 있다(도 10 참조).
한편 모티스 작동체(80)는 원기둥 형태의 외주면을 갖는데, 이 외주면에는 한 쌍의 캠면(85)이 형성된다. 또한 이 캠면(85)에는 누름레버(60)의 제2단(62)에 마련된 한쌍의 안내단(62a; 도 10의 (a) 참조)이 맞닿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누름레버(60)의 제1단(61)을 누르면(즉 사용자가 핸들을 파지한 상태로 움켜쥐는 동작을 하면), 누름레버(60)는 선회축(65)을 기준으로 베이스 케이싱(70)에서 일측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때 누름레버(60)의 제2단(62)에 마련된 안내단(62a)은 도 5의 (a)와 같이 캠면(85)의 상단에 맞닿은 상태에서 도 5의 (b)의 상태와 같이 캠면(85)을 따라 하강하게 된다. 그에 따라 모티스 작동체(80)는 베이스 케이싱(70)의 관통공(70h)에서 회전하게 된다. 즉 누름레버(60)의 제2 단(62)이 하강하면 모티스 작동체(80)의 캠면(85)을 따라서 모티스 작동체(80)가 일측방향으로 회전되는 작동이 이루어진다.
또한 사용자가 누름레버(60)의 제1 단(61)의 움켜쥔 상태를 해제하게 되면, 코일 스프링(S2) 및 토션 스프링(S1)의 탄성력에 의해 모티스 작동체(80)는 원상태로 복귀(회전)되고, 누름레버(60)의 제2 단(62)은 원상태로 하강된 상태에서 다시 상승(원위치)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누름레버(60)의 제2 단(62)에는 양측으로 각각 안내단(62a,62b)가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도록 모티스 작동체(80)의 외주면에도 한 쌍의 캠면(85)이 형성된 구성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누름레버(60)의 작동에 의해 보다 원활하게 모티스 작동체(80)의 선회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균등한 누름력을 가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달 조립체는 종래의 베벨기어방식으로 모티스 작동체를 선회시키는 구조를 개선한 것으로, 평상시에는 코일 스프링(S2)이 누름레버(60)를 일측으로 가압한 상태를 유지하고, 사용자가 문을 개방하기 위해 푸쉬풀 핸들을 움켜쥐어 누름레버(60)를 누르면 양 선회축(65a,65b)을 기준으로 누름레버(60)가 선회되고, 누름레버(60)의 제2 단(62; 안내단(62a))이 모티스 작동체(80)의 캠면(85)을 따라 하강하게 된다. 이러한 작동에 의해 모티스 작동체(80)는 캠면(85)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도 7의 (a)에서 (c)까지의 일련의 동작으로 작동됨).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누름레버(60)를 베이스 케이싱(70)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하고, 모티스 작동체(80)의 외주면에 한 쌍의 캠면(85)을 형성하여, 누름레버(60)의 제2단(62)에 형성된 안내단(62a,62b)이 모티스 작동체(80)를 캠면(85)을 따라 회전시킴으로써 모티스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에 베벨 기어방식의 구동전달 구조보다 구조적으로 심플하면서도 구동력 전달 구조에서 기어맞물림을 배제함으로써 기어 마모에 의한 고장이나 설치 공차 등의 시공상의 제약 등을 개선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60: 누름레버
61: 제1 단
62: 제2 단
63: 스프링 장착구
65: 선회축
70: 베이스 케이싱
71: 제1 단부
72: 제2 단부
75: 스프링 고정부
80: 모티스 작동체
81: 하부축
71a, 81a: 스프링 걸림돌기
82: 상부축
85: 캠면
90: 고정 브라켓
91: 고정단
93: 지지홈

Claims (3)

  1. 푸쉬풀 도어락의 핸들에 설치된 베이스 케이싱;
    상기 베이스 케이싱에 선회축을 매개로 선회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선회축을 기점으로 일단을 누르면 타단이 일정반경으로 선회되는 누름레버;
    상기 누름레버의 상기 타단이 맞닿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캠면이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케이싱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 케이싱에 토션 스프링을 매개로 설치되며, 회전에 의해 모티스를 구동시키는 모티스 작동체; 및
    상기 모티스 작동체가 상기 베이스 케이싱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상기 모티스 작동체의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베이스 케이싱에 고정된 고정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달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레버와 상기 베이스 케이싱의 사이에는 코일스프링이 개재되고,
    상기 누름레버의 상기 타단의 일부에는 상기 코일스프링의 선단이 안착되는 스프링 장착구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케이싱의 전면에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타단이 안착되는 스프링 고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달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면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캠면은 상기 모티스 작동체의 외주면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누름레버의 상기 타단에는 복수의 상기 캠면에 각각 맞닿게 위치하여 상기 캠면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의 안내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달 조립체.
KR1020190171047A 2019-12-19 2019-12-19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달 조립체 KR102318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047A KR102318847B1 (ko) 2019-12-19 2019-12-19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달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047A KR102318847B1 (ko) 2019-12-19 2019-12-19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달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9011A true KR20210079011A (ko) 2021-06-29
KR102318847B1 KR102318847B1 (ko) 2021-10-28

Family

ID=76626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1047A KR102318847B1 (ko) 2019-12-19 2019-12-19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달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88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6619B1 (ko) * 2021-09-14 2022-02-08 (주)애니락 안티패닉 기능을 갖는 푸쉬풀 도어록
KR102433748B1 (ko) * 2021-12-14 2022-08-18 (주)솔리티 푸쉬풀 도어락의 핸들 조립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1687B1 (ko) * 2014-09-18 2016-06-20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푸쉬-풀 도어락의 연결 구조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1687B1 (ko) * 2014-09-18 2016-06-20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푸쉬-풀 도어락의 연결 구조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6619B1 (ko) * 2021-09-14 2022-02-08 (주)애니락 안티패닉 기능을 갖는 푸쉬풀 도어록
WO2023042966A1 (ko) * 2021-09-14 2023-03-23 (주)애니락 안티패닉 기능을 갖는 푸쉬풀 도어록
KR102433748B1 (ko) * 2021-12-14 2022-08-18 (주)솔리티 푸쉬풀 도어락의 핸들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8847B1 (ko) 2021-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7973B2 (en) Chassis for a lock set
KR102318847B1 (ko)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달 조립체
JP4839843B2 (ja) 鍵盤楽器の鍵盤蓋構造
JP5126793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4220043B2 (ja) 扉等の中に装着されるロックケーシング
CA2496270A1 (en) Power actuator for door latch
KR101467285B1 (ko) 래치볼트의 고정구조체
KR101631687B1 (ko) 푸쉬-풀 도어락의 연결 구조체
JP2007070923A (ja) 鎌付き電気扉錠
JPH1046884A (ja) 電気錠
KR101370517B1 (ko) 푸쉬-풀 도어락의 강제해정 방지 구조체
KR101428690B1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핸들장치
MX2007012276A (es) Ensamble de cerrojo tubular.
JP5074949B2 (ja) プッシュプル錠
US20050272284A1 (en) Interconnected chassis for a lock set
JP2010112122A (ja) ドアラッチ装置
KR200298361Y1 (ko) 도어록킹장치
KR20080095901A (ko) 모티스 록 조립체
KR200488916Y1 (ko) 푸시풀 도어 락 장치
JP2007070922A (ja) 錠前におけるデッドボルト駆動機構
JPH11247515A (ja) 閉鎖可能な面部材内の機能部材を駆動するための駆動装置
JP2019044369A (ja) 歯車とアームの組立体の製造方法、並びに窓開閉装置及び開閉窓
JP3159644B2 (ja) 扉体の閉止解除用回転軸の操作装置
KR101793491B1 (ko)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환 구조체
KR101360100B1 (ko) 도어락의 푸쉬-풀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