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3748B1 - 푸쉬풀 도어락의 핸들 조립체 - Google Patents

푸쉬풀 도어락의 핸들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3748B1
KR102433748B1 KR1020210178564A KR20210178564A KR102433748B1 KR 102433748 B1 KR102433748 B1 KR 102433748B1 KR 1020210178564 A KR1020210178564 A KR 1020210178564A KR 20210178564 A KR20210178564 A KR 20210178564A KR 102433748 B1 KR102433748 B1 KR 102433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base casing
actuator
groove
p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8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종필
Original Assignee
(주)솔리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솔리티 filed Critical (주)솔리티
Priority to KR1020210178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37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3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3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53Handles or handle attachments facilitating operation, e.g. by children or burdene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8Mortise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2Casings of latch-bolt or deadbolt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08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a rotary bar for actuating the faste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의 베이스케이싱에 고정되어 회동되도록 하기 위한 회전중심부의 설치에 의하여 베이스케이싱의 전체적인 길이가 길어지지 않도록 한 푸쉬풀 도어락의 핸들 조립체를 개시함과 아울러 모티스구동체가 별도 제작된 부품 없이 간결하게 고정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한 푸쉬풀 도어락의 핸들 조립체를 개시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베이스케이싱의 상방에 요홈을 구비하고, 상기 요홈에 요홈의 단면 형상과 일치하는 단면 형상을 가진 핸들 상단의 회전중심부를 삽입하고, 그 상방을 힌지고정부로 덮고 고정하며,
상기 베이스케이싱을 관통한 모티스구동체의 중심축을 체결수단으로 체결하여서 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핸들이 견고한 상태로 축설되어 내구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그 길이가 대폭 단축되어 미려하며 컴팩트화된 설계, 제작이 가능하고 소요 부품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이나 관련 조립 공수 증가를 감소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원가 절감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푸쉬풀 도어락의 핸들 조립체{Handle Assembly of Push-pull Doorlock}
본 발명은 푸쉬풀 도어락의 핸들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종의 업소나 가정의 현관에 설치하여 핸들을 밀고 당기는 단순한 동작으로 문을 개폐하기 위한 푸쉬풀 도어락의 핸들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근래에는 디지털 도어락의 실외, 실내 핸들을 회전식이 아닌 밀거나 당기는 방식으로 래치볼트 및 데드볼트가 해정되도록 하기 위한 소위 '푸쉬-풀 타입'(Push-Pull type)의 도어락이 보급되었다.
특히, 이러한 종래의 푸쉬-풀 타입의 도어락은 핸들을 밀어주는 누름 동작만으로 모티스의 래치볼트 및 데드볼트를 몰입시키고 나갈 수 있게 되는 것이어서 사용의 편의성이 높은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푸쉬-풀 타입의 도어락은 누름 동작으로 인해 전달되는 누르는 힘으로 모티스 구동샤프트를 정확하게 회동시키는 것이 작동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한 중요한 인자가 된다.
도 1은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631687호(발명의 명칭 : 푸쉬-풀 도어락의 연결 구조체; 이하 '인용발명1' 이라 함)에 의하여 공개된 종래의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달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로서, 종래의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달구조는 누름판(10)의 누름 포스트(12)가 수직 기어부(20)의 누름 선단(21)을 누르면, 기어부(23)를 통해 직교방향으로 기어 연결된 모티스 작동체(30)를 베이스판(40)에서 회전시키는 베벨기어방식으로 모티스의 해정이 이루어지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미설명 도면부호 11은 스프링 포스트이고, 22는 회전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인용발명1에 의한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달 구조는 장기간 사용 시 기어의 마모, 설치 공차, 경년에 따른 변형 등 여러 요인에 의하여 정확한 동작이 어렵게 되어 고장 발생율이 높게 되어 보안기기로서의 작동 신뢰도에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도2로 도시한 바와 같은 대한민국 특허등록(10-2318847; 발명의 명칭: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달 조립체; 이하 '인용발명 2'라 함)이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인용발명2는 도 2 및 도 3으로 보인 바와 같이, 도어의 외부면에 설치된 베이스케이싱(70); 상기 베이스케이싱(70)에 선회축(65)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선회축(65)을 기점으로 일단을 누르면 타단이 일정반경으로 선회되는 누름레버(60); 상기 누름레버(60)의 상기 타단이 맞닿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캠면(85)이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케이싱(7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케이싱(70)에 토션 스프링을 매개로 설치되며, 회전에 의해 모티스를 구동시키는 모티스 작동체(80); 및 상기 모티스 작동체(80)가 상기 베이스케이싱(7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상기 모티스 작동체(80)의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베이스케이싱(70)에 고정된 고정 브라켓(9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달 조립체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인용발명2는 맞물림 기어의 사용을 배제하여 기어의 마모에 의하여 발생하는 오동작의 우려가 없으며, 설치 공차나 변형으로 인한 동작 불량 가능성이 최소화된 구조로 된 것이므로 고장율을 감소시켜 신뢰도 향상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반면에 이러한 인용발명2에 의하면 상기 누름레버(60)가 베이스케이싱(70)에서 선회축(65)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도록 전개되어 설치된 것이므로 그 길이가 길게 되어 컴팩트화 설계가 어려우며, 구조상 직경이 가늘게 된 선회축(65)에 반복적인 충격과 응력 집중으로 변형 및 손상으로 인한 고장의 우려가 있다.
이뿐만 아니라, 인용발명2는 별도로 제작된 고정 브라켓(90)을 별도 제작하여 준비하고 상기 베이스케이싱(70)에 조립, 고정시켜 모티스 작동체(80)가 지지되면서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어서 고정 브라켓(90)의 추가 제작에 따른 비용 부담과 조립 공수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631687호(발명의 명칭:푸쉬-풀 도어락의 연결 구조체)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318847호(발명의 명칭: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달 조립체)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어락의 베이스케이싱에 고정되어 회동되도록 하기 위한 회전중심부를 직접 회전시켜 베이스케이싱의 전체적인 길이가 길어지지 않도록 한 푸쉬풀 도어락의 핸들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베이스케이싱에 고정되어 모티스 샤프트를 회동시킴으로써 개폐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모티스구동체가 별도 제작된 부품 없이 간결하게 고정되어 개폐 가능하도록 한 푸쉬풀 도어락의 핸들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각형 샤프트로 모티스와 연결되는 모티스구동체가 구비된 베이스케이싱과, 상기 베이스케이싱에 핸들 일측이 축설 되며, 작동 대기상태에서 핸들이 베이스케이싱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타측에 스프링를 구비하여서 된 푸쉬풀 도어락의 핸들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핸들의 일단에 회전돌부가 돌출된 회전중심부와; 상기 베이스케이싱의 일단에 형성된 요홈과; 상기 요홈에 상기 핸들의 회전중심부가 삽입되되, 상기 요홈 내에서 회전중심부의 회전돌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돌부의 회전 반경과 같이 오목한 형태로 상기 요홈 내에 형성된 회전홈과; 상기 요홈에서 핸들의 회전중심부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힌지고정부와; 상기 베이스케이싱에 모티스구동체 수용 시 모티스구동체로부터 받는 압력을 분산하여 지탱하는 주름을 베이스케이싱 중 모티스구동체가 설치되는 부분의 주변에 구비하여서 된 수용요홈부가; 구성된 푸쉬풀 도어락의 핸들 조립체를 제안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핸들의 축설을 위한 부품들을 관통하여 조립되는 구조에 의한 내구성 저하로 발생될 수 있는 고장의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모티스와 샤프트로 연결되는 모티스구동체가 스냅링만으로 체결 완료되어 안정적 동작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부품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이나 관련 조립 공수 증가를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원가 절감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핸들의 회동 중심이 한쪽 끝부분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인용발명2와 같이 중간에 회동축이 설치됨에 따라 전체적인 구조가 길게 되어 규격이 불필요하게 커지게 됨을 억제하여 미려한 컴팩트화 설계가 가능하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푸쉬-풀 도어락의 연결 구조체를 보인 설명도.
도2는 종래의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달 조립체를 보인 사시도.
도3은 도2에서 핸들에 의하여 회동되는 누름레버의 작동을 보인 측면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푸쉬풀 도어락의 핸들 조립체를 보인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푸쉬풀 도어락의 핸들 조립체 요부 구조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푸쉬풀 도어락의 작동 대기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푸쉬풀 도어락의 핸들 누름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8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핸들의 내부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에 의한 푸쉬풀 도어락의 작동 대기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10은 본 발명에 의한 푸쉬풀 도어락의 핸들을 눌러 돌기가 모티스구동체의 경사면을 눌러 회동하는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1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모니스구동체를 보인 확대 사시도.
도12는 본 발명에 의하여 조립된 상태의 베이스케이싱을 관찰한 사시도.
도13은 본 발명에서 모티스구동체의 회동 전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14는 본 발명에서 모티스구동체의 회동 완료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푸쉬풀 도어락의 핸들(200) 조립체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 4의 사시도와 도5의 분리사시도로 도시하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현관문에 고정되어 각형 샤프트로 모티스와 연결되는 모티스구동체(600)가 구비된 베이스케이싱(100)과, 상기 베이스케이싱(100)에 핸들(200) 일측이 축설되며 작동 대기상태에서 핸들(200)이 베이스케이싱(100)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타측에 스프링이 구비된 푸쉬풀 도어락의 핸들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케이싱(100)의 일측에 요홈(101)을 구비하고, 상기 요홈(101)에 요홈(101)의 단면 형상과 일치하는 핸들(200) 일측의 회전중심부(201)를 삽입하며, 상기 요홈(101)을 힌지고정부(300)로 덮은 후 고정하며, 상기 핸들(200)의 내측에 돌기(202)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중심부(201)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상기 핸들(200) 내측의 돌기(202)가 모티스구동체(600) 둘레면에 형성된 경사면(601)과 서로 닿아 상기 핸들(200)의 누름 시 돌기(202)가 경사면(601)을 밀어냄에 따라 모티스구동체(600)가 회동하며, 상기 모티스구동체(600)에 결합된 샤프트가 모티스를 구동하도록 하되,
상기 모티스구동체(600)와 베이스케이싱(100)의 접면부에 지지단턱(603)이 형성되고 베이스케이싱(100) 외부로 돌출되는 중심축(604) 외부 둘레에 구비된 체결요홈(602)에 체결수단(500)이 결함됨으로써, 상기 모티스구동체(600)가 베이스케이싱(100)에 조립된 상태로 상기 돌기(202)의 습동에 따라 모티스구동체(600)가 회동가능하며, 상기 핸들(200)의 누름 압력 해제 시 복귀스프링(606)에 의하여 모티스구동체(600)가 회전하여 대기 상태로 복귀하도록 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6으로 보인 바와 같이 도면상 베이스케이싱(100)에 핸들(200)의 일측이 고정된 상태에서 타측을 베이스케이싱(100) 방향으로 누르면 도 7로 보인 바와 같이 회동가능하도록 한 구조로 되며, 이와 같은 누름 구조에 의하여 래치 및 데드볼트의 회동이 가능하게 되어 문을 열 수 있게 되고, 핸들(200)을 누르고 있던 압력을 해제하면 리턴스프링(400)에 의하여 도 6의 상태로 복귀된다.
이러한 동작을 위하여 본 발명은 도 3으로 보인 종래의 인용발명2와는 달리 베이스케이싱(100)의 중간이 아닌 도 9의 베이스케이싱(100)의 일단에 핸들(200)이 고정된 상태로 대기하고, 도 10으로 보인 바와 같이, 핸들(200)을 눌러 도면상 베이스케이싱(100)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함으로써 베이스케이싱(100)과 핸들(200)의 제작에 필요한 길이를 대폭 단축하고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베이스케이싱(100) 일단에 핸들(200)을 고정하되, 작동과정에서 받게 되는 외력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8의 핸들(200) 일단 양측에 회전돌부(211)가 돌출된 회전중심부(201)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중심부(201)의 회전돌부(211)가 걸림 결합되어 회전중심부(201)를 중심으로 핸들(200)이 회전 가능하면서도 회전중심부(201)가 요홈(10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회전홈(111)이 형성된 요홈(101)을 베이싱케이싱(100) 일단 양측에 형성하여 이러한 요홈(101)에 회전중심부(201)를 삽입한 다음 플레이트 등과 같은 힌지고정부(300)를 덮고 상기 힌지고정부(300)와 베이스케이싱(100) 일단 양측을 체결나사(301)등의 고정수단으로 체결하여서 된 것이며, 힌지고정부(300)와 베이스케이싱(100) 일단 양측에는 고정수단으로 체결나사(301)를 위한 체결공(30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핸들(200) 일단을 연장시켜 형성한 양측의 회전중심부(201)를 베이스케이싱(100) 양측의 요홈(101)에 끼운 후 그 위에 힌지고정부(300)를 덮고 체결나사(301) 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한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회전중심부(201)는 힌지고정부(300)에 의하여 요홈(101)에 구속된 상태에서 회동할 수 있게 되며, 핸들(200)에 반복적으로 충격이 가하여 지는 경우에 회전중심부(201)가 요홈(101)에서 회동하면서 여러면과 접촉하면서 받게 되는 충격력이 여러면으로 분산, 소멸되도록 한 구조이어서 반복사용에도 변형되지 않는 견고한 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핸들(200)을 회동시킴에 따라 도 8의 핸들(200) 내부 상방에 도시된 돌기(202)가 이동하므로 도 11로 보인 모티스구동체(600)의 경사면(601)을 눌러 주어 베이스케이싱(100)을 관통하여 설치된 모티스구동체(600)가 회동함으로써 모티스구동체(600)의 샤프트결합공(605)에 결합된 샤프트가 회전하여 모티스를 구동하도록 한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는 모티스구동체(600)의 설치를 위하여 도13 및 도14로 보인 바와 같이, 베이스케이싱(100) 두께에 상당하는 거리를 두고 형성된 지지단턱(603)과 중심축(604) 외부 둘레의 체결요홈(602)이 구비된 모티스구동체(600)가 구성되며, 상기 중심축(604)이 관통하는 관통공(102)이 도5로 보인 베이스케이싱(100)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케이싱(100)에 모티스구동체(600)를 수용하여 두께를 최소화 할 수 있고 모티스구동체(600)로부터 받는 압력을 분산하여 지탱하도록 하는 주름을 모티스구동체(600)가 설치되는 주변에 구비하여서 된 수용요홈부(120)가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의 상기 모티스구동체(600)는 도 12로 보인 바와 같이 베이스케이싱(100) 두께 양측에 지지단턱(603)과 중심축(604)의 체결요홈(602)에 결합된 체결수단(500)으로 스냅링이 배치됨에 따라 별도의 지지 부품을 제작, 조립하지 않고도 원활하게 회동가능함과 아울러 견고한 조립상태를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도 9, 도 13으로 보인 상태에서 핸들(200)을 누름에 따라 돌기(202)가 모티스구동체(600)의 경사면(601)을 누르게 되므로 경사면(601)에 가해지는 백터힘에 의하여 회동력을 받은 모티스구동체(600)가 복귀스프링(606)의 압력을 이기고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모티스구동체(600)의 샤프트결합공(605)에 끼워진 샤프트가 연결된 모티스가 작동되며 그 결과 래치 및 데드볼트가 몰입되어 문을 열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상태를 도10, 도14로 도시하였다.
이와 같이 개문한 후 핸들(200)을 누르고 있던 압력을 해제하면 리턴스프링(400)은 모티스구동체(600)를 회전시켜 종전의 대기 위치로 복귀시키게 되고, 핸들(200)은 리턴스프링(400)에 의하여 회전중심부(201)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도 9 및 도 13으로 보인 바와 같은 대기 위치로 복귀하게 됨으로써 다음 조작을 대기하게 되어 동작을 반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 핸들(200) 내측의 돌기(202)는 2개로 하고 모티스구동체(600)의 경사면(601)도 2개로 하여 회전구조의 균형을 이룸으로써 더욱 원활하고 안정적인 회전 동작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며 이러한 변형 및 모방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 베이스케이싱 101 : 요홈 102 : 관통공
111 : 회전홈 120 : 수용요홈부 200 : 핸들
201 : 회전중심부 202 : 돌기 211 : 회전돌부
300 : 힌지고정부 301 : 체결나사 302 : 체결공
400 : 리턴스프링 500 : 체결수단 600 : 모티스구동체
601 : 경사면 602 : 체결요홈 603 : 지지단턱
604 : 중심축 605 : 샤프트결합공 606 : 복귀스프링

Claims (5)

  1. 각형 샤프트로 모티스와 연결되는 모티스구동체가 구비된 베이스케이싱과, 상기 베이스케이싱에 핸들 일측이 축설 되며 작동 대기상태에서 핸들이 베이스케이싱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타측에 스프링를 구비하여서 된 푸쉬풀 도어락의 핸들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핸들의 일단에 회전돌부가 돌출된 회전중심부와,
    상기 베이스케이싱의 일단에 형성된 요홈과,
    상기 요홈에 상기 핸들의 회전중심부가 삽입되되, 상기 요홈 내에서 회전중심부의 회전돌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돌부의 회전 반경과 같이 오목한 형태로 상기 요홈 내에 형성된 회전홈과,
    상기 요홈에서 핸들의 회전중심부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힌지고정부와,
    상기 베이스케이싱에 모티스구동체 수용 시 모티스구동체로부터 받는 압력을 분산하여 지탱하는 주름을 베이스케이싱 중 모티스구동체가 설치되는 부분의 주변에 구비하여서 된 수용요홈부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도어락의 핸들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의 내측에서 베이스케이싱 측으로 돌출된 돌기와,
    상기 모티스구동체에 형성된 경사면과,
    상기 핸들의 회전중심부를 중심으로 회동 시 이동하는 상기 돌기와 상기 모티스구동체의 경사면이 서로 닿아 핸들의 작동 시 돌기가 모티스구동체의 경사면을 밀어서 모티스구동체를 회동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도어락의 핸들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티스구동체는 핸들의 내측에 형성된 2개의 돌기와 접면하는 2개 경사면이 구비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도어락의 핸들 조립체.
  4. 삭제
  5. 삭제
KR1020210178564A 2021-12-14 2021-12-14 푸쉬풀 도어락의 핸들 조립체 KR102433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564A KR102433748B1 (ko) 2021-12-14 2021-12-14 푸쉬풀 도어락의 핸들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564A KR102433748B1 (ko) 2021-12-14 2021-12-14 푸쉬풀 도어락의 핸들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3748B1 true KR102433748B1 (ko) 2022-08-18

Family

ID=83112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8564A KR102433748B1 (ko) 2021-12-14 2021-12-14 푸쉬풀 도어락의 핸들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374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4596A (ja) * 2002-12-26 2004-07-22 Baijuu Sangyo:Kk サムターンユニット及びその規制具
KR101631687B1 (ko) 2014-09-18 2016-06-20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푸쉬-풀 도어락의 연결 구조체
KR101666764B1 (ko) * 2015-09-24 2016-10-14 이승철 푸시풀형 도어락
KR20210079011A (ko) * 2019-12-19 2021-06-29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달 조립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4596A (ja) * 2002-12-26 2004-07-22 Baijuu Sangyo:Kk サムターンユニット及びその規制具
KR101631687B1 (ko) 2014-09-18 2016-06-20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푸쉬-풀 도어락의 연결 구조체
KR101666764B1 (ko) * 2015-09-24 2016-10-14 이승철 푸시풀형 도어락
KR20210079011A (ko) * 2019-12-19 2021-06-29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달 조립체
KR102318847B1 (ko) 2019-12-19 2021-10-28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달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40330C (en) Return spring assembly for a lock mechanism
CA2591460C (en) Door lock having an unlockxng mechanism for simultaneously unlatching latch-bolt and deadbolt mechanisms
US20060196239A1 (en) Mortise lock
US8182005B2 (en) Cylinder lock with reinforcements to improve structural strength
KR102042596B1 (ko) 방화도어용 도어록
JP2007528461A (ja) ユニバーサル式錠シリンダ
US6880872B2 (en) Lever handle return spring assembly
US7530245B2 (en) Door lock
CA3078078C (en) Push-pull passage lock housing
US6883356B1 (en) Transmission apparatus for holding a lock core of a supplemental lock
SA111320286B1 (ar) قفل مبيت مزود بآلية إغلاق / عاكسة مزدوجة
KR102433748B1 (ko) 푸쉬풀 도어락의 핸들 조립체
KR101533194B1 (ko) 도어 래치 어셈블리
KR20170007038A (ko) 레버캠 직접 구동형 푸쉬풀 핸들을 갖는 도어락
US8079178B2 (en) Mullion assembly for double door
KR20210079011A (ko) 푸쉬풀 도어락의 구동전달 조립체
KR20120041380A (ko) 도어록
US20230295956A1 (en) Lock core structure
JP7006434B2 (ja) ドアロック装置
KR102570470B1 (ko) 분리형 디지털 도어록용 핸들샤프트
CN211144020U (zh) 一种便捷式门锁机构及自动售货机
WO2023100788A1 (ja) シリンダ錠及びドア
CA3171054C (en) Rotary locked structure of door lock
KR102560909B1 (ko) 시스템 창호용 핸들 조립체
GB2411431A (en) Lever-operated expansion fastenings for hinge par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