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0100B1 - 도어락의 푸쉬-풀 구조체 - Google Patents

도어락의 푸쉬-풀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0100B1
KR101360100B1 KR1020130001230A KR20130001230A KR101360100B1 KR 101360100 B1 KR101360100 B1 KR 101360100B1 KR 1020130001230 A KR1020130001230 A KR 1020130001230A KR 20130001230 A KR20130001230 A KR 20130001230A KR 101360100 B1 KR101360100 B1 KR 101360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push
cam
pivoting
link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1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순형
천상경
하영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레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to KR1020130001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0100B1/ko
Priority to PCT/KR2014/000055 priority patent/WO201410704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0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0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07Kno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문을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밀어서 도어락의 개방이 가능한 도어락의 푸쉬-풀 구조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도어락 본체의 핸들부재을 미는 것으로 도어락이 해정되어 문을 개방할 수 있도록 한 도어락의 푸쉬-풀 구조체로서, 상기 핸들부재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핸들부재가 눌러지면 일 방향으로 선회되는 제1 링크부재 및 제2 링크부재; 상기 제1 링크부재와 상기 제2 링크부재 사이를 연결하여 상호 연동되도록 하는 연결바; 및 상기 연결바의 일단에 설치되어 직선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모티스의 회동체를 회전시키는 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어락의 푸쉬-풀 구조체{Push-Pull assembly for doorlock}
본 발명은 도어락의 푸쉬-풀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문을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핸들을 밀어서 도어락의 개방이 가능한 도어락의 푸쉬-풀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락에는 레버 형태의 내외측 핸들이 구비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도어락을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도 1과 같이 종래의 도어락은 내측핸들(1)을 회전시켜 도어(D)의 데드볼트(2)를 작동시킴으로써 도어(D)의 잠금해체가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도어락은 데드볼트(2)의 잠금상태를 해정하기 위해 문이 열리는 방향과 수직방향의 힘을 가한 상태에서 도어(D)가 개방되는 방향으로의 추가적인 힘을 가해야 하므로 사용자들에게 사용상의 불편함을 야기하였다(신속하고 직관적인 작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데드볼트가 해정되는 소위 '푸쉬-풀 타입'(Push-Pull type)의 도어락이 개시되어 있다.
도 2는 종래의 푸쉬-풀 타입의 도어락을 보여주는 상태도로서, 도 2와 같이 이러한 종래의 푸쉬-풀 타입의 도어락은 내측핸들(3)과 외측핸들(4)에 도어(D)가 열리는 방향의 힘을 가하여 래치볼트(5)를 해정하고 도어(D)를 여는 방식이다. 도 2에서 미설명부호 '7'은 레버이고, '8'은 회동 샤프트이며, '6'은 데드볼트이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푸쉬-풀 타입의 도어락은 핸들의 어느 곳을 누르더라도 모티스와 구동(데드볼트 및 레치볼트의 구동)을 확실히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도어락 장치의 작동성능과 밀접한 연관성을 갖는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다면, 도 2와 같은 방식의 종래의 푸쉬-풀 타입의 도어락은 핸들(3,4)의 일측 선단에 설치된 링크구조를 통해 눌러진 힘을 전달받아 모티스를 작동시키는 구조로서, 만일 핸들(3,4)의 상단이 아닌 하단이나 다른 가장자리를 누를 경우 작동신뢰성을 확보할 수 없다. 즉 푸쉬-풀 타입의 도어락은 핸들을 눌러서 모티스의 작동(잠금해제 작동)이 이루어지는 구조이므로, 핸들을 누르는 힘을 모티스의 작동력으로 얼마나 확실하게 전달(힘의 손실 없이 전달)하느냐가 작동성능을 향상시키는데 매우 중요한 인자가 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기술적 고려 사항을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푸쉬-풀 타입의 도어락에 있어서, 핸들의 어느 곳을 누르더라도 모티스의 작동을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는 도어락의 푸쉬-풀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사용자가 도어락 본체의 핸들부재을 미는 것으로 도어락이 해정되어 문을 개방할 수 있도록 한 도어락의 푸쉬-풀 구조체로서, 상기 핸들부재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핸들부재가 눌러지면 일 방향으로 선회되는 제1 링크부재 및 제2 링크부재; 상기 제1 링크부재와 상기 제2 링크부재 사이를 연결하여 상호 연동되도록 하는 연결바; 및 상기 연결바의 일단에 설치되어 직선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모티스의 회동체를 회전시키는 랙부재를 포함하는 도어락의 푸쉬-풀 구조체를 제공한다.
상기 제1 링크부재 및 상기 제2 링크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핸들부재가 장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가 상하로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선회캠 수용부, 및 상기 선회캠 수용부에 선회되도록 장착되고 상기 연결바의 일단이 장착된 선회캠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의 측면에는 이동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선회캠 수용부의 측면에는 곡선형의 선회슬릿이 형성되어 상기 이동슬릿과 상기 선회슬릿에 제1 샤프트가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가 눌러지면 상기 선회슬릿을 따라 상기 베이스가 상기 선회캠 수용부에서 하강될 수 있다.
상기 선회캠은 상기 선회캠 수용부에 선회축을 기점으로 선회되도록 장착되며, 상기 선회캠의 선단은 상기 선회슬릿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제1 샤프트가 관통되고, 상기 선회캠의 타단은 상기 연결바의 단부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가 하강되면, 상기 선회캠도 선회슬릿을 따라 하강하여, 상기 선회캠의 타단에 연결된 상기 연결바을 직선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연결바의 단부에 장착된 랙부재를 직선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회동기어를 일측방향으로 선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도어락 본체의 핸들부재를 밀어 상기 핸들부재가 제1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도어락이 해정되어 문을 개방할 수 있도록 한 도어락의 푸쉬-풀 구조체로서, 상기 핸들부재의 서로 다른 복수의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제1방향에 수직한 제2방향의 이동으로 전환하는 복수의 링크부재; 상기 복수의 링크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연결바; 및 상기 제2방향에 따른 상기 연결바의 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함으로써 모티스의 작동에 필요한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운동 전환 유닛을 포함하는 도어락의 푸쉬-풀 구조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핸들부재의 양단에 장착된 복수의 링크부재를 통해 핸들부재의 어느 곳을 누르더라도 상기 링크부재의 연동이 확실함으로써, 사용자가 핸들의 어느 곳을 누르더라도 링크로 전달되는 힘을 모티스의 회동체에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어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도어락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푸쉬-풀 타입의 도어락을 보여주는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구조체를 갖는 도어락 본체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풀 구조체를 갖는 도어락 본체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의 푸쉬-풀 구조체의 구성중 핸들부재와 링크부재의 연결관계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의 푸쉬-풀 구조체의 구성중 핸들부재와 링크부재의 연결관계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7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의 푸쉬-풀 구조체의 구성중 링크부재의 사시도,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의 푸쉬-풀 구조체의 구성중 베이스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의 푸쉬-풀 구조체의 구성중 연결바의 사시도,
도 8은 도 7a의 평면도,
도 9는 도 8의 측단면도,
도 10은 도 7a의 상태에서 선회캠이 하강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1은 도 10의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의 푸쉬-풀 구조체의 구성중 링크부재가 일반적인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및
도 13은 도 12의 상태에서 핸들부재가 눌러진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도어락의 푸쉬-풀 구조체는 도어락 본체(300)에서 눌러지는 핸들부재(100)가 구비되어 도어락의 해정이 가능한 구성이다. 이때 도 4와 같이 도어락 본체(300)의 바닥면에는 도어에 설치를 위한 복수의 고정단(310,32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핸들부재(100)는 상단(110)과 하단(120)이 링크체(200)의 제1 링크부재(210)와 제2 링크부재(220)에 각각 고정된다. 이에 따라 핸들부재(100)가 눌러지면 그 힘은 제1 링크부재(210)와 제2 링크부재(220)를 동일한 힘으로 눌러져 회동체(30; 도 6 참조)를 회전시키기 위한 연결바(10)의 직선운동으로 전환된다. 한편 이들 링크부재(210,220)의 연동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연결바(10)가 장착된다. 이러한 링크구조의 작동에 대해서는 후술되는 구조 설명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a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링크체(200)는 제1 링크부재(210)와 제2 링크부재(220)가 서로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들 링크부재(210,220)는 연결바(10)의 전단(10a)와 후단(10b)이 연결되어 서로 유기적으로 연동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링크부재(210)와 제2 링크부재(220)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 중 제2 링크부재(220)를 예를 들어 이들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한다.
도 7a 및 도 7b와 같이 제2 링크부재(220)는 베이스(21)와 선회캠 수용부(22) 및 선회캠(23)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21)는 상면에 다수의 체결공(25)이 형성되는데, 이들 체결공(25)을 통해 핸들부재(100; 도 6 참조)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12와 같이 베이스(21)의 양측에는 이동슬릿(S2)이 형성되고, 선회캠수용부(22)의 측면에는 곡선형태의 선회슬릿(S1; 도 7b 참조)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베이스(21)와 선회캠 수용부(22)는 이동슬릿(S2)과 선회슬릿(S1)이 겹쳐진 형태로 제1 샤프트(sh1)가 삽입되어 상호체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도 12 및 도 13과 같이 베이스(21a,21b)는 선회캠 수용부(22a,22b)의 선회슬릿(S1)을 따라 각각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도 9 및 도 11과 같이 선회캠 수용부(22)의 내부에는 선회축(sh0)을 통해 선회캠 수용부(22) 내부에 장착된 선회캠(23)이 장착된다. 또한 이 선회캠(23)의 선단에는 제1 샤프트(sh1)가 관통하여 베이스(21)가 하강하거나 상승될 때 선회캠(23)도 같이 연동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선회캠(23)은 선회캠 수용부(22)에서 선회축(sh0)을 기점으로 선회되고, 선회캠(23)의 선단에는 베이스(21)의 이동슬릿(S2)에 연결된 제1 샤프트(sh1)를 따라 선회캠 수용부(22)의 선회 슬릿(S1)을 따라 이동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베이스(21)가 눌러져 선회캠 수용부(22)에서 하강되는 경우 선회캠 수용부(22)의 내부에 장착된 선회캠(23)도 연동(선회)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선회캠 수용부(22) 내에서 선회캠(23)이 연동되도록 구성한 것은 제1 링크부재(210)와 제2 링크부재(220)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같이 연동되는 것을 확실히 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선회캠(23)의 타단에는 제2 샤프트(sh2)를 통해 연결바(10)가 장착된 구성을 갖는다.
이에 따라, 핸들부재(100; 도 6 참조)가 눌러져 베이스(21)가 선회캠 수용부(22)에서 하강되는 경우 선회캠 수용부(22)의 내부에 장착된 선회캠(23)은 제1 샤프트(sh1)를 통해 선회슬릿(S1)을 따라 선회된다. 이에 따라 연결바(10)의 양측(전단; 10a 및 후단; 10b)에 각각 연결된 양측의 선회캠(23)은 제1 링크부재(210)와 제2 링크부재(220)의 연동을 확실히 하도록 서로를 연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도 7a와 같이 연결바(10)의 종단에는 연결바(10)의 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하여 모티스의 작동에 필요한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회전운동 전환 유닛으로서 랙부재(12)가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랙부재(12)는 회동기어(31)와 기어연결되고, 이에 따라 베이스(21)가 눌러지는 경우 선회캠 수용부(22)의 내부에서 선회캠(23)이 선회되고 제1 링크부재(210)와 제2 링크부재(220)의 각 선회캠(23)에 양단이 연결된 연결바(10)를 직선방향의 운동으로 전환하게 된다. 따라서 연결바(10)의 말단에 연결된 랙부재(12)는 회동기어(31)를 회전시키게 된다(이는 통상의 랙과 피니언의 구동방식이다).
이에 따라 회동기어(31)에 연결된 회동체(30; 도 6 참조)를 회전시킴으로써 모티스(미도시)의 내부의 레치볼트나 데드볼트를 작동시킬 수 있다. 즉 핸들부재(100)를 누르는 동작을 통해 회동체(30; 도 6 참조)를 회전시키고 모티스의 해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핸들부재(100)의 양단에 장착된 복수의 링크부재(210,220)를 통해 핸들부재(100)의 어느 곳을 누르더라도 연결바(10)를 통해 링크부재(210,220)의 작동을 위한 연동을 확실히 함으로써 사용자가 핸들의 어느 곳을 누르더라도 링크로 전달되는 힘이 손실되지 않고 모티스의 작동을 위한 회전력을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어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핸들부재 200: 링크체
110: 상단 120: 하단
210: 제1 링크부재 220: 제2 링크부재
10: 연결바 12: 랙부재
30: 회동체 21: 베이스
22: 선회캠 수용부 23: 선회캠

Claims (6)

  1. 사용자가 도어락 본체(300)의 핸들부재(100)을 미는 것으로 도어락이 해정되어 문을 개방할 수 있도록 한 도어락의 푸쉬-풀 구조체로서,
    상기 핸들부재(100)의 상단(110)과 하단(120)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핸들부재(100)가 눌러지면 일 방향으로 선회되는 제1 링크부재(210) 및 제2 링크부재(220);
    상기 제1 링크부재(210)와 상기 제2 링크부재(220) 사이를 연결하여 상호 연동되도록 하는 연결바(10); 및
    직선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연결바(10)의 일단에 설치되어 모티스의 회동체(30)를 회전시키는 랙부재(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의 푸쉬-풀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부재(210) 및 상기 제2 링크부재(220)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핸들부재(100)가 장착되는 베이스(21),
    상기 베이스가 상하로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선회캠 수용부(22), 및
    상기 선회캠 수용부(22)에 선회되도록 장착되고 상기 연결바(10)의 일단이 장착된 선회캠(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의 푸쉬-풀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21)의 측면에는 이동슬릿(S2)이 형성되고,
    상기 선회캠 수용부(22)의 측면에는 곡선형의 선회슬릿(S1)이 형성되어 상기 이동슬릿(S2)과 상기 선회슬릿(S1)에 제1 샤프트(sh1)가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21)가 눌러지면 상기 선회슬릿(S1)을 따라 상기 베이스(21)가 상기 선회캠 수용부(22)에서 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의 푸쉬-풀 구조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캠(23)은 상기 선회캠 수용부(22)에 선회축(sh0)을 기점으로 선회되도록 장착되며,
    상기 선회캠(23)의 선단은 상기 선회슬릿(S1)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제1 샤프트(sh1)가 관통되고,
    상기 선회캠(23)의 타단은 상기 연결바(10)의 단부에 각각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의 푸쉬-풀 구조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21)가 하강되면, 상기 선회캠(23)도 선회슬릿(S1)을 따라 하강하여, 상기 선회캠(23)의 타단에 연결된 상기 연결바(10)를 직선으로 이동시켜, 상기 연결바(10)의 단부에 장착된 랙부재(12)를 직선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회동기어(31)을 일측방향으로 선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의 푸쉬-풀 구조체.
  6. 사용자가 도어락 본체(300)의 핸들부재(100)를 밀어 상기 핸들부재(100)가 제1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도어락이 해정되어 문을 개방할 수 있도록 한 도어락의 푸쉬-풀 구조체로서,
    상기 핸들부재(100)의 서로 다른 복수의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제1방향에 수직한 제2방향의 이동으로 전환하는 복수의 링크부재(210,220);
    상기 복수의 링크부재(210,220)에 연결되어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연결바(10); 및
    상기 제2방향에 따른 상기 연결바(10)의 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함으로써 모티스의 작동에 필요한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운동 전환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의 푸쉬-풀 구조체.
KR1020130001230A 2013-01-04 2013-01-04 도어락의 푸쉬-풀 구조체 KR101360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230A KR101360100B1 (ko) 2013-01-04 2013-01-04 도어락의 푸쉬-풀 구조체
PCT/KR2014/000055 WO2014107048A1 (ko) 2013-01-04 2014-01-03 푸쉬-풀 도어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230A KR101360100B1 (ko) 2013-01-04 2013-01-04 도어락의 푸쉬-풀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0100B1 true KR101360100B1 (ko) 2014-02-24

Family

ID=50270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1230A KR101360100B1 (ko) 2013-01-04 2013-01-04 도어락의 푸쉬-풀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01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4563A (ko) 2016-07-04 2018-01-12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푸시-풀 구조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78839B2 (en) 2003-06-09 2007-02-20 Imperial Usa, Ltd. Latch assembly for sliding doors
US20080203862A1 (en) 2003-05-23 2008-08-28 Benito Sevillano Gil Blocking System For Furniture Drawers
JP2012154089A (ja) 2011-01-26 2012-08-16 Sroad Co Ltd プッシュプル錠用ドアハンド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03862A1 (en) 2003-05-23 2008-08-28 Benito Sevillano Gil Blocking System For Furniture Drawers
US7178839B2 (en) 2003-06-09 2007-02-20 Imperial Usa, Ltd. Latch assembly for sliding doors
JP2012154089A (ja) 2011-01-26 2012-08-16 Sroad Co Ltd プッシュプル錠用ドアハンド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4563A (ko) 2016-07-04 2018-01-12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푸시-풀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72722B2 (en) Multiple point door locking system
KR101871838B1 (ko) 디지털 도어락
US20100213724A1 (en) Multiple point door locking system, with handle turning direction control
TW201901005A (zh) 裝設於雙扇門的鎖具構造
CN101871284A (zh) 一种机电一体化的防盗锁锁体
KR101271518B1 (ko) 당김형 도어락 장치
KR101631687B1 (ko) 푸쉬-풀 도어락의 연결 구조체
KR200488399Y1 (ko) 모티스 샤프트 직접 구동형 푸쉬풀 핸들을 갖는 도어락
KR101370517B1 (ko) 푸쉬-풀 도어락의 강제해정 방지 구조체
KR101360100B1 (ko) 도어락의 푸쉬-풀 구조체
KR101383289B1 (ko) 푸쉬-풀 구조의 도어락의 내부 강제잠금 구조체
US11118374B2 (en) Straight action flush lock for casement window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1256040B1 (ko) 슬라이딩 도어 핸들
WO2014107048A1 (ko) 푸쉬-풀 도어락
KR100788103B1 (ko) 차량용 도어의 투-모션 래치 구조
KR101887640B1 (ko) 창호의 자동 록킹장치
KR101467284B1 (ko) 래치볼트 고정레버의 작동장치
KR20140137929A (ko)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도어락의 회전 조립체
KR100834212B1 (ko) 연결 구조가 개선된 슬라이딩 도어의 도어 래치
JP5296576B2 (ja) 門扉の係止装置および門扉
KR101962436B1 (ko) 클러치 구조를 갖는 모티스의 회전 조립체
KR101417841B1 (ko) 도어락용 푸쉬-풀 구조의 완충구조체
CN110952838A (zh) 一种双向联动解锁的转块及具有该转块的锁体
CN210976951U (zh) 一种内外离合可换向的锁体
KR102654720B1 (ko) 자동잠금 작동 및 해제의 스위칭이 가능한 슬라이딩 창호의 핸들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