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6575A - 민대극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민대극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6575A
KR20210076575A KR1020190167934A KR20190167934A KR20210076575A KR 20210076575 A KR20210076575 A KR 20210076575A KR 1020190167934 A KR1020190167934 A KR 1020190167934A KR 20190167934 A KR20190167934 A KR 20190167934A KR 20210076575 A KR20210076575 A KR 202100765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ndaegeuk
extract
atopic dermatitis
powder
dr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7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6909B1 (ko
Inventor
김진규
이종석
서찬곤
김판수
김우중
김훈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Priority to KR1020190167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6909B1/ko
Publication of KR20210076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6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6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6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7Euphorbiaceae (Spurge family), e.g. Ricinus (castorbe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4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lyophilisation, freeze-dr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rd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민대극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건조된 민대극을 분쇄하여 민대극 분말을 얻는 민대극 분말 제조 단계, 건조된 민대극 분말을 추출 용매에 침지시켜 민대극 추출액을 얻는 추출 단계, 및 민대극 추출액을 여과하고 감압 농축시킨 후 동결 건조하여 고형상 민대극 추출물을 얻는 동결 건조 단계를 포함하는 과정에 의해서 얻은 민대극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약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민대극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COMPRISING EUPHORBIA EBRACTEOLATA EXTRACT}
본 발명은 민대극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약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민대극(Euphorbia ebracteolata)은 대극과의 여러해살이 풀로 새순이 붉은색이라 붉은대극이라고도 불리며 키는 40-50cm로 자라며 줄기 마디에 1장씩 잎이 달리며, 가지는 줄기 밑에서 우산모양으로 퍼지는데 긴 타원형으로 끝이 무디고 길이는 9-10cm, 폭은 1.5cm 정도이다. 3월초에 붉은색의 새싹이 나와 하순경에 검붉은색과 연녹색의 두 가지 꽃이 핀다. 우리나라 강원도 저지대 풀밭과 전라도 지역의 숲 속에서 드물 게 자라는데 이른 봄에 땅으로부터 올라오는 새순이 꽃게의 다리처럼 붉은색을 띠며 암꽃과 수꽃에 소포엽이 없다는 뜻에서 '민대극'이라고도 부른다. 대극과 달리 씨방에 돌기물이 없고, 잎을 자르면 흰색의 즙액이 나오는데, 뿌리쪽에 상처를 내면 초록빛이 도는 노란 형광색의 액이 흘러나온다.
한방에서는 낭독의 대용으로 임파결핵, 골결핵, 만성기관지염 등의 치료약으로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민대극과 관련하여, 한국특허 제10-1332824호에서는 유효성분으로서 민대극(Euphorbia ebracteolata)에서 추출한 인제놀-3-팔미테이트(Ingenol-3-palmitate) 또는 인제놀-3-미리스티네이트(Ingenol-3-myristinate)를 함유하는 염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지만, 이를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에 대해서는 기재된바 없다.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는 그 근원을 찾아 치료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완치를 목표로 하기 보다는 유발인자를 피하고 적절한 치료를 통해 아토피 피부염의 증상을 조절해 나가는 것이 일반적이다.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처방은 스테로이드제, 항히스타민제, 항생제 등과 같은 약물요법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스테로이드제(부신피질호르몬제)는 크게 소염작용과 면역억제 작용이 있으며 효과가 우수하지만, 장기간 바르면 피부약화, 전신 호르몬증상, 중독성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항히스타민제는 비만세포에서 히스타민이 유리되지 못하도록 하여 가려운 증상을 경감시키나 임시방편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장기간 복용시 불면, 불안, 식욕감퇴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세라마이드를 함유하여 보습력이 강화된 로션들이 선호되고 있으나 이 또한 빈번한 도포를 필요로 하며 일시적인 건조화 증상 완화의 효과를 나타낼 뿐이어서 부작용을 수반하지 않고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치료제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아토피피부염의 중증도를 평가하기 위한 수많은 실험적, 임상적 지표들은 가장 선택적이고 객관적인 지표를 정의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지만, 최근 흉선 및 활성화-조절 케모카인(thymus and activation-regulated chemokine(TARC); CCL17)이 아토피피부염의 중증도를 평가하는 객관적인 지표로 사용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아토피피부염 환자의 혈청에서 TARC 수준이 현저하게 증가하며, 질환의 심각도와 연관성이 있다는 것이 보고되고 있기 때문에, 이를 활용하여 아토피 개선 효능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종래 기술 문헌]
[특허 문헌]
(특허 문헌) 한국특허 공보 제10-1332824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민대극 지상부를 이용하여 아토피 피부염을 개선하는 천연 소재를 찾고자 연구를 진행하던 중 민대극 추출물이 아토피 피부염 개선에 효능이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민대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약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민대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약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약제 조성물이 아토피 피부염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 적용되는 경우에,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개선 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밝혀졌다.
도 1은 리포다당류(Lipopolysaccharide: LPS)로 염증이 유도된 RAW 264.7 세포의 산화질소(nitric oxide, NO) 억제활성을 평가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리포다당류(LPS)로 염증이 유도된 RAW 264.7 세포의 인터루킨-1β 억제활성을 평가한 그래프이다.
도 3은 UVB로 아토피가 유도된 HaCaT 세포의 흉선 활성화-조절 케모카인(thymus activation-related chemokine(TARC); CCL17) 억제활성을 평가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민대극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건조된 민대극을 분쇄하여 민대극 분말을 얻는 민대극 분말 제조 단계, 건조된 민대극 분말을 건조된 민대극 분말의 중량의 약 10배 중량의 추출 용매에 침지시켜 민대극 추출액을 얻는 추출 단계, 및 민대극 추출액을 여과하고 감압 농축시킨 후 동결 건조하여 고형상 민대극 추출물을 얻는 동결 건조 단계를 포함하는 과정에 의해서 얻은 민대극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민대극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로서, 건조된 민대극을 분쇄하여 민대극 분말을 얻는 민대극 분말 제조 단계, 건조된 민대극 분말을 건조된 민대극 분말의 중량의 약 10배 중량의 추출 용매에 침지시켜 민대극 추출액을 얻는 추출 단계, 및 민대극 추출액을 여과하고 감압 농축시킨 후 동결 건조하여 고형상 민대극 추출물을 얻는 동결 건조 단계를 포함하는 과정에 의해서 얻은 민대극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약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민대극은 민대극의 지상부 및 뿌리부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지상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채취한 민대극을 물로 세척 및 건조시켜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추출 단계는 24시간 동안 추출하는 과정을 2회 이상 반복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 단계에서, 추출 용매는 물 또는 에탄올 등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70% 에탄올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민대극 분말 제조 단계에서의 분쇄는 본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공정에 따라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동결 건조 단계는 본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공정에 따라서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는, 건조된 민대극을 분쇄하여 민대극 분말을 얻는 민대극 분말 제조 단계, 건조된 민대극 분말을 건조된 민대극 분말의 중량의 10배 중량의 70% 에탄올에 침지시켜 민대극 추출액을 얻는 추출 단계, 및 민대극 추출액을 여과하고 감압 농축시킨 후 동결 건조하여 고형상 민대극 추출물을 얻는 동결 건조 단계에 의해서 민대극 추출물은 얻는다.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된 민대극 추출물은 본 발명의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약제 조성물에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1 내지 2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민대극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약제 조성물의 경우에, 그러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약제 조성물은 피부에의 적용을 위해서 수렴화장수, 유연화장수, 영양 에센스, 크림, 화운데이션, 샴푸, 팩, 비누, 클렌징 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및 유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형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이 더욱 구체적으로 기재될 것이다. 그러나,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단지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써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민대극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민대극 지상부 분말 100g에 10배 중량의 70% 에탄올을 첨가하고 24시간 침지하고 2회 반복 추출하고 여과한 뒤, 그 여과액을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고형상의 민대극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민대극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의 평가
<실험예 1> ABTS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의 평가
ABTS 라디칼을 이용한 항산화능의 측정은 과황산칼륨(potassium persulfate)와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ABTS 유리 라디칼이 추출물 내의 항산화 물질에 의해 제거되어 라디칼 특유의 색인 청록색이 탈색되는 것을 이용한 방법으로 7.4 mM ABTS 용액과 2.6 mM 과황산칼륨 용액을 12시간 이상 암소에 방치하여 청록색 라디칼을 형성시킨 다음, 734 nm에서 흡광도 값이 1.5가 되도록 증류수로 희석하여 제조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이 용액에 농도별로 희석된 시료 10 μL를 가한 후 상온에서 30분간 반응시켜 반응액의 흡광도 변화를 734 nm에서 측정하였으며, 결과는 아스코르빈산 당량 항산화력(Ascorbic acid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AEAC)로 나타내었다.
시료의 항산화력 (Ascorbic acid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AEAC, mg/g)
= (블랭크 O.D-샘플 O.D)/(블랭크 O.D-아스코르빈산 O.D)×아스코르빈산 농도(μg/mL)
- 블랭크 O.D(Blank O.D): 시료대신 부형제 첨가군의 흡광도
- 샘플 O.D : 시료 첨가군의 흡광도
- 아스코르빈산 : 아스코르빈산 첨가군의 흡광도
- 아스코르빈산 농도 : 실험에 사용되었던 아스코르빈산의 농도 (μg/mL)
<실험예 2> DPPH 자유라디칼 소거활성
0.2 mM DPPH 라디칼 용액(200 μL)에 시료 10 μL를 가한 후 상온에서 30분간 반응시켜 반응액의 흡광도 변화를 514 nm에서 측정하였다. 결과는 위에서 설명한 계산법과 같은 AEAC 값으로 나타내었다.
항산화력(AEAC)
아스코르빈산 당량 항산화력(AEAC)
ABTS(mg/g)
민대극 추출물 1005.8±38.4
아스코르빈산 1080.0±13.3
항산화 결과
ABTS 자유라디칼을 이용한 항산화력 평가결과에서는 민대극 추출물과 대조구인 아스코르빈산에서 각각 1005.8 및 1080.0 mg AEAC/g로 민대극 추출물이 대조구와 유사한 항산화력 결과를 보여주었다. 대조구인 아스코르빈산의 경우 순도 99% 이상의 특급시약품을 사용하였고, 이미 라디칼 소거활성 등의 항산화 및 항노화 활성의 평가시 대조군으로 사용되거나 식품, 의약품 및 화장품 소재로 산업적으로 널리 활용되는 항산화 소재이다.
<실험예 3> 항염증 활성 평가
마우스 대식세포(mouse macrophage) 세포주인 RAW 264.7 세포는 한국세포주은행에서 구입하였으며, 10% FBS와 1% P/S이 첨가된 DMEM 배지를 사용하였으며, 37℃, 5% CO2 조건이 유지되는 배양기에서 2~3일에 한 번씩 계대배양하며 실험에 사용하였다.
RAW 264.7 세포는 1×106cells/mL로 96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플레이팅(plating)하고 37℃, 5% CO2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하여 세포를 안정화시켰다.
이후 배양 배지는 모두 제거하고 0.2% FBS와 1% P/S가 함유된 DMEM 배지 160 μL와 희석된 시료 20 μL를 첨가하였으며, 30분 후 염증유발 물질로 LPS(1 μg/mL)를 가한 뒤 24시간동안 재배양 하였다.
세포배양 상등액으로 유리된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인터루킨-1β(IL-1β) 및 인터루킨-6(IL-6)의 함량은 각각의 샌드위치 ELISA로 측정하였으며, 산화질소(nitric oxide, NO)의 함량은 Griess법으로 측정하였다.
시료에 의한 세포독성 평가는 MTT법으로 측정하였으며, 독성이 없는 농도에서 효능을 평가하였다.
ELISA법을 통해 분석된 IL-1β 및 IL-6의 함량은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동결건조된 재조합 표준 단백질(Lyophilized recombinant standard protein)을 통해 작성된 표준곡선을 통해 각각 생성량(pg/mL)으로 계산되었으며, NO의 함량은 아질산나트륨(sodium nitrite: NaNO2)를 통해 μM로 정량하였다.
결과는 평균과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를 산출하고 평균치±SD로 나타내었으며, 실험결과에 대한 통계분석은 SPSS 통계프로그램(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Ver. 12.0, SPSS Inc., Chicago, IL, USA)을 이용한 Student's t-test로 계산하여 각각 p<0.05, p<0.01 및 p<0.001 수준에서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실험예 4> 항아토피 효능의 평가
항아토피 활성 평가를 위한 HaCaT 인간 피부 각질세포(human skin keratinocyte)는 10% FBS와 1% P/S가 첨가된 DMEM 배지(이하 HaCaT 배양배지)를 사용하였으며, 37℃, 5% CO2조건이 유지되는 배양기에서 2~3일에 한번씩 계대배양하며 실험에 사용하였다.
HaCaT 세포는 1×105cells/mL로 96-웰 플레이트에 플레이팅하고 37℃,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여 세포를 안정화시켰으며, 24시간 후 배지 상등액은 모두 제거한 다음 PBS 40 μL를 첨가하고 UV 조사장치에 위치시키고 20 mJ/cm2의 광량으로 UVB(312 nm)를 조사하였다.
이후 PBS를 제거하고 새로운 HaCaT 배양배지 180 μL와 희석된 시료 20 μL를 첨가한 뒤 48시간동안 재 배양하였다.
배양 상등액만을 회수하고 상등액으로 유리된 아토피성 케모카인인 흉선 활성화-조절 케모카인(TARC; CCL17)의 함량은 ELISA를 통해 측정하였으며, 재조합 TARC 단백질를 통해 작성된 표준곡선을 통해 생성량(pg/mL)으로 계산하였다.
결과는 평균과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를 산출하고 평균치±SD로 나타내었으며, 실험결과에 대한 통계분석은 SPSS 통계프로그램(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Ver. 12.0, SPSS Inc., Chicago, IL, USA)을 이용한 Student's t-test로 계산하여 각각 p<0.05, p<0.01 및 p<0.001 수준에서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도 1은 리포다당류(LPS)로 염증이 유도된 RAW 264.7 세포의 산화질소(nitric oxide, NO) 억제활성을 평가한 그래프이다.
LPS로 염증이 유도된 RAW 264.7 세포의 산화질소(nitric oxide, NO) 생성 억제활성은 12.5~50 μg/mL의 농도범위에서 확인되었다. 민대극 추출물은 LPS 처리로 증가된 산화질소의 생성을 농도-의존적인 경향으로 억제하였으며, 특히 25~50 μg/mL의 농도구간에서는 LPS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도 2는 리포다당류(LPS)로 염증이 유도된 RAW 264.7 세포의 인터루킨-1β 억제활성을 평가한 그래프이다.
LPS로 염증이 유도된 RAW 264.7 세포의 인터류킨-1β(IL-1β) 생성 억제활성은 12.5~50 μg/mL의 농도범위에서 확인되었다. 민대극 추출물은 LPS 처리로 증가된 IL-1β의 생성을 농도-의존적인 경향으로 억제하였으며, 모든 농도구간에서 LPS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활성으로 나타났다.
도 3은 UVB로 아토피가 유도된 HaCaT 세포의 흉선 활성화-조절 케모카인(TARC; CCL17) 억제활성을 평가한 그래프이다.
자외선(UVB)으로 아토피가 유도된 HaCaT 세포의 흉선 활성화-조절 케모카인(TARC/CCL17) 생성 억제활성은 6.25~50 μg/mL의 농도범위에서 확인되었다. 민대극 추출물은 증가된 TARC의 생성을 농도-의존적인 경향으로 억제하였으며, 특히 12.5~50 μg/mL의 농도구간에서 UVB 처리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Claims (8)

  1. 민대극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건조된 민대극을 분쇄하여 민대극 분말을 얻는 민대극 분말 제조 단계,
    건조된 민대극 분말을 건조된 민대극 분말의 중량의 10배 중량의 추출 용매에 침지시켜 민대극 추출액을 얻는 추출 단계, 및
    민대극 추출액을 여과하고 감압 농축시킨 후 동결 건조하여 고형상 민대극 추출물을 얻는 동결 건조 단계를 포함하는 과정에 의해서 얻은 민대극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추출 용매가 70% 에탄올인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건조된 민대극 분말이 건조된 민대극 지상부 분말인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추출 단계가 건조된 민대극 분말을 민대극 분말의 중량의 10배 중량의 70% 에탄올에 24 시간 동안 침지시킴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민대극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약제 조성물로서,
    건조된 민대극을 분쇄하여 민대극 분말을 얻는 민대극 분말 제조 단계,
    건조된 민대극 분말을 건조된 민대극 분말의 중량의 10배 중량의 추출 용매에 침지시켜 민대극 추출액을 얻는 추출 단계, 및
    민대극 추출액을 여과하고 감압 농축시킨 후 동결 건조하여 고형상 민대극 추출물을 얻는 동결 건조 단계를 포함하는 과정에 의해서 얻은 민대극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약제 조성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추출 용매가 70% 에탄올인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약제 조성물.
  7. 청구항 5에 있어서,
    건조된 민대극 분말이 건조된 민대극 지상부 분말인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약제 조성물.
  8. 청구항 5에 있어서,
    추출 단계가 건조된 민대극 분말을 민대극 분말의 중량의 10배 중량의 70% 에탄올에 24 시간 동안 침지시킴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약제 조성물.
KR1020190167934A 2019-12-16 2019-12-16 민대극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16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934A KR102316909B1 (ko) 2019-12-16 2019-12-16 민대극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934A KR102316909B1 (ko) 2019-12-16 2019-12-16 민대극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575A true KR20210076575A (ko) 2021-06-24
KR102316909B1 KR102316909B1 (ko) 2021-10-25

Family

ID=76607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7934A KR102316909B1 (ko) 2019-12-16 2019-12-16 민대극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69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1609B1 (ko) 2021-12-29 2023-09-22 김원주 알리신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3610A (ko) * 2012-05-29 2013-12-09 한국식품연구원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레르기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3610A (ko) * 2012-05-29 2013-12-09 한국식품연구원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레르기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6909B1 (ko) 2021-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8012B1 (ko) 홍삼 먹인 달팽이 점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47833B1 (ko)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98400B1 (ko) 홍삼 먹인 달팽이 점액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01621B1 (ko) 복사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20220058361A (ko) 천연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보습 및 피부 가려움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69096B1 (ko) 피부보습용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16909B1 (ko) 민대극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119967A (ko) 에키네시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73950B1 (ko) 진피 및 편백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황사 또는 미세먼지로부터 유발되는 피부 염증 완화용 또는 피부 색소 침착 개선용 조성물
KR101834795B1 (ko) 초음파 병행 저온 압착법으로 추출된 흰목이버섯과 참마 혼합추출물이 포접된 나노리포좀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92856A (ko)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64428B1 (ko) 약용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염증 완화용 화장료조성물
KR20180087479A (ko) 감꼭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장벽강화용 조성물
EP4003282B1 (en) Treatment of aging or uv-damaged skin
JP2024506893A (ja) ブラジルナッツノキ抽出物及びその使用
KR102272237B1 (ko) 천연물을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 개선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0553810B1 (ko) 질경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220112636A (ko) 천연 유래 추출물을 함유하는 각질 하층부 수분 함유량 개선에 도움을 주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15202B1 (ko) 식물 당단백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20200064204A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
KR101698924B1 (ko) 식물 당단백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1981692B1 (ko) 희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진정, 피부보습 또는 피부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058240A (ko) 천연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보습 및 피부 가려움증 개선용 크림 조성물
KR20100023372A (ko) 여우구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im et al. The protective effect of alfalfa (Medicago sativa L.) seed extract containing polysaccharides on human keratinocytes and fibroblas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