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6126A - 단자대 - Google Patents

단자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6126A
KR20210076126A KR1020217015133A KR20217015133A KR20210076126A KR 20210076126 A KR20210076126 A KR 20210076126A KR 1020217015133 A KR1020217015133 A KR 1020217015133A KR 20217015133 A KR20217015133 A KR 20217015133A KR 20210076126 A KR20210076126 A KR 20210076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electric wire
connecting line
terminal pair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5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7934B1 (ko
Inventor
도모카즈 이케다
기요카즈 마츠나가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76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6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7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7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2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compon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6Clip-on terminal blocks for side-by-side rail- or strip-mounting
    • H01R9/2625Clip-on terminal blocks for side-by-side rail- or strip-mounting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9/2633Clip-on terminal blocks for side-by-side rail- or strip-mounting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16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wires or cables connected to terminal b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91Terminal block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lugs or sockets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단자대가, 베이스와, 베이스에 마련된 지지체와, 지지체에 각각 지지된 제1 단자 쌍, 제2 단자 쌍 및 제3 단자 쌍을 구비한다. 제1 단자 쌍의 제1 접속 단자 및 제2 접속 단자를 접속하는 제1 전선의 연결선이 제1 직선을 따라 배치되고, 제2 단자 쌍의 제1 접속 단자 및 제2 접속 단자를 접속하는 제2 전선의 연결선이 제2 직선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베이스가, 제1 전선의 연결선과 제2 전선의 연결선의 사이를 통과하여 제3 단자 쌍의 제1 접속 단자 및 제2 접속 단자를 접속하는 제3 전선의 연결선까지 연장되고, 제3 전선의 연결선을 지지하는 지지 돌기를 갖고 있다.

Description

단자대
본 개시는, 예를 들어 전자 계전기를 접속 가능한 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소켓 본체와, 이 소켓 본체의 내부에 수용된 복수의 외부 접속 단자 및 복수의 압접 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각 외부 접속 단자는, 릴레이의 각 단자가 압입됨과 함께, 리드선을 통해 대응하는 하나의 압접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3-346939호 공보
최근의 전자 계전기의 다양화에 수반하여, 릴레이가 접속되는 소켓 장치도 다양화에 대응할 것이 요청되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소켓 장치에서는, 압접 단자가 높이 방향으로 상하 2단으로 배치되어 있지만, 압접 단자가 상하 3단 이상으로 배치된 소켓 장치의 실현이 요청되고 있다.
본 개시는, 접속 단자가 3단 이상으로 배치된 단자대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개시의 일례의 단자대는,
설치면을 갖는 절연성의 베이스와,
상기 설치면 상에 마련된 절연성의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각각 지지된 제1 단자 쌍, 제2 단자 쌍 및 제3 단자 쌍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단자 쌍, 상기 제2 단자 쌍 및 상기 제3 단자 쌍의 각각이, 제1 접속 단자 및 제2 접속 단자를 각각 가지며, 상기 제1 단자 쌍의 상기 제1 접속 단자 및 상기 제2 접속 단자가, 제1 전선에 의해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2 단자 쌍의 상기 제1 접속 단자 및 상기 제2 접속 단자가, 제2 전선에 의해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3 단자 쌍의 상기 제1 접속 단자 및 상기 제2 접속 단자가, 제3 전선에 의해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1 단자 쌍의 상기 제1 접속 단자, 상기 제2 단자 쌍의 상기 제1 접속 단자, 상기 제3 단자 쌍의 상기 제1 접속 단자, 상기 제3 단자 쌍의 상기 제2 접속 단자, 상기 제1 단자 쌍의 상기 제2 접속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 쌍의 상기 제2 접속 단자의 순으로, 상기 설치면을 따른 제1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제1 단자 쌍, 상기 제2 단자 쌍 및 상기 제3 단자 쌍이, 상호 전기적으로 독립하여 배치되어 있는 단자대이며,
상기 제1 단자 쌍의 상기 제1 접속 단자, 상기 제2 단자 쌍의 상기 제1 접속 단자 및 상기 제3 단자 쌍의 상기 제1 접속 단자는, 상기 제1 단자 쌍의 상기 제1 접속 단자로부터 상기 제3 단자 쌍의 상기 제1 접속 단자를 향함에 따라서, 상기 설치면에 교차하는 제2 방향에 있어서 상기 설치면으로부터 멀어지는 계단 형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전선, 상기 제2 전선 및 상기 제3 전선의 각각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접속 단자에 접속된 제1 접속선과,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접속 단자에 접속된 제2 접속선과,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지지체의 사이에 마련된 전선 통로부에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접속선 및 상기 제2 접속선을 연결하는 연결선을 갖고,
상기 제1 전선의 상기 연결선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직선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2 전선의 상기 연결선이, 상기 제1 직선에 대하여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2 직선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1 전선의 상기 연결선과 상기 제3 전선의 상기 연결선의 사이에 상기 제2 전선의 상기 연결선이 배치되고, 상기 제1 전선의 상기 연결선이, 상기 제3 전선의 상기 연결선보다도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 상기 설치면의 근처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가, 상기 설치면으로부터 상기 제1 전선의 상기 연결선과 상기 제2 전선의 상기 연결선의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제3 전선의 상기 연결선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3 전선의 상기 연결선을 지지하는 지지 돌기를 갖고 있다.
상기 단자대에 의하면, 제1 단자 쌍의 제1 접속 단자, 제2 단자 쌍의 제1 접속 단자 및 제3 단자 쌍의 제1 접속 단자가 계단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단자 쌍의 제1 접속 단자 및 제2 접속 단자를 접속하는 제1 전선의 연결선과, 제3 단자 쌍의 제1 접속 단자 및 제2 접속 단자를 접속하는 제3 전선의 연결선의 사이에, 제2 단자 쌍의 제1 접속 단자 및 제2 접속 단자를 접속하는 제2 전선의 연결선이 배치되고, 제1 전선의 연결선이, 제3 전선의 연결선보다도 제2 방향에 있어서 설치면의 근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가, 설치면으로부터 제1 전선의 연결선과 제2 전선의 연결선의 사이를 통과하여 제3 전선의 연결선까지 연장되고, 제3 전선의 연결선을 지지하는 지지 돌기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각 단자 쌍의 제1 접속 단자가, 제2 방향의 위치가 다른 3단 이상으로 배치된 단자대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의 단자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단자대의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저면도.
도 4는 도 1의 단자대의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측면도.
이하, 본 개시의 일례를 첨부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필요에 따라서 특정한 방향 혹은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예를 들어, 「상」, 「하」, 「우」, 「좌」를 포함하는 용어)를 사용하지만, 이들 용어의 사용은 도면을 참조한 본 개시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며, 이들 용어의 의미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설명은, 본질적으로 예시에 불과하며, 본 개시, 그 적용물, 혹은 그 용도를 제한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은 모식적인 것으로,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반드시 합치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의 단자대(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성의 하우징(10)과, 절연성의 지지체(20)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0)은, 예를 들어 대략 직육면체의 상자 형상이며, 그 내부에 지지체(20)가 수용되어 있다. 지지체(20)에는, 상호 전기적으로 독립하여 배치된 복수의 단자 쌍이 지지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단자대(1)는, 복수의 단자 쌍으로서, 2조의 제1 단자 쌍(30), 제2 단자 쌍(40) 및 제3 단자 쌍(50)을 갖고 있다. 2조의 제1 단자 쌍(30), 제2 단자 쌍(40) 및 제3 단자 쌍(50)은, 하우징(10)의 긴 쪽 방향 X로 연장되는 중심선 CL(도 3에 도시함)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1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면(13)을 갖는 베이스(11)와, 설치면(13)을 덮는 커버(12)를 갖고 있다.
베이스(11)는, 대략 직사각형의 판형이며, 그 설치면(13)에 지지체(20)가 마련되어 있다. 베이스(11)는, 후술하는 제3 전선(63)의 연결선(633)을 지지하는 지지 돌기(111)를 갖고 있다. 지지 돌기(111)는, 대략 직사각형의 판형을 갖고, 설치면(13)의 그 긴 쪽 방향에 있어서의 제1 단자 쌍(30)의 후술하는 제1 접속 단자(31)와 제2 접속 단자(32)의 사이에 배치되고, 설치면(13)으로부터, 제1 전선(61)의 연결선(613)과 제2 전선(62)의 연결선(623)의 사이를 통과하여(도 3 참조), 제3 전선(63)의 연결선(633)까지 연장되어 있다. 지지 돌기(111)에는, 판면으로부터 제2 전선(62)의 연결선(623)을 향해 돌출되는 2개의 돌출부(112)가 마련되어 있다. 각 돌출부(112)는, 설치면(13)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 돌출부(112)는, 설치면(13)으로부터 먼 쪽의 단부에서 제2 전선(62)의 연결선(623)을 지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도 3 및 도 4 참조).
커버(12)는, 하우징(10)의 내부의 각 단자 쌍(30, 40, 50)에, 전자 계전기(100)의 단자를 접속하기 위한 복수의 제1 개구(14)와, 외부 배선(110)을 접속하기 위한 복수의 제2 개구(15)를 갖고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개구(14) 및 제2 개구(15)는, 커버(12)의 설치면(13)에 대향하는 접속면(16)에 각각 6개씩 마련되어 있다. 제1 개구(14)의 각각은, 접속면(16)의 긴 쪽 방향(즉, 하우징(10)의 긴 쪽 방향 X)의 대략 중앙부에 배치되고, 접속면(16)의 긴 쪽 방향 X를 따라 나열된 3개의 제1 개구(14)의 열이, 접속면(16)의 짧은 쪽 방향 Y로 간격을 두고 2개 마련되어 있다. 제2 개구(15)의 각각은, 접속면(16)의 긴 쪽 방향의 일단부에 배치되고, 제1 개구(14)와 마찬가지로, 접속면(16)의 긴 쪽 방향 X를 따라 나열된 3개의 제2 개구(15)의 열이, 접속면(16)의 짧은 쪽 방향 Y로 간격을 두고 2개 마련되어 있다.
각 단자 쌍(30, 40, 5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접속 단자(31, 41, 51) 및 제2 접속 단자(32, 42, 52)를 각각 갖고 있다. 각 제1 접속 단자(31, 41, 51)는, 외부 배선(110)이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고, 커버(12)의 제2 개구(15) 근방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각각 제2 접속 단자(32, 42, 52)는, 전자 계전기(100)의 단자가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고, 커버(12)의 제1 개구(14) 근방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제1 단자 쌍(30)의 제1 접속 단자(31) 및 제2 접속 단자(32)는, 제1 전선(61)에 의해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2 단자 쌍(40)의 제1 접속 단자(41) 및 제2 접속 단자(42)는, 제2 전선(62)에 의해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3 단자 쌍(50)의 제1 접속 단자(51) 및 제2 접속 단자(52)가, 제3 전선(63)에 의해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단자 쌍(30, 40, 50)의 제1 접속 단자(31, 41, 51) 및 제2 접속 단자(32, 42, 52)는, 제1 방향 X(즉, 하우징(10)의 긴 쪽 방향)를 따라 하우징(10)의 제1 방향 X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해서, 제1 단자 쌍(30)의 제1 접속 단자(31), 제2 단자 쌍(40)의 제1 접속 단자(41), 제3 단자 쌍(50)의 제1 접속 단자(51), 제3 단자 쌍(50)의 제2 접속 단자(52), 제1 단자 쌍(30)의 제2 접속 단자(32) 및 제2 단자 쌍(40)의 제2 접속 단자(42)의 순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단자 쌍(30)의 제1 접속 단자(31), 제2 단자 쌍(40)의 제1 접속 단자(41) 및 제3 단자 쌍(50)의 제1 접속 단자(51)는, 제1 단자 쌍(30)의 제1 접속 단자(31)로부터 제3 단자 쌍(50)의 제1 접속 단자를 향함에 따라서, 제2 방향 Z(즉, 설치면(13)에 교차(예를 들어,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설치면(13)으로부터 멀어지는 계단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1 전선(61), 제2 전선(62) 및 제3 전선(63)의 각각은, 예를 들어 대략 C자의 막대 형상이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방향 Z로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제1 접속선(611, 621, 631) 및 제2 접속선(612, 622, 632)과, 제1 방향 X로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제1 접속선 및 제2 접속선을 연결하는 연결선(613, 623, 633)을 갖고 있다. 각 제1 접속선(611, 621, 631)은, 연장 방향의 일단이 제1 접속 단자(31, 41, 51)에 접속되고, 연장 방향의 타단이 연결선(613, 623, 633)에 접속되어 있다. 각 제2 접속선(612, 622, 632)은, 연장 방향의 일단이 제2 접속 단자(32, 42, 52)에 접속되고, 연장 방향의 타단이 연결선(613, 623, 633)에 접속되어 있다.
제1 전선(61)의 연결선(613)은, 베이스(11)의 설치면(13)을 따라 배치되고, 제3 전선(63)의 연결선(633)은, 후술하는 전선 통로부(17)를 구성하는 지지체(20)의 저면(201)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전선(61)의 연결선(613)과 제3 전선(63)의 연결선(633)의 사이에 제2 전선(62)의 연결선(623)이 배치되고, 제2 방향 Z에 있어서, 제1 전선(61)의 연결선(613)이 제3 전선(63)의 연결선(633)보다도 설치면(13)의 근처에 배치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0) 내부의 제2 방향 Z에 있어서의 베이스(11)와 지지체(20)의 사이에는, 전선 통로부(17)가 마련되어 있다. 각 전선(61, 62, 63)의 연결선(613, 623, 633)은, 이 전선 통로부(17)에 배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전선(61)의 연결선(613)은, 제1 방향 X로 연장되는 제1 직선 L1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제2 전선(62)의 연결선(623)은, 제1 직선 L1에 대하여 제1 방향 X 및 제2 방향 Z에 교차(예를 들어, 직교)하는 제3 방향 Y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2 직선 L2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전선(61)의 연결선(613)을 제1 직선 L1을 따라 배치하고, 제2 전선(62)의 연결선(623)을 제2 직선 L2를 따라 배치함으로써, 제1 전선(61)의 연결선(613)과 제2 전선(62)의 연결선(623) 사이의 절연을 확보하고 있다.
제3 전선(63)의 연결선(633)은, 제1 접속선(631) 측의 단부가 제1 직선 L1 상에 배치되고, 제2 접속선(632)측의 단부가 제2 직선 L2 상에 배치되고, 제1 직선 L1 및 제2 직선 L2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3 전선(63)의 연결선(633)을 제1 직선 L1 및 제2 직선 L2에 교차하도록 배치함으로써, 베이스(11)의 지지 돌기(111)의 제3 전선(63)에 대한 지지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3은, 각 단자 쌍(30, 40, 50)을 지지한 지지체(20)를 도 2의 화살표 A 방향에서 본 저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체(20)는, 전선 통로부(17)에 배치되어, 제1 전선(61)의 제2 접속선(612)을 둘러싸는 절연성의 제1 커버 벽부(21)와, 제3 전선(63)의 연결선(633)의 제2 접속선(632)측의 단부(634)를 둘러싸는 절연성의 제2 커버 벽부(22)를 갖고 있다. 또한, 도 4는, 각 단자 쌍(30, 40, 50)을 지지한 지지체(20)를 도 3의 화살표 B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제1 커버 벽부(21)는, 대략 직육면체형을 갖고, 전선 통로부(17)를 형성하는 지지체(20)의 저면(201)으로부터, 제2 방향 Z를 따라 베이스(11)를 향해서, 제1 전선(61)의 연결선(613)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 제1 커버 벽부(21)에 의해, 제1 전선(61)의 이동을 규제하면서, 제1 전선(61)의 제2 접속선(612)과 제2 전선(62)의 연결선(623) 사이의 절연을 확보하고 있다.
제2 커버 벽부(22)는, 대략 직육면체형을 갖고, 지지체(20)의 저면(201)으로부터, 제2 방향 Z를 따라 베이스(11)를 향해서, 제2 전선(62)의 연결선(623)까지 연장되어 있다. 제2 커버 벽부(22)에는, 제2 방향 Z로 연장됨과 함께 제3 전선(63)의 제1 접속선(631)을 향해서 개구하는 홈(635)을 갖고 있다. 이 제2 커버 벽부(22)에 의해, 제3 전선(63)의 이동을 규제하면서, 제2 전선(62)의 연결선(623)과 제3 전선(63)의 연결선(633) 사이의 절연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지지체(20)는, 전선 통로부(17)에 배치되어, 제2 전선(62)의 제1 접속선(621)을 둘러싸는 절연성의 제3 커버 벽부(23)와, 제2 전선(62)의 제2 접속선(622)을 둘러싸는 절연성의 제4 커버 벽부(24)를 갖고 있다. 제3 커버 벽부(23) 및 제4 커버 벽부(24)의 각각은, 제1 커버 벽부(21)와 마찬가지로, 대략 직육면체형을 갖고, 지지체(20)의 저면(201)으로부터, 제2 방향 Z를 따라 베이스(11)를 향해서, 제1 전선(61)의 연결선(613)까지 연장되어 있다. 제3 커버 벽부(23) 및 제4 커버 벽부(24)의 각각에는, 제2 방향 Z로 연장됨과 함께 제1 방향 X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도록 개구하는 홈(624, 625)을 갖고 있다. 이 제3 커버 벽부(23) 및 제4 커버 벽부(24)에 의해, 제2 전선(62)의 이동을 규제하면서, 제1 전선(61)의 연결선(613)과 제2 전선(62)의 연결선(623) 사이의 절연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대(1)는, 제1 단자 쌍(30), 제2 단자 쌍(40) 및 제3 단자 쌍(50)에 추가하여, 제4 단자 쌍(70)을 구비하고 있다. 제4 단자 쌍(70)은, 다른 단자 쌍(30, 40, 50)과 마찬가지로, 제4 전선(64)에서 접속된 제1 접속 단자(71) 및 제2 접속 단자(72)를 갖고 있다. 하우징(10)의 접속면(16)에는, 제4 전선(64)의 제1 접속 단자(71)에 외부 배선(110)을 접속하기 위한 개구(151)와, 제4 전선(64)의 제2 접속 단자(72)에 전자 계전기(100)의 단자를 접속하기 위한 개구(141)(도 1에 도시함)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단자대(1)에 의하면, 제1 단자 쌍(30)의 제1 접속 단자(31), 제2 단자 쌍(40)의 제1 접속 단자(41) 및 제3 단자 쌍(50)의 제1 접속 단자(51)가, 제1 단자 쌍(30)의 제1 접속 단자(31)로부터 제3 단자 쌍(50)의 제1 접속 단자(51)를 향함에 따라서, 제2 방향 Z에 있어서 설치면(13)으로부터 멀어지는 계단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단자 쌍(30)의 제1 접속 단자(31) 및 제2 접속 단자(32)를 접속하는 제1 전선(61)의 연결선(613)과, 제3 단자 쌍(50)의 제1 접속 단자(51) 및 제2 접속 단자(52)를 접속하는 제3 전선(63)의 연결선(633)의 사이에, 제2 단자 쌍(40)의 제1 접속 단자(41) 및 제2 접속 단자(42)를 접속하는 제2 전선(62)의 연결선(623)이 배치되고, 제1 전선(61)의 연결선(613)이, 제3 전선(63)의 연결선(633)보다도 제2 방향에 있어서 설치면(13)의 근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11)가, 설치면(13)으로부터 제1 전선(61)의 연결선(613)과 제2 전선(62)의 연결선(623)의 사이를 통과하여 제3 전선(63)의 연결선(633)까지 연장되고, 제3 전선(63)의 연결선(633)을 지지하는 지지 돌기(111)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각 단자 쌍(30, 40, 50)의 제1 접속 단자(31, 41, 51)가, 제2 방향 Z의 위치가 다른 3단 이상으로 배치된 단자대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3 전선(63)의 연결선(633)은, 제1 접속선(631)측의 단부(634)가 제1 직선 L1 상에 배치되고, 제2 접속선(632)측의 단부가 제2 직선 L2 상에 배치되고, 제1 직선 L1 및 제2 직선 L2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지지 돌기(111)의 제3 전선(63)의 연결선(633)에 대한 지지 면적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제3 전선(63)의 연결선(633)을 보다 확실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지지 돌기(111)가, 제3 전선(63)의 연결선(633)에 추가하여, 제2 전선(62)의 연결선(623)을 지지하는 돌출부(112)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3 전선(63)의 연결선(633)에 추가하여, 제2 전선(62)의 연결선(623)을 보다 확실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지지체(20)가, 전선 통로부(17)에 배치되어, 제1 전선(61)의 제2 접속선(612) 주위를 둘러싸는 절연성의 제1 커버 벽부(21)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1 전선(61)의 이동을 규제하면서, 제1 전선(61)의 제2 접속선(612)과 제2 전선(62)의 연결선(623) 사이의 절연을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예를 들어 설계대로의 절연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단자대(1)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지지체(20)가, 전선 통로부(17)에 배치되어, 제3 전선(63)의 연결선(633)의 제2 접속선(632)측의 단부를 둘러쌈과 함께, 제2 방향 Z에 있어서 제2 전선(62)의 연결선(623)까지 연장되는 절연성의 제2 커버 벽부(22)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3 전선(63)의 이동을 규제하면서, 제2 전선(62)의 연결선(623)과 제3 전선(63)의 연결선(633) 사이의 절연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각 전선(61, 62, 63)이 막대 형상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각 전선(61, 62, 63)을 위치 결정하기 쉬워지므로, 각 전선(61, 62, 63) 사이의 절연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각 전선(61, 62, 63, 64)은, 예를 들어 약 1.5㎜의 직경을 갖고, 단일의 금속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각 전선(61, 62, 63, 64)의 단면 형상은 원형, 타원형 및 다각형 중 어느 형상이어도 된다.
제3 전선(63)의 연결선(633)은, 제1 직선 L1 및 제2 직선 L2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직선 L1 및 제2 직선 L2 중 어느 것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지지 돌기(111)는, 베이스(11)의 설치면(13)으로부터, 제1 전선(61)의 연결선(613)과 제2 전선(62)의 연결선(623)의 사이를 통과하여, 제3 전선(63)의 연결선(633)까지 연장되고, 제3 전선(63)의 연결선(633)을 지지할 수 있으면 된다. 예를 들어, 지지 돌기(111)는, 대략 직사각형의 판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원기둥형 혹은 각기둥형이어도 된다. 또한, 돌출부(112)를 생략해도 된다.
제1 커버 벽부(21) 및 제2 커버 벽부(22)는, 어느 한쪽만 마련해도 되고, 양쪽 모두 생략해도 된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있어서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마지막으로, 본 개시의 다양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일례로서, 참조 부호도 붙여 기재한다.
본 개시의 제1 양태의 단자대(1)는,
설치면(13)을 갖는 절연성의 베이스(11)와,
상기 설치면(13) 위에 마련된 절연성의 지지체(20)와,
상기 지지체(20)에 각각 지지된 제1 단자 쌍(30), 제2 단자 쌍(40) 및 제3 단자 쌍(50)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단자 쌍(30), 상기 제2 단자 쌍(40) 및 상기 제3 단자 쌍(50)의 각각이, 제1 접속 단자(31, 41, 51) 및 제2 접속 단자(32, 42, 52)를 각각 가지며, 상기 제1 단자 쌍(30)의 상기 제1 접속 단자(31) 및 상기 제2 접속 단자(32)가, 제1 전선(61)에 의해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2 단자 쌍(40)의 상기 제1 접속 단자(41) 및 상기 제2 접속 단자(42)가, 제2 전선(62)에 의해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3 단자 쌍(50)의 상기 제1 접속 단자(51) 및 상기 제2 접속 단자(52)가, 제3 전선(63)에 의해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1 단자 쌍(30)의 상기 제1 접속 단자(31), 상기 제2 단자 쌍(40)의 상기 제1 접속 단자(41), 상기 제3 단자 쌍(50)의 상기 제1 접속 단자(51), 상기 제3 단자 쌍(50)의 상기 제2 접속 단자(52), 상기 제1 단자 쌍(30)의 상기 제2 접속 단자(32) 및 상기 제2 단자 쌍(40)의 상기 제2 접속 단자(42)의 순으로, 상기 설치면(13)을 따른 제1 방향 X에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제1 단자 쌍(30), 상기 제2 단자 쌍(40) 및 상기 제3 단자 쌍(50)이, 상호 전기적으로 독립하여 배치되어 있는 단자대이며,
상기 제1 단자 쌍(30)의 상기 제1 접속 단자(31), 상기 제2 단자 쌍(40)의 상기 제1 접속 단자(41) 및 상기 제3 단자 쌍(50)의 상기 제1 접속 단자(51)는, 상기 제1 단자 쌍(30)의 상기 제1 접속 단자(31)로부터 상기 제3 단자 쌍(50)의 상기 제1 접속 단자(51)를 향함에 따라서, 상기 설치면(13)에 교차하는 제2 방향 Z에 있어서 상기 설치면(13)으로부터 멀어지는 계단 형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전선(61), 상기 제2 전선(62) 및 상기 제3 전선(63)의 각각은,
상기 제2 방향 Z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접속 단자(31, 41, 51)에 접속된 제1 접속선(611, 621, 631)과, 상기 제2 방향 Z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접속 단자(32, 42, 52)에 접속된 제2 접속선(612, 622, 632)과, 상기 제2 방향 Z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1)와 상기 지지체(20)의 사이에 마련된 전선 통로부(17)에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1 방향 X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접속선(611, 621, 631) 및 상기 제2 접속선(612, 622, 623)을 연결하는 연결선(613, 623, 633)을 갖고,
상기 제1 전선(61)의 상기 연결선(613)이, 상기 제1 방향 X로 연장되는 제1 직선 L1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2 전선(62)의 상기 연결선(623)이, 상기 제1 직선 L1에 대하여 상기 제1 방향 X 및 상기 제2 방향 Z에 교차하는 제3 방향 Y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2 직선 L2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1 전선(61)의 상기 연결선(613)과 상기 제3 전선(63)의 상기 연결선(633)의 사이에 상기 제2 전선(62)의 상기 연결선(623)이 배치되고, 상기 제1 전선(61)의 상기 연결선(613)이, 상기 제3 전선(63)의 상기 연결선(633)보다도 상기 제2 방향 Z에 있어서 상기 설치면(13)의 근처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11)가, 상기 설치면(13)으로부터 상기 제1 전선(61)의 상기 연결선(613)과 상기 제2 전선(62)의 상기 연결선(623)의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제3 전선(63)의 상기 연결선(633)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3 전선(63)의 상기 연결선(633)을 지지하는 지지 돌기(111)를 갖고 있다.
제1 양태의 단자대(1)에 의하면, 제1 단자 쌍(30)의 제1 접속 단자(31), 제2 단자 쌍(40)의 제1 접속 단자(41) 및 제3 단자 쌍(50)의 제1 접속 단자(51)가, 제1 단자 쌍(30)의 제1 접속 단자(31)로부터 제3 단자 쌍(50)의 제1 접속 단자(51)를 향함에 따라서, 제2 방향 Z에 있어서 설치면(13)으로부터 멀어지는 계단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단자 쌍(30)의 제1 접속 단자(31) 및 제2 접속 단자(32)를 접속하는 제1 전선(61)의 연결선(613)과, 제3 단자 쌍(50)의 제1 접속 단자(51) 및 제2 접속 단자(52)를 접속하는 제3 전선(63)의 연결선(633)의 사이에, 제2 단자 쌍(40)의 제1 접속 단자(41) 및 제2 접속 단자(42)를 접속하는 제2 전선(62)의 연결선(623)이 배치되고, 제1 전선(61)의 연결선(613)이, 제3 전선(63)의 연결선(633)보다도 제2 방향에 있어서 설치면(13)의 근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11)가, 설치면(13)으로부터 제1 전선(61)의 연결선(613)과 제2 전선(62)의 연결선(623)의 사이를 통과하여 제3 전선(63)의 연결선(633)까지 연장되고, 제3 전선(63)의 연결선(633)을 지지하는 지지 돌기(111)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각 단자 쌍(30, 40, 50)의 제1 접속 단자(31, 41, 51)가, 제2 방향 Z의 위치가 다른 3단 이상으로 배치된 단자대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2 양태의 단자대(1)는,
상기 제3 전선(63)의 상기 연결선(633)은, 제1 접속선(631)측의 단부(634)가 상기 제1 직선 L1 상에 배치되고, 제2 접속선(632)측의 단부가 상기 제2 직선 L2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직선 L1 및 상기 제2 직선 L2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양태의 단자대(1)에 의하면, 지지 돌기(111)의 제3 전선(63)의 연결선(633)에 대한 지지 면적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제3 전선(63)의 연결선(633)을 보다 확실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3 양태의 단자대(1)는,
상기 지지 돌기(111)가, 상기 제3 전선(63)의 상기 연결선(633)에 추가하여, 상기 제2 전선(62)의 상기 연결선(623)을 지지하는 돌출부(112)를 갖고 있다.
제3 양태의 단자대(1)에 의하면, 제3 전선(63)의 연결선(633)에 추가하여, 제2 전선(62)의 연결선(623)을 보다 확실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4 양태의 단자대(1)는,
상기 지지체(20)가,
상기 전선 통로부(17)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전선(61)의 상기 제2 접속선(612) 주위를 둘러싸는 절연성의 제1 커버 벽부(21)를 갖는다.
제4 양태의 단자대(1)에 의하면, 제1 전선(61)의 이동을 규제하면서, 제1 전선(61)의 제2 접속선(612)과 제2 전선(62)의 연결선(623) 사이의 절연을 확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5 양태의 단자대(1)는,
상기 지지체(20)가,
상기 전선 통로부(17)에 배치되어, 상기 제3 전선(63)의 상기 연결선(633)의 제2 접속선(632)측의 단부를 둘러쌈과 함께, 상기 제2 방향 Z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선(62)의 상기 연결선(623)까지 연장되는 절연성의 제2 커버 벽부(22)를 갖고 있다.
제5 양태의 단자대(1)에 의하면, 제3 전선(63)의 이동을 규제하면서, 제2 전선(62)의 연결선(623)과 제3 전선(63)의 연결선(633) 사이의 절연을 확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6 양태의 단자대(1)는,
상기 제1 전선(61), 상기 제2 전선(62) 및 상기 제3 전선(63)의 각각이 막대 형상을 갖고 있다.
제6 양태의 단자대(1)에 의하면, 각 전선(61, 62, 63)을 위치 결정하기 쉬워지므로, 각 전선(61, 62, 63) 사이의 절연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양한 실시 형태 또는 변형예 중 임의의 실시 형태 또는 변형예를 적절히 조합함으로써, 각각이 갖는 효과를 발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끼리의 조합 또는 실시예끼리의 조합 또는 실시 형태와 실시예의 조합이 가능함과 함께, 다른 실시 형태 또는 실시예 중의 특징끼리의 조합도 가능하다.
본 개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관련하여 충분히 기재되어 있지만, 이 기술의 숙련자들에게 있어서는 다양한 변형이나 수정은 명백하다. 그와 같은 변형이나 수정은, 첨부한 청구범위에 의한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그 안에 포함된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단자대는, 예를 들어 릴레이 소켓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1: 단자대
10: 하우징
11: 베이스
111: 지지 돌기
112: 돌출부
12: 커버
13: 설치면
14, 15, 141, 151: 개구
16: 접속면
17: 전선 통로부
20: 지지체
201: 저면
21, 22, 23, 24: 커버 벽부
30, 40, 50, 70: 단자 쌍
31, 41, 51, 71: 제1 접속 단자
32, 42, 52, 72: 제2 접속 단자
61, 62, 63, 64: 전선
611, 621, 631: 제1 접속선
612, 622, 632: 제2 접속선
613, 623, 633: 연결선
634: 단부
624, 625, 635: 홈
100: 전자 계전기
110: 외부 배선

Claims (6)

  1. 설치면을 갖는 절연성의 베이스와,
    상기 설치면 상에 마련된 절연성의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각각 지지된 제1 단자 쌍, 제2 단자 쌍 및 제3 단자 쌍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단자 쌍, 상기 제2 단자 쌍 및 상기 제3 단자 쌍의 각각이, 제1 접속 단자 및 제2 접속 단자를 각각 가지며, 상기 제1 단자 쌍의 상기 제1 접속 단자 및 상기 제2 접속 단자가, 제1 전선에 의해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2 단자 쌍의 상기 제1 접속 단자 및 상기 제2 접속 단자가, 제2 전선에 의해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3 단자 쌍의 상기 제1 접속 단자 및 상기 제2 접속 단자가, 제3 전선에 의해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1 단자 쌍의 상기 제1 접속 단자, 상기 제2 단자 쌍의 상기 제1 접속 단자, 상기 제3 단자 쌍의 상기 제1 접속 단자, 상기 제3 단자 쌍의 상기 제2 접속 단자, 상기 제1 단자 쌍의 상기 제2 접속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 쌍의 상기 제2 접속 단자의 순으로, 상기 설치면을 따른 제1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제1 단자 쌍, 상기 제2 단자 쌍 및 상기 제3 단자 쌍이, 상호 전기적으로 독립하여 배치되어 있는 단자대이며,
    상기 제1 단자 쌍의 상기 제1 접속 단자, 상기 제2 단자 쌍의 상기 제1 접속 단자 및 상기 제3 단자 쌍의 상기 제1 접속 단자는, 상기 제1 단자 쌍의 상기 제1 접속 단자로부터 상기 제3 단자 쌍의 상기 제1 접속 단자를 향함에 따라서, 상기 설치면에 교차하는 제2 방향에 있어서 상기 설치면으로부터 멀어지는 계단 형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전선, 상기 제2 전선 및 상기 제3 전선의 각각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접속 단자에 접속된 제1 접속선과,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접속 단자에 접속된 제2 접속선과,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지지체의 사이에 마련된 전선 통로부에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접속선 및 상기 제2 접속선을 연결하는 연결선을 갖고,
    상기 제1 전선의 상기 연결선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직선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2 전선의 상기 연결선이, 상기 제1 직선에 대하여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2 직선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1 전선의 상기 연결선과 상기 제3 전선의 상기 연결선의 사이에 상기 제2 전선의 상기 연결선이 배치되고, 상기 제1 전선의 상기 연결선이, 상기 제3 전선의 상기 연결선보다도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 상기 설치면의 근처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가, 상기 설치면으로부터 상기 제1 전선의 상기 연결선과 상기 제2 전선의 상기 연결선의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제3 전선의 상기 연결선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3 전선의 상기 연결선을 지지하는 지지 돌기를 갖고 있는, 단자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전선의 상기 연결선은, 제1 접속선측의 단부가 상기 제1 직선 상에 배치되고, 제2 접속선측의 단부가 상기 제2 직선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직선 및 상기 제2 직선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단자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돌기가, 상기 제3 전선의 상기 연결선에 추가하여, 상기 제2 전선의 상기 연결선을 지지하는 돌출부를 갖고 있는, 단자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가,
    상기 전선 통로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전선의 상기 제2 접속선 주위를 둘러싸는 절연성의 제1 커버 벽부를 갖는, 단자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가,
    상기 전선 통로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3 전선의 상기 연결선의 제2 접속선측의 단부를 둘러쌈과 함께,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선의 상기 연결선까지 연장되는 절연성의 제2 커버 벽부를 갖고 있는, 단자대.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선, 상기 제2 전선 및 상기 제3 전선의 각각이 막대 형상을 갖고 있는, 단자대.
KR1020217015133A 2018-12-26 2019-12-10 단자대 KR1025379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243107 2018-12-26
JP2018243107A JP6950672B2 (ja) 2018-12-26 2018-12-26 端子台
PCT/JP2019/048240 WO2020137508A1 (ja) 2018-12-26 2019-12-10 端子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126A true KR20210076126A (ko) 2021-06-23
KR102537934B1 KR102537934B1 (ko) 2023-05-31

Family

ID=71126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5133A KR102537934B1 (ko) 2018-12-26 2019-12-10 단자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545767B2 (ko)
EP (1) EP3879632A4 (ko)
JP (1) JP6950672B2 (ko)
KR (1) KR102537934B1 (ko)
CN (1) CN113169466B (ko)
WO (1) WO2020137508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3077A (ja) * 1994-10-31 1996-08-20 Weidmueller Interface Gmbh & Co 電子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および自動化システム用のモジュール式制御装置
JP2002298943A (ja) * 2001-03-30 2002-10-11 Omron Corp 電気機器接続ソケット
JP2003346939A (ja) 2002-05-27 2003-12-05 Omron Corp ソケット装置及び該ソケット装置のリード線接続方法
US20090149074A1 (en) * 2007-12-10 2009-06-11 Hans-Josef Koellmann Connecting module
DE102013022222A1 (de) * 2013-12-18 2015-06-18 Phoenix Contact Gmbh & Co. Kg Anschlusseinrichtung und Herstellverfahren hierfür
WO2018198497A1 (ja) * 2017-04-25 2018-11-01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接続端子台、及び電気機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64157A1 (de) * 1999-01-25 2000-10-05 Weidmueller Interface Elektrisches Gerät
US7491096B1 (en) * 2007-07-31 2009-02-17 Phoenix Contact Development & Manufacturing Inc. Modular terminal block
JP5491837B2 (ja) * 2009-12-04 2014-05-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速結端子装置
JP6145680B2 (ja) * 2013-11-11 2017-06-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端子カバー
WO2019049533A1 (ja) * 2017-09-06 2019-03-14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板ばね、接続端子台
JP2019079887A (ja) * 2017-10-23 2019-05-23 オムロン株式会社 電気器具のdinレール取付部構造及びソケット
JP2019079653A (ja) 2017-10-23 2019-05-23 オムロン株式会社 ソケット
JP6992621B2 (ja) * 2018-03-14 2022-01-13 オムロン株式会社 接続子およびソケット
WO2019215953A1 (ja) * 2018-05-08 2019-11-14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接続端子台、電気機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3077A (ja) * 1994-10-31 1996-08-20 Weidmueller Interface Gmbh & Co 電子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および自動化システム用のモジュール式制御装置
JP2002298943A (ja) * 2001-03-30 2002-10-11 Omron Corp 電気機器接続ソケット
JP2003346939A (ja) 2002-05-27 2003-12-05 Omron Corp ソケット装置及び該ソケット装置のリード線接続方法
US20090149074A1 (en) * 2007-12-10 2009-06-11 Hans-Josef Koellmann Connecting module
DE102013022222A1 (de) * 2013-12-18 2015-06-18 Phoenix Contact Gmbh & Co. Kg Anschlusseinrichtung und Herstellverfahren hierfür
WO2018198497A1 (ja) * 2017-04-25 2018-11-01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接続端子台、及び電気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37812A1 (en) 2022-02-03
US11545767B2 (en) 2023-01-03
JP6950672B2 (ja) 2021-10-13
CN113169466B (zh) 2023-05-16
EP3879632A1 (en) 2021-09-15
KR102537934B1 (ko) 2023-05-31
EP3879632A4 (en) 2022-07-27
CN113169466A (zh) 2021-07-23
WO2020137508A1 (ja) 2020-07-02
JP2020107426A (ja) 2020-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03264B2 (ja) 端子台
JP6454339B2 (ja) 外部に設定される特定のバスシステムのソケット構造用の接触要素
CN108075268A (zh) 电路基板用电连接器及其制造方法
US10541097B2 (en) Electromechanical relay, terminal block, and electromechanical relay assembly
RU2019103673A (ru) Клемма для соединения проводов
JP2020024878A (ja) コネクタ
JP2010029011A (ja) 電気接続箱
KR20180003097U (ko) 케이블 덕트
US20180090879A1 (en) Electronic component retaining structure, electric connection box, and wire harness
KR20210076126A (ko) 단자대
JP2019040799A (ja)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JP6260677B1 (ja) 電磁接触器
KR102572554B1 (ko) 단자대
JP2018182849A (ja) プロテクタ、ワイヤハーネス、及び、固定構造
JP6211304B2 (ja) 電気接続箱
KR20160070019A (ko) 접촉 장치
KR20190038391A (ko) 플러그 장치 및 배전 시스템
KR102029380B1 (ko) 정션블록
KR102053273B1 (ko) 정션블록
KR102572639B1 (ko) 단자대
CN109428294B (zh) 电气接线箱
JP2022175405A (ja) 端子台
JP6814777B2 (ja) 電気接続箱
JP6831826B2 (ja) 挿込み結合構造、電気接続箱、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6887929B2 (ja) 電気接続箱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