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8391A - 플러그 장치 및 배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플러그 장치 및 배전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38391A KR20190038391A KR1020180115142A KR20180115142A KR20190038391A KR 20190038391 A KR20190038391 A KR 20190038391A KR 1020180115142 A KR1020180115142 A KR 1020180115142A KR 20180115142 A KR20180115142 A KR 20180115142A KR 20190038391 A KR20190038391 A KR 2019003839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ug device
- ground connection
- terminal
- connection terminal
- groun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6—Rails or bus-bar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crete connecting locations for counterpar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2—Resilient sockets forked sockets having two le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3—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2—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with earth pin, blade or socke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5—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with earth brac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6—Rails or bus-bar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crete connecting locations for counterparts
- H01R25/161—Details
- H01R25/162—Electrical connections between or with rails or bus-ba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6—Rails or bus-bar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crete connecting locations for counterparts
- H01R25/164—Connecting locations formed by flush mounted apparatu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1/00—Non-rotary current collectors for maintaining contact between moving and stationary parts of an electric circuit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배선 덕트에 접속되는 것에 있어서, 배선 덕트의 급전용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전에 배선 덕트의 접지용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이 용이한 플러그 장치 및 이 플러그 장치를 구비하는 배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플러그 장치(200)는, 본체부(81)와, 본체부(81)로부터 돌출하는 접속부(82)와, 접속부(82)의 내부에 있는 급전 단자(70)와, 접속부(82)의 측면(84)인 주 배치면(845)을 따라 배치된 접지 접속 단자(51)를 구비한다. 접지 접속 단자(51)는, 플러그 장치(200)가 배선 덕트(100)에 접속되는 과정에서, 급전 단자(70)가 배선 덕트(100)의 급전용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전에 접지 접속 단자(51)가 배선 덕트(100)의 접지용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플러그 장치 및 배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급전용 도체를 구비하는 배선 덕트에 접속되는 플러그 장치, 및 배선 덕트 및 플러그 장치를 구비하는 배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급전용 도체를 구비하는 배선 덕트에 플러그 장치를 부착하고, 배선 덕트 및 플러그 장치를 통해서 전기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전 시스템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배전 시스템은, 예를 들면 공장, 데이터 센터 등의 다수의 전기 기기가 사용되는 시설에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배선 덕트와 플러그 장치를 접속하는 경우, 그것에 의해 플러그 장치를 배선 덕트의 급전용 도체에 전기적 접속을 할 뿐만 아니라, 플러그 장치를 배선 덕트의 접지용 도체에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개시는, 배선 덕트에 접속됨에 있어서, 배선 덕트의 급전용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전에 배선 덕트의 접지용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이 용이한 플러그 장치 및 이 플러그 장치를 구비하는 배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개시의 일 형태에 따른 플러그 장치는, 급전용 도체와 접지용 도체를 구비하는 배선 덕트에 접속된다. 상기 플러그 장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플러그 장치가 상기 배선 덕트에 접속된 접속 상태에서 상기 배선 덕트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접속부를 구비한다. 상기 플러그 장치는, 상기 접속부의 내부에 있고, 상기 접속 상태에서 상기 급전용 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급전 단자도 구비한다.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접속부가 돌출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쪽을 향하는 측면인 주 배치면을 갖는다. 상기 플러그 장치는, 상기 주 배치면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접속 상태에서 상기 접지용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지 접속 단자도 구비한다. 접속 과정에서, 상기 급전 단자가 상기 급전용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전에 상기 접지 접속 단자가 상기 접지용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위치에, 상기 접지 접속 단자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접속 과정이란, 상기 접속 상태가 아닌 상태로부터 상기 접속 상태로 될 때까지의 과정이다.
본 개시의 일 형태에 따른 배전 시스템은 상기 플러그 장치와, 상기 플러그 장치가 접속되는 배선 덕트를 구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플러그 장치 및 배전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상술의 배전 시스템에 있어서의 배선 덕트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상술의 배전 시스템에 있어서의 배선 덕트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상술의 배전 시스템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플러그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상술의 배전 시스템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플러그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상술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플러그 장치에 있어서의 접속 부재 및 접지 부재의 조합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상술의 접지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상술의 배전 시스템에 있어서의 배선 덕트에 실시 형태 1에 따른 플러그 장치를 접속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상술의 배전 시스템에 있어서의 배선 덕트에 실시 형태 1에 따른 플러그 장치를 접속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상술의 배전 시스템에 있어서의 배선 덕트에 실시 형태 1에 따른 플러그 장치를 접속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상술의 배전 시스템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플러그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상술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플러그 장치에 있어서의 접지판 및 접지 접속 단자의 조합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술의 배전 시스템에 있어서의 배선 덕트에 실시 형태 2에 따른 플러그 장치를 접속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상술의 배전 시스템에 있어서의 배선 덕트에 실시 형태 2에 따른 플러그 장치를 접속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상술의 배전 시스템에 있어서의 배선 덕트에 실시 형태 2에 따른 플러그 장치를 접속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a)는 상술의 배전 시스템에 있어서의 배선 덕트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상술의 배전 시스템에 있어서의 배선 덕트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상술의 배전 시스템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플러그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상술의 배전 시스템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플러그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상술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플러그 장치에 있어서의 접속 부재 및 접지 부재의 조합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상술의 접지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상술의 배전 시스템에 있어서의 배선 덕트에 실시 형태 1에 따른 플러그 장치를 접속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상술의 배전 시스템에 있어서의 배선 덕트에 실시 형태 1에 따른 플러그 장치를 접속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상술의 배전 시스템에 있어서의 배선 덕트에 실시 형태 1에 따른 플러그 장치를 접속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상술의 배전 시스템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플러그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상술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플러그 장치에 있어서의 접지판 및 접지 접속 단자의 조합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술의 배전 시스템에 있어서의 배선 덕트에 실시 형태 2에 따른 플러그 장치를 접속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상술의 배전 시스템에 있어서의 배선 덕트에 실시 형태 2에 따른 플러그 장치를 접속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상술의 배전 시스템에 있어서의 배선 덕트에 실시 형태 2에 따른 플러그 장치를 접속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우선, 발명자가 본 개시를 완성하기에 이른 경위의 개략을 설명한다.
배선 덕트와 플러그 장치를 접속하는 경우, 그것에 의해 플러그 장치를 배선 덕트의 급전용 도체에 전기적 접속을 할 뿐만 아니라, 플러그 장치를 배선 덕트의 접지용 도체에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 요구된다.
배선 덕트에 플러그 장치를 접속하는 것에 있어서, 플러그 장치가 급전용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후에 접지용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면, 플러그 장치가 접지용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고 급전용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상태가 생긴다. 최근의 안전 기준의 엄격화를 감안하면, 비록 단시간이어도 플러그 장치가 접지용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가 생기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발명자는, 플러그 장치를 배선 덕트에 접속하는 것에 있어서, 플러그 장치가 배선 덕트의 급전용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전에 배선 덕트의 접지용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이 용이해지도록, 본 개시의 완성에 이르렀다. 이하, 본 개시의 일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플러그 장치(200), 및 플러그 장치(200)와 배선 덕트(100)를 구비하는 배전 시스템(300)에 대해 설명한다.
배선 덕트(100) 및 플러그 장치(200)를 구비하는 배전 시스템(300)은, 예를 들면 시설에 있어서의 전기 기기 등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배선 덕트(100)는 예를 들면 시설 내에 설치되고, 전력의 공급 경로를 구성한다. 배선 덕트(100)에 있어서의 최적의 위치에, 전기 기기 등에 연결된 플러그 장치(200)를 접속함으로써, 배선 덕트(100) 및 플러그 장치(200)를 통해서 전기 기기 등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전 시스템(300)은, 예를 들면 공장, 데이터 센터 등의 다수의 전기 기기가 사용되는 시설에 설치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배전 시스템(300)에서는, 배선 덕트(100)는 장척이며, 그 길이 방향이 수평면을 따르도록 설치되어 있다. 배선 덕트(100)의 위쪽을 향하는 면에 플러그 장치(200)인 실시 형태 1에 따른 플러그 장치(201)가 접속되어 있다. 배선 덕트(100)의 아래쪽을 향하는 면에 플러그 장치(200)인 실시 형태 2에 따른 플러그 장치(202)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플러그 장치(200)는 배선 덕트(100)의 위쪽을 향하는 면 또는 아래쪽을 향하는 면 등에만 접속되어도 좋다. 또, 배선 덕트(100)가, 도 1에 나타내는 자세에 대해서, 배선 덕트(100)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축을 중심으로 90°회전한 자세로 설치되고, 또한 플러그 장치(200)가 배선 덕트(100)의 측면에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또, 배선 덕트(100)는, 그 길이 방향이 연직 방향을 따르는 자세 등의 여러 자세로 설치되어도 좋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배전 시스템(300)이 도 1에 나타나는 대로 설치된 상태에서의, 수평면에 대해서 수직인(직교하는)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하고,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아래쪽을 「아래쪽」, 위쪽을 「위쪽」으로 한다. 또, 배선 덕트(100)의 길이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하고,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의 양쪽 모두와 직교하는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한다. 또, 전후 방향에 있어서, 후술하는 실시 형태 1의 접속부(82)에 대해서 접지 접속 단자(51)가 있는 측을 「전방」, 「전방」과는 반대측을 「후방」이라고 한다. 또한, 좌우 방향에 있어서, 배전 시스템(300)을 정면에서 보아 좌측을 「좌측」, 우측을 「우측」이라고 한다. 도면 내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위쪽」 및 「아래쪽」,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 및 「후방」, 및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좌측」 및 「우측」을 각각 나타내는 화살표는 설명을 위해서 표기하는 것에 지나지 않고, 실체를 수반하지 않는다. 이들의 방향은 배전 시스템(300)의 설치 상태를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특정의 방향(예를 들면 접속부(82)의 돌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및 쪽은 특정의 방향에 대해서 엄밀하게 90°을 이루는 방향 및 쪽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기술 상식에 비추어서, 본 실시 형태가 소기의 작용을 나타내는 한, 90°을 이루는 방향 및 쪽과 동일시할 수 있는 방향 및 쪽도 포함한다.
이하, 배선 덕트(100)에 있어서의 접지용 도체와 플러그 장치(200)에 있어서의 접지 접속 단자(51)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을 접지 접속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또, 이하, 배선 덕트(100)에 있어서의 급전용 도체(30)와 플러그 장치(200)에 있어서의 급전 단자(70)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을 급전 접속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도 3(a) 내지 도 12에 나타내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플러그 장치(200)는, 급전용 도체(30)와 접지용 도체를 구비하는 배선 덕트(100)(도 2(a) 및 도 2(b) 참조)에 접속된다. 플러그 장치(200)는, 본체부(81)와, 접속부(82)와, 급전 단자(70)와, 접지 접속 단자(51)를 구비한다(특히 도 3(a), 도 3(b) 및 도 8 참조). 접속부(82)는 본체부(81)로부터 돌출한다. 접속부(82)는 플러그 장치(200)가 배선 덕트(100)에 접속된 상태(이하, 접속 상태라고 한다)에서 배선 덕트(100)의 내부 공간(13)에 배치된다. 급전 단자(70)는 접속부(82)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접속부(82)는 접속부(82)의 돌출 방향과 직교하는 쪽을 향하는 측면(84)인 주 배치면(845)을 갖는다. 또한 접속부(82)의 돌출 방향은 접속부(82)가 돌출하는 쪽과 그 반대측의 방향을 포함하는 방향이다. 주 배치면(845)은 접속부(82)의 돌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면, 어느 방향을 향하고 있어도 좋다. 급전 단자(70)는 접속 상태에서 급전용 도체(3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접지 접속 단자(51)는 접속부(82)에 있어서의 접속부(82)의 돌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는 측면(84)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접지 접속 단자(51)는 접속 상태에서 접지용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접속 과정에서, 급전 단자(70)가 급전용 도체(3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전에 접지 접속 단자(51)가 접지용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위치에, 접지 접속 단자(51)가 배치되어 있다. 접속 과정이란, 접속 상태가 아닌 상태, 즉 플러그 장치(200)가 배선 덕트(100)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부터, 접속 상태로 될 때까지의 과정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배전 시스템(300)은 상기의 플러그 장치(200)와 배선 덕트(100)를 구비한다(도 1 참조).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러그 장치(200)가 배선 덕트(100)에 접속되는 것에 있어서, 플러그 장치(200)가 배선 덕트(100)의 급전용 도체(3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전에 배선 덕트(100)의 접지용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이 용이하다.
이하, 플러그 장치(200) 및 배전 시스템(30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플러그 장치(200) 및 배전 시스템(300)에 있어서의 배전 방식은 단상 3선식 배전 방식이지만, 예를 들면 3상 3선식 배전 방식이어도 좋고, 3상 4선식 배전 방식이어도 좋다. 즉, 플러그 장치(200) 및 배전 시스템(300)에 있어서의 배전 방식에 제한은 없다. 플러그 장치(200) 및 배전 시스템(300)에는, 배전 방식에 따른 최적의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우선, 플러그 장치(200)가 접속되는 배선 덕트(100)에 대해 설명한다(도 2(a) 및 도 2(b) 참조). 배선 덕트(100)는, 도전성을 갖는 중공의 프레임(10)과, 프레임(10)의 내부 공간(13)에 있어서 프레임(10)에 지지되어 있는 지지부(20)와, 프레임(10)의 내부 공간(13)에 있어서 지지부(20)에 지지되어 있는 급전용 도체(30)를 구비한다. 또한, 프레임(10)의 내부 공간(13)이 배선 덕트(100)의 내부 공간(13)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프레임(10)은 플러그 장치(200)에 있어서의 접지용 도체이다. 프레임(10)은 접지 단자(11)를 갖는다.
프레임(10)은 예를 들면 금속제이다. 프레임(10)은 길이를 갖는다. 즉, 프레임(10)은 장척이다. 프레임(10)은 통 형상이다. 프레임(10)의 중심축은 프레임(10)의 길이 방향, 즉 좌우 방향을 따르고 있다. 프레임(10)은 2개의 절판(折板) 형상의 부재(14, 14)가 조합되는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10)은 프레임(10)의 내부 공간(13)과 프레임(10)의 외부 공간을 연결하는 접속구(12)를 갖는다. 접속구(12)의 개구 방향은 프레임(10)의 길이 방향과 직교한다. 또한, 접속구(12)의 개구 방향은 접속구(12)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개구 방향은 상하 방향과 일치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접속구(12)는 직사각형 형상이다. 프레임(10)은 복수의 접속구(12)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레임(10)은 외부 공간을 향해서 위쪽으로 개구하는 접속구(12)(접속구(121))와, 외부 공간을 향해 아래쪽으로 개구하는 다른 접속구(12)(접속구(122))를 갖는다. 프레임(10)이 외부 공간을 향해 위쪽으로 개구하는 복수의 접속구(121)를 갖고, 이들이 프레임(10)의 길이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어도 좋다. 프레임(10)이 외부 공간을 향해 아래쪽으로 개구하는 복수의 접속구(122)를 더 갖고, 이들이 프레임(10)의 길이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어도 좋다. 즉, 접속구(12)의 위치 및 수는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프레임(10)의 외면은 필요에 따라서 도장(塗裝)되어 있어도 좋다. 다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프레임(10)에 있어서의 접속구(12)의 내주면은 도장되지 않고,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이 접속구(12)의 내주면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접지 단자(11)이다.
프레임(10)은 서로 역방향(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방 및 후방)을 향하는 2개의 측면(15)을 갖는다. 각 측면(15)이 향하는 방향은 어느 접속구(12)의 개구 방향과도 직교한다. 각 측면(15)은 프레임(10)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길이를 갖는 오목 홈(16)을 구비한다.
지지부(20)는 전기 절연성을 갖는다. 지지부(20)는 예를 들면 합성 수지제이다. 지지부(20)는 프레임(10)의 내부 공간(13)에 있어서, 프레임(10)의 내면에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배선 덕트(100)는 복수의 지지부(20)를 구비하고, 복수의 지지부(20)는 프레임(10)의 길이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다. 복수의 지지부(20)는, 프레임(10)의 내면에 있어서의, 아래쪽을 향하는 면 위와, 위쪽을 향하는 면 위에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접속구(12)는 프레임(10)에 있어서의 지지부(20)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20)는 급전용 도체(30)를 지지하는 오목 개소(21)를 갖는다. 오목 개소(21)의 수는 급전용 도체(30)의 수와 동일하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이다. 오목 개소(21)는 전후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배선 덕트(100)는 3개의 급전용 도체(30)를 구비한다. 3개의 급전용 도체(30)는, 예를 들면 각각 단상 3선 배선의 S극, R극 및 T극이다. 급전용 도체(30)는 도전성을 갖는다. 급전용 도체(30)는 예를 들면 금속제이다. 급전용 도체(30)는 프레임(10)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길이를 갖는 봉 형상이다. 3개의 급전용 도체(30)는 각각 지지부(20)의 3개의 오목 개소(21)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지지부(20)에 지지되어 있다. 즉, 3개의 급전용 도체(30)는 전후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다. 급전용 도체(30)의, 프레임(10)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 형상은, 상하 방향을 따르는 장변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이다.
이하, 플러그 장치(200)의 구체적인 예인, 실시 형태 1에 따른 플러그 장치(200)(201)와, 실시 형태 2에 따른 플러그 장치(202)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실시 형태 1에 따른 플러그 장치(201)에 대해, 도 3(a) 내지 도 7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 형태 1에 따른 플러그 장치(201)는, 본체부(81)와, 본체부(81)로부터 돌출하는 접속부(82)를 구비한다. 접속부(82)는 본체부(81)가 갖는 1개의 면(53)(이하, 대향면(53)이라고 한다)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실시 형태 1에서는, 대향면(53)은 아래쪽을 향하고 있다. 이 때문에, 실시 형태 1에서는, 접속부(82)는 아래쪽으로 돌출하고, 접속부(82)의 돌출 방향은 상하 방향과 일치한다. 대향면(53)은, 접속 상태에서, 배선 덕트(100)와 대향한다. 플러그 장치(201)에는, 케이블(400)이 접속되어 있다. 케이블(400)은, 플러그 장치(201)에 있어서의 접지 접속 단자(51)(이하, 실시 형태 1의 설명에 있어서, 제 1 접지 접속 단자(51)라고 한다)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접지선, 및 플러그 장치(201)에 있어서의 급전 단자(7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전선을 갖고 있다. 케이블(400)은 본체부(81)에 있어서의 좌측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실시 형태 1에서는 플러그 장치(201)는 회로 차단기를 더 구비하고 있다. 회로 차단기는 급전 단자(70)와 전선 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회로 차단기는 본체부(81)에 수납되어 있다.
접속부(82)는,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을 향해서 보면, 접속구(12)보다 약간 작은 치수를 갖고, 접속구(12)에 끼워 넣어진 형상을 갖는다. 접속부(82)는 아래쪽으로 개구하는 노출구(83)를 갖는다. 또, 접속부(82)는 접속부(82)의 돌출 방향과 직교하는 상이한 4개의 방향을 각각 향하는 4개의 측면(84)(제 1 측면(841), 제 2 측면(842), 제 3 측면(843) 및 제 4 측면(844)을 갖는다. 제 1 측면(841)과 제 2 측면(842)은 각각 전방과 후방을 향하고, 즉 서로 반대측을 향하고 있다. 제 3 측면(843)과 제 4 측면(844)은 각각 우측과 좌측을 향하고, 즉 서로 반대측을 향하고 있다. 접속부(82)의 내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정렬된 3개의 단자실(822)이 있다. 접속부(82)는 서로 이웃하는 단자실(822)을 구획하는 내벽(823)도 갖는다. 각 단자실(822)은 노출구(83)에서 접속부(82)의 외부로 통하고 있다. 접속부(82)는, 제 3 측면(843)에, 접속부(82)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3개의 오목 개소(851)를 갖고, 각 오목 개소(851)는 아래쪽으로 개구하고 있다. 3개의 오목 개소(851)는 3개의 단자실(822)에 각각 통하고 있다. 접속부(82)는, 제 4 측면(844)에, 접속부(82)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3개의 오목 개소(852)도 갖고, 각 오목 개소(852)는 아래쪽으로 개구하고 있다. 이들 3개의 오목 개소(852)도 3개의 단자실(822)에 각각 통하고 있다.
또, 플러그 장치(200)는 본체부(81)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베이스부(86)를 구비하고, 접속부(82)와 베이스부(86)가 일체의 부재인 접속 부재(87)를 구성하고 있다(도 4(a) 참조). 베이스부(86)의 하면으로부터 접속부(82)가 아래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베이스부(86)의 하면은 접속부(82)를 둘러싸는 지지면(861)을 갖는다.
플러그 장치(201)는 3개의 급전 단자(70)를 구비한다(도 5~도 7 참조). 3개의 급전 단자(70)는 3개의 단자실(822) 내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급전 단자(70)는 도전성을 갖는다. 급전 단자(70)는 예를 들면 금속제이다. 각 급전 단자(70)는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수용판(71)을 갖고, 수용판(71)의 아래측의 선단부끼리는 접하고 있다. 또한, 급전 단자(70)는, 본 형태 이외에, 급전용 도체(30)의 형상 등에 따른 다른 적절한 형상을 가져도 좋다. 급전 단자(70)는 케이블(400) 내의 전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1 접지 접속 단자(51)는 접속부(82)의 측면(84)인 주 배치면(845)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플러그 장치(201)는 제 1 접지 접속 단자(51)와는 별개로, 제 2 접지 접속 단자(52)를 더 구비한다. 제 2 접지 접속 단자(52)는, 제 1 접지 접속 단자(51)의, 주 배치면(845)이 향하는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을 향하는 측면(84)인 부 배치면(846)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실시 형태 1에서는 주 배치면(845)은 제 1 측면(841)이며, 부 배치면(846)은 제 2 측면(842)이다. 다만, 주 배치면(845)과 부 배치면(846)이 서로 반대의 방향을 향한다면, 주 배치면(845)과 부 배치면(846)이 어느 측면(84)이라도 좋다. 예를 들면, 주 배치면(845)이 제 2 측면(842)이며, 부 배치면(846)이 제 1 측면(841)이라도 좋다. 주 배치면(845)이 제 3 측면(843)이며, 부 배치면(846)이 제 4 측면(844)이라도 좋다. 주 배치면(845)이 제 4 측면(844)이며, 부 배치면(846)이 제 3 측면(843)이라도 좋다.
제 1 접지 접속 단자(51) 및 제 2 접지 접속 단자(52)는 접속 상태에서 접지용 도체(즉 프레임(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1 접지 접속 단자(51) 및 제 2 접지 접속 단자(52)의 각각은 도전성을 갖는다. 제 1 접지 접속 단자(51) 및 제 2 접지 접속 단자(52)의 각각은 예를 들면 구리 등의 금속제이다. 제 1 접지 접속 단자(51)는, 대향면(53)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고 또한 제 1 측면(841)에 접하고 있는 베이스부(54)와, 베이스부(54)로부터 돌출하는 판 스프링(55)을 갖는다(특히 도 4(a) 및 도 4(b) 참조).
판 스프링(55)은 두께를 갖고, 두께의 방향은 주 배치면(845)이 향하는 방향을 따르고 있다. 판 스프링(55)은 고정단(551)과 자유단(552)을 갖는다. 판 스프링(55)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자유단(552)의, 접속부(82)의 돌출 방향을 따르는 위치는, 고정단(551)에 대해서 본체부(81) 측에 있다. 또, 판 스프링(55)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자유단(552)의, 주 배치면(845)이 향하는 방향을 따르는 위치는, 고정단(551)에 대해서 주 배치면(845)과는 반대측에 있다. 실시 형태 1에서는, 고정단(551)은 베이스부(54)의 하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자유단(552)은 고정단(551)보다 위쪽에 있고, 또한 고정단(551)보다 전방에 있다. 이와 같이 판 스프링(55)은, 전체로서, 고정단(551)이 자유단(552)보다 접속부(82)에 대해서 접속부(82)의 돌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있도록, 접속부(82)의 돌출 방향에 대해서 기울어져 있다.
판 스프링(55)은 고정단(551)과 자유단(552) 사이에 굴곡부(553)를 더 갖는다. 판 스프링(55)에 있어서의 고정단(551)으로부터 굴곡부(553)까지의 부분의 접속부(82)의 돌출 방향에 대한 기울기는 판 스프링(55)에 있어서의 굴곡부(553)로부터 자유단(552)까지의 부분의 접속부(82)의 돌출 방향에 대한 기울기보다 크다. 실시 형태 1에서는, 판 스프링(55)은 평판 형상이고, 고정단(551)과 자유단(552) 사이의 1개소에만 굴곡진 형상의 부분을 갖는다. 이 굴곡진 형상의 부분이 굴곡부(553)이다. 굴곡부(553)는 고정단(551)보다 위쪽에 있고, 또한 고정단(551)보다 전방에 있다. 자유단(552)은 굴곡부(553)보다 위쪽에 있고, 또한 굴곡부(553)보다 전방에 있다. 또한, 판 스프링(55)에 있어서의 고정단(551)으로부터 굴곡부(553)까지의 부분의 상하 방향에 대한 기울기는 판 스프링(55)에 있어서의 굴곡부(553)로부터 자유단(552)까지의 부분의 상하 방향에 대한 기울기보다 크다. 또, 실시 형태 1에서는, 판 스프링(55)에 있어서의, 굴곡부(553)와 고정단(551) 사이의 치수는 굴곡부(553)와 자유단(552) 사이의 치수보다 작다.
또한, 판 스프링(55)은 고정단(551)과 굴곡부(553) 사이에, 접속 과정에서 판 스프링(55)이 접지용 도체에 접촉할 때에 접지용 도체와 최초에 접촉하는 제 1 접촉부(554)를 갖는다. 판 스프링(55)은, 굴곡부(553)와 자유단(552) 사이에, 접속 상태에서 접지용 도체와 접촉하는 제 2 접촉부(555)도 갖는다. 굴곡부(553)와 제 1 접촉부(554) 사이의 치수는 굴곡부(553)와 제 2 접촉부(555) 사이의 치수보다 작다. 접속 과정에 있어서의 제 1 접지 접속 단자(51)와 접지용 도체에 있어서의 접지 단자(11)의 접촉의 방법에 대해서는 나중에 다시 설명한다.
제 2 접지 접속 단자(52)는 도전성을 갖는다. 제 2 접지 접속 단자(52)는 예를 들면 구리 등의 금속제이다. 제 2 접지 접속 단자(52)는 대향면(53)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고 또한 제 2 측면(842)에 접하고 있는 베이스부(56)와, 베이스부(56)로부터 돌출하는 판 스프링(57)을 구비한다. 판 스프링(57)은 제 1 접지 접속 단자(51)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고정단, 자유단 및 굴곡부를 갖는다.
제 1 접지 접속 단자(51)의, 접속부(82)의 돌출 방향의 치수는 제 2 접지 접속 단자(52)의, 접속부(82)의 돌출 방향의 치수보다 크다. 실시 형태 1에서는, 접속부(82)의 돌출 방향의 치수는 상하 방향의 치수이다. 실시 형태 1에서는, 제 1 접지 접속 단자(51) 전체의 상하 방향의 치수는 제 2 접지 접속 단자(52) 전체의 상하 방향의 치수보다 크다. 제 1 접지 접속 단자(51)의 판 스프링(55)의 상하 방향의 치수도 제 2 접지 접속 단자(52)의 판 스프링(57)의 상하 방향의 치수보다 크다. 또한, 제 1 접지 접속 단자(51)에 있어서의 판 스프링(55)의 고정단(551)의 상하 방향 위치(즉 접속부(82)의 돌출 방향의 위치)는 제 2 접지 접속 단자(52)에 있어서의 고정단의 상하 방향 위치보다 아래쪽(즉 접속부(82)의 돌출하는 방향 측)에 있다.
플러그 장치(201)는 접지 부재(58)(도 4(a) 및 도 4(b) 참조)를 구비하고, 제 1 접지 접속 단자(51) 및 제 2 접지 접속 단자(52)는 접지 부재(58)의 일부이다. 접지 부재(58)는, 접속부(82)를 둘러싸는 프레임 본체(581)와, 프레임 본체(581)로부터 각각 돌출하는 제 1 접지 접속 단자(51) 및 제 2 접지 접속 단자(52)를 구비한다. 프레임 본체(581)는 사각형의 프레임 형상이며, 접속부(82)가 배치되는 위치에 개구를 갖는다. 프레임 본체(581)는, 제 1 측면(841)을 따라서 배치되는 제 1 프레임 본체(583)와, 제 2 측면(842)을 따라서 배치되는 제 2 프레임 본체(584)를 갖고, 제 1 프레임 본체(583)와 제 2 프레임 본체(584)는 개구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고 있다. 제 1 접지 접속 단자(51) 및 제 2 접지 접속 단자(52)는 제 1 프레임 본체(583) 및 제 2 프레임 본체(584)로부터 각각 돌출하고 있다. 프레임 본체(581)는 부착 구멍(582)도 갖는다.
접지 부재(58)는 접속 부재(87)에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접지 부재(58)의 프레임 본체(581)는 베이스부(86)의 지지면(861) 상에 배치되고, 제 1 접지 접속 단자(51)가 접속부(82)의 제 1 측면(841)을 따라서 배치되고, 또한 제 2 접지 접속 단자(52)가 접속부(82)의 제 2 측면(842)을 따라서 배치되고 있다. 지지면(861)으로부터는 보스(863)가 돌출하고, 이 보스(863)는 프레임 본체(581)의 부착 구멍(582)을 통해 열 코킹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접지 부재(58)는 접속 부재(87)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접지 부재(58)는, 다른 적절한 방법으로 접속 부재(87)에 고정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인서트 성형법에 의해 접속 부재(87)가 접지 부재(58)와 일체로 성형됨으로써, 접지 부재(58)가 접속 부재(87)에 고정되어도 좋다. 접지 부재(58)가 접속 부재(87)에 고정되지 않고, 다른 방법으로 플러그 장치(201)에 마련되어도 좋다. 플러그 장치(201)가 접지 부재(58)를 구비하지 않고, 다른 방법으로 제 1 접지 접속 단자(51) 및 제 2 접지 접속 단자(52)가 플러그 장치(201)에 마련되어도 좋다.
플러그 장치(201)가 제 1 접지 접속 단자(51)와 제 2 접지 접속 단자(52)를 구비하면, 나중에 다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배선 덕트(100)에 플러그 장치(200)가 안정감 좋게 접속된다.
접지 부재(58)는, 예를 들면 하나의 금속판을 잘라 내는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금속판의 외연 부분으로부터 프레임 본체(581)가 형성되고, 금속판에 있어서의 외연 부분보다 내측의 부분을 잘라냄으로써 제 1 접지 접속 단자(51) 및 제 2 접지 접속 단자(52)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 1 접지 접속 단자(51)와 제 2 접지 접속 단자(52)를 용이하게 제작해서 플러그 장치(201)에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접지 부재(58)를 제작하는 경우, 금속판의 치수는 접속 부재(87)의 치수로 제약되고, 제 1 접지 접속 단자(51)의 돌출 길이 및 제 2 접지 접속 단자(52)의 돌출 길이는 금속판의 치수로 제약된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제 1 접지 접속 단자(51)의 돌출 길이와 제 2 접지 접속 단자(52)의 돌출 길이를 동일하게 하면, 접속 과정에 있어서 제 1 접지 접속 단자(51)에 의해 급전 접속 전에 접지 접속이 생기지 않게 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제 1 접지 접속 단자(51)의 돌출 방향의 치수가 제 2 접지 접속 단자(52)의 돌출 방향의 치수보다 길면, 제 1 접지 접속 단자(51)의 돌출 방향의 치수를, 급전 과정에 있어서 급전 접속 전에 접지 접속이 생기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 1 접지 접속 단자(51)와 제 2 접지 접속 단자(52)에 의해서, 배선 덕트(100)에 플러그 장치(200)를 안정감 좋게 접속시킬 수 있다.
플러그 장치(201)는 후크(91)를 구비하고, 후크(91)는 본체부(81)의 대향면(53)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후크(91)는 예를 들면 판 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있다. 후크(91)는 프레임(10)의 오목 홈(16)에 걸리도록, 오목 홈(16)에 따른 형상을 갖는다. 실시 형태 1에서는, 후크(91)의 개수는 4개이다. 각 후크(91)는 프레임(10)의 오목 홈(16)의 위치에 따른 위치에 있고, 2개의 후크(91)가 서로 대향하고, 다른 2개의 후크(91)도 서로 대향하고 있다. 후크(91)의 개수는 다른 적절한 수라도 좋다.
접속 과정에서는, 우선 플러그 장치(200)의 본체부(81)의 대향면(53)을 배선 덕트(100)와 대향시키고, 접속부(82)를 접속구(12)와 대향시키고, 급전 단자(70)를 각각 급전용 도체(30)와 대향시킨다. 이 상태에서, 접속부(82)를 접속구(12)로부터 프레임(10)의 내부 공간(13)에 넣는다.
그러면, 우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접지 접속 단자(51)에 있어서의 판 스프링(55)의 제 1 접촉부(554)가 접지 단자(11)와 접촉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즉, 제 1 접지 접속 단자(51)가 접지 단자(11)에 접촉할 때에는, 최초에 제 1 접촉부(554)가 접지 단자(11)와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접지 접속이 생긴다. 접속부(82)가 배선 덕트(100) 내로 이동함에 따라서, 제 1 접지 접속 단자(51)에 있어서의 접지 단자(11)와의 접촉 위치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 스프링(55)에 있어서의 제 1 접촉부(554)로부터 굴곡부(553)를 넘어서, 제 2 접촉부(555)까지 이동한다. 플러그 장치(201)의 배선 덕트(100)로의 접속이 완료되면, 접지 단자(11)는 제 2 접촉부(555)에 접촉한다. 이러한 접촉 위치의 이동에 따라, 판 스프링(55)은 접지 단자(11)에 가압됨으로써 탄성 변형해서, 접속부(82)측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판 스프링(55)이 접지 단자(11)를 탄성력으로 가압하고, 이것에 의해 제 1 접지 접속 단자(51)와 접지 단자(11)의 전기적 접속이 안정된다. 마찬가지로, 제 2 접지 접속 단자(52)가 접지 단자(11)와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다만, 제 2 접지 접속 단자(52)는, 접속 과정에 있어서, 제 1 접지 접속 단자(51)가 접지 단자(11)에 접촉한 후에, 접지 단자(11)에 접촉한다. 제 2 접지 접속 단자(52)의 판 스프링(57)도 접지 단자(11)를 탄성력으로 가압하고, 이것에 의해 제 2 접지 접속 단자(52)와 접지 단자(11)의 전기적 접속이 안정된다. 또, 이와 같이 제 1 접지 접속 단자(51)와 제 2 접지 접속 단자(52)라는 2개의 단자가 접지 단자(11)에 접촉하기 때문에, 제 1 접지 접속 단자(51)만이 접지 단자(11)에 접촉하는 경우에 비해, 접촉 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제 1 접지 접속 단자(51)와 제 2 접지 접속 단자(52)는 접지 단자(11)를 탄성력으로 서로 역방향으로 가압하고, 그것에 따라서 접지 단자(11)는 제 1 접지 접속 단자(51)와 제 2 접지 접속 단자(52)에 각각 역방향의 저항력이 걸린다. 이것도, 제 1 접지 접속 단자(51)와 접지 단자(11)의 전기적 접속, 및 제 2 접지 접속 단자(52)와 접지 단자(11)의 전기적 접속을 안정화시킨다.
또, 접속 과정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접지 접속 단자(51)의 제 1 접촉부(554)가 접지 단자(11)와 접촉한 시점에서는, 급전 단자(70)는 급전용 도체(30)에 접촉하고 있지 않다. 즉, 이 시점에서는, 급전 단자(70)와 급전용 도체(30)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다. 제 1 접지 접속 단자(51)에 있어서의 접지 단자(11)와의 접촉 위치가 제 1 접촉부(554)로부터 제 2 접촉부(555)를 향해서 이동함에 따라,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급전 단자(70)의 하방측의 단부가 급전용 도체(30)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급전 단자(70)와 급전용 도체(30)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급전용 도체(30)는 급전 단자(70)에 있어서의 2개의 수용판(71)을 탄성 변형시키면서, 이 2개의 수용판(71)의 사이에 끼워진다. 플러그 장치(201)의 배선 덕트(100)에의 접속이 완료되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전용 도체(30)는 2개의 수용판(71)에 끼워진다. 2개의 수용판(71)은 탄성력에 의해 급전용 도체(30)를 가압하고, 이것에 의해, 급전용 도체(30)와 급전 단자(70)의 전기적 접속이 안정된다. 이 접속 과정에서는, 급전용 도체(30)가 접속부(82)의 오목 개소(851) 및 오목 개소(852)에 끼워지기 때문에, 접속부(82)는 플러그 장치(201)의 배선 덕트(100)에의 접속을 저해하지 않는다.
플러그 장치(201)의 배선 덕트(100)에의 접속이 완료되면, 그것에 따라 플러그 장치(200)의 후크(91)가 배선 덕트(100)의 홈(16)에 걸린다. 이것에 의해, 플러그 장치(201)가 배선 덕트(1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접속 과정에서는 급전 단자(70)가 급전용 도체(3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전에 제 1 접지 접속 단자(51)가 접지용 도체인 프레임(10)에 접지 단자(11)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그러한 위치에, 제 1 접지 접속 단자(51)가 배치된다. 상세하게는, 제 1 접지 접속 단자(51)의 판 스프링(55)에 있어서의 고정단(551), 자유단(552) 및 굴곡부(553)의 각각의 위치, 및 고정단(551)과 굴곡부(553) 사이의 부분의 기울기라는 요소가 적절히 설정된다. 이들의 요소는 제 1 접지 접속 단자(51)에 있어서의 제 1 접촉부(554) 및 제 2 접촉부(555)의 각각의 위치를 규정한다. 고정단(551)과 자유단(552)의 위치가 설정됨으로써, 제 1 접촉부(554) 및 제 2 접촉부(555)의 위치가 고정단(551)과 자유단(552) 사이로 규정된다. 또, 굴곡부(553)의 위치가 설정되고, 또한 고정단(551)과 자유단(552) 사이의 부분의 기울기가 적절히 설정됨으로써, 제 1 접촉부(554)의 위치가 고정단(551)과 굴곡부(553) 사이로 규정된다. 또, 굴곡부(553)의 위치가 설정됨으로써, 제 2 접촉부(555)의 위치가 굴곡부(553)와 고정단(551) 사이로 규정된다. 또, 실시 형태 1에서는, 고정단(551)으로부터 굴곡부(553)까지의 부분의 기울기가, 판 스프링에 있어서의 굴곡부(553)로부터 자유단(552)까지의 부분의 기울기보다 크다. 이 때문에, 고정단(551) 부근에서 판 스프링(55)을 베이스부(54)로부터 크게 일어서게 함으로써, 제 1 접촉부(554)의 위치를 고정단(551) 근처로 규정하기 쉬워진다. 이것에 의해, 급전 단자(70)가 급전용 도체(3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전에 제 1 접지 접속 단자(51)가 접지용 도체인 프레임(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쉬워진다. 또한, 판 스프링(55)의 굴곡부(553)로부터 자유단(552)까지의 부분의 기울기를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접속 과정에 있어서의 판 스프링(55) 전체의 변형량이 과대하게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판 스프링(55)이 탄성력으로 접지 단자(11)를 누를 때의 탄성력의 크기를 적절히 조정할 수 있고, 또한 판 스프링(55)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실시 형태 2에 따른 플러그 장치(202)에 대해,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실시 형태 2에 따른 플러그 장치(202)는, 본체부(81)와, 본체부(81)로부터 돌출하는 접속부(82)를 구비한다(특히 도 8 참조). 이하,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공통의 부호를 부여해서 적절히 설명을 생략한다. 접속부(82)는 본체부(81)가 갖는 1개의 면(53)(대향면(53))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실시 형태 2에서는, 대향면(53)은 위쪽을 향하고 있다. 대향면(53)은 접속 상태에서 배선 덕트(100)와 대향한다. 플러그 장치(202)에는, 케이블(400)이 접속되어 있다. 케이블(400)은, 플러그 장치(202)에 있어서의 접지 접속 단자(5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접지선, 및 플러그 장치(202)에 있어서의 급전 단자(7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전선을 갖고 있다. 케이블(400)은 본체부(81)의 하방측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실시 형태 2에서는 플러그 장치(202)는 회로 차단기를 더 구비하고 있다. 회로 차단기는, 급전 단자(70)와 전선 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회로 차단기는 본체부(81)에 수납되어 있다.
접속부(82) 및 급전 단자(70)의 구성은 상방과 하방의 관계가 실시 형태 1과는 반대이며, 또한 좌측과 우측의 관계가 실시 형태 1과는 반대인 것을 제외하고, 실시 형태 1에 따른 플러그 장치(201)의 경우와 동일하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지 접속 단자(51)는, 접속부(82)의 외측에, 제 1 측면(841)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접지 접속 단자(51)는, 접속 상태에서 접지용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플러그 장치(202)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제 2 접지 접속 단자(52)를 구비하지 않지만,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플러그 장치(200)가 제 2 접지 접속 단자(52)를 구비하여도 좋다.
접지 접속 단자(51)는 도전성을 갖는다. 접지 접속 단자(51)는 예를 들면 구리 등의 금속제이다. 접지 접속 단자(51)는, 실시 형태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접속부(82)의 돌출하는 방향으로 돌출하고, 또한 제 1 측면(841)에 접하고 있는 베이스부(54)와, 베이스부(54)로부터 돌출하는 판 스프링(55)을 구비한다. 베이스부(54) 및 판 스프링(55)의 구성은 상방과 하방의 관계가 실시 형태 1과는 반대이며, 또한 좌측과 우측의 관계가 실시 형태 1과는 반대인 것을 제외하고, 실시 형태 1의 경우와 동일하다. 또, 접지 접속 단자(51)는 베이스부(54)의 하방측의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고정부(59)를 구비한다.
실시 형태 2에서는, 본체부(81)는 금속제의 접지판(813)을 구비하고, 이 접지판(813)에 접지 접속 단자(51)가 고정되어 있다(도 9 참조). 접지판(813)은 본체부(81)에 있어서의 대향면(53)을 구성하는 천정판(812)과, 본체부(81)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베이스판(815)을 구비한다. 베이스판(815)은, 접지선이 접속되는 단자(814)를 갖는다. 천정판(812)은 2개의 장변과 2개의 단변을 갖는 프레임 형상이며, 접속부(82)가 배치되는 위치에 개구를 갖는다. 베이스판(815)은 그 장변을 구성하는 2개의 장(長) 프레임부(816)와, 그 단변을 구성하는 2개의 단(短) 프레임부(817)를 갖는다. 접지 접속 단자(51)의 고정부(59)는 1개의 단 프레임부(817)의 내면에 겹쳐서 코킹 접속 등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접지 접속 단자(51)가 접지판(813)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접지 접속 단자(51)의 구조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접지 접속 단자(51)는 접속부(82) 또는 접속부(82)를 포함하는 부재에 고정되어 있어도 좋고, 이 경우, 접지 접속 단자(51)는 실시 형태 1의 경우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어도 좋다.
플러그 장치(202)는 후크(92)를 구비하고, 후크(92)는 본체부(81)의 대향면(53)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후크(92)의 위치 및 형상은, 플러그 장치(202)가 배선 덕트(100)에 접속되면 후크(92)가 프레임(10)에 있어서의 접속구(12)의 가장자리에 걸리도록 규정되어 있다. 실시 형태 2에서는, 후크(92)의 개수는 4개이며, 이들 후크(92)는 접속구(12)의 형상에 따른 위치에 있다. 후크(92)는 본체부(81)에 대해서 요동 가능하고, 요동함으로써, 후크(92)는, 접속 상태에서 접속구(12)의 가장자리에 걸리는 상태와 접속구(12)의 가장자리에 걸리지 않는 상태로 전환한다. 후크(92)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후크(92)는 접속구(12)의 가장자리에 걸리는 상태에 있다. 본체부(81)는 후크를 요동시키는 가압 버튼(93)을 갖는다. 가압 버튼(93)이 눌러지면, 그것에 연동해서 후크(92)가 요동해서, 접속구(12)의 가장자리에 걸리지 않는 상태가 된다.
접속 과정에서는, 우선 배선 덕트(100)에 대해서 플러그 장치(202)를, 본체부(81)의 대향면(53)이 배선 덕트(100)와 대향하고, 접속부(82)가 접속구(12)와 대향하고, 급전 단자(70)가 각각 급전용 도체(30)와 대향하도록, 위치 맞춤한다. 실시 형태 2에서는, 접속부(82)의 1개의 측면(84)(제 3 측면(843))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면(84)이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볼록부(61)를 갖는다. 접속구(12)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부(61)에 따른 형상의 오목부(62)를 갖는다. 위치 맞춤된 상태에서는, 볼록부(61)와 오목부(62)가 서로 맞물림될 수 있고, 이 때문에 볼록부(61)와 오목부(62)는, 접속부(82)가 접속구(12)에 들어가는 것을 허가한다. 위치 맞춤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볼록부(61)가 접속구(12)의 가장자리에 걸리고, 접속부(82)가 접속구(12)에 들어가지 않는다. 이 때문에, 볼록부(61)와 오목부(62)가 있는 것에 의해, 배선 덕트(100)에 대해서 플러그 장치(202)를 적절히 위치 맞춤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1에 따른 플러그 장치(202)도, 실시 형태 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볼록부(61)를 가져도 좋다. 볼록부(61)와 오목부(62)에 한정하지 않고, 위치 맞춤된 상태에서 서로 맞물림으로써 접속부(82)가 접속구(12)에 들어가는 것을 허가하는 형상을, 접속부(82)와 접속구(12)가 가져도 좋다.
위치 맞춤된 상태에서, 접속부(82)를 접속구(12)로부터 프레임(10)의 내부 공간(13)에 넣는다. 그러면, 실시 형태 1에 따른 플러그 장치(20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접지 접속 단자(51)에 있어서의 판 스프링(55)의 제 1 접촉부(554)가 접지 단자(11)와 접촉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계속해서,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부(82)를 프레임(10)의 내부 공간(13)에 더 넣으면, 접지 단자(11)는 제 2 접촉부(555)에 접촉한다. 판 스프링(55)은 접지 단자(11)를 탄성력으로 가압하고, 이것에 의해 접지 접속 단자(51)와 접지 단자(11)의 전기적 접속이 안정된다. 또, 실시 형태 1에 따른 플러그 장치(20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지 접속 단자(51)의 제 1 접촉부(554)가 접지 단자(11)와 접촉한 시점에서는, 급전 단자(70)와 급전용 도체(30)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지 접속 단자(51)에 있어서의 접지 단자(11)와의 접촉 위치가 제 1 접촉부(554)로부터 제 2 접촉부(555)를 향하여 이동함에 따라, 급전 단자(70)와 급전용 도체(30)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와 같이 실시 형태 2에서도,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급전 단자(70)가 급전용 도체(3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전에 접지 접속 단자(51)가 접지용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그러한 위치에, 접지 접속 단자(51)가 배치되어 있다.
또, 접속 과정에서는, 후크(92)가 접속구(12)의 가장자리에 닿으면, 후크(92)는 요동하면서 프레임(10)의 내부 공간(13)에 들어간다. 플러그 장치(202)의 배선 덕트(100)에의 접속이 완료되면, 후크(92)는 접속구(12)의 가장자리에 걸리는 상태로 되고, 즉 플러그 장치(202)의 후크(92)가 배선 덕트(100)의 접속구(12)의 가장자리에 걸린다. 이것에 의해, 플러그 장치(202)가 배선 덕트(100)에 안정되게 고정된다. 배선 덕트(100)로부터 플러그 장치(202)를 분리하는 경우에는, 가압 버튼(93)을 누름으로써 후크(92)를 요동시켜서, 후크(92)를 접속구(12)의 가장자리에 걸리지 않는 상태로 하면, 플러그 장치(202)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배전 시스템(300)에서는, 상기와 같이, 배선 덕트(100)에 플러그 장치(200)를 접속하는 것에 있어서, 급전 접속이 생기기 전에 접지 접속을 일으키게 할 수 있다.
플러그 장치(200) 및 배전 시스템(300)은, 상기의 설명에만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서 여러 구성의 추가, 삭제, 또는 치환이라고 하는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의 설명에서는, 플러그 장치(200)는 급전 단자(70)와 전선 사이에 회로 차단기를 구비하고 있지만, 회로 차단기를 구비하지 않아도 좋다. 또, 플러그 장치(200)는 예를 들면 누전 차단기, 단자대, 변류기(CT)라고 하는 장치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또, 접지 접속 단자(51)는, 접속 과정에 있어서, 급전 단자(70)가 급전용 도체(3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전에 접지 접속 단자(51)가 접지용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면 좋다. 그러면, 접지 접속 단자(51)의 구체적인 위치 및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의 설명에서는, 실시 형태 1에서는 플러그 장치(200)는 접지 접속 단자(51) 및 제 2 접지 접속 단자(52)라고 하는 2개의 접지용의 단자를 구비하고, 실시 형태 2에서는 플러그 장치(200)는 접지 접속 단자(51)라고 하는 1개의 접지용의 단자를 구비한다. 그러나, 접지 접속용의 단자의 수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플러그 장치(200)는, 접속부(82)의 제 3 측면(843)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는 접지 접속용의 단자 및 접속부(82)의 제 4 측면(844)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는 접지 접속용의 단자 중 적어도 한쪽을 더 구비하여도 좋다.
또, 상기의 설명에서는, 제 1 형태 및 실시 형태 2에서는 접지 접속 단자(51)는 접속부(82)의 제 1 측면(841)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지만, 접지 접속 단자(51)는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접지 접속 단자(51)는 접속부(82)의 제 2 측면(842), 제 3 측면(843) 또는 제 4 측면(844)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 상기의 설명에서는, 실시 형태 1에서는 제 2 접지 접속 단자(52)는 접속부(82)의 제 2 측면(842)을 따라 배치되어 있지만, 제 2 접지 접속 단자(52)는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접지 접속 단자(51)가 제 1 측면(841)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제 2 접지 접속 단자(52)가 제 3 측면(843) 또는 제 4 측면(844)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 상기의 설명에서는, 실시 형태 1에서는 접지 접속 단자(51)의, 접속부(82)의 돌출 방향의 치수는 제 2 접지 접속 단자(52)의, 접속부(82)의 돌출 방향의 치수보다 크지만 그렇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접지 접속 단자(51)의 치수와 제 2 접지 접속 단자(52)의 치수가 동일해도 좋다. 이 경우, 플러그 장치(200)를 배선 덕트(100)에 접속하는 과정에서, 급전 단자(70)가 급전용 도체(30)에 접촉하기 전에, 접지 접속 단자(51)뿐만이 아니라 제 2 접지 접속 단자(52)도, 접지 단자(11)에 접촉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도 좋다. 제 2 접지 접속 단자(52)의 치수가 접지 접속 단자(51)의 치수보다 커도 좋다.
또, 접지 접속 단자(51)는, 접속 과정에 있어서 접지용 도체와 접촉해서 접지용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이면, 판 스프링(55)을 갖지 않아도 좋다. 접지 접속 단자(51)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판 스프링(55)과는 상이한 구조의 판 스프링을 가져도 좋다.
또, 배선 덕트(100)가 구비하는 접지용 도체도, 상기의 설명과 같은 프레임(10)이 아니어도 좋다. 예를 들면 배선 덕트(100)는, 접지용 도체로서, 급전용 도체(30)와 마찬가지의 구조의 도체를, 접속 과정에 있어서 접지 접속 단자(51)와 접하는 위치에 마련해도 좋다. 플러그 장치(200)는 접지용 도체의 구조에 따른 최적의 구조의 접지 접속 단자(51)를 구비하면 좋다.
또, 접속 과정에 있어서 급전 접속 전에 접지 접속이 생길 수 있으면, 급전용 도체(30) 및 급전 단자(70)의 구조 및 양자의 접속의 방식도 어떠한 구조 및 방식이어도 좋다.
배선 덕트(100)에 있어서의 접속구(12)의 구성도 상기의 설명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접속구(12)는, 프레임(10)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길이를 갖는 슬릿 형상이며, 이 접속구(12)의 길이 방향의 적절한 위치에 플러그 장치(200)가 접속되어도 좋다.
(요약)
제 1 형태에 따른 플러그 장치(200)는 급전용 도체(30)와 접지용 도체(프레임(10))를 구비하는 배선 덕트(100)에 접속된다. 플러그 장치(200)는 본체부(81)를 구비한다. 플러그 장치(200)는, 본체부(81)로부터 돌출하고, 접속 상태로 배선 덕트(100)의 내부 공간(13)에 배치되는 접속부(82)도 구비한다. 플러그 장치(200)는, 접속부(82)의 내부에 있고, 접속 상태에서 급전용 도체(3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급전 단자(70)도 구비한다. 접속부(82)는 접속부(82)의 돌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는 측면(84)인 주 배치면(845)을 갖는다. 플러그 장치(200)는, 주 배치면(845)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는 접지 접속 단자(51)도 구비한다. 접지 접속 단자(51)는, 플러그 장치(200)가 배선 덕트(100)에 접속된 접속 상태에서 접지용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접속 과정에서, 급전 단자(70)가 급전용 도체(3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전에 접지 접속 단자(51)가 접지용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위치에, 접지 접속 단자(51)가 배치되어 있다. 접속 과정이란, 플러그 장치(200)가 접속 상태가 아닌 상태로부터 접속 상태로 될 때까지의 과정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플러그 장치(200)가 배선 덕트(100)에 접속되는 것에 있어서, 플러그 장치(200)가, 배선 덕트(100)의 급전용 도체(3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전에 접지용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이 용이하다.
제 2 형태에 따른 플러그 장치(200)는, 제 1 형태에 있어서, 접속부(82)가, 주 배치면(845)이 향하는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을 향하는 측면(84)인 부 배치면(846)을 더 갖는다. 플러그 장치(200)는, 접지 접속 단자(51)인 제 1 접지 접속 단자(51)와는 별개로, 부 배치면(846)을 따라 배치되고, 접속 상태에서 접지용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2 접지 접속 단자(52)를 더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1 접지 접속 단자(51)뿐만이 아니라 제 2 접지 접속 단자(52)도 이용해서 플러그 장치(200)와 접지용 도체의 전기적 접속을 행할 수 있어, 접속의 안정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제 3 형태에 따른 플러그 장치(200)는, 제 2 형태에 있어서, 제 1 접지 접속 단자(51)의, 접속부(82)의 돌출하는 방향의 치수는, 제 2 접지 접속 단자(52)의, 접속부(82)의 돌출하는 방향의 치수보다 크다.
이 구성에 의하면, 특히 제 1 접지 접속 단자(51)를 이용해서, 플러그 장치(200)가 급전용 도체(3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전에 접지용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제 4 형태에 따른 플러그 장치(200)는, 제 2 또는 제 3 형태에 있어서, 본체부(81)로부터 제 1 접지 접속 단자(51)의 선단까지의, 접속부(82)의 돌출 방향의 치수는, 본체부(81)로부터 제 2 접지 접속 단자(52)의 선단까지의, 접속부(81)의 돌출 방향의 치수보다 크다.
이 구성에 의하면, 특히 접지 접속 단자(51)를 이용해서, 플러그 장치(200)가 급전용 도체(3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전에 접지용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제 5 형태에 따른 플러그 장치(200)는, 제 1 내지 제 4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있어서, 접지 접속 단자(51)는, 고정단(551)과 자유단(552)을 갖는 판 스프링(55)을 구비한다. 판 스프링(55)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자유단(552)의, 접속부(82)의 돌출 방향의 위치는 고정단(551)에 대해서 본체부(81) 측에 있다. 또한, 판 스프링(55)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자유단(552)의, 주 배치면(845)이 향하는 방향을 따르는 방향의 위치는, 고정단(551)에 대해서 주 배치면(845)과는 반대측에 있다. 판 스프링(55)은, 고정단(551)과 자유단(552) 사이에 굴곡부(553)를 더 갖는다. 판 스프링(55)에 있어서의 고정단(551)으로부터 굴곡부(553)까지의 부분의, 접속부(82)의 돌출 방향에 대한 기울기는, 판 스프링(55)에 있어서의 굴곡부(553)로부터 자유단(552)까지의 부분의, 접속부(82)의 돌출 방향에 대한 기울기보다 크다.
이 구성에 의하면, 플러그 장치(200)가 배선 덕트(100)에 접속되는 것에 있어서, 접지 접속 단자(51)에 있어서의 접지용 도체와의 최초의 접촉 위치를 규정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접지 접속 단자(51)와 접지용 도체의 전기적인 접속의 안정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제 6 형태에 따른 플러그 장치(200)에서는, 제 5 형태에 있어서, 판 스프링(55)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판 스프링(55)은 접속부(82)의 돌출 방향에 대해서 기울어져 있다. 판 스프링(55)은, 자유단(552)의, 주 배치면(845)이 향하는 방향을 따르는 방향의 위치가, 고정단(551)에 대해서 주 배치면(845)과는 반대측에 있도록, 경사져 있다.
제 7 형태에 따른 플러그 장치(200)에서는, 제 5 또는 제 6 형태에 있어서, 판 스프링(55)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고정단(551)으로부터 굴곡부(553)까지의 부분은, 접속부(82)의 돌출 방향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이 부분은, 굴곡부(553)의, 주 배치면(845)이 향하는 방향을 따르는 방향의 위치가, 고정단(551)에 대해서 주 배치면(845)과는 반대측에 있도록, 경사져 있다.
제 8 형태에 따른 플러그 장치(200)에서는, 제 5 내지 제 7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있어서, 판 스프링(55)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굴곡부(553)로부터 자유단(552)까지의 부분은 접속부(82)의 돌출 방향에 대해서 기울어져 있다. 이 부분은, 자유단(552)의, 주 배치면(845)이 향하는 방향을 따르는 방향의 위치가, 굴곡부(553)에 대해서 주 배치면(845)과는 반대측에 있도록, 경사져 있다.
제 9 형태에 따른 플러그 장치(200)에서는, 제 5 내지 제 8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있어서, 판 스프링(55)은, 접속 과정에서 판 스프링(55)이 접지용 도체에 접속할 때에 접지용 도체와 최초에 접촉하는 제 1 접촉부(554)를 더 갖는다. 판 스프링(55)은, 굴곡부(553)와 자유단(552) 사이에, 접속 상태에서 접지용 도체와 접촉하는 제 2 접촉부(555)도 더 갖는다. 굴곡부(553)와 제 1 접촉부(554) 사이의 치수는, 굴곡부(553)와 제 2 접촉부(555) 사이의 치수보다 작다.
이 구성에 의하면, 플러그 장치(200)가 배선 덕트(100)에 접속되는 것에 있어서, 접지 접속 단자(51)에 있어서의 접지용 도체와의 최초의 접촉 위치를 규정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접지 접속 단자(51)와 접지용 도체의 전기적인 접속의 안정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제 10 형태에 따른 플러그 장치(200)에서는, 제 1 내지 제 9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있어서, 배선 덕트(100)는 중공의 프레임(10)을 구비하고, 프레임(10)의 내부 공간(13)이 배선 덕트(100)의 내부 공간(13)이다.
제 7 형태에 따른 플러그 장치(200)에서는, 제 6 형태에 있어서, 프레임(10)이 접지용 도체이다.
제 11 형태에 따른 플러그 장치(200)에서는, 제 1 내지 제 10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있어서, 배선 덕트(100)는 배선 덕트(100)의 내부 공간(13)과 외부 공간을 연결하는 접속구(12)를 갖고, 접속 상태에서는, 접속부(82)는 접속구(12)를 통해서 내부 공간(13)에 배치된다.
제 12 형태에 따른 플러그 장치(200)에서는, 제 11 형태에 있어서, 프레임(10)이 접속구(12)를 갖는다.
제 13 형태에 따른 플러그 장치(200)에서는, 제 1 내지 제 12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있어서, 접지용 도체는 접지 단자(11)를 갖고, 접속 상태에서는, 접지 접속 단자(51)는 접지 단자(11)에 접촉함으로써 접지용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제 14 형태에 따른 플러그 장치(200)에서는, 제 13 형태에 있어서, 접속구(12)의 내주면이 접지 단자(11)이다.
제 15 형태에 따른 배전 시스템(300)은, 제 1 내지 제 14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따른 플러그 장치(200)와, 플러그 장치(200)가 접속되는 배선 덕트(100)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플러그 장치(200)가 배선 덕트(100)에 접속되는 것에 있어서, 플러그 장치(200)가 배선 덕트(100)의 급전용 도체(3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전에 접지용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이 용이하다.
100 : 배선 덕트
201 : 플러그 장치
202 : 플러그 장치 300 : 배전 시스템
10 : 프레임(접지용 도체) 11 : 접지 단자
12 : 접속구 13 : 내부 공간
30 : 급전용 도체 51 : 접지 접속 단자(제 1 접지 접속 단자)
52 : 제 2 접지 접속 단자 55 : 판 스프링
551 : 고정단 552 : 자유단
553 : 굴곡부 554 : 제 1 접촉부
555 : 제 2 접촉부 70 : 급전 단자
81 : 본체부 82 : 접속부
84 : 측면 845 : 주 배치면
846 : 부 배치면
202 : 플러그 장치 300 : 배전 시스템
10 : 프레임(접지용 도체) 11 : 접지 단자
12 : 접속구 13 : 내부 공간
30 : 급전용 도체 51 : 접지 접속 단자(제 1 접지 접속 단자)
52 : 제 2 접지 접속 단자 55 : 판 스프링
551 : 고정단 552 : 자유단
553 : 굴곡부 554 : 제 1 접촉부
555 : 제 2 접촉부 70 : 급전 단자
81 : 본체부 82 : 접속부
84 : 측면 845 : 주 배치면
846 : 부 배치면
Claims (6)
- 급전용 도체와 접지용 도체를 구비하는 배선 덕트에 접속되는 플러그 장치로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플러그 장치가 상기 배선 덕트에 접속된 접속 상태에서 상기 배선 덕트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의 내부에 있고, 상기 접속 상태에서 상기 급전용 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급전 단자
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접속부의 돌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는 측면인 주 배치면을 갖고
상기 플러그 장치는, 상기 주 배치면을 따라서 배치되고, 상기 접속 상태에서 상기 접지용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지 접속 단자를 더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장치가 상기 접속 상태가 아닌 상태로부터 상기 접속 상태로 될 때까지의 접속 과정에서, 상기 급전 단자가 상기 급전용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전에 상기 접지 접속 단자가 상기 접지용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위치에, 상기 접지 접속 단자가 배치되어 있는
플러그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주 배치면이 향하는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을 향하는 측면인 부 배치면을 더 갖고,
상기 플러그 장치는, 상기 접지 접속 단자인 제 1 접지 접속 단자와는 별개로, 상기 부 배치면을 따라서 배치되고, 상기 접속 상태에서 상기 접지용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2 접지 접속 단자를 더 구비하는
플러그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지 접속 단자의, 상기 접속부의 돌출 방향의 치수는, 상기 제 2 접지 접속 단자의, 상기 접속부의 돌출 방향의 치수보다 큰
플러그 장치.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접속 단자는, 고정단과 자유단을 갖는 판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판 스프링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자유단의, 상기 접속부의 돌출 방향의 위치는, 상기 고정단에 대해서 상기 본체측에 있고, 또한 상기 자유단의, 상기 주 배치면의 방향을 따른 방향의 위치는, 상기 고정단에 대해서 상기 주 배치면과는 반대측에 있고,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고정단과 상기 자유단 사이에 굴곡부를 더 갖고,
상기 판 스프링에 있어서의 상기 고정단으로부터 상기 굴곡부까지의 부분의, 상기 접속부의 돌출 방향에 대한 기울기는, 상기 판 스프링에 있어서의 상기 굴곡부로부터 상기 자유단까지의 부분의, 상기 접속부의 돌출 방향에 대한 기울기보다 큰
플러그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고정단과 상기 굴곡부 사이에, 상기 접속 과정에서 상기 판 스프링이 상기 접지용 도체에 접촉할 때에 상기 접지용 도체와 최초에 접촉하는 제 1 접촉부를 더 갖고,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굴곡부와 상기 자유단 사이에, 상기 접속 상태에서 상기 접지용 도체와 접촉하는 제 2 접촉부를 더 갖고,
상기 굴곡부와 상기 제 1 접촉부 사이의 치수는, 상기 굴곡부와 상기 제 2 접촉부 사이의 치수보다 작은
플러그 장치.
- 청구항 1에 기재된 플러그 장치와,
상기 플러그 장치가 접속되는 배선 덕트
를 구비하는 배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7191900A JP7133780B2 (ja) | 2017-09-29 | 2017-09-29 | プラグ装置及び配電システム |
JPJP-P-2017-191900 | 2017-09-2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38391A true KR20190038391A (ko) | 2019-04-08 |
KR102102588B1 KR102102588B1 (ko) | 2020-04-21 |
Family
ID=65919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15142A KR102102588B1 (ko) | 2017-09-29 | 2018-09-27 | 플러그 장치 및 배전 시스템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7133780B2 (ko) |
KR (1) | KR102102588B1 (ko) |
CN (1) | CN109586121B (ko) |
TW (1) | TWI710182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821225B (zh) * | 2021-03-04 | 2022-06-21 | 胜利油田华滨福利机电有限责任公司 | 一种防尘式配电柜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4437A (ja) * | 1992-06-25 | 1994-01-21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バスダクト装置 |
JP2014225353A (ja) | 2013-05-15 | 2014-12-04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配線ダクト接続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129997Y2 (ko) * | 1971-11-24 | 1976-07-28 | ||
JPS59164181U (ja) * | 1983-04-18 | 1984-11-02 | 吉田 稔 | バスダクトのプラグイン器具取付装置 |
JPS59198819A (ja) * | 1983-04-22 | 1984-11-10 | 共同電気株式会社 | バスダクトの接地装置 |
JPH0767219B2 (ja) * | 1992-06-18 | 1995-07-19 | 松下電工株式会社 | ダクトの分岐装置 |
TWM311167U (en) * | 2006-08-28 | 2007-05-01 | Hon Hai Prec Ind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
JP4864798B2 (ja) | 2007-04-02 | 2012-02-01 | オリオン機械株式会社 | 棚状構造及び空気圧装置収納ボックス |
CN202167641U (zh) * | 2011-06-25 | 2012-03-14 | 富港电子(东莞)有限公司 | 电连接器 |
CN202534813U (zh) * | 2011-12-01 | 2012-11-14 | 信音电子(中国)股份有限公司 | 直流电源连接器 |
TWM512246U (zh) * | 2015-06-30 | 2015-11-11 | Simula Technology Inc | 可正反插且具防止鄰近端子短路之電源連接器結構 |
CN105261859A (zh) * | 2015-11-16 | 2016-01-20 | 深圳市精和新科技有限公司 | 直流电源插座连接器 |
-
2017
- 2017-09-29 JP JP2017191900A patent/JP7133780B2/ja active Active
-
2018
- 2018-09-27 TW TW107133949A patent/TWI710182B/zh active
- 2018-09-27 KR KR1020180115142A patent/KR10210258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09-28 CN CN201811139261.6A patent/CN109586121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4437A (ja) * | 1992-06-25 | 1994-01-21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バスダクト装置 |
JP2014225353A (ja) | 2013-05-15 | 2014-12-04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配線ダクト接続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02588B1 (ko) | 2020-04-21 |
JP7133780B2 (ja) | 2022-09-09 |
JP2019067630A (ja) | 2019-04-25 |
TWI710182B (zh) | 2020-11-11 |
TW201916506A (zh) | 2019-04-16 |
CN109586121B (zh) | 2021-02-12 |
CN109586121A (zh) | 2019-04-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666963B2 (en) | Terminal, electric connector and electric connector assembly | |
CN105375157B (zh) | 电连接器及其组件 | |
JP2021007105A (ja) | 端子およびそれを伴う電気コネクタ | |
JP6325505B2 (ja) | コネクタ | |
CN101416354A (zh) | 印刷电路板的接线柱 | |
JP2020087837A (ja) | コネクタ | |
US10468792B2 (en) | Terminal block | |
CN110364854B (zh) | 连接器 | |
CN109888537A (zh) | 连接器及电缆线束 | |
TW201324969A (zh) | 交錯安裝的電連接器 | |
US10879633B2 (en) | Connector housing and electrical connector | |
KR20190038352A (ko) | 배선 덕트, 플러그 장치 및 배전 시스템 | |
KR100689236B1 (ko) | 리셉터클형 전기 단자 | |
EP2985839B1 (en) | Plug | |
KR20190038391A (ko) | 플러그 장치 및 배전 시스템 | |
US10971849B2 (en) |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 |
US3001168A (en) | Wiring device | |
US9806471B2 (en) | Power connector and a pluggable connector configured to mate with the power connector | |
CN106575829B (zh) | 电缆连接器 | |
US8172624B2 (en) | Wiring device assembly with contact stabilizing structure | |
CN111918492B (zh) | 电气连接箱 | |
CN103219599A (zh) | 外壳贯穿连接器 | |
US8109788B1 (en) | Cable assembly with improved grounding bar | |
CN220544311U (zh) | 一种高压连接器壳体及高压连接器 | |
US20100175254A1 (en) | Wiring device assembly with contact stabilizing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