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4682A - 접근이 편리한 배출 용지 적재 구조 - Google Patents

접근이 편리한 배출 용지 적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4682A
KR20210074682A KR1020190165644A KR20190165644A KR20210074682A KR 20210074682 A KR20210074682 A KR 20210074682A KR 1020190165644 A KR1020190165644 A KR 1020190165644A KR 20190165644 A KR20190165644 A KR 20190165644A KR 20210074682 A KR20210074682 A KR 20210074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elevating
rear end
lifting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5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이지 후카자와
이영복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190165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4682A/ko
Priority to PCT/US2020/037151 priority patent/WO2021118636A1/en
Publication of KR20210074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46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009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 B41J13/0036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in the output section of automatic paper handling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G03G15/6514Manual suppl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06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for the sheet output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3/00Power drives for actions or mechanisms
    • B41J23/02Mechanical power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04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 B65H31/08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the articles being piled one above another
    • B65H31/10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the articles being piled one above another and applied at the top of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04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 B65H31/12Devices relieving the weight of the pile or permitting or effecting movement of the pile end support during piling
    • B65H31/18Positively-acting mechanic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30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 B65H31/3054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by moving the surface supporting the lowermost article of the pile, e.g. by using belts or rollers
    • B65H31/3063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by moving the surface supporting the lowermost article of the pile, e.g. by using belts or rollers by special supports like carriages, containers, trays, compartments, plates or bars, e.g. moved in a closed loop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38Devices for collating sheet copy material, e.g. sorters, control, copies in staples for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2Means for discharging uncollated sheet copy material, e.g. discharging rollers, exit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1Forming a pile
    • B65H2301/4212Forming a pile of articles substantially horizon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1Forming a pile
    • B65H2301/4213Forming a pile of a limited number of articles, e.g. buffering, forming bu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40Toothed gearings
    • B65H2403/41Rack-and-pinion, cogwheel in cog rail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10Cassettes, holders, bins, decks, trays, supports or magazines for sheets stack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B65H2405/11Parts and details thereof
    • B65H2405/111Bottom
    • B65H2405/1115Bottom with surface inclined, e.g. in width-wise direction
    • B65H2405/11151Bottom with surface inclined, e.g. in width-wise direction with surface inclined upwardly in transport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10Cassettes, holders, bins, decks, trays, supports or magazines for sheets stack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B65H2405/11Parts and details thereof
    • B65H2405/111Bottom
    • B65H2405/1117Bottom pivotable, e.g.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ransport direction, e.g. arranged at rear side of sheet sup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30Other features of supports for sheets
    • B65H2405/32Supports for sheets partially insertable - extractable, e.g. upon sliding movement, drawer
    • B65H2405/324Supports for sheets partially insertable - extractable, e.g. upon sliding movement, drawer between operative position and non operativ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1Dimensional aspect of article or web
    • B65H2701/112Section geometry
    • B65H2701/1123Folded article or we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8Form of handled article or web
    • B65H2701/182Piled package
    • B65H2701/18271Piled package of folded shee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8Form of handled article or web
    • B65H2701/182Piled package
    • B65H2701/1829Bound, bundled or stapled stacks or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8Form of handled article or web
    • B65H2701/182Piled package
    • B65H2701/1829Bound, bundled or stapled stacks or packages
    • B65H2701/18292Stapled sets of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24Post -processing devices
    • B65H2801/27Devices located downstream of office-type machin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367The feeding path segment where particular handling of the copy medium occurs, segments being adjacent and non-overlapping. Each segment is identified by the most downstream point in the segment, so that for instance the segment labelled "Fixing device" is referring to the path between the "Transfer device" and the "Fixing device"
    • G03G2215/00417Post-fixing device
    • G03G2215/00421Discharging tray, e.g. devices stabilising the quality of the copy medium, postfixing-treatment, inverting, sor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개시된 배출 용지 적재 장치는, 상사 위치와 하사 위치로 승강될 수 있게 지지되는 승강 부재와, 용지를 적재하는 적재 위치와 상기 적재 위치로부터 용지 배출방향으로 이동된 인출 위치로 이동될 수 있게 승강 부재에 지지되는 트레이와, 승강 부재가 하사 위치에 위치된 때에 트레이가 인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이동 제한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접근이 편리한 배출 용지 적재 구조{Stacking tray structure for easy access}
화상형성장치는 용지, 예를 들어 인쇄 매체에 화상을 인쇄한다. 인쇄가 완료되어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용지는 배출 공간으로 배출된다. 배출 공간에는 배출된 용지를 적재하는 트레이가 마련될 수 있다. 트레이는 용지의 적재량에 따라서 승강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에는 후처리 장치가 채용될 수 있다. 후처리 장치는 화상형성장치와 배출 공간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후처리 장치는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용지에 단부 제본, 중철 제본, 접기 등의 후처리 공정을 수행한다. 후처리가 완료된 용지는 배출 공간으로 배출되며, 트레이에 적재될 수 있다.
사용자는 배출 공간에 적재된 용지를 확인하고 배출 공간으로부터 용지를 꺼낼 수 있다. 상부와 하부가 막힌 형태의 배출 공간의 경우, 배출 공간 내부의 용지를 확인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또한, 배출 공간의 높이가 작으면 배출 공간으로 손을 넣어서 용지를 꺼내기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배출 용지 적재 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 구성도이다.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배출 용지 적재 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 구성도로서 트레이가 적재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4b는 도 4a의 X1-X1'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배출 용지 적재 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 구성도로서 트레이가 인출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6은 배출 용지 적재 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7은 후단 지지 부재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트레이와 후단 지지 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트레이와 후단 지지 부재가 함께 인출 위치로 이동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후단 지지 부재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트레이와 후단 지지 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트레이와 후단 지지 부재가 함께 인출 위치로 이동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배출 용지 적재 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4는 제1구동모터를 이용하여 후단 지지 부재를 구동하는 구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구조에서 피니언이 이격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구조에서 피니언이 맞물림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7은 도 3에 도시된 배출 용지 적재 장치의 실시예에서 승강 부재가 하사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8과 도 19는 도 3에 도시된 배출 용지 적재 장치의 일 실시예에 적용되는 승강 부재와 벨트와의 연결 구조의 일 실시예의 개략도들이다.
도 20은 배출 용지 적재 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1은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2는 배출 용지 적재 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배출 용지 적재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승강 부재가 하사 위치에 접근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24는 도 22에 도시된 배출 용지 적재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승강 부재가 하사 위치에 도달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25는 도 22에 도시된 가이드 레일과 회동 제한 슬롯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은 배출 용지 적재 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배출 용지 적재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승강 부재(400)가 하사 위치에 접근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28은 도 26에 도시된 배출 용지 적재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승강 부재가 하사 위치에 도달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29는 도 26에 도시된 승강 부재를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들 참조하면서 화상형성장치 또는 후처리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용지를 적재하는 배출 용지 적재 장치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나 두께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는 용지(P), 예를 들어, 인쇄 매체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부(1)를 포함할 수 있다. 인쇄부(1)은 전자사진 방식, 잉크젯 방식, 열전사 방식, 열승화방식, 등 다양한 인쇄 방식에 의하여 인쇄 매체에 화상을 인쇄할 수 있다. 인쇄가 완료된 용지(P)는 배출구(1-1)를 통하여 배출 공간(2)으로 배출된다. 배출 공간(2)에는 트레이(3)가 설치된다. 인쇄부(1)로부터 배출 공간(2)으로 배출되는 용지(P)는 트레이(3)에 적재된다.
도 2는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는 용지(P), 예를 들어, 인쇄 매체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부(1)와 인쇄부(1)로부터 배출되는 용지(P)에 후처리 공정을 수행하는 후처리부(4)를 포함할 수 있다. 후처리부(4)는 예를 들어 용지(P)에 단부 제본, 중철 제본, 접기 등의 후처리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후처리가 완료된 용지(P)는 배출구(4-1)를 통하여 배출 공간(2)으로 배출되며, 트레이(3)에 적재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의 실시예들에서, 용지(P)가 트레이(3)로부터 낙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트레이(3)는 용지(P)의 배출 방향(TB)을 기준으로 하여 후단부로부터 선단부를 향하여 상향경사지게 설치된다. 트레이(3)는 화살표시 TA(승강방향)로 표시된 바와 같이, 배출 공간(2)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는, 배출 공간(2)으로 배출되는 용지(P)의 양에 따라서 트레이(3)를 승강 방향(TA)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 승강 방향(TA)는 용지(P)의 적재 방향이며, 배출 방향(TB)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전술한 화상형성장치의 실시예들에서, 배출 공간(2)은 상부와 하부가 막히고 측부가 부분적으로 개방된 형태이다. 사용자는 개방된 측부를 통하여 배출 공간(2) 내의 용지(P)를 확인하고 꺼낼 수 있다. 배출 공간(2)의 높이(H)가 충분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가 배출 공간(2) 내부의 용지(P)를 확인하고 배출 공간(2)으로부터 용지(P)를 꺼내기가 용이하지 않다. 배출 공간(2)의 용지(P)를 용이하게 확인하고 꺼낼 수 있는 배출 용지 적재 장치가 요구된다.
일 방안으로서, 트레이(3)를 적재 위치(도 1, 도 2의 실선)으로부터 배출 방향(TB)으로 이동된 인출 위치(도 1, 도 2의 점선)으로 이동시키는 방안이 있다. 이에 의하여, 트레이(3) 및 그 위에 적재된 용지(P)가 부분적으로 배출 공간(2)을 벗어나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용지(P)에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다.
적재 위치는 트레이(3)가 배출구(1-1 또는 4-1)에 접근된 위치이며, 인출 위치는 트레이(3)가 배출구(1-1 또는 4-1)로부터 배출 방향(TB)으로 이격된 위치이다. 트레이(3)는 용지(P)의 배출 방향(TB)으로 이동됨으로써 적재 위치로부터 인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 트레이(3)를 적재 위치로부터 인출 위치로 이동시키는 배출 용지 적재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배출 용지 적재 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 구성도이다.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배출 용지 적재 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 구성도로서 트레이(3)가 적재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4b는 도 4a의 X1-X1'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배출 용지 적재 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 구성도로서 트레이(3)가 인출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3과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배출 용지 적재 장치는, 상사 위치(도 3의 실선)와 하사 위치(도 3의 점선)로 승강될 수 있게 지지되는 승강 부재(100), 승강 부재(100)에 탑재되며 용지(P)를 적재하는 적재 위치와 적재 위치로부터 용지 배출방향(TB)으로 이동된 인출 위치로 이동가능한 트레이(3), 및 승강 부재(100)가 하사 위치에 위치된 때에 트레이(3)가 적재 위치로부터 인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이동 제한 부재(170)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 부재(100)는 프레임(8)에 승강될 수 있게 설치된다. 프레임(8)은 예를 들어, 배출 용지 적재 장치를 구성하는 프레임일 수 있으며, 인쇄부(1) 또는 후처리부(4)의 배출구(1-1 또는 4-1)가 마련된 벽일 수도 있다. 승강 부재(100)는 트레이(3)가 적재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사 위치와 하사 위치로 승강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승강 부재(100)는 프레임(8)에 마련된 승강 가이드 부재(120)에 승강 방향(TA)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가이드 레일(121)에 안내되어 승강될 수 있다. 승강 부재(100)에는 가이드 레일(121)에 삽입되는 가이드 롤러(101)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승강 부재(100)가 기울어지지 않고 승강 방향(TA)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승강 방향(TA)으로 이격된 한 쌍의 가이드 롤러(101)가 채용된다.
배출 용지 적재 장치는 전동방식으로 승강 부재(100)를 승강시키는 승강 구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승강 구동부는, 승강 방항(TA)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축(151)과 제2축(152), 제1축(151)과 제2축(152)에 지지되어 주행되는 벨트(153), 벨트(153)에 마련되는 제1걸림부(155), 및 승강 부재(100)에 마련되며 제1걸림부(155)와 결합되는 제2걸림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 구동부는 제1구동모터(M1)를 구비할 수 있다. 제1구동모터(M1)는 제1축(151)과 제2축(152)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1축(151)는 상사 위치에 인접한 축일 수 있으며, 제2축(152)은 하사 위치에 인접한 축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벨트(153)는 타이밍 벨트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축(151)과 제2축(152)에 마련되어 벨트(153)를 지지하는 풀리(154)는 타이밍 풀리이다. 물론, 벨트(153)와 풀리(154)는 평벨트와 평풀리일 수도 있다. 제1걸림부(155)는 돌기 형상일 수 있다. 제2걸림부(123)는 제1걸림부(155)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방이 개방된 홈 형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1걸림부(155)가 제2걸림부(123)에 삽입되어 승강 부재(100)가 상사 위치와 하사 위치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제1구동모터(M1)가 정방향으로 회전되어 제1걸림부(155)가 하강하면 승강 부재(100)는 자중에 의하여 하사 위치 쪽으로 하강될 수 있다. 제1구동모터(M1)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제1걸림부(155)가 상승하면서 제2걸림부(123)를 밀어 승강 부재(100)가 상사 위치 쪽으로 상승될 수 있다.
트레이(3)는 승강 부재(100)에 적재 위치와 인출 위치로 이동될 수 있게 지지된다. 예를 들어, 승강 부재(100)에는 슬라이드 부재(130)가 결합되고, 트레이(3)는 슬라이드 부재(130)에 지지될 수 있다. 슬라이드 부재(130)는 승강 부재(120)에 배출 방향(TB)으로 이동될 수 있게 지지된다. 본 실시예의 슬라이드 부재(130)는 2단 레일 구조를 갖는다. 슬라이드 부재(130)는 승강 부재(120)에 배출 방향(TB)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지지되는 제1슬라이드 부재(131)와, 제1슬라이드 부재(131)에 배출 방향(TB)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지지되는 제2슬라이드 부재(132)를 구비할 수 있다. 승강 부재(120)에는 배출 방향(TB)으로 연장된 제1가이드 레일(122)이 마련되고, 제1슬라이드 부재(131)에는 제1가이드 레일(122)에 지지되는 제1가이드 롤러(133)가 마련될 수 있다. 제1슬라이드 부재(131)에는 배출 방향(TB)으로 연장된 제2가이드 레일(134)이 마련되고, 제2슬라이드 부재(132)에는 제2가이드 레일(134)에 지지되는 제2가이드 롤러(135)가 마련될 수 있다. 트레이(3)는 제2슬라이드 부재(132)에 지지될 수 있다.
이동 제한 부재(170)는 승강 부재(100)가 하사 위치에 위치된 때에 트레이(3)가 적재 위치로부터 인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허용하며, 승강 부재(100)가 하사 위치 이외의 위치에 위치된 때에는 트레이(3)의 인출 위치로의 이동을 허용하지 않는다. 즉, 이동 제한 부재(170)는 승강 부재(100)가 하사 위치 이외의 위치에 위치된 때에는 트레이(3)를 적재 위치에 유지시킨다.
일 실시예로서, 이동 제한 부재(170)는 승강 방향(TA)으로 연장된 이동 제한 슬롯(171)과, 슬라이드 부재(130), 예를 들어 제2슬라이드 부재(132)에 마련되어 이동 제한 슬롯(171)에 삽입되는 이동 제한 돌기(172)와, 승강 부재(100)가 하사 위치에 위치된 때에 이동 제한 돌기(172)가 이동 제한 슬롯(171)로부터 배출 방향(TB)으로 이탈될 수 있도록 이동 제한 슬롯(171)에 마련된 개구부(17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제한 슬롯(171)은 프레임(8)에 설치될 수 있다. 이동 제한 돌기(172)는 예를 들어 롤러 형태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 제한 돌기(172)는 트레이(3), 슬라이드 부재(130)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 제한 돌기(172)는 제2슬라이드 부재(132)에 마련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서 트레이(3)의 승강 동작과 트레이(3)의 적재 위치로부터 인출 위치로의 수동 이동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도 3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부재(100)는 상사 위치 또는 상사 위치와 하사 위치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위치된다. 이때, 이동 제한 돌기(172)가 이동 제한 슬롯(171) 내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트레이(3)는 적재 위치에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트레이(3)에는 용지(P)가 적재될 수 있다. 트레이(3)에 적재된 용지(P)의 양에 따라서, 승강 구동부는 승강 부재(100)를 상사 위치와 하사 위치 사이의 적절한 위치로 승강시킬 수 있다. 트레이(3)에 적재된 용지(P)를 꺼내기 위하여, 승강 부재(100)를 하사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3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부재(100)가 하사 위치에 도달되면, 이동 제한 돌기(172)가 개구부(173)와 배출 방향(TB)으로 정렬되어 이동 제한 돌기(172)가 개구부(173)를 통하여 이동 제한 슬롯(171)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트레이(3)는 적재 위치로부터 인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트레이(3)를 배출 방향(TB)으로 당기면, 제1슬라이드 부재(131)와 제2슬라이드 부재(132)가 순차로 배출 방향(TB)으로 슬라이딩된다. 제1슬라이드 부재(131)는 제1가이드 롤러(134)가 제1가이드 레일(122)의 배출 방향(TB) 쪽의 단부(122-1)에 접촉될 때까지 승강 부재(100)에 대하여 배출 방향(TB)으로 슬라이딩된다. 제2슬라이드 부재(132)는 그 배출 방향(TB) 쪽의 단부가 제1슬라이드 부재(131)에 마련된 스토퍼(133-1)에 접촉될 때까지 제1슬라이드 부재(131)에 대하여 배출 방향(TB)으로 슬라이딩된다. 이에 의하여, 트레이(3)는 인출 위치에 위치되며, 사용자는 용이하게 트레이(3) 상의 용지(P)를 확인하고 꺼낼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 트레이(3)를 배출 방향(TB)의 반대 방향으로 밀면, 제1슬라이드 부재(131)와 제2슬라이드 부재(132)가 순차로 배출 방향(TB)의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제1슬라이드 부재(131)는 그 배출 방향(TB)의 반대 방향의 단부(133-2)가 승강 부재(100)에 마련된 스토퍼(122-2)에 접촉될 때까지 승강 부재(100)에 대하여 배출 방향(TB)의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제2슬라이드 부재(132)는 제2가이드 롤러(135)가 제2가이드 레일(133)의 배출 방향(TB)의 반대 방향의 단부(133-2)에 접촉될 때까지 제1슬라이드 부재(131)에 대하여 배출 방향(TB)의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이에 의하여, 트레이(3)는 적재 위치에 위치되며, 이동 제한 돌기(172)는 개구부(173)를 통하여 이동 제한 슬롯(161) 내부로 삽입된다. 승강 구동부는 승강 부재(100)를 상사 위치 쪽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이동 제한 부재(170)에 의하여 트레이(3)는 적재 위치에 유지된다.
트레이(3)가 인출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승강 부재(100)가 하사 위치를 벗어나면, 이동 제한 돌기(172)와 개구부(173)와의 정렬이 어긋나서 트레이(3)가 적재 위치로 복귀될 수 없다. 따라서, 트레이(3)가 인출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승강 부재(100)가 하사 위치에 유지될 필요가 있다. 즉 트레이(3)가 적재 위치로부터 벗어난 때에는 승강 부재(100)의 승강이 허용되지 않고 트레이(3)가 적재 위치에 위치된 때에만 승강 부재(100)의 승강을 허용된다.
도 6은 배출 용지 적재 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배출 용지 적재 장치는 트레이(3)의 적재 위치로의 복귀 여부를 검지하는 위치검지센서(124)를 구비할 수 있다. 트레이(3)에 검출편(32)이 마련된다. 위치검지센서(124)는 트레이(3)의 검출편(32)을 검출한다. 위치검지센서(124)는 검출편(32)을 검출함으로써 트레이(3)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위치검지센서(124)는 예를 들어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하는 광센서일 수 있다. 검출편(32)이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 위치되면 수광부에서 광이 검출되지 않으며, 검출편(32)이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로부터 벗어나면 수광부에서 광이 검출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3)가 적재 위치에 위치되면, 위치검지센서(124)에 의하여 검출편(32)이 검출되며, 트레이(3)가 배출 방향(TB)으로 이동되어 적재 위치를 벗어나면 위치검지센서(124)에 의하여 검출편(32)이 검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위치검지센서(124)에 의하여 검출편(32)이 검출되면 트레이(3)가 적재 위치에 위치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으며, 트레이(3)가 적재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만 승강 부재(100)를 승강시키도록 승강 구동부가 제어될 수 있다.
배출 용지 적재 장치는 트레이(3)를 적재 위치에서 승강 부재(100)에 로킹시키는 로킹 위치(도 6의 실선)와 트레이(3)의 인출 위치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해제 위치(도 6의 점선)를 갖는 로킹 레버(6)를 구비할 수 있다. 로킹 레버(6)는 예를 들어 트레이(3)에 로킹 위치와 해제 위치로 회동될 수 있게 설치될 수 있다. 로킹 스프링(61)은 로킹 레버(6)에 로킹 위치에 위치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가한다. 로킹 레버(6)의 일부(62)는 사용자가 로킹 레버(6)를 조작할 수 있도록 트레이(3)로부터 외부로 노출된다. 트레이(3)가 적재 위치에 위치되면 로킹 레버(6)가 스프링(61)의 탄성력에 의하여 로킹 위치로 전환되어 로킹 레버(6)의 후크(63)가 승강 부재(100)에 마련된 로킹홈(125)에 걸린다. 트레이(3)는 적재 위치에 로킹된다. 위치검지센서(124)에 의하여 검출편(32)이 검출되므로 트레이(3)가 적재 위치에 위치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로킹 레버(6)를 도 6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시켜 해제 위치로 전환시킨다. 그러면, 로킹 레버(6)의 후크(63)가 승강 부재(100)에 마련된 로킹홈(125)으로부터 이탈되며, 트레이(3)는 인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트레이(3)가 적재 위치로부터 벗어나면 위치검지센서(124)에 의하여 검출편(32)이 검출되지 않으므로, 트레이(3)가 적재위치에 위치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배출 용지 적재 장치는 트레이(3)에 적재된 용지(P)의 후단을 지지하는 후단 지지 부재(5)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3)는 배출 방향(TB)의 후단부로부터 선단부 쪽으로 상향 경사진 형태이며, 트레이(3)에 적재된 용지(P)의 후단은 후단 지지 부재(5)에 접촉되어 지지된다. 트레이(3)가 인출 위치로 이동될 때에 트레이(3)에 적재된 용지(P)가 배출 방향(TB)의 반대 방향으로 미끄러져서 트레이(3)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후단 지지 부재(5)는 트레이(3)와 함께 배출 방향(TB)으로 이동될 수 있다. 승강 부재(100)가 하사 위치에 위치된 때에 적재 위치에 위치된 트레이(3)가 후단 지지 부재(5)와 결합된다. 따라서, 트레이(3)와 후단 지지 부재(5)가 함께 적재 위치로부터 인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도 7은 후단 지지 부재(5)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트레이(3)와 후단 지지 부재(5)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트레이(3)와 후단 지지 부재(5)가 함께 인출 위치로 이동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과 도 9에서 트레이(3)를 승강시키는 구조는 생략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후단 지지 부재(5)는 프레임(8)에 배출 방향(TB)으로 이동될 수 있게 지지된다. 후단 지지 부재(5)는 용지(P)의 후단을 지지하는 후단 지지부(51)를 구비한다. 후단 지지부(51)는 승강방향(TA)으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용지(P)의 폭방향으로 다수의 후단 지지부(51)가 마련될 수 있다.
후단 지지 부재(5)는 배출 방향(TB)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예를 들어, 후단 지지 부재(5)는 프레임(8)에 배출 방향(TB)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지지될 수 있다. 프레임(8)은 예를 들어, 배출 용지 적재 장치를 구성하는 프레임일 수 있으며, 인쇄부(1) 또는 후처리부(4)의 배출구(1-1 또는 4-1)가 마련된 벽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로서, 후단 지지 부재(5)는 후단 지지부(51)를 기준으로 하여 배출 방향(TB)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딩 가이드(54)를 구비할 수 있다. 슬라이딩 가이드(54)는 예를 들어 다수의 롤러(55)에 의하여 슬라이딩될 수 있게 지지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후단 지지 부재(5)는 배출 방향(TB) 및 그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후단 지지 부재(5)는 트레이(3)와 결합되어 트레이(3)와 함께 적재 위치와 인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승강 부재(100)가 하사 위치에 위치되면, 적재 위치에 위치된 트레이(3)가 후단 지지 부재(5)와 결합될 수 있다. 트레이(3)에는 결합 돌기(31)가 마련된다. 결합 돌기(31)는 승강방향(TA)으로 연장된 리브 형상일 수 있다. 후단 지지 부재(5)에는 결합 돌기(31)가 삽입되는 결합홈(53)이 마련된다. 예를 들어, 홈형성부(52)는 후단 지지부(51)와 배출 방향(TB)으로 마주보게 위치되어 후단 지지부(51)와의 사이에 트레이(3)이 결합 돌기(31)가 삽입되는 결합홈(53)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승강 부재(100)가 하사 위치로 이동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 위치에 위치된 트레이(3)의 결합 돌기(31)가 후단 지지 부재(5)의 결합홈(53)에 삽입된다. 이에 의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3)와 후단 지지 부재(5)는 함께 인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트레이(3)가 인출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승강 부재(100)가 하사 위치에 유지될 필요가 있다. 즉 트레이(3)가 적재 위치로부터 벗어난 때에는 승강 부재(100)의 승강이 허용되지 않고 트레이(3)가 적재 위치에 위치된 때에만 승강 부재(100)의 승강을 허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트레이(3)와 후단 지지 부재(5)가 함께 인출 위치로 이동되므로, 후단 지지 부재(5)의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트레이(3)가 적재 위치로 복귀되었는지 여부를 검지할 수 있다. 후단 지지 부재(5)에는 검출편(56)이 마련될 수 있다. 위치검지센서(57)는 검출편(56)을 검출함으로써 후단 지지 부재(5)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위치검지센서(57)는 예를 들어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하는 광센서일 수 있다. 검출편(56)이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 위치되면 수광부에서 광이 검출되지 않으며, 검출편(56)이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로부터 벗어나면 수광부에서 광이 검출된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3)가 적재 위치에 위치되면, 위치검지센서(57)에 의하여 검출편(56)이 검출되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3)가 배출 방향(TB)으로 이동되어 적재 위치를 벗어나면 위치검지센서(57)에 의하여 검출편(56)이 검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위치검지센서(57)에 의하여 검출편(56)이 검출되면 트레이(3)가 적재 위치에 위치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으며, 트레이(3)가 적재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만 승강 부재(100)를 승강시키도록 승강 구동부가 제어될 수 있다.
도 10은 후단 지지 부재(5)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트레이(3)와 후단 지지 부재(5)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트레이(3)와 후단 지지 부재(5)가 함께 인출 위치로 이동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과 도 12에서 트레이(3)를 승강시키는 구조는 생략된다. 본 실시예는 트레이(3)와 후단 지지 부재(5)와의 착탈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구조를 갖는 점에서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이탈 방지 부재(58)가 도시되어 있다. 이탈 방지 부재(58)는 후단 지지 부재(5)가 적재 위치에 위치된 때에 트레이(3)가 후단 지지 부재(5)에 착탈되도록 허용하는 제1위치(도 11)에 위치된다. 이탈 방지 부재(58)는 후단 지지 부재(5)가 적재 위치로부터 벗어나면 트레이(3)가 후단 지지 부재(5)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후단 지지 부재(5)에 결합시키는 제2위치(도 12)에 위치된다.
예를 들어, 이탈 방지 부재(58)는 제1위치와 제2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후단 지지 부재(5)에 설치될 수 있다. 이탈 방지 부재(58)에는 걸림 돌기(58-1)가 마련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 방지 부재(58)가 제2위치에 위치되면 걸림 돌기(58-1)는 트레이(3)가 승강 방향(TA)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트레이(3)의 결합 돌기(32)에 마련된 걸림 홈(33)에 삽입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 방지 부재(58)가 제1위치에 위치되면 걸림 돌기(58-1)는 트레이(3)의 걸림 홈(33)으로부터 이탈된다.
이탈 방지 부재(58)는 트레이(3)와 후단 지지 부재(5)의 이동에 연동하여 제1위치와 제2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제1탄성 부재(59)는 이탈 방지 부재(58)에 제2위치에 위치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가한다. 트레이(3)와 후단 지지 부재(5)가 적재 위치로부터 인출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이탈 방지 부재(58)는 제1탄성부재(59)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이동된다. 트레이(3)와 후단 지지 부재(5)가 인출 위치로부터 적재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이탈 방지 부재(58)는 제2위치로부터 제1위치로 이동된다.
일 실시예로서, 이탈 방지 부재(58)에는 프레임(8)과 간섭되는 간섭부(58-2)가 마련된다. 트레이(3)와 후단 지지 부재(5)가 적재 위치에 위치되면, 간섭부(58-2)가 프레임(8)과 간섭된다. 이탈 방지 부재(58)는 제1탄성부재(59)의 탄성력의 반대 방향으로 밀려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위치에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트레이(3)는 후단 지지 부재(5)에 착탈될 수 있으며, 승강 가능하다. 트레이(3)가 후단 지지 부재(3)에 결합된 상태에서 트레이(3)와 후단 지지 부재(5)가 배출 방향(TB)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1탄성부재(59)의 탄성력에 의하여 이탈 방지 부재(58)는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이동된다. 따라서, 트레이(3)와 후단 지지 부재(5)가 적재 위치를 벗어나면 트레이(3)는 후단 지지 부재(5)로부터 이탈될 수 없다. 다시 트레이(3)와 후단 지지 부재(5)가 인출 위치로부터 적재 위치로 접근됨에 따라 간섭부(58-2)가 프레임(8)과 간섭되며 이탈 방지 부재(58)는 제2위치로부터 제1위치로 이동된다. 트레이(3)와 후단 지지 부재(5)가 적재 위치에 도달되면 이탈 방지 부재(58)는 제1위치로 복귀된다.
도 13은 배출 용지 적재 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3에서 트레이(3)를 승강시키는 구조는 생략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트레이(3)에는 용지(P)의 적재 여부를 검지하는 용지 센서(7)가 마련될 수 있다. 용지 센서(7)는 예를 들어 용지(P)의 적재 여부에 따라 회동되는 회동 아암(71)과, 회동 아암(71)을 검출하는 센서부(72)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72)는 예를 들어 광센서일 수 있다. 센서부(72)는 신호선(73)에 의하여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된다. 트레이(3)가 승강방향(TA)으로 승강되거나 배출 방향(TB)으로 이동됨에 따라 신호선(73)이 배출 용지 적재 장치의 외부로 노출되어 늘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배출 용지 적재 장치는 신호선(73)에 장력을 가하는 장력 인가부를 구비할 수 있다. 장력 인가부는 예를 들어 배출 방향(TB)으로 이동 가능하며 신호선(73)이 연결되는 이동 부재(74)와, 이동 부재(74)에 배출 방향(TB)의 반대 방향의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75)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부재(74)는 배출 방향(TB)으로 연장된 레일(76)에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트레이(3)가 승강 방향(TA)과 배출 방향(TB)으로 이동되더라도 신호선(73)이 배출 용지 적재 장치의 외부로 늘어지지 않고 장력이 인가된 팽팽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트레이(3)와 후단 지지 부재(5)는 전동방식으로 인출 위치와 적재 위치로 이동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트레이(3)와 후단 지지 부재(5)를 전동방식으로 인출 위치와 적재 위치로 이동시키는 구조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트레이(3)와 후단 지지 부재(5)는 승강 부재(100)와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 용지 적재 장치는 승강 부재(100)를 승강시키는 제1구동모터(도 3: M1)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와 별도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단 지지 부재(5)를 적재 위치와 인출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2구동모터(M2)를 구비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 용지 적재 장치는 슬라이딩 가이드(54)에 마련되는 랙기어(54-1)와 랙기어(54-1)에 맞물리는 피니언(54-2)을 구비할 수 있다. 제2구동모터(M2)를 구동하여 피니언(54-2)를 회전시킴으로서 후단 지지 부재(5) 및 트레이(3)를 적재 위치와 인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트레이(3)와 후단 지지 부재(5)는 승강 부재(100)를 승강시키는 제1구동모터(M1)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도 14는 제1구동모터(M1)를 이용하여 후단 지지 부재(5)를 구동하는 구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구조에서 피니언(54-2)이 이격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구조에서 피니언(54-2)이 맞물림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4 내지 도 16에서 승강 부재(100)를 승강시키는 구조는 생략된다.
도 3과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승강 부재(100)의 승강 방향(TA)으로 이격된 제1축(151)과 제2축(152), 제1축(151)과 제2축(152)에 지지되어 주행되는 벨트(153), 벨트(153)에 마련되는 제1걸림부(155), 승강 부재(100)에 마련되며 제1걸림부(155)와 결합되는 제2걸림부(121), 후단 지지 부재(5)에 마련되는 랙기어(54-1), 제2축(152)과 연결되어 회전되며 승강 부재(100)가 하사 위치에 위치된 때에 승강 부재(100)에 의하여 랙기어(54-1)와 맞물리는 위치로 이동되는 피니언(54-2), 피니언(54-2)에 랙기어(54-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가하는 제2탄성부재(54-3)가 도시되어 있다.
랙기어(54-1)가 슬라이딩 가이드(54)의 상면에 마련된 점, 가이드 롤러(55)가 슬라이딩 가이드(54)의 양측부를 지지하는 점, 및 위치검지센서(57)와 검출편(56)의 위치에서 차이가 있을 뿐, 후단 지지 부재(5)의 구조는 도 7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피니언(54-2)는 제1축(151)과 제2축(152) 중에서 하사 위치에 가까운 제2축(152)과 연결되어 회전된다. 일 실시예로서, 피니언(54-2)는 브라켓(161)에 설치되어 이격 위치와 맞물림 위치로 회동될 수 있다. 브라켓(161)은 연결축(162)을 중심으로 이격 위치와 맞물림 위치로 회동된다. 연결축(162)은 제2축(152)과 연결되어 회전된다. 예를 들어, 연결축(162)과 제2축(152)은 연결 벨트(163)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축(162)에는 기어(164)가 설치된다. 기어(164)는 피니언(54-2)과 맞물린다.
제2탄성부재(54-3)에 의하여 피니언(54-2)은 랙기어(54-1)로부터 이격된 이격 위치에 위치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며, 승강 부재(100)가 하사 위치로 이동될 때에 승강 부재(100)에 의하여 랙기어(54-1)와 맞물리는 맞물림 위치로 이동된다. 일 실시예로서, 승강 부재(100)에는 제1접촉부(102)가 마련된다. 승강 부재(100)가 하사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제1접촉부(102)는 브라켓(161)에 마련된 제2접촉부(165)에 접촉되며, 브라켓(161)을 밀어 맞물림 위치로 회동시킨다.
도 17은 도 3에 도시된 배출 용지 적재 장치의 실시예에서 승강 부재(100)가 하사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3과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서, 후단 지지 부재(5)와 트레이(3)를 적재 위치로부터 인출 위치로 전동방식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 제1구동모터(M1)을 정방향으로 구동하면, 제1걸림부(155)가 하방으로 이동되고 승강 부재(100) 역시 제2걸림부(123)와 제1걸림부(155)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이동된다. 피니언(54-2)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 위치에 위치된다.
승강 부재(100)가 하사 위치에 접근됨에 따라 제1접촉부(102)는 브라켓(161)의 제2접촉부(165)에 접촉되어 제2접촉부(165)를 제2탄성 부재(54-3)의 탄성력의 반대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부재(100)가 하사 위치에 도달되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니언(54-2)은 랙기어(54-1)와 맞물린 맞물림 위치에 도달된다. 이동 제한 돌기(172)는 이동 제한 슬롯(171)에 마련된 개구부(173)와 정렬된다. 트레이(3)의 결합 돌기(31)가 후단 지지 부재(5)의 결합홈(53)에 삽입되어 트레이(3)와 후단 지지 부재(5)가 함께 인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가이드 롤러(101)가 가이드 레일(121)의 하단부에 걸리므로 승강 부재(100)는 더이상 하강되지 않으며 하사 위치에 유지된다.
트레이(3)와 후단 지지 부재(5)를 인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제1구동모터(M1)가 정방향으로 계속하여 구동된다. 제1구동모터(M1)의 정방향의 구동력은 연결벨트(163), 연결축(162), 및 기어(164)를 거쳐 피니언(54-2)에 전달된다. 피니언(54-2)이 정회전되면 후단 지지 부재(5)와 트레이(3)는 적재 위치로부터 인출 위치로 이동된다. 제2걸림부(123)는 하방이 개방된 홈 형상이다. 따라서, 승강 부재(100)가 하사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1구동모터(M1)가 정방향으로 계속하여 구동되면 도 17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걸림부(155)가 제2걸림부(123)로부터 이탈되므로, 벨트(153)는 계속하여 정방향으로 주행될 수 있다. 트레이(3)와 후단 지지 부재(5)가 인출 위치에 도달되면, 제1구동모터(M1)가 정지된다.
트레이(3)와 후단 지지 부재(5)를 인출 위치로부터 적재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제1구동모터(M1)가 역방향으로 구동된다. 제1구동모터(M1)의 역방향의 구동력은 연결벨트(163), 연결축(162), 및 기어(164)를 거쳐 피니언(54-2)에 전달된다. 피니언(54-2)이 역회전되면 후단 지지 부재(5)와 트레이(3)는 인출 위치로부터 적재 위치로 이동된다. 위치검지센서(57)에 의하여 검출현(56)이 검출되어, 후단 지지 부재(5)와 트레이(3)가 적재 위치에 도달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후단 지지 부재(5)와 트레이(3)가 적재 위치에 도달된 후에 제1구동모터(M1)가 계속하여 역방향으로 구동되면, 제2걸림부(123)의 개방된 하부를 통하여 제1걸림부(155)가 제2걸림부(123)에 삽입되어 제2걸림부(123)를 상방으로 민다. 그러면, 승강 부재(100)가 하사 위치로부터 상사 위치로 상승되며, 트레이(3)의 결합 돌기(31)는 후단 지지 부재(5)의 결합홈(53)으로부터 이탈된다. 승강 부재(100)가 상승됨에 따라 제1접촉부(102)는 제2접촉부(165)로부터 이격되며, 브라켓(161)은 제2탄성부재(54-3)의 탄성력에 의하여 맞물림 위치로부터 이격 위치로 회동된다. 따라서, 피니언(54-2)은 랙기어(54-1)로부터 이격된다. 트레이(3)가 상사 위치 또는 상사 위치와 하사 위치 사이의 적절한 위치에 도달되면 제1구동모터(M1)이 정지된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기어(164)와 연결축(162) 사이에 토오크 리미터가 개재될 수 있다. 후단 지지 부재(5)가 인출 위치로부터 적재 위치로 이동될 때에 후단 지지 부재(5)와 프레임(8) 사이에 이물질이 끼인 경우에는 토오크 리미터에 의하여 기어(164)와 연결축(162) 사이에 슬립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제1구동모터(M1)의 과부하에 의한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8과 도 19는 도 3에 도시된 배출 용지 적재 장치의 일 실시예에 적용되는 승강 부재(100)와 벨트(153)와의 연결 구조의 일 실시예의 개략도들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1걸림부(155)는 승강 방향(TA)으로 이격된 상측 걸림돌기(155-1)와 하측 걸림돌기(15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걸림부(123)는 상측 걸림돌기(155-1)가 삽입되며 하방으로 개구된 상측 걸림홈(123-1)과 상측 걸림돌기(155-1)가 상측 걸림홈(123)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측 걸림돌기(155-2)의 하방에 위치되는 하측 걸림턱(12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측 걸림홈(123-1)은 하방이 개구된 홈 형상이다. 따라서, 하측 걸림 돌기(155-2)와 하측 걸림턱(123-2)이 없는 경우, 트레이(3)를 들어올리면 승강 부재(100)도 상방으로 들리면서 상측 걸림돌기(155-1)가 상측 걸림홈(123-1)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측 걸림돌기(155-2)의 하방에 하측 걸림턱(103)이 위치되므로, 트레이(3)를 들어올리더라도 하측 걸림턱(123-2)이 그 위에 위치되는 하측 걸림돌기(155-2)에 걸리므로 상측 걸림돌기(155-1)가 상측 걸림홈(123-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부재(100)가 하사 위치에 도달되면, 하측 걸림턱(103)이 제2축(152)의 아래쪽에 위치된다. 하측 걸림턱(123-2)과 제2축(152)과의 최단 거리는 제2축(152)과 상측 걸림돌기(155-1) 사이의 거리 및 제2축(152)과 하측 걸림돌기(155-2) 사이의 거리보다 크다. 따라서, 승강 부재(100)가 하사 위치에 도달된 후에 제1구동모터(M1)가 계속하여 정방향으로 구동되면, 하측 걸림돌기(155-2)는 하측 걸림턱(123-2)에 간섭되지 않고 제2축(152)의 주위를 돌아서 하측 걸림턱(103)으로부터 이탈된다. 또한, 상측 걸림돌기(155-1)는 상측 걸림홈(123-2)으로부터 이탈된 후에 제2축(152)의 주위를 돌아서 하측 걸림턱(103)으로부터도 이탈된다. 따라서, 도 18에 도시된 승강 부재(100)와 벨트(153)와의 연결 구조의 일 실시예가 제1구동모터(M1)를 이용하여 후단 지지 부재(5) 및 트레이(3)를 적재 위치와 인출 위치로 이동시키는 도 14 내지 16의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승강 부재(100)를 상사 위치와 하사 위치로 이동시키는 구조는 다양할 수 있다. 도 20은 배출 용지 적재 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0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비교하여 승강 부재(100)를 상사 위치와 하사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벨트 구동 구조 대신에 랙-피니언 조합이 채용된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승강 부재(100)는 하사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승강 부재(100)에는 승강 방향(TA)으로 연장된 랙 기어부(103)가 마련된다. 피니언(104)는 랙 기어부(103)에 맞물린다. 피니언(104)는 제1구동모터(M1)에 의하여 구동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제1구동모터(M1)를 정방향/역방향으로 구동함으로써 승강 부재(100)를 상사 위치와 하사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배출 용지 적재 장치의 실시예에 도 6 내지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배출 공간(2)의 용지(P)를 용이하게 확인하고 꺼낼 수 있는 배출 용지 적재 장치로서, 트레이(3)를 적재 위치(도 1, 도 2의 실선)으로부터 배출 방향(TB)으로 이동된 인출 위치(도 1, 도 2의 점선)으로 이동시키는 구조를 적용한 실시예들이 설명되었다.
이하에서는 배출 공간(2)의 용지(P)를 용이하게 확인하고 꺼낼 수 있는 배출 용지 적재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1은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는 용지(P), 예를 들어, 인쇄 매체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부(1)를 포함할 수 있다. 인쇄부(1)은 전자사진 방식, 잉크젯 방식, 열전사 방식, 열승화방식, 등 다양한 인쇄 방식에 의하여 용지(P)에 화상을 인쇄할 수 있다. 인쇄가 완료된 용지(P)는 배출 공간(2)으로 배출된다. 도 21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부(1)로부터 배출되는 용지(P)에 후처리 공정을 수행하는 후처리부(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후처리부(4)는 예를 들어 용지(P)에 단부 제본, 중철 제본, 접기 등의 후처리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후처리가 완료된 용지(P)는 배출 공간(2)으로 배출된다.
배출 공간(2)에는 배출된 용지(P)가 적재되는 트레이(3)가 설치된다. 용지(P)가 트레이(3)로부터 낙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트레이(3)는 용지(P)의 배출 방향(TB)을 기준으로 하여 후단부로부터 선단부를 향하여 상향경사지게 설치된다. 트레이(3)는 배출 공간(2) 내부에서 승강 방향(TA)으로 승강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는, 배출 공간(2)으로 배출되는 용지(P)의 양에 따라서 트레이(3)를 승강 방향(TA)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
용지(P)가 트레이(3)로부터 낙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트레이(3)는 용지(P)의 배출 방향(TB)을 기준으로 하여 후단부로부터 선단부를 향하여 제1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트레이(3)가 하사 위치에 도달된 때에, 트레이(3)가 용지 배출 방향(TB)의 후단부로부터 선단부를 향하여 제1각도로 상향 경사진 제1경사 위치(3a)로부터 후단부로부터 선단부를 향하여 제1각도보다 작은 제2각도로 경사진 제2경사 위치(3b)로 회동되는 구조가 고려될 수 있다. 제1각도와 제2각도는 수평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이다. 일 예로서, 제2각도는 "0"도 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2경사 위치(3b)에서 트레이(3)는 수평일 수 있다. 이 구조에 의하면, 배출 공간(2) 내부에서 트레이(3)의 상부 공간이 커져서 트레이(3) 상에 적재된 용지(P)에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다. 이하에서, 트레이(3)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는 구조를 채용한 배출 용지 적재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2는 배출 용지 적재 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배출 용지 적재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승강 부재(200)가 하사 위치에 접근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24는 도 22에 도시된 배출 용지 적재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승강 부재(200)가 하사 위치에 도달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25는 가이드 레일(210)과 회동 제한 슬롯(310)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상사 위치와 하사 위치로 승강될 수 있게 지지되는 승강 부재(200)와, 승강 부재(200)에 제1경사 위치와 제2경사 위치로 회동될 수 있게 지지되는 회동 부재(300)가 도시되어 있다. 트레이(3)는 회동 부재(300)에 지지된다.
승강 부재(200)는 가이드 레일(210)에 안내되어 상사 위치와 하사 위치로 승강된다. 도 22와 도 25를 참조하면, 가이드 레일(210)은 승강 방향(TA)으로 연장된다. 승강 부재(200)에는 가이드 레일(210)에 삽입되는 가이드 롤러(201)(202)가 마련된다. 승강 부재(200)가 승강 방항(TA)으로 안정적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두 개의 가이드 롤러(201)(202)는 승강 방향(TA)으로 이격되게 위치된다. 승강 부재(200)를 승강시키는 승강 구동부의 구조로서 전술한 벨트 구동 구조, 피니언-랙기어 구조가 채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피니언-랙기어 구조가 채용된다. 승강 부재(200)에는 승강 방향(TA)으로 연장된 랙 기어부(203)가 마련된다. 피니언(220)은 랙 기어부(203)와 맞물린다. 제1구동모터(M1)는 피니언(220)을 구동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제1구동모터(M1)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하여 승강 부재(200)를 승강 방향(TA)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
회동 부재(300)는 승강 부재(200)에 제1경사 위치와 제2경사 위치로 회동될 수 있게 지지된다. 일 실시예로서, 회동 부재(300)는 가이드 롤러(201)(202) 중에서 아래쪽에 위치되는 가이드 롤러(202)의 회전축(202-1)을 중심으로 제1경사 위치와 제2경사 위치로 회동될 수 있게 지지될 수 있다.
회동 부재(300)는 회동 제한 슬롯(310)에 안내되어 제1경사 위치와 제2경사 위치로 회동된다. 도 22와 도 25를 참조하면, 회동 제한 슬롯(310)은 승강 방향(TA)으로 연장된다. 회동 제한 부재(300)에는 회동 제한 슬롯(310)에 삽입되는 회동 제한 돌기(301)가 마련된다. 회동 제한 돌기(301)는 회전되는 롤러 형태일 수 있다. 회동 제한 돌기(301)는 가이드 롤러(202)보다 위쪽에 위치된다. 회동 제한 슬롯(310)은 승강 부재(200)의 위치에 따라서 회동 부재(300)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구조를 갖는다. 예를 들어, 회동 제한 슬롯(310)은 회동 부재(300)를 제1경사 위치에 유지시키는 회동 제한 구간(311)을 구비한다. 회동 제한 구간(311)은 승강 방향(TA)으로 직선적으로 연장된 구간이다. 회동 제한 돌기(301)가 회동 제한 구간(311)에 안내되는 동안에 회동 부재(300)는 제1경사 위치에 유지된다. 회동 제한 슬롯(310)에는 승강 부재(200)가 하사 위치에 접근됨에 따라 회동 부재(300)가 제1경사 위치로부터 제2경사 위치로 회동되도록 허용하기 위하여 회동 제한 돌기(301)가 회동 제한 구간(311)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개구부(312)가 마련된다. 개구부(312)는 회동 제한 구간(311)의 하측 단부에 마련된다. 승강 부재(200)가 하사 위치에 접근되면 회동 제한 돌기(301)가 개구부(312)와 대향되고, 회동 부재(300)는 제1경사 위치로부터 제2경사 위치로 회동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회동 부재(300)를 제1경사 위치와 제2경사 위치로 회동시키는 구조로서, 피니언-랙기어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배출 용지 적재 장치는, 회동 부재(300)에 마련되는 피니언 기어부(302)와, 승강 부재(200)가 하사 위치에 접근됨에 따라 피니언 기어부(302)와 맞물려 회동 부재(300)를 회동시키는 랙 기어(320)를 구비한다.
이제 도 22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서, 트레이(3)를 제1, 제2경사 위치로 회동시키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22를 참조하면, 승강 부재(200)는 상사 위치 또는 상사 위치와 하사 위치 사이의 용지(P)를 적재하기 위한 적절한 위치에 위치된다. 회동 제한 돌기(301)는 회동 제한 구간(311)에 위치된다. 따라서, 트레이(3)는 제1각도를 갖는 제1경사 위치에 위치된다.
제1구동모터(M1)가 정방향으로 구동되면, 제1구동모터(M1)의 정방향의 구동력은 피니언(220) 및 랙기어부(203)을 거쳐 승강 부재(200)에 전달된다. 승강 부재(200)는 가이드 레일(210)에 안내되어 승강 부재(200)가 하사 위치 쪽으로 하강된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부재(200)가 하사 위치에 접근되면, 회전 제한 돌기(301)는 회전 제한 구간(311)으로부터 벗어나서 개구부(312)와 정렬된다. 회동 부재(300)는 회동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랙기어(320)는 피니언 기어부(302)와 맞물린다. 이 상태에서 승강 부재(200)가 더 하강하면, 랙기어(320)와 피니언 기어부(302)와의 조합에 의하여, 회동 부재(300)가 회전축(202-1)을 중심으로 하여 제1경사 위치로부터 제2경사 위치로 회동된다. 회동 제한 돌기(301)는 개구부(312)를 통하여 회동 제한 슬롯(310)으로부터 이탈된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부재(200)가 하사 위치에 도달되면, 회동 부재(300)는 제2경사 위치에 도달된다.
도 24에 도시된 상태에서 제1구동모터(M1)가 역방향으로 구동되면, 승강 부재(200)가 상승되기 시작한다. 그러면, 랙기어(320)와 피니언 기어부(302)와의 조합에 의하여, 회동 부재(300)가 회전축(202-1)을 중심으로 하여 제2경사 위치로부터 제1경사 위치로 회동되기 시작한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부재(200)가 상승하여 랙기어(320)와 피니언 기어부(302)와의 맞물림이 종료되기 직전에 회동 부재(300)는 제1경사 위치로 복귀된다. 회동 제한 돌기(301)는 회동 제한 슬롯(310) 내부로 복귀된다. 이 상태에서 승강 부재(200)가 더 상승하면, 랙기어(320)와 피니언 기어부(302)와의 맞물림이 종료되고 회동 제한 돌기(301)는 회동 제한 구간(311)에 안내된다. 따라서, 회동 부재(300)는 제1경사 위치에 유지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필요에 따라서 승강 부재(200)를 하사 위치까지 하강시켜 트레이(3)를 제2경사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트레이(3) 상의 용지(P)에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다. 후처리부(4)에 의하여 중철 제본된 용지(P)가 트레이(3)에 적재될 수 있다. 중철 제본된 용지(P)는 제본된 쪽이 선단부가 되며, 일반적으로 후단부가 선단부에 비하여 두껍다. 이 경우에는 승강 부재(200)를 하사 위치까지 하강시키지 않고 회동 부재(300)가 회동되지 직전까지만 하강시켜, 중철 제본된 용지(P)가 트레이(3)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물론, 회동 부재(300)가 제1경사 위치와 제2경사 위치 사이의 적절한 위치에 도달될 때까지 승강 부재(200)를 하강시킬 수도 있다.
도 26은 배출 용지 적재 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배출 용지 적재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승강 부재(400)가 하사 위치에 접근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28은 도 26에 도시된 배출 용지 적재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승강 부재(400)가 하사 위치에 도달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29는 승강 부재(400)를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배출 용지 적재 장치는 도 22 내지 도 25에 도시된 배출 용지 적재 장치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승강 부재(200)와 회동 부재(300)가 승강 부재(400)로 통합되고, 가이드 레일(210)과 회동 제한 슬롯(310)이 회동 가이드 슬롯(500)으로 통합된 점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배출 용지 적재 장치는 승강 부재(400)를 승강시키는 구조로서 벨트 구동 구조가 채용된다.
도 26 내지 도 29를 참조하면, 상사 위치와 상기 하사 위치로 승강될 수 있으며, 하사 위치에 도달된 후에 제1경사 위치로부터 제2경사 위치로 회동되는 승강 부재(400)가 도시되어 있다. 트레이(3)는 승강 부재(400)에 지지된다.
일 실시예로서, 배출 용지 적재 장치는, 승강 부재(400)를 상사 위치와 하사 위치로 승강시키는 승강 구간(431)과 하사 위치에 위치된 승강 부재(400)를 제1경사 위치와 제2경사 위치로 회동시키는 회동 구간(432)으로 제1걸림부(455)를 주행시키는 벨트(453)와, 승강 부재(400)에 마련되며 제1걸림부(455)가 삽입되도록 승강 방향(TA)으로 절재된 슬롯 형태의 제2걸림부(454)와, 승강 방향(TA)으로 이격되게 승강 부재(400)에 마련된 상측 가이드 롤러(401)와 하측 가이드 롤러(402), 상측 가이드 롤러(401)와 하측 가이드 롤러(402)가 삽입되며 승강 구간(431)에 대응되는 승강 가이드부(411)와 회동 구간(432)에 대응되며 승강 부재(400)가 하사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1경사 위치와 제2경사 위치로 회동될 수 있도록 배출 방향(TB)의 측벽(413)이 배출 방향(TB)으로 기울어진 회동 가이드부(412)를 구비하는 통합 가이드 슬롯(410)을 포함할 수 있다.
승강 부재(400)는 통합 가이드 슬롯(410)에 안내되어 상사 위치와 하사 위치로 승강된다. 도 26과 도 29를 참조하면, 통합 가이드 슬롯(410)은 승강 방향(TA)으로 연장된다. 승강 부재(200)에는 통합 가이드 슬롯(410)에 삽입되는 상측 가이드 롤러(401)와 하측 가이드 롤러(402)가 마련된다. 승강 부재(400)가 승강 방항(TA)으로 안정적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두 개의 가이드 롤러(401)(402)는 승강 방향(TA)으로 이격되게 위치된다.
승강 부재(400)를 승강시키는 승강 구동부의 구조로서 벨트 구동 구조가 채용된다. 도 26을 참조하면, 승강 방항(TA)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축(451)과 제2축(452), 제1축(451)과 제2축(452)에 지지되어 주행되는 벨트(453), 벨트(453)에 마련되는 제1걸림부(455), 및 승강 부재(400)에 마련되며 제1걸림부(455)와 결합되는 제2걸림부(454)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 구동부는 제1구동모터(M1)를 구비할 수 있다. 제1구동모터(M1)는 제1축(451)과 제2축(452)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1축(151)는 상사 위치에 인접한 축일 수 있으며, 제2축(452)은 하사 위치에 인접한 축일 수 있다. 제1걸림부(455)는 돌기 형상일 수 있다. 제2걸림부(454)는 제1걸림부(455)가 삽입되는 슬롯 형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1걸림부(455)가 제2걸림부(454)에 삽입되어 승강 부재(400)가 상사 위치와 하사 위치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제1구동모터(M1)가 정방향으로 회전되어 제1걸림부(455)가 하강하면 승강 부재(400)는 자중에 의하여 하사 위치 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구동모터(M1)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제1걸림부(455)가 상승하면서 제2걸림부(454)를 밀어 승강 부재(100)가 상사 위치 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승강 부재(400)는 제1경사 위치와 제2경사 위치로 회동될 수 있다. 제1걸림부(455)의 이동 구간은 승강 구간(431)과 회동 구간(432)을 포함할 수 있다. 벨트(453)는 제1걸림부(455)를 승강 구간(431)과 회동 구간(432)으로 이동시킨다. 승강 구간(431)은 승강 부재(400)를 상사 위치와 하사 위치로 이동시키는 구간이다. 승강 구간(431)에서 승강 부재(400)는 제1경사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사 위치와 하사 위치로 승강될 수 있다. 회동 구간(432)은 승강 부재(400)를 제1경사 위치와 제2경사 위치로 이동시키는 구간이다. 회동 구간(432)에서 승강 부재(400)는 하사 위치에 유지된 상태에서 제1경사 위치와 제2경사 위치로 회동된다.
통합 가이드 슬롯(410)은 승강 구간(431)에 대응되는 승강 가이드부(411)와, 회동 구간(432)에 대응되는 회동 가이드부(412)를 구비할 수 있다. 승강 가이드부(411)는 승강 방향(TA)으로 연장된 슬롯 형상일 수 있다. 회동 가이드부(412)는 승강 방향(TA)으로 연장되고 배출 방향(TB)의 측벽(413)이 승강 부재(400)의 제2경사 위치로의 회동을 허용하도록 배출 방향(TB)으로 기울어진 슬롯 형상일 수 있다.
승강 가이드부(411)의 길이는 두 가이드 롤러(401)(402)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을 수 있다. 승강 부재(400)가 하사 위치에 위치된 때에 승강 부재(400)가 회동 가이드부(412)에 안내되어 제1경사 위치로부터 제2경사 위치로 회동되기 위하여는 위쪽에 위치되는 상측 가이드 롤러(401)가 승강 가이드부(411)로부터 벗어나야 한다. 따라서, 회동 가이드부(412)의 길이는 두 가이드 롤러(401)(402)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클 수 있다.
제2걸림부(454)는 승강방향(TA)으로 절개된 슬롯 형상일 수 있다. 제2걸림부(454)는 상측 단부(454-1)와 하측 단부(454-2)를 구비할 수 있다. 승강 구간(431)에서 제1걸림부(455)는 제2걸림부(454)의 상측 단부(454-1)와 접촉된다. 회동 구간(432)에서 제1결림부(455)는 상측 단부(454-1)와 하측 단부(454-2) 사이에서 이동된다. 상측 단부(454-1)와 하측 단부(454-2) 사이의 거리는 회동 구간(432)의 길이에 대응될 수 있다. 상측 단부(454-1)와 하측 단부(454-2) 사이의 거리는 두 가이드 롤러(401)(402) 사이의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측 단부(454-1)와 하측 단부(454-2)는 각각 가이드 롤러(401)(402)와 동심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승강 부재(400)는 하측에 위치되는 가이드 롤러(402)의 회전축(402-1)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는 제1걸림부(455)가 제2걸림부(454)의 하측 단부(454-2)에 위치되면, 제1걸림부(455)와 가이드 롤러(402)의 회전축(402-1)이 동축 상태가 되어 승강 부재(400)의 회동축으로서 기능한다.
도 26 내지 도 29를 참조하면서, 트레이(3)를 제1, 제2경사 위치로 회동시키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26을 참조하면, 승강 부재(400)는 상사 위치 또는 상사 위치와 하사 위치 사이의 용지(P)를 적재하기 위한 적절한 위치에 위치된다. 가이드 롤러(401)(402)는 통합 가이드 슬롯(410)의 승강 가이드부(411)에 지지된다. 제1걸림부(455)는 제2걸림부(454)의 상측 단부(454-1)를 지지한다. 따라서, 승강 부재(400)는 제1경사 위치에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제1구동모터(M1)가 정방향으로 구동되면, 제1걸림부(455)가 승강 구간(431) 내에서 하강된다. 그러면, 승강 부재(400)는 승강 가이드부(411)에 안내되어 하사 위치 쪽으로 하강된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걸림부(455)가 승강 구간(431)의 하단부에 도달되면 승강 부재(400)가 하사 위치에 도달된다. 가이드 롤러(401)(402)는 승강 가이드부(411)로부터 벗어나서 회동 가이드부(412)에 위치된다. 제1걸림부(455)는 제2걸림부(454)의 상측 단부(454-1)를 지지한다. 따라서, 승강 부재(400)는 제1경사 위치에 유지된다.
계속하여 제1구동모터(M1)가 정방향으로 구동되면, 제1걸림부(455)는 회동 구간(432)을 따라 하강된다. 제1걸림부(455)는 제2걸림부(454)를 따라 상측 단부(454-1)로부터 하측 단부(454-2)로 이동된다. 제1걸림부(455)가 제2걸림부(454)이 상측 단부(454-1)로부터 이격되더라도, 가이드 롤러(402)가 회동 가이드부(412)의 하측 단부에 접촉되어 있으므로 승강 부재(400)는 하사 위치에 유지된다. 제1걸림부(455)가 제2걸림부(454)의 하측 단부(454-2)에 도달되기 전까지는 승강 부재(400)는 회동되지 않고 제1경사 위치에 유지된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걸림부(455)가 제2걸림부(454)의 하측 단부(454-2)에 도달되면, 승강 부재(400)는 자중에 의하여 제1걸림부(455)를 중심으로 하여 제2경사 위치로 회동된다. 가이드 롤러(401)가 회동 가이드부(412)의 측벽(413)에 접촉되면, 승강 부재(400)는 제2경사 위치에 도달된다.
도 28에 도시된 상태에서 제1구동모터(M1)가 역방향으로 구동되면, 제1걸림부(455)가 회동 구간(432)을 따라 상승되기 시작한다. 제1걸림부(455)는 제2걸림부(454)의 하측 단부(454-2)로부터 상측 단부(454-1) 쪽으로 이동된다. 제1걸림부(455)가 회동 구간(432)을 따라 상승됨에 따라 승강 부재(400)는 제2경사 위치로부터 제1경사 위치로 회동된다. 제1걸림부(455)가 제2걸림부(454)의 상측 단부(454-1)에 접촉될 때까지 승강 부재(400)는 하사 위치에 유지된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걸림부(455)가 제2걸림부(454)의 상측 단부(454-1)에 접촉되면 승강 부재(400)는 제1경사 위치로 복귀된다. 가이드 롤러(401)는 승강 가이드부(411)와 정렬된다.
계속하여 제1구동모터(M1)가 역방향으로 구동되면, 제1걸림부(455)는 승강 구간(431)을 따라 상승된다. 제1걸림부(455)가 제2걸림부(454)의 상측 단부(454-1)에 접촉되어 있으므로, 승강 부재(400)는 상사 위치로 상승된다. 가이드 롤러(401)가 승강 가이드부(411)로 진입된다. 제1걸림부(455)가 승강 구간(431)의 상측 단부에 접근되면, 가이드 롤러(402)가 승강 가이드부(411)에 진입된다. 제1걸림부(455)가 승강 구간(431)의 상측 단부에 도달되면,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부재(400)가 상사 위치에 도달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필요에 따라서 승강 부재(40)를 하사 위치까지 하강시킨 후에 제2경사 위치로 회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트레이(3) 상의 용지(P)에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다. 후처리부(4)에 의하여 중철 제본된 용지(P)가 트레이(3)에 적재되는 경우에는 승강 부재(400)를 하사 위치까지 하강시킨 상태에서 제1모터(M1)를 정지시켜 트레이(3)를 제1경사 위치에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5)

  1. 상사 위치와 하사 위치로 승강되는 승강 부재;
    상기 용지를 적재하는 적재 위치와, 상기 적재 위치로부터 용지 배출방향으로 이동된 인출 위치로 이동될 수 있게 상기 승강 부재에 지지되는 트레이;
    상기 승강 부재가 상기 하사 위치에 위치된 때에 상기 트레이가 상기 인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이동 제한 부재;를 포함하는 배출 용지 적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배출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트레이에 적재된 용지의 후단을 지지하는 후단 지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 부재가 상기 하사 위치에 위치된 때에 상기 적재 위치에 위치된 상기 트레이가 상기 후단 지지 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트레이와 상기 후단 지지 부재가 함께 상기 적재 위치로부터 상기 인출 위치로 이동가능한 배출 용지 적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단 지지 부재가 상기 적재 위치에 위치된 때에 상기 트레이가 상기 후단 지지 부재에 착탈가능한 제1위치에 위치되며, 상기 후단 지지 부재가 상기 적재 위치로부터 벗어나면 상기 트레이가 상기 후단 지지 부재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후단 지지 부재에 결합시키는 제2위치에 위치되는 이탈 방지 부재;를 포함하는 배출 용지 적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 부재에 상기 제2위치에 위치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가하는 제1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탈 방지 부재는 상기 후단 지지 부재가 상기 인출 위치로부터 상기 적재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2위치로부터 상기 제1위치로 이동되는 배출 용지 적재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를 상기 적재 위치에서 상기 승강 부재에 로킹시키는 로킹 위치와, 상기 트레이의 상기 인출 위치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해제 위치를 갖는 로킹 레버;를 포함하는 배출 용지 적재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상기 적재 위치로의 복귀 여부를 검지하는 위치 검지 센서;를 포함하는 배출 용지 적재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부재와 상기 후단 지지 부재를 구동하는 제1모터;를 포함하는 배출 용지 적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부재의 승강 방향으로 이격된 제1축과 제2축;
    상기 제1축과 상기 제2축에 지지되어 주행되는 벨트;
    상기 벨트에 마련되는 제1걸림부;
    상기 승강 부재에 마련되며 상기 제1걸림부와 결합되는 제2걸림부;
    상기 후단 지지 부재에 마련되는 랙기어;
    상기 제2축과 연결되어 회전되며, 상기 승강 부재가 상기 하사 위치에 위치된 때에 상기 승강 부재에 의하여 상기 랙기어와 맞물리는 위치로 이동되는 피니언;
    상기 피니언에 상기 랙기어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가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배출 용지 적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부는 상기 승강 방향으로 이격된 상측 걸림돌기와 하측 걸림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걸림부는 상기 상측 걸림돌기가 삽입되며 하방으로 개구된 상측 걸림홈과 상기 상측 걸림돌기가 상기 상측 걸림홈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하측 걸림돌기의 하방에 위치되는 하측 걸림턱을 포함하는 배출 용지 적재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부재를 승강시키는 제1모터;
    상기 후단 지지 부재를 상기 적재 위치와 상기 인출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2모터;를 포함하는 배출 용지 적재 장치.
  11. 상사 위치와 하사 위치로 승강될 수 있는 승강 부재;
    용지가 적재되며, 상기 승강 부재가 상기 하사 위치에 위치된 때에 용지 배출 방향의 후단부로부터 선단부를 향하여 제1각도로 상향 경사진 제1경사 위치로부터 상기 후단부로부터 상기 선단부를 향하여 상기 제1각도보다 작은 제2각도로 경사진 제2경사 위치로 회동 가능한 트레이;를 포함하는 배출 용지 적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를 지지하며, 상기 승강 부재에 상기 제1경사 위치와 상기 제2경사 위치로 회동될 수 있게 지지되는 회동 부재;
    상기 회동 부재에 마련되는 회동 제한 돌기;
    상기 회동 제한 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승강 부재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회동 부재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회동 제한 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회동 제한 슬롯은,
    상기 회동 부재를 상기 제1경사 위치에 유지시키는 회동 제한 구간;
    상기 승강 부재가 상기 하사 위치에 접근됨에 따라 상기 회동 부재가 상기 제1경사 위치로부터 상기 제2경사 위치로 회동되도록 허용하기 위하여 상기 회동 제한 돌기가 상기 회동 제한 구간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상기 회동 제한 구간의 하측 단부에 마련되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배출 용지 적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에 마련되는 피니언 기어부;
    상기 승강 부재가 상기 하사 위치에 접근됨에 따라 상기 피니언 기어부와 맞물려 상기 회동 부재를 회동시키는 랙기어;를 포함하는 배출 용지 적재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승강 부재에 지지되며,
    상기 승강 부재는 상기 하사 위치에서 상기 제1경사 위치로부터 상기 제2경사 위치로 회동되는 배출 용지 적재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제1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 부재를 상기 상사 위치와 상기 하사 위치로 승강시키는 승강 구간과 상기 하사 위치에 위치된 상기 승강 부재를 상기 제1경사 위치와 상기 제2경사 위치로 회동시키는 회동 구간으로 주행되는 벨트;
    상기 승강 부재에 마련되며 상기 제1걸림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승강 방향으로 절재된 슬롯 형태의 제2걸림부;
    상기 승강 방향으로 이격되게 상기 승강 부재에 마련된 상측 가이드 롤러와 하측 가이드 롤러;
    상측 가이드 롤러와 상기 하측 가이드 롤러가 삽입되며, 상기 승강 구간에 대응되는 승강 가이드부와, 상기 회동 구간에 대응되는 회동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통합 가이드 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회동 가이드부의 상기 용지의 배출 방향의 측벽은, 상기 승강 부재가 상기 하사 위치에 위치된 때에 상기 제1경사 위치와 상기 제2경사 위치로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배출 방향으로 기울어진 배출 용지 적재 장치.
KR1020190165644A 2019-12-12 2019-12-12 접근이 편리한 배출 용지 적재 구조 KR2021007468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644A KR20210074682A (ko) 2019-12-12 2019-12-12 접근이 편리한 배출 용지 적재 구조
PCT/US2020/037151 WO2021118636A1 (en) 2019-12-12 2020-06-11 Stacking tray structure for easy acce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644A KR20210074682A (ko) 2019-12-12 2019-12-12 접근이 편리한 배출 용지 적재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4682A true KR20210074682A (ko) 2021-06-22

Family

ID=76330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5644A KR20210074682A (ko) 2019-12-12 2019-12-12 접근이 편리한 배출 용지 적재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074682A (ko)
WO (1) WO20211186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58487A (zh) * 2022-08-02 2022-11-01 北京晶品赛思科技有限公司 一种试剂瓶存取装置及试剂瓶存取方法
CN116853801B (zh) * 2023-09-01 2023-12-08 常州孟腾智能装备有限公司 电芯托盘解锁机构及其输送线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666515A (en) * 1949-05-11 1952-02-13 James Eckersley Battersby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apparatus for stacking sheets of paper board and other material
KR100426596B1 (ko) * 2001-10-31 2004-04-08 (주)케이알디씨 배지 적재장치
JP2006240839A (ja) * 2005-03-04 2006-09-14 Pfu Ltd スタッカ装置
DE102005031574A1 (de) * 2005-07-06 2007-01-11 Man Roland Druckmaschinen Ag Vorrichtung zur Bildung eines Hilfsstapels von Bo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18636A1 (en) 2021-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74682A (ko) 접근이 편리한 배출 용지 적재 구조
KR100806864B1 (ko)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및 그 급지방법
JP2513869B2 (ja) 給紙装置
JP4410434B2 (ja) 給紙装置・画像形成装置
US7735825B2 (en) Original feeding device
JP5376228B2 (ja) シート揃え機構,スタッカーおよび画像形成装置ならびに画像形成システム
US1080019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120081488A1 (en) Tray unit and image recording device
US11365075B2 (en) Sheet accommodating apparatus, image forming system, and extension unit
CN112441441A (zh) 片材收容装置、图像形成系统及延长单元
EP1975098B1 (en) Plate Feeding Apparatus
US8992005B2 (en) Recording apparatus
JP2002220122A (ja) 給紙装置
US20140319754A1 (en) Automatic document feed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6199857B1 (en) I. D. card output stacker
JP2009040609A (ja) 用紙処理機の紙受装置
JP2011190055A (ja) 用紙積載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10035364B2 (en) Printing apparatus
JP7056233B2 (ja) 記録装置
KR20210147530A (ko) 컴팩트한 용지 이송 구조를 갖는 후처리 장치
KR101665974B1 (ko) 화상 형성 장치의 수동 급지 유닛용 저판 승강 장치
KR101645249B1 (ko) 화상 형성 장치의 수동 급지 유닛용 저판 승강 장치
JP2007283600A (ja) 排出スタッカ昇降装置、記録装置および液体噴射装置
JP4132748B2 (ja) 枚葉印刷機の排紙装置
KR20210097417A (ko) 스캐너부와 화상형성부 사이의 공간을 확장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