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7417A - 스캐너부와 화상형성부 사이의 공간을 확장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스캐너부와 화상형성부 사이의 공간을 확장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7417A
KR20210097417A KR1020200011085A KR20200011085A KR20210097417A KR 20210097417 A KR20210097417 A KR 20210097417A KR 1020200011085 A KR1020200011085 A KR 1020200011085A KR 20200011085 A KR20200011085 A KR 20200011085A KR 20210097417 A KR20210097417 A KR 20210097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scanner unit
unit
sidewall
scan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1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준
이승섭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200011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7417A/ko
Priority to EP20916277.5A priority patent/EP4097960A4/en
Priority to PCT/US2020/041799 priority patent/WO2021154329A1/en
Priority to US17/795,659 priority patent/US11917112B2/en
Publication of KR20210097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74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25Providing a more compact apparatus, e.g. sheet discharge tray in cover
    • H04N1/00533Providing a more compact apparatus, e.g. sheet discharge tray in cover using slidably mounted components, e.g. reader in draw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19Frame structur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25Providing a more compact apparatus, e.g. sheet discharge tray in cover
    • H04N1/00535Providing a more compact apparatus, e.g. sheet discharge tray in cover using rotatably mounted or foldable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43Allowing easy access, e.g. for maintenance or in case of paper j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59Mounting or support of components or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1Image reader

Abstract

개시된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부와, 상기 화상형성부에 대하여 승강가능한 스캐너부와, 상기 화상형성부에 지지된 고정 측벽과 상기 고정 측벽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며 상기 스캐너부에 지지된 승강 측벽을 구비하며 서로 마주보게 상기 화상형성부와 상기 스캐너부 사이에 위치되는 한 쌍의 측벽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스캐너부와 화상형성부 사이의 공간을 확장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expanding space between image forming part and scanner part}
화상형성장치는 인쇄 매체에 화상을 인쇄하는 화상형성부와, 원고로부터 화상 정보를 읽어들이는 스캐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스캐너부는 화상형성부의 상부에 위치된다. 화상이 인쇄된 인쇄 매체는 화상형성부의 상면에 마련된 배지대로 배출된다. 사용자는 스캐너부와 화상형성부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배출된 인쇄 매체에 접근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들로서, 도 1은 스캐너부가 하사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 2는 스캐너부가 상사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3은 로킹 메카니즘의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로킹 메카니즘의 일 실시예에서 스캐너부가 하사 위치에 위치되고 로킹 레버가 로킹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로킹 메카니즘의 일 실시예에서 스캐너부가 하사 위치에 위치되고 로킹 레버가 해제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로킹 메카니즘의 일 실시예에서 스캐너부가 상사 위치에 위치되고 로킹 레버가 해제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로킹 메카니즘의 일 실시예에서 스캐너부가 상사 위치에 위치되고 레버가 로킹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8은 안전 잠금 부재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스캐너부의 상사 위치와 하사 위치에의 도달 여부를 검지하는 센서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0과 도 11은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들로서, 도 10은 스캐너부가 하사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 11은 스캐너부가 상사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2와 도 13은 승강 메카니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들로서, 도 12는 스캐너부가 하사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 13은 스캐너부가 상사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14와 도 15는 승강 메카니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들로서, 도 14는 스캐너부가 하사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 15는 스캐너부가 상사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16과 도 17은 승강 메카니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들로서, 도 16은 스캐너부가 하사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 17은 스캐너부가 상사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18은 도 16의 XI-XI'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들 참조하면서 화상형성장치의 실시예들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나 두께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들로서, 도 1은 스캐너부가 하사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 2는 스캐너부가 상사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부(1), 스캐너부(2), 한 쌍의 측벽(3)(4), 및 로킹 메카니즘을 구비한다. 화상형성부(1)는 인쇄 매체(P)에 화상을 인쇄한다. 화상형성부(1)의 상면(12)에는 인쇄가 완료된 인쇄매체(P)가 적재되는 배지대(13)가 마련된다. 스캐너부(2)는 원고로부터 화상을 읽어들인다. 스캐너부(2)는 화상형성부(1)의 상부에 위치되어 화상형성부(1)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한다. 스캐너부(2)는 화상형성부(1)에 대하여 승강가능하다. 화상형성장치는, 스캐너부(2)를 화상형성부(1)에 대하여 승강될 수 있게 지지하는 승강 메카니즘을 구비할 수 있다. 승강 메카니즘은 한 쌍의 측벽(3)(4)에 수용될 수 있다. 한 쌍의 측벽(3)(4) 각각은 화상형성부(1)에 지지된 고정 측벽(31)과 고정 측벽(31)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며 스캐너부(2)에 지지된 승강 측벽(32)을 구비한다. 한 쌍의 측벽(3)(4)은 서로 마주보게 화상형성부(1)와 스캐너부(2) 사이에 위치된다. 로킹 메카니즘은 한 쌍의 측벽(3)(4)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어 스캐너부(2)를 하사 위치(도 1)와 상사 위치(도 2)에 로킹시킨다.
화상형성부(1)는 예를 들어 급지 카세트(11)로부터 공급된 인쇄 매체(P)에 화상을 인쇄한다. 화상형성부(1)는 전자사진 방식, 잉크젯 방식, 열전사 방식, 열승화방식, 등 다양한 인쇄 방식에 의하여 인쇄 매체(P)에 단색 화상 또는 칼라 화상을 인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는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인쇄 매체(P)에 화상을 인쇄한다. 화상형성부(1)는 감광체에 화상 정보에 대응되는 광을 조사하여 정전 잠상을 형성하고, 정전 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가시적인 토너 화상을 형성하고, 토너 화상을 인쇄 매체(P)에 전사하고, 열과 압력에 의하여 토너 화상을 인쇄 매체(P)에 정착시킨다. 인쇄가 완료된 인쇄 매체(P)는 배출구(14)를 통하여 화상형성부(1)의 상면(12)에 마련된 배지대(13)로 배출된다. 전자사진 인쇄 방식은 당업계에서 잘 알려진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스캐너부(2)는 원고(D)에 기록된 화상을 읽어들인다. 스캐너부(2)는 원고(D)가 고정된 위치에 위치되고 독취부재가 이동되면서 화상을 읽어들이는 플랫베드(flatbed)구조, 원고가 이송되고 독취 부재가 고정된 위치에서 화상을 읽어들이는 원고이송(document feed)구조, 이들의 복합 구조 등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스캐너부(2)는 복합 구조를 가진다. 스캐너부(2)는 원고 이송 방식 스캔을 위하여, 원고대(23)에 놓인 원고(D)를 독취 부재를 통과하여 이송시키는 원고 이송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플랫베드 방식 스캔을 위하여, 하부 커버(21)에는 원고(D)가 놓이는 플라텐 글라스(미도시)가 마련된다. 상부 커버(22)는 플라텐 글라스를 덮는 닫힌 위치와 원고(D)를 플라텐 글라스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플라텐 글라스를 노출시키는 열린 위치로 회동될 수 있게 하부 커버(21)에 연결될 수 있다. 스캐너부(2)의 원리와 구조는 당업계에서 잘 알려진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스캐너부(2)는 화상형성부(1)의 상부에 화상형성부(1)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된다. 이에 의하여, 스캐너부(2)와 화상형성부(1) 사이에 공간(5)이 형성된다. 공간(5)을 통하여 배지대(13)에 쌓인 인쇄 매체(P)를 꺼낼 수 있다. 또한, 배출 과정에서 잼이 발생된 경우, 공간(5)을 통하여 잼 처리를 할 수 있다. 공간(5)의 높이를 크게 할수록 인쇄 매체(P)에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잼 처리에도 용이하다.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인쇄 매체(P)에 화상을 인쇄하는 화상형성부(1)의 경우, 배출구(14)에 인접하게 정착기가 배치된다. 정착기는 열과 압력에 의하여 토너 화상을 인쇄 매체(P)에 정착시킨다. 정착기의 작동 온도는 예를 들어 약 120~200℃ 정도이다. 정착기에서 발생된 열은 화상형성부(1)의 외부로 방출된다. 정착기로부터 방출되는 열이 공간(5)을 통하여 스캐너부(2)로 전달될 수 있다. 배지대(13)에 쌓이는 인쇄 매체(P)는 정착기에 의하여 가열되어 온도가 높다. 다량의 인쇄를 수행하면 배지대(13)에 고온의 인쇄 매체(P)가 많이 쌓여서 인쇄 매체(P)와 스캐너부(2)와의 거리가 가까워진다. 그러면, 정착기의 열과 함께 배지대(13)에 쌓인 인쇄 매체(P)의 열도 스캐너부(2)에 전달될 수 있다. 독취 센서는 고온에 노출될 경우 성능이 열화될 수 있다. 따라서, 공간(5)의 높이가 클수록 스캐너부(2)에 미치는 열 영향을 줄여 스캐너부(2)의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하다.
공간(5)의 높이는 화상형성장치 전체의 높이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는 필요에 따라서 공간(5)의 높이를 확대할 수 있도록 스캐너부(2)가 화상형성부(1)에 대하여 승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캐너부(2)는 도 1에 도시된 하사 위치(도 1)에 위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공간(5)의 높이를 확대하기 위하여 상사 위치(도 2)로 상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량의 인쇄를 수행할 경우, 배지대(13)에 쌓인 인쇄 매체(P)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또는 스캐너부(2)에 전달되는 열영향을 줄이기 위하여 스캐너부(2)를 상사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인쇄 매체(P)를 배지대(13)로 배출하는 과정에서 잼이 발생된 경우, 잼 처리가 용이하도록 스캐너부(2)를 상사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한 쌍의 측벽(3)(4)은 서로 마주보게 화상형성부(1)와 스캐너부(2) 사이에 위치되어 화상형성부(1)에 대하여 스캐너부(2)를 지지한다. 한 쌍의 측벽(3)(4)은 스캐너부(2)가 승강됨에 따라 신축될 수 있다. 한 쌍의 측벽(3)(4)은 인쇄 매체(P)의 폭방향(DW)으로 서로 이격되게 위치된다. 한 쌍의 측벽(3)(4)은 인쇄 매체(P)의 배출 방향(DL)으로 길이를 가진다. 이에 의하여, 스캐너부(2)가 화상형성부(1)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한 쌍의 측벽(3)(4) 각각은, 고정 측벽(31)와 승강 측벽(32)을 구비할 수 있다. 고정 측벽(31)은 화상형성부(1)의 상면(12)에 지지되며, 상방으로 연장된다. 승강 측벽(32)은 스캐너부(2)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고정 측벽(31)에 승강될 수 있게 지지된다. 예를 들어, 스캐너부(2)가 하사 위치에 위치된 때에 승강 측벽(32)은 고정 측벽(31)의 내부로 삽입되며, 스캐너부(2)가 상사 위치에 위치된 때에 승강 측벽(32)은 고정 측벽(31)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스캐너부(2)는 한 쌍의 측벽(3)(4)에 지지되어 하사 위치와 상사 위치로 승강될 수 있다.
스캐너부(2)가 하사 위치와 상사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스캐너부(2)가 하사 위치와 상사 위치에 로킹시킬 수 있다. 로킹 메카니즘은 스캐너부(2)를 하사 위치와 상사 위치에 로킹시킨다.
로킹 메카니즘은 한 쌍의 측벽(3)(4)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한 쌍의 측벽(3)(4)에 의하여 스캐너부(2)가 상사 위치와 하사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 3은 로킹 메카니즘의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로킹 메카니즘의 일 실시예에서 스캐너부(2)가 하사 위치에 위치되고 로킹 레버(6)가 로킹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로킹 메카니즘의 일 실시예에서 스캐너부(2)가 하사 위치에 위치되고 로킹 레버(6)가 해제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로킹 메카니즘의 일 실시예에서 스캐너부(2)가 상사 위치에 위치되고 로킹 레버(6)가 해제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로킹 메카니즘의 일 실시예에서 스캐너부(2)가 상사 위치에 위치되고 로킹 레버(6)가 로킹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로킹 메카니즘은, 고정 측벽(31)에 마련된 결합구(313)에 맞물려 승강 측벽(32)이 고정 측벽(31)에 대하여 승강되지 않도록 로킹시키는 로킹 위치(도 4, 도 7)와, 승강 측벽(32)이 고정 측벽(31)에 대하여 승강되도록 결합구(313)로부터 해제된 해제 위치(도 5, 도 6)로 전환 가능하게 승강 측벽(32)에 설치되는 로커(locker)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에서 참조부호 314는 고정 측벽(31)의 위쪽 가장자리를 표시한다.
로커는 승강 측벽(32)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지지되는 로킹 레버(6)와, 로킹 레버(6)의 상하 방향의 이동에 연동하여 결합구(313)에 맞물리거나 결합구(313)로부터 이탈되는 로킹 돌기(66)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로킹 레버(6)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승강 측벽(32)의 외부로 노출된 파지부(61)와, 파지부(61)로부터 연장된 연장부(62)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파지부(6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캐너부(2)의 하부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따라서, 스캐너부(2)를 승강시킬 때에 파지부(61)와 스캐너부(2)를 동시에 잡기에 용이하다.
연장부(62)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레일(63)이 마련될 수 있다. 승강 측벽(32)에는 가이드 레일(63)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321)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로킹 레버(6)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연장부(62)에는 상하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진 작동 슬롯(65)이 마련될 수 있다. 작동 슬롯(65)에는 로킹 돌기(66)가 삽입된다. 작동 슬롯(65)는, 로킹 레버(6)가 상방으로 이동될 때에 로킹 돌기(66)를 결합구(313)로부터 이탈시키고, 로킹 레버(6)가 하방으로 이동될 때에 로킹 돌기(66)를 결합구(313)에 맞물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로킹 돌기(66)가 결합구(313)에 맞물리면 승강 측벽(32)의 승강이 허용되지 않으며, 로킹 돌기(66)가 결합구(313)로부터 이탈되면 승강 측벽(32)의 승강이 허용된다.
일 실시예로서, 로킹 돌기(66)는 로킹 플레이트(661)에 지지될 수 있다. 승강 측벽(32)에는 로킹 돌기(66)의 이동 방향으로 절개된 로킹 슬롯(322)이 마련될 수 있다. 로킹 돌기(66)는 로킹 슬롯(322)을 관통하여 결합구(313) 쪽으로 연장된다. 로킹 플레이트(661)에는 로킹 슬롯(322)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662)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로킹 레버(6)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로킹 돌기(66)가 안정적으로 로킹 슬롯(322)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스프링(64)은 로커가 로킹 위치에 위치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로킹 레버(6)에 가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프링(64)은 로킹 레버(6)에 하강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가한다.
결합구(313)는 로킹 돌기(66)의 이동 방향의 일측 또는 양측이 개구된 형태일 수 있다. 결합구(313)는 스캐너부(2)가 하사 위치와 상시 위치에 위치된 때에 로킹 돌기(66)가 맞물리는 제1결합구(311)와 제2결합구(312)를 구비할 수 있다. 제2결합구(312)는 제1결합구(311)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이에 전술한 구성에 따른 로커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보면, 스캐너부(2)가 하사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커는 로킹 위치에 위치된다. 로킹 돌기(66)는 제1결합구(311)에 맞물린다. 따라서, 승강 측벽(32)는 고정 측벽(31)에 대하여 승강될 수 없으며, 스캐너부(2)는 하사 위치에 로킹된다.
스캐너부(2)를 상사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로커를 해제 위치로 전환시킨다. 로킹 레버(6)의 파지부(61)를 당겨 로킹 레버(6)를 상승시킨다. 작동 슬롯(65)은 로킹 돌기(66)를 민다. 그러면, 로킹 돌기(66)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구(311)로부터 이탈되고, 승강 측벽(32)은 고정 측벽(31)에 대하여 승강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스캐너부(2)를 상승시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사 위치로 이동시킨다. 로킹 레버(6)는 여전히 당겨진 상태이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돌기(66)는 제2결합구(312)로부터 이탈된 상태에서 제2결합구(312)와 나란하게 위치된다.
스캐너부(2)를 상사 위치에 로킹시키기 위하여, 로커를 로킹 위치로 전환시킨다. 예를 들어 로킹 레버(6)의 파지부(61)를 놓으면, 로킹 레버(6)는 스프링(64)의 탄성력에 의하여 하강된다. 로킹 돌기(66)는 하강하는 작동 슬롯(65)에 안내되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결합구(312)에 맞물린다. 로커를 로킹 위치로 전환되며, 승강 측벽(32)는 고정 측벽(31)에 대한 승강이 허용되지 않는다. 스캐너부(2)는 상사 위치에 로킹된다.
스캐너부(2)를 상사 위치로부터 하사 위치로 이동시키는 과정은 하사 위치로부터 상사 위치로 이동시키는 과정의 역순이다. 즉, 도 7에 도시된 상태에서 로킹 레버(6)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돌기(66)가 제2결합구(312)로부터 이탈된다. 스캐너부(2)를 하사 위치로 이동시킨다. 스캐너부(2)가 하사 위치에 도달된 후에 로킹 레버(6)를 당기고 있으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돌기(66)는 제1결합구(311)로부터 이탈된 상태에서 제1결합구(311)와 나란하게 위치된다. 로킹 레버(6)의 파지부(61)를 놓으면, 로킹 레버(6)는 스프링(64)의 탄성력에 의하여 하강된다. 로킹 돌기(66)는 하강하는 작동 슬롯(65)에 안내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구(311)에 맞물린다. 승강 측벽(32)는 고정 측벽(31)에 대한 승강이 허용되지 않으며, 스캐너부(2)는 하사 위치에 로킹된다.
스캐너부(2)가 하사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화상형성장치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스캐너부(2)를 잡고 화상형성장치를 들어올릴 수 있다. 이때, 로킹 레버(6)가 당겨지면 스캐너부(2)의 로킹이 해제되어 스캐너부(2)가 하사 위치로부터 상사 위치로 상승될 수 있다. 스캐너부(2)가 상사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화상형성장치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화상형성장치를 들어올린 후에 다시 내려놓을 때에 로킹 레버(6)가 당겨지면 스캐너부(2)의 로킹이 해제되어 스캐너부(2)가 하사 위치로 하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의도치 않게 스캐너부(2)가 하사 위치로부터 상사 위치로 또는 하사 위치로부터 상사 위치로 이동되면, 화상형성장치가 손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로킹 메카니즘은, 스캐너부(2)가 하사 위치와 상사 위치에 위치된 때에 고정 측벽(31)과 승강 측벽(32)을 관통하여 체결되어 스캐너부(2)를 하사 위치와 상사 위치에 고정시키는 안전 잠금 부재(7)를 구비할 수 있다.
도 8은 안전 잠금 부재(7)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안전 잠금 부재(7)는 고정 측벽(31)에 고정되는 몸체(71)와 몸체(71)로부터 연장된 안전 돌기(72)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 측벽(31)에는 몸체(71)를 수용하는 수용부(315)가 마련된다. 안전 잠금 부재(7)는 고정 측벽(31)에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 잠금 부재(7)는 스냅핏 방식에 의하여 고정 측벽(31)에 고정될 수 있다. 안전 잠금 부재(7)는 나사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하여 고정 측벽(31)에 고정될 수도 있다.
승강 측벽(32)에는 안전 돌기(72)가 삽입되는 안전 홈(323)(324)이 마련된다. 안전 홈(323)(324)은 각각 스캐너부(2)가 하사 위치와 상사 위치에 위치된 때에 안전 돌기(72)가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안전 홈(324)은 안전 홈(323)으로부터 스캐너부(2)의 하사 위치와 상사 위치 사이의 거리만큼 하방으로 이격되게 위치된다. 스캐너부(2)가 하사 위치에 위치되면 안전 홈(323)이 수용부(315)와 정렬되며, 스캐너부(2)가 상사 위치에 위치되면 안전 홈(324)이 수용부(315)와 정렬된다. 따라서, 스캐너부(2)가 하사 위치와 상사 위치에 위치된 때에 수용부(315)에 안전 잠금 부재(7)를 삽입하면, 안전 돌기(72)가 각각 안전 홈(323)과 안전 홈(324)에 삽입되어, 승강 측벽(32)이 고정 측벽(31)에 대하여 승강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스캐너부(2)는 하사 위치와 상사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스캐너부(2)를 승강시키기 위하여는 반드시 안전 잠금 부재(7)를 고정 측벽(31)으로부터 분리하여야 하므로, 화상형성장치의 취급 과정에서 의도치 않게 스캐너부(2)가 승강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하여 스캐너부(2)가 승강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는 스캐너부(2)의 위치를 검지하는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센서는 스캐너부(2)의 상사 위치와 하사 위치에의 도달 여부를 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센서는 승강 측벽(32)의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스캐너부(2)의 상사 위치와 하사 위치에의 도달 여부를 검지한다. 도 9는 스캐너부(2)의 상사 위치와 하사 위치에의 도달 여부를 검지하는 센서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승강 측벽(32)에는 검출편(93)이 마련된다. 센서는 제1센서(91)와 제2센서(9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센서(91)와 제2센서(92)는 스캐너부(2)의 하사 위치와 상사 위치 사이의 거리만큼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스캐너부(2)가 하사 위치에 위치된 때에 제1센서(91)에 의하여 검출편(93)이 검출되며, 스캐너부(2)가 상사 위치에 위치된 때에 제2센서(92)에 의하여 검출편(93)이 검출될 수 있다. 제1센서(91)와 제2센서(92)로서 다양한 형태의 센서가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센서(91)와 제2센서(92)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하는 광센서일 수 있다. 검출편(93)이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 위치되면 발광부에서 조사되는 광이 검출편(93)에 의하여 차단되어 수광부의 광검출량이 줄어든다. 수광부는 광검출량에 대응되는 전기 신호를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로 전송한다. 제어부는 예를 들어 전기 신호의 전압의 크기에 따라서 제1센서(91)와 제2센서(92)에 의하여 검출편(93)이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스캐너부(2)의 상사 위치와 하사 위치에의 도달 여부를 검지할 수 있다. 제1센서(91)와 제2센서(92)는 검출편(93)에 의하여 작동되는 마이크로 스위치일 수도 있다.
제어부는 제1센서(91)와 제2센서(92)로부터의 전기 신호에 기반하여 스캐너부(2)가 상사 위치 또는 하사 위치에의 도달되지 않은 것으로 검지되는 경우, 시각적, 청각적 경고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조작 패널(100)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스캐너부(2)의 위치를 체크하라는 경고 메세지를 출력하거나, 버저를 통하여 경고음을 출력하거나, 엘이디 등의 발광 램프를 점멸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어부는 제1센서(91)와 제2센서(92)로부터의 전기 신호에 기반하여 스캐너부(2)가 상사 위치 또는 하사 위치에의 도달되지 않은 것으로 검지되는 경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도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한 쌍의 측벽(3)(4) 중 적어도 하나에는 측벽(3)(4)의 내부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측벽(3)(4)의 일부를 개폐하는 도어(8)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어(8)는 고정 측벽(31)에 마련된다.
도어(8)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벽(3)(4)의 내부 공간은 옵션 키트의 장착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옵션 키트는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의 팩시밀리로서의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국선 라인 제어 키트, 화상형성장치가 메일 박스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의 저장 장치 등일 수 있다.
옵션 키트는 스캐너부(2)를 상사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확장되는 공간(5)의 일부에 장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캐너부(2)가 상사 위치에 위치된 때에 고정 측벽(31)으로부터 돌출된 승강 측벽(32)에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8)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부와 옵션 키트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측벽(3)(4)의 내부 공간에 액세스 하기 위하여 개방될 수 있다.
도 10과 도 11은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도 10은 스캐너부(2)가 하사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 11은 스캐너부(2)가 상사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에서, 도어(8)는 승강 측벽(32)에 마련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스캐너부(2)가 하사 위치에 위치된 때에 도어(8)의 적어도 일부는 고정 측벽(31)에 가려진다. 따라서, 스캐너부(2)가 하사 위치에 위치된 때에는 도어(8)가 개방될 수 없다. 스캐너부(2)가 상사 위치에 위치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8)가 고정 측벽(31)으로부터 벗어나며, 도어(8)의 개폐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승강 측벽(32) 내부에 옵션 키트가 장착된 경우, 스캐너부(2)가 하사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옵션 키트에 액세스할 수 없다. 따라서, 예를 들어 안전 잠금 부재(7)에 자물쇠 등의 보안 장치를 하는 경우, 스캐너부(2)가 하사 위치로부터 상사 위치로 이동시킬 수 없으므로, 보안이 필요한 옵션 장치, 예를 들어 저장 장치 등의 무단 제거 또는 무단 교체를 방지할 수 있다. 승인된 사용자만이 안전 잠금 부재(7)의 보안 장치를 해제하고 안전 잠금 부재(7)를 제거한 후에 스캐너부(2)를 상사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런 후 도어(8)를 열고 보안이 필요한 옵션 장치, 예를 들어 저장 장치를 제거 또는 교체할 수 있다.
도어(8)의 상하 방향의 길이는 스캐너부(2)의 하사 위치와 상사 위치 사이의 스트로크에 의존된다. 고정 측벽(31)에는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몰입된 몰입부(33)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몰입부(33)가 없는 경우에 비하여 도어(8)의 높이를 더 크게 확보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는, 스캐너부(2)를 화상형성부(1)에 대하여 승강될 수 있게 지지하는 승강 메카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승강 메카니즘은 한 쌍의 측벽(3)(4)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도 12와 도 13은 승강 메카니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들로서, 도 12는 스캐너부(2)가 하사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 13은 스캐너부(2)가 상사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12와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승강 메카니즘은 X자 형태로 교차되는 다수의 링크에 의하여 구현된다.
승강 메카니즘은, 화상형성부(1)에 피벗될 수 있게 연결되는 고정단(211)과 스캐너부(2)에 인쇄 매체(P)의 배출방향(DL)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연결되는 가동단(212)을 구비하는 제1링크(210)와, 일단(221)이 스캐너부(2)에 피벗될 수 있게 연결되고 타단(222)은 제1링크(210)의 중앙부(213)에 피벗될 수 있게 연결되는 제2링크(2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캐너부(2)를 화상형성부(1)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한 쌍의 제1링크(210)가 채용된다. 제2링크(220)의 타단(222)은 한 쌍의 제1링크(210) 중 하나의 중앙부(213)에 피벗될 수 있게 연결된다. 예를 들어, 스캐너부(2)에는 배출 방향(DL)으로 연장된 레일(231)과, 레일(231)에 배출 방향(DL)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지지된 슬라이더(232)가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링크(210)의 가동단(212)은 슬라이더(232)에 피벗될 수 있게 지지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스캐너부(2)는 상하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이동되어 하사 위치와 상사 위치로 승강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는, 스캐너부(2)를 상사 위치로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바이어스시키는 바이어스 부재(240)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바이어스 부재(240)는 제1링크(210)와 제2링크(220) 중 어느 하나와 스캐너부(2)에 연결된 탄성 부재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바이어스 부재(240)는 제1링크(210)와 스캐너부(2)에 일단과 타단이 각각 연결된 인장 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구현된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바이어스 부재(240)는 제1링크(210)와 제2링크(220) 중 어느 하나와 스캐너부(2)에 연결된 가스 서스펜션 부재에 의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가스 서스펜션 부재의 일단과 타단은 제1링크(210)와 스캐너부(2)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스캐너부(2)가 하사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안전 잠금 부재(7)를 수용부(315)로부터 분리하고 로킹 레버(6)을 해제 위치로 전환시키면, 스캐너부(2)는 바이어스 부재(240)에 의하여 상사 위치 쪽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스캐너부(2)를 용이하게 상사 위치로 상승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스캐너부(2)를 들어 상사 위치에 위치시킨 후에 로킹 레버(6)를 로킹 위치로 전환시키고 안전 잠금 부재(7)를 수용부(315)에 체결하여 스캐너부(2)를 상사 위치에 로킹시킬 수 있다. 또한, 스캐너부(2)가 상사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안전 잠금 부재(7)를 측벽(3)(4)으로부터 분리하고 로킹 레버(6)을 해제 위치로 전환시키더라도, 바이어스 부재(240)에 의하여 스캐너부(2)가 지지되므로, 스캐너부(2)가 하사 위치로 낙하되지 않는다. 사용자는 스캐너부(2)를 눌러 하사 위치에 위치시킨 후에 로킹 레버(6)를 로킹 위치로 전환시키고 안전 잠금 부재(7)를 수용부(315)에 체결하여 스캐너부(2)를 하사 위치에 로킹시킬 수 있다.
제1, 제2링크(220)(220), 레일(231), 슬라이더(232), 및 바이어스 부재(240)를 포함하는 승강 메카니즘은 한 쌍의 측벽(3)(4)의 내부에 수용된다. 승강 메카니즘은 도어(8)를 가리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링크(210)와 제2링크(220)는 스캐너부(2)가 상사 위치에 위치된 때에 도어(8)를 가리지 않도록 위치된다. 이와 같이, 스캐너부(2)가 상사 위치에 위치된 때에 승강 메카니즘이 도어(8)를 가리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도어(8)를 개방하고 측벽(3)(4)의 내부에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다.
도 14와 도 15는 승강 메카니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들로서, 도 14는 스캐너부(2)가 하사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 15는 스캐너부(2)가 상사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14와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승강 메카니즘은 하나의 링크(250)와, 스캐너부(2)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지지하는 슬라이딩 지지부(260)에 의하여 구현되는 점에서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승강 메카니즘과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차이점에 대하여만 간략하게 설명한다.
링크(250)는 화상형성부(1)에 피벗될 수 있게 연결되는 고정단(251)과 스캐너부(2)에 인쇄 매체(P)의 배출방향(DL)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연결되는 가동단(252)을 구비할 수 있다. 스캐너부(2)에는 배출 방향(DL)으로 연장된 레일(231)과, 레일(231)에 배출 방향(DL)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지지된 슬라이더(232)가 마련될 수 있다. 링크(250)의 가동단(252)은 슬라이더(232)에 피벗될 수 있게 지지된다. 슬라이딩 지지부(260)는 스캐너부(2)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지지 부재(262)와, 지지 부재(262)에 접촉되어 회전되며 지지 부재(262)를 승강될 수 있게 지지하는 다수의 회전 롤러(261)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회전 롤러(261)는 화상형성부(1)에 마련될 수 있다. 다수의 회전 롤러(261)의 갯수와 위치는 스캐너부(2)가 상사 위치에 위치된 때에 지지 부재(262)가 적어도 두 개의 회전 롤러(261)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스캐너부(2)는 바이어스 부재(240)에 의하여 상사 위치로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바이어스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스캐너부(2)는 상하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이동되어 하사 위치와 상사 위치로 승강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슬라이딩 지지부(260)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승강 메카니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6과 도 17은 승강 메카니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들로서, 도 16은 스캐너부(2)가 하사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 17은 스캐너부(2)가 상사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16과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승강 메카니즘은 랙-피니언 기구에 의하여 구현된다. 승강 메카니즘은, 고정 측벽(31)과 승강 측벽(32)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랙 기어(271)와, 고정 측벽(31)과 승강 측벽(32)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랙 기어(271)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27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 측벽(31)에 랙 기어(271)가 마련되며, 승강 측벽(32)에 피니언 기어(272)가 마련된다. 랙 기어(271)는 상하 방향, 즉 스캐너부(2)의 승강방향으로 연장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스캐너부(2)는 상하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이동되어 하사 위치와 상사 위치로 승강될 수 있다. 또한, 승강 메카니즘에 배출 방향(DW)을 기준으로 하여 측벽(3)(4)의 양측 가장자리에 마련되므로, 도어(8)를 고정 측벽(31)과 승강 측벽(32) 중 어느 쪽에 마련하더라도 도어(8)가 승강 메카니즘과 간섭되지 않게 배치하기가 용이하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슬라이딩 지지부(260)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승강 메카니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캐너부(2)가 하사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안전 잠금 부재(7)를 수용부(315)로부터 분리하고 로킹 레버(6)을 해제 위치로 전환시킨다. 그런 다음, 스캐너부(2)는 들어 상사 위치로 상승시킨 후에 로킹 레버(6)를 로킹 위치로 전환시키고 안전 잠금 부재(7)를 수용부(315)에 체결하여 스캐너부(2)를 상사 위치에 로킹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캐너부(2)가 상사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안전 잠금 부재(7)를 측벽(3)(4)으로부터 분리하고 로킹 레버(6)을 해제 위치로 전환시킨다. 그런 다음, 스캐너부(2)를 내려서 하사 위치에 위치시킨 후에 로킹 레버(6)를 로킹 위치로 전환시키고 안전 잠금 부재(7)를 수용부(315)에 체결하여 스캐너부(2)를 하사 위치에 로킹시킬 수 있다.
도 18은 도 16의 XI-XI' 단면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피니언 기어(272)는 승강 측벽(32)에 마련된 포스트(325)에 삽입되어 회전될 수 있다. 스캐너부(2)가 상사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안전 잠금 부재(7)를 측벽(3)(4)으로부터 분리하고 로킹 레버(6)을 해제 위치로 전환시킨 때에, 스캐너부(2)가 하사 위치로 급격히 낙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승강 메카니즘은 피니언 기어(272)에 회전 마찰력을 가하는 마찰 부재(273)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찰 부재(273)는 승강 측벽(32)과 피니언 기어(272) 사이에 개재되는 압축 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압축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피니언 기어(272)에 회전 마찰력이 작용된다. 따라서, 스캐너부(2)가 상사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안전 잠금 부재(7)를 측벽(3)(4)으로부터 분리하고 로킹 레버(6)을 해제 위치로 전환시키더라도 스캐너부(2)가 하사 위치로 급격히 낙하되지 않을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마찰 부재(273)는 승강 측벽(32)과 피니언 기어(272) 사이에 개재되는 접시 스프링, 마찰 패트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5)

  1. 인쇄 매체에 화상을 인쇄하며, 상면에 인쇄가 완료된 인쇄매체가 적재되는 배지대가 마련된 화상형성부;
    원고로부터 화상을 읽어들이는 것으로서, 상기 화상형성부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화상형성부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화상형성부에 대하여 승강가능한 스캐너부;
    상기 화상형성부에 지지된 고정 측벽과, 상기 고정 측벽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며 상기 스캐너부에 지지된 승강 측벽을 구비하며, 서로 마주보게 상기 화상형성부와 상기 스캐너부 사이에 위치되는 한 쌍의 측벽;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벽은 상기 인쇄 매체의 폭방향으로 이격되며, 상기 인쇄 매체의 배출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벽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스캐너부를 하사 위치와 상사 위치에 로킹시키는 로킹 메카니즘;을 포함하며,
    상기 로킹 메카니즘은,
    상기 고정 측벽에 마련된 결합구에 맞물려 상기 승강 측벽이 상기 고정 측벽에 대하여 승강되지 않도록 로킹시키는 로킹 위치와, 상기 승강 측벽이 상기 고정 측벽에 대하여 승강되도록 상기 결합구로부터 해제된 해제 위치로 전환 가능한 로커;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는 상기 스캐너부가 상기 하사 위치와 상기 상사 위치에 각각 위치된 때에 상기 로커와 맞물리는 제1결합구와 제2결합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메카니즘은,
    상기 스캐너부가 상기 하사 위치와 상기 상사 위치에 위치된 때에 상가 고정 측벽과 상기 승강 측벽을 관통하여 체결되어 상기 스캐너부를 상기 하사 위치와 상기 상사 위치에 고정시키는 안전 잠금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벽 중 적어도 하나에는 도어가 마련된 화상형성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승강 측벽에 마련되며,
    상기 스캐너부가 상기 하사 위치에 위치된 때에 상기 도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고정 측벽에 가려지며,
    상기 스캐너부가 상기 상사 위치에 위치된 때에 상기 도어는 상기 고정 측벽으로부터 벗어나서 개폐가능한 화상형성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너부를 상기 화상형성부에 대하여 승강될 수 있게 지지하며, 상기 한 쌍의 측벽 내부에 수용되는 승강 메카니즘;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 메카니즘은 상기 스캐너부가 상사 위치에 위치된 때에 상기 도어를 가리지 않는 화상형성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너부의 상기 상사 위치와 상기 하사 위치에의 도달을 검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인쇄 매체에 화상을 인쇄하며, 상면에 인쇄된 인쇄매체가 적재되는 배지대가 마련된 화상형성부;
    상기 화상형성부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게 위치되어 상기 화상형성부의 상면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며, 원고로부터 화상을 읽어들이는 스캐너부;
    상기 스캐너부를 상기 화상형성부에 대하여 승강될 수 있게 지지하는 승강 메카니즘;
    상기 화상형성부에 지지된 고정 측벽과, 상기 고정 측벽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며 상기 스캐너부에 지지된 승강 측벽을 구비하며, 내부에 상기 승강 메카니즘을 수용하고 상기 인쇄 매체의 폭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위치되어 상기 화상형성부에 대하여 상기 스캐너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측벽;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메카니즘은,
    상기 화상형성부에 피벗될 수 있게 연결되는 제1고정단과 상기 스캐너부에 상기 인쇄 매체의 배출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연결되는 제1가동단을 구비하는 제1링크;
    일단이 상기 스캐너부에 피벗될 수 있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링크의 중앙부에 피벗될 수 있게 연결되는 제2링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너부를 상사 위치로 상승되는 방향으로 바이어스시키는 바이어스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너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에 접촉되어 회전되며 상기 지지 부재를 승강될 수 있게 지지하는 다수의 회전 롤러;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벽 각각은 상기 화상형성부에 지지된 고정 측벽과 상기 스캐너부에 지지되며 상기 고정 측벽에 대하여 승강 가능한 승강 측벽을 구비하며,
    상기 승강 메카니즘은,
    상기 고정 측벽과 상기 승강 측벽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랙 기어와, 상기 고정 측벽과 상기 승강 측벽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랙 기어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메카니즘은, 상기 피니언 기어에 회전 마찰력을 가하는 마찰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200011085A 2020-01-30 2020-01-30 스캐너부와 화상형성부 사이의 공간을 확장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KR20210097417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085A KR20210097417A (ko) 2020-01-30 2020-01-30 스캐너부와 화상형성부 사이의 공간을 확장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EP20916277.5A EP4097960A4 (en) 2020-01-30 2020-07-13 IMAGE PRODUCING DEVICE
PCT/US2020/041799 WO2021154329A1 (en) 2020-01-30 2020-07-13 Image forming apparatus
US17/795,659 US11917112B2 (en) 2020-01-30 2020-07-13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expanding space between image forming part and scanner pa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085A KR20210097417A (ko) 2020-01-30 2020-01-30 스캐너부와 화상형성부 사이의 공간을 확장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7417A true KR20210097417A (ko) 2021-08-09

Family

ID=77079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1085A KR20210097417A (ko) 2020-01-30 2020-01-30 스캐너부와 화상형성부 사이의 공간을 확장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917112B2 (ko)
EP (1) EP4097960A4 (ko)
KR (1) KR20210097417A (ko)
WO (1) WO2021154329A1 (ko)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93700B2 (ja) * 1999-07-19 2010-12-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755358B2 (ja) * 1999-12-02 2006-03-1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981230B2 (ja) 2000-01-21 2007-09-26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1326770A (ja) * 2000-05-17 2001-11-22 Murata Mach Ltd 画像形成装置
JP2003110250A (ja) 2001-09-28 2003-04-11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用ラック
JP2004146930A (ja) * 2002-10-22 2004-05-20 Murata Mach Ltd 画像形成装置
JP2004198563A (ja) * 2002-12-17 2004-07-15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4105943B2 (ja) * 2002-12-20 2008-06-25 ニスカ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0561431B1 (ko) * 2004-06-10 2006-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재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복합기
JP2006135736A (ja) * 2004-11-08 2006-05-25 Canon Inc 画像読取記録装置
JP4678202B2 (ja) * 2005-02-15 2011-04-2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7279403A (ja) 2006-04-07 2007-10-25 Seiko Epson Corp 画像形成装置
JP5058018B2 (ja) * 2008-02-14 2012-10-24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2009192972A (ja) 2008-02-18 2009-08-27 Seiko Epson Corp 複合システム及び複合システム用ラック
JP2010107853A (ja) 2008-10-31 2010-05-13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5800014B2 (ja) * 2013-12-27 2015-10-2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2019116050A (ja) * 2017-12-27 2019-07-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7131070B2 (ja) * 2018-05-21 2022-09-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86885A1 (en) 2023-03-23
EP4097960A4 (en) 2024-02-21
EP4097960A1 (en) 2022-12-07
US11917112B2 (en) 2024-02-27
WO2021154329A1 (en) 2021-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16846B1 (en) Image scanning device
US7855346B2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removal recording media
US20060202412A1 (en) Stacker device
US7054578B2 (en) System to replace a photosensitive unit and a transfer unit and a printer having the system
JP2012206851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210097417A (ko) 스캐너부와 화상형성부 사이의 공간을 확장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JP2004029772A (ja) キャリッジロッキングデバイスを備えた光学走査装置
JP2017186130A (ja) 機密書類廃棄用キャビネット
KR101305505B1 (ko) 스캐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US845671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0123185A (ja) ディスク把持装置及びディスク処理装置
KR20210074682A (ko) 접근이 편리한 배출 용지 적재 구조
KR100574051B1 (ko) 스캔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US8213060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US7133145B2 (en) Method and assembly for carriage locking
US7387257B2 (en) Card recording apparatus and a card storage cassette
JP2007047570A (ja) 画像形成装置
US20060244197A1 (en) System and method for holding imaging plates and/or delivering imaging plates to an imaging system
JP5613753B2 (ja) 媒体処理装置
US10868932B2 (en) Image reading device
KR20220116277A (ko) 서멀 프린터
JPH09218552A (ja) 画像形成装置
JP4046143B1 (ja) 記録媒体情報読取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JP2002281205A (ja) 画像形成装置
JP2008063086A (ja) 給紙ユニット及びそれを備えた記録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