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4606A - 프로텍터 - Google Patents

프로텍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4606A
KR20210074606A KR1020190165440A KR20190165440A KR20210074606A KR 20210074606 A KR20210074606 A KR 20210074606A KR 1020190165440 A KR1020190165440 A KR 1020190165440A KR 20190165440 A KR20190165440 A KR 20190165440A KR 20210074606 A KR20210074606 A KR 20210074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er
bolt
protector
locking
stud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5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3466B1 (ko
Inventor
방성협
최정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90165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3466B1/ko
Publication of KR20210074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4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3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3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22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에 돌출 형성되며, 차량 판넬에 형성된 스터드볼트가 삽입되는 볼트삽입홀이 형성되는 락킹부; 및 상기 락킹부의 리테이너 삽입구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리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락킹부에 결합되어 상기 락킹부에 삽입된 상기 스터드볼트의 외주면을 감싸는 결합위치와, 상기 락킹부에 결합되되, 상기 락킹부에 삽입된 상기 스터드볼트와 접하지 않는 해제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공구 및 별도 부재 없이 프로텍터를 차량 판넬에 설치할 수 있어, 공간 활용성 및 설계 자유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프로텍터 {Protector}
본 발명은 프로텍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한 프로텍터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차량 내의 전장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와이어링 하네스가 설치된다. 최근 차량에 장착되는 전장품 증가에 따른 회로가 증가하고 있어, 차량에 장착되는 와이어링 하네스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와이어링 하네스는 와이어링 하네스의 표면을 보호하거나 차량에 고정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와이어링 하네스용 프로텍터에 결합된다.
통상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텍터(1)는 차량 판넬에 형성된 스터드볼트에 가결합 시킨 후, 스터드볼트에 너트(3)를 결합시켜 차량 판넬에 고정시킨다. 이때, 너트(3)는 충분한 결합력 확보를 위해 공구를 사용하여 결합된다.
다만, 공구를 사용하여 너트(3)를 스터드볼트에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공구를 스터드볼트에 결합시기 위한 작업 공간 확보가 필수적이게 된다. 즉, 스터드볼트 주변으로 타 부품이 근접해 배치되는 것이 불가능할 뿐 아니라 스터드볼트가 결합되는 프로텍터(1)의 결합부가 충분한 여유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고려하여 설계를 해야한다.
따라서, 너트(3)를 사용하여 스터드볼트에 프로텍터(1)를 고정시킬 경우, 여유공간 미확보에 따라 공구 작업 난이도 상승 및 주변 부품 손상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이러한 문제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 여유 공간을 고려한 설계를 필요로 함에 따라 설계 자유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너트(3)를 스터드볼트에 결합시키기 위한 작업 공수 발생에 따른 작업 시간 증가, 원가 및 중량 상승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프로텍터를 차량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프로텍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에 돌출 형성되며, 차량 판넬에 형성된 스터드볼트가 삽입되는 볼트삽입홀이 형성되는 락킹부; 및 상기 락킹부의 리테이너 삽입구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리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락킹부에 결합되어 상기 락킹부에 삽입된 상기 스터드볼트의 외주면을 감싸는 결합위치와, 상기 락킹부에 결합되되, 상기 락킹부에 삽입된 상기 스터드볼트와 접하지 않는 해제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락킹부에 삽입된 스터드볼트의 축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도록 상기 락킹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리테이너는, 파지 가능하도록 일측에 형성되는 파지부; 및 상기 결합위치에서 상기 스터드볼트의 외주면의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파지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볼트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볼트 홀더는, 상기 스터드볼트를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볼트 홀더는, 상기 스터드볼트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맞물리도록 상기 볼트 홀더의 일면에 형성되는 맞물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맞물림돌기는, 상기 스터드볼트의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의 개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리테이너가 상기 결합위치에 있을 때, 상기 리테이너 삽입구의 일면에 형성된 제1 걸림홀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고정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복수의 볼트 홀더의 단부를 바라보도록 형성되는 경사면; 및 상기 파지부를 바라보도록 형성되는 고정면;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고정면보다 완만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해제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걸림홀과 이격되어 상기 리테이너 삽입구의 일면에 형성된 제2 걸림홀에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락킹부는, 상기 제1 걸림홀과 연통되도록, 상기 스터드볼트의 축방향으로 해지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락킹부는, 상기 결합위치에 있는 상기 볼트 홀더와 접하도록 상기 락킹부 내부에 형성되는 리테이너 홀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리테이너 홀더는, 상기 스터드볼트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가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스터드볼트를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되도록 복수의 개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볼트 홀더와 접하는 일측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스터드볼트의 외주면과 상기 가압돌기 사이의 폭이, 상기 볼트 홀더의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공구 및 별도 부재 없이 프로텍터를 차량 판넬에 설치할 수 있어, 공간 활용성 및 설계 자유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작업자의 피로도가 감소되며, 작업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별도의 고정 부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고정 부재의 오결합 등에 의한 불량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품질이 향상되며, 원가 절감 및 중량 감소의 효과가 있다.
아울러, 한 번의 동작으로 프로텍터를 차량 판넬에 설치 및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 판넬의 스터드볼트가 프로텍터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미관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이 상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설립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효과는 상기의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종래의 프로텍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텍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리테이너가 고정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의 구역 Ⅳ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도 3의 구역 Ⅴ의 확대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도 2의 락킹부의 사시도.
도 8은 도 6의 절단선 Ⅷ-Ⅷ'에 따른 락킹부의 측단면도.
도 9는 도 7의 절단선 Ⅸ-Ⅸ'에 따른 락킹부의 단면도.
도 10은 도 2의 리테이너의 사시도.
도 11은 도 4의 절단선 ⅩⅠ-ⅩⅠ'에 따른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절단선 ⅩⅡ-ⅩⅡ'에 따른 단면도.
도 13은 도 5의 절단선 ⅩⅢ-ⅩⅢ'에 따른 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절단선 ⅩⅣ-ⅩⅣ'에 따른 단면도.
도 15는 도 14의 절단선 ⅩⅤ-ⅩⅤ'에 따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텍터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텍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텍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 내지 도 9는 도 2의 락킹부를 도시한 것이며, 도 10은 도 2의 리테이너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11 및 도 15는 리테이너의 위치에 따른 프로텍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텍터는, 차량 판넬에 구비된 스터드볼트(300)에 프로텍터(10)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프로텍터(10)의 일측에 형성되는 락킹부(100)와, 락킹부(100)에 결합되어 스터드볼트(300)와 결합되는 결합위치와 해제되는 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는 리테이너(200)가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락킹부(100)는 차량 판넬에 접하는 일면을 하면으로, 그 이면을 상면인 것으로 한다. 또한, 리테이너(200)는 락킹부(100)에 결합되었을 때의 방향을 기준으로 락킹부(100)의 상면을 향하는 측을 상측, 하면을 향하는 측을 하측으로 한다.
락킹부(100)는, 스터드볼트(300)에 결합되도록 프로텍터(1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볼트삽입홀(110), 리테이너 삽입구(120), 해지홀(130) 및 리테이너 홀더(140)가 형성된다.
볼트삽입홀(110)은, 스터드볼트(300)가 결합되도록 락킹부(100)의 하면에 형성된다. 볼트삽입홀(110)은 차량 판넬에 돌출되어 형성된 스터드볼트(300)의 전체가 락킹부(100)에 수용되기만 하면 홀 또는 홈으로 형성되는 것은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다. 즉, 볼트삽입홀(110)에 스터드볼트(300)가 삽입되어 락킹부(100)의 하면이 차량 판넬에 접하도록 안착되기만 하면, 락킹부(100)의 하면에서 상면까지 관통하여 형성될 수도 있으며, 하면에서 함몰된 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볼트삽입홀(110)은 스터드볼트(300)가 안정적으로 삽입되어 수용되도록 스터드볼트(300)의 지름보다 큰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볼트삽입홀(110)을 스터드볼트(300)가 완전히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프로텍터(10)를 안정적으로 차량 판넬에 안착시켜 고정시킬 수 있어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리테이너 삽입구(120)는, 리테이너(20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으로서, 락킹부(100)의 측면에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리테이너 삽입구(120)는, 락킹부(100)의 측면에서 락킹부를 관통하여 홈으로 형성되되, 볼트삽입홀(110)과 연통될 수 있는 깊이로 형성된다. 이때, 리테이너 삽입구(120)는, 볼트삽입홀(110)과 수직 방향으로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리테이너 삽입구(120)에 결합된 리테이너(200)가, 볼트삽입홀(110)에 삽입된 스터드볼트(300)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처럼, 볼트삽입홀(110)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리테이너 삽입구(120)의 내주면에는 제1 걸림홀(121) 및 제2 걸림홀(122)이 형성된다. 제1 걸림홀(121) 및 제2 걸림홀(122)은, 후술할 리테이너(200)의 고정돌기(230)가 삽입되는 것으로서, 리테이너 삽입구(120)의 일면에 함몰된 홀로 형성된다. 여기서, 제1 걸림홀(121) 및 제2 걸림홀(122)이 형성되는 리테이너 삽입구(120)의 일면은, 락킹부(100)의 상면 측을 향하는 일면이다.
제1 걸림홀(121)은, 리테이너(200)가 결합위치에 있을 때, 후술할 리테이너(200)의 고정돌기(230)가 결합된다. 또한, 제1 걸림홀(121)은 해지홀(130)과 연통되도록 락킹부(100)의 상면을 향해 충분한 길이로 형성된다.
제2 걸림홀(122)은, 리테이너(200)가 해제위치에 있을 때, 후술할 리테이너(200)의 고정돌기(230)가 결합된다. 제2 걸림홀(122)은 후술할 리테이너(200)의 고정돌기(230)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을 정도의 깊이로 리테이너 삽입구(120)의 일면에 함몰된 홈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제1 걸림홀(121) 및 제2 걸림홀(122)은, 리테이너(200)가 결합위치와 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제1 걸림홀(121)이 제2 걸림홀(122)보다 볼트삽입홀(110)에 가깝도록 형성된다.
해지홀(130)은, 리테이너(200)가 결합위치에 있을 때, 후술할 리테이너(200)의 고정돌기(230)를 제1 걸림홀(121)에서 이탈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서, 락킹부(100)의 상면에 함몰되어 제1 걸림홀(121)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즉, 해지홀(130)은 제1 걸림홀(121)과 연통되도로 충분한 깊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걸림홀(121)과 연통되도록 락킹부(100)의 상면에 형성된 해지홀(130)에 핀을 삽입하여 후술할 리테이너(200)의 고정돌기(230)를 가압함으로써, 제1 걸림홀(121)에서 이탈시킬 수 있다.
이처럼, 락킹부(100)에 해지홀(130)을 별도로 형성함으로써, 결합위치에 위치되어 스터드볼트(300)와 결합된 리테이너(200)를 해제위치로 이동시켜 프로텍터(10)를 차량 판넬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리테이너 홀더(140)는, 리테이너(200)가 결합위치에 있을 때, 후술할 리테이너(200)의 볼트 홀더(220)를 양 측에서 가압하도록 락킹부(100) 내부에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리테이너 홀더(14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부(100)의 내부에 두 개로 형성되며, 볼트삽입홀(110)에 배치되어 스터드볼트(300)를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볼트삽입홀(110)에 삽입된 스터드볼트(300)의 외주면을 향해 가압돌기(141)가 돌출 형성되도록 형성된다. 가압돌기(141)는 결합위치에 있는 리테이너(200)와 접하여 후술할 리테이너(200)의 볼트 홀더(220)가 스터드볼트(300)와 밀착되도록 한다. 즉, 락킹부(100)의 내부에 리테이너 홀더(140)를 추가적으로 형성함으로써 리테이너(200)와 스터드볼트(300)가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결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리테이너 홀더(140)와 스터드볼트(300) 사이의 간격은 후술할 리테이너(200)의 볼트 홀더(220)의 두께보다 작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볼트 홀더(220)가 리테이너 홀더(140)와 스터드볼트(300) 사이에 삽입되어 결합되면, 리테이너 홀더(140)는 스터드볼트(300)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리테이너 홀더(140)의 주변에는 리테이너 홀더(140)가 소정의 간격으로 벌어질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야 한다.
아울러, 리테이너 홀더(140)의 가압돌기(141)는 곡면으로 형성됨으로써 후술할 리테이너(200)의 볼트 홀더(220)가 리테이너 홀더(140)와 스터드볼트(300) 사이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한다.
리테이너(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락킹부(100)에 결합되어 스터드볼트(300)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락킹부(100)의 외부로 돌출되는 파지부(210)와 락킹부(100)의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볼트 홀더(220) 및 고정돌기(230)가 형성된다.
파지부(210)는, 리테이너(200)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리테이너(200)가 락킹부(100)에 결합되면, 락킹부(100)의 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파지부(21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작업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파지부(210)는 리테이너(200)가 결합위치에 있을 때, 락킹부(100)의 측면에 접하도록 락킹부(100)의 측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작업자가 리테이너(200)를 결합위치에서 해제위치로 이동시킬 때, 파지부(210)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락킹부(100)의 상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파지부(210)는, 리테이너 삽입구(120)부터 락킹부(100)의 상면까지 거리보다 길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파지부(210)의 일단이 락킹부(100)의 상면 위로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처럼, 파지부(210)가 락킹부(100)의 측면과 나란하게 형성되고, 락킹부(100)의 상면 위로 일단이 올라오도록 형성함으로써, 작업자가 파지부(210)를 파지하여 리테이너(200)를 이동시키는 것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보다 상세하게, 작업자는 파지부(210)의 일면에 접촉하여 리테이너(200)를 가압하는 것으로, 리테이너(200)를 해제위치에서 결합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해지홀(130)에 핀을 삽입하여 고정돌기(230)를 가압하여 제1 걸림홀(121)에서 이탈시킨 후, 락킹부(100)의 상면보다 위로 올라온 파지부(210)의 일단을 밀어냄으로써 리테이너(200)를 결합위치에서 해제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파지부(210)의 일단을 밀어내는 방향은 스터드볼트(300)의 축을 가로지르는 방향이다.
볼트 홀더(220)는, 파지부(210)의 타단에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서, 리테이너 삽입구(120)에 삽입되어 스터드볼트(300)와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 볼트 홀더(220)는 스터드볼트(300)의 외주면에 안착되어 감싸도록 함으로써 리테이너(200)가 스터드볼트(300)와 결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볼트 홀더(2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터드볼트(300)의 외주면과 유사한 곡률의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터드볼트(300)의 축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양측에서 스터드볼트(300)와 접하도록 두 개로 형성된다. 이때, 두 개의 볼트 홀더(220)는 스터드볼트(300)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볼트 홀더(220)는 스터드볼트(300)의 외주면에 접하는 일면에 맞물림돌기(221)가 형성된다. 맞물림돌기(221)는, 볼트 홀더(220)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는 돌기로서, 스터드볼트(30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310)의 골에 맞물리게 된다. 이처럼, 스터드볼트(300)의 나사산(310)의 골에 맞물리는 맞물림돌기(221)는 스터드볼트(300)의 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의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스터드볼트(300)의 외주면에 접하는 볼트 홀더(220)의 일면에 나사산(310)의 피치와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됨으로써, 리테이너(200)가 결합위치로 이동하면서 복수의 맞물림돌기(221)가 나사산(310)에 맞물려 결합되는 것이다.
이처럼, 스터드볼트(300)에 접하는 볼트 홀더(220)의 일면에 맞물림돌기(221)룰 형성함으로써, 결합위치에 있는 리테이너(200)가 스터드볼트(300)의 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고정돌기(230)는, 리테이너 삽입구(120)에 삽입된 리테이너(200)를 락킹부(100)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두 개의 볼트 홀더(220) 사이에 형성된다. 이때, 고정돌기(230)는 볼트 홀더(220)가 파지부(210)에서 연장된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볼트 홀더(220)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 리테이너(200)가 결합 위치에 있을 때, 볼트삽입홀(110)까지 연장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리테이너(200)가 리테이너 삽입구(120)에 삽입됐을 때, 제1 걸림홀(121) 및 제2 걸림홀(122)이 형성된 리테이너 삽입구(120)의 일면을 향해 돌기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돌기는 볼트 홀더(220)의 단부를 바라보는 경사면(231)과 파지부(210)를 바라보는 고정면(232)이 형성되며, 경사면(231)이 고정면(232)보다 완만한 경사로 형성된다.
이처럼, 상이한 경사로 형성된 경사면(231)과 고정면(232)은, 고정돌기(230)가 제1 걸림홀(121) 및 제2 걸림홀(122)에 용이하게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돌기(230)가 제1 걸림홀(121) 또는 제2 걸림홀(122)에 삽입될 때는, 볼트 홀더(220)의 단부를 바라보는 경사면(231)이 제1 걸림홀(121) 또는 제2 걸림홀(122)의 테두리에 먼저 접하게 되면서 고정돌기(230)가 용이하게 삽입된다. 또한, 리테이너(200)가 해제위치에서 결합위치로 이동될 때, 고정돌기(230)는 제2 걸림홀(122)에서 이탈되어 제1 걸림홀(121)에 삽입된다. 이때에도 경사면(231)이 제2 걸림홀(122)의 테두리에 먼저 접하게 됨으로써, 고정돌기(230)는 용이하게 제2 걸림홀(122)에서 이탈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걸림홀(121) 또는 제2 걸림홀(122)에 삽입된 고정돌기(230)는 고정면(232)이 제1 걸림홀(121) 또는 제2 걸림홀(122)의 내주면에 접하게 되면서, 리테이너(200)가 락킹부(10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하에서는,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락킹부(100)와 리테이너(200)가 결합되어 차량 판넬에 형성된 스터드볼트(300)와 결합되는 구조를 먼저 설명한 후, 본 발명의 프로텍터를 차량 판넬에 고정시키기 위한 작업 방법을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리테이너(200)는, 도 11 및 도 12와 같이, 락킹부(100)에는 결합되고 스터드볼트(300)에는 결합되지 않는 해제위치와, 도 13 내지 도 15와 같이, 락킹부(100)에 결합되어 스터드볼트(300)에 결합되는 결합위치 사이를 직선 이동한다.
먼저, 리테이너(200)를 락킹부(100)에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리테이너 삽입구(120)에 볼트 홀더(220)와 고정돌기(230)를 삽입시킨다. 그러면, 고정돌기(230)의 단부가 리테이너 삽입구(120)의 내주면에 접하게 되면서, 고정돌기(230)가 하측으로 휘어지게 된다. 그리고, 리테이너(200)가 삽입 방향으로 계속 이동하면, 고정돌기(230)가 제2 걸림홀(122)에 삽입되면서 하측으로 휘어져 있던 고정돌기(230)가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후에는, 제2 걸림홀(122)의 내주면에 고정면(232)이 접하게 됨으로써, 리테이너(200)가 락킹부(100)에서 해제되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처럼, 해제위치에 있는 리테이너(200)는, 고정돌기(230)가 제2 걸림홀(122)에 삽입되어 리테이너(200)가 락킹부(100)에 결합된 상태이다. 이때, 파지부(210)는 락킹부(100)의 측면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해제위치에 있는 리테이너(200)를 결합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파지부(210)가 락킹부(100)의 측면에 접하는 방향으로 파지부(210)에 힘을 가하면, 가장 먼저, 고정돌기(230)의 경사면(231)이 제2 걸림홀(122)의 테두리에 접하게 된다. 그리고, 고정돌기(230)는 경사면(231)을 따라 하측으로 휘어지게 되면서 제2 걸림홀(122)에서 이탈된다. 제2 걸림홀(122)에서 이탈된 고정돌기(230)는, 리테이너(200)가 락킹부(100)에 삽입될 때와 같이 고정돌기(230)의 단부가 리테이너 삽입구(120)의 내주면에 접하게 되면서 고정돌기(230)가 계속해서 하측으로 휘어져 있게 된다. 즉, 고정돌기(230)가 제2 걸림홀(122)에서 이탈됨으로써 리테이너(200)가 결합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후 결합위치로 이동하게 되는 리테이너(200)는, 볼트 홀더(220)의 단부가 스터드볼트(300)와 리테이너 홀더(140) 사이로 삽입된다. 즉, 볼트 홀더(220)가 스터드볼트(300)와 리테이너 홀더(140) 사이로 삽입되면서, 리테이너(200)의 지속적인 직선 이동에 따라, 볼트 홀더(220)가 스터드볼트(300)의 외주면을 감싸게 된다.
이와 동시에, 고정돌기(230)가 제1 걸림홀(121)에 삽입되면서 하측으로 휘어져 있던 고정돌기(230)가 원위치로 복귀된다. 제1 걸림홀(121)에 삽입된 고정돌기(23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면(232)이 제1 걸림홀(121)의 내주면에 접하게 되면서, 리테이너(200)가 해제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결합위치로 이동된 리테이너(200)는, 파지부(210)가 락킹부(100)의 측면에 접하게 됨으로써, 리테이너(200)가 락킹부(100)에 더 이상 삽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처럼, 제1 걸림홀(121)에 삽입된 고정돌기(230)는, 제1 걸림홀(121)과 연통된 해지홀(130)을 통해 삽입된 핀에 의해 제1 걸림홀(121)에서 이탈될 수 있다.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프로텍터는, 리테이너(200)가 락킹부(100)에 결합되고, 락킹부(100)의 내부에서 스터드볼트(300)와 결합된다. 그리고, 락킹부(100)에 형성된 리테이너 홀더(140)로 볼트 홀더(220)를 한번 더 가압함으로써, 리테이너(200)가 스터드볼트(300)와 안정적으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리테이너 홀더(140)와 스터드볼트(300) 사이의 거리가 볼트 홀더(220)의 두께보다 작도록 형성함으로써, 리테이너 홀더(140)가 볼트 홀더(220)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더욱 강한 힘으로 리테이너 홀더(140)가 스터드볼트(300)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프로텍터(10)가 차량 판넬에 고정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터드볼트(300)가 락킹부(100)의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프로텍터(10)가 차량 판넬에 고정된 후, 스터드볼트(300)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한다. 즉, 프로턱터(10)를 차량 판넬에 설치한 후에는 스터드볼트(3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프로텍터(10)의 결합부분이 가려지게 됨으로써 미관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스터드볼트(300)의 단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프로텍터(10) 주변으로 부품 설치 및 교체 등의 작업을 수행할 때,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프로텍터(10)는, 차량 판넬에 고정되기 전에, 먼저 리테이너(200)를 락킹부(100)에 삽입하여 해제위치에서 결합되도록하여 준비한다. 그리고, 스터드볼트(300)가 볼트삽입홀(110)에 삽입되도록 프로텍터(10)를 차량 판넬에 가결합 시킨다. 이후에, 작업자는 파지부(210)를 눌러 리테이너(200)가 락킹부(100)에 완전히 삽입되어 결합위치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리테이너(200)를 스터드볼트(300)에 결합시킨다. 이처럼, 프로텍터(10)에 형성된 모든 파지부(210)를 가압하여 리테이너(200)를 결합위치로 이동시키면, 프로텍터(10)가 차량 판넬에 고정된다.
이후, 수리, 교체 등을 위해 차량 판넬에 고정된 프로텍터(10)를 차량 판넬에서 이탈시키기 위해서 작업자는, 충분한 길이의 핀을 해지홀(130)에 삽입하여 고정돌기(230)를 제1 걸림홀(121)에서 이탈시킨 후, 파지부(210)를 락킹부(100) 측면에서 이격되도록 당겨 리테이너(200)를 해제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프로텍터(10)에 형성된 모든 리테이너(200)를 해제위치로 이동시키면, 프로텍터(10)를 차량 판넬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프로텍터(10)는, 간단하고, 용이한 방법으로 프로텍터(10)를 차량 판넬에 고정시키고 분리시킬 수 있다. 즉, 한 번의 동작으로 프로텍터(10)를 차량 판넬에 설치 및 제거하는 작업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피로도가 감소되고, 작업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프로텍터(10)를 차량 판넬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여 스터드볼트(300) 주면에 공구를 적용하기 위한 여유 공간이 불필요해 공간 활용성이 향상되며, 설계 자유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자가 너트 등을 파지하여 스터드볼트(300)에 결합시키고 공구를 사용하는 등의 동작이 불필요해짐에 따라 작업이 용이해지고, 미결합 등에 의한 결합 불량을 방지할 수 있어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구, 너트 등의 부재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금속 소재의 너트를 사용하지 않아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프로텍터 100 : 락킹부
110 : 볼트삽입홀 120 : 리테이너 삽입구
121 : 제1 걸림홈 122 : 제2 걸림홈
130 : 해지홀 140 : 리테이너 홀더
141 : 가압돌기 200 : 리테이너
210 : 파지부 220 : 볼트 홀더
221 : 맞물림돌기 230 : 고정돌기
231 : 경사면 232 : 고정면
300 : 스터드볼트 310 : 나사산

Claims (13)

  1. 일측에 돌출 형성되며, 차량 판넬에 형성된 스터드볼트(300)가 삽입되는 볼트삽입홀(110)이 형성되는 락킹부(100); 및
    상기 락킹부(100)의 리테이너 삽입구(120)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리테이너(200);
    를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너(200)는,
    상기 락킹부(100)에 결합되어 상기 락킹부(100)에 삽입된 상기 스터드볼트(300)의 외주면을 감싸는 결합위치와,
    상기 락킹부(100)에 결합되되, 상기 락킹부(100)에 삽입된 상기 스터드볼트(300)와 접하지 않는 해제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텍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200)는,
    상기 락킹부(100)에 삽입된 스터드볼트(300)의 축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도록 상기 락킹부(10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텍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200)는,
    파지 가능하도록 일측에 형성되는 파지부(210); 및
    상기 결합위치에서 상기 스터드볼트(300)의 외주면의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파지부(210)에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볼트 홀더(220);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볼트 홀더(220)는, 상기 스터드볼트(300)를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텍터.
  4. 청구항 3에 잇어서,
    상기 볼트 홀더(220)는,
    상기 스터드볼트(30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310)에 맞물리도록 상기 볼트 홀더(220)의 일면에 형성되는 맞물림돌기(22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텍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돌기(221)는,
    상기 스터드볼트(300)의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의 개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텍터.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200)는,
    상기 리테이너(200)가 상기 결합위치에 있을 때, 상기 리테이너 삽입구(120)의 일면에 형성된 제1 걸림홀(121)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고정돌기(23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텍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230)는,
    상기 복수의 볼트 홀더(220)의 단부를 바라보도록 형성되는 경사면(231); 및
    상기 파지부(210)를 바라보도록 형성되는 고정면(232);
    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면(231)은, 상기 고정면(232)보다 완만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텍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200)는,
    상기 해제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걸림홀(121)과 이격되어 상기 리테이너 삽입구(120)의 일면에 형성된 제2 걸림홀(122)에 상기 고정돌기(230)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텍터.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100)는,
    상기 제1 걸림홀(121)과 연통되도록, 상기 스터드볼트(300)의 축방향으로 해지홀(1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텍터.
  10. 청구항 3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100)는,
    상기 결합위치에 있는 상기 볼트 홀더(220)와 접하도록 상기 락킹부(100) 내부에 형성되는 리테이너 홀더(14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텍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 홀더(140)는,
    상기 스터드볼트(300)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가압돌기(141);
    를 포함하고,
    상기 스터드볼트(300)를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되도록 복수의 개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텍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가압돌기(141)는,
    상기 볼트 홀더(220)와 접하는 일측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텍터.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볼트(300)의 외주면과 상기 가압돌기(141) 사이의 폭이, 상기 볼트 홀더(220)의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텍터.
KR1020190165440A 2019-12-12 2019-12-12 프로텍터 KR102333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440A KR102333466B1 (ko) 2019-12-12 2019-12-12 프로텍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440A KR102333466B1 (ko) 2019-12-12 2019-12-12 프로텍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4606A true KR20210074606A (ko) 2021-06-22
KR102333466B1 KR102333466B1 (ko) 2021-12-02

Family

ID=76600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5440A KR102333466B1 (ko) 2019-12-12 2019-12-12 프로텍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346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0721A (ja) * 1994-05-18 1995-11-28 Sumitomo Wiring Syst Ltd スタッドボルト用クリップおよび該クリップを備えたワイヤ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
JPH08191523A (ja) * 1995-01-09 1996-07-23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ハーネス用成形プロテクタ
JPH09303360A (ja) * 1995-07-24 1997-11-25 Hideaki Oki クリップナット
JP2009180296A (ja) * 2008-01-31 2009-08-13 Mk Seiko Co Ltd 基材におけるボルト保持構造
JP2016046898A (ja) * 2014-08-22 2016-04-04 未来工業株式会社 ボルト軸への取着体、及び配線・配管材支持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0721A (ja) * 1994-05-18 1995-11-28 Sumitomo Wiring Syst Ltd スタッドボルト用クリップおよび該クリップを備えたワイヤ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
JPH08191523A (ja) * 1995-01-09 1996-07-23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ハーネス用成形プロテクタ
JPH09303360A (ja) * 1995-07-24 1997-11-25 Hideaki Oki クリップナット
JP2009180296A (ja) * 2008-01-31 2009-08-13 Mk Seiko Co Ltd 基材におけるボルト保持構造
JP2016046898A (ja) * 2014-08-22 2016-04-04 未来工業株式会社 ボルト軸への取着体、及び配線・配管材支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3466B1 (ko) 2021-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2253882A (ja) コッターピン着脱工具
JP5707951B2 (ja) ネジ供給装置
KR102333466B1 (ko) 프로텍터
JP5797592B2 (ja) 間接活線用先端工具
KR100952436B1 (ko) 커넥터
JP4198129B2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挿抜工具
JP5331979B2 (ja) 取り外し工具及びこれを用いたアダプタの取り外し方法
US10249982B2 (en) Power supply device
JP6027460B2 (ja) 高電圧部品のカバー取付構造
KR20200081998A (ko) 재활용이 가능한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KR20160113245A (ko) 통합형 클램프를 갖는 에지 보호 부싱
KR101857584B1 (ko) 범퍼 조립용 플라스틱 클립
JP2016119163A (ja) 充電用インレット
KR100767528B1 (ko) 볼트 홀더의 체결 구조
JP2017182981A (ja) コネクタ用治具
JP2017171153A (ja) クランプ
JP3183131B2 (ja) 端子金具矯正板用取外具
WO2023145000A1 (ja) 治具およびコネクタ装着方法
CN215659996U (zh) 一种螺钉卡圈组装装置
KR102063406B1 (ko) 터미널 단자볼트 안정 체결장치
JP2009259432A (ja) コネクタ抜け防止具
JP5797696B2 (ja) 間接活線工具用アダプタ
EP3579355B1 (en) A combination of an l-shaped connector and a cover for l-shaped connector
KR101061060B1 (ko) 커넥터 이탈방지용 성형지그
JP2006039444A (ja) 光コネクタ用アダプタに対する挿抜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