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1989A - 식물 추출물 함유 과립의 제조 방법, 식물 추출물 함유 과립으로부터의 미분의 발생을 억제하는 방법, 및 식물 추출물 함유 과립의 불쾌한 맛을 억제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식물 추출물 함유 과립의 제조 방법, 식물 추출물 함유 과립으로부터의 미분의 발생을 억제하는 방법, 및 식물 추출물 함유 과립의 불쾌한 맛을 억제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1989A
KR20210071989A KR1020217010493A KR20217010493A KR20210071989A KR 20210071989 A KR20210071989 A KR 20210071989A KR 1020217010493 A KR1020217010493 A KR 1020217010493A KR 20217010493 A KR20217010493 A KR 20217010493A KR 20210071989 A KR20210071989 A KR 20210071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plant extract
material mixture
shellac
granu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0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유키 다카야마
슈야 다구치
마유미 이토
다카히로 기시
요시타케 히라야마
Original Assignee
하우스 웰니스 푸드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우스 웰니스 푸드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하우스 웰니스 푸드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10071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198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1Instant products; Powders; Flakes;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84Flavour masking or reduc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3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e.g. xylitol;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e.g. 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23P10/25Agglomeration or granulation by extrusion or by pressing, e.g. through small holes, through sieves or between surfa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 추출물 함유 과립의 압출 조립에 의한 제조에 있어서, 원료 혼합물의 점도 상승을 억제하고, 또한 제조 수율을 악화시키는 미분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 및/또는, 식물 추출물에 특유한 불쾌한 맛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원료 혼합물을 압출 조립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원료 혼합물의 수분량이 1∼10%(w/w)이며, 상기 원료 혼합물이 셸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추출물 함유 과립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물 추출물 함유 과립의 제조 방법, 식물 추출물 함유 과립으로부터의 미분의 발생을 억제하는 방법, 및 식물 추출물 함유 과립의 불쾌한 맛을 억제하는 방법
본 발명은, 식물 추출물 함유 과립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식물 추출물 함유 과립으로부터의 미분(微粉)의 발생을 억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식물 추출물 함유 과립의 불쾌한 맛을 억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음료, 사료, 의약품, 의약부외품 등의 형태로 경구 섭취되는 성분에는, 쓴맛, 매운맛, 신맛, 떫은맛 등의 불쾌한 맛을 보이는 성분이 포함되는 경우가 있다. 식물 추출물도 그와 같은 성분의 예이지만, 식물 추출물은, 대부분의 경우 쓰기 때문에, 정제화(錠劑化)하거가, 과립화한 제품을 물에 녹여 복용하는 사양이 많다. 또한, 식물 추출물은 일반적으로 당질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점성이 있고, 분말화해도 부피가 작은 중질의 분체가 된다. 그러므로 식물 추출물을 사용하면 조립(造粒) 부하가 커서 과립화하기 어렵다는 특유의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종래 과립화가 어려웠던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과립의 제조에 있어서, 기재(基材)에 당알코올과 전분을 사용하는 것, 연합(練合) 공정에서 사용하는 물의 양을 될 수 있는 한 감소시켜 연합 후의 분말 혼합물의 수분량을 소정 범위로 되도록 원료를 배합함으로써, 분말 혼합물의 연합 시에 점도가 올라가지 않아 압출(押出)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 다공질이며 입에서 녹는 성질이 우수하고, 쓴맛이 없고, 부피가 큰 과립을 얻을 수 있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특허문헌 2에서는, 바람직한 질감, 물성을 가지는 과립화된 식품, 효소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덱스트린을 3 중량% 이상 99.5 중량% 이하 함유하는 분말 식품 또는 분말 효소에 에탄올/물의 혼합 용량비가 5/5∼9.5/0.5인 에탄올 용액 및 셸락(shellac)을 첨가하여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또는 효소의 조립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서는, 유화 제제, 분말 향료, 산미료, 감미료 등의 피분산 물질 및 분상(粉狀) 셸락에 셸락 알코올 용액을 첨가 혼합하고, 건조 후, 분쇄하는 것에 의해, 열안정성이 높은, 우수한 서방성(徐放性) 건조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18-61483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평11-266847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제2009-55851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발명은,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혼련물이 고점도이므로 압출 조립에 적합하지 않다는 과제를 해결한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얻어진 과립은, 다공질이며 입에서 녹는 성질이 우수한 반면, 무르고 깨지기 쉬우므로, 제조 시에 미분이 발생하기 쉬워 손실이 많다는 새로운 과제를 찾아냈다. 또한, 식물 추출물 함유 과립에 있어서, 식물 추출물에 특유한 쓴맛, 뒷맛 등의 불쾌한 맛을 억제하는 방법으로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방법은 반드시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본 발명은, 식물 추출물 함유 과립의 압출 조립에 의한 제조에 있어서, 원료 혼합물의 점도 상승을 억제하고, 또한 제조 수율을 악화시키는 미분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 및/또는, 식물 추출물에 특유한 불쾌한 맛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특허문헌 2 및 3에서는 식물 추출물 함유 과립에 특유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수단은 기재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식물 추출물 함유 과립의 압출 조립에 의한 제조에 있어서, 수분량이 1∼10%(w/w)이며 또한 식물 추출물에 더하여 셸락을 포함하는 원료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원료 혼합물의 압출 시의 점도 상승이 억제되고, 미분의 발생이 억제되고, 또한, 식물 추출물에 특유한 불쾌한 맛이 억제되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발명을 포함한다.
(1)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원료 혼합물을 압출 조립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원료 혼합물의 수분량이 1∼10%(w/w)이며, 상기 원료 혼합물이 셸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추출물 함유 과립의 제조 방법.
(2) 상기 원료 혼합물이, 10%(w/w)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1)에 기재된 방법.
(3) 상기 식물 추출물이, 가을 울금, 봄 울금 및 아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식물의 추출물인, (1) 또는 (2)에 기재된 방법.
(4) 상기 원료 혼합물이, 0.1∼2%(w/w)의 상기 셸락을 포함하는,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
(5) 상기 원료 혼합물이, 3∼8%(w/w)의 에탄올을 포함하는,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
(6) 상기 원료 혼합물이, 1∼5%(w/w)의 환원 물엿을 포함하는,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
(7) 상기 원료 혼합물이 덱스트린을 포함하지 않는,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
(8) 식물 추출물 함유 과립으로부터의 미분의 발생을 억제하는 방법으로서,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원료 혼합물을 압출 조립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상기 식물 추출물 함유 과립의 제조에 있어서, 상기 원료 혼합물로서, 수분량이 1∼10%(w/w)이며 또한 셸락을 포함하는 원료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9) 식물 추출물 함유 과립의 불쾌한 맛을 억제하는 방법으로서,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원료 혼합물을 압출 조립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상기 식물 추출물 함유 과립의 제조에 있어서, 상기 원료 혼합물로서, 수분량이 1∼10%(w/w)이며 또한 셸락을 포함하는 원료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본 명세서는 본원의 우선권의 기초가 되는 일본특허 출원번호 제2018-189597호의 개시 내용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식물 추출물 함유 과립의 압출 조립에 의한 제조에 있어서, 원료 혼합물의 점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조립이 용이하고, 또한, 미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제조 시의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방법으로 제조된 식물 추출물 함유 과립은, 식물 추출물에 특유한 불쾌한 맛이 억제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식물 추출물 함유 과립의 제조 방법으로서,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원료 혼합물을 압출 조립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원료 혼합물의 수분량이 1∼10%(w/w)이며, 상기 원료 혼합물이 셸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조성의 원료 혼합물은, 압출 조립 시에 점도가 상승하지 않으므로 조립 부하가 작아 조립에 적합하다. 또한, 결착성(結着性)을 가지는 셸락이 포함되어 있는 것에 의해, 조립에 의해 형성된 과립이 붕괴되기 어려우므로, 조립 시에 미분의 발생이 억제되고, 제조 수율이 향상된다. 또한, 이 방법으로 제조된 식물 추출물 함유 과립은, 식물 추출물에 특유한 불쾌한 쓴맛, 뒷맛 등의 불쾌한 맛이 억제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식물 추출물 함유 과립으로부터의 미분의 발생을 억제하는 방법으로서,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원료 혼합물을 압출 조립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상기 식물 추출물 함유 과립의 제조에 있어서, 상기 원료 혼합물로서 상기한 조성의 원료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는, 식물 추출물 함유 과립의 불쾌한 맛을 억제하는 방법으로서,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원료 혼합물을 압출 조립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상기 식물 추출물 함유 과립의 제조에 있어서, 상기 원료 혼합물로서 상기한 조성의 원료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원료 혼합물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분말 원료와 액체 원료를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식물 추출물)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하는 「식물 추출물」로서는, 아출(보라 울금), 가을 울금, 봄 울금(강황), 월년초, 겐티아나, 그레이프프루트, 차, 양파, 메밀, 감, 대두, 커피, 딸기, 참깨, 파슬리, 고삼, 황벽나무, 소태나무, 등자나무, 홉, 카카오 등의 식물의 추출물을 들 수 있다. 이들 식물 추출물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한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특히, 가을 울금, 봄 울금 및 아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식물의 추출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얻어지는 식물 추출물 함유 과립은, 이들 식물 추출물의 쓴맛, 뒷맛 등의 불쾌한 맛이 저감되어 있으므로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식물 추출물」이란, 상기의 식물의 식물체의 일부(예를 들면, 식품, 의약품 등의 용도로 통상 섭취되는 부위) 또는 전부의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물을 말한다. 추출 용매로서는, 물, 열수, 친수성 유기 용매, 물과 친수성 유기 용매의 혼합 용매를 들 수 있고, 알코올, 물, 알코올과 물의 혼합 용매가 바람직하고, 알코올로서는 에탄올이 바람직하다. 물과 친수성 유기 용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는 경우, 물과 친수성 유기 용매의 혼합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중량비로 10:90∼90:1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20:80∼50:50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 식물 추출물을, 분말의 형태로 분말 원료의 일부로서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물 추출물의 분말은, 상기의 추출에 의해 얻어진 용매상을 건조하여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건조는, 상기 용매상을 농축 건고, 분무 건조, 동결 건조 등의 처리에 제공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셸락)
셸락은 셀락이라고도 불리며, 천연계의 식품 첨가물로서 사용되는 수지이다. 셸락에는 수불용성인 것과 수용성인 것이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어느 종류의 셸락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셸락은, 과립 중의 분말 성분을 결착하여 미분말의 발생을 억제하는 작용과, 식물 추출물에 유래하는 불쾌한 맛을 억제하는 작용을 가진다. 셸락은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등의 알코올에 용해한 셸락 알코올 용액 제제의 형태라도 되고, 암모니아 등의 알칼리 수용액에 용해한 셸락 알칼리 수용액 제제의 형태라도 되고, 분말형의 형태라도 된다. 셸락 알코올 용액 제제나 셸락 알칼리 수용액 제제의 형태의 셸락은, 액체 원료의 일부로서 사용할 수 있다. 분말형의 셸락은, 분말 원료의 일부로서 사용할 수 있다. 셸락 알코올 용액 제제 중의 셸락의 농도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지만, 예를 들면, 5∼70%(w/w)의 범위를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셸락 알코올 용액 제제, 특히 셸락 에탄올 용액 제제의 형태의 셸락을 사용한다.
(다른 성분)
원료 혼합물은, 상기의 식물 추출물, 셸락 이외에 기타의 성분을 함유해도 된다. 기타의 성분으로서는, 식음료나 의약품 등의 최종적인 형태에 있어서 허용되는 성분으로서, 경구 섭취 가능한 성분이라면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당알코올, 전분, 감미료, 산미료, 비타민류, 미네랄류, 산화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향료, 색소, 보존료 등을 사용해도 된다.
원료 혼합물은 당알코올 및 전분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당알코올은 과립에 양호한 입에서 녹는 성질을 부여하는 작용을 가진다. 전분은 과립 형성을 위해 중요하다.
당알코올로서는, 분말 환원 맥아당(말티톨), 환원 물엿, 환원 유당(락티톨), 소르비톨, 자일리톨, 에리트리톨, 만니톨, 이소말티톨, 트레할로오스, 팔라티노오스, 환원 전분 당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당알코올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한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이들 당알코올 중에서도, 물에 용해하기 쉬운 것, 식물 추출물보다 흡수성이 높고, 혼련 시에 흡수해도 끈기가 나오지 않는다는 점에 있어서, 분말 환원 맥아당이 바람직하다. 또한, 원료 혼합물에 가소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원료 혼합물에 환원 물엿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원 물엿으로서는, 환원 맥아당 물엿이 특히 바람직하다. 환원 물엿은 액체 원료에 포함되는 결합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당알코올은 분말 환원 맥아당 및 환원 물엿을 포함한다.
전분으로서는, 옥수수 전분, 밀 전분, 쌀 전분, 감자 전분, 고구마 전분, 타피오카 전분, 및 이들의 에스테르·에테르화 가교물, 산화물, 부분 분해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전분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한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이들 전분 중에서도, 입자가 미세하고 입자 직경이 고르기 때문에 유동성이 양호하고, 압출 조립 시의 미끄러움이 양호하게 되는 것, 호화(糊化) 온도가 높고, 액체 원료와 혼련하고 조립해도 점도가 높아지기 어려운 것, 만일 점도가 높아져도 예사성(曳絲性)이 적은 소성 유동 점성이라는 점에 있어서, 옥수수 전분이 바람직하다.
감미료로서는, 단당(포도당, 과당, 자일로오스, 갈락토오스) 등, 이당(자당, 맥아당, 유당 등), 올리고당(프룩토올리고당, 말토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갈락토올리고당, 커플링 슈거(coupling sugar) 등), 이성화당(포도당과당 액당, 과당포도당 액당, 사탕 혼합 이성화당 등), 고감미도 감미료(수크랄로스, 아세설팜칼륨, 소마틴, 스테비아, 아스파르테임 등) 등을 들 수 있다.
산미료로서는, 시트르산, 말산, 주석산, 아세트산, 피트산, 락트산, 푸말산, 숙신산, 글루콘산 등의 유기산, 인산 등의 무기산, 또는 이들의 나트륨염, 칼륨염,혹은 칼슘염 등을 들 수 있다.
비타민류로서는, 비타민 A,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비타민 C, 비타민 D, 비타민 E, 비타민 K, 니아신, 이노시톨 등을 들 수 있다.
미네랄류로서는, 칼슘, 마그네슘, 아연, 철, 칼륨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비타민 C, 토코페롤(비타민 E), 효소처리 루틴, 카테킨 등을 들 수 있다.
(과립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있어서, 식물 추출물 함유 과립의 제조는, 원료 혼합물로서 소정의 조성의 것을 사용하는 것 이외는, 통상의 압출 조립에 의한 과립의 제조 공정, 즉 분말 원료의 혼합, 상기 분말 원료의 혼합물과, 결합제를 포함하는 액체 원료(연합액)의 혼합(연합), 압출 조립, 건조, 정립(整粒), 체질(sieving)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원료 혼합물의 조성은, 분말 원료와 액체 원료를 혼합하여 형성되는 원료 조성물 전체에 대한 조성을 가리킨다.
원료 혼합물의 수분량은 1∼10%(w/w)의 범위 내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1.2∼5%(w/w)이다.
원료 혼합물 중의 셸락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0.1∼2%(w/w)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3∼1.5%(w/w)이다. 셸락의 함유량은, 셸락 수지로서의 함유량을 가리킨다. 셸락은 용매 중에 용해한 용액의 형태라도 되고, 분말형이라도 되지만, 용액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저수분이며 또한 셸락을 포함하는 원료 혼합물은, 압출 조립 시에 점도가 상승하기 어려워 조립에 적합하다. 또한, 저수분이며 또한 셸락을 포함하는 원료 혼합물을 조립하여 얻은 과립 내에서는, 분말 성분이 셸락에 의해 결착하고 있으므로, 붕괴되기 어렵고 제조 시 및 유통 시의 미분의 발생이 억제된다.
원료 혼합물 중의 식물 추출물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10%(w/w) 이상이다. 원료 혼합물 중의 식물 추출물의 함유량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50%(w/w)이하, 바람직하게는 35%(w/w) 이하이다. 여기에서, 원료 혼합물 중의 식물 추출물의 함유량은, 원료 혼합물의 전체 중량에 대한, 식물 추출물의 건조 중량의 비율이다.
압출 조립에 적합한 가소성을 원료 혼합물이 가지기 위해서는, 원료 혼합물은 에탄올을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에탄올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3∼8%(w/w)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6%(w/w)이다.
압출 조립에 적합한 가소성을 원료 혼합물이 가지기 위해서, 원료 혼합물은 당알코올 및/또는 전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료 혼합물은 당알코올로서 환원 물엿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환원 물엿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5% (w/w)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3%(w/w)이다.
원료 혼합물이 당알코올(그 일부는 환원 물엿이라도 됨)을 포함하는 실시형태에서는, 원료 혼합물 중의 당알코올의 합계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0∼60%(w/w)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45%(w/w)이다. 환원 물엿 이외의 당알코올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분말의 당알코올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분말 환원 맥아당이다.
원료 혼합물이 전분을 포함하는 실시형태에서는, 원료 혼합물 중의 전분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5∼50%(w/w)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25%(w/w)이다.
원료 혼합물이 당알코올과 전분을 사용하는 실시형태에 있어서, 그 혼합비는, 양호한 조립물을 얻는 데에다 당알코올에 대하여 전분이 같은 양 또는 그 이하이면 한정은 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중량비로 당알코올:전분이 1:1∼5:1이 바람직하고, 1:1∼3:1이 보다 바람직하다.
원료 혼합물은 덱스트린을 포함하지 않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분말 원료의 혼합)
분말 원료로서는, 식물 추출물, 당알코올, 전분, 다른 성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분말 원료를 혼합하는 방법으로서는, 분말 원료의 각 성분을 균일하게 혼합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어떠한 방법이라도 된다. 혼합 기계로서는, 예를 들면 V형 혼합기, 리본형 혼합기, 컨테이너 믹서, 고속 교반 혼합기 등을 들 수 있다. 혼합 온도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10℃∼35℃가 바람직하고, 15℃∼25℃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혼합 시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5∼5분간이 바람직하고, 1∼2분간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물 추출물은,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과립 전량에 대하여, 10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합)
다음으로, 상기의 분말 원료를 혼합한 분말 혼합물에, 연합액으로서 액체 원료를 첨가하여 연합하여, 원료 혼합물을 형성한다.
액체 원료로서는, 셸락 알코올 용액 제제, 셸락 암모니아 수용액 제제, 환원 물엿, 물, 에탄올, 물과 에탄올의 혼합액(에탄올 수용액 제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에탄올 수용액 제제를 사용하는 경우, 그 혼합비는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에탄올 수용액 제제는, 시판되고 있는 에탄올 수용액 제제 외에, 주정(식용의 발효 에탄올)을 사용해도 된다. 주정으로서는, 식용으로서 제공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전분질이나 당류를 함유하는 천연 원료로부터 효모의 주정 발효 작용에 의해 생성한 것, 또는 이들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 있고, 청주, 소주, 와인, 위스키, 브랜디 등의 주류, 미림 등의 발효 조미료 등과 같이, 에탄올을 함유하는 수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분말 혼합물에 대한 액체 원료의 첨가량은, 연합 후의 원료 혼합물의 수분량이 상기 범위로 되는양이면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는다. 또한, 액체 원료로는, 필요에 따라 결합제를 첨가해도 되고, 예를 들면 단당류, 이당류, 다당류, 셀룰로오스류, 당알코올류,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고, 제제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는다. 또한, 첨가량도 조립이 가능한 양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그리고, 분말형의 결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의 분말 원료 중에 첨가해도 된다. 결합제로서 사용하는 환원 물엿은 액체 원료의 일부로서 사용할 수 있다.
(압출 조립)
다음으로, 상기 연합 후의 원료 혼합물을 압출 조립한다. 압출 조립이란, 분말 원료의 액체 원료를 배합하고 연합함으로써 가소성을 부여한 원료 혼합물을 다수의 구멍이 뚫린 스크린 또는 소정의 구멍 직경을 가지는 다이스로부터 스크루, 롤러 등에 의해 압출하여 조립하는 것을 말한다. 압출 조립은, 저수분 조건 하에서, 조립물을 원활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점에서 본 발명의 방법에는 바람직하다. 조립 기계로서는, 전압출식(forward extrusion) 조립기, 디스크 펠러터식 조립기, 링 다이식 조립기, 바스켓식 조립기, 진동식(oscillating-type) 조립기, 실린더식 조립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압출 조립의 조건은, 순간 용해성(instant solubility)이 양호한 과립의 부피비중을 얻기 위하여, 구멍 직경 0.8∼1.5㎜ 정도의 압출공을 가지는 스크린 또는 다이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 정립)
상기 조립물의 건조는 통상의 건조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건조에 이용하는 건조기로서는, 예를 들면 통풍 건조기, 감압 건조기, 진공 건조기, 유동층 건조기 등을 들 수 있다. 원하는 바에 따라, 건조 후에 체, 건식 정립기 등으로 체질, 정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식물 추출물 함유 과립은, 식품으로서 제공되어도 되고, 경구투여용의 의약품으로서 제공되어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식품이다. 또한, 해당 과립은, 식품이나 의약품용의 용기나 백으로서 사용되는 용기나 백(예를 들면, 종이, 플라스틱, 유리, 금속제의 용기나 백 등)에 수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1회의 경구 섭취량(예를 들면, 1.5g∼2g 정도)마다 포장된 형태(스틱 포장, 분포 포장 등)가 바람직하다. 포재(包材)로서는, 통상, 식품이나 의약품에 사용되고 있는 것이면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알루미늄박, 합성 수지(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 라미네이트지 등을 조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식물 추출물 함유 과립은 바람직하게는 구강내 순간 용해성 과립이다. 구강내 순간 용해성 과립은 물없이 복용해도, 타액의 존재 하에서 즉시 용해되므로, 장소나 시간을 가리지 않고 간편하게 복용할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사용한 원료를 이하에 나타낸다. 이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한 「%(w/w)」를 가리킨다.
에탄올 수용액 제제: 「고헤르신(Kohersin)」(미쓰비시 가가쿠 푸즈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에탄올 68%)
환원 맥아당 물엿: 「아말티 시럽」(미쓰비시 쇼지 푸드텍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셸락 에탄올 용액 제제: 「드러그 HAS-312」(가부시키가이샤 기후 셸락 세지조쇼 제조, 셸락 수지 25%, 에탄올 75%를 포함하는 용액 제제)
분말 환원 맥아당: 「레시스 미분」(미쓰비시 쇼지 푸드텍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말티톨 99.5% 함유)
옥수수 전분: 「옥수수 전분」(산와 덴뿐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1. 시험품의 조제>
표 1에 나타내는 배합(%(w/w)으로, 액체 원료의 에탄올 수용액 제제, 환원 맥아당 물엿(결합제), 셸락 에탄올 용액 제제, 향료 등을 혼합하여 용해하고, 혼합 용액을 조제하였다. 한편, 표 1에 나타내는 배합(%(w/w))으로 울금 엑기스(가을 울금 엑기스 및 봄 울금 엑기스), 아출 엑기스, 옥수수 전분, 분말 환원 맥아당, 감미료, 산미료 등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분말 혼합물을 조제하였다. 상기 혼합 용액을 연합액으로서 사용하여 상기 분말 혼합물에 스프레이 첨가하고, 연합하였다. 연합 후의 원료 혼합물을, 압출 조립기(가부시키가이샤 달튼사 제조, 멀티그랜 MG-55-1)을 이용하여 구멍 직경 1.3㎜의 스크린에 압출하여 조립하고, 흡기 온도 60℃에서 10분 건조 후 방랭하고, 비교예 및 실시예 1∼3의 시험품의 과립을 조제하였다.
[표 1]
Figure pct00001
<2. 미분량의 계측>
각 시험품의 과립을 체눈의 크기 212㎛의 JIS 시험용 체에 의해 분급(分級)하고, 체를 통과하는 과립(입도 212㎛ 미만)의 중량과, 체 위에 잔류하는 과립(입도 212㎛ 이상)의 중량을 계측하고, 각각의 비율(%(w/w)을 구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액체 원료에 셸락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에서는 212㎛ 미만의 미분이 약 40%였던 것에 대하여, 액체 원료에 셸락을 포함하는 실시예 1∼3에서는 212㎛ 미만의 미분이 약 22% 이하이고, 셸락의 배합량이 높을수록, 미분의 생성이 억제되었다.
[표 2]
Figure pct00002
<3. 쓴맛, 뒷맛의 평가>
5명의 패널리스트(피험자 1∼5)가, 각 시험품의 과립을 1.8g 섭취하고, 쓴맛과 뒷맛을 5단계 평가하였다. 쓴맛, 뒷맛이 「약함」을 「1」, 「다소 약함」을 「2」, 「보통」을 「3」, 「다소 강함」을 「4」, 「강함」을 「5」로 하였다. 쓴맛 및 뒷맛에 대하여, 각각 , 5명의 패널리스트에 의한 평가점의 평균점을 구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낸다. 셸락을 많이 첨가할수록 과립의 쓴맛 및 뒷맛이 억제되는 것이 나타내어졌다.
[표 3]
Figure pct00003
<4. 조립 적성의 평가>
혼련 후의 원료 혼합물이 200g이 되는 스케일로 상기의 압출 조립을 행했을 때의, 각 시험품의 조립 적성을, 조립기에서의 최소 조립 부하와 최대 조립 부하(전류값(A))에 의해 평가하였다. 최소 조립 부하는, 조립 개시 시의 조립 부하에 상당한다. 최대 조립 부하는, 원료 혼합물이 혼련되어 가장 점성이 높아졌을 때의 조립 부하에 상당한다.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낸다. 셸락을 첨가하지 않는 비교예에서는, 원료 혼합물이 혼련되어 점성이 높아지므로, 최대 조립 부하와 최소 조립 부하의 차가 크다(0.3A). 셸락을 많이 첨가할수록, 원료 혼합물이 혼련되었을 때의 점성의 상승이 억제되고, 최대 조립 부하와 최소 조립 부하의 차가 작아지게 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즉, 셸락의 첨가에 의해 조립 적성이 향상되는 것이 나타내어졌다.
[표 4]
Figure pct00004
본 명세서에서 인용한 모든 간행물, 특허 및 특허출원은 그대로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Claims (9)

  1.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원료 혼합물을 압출(押出) 조립(造粒)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원료 혼합물의 수분량이 1∼10%(w/w)이며, 상기 원료 혼합물이 셸락(shellac)을 포함하는, 식물 추출물 함유 과립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 혼합물이, 10%(w/w)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방법.
  3. 상기 식물 추출물이, 가을 울금, 봄 울금 및 아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식물의 추출물인,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 혼합물이, 0.1∼2%(w/w)의 상기 셸락을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 혼합물이, 3∼8%(w/w)의 에탄올을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 혼합물이, 1∼5%(w/w)의 환원 물엿을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 혼합물이 덱스트린을 포함하지 않는, 방법.
  8. 식물 추출물 함유 과립으로부터의 미분(微粉)의 발생을 억제하는 방법으로서,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원료 혼합물을 압출 조립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상기 식물 추출물 함유 과립의 제조에 있어서, 상기 원료 혼합물로서, 수분량이 1∼10%(w/w)이며 또한 셸락을 포함하는 원료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9. 식물 추출물 함유 과립의 불쾌한 맛을 억제하는 방법으로서,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원료 혼합물을 압출 조립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상기 식물 추출물 함유 과립의 제조에 있어서, 상기 원료 혼합물로서, 수분량이 1∼10%(w/w)이며 또한 셸락을 포함하는 원료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KR1020217010493A 2018-10-05 2019-10-03 식물 추출물 함유 과립의 제조 방법, 식물 추출물 함유 과립으로부터의 미분의 발생을 억제하는 방법, 및 식물 추출물 함유 과립의 불쾌한 맛을 억제하는 방법 KR202100719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89597 2018-10-05
JP2018189597 2018-10-05
PCT/JP2019/039081 WO2020071475A1 (ja) 2018-10-05 2019-10-03 植物抽出物含有顆粒の製造方法、植物抽出物含有顆粒からの微粉の発生を抑制する方法、及び、植物抽出物含有顆粒の不快な味を抑制する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1989A true KR20210071989A (ko) 2021-06-16

Family

ID=70055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0493A KR20210071989A (ko) 2018-10-05 2019-10-03 식물 추출물 함유 과립의 제조 방법, 식물 추출물 함유 과립으로부터의 미분의 발생을 억제하는 방법, 및 식물 추출물 함유 과립의 불쾌한 맛을 억제하는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419632B2 (ko)
KR (1) KR20210071989A (ko)
CN (1) CN112839527A (ko)
TW (1) TW202027616A (ko)
WO (1) WO20200714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14526B1 (en) 2018-08-24 2023-03-28 Innovusion, Inc. Virtual windows for LIDAR safety systems and methods
JP7366306B1 (ja) 2023-05-23 2023-10-20 秋山錠剤株式会社 ウコン含有錠剤の製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6847A (ja) 1998-03-23 1999-10-05 Ajinomoto Co Inc 食品または酵素の造粒方法
JP2009055851A (ja) 2007-08-31 2009-03-19 T Hasegawa Co Ltd 徐放性乾燥物
JP2018061483A (ja) 2016-10-14 2018-04-19 ハウスウェルネスフーズ株式会社 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口腔内即溶性顆粒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12001B2 (ja) * 1987-09-04 1997-05-21 フロイント産業株式会社 腸内有用細菌含有顆粒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859217B2 (ja) * 1995-08-10 1999-02-17 日清製粉株式会社 腸内有用細菌含有顆粒の製造方法
JP3143433B2 (ja) 1998-07-07 2001-03-07 三基商事株式会社 マスキング組成物
JP2002142710A (ja) * 2000-11-14 2002-05-21 Fuji Seito Co Ltd アセスルファムカリウムと転化型液糖よりなる甘味組成物
JP2007169247A (ja) * 2005-12-26 2007-07-05 Seikatsu Bunkasha:Kk ショウガ含有経口組成物
JP2008189571A (ja) * 2007-02-02 2008-08-21 Oriza Yuka Kk 糖尿病及び/又は肥満の治療・予防剤
JP5088889B2 (ja) 2008-12-16 2012-12-05 長谷川香料株式会社 クリスピー感のある香料含有顆粒状組成物の製造方法
JP2011092080A (ja) * 2009-10-29 2011-05-12 Pias Arise Kk 生姜飲料
JP5909040B2 (ja) * 2010-10-15 2016-04-26 ハウス食品グループ本社株式会社 不快呈味成分を含有する被覆造粒物及び固形の経口摂取用組成物
JP6004702B2 (ja) * 2012-03-30 2016-10-12 小林製薬株式会社 不快味が軽減された固形製剤の製造方法
WO2017221268A1 (en) * 2016-06-21 2017-12-28 Laila Nutraceuticals Taste masking formulation for bitter natural compounds
US10363225B2 (en) * 2016-08-11 2019-07-30 Akay Flavours & Aromatics Pvt, Ltd Non-bleeding bioactive natural pigments which prevent color and dust explosions, method of preparation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6847A (ja) 1998-03-23 1999-10-05 Ajinomoto Co Inc 食品または酵素の造粒方法
JP2009055851A (ja) 2007-08-31 2009-03-19 T Hasegawa Co Ltd 徐放性乾燥物
JP2018061483A (ja) 2016-10-14 2018-04-19 ハウスウェルネスフーズ株式会社 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口腔内即溶性顆粒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419632B2 (ja) 2024-01-23
JPWO2020071475A1 (ja) 2021-09-02
TW202027616A (zh) 2020-08-01
WO2020071475A1 (ja) 2020-04-09
CN112839527A (zh) 202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08931B2 (ja) プロフレーバー送達粒子
US6482433B1 (en) Encapsulation of active ingredients
JP3662550B2 (ja) 粉末組成物
JP6809675B2 (ja) 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口腔内即溶性顆粒の製造方法
EP1993377B1 (en) Pressed agglomerates suitable for consumption having retarded aroma release
JP7419632B2 (ja) 植物抽出物含有顆粒の製造方法、植物抽出物含有顆粒からの微粉の発生を抑制する方法、及び、植物抽出物含有顆粒の不快な味を抑制する方法
JP2009028019A (ja) 難消化性デキストリン含有コーヒーエキス粉末の製造法
JP3706628B1 (ja) 麦若葉加工物を含有する造粒物
JP6024899B2 (ja) 不快味低減方法
JP6362160B2 (ja) 固形飲料の製造方法
JPH11290024A (ja) ウコギ科人参エキス組成物
US20120283338A1 (en) Sweetener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JPH0827033A (ja) エリスリトール含有固形剤
JP2006325491A (ja) 造粒物の製造方法
JP6799795B2 (ja) 経口組成物
ES2526898T3 (es) Composiciones de edulcorante que contienen sucralosa
KR20140135514A (ko) 인삼 또는 인삼 가공물 분말을 함유하는 용해성이 우수한 과립의 제조 방법
JP4261085B2 (ja) 顆粒用微粉化防止剤、顆粒の微粉化防止方法及び微粉化防止性を有する顆粒の製造方法。
EP3634154A2 (en) Carbohydrate-based flavor-containing granule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20000073A (ja) 経口組成物
JP6133037B2 (ja) ポーラス状食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994551B2 (ja) 顆粒組成物
JP2007202484A (ja) ゲル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3236434B2 (ja) 薬用人参エキス含有粒状物の製造方法
JP2022174508A (ja) 顆粒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