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9654A - 액정 표시 장치, 편광판 및 편광자 보호 필름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 편광판 및 편광자 보호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9654A
KR20210069654A KR1020217010921A KR20217010921A KR20210069654A KR 20210069654 A KR20210069654 A KR 20210069654A KR 1020217010921 A KR1020217010921 A KR 1020217010921A KR 20217010921 A KR20217010921 A KR 20217010921A KR 20210069654 A KR20210069654 A KR 20210069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ess
polyethylene terephthalate
light source
liquid cry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0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히사 아베
도시키 이노우에
고우이치 무라타
Original Assignee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69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96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G63/18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arbocyclic rings
    • C08G63/181Acids containing aromatic rings
    • C08G63/183Terephthalic ac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0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9Direct backlight including means for improving the color mixing, e.g. whit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광판의 구성 부재인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필름을, 청색 영역(400nm 이상 495nm 미만), 녹색 영역(495nm 이상 600nm 미만) 및 적색 영역(600nm 이상 780nm 이하)의 각 파장 영역에 각각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 톱을 갖고, 적색 영역(600nm 이상 780nm 이하)에 있어서의 피크의 반치폭(半値幅)이 비교적 좁은(가장 강도가 강한 피크의 반치폭이 예를 들면 5nm 미만) 발광 스펙트럼을 갖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지는 백라이트 광원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에 사용한 경우에도, 무지개 얼룩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시인성(視認性)이 개선된 액정 표시 장치, 편광판, 편광자 보호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필름은 하기의 (1)∼(2)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자 보호 필름이다:
(1)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필름이 3000∼30000nm의 리타데이션을 갖는다,
(2) 관찰 각도 55도에 있어서의 색도 x치의 주기 얼룩의 CTF치가 1.2 이하이다.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 편광판 및 편광자 보호 필름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 편광판 및 편광자 보호 필름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LCD)에 사용되는 편광판은, 통상 폴리비닐 알코올(PVA) 등에 요오드를 염착시킨 편광자를 2장의 편광자 보호 필름 사이에 끼운 구성이며,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는 통상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AC) 필름이 이용되고 있다. 근래, LCD의 박형화에 수반하여, 편광판의 박층화가 요구되게 되고 있다. 그러나, 이 때문에 보호 필름으로서 이용되고 있는 TAC 필름의 두께를 얇게 하면, 충분한 기계 강도를 얻을 수 없고, 또 투습성이 악화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 TAC 필름은 매우 고가여서, 저렴한 대체 소재로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제안되어 있지만(특허문헌 1∼3), 무지개상(狀)의 색 얼룩이 관찰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편광자의 편측에 복굴절성을 갖는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배치한 경우, 백라이트 유닛, 또는, 편광자로부터 출사한 직선 편광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통과할 때에 편광 상태가 변화한다. 투과한 광은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복굴절과 두께의 곱인 리타데이션에 특유의 간섭색을 나타낸다. 그 때문에, 광원으로서 냉음극관이나 열음극관 등 불연속인 발광 스펙트럼을 이용하면, 파장에 따라 다른 투과광 강도를 나타내어, 무지개상의 색 얼룩이 된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백라이트 광원으로서 백색 발광 다이오드와 같은 연속적이고 폭넓은 발광 스펙트럼을 갖는 백색 광원을 이용하고, 또한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일정한 리타데이션을 갖는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이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4). 백색 발광 다이오드는, 가시광 영역에 있어서 연속적이고 폭넓은 발광 스펙트럼을 갖는다. 그 때문에, 복굴절체를 투과한 투과광에 의한 간섭색 스펙트럼의 포락선 형상에 주목하면,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리타데이션을 제어함으로써, 광원의 발광 스펙트럼과 서로 유사한 스펙트럼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이것에 의해 무지개 얼룩을 억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했다.
일본국 특개2002-116320호 공보 일본국 특개2004-219620호 공보 일본국 특개2004-205773호 공보 국제공개특허 WO2011/162198호 공보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 광원으로서, 청색 발광 다이오드와 이트륨·알루미늄·가넷계 황색 형광체(YAG계 황색 형광체)를 조합한 발광 소자로 이루어지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백색 LED)가, 종래부터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 백색 광원의 발광 스펙트럼은, 가시광 영역에서 폭넓은 스펙트럼을 갖고 있는 동시에, 발광 효율도 뛰어나기 때문에, 백라이트 광원으로서 범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백색 LED를 백라이트 광원으로 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인간의 눈이 인식 가능한 스펙트럼의 20% 정도밖에 색을 재현할 수 없다.
한편, 근래의 색역(色域) 확대 요구의 고조로부터, 청색 영역(400nm 이상 495nm 미만), 녹색 영역(495nm 이상 600nm 미만) 및 적색 영역(600nm 이상 780nm 이하)의 각 파장 영역에 각각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 톱을 갖고, 적색 영역(600nm 이상 780nm 이하)에 있어서의 피크의 반치폭(半値幅)이 비교적 좁은(가장 강도가 강한 피크의 반치폭이 예를 들면 5nm 미만) 발광 스펙트럼을 갖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예를 들면, 청색 발광 다이오드와, 형광체로서 적어도 K2SiF6:Mn4+ 등의 불화물 형광체를 갖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 등)로 이루어지는 백라이트 광원을 사용한 액정 표시 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상술한 광(廣) 색역화 대응의 액정 표시 장치의 경우, 인간의 눈이 인식 가능한 스펙트럼의 60% 이상의 색을 재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고 말해지고 있다.
상기의 광 색역화 대응의 백색 광원은, 종래의 YAG계 황색 형광체를 이용한 백색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지는 광원과 비교하여 피크의 반치폭이 좁고, 리타데이션을 갖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필름을 편광판의 구성 부재인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이용한 경우에, 무지개 얼룩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 것을 새롭게 알았다.
즉, 본 발명에서는, 편광판의 구성 부재인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필름을, 「청색 영역(400nm 이상 495nm 미만), 녹색 영역(495nm 이상 600nm 미만) 및 적색 영역(600nm 이상 780nm 이하)의 각 파장 영역에 각각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 톱을 갖고, 적색 영역(600nm 이상 780nm 이하)에 있어서의 피크의 반치폭이 비교적 좁은(가장 강도가 강한 피크의 반치폭이 예를 들면 5nm 미만) 발광 스펙트럼을 갖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지는 백라이트 광원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에 사용한 경우에도, 무지개 얼룩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시인성(視認性)이 개선된 액정 표시 장치, 편광판, 편광자 보호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필름이 특정 범위의 리타데이션을 갖고 있는 것에 더하여, 색도 x치의 주기 얼룩의 CTF치가 작을수록 무지개 얼룩 억제에 효과가 있는 것을 발견했다.
대표적인 본 발명은, 이하와 같다.
항 1.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필름이 하기의 (1) 및 (2)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자 보호 필름:
(1)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필름이 3000nm∼30000nm의 리타데이션을 갖는다,
(2) 400nm 이상 495nm 미만, 495nm 이상 600nm 미만 및 600nm 이상 780nm 이하의 각 파장 영역에 각각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 톱을 갖고, 또한, 형광체로서 K2SiF6:Mn4+를 갖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를 백라이트 광원으로서 갖는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필름을 광원측 편광판의 광원측 보호 필름의 광원측에 겹쳐 첩합(貼合)했을 때에, 관찰 각도 55도에 있어서의 색도 x치의 주기 얼룩의 CTF치가 1.2 이하이다.
항 2.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항 1에 기재한 편광자 보호 필름이 적층된 편광판.
항 3.
백라이트 광원, 2개의 편광판, 및 상기 2개의 편광판의 사이에 배치된 액정 셀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로서, 상기 2개의 편광판 중, 적어도 한쪽이 항 2에 기재한 편광판인, 액정 표시 장치.
본 발명에 의하면, 편광판의 구성 부재인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필름을, 「청색 영역(400nm 이상 495nm 미만), 녹색 영역(495nm 이상 600nm 미만) 및 적색 영역(600nm 이상 780nm 이하)의 각 파장 영역에 각각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 톱을 갖고, 적색 영역(600nm 이상 780nm 이하)에 있어서의 피크의 반치폭이 비교적 좁은(가장 강도가 강한 피크의 반치폭이 예를 들면 5nm 미만) 발광 스펙트럼을 갖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지는 백라이트 광원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에 사용한 경우에도, 무지개 얼룩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시인성이 개선된 액정 표시 장치, 편광판, 편광자 보호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색도 x치의 주기 얼룩의 CTF치의 측정 및 무지개 얼룩 평가에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 광원의 발광 스펙트럼이다.
1. 편광자 보호 필름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에 이용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필름은, 3000nm 이상 30000nm 이하의 리타데이션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타데이션이 3000nm 미만에서는,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이용한 경우, 경사 방향에서 관찰했을 때에 강한 간섭색을 나타내어, 양호한 시인성을 확보할 수 없다. 바람직한 리타데이션의 하한치는 4000nm, 다음으로 바람직한 하한치는 5000nm이다.
한편, 리타데이션의 상한은 30000nm가 바람직하다. 그 이상의 리타데이션을 갖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필름을 이용했다고 하더라도 한층 더한 시인성의 개선 효과는 실질적으로 얻어지지 않고, 필름의 두께도 상당히 두꺼워져, 공업 재료로서의 취급성이 저하된다. 바람직한 상한치는 10000nm이고, 보다 바람직한 상한치는 9000nm이며, 더욱더 바람직한 상한치는 8000nm이다.
또한, 필름면내에 있어서의 굴절률차(지상축(遲相軸) 방향의 굴절률-진상축(進相軸) 방향의 굴절률)는, 0.08 이상이 바람직하다. 일방향으로 강하게 연신되고, 필름면내에 있어서의 굴절률차가 큰 쪽이, 보다 얇은 필름이라도 충분한 리타데이션을 얻을 수 있어, 박막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9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10 이상이다. 한편, 필름면내의 굴절률차가 너무 커지면, 필름의 역학 특성의 이방성이 현저해지기 때문에, 찢어짐, 갈라짐 등이 발생하기 쉬워져, 공업 재료로서의 실용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점에서, 상기 굴절률차의 상한은 0.15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리타데이션은, 필름면내에 있어서의 2축 방향의 굴절률과 필름 두께를 측정하여 구할 수도 있고, KOBRA-21ADH(오지 게이소쿠 기기 가부시키가이샤)와 같은 시판의 자동 복굴절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구할 수도 있다. 굴절률의 측정 파장은 589nm에서 측정한다.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에 이용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필름은, 특정 범위의 리타데이션을 갖는 것에 더하여, 400nm 이상 495nm 미만, 495nm 이상 600nm 미만 및 600nm 이상 780nm 이하의 각 파장 영역에 각각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 톱을 갖고, 또한, 형광체로서 K2SiF6:Mn4+를 갖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를 백라이트 광원으로서 갖는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필름을 광원측 편광판의 광원측 보호 필름의 광원측에 겹쳐 첩합했을 때에, 관찰 각도 55도에 있어서의 색도 x치의 주기 얼룩의 CTF치가 1.2 이하인 것이, 경사 방향에서 관찰되는 무지개 얼룩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CTF치는 1.2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9 이하이다. 한편, CTF치를 저감하려면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필름의 1축 배향성을 높일 필요가 있지만, 과도하게 1축 배향성을 높이면 필름이 찢어지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아, 하한은 0.1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CTF치는 (1) 식으로 표시된다.
(CTF치)
=(Σ(|Xk-Xk+1|/|Xk+Xk+1|)/N)×100 …(1)
단 Xk, Xk+1: 색도 x치의 주기 얼룩에서 각각 k번째, k+1번째에 출현하는 극치(극대치 및 극소치)에 있어서의 색도 x치, N: 해석 영역 내에 출현하는 극치(극대치 및 극소치)의 총수.
복굴절체에 의해 발생하는 간섭색은, 그 복굴절체가 갖는 리타데이션의 값에 따라 변화하지만, 리타데이션이 낮은 영역에서는 리타데이션의 값에 따라 다양한 색이 발현되는 한편, 리타데이션이 특정의 값 이상인 영역에서는, 리타데이션이 변화해도 마젠타계 색과 시안계 색만이 번갈아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발현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Michel-Levy Interference Color Chart 등). 본 발명자들이 예의 검토한 결과, 이 주기적인 간섭색의 변동의 대소는 CIE 1931의 xy 색도도에 있어서의 색도 x치의 주기 얼룩의 CTF치로서 정량적으로 측정 가능하고,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필름은, 색도 x치의 주기 얼룩의 CTF치가 작을수록,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이용했을 때에도 무지개 얼룩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 가능한 것을 발견했다. 색도 x치의 주기 얼룩의 CTF치는, 이미징 색채 휘도계(RADIANT사 제조, ProMetric IC-PMI16에 Conoscope PM-CO-060을 접속한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측정 대상이 되는 영역은 직경 3mm 정도의 원상(圓狀)이지만, 주변 영역으로부터의 플레어 광에 의한 측정에의 영향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측정에 이용하는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필름은, 한 변의 길이가 적어도 1cm 이상인 직사각형상 내지 직경이 적어도 1cm 이상인 원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측정에 이용하는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필름은, 2cm 이상의 직사각형상 내지 직경이 2cm 이상인 원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측정 시에는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필름을 그 진상축 방향이 상기 광원측 편광판의 흡수축 방향에 일치하도록 첩합할 필요가 있지만,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필름을 첩합한 영역과 그 외의 영역에서의 밝기가 시감(視感)상 동등이면 첩합 방향이 적절하다고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며, 측정에 이용하는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필름의 형상이 진상축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직사각형상인 것에 더하여, 상기 액정 표시 장치의 화면 사이즈가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필름의 면적의 2배 이상인 것이, 첩합의 양부(良否)를 판단하기 쉬워 바람직하다. 또,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필름과 상기 광원측 편광판의 첩합은, 실질적으로 복굴절성을 갖지 않는 물질을 개재하여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OCA(광학용 투명 점착제) 또는 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물을 이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물 대신에, 에틸렌 글리콜 등을 이용할 수도 있고, 물과 에틸렌 글리콜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필름에 기인한 색도 x치의 주기 얼룩만을 측정하는 관점에서, 측정에 이용하는 액정 표시 장치는, 상기 광원측 보호 필름의 광원측에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필름을 첩합하지 않고 상기 액정 표시 장치만으로 측정했을 때에 색도 x치의 주기 얼룩이 실질적으로 관찰되지 않는, 즉 측정 영역 내에서 관측되는 색도 x치의 주기 얼룩의 극치(극대치 및 극소치)의 총수가 1개 이하일 필요가 있다. 상기의 관점에서, 측정에 이용하는 상기 액정 표시 장치의 시인측 편광판의 시인측 보호 필름 및 광원측 편광판의 광원측 보호 필름은 실질적으로 복굴절성을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리타데이션이 50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 내지 아크릴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필름에 기인한 색도 x치의 주기 얼룩을 현재화(顯在化)시켜 측정을 용이하게 하는 관점에서, 측정에 이용하는 액정 표시 장치는, 광원측 편광판의 광원측 보호 필름과 백라이트 광원의 사이에 반사형 편광판(예를 들면, 3M사 제조 DBEF 시리즈)을 갖는다. 그때, 반사형 편광판의 흡수축은, 광원측 편광판의 편광자의 흡수축과 평행이 되도록 배치한다. 측정 방법의 상세는 실시예에서 후술한다.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에 이용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필름은, 강직 비결정(非晶) 분율이 33wt% 이상인 것이, 상기 색도 x치의 주기 얼룩의 CTF치를 저감하여, 경사 방향에서 관찰되는 무지개 얼룩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필름의 강직 비결정 분율은 33wt%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4wt%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5wt%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6wt% 이상이다. 상한은 60wt%가 바람직하지만, 50wt% 또는 45wt% 정도여도 충분하다. 여기에서, 강직 비결정 분율은 하기의 (2) 식으로 표시된다.
(강직 비결정 분율(wt%))=100-(가동 비결정 분율(wt%))-(질량 분율 결정화도(wt%)) …(2)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wt%는 질량%와 동의(同義)이다.
종래, 고분자의 고차 구조는 결정과 비결정으로 나뉘어 있다고 생각되어 왔다. 그러나 근래, 비결정 영역은 그 분자 운동의 온도 의존성에 의해 더욱 구별 가능하여, 유리 전이점(Tg)에서 분자 운동이 해방되는 가동 비결정과, Tg 이상의 온도에서도 분자 운동이 동결된 강직 비결정으로 나누어지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이 강직 비결정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경우, 200℃ 근방의 온도까지 비결정인 채로 유지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강직 비결정 분율이 클수록, 필름의 연신이나 열처리에 수반하는 결정화가 진행되기 어렵다고 생각된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필름에서는, 두께나 리타데이션이 같은 경우에는, 그 벤젠환이 분자쇄 축 주위에 랜덤하게 배향되어 있을수록, 편광자 보호 필름에 이용했을 때에 경사 방향에서 관찰되는 무지개 얼룩이 억제된다. 한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필름에서는, 결정화에 수반하여 벤젠환이 필름면에 대해 평행하게 배향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기존의 방법에 의해 제막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필름에서는, 전술의 필름면내에 있어서의 굴절률차를 크게 하면, 벤젠환의 필름면에 대한 배향도도 동시에 커져, 충분한 무지개 얼룩 억제 효과를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자들이 검토한바, 강직 비결정 분율을 상기 범위로 제어함으로써, 필름면내에 있어서의 굴절률차를 크게 했을 때에도 결정화에 수반하는 벤젠환의 배향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경사 방향에서 관찰되는 무지개 얼룩이 억제 가능하게 되는 것을 발견했다.
상기 (2) 식에서, 강직 비결정 분율은, 가동 비결정 분율 및 질량 분율 결정화도의 값을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구해진다. 가동 비결정 분율은, 시차주사열량계(TA Instrument사 제조, Q100)를 이용한 온도 변조 DSC 측정으로 얻어지는 가역 열용량 곡선의 Tg에 있어서의 가역 열용량차(ΔCp)로부터 구해진다. 한편, 질량 분율 결정화도는, JIS K7112에 따라 밀도 구배관(密度勾配管)을 이용하여 얻어진 밀도의 값에 의해 산출된다. 상세는 실시예에서 후술한다.
본 발명의 보호 필름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필름은, 일반적인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방법에 의거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를 용융하고, 시트상으로 압출(押出)하여 성형된 무배향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를 유리 전이 온도 이상의 온도에 있어서, 롤의 속도차를 이용하여 세로 방향으로 연신한 후, 텐터에 의해 가로 방향으로 연신하여, 열처리를 실시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필름의 제막 조건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세로 연신 온도, 가로 연신 온도는 100∼130℃가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10∼125℃이다.
필름 폭 방향(TD 방향)으로 지상축을 갖는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 세로 연신 배율은 0.7∼1.5배가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7배∼1.0배이다. 또, 연신 중의 비결정 분자쇄의 완화를 억제하여 강직 비결정 분율을 높이는 관점에서는, 가로 연신 배율은 높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로 연신 배율의 하한은 4.5배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7배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5.0배이다. 한편, 가로 연신 배율이 7.0배를 넘으면, 필름이 가로 방향으로 찢어지기 쉬워져 생산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가로 연신 배율의 상한은 7.0배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5배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6.0배, 가장 바람직하게는 5.5배이다.
한편, 필름 세로 방향(MD 방향)으로 지상축을 갖는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 가로 연신 배율은 바람직하게는 1.0∼3.0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3.0배이다. 연신 중의 비결정 분자쇄의 완화를 억제하여 강직 비결정 분율을 높이는 관점에서는, 세로 연신 배율은 높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로 연신 배율의 하한은 4.5배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7배, 특히 바람직하게는 5.0배이다. 세로 연신 배율이 7.0배를 넘으면, 필름이 세로 방향으로 찢어지기 쉬워져 생산성이 저하되는 점에서, 세로 연신 배율의 상한은 7.0배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5배, 특히 바람직하게는 6.0배이다.
리타데이션을 상기 범위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세로 연신 배율과 가로 연신 배율의 비율이나, 연신 온도, 필름의 두께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로 세로의 연신 배율의 차가 너무 작으면 리타데이션을 크게 하는 것이 어려워져 바람직하지 않다.
열처리 시의 결정화에 수반하는 벤젠환의 필름면에 대한 배향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강직 비결정 분율을 증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연신 중의 비결정 분자쇄의 완화를 억제할 필요가 있고, 필름의 지상축 방향으로의 연신에 있어서의 변형 속도를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형 속도는 13%/sec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sec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7%/sec 이상이다. 제막성의 관점에서, 상한은 60%/sec가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변형 속도는 (지상축 방향으로의 연신에 있어서의 공칭 변형(%))/(지상축 방향으로의 연신에 있어서의 소요 시간(sec))으로 표시되는 양이고, 공칭 변형(%)은 ((변형량(mm))/(초기 길이(mm)))×100에 의해 구해진다.
이어지는 열처리에 있어서는, 배향 결정화를 촉진하여 리타데이션을 높이는 관점에서는, 열처리 온도의 하한은 15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60℃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70℃, 가장 바람직하게는 180℃이다. 한편, 강직 비결정의 결정화를 방지하고, 결정의 (100)면의 필름면에 대한 배향도를 낮추는 관점에서는, 열처리 온도의 상한은 22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10℃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200℃이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는, 모노머 유닛의 85 몰% 이상이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단위는 90 몰%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몰% 이상이다. 또한, 공중합 성분으로는, 공지의 산 성분, 글리콜 성분을 포함해도 된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로서, 특히 바람직한 것은, 호모 폴리머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이다.
이들 수지는 투명성이 뛰어난 동시에, 열적, 기계적 특성도 뛰어나, 연신 가공에 의해 용이하게 리타데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고유 복굴절이 커서, 필름의 두께가 얇아도 비교적 용이하게 큰 리타데이션을 얻을 수 있어, 가장 적합한 소재이다.
또, 요오드 색소 등의 광학 기능성 색소의 열화를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본 발명의 보호 필름은, 파장 380nm의 광선 투과율이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380nm의 광선 투과율은 1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며, 5%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광선 투과율이 20% 이하이면, 광학 기능성 색소의 자외선에 의한 변질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투과율은, 필름의 평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측정한 것이며, 분광 광도계(예를 들면, 히타치 U-3500형)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 필름의 파장 380nm의 투과율을 20% 이하로 하기 위해서는, 자외선 흡수제의 종류, 농도, 및 필름의 두께를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자외선 흡수제는 공지의 물질이다. 자외선 흡수제로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와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들 수 있지만, 투명성의 관점에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바람직하다.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로는, 벤조트리아졸계, 벤조페논계, 환상 이미노에스테르계 등, 및 그 조합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이 규정하는 흡광도의 범위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내구성의 관점에서는 벤조트리아졸계, 환상 이미노에스테르계가 특히 바람직하다. 2종 이상의 자외선 흡수제를 병용한 경우에는, 개개의 파장의 자외선을 동시에 흡수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자외선 흡수 효과를 개선할 수 있다.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아크릴로니트릴계 자외선 흡수제로는 예를 들면 2-[2'-히드록시-5'-(메타크릴로일옥시메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페닐]-2H-벤조트리아졸, 2,2'-디히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2,2',4,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2,4-디-tert-부틸-6-(5-클로로벤조트리아졸-2-일)페놀, 2-(2'-히드록시-3'-ter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2-일)-4-메틸-6-(tert-부틸)페놀, 2,2'-메틸렌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6-(2H-벤조트리아졸-2-일)페놀 등을 들 수 있다. 환상 이미노에스테르계 자외선 흡수제로는 예를 들면 2,2'-(1,4-페닐렌)비스(4H-3,1-벤조옥사진-4-온), 2-메틸-3,1-벤조옥사진-4-온, 2-부틸-3,1-벤조옥사진-4-온, 2-페닐-3,1-벤조옥사진-4-온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특별히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자외선 흡수제 이외에,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촉매 이외의 각종의 첨가제를 함유시키는 것도 바람직한 양태이다. 첨가제로서, 예를 들면, 무기 입자, 내열성 고분자 입자, 알칼리 금속 화합물, 알칼리 토류 금속 화합물, 인 화합물, 대전 방지제, 내광제, 난연제, 열 안정제, 산화 방지제, 겔화 방지제,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또, 높은 투명성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필름에 실질적으로 입자를 함유시키지 않는 것도 바람직하다. 「입자를 실질적으로 함유시키지 않는다」란, 예를 들면 무기 입자의 경우, 형광 X선 분석으로 무기 원소를 정량한 경우에 50ppm 이하, 바람직하게는 10ppm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검출 한계 이하가 되는 함유량을 의미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필름에 자외선 흡수제를 배합하는 방법으로는, 공지의 방법을 조합하여 채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미리 혼련 압출기를 이용해, 건조시킨 자외선 흡수제와 폴리머 원료를 블렌드하여 마스터 배치를 제작해 두고, 필름 제막 시에 소정의 해당 마스터 배치와 폴리머 원료를 혼합하는 방법 등에 의해 배합할 수 있다.
이때 마스터 배치의 자외선 흡수제 농도는 자외선 흡수제를 균일하게 분산시키고, 또한 경제적으로 배합하기 위해 5∼30 질량%의 농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스터 배치를 제작하는 조건으로는 혼련 압출기를 이용하고, 압출 온도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원료의 융점 이상, 290℃ 이하의 온도에서 1∼15분간으로 압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90℃ 이상에서는 자외선 흡수제의 감량이 크고, 또, 마스터 배치의 점도 저하가 커진다. 압출 시간 1분 이하에서는 자외선 흡수제의 균일한 혼합이 곤란해진다. 이때, 필요에 따라 안정제, 색조 조정제, 대전 방지제를 첨가해도 된다.
또, 본 발명에서는 필름을 적어도 3층 이상의 다층 구조로 하고, 필름의 중간층에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층에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3층 구조의 필름은,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제작할 수 있다. 외층용으로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의 펠릿 단독, 중간층용으로서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한 마스터 배치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의 펠릿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고, 건조한 후, 공지의 용융 적층용 압출기에 공급하여, 슬릿상의 다이로부터 시트상으로 압출하고, 캐스팅 롤 상에서 냉각 고화시켜 미연신 필름을 만든다. 즉, 2대 이상의 압출기, 3층의 매니폴드 또는 합류 블록(예를 들면 각형(角型) 합류부를 갖는 합류 블록)을 이용하여, 양외층을 구성하는 필름층, 중간층을 구성하는 필름층을 적층하고, 구금(口金)으로부터 3층의 시트를 압출하고, 캐스팅 롤에서 냉각하여 미연신 필름을 만든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광학 결점의 원인이 되는, 원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중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을 제거하기 위해, 용융 압출 시에 고정밀도 여과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융 수지의 고정밀도 여과에 이용하는 여재(濾材)의 여과 입자 사이즈(초기 여과 효율 95%)는, 15㎛ 이하가 바람직하다. 여재의 여과 입자 사이즈가 15㎛를 넘으면, 20㎛ 이상의 이물의 제거가 불충분해지기 쉽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필름에는, 편광자와의 접착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코로나 처리, 코팅 처리나 화염 처리 등을 실시하거나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편광자와의 접착성을 개량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또는 폴리아크릴 수지 중 적어도 1종류를 주성분으로 하는 이접착층(易接着層)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주성분」이란 이접착층을 구성하는 고형 성분 중 50 질량% 이상인 성분을 말한다. 본 발명의 이접착층의 형성에 이용하는 도포액은,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및 폴리우레탄 수지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수성 도포액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도포액으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제3567927호 공보, 일본국 특허 제3589232호 공보, 일본국 특허 제3589233호 공보, 일본국 특허 제3900191호 공보, 일본국 특허 제4150982호 공보 등에 개시된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용액, 아크릴 수지 용액, 폴리우레탄 수지 용액 등을 들 수 있다.
이접착층은, 상기 도포액을 미연신 필름 또는 세로 방향의 1축 연신 필름의 편면 또는 양면에 도포한 후, 100∼150℃에서 건조하고, 추가로 가로 방향으로 연신하여 얻을 수 있다. 최종적인 이접착층의 도포량은, 0.05∼0.20g/㎡로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포량이 0.05g/㎡ 미만이면, 얻어지는 편광자와의 접착성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한편, 도포량이 0.20g/㎡를 넘으면, 내블로킹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필름의 양면에 이접착층을 설치하는 경우는, 양면의 이접착층의 도포량은, 동일해도 달라도 되며, 각각 독립하여 상기 범위 내에서 설정할 수 있다.
이접착층에는 이활성(易滑性)을 부여하기 위해 입자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립자의 평균 입경은 2㎛ 이하의 입자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자의 평균 입경이 2㎛를 넘으면, 입자가 피복층으로부터 탈락하기 쉬워진다. 이접착층에 함유시키는 입자로는, 예를 들면, 산화티탄, 황산바륨, 탄산칼슘, 황산칼슘, 실리카, 알루미나, 탈크, 카올린, 클레이, 인산칼슘, 운모, 헥토라이트, 지르코니아, 산화텅스텐, 불화리튬, 불화칼슘 등의 무기 입자나, 스티렌계, 아크릴계, 멜라민계, 벤조구아나민계, 실리콘계 등의 유기 폴리머계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이접착층에 첨가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첨가할 수도 있다.
또, 도포액을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버스 롤 코팅법, 그라비어 코팅법, 키스 코팅법, 롤 브러시법, 스프레이 코팅법, 에어 나이프 코팅법, 와이어 바 코팅법, 파이프 닥터법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방법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입자의 평균 입경의 측정은 하기 방법에 의해 행한다.
입자를 주사형 전자현미경(SEM)으로 사진을 찍고, 가장 작은 입자 1개의 크기가 2∼5mm가 되는 것과 같은 배율로, 300∼500개의 입자의 최대 직경(가장 떨어진 2점간의 거리)을 측정하여, 그 평균치를 평균 입경으로 한다.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필름의 두께는 임의이지만, 30∼30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200㎛의 범위이다. 30㎛를 밑도는 두께의 필름이라도, 원리적으로는 3000nm 이상의 리타데이션을 얻는 것은 가능하다. 그러나, 그 경우에는 필름의 역학 특성의 이방성이 현저해지고, 찢어짐, 갈라짐 등이 발생하기 쉬워져, 공업 재료로서의 실용성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특히 바람직한 두께의 하한은 45㎛이다. 한편, 편광자 보호 필름의 두께의 상한은, 300㎛를 넘으면 편광판의 두께가 너무 두꺼워져 버려 바람직하지 않다.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의 실용성의 관점에서는 두께의 상한은 12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80㎛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65㎛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60㎛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5㎛ 이하이다. 일반적으로, 박막화의 관점에서는, 편광자 보호 필름의 두께는 30∼65㎛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타데이션의 변동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필름의 두께 편차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 온도, 연신 배율은 필름의 두께 편차에 큰 영향을 주는 점에서, 두께 편차의 관점에서도 제막 조건의 최적화를 행할 필요가 있다. 특히 리타데이션을 높게 하기 위해 세로 연신 배율을 낮게 하면, 세로 두께 편차가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세로 두께 편차는 연신 배율의 어느 특정의 범위에서 매우 나빠지는 영역이 있는 점에서, 이 범위를 벗어난 곳에서 제막 조건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필름의 두께 편차는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5%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4.0% 이하인 것이 더욱더 바람직하고, 3.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편광자 보호 필름에 이용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필름은, |ny-nz|/|ny-nx|로 표시되는 Nz 계수가 1.7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Nz 계수는 다음과 같이 하여 구할 수 있다. 분자 배향계(오지 게이소쿠 기기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MOA-6004형 분자 배향계)를 이용하여 필름의 배향축 방향을 구하고, 배향축 방향과 이것에 직교하는 방향의 2축의 굴절률(ny, nx, 단 ny>nx), 및 두께 방향의 굴절률(nz)을 아베 굴절률계(아타고사 제조, NAR-4T, 측정 파장 589nm)에 의해 구한다. 이렇게 구한 nx, ny, nz를, |ny-nz|/|ny-nx|로 표시되는 식에 대입하여, Nz 계수를 구할 수 있다. Nz 계수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1.6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63 이하이다. Nz 계수의 하한치는, 1.2이다. 또, 필름의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Nz 계수의 하한치는 1.3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4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45 이상이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필름은, 그 리타데이션(Re)과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Rth)의 비(Re/Rth)가, 바람직하게는 0.2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6 이상이다. 상기 비(Re/Rth)가 클수록 바람직하다. 상한은 2.0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8 이하이다. 또한,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이란, 필름 두께 방향 단면에서 보았을 때의 2개의 복굴절 △Nxz(=|nx-nz|), △Nyz(=|ny-nz|)에 각각 필름 두께 d를 곱하여 얻어지는 리타데이션의 평균을 나타내는 파라미터이다. nx, ny, nz와 필름 두께 d(nm)를 구하고, (△Nxz×d)와 (△Nyz×d)의 평균치를 산출하여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Rth)을 구할 수 있다. 또한, nx, ny, nz는, 아베 굴절률계(아타고사 제조, NAR-4T, 측정 파장 589nm)에 의해 구한다.
2. 편광판
본 발명의 편광판은, 폴리비닐 알코올(PVA) 등에 요오드를 염착시킨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편광자 보호 필름을 첩합한 구조를 갖고, 어느 쪽인가의 편광자 보호 필름이 전술한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쪽의 편광자 보호 필름에는, TAC 필름이나 아크릴 필름, 노르보르넨계 필름으로 대표되는 것과 같은 복굴절이 없는 필름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쪽의 편광자 보호 필름은 반드시 존재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편광판에는, 비침 방지나 번쩍임 억제, 흠집 억제 등을 목적으로, 여러 가지의 하드 코트를 표면에 도포하는 것도 바람직한 양태이다.
3. 액정 표시 장치
일반적으로, 액정 패널은, 백라이트 광원에 대향하는 측에서 화상을 표시하는 측(시인측)으로 향하는 순으로, 후면 모듈, 액정 셀 및 전면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후면 모듈 및 전면 모듈은, 일반적으로, 투명 기판과, 그 액정 셀측 표면에 형성된 투명 도전막과, 그 반대측에 배치된 편광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편광판은, 후면 모듈에서는, 백라이트 광원에 대향하는 측에 배치되고, 전면 모듈에서는, 화상을 표시하는 측(시인측)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는 적어도, 백라이트 광원과, 2개의 편광판의 사이에 배치된 액정 셀을 구성 부재로 한다. 또, 이들 이외의 다른 구성, 예를 들면 컬러 필터, 렌즈 필름, 확산 시트, 반사 방지 필름 등을 적절히 가져도 관계없다. 상기 2개의 편광판 중, 적어도 한쪽의 편광판이 전술한 본 발명의 편광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백라이트의 구성으로는, 도광판이나 반사판 등을 구성 부재로 하는 에지 라이트 방식이어도, 직하형 방식이어도 관계없다.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 내에 탑재되는 백라이트 광원으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이용할 수 있지만, 그중에서도, 400nm 이상 495nm 미만, 495nm 이상 600nm 미만, 및 600nm 이상 780nm 이하의 각 파장 영역에 각각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 톱을 갖고, 적색 영역에 있어서의 피크의 반치폭이 비교적 좁은(가장 강도가 강한 피크의 반치폭이 예를 들면 5nm 미만) 발광 스펙트럼을 갖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예를 들면, 청색 발광 다이오드와, 형광체로서 적어도 K2SiF6:Mn4+인 불화물 형광체(「KSF」라고도 한다)를 갖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 등)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광 색역 대응의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 광원이어도,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이면, 무지개 얼룩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외,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 내에 탑재되는 백라이트 광원으로는, 400nm 이상 495nm 미만, 495nm 이상 600nm 미만, 및 600nm 이상 780nm 이하의 각 파장 영역에 각각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 톱을 갖는 백색 광원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광원으로는, 예를 들면, 양자점 기술을 이용한 백색 광원, 여기광에 의해 R(적), G(녹)의 영역에 각각 발광 피크를 갖는 형광체와 청색 LED를 이용한 형광체 방식의 백색 LED 광원, 3파장 방식의 백색 LED 광원, 적색 레이저를 조합한 백색 LED 광원 등을 들 수 있다.
또, 종래부터 이용되어 온, 화합물 반도체를 사용한 청색광 또는 자외광을 발하는 발광 다이오드와, 형광체(예를 들면, 이트륨·알루미늄·가넷계의 황색 형광체나 테르븀·알루미늄·가넷계의 황색 형광체 등)를 조합한 형광체 방식의 백색 LED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당해 특정의 리타데이션을 갖는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의 액정 표시 장치 내에 있어서의 배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입사광측(광원측)에 배치되는 편광판과, 액정 셀과, 출사광측(시인측)에 배치되는 편광판이 배치된 액정 표시 장치의 경우, 입사광측에 배치되는 편광판의 입사광측의 편광자 보호 필름, 및/또는 출사광측에 배치되는 편광판의 출사광측의 편광자 보호 필름이 당해 특정의 리타데이션을 갖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편광자 보호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양태는, 출사광측에 배치되는 편광판의 출사광측의 편광자 보호 필름을 당해 특정의 리타데이션을 갖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필름으로 하는 양태이다. 상기 이외의 위치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필름을 배치하는 경우는, 액정 셀의 편광 특성을 변화시켜 버리는 경우가 있다. 편광 특성이 필요시 되는 개소에는 본 발명의 고분자 필름을 이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이와 같은 특정 위치의 편광판의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의 화면 사이즈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32인치 이상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을 받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에 적합할 수 있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을 가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고, 그것들은,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물성의 평가 방법은 이하와 같다.
(1) 리타데이션(Re)
리타데이션이란, 필름 상의 직교하는 2축의 굴절률의 이방성(△Nxy=|nx-ny|)과 필름 두께 d(nm)의 곱(△Nxy×d)으로 정의되는 파라미터이며, 광학적 등방성, 이방성을 나타내는 척도이다. 2축의 굴절률의 이방성(△Nxy)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구했다. 분자 배향계(오지 게이소쿠 기기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MOA-6004형 분자 배향계)를 이용하여, 필름의 지상축 방향을 구하고, 지상축 방향이 측정용 샘플 장변과 평행이 되도록, 4cm×2cm의 장방형을 잘라내어, 측정용 샘플로 했다. 이 샘플에 대해서, 직교하는 2축의 굴절률(지상축 방향의 굴절률: ny, 지상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굴절률: nx), 및 두께 방향의 굴절률(nz)을 아베 굴절률계(아타고사 제조, NAR-4T, 측정 파장 589nm)에 의해 구하고, 상기 2축의 굴절률차의 절대치(|nx-ny|)를 굴절률의 이방성(△Nxy)으로 했다. 필름의 두께 d(nm)는 전기 마이크로미터(파인류프사 제조, 밀리트론 1245D)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단위를 nm로 환산했다. 굴절률의 이방성(△Nxy)과 필름의 두께 d(nm)의 곱(△Nxy×d)으로부터, 리타데이션(Re)을 구했다.
(2) 색도 x치의 주기 얼룩의 CTF치
색도 x치의 주기 얼룩의 CTF치는, 상기 (1) 식으로 표시되고, 이미징 색채 휘도계(RADIANT사 제조, ProMetric IC-PMI16에 Conoscope PM-CO-060을 접속한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이하, 측정 방법의 상세를 나타낸다.
(액정 표시 장치에의 샘플 첩부(貼付))
400nm 이상 495nm 미만, 495nm 이상 600nm 미만 및 600nm 이상 780nm 이하의 각 파장 영역에 각각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 톱을 갖고, 또한, 형광체로서 K2SiF6:Mn4+를 갖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를 백라이트 광원으로서 갖는 시판의 액정 표시 장치로서, 도시바사 제조 REGZA 43J10X(2014년 제조품)를 이용했다. 이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 광원의 발광 스펙트럼을, 하마마츠 포토닉스 제조 멀티채널분광기 PMA-12를 이용하여 노광 시간 20msec로 측정한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48nm, 533nm, 630nm 부근에 피크 톱을 갖는 발광 스펙트럼이 관찰되고, 각 피크 톱의 반치폭은 2nm∼49nm였다. 또한, 이 액정 표시 장치는, 광원측 편광판의 광원측 보호 필름과 백라이트 광원의 사이에 반사형 편광판을 갖고 있고, 그 흡수축은 광원측 편광판의 흡수축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었다.
각 실시예에서 제조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필름을, 진상축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A4 사이즈로 잘라내어, 상기 액정 표시 장치의 광원측 편광판의 광원측 보호 필름의 광원측에 겹쳐 첩합했다. 그때,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필름의 진상축 방향이, 광원측 편광판 중의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에 일치하도록 하고, 광원측 편광판의 중심(대각선의 교점)과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필름의 중심(대각선의 교점)이 일치하도록 하여 첩합했다. 또, 광원측 보호 필름과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필름은 수돗물을 개재하여 첩합하고, 종이 걸레(닛폰 세시 크레시아사 제조, 킴타월 화이트 4겹)를 이용하여 기포를 빼는 동시에, 잉여의 수분을 닦아냈다.
(측정 및 CTF치의 계산)
상기 액정 표시 장치를, 디스플레이 법선 방향이 상면(床面)에 대해 평행이 되도록 암실 내에 설치하고, 각종 설정 항목을 출하 시의 상태로 한 다음 백(白)화면을 표시했다. 여기에서, 백화면이란 Adobe RGB 색 공간에서 R=255, G=255, B=255 또한 크기가 세로 5000 픽셀×가로 3125 픽셀인 비트 맵 화상을 USB 단자를 통해 입력하여 표시시킨 것이다. 계속해서, 이미징 색채 휘도계(RADIANT사 제조, ProMetric IC-PMI16에 Conoscope PM-CO-060을 접속한 장치)를, 수광부(受光部)가 상기 액정 표시 장치의 디스플레이측에 정면으로 마주 대하도록 설치하고, 이미징 색채 휘도계의 광학계의 중심축이 디스플레이의 중심(대각선의 교점)으로부터 그은 법선과 일치하며, 또한 측정 렌즈 선단부와 디스플레이 표면의 거리가 3mm가 되도록 조정했다. 계속해서, 출사광의 색도 x치의 방위각 θ(도)에 대한 주기 얼룩의 프로파일 X(θ)(105≤θ≤170)를 측정했다. 구체적으로는, "Define Points of Interest" 메뉴에서, φ=55도에 있어서 θ=105도∼170도까지 1도 간격으로 색도 x치를 추출하도록 설정했다. 측정 시, 캡쳐 설정에서는 Y, X 및 Z 필터를 측정 대상으로 하고, 자동 노광 조정으로 설정하고, ND 필터는 불사용으로 했다. 또, 측정 설정에서는 Conoscope Plot Type을 Type C로 설정했다. 얻어진 X(θ)에 대하여, 프로파일의 극치(극대치 및 극소치) Xk(1≤k≤N-1, N≥2, N는 극치의 총수)를, 그때의 θ가 작은 순으로 X1, X2,… 로 추출하고, 상기 (1) 식에 따라 CTF치를 산출했다. 또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필름을 첩합하지 않고 상기 액정 표시 장치만으로 마찬가지의 측정을 행한 경우에는 색도 x치의 주기 얼룩은 관찰되지 않고, 각 실시예에서 제조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필름에 기인한 색도 x치의 주기 얼룩만을 적절히 평가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3) 강직 비결정 분율
강직 비결정 분율은, 상기 (2) 식으로 표시되고, 가동 비결정 분율 및 질량 분율 결정화도의 값으로부터 간접적으로 산출된다.
가동 비결정 분율은, 시차주사열량계(TA Instrument사 제조, Q100)를 이용한 온도 변조 DSC 측정에 의해 얻어진 가역 열용량 곡선의 Tg에 있어서의 가역 열용량차 ΔCp(J/(g·K))로부터, ((시료의 ΔCp)/(완전 비결정의 ΔCp))×100(wt%)로 정의되는 파라미터이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경우, 완전 비결정의 ΔCp=0.4052(J/(g·K))이다. 시료는 알루미늄 팬 내에 2.0±0.2mg으로 칭량하고, MDSC(등록상표) 히트 온리 모드에서, 평균 승온(昇溫) 속도 5.0℃/min, 변조 주기 60sec로 측정했다. 측정 데이터는 5Hz의 샘플링 주파수로 수집했다. 또, 온도 및 열량의 교정에는 인듐을, 비열(比熱)의 교정에는 사파이어를 이용했다.
이하, Tg 및 ΔCp의 산출 방법을 나타낸다. 우선, 가역 열용량 곡선 F(T)의 온도 T의 1차 도함수 F'(T)를 플롯하여, 2401점마다의 이동 평균을 취하여 평활화 처리를 행한 후, 피크 톱에 있어서의 온도의 값을 판독함으로써 Tg를 구했다. 다음으로, 점 A(Tg-15, F(Tg-15)) 및 점 B(Tg+15, F(Tg+15))의 2점을 통과하는 직선 G(T)를 구했다. 계속해서, Tg-15≤T≤Tg+15의 범위에서 F(T)-G(T)가 최소가 되는 온도를 T1, 최대가 되는 온도를 T2로 했다. 여기에서, T1은 유리 전이의 개시 온도, T2는 유리 전이의 종료 온도에 상당하는 점에서, ΔCp=F(T2)-F(T1)에 의해 ΔCp의 값을 얻었다.
질량 분율 결정화도 χ는, JIS K7112에 따라 물/질산(硝酸)칼슘계의 밀도 구배관을 이용하여 얻어진 밀도의 값 d(g/㎤)를 이용해, 다음 식에 의해 산출했다.
χ=(dc/d)×((d-da)/(d-dc))×100(wt%)
단, dc: 완전 결정의 밀도, da:완전 비결정의 밀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경우, dc=1.498(g/㎤), da=1.335(g/㎤)이다.
(4) 무지개 얼룩 관찰
PVA와 요오드로 이루어지는 편광자의 편측에 후술하는 방법으로 만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편광자의 흡수축과 필름의 배향 주축이 수직이 되도록 첩부하고, 그 반대의 면에 시판의 TAC 필름을 첩부하여 편광판을 만들었다. 얻어진 편광판을, 시판의 액정 표시 장치(도시바사 제조, REGZA 43J10X)에 원래 존재한 출사광측의 편광판과 치환했다. 또한, 편광판의 흡수축이, 원래 액정 표시 장치에 첩부되어 있던 편광판의 흡수축 방향과 일치하도록,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 시인측이 되도록 편광판을 치환했다.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여기광을 출사하는 광원과 K2SiF6:Mn4+ 형광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광원을 갖는다. 이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 광원의 발광 스펙트럼을, 하마마츠 포토닉스 제조 멀티채널분광기 PMA-12를 이용하여 측정한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48nm, 533nm, 630nm 부근에 피크 톱을 갖는 발광 스펙트럼이 관찰되었다. 각 피크 톱의 반치폭은 2nm∼49nm이고, 630nm 부근에는 복수의 피크가 관찰되었지만, 상기 피크의 내에서 가장 발광 강도가 큰 피크의 반치폭은 3nm였다. 또한, 스펙트럼 측정 시의 노광 시간은 20msec로 했다.
이와 같이 하여 제작한 액정 표시 장치에 백화상을 표시시켜, 디스플레이의 정면 및 경사 방향에서 육안으로 관찰을 행해, 무지개 얼룩의 발생에 대하여, 이하와 같이 판정했다. 또한, 관찰 각도는, 디스플레이의 화면의 중심으로부터 법선 방향(수직)으로 그은 선과, 디스플레이 중심과 관찰 시의 눈의 위치를 잇는 선이 이루는 각으로 했다.
◎: 관찰 각도 0∼60도의 범위에서, 무지개 얼룩은 관찰되지 않았다.
○: 관찰 각도 0∼60도의 범위에서, 일부 옅은 무지개 얼룩이 관찰되었다.
×: 관찰 각도 0∼60도의 범위에서, 명확하게 무지개 얼룩이 관찰되었다.
(제조예 1-폴리에스테르 A)
에스테르화 반응관(缶)을 승온하여 200℃에 도달한 시점에서, 테레프탈산을 86.4 질량부 및 에틸렌 글리콜 64.6 질량부를 넣고, 교반하면서 촉매로서 삼산화 안티몬을 0.017 질량부, 초산(酢酸) 마그네슘 4수화물을 0.064 질량부, 트리에틸아민 0.16 질량부를 넣었다. 이어서, 가압 승온을 행하여 게이지압 0.34MPa, 240℃의 조건에서 가압 에스테르화 반응을 행한 후, 에스테르화 반응관을 상압으로 되돌리고, 인산 0.014 질량부를 첨가했다. 또한, 15분에 걸쳐 260℃로 승온하고, 인산트리메틸 0.012 질량부를 첨가했다. 이어서 15분 후에, 고압 분산기로 분산 처리를 행하고, 15분 후, 얻어진 에스테르화 반응 생성물을 중축합 반응관으로 이송하여, 280℃에서 감압하 중축합 반응을 행하였다.
중축합 반응 종료 후, 95% 커트 직경이 5㎛인 나스론제 필터로 여과 처리를 행하고, 노즐로부터 스트랜드상으로 압출하고, 미리 여과 처리(구멍 직경: 1㎛ 이하)를 행한 냉각수를 이용해 냉각, 고화시켜, 펠릿상으로 커트하였다. 얻어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A)의 고유 점도는 0.62dl/g이고, 불활성 입자 및 내부 석출 입자는 실질상 함유하고 있지 않았다.(이후, PET (A)로 약기한다.)
(제조예 2-폴리에스테르 B)
건조시킨 자외선 흡수제(2,2'-(1,4-페닐렌)비스(4H-3,1-벤조옥사진-4-온) 10 질량부,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PET (A)(고유 점도가 0.62dl/g) 90 질량부를 혼합하고, 혼련 압출기를 이용하여,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B)를 얻었다.(이후, PET (B)라고 약기한다.)
(제조예 3-접착성 개질 도포액의 조제)
상법(常法)에 의해 에스테르 교환 반응 및 중축합 반응을 행하여, 디카르복시산 성분으로서(디카르복시산 성분 전체에 대하여) 테레프탈산 46 몰%, 이소프탈산 46 몰% 및 5-술포나토이소프탈산나트륨 8 몰%, 글리콜 성분으로서(글리콜 성분 전체에 대하여) 에틸렌 글리콜 50 몰% 및 네오펜틸 글리콜 50 몰% 조성의 수분산성 술폰산 금속염기 함유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조제했다. 이어서, 물 51.4 질량부, 이소프로필 알코올 38 질량부, n-부틸 셀로솔브 5 질량부,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0.06 질량부를 혼합한 후, 가열 교반하고, 77℃에 도달하면, 상기 수분산성 술폰산 금속염기 함유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5 질량부를 첨가하고, 수지의 덩어리가 없어질 때까지 계속 교반한 후, 수지 수분산액을 상온까지 냉각하여, 고형분 농도 5.0 질량%의 균일한 수분산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액을 얻었다. 또한, 응집체 실리카 입자(후지 실리시아(주)사 제조, 사일리시아 310) 3 질량부를 물 50 질량부에 분산시킨 후, 상기 수분산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액 99.46 질량부에 사일리시아 310의 수분산액 0.54 질량부를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물 20 질량부를 첨가하여, 접착성 개질 도포액을 얻었다.
(실시예 1)
기재(基材) 필름 중간층용 원료로서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PET (A) 수지 펠릿 90 질량부와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한 PET (B) 수지 펠릿 10 질량부를 135℃에서 6시간 감압 건조(1Torr)한 후, 압출기 2(중간층 Ⅱ층용)에 공급하고, 또, PET (A)를 상법에 의해 건조하여 압출기 1(외층 I층 및 외층 Ⅲ층용)에 각각 공급하고, 285℃에서 용해했다. 이 2종의 폴리머를, 각각 스테인리스 소결체의 여재(공칭 여과 정밀도 10㎛ 입자 95% 커트)로 여과하고, 2종 3층 합류 블록으로 적층하여, 구금으로부터 시트상으로 하여 압출한 후, 정전 인가 캐스트법을 이용해 표면 온도 30℃의 캐스팅 드럼에 휘감아 냉각 고화하여, 미연신 필름을 만들었다. 이때, I층, Ⅱ층, Ⅲ층의 두께의 비는 10:80:10이 되도록 각 압출기의 토출량을 조정했다.
이어서, 리버스 롤법에 의해 이 미연신 PET 필름의 양면에 건조 후의 도포량이 0.08g/㎡가 되도록, 상기 접착성 개질 도포액을 도포한 후, 80℃에서 20초간 건조했다.
이 도포층을 형성한 미연신 필름을 텐터 연신기로 유도하여, 필름의 단부를 클립으로 파지하면서, 온도 130℃의 열풍 존으로 유도하고, 폭 방향으로 5.5배가 되도록, 변형 속도 13.8%/sec로 연신했다. 다음으로, 폭 방향으로 연신된 폭을 유지한 채로, 온도 180℃의 열풍 존에서 열처리하고, 추가로 폭 방향으로 3%의 완화 처리를 행하여, 필름 두께 약 60㎛의 1축 배향 PET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작된 미연신 필름을 텐터 연신기로 유도하여, 필름의 단부를 클립으로 파지하면서, 온도 120℃의 열풍 존으로 유도하고, 폭 방향으로 5.5배가 되도록, 변형 속도 18.3%/sec로 연신했다. 다음으로, 폭 방향으로 연신된 폭을 유지한 채로, 온도 180℃의 열풍 존에서 열처리하고, 추가로 폭 방향으로 3%의 완화 처리를 행하여, 필름 두께 약 60㎛의 1축 배향 PET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작된 미연신 필름을 텐터 연신기로 유도하여, 필름의 단부를 클립으로 파지하면서, 온도 118℃의 열풍 존으로 유도하고, 폭 방향으로 5.0배가 되도록, 변형 속도 34.6%/sec로 연신했다. 다음으로, 폭 방향으로 연신된 폭을 유지한 채로, 온도 180℃의 열풍 존에서 열처리하고, 추가로 폭 방향으로 3%의 완화 처리를 행하여, 필름 두께 약 60㎛의 1축 배향 PET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작된 미연신 필름을 텐터 연신기로 유도하여, 필름의 단부를 클립으로 파지하면서, 온도 107℃의 열풍 존으로 유도하고, 폭 방향으로 5.0배가 되도록, 변형 속도 34.6%/sec로 연신했다. 다음으로, 폭 방향으로 연신된 폭을 유지한 채로, 온도 180℃의 열풍 존에서 열처리하고, 추가로 폭 방향으로 3%의 완화 처리를 행하여, 필름 두께 약 60㎛의 1축 배향 PET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5)
두께를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작된 미연신 필름을 텐터 연신기로 유도하여, 필름의 단부를 클립으로 파지하면서, 온도 125℃의 열풍 존으로 유도하고, 폭 방향으로 5.5배가 되도록, 변형 속도 18.3%/sec로 연신했다. 다음으로, 폭 방향으로 연신된 폭을 유지한 채로, 온도 180℃의 열풍 존에서 열처리하고, 추가로 폭 방향으로 3%의 완화 처리를 행하여, 필름 두께 약 50㎛의 1축 배향 PET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6)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작된 미연신 필름을 텐터 연신기로 유도하여, 필름의 단부를 클립으로 파지하면서, 온도 130℃의 열풍 존으로 유도하고, 폭 방향으로 5.5배가 되도록, 변형 속도 13.8%/sec로 연신했다. 다음으로, 폭 방향으로 연신된 폭을 유지한 채로, 온도 200℃의 열풍 존에서 열처리하고, 추가로 폭 방향으로 3%의 완화 처리를 행하여, 필름 두께 약 60㎛의 1축 배향 PET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7)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작된 미연신 필름을 텐터 연신기로 유도하여, 필름의 단부를 클립으로 파지하면서, 온도 120℃의 열풍 존으로 유도하고, 폭 방향으로 6.0배가 되도록, 변형 속도 20.8%/sec로 연신했다. 다음으로, 폭 방향으로 연신된 폭을 유지한 채로, 온도 180℃의 열풍 존에서 열처리하고, 추가로 폭 방향으로 3%의 완화 처리를 행하여, 필름 두께 약 50㎛의 1축 배향 PET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작된 미연신 필름을 텐터 연신기로 유도하여, 필름의 단부를 클립으로 파지하면서, 온도 90℃의 열풍 존으로 유도하고, 폭 방향으로 4.0배가 되도록, 변형 속도 12.5%/sec로 연신했다. 다음으로, 폭 방향으로 연신된 폭을 유지한 채로, 온도 180℃의 열풍 존에서 열처리하고, 추가로 폭 방향으로 3%의 완화 처리를 행하여, 필름 두께 약 60㎛의 1축 배향 PET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작된 미연신 필름을 텐터 연신기로 유도하여, 필름의 단부를 클립으로 파지하면서, 온도 130℃의 열풍 존으로 유도하고, 폭 방향으로 5.5배가 되도록, 변형 속도 13.8%/sec로 연신했다. 다음으로, 폭 방향으로 연신된 폭을 유지한 채로, 온도 240℃의 열풍 존에서 열처리하고, 추가로 폭 방향으로 3%의 완화 처리를 행하여, 필름 두께 약 60㎛의 1축 배향 PET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비교예에서 얻어진 PET 필름에 대하여 측정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pct00001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 편광판 및 편광자 보호 필름이면, 액정 표시 장치의 광 색역화에 의해 백라이트 광원의 발광 스펙트럼을 다양화한 경우라도, 무지개 얼룩을 억제할 수 있다.

Claims (3)

  1.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필름이 하기의 (1) 및 (2)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자 보호 필름:
    (1)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필름이 3000∼30000nm의 리타데이션을 갖는다,
    (2) 400nm 이상 495nm 미만, 495nm 이상 600nm 미만 및 600nm 이상 780nm 이하의 각 파장 영역에 각각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 톱을 갖고, 또한, 형광체로서 K2SiF6:Mn4+를 갖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를 백라이트 광원으로서 갖는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필름을 광원측 편광판의 광원측 보호 필름의 광원측에 겹쳐 첩합(貼合)했을 때에, 관찰 각도 55도에 있어서의 색도 x치의 주기 얼룩의 CTF치가 1.2 이하이다.
  2.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제 1 항에 기재한 편광자 보호 필름이 적층된 편광판.
  3. 백라이트 광원, 2개의 편광판, 및 상기 2개의 편광판의 사이에 배치된 액정 셀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로서, 상기 2개의 편광판 중, 적어도 한쪽이 제 2 항에 기재한 편광판인, 액정 표시 장치.
KR1020217010921A 2018-10-02 2019-09-27 액정 표시 장치, 편광판 및 편광자 보호 필름 KR202100696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87327 2018-10-02
JP2018187327 2018-10-02
PCT/JP2019/038241 WO2020071282A1 (ja) 2018-10-02 2019-09-27 液晶表示装置、偏光板および偏光子保護フィル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9654A true KR20210069654A (ko) 2021-06-11

Family

ID=70054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0921A KR20210069654A (ko) 2018-10-02 2019-09-27 액정 표시 장치, 편광판 및 편광자 보호 필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635653B2 (ko)
EP (1) EP3862799A4 (ko)
JP (1) JP7476794B2 (ko)
KR (1) KR20210069654A (ko)
CN (1) CN112805603B (ko)
TW (1) TWI821425B (ko)
WO (1) WO20200712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9334B1 (ko) * 2021-03-24 2023-09-15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화상 표시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백라이트 광원과 편광판의 조합을 선택하는 방법
WO2022202637A1 (ja) * 2021-03-24 2022-09-29 東洋紡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におけるバックライト光源と偏光板の組合せを選択する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6320A (ja) 2000-10-10 2002-04-19 Konica Corp 光学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偏光板、製造方法、液晶表示装置
JP2004205773A (ja) 2002-12-25 2004-07-22 Konica Minolta Holdings Inc 偏光板、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2004219620A (ja) 2003-01-14 2004-08-05 Konica Minolta Holdings Inc 偏光板保護フィルムとそれを用いた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WO2011162198A1 (ja) 2010-06-22 2011-12-29 東洋紡績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偏光板および偏光子保護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782A (en) 1977-03-28 1978-01-06 Honshu Paper Co Ltd Carton transferring apparatus
JPS589233B2 (ja) 1979-01-24 1983-02-19 三井造船株式会社 石油掘削船
JPS589232B2 (ja) 1979-11-22 1983-02-19 株式会社 利根ボ−リング 拡孔装置
JPH09191A (ja) 1995-06-23 1997-01-07 Q P Jozo Kk 揚物用うち粉及びそれを用いた調味酢漬け揚物の製造方法
JP2002307550A (ja) 2001-04-11 2002-10-23 Toray Ind Inc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
JP2003089152A (ja) 2001-09-17 2003-03-25 Toyobo Co Ltd 一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3589233B2 (ja) 2002-06-04 2004-11-17 東洋紡績株式会社 二軸延伸被覆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ロール
JP3567927B2 (ja) 2002-06-04 2004-09-22 東洋紡績株式会社 易接着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ロール
JP3589232B2 (ja) 2002-06-04 2004-11-17 東洋紡績株式会社 二軸延伸被覆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ロール
KR100785249B1 (ko) 2004-11-29 2007-12-13 도요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 및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 롤
JP3900191B2 (ja) 2004-11-29 2007-04-04 東洋紡績株式会社 積層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および積層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ロール
JP2006318550A (ja) 2005-05-11 2006-11-24 Fuji Photo Film Co Ltd 磁気記録媒体
CN100560353C (zh) 2006-03-28 2009-11-18 日东电工株式会社 硬涂薄膜、硬涂薄膜的制造方法、光学元件及图像显示装置
JP4150982B2 (ja) 2006-10-31 2008-09-17 東洋紡績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及びそれを得るための接着性改質基材フィルム
JP5519217B2 (ja) 2009-08-31 2014-06-11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偏光子支持基材用フィルム
CN103118853B (zh) 2010-09-27 2015-03-18 东丽株式会社 双轴取向聚酯膜和线性磁记录介质
CN103249540B (zh) 2011-02-21 2016-08-31 东丽株式会社 双轴取向聚对苯二甲酸乙二醇酯膜
KR101397702B1 (ko) 2011-12-26 2014-05-22 제일모직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JP6443048B2 (ja) 2012-07-30 2018-12-26 東洋紡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偏光板及び偏光子保護フィルム
JP6201665B2 (ja) 2013-11-13 2017-09-27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並びに発光装置及びカラーフィルターの選択方法
JP2015111207A (ja) 2013-12-06 2015-06-18 東洋紡株式会社 偏光子保護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6169530B2 (ja) * 2014-05-13 2017-07-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WO2016147767A1 (ja) * 2015-03-13 2016-09-22 東レ株式会社 光学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偏光板
JP6965746B2 (ja) * 2015-07-16 2021-11-10 東洋紡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及び偏光板
JP6838284B2 (ja) 2015-08-28 2021-03-03 東レ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製造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2531940B1 (ko) 2015-10-16 2023-05-16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액정 표시 장치 및 편광판
CN108463749B (zh) 2015-11-27 2023-01-10 Skc株式会社 偏振器保护膜、偏振片以及含有其的显示装置
JP2017107152A (ja) 2015-11-30 2017-06-15 東洋紡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6880548B2 (ja) 2015-12-02 2021-06-02 東洋紡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US11204524B2 (en) 2016-01-08 2021-12-21 Dai Nippon Printing Co., Ltd. Image display device
JP6907462B2 (ja) 2016-03-16 2021-07-21 東洋紡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6907463B2 (ja) 2016-03-16 2021-07-21 東洋紡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TWI649591B (zh) * 2016-05-31 2019-02-01 南韓商Skc股份有限公司 偏光件用保護膜、包含該膜之偏光板及具有該偏光板之顯示裝置
JP6874297B2 (ja) 2016-08-18 2021-05-19 東洋紡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6874298B2 (ja) 2016-08-18 2021-05-19 東洋紡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102040293B1 (ko) 2016-08-29 2019-11-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1955768B1 (ko) * 2016-11-02 2019-03-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TWI750280B (zh) * 2016-12-14 2021-12-21 日商東洋紡股份有限公司 液晶顯示裝置、偏光板及偏光鏡保護膜
KR102307182B1 (ko) * 2017-02-28 2021-09-30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액정 표시 장치
WO2018159568A1 (ja) 2017-02-28 2018-09-07 東洋紡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WO2018181653A1 (ja) 2017-03-31 2018-10-04 東洋紡株式会社 偏光子保護フィルム、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CN110446954B (zh) * 2017-03-31 2021-12-17 东洋纺株式会社 液晶显示装置、偏光板和偏振片保护膜
JP7243126B2 (ja) 2017-10-25 2023-03-22 東洋紡株式会社 偏光子保護フィルム、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6320A (ja) 2000-10-10 2002-04-19 Konica Corp 光学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偏光板、製造方法、液晶表示装置
JP2004205773A (ja) 2002-12-25 2004-07-22 Konica Minolta Holdings Inc 偏光板、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2004219620A (ja) 2003-01-14 2004-08-05 Konica Minolta Holdings Inc 偏光板保護フィルムとそれを用いた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WO2011162198A1 (ja) 2010-06-22 2011-12-29 東洋紡績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偏光板および偏光子保護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821425B (zh) 2023-11-11
EP3862799A4 (en) 2022-10-05
CN112805603B (zh) 2023-10-20
CN112805603A (zh) 2021-05-14
EP3862799A1 (en) 2021-08-11
JP7476794B2 (ja) 2024-05-01
JPWO2020071282A1 (ja) 2021-09-02
TW202036047A (zh) 2020-10-01
WO2020071282A1 (ja) 2020-04-09
US20210389626A1 (en) 2021-12-16
US11635653B2 (en) 2023-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72519B2 (ja) 液晶表示装置、偏光板および偏光子保護フィルム
JP7396402B2 (ja) 液晶表示装置、偏光板および偏光子保護フィルム
JP7205527B2 (ja) 液晶表示装置
WO2016068102A1 (ja) 液晶表示装置及び偏光板
KR102343137B1 (ko) 액정 표시 장치, 편광판 및 편광자 보호 필름
KR20220027274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편광판
JP6032385B1 (ja) 液晶表示装置
JP7476794B2 (ja) 液晶表示装置、偏光板および偏光子保護フィルム
KR102353531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편광판
JP2016157117A (ja) 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