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7274A - 액정 표시 장치 및 편광판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 및 편광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7274A
KR20220027274A KR1020227005518A KR20227005518A KR20220027274A KR 20220027274 A KR20220027274 A KR 20220027274A KR 1020227005518 A KR1020227005518 A KR 1020227005518A KR 20227005518 A KR20227005518 A KR 20227005518A KR 20220027274 A KR20220027274 A KR 20220027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polyester film
liquid crystal
polarizer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5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1923B1 (ko
Inventor
쇼타 하야카와
고이치 무라타
야스시 사사키
유키노부 무코야마
Original Assignee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27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7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1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19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02F1/133531Polaris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polariser or analyser ax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3Direct backlight with LE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청색 영역(400㎚ 이상 495㎚ 미만), 녹색 영역(495㎚ 이상 600㎚ 미만) 및 적색 영역(600㎚ 이상 780㎚ 이하)의 각 파장 영역에 각각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 톱을 갖고, 적색 영역(600㎚ 이상 780㎚ 이하)에 있어서의 피크의 반값폭이 비교적 좁은 백라이트 광원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한 경우에도, 무지개 얼룩이 억제된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백라이트 광원, 2개의 편광판 및 상기 2개의 편광판 사이에 배치된 액정 셀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로서, 상기 백라이트 광원은, 400㎚ 이상 495㎚ 미만, 495㎚ 이상 600㎚ 미만 및 600㎚ 이상 780㎚ 이하의 각 파장 영역에 각각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 톱을 갖고, 또한 600㎚ 이상 780㎚ 이하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 가장 피크 강도가 높은 피크의 반값폭이 5㎚ 미만인 발광 스펙트럼을 갖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이고, 상기 편광판 중 적어도 한쪽 편광판은,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 면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적층된 것이고, 상기 편광자의 투과축과 평행한 방향의,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절률이 1.53 내지 1.62인 액정 표시 장치.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 및 편광판{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POLARIZING PLATE}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 및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무지개 형상의 색 얼룩의 발생이 경감된 액정 표시 장치 및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LCD)에 사용되는 편광판은, 통상 폴리비닐알코올(PVA) 등에 요오드를 염착시킨 편광자를 2매의 편광자 보호 필름 사이에 끼운 구성이며,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는 통상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근년, LCD의 박형화에 수반하여, 편광판의 박층화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이를 위해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되고 있는 TAC 필름의 두께를 얇게 하면, 충분한 기계 강도를 얻을 수 없고, 또한 투습성이 악화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TAC 필름은 매우 고가여서, 저렴한 대체 소재로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제안되어 있지만(특허문헌 1 내지 3), 무지개 형상의 색 얼룩이 관찰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편광자의 편측에 복굴절성을 갖는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배치한 경우, 백라이트 유닛 또는 편광자로부터 출사된 직선 편광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통과할 때 편광 상태가 변화한다. 투과한 광은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복굴절과 두께의 곱인 리타데이션에 특유의 간섭색을 나타낸다. 그 때문에, 광원으로서 냉음극관이나 열음극관 등 불연속의 발광 스펙트럼을 사용하면, 파장에 따라 상이한 투과광 강도를 나타내어, 무지개 형상의 색 얼룩이 된다(참조: 제15회 마이크로 옵티컬 컨퍼런스 예고집, 제30 내지 31면).
상기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백라이트 광원으로서 백색 발광 다이오드와 같은 연속적이며 폭넓은 발광 스펙트럼을 갖는 백색 광원을 사용하고, 또한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일정한 리타데이션을 갖는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4). 백색 발광 다이오드는, 가시광 영역에서 연속적이며 폭넓은 발광 스펙트럼을 갖는다. 그 때문에, 복굴절체를 투과한 투과광에 의한 간섭색 스펙트럼의 포락선 형상에 착안하면,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리타데이션을 제어함으로써, 광원의 발광 스펙트럼과 닮은 스펙트럼이 얻어져, 무지개 얼룩의 억제가 가능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배향 방향과 편광판의 편광 방향을 직교 혹은 평행하게 함으로써, 편광자로부터 출사된 직선 편광은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통과해도 편광 상태를 유지한 채 통과하게 된다. 또한,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복굴절을 제어하여 1축 배향성을 높임으로써, 경사 방향으로부터 입사하는 광도 편광 상태를 유지한 채 통과하게 된다.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비스듬히 보면, 바로 위에서 보았을 때와 비교해서 배향 주축 방향으로 어긋남이 발생하지만, 1축 배향성이 높으면 비스듬히 보았을 때의 배향 주축 방향의 어긋남이 작아진다. 이 때문에, 직선 편광의 방향과 배향 주축 방향의 어긋남이 작아져서, 편광 상태의 변화가 발생하기 어려워져 있다고 생각된다. 이와 같이, 광원의 발광 스펙트럼과 복굴절체의 배향 상태, 배향 주축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편광 상태의 변화가 억제되어, 무지개 형상의 색 얼룩이 발생하지 않아, 시인성이 현저하게 개선된다고 생각되었다.
일본특허공개 제2002-116320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제2004-219620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제2004-205773호 공보 WO2011/162198
근년 액정 표시 장치의 색 영역 확대 요구의 점증으로부터, 청색 영역(400㎚ 이상 495㎚ 미만), 녹색 영역(495㎚ 이상 600㎚ 미만) 및 적색 영역(600㎚ 이상 780㎚ 이하)의 각 파장 영역에 각각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 톱을 갖고, 적색 영역(600㎚ 이상 780㎚ 이하)에 있어서의 피크의 반값폭이 비교적 좁은(5㎚ 미만) 발광 스펙트럼을 갖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예를 들어, 청색 발광 다이오드와, 형광체로서 적어도 K2SiF6:Mn4+ 등의 불화물 형광체를 갖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 등)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광원을 사용한 액정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한 편광판을 사용해서 액정 표시 장치를 공업적으로 생산하는 경우, 편광자의 투과축과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진상축의 방향은, 통상 서로 수직이 되도록 배치된다. 이것은, 편광자인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은 세로 1축 연신을 해서 제조되는데, 그 보호 필름인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세로 연신한 후 가로 연신을 해서 제조되기 때문에, 폴리에스테르 필름 배향 주축 방향은 가로 방향이 되어, 이들 긴 물체를 접합해서 편광판이 제조되면,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진상축과 편광자의 투과축은 통상 수직 방향이 되기 때문이다. 이 경우,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 특정한 리타데이션을 갖는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하고, 백라이트 광원으로서 예를 들어, 청색 발광 다이오드와 이트륨·알루미늄·가닛계 황색 형광체를 조합한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백색 LED로 대표되는, 연속적이며 폭넓은 발광 스펙트럼을 갖는 광원을 사용함으로써, 무지개 형상의 색 얼룩은 대폭 개선되기는 하지만, 적색 영역(600㎚ 이상 780㎚ 이하)에 있어서의 피크의 반값폭이 비교적 좁은(5㎚ 미만) 발광 스펙트럼을 갖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광원을 사용한 경우, 여전히 무지개 얼룩이 발생한다고 하는 새로운 과제가 존재함을 발견했다.
즉, 본 발명의 과제는, 청색 영역(400㎚ 이상 495㎚ 미만), 녹색 영역(495㎚ 이상 600㎚ 미만) 및 적색 영역(600㎚ 이상 780㎚ 이하)의 각 파장 영역에 각각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 톱을 갖고, 적색 영역(600㎚ 이상 780㎚ 이하)에 있어서의 피크의 반값폭이 비교적 좁은(5㎚ 미만) 발광 스펙트럼을 갖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광원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한 경우에도, 무지개 얼룩이 억제된 액정 표시 장치 및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대표적인 본 발명은 이하와 같다.
항 1.
백라이트 광원, 2개의 편광판 및 상기 2개의 편광판 사이에 배치된 액정 셀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로서,
상기 백라이트 광원은, 400㎚ 이상 495㎚ 미만, 495㎚ 이상 600㎚ 미만 및 600㎚ 이상 780㎚ 이하의 각 파장 영역에 각각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 톱을 갖고, 또한 600㎚ 이상 780㎚ 이하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 가장 피크 강도가 높은 피크의 반값폭이 5㎚ 미만인 발광 스펙트럼을 갖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이고,
상기 편광판 중 적어도 한쪽 편광판은,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 면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적층된 것이고, 상기 편광자의 투과축과 평행한 방향의,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절률이 1.53 내지 1.62인,
액정 표시 장치.
항 2.
상기 백라이트 광원의 발광 스펙트럼은,
400㎚ 이상 495㎚ 미만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 가장 피크 강도가 높은 피크의 반값폭이 5㎚ 이상이고,
495㎚ 이상 600㎚ 미만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 가장 피크 강도가 높은 피크의 반값폭이 5㎚ 이상인,
항 1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항 3.
상기 편광자의 투과축 방향에 있어서의 굴절률과, 상기 편광자의 투과축과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절률의 차가 0.12 이하인, 항 1 또는 2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항 4.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 면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적층된 편광판으로서,
상기 편광자의 투과축과 평행한 방향의,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절률이 1.53 내지 1.62인,
400㎚ 이상 495㎚ 미만, 495㎚ 이상 600㎚ 미만 및 600㎚ 이상 780㎚ 이하의 각 파장 영역에 각각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 톱을 갖고, 또한 600㎚ 이상 780㎚ 이하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 가장 피크 강도가 높은 피크의 반값폭이 5㎚ 미만인 발광 스펙트럼을 갖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광원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용 편광판.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 및 편광판은, 어느 관찰 각도에 있어서도 무지개 형상의 색 얼룩의 발생이 유의미하게 억제된 양호한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는, 백라이트 광원에 대향하는 측으로부터 화상을 표시하는 측(시인측)을 향하는 순서대로, 후면 모듈, 액정 셀 및 전면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후면 모듈 및 전면 모듈은, 일반적으로, 투명 기판과, 그 액정 셀측 표면에 형성된 투명 도전막과, 그 반대측에 배치된 편광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편광판은, 후면 모듈에서는, 백라이트 광원에 대향하는 측에 배치되고, 전면 모듈에서는, 화상을 표시하는 측(시인측)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는 적어도, 백라이트 광원, 2개의 편광판 및 상기 2개의 편광판 사이에 배치된 액정 셀을 구성 부재로 한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는, 백라이트 광원, 편광판, 액정 셀 이외에 다른 구성, 예를 들어 컬러 필터, 렌즈 필름, 확산 시트, 반사 방지 필름 등을 적절히 갖고 있어도 상관없다. 광원측 편광판과 백라이트 광원 사이에, 휘도 향상 필름을 설치해도 된다. 휘도 향상 필름으로서는, 예를 들어 한쪽의 직선 편광을 투과하고, 그것과 직교하는 직선 편광을 반사하는 반사형 편광판을 들 수 있다. 반사형 편광판으로서는, 예를 들어 스미또모 쓰리엠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의 DBEF(등록상표)(Dual Brightness Enhancement Film) 시리즈의 휘도 향상 필름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또한, 반사형 편광판은 통상, 반사형 편광판의 흡수축과 광원측 편광판의 흡수축이 평행해지도록 배치된다.
액정 표시 장치 내에 배치되는 2개의 편광판 중 적어도 한쪽 편광판은, 폴리비닐알코올(PVA) 등에 요오드를 염착시킨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 면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적층된 것이다. 편광자의 투과축과 평행한 방향의,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절률은 1.53 내지 1.62인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자의 다른 쪽 면에는, TAC 필름이나 아크릴 필름, 노르보르넨계 필름으로 대표되는 복굴절이 없는 필름이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3층 구성의 편광판), 반드시 편광자의 다른 쪽 면에 필름이 적층될 필요는 없다(2층 구성의 편광판). 또한, 편광자의 양측의 보호 필름으로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사용되는 경우, 양쪽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지상축은 서로 대략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자는 당해 기술 분야에 있어서 사용되는 임의의 편광자(편광 필름)를 적절히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대표적인 편광자로서는,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등에 요오드 등의 2색성 재료를 염착시킨 것을 들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지 및 금후 개발될 수 있는 편광자를 적절히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PVA 필름은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쿠라레 비닐론((주)쿠라레 제조)」, 「도셀로 비닐론(도셀로(주) 제조)], 「니치고 비닐론(닛폰 고세이 가가꾸(주) 제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2색성 재료로서는 요오드, 디아조 화합물, 폴리메틴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편광자는 임의의 방법으로 얻을 수 있고, 예를 들어 PVA 필름을 2색성 재료로 염착시킨 것을 붕산 수용액 중에서 1축 연신하고, 연신 상태를 유지한 채 세정 및 건조를 행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1축 연신의 연신 배율은, 통상 4 내지 8배 정도이지만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제조 조건 등은 공지된 방법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백라이트의 구성으로서는, 도광판이나 반사판 등을 구성 부재로 하는 에지 라이트 방식이든, 직하형 방식이든 무방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 광원으로서, 400㎚ 이상 495㎚ 미만, 495㎚ 이상 600㎚ 미만 및 600㎚ 이상 780㎚ 이하의 각 파장 영역에 각각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 톱을 갖고, 또한 600㎚ 이상 780㎚ 이하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 가장 피크 강도가 높은 피크의 반값폭이 5㎚ 미만인 발광 스펙트럼을 갖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광원이 바람직하다. 600㎚ 이상 780㎚ 이하의 파장 영역에서 가장 높은 피크 강도를 갖는 피크의 반값폭의 상한은 5㎚ 미만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미만이다. 하한은 1㎚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상이다. 피크의 반값폭이 5㎚ 미만이면 액정 표시 장치의 색 영역이 넓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피크의 반값폭이 1㎚ 미만이면 발광 효율이 나빠질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요구되는 색 영역과 발광 효율의 밸런스로부터 발광 스펙트럼의 형상이 설계된다. 또한, 여기서, 반값폭이란, 피크 톱의 파장에 있어서의 피크 강도의 1/2의 강도에 있어서의 피크 폭(㎚)이다.
상술한 특징을 갖는 발광 스펙트럼을 갖는 백라이트 광원의 LCD에 대한 적용은, 근년의 색 영역 확대 요구의 점증으로부터 주목받고 있는 기술이다.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백색 LED(예를 들어, 청색 발광 다이오드와 이트륨·알루미늄·가닛계 황색 형광체를 조합한 발광 소자)를 백라이트 광원으로서 사용하는 LED에서는, 인간의 눈이 인식 가능한 스펙트럼의 20%정도밖에 색을 재현할 수 없다. 이에 반해 상술한 특징을 갖는 발광 스펙트럼을 갖는 백라이트 광원을 사용한 경우, 60% 이상의 색을 재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고 할 수 있다.
상기 400㎚ 이상 495㎚ 미만의 파장 영역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430㎚ 이상 470㎚ 이하이다. 상기 495㎚ 이상 600㎚ 미만의 파장 영역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510㎚ 이상 560㎚ 이하이다. 상기 600㎚ 이상 780㎚ 이하의 파장 영역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600㎚ 이상 700㎚ 이하이고,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610㎚ 이상 680㎚ 이하이다.
발광 스펙트럼의 400㎚ 이상 495㎚ 미만, 495㎚ 이상 600㎚ 미만의 각 파장 영역의 피크 톱에 있어서의 피크 반값폭(각 파장 영역에서 가장 높은 피크 강도를 갖는 피크의 반값폭)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400㎚ 이상 495㎚ 미만의 파장 영역에서 가장 높은 피크 강도를 갖는 피크의 반값폭이 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95㎚ 이상 600㎚ 미만의 파장 영역에서 가장 높은 피크 강도를 갖는 피크의 반값폭이 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적정한 색 영역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400㎚ 이상 495㎚ 미만, 495㎚ 이상 600㎚ 미만의 각 파장 영역의 피크 톱에 있어서의 피크 반값폭(각 파장 영역에서 가장 높은 피크 강도를 갖는 피크의 반값폭)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14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2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이하이고,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이하이다.
상술한 특징을 갖는 발광 스펙트럼을 갖는 백색 광원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청색 발광 다이오드와 형광체를 조합한 형광체 방식의 백색 발광 다이오드를 들 수 있다. 상기 형광체 중 적색 형광체로서는, 예를 들어 조성식이 K2SiF6:Mn4+인 불화물 형광체(「KSF」라고도 한다), 기타가 예시된다. Mn4+ 부활 불화물 착체 형광체는, Mn4+를 부활제, 알칼리 금속, 아민 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불화물 착체염을 모체 결정으로 하는 형광체이다. 모체 결정을 형성하는 불화물 착체에는, 배위 중심이 3가 금속(B, Al, Ga, In, Y, Sc, 란타노이드)인 것, 4가 금속(Si, Ge, Sn, Ti, Zr, Re, Hf)인 것, 5가 금속(V, P, Nb, Ta)인 것이 있고, 그 주위에 배위하는 불소 원자의 수는 5 내지 7이다.
Mn4+ 부활 불화물 착체 형광체의 적합예로서는, A2[MF6]:Mn(A는 Li, Na, K, Rb, Cs, NH4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M은 Ge, Si, Sn, Ti, Zr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E[MF6]:Mn(E는 Mg, Ca, Sr, Ba, Zn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M은 Ge, Si, Sn, Ti, Zr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Ba0.65, Zr0.35F2.70:Mn, A3[ZrF7]:Mn(A는 Li, Na, K, Rb, Cs, NH4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A2[MF5]:Mn(A는 Li, Na, K, Rb, Cs, NH4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M은 Al, Ga, In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A3[MF6]:Mn(A는 Li, Na, K, Rb, Cs, NH4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M은 Al, Ga, In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Zn2[MF7]:Mn(M은 Al, Ga, In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A[In2F7]:Mn(A는 Li, Na, K, Rb, Cs, NH4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등이 있다.
바람직한 Mn4+ 부활 불화물 착체 형광체의 하나는, 알칼리 금속의 헥사플루오로 착체염을 모체 결정으로 하는 A2MF6:Mn(A는 Li, Na, K, Rb, Cs, NH4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M은 Ge, Si, Sn, Ti, Zr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다. 그 중에서도 바람직한 것은, A가 K(칼륨) 또는 Na(나트륨)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M이 Si(규소) 또는 Ti(티타늄)인 것이다. 그 중에서도 특히, A가 K이고(A 전량에서 차지하는 K의 비율이 99몰% 이상), M이 Si인 것이 바람직하다. 부활 원소는 Mn(망간)이 100%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부활 원소의 전량에 대하여 10몰% 미만의 범위에서 Ti, Zr, Ge, Sn, Al, Ga, B, In, Cr, Fe, Co, Ni, Cu, Nb, Mo, Ru, Ag, Zn, Mg 등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M이 Si인 경우, Si와 Mn의 합계에 있어서의 Mn의 비율은, 0.5몰%∼10몰%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바람직한 Mn4+ 부활 불화물 착체 형광체로서, 화학식 A2+xMyMnzFn(A는 Na 및 K; M은 Si 및 Al; -1≤x≤1 또한 0.9≤y+z≤1.1 또한 0.001≤z≤0.4 또한 5≤n≤7)으로 표현되는 것을 들 수 있다.
백라이트 광원에는, 청색 발광 다이오드와 형광체로서 적어도 불화물 형광체를 갖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가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청색 발광 다이오드와 형광체로서 적어도 K2SiF6:Mn4+인 불화물 형광체를 갖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이다. 예를 들어, 니치아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의 백색 LED인 NSSW306FT 등의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형광체 중 녹색 형광체로서는, 예를 들어 β-SiAlON:Eu 등을 기본 조성으로 하는 사이알론계 형광체, (Ba,Sr)2SiO4:Eu 등을 기본 조성으로 하는 실리케이트계 형광체, 기타가 예시된다.
또한, 400㎚ 이상 495㎚ 미만의 파장 영역, 495㎚ 이상 600㎚ 미만의 파장 영역, 또는 600㎚ 이상 780㎚ 이하의 파장 영역 중 어느 것인가의 파장 영역에서, 복수의 피크가 존재하는 경우는 이하와 같이 생각된다.
복수의 피크가, 각각 독립된 피크인 경우, 가장 피크 강도가 높은 피크의 반값폭이 상기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장 높은 피크 강도의 70% 이상의 강도를 갖는 다른 피크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반값폭이 상기 범위가 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양태이다.
복수의 피크가 겹쳐진 형상을 갖는 1개의 독립된 피크에 대해서는, 복수의 피크 중 가장 피크 강도가 높은 피크의 반값폭을 그대로 측정할 수 있는 경우에는, 그 반값폭을 사용한다. 여기서, 독립된 피크란, 피크의 단파장측, 장파장측의 양쪽에 피크 강도의 1/2이 되는 강도의 영역을 갖는 것이다. 즉, 복수의 피크가 겹쳐지고, 개개의 피크가 그 양측에 피크 강도의 1/2이 되는 강도의 영역을 갖지 않은 경우에는, 그 복수의 피크를 전체로서 1개의 피크라 간주한다. 이와 같은, 복수의 피크가 겹쳐진 형상을 갖는 1개의 피크는, 그 중 가장 높은 피크 강도의 1/2의 강도에 있어서의 피크의 폭(㎚)을 반값폭으로 한다.
또한, 복수의 피크 중 가장 피크 강도가 높은 피크를 피크 톱으로 한다.
또한, 400㎚ 이상 495㎚ 미만의 파장 영역, 495㎚ 이상 600㎚ 미만의 파장 영역, 또는 600㎚ 이상 780㎚ 이하의 파장 영역의 각각의 파장 영역에서 가장 높은 피크 강도를 갖는 피크는 다른 파장 영역의 피크와는 서로 독립된 관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495㎚ 이상 600㎚ 미만의 파장 영역에서 가장 높은 피크 강도를 갖는 피크와, 600㎚ 이상 780㎚ 이하의 영역에서 가장 높은 피크 강도를 갖는 피크 사이의 파장 영역에는, 강도가 600㎚ 이상 780㎚ 이하의 파장 영역의 가장 높은 피크 강도를 갖는 피크의 피크 강도의 1/3이 되는 영역이 존재하는 것이 색채의 선명성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백라이트 광원의 발광 스펙트럼은, 하마마츠 포토닉스 제조 멀티 채널 분광기 PMA-12 등의 분광기를 사용함으로써 측정이 가능하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상술한 백라이트 광원과 같이, 청색 영역(400㎚ 이상 495㎚ 미만), 녹색 영역(495㎚ 이상 600㎚ 미만) 및 적색 영역(600㎚ 이상 780㎚ 이하)의 각 파장 영역에 각각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 톱을 갖고, 적색 영역(600㎚ 이상 780㎚ 이하)에 있어서의 피크의 반값폭이 5㎚ 미만으로 비교적 좁은 백색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광원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한 편광판을 사용한 경우에도, 편광판을 구성하는 편광자의 투과축과 평행한 방향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절률이 1.53 이상 1.62 이하의 범위에 있으면, 유위하게 무지개 얼룩을 억제할 수 있음을 알아내었다. 상기 양태에 의해 무지개 형상의 색 얼룩의 발생이 억제되는 기구로서는, 다음과 같이 생각된다.
편광자의 편측에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배치한 경우, 백라이트 유닛 또는 편광자로부터 출사된 직선 편광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통과할 때에 편광 상태가 변화한다. 편광 상태가 변화하는 요인 중 하나로, 공기층과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계면에 있어서의 굴절률차, 또는 편광자와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계면에 있어서의 굴절률차가 영향을 주고 있을 가능성이 생각된다.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입사한 직선 편광이, 각 계면을 통과할 때에, 계면에 있어서의 굴절률차에 의해 광의 일부가 반사된다. 이때에 출사광, 반사광도 편광 상태가 변화하여, 이것이 무지개 형상의 색 얼룩이 발생하는 요인 중 하나가 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이 때문에, 입사하는 직선 편광의 편광 방향(투과축 방향)에 있어서의, 공기층과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절률차 및 편광자와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절률차를 작게 함으로써, 각 계면에서의 반사가 억제되어서, 무지개 형상의 색 얼룩이 억제된다고 생각된다. 입사하는 직선 편광의 편광 방향(투과축 방향)에 있어서의, 공기층과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절률차 및 편광자와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절률차를 작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투과축과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절률을 1.53 내지 1.62 정도로 낮게 조절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청색 영역(400㎚ 이상 495㎚ 미만), 녹색 영역(495㎚ 이상 600㎚ 미만) 및 적색 영역(600㎚ 이상 780㎚ 이하)의 각 파장 영역에 각각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 톱을 갖고, 적색 영역(600㎚ 이상 780㎚ 이하)에 있어서의 피크의 반값폭이 5㎚ 미만으로 비교적 좁은 백색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광원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한 편광판을 사용해도, 무지개 형상의 색 얼룩이 발생하지 않고, 양호한 시인성을 갖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편광판에는,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 면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자 보호 필름을 적층한다. 편광자의 투과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절률은 1.53 이상 1.62 이하의 범위가 되도록 낮게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공기층과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계면, 편광자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계면에 있어서의 반사를 억제하여, 무지개 형상의 색 얼룩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굴절률이 1.62를 초과하면, 경사 방향에서 관찰했을 때에 무지개 형상의 색 얼룩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1.61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60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9 이하이고,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58 이하이다.
한편, 굴절률의 하한값은 1.53이다. 굴절률이 1.53 미만이 되면,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결정화가 불충분해져서, 치수 안정성, 역학 강도, 내약품성 등의 연신에 의해 얻어지는 특성이 불충분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바람직하게는 1.54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56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57 이상이다.
편광자의 투과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절률을 1.53 이상 1.62 이하의 범위로 설정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편광판은, 편광자의 투과축과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진상축(지상축과 수직 방향)이 대략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진상축 방향(지상축과 수직 방향)의 굴절률은, 후술하는 제막 공정에서의 연신 처리에 의해, 1.53 내지 1.62의 범위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진상축 방향과 편광자의 투과축 방향을 대략 평행으로 함으로써, 편광자의 투과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굴절률이 1.53 내지 1.62인 편광판을 제조할 수 있다. 여기에서 대략 평행하다고 하는 것은, 편광자의 투과축과 편광자 보호 필름의 진상축이 이루는 각이, 바람직하게는 -15°내지 15°, 보다 바람직하게는 -10°내지 10°,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3°내지 3°,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2°내지 2°, 특히 바람직하게는 -1°내지 1°인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대략 평행이란 실질적으로 평행이다. 여기에서 실질적으로 평행하다고 하는 것은, 편광자와 보호 필름을 접합할 때에 불가피적으로 발생하는 어긋남을 허용하는 정도로 투과축과 진상축이 평행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상축의 방향은, 분자 배향계(예를 들어, 오지 게이소꾸기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MOA-6004형 분자 배향계)로 측정해서 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은 1.53 이상 1.62 이하가 바람직하고, 편광자의 투과축과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진상축을 대략 평행해지도록 적층함으로써, 편광자의 투과축과 평행한 방향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절률이 1.53 이상 1.62 이하인 편광판을 제조할 수 있다.
편광판을 구성하는 편광자의 투과축 방향에 있어서의 굴절률과, 편광자의 투과축과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절률의 차가 0.1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바람직하게는 0.10 이하, 바람직하게는 0.09 이하, 바람직하게는 0.08 이하, 바람직하게는 0.07 이하, 바람직하게는 0.06 이하, 바람직하게는 0.05 이하이다. 굴절률 차가 작을수록, 폴리에스테르 필름 계면에서의 반사를 억제하여, 무지개 얼룩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하한은 0이다.
편광자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PVA) 등에 요오드를 염착시킨 것 등, 종래 공지된 편광자를 사용할 수 있다. 편광자의 투과축 방향에 있어서의 굴절률은, 바람직하게는 1.41 내지 1.56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44 내지 1.55이고,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47 내지 1.54이다.
또한, 편광자 보호 필름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1500 내지 30000㎚의 리타데이션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타데이션이 상기 범위에 있으면, 보다무지개 얼룩이 저감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리타데이션의 하한값은 3000㎚, 이어서 바람직한 하한값은 3500㎚, 보다 바람직한 하한값은 4000㎚, 더욱 바람직한 하한값은 6000㎚, 보다 더 바람직한 하한값은 8000㎚이다. 바람직한 상한은 30000㎚이고, 이 이상의 리타데이션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에서는 두께가 상당히 커져서, 공업 재료로서의 취급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리타데이션은, 필름 상의 직교하는 2축 방향의 굴절률과 두께를 측정해서 구할 수도 있고, KOBRA-21ADH(오지 게이소꾸 기끼 가부시키가이샤)라고 하는 시판 중인 자동 복굴절 측정 장치를 사용해서 구할 수도 있다. 또한, 굴절률은 아베 굴절률계(측정 파장 589㎚)에 의해 구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리타데이션(Re: 면내 리타데이션)과 두께 방향의 리타데이션(Rth)의 비(Re/Rth)는, 바람직하게는 0.2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6 이상이다. 상기 리타데이션과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의 비(Re/Rth)가 클수록, 복굴절의 작용은 등방성을 늘려서, 관찰 각도에 따른 무지개 형상의 색 얼룩의 발생이 발생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완전한 1축성(1축 대칭) 필름에서는 상기 리타데이션과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의 비(Re/Rth)는 2.0이 되기 때문에, 상기 리타데이션과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의 비(Re/Rth)의 상한은 2.0이 바람직하다. 또한, 두께 방향 위상차는, 필름을 두께 방향 단면에서 보았을 때의 2개의 복굴절 △Nxz, △Nyz에 각각 필름 두께 d를 곱해서 얻어지는 위상차의 평균을 의미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자 보호 필름은, 입사광측(광원측)과 출사광측(시인측)의 양쪽의 편광판에 사용할 수 있다. 입사광측에 배치되는 편광판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자 보호 필름은, 그 편광자를 기점으로 해서 입사광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액정 셀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양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되지만, 적어도 입사광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사광측에 배치되는 편광판에 대해서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자 보호 필름은, 그 편광자를 기점으로 해서 액정측에 배치되어도 되고, 출사광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양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되지만, 적어도 출사광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지만, 다른 공중합 성분을 포함해도 상관없다. 이들 수지는 투명성이 우수함과 함께, 열적, 기계적 특성도 우수하며, 연신 가공에 의해 용이하게 리타데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고유 복굴절이 커서, 필름을 연신함으로써 진상축(지상축 방향과 수직) 방향의 굴절률을 낮게 억제할 수 있는 점, 및 필름의 두께가 얇아도 비교적 용이하게 큰 리타데이션이 얻어지는 점에서, 가장 적합한 소재이다.
또한, 요오드 색소 등의 광학 기능성 색소의 열화를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파장 380㎚의 광선 투과율이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380㎚의 광선 투과율은 1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5%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광선 투과율이 20% 이하이면, 광학 기능성 색소의 자외선에 의한 변질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투과율은, 필름의 평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측정한 것이고, 분광 광도계(예를 들어, 히타치 U-3500형)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파장 380㎚의 투과율을 20% 이하로 하기 위해서는, 자외선 흡수제의 종류, 농도 및 필름의 두께를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자외선 흡수제는 공지된 물질이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와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들 수 있지만, 투명성의 관점에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바람직하다.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벤조트리아졸계, 벤조페논계, 환상 이미노에스테르계 등, 및 그의 조합을 들 수 있지만 상술한 흡광도의 범위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내구성의 관점에서는 벤조트리아졸계, 환상 이미노에스테르계가 특히 바람직하다. 2종 이상의 자외선 흡수제를 병용한 경우에는, 각각의 파장의 자외선을 동시에 흡수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자외선 흡수 효과를 개선시킬 수 있다.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아크릴로니트릴계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어 2-[2'-히드록시-5'-(메타크릴로일옥시메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페닐]-2H-벤조트리아졸, 2,2'-디히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2,2',4,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2,4-디-tert-부틸-6-(5-클로로벤조트리아졸-2-일)페놀, 2-(2'-히드록시-3'-ter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2-일)-4-메틸-6-(tert-부틸)페놀, 2,2'-메틸렌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6-(2H-벤조트리아졸-2-일)페놀 등을 들 수 있다. 환상 이미노에스테르계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어 2,2'-(1,4-페닐렌)비스(4H-3,1-벤조옥사지논-4-온), 2-메틸-3,1-벤조옥사진-4-온, 2-부틸-3,1-벤조옥사진-4-온, 2-페닐-3,1-벤조옥사진-4-온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특별히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자외선 흡수제 이외에, 본 발명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촉매 이외의 각종 첨가제를 함유시키는 것도 바람직한 양태이다. 첨가제로서, 예를 들어 무기 입자, 내열성 고분자 입자, 알칼리 금속 화합물, 알칼리 토금속 화합물, 인 화합물, 대전 방지제, 내광제, 난연제, 열 안정제, 산화 방지제, 겔화 방지제,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높은 투명성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실질적으로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것도 바람직하다. 「입자를 실질적으로 함유시키지 않는다」는 것은, 예를 들어 무기 입자의 경우, 형광 X선 분석으로 무기 원소를 정량한 경우에 50ppm 이하, 바람직하게는 10ppm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검출 한계 이하가 되는 함유량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편광자 보호 필름인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표면에는, 반사 방지나 번쩍임 억제, 흠집 억제 등을 목적으로 하여, 다양한 기능층, 즉 하드 코트층, 방현층, 반사 방지층 등을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한 양태이다. 다양한 기능층을 설치할 때,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그 표면에 이(易)접착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 반사광에 의한 간섭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이접착층의 굴절률을, 기능층의 굴절률과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절률의 상승평균 근방이 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접착층의 굴절률의 조정은 공지된 방법을 채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결합제 수지에, 티타늄이나 게르마늄, 그 밖의 금속종을 함유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에는, 편광자와의 접착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 코로나 처리, 코팅 처리나 화염 처리 등을 실시하거나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편광자와의 접착성을 개량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또는 폴리아크릴 수지 중 적어도 1종류를 주성분으로 하는 이접착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주성분」이란 이접착층을 구성하는 고형 성분 중 50질량% 이상인 성분을 말한다. 본 발명의 이접착층 형성에 사용하는 도포액은,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및 폴리우레탄 수지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수성 도포액이 바람직하다. 이들 도포액으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특허 제3567927호 공보, 일본특허 제3589232호 공보, 일본특허 제3589233호 공보, 일본특허 제3900191호 공보, 일본특허 제4150982호 공보 등에 개시된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용액, 아크릴 수지 용액, 폴리우레탄 수지 용액 등을 들 수 있다.
이접착층은, 상기 도포액을 세로 방향의 1축 연신 필름의 편면 또는 양면에 도포한 후, 100 내지 150℃에서 건조하고, 추가로 가로 방향으로 연신해서 얻을 수 있다. 최종적인 이접착층의 도포량은 0.05 내지 0.20g/㎡로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포량이 0.05g/㎡ 미만이면, 얻어지는 편광자와의 접착성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한편, 도포량이 0.20g/㎡를 초과하면, 내블로킹성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양면에 이접착층을 설치하는 경우는, 양면의 이접착층의 도포량은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되고,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범위 내에서 설정할 수 있다.
이접착층에는 이활성(易滑性)을 부여하기 위해서 입자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립자의 평균 입경은 2㎛ 이하인 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자의 평균 입경이 2㎛를 초과하면, 입자가 피복층으로부터 탈락되기 쉬워진다. 이접착층에 함유시키는 입자로서는, 예를 들어 산화티타늄, 황산바륨, 탄산칼슘, 황산칼슘, 실리카, 알루미나, 탈크, 카올린, 클레이, 인산칼슘, 운모, 헥토라이트, 지르코니아, 산화텅스텐, 불화리튬, 불화칼슘 등의 무기 입자나, 스티렌계, 아크릴계, 멜라민계, 벤조구아나민계, 실리콘계 등의 유기 중합체계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이접착층에 첨가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첨가할 수도 있다.
또한, 도포액을 도포하는 방법으로서는,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버스 롤·코트법, 그라비아·코트법, 키스·코트법, 롤 브러시법, 스프레이 코트법, 에어 나이프 코트법, 와이어 바 코트법, 파이프 닥터법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방법을 단독으로 혹은 조합해서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자의 평균 입경의 측정은 하기 방법에 의해 행한다. 입자를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으로 사진을 찍고, 가장 작은 입자 1개의 크기가 2 내지 5㎜가 되는 배율로, 300 내지 500개의 입자의 최대 직경(가장 떨어진 2점 간의 거리)을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평균 입경이라 한다.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일반적인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방법에 따라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용융하여, 시트 형상으로 압출 성형된 무배향 폴리에스테르를 유리 전이 온도 이상의 온도에 있어서, 롤의 속도차를 이용해서 세로 방향으로 연신한 후, 텐터에 의해 가로 방향으로 연신하고, 열처리를 실시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1축 연신 필름이든, 2축 연신 필름이든 상관없지만, 2축 연신 필름을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한 경우, 필름면의 바로 위에서 관찰해도 무지개 형상의 색 얼룩이 보이지 않지만, 경사 방향에서 관찰했을 때 무지개 형상의 색 얼룩이 관찰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막 조건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세로 연신 온도, 가로 연신 온도는 80 내지 135℃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30℃,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20℃이다. 지상축이 TD 방향이 되도록 필름을 배향시키기 위해서는, 세로 연신 배율은 1.0 내지 3.5배가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0배 내지 3.0배이다. 또한, 가로 연신 배율은 2.5 내지 6.0배가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5배이다. 지상축이 MD 방향으로 되도록 필름을 배향시키기 위해서는, 세로 연신 배율은 2.5배 내지 6.0배가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5배이다. 또한, 가로 연신 배율은 1.0배 내지 3.5배가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0배 내지 3.0배이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 또는 리타데이션을 상기 범위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세로 연신 배율과 가로 연신 배율의 비율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로세로의 연신 배율의 차가 너무 작으면,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이 1.62를 초과하는 경향이 있고, 또한 리타데이션 높게 하는 것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연신 온도를 낮게 설정하는 것은, 리타데이션을 높게 하는 데 있어서는 바람직한 대응이다. 계속되는 열처리에 있어서는, 처리 온도는 100 내지 250℃가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80 내지 245℃이다.
리타데이션의 변동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필름의 두께 변동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 온도, 연신 배율은 필름의 두께 변동에 큰 영향을 미치는 점에서, 두께 변동의 관점에서도 제막 조건의 최적화를 행할 필요가 있다. 특히 리타데이션을 높게 하기 위해서 세로 연신 배율을 낮게 하면, 세로 두께 변동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세로 두께 변동은 연신 배율의 어느 특정한 범위에서 매우 나빠지는 영역이 있기 때문에, 이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제막 조건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두께 변동은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5%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4.0% 이하인 것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고, 3.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리타데이션을 특정 범위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연신 배율이나 연신 온도, 필름의 두께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신 배율이 높을수록, 연신 온도가 낮을수록, 필름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높은 리타데이션을 얻기 쉬워진다. 반대로, 연신 배율이 낮을수록, 연신 온도가 높을수록, 필름의 두께가 얇을수록 낮은 리타데이션을 얻기 쉬워진다. 단, 필름의 두께를 두껍게 하면, 두께 방향 위상차가 커지기 쉽다. 그 때문에, 필름 두께는 후술하는 범위로 적절히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리타데이션의 제어에 더하여, 가공에 필요한 물성 등을 감안해서 최종적인 제막 조건을 설정 할 필요가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두께는 임의이지만, 15 내지 30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00㎛의 범위이다. 15㎛를 하회하는 두께의 필름에서도, 원리적으로는 1500㎚ 이상의 리타데이션을 얻는 것은 가능하다. 그러나, 그 경우에는 필름의 역학 특성의 이방성이 현저해져서, 터짐, 찢어짐 등을 발생시키기 쉬워져서, 공업 재료로서의 실용성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특히 바람직한 두께의 하한은 25㎛이다. 한편, 편광자 보호 필름의 두께의 상한은 300㎛를 초과하면 편광판의 두께가 너무 두꺼워져 버려서 바람직하지 않다.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의 실용성의 관점에서는 두께의 상한은 200㎛가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두께의 상한은 일반적인 TAC 필름과 동등 정도인 100㎛이다. 상기 두께 범위에서도 리타데이션을 본 발명의 범위로 제어하기 위해서, 필름 기재로서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적합하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자외선 흡수제를 배합하는 방법으로서는, 공지된 방법을 조합해서 채용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미리 혼련 압출기를 사용하여, 건조시킨 자외선 흡수제와 중합체 원료를 블렌드하여 마스터배치를 제작해 두고, 필름 제막 시에 소정의 해당 마스터배치와 중합체 원료를 혼합하는 방법 등에 의해 배합할 수 있다.
이때 마스터배치의 자외선 흡수제 농도는 자외선 흡수제를 균일하게 분산시키고, 또한 경제적으로 배합하기 위해서 5 내지 30질량%의 농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스터배치를 제작하는 조건으로서는 혼련 압출기를 사용하고, 압출 온도는 폴리에스테르 원료의 융점 이상, 290℃ 이하의 온도로 1 내지 15분간 압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90℃를 초과하면 자외선 흡수제의 감량이 크고, 또한 마스터배치의 점도 저하가 커진다. 압출 시간 1분 이하에서는 자외선 흡수제의 균일한 혼합이 곤란해진다. 이때, 필요에 따라서 안정제, 색조 조정제, 대전 방지제를 첨가해도 된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적어도 3층 이상의 다층 구조로 하고, 필름의 중간층에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층에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3층 구조의 필름은,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제작할 수 있다. 외층용으로서 폴리에스테르의 펠릿 단독, 중간층용으로서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한 마스터배치와 폴리에스테르의 펠릿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고, 건조한 다음, 공지된 용융 적층용 압출기에 공급하여, 슬릿상의 다이로부터 시트 형상으로 압출하고, 캐스팅롤 상에서 냉각 고화시켜서 미연신 필름을 만든다. 즉, 2대 이상의 압출기, 3층의 매니폴드 또는 합류 블록(예를 들어 각형 합류부를 갖는 합류 블록)을 사용하여, 양 외층을 구성하는 필름층, 중간층을 구성하는 필름층을 적층하고, 구금으로부터 3층의 시트를 압출하고, 캐스팅 롤로 냉각해서 미연신 필름을 만든다. 또한, 광학 결점의 원인이 되는, 원료의 폴리에스테르 중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을 제거하기 위해서, 용융 압출 시에 고정밀도 여과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융 수지의 고정밀도 여과에 사용하는 여과재의 여과 입자 사이즈(초기 여과 효율 95%)는, 15㎛ 이하가 바람직하다. 여과재의 여과 입자 사이즈가 15㎛를 초과하면, 20㎛ 이상의 이물 제거가 불충분해지기 쉽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을 받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에 적합할 수 있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을 가해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며, 그것들은,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물성의 평가 방법은 이하와 같다.
(1)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절률
분자 배향계(오지 게이소꾸기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MOA-6004형 분자 배향계)를 사용하여, 필름의 지상축 방향을 구하고, 지상축 방향이 측정용 샘플 긴 변과 평행해지도록, 4㎝×2㎝의 직사각형을 잘라내어, 측정용 샘플로 하였다. 이 샘플에 대해서, 직교하는 2축의 굴절률(지상축 방향의 굴절률: Ny, 진상축(지상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굴절률): Nx) 및 두께 방향의 굴절률(Nz)을 아베 굴절률계 (아타고사 제조, NAR-4T, 측정 파장 589㎚)에 의해 구하였다.
(2) 리타데이션(Re)
리타데이션이란, 필름 상의 직교하는 2축의 굴절률의 이방성(△Nxy=|Nx-Ny|)과 필름 두께 d(㎚)의 곱(△Nxy×d)으로 정의되는 파라미터이고, 광학적 등방성, 이방성을 나타내는 척도이다. 2축의 굴절률의 이방성(△Nxy)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구하였다. 분자 배향계(오지 게이소꾸기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MOA-6004형 분자 배향계)를 사용하여, 필름의 지상축 방향을 구하고, 지상축 방향이 측정용 샘플 긴 변과 평행해지도록, 4㎝×2㎝의 직사각형을 잘라내어, 측정용 샘플로 하였다. 이 샘플에 대해서, 직교하는 2축의 굴절률(지상축 방향의 굴절률: Ny, 지상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굴절률: Nx) 및 두께 방향의 굴절률(Nz)을 아베 굴절률계(아타고사 제조, NAR-4T, 측정 파장 589㎚)에 의해 구하여, 상기 2축의 굴절률차의 절댓값(|Nx-Ny|)을 굴절률의 이방성(△Nxy)이라 하였다. 필름의 두께 d(㎚)는 전기 마이크로미터(파인류프사 제조, 밀리트론 1245D)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단위를 ㎚로 환산하였다. 굴절률의 이방성(△Nxy)과 필름의 두께 d(㎚)의 곱(△Nxy×d)으로부터, 리타데이션(Re)을 구하였다.
(3)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Rth)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이란, 필름 두께 방향 단면에서 보았을 때의 2개의 복굴절 △Nxz(=|Nx-Nz|), △Nyz(=|Ny-Nz|)에 각각 필름 두께 d를 곱하여 얻어지는 리타데이션의 평균을 나타내는 파라미터이다. 리타데이션의 측정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Nx, Ny, Nz와 필름 두께 d(㎚)를 구하고, (△Nxz×d)와 (△Nyz×d)의 평균값을 산출해서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Rth)을 구하였다.
(4) 백라이트 광원의 발광 스펙트럼 측정
각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는, 도시바사 제조의 REGZA 43J10X를 사용했다. 이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 광원(백색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 스펙트럼을, 하마마츠 포토닉스 제조 멀티 채널 분광기 PMA-12를 사용해서 측정한바, 450㎚, 535㎚, 630㎚ 부근에 피크 톱을 갖는 발광 스펙트럼이 관찰되었다. 각 피크 톱의 반값폭(각 파장 영역에서 가장 높은 피크 강도를 갖는 피크의 반값폭)은, 각각 450㎚의 피크가 17㎚, 535㎚의 피크가 45㎚, 630㎚의 피크가 2㎚였다. 또한, 이 광원에서는 600㎚ 이상 780㎚ 이하의 파장 영역에 복수의 피크를 가졌지만, 이 영역에서 가장 피크 강도가 높은 630㎚ 부근의 피크로 반값폭을 평가하였다. 또한, 스펙트럼 측정 시의 노광 시간은 20msec으로 하였다.
(5) 무지개 얼룩 관찰
각 실시예에서 얻어진 액정 표시 장치를, 정면 및 경사 방향으로부터 어두운 곳에서 눈으로 관찰하여, 무지개 얼룩의 발생 유무에 대해서, 이하와 같이 판정하였다.
○: 무지개 얼룩이 관찰되지 않는다
△: 무지개 얼룩이 약간 관찰된다
×: 무지개 얼룩이 관찰된다
××: 무지개 얼룩이 현저하게 관찰된다
(6) 편광자의 굴절률
편광자의 투과축 방향의 굴절률을 아베 굴절계(아타고사 제조, NAR-4T SOLID, 측정 파장 589㎚)로 측정하였다.
(제조예 1-폴리에스테르 A)
에스테르화 반응캔을 승온하여 200℃에 도달한 시점에서, 테레프탈산을 86.4질량부 및 에틸렌글리콜 64.6질량부를 투입하고, 교반하면서 촉매로서 삼산화안티몬을 0.017질량부, 아세트산마그네슘 4수화물을 0.064질량부, 트리에틸아민 0.16질량부를 투입했다. 계속해서, 가압 승온을 행하여 게이지압 0.34㎫, 240℃의 조건에서 가압 에스테르화 반응을 행한 후, 에스테르화 반응캔을 상압으로 되돌리고, 인산 0.014질량부를 첨가했다. 또한, 15분에 걸쳐 260℃로 승온하고, 인산트리메틸 0.012질량부를 첨가했다. 이어서 15분 후에, 고압 분산기로 분산 처리를 행하고, 15분 후, 얻어진 에스테르화 반응 생성물을 중축합 반응캔으로 이송하여, 280℃에서 감압 하 중축합 반응을 행하였다.
중축합 반응 종료 후, 95% 커트 직경이 5㎛인 나슬론제 필터로 여과 처리를 행하고, 노즐로부터 스트랜드 형상으로 압출하고, 미리 여과 처리(구멍 직경: 1㎛ 이하)를 행한 냉각수를 사용해서 냉각, 고화시키고, 펠릿 형상으로 커트하였다. 얻어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A)의 고유 점도는 0.62dl/g이고, 불활성 입자 및 내부 석출 입자는 실질상 함유하고 있지 않았다(이후, PET (A)라 약칭한다).
(제조예 2-폴리에스테르 B)
건조시킨 자외선 흡수제(2,2'-(1,4-페닐렌)비스(4H-3,1-벤조옥사지논-4-온) 10질량부,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PET (A)(고유 점도가 0.62dl/g) 90질량부를 혼합하고, 혼련 압출기를 사용하여,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B)를 얻었다(이후, PET (B)라 약칭한다).
(제조예 3-접착성 개질 도포액의 조정)
통상의 방법에 의해 에스테르 교환 반응 및 중축합 반응을 행하여,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서(디카르복실산 성분 전체에 대하여) 테레프탈산 46몰%, 이소프탈산 46몰% 및 5-술포네이트이소프탈산나트륨 8몰%, 글리콜 성분으로서(글리콜 성분 전체에 대하여) 에틸렌글리콜 50몰% 및 네오펜틸글리콜 50몰%의 조성의 수분산성 술폰산 금속염기 함유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조제하였다. 이어서, 물 51.4질량부, 이소프로필알코올 38질량부, n-부틸셀로솔브 5질량부,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 0.06질량부를 혼합한 후, 가열 교반하여, 77℃에 도달하면, 상기 수분산성 술폰산 금속염기 함유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5질량부를 첨가하여, 수지 덩어리가 없어질 때까지 계속해서 교반한 후, 수지 수분산액을 상온까지 냉각하여, 고형분 농도 5.0질량%의 균일한 수분산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액을 얻었다. 또한, 응집체 실리카 입자(후지 실리시아(주)사 제조, 사일리시아 310) 3질량부를 물 50질량부에 분산시킨 후, 상기 수분산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액 99.46질량부에 사일리시아 310의 수분산액 0.54질량부를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물 20질량부를 첨가하여, 접착성 개질 도포액을 얻었다.
(편광자)
요오드 수용액 중에서 연속해서 염색한 두께 80㎛의 롤 형상의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반송 방향으로 5배 연신하고, 건조하여 긴 편광자를 얻었다. 제작해서 얻어진 편광자의 투과축 방향에 있어서의 굴절률은 1.51이었다.
(편광자 보호 필름 1)
기재 필름 중간층용 원료로서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PET (A) 수지 펠릿 90질량부와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한 PET (B) 수지 펠릿 10질량부를 135℃에서 6시간 감압 건조(1Torr)한 후, 압출기 2(중간층 II층용)에 공급하고, 또한 PET (A)를 통상의 방법에 의해 건조하여 압출기 1(외층 I층 및 외층 III용)에 각각 공급하고, 285℃에서 용해하였다. 이 2종의 중합체를, 각각 스테인리스 소결체의 여과재(공칭 여과 정밀도 10㎛ 입자 95% 커트)로 여과하고, 2종 3층 합류 블록으로 적층하고, 구금으로부터 시트 형상으로 해서 압출한 후, 정전 인가 캐스트법을 사용해서 표면 온도 30℃의 캐스팅 드럼에 둘러 감아 냉각 고화하여, 미연신 필름을 만들었다. 이때, I층, II층, III층의 두께의 비는 10:80:10이 되도록 각 압출기의 토출량을 조정하였다.
이어서, 리버스 롤법에 의해 이 미연신 PET 필름의 양면에 건조 후의 도포량이 0.08g/㎡가 되도록, 상기 접착성 개질 도포액을 도포한 후, 80℃에서 20초간 건조하였다.
이 도포층을 형성한 미연신 필름을 텐터 연신기로 유도하여, 필름의 단부를 클립으로 파지하면서, 온도 125℃의 열풍존으로 유도하고, 폭 방향으로 4.0배로 연신하였다. 이어서, 폭 방향으로 연신된 폭을 유지한 채, 온도 225℃, 10초 동안 처리하고, 또한 폭 방향으로 3.0%의 완화 처리를 행하여, 필름 두께 약 100㎛의 1축 연신 PET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Re는 10300㎚, Rth는 12350㎚, Re/Rth는 0.83, Nx=1.588, Ny=1.691이었다.
(편광자 보호 필름 2)
라인 스피드를 변경해서 미연신 필름의 두께를 바꾼 것 이외에는 편광자 보호 필름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제막하여, 필름 두께가 약 80㎛인 1축 연신 PET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Re는 8080㎚, Rth는 9960㎚, Re/Rth는 0.81, Nx=1.589, Ny=1.690이었다.
(편광자 보호 필름 3)
라인 스피드를 변경해서 미연신 필름의 두께를 바꾼 것 이외에는 편광자 보호 필름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제막하여, 필름 두께가 약 60㎛인 1축 연신 PET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Re는 6060㎚, Rth는 7470㎚, Re/Rth는 0.81, Nx=1.589, Ny=1.690이었다.
(편광자 보호 필름 4)
라인 스피드를 변경해서 미연신 필름의 두께를 바꾼 것 이외에는 편광자 보호 필름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제막하여, 필름 두께가 약 40㎛인 1축 연신 PET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Re는 4160㎚, Rth는 4920㎚, Re/Rth는 0.85, Nx=1.587, Ny=1.691이었다.
(편광자 보호 필름 5)
편광자 보호 필름 1과 마찬가지 방법에 의해 제작된 미연신 필름을, 가열된 롤군 및 적외선 히터를 사용해서 105℃로 가열하고, 그 후 주속차가 있는 롤군에서 주행 방향으로 1.5배 연신한 후, 온도 130℃의 열풍존으로 유도하고 폭 방향으로 4.0배 연신하여, 편광자 보호 필름 1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필름 두께 약 100㎛의 2축 연신 PET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Re는 7820㎚, Rth는 13890㎚, Re/Rth는 0.56, Nx=1.608, Ny=1.686이었다.
(편광자 보호 필름 6)
편광자 보호 필름 1과 마찬가지 방법에 의해 제작된 미연신 필름을, 가열된 롤군 및 적외선 히터를 사용해서 105℃로 가열하고, 그 후 주속차가 있는 롤군에서 주행 방향으로 2.0배 연신한 후, 온도 135℃의 열풍존으로 유도하고 폭 방향으로 4.0배 연신하여, 편광자 보호 필름 1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필름 두께 약 100㎛의 2축 연신 PET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Re는 6400㎚, Rth는 14600㎚, Re/Rth는 0.44, Nx=1.617, Ny=1.681이었다.
(편광자 보호 필름 7)
편광자 보호 필름 1과 마찬가지 방법에 의해 제작된 미연신 필름을, 가열된 롤군 및 적외선 히터를 사용해서 105℃로 가열하고, 그 후 주속차가 있는 롤군에서 주행 방향으로 2.8배 연신한 후, 온도 140℃의 열풍존으로 유도하고 폭 방향으로 4.0배 연신하여, 편광자 보호 필름 1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필름 두께 약 100㎛의 2축 연신 PET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Re는 5400㎚, Rth는 15900㎚, Re/Rth는 0.34, Nx=1.631, Ny=1.685였다.
(편광자 보호 필름 8)
편광자 보호 필름 1과 마찬가지 방법에 의해 제작된 미연신 필름을, 가열된 롤군 및 적외선 히터를 사용해서 105℃로 가열하고, 그 후 주속차가 있는 롤군에서 주행 방향으로 3.3배 연신한 후, 온도 140℃의 열풍존으로 유도하고 폭 방향으로 4.0배 연신하여, 편광자 보호 필름 1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필름 두께 약 100㎛의 2축 연신 PET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Re는 4800㎚, Rth는 16700㎚, Re/Rth는 0.29, Nx=1.640, Ny=1.688이었다.
편광자 보호 필름 1 내지 8을 사용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
PVA와 요오드를 포함하는 편광자의 편측에 편광자 보호 필름 1을 편광자의 투과축과 필름의 진상축이 평행해지도록 부착하고, 그 반대의 면에 TAC 필름(후지필름(주)사 제조, 두께 80㎛)을 부착해서 편광판 1을 제작하였다. 도시바사 제조의 REGZA 43J10X의 시인측의 편광판을,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액정과는 반대측(먼 위치)이 되도록 상기 편광판 1로 치환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하였다. 또한, 편광판 1의 투과축 방향이, 치환 전의 편광판의 투과축 방향과 동일해지도록 치환하였다.
(실시예 2)
PVA와 요오드를 포함하는 편광자의 편측에 편광자 보호 필름 2를 편광자의 투과축과 필름의 진상축이 평행해지도록 부착하고, 그 반대의 면에 TAC 필름(후지필름(주)사 제조, 두께 80㎛)을 부착해서 편광판 2를 제작하였다. 편광판 1을 편광판 2으로 바꾼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3)
PVA와 요오드를 포함하는 편광자의 편측에 편광자 보호 필름 3을 편광자의 투과축과 필름의 진상축이 평행해지도록 부착하고, 그 반대의 면에 TAC 필름(후지필름(주)사 제조, 두께 80㎛)을 부착해서 편광판 3을 제작하였다. 편광판 1을 편광판 3으로 바꾼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4)
PVA와 요오드를 포함하는 편광자의 편측에 편광자 보호 필름 3을 편광자의 투과축과 필름의 진상축이 평행해지도록 부착하고, 그 반대의 면에 TAC 필름(후지필름(주)사 제조, 두께 80㎛)을 부착해서 편광판 3을 제작하였다. 도시바사 제조의 REGZA 43J10X의 광원측의 편광판을,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액정과는 반대측(먼 위치)이 되도록 상기 편광판 3으로 치환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하였다. 또한, 편광판 3의 투과축 방향이, 치환 전의 편광판의 투과축 방향과 동일해지도록 치환하였다.
(실시예 5)
PVA와 요오드를 포함하는 편광자의 편측에 편광자 보호 필름 3을 편광자의 투과축과 필름의 진상축이 평행해지도록 부착하고, 그 반대의 면에 TAC 필름(후지필름(주)사 제조, 두께 80㎛)을 부착해서 편광판 3을 제작하였다. 도시바사 제조의 REGZA 43J10X의 시인측 및 광원측의 편광판을,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액정과는 반대측(먼 위치)이 되도록 상기 편광판 3으로 치환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하였다. 또한, 편광판 3의 투과축 방향이, 치환 전의 편광판의 투과축 방향과 동일해지도록 치환하였다.
(실시예 6)
PVA와 요오드를 포함하는 편광자의 편측에 편광자 보호 필름 4를 편광자의 투과축과 필름의 진상축이 평행해지도록 부착하고, 그 반대의 면에 TAC 필름(후지필름(주)사 제조, 두께 80㎛)을 부착해서 편광판 4를 제작하였다. 편광판 1을 편광판 4으로 바꾼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7)
PVA와 요오드를 포함하는 편광자의 편측에 편광자 보호 필름 5를 편광자의 투과축과 필름의 진상축이 평행해지도록 부착하고, 그 반대의 면에 TAC 필름(후지필름(주)사 제조, 두께 80㎛)을 부착해서 편광판 5를 제작하였다. 편광판 1을 편광판 5로 바꾼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8)
PVA와 요오드를 포함하는 편광자의 편측에 편광자 보호 필름 6을 편광자의 투과축과 필름의 진상축이 평행해지도록 부착하고, 그 반대의 면에 TAC 필름(후지필름(주)사 제조, 두께 80㎛)을 부착해서 편광판 6을 제작하였다. 편광판 1을 편광판 6으로 바꾼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1)
PVA와 요오드를 포함하는 편광자의 편측에 편광자 보호 필름 1을 편광자의 투과축과 필름의 진상축이 수직이 되도록 부착하고, 그 반대의 면에 TAC 필름(후지필름(주)사 제조, 두께 80㎛)을 부착해서 편광판 7을 제작하였다. 도시바사 제조의 REGZA 43J10X의 시인측의 편광판을,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액정과는 반대측(먼 위치)이 되도록 상기 편광판 7로 치환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하였다. 또한, 편광판 7의 투과축 방향이, 치환 전의 편광판의 투과축 방향과 동일해지도록 치환하였다.
(비교예 2)
PVA와 요오드를 포함하는 편광자의 편측에 편광자 보호 필름 2를 편광자의 투과축과 필름의 진상축이 수직이 되도록 부착하고, 그 반대의 면에 TAC 필름(후지필름(주)사 제조, 두께 80㎛)을 부착해서 편광판 8을 제작하였다. 편광판 7을 편광판 8로 바꾼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3)
PVA와 요오드를 포함하는 편광자의 편측에 편광자 보호 필름 3을 편광자의 투과축과 필름의 진상축이 수직이 되도록 부착하고, 그 반대의 면에 TAC 필름(후지필름(주)사 제조, 두께 80㎛)을 부착해서 편광판 9를 제작하였다. 편광판 7을 편광판 9로 바꾼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4)
PVA와 요오드를 포함하는 편광자의 편측에 편광자 보호 필름 3을 편광자의 투과축과 필름의 진상축이 수직이 되도록 부착하고, 그 반대의 면에 TAC 필름(후지필름(주)사 제조, 두께 80㎛)을 부착해서 편광판 9를 제작하였다. 도시바사 제조의 REGZA 43J10X의 광원측의 편광판을,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액정과는 반대측(먼 위치)이 되도록 상기 편광판 9로 치환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하였다. 또한, 편광판 9의 투과축 방향이, 치환 전의 편광판의 투과축 방향과 동일해지도록 치환하였다.
(비교예 5)
PVA와 요오드를 포함하는 편광자의 편측에 편광자 보호 필름 3을 편광자의 투과축과 필름의 진상축이 수직이 되도록 부착하고, 그 반대의 면에 TAC 필름(후지필름(주)사 제조, 두께 80㎛)을 부착해서 편광판 9를 제작하였다. 도시바사 제조의 REGZA 43J10X사 제조의 시인측 및 광원측의 편광판을,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액정과는 반대측(먼 위치)이 되도록 상기 편광판 9로 치환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하였다. 또한, 편광판 9의 투과축 방향이, 치환 전의 편광판의 투과축 방향과 동일해지도록 치환하였다.
(비교예 6)
PVA와 요오드를 포함하는 편광자의 편측에 편광자 보호 필름 4를 편광자의 투과축과 필름의 진상축이 수직이 되도록 부착하고, 그 반대의 면에 TAC 필름(후지필름(주)사 제조, 두께 80㎛)을 부착해서 편광판 10을 제작하였다. 편광판 7을 편광판 10으로 바꾼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7)
PVA와 요오드를 포함하는 편광자의 편측에 편광자 보호 필름 7을 편광자의 투과축과 필름의 진상축이 평행해지도록 부착하고, 그 반대의 면에 TAC 필름(후지필름(주)사 제조, 두께 80㎛)을 부착해서 편광판 11을 제작하였다. 편광판 7을 편광판 11로 바꾼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8)
PVA와 요오드를 포함하는 편광자의 편측에 편광자 보호 필름 8을 편광자의 투과축과 필름의 진상축이 평행해지도록 부착하고, 그 반대의 면에 TAC 필름(후지필름(주)사 제조, 두께 80㎛)을 부착해서 편광판 12를 제작하였다. 편광판 7을 편광판 12로 바꾼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하였다.
각 실시예에서 얻은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해서, 무지개 얼룩 관찰을 측정한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1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 및 편광판은, 어느 관찰 각도에 있어서도 무지개 형상의 색 얼룩의 발생이 유의미하게 억제된 양호한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어, 산업상 이용 가능성은 매우 높다.

Claims (27)

  1. 백라이트 광원, 2개의 편광판 및 상기 2개의 편광판 사이에 배치된 액정 셀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로서,
    상기 백라이트 광원은, 불화물 형광체를 갖는 백색 광원이고,
    상기 편광판 중 적어도 한쪽 편광판은,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 면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적층된 것이고, 상기 편광자의 투과축과 평행한 방향의,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절률이 1.53 내지 1.62이며,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두께가 15㎛ 이상 60㎛ 이하인,
    액정 표시 장치.
  2. 백라이트 광원, 2개의 편광판 및 상기 2개의 편광판 사이에 배치된 액정 셀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로서,
    상기 백라이트 광원은, 불화물 형광체를 갖는 백색 광원이고,
    상기 편광판 중 적어도 한쪽 편광판은,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 면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적층된 것이고, 상기 편광자의 투과축과 평행한 방향의,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절률이 1.53 내지 1.62이며,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리타데이션이 8000㎚ 이상 30000㎚ 이하인,
    액정 표시 장치.
  3. 백라이트 광원, 2개의 편광판 및 상기 2개의 편광판 사이에 배치된 액정 셀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로서,
    상기 백라이트 광원은, 불화물 형광체를 갖는 백색 광원이고,
    상기 편광판 중 적어도 한쪽 편광판은,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 면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적층된 것이고, 상기 편광자의 투과축과 평행한 방향의,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절률이 1.53 내지 1.62이며,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리타데이션이 4160㎚ 이상 7820㎚ 이하인,
    액정 표시 장치.
  4. 백라이트 광원, 2개의 편광판 및 상기 2개의 편광판 사이에 배치된 액정 셀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로서,
    상기 백라이트 광원은, 불화물 형광체를 갖는 백색 광원이고,
    상기 편광판 중 적어도 한쪽 편광판은,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 면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적층된 것이고, 상기 편광자의 투과축과 평행한 방향의,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절률이 1.53 내지 1.61이며,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Re/Rth가 0.2 이상 0.85 이하인,
    액정 표시 장치.
  5. 백라이트 광원, 2개의 편광판 및 상기 2개의 편광판 사이에 배치된 액정 셀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로서,
    상기 백라이트 광원은, 불화물 형광체를 갖는 백색 광원이고,
    상기 편광판 중 적어도 한쪽 편광판은,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 면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적층된 것이고, 상기 편광자의 투과축과 평행한 방향의,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절률이 1.53 내지 1.60이며,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리타데이션이 4160㎚ 이상 30000㎚ 이하인,
    액정 표시 장치.
  6. 백라이트 광원, 2개의 편광판 및 상기 2개의 편광판 사이에 배치된 액정 셀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로서,
    상기 백라이트 광원은, 400㎚ 이상 495㎚ 미만, 495㎚ 이상 600㎚ 미만 및 600㎚ 이상 780㎚ 이하의 각 파장 영역에 각각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 톱을 갖고, 또한 600㎚ 이상 780㎚ 이하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 가장 피크 강도가 높은 피크의 반값폭이 5㎚ 미만인 발광 스펙트럼을 갖는 백색 광원이고,
    상기 편광판 중 적어도 한쪽 편광판은,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 면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적층된 것이고, 상기 편광자의 투과축과 평행한 방향의,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절률이 1.53 내지 1.62이며,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두께가 15㎛ 이상 60㎛ 이하인,
    액정 표시 장치.
  7. 백라이트 광원, 2개의 편광판 및 상기 2개의 편광판 사이에 배치된 액정 셀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로서,
    상기 백라이트 광원은, 400㎚ 이상 495㎚ 미만, 495㎚ 이상 600㎚ 미만 및 600㎚ 이상 780㎚ 이하의 각 파장 영역에 각각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 톱을 갖고, 또한 600㎚ 이상 780㎚ 이하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 가장 피크 강도가 높은 피크의 반값폭이 5㎚ 미만인 발광 스펙트럼을 갖는 백색 광원이고,
    상기 편광판 중 적어도 한쪽 편광판은,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 면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적층된 것이고, 상기 편광자의 투과축과 평행한 방향의,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절률이 1.53 내지 1.62이며,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리타데이션이 8000㎚ 이상 30000㎚ 이하인,
    액정 표시 장치.
  8. 백라이트 광원, 2개의 편광판 및 상기 2개의 편광판 사이에 배치된 액정 셀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로서,
    상기 백라이트 광원은, 400㎚ 이상 495㎚ 미만, 495㎚ 이상 600㎚ 미만 및 600㎚ 이상 780㎚ 이하의 각 파장 영역에 각각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 톱을 갖고, 또한 600㎚ 이상 780㎚ 이하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 가장 피크 강도가 높은 피크의 반값폭이 5㎚ 미만인 발광 스펙트럼을 갖는 백색 광원이고,
    상기 편광판 중 적어도 한쪽 편광판은,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 면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적층된 것이고, 상기 편광자의 투과축과 평행한 방향의,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절률이 1.53 내지 1.62이며,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리타데이션이 4160㎚ 이상 7820㎚ 이하인,
    액정 표시 장치.
  9. 백라이트 광원, 2개의 편광판 및 상기 2개의 편광판 사이에 배치된 액정 셀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로서,
    상기 백라이트 광원은, 400㎚ 이상 495㎚ 미만, 495㎚ 이상 600㎚ 미만 및 600㎚ 이상 780㎚ 이하의 각 파장 영역에 각각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 톱을 갖고, 또한 600㎚ 이상 780㎚ 이하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 가장 피크 강도가 높은 피크의 반값폭이 5㎚ 미만인 발광 스펙트럼을 갖는 백색 광원이고,
    상기 편광판 중 적어도 한쪽 편광판은,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 면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적층된 것이고, 상기 편광자의 투과축과 평행한 방향의,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절률이 1.53 내지 1.61이며,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Re/Rth가 0.2 이상 0.85 이하인,
    액정 표시 장치.
  10. 백라이트 광원, 2개의 편광판 및 상기 2개의 편광판 사이에 배치된 액정 셀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로서,
    상기 백라이트 광원은, 400㎚ 이상 495㎚ 미만, 495㎚ 이상 600㎚ 미만 및 600㎚ 이상 780㎚ 이하의 각 파장 영역에 각각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 톱을 갖고, 또한 600㎚ 이상 780㎚ 이하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 가장 피크 강도가 높은 피크의 반값폭이 5㎚ 미만인 발광 스펙트럼을 갖는 백색 광원이고,
    상기 편광판 중 적어도 한쪽 편광판은,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 면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적층된 것이고, 상기 편광자의 투과축과 평행한 방향의,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절률이 1.53 내지 1.60이며,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리타데이션이 4160㎚ 이상 30000㎚ 이하인,
    액정 표시 장치.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광원의 발광 스펙트럼은,
    400㎚ 이상 495㎚ 미만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 가장 피크 강도가 높은 피크의 반값폭이 5㎚ 이상이고,
    495㎚ 이상 600㎚ 미만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 가장 피크 강도가 높은 피크의 반값폭이 5㎚ 이상인,
    액정 표시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의 투과축 방향에 있어서의 굴절률과, 상기 편광자의 투과축과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절률의 차가 0.12 이하인, 액정 표시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 광원이 백색 발광 다이오드인, 액정 표시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 광원이 Mn4+ 부활 불화물 착체 형광체를 갖는 것인, 액정 표시 장치.
  15.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 면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적층된 편광판으로서, 상기 편광자의 투과축과 평행한 방향의,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절률이 1.53 내지 1.62이며,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두께가 15㎛ 이상 60㎛ 이하인,
    불화물 형광체를 갖는 백색 광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광원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용 편광판.
  16.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 면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적층된 편광판으로서, 상기 편광자의 투과축과 평행한 방향의,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절률이 1.53 내지 1.62이며,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리타데이션이 8000㎚ 이상 30000㎚ 이하인,
    불화물 형광체를 갖는 백색 광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광원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용 편광판.
  17.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 면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적층된 편광판으로서, 상기 편광자의 투과축과 평행한 방향의,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절률이 1.53 내지 1.62이며,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리타데이션이 4160㎚ 이상 7820㎚ 이하인,
    불화물 형광체를 갖는 백색 광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광원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용 편광판.
  18.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 면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적층된 편광판으로서, 상기 편광자의 투과축과 평행한 방향의,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절률이 1.53 내지 1.61이며,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Re/Rth가 0.2 이상 0.85 이하인,
    불화물 형광체를 갖는 백색 광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광원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용 편광판.
  19.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 면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적층된 편광판으로서, 상기 편광자의 투과축과 평행한 방향의,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절률이 1.53 내지 1.60이며,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리타데이션이 4160㎚ 이상 30000㎚ 이하인,
    불화물 형광체를 갖는 백색 광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광원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용 편광판.
  20.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 면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적층된 편광판으로서, 상기 편광자의 투과축과 평행한 방향의,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절률이 1.53 내지 1.62이며,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두께가 15㎛ 이상 60㎛ 이하인,
    400㎚ 이상 495㎚ 미만, 495㎚ 이상 600㎚ 미만 및 600㎚ 이상 780㎚ 이하의 각 파장 영역에 각각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 톱을 갖고, 또한 600㎚ 이상 780㎚ 이하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 가장 피크 강도가 높은 피크의 반값폭이 5㎚ 미만인 발광 스펙트럼을 갖는 백색 광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광원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용 편광판.
  21.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 면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적층된 편광판으로서, 상기 편광자의 투과축과 평행한 방향의,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절률이 1.53 내지 1.62이며,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리타데이션이 8000㎚ 이상 30000㎚ 이하인,
    400㎚ 이상 495㎚ 미만, 495㎚ 이상 600㎚ 미만 및 600㎚ 이상 780㎚ 이하의 각 파장 영역에 각각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 톱을 갖고, 또한 600㎚ 이상 780㎚ 이하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 가장 피크 강도가 높은 피크의 반값폭이 5㎚ 미만인 발광 스펙트럼을 갖는 백색 광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광원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용 편광판.
  22.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 면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적층된 편광판으로서, 상기 편광자의 투과축과 평행한 방향의,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절률이 1.53 내지 1.62이며,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리타데이션이 4160㎚ 이상 7820㎚ 이하인,
    400㎚ 이상 495㎚ 미만, 495㎚ 이상 600㎚ 미만 및 600㎚ 이상 780㎚ 이하의 각 파장 영역에 각각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 톱을 갖고, 또한 600㎚ 이상 780㎚ 이하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 가장 피크 강도가 높은 피크의 반값폭이 5㎚ 미만인 발광 스펙트럼을 갖는 백색 광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광원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용 편광판.
  23.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 면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적층된 편광판으로서, 상기 편광자의 투과축과 평행한 방향의,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절률이 1.53 내지 1.61이며,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Re/Rth가 0.2 이상 0.85 이하인,
    400㎚ 이상 495㎚ 미만, 495㎚ 이상 600㎚ 미만 및 600㎚ 이상 780㎚ 이하의 각 파장 영역에 각각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 톱을 갖고, 또한 600㎚ 이상 780㎚ 이하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 가장 피크 강도가 높은 피크의 반값폭이 5㎚ 미만인 발광 스펙트럼을 갖는 백색 광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광원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용 편광판.
  24.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 면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적층된 편광판으로서, 상기 편광자의 투과축과 평행한 방향의,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절률이 1.53 내지 1.60이며,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리타데이션이 4160㎚ 이상 30000㎚ 이하인,
    400㎚ 이상 495㎚ 미만, 495㎚ 이상 600㎚ 미만 및 600㎚ 이상 780㎚ 이하의 각 파장 영역에 각각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 톱을 갖고, 또한 600㎚ 이상 780㎚ 이하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 가장 피크 강도가 높은 피크의 반값폭이 5㎚ 미만인 발광 스펙트럼을 갖는 백색 광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광원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용 편광판.
  25. 제15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의 투과축 방향에 있어서의 굴절률과, 상기 편광자의 투과축과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절률의 차가 0.12 이하인, 편광판.
  26. 제15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 광원이 백색 발광 다이오드인, 편광판.
  27. 제15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 광원이 Mn4+ 부활 불화물 착체 형광체를 갖는 것인, 편광판.
KR1020227005518A 2015-07-16 2016-07-11 액정 표시 장치 및 편광판 KR1025019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41978 2015-07-16
JPJP-P-2015-141978 2015-07-16
JPJP-P-2016-052398 2016-03-16
JP2016052398 2016-03-16
KR1020187000943A KR20180023953A (ko) 2015-07-16 2016-07-11 액정 표시 장치 및 편광판
PCT/JP2016/070384 WO2017010444A1 (ja) 2015-07-16 2016-07-11 液晶表示装置及び偏光板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0943A Division KR20180023953A (ko) 2015-07-16 2016-07-11 액정 표시 장치 및 편광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7274A true KR20220027274A (ko) 2022-03-07
KR102501923B1 KR102501923B1 (ko) 2023-02-23

Family

ID=5775733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0943A KR20180023953A (ko) 2015-07-16 2016-07-11 액정 표시 장치 및 편광판
KR1020227005518A KR102501923B1 (ko) 2015-07-16 2016-07-11 액정 표시 장치 및 편광판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0943A KR20180023953A (ko) 2015-07-16 2016-07-11 액정 표시 장치 및 편광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3) JP6965746B2 (ko)
KR (2) KR20180023953A (ko)
CN (2) CN107850805B (ko)
TW (2) TWI715600B (ko)
WO (1) WO20170104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65746B2 (ja) * 2015-07-16 2021-11-10 東洋紡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及び偏光板
KR102307182B1 (ko) * 2017-02-28 2021-09-30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액정 표시 장치
WO2018159568A1 (ja) * 2017-02-28 2018-09-07 東洋紡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20210069654A (ko) * 2018-10-02 2021-06-11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액정 표시 장치, 편광판 및 편광자 보호 필름
CN112694845A (zh) * 2020-12-24 2021-04-23 宁波长阳科技股份有限公司 屏幕保护膜及其制备方法
KR102579334B1 (ko) 2021-03-24 2023-09-15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화상 표시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백라이트 광원과 편광판의 조합을 선택하는 방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6320A (ja) 2000-10-10 2002-04-19 Konica Corp 光学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偏光板、製造方法、液晶表示装置
JP2004205773A (ja) 2002-12-25 2004-07-22 Konica Minolta Holdings Inc 偏光板、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2004219620A (ja) 2003-01-14 2004-08-05 Konica Minolta Holdings Inc 偏光板保護フィルムとそれを用いた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WO2011162198A1 (ja) 2010-06-22 2011-12-29 東洋紡績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偏光板および偏光子保護フィルム
KR20140104444A (ko) * 2011-11-29 2014-08-28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액정표시장치, 편광판 및 편광자 보호 필름
JP2015055680A (ja) * 2013-09-10 2015-03-2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偏光板、偏光板の製造方法、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偏光板の光透過率改善方法
KR20150035065A (ko) * 2013-09-27 2015-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불소계 형광체를 사용한 표시 장치
WO2015068513A1 (ja) * 2013-11-08 2015-05-14 シャープ株式会社 発光装置、及び照明装置
JP2015094903A (ja) * 2013-11-13 2015-05-18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並びに発光装置及びカラーフィルターの選択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306B1 (ko) * 2000-03-23 2007-11-23 다이셀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투과형 광산란 쉬이트 및 액정 표시 장치
JP2004300210A (ja) * 2003-03-28 2004-10-28 Dainippon Printing Co Ltd コーティング組成物、その塗膜、反射防止膜、反射防止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JP2006276697A (ja) * 2005-03-30 2006-10-12 Dainippon Printing Co Ltd 位相差フィルムおよび液晶表示装置
CN101253229B (zh) * 2005-08-30 2012-07-04 柯尼卡美能达精密光学株式会社 纤维素酯薄膜、偏光片及显示装置
JP2007233114A (ja) * 2006-03-02 2007-09-13 Nippon Zeon Co Ltd 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5682104B2 (ja) * 2008-09-05 2015-03-11 三菱化学株式会社 蛍光体及びその製造方法と、その蛍光体を用いた蛍光体含有組成物及び発光装置、並びに、その発光装置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及び照明装置
JP5811431B2 (ja) * 2009-09-11 2015-11-11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1186290A (ja) * 2010-03-10 2011-09-22 Toppan Printing Co Ltd 反射防止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203211A (ja) * 2011-03-25 2012-10-22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5472464B2 (ja) * 2011-05-18 2014-04-16 東洋紡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偏光板および偏光子保護フィルム
WO2013080949A1 (ja) * 2011-11-29 2013-06-06 東洋紡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偏光板および偏光子保護フィルム
JP5051328B1 (ja) * 2012-01-27 2012-10-1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積層体、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KR101273789B1 (ko) * 2012-04-19 2013-06-11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방현성 필름,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US20130335677A1 (en) * 2012-06-15 2013-12-19 Apple Inc. Quantum Dot-Enhanced Display Having Dichroic Filter
JP6443048B2 (ja) * 2012-07-30 2018-12-26 東洋紡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偏光板及び偏光子保護フィルム
JP5615987B2 (ja) * 2013-02-07 2014-10-29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膜を有する光学積層体
KR20150027684A (ko) * 2013-08-29 2015-03-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JP6155993B2 (ja) * 2013-09-05 2017-07-05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ー及び発光装置の組合せの選択方法並びに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6448182B2 (ja) * 2013-09-30 2019-01-0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偏光板複合体の製造方法、偏光板セットの製造方法、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の視認性改善方法
KR20150135935A (ko) * 2014-05-26 2015-12-04 우리이앤엘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WO2016052109A1 (ja) * 2014-09-30 2017-07-13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6441636B2 (ja) * 2014-10-14 2018-12-1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用モジュール及び画像表示装置
WO2016068102A1 (ja) * 2014-10-30 2016-05-06 東洋紡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及び偏光板
JP6965746B2 (ja) * 2015-07-16 2021-11-10 東洋紡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及び偏光板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6320A (ja) 2000-10-10 2002-04-19 Konica Corp 光学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偏光板、製造方法、液晶表示装置
JP2004205773A (ja) 2002-12-25 2004-07-22 Konica Minolta Holdings Inc 偏光板、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2004219620A (ja) 2003-01-14 2004-08-05 Konica Minolta Holdings Inc 偏光板保護フィルムとそれを用いた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WO2011162198A1 (ja) 2010-06-22 2011-12-29 東洋紡績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偏光板および偏光子保護フィルム
KR20140104444A (ko) * 2011-11-29 2014-08-28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액정표시장치, 편광판 및 편광자 보호 필름
JP2015055680A (ja) * 2013-09-10 2015-03-2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偏光板、偏光板の製造方法、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偏光板の光透過率改善方法
KR20150035065A (ko) * 2013-09-27 2015-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불소계 형광체를 사용한 표시 장치
WO2015068513A1 (ja) * 2013-11-08 2015-05-14 シャープ株式会社 発光装置、及び照明装置
JP2015094903A (ja) * 2013-11-13 2015-05-18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並びに発光装置及びカラーフィルターの選択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10444A1 (ja) 2017-01-19
JP2021144247A (ja) 2021-09-24
JP7331886B2 (ja) 2023-08-23
JPWO2017010444A1 (ja) 2018-04-26
KR102501923B1 (ko) 2023-02-23
TWI715600B (zh) 2021-01-11
CN113126355A (zh) 2021-07-16
KR20180023953A (ko) 2018-03-07
TWI774173B (zh) 2022-08-11
TW202115442A (zh) 2021-04-16
CN107850805A (zh) 2018-03-27
JP2023153884A (ja) 2023-10-18
JP6965746B2 (ja) 2021-11-10
CN107850805B (zh) 2021-03-23
TW201704825A (zh) 2017-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9497B1 (ko) 액정표시장치, 편광판 및 편광자 보호 필름
JP2019174822A (ja) 液晶表示装置、偏光板および偏光子保護フィルム
JP7331886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偏光板
KR102634613B1 (ko) 액정표시장치 및 편광판
JP6032385B1 (ja) 液晶表示装置
KR102343137B1 (ko) 액정 표시 장치, 편광판 및 편광자 보호 필름
KR102216520B1 (ko) 액정 표시 장치, 편광판 및 편광자 보호 필름
KR102353531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편광판
JP2016157116A (ja) 液晶表示装置
JP2018028612A (ja) 液晶表示装置
JP2018028611A (ja) 液晶表示装置
JP6521216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偏光板
JP2016157117A (ja) 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