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8843A - 건설기계 - Google Patents

건설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8843A
KR20210068843A KR1020190158379A KR20190158379A KR20210068843A KR 20210068843 A KR20210068843 A KR 20210068843A KR 1020190158379 A KR1020190158379 A KR 1020190158379A KR 20190158379 A KR20190158379 A KR 20190158379A KR 20210068843 A KR20210068843 A KR 202100688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ngitudinal
axis
central axis
screen bar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8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보람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8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8843A/ko
Priority to CN202022779706.6U priority patent/CN215053430U/zh
Publication of KR20210068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88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02F9/163Structures to protect drivers, e.g. cabins, doors for cabins; Falling object protection structure [FOPS]; Roll over protection structure [R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기계에 관한 것으로서, 운전자에게 탑승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탑승부; 및 상기 운전자를 보호하도록 상기 탑승부의 전방에 장착되는 프론트 가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가드는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종방향 스크린 바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종방향 스크린 바는 상기 운전자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프론트 가드에 의한 사각지대를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건설기계{CONSTRUCTION MACHINE}
본 발명은, 건설기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토목공사나 건축공사를 할 수 있도록 한 건설기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기계는 예를 들어 굴삭기, 로더와 같이 토목공사나 건축공사에 쓰이는 기계로서, 운전자에게 탑승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탑승부 및 상기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어 땅을 파는 굴삭작업, 토사를 운반하는 적재작업, 건물을 해체하는 파쇄작업, 지면을 정리하는 정지작업 등을 수행하는 작업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작업부에서 수행되는 작업 중 발생되는 파편 등의 이물질이 상기 탑승부로 향할 경우 운전자가 상해를 입을 수 있으므로, 건설기계는 운전자를 보호하도록 상기 탑승부의 전방에 장착되는 프론트 가드를 더 포함하기도 한다.
도 1은 종래의 건설기계에서 프론트 가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Ⅰ-Ⅰ선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Ⅱ-Ⅱ선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건설기계는 탑승부의 운전자를 보호하도록 상기 탑승부의 전방에 장착되는 프론트 가드(30)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가드는 서로 교차되는 종방향 스크린 바(31) 및 횡방향 스크린 바(32)를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의 건설기계에 있어서는, 상기 종방향 스크린 바(31) 및 상기 횡방향 스크린 바(32)에 의해 시야가 가려져 사각지대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중국 실용신안특허 승인통지번호 203361230호
따라서, 본 발명은, 프론트 가드에 의한 사각지대를 감소시킬 수 있는 건설기계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운전자에게 탑승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탑승부; 및 상기 운전자를 보호하도록 상기 탑승부의 전방에 장착되는 프론트 가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가드는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종방향 스크린 바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종방향 스크린 바는 상기 운전자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건설기계를 제공한다.
상기 복수의 종방향 스크린 바는 각각 전방을 향하는 전면 및 상기 전면의 배면을 이루면서 후방을 향하는 후면을 포함하고, 상기 운전자의 머리가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을 가로지르는 축 상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을 가로지르는 축을 길이축이라 하고, 상기 운전자의 머리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축이라 하면, 상기 복수의 종방향 스크린 바 중 임의의 종방향 스크린 바의 길이축과 상기 중심축 사이 각도는 상기 임의의 종방향 스크린 바보다 상기 중심축에 더 인접하는 다른 종방향 스크린 바의 길이축과 상기 중심축 사이 각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종방향 스크린 바는,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종방향 스크린 바; 및 상기 제1 종방향 스크린 바를 기준으로 상기 중심축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제2 종방향 스크린 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종방향 스크린 바의 길이축과 상기 중심축 사이 각도는 2.55도보다 크거나 같고 3.55도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종방향 스크린 바의 길이축과 상기 중심축 사이 각도는 7.7도보다 크거나 같고 10.55도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종방향 스크린 바는 상기 제2 종방향 스크린 바를 기준으로 상기 중심축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제3 종방향 스크린 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종방향 스크린 바의 길이축과 상기 중심축 사이 각도는 12.7도보다 크거나 같고 17.3도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종방향 스크린 바는 각각 좌측을 향하는 좌측면 및 상기 좌측면의 배면을 이루면서 우측을 향하는 우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좌측면과 상기 우측면 사이 거리인 폭이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 사이 거리인 길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가드는 종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횡방향 스크린 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횡방향 스크린 바는 상기 운전자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횡방향 스크린 바는 각각 전방을 향하는 전면 및 상기 전면의 배면을 이루면서 후방을 향하는 후면을 포함하고, 상기 운전자의 머리가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을 가로지르는 축 상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을 가로지르는 축을 길이축이라 하고, 상기 운전자의 머리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축이라 하면, 상기 복수의 횡방향 스크린 바 중 임의의 횡방향 스크린 바의 길이축과 상기 중심축 사이 각도는 상기 임의의 횡방향 스크린 바보다 상기 중심축에 더 인접하는 다른 횡방향 스크린 바의 길이축과 상기 중심축 사이 각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횡방향 스크린 바는 상기 복수의 종방향 스크린 바와 교차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건설기계는, 운전자에게 탑승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탑승부; 및 상기 운전자를 보호하도록 상기 탑승부의 전방에 장착되는 프론트 가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가드는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종방향 스크린 바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종방향 스크린 바는 상기 운전자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프론트 가드에 의한 사각지대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건설기계에서 프론트 가드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Ⅰ-Ⅰ선 단면도,
도 3은 도 2의 Ⅱ-Ⅱ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에서 탑승부 및 프론트 가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프론트 가드를 도시한 Ⅲ-Ⅲ선 단면도,
도 6은 도 4의 프론트 가드를 도시한 Ⅳ-Ⅳ선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건설기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에서 탑승부 및 프론트 가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프론트 가드를 도시한 Ⅲ-Ⅲ선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프론트 가드를 도시한 Ⅳ-Ⅳ선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는, 운전자에게 탑승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탑승부(100), 상기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어 땅을 파는 굴삭작업, 토사를 운반하는 적재작업, 건물을 해체하는 파쇄작업, 지면을 정리하는 정지작업 등을 수행하는 작업부(미도시) 및 상기 작업부(미도시)에서 수행되는 작업 중 발생되는 파편 등의 이물질로부터 상기 운전자를 보호하도록 상기 탑승부(100)의 전방에 장착되는 프론트 가드(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탑승부(100)는 후술할 상부 회전체에 형성되고, 상기 운전자가 착석 가능한 탑승석(미도시) 및 상기 탑승석(미도시)의 주변에 배치되는 페달(미도시)과 조이스틱(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업부(미도시)는, 지면을 따라 이동 가능한 하부 주행체, 상기 하부 주행체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 회전체, 상기 상부 회전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붐, 상기 붐을 회전시키는 붐 실린더, 상기 붐의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암, 상기 암을 회전시키는 암 실린더, 상기 암의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버킷, 상기 버킷을 회전시키는 버킷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가드(300)는 서로 교차되는 종방향 스크린 바(310) 및 횡방향 스크린 바(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종방향 스크린 바(310)는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종방향 스크린 바(310)는 횡방향(중력에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열되고 각각 종방향(대략 중력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종방향 스크린 바(310)는 각각 전방을 향하는 전면(이하, 제1 전면)(311), 상기 제1 전면(311)의 배면을 이루면서 후방을 향하는 후면(이하, 제1 후면)(312), 좌측을 향하는 좌측면(이하, 제1 좌측면)(313), 상기 제1 좌측면(313)의 배면을 이루면서 우측을 향하는 우측면(이하, 제1 우측면)(314), 하방을 향하는 하면(이하, 제1 하면)(315) 및 상기 제1 하면(315)의 배면을 이루면서 상방을 향하는 상면(이하, 제1 상면)(316)을 갖는 대략 정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종방향 스크린 바(310)는 각각 상기 제1 전면(311)과 상기 제1 후면(312) 사이 거리(이하, 제1 길이)(L1)가 상기 제1 좌측면(313)과 상기 제1 우측면(314) 사이 거리(이하, 제1 폭)(W1)보다 크고, 상기 제1 상면(316)과 상기 제1 하면(315) 사이 거리(이하, 제1 높이)(H1)가 상기 제1 길이(L1)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종방향 스크린 바(310)는 임의의 종방향 스크린 바(310)의 제1 좌측면(313)(또는 제1 우측면(314))이 상기 임의의 종방향 스크린 바(310)에 인접하는 종방향 스크린 바(310)의 제1 우측면(314)(또는 제1 좌측면(313))에 대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종방향 스크린 바(310)는, 임의의 종방향 스크린 바(310)의 제1 전면(311)과 상기 제1 후면(312)을 가로지르는 축(이하, 제1 길이축)(A1) 상에 상기 운전자의 머리(더욱 정확히는, 시점(VP))가 배치되도록, 상기 운전자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운전자가 상기 탑승부(100)의 탑승석(미도시)에 착석하여 고개를 좌우 및 상하로 돌리지 않고 정면을 응시할 때, 상기 운전자의 머리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축(C)이라 하면, 상기 복수의 종방향 스크린 바(310) 중 임의의 종방향 스크린 바(310)의 제1 길이축(A1)과 상기 중심축(C) 사이 각도는 상기 임의의 종방향 스크린 바(310)보다 상기 중심축(C)에 더 인접하는 다른 종방향 스크린 바(310)의 제1 길이축(A1)과 상기 중심축(C) 사이 각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복수의 종방향 스크린 바(310)는, 상기 중심축(C)을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종방향 스크린 바(310A), 상기 제1 종방향 스크린 바(310A)를 기준으로 상기 중심축(C)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제2 종방향 스크린 바(310B) 및 상기 제2 종방향 스크린 바(310B)를 기준으로 상기 중심축(C)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제3 종방향 스크린 바(310C)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종방향 스크린 바(310B)의 제1 길이축(A1)과 상기 중심축(C) 사이 각도(α21)가 상기 제1 종방향 스크린 바(310A)의 제1 길이축(A1)과 상기 중심축(C) 사이 각도(α11)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3 종방향 스크린 바(310C)의 제1 길이축(A1)과 상기 중심축(C) 사이 각도(α31)가 상기 제2 종방향 스크린 바(310B)의 제1 길이축(A1)과 상기 중심축(C) 사이 각도(α21)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종방향 스크린 바(310)는, 상기 중심축(C)을 기준으로 타측에 형성되는 제4 종방향 스크린 바(310D), 상기 제4 종방향 스크린 바(310D)를 기준으로 상기 중심축(C)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제5 종방향 스크린 바(310E) 및 상기 제5 종방향 스크린 바(310E)를 기준으로 상기 중심축(C)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제6 종방향 스크린 바(310F)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5 종방향 스크린 바(310E)의 제1 길이축(A1)과 상기 중심축(C) 사이 각도(α22)가 상기 제4 종방향 스크린 바(310D)의 제1 길이축(A1)과 상기 중심축(C) 사이 각도(α12)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6 종방향 스크린 바(310F)의 제1 길이축(A1)과 상기 중심축(C) 사이 각도(α32)가 상기 제5 종방향 스크린 바(310E)의 제1 길이축(A1)과 상기 중심축(C) 사이 각도(α2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심축(C)을 포함하며 지면에 수직하는 평면을 중심면이라 하면, 상기 제1 종방향 스크린 바(310A)와 상기 제4 종방향 스크린 바(310D)는 상기 중심면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종방향 스크린 바(310B)와 상기 제5 종방향 스크린 바(310E)는 상기 중심면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3 종방향 스크린 바(310C)와 상기 제6 종방향 스크린 바(310F)는 상기 중심면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종방향 스크린 바(310A)의 제1 길이축(A1)과 상기 중심축(C) 사이 각도(α11)가 상기 제4 종방향 스크린 바(310D)의 제1 길이축(A1)과 상기 중심축(C) 사이 각도(α12)와 같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종방향 스크린 바(310B)의 제1 길이축(A1)과 상기 중심축(C) 사이 각도(α21)가 상기 제5 종방향 스크린 바(310E)의 제1 길이축(A1)과 상기 중심축(C) 사이 각도(α22)와 같게 형성되며, 상기 제3 종방향 스크린 바(310C)의 제1 길이축(A1)과 상기 중심축(C) 사이 각도(α31)가 상기 제6 종방향 스크린 바(310F)의 제1 길이축(A1)과 상기 중심축(C) 사이 각도(α32)와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 종방향 스크린 바(310A)의 제1 길이축(A1)과 상기 중심축(C) 사이 각도(α11)는 3도로 형성되고, 상기 제4 종방향 스크린 바(310D)의 제1 길이축(A1)과 상기 중심축(C) 사이 각도(α12)도 3도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종방향 스크린 바(310A)의 제1 길이축(A1)과 상기 제4 종방향 스크린 바(310D)의 제1 길이축(A1) 사이 각도(α1)는 6도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종방향 스크린 바(310B)의 제1 길이축(A1)과 상기 중심축(C) 사이 각도(α21)는 9도로 형성되고, 상기 제5 종방향 스크린 바(310E)의 제1 길이축(A1)과 상기 중심축(C) 사이 각도(α22)도 9도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종방향 스크린 바(310B)의 제1 길이축(A1)과 상기 제5 종방향 스크린 바(310E)의 제1 길이축(A1) 사이 각도(α2)는 18도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종방향 스크린 바(310C)의 제1 길이축(A1)과 상기 중심축(C) 사이 각도(α31)는 15도로 형성되고, 상기 제6 종방향 스크린 바(310F)의 제1 길이축(A1)과 상기 중심축(C) 사이 각도(α32)도 15도로 형성되어, 상기 제3 종방향 스크린 바(310C)의 제1 길이축(A1)과 상기 제6 종방향 스크린 바(310F)의 제1 길이축(A1) 사이 각도(α3)는 30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횡방향 스크린 바(320)는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횡방향 스크린 바(320)는 종방향(대략 중력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열되고 각각 횡방향(중력에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횡방향 스크린 바(320)는 각각 전방을 향하는 전면(이하, 제2 전면)(321), 상기 제2 전면(321)의 배면을 이루면서 후방을 향하는 후면(이하, 제2 후면)(322), 좌측을 향하는 좌측면(이하, 제2 좌측면)(323), 상기 제2 좌측면(323)의 배면을 이루면서 우측을 향하는 우측면(이하, 제2 우측면)(324), 하방을 향하는 하면(이하, 제2 하면)(325) 및 상기 제2 하면(325)의 배면을 이루면서 상방을 향하는 상면(이하, 제2 상면)(326)을 갖는 대략 정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횡방향 스크린 바(320)는 각각 상기 제2 전면(321)과 상기 제2 후면(322) 사이 거리(이하, 제2 길이)(L2)가 상기 제2 상면(326)과 상기 제2 하면(325) 사이 거리(이하, 제2 높이(H2))보다 크고, 상기 제2 좌측면(323)과 상기 제2 우측면(324) 사이 거리(이하, 제2 폭(W2))가 상기 제2 길이(L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횡방향 스크린 바(320)는 임의의 횡방향 스크린 바(320)의 제2 상면(326)(또는 제2 하면(325))이 상기 임의의 종방향 스크린 바(310)에 인접하는 종방향 스크린 바(310)의 제2 하면(325)(또는 제2 상면(326))에 대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횡방향 스크린 바(320)는, 임의의 횡방향 스크린 바(320)의 제2 전면(321)과 상기 제2 후면(322)을 가로지르는 축(이하, 제2 길이축)(A2) 상에 상기 운전자의 머리가 배치되도록, 상기 운전자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횡방향 스크린 바(320) 중 임의의 종방향 스크린 바(310)의 제2 길이축(A2)과 상기 중심축(C) 사이 각도는 상기 임의의 횡방향 스크린 바(320)보다 상기 중심축(C)에 더 인접하는 다른 횡방향 스크린 바(320)의 제1 길이축(A1)과 상기 중심축(C) 사이 각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를 참조하면, 상기 복수의 횡방향 스크린 바(320)는 상기 중심축(C)을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되는 제1 횡방향 스크린 바(320A) 및 상기 제1 횡방향 스크린 바(320A)를 기준으로 상기 중심축(C)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제2 횡방향 스크린 바(320B)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횡방향 스크린 바(320B)의 제2 길이축(A2)과 상기 중심축(C) 사이 각도(β2)가 상기 제1 횡방향 스크린 바(320A)의 제2 길이축(A2)과 상기 중심축(C) 사이 각도(β1)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중심축(C) 상에 형성되는 제3 횡방향 스크린 바(320C)를 더 포함하나, 상기 제3 횡방향 스크린 바(320C)는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즉, 상기 탑승부(100)의 페달(미도시)과 조이스틱(미도시)이 상기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면, 상기 하부 주행체가 작업 장소로 이동되고, 상기 붐 실린더, 상기 암 실린더 및 상기 붐 실린더가 작동되어, 땅을 파거나 깎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가드(300)는 작업 중 발생되는 파편 등의 이물질로부터 상기 운전자를 보호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는, 상기 복수의 종방향 스크린 바(310)가 상기 운전자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운전자의 머리가 상기 제1 길이축(A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종방향 스크린 바(310)가 각각 상기 운전자의 시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종방향 스크린 바(310)에 의한 사각지대가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종방향 스크린 바(310)에 의한 사각지대보다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횡방향 시야가 확보되어, 작업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고, 충돌 등의 사고가 예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폭(W1)이 상기 제1 길이(L1)보다 작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종방향 스크린 바(310)에 의한 사각지대가 더욱 감소될 수 있다. 즉, 상기 종방향 스크린 바(310)에 의한 사각지대는 상기 제1 길이(L1) 뿐만 아니라 상기 제1 폭(W1)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을 수 있고, 상기 제1 길이(L1)에 의한 사각지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종방향 스크린 바(310)가 상기 운전자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됨으로써 감소될 수 있고, 상기 제1 폭(W1)에 의한 사각지대는 상기 제1 폭(W1)이 상기 제1 길이(L1)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횡방향 스크린 바(320)도 상기 운전자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운전자의 머리가 상기 제2 길이축(A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횡방향 스크린 바(320)가 각각 상기 운전자의 시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횡방향 스크린 바(320)에 의한 사각지대가 도 3에 도시된 종래의 횡방향 스크린 바(320)에 의한 사각지대보다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방향 시야도 확보되어, 작업이 더욱 원활히 진행될 수 있고, 충돌 등의 사고가 더욱 예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높이(H2)가 상기 제2 길이(L2)보다 작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횡방향 스크린 바(320)에 의한 사각지대가 더욱 감소될 수 있다. 즉, 상기 횡방향 스크린 바(320)에 의한 사각지대는 상기 제2 길이(L2) 뿐만 아니라 상기 제2 높이(H2)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을 수 있고, 상기 제2 길이(L2)에 의한 사각지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횡방향 스크린 바(320)가 상기 운전자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됨으로써 감소될 수 있고, 상기 제2 높이(H2)에 의한 사각지대는 상기 제2 높이(H2)가 상기 제2 길이(L2)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복수의 종방향 스크린 바(310) 뿐만 아니라 상기 복수의 횡방향 스크린 바(320)까지 상기 운전자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복수의 종방향 스크린 바(310)만 상기 운전자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복수의 횡방향 스크린 바(320)만 상기 운전자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복수의 종방향 스크린 바(310) 사이 간격이 상기 복수의 횡방향 스크린 바(320) 사이 간격보다 조밀하여 상기 복수의 종방향 스크린 바(310)에 의한 사각지대가 상기 복수의 횡방향 스크린 바(320)에 의한 사각지대보다 더욱 클 수 있음에 따라, 상기 복수의 종방향 스크린 바(310)만 상기 운전자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상기 복수의 횡방향 스크린 바(320)만 상기 운전자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종방향 시야 확보 뿐만 아니라 횡방향 시야 확보를 위해,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복수의 종방향 스크린 바(310) 및 상기 복수의 횡방향 스크린 바(320)가 상기 운전자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종방향 스크린 바(310) 및 상기 복수의 횡방향 스크린 바(320)가 상기 운전자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상기 프론트 가드(300)의 강성 증가 측면에서도 바람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종방향 스크린 바(310)가 상기 복수의 횡방향 스크린 바(320)를 지지하고, 상기 복수의 횡방향 스크린 바(320)도 상기 복수의 종방향 스크린 바(310)를 지지하여, 상기 프론트 가드(300)의 전체적인 강성이 향상되도록, 상기 복수의 종방향 스크린 바(310)와 상기 복수의 횡방향 스크린 바(320)는 서로 교차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종방향 스크린 바(310)와 상기 복수의 횡방향 스크린 바(320)는 서로 교차되는 부위에서 예를 들어 용접 등으로 결합되는데, 상기 프론트 가드(300)의 강성은 상기 복수의 종방향 스크린 바(310)와 상기 복수의 횡방향 스크린 바(320) 사이 결합 부위의 길이에 비례하고, 상기 결합부위의 길이는 상기 제1 길이축(A1)과 상기 중심축(C) 사이 각도 및 상기 제2 길이축(A2)과 상기 중심축(C) 사이 각도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즉,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종래와 같이, 복수의 종방향 스크린 바(31)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면서 종방향 스크린 바(31)의 제1 길이축이 중심축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복수의 횡방향 스크린 바(32)가 서로 평행하면서 횡방향 스크린 바(32)의 제2 길이축이 중심축과 평행하게 형성될 경우, 제1 길이와 제2 길이는 서로 동등 수준이 되고, 종방향 스크린 바(31)와 횡방향 스크린 바(32) 사이 결합 부위의 길이는 제1 길이 및 제2 길이와 동등 수준이 된다.
반면,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복수의 횡방향 스크린 바는 종래와 같이 형성되더라도 복수의 종방향 스크린 바가 종래와 달리 운전자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될 경우, 제1 길이는 종래의 제1 길이보다 증가되고, 종방향 스크린 바와 횡방향 스크린 바 사이 결합 부위의 길이는 증가된 제1 길이와 동등 수준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론트 가드의 강성이 종래보다 향상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종방향 스크린 바 중 중심축으로부터 먼 종방향 스크린 바일수록 결합 부위의 길이가 더욱 증가되어, 프론트 가드의 강성이 종래보다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복수의 종방향 스크린 바는 종래와 같이 형성되더라도 복수의 횡방향 스크린 바가 종래와 달리 상기 운전자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될 경우, 제2 길이는 종래의 제2 길이보다 증가되고, 종방향 스크린 바와 횡방향 스크린 바 사이 결합 부위의 길이는 증가된 제2 길이와 동등 수준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 경우 역시, 프론트 가드의 강성이 종래보다 향상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횡방향 스크린 바 중 중심축으로부터 먼 횡방향 스크린 바일수록 결합 부위의 길이가 더욱 증가되어, 프론트 가드의 강성이 종래보다 더욱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와 같이 복수의 종방향 스크린 바(310) 및 복수의 횡방향 스크린 바(320)가 상기 운전자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될 경우, 제1 길이(L1)는 종래의 제1 길이보다 증가되고, 제2 길이(L2)는 종래의 제2 길이보다 증가되며, 종방향 스크린 바(310)와 횡방향 스크린 바(320) 사이 결합 부위의 길이는 증가된 제1 길이(L1) 및 증가된 제2 길이(L2)보다 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론트 가드(300)의 강성이 전술한 경우들(종래의 경우, 복수의 종방향 스크린 바만 운전자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복수의 횡방향 스크린 바만 운전자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경우)보다 향상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종방향 스크린 바(310) 중 중심축(C)으로부터 먼 종방향 스크린 바(310)일수록, 그리고 복수의 횡방향 스크린 바(320) 중 중심축(C)으로 먼 횡방향 스크린 바(320)일수록, 결합 부위의 길이가 더욱 증가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상기 제2 종방향 스크린 바(310B)와 상기 제1 횡방향 스크린 바(320A) 사이 결합부위의 길이가 상기 제1 종방향 스크린 바(310A)와 제1 횡방향 스크린 바(320A) 사이 결합 부위의 길이보다 증가되고, 상기 제2 종방향 스크린 바(310B)와 상기 제2 횡방향 스크린 바(320B) 사이 결합부위의 길이가 상기 제2 종방향 스크린 바(310B)와 상기 제1 횡방향 스크린 바(320A) 사이 결합부위의 길이보다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프론트 가드(300)의 강성이 전술한 경우들보다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운전자의 시점(VP)이 사전에 결정된 위치에 위치될 때 시야를 고려하여, 상기 제1 종방향 스크린 바(310A)의 제1 길이축(A1)과 상기 중심축(C) 사이 각도(α11) 및 상기 제4 종방향 스크린 바(310D)의 제1 길이축(A1)과 상기 중심축(C) 사이 각도(α12)는 각각 3도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종방향 스크린 바(310B)의 제1 길이축(A1)과 상기 중심축(C) 사이 각도(α21) 및 상기 제5 종방향 스크린 바(310E)의 제1 길이축(A1)과 상기 중심축(C) 사이 각도(α22)가 각각 9도로 형성되며, 상기 제3 종방향 스크린 바(310C)의 제1 길이축(A1)과 상기 중심축(C) 사이 각도(α31) 및 상기 제6 종방향 스크린 바(310F)의 제1 길이축(A1)과 상기 중심축(C) 사이 각도(α32)가 각각 15도로 형성된다.
그런데, 상기 탑승석(미도시)은 통상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탑승석(미도시)의 위치 또는 상기 운전자의 자세가 변동될 때 운전자의 시점(VP)이 변동되고 상기 종방향 스크린 바(310)에 의한 사각지대가 증가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상기 제1 종방향 스크린 바(310A)의 제1 길이축(A1)과 상기 중심축(C) 사이 각도(α11) 및 상기 제4 종방향 스크린 바(310D)의 제1 길이축(A1)과 상기 중심축(C) 사이 각도(α12)는 각각 2.55도보다 크거나 같고 3.55도보다 작거나 같은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되어, 상기 제1 종방향 스크린 바(310A)의 제1 길이축(A1)과 상기 제4 종방향 스크린 바(310D)의 제1 길이축(A1) 사이 각도(α1)가 5.1도보다 크거나 같고 7.1도보다 작거나 같은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종방향 스크린 바(310B)의 제1 길이축(A1)과 상기 중심축(C) 사이 각도(α21) 및 상기 제5 종방향 스크린 바(310E)의 제1 길이축(A1)과 상기 중심축(C) 사이 각도(α22)는 각각 7.7도보다 크거나 같고 10.55도보다 작거나 같은 범위 내에서 조절되어, 상기 제2 종방향 스크린 바(310B)의 제1 길이축(A1)과 상기 제5 종방향 스크린 바(310E)의 제1 길이축(A1) 사이 각도(α2)가 15.4도보다 크거나 같고 21.1도보다 작거나 같은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종방향 스크린 바(310C)의 제1 길이축(A1)과 상기 중심축(C) 사이 각도(α31) 및 상기 제6 종방향 스크린 바(310F)의 제1 길이축(A1)과 상기 중심축(C) 사이 각도(α32)는 각각 12.7도보다 크거나 같고 17.3도보다 작거나 같은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되어, 상기 제3 종방향 스크린 바(310C)의 제1 길이축(A1)과 상기 제6 종방향 스크린 바(310F)의 제1 길이축(A1) 사이 각도(α3)가 25.4도보다 크거나 같고 34.6도보다 작거나 같은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굴삭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프론트 가드(300)는 불도저, 스크레이퍼, 셔블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100: 탑승부
300: 프론트 가드
310: 종방향 스크린 바
310A: 제1 종방향 스크린 바
310B: 제2 종방향 스크린 바
310C: 종방향 스크린 바
311: 제1 전면
312: 제1 후면
313: 제1 좌측면
314: 제1 우측면
320: 횡방향 스크린 바
321: 제2 전면
322: 제2 후면
α11: 제1 종방향 스크린 바의 제1 길이축과 중심축 사이 각도
α21: 제2 종방향 스크린 바의 제1 길이축과 중심축 사이 각도
α31: 제3 종방향 스크린 바의 제1 길이축과 중심축 사이 각도
A1: 제1 길이축
A2: 제2 길이축
C: 중심축
L1: 제1 길이
W1: 제1 폭

Claims (10)

  1. 운전자에게 탑승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탑승부(100); 및
    상기 운전자를 보호하도록 상기 탑승부(100)의 전방에 장착되는 프론트 가드(300);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가드(300)는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종방향 스크린 바(310)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종방향 스크린 바(310)는 상기 운전자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건설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종방향 스크린 바(310)는 각각 전방을 향하는 전면(311) 및 상기 전면(311)의 배면을 이루면서 후방을 향하는 후면(312)을 포함하고, 상기 운전자의 머리가 상기 전면(311)과 상기 후면(312)을 가로지르는 축 상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건설기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311)과 상기 후면(312)을 가로지르는 축을 길이축(A1)이라 하고, 상기 운전자의 머리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축(C)이라 하면,
    상기 복수의 종방향 스크린 바(310) 중 임의의 종방향 스크린 바(310)의 길이축(A1)과 상기 중심축(C) 사이 각도는 상기 임의의 종방향 스크린 바(310)보다 상기 중심축(C)에 더 인접하는 다른 종방향 스크린 바(310)의 길이축(A1)과 상기 중심축(C) 사이 각도보다 크게 형성되는 건설기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종방향 스크린 바(310)는,
    상기 중심축(C)을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종방향 스크린 바(310A); 및
    상기 제1 종방향 스크린 바(310A)를 기준으로 상기 중심축(C)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제2 종방향 스크린 바(310B);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종방향 스크린 바(310A)의 길이축(A1)과 상기 중심축(C) 사이 각도(α11)는 2.55도보다 크거나 같고 3.55도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종방향 스크린 바(310B)의 길이축(A1)과 상기 중심축(C) 사이 각도(α21)는 7.7도보다 크거나 같고 10.55도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되는 건설기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종방향 스크린 바(310)는 상기 제2 종방향 스크린 바(310B)를 기준으로 상기 중심축(C)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제3 종방향 스크린 바(310C)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종방향 스크린 바(310C)의 길이축(A1)과 상기 중심축(C) 사이 각도(α31)는 12.7도보다 크거나 같고 17.3도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되는 건설기계.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종방향 스크린 바(310)는 각각 좌측을 향하는 좌측면(313) 및 상기 좌측면(313)의 배면을 이루면서 우측을 향하는 우측면(314)을 포함하고,
    상기 좌측면(313)과 상기 우측면(314) 사이 거리인 폭(W1)이 상기 전면(311)과 상기 후면(312) 사이 거리인 길이(L1)보다 작게 형성되는 건설기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가드(300)는 종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횡방향 스크린 바(3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횡방향 스크린 바(320)는 상기 운전자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건설기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횡방향 스크린 바(320)는 각각 전방을 향하는 전면(321) 및 상기 전면(321)의 배면을 이루면서 후방을 향하는 후면(322)을 포함하고, 상기 운전자의 머리가 상기 전면(321)과 상기 후면(322)을 가로지르는 축 상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건설기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321)과 상기 후면(322)을 가로지르는 축을 길이축(A2)이라 하고, 상기 운전자의 머리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축(C)이라 하면,
    상기 복수의 횡방향 스크린 바(320) 중 임의의 횡방향 스크린 바(320)의 길이축(A2)과 상기 중심축(C) 사이 각도는 상기 임의의 횡방향 스크린 바(320)보다 상기 중심축(C)에 더 인접하는 다른 횡방향 스크린 바(320)의 길이축(A2)과 상기 중심축(C) 사이 각도보다 크게 형성되는 건설기계.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횡방향 스크린 바(320)는 상기 복수의 종방향 스크린 바(310)와 교차되게 형성되는 건설기계.
KR1020190158379A 2019-12-02 2019-12-02 건설기계 KR2021006884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379A KR20210068843A (ko) 2019-12-02 2019-12-02 건설기계
CN202022779706.6U CN215053430U (zh) 2019-12-02 2020-11-26 工程机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379A KR20210068843A (ko) 2019-12-02 2019-12-02 건설기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8843A true KR20210068843A (ko) 2021-06-10

Family

ID=76378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8379A KR20210068843A (ko) 2019-12-02 2019-12-02 건설기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068843A (ko)
CN (1) CN21505343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9659A (ko) 2022-06-09 2023-12-18 김명수 작업 차량용 전면 창 보호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361230U (zh) 2013-06-27 2013-12-25 福田雷沃国际重工股份有限公司 一种挖掘机驾驶室防护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361230U (zh) 2013-06-27 2013-12-25 福田雷沃国际重工股份有限公司 一种挖掘机驾驶室防护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9659A (ko) 2022-06-09 2023-12-18 김명수 작업 차량용 전면 창 보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5053430U (zh) 202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73169B1 (ja) 掘削爪および掘削爪用ボディ
CA2956142A1 (en) Wear component for ground engaging tool
JP5420605B2 (ja) ホイールローダ
US6105682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earthworking implement having four degrees of freedom
NZ237318A (en) Ripper frame having pitch control, integral frame and push block
JP6499953B2 (ja) 作業機
CA2956083C (en) Wear component for ground engaging tool
KR20210068843A (ko) 건설기계
US3653131A (en) Excavating apparatus
US20150176241A1 (en) Combination excavating bucket having a retractable tooth arm
JP6915952B2 (ja) 作業機械
JPH09296474A (ja) 建設作業機におけるブーム揺動シリンダの保護装置
JP2007077681A (ja) ガード部材およびこれを備えた作業機械用ブレード
JP6557019B2 (ja) 建設機械
JP6657021B2 (ja) 建設機械
WO2017141373A1 (ja) ブルドーザ
KR20210128245A (ko) 건설기계
JP7237036B2 (ja) 建設機械
WO2020054640A1 (ja) バケットおよび作業車両
US20160168826A1 (en) Debris Guard for a Blade of a Work Vehicle
JP5558548B2 (ja) ホイールローダ
JP2007247337A (ja) ブルドーザの運転席
JP7094851B2 (ja) 作業機
JP6864638B2 (ja) 建設機械のフロント装置
JP7263000B2 (ja) 荷役作業車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