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9659A - 작업 차량용 전면 창 보호 장치 - Google Patents
작업 차량용 전면 창 보호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69659A KR20230169659A KR1020220070071A KR20220070071A KR20230169659A KR 20230169659 A KR20230169659 A KR 20230169659A KR 1020220070071 A KR1020220070071 A KR 1020220070071A KR 20220070071 A KR20220070071 A KR 20220070071A KR 20230169659 A KR20230169659 A KR 2023016965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uard
- guide
- window protection
- cabin
- front guard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435 tendon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02F9/163—Structures to protect drivers, e.g. cabins, doors for cabins; Falling object protection structure [FOPS]; Roll over protection structure [ROP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 E05B83/42—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for large commercial vehicles, e.g. trucks, construction vehicles or vehicles for mass transport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18—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working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론트 가드와 가이드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프론트 가드가 가이드 유닛의 안내에 따라 창 보호 위치와 가드 제거 위치 간에 정확히 이동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작업 차량이 작업 시는 프론트 가드를 창 보호 위치에 위치시켜 캐빈의 전면 창과 캐빈 내의 운전자를 낙하물, 비산물 등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작업 차량이 주행 시는 프론트 가드를 창 보호 위치로부터 벗어난 가드 제거 위치에 위치시켜 캐빈 내 운전자의 전방 시야가 프론트 가드에 의하여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작업 차량의 캐빈(cabin)에 제공된 전면 창을 보호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작업 차량으로서 건설 기계의 일종인 굴착기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작업 차량은 주행 장치(1), 차체(2) 및 작업 장치(3)를 포함한다. 차체(2)는 운전자가 탑승하는 캐빈(5)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운전자는, 캐빈(5) 내의 조종 장치를 조작함으로써, 작업 차량을 주행 장치(1)에 의하여 이동시킬 수 있고, 특정 작업을 작업 장치(3)에 의하여 수행할 수 있다. 캐빈(5)은 주행 및 작업 시 운전자의 전방 시야 확보를 위하여 전면 부분이 전면 창으로 구성된다.
작업 차량이 사용되는 현장은 낙하물이나 비산물이 발생할 수 있다. 이들 낙하물이나 비산물은 작업 차량으로 낙하하거나 비산하여 캐빈을 구성하는 전면 창의 유리를 파손시킬 수 있고 캐빈에 탑승한 운전자에게 상해를 입힐 수 있다. 이에, 작업 차량은 캐빈의 전면 창 및 캐빈 내의 운전자를 낙하물, 비산물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프론트 가드(front guard)가 캐빈의 전방에 장착될 수 있다(하기의 특허문헌 2 참조).
프론트 가드는 메시(mesh)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그렇더라도, 작업 차량이 주행 시는 프론트 가드가 운전자의 전방 시야 확보를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개선책 마련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작업 차량용 캐빈의 전면 창을 보호하는 상태 및 작업 차량용 캐빈 내 운전자의 전방 시야를 저해 없이 확보하는 상태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전면 창 보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기타 과제는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하의 기재로부터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캐빈의 전면을 구성하는 전면 창을 보호하기 위한 프론트 가드와; 상기 캐빈에서 상기 프론트 가드를 상기 캐빈의 전방인 창 보호 위치와 상기 창 보호 위치로부터 벗어난 가드 제거 위치 간에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는, 작업 차량용 전면 창 보호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가드 제거 위치는 상기 캐빈의 상방이고,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프론트 가드를 상기 창 보호 위치로부터 상기 가드 제거 위치로 안내 시 상기 프론트 가드의 회전 이동을 유도하여 상기 프론트 가드의 자세를 세워진 상태에서 눕혀진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캐빈의 전방 좌우에 각각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단 높이가 상기 캐빈에 비하여 높은 안내 경로를 제공하며, 상기 안내 경로 각각의 후방과 연통하는 출입 개구가 상대적으로 상부 쪽으로 배치된 한 쌍의 안내 프레임과; 상기 프론트 가드의 좌우에 각각 상기 안내 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고, 이동 위치에 따라 상기 출입 개구를 통하여 상기 안내 경로로부터 이탈 가능한 출입 부재와; 상기 출입 부재에 비하여 하방에서 상기 프론트 가드의 좌우에 각각 상기 안내 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며, 좌우 방향의 회전 중심을 상기 프론트 가드에 제공하여 상기 출입 부재가 상기 출입 개구를 통하여 상기 안내 경로로부터 이탈 가능하도록 상기 프론트 가드의 후방 회전을 유도하는 피봇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입 부재 각각은 하부 출입 부재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하부 출입 부재에 비하여 상방에서 상기 프론트 가드의 좌우에 각각 상기 안내 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제공된 상부 출입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 경로 각각은 상단이 개방되어, 상기 상부 출입 부재는 각각 상기 안내 경로의 개방된 상단을 통하여 상기 안내 경로로부터 이탈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출입 개구 각각은 상기 상부 출입 부재가 상기 안내 경로의 개방된 상단을 통하여 상기 안내 경로로부터 이탈된 때 상기 하부 출입 부재에 대응하는 높이 또는 상기 하부 출입 부재에 비하여 높은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 차량용 전면 창 보호 장치는, 상기 가드 제거 위치로 이동된 상기 프론트 가드를 상기 캐빈의 상방에서 지지하는 거치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 차량용 전면 창 보호 장치는, 상기 가드 제거 위치로 이동된 상기 프론트 가드를 상기 거치 프레임에 대하여 구속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방 로크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방 로크 유닛은, 상기 프론트 가드의 상부 측에 제공된 로크 핀과; 상기 거치 프레임에 제공되며, 상기 프론트 가드가 상기 가드 제거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로크 핀을 수용 영역에 수용하고 수용된 상기 로크 핀을 상기 수용 영역에 대한 상기 로크 핀의 진입력에 의하여 구속하도록 작동되는 로크 유닛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창 보호 위치와 상기 가드 제거 위치 사이에서 상기 프론트 가드와 접촉되어 상기 프론트 가드의 회전 이동을 안내하는 복수의 서포트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 차량용 전면 창 보호 장치는, 상기 창 보호 위치로 이동된 상기 프론트 가드를 상기 안내 프레임에 대하여 구속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방 로크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상기 안내 프레임은 각각 상기 출입 개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출입 경로를 제공하는 출입 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출입 경로 각각은 후방으로 경사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드 제거 위치는 상기 캐빈의 측방으로서 좌측 또는 우측이고, 상기 가이드 유닛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된 구조로 변경되어 상기 프론트 가드의 이동이 상기 캐빈의 전방과 측방 간에 이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 도면 등을 통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언급한 해결 수단 이외의 다양한 해결 수단이 추가로 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프론트 가드 및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고, 프론트 가드가 가이드 유닛의 안내에 의하여 창 보호 위치와 가드 제거 위치 간에 정확히 이동될 수 있다. 이에, 작업 차량이 작업 시는 프론트 가드를 창 보호 위치에 위치시켜 캐빈의 전면 창 및 캐빈 내의 운전자를 낙하물, 비산물 등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작업 차량이 주행 시는 프론트 가드를 창 보호 위치로부터 벗어난 가드 제거 위치에 위치시켜 캐빈 내 운전자의 전방 시야가 프론트 가드에 의하여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캐빈의 상방을 가드 제거 위치로 하고, 가이드 유닛이 프론트 가드를 창 보호 위치와 가드 제거 위치 간에 안내 시 프론트 가드의 회전 이동을 유도하여 프론트 가드의 자세를 전환시키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프론트 가드를 창 보호 위치에 세워진 자세로 위치시킬 수 있고 가드 제거 위치에 콤팩트하게 눕혀진 자세로 위치시킬 수 있다.
발명의 효과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기타 효과는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작업 차량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면 창 보호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면 창 보호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면 창 보호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출입 개구 및 그 주변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면 창 보호 장치의 제1 로크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면 창 보호 장치의 제2 로크 유닛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면 창 보호 장치의 상방 로크 유닛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면 창 보호 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정면도와 측면도들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면 창 보호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면 창 보호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면 창 보호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출입 개구 및 그 주변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면 창 보호 장치의 제1 로크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면 창 보호 장치의 제2 로크 유닛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면 창 보호 장치의 상방 로크 유닛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면 창 보호 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정면도와 측면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전면 창 보호 장치는 건설업, 농업, 제조업 등 다방면의 산업에서 사용되는 작업 차량의 캐빈에 적용되어 캐빈의 전면을 구성하는 전면 창 및 캐빈 내의 운전자를 낙하물, 비산물 등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캐빈의 전면 창은 개구가 유리 등의 투명 부재로 차단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면 창은 투명 부재 등 별도의 차단 수단 없이 개구만으로 이루어진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면 창 보호 장치의 구성, 작동 등이 도 2 내지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면 창 보호 장치는, 캐빈(5)의 전면 창(6) 및 캐빈(5) 내의 운전자를 캐빈(5)의 전방에서 보호하기 위한 프론트 가드(100)를 포함한다. 프론트 가드(100)는 캐빈(5) 내 운전자의 전방 시야 확보를 위하여 망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프론트 가드(100)는, 망 구조를 제공하는 메시 부재(110), 그리고 메시 부재(110)의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하는 가드 프레임(120)을 포함할 수 있다. 가드 프레임(120)은 사각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시 부재(110)는 가드 프레임(120)에 의하여 한정된 내부를 차단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도 2, 도 4, 도 13 등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면 창 보호 장치는 가이드 유닛(200)을 더 포함한다. 프론트 가드(100)는 가이드 유닛(200)의 안내에 따라 창 보호 위치와 가드 제거 위치 간에 이동될 수 있다. 창 보호 위치는 캐빈(5)의 전면 창(6) 및 캐빈(5) 내의 운전자를 프론트 가드(100)에 의하여 보호하기 위치로, 캐빈(5)의 전방은 창 보호 위치에 해당한다. 가드 제거 위치는 프론트 가드(100)가 창 보호 위치로부터 벗어난 위치로, 프론트 가드(100)가 창 보호 위치로부터 가드 제거 위치로 이동되면, 전면 창(6)에 대한 프론트 가드(100)의 보호는 해제되고, 캐빈(5) 내의 운전자는 전방 시야를 프론트 가드(100)에 의한 저해없이 보다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가드 제거 위치는 캐빈(5)의 상방일 수도 있고 캐빈(5)의 측방(좌측 또는 우측)일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는 가드 제거 위치가 캐빈(5)의 상방인 것을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가이드 유닛(200)은, 프론트 가드(100)를 창 보호 위치와 가드 제거 위치 간에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과정에서, 프론트 가드(100)의 회전 이동을 유도하여 프론트 가드(100)의 자세를 세워진 상태와 눕혀진 상태 간에 전환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가이드 유닛(200)에 의하면, 프론트 가드(100)는 창 보호 위치(캐빈의 전방)에 세워진 자세로 위치되고 가드 제거 위치(캐빈의 상방)에 눕혀진 자세로 위치된다. 이에, 프론트 가드(100)를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 프론트 가드(100)를 가드 제거 위치에 콤팩트하게 보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이드 유닛(200)은, 프론트 가드(100)에 대한 창 보호 위치와 가드 제거 위치 간의 이동 및 프론트 가드(100)에 대한 자세 전환을 위하여, 안내 프레임(210), 상부 출입 부재(220), 하부 출입 부재(230) 및 피봇 부재(240)를 포함한다.
안내 프레임(210)은 한 쌍으로 구성된다. 한 쌍의 안내 프레임(210)은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캐빈(5)의 전방 좌우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안내 프레임(210)들의 장착에는 캐빈(5)에 커스터마이징을 위하여 작업 차량의 제조 시 제공되는 나사 구멍들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 쌍의 안내 프레임(210)은 상단 부분 및 하단 부분이 각각 상부 연결 프레임(215) 및 하부 연결 프레임(216)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사이의 간격이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도 4, 도 5 등을 참조하면, 한 쌍의 안내 프레임(210)은 캐빈(5)의 전방 좌우에 각각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단 높이가 캐빈(5)에 비하여 높은 안내 경로(211)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양쪽의 안내 경로(211)는 한 쌍의 안내 프레임(210)의 서로 대향하는 내측에 홈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안내 경로(211) 각각은 상단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부로 노출된다. 한 쌍의 안내 프레임(210)은 각각 안내 경로(211)의 후방과 연통하는 출입 개구(212)를 가진다. 출입 개구(212) 각각은 안내 프레임(210)에 상대적으로 상부 쪽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부 출입 부재(220), 하부 출입 부재(230) 및 피봇 부재(240)는 프론트 가드(100)의 좌우에 각각 양쪽의 안내 경로(211)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제공된다. 상부 출입 부재(220)는 프론트 가드(100)의 상단 부분에 배치되고, 피봇 부재(240)는 프론트 가드(100)의 하단 부분에 배치되며, 하부 출입 부재(230)는 상부 출입 부재(220)와 피봇 부재(240) 사이에 위치된다. 이들 상부 출입 부재(220), 하부 출입 부재(230) 및 피봇 부재(240)는 프론트 가드(100)를 이동시키면 프론트 가드(100)와 함께 이동된다.
양쪽의 상부 출입 부재(220)는, 각각 안내 경로(211)의 개방된 상단을 통하여 안내 경로(211)로부터 이탈될 수 있고, 역으로 안내 경로(211)의 개방된 상단을 통하여 안내 경로(211)로 진입될 수 있다(도 9, 도 10 등 참조). 양쪽의 상부 출입 부재(220)가 안내 경로(211)의 개방된 상단을 통하여 안내 경로(211)로부터 이탈되면, 안내 경로(211)의 상단 높이가 캐빈(5)에 비하여 높기 때문에, 프론트 가드(100)의 상단 높이가 캐빈(5)에 비하여 높게 위치된다.
하부 출입 부재(230)에 비하여 하방으로 위치된 양쪽의 피봇 부재(240)는 좌우 방향의 회전 중심을 프론트 가드(100)에 제공한다. 양쪽의 피봇 부재(240)에 의하면, 피봇 부재(240)를 중심으로 하는 프론트 가드(100)의 회전을 유도할 수 있다.
상부 출입 부재(220)에 비하여 하방으로 위치된 양쪽의 하부 출입 부재(230)는, 이동 위치에 따라 출입 개구(212)를 통하여 안내 경로(211)로부터 이탈될 수 있고, 역으로 출입 개구(212)를 통하여 안내 경로(211)로 진입될 수 있다(도 10, 도 11 등 참조). 양쪽의 출입 개구(212)는 상부 출입 부재(220)가 안내 경로(211)의 개방된 상단을 통하여 안내 경로(211)로부터 이탈된 때 양쪽의 하부 출입 부재(230)에 대응하는 높이 또는 양쪽의 하부 출입 부재(230)에 비하여 높은 높이에 배치된다. 이에, 양쪽의 하부 출입 부재(230)가 출입 개구(212)를 통하여 안내 경로(211)로부터 이탈되는 작동은 양쪽의 상부 출입 부재(220)가 안내 경로(211)의 개방된 상단을 통하여 안내 경로(211)로부터 이탈된 때에 이루어질 수 있다.
창 보호 위치(캐빈의 전방)에 위치된 프론트 가드(100)를 들어올림으로써, 양쪽의 상부 출입 부재(220)를 안내 경로(211)의 개방된 상단을 통하여 안내 경로(211)로부터 이탈시키고, 양쪽의 하부 출입 부재(230)를 출입 개구(212)에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도 10 참조), 프론트 가드(100)에 후방 회전력을 가하면, 양쪽의 하부 출입 부재(230)가 출입 개구(212)를 통하여 안내 경로(211)로부터 후방으로 이탈되고, 프론트 가드(100)가 양쪽의 피봇 부재(240)를 중심으로 후방으로 회전되어 후방으로 전도될 수 있는 조건으로 된다(도 11 참조). 이때, 프론트 가드(100)의 상단 높이가 캐빈(5)에 비하여 높으므로, 프론트 가드(100)를 들어올리면, 프론트 가드(100)가 후방으로 회전되면서 가드 제거 위치(캡의 상방)로 이동되고(도 12 참조), 결국 프론트 가드(100)가 전도되어 가드 제거 위치에 눕혀진 자세로 위치된다(도 13 참조).
도 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경로(211)는 후방으로 일정한 각도 경사질 수 있다. 한 쌍의 안내 프레임(210)을 후방으로 일정한 각도 경사지도록 배치하여 후방으로 기울어진 안내 경로(211)를 제공할 수 있다. 안내 경로(211)를 이렇게 후방으로 기울어진 형상으로 구성하면, 창 보호 위치에 세워진 프론트 가드(100)가 후방으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양쪽의 하부 출입 부재(230)를 출입 개구(212)를 통하여 안내 경로(211)로부터 후방으로 이탈시키는 데에 프론트 가드(100)의 자중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양쪽의 하부 출입 부재(230)를 출입 개구(212)를 통하여 안내 경로(211)로부터 후방으로 이탈시키는 데에 소요되는 노동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5 등을 참조하면, 한 쌍의 안내 프레임(210)은 각각 출입 개구(212)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출입 경로(213)를 제공하는 출입 가이드(214)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출입 경로(213) 각각은, 후방으로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는바, 양쪽의 하부 출입 부재(230)의 진출 방향 유도를 통하여 프론트 가드(100)를 가드 제거 위치(캡의 상방) 쪽으로 정확히 안내하고, 프론트 가드(100)를 가드 제거 위치로부터 창 보호 위치로 회전 이동 시 출입 개구(212)를 향하는 양쪽의 하부 출입 부재(230)를 안내 경로(211)로 정확히 진입하도록 안내한다.
참고로, 프론트 가드(100)의 좌우에 각각 제공된 상부 출입 부재(220), 하부 출입 부재(230) 및 피봇 부재(240)는 모두 좌우 방향의 축 부재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안내 롤러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부 출입 부재(220), 하부 출입 부재(230) 및 피봇 부재(240)는 원통형 슬라이더, 회전 베어링, 휠 등을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 도 3, 도 13 등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면 창 보호 장치는, 가드 제거 위치(캐빈의 상방)로 이동되어 눕혀진 상태의 프론트 가드(100)를 지지하는 거치 프레임(300)을 더 포함한다. 거치 프레임(300)에 의하면, 캐빈(5)의 상부가 프론트 가드(100)와의 간섭 등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거치 프레임(300)은 캐빈(5)의 상방에 분리 가능하게 제공된다. 예를 들어, 거치 프레임(300)의 장착에는 캐빈(5)에 커스터마이징을 위하여 제조 시 제공되는 나사 구멍들을 이용할 수 있다. 거치 프레임(300)은, 각각 좌우로 연장되고 전후로 서로 이격된 복수의 가로 프레임(310), 그리고 각각 전후로 연장되고 좌우로 서로 이격된 복수의 세로 프레임(32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가로 프레임(310)은 복수의 세로 프레임(32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 도 12, 도 13 등을 참조하면, 가이드 유닛(200)은, 창 보호 위치(캐빈의 전방)와 가드 제거 위치(캐빈의 상방) 사이에서 프론트 가드(100)와 접촉되어 프론트 가드(100)의 회전 이동을 안내하는 복수의 서포트 롤러(250)를 더 포함한다. 서포트 롤러(251)들은 좌우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다. 서포트 롤러(251)들은 양쪽의 하부 출입 부재(230)가 안내 경로(211)로부터 이탈되고 출입 경로(213)를 통과함에 따라 창 보호 위치로부터 가드 제거 위치로 이동되거나 반대로 이동되는 프론트 가드(100)의 후방 부분과 각각 접촉되어 구름 운동을 한다. 이러한 서포트 롤러(251)들에 의하면, 창 보호 위치와 가드 제거 위치 간에 이동되는 프론트 가드(100)가 캐빈(5)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캐빈(100)이 이동 중인 프론트 가드(100)와의 간섭으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양쪽의 상부 출입 부재(220)와 양쪽의 하부 출입 부재(230) 모두가 안내 경로(211)로부터 이탈된 상태에서 가드 제거 위치로 향하는 프론트 가드(100)에 대하여 방향의 틀어짐 현상이나 비틀림 현상 없이 안정적으로 원활하고 정확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면 창 보호 장치는, 창 보호 위치에 세워진 프론트 가드(100)를 안내 프레임(210)에 대하여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구속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방 로크 유닛(400)을 더 포함한다. 전방 로크 유닛(400)으로서 서로 다른 제1 로크 유닛(410)과 제2 로크 유닛(420)을 구비할 수 있다.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로크 유닛(410)은 클램프일 수 있다. 클램프는 서로 짝을 이루는 클램핑과 언클램핑을 수행하는 클램프 본체와 걸림 블록(413)을 포함할 수 있다. 클램프 본체와 걸림 블록(413)은 클램핑 수행 시 서로 인접하도록 프론트 가드(100)와 안내 프레임(210)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클램프는 2개가 구비되며, 두 클램프 본체는 프론트 가드(100)의 전방 좌측과 우측에 각각 장착되고, 두 걸림 블록(413)은 한 쌍의 안내 프레임(210)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클램프는, 클램프 본체가 레버(411) 및 걸림 고리(412)를 포함하고, 걸림 고리(412)가 걸림 블록(413)에 걸리며, 걸림 블록(413)에 대한 걸림 고리(412)의 걸림이 레버(41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유지(클램핑)되거나 해제(언클램핑)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로크 유닛(420)은 볼트 부재(421), 너트 부재(422) 및 로크 부재(423)를 포함하는 타입일 수 있다. 볼트 부재(421)는 프론트 가드(100)의 하단 부분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로크 부재(423)는 하부 연결 프레임(216)의 전방 부분에 장착될 수 있다. 로크 부재(423)는 프론트 가드(100)와 함께 하강되는 볼트 부재(421)를 수용하는 홈을 가질 수 있다. 로크 부재(423)의 홈은 상단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강되는 볼트 부재(421)는 로크 부재(423)의 홈에 삽입될 수 있다. 너트 부재(422)는 로크 부재(423)의 홈에 삽입된 볼트 부재(421)와 나사 결합이 될 수 있다. 로크 부재(423)의 홈에 삽입된 볼트 부재(421)에 대한 너트 부재(422)의 회전 방향에 따라 로크 부재(423)에 대한 볼트 부재(421)의 위치 고정이 유지되거나 해제될 수 있다. 제2 로크 유닛(420)은 복수로 구비될 수도 있다. 너트 부재(422)는 손으로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나비 너트일 수 있다.
도 3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면 창 보호 장치는, 가드 제거 위치에 눕혀진 프론트 가드(100)를 거치 프레임(300)에 대하여 구속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방 로크 유닛(500)을 더 포함한다. 상방 로크 유닛(500)은, 프론트 가드(100)의 상부 측으로 제공된 로크 핀(510), 그리고 거치 프레임(300)에 제공된 로크 유닛 본체(520)를 포함한다.
로크 핀(510)과 로크 유닛 본체(520)는 서로 짝을 이루어 구속 및 구속 해제 작용을 수행한다. 로크 핀(510)은,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고, 양쪽의 상부 출입 부재(220) 또는 양쪽의 하부 출입 부재(230)인 안내 롤러들 중 어느 한 안내 롤러의 축 부재가 될 수도 있다. 로크 유닛 본체(520)는 프론트 가드(100)가 가드 제거 위치로 이동되면 로크 핀(510)을 수용 영역(521)에 수용하고 수용된 로크 핀(510)을 수용 영역(521)에 대한 로크 핀(510)의 진입력에 의하여 구속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즉, 구속 작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로크 유닛 본체(520)는 회전 가능한 후크(522)를 포함하고, 후크(522)는 수용 영역(521)에 수용된 로크 핀(510)에 대하여 제1 방향으로 회전 시 걸림 상태(구속)가 되고 제2 방향으로 회전 시 걸림이 해제될 수 있다. 또한, 로크 핀(510)은, 후크(522)에 걸린 상태가 토션 스프링과 같은 탄성 부재의 탄성력으로 유지되고, 제2 방향으로 회전(걸림 해제) 후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킨 힘을 제거하면 제1 방향으로 회전되어 걸림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또, 로크 핀(510)은 수용 영역(521)으로 이동되는 로크 핀(510)이 접촉되는 곡선 또는 직선의 빗면(523)을 가질 수 있다. 빗면(523)은 로크 핀(510)이 접촉되면 후크(522)를 수용 영역(521)에 대한 로크 핀(510)의 진입력에 의하여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설명되지 않은 도면 부호 610, 620 및 630은 충격 완화 기능 및 스토퍼 기능을 수행하는 완충 부재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완충 부재(6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하부 연결 프레임(610)에 안내 경로(211)를 따라 하강되는 프론트 가드(100)의 하부와 대향하도록 제공되어 하강된 프론트 가드(100)와 접촉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2 완충 부재(6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거치 프레임(300)에 회전 이동으로 전도되는 프론트 가드(100)의 후방 상부와 대향하도록 제공되어 전도된 프론트 가드(100)와 접촉될 수 있다. 일례로, 제2 완충 부재(620)는 복수 개가 세로 프레임(320)에 장착될 수 있다. 도 2, 도 13 등을 참조하면, 제3 완충 부재(6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하부 연결 프레임(610)에 회전 이동으로 전도되는 프론트 가드(100)의 전방 하부와 대향하도록 제공되어 전도된 프론트 가드(100)와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완충 부재들(610, 620, 63)은 고무 블록(또는, 다른 탄성 재질의 블록) 또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살펴본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프론트 가드(100)가 창 보호 위치에 세워진 때, 양쪽의 상부 출입 부재(220), 하부 출입 부재(230) 및 피봇 부재(240) 모두가 안내 경로(211) 상에 위치되고, 자중에 의한 프론트 가드(100)의 하강이 제1 완충 부재(610) 등에 의하여 저지된다. 이 상태에서, 전방 로크 유닛(400)을 이용하여 프론트 가드(100)를 한 쌍의 안내 프레임(210)에 대하여 구속하면, 프론트 가드(100)의 의도하지 않은 상승 및 프론트 가드(100)의 건들거림(진동 포함)이 최소화된다.
전방 로크 유닛(400)에 의한 구속을 해제하고, 프론트 가드(100)를 들어올려 양쪽의 상부 출입 부재(220)를 안내 경로(211)로부터 상방으로 이탈시키고 양쪽의 하부 출입 부재(230)를 출입 개구(212)에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프론트 가드(100)가 양쪽의 피봇 부재(240)를 중심으로 하여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하면, 양쪽의 하부 출입 부재(230)가 안내 경로(211)로부터 후방으로 이탈된다. 이 상태에서, 프론트 가드(100)를 들어올리면, 양쪽의 하부 출입 부재(230)는 출입 경로(213)를 통과하고, 프론트 가드(100)는 후방 상부가 서포트 롤러(250)들에 의하여 지지된다.
프론트 가드(100)를 계속 들어올리면, 프론트 가드(100)는 양쪽의 피봇 부재(240)를 중심으로 하여 후방으로 회전되고 서포트 롤러(250)들에 의하여 가드 제거 위치(캐빈의 상방)로 이동된다. 프론트 가드(100)가 가드 제거 위치로 이동되면, 로크 핀(510)은 로크 유닛 본체(520)의 수용 영역(521)으로 진입되고, 로크 유닛 본체(520)은 수용된 로크 핀(510)을 수용 영역(521)에 대한 로크 핀(510)의 진입력에 의하여 구속하도록 자동으로 작동된다. 물론, 제2 완충 부재(620)와 제3 완충 부재(630)는 이때에 프론트 가드(100)와 접촉되어 거치 프레임(300) 등에 가해질 수 있는 충격을 완화하고 더 이상의 프론트 가드(100)의 회전 이동을 저지한다.
프론트 가드(100)는 설명한 과정의 역순으로 가드 제거 위치(캐빈의 상방)로부터 창 보호 위치(캐빈의 전방)로 이동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도 있고, 둘 이상이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5: 캐빈
6: 전면 창
100: 프론트 가드
200: 가이드 유닛
300: 거치 프레임
400: 전방 로크 유닛
500: 상방 로크 유닛
6: 전면 창
100: 프론트 가드
200: 가이드 유닛
300: 거치 프레임
400: 전방 로크 유닛
500: 상방 로크 유닛
Claims (9)
- 캐빈의 전면 창을 보호하기 위한 프론트 가드와;
상기 캐빈에서 상기 프론트 가드를 상기 캐빈의 전방인 창 보호 위치와 상기 창 보호 위치로부터 벗어난 가드 제거 위치 간에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는,
작업 차량용 전면 창 보호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드 제거 위치는 상기 캐빈의 상방이고,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프론트 가드를 상기 창 보호 위치로부터 상기 가드 제거 위치로 안내 시 상기 프론트 가드의 회전 이동을 유도하여 상기 프론트 가드의 자세를 세워진 상태에서 눕혀진 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용 전면 창 보호 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캐빈의 전방 좌우에 각각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단 높이가 상기 캐빈에 비하여 높은 안내 경로를 제공하며, 상기 안내 경로 각각의 후방과 연통하는 출입 개구가 상대적으로 상부 쪽으로 배치된 한 쌍의 안내 프레임과;
상기 프론트 가드의 좌우에 각각 상기 안내 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고, 이동 위치에 따라 상기 출입 개구를 통하여 상기 안내 경로로부터 이탈 가능한 출입 부재와;
상기 출입 부재에 비하여 하방에서 상기 프론트 가드의 좌우에 각각 상기 안내 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며, 좌우 방향의 회전 중심을 상기 프론트 가드에 제공하여 상기 출입 부재가 상기 출입 개구를 통하여 상기 안내 경로로부터 이탈 가능하도록 상기 프론트 가드의 후방 회전을 유도하는 피봇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용 전면 창 보호 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출입 부재 각각은 하부 출입 부재이고,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하부 출입 부재에 비하여 상방에서 상기 프론트 가드의 좌우에 각각 상기 안내 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제공된 상부 출입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내 경로 각각은 상단이 개방되어, 상기 상부 출입 부재는 각각 상기 안내 경로의 개방된 상단을 통하여 상기 안내 경로로부터 이탈 가능하고,
상기 출입 개구 각각은 상기 상부 출입 부재가 상기 안내 경로의 개방된 상단을 통하여 상기 안내 경로로부터 이탈된 때 상기 하부 출입 부재에 대응하는 높이 또는 상기 하부 출입 부재에 비하여 높은 높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용 전면 창 보호 장치. -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드 제거 위치로 이동된 상기 프론트 가드를 상기 캐빈의 상방에서 지지하는 거치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용 전면 창 보호 장치.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작업 차량용 전면 창 보호 장치는, 상기 가드 제거 위치로 이동된 상기 프론트 가드를 상기 거치 프레임에 대하여 구속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방 로크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방 로크 유닛은,
상기 프론트 가드의 상부 측에 제공된 로크 핀과;
상기 거치 프레임에 제공되며, 상기 프론트 가드가 상기 가드 제거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로크 핀을 수용 영역에 수용하고 수용된 상기 로크 핀을 상기 수용 영역에 대한 상기 로크 핀의 진입력에 의하여 구속하도록 작동되는 로크 유닛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용 전면 창 보호 장치. -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창 보호 위치와 상기 가드 제거 위치 사이에서 상기 프론트 가드와 접촉되어 상기 프론트 가드의 회전 이동을 안내하는 복수의 서포트 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용 전면 창 보호 장치. -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창 보호 위치로 이동된 상기 프론트 가드를 상기 안내 프레임에 대하여 구속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방 로크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용 전면 창 보호 장치. -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안내 프레임은 각각 상기 출입 개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출입 경로를 제공하는 출입 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출입 경로 각각은 후방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용 전면 창 보호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70071A KR102710569B1 (ko) | 2022-06-09 | 2022-06-09 | 작업 차량용 전면 창 보호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70071A KR102710569B1 (ko) | 2022-06-09 | 2022-06-09 | 작업 차량용 전면 창 보호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69659A true KR20230169659A (ko) | 2023-12-18 |
KR102710569B1 KR102710569B1 (ko) | 2024-09-25 |
Family
ID=89309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70071A KR102710569B1 (ko) | 2022-06-09 | 2022-06-09 | 작업 차량용 전면 창 보호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10569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316429A (ja) * | 2005-05-10 | 2006-11-24 |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 キャブ |
KR101363193B1 (ko) | 2007-11-29 | 2014-02-14 |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 건설기계의 캐빈 보호장치 |
KR20210068843A (ko) | 2019-12-02 | 2021-06-10 |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 건설기계 |
-
2022
- 2022-06-09 KR KR1020220070071A patent/KR10271056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316429A (ja) * | 2005-05-10 | 2006-11-24 |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 キャブ |
KR101363193B1 (ko) | 2007-11-29 | 2014-02-14 |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 건설기계의 캐빈 보호장치 |
KR20210068843A (ko) | 2019-12-02 | 2021-06-10 |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 건설기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710569B1 (ko) | 2024-09-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507039C (en) | Lateral operator restraint system and position sensor for material handler | |
ES2431580T3 (es) | Cargador y manipulador de palés | |
ES2921074T3 (es) | Máquina rectificadora cilíndrica sin centros | |
KR20160034327A (ko) | 건설 기계용 캣워크 | |
KR20230169659A (ko) | 작업 차량용 전면 창 보호 장치 | |
DE19932256B4 (de) | Flurförderzeug mit einer Sicherheitszelle für einen Fahrer | |
JP5250454B2 (ja) | 二輪車格納体及び機械式駐車装置 | |
US4623196A (en) | Safety seat assembly for industrial vehicles | |
JP2020159038A (ja) | 建設機械の手摺り構造 | |
CN1088039C (zh) | 空中作业工程车 | |
KR102403822B1 (ko) | 차량 흡차음재용 이동대차 | |
JP2021161821A (ja) | ヘッドガード装置 | |
JPH0649598Y2 (ja) | 高所作業車の安全装置 | |
JP2020157884A (ja) | 乗員保護装置 | |
JP2016173013A (ja) | 駐車装置 | |
JP2006177117A (ja) | 建設機械のキャビンガード装置 | |
JP4616811B2 (ja) | 軌道走行用車両搭載クレーン装置 | |
JP2004283452A (ja) | 梯子車 | |
DE102005038265A1 (de) | Flurförderzeug mit einer Sicherheitseinrichtung | |
US2892549A (en) | Safety guards for cranes and the like | |
ES2877851B2 (es) | Dispositivo de seguridad para tren de lavado de vehiculos y metodo de funcionamiento | |
CN214653203U (zh) | 臂架限位装置及工程车辆 | |
JP7450495B2 (ja) | トラフィックコーン設置回収装置並びにトラフィックコーンの設置及び回収方法 | |
KR20230055585A (ko) | 차량 복포용 이동식 안전작업대 | |
EP3740403B1 (en) |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