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5585A - 차량 복포용 이동식 안전작업대 - Google Patents

차량 복포용 이동식 안전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5585A
KR20230055585A KR1020210139139A KR20210139139A KR20230055585A KR 20230055585 A KR20230055585 A KR 20230055585A KR 1020210139139 A KR1020210139139 A KR 1020210139139A KR 20210139139 A KR20210139139 A KR 20210139139A KR 20230055585 A KR20230055585 A KR 202300555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bench
safety
work table
transverse axis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9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구
박상모
Original Assignee
포스코터미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스코터미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스코터미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39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5585A/ko
Publication of KR20230055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55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2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jumping devices, e.g. jumping-sheets, jumping-mattress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5Vertical lifelin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81Equipment which can travel along the length of a lifeline, e.g. travel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4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incorporating energy 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복포용 이동식 안전작업대는, 작업대본체; 상기 작업대본체의 상부에 설치된 축유닛; 및 상기 축유닛에 설치되며, 안전줄이 감기고 상기 안전줄에 대한 장력을 유지하면서 상기 안전줄의 권출제동을 위한 자동잠김장치가 내장된 안전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작업대본체는 이동식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축유닛은 길이가변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복포용 이동식 안전작업대{MOBILE SAFETY WORKTABLE FOR COVERING ORE OF VEHICLE}
본 발명은 이동식 안전작업대로서, 차량의 화물을 덮는 복포작업에 사용되며 이동가능한 구조를 가진 차량 복포용 이동식 안전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야드차량 벌크화물 복포작업에는 차량 자체의 자동덮개를 이용하는 작업방법과, 고정식 작업방법이 대표적으로 현장에 적용되고 있다.
먼저, 자동덮개를 이용하는 작업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자동덮개(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 50% 가량 열린 상태에서 덮개의 강도가 20Kg/㎠ ~ 30Kg/㎠ 이상 견디질 못하고, 약간의 충격에도 휨이 발생되기 때문에, 차량 주행 중 벌크화물이 지상에 떨어지지 못하게 막는 역할로서의 안전기능 보다는 환경오염방지 부분에 주력하는 장치이지만, 작업자의 심리적인 안전에 도움이 된다.
그런데, 복포작업을 위해 자동덮개(1)가 50% 정도 열린 작동 후, 작업자가 복포작업 준비를 위해 이동 중 화물이 자동덮개(1)의 회전부(베어링부)에 침투되는 경우 회전부 손망실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고정식 작업방법에 있어서, 도 2의 고정작업대(10)는 한곳에 고정되어 있어서 좁은 야드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효과적인 야드 사용이 어렵다.
또한, 고정작업대(10) 근처의 낙광에 대한 원활한 제거가 어려움에 따라, 낙광에 의해 주차된 차량이 수평상태를 이루지 못하여, 작업자가 복포작업 중 추락 위험이 크다.
아울러, 복수 대의 차량이 복포작업이 가능한 고정작업대(10)는 협소한 공간으로 인하여 차량이 고정작업대(10)와 충돌할 수 있고, 나아가 이러한 충돌충격의 전파에 의해 근접 차량의 작업자가 복포작업 중 추락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0-003019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복포작업 중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차량 복포용 이동식 안전작업대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복포용 이동식 안전작업대는, 작업대본체; 상기 작업대본체의 상부에 설치된 축유닛; 및 상기 축유닛에 설치되며, 안전줄이 감기고 상기 안전줄에 대한 장력을 유지하면서 상기 안전줄의 권출제동을 위한 자동잠김장치가 내장된 안전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작업대본체는 이동식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축유닛은 길이가변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작업대본체는 하부에 바퀴가 장착되어 이동가능한 구조를 이루고, 상기 축유닛은, 상기 작업대본체의 상부에 설치된 주축; 및 상기 주축의 상단부에 연결되며, 단부에 상기 안전블록이 설치된 횡축;을 포함하며, 상기 횡축은 길이가변형으로서 텔레스코픽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축은 상기 작업대본체의 상부에 종방향으로 세워져서 홀딩되며, 상기 작업대본체에 대한 연결부위가 힌지구조로서 상기 작업대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횡축은 상기 주축의 양측으로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축유닛은, 하부가 상기 작업대본체의 측부에 고정되고, 상부가 상기 횡축의 단부에 고정된 지지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는 상기 횡축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부가 상기 횡축으로 기울여서 상기 횡축을 받침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작업대본체에는 아웃트리거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아웃트리거는 완충기능을 가진 탄성부재가 내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대본체의 하부에는 웨이트가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웨이트는 상기 작업대본체의 전측부와 후측부 각각에 배치되고, 상기 작업대본체의 전측부보다 후측부에 더 많이 배치되며, 상기 바퀴는 상기 작업대본체의 전측부와 후측부 각각에 배치되고, 상기 작업대본체의 전측부에는 방향축이 회전되는 축회전구조로 연결되고, 상기 작업대본체의 후측부에는 방향축이 고정되는 축고정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작업대본체에는 충격방지매트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블록은 상기 횡축의 단부에 인장스프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업대본체의 일측부에는 상기 안전줄 단부의 스냅후크가 걸리는 고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복포용 이동식 안전작업대는 이동식 구조를 취함으로써, 복포작업 중 발생된 낙광을 제거하도록 위치가 이동되기 때문에 중장비에 의한 낙광 제거작업을 원활하도록 함에 따라, 차량수평유지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고 아울러 충돌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작업자의 추락과 같은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이러한 이동식 구조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이동식 안전작업대는 차량에 근접되게 직접 이동할 수 있음으로써, 차량이 이동식 안전작업대에 근접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충돌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안전작업대는 이동식 구조를 취함으로써, 좁은 야드 공간에서 효율적인 공간활용을 가능하게 함에 따라, 원료가 적재되는 야드의 공간을 적절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은 축유닛의 횡축이 길이가변형 구조를 취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벨트에 걸어진 안전줄이 항상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함에 따라, 복포작업 중 작업자가 추락하는 경우 옆으로 흔들리지 않고 안전줄에 의해 보호를 받을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한편, 본 발명은 아웃트리거가 작업대본체의 양측에 설치됨으로써, 작업자의 실수, 실족 등의 사유로 작업자가 추락 시 하중이 작업대본체의 일측에 순간적으로 가해질 때 작업대본체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도 1은 차량 복포를 위해 작업자가 차량의 화물에 올라간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 복포용 고정작업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고정작업대로부터 나온 안전줄이 안전벨트에 걸어진 상태로 작업자가 복포작업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복포용 이동식 안전작업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이동식 안전작업대로부터 나온 안전출이 안전벨트에 걸어진 상태로 작업자가 복포작업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4의 이동식 안전작업대의 작업대본체 후측부 및 전측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작업대본체에 설치된 아웃트리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4의 이동식 안전작업대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이동식 안전작업대에서 주축이 접혀진 것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4의 이동식 안전작업대에서 작업대본체와 주축의 연결부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4의 이동식 안전작업대의 안전블록로부터 나온 안전줄의 스냅후크가 작업대본체의 고리부에 걸어진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안전줄을 고리부 측으로 당기는데 사용되는 줄걸이바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상부', '상면', '하', '하부', '하면', '측면'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실제로는 구성요소가 배치되는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복포용 이동식 안전작업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이동식 안전작업대로부터 나온 안전줄이 안전벨트에 걸어진 상태로 작업자가 복포작업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안전작업대(100)는 작업대본체(110), 축유닛(120), 및 안전블록(13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작업대본체(110)는 프레임 형태로 구성되며, 지상에서 안정적으로 세워질 수 있는 구조를 취한다.
또한, 상기 축유닛(120)은 작업대본체(110)의 상부에 세워져서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안전블록(130)은 안전줄(131)이 감겨있는 기기로서, 안전줄(131)에 대한 장력을 유지하면서 안전줄(131)의 권출제동을 위한 자동잠김장치가 내장된다.
이때, 안전블록(130)은 종래의 어떠한 안전블록도 활용될 수 있으며, 내부에 구비된 자동잠김장치(미도시)는 작업자의 추락 시 안전줄(131)이 빠른속도로 권출되는 것을 제동하는 기능을 가진 추락방지용 부품으로서, 일반적인 안전블록의 주요 구성임에 따라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면, 상술된 이동식 안전작업대(100)에서 먼저 작업대본체(11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작업대본체(110)는 이동식 구조로서 안전작업대(100)가 일정 위치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못하는 구조가 아니라, 위치를 옮기기 위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취한다.
종래의 고정작업대(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위치에 배치되어 지상에 고정된 상태로 움직이지 못하는 구조로서, 위치를 옮기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에 차량이 고정작업대(10) 측으로 이동한 후 복포작업을 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차량으로부터 원료와 같은 화물이 떨어지는 낙광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고정된 고정작업대(10)의 간섭으로 인하여 중장비가 낙광을 효과적으로 처리하지 못하게 됨에 따라, 복포작업을 위한 차량 주차 시 정상적인 주차가 어려워지며, 아울러 이로 인하여 복포작업 위한 주차된 차량이 수평상태를 이루지 못함으로써, 화물칸의 하면이 수평상태로 되지 못하여 복포작업 중 작업자가 균형 상실에 의해 추락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큰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낙광으로 인하여 차량운행에 있어서도 상당한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고정작업대(10)에서 차량 복수 대가 근접하여 복포작업이 이루어지는 상황에 있어서 충돌사고의 위험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새벽이나 심야에도 작업이 많이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야간작업 도중 시야확보가 미흡함에 따라 근접한 장소에서 복포작업을 하는 차량과 충돌할 수 있고, 나아가 차량이 고정작업대(10)에 근접 주차를 하는 도중에 고정작업대(10)와 충돌할 수 있으며 이러한 충격 전파로 인하여 근접 주차된 타 차량에서 복포작업을 하고 있는 작업자가 추락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위험성도 커지게 된다. 이때 차량의 운전자가 경력부족 운전자인 경우 충돌사고 발생의 위험성이 더욱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안전작업대(100)는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본체(110)가 이동식 구조를 취함으로써, 복포작업 중 발생된 낙광을 제거하도록 위치가 이동됨에 따라 중장비에 의한 낙광 제거작업을 원활함에 따라 상술된 차량수평유지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고 아울러 충돌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작업자의 추락과 같은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이동식 구조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이동식 안전작업대(100)는 차량에 근접되게 직접 이동할 수 있음으로써, 차량이 이동식 안전작업대(100)에 근접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충돌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안전작업대(100)는 이동식 구조를 취함으로써, 좁은 야드 공간에서 효율적인 공간활용을 가능하게 함에 따라, 원료가 적재되는 야드의 공간을 적절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작업대본체(110)는 하부에 바퀴(111)가 장착되어 이동가능한 구조를 이루는데, 이때 바퀴(111)는 작업대본체(1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롤링할 수 있도록 작업대본체(110)의 하부에 적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작업대본체(110)는 무게중심을 안정적으로 잡으면서 전체적으로 균형있는 구조를 취하도록, 도 4,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의 대차부(110a)가 H형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작업대본체(110)는 이동을 위해 가벼우면서도 균형있는 구조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대차부(110a)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의 구조물(110b)이 사각파이프로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업대본체(110)는 전도되지 않고 안정적인 주행 및 주차가 가능하도록,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웨이트(W)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웨이트(W)는 사각단면을 가진 대리석이 활용될 수 있으며, 작업대본체(110)의 하부가 전체 하중의 약 70%가 될 수 있도록 작업대본체(110)의 하부인 대차부(110a)에 복수 개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대본체(110)는 전측부에서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다음과 같은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상기 웨이트(W)는 작업대본체(110)의 전측부와 후측부 각각에 배치되는데, 작업대본체(110)의 전측부보다 후측부에 더 많이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도면과 같이 도 7의 전측부에는 웨이트(W)가 6개 배치되고, 도 8의 후측부에는 웨이트(W)가 8개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작업대본체(110)의 전측부가 후측부보다 상대적으로 중량이 덜 나감에 따라, 전측부에서 방향전환이 원활하면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이때, 상기 바퀴(111)는 작업대본체(110)의 전측부와 후측부 각각에 배치되며, 작업대본체(110)의 전측부에는 방향축이 회전되는 축회전구조로 연결되고, 작업대본체(110)의 후측부에는 방향축이 고정되는 축고정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작업대본체(110)에는 아웃트리거(T)가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본체(110)의 양측 각각에 복수 개의 아웃트리거(T)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작업대본체(110)의 일측부에 복수 개의 아웃트리거(T)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작업대본체(110)의 타측부에 복수 개의 아웃트리거(T)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웃트리거(T)는 작업대본체(110)에 고정된 상태에서 하측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는데, 일례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으로 핸들을 돌려서 하측으로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고, 또는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유압실린더가 활용되어 실린더로드의 연장 및 수축으로 하측에 대한 길이가변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아웃트리거(T)는 작업대본체(110)가 이동 시에는 길이가 수축되어 지면과 이격된 상태를 이루고, 복포작업을 위해 작업대본체(110)가 정지 시에는 하측으로 길이가 연장되어 지면에 밀착됨으로써 작업대본체(110)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아웃트리거(T)는 작업대본체(110)가 이동 후 복포작업 시, 외력에 의한 전도를 방지하면서 안정적인 위치고정을 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아웃트리거(T)는 작업자의 실수, 실족 등의 사유로 작업자가 추락 시 하중이 작업대본체(110)의 일측에 순간적으로 가해질 때 작업대본체(110)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전성을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아웃트리거(T)는 작업대본체(110)에 설치된 복수 개의 바퀴(111)에 하중이 편중되지 않도록 하중의 분산을 유동할 수 있다.
나아가, 아웃트리거(T)는 완충기능을 가진 탄성부재(미도시)가 내장됨으로써, 순간적인 하중에 의한 충격 시 이러한 충격을 탄성부재가 압축되면서 흡수함에 따라, 순가적인 충격을 완화시키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탄성부재는 작업자의 체급에 대응되는 적정한 탄성력을 가진 코일스프링이 선택되어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축유닛(120)은 작업대본체(110)의 상부에 설치되는데, 길이가변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종래의 고정작업대(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의 수평대(11)가 길이가변되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로 인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수평대(11)로부터 멀어진 위치에서 복포작업 중인 경우, 작업자의 안전벨트(20)에 걸어진 안전줄(12)이 수직방향이 아닌 측방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차량의 화물에서 작업자가 추락하는 경우 안전줄(12)에 의해 보호를 받을 수 없게 된다.
즉, 작업자가 추락하게 되면 고정작업대(10) 측인 측방향으로 흔들리게 됨으로써, 고정작업대(10)에 충돌하여 치명적인 부상을 입을 수 있는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큰 문제점이 있다.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안전작업대(100)는 도 4, 도 5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유닛(120)이 길이가변형 구조를 취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벨트(20)에 걸어진 안전줄(131)이 항상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함에 따라, 복포작업 중 작업자가 추락하는 경우 옆으로 흔들리지 않고 안전줄(131)에 의해 보호를 받을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축유닛(120)은 주축(121), 횡축(122), 및 지지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주축(121)은 작업대본체(110)의 상부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횡축(122)은 주축(121)의 상단부에 연결되며, 단부에 안전블록(130)이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지지대(123)는 하부가 작업대본체(110)의 측부에 고정되고, 상부가 횡축(122)의 단부에 고정되며, 횡축(122)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구조를 취하고, 상부가 횡축(122)으로 기울여서 횡축(122)을 받침지지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횡축(122)을 견고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횡축(122)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가변형으로서 텔레스코픽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횡축(122)은 망원경 구조와 같이, 끝단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은 복수 개의 단위축으로 구성됨으로써, 작업자가 작업대본체(110)와 멀어지게 되면 횡축(122)의 길이가 늘어나고 작업대본체(110)와 가까워지면 횡축(122)의 길이가 줄어들게 된다.
횡축(122)의 단부에 장착된 안전블록(130)으로부터 나와서 작업자의 안전벨트(20)에 걸어진 안전줄(131)이, 위와 같은 횡축(122)의 길이가변에 따라 항상 수직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복포작업 중 작업자가 추락하는 경우 옆으로 흔들리지 않고 안전줄(131)에 의해 보호를 받게 된다.
나아가, 상기 안전블록(130)은 횡축(122)의 단부에 인장스프링(S)으로 연결된 구조를 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인장스프링(S)은 작업자의 추락 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작업대본체(110)에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방지매트(M)가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충격방지매트(M)는 작업대본체(110)의 양측 측부에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충격방지매트(M)는 작업자가 추락 중에 작업대본체(110) 측으로 측방향 이동되더라도 작업대본체(110)에 충돌되어 다치는 것을 막으면서, 아울러 충격도 완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횡축(122)은 주축(121)의 양측으로 각각 배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두 대의 차량에 대한 복포작업을 동시에 할 수 있어서 작업량을 늘릴 수 있으며, 아울러 두 대의 차량이 안전작업대(10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편에 있어서 서로 간섭되지 않음에 따라, 복포작업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주축(121)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워진 상태를 취할 수 있고, 회전시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려진 상태를 취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주축(121)은 작업대본체(110)의 상부에 종방향으로 세워져서 홀딩되는데, 작업대본체(110)에 대한 연결부위가 힌지구조로서 작업대본체(1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작업대본체(110)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축(121)을 양측에서 지지하는 축지지부(112)가 설치되고, 상기 축지지부(112)에 주축(121)이 삽입되면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113)에 의해 주축(121)이 축지지부(112)에 체결됨으로써, 주축(121)은 작업대본체(110)에 종방향으로 세워져서 홀딩된다.
그리고, 세워진 주축(121)을 내려서 수평으로 배치하기 위해서는 회전시켜야 하는데, 이러한 경우 복수 개의 체결부재(113) 중 하나를 해제한 후 회전시키면 된다. 일례로서, 상측의 체결부재(113)를 해제하면 하측의 체결부재(113)가 주축(121)의 힌지축으로서 작용하여 주축(121)이 하측의 체결부재(113)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주축(121)이 회전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복포작업 시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축(121)이 세워져서 홀딩된 상태를 유지하고, 이동 시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축(121)이 아래로 회전되어 내려짐으로써 주변의 물체에 간섭되지 않음에 따라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대본체(110)의 일측부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줄(131) 단부의 스냅후크(132)가 걸리는 고리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복포작업 시에는 안전줄(131)이 작업자의 안전벨트(20)에 걸려서 사용되는데, 복포작업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도 13에 도시된 걸이바(B)로 안전줄(131)을 걸어서 당긴 다음, 작업대본체(110)에 형성된 고리부(115)에 스냅후크(132)를 걸어놓음으로써, 안전줄(131)이 흔들리지 않고 정해진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추후 복포작업 하기 전에 작업자가 스냅후크(132)를 안전벨트(20)에 걸기 위해 안전줄(131)을 용이하게 다시 잡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복포용 이동식 안전작업대(100)는 이동식 구조를 취함으로써, 복포작업 중 발생된 낙광을 제거하도록 위치가 이동되기 때문에 중장비에 의한 낙광 제거작업을 원활하도록 함에 따라, 차량수평유지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고 아울러 충돌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작업자의 추락과 같은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이동식 구조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이동식 안전작업대(100)는 차량에 근접되게 직접 이동할 수 있음으로써, 차량이 이동식 안전작업대(100)에 근접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충돌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안전작업대(100)는 이동식 구조를 취함으로써, 좁은 야드 공간에서 효율적인 공간활용을 가능하게 함에 따라, 원료가 적재되는 야드의 공간을 적절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축유닛(120)의 횡축(122)이 길이가변형 구조를 취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벨트(20)에 걸어진 안전줄(131)이 항상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함에 따라, 복포작업 중 작업자가 추락하는 경우 옆으로 흔들리지 않고 안전줄(131)에 의해 보호를 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아웃트리거(T)가 작업대본체(110)의 양측에 설치됨으로써, 작업자의 실수, 실족 등의 사유로 작업자가 추락 시 하중이 작업대본체(110)의 일측에 순간적으로 가해질 때 작업대본체(110)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이동식 안전작업대
110 : 작업대본체 110a : 대차부
110b : 구조물 111 : 바퀴
W : 웨이트 T : 아웃트리거
M : 충격방지매트 112 : 축지지부
113 : 체결부재 115 : 고리부
B : 걸이바
120 : 축유닛 121 : 주축
122 : 횡축 123 : 지지대
S : 인장스프링
130 : 안전블록 131 : 안전줄
132 : 스냅후크

Claims (12)

  1. 작업대본체;
    상기 작업대본체의 상부에 설치된 축유닛; 및
    상기 축유닛에 설치되며, 안전줄이 감기고 상기 안전줄에 대한 장력을 유지하면서 상기 안전줄의 권출제동을 위한 자동잠김장치가 내장된 안전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작업대본체는 이동식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축유닛은 길이가변형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 복포용 이동식 안전작업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본체는 하부에 바퀴가 장착되어 이동가능한 구조를 이루고,
    상기 축유닛은,
    상기 작업대본체의 상부에 설치된 주축; 및
    상기 주축의 상단부에 연결되며, 단부에 상기 안전블록이 설치된 횡축;을 포함하며,
    상기 횡축은 길이가변형으로서 텔레스코픽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 복포용 이동식 안전작업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축은 상기 작업대본체의 상부에 종방향으로 세워져서 홀딩되며, 상기 작업대본체에 대한 연결부위가 힌지구조로서 상기 작업대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차량 복포용 이동식 안전작업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횡축은 상기 주축의 양측으로 각각 배치된 차량 복포용 이동식 안전작업대.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유닛은,
    하부가 상기 작업대본체의 측부에 고정되고, 상부가 상기 횡축의 단부에 고정된 지지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는 상기 횡축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부가 상기 횡축으로 기울여서 상기 횡축을 받침지지하는 차량 복포용 이동식 안전작업대.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본체에는 아웃트리거가 설치된 차량 복포용 이동식 안전작업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트리거는 완충기능을 가진 탄성부재가 내장된 차량 복포용 이동식 안전작업대.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본체의 하부에는 웨이트가 설치된 차량 복포용 이동식 안전작업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는 상기 작업대본체의 전측부와 후측부 각각에 배치되고, 상기 작업대본체의 전측부보다 후측부에 더 많이 배치되며,
    상기 바퀴는 상기 작업대본체의 전측부와 후측부 각각에 배치되고, 상기 작업대본체의 전측부에는 방향축이 회전되는 축회전구조로 연결되고, 상기 작업대본체의 후측부에는 방향축이 고정되는 축고정구조로 연결된 것을 차량 복포용 이동식 안전작업대.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본체에는 충격방지매트가 설치된 차량 복포용 이동식 안전작업대.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블록은 상기 횡축의 단부에 인장스프링으로 연결된 차량 복포용 이동식 안전작업대.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본체의 일측부에는 상기 안전줄 단부의 스냅후크가 걸리는 고리부가 형성된 차량 복포용 이동식 안전작업대.
KR1020210139139A 2021-10-19 2021-10-19 차량 복포용 이동식 안전작업대 KR202300555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9139A KR20230055585A (ko) 2021-10-19 2021-10-19 차량 복포용 이동식 안전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9139A KR20230055585A (ko) 2021-10-19 2021-10-19 차량 복포용 이동식 안전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5585A true KR20230055585A (ko) 2023-04-26

Family

ID=86099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9139A KR20230055585A (ko) 2021-10-19 2021-10-19 차량 복포용 이동식 안전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558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193A (ko) 2000-02-02 2000-06-05 정진택 고소작업용 안전그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193A (ko) 2000-02-02 2000-06-05 정진택 고소작업용 안전그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5848B2 (en) Moveable guard assembly for all terrain vehicle
EP3388379A1 (en) Elevator arrangement and method
US20110226548A1 (en) Portable vehicle-stabilized mast and fall protection system
JP6633688B2 (ja) トラック荷台からの落下防止装置
KR20230055585A (ko) 차량 복포용 이동식 안전작업대
JP2000237336A (ja) 作業者保安装置
US4418791A (en) Device for enhancing the versatility of cranes or the like
US11332977B2 (en) Vehicle access device mounted holder for equipment
JP6433794B2 (ja) 高所作業用墜落防止装置
KR20220166686A (ko) 모바일 리프터
KR101377229B1 (ko) 코일카 피트 자동 안전망 장치
JP2013233376A (ja) 車両用転落防止装置
JP2014159331A (ja) 吊持装置、及び吊持補助具
JP7236160B2 (ja) 高所落下防止装置
JP5952450B1 (ja) 駐車装置
GB2406313A (en) Vehicle safety frame
KR100749393B1 (ko) 튜브 내부용 원형 곤도라 장치
JP2012081103A (ja) 貨物自動車の荷台、および貨物自動車の荷台作業用安全装置、並びにこれらを用いて形成した貨物自動車
JP2001122591A (ja) 引越作業用高所作業車
JPH08208193A (ja) 身体保持装置の補助ロープ取付装置
EP4046881B1 (en) A carrying mechanism for a battery
JP2020146090A (ja) 貨物自動車荷台からの墜落防止装置
IE20130246A1 (en) A protection and carrier system
CN214569955U (zh) 一种电梯轿厢意外移动安全保护装置
JP2013099385A (ja) トラック用墜落防止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トラ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