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8627A - 용융 Al-Zn계 도금 강판 - Google Patents

용융 Al-Zn계 도금 강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8627A
KR20210068627A KR1020217016983A KR20217016983A KR20210068627A KR 20210068627 A KR20210068627 A KR 20210068627A KR 1020217016983 A KR1020217016983 A KR 1020217016983A KR 20217016983 A KR20217016983 A KR 20217016983A KR 20210068627 A KR20210068627 A KR 202100686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hot
dip
plating layer
plated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6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히로 요시다
아키라 마츠자키
Original Assignee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227002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3591A/ko
Publication of KR20210068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86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1/00Alloys based on aluminium
    • C22C21/10Alloys based on aluminium with zinc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 B32B15/0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one layer being formed of an iron alloy or steel, another layer being formed of aluminium or an aluminium allo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 B32B15/01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one layer being formed of an iron alloy or steel, another layer being formed of a metal other than iron or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8/00Alloys based on zinc
    • C22C18/04Alloys based on zinc with aluminium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2/06Zinc or cadm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2/12Alumin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3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aterial to be treated
    • C23C2/36Elongated material
    • C23C2/40Plates; Stri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한 도장 후 내식성을 갖는 용융 Al-Zn계 도금 강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융 Al-Zn계 도금 강판은, 질량%로, Al: 25∼80% 및 Ce: 0.1∼3%를 함유하고, 잔부가 Zn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도금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용융 Al-Zn계 도금 강판{HOT-DIP Al-Zn ALLOY COATED STEEL SHEET}
본 발명은, 도장 후 내식성이 우수한 용융 Al-Zn계 도금 강판에 관한 것이다.
용융 Al-Zn계 도금 강판, 예를 들면 아연계 도금층 중에 Al을 질량%로 25∼90% 함유하는 용융 Al-Zn계 도금 강판은, 용융 아연 도금 강판에 비해 우수한 내식성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이 용융 Al-Zn계 도금 강판은, 슬래브(slab)를 열간 압연 혹은 냉간 압연한 박강판(thin steel sheet)을 하지 강판(base steel sheet)으로서 이용하고, 당해 하지 강판을 연속식 용융 도금 라인의 어닐링로에서 재결정 어닐링 및 용융 도금 처리를 행함으로써 제조된다. 이 형성된 Al-Zn계 도금층은, 하지 강판과의 계면에 존재하는 합금상과, 그 위에 존재하는 상층을 구비한다.
또한, 상층은, 주로, Al이 덴드라이트 응고하고, Zn을 과포화로 함유한 덴드라이트 응고 부분(α-Al상(phase))과, 나머지의 덴드라이트 간극의 부분(Zn 리치상(rich phase))으로 이루어진다. 이 덴드라이트 응고 부분은 도금층의 막두께 방향으로 적층되어 있다. 이 상층의 특징적인 피막 구조에 의해, 표면으로부터의 부식 진행 경로가 복잡해져 부식이 용이하게 하지 강판에 도달하기 어려워진다. 이에 따라, 용융 Al-Zn계 도금 강판은, 도금층의 두께가 동일한 용융 아연 도금 강판에 비해 우수한 내식성을 갖는다.
또한, 도금욕(molten bath)은, 불가피적 불순물이나, 강판이나 도금욕 중의 기기 등으로부터 용출되는 Fe를 함유하고, 그 외, 과도한 합금상 성장을 억제하기 위한 Si가 첨가되는 것이 통상이다. 도금욕에 있어서, Si는 합금상 중에 금속 간 화합물의 상태로 존재하거나, 혹은 상층 중에 금속 간 화합물, 고용체 혹은 단체(simple substance)의 상태로 존재하고 있다. 그리고, 이 Si의 작용에 의해, 용융 Al-Zn계 도금 강판의 계면에서의 합금상 성장이 억제되어, 합금상 두께는 약 1∼5㎛ 정도가 되어 있다. 도금층 두께가 동일하다면, 합금상이 얇을수록 내식성 향상에 효과가 있는 상층이 두꺼워지기 때문에, 합금상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은 내식성의 향상에 기여하게 된다. 또한, 합금상은 상층보다도 단단하고, 가공 시에 크랙(cracks)의 기점으로서 작용한다. 이 때문에, 합금상의 성장 억제는 크랙의 발생을 감소시켜, 굽힘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초래하게도 된다. 그리고, 발생한 크랙부에서는 하지 강판이 노출되어 있어 내식성이 뒤떨어지기 때문에, 합금상의 성장을 억제하고, 크랙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은 굽힘 가공부 내식성도 향상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내식성이 우수한 용융 Al-Zn계 도금 강판은, 장기간 옥외로 노출되는 지붕이나 벽 등의 건재 분야를 중심으로 수요가 증가하여, 최근은, 자동차 분야에 있어서도 사용되게 되었다. 특히 자동차 분야에 있어서는, 지구 온난화 대책의 일환으로 차체를 경량화하여 연비를 향상시키고 CO2 배출량을 삭감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 때문에, 고강도 강판의 사용에 의한 경량화와, 강판의 내식성 향상에 의한 게이지 다운(gauge reduction)이 강하게 요망되고 있다. 그러나, 용융 Al-Zn계 도금 강판을 자동차 분야, 특히 외판 패널에 이용하고자 한 경우에 다음의 문제가 있다.
용융 Al-Zn계 도금 강판을 자동차 외판 패널로서 사용하는 경우, 당해 도금 강판은 연속식 용융 도금 설비에서 도금까지 실시한 상태로 자동차 메이커 등에 제공되고, 거기에서 패널 부품 형상으로 가공된 후에 화성 처리, 추가로 전착 도장, 중간칠 도장, 마무리칠 도장의 자동차용 종합 도장이 실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용융 Al-Zn계 도금 강판을 이용한 외판 패널은, 도막에 손상이 발생했을 때, 전술한 α-Al상과 Zn 리치상의 2상으로 이루어지는 독특한 도금상 구조에 기인하여, 흠집부를 기점으로 Zn의 우선 용해(Zn 리치상의 선택 부식)가 도막/도금 계면에서 발생한다. 이것이 도장 건전부의 안쪽 깊이를 향하여 진행되어 큰 도막 블리스터(a large coating film blister)를 일으키는 결과, 충분한 내식성(도장 후 내식성)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한편, 용융 Al-Zn계 도금 강판을 건물의 지붕재나 벽재로서 건재 분야에서 이용한 경우도 또한, 도장 후 내식성이 문제가 되고 있다. 용융 도금 강판이 지붕재나 벽재로서 사용되는 경우, 용융 도금 강판은 일반적으로 초벌칠 도장, 마무리칠 도장을 실시한 상태로 건축 회사 등에 제공되고, 필요한 사이즈로 전단하고 나서 사용된다. 이 때문에, 필연적으로 도장이 되어 있지 않은 강판 단면이 노출되고, 여기를 기점으로 엣지 크리프(edge creep)로 칭해지는 도막 블리스터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용융 Al-Zn계 도금 강판의 경우, 자동차 외판 패널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강판 단면부를 기점으로 도막/도금 계면에 있어서의 Zn 리치상의 선택 부식이 일어나는 결과, 용융 Zn 도금에 비해 현저하게 큰 엣지 크리프를 발생시켜 도장 후 내식성이 뒤떨어지는 경우가 있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도금 조성에 Mg, 또는 추가로 Sn 등을 첨가하여, 도금층 중에 Mg2Si, MgZn2, Mg2Sn 등의 Mg 화합물을 형성시킴으로써, 강판 단면으로부터의 적청(red rust) 발생을 개선한 용융 Al-Zn계 도금 강판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질량%로, Zn을 35% 이상, Mg를 1∼60%, Al을 0.07∼59% 함유하고, 추가로 0.1∼10%의 La, 0.1∼10%의 Ce, 0.1∼10%의 Ca, 0.1∼10%의 Sn, 0.005%∼2%의 P, 0.02∼7%의 Si의 1종 이상을 함유하는 도금층을 갖는 고내식성과 고가공성을 양립한 용융 Al-Zn계 도금 강판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 및 2에 개시된 용융 Al-Zn계 도금 강판에 도장을 실시한 경우라도, 후에 도막에 손상이 발생했을 때의 내식성(도장 후 내식성)은, 여전히 불충분했다. 또한, Mg를 사용한 용융 Al-Zn계 도금 강판의 제조에서는, 이(易)산화성의 Mg가 산화함으로써, Mg를 포함하지 않는 용융 Al-Zn계 도금 강판의 제조에 비해 많은 드로스(dross)가 발생하여, 표면 결함을 일으키기 쉽기 때문에, Mg를 함유시키지 않고 내식성을 개선하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02-12959호 국제공개 제2007-108496호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우수한 도장 후 내식성을 갖는 용융 Al-Zn계 도금 강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했다. 그 결과, 도금층 중에, Al에 더하여, Ce를 특정량 함유시킴으로써, 종래에 없는 우수한 도장 후 내식성이 얻어지는 것을 발견했다.
본 발명은, 상기 인식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요지는 이하와 같다.
[1] 하지 강판과, 당해 하지 강판의 표면에 형성된, 질량%로, Al: 25∼80% 및 Ce: 0.1∼3%를 함유하고, 잔부가 Zn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도금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 Al-Zn계 도금 강판.
[2] 상기 도금층이, Si: 0.1∼10질량%를 추가로 함유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용융 Al-Zn계 도금 강판.
[3] 상기 도금층의 Al 함유량이 45∼70질량%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용융 Al-Zn계 도금 강판.
[4] 상기 도금층의 Ce 함유량이 0.5∼3질량%인, 상기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용융 Al-Zn계 도금 강판.
[5] 상기 도금층이, Mn, V, Cr, Mo, Ti, Ni, Co, Sb, Zr 및 B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합계로 0.01∼10% 함유하는, 상기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용융 Al-Zn계 도금 강판.
본 발명에 의하면, 도장 후 내식성이 우수한 용융 Al-Zn계 도금 강판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용융 Al-Zn계 도금 강판을 고강도 강판으로 함으로써, 자동차 분야에 있어서, 경량화와 우수한 내식성의 양립이 가능해진다. 또한, 건재 분야에서 지붕재나 벽재로서 사용함으로써, 건물 수명의 연명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도장 후 내식성의 평가용 샘플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부식 촉진 시험의 사이클을 나타낸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금층 및, 도금욕의 조성을 나타내는 각 원소의 함유량의 단위는 모두 「질량%」이고, 이하,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간단히 「%」로 나타낸다.
우선 처음으로, 본 발명에서 가장 중요한, 용융 Al-Zn계 도금 강판에 의한 도장 후 내식성의 개선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용융 Al-Zn계 도금 강판은, 도금층 중에, Al에 더하여, Ce를 0.1∼3% 함유한다. 도금층 중에 Ce를 함유함으로써, 본 발명에서 과제로 하는 도장 후 내식성의 개선이 가능해진다.
도금층 중에 Ce를 포함하지 않는 종래의 용융 Al-Zn계 도금 강판에서는, 도금층이 대기에 닿으면, 바로 α-Al상의 주위에 치밀, 또한 안정된 Al2O3의 산화막이 형성되고, 이 산화막에 의한 보호 작용에 의해 α-Al상의 용해성은 Zn 리치상의 용해성에 비해 매우 낮아진다. 그 결과, 종래의 Al-Zn계 도금 강판을 하지에 이용한 도장 강판은, 도막에 손상이 발생한 경우, 흠집부를 기점으로 도막/도금 계면에서 Zn 리치상의 선택 부식을 일으키고, 도장 건전부의 안쪽 깊이를 향하여 진행되어 큰 도막 블리스터를 일으키는 점에서, 도장 후 내식성이 뒤떨어진다.
한편, 도금층 중에 Ce를 특정량 함유한 용융 Al-Zn계 도금 강판을 하지에 이용한 도장 강판에서는, Zn 리치상 중에 석출되는 Ce-Si계 등의 Ce 화합물이 Zn 리치상과 함께 부식의 초기 단계에서 용해되기 시작하여, 부식 생성물 중에 Ce가 취입된다. 그리고, Ce를 함유한 부식 생성물은 매우 안정적이고, 부식이 초기 단계에서 억제되기 때문에, 종래의 Al-Zn계 도금 강판을 하지에 이용한 도장 강판의 경우에 문제가 되고 있던 Zn 리치상의 선택 부식에 의한 큰 도막 블리스터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도금층에 Ce를 함유시킨 용융 Al-Zn계 도금 강판은 우수한 도장 후 내식성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대상으로 하는 용융 Al-Zn계 도금 강판의 도금층의 조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도금층 중의 Ce 함유량이 0.1% 미만에서는, 부식 시에 용해되기 시작하는 Ce의 양이 적어, 상기에 나타낸 안정된 부식 생성물의 생성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도장 후 내식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없다. 이 때문에, 도금층 중의 Ce 함유량은 0.1% 이상으로 한다. 도장 후 내식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Ce 함유량은 0.5%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도금층 중의 Ce 함유량이 3%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효과가 포화할 뿐만 아니라, Ce 화합물의 부식이 격렬하게 일어나, 도금층 전체의 용해성이 과도하게 상승하는 결과, 부식 생성물을 안정화시켜도, 그 용해 속도가 커지는 결과, 큰 블리스터폭을 발생시켜, 도장 후 내식성이 열화하게 된다. 이 때문에, 도금층 중의 Ce 함유량은 3% 이하로 한다. 도장 후 내식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Ce 함유량은 2%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용융 Al-Zn계 도금 강판은, 도금층 중에 Al을 25∼80% 함유하는 용융 Al-Zn계 도금 강판이다. 또한, 내식성과 조업면의 균형으로부터, 도금층 중의 Al 함유량은 45% 이상이 바람직하고, 5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마찬가지로 내식성과 조업면의 균형으로부터, 도금층 중의 Al 함유량은, 70% 이하가 바람직하고, 6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도금층 중의 Al 함유량을 25% 이상으로 함으로써, 하지 강판과의 계면에 존재하는 합금층의 위에 존재하는 상층에, 전술한 Al의 덴드라이트 응고가 일어난다. 이에 따라, 상층은, 주로 Zn을 과포화로 함유하고 Al이 덴드라이트 응고한 부분과, 나머지의 덴드라이트 간극의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덴드라이트 응고 부분은 도금층의 막두께 방향으로 적층한, 내식성이 우수한 구조를 취한다. 이러한 도금상 구조를 안정적으로 얻으려면, Al을 45%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Al 함유량이 80% 초과인 경우에는, Fe에 대하여 희생 방식 작용(sacrificial protection effect)을 갖는 Zn량이 적어지기 때문에, 하지 강판이 노출된 경우에 내식성이 열화한다. 일반적으로, 도금의 부착량이 적을수록 하지 강판이 노출되기 쉽기 때문에, 부착량이 적어도 충분한 내식성이 얻어지게 하려면, Al을 7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Al-Zn계의 용융 도금에서는, Al의 함유량의 증가에 수반하여, 도금욕의 온도(이하, 욕온도(bath temperature)라고 칭함)가 높아지기 때문에, 조업면에서의 문제가 우려되지만, 상기 Al 함유량이면, 욕온도가 적절하여, 문제는 없다.
본 발명의 용융 Al-Zn계 도금 강판에 이용되는 하지 강판의 종류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산 세정 탈스케일(descaling)한 열연 강판 혹은 강대(steel strip), 또는, 그들을 냉간 압연하여 얻어진 냉연 강판 혹은 강대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금 강판은, 도금층 중에 잔부로서 Zn을 함유한다. 당해 Zn의 함유량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다른 성분의 함유량에 맞추어 적절히 변경할 수 있지만,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Zn이 10% 이상인 경우에, 도금이 Fe에 대하여 충분한 희생 방식 작용을 나타내기 때문에, 강 소지(steel base)가 노출된 경우에 보다 우수한 내식성이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도금 강판은, 도금층 중에 Si를 0.1∼10%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는 하지 강판과의 계면에 형성하는 계면 합금상의 성장을 억제하고, 내식성이나 가공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도금욕 중에 첨가되어, 도금층에 함유된다. 구체적으로는, 용융 Al-Zn계 도금 강판의 경우, 도금욕 중에 Si를 함유시켜 도금 처리를 행하면, 강판이 도금욕 중에 침지됨과 동시에 강판 표면의 Fe와 욕 중의 Al이나 Si가 합금화 반응하여, Fe-Al계 및/또는 Fe-Al-Si계의 화합물을 형성한다. 이 Fe-Al-Si계의 화합물의 형성에 의해, 계면 합금상의 성장이 억제된다. 도금욕 중의 Si 함유량을 0.1% 이상으로 함으로써 계면 합금상의 성장 억제가 가능해진다. 성장 억제 효과를 충분히 얻기 위해서는, Si 함유량을 1.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도금욕 중의 Si 함유량이 10% 이하인 경우, 제조한 도금층 중에 크랙의 전파 경로가 되어 가공성을 저하시키는 Si상으로서 Si가 석출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도금욕 중의 Si 함유량은 1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금욕 중의 Si 함유량의 적합 범위는, 0.1∼10%이다. 그리고, 제조된 Al-Zn계 도금 강판에서는, 도금층의 조성이 도금욕 조성과 거의 동등해지기 때문에, 도금층 중의 Si 함유량은 도금욕 중의 Si 함유량의 적합 범위와 동등하게 0.1∼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로, 상기 도금층은, Mn, V, Cr, Mo, Ti, Ni, Co, Sb, Zr 및 B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원소를, 합계로 0.01∼10%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식 생성물의 안정성을 향상시켜, 부식의 진행을 지연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도금층의 성분 조성은, 예를 들면, 도금층을 염산 등에 침지하여 용해시키고, 그 용해액을 ICP 발광 분광 분석이나 원자 흡광 분석을 행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어디까지나 일 예이고, 도금층의 성분 조성을 정확하게 정량할 수 있는 방법이면 어떠한 방법이라도 좋고,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한 상기 도금층의 성분 조성 이외의 성분에 대해서는, 불가피적 불순물이 된다. 이는,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해치지 않는 한, 불가피적 불순물을 비롯하여, 다른 미량 원소를 함유하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도금층은, Mg를 함유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이산화성의 Mg가 산화하는 것에 기인하는 드로스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그 결과, 드로스에 기인하는 표면 결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용융 Al-Zn계 도금 강판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용융 Al-Zn계 도금 강판은, 예를 들면, 연속식 용융 도금 설비 등의 도금 설비에 의해 제조되고, 도금욕의 조성 관리 이외는, 모두 상용의 방법으로 행할 수 있다.
도금욕의 조성에 대해서, Al 함유량은 25∼80질량%로 하고, 더하여, Ce를 0.1∼3%를 함유시키고, 잔부가 Zn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조성의 도금욕을 이용함으로써, 전술한 도금층의 구성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용융 Al-Zn계 도금 강판을 제조할 수 있다. 그때, 전술과 같이, 도금층에 Fe에 대한 희생 방식능을 충분히 부여하기 위해, 도금욕 중에 Zn을 10% 이상 함유시키는 것, 또한 계면 합금층의 성장을 억제하기 위해, 도금욕 중에 Si를 0.1∼10%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금욕 중에 전술한 Al, Zn, Si, Ce 이외에도 어떠한 원소를 첨가하는 것은,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한 가능하다. 특히, Mn, V, Cr, Mo, Ti, Ni, Co, Sb, Zr 및 B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원소를 합계로 0.01∼10%를 도금욕 중에 함유시키는 것은, 전술과 같이, 제조한 용융 Al-Zn계 도금 강판의 내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상에 의해, 본 발명의 도장 후 내식성이 우수한 용융 Al-Zn계 도금 강판이 얻어진다.
실시예
(샘플 1∼13)
샘플이 되는 모든 용융 Al-Zn계 도금 강판에 대해서,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한 판두께 0.8㎜의 냉연 강판을 하지 강판으로서 이용하고, 연속식 용융 도금 설비에 의해, 도금욕의 욕온을 표 1에 나타내는 온도로 하고, 도금 부착량을 편면당 50g/㎡, 즉 양면에서 100g/㎡의 조건으로 제조했다.
(1) 도금층의 조성
샘플이 되는 용융 Al-Zn계 도금 강판을, 각각 100㎜Φ로 펀칭하고(punched), 염산에 침지하여 도금층을 용해시킨 후, 용해액의 조성을 ICP 발광 분광 분석으로 정량화함으로써 확인했다. 각 샘플의 도금층의 조성을 표 1에 나타낸다.
(2) 도장 후 내식성의 평가
샘플이 되는 용융 Al-Zn계 도금 강판을 각각 90㎜×70㎜의 사이즈로 전단 후, 자동차 외판용 도장 처리와 동일하게, 화성 처리로서 인산 아연 처리를 행한 후, 전착 도장, 중간칠 및, 마무리칠 도장을 실시했다. 여기에서, 인산 아연 처리, 전착 도장, 중간칠 도장 및 마무리칠 도장은 이하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행했다.
[인산 아연 처리]
니혼 파커라이징사 제조의 탈지제: FC-E2001, 표면 조정제: PL-X 및, 화성 처리제: PB-AX35M(온도: 35℃)을 이용하여, 화성 처리액의 유리 불소 농도를 200질량ppm, 화성 처리액의 침지 시간을 120초의 조건으로 화성 처리를 실시했다.
[전착 도장]
칸사이 페인트사 제조의 전착 도료: GT-100을 이용하여, 막두께가 15㎛가 되도록 전착 도장을 실시했다.
[중간칠 도장]
칸사이 페인트사 제조의 중간칠 도료: TP-65-P를 이용하여, 막두께가 30㎛가 되도록 스프레이 도장을 실시했다.
[마무리칠 도장]
칸사이 페인트사 제조의 마무리칠 도료: Neo6000을 이용하여, 막두께가 30㎛가 되도록 스프레이 도장을 실시했다.
그 후,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가면의 단부 5㎜ 및, 비평가면(배면)을 테이프로 시일 처리를 행한 후, 평가면의 중앙에 커터 나이프(utility knife)로 도금 강판의 지철에 도달하는 깊이까지, 길이 60㎜, 중심각 90°의 크로스컷(cross cut) 흠집을 가한 것을 도장 후 내식성의 평가용 샘플로 했다.
상기 평가용 샘플을 이용하여 도 2에 나타내는 사이클로 부식 촉진 시험을 실시했다. 부식 촉진 시험을 습윤으로부터 개시하여, 60사이클 후까지 행한 후, 흠집부로부터의 도막 블리스터가 최대인 부분의 도막 블리스터폭(최대 도막 블리스터폭)을 측정하고, 도장 후 내식성을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 최대 도막 블리스터폭≤1.5㎜
△: 1.5㎜<최대 도막 블리스터폭≤2.0㎜
×: 2.0㎜<최대 도막 블리스터폭
Figure pat00001
표 1로부터, 본 발명예의 샘플에서는, 비교예의 샘플과는 달리, 최대 도막 블리스터폭이 1.5㎜ 이하인 점에서, 도장 후 내식성이 우수한 용융 Al-Zn계 도금 강판이 얻어진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예의 샘플 중에 있어서, 도금층 중의 Ce 함유량을 각각 적절한 범위로 제어함으로써, 우수한 도장 후 내식성을 갖는 용융 Al-Zn계 도금 강판이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용융 Al-Zn계 도금 강판은, 도장 후 내식성이 우수하고, 자동차, 가전, 건재의 분야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적용할 수 있다. 특히 자동차 분야에 있어서, 본 발명을 고강도 강판에 적용하면, 자동차의 경량화와 고내식성을 달성하는 표면 처리 강판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5)

  1. 하지 강판과, 당해 하지 강판의 표면에 형성된, 질량%로, Al: 25∼80% 및 Ce: 2.0∼3%를 함유하고, 잔부가 Zn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도금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 Al-Zn계 도금 강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층이, Si: 0.1∼10질량%를 추가로 함유하는, 용융 Al-Zn계 도금 강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층의 Al 함유량이 45∼70질량%인, 용융 Al-Zn계 도금 강판.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층이, Mn, V, Cr, Mo, Ti, Ni, Co, Sb, Zr 및 B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합계로 0.01∼10% 함유하는, 용융 Al-Zn계 도금 강판.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층이, Mn, V, Cr, Mo, Ti, Ni, Co, Sb, Zr 및 B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합계로 0.01∼10% 함유하는, 용융 Al-Zn계 도금 강판.
KR1020217016983A 2016-09-05 2017-08-24 용융 Al-Zn계 도금 강판 KR202100686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7002025A KR20220013591A (ko) 2016-09-05 2017-08-24 도막 부착 용융 Al-Zn계 도금 강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72945 2016-09-05
JPJP-P-2016-172945 2016-09-05
KR1020197009584A KR20190045297A (ko) 2016-09-05 2017-08-24 용융 Al-Zn계 도금 강판
PCT/JP2017/030323 WO2018043286A1 (ja) 2016-09-05 2017-08-24 溶融Al-Zn系めっき鋼板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9584A Division KR20190045297A (ko) 2016-09-05 2017-08-24 용융 Al-Zn계 도금 강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2025A Division KR20220013591A (ko) 2016-09-05 2017-08-24 도막 부착 용융 Al-Zn계 도금 강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8627A true KR20210068627A (ko) 2021-06-09

Family

ID=61305351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9584A KR20190045297A (ko) 2016-09-05 2017-08-24 용융 Al-Zn계 도금 강판
KR1020217016983A KR20210068627A (ko) 2016-09-05 2017-08-24 용융 Al-Zn계 도금 강판
KR1020227002025A KR20220013591A (ko) 2016-09-05 2017-08-24 도막 부착 용융 Al-Zn계 도금 강판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9584A KR20190045297A (ko) 2016-09-05 2017-08-24 용융 Al-Zn계 도금 강판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2025A KR20220013591A (ko) 2016-09-05 2017-08-24 도막 부착 용융 Al-Zn계 도금 강판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90185970A1 (ko)
EP (1) EP3508610B1 (ko)
JP (1) JP6315153B1 (ko)
KR (3) KR20190045297A (ko)
CN (1) CN109689916B (ko)
MX (1) MX2019002535A (ko)
TW (1) TWI639726B (ko)
WO (1) WO20180432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3172B1 (ko) * 2018-08-30 2020-09-07 주식회사 포스코 열간 성형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알루미늄-아연 합금 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CN110923603A (zh) * 2019-12-09 2020-03-27 晋江安能建材制造有限公司 一种高耐热性的热浸镀铝锌钢板及其生产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2959A (ja) 2000-04-26 2002-01-15 Nippon Steel Corp 加工部及び端面耐食性に優れたAl系めっき鋼板
WO2007108496A1 (ja) 2006-03-20 2007-09-27 Nippon Steel Corporation 高耐食性溶融Zn系めっき鋼材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2871A (en) * 1986-08-14 1988-02-02 Cosmos Engineering, Inc. Zinc-aluminum alloy coatings for steel
JP4102035B2 (ja) * 2000-04-18 2008-06-18 新日本製鐵株式会社 耐食性に優れためっき製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1314828B (zh) * 2008-07-01 2010-04-14 葫芦岛锌业股份有限公司 一种热浸镀用四元合金及其生产方法
US20100119869A1 (en) * 2008-11-13 2010-05-13 Changshu Huaye Steel Strip Co., Ltd Hot-dipped zn-al-si-mg-re steel plate
CN101545069A (zh) * 2009-02-13 2009-09-30 常熟华冶薄板有限公司 热浸镀锌铝硅镁稀土钢板
CN101457320A (zh) * 2009-01-04 2009-06-17 上海大学 钢材热浸镀用Al-Zn-Mg-Si合金
CN102762759B (zh) * 2010-02-18 2015-11-25 日铁住金钢板株式会社 热浸镀钢及其制造方法
CN101880800A (zh) * 2010-05-26 2010-11-10 上海大学 具有细小晶粒和高耐蚀性的高Al系Al-Zn-Si-Ti热浸镀合金
TWI482880B (zh) * 2012-02-28 2015-05-01 Nippon Steel & Sumikin Coated 表面被覆鋁含鋅系鍍鋼板及其製造方法
US10053753B2 (en) * 2013-02-28 2018-08-21 Nippon Steel & Sumikin Coated Sheet Corporation Aluminum-zinc plated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2959A (ja) 2000-04-26 2002-01-15 Nippon Steel Corp 加工部及び端面耐食性に優れたAl系めっき鋼板
WO2007108496A1 (ja) 2006-03-20 2007-09-27 Nippon Steel Corporation 高耐食性溶融Zn系めっき鋼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08610A4 (en) 2019-07-10
KR20220013591A (ko) 2022-02-04
JP6315153B1 (ja) 2018-04-25
CN109689916B (zh) 2023-08-01
TWI639726B (zh) 2018-11-01
US20190185970A1 (en) 2019-06-20
WO2018043286A1 (ja) 2018-03-08
EP3508610A1 (en) 2019-07-10
CN109689916A (zh) 2019-04-26
JPWO2018043286A1 (ja) 2018-09-13
KR20190045297A (ko) 2019-05-02
TW201812054A (zh) 2018-04-01
MX2019002535A (es) 2019-07-01
EP3508610B1 (en) 2022-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7984B1 (ko) 용융 Al-Zn계 도금 강판
JP6812996B2 (ja) 溶融Al系めっき鋼板とその製造方法
KR101736737B1 (ko) 용융 Al-Zn계 도금 강판 및 그의 제조 방법
JP6112131B2 (ja) 溶融Al−Zn系めっき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6683258B2 (ja) 溶融Al系めっき鋼板及び溶融Al系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6065043B2 (ja) 溶融Al−Zn系めっき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10068627A (ko) 용융 Al-Zn계 도금 강판
JPS648704B2 (ko)
EP4079923A1 (en) Hot dip alloy coated steel material having excellent anti-corrosion properti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WO2018181392A1 (ja) 溶融Al系めっき鋼板とその製造方法
JP2002371342A (ja) 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6060945A (ja) 溶融Al系めっき鋼板
JP6065042B2 (ja) 溶融Al−Zn系めっき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158595A (ja) 外観性と密着性に優れた難めっき鋼板の連続溶融めっき方法
JP7120166B2 (ja) 溶融Al-Zn系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EP4234736A1 (en) Plated steel sheet
JP6337711B2 (ja) 溶融Al系めっき鋼板
JP2016060946A (ja) 溶融Al系めっき鋼板
EP4230756A1 (en) Plated steel sheet for automobile structural members
JP5604784B2 (ja) めっき性の良好な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100012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20119

Effective date: 20230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