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6396A - 매체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매체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6396A
KR20210066396A KR1020190155591A KR20190155591A KR20210066396A KR 20210066396 A KR20210066396 A KR 20210066396A KR 1020190155591 A KR1020190155591 A KR 1020190155591A KR 20190155591 A KR20190155591 A KR 20190155591A KR 20210066396 A KR20210066396 A KR 20210066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um
separation
unit
media
push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5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경일
노정호
Original Assignee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5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6396A/ko
Publication of KR20210066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63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07D11/18Diverting into different paths or contain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체가 분리될 때 매체의 분리압을 적정하게 조절하여 매체의 분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매체 처리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매체수납공간에 수납된 매체를 지지하며 승강되는 푸쉬플레이트; 상기 매체를 낱장 분리하는 분리부; 상기 분리부에서의 매체 분리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매체 분리 감지부; 및 상기 매체 분리 감지부가 매체의 분리 동작을 감지한 경우, 분리 중인 선행 매체와 상기 매체수납공간에 수납되어 있는 후행 매체 간에 분리압이 낮아지도록 상기 푸쉬플레이트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매체 처리 장치{Medium process apparatus}
본 발명은 매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매체가 분리될 때 매체의 분리압력을 조절하여 매체의 분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매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금융자동화기기는 금융서비스와 관련하여 장소 및 시간에 구애 받지 않고, 은행 직원 없이도 입금 또는 출금과 같은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를 보조할 수 있는 자동화 장치이다. 최근 들어 금융자동화기기는 매체 입출금은 물론 수표 입출금, 통장 정리, 지로요금 납부, 티켓 발매 등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금융자동화기기에 구비되는 매체 처리 장치의 상부에는 매체를 낱장 단위로 분리하여 반송로로 반송하기 위한 매체 분리부가 구비되고, 매체 처리 장치의 내부에는 매체를 지지하며 승강 이동되어 상기 매체 분리부 측으로 매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푸쉬플레이트가 구비된다.
종래 매체 분리부에서 푸쉬플레이트의 가압에 의해 매체를 분리할 때, 분리압의 작용에 의해 분리되는 선행 매체와 후행 매체 간의 마찰이나 정전기로 인한 매체의 2매 분리 현상이 발생하고, 선행 매체와 후행 매체 간의 간섭에 의해 매체가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되는 스큐(Skew) 현상 및 매체의 잼(jam) 발생에 따라 매체의 이동이 지연되어 매체의 분리 성능이 저하되며, 매체의 반송 장애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매체 처리 장치와 관련된 선행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3769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28481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매체가 분리될 때 매체의 분리압을 적정하게 조절하여 매체의 분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매체 처리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 장치는, 매체수납공간에 수납된 매체를 지지하며 승강되는 푸쉬플레이트; 상기 매체를 낱장 분리하는 분리부; 상기 분리부에서의 매체 분리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매체 분리 감지부; 및 상기 매체 분리 감지부가 매체의 분리 동작을 감지한 경우, 분리 중인 선행 매체와 상기 매체수납공간에 수납되어 있는 후행 매체 간에 분리압이 낮아지도록 상기 푸쉬플레이트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분리부는, 상기 매체를 낱장 분리하기 위한 픽업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매체 분리 감지부는 상기 픽업롤러가 회전되는 각도를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매체 분리 감지부가 감지한 픽업롤러의 회전 각도를 기준으로 상기 푸쉬플레이트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픽업롤러는 원주방향의 일부 구간에 마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매체 분리 감지부는 상기 마찰 부재가 회전되는 각도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매체 분리 감지부는, 상기 분리부의 매체 진입 측에 구비된 매체 감지 센서로 이루어지고, 상기 매체 감지 센서에서 분리되는 매체의 선단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매체의 선단이 감지된 시점을 기준으로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 상기 분리압이 낮아지도록 푸쉬플레이트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선행 매체가 상기 분리부를 통과하여 분리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푸쉬플레이트를 후행 매체의 분리를 위한 분리 대기 위치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매체집적공간의 상부에 구비되어 집적된 매체와 접촉되며 승강되는 가이드플레이트;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와 함께 승강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의 승강 이동을 감지하는 분리압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리압 감지부에서 상기 브라켓을 감지한 시점에 상기 분리부의 구동이 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리부의 구동이 개시된 시점으로부터 분리 중인 매체의 분리가 완료되는 시점까지 상기 분리부의 구동 상태가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는 상기 매체집적공간에 집적된 매체와 접촉되는 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를 상기 매체집적공간에 집적된 매체를 향하여 가압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분리부를 회전 구동하는 분리부 구동부와, 상기 푸쉬플레이트를 상승 이동하는 정방향과 하강 이동하는 역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동하는 푸쉬플레이트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처리 장치에 의하면, 선행 매체의 분리 시작시 푸쉬플레이트를 이동시켜 선행 매체와 후행 매체 간의 분리압을 낮춤으로써, 선행 매체와 후행 매체 간의 마찰이나 정전기로 인한 매체의 2매 분리를 방지할 수 있고, 선행 매체와 후행 매체 간의 간섭에 의해 스큐 또는 매체의 이동 지연을 방지할 수 있어 매체의 분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 장치의 제어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 장치에서 푸쉬플레이트가 상승 이동되어 매체에 분리압이 작용한 상태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 장치에서 푸쉬플레이트가 정지된 상태에서 매체의 분리가 시작될 때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 장치에서 매체의 분리 시작이 감지된 후 푸쉬플레이트가 하강 이동되어 선행 매체와 후행 매체 간에 분리압이 낮아진 상태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 장치의 구성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 장치(1)는, 매체 저장부(10) 내의 매체수납공간(S)에 수납된 매체(M)를 지지하며 승강되는 푸쉬플레이트(20), 상기 매체(M)를 낱장 분리하는 분리부(30), 상기 분리부(30)에서의 매체 분리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매체 분리 감지부(70), 및 상기 매체 분리 감지부(70)가 매체(M)의 분리 동작을 감지한 경우, 분리 중인 선행 매체(M1)와 상기 매체수납공간(S)에 수납되어 있는 후행 매체(M2) 간에 분리압이 낮아지도록 상기 푸쉬플레이트(20)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80)를 포함한다.
상기 푸쉬플레이트(20)는, 그 상면에 적재되는 매체(M)의 수량 증감에 대응하여 푸쉬플레이트 구동부(92)의 구동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 이동된다. 상기 푸쉬플레이트 구동부(92)는, 푸쉬플레이트(20)를 상승 이동하는 정방향과 하강 이동하는 역방향으로 구동하며, 구동 모터(미도시)와, 상기 구동 모터의 동력을 푸쉬플레이트(20)에 전달하기 위한 벨트 또는 기어(미도시)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분리부(30)는, 상기 매체수납공간(S)에 적재된 매체(M)를 낱장 단위로 분리하여 그 일측에 연결된 반송로(미도시) 측으로 반송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매체를 낱장 분리하는 픽업롤러(31)와, 상기 픽업롤러(31)와 대향된 위치에 구비되어 픽업롤러(31)에 의해 픽업된 매체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롤러(32)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상기 픽업롤러(31)는 원주방향의 일부 구간에 매체(M)와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마찰 부재(31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찰 부재(31a)는 고무, 실리콘, 합성 수지 재질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재질이라면 기타의 재질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분리부(30)에 의해 매체(M)가 분리되기 위해서는, 최상단에 위치하는 매체와 픽업롤러(31) 사이에 소정 압력 이상의 분리압이 작용되도록 하여 매체의 상면과 픽업롤러(31)의 외주면 사이에 소정의 마찰력이 작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되어야 한다. 상기 분리압은 푸쉬플레이트(20)의 상승 이동량에 비례하여 커지게 되며, 매체(M)의 원활한 분리를 위해서는 설정된 범위 내의 적정한 분리압이 작용하도록 푸쉬플레이트(20)의 승강 이동량이 제어된다. 그러나, 설정된 범위 내의 분리압을 작용시키더라도 분리 중인 선행 매체(M1)와 매체집적공간(S)에 집적되어 있는 후행 매체(M2)가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분리압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매체의 2매 분리, 스큐, 이동 지연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매체의 분리를 위한 분리압의 작용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의 일실시예로, 상기 매체집적공간(S)의 상부에는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집적된 매체(M)와 접촉되며 승강 이동되는 가이드플레이트(40)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플레이트(40)의 일측부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브라켓(50)이 결합되며, 상기 브라켓(50)의 승강 이동을 감지함으로써 매체의 분리를 위한 분리압의 작용 여부를 감지하 분리압 감지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푸쉬플레이트(20)의 상승 이동에 의해 푸쉬플레이트(20) 상에 집적된 매체(M)가 상승 이동하게 되면, 상기 가이드플레이트(40) 및 이에 결합된 브라켓(50)이 상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분리압 감지부(60)가 브라켓(50)을 감지하게 되며, 상기 분리압 감지부(60)에서 감지한 신호에 따라 제어부(80)는 분리부(30)가 회전되도록 분리부 구동부(91)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분리압 감지부(60)가 브라켓(50)을 감지한 시점에 상기 분리부(30)의 구동이 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분리부(30)의 구동이 개시된 시점으로부터 분리 중인 매체(M)의 분리가 완료되는 시점까지 상기 분리부(30)의 구동 상태가 유지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40)에는 상기 매체집적공간(S)에 집적된 매체(M)와 접촉되는 롤러(41)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롤러(41)는 가이드플레이트(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롤러(41)의 하단부는 가이드플레이트(40)보다 하측으로 돌출되어 집적된 매체(M) 중 최상단에 위치하는 매체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매체(M)의 분리시 상기 롤러(41)는 매체(41)와의 접촉에 의해 매체(M)가 분리되는 방향을 따라 회전하게 되므로, 가이드플레이트(40)의 저면에 매체(M)가 직접 접촉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롤러(41)가 매체(M)와 접촉됨과 동시에 회전하게 되므로, 매체(M)와의 마찰을 줄일 수 있어 매체(M)가 간섭없이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40)에는 가이드플레이트(40)를 매체집적공간(S)에 집적된 매체(M)를 향하여 가압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42)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40)의 상승 이동시 상기 탄성부재(42)는 압축 변형되면서 탄성 복원력에 의해 가이드플레이트(40)를 하향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가이드플레이트(40)가 급격하게 상승 이동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가이드플레이트(40)에 결합된 브라켓(50)의 높이 변위에 따른 분리압의 작용 여부를 분리압 감지부(60)에서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플레이트(40)를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매체 분리 감지부(70)는 상기 픽업롤러(31)가 회전되는 각도를 감지하는 센서(미도시됨)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매체 분리 감지부(70)가 감지한 픽업롤러(31)의 회전 각도를 기준으로 푸쉬플레이트(20)가 이동되도록 푸쉬플레이트 구동부(92)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상기 매체 분리 감지부(70)는 픽업롤러(31)는 원주방향의 일부 구간에 구비된 마찰 부재(31a)가 회전되는 각도를 감지함으로써, 픽업롤러(31)의 회전 각도를 감지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매체(M)의 분리 동작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3은 푸쉬플레이트(20)가 상승 이동되어 매체(M)에 분리압이 작용한 상태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푸쉬플레이트(20)가 정지된 상태에서 매체(M)의 분리가 시작될 때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매체(M)의 분리 시작이 감지된 후 푸쉬플레이트(20)가 하강 이동되어 선행 매체(M1)와 후행 매체(M2) 간에 분리압이 낮아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매체(M)의 분리를 위하여 푸쉬플레이트 구동부(92)가 정방향으로 구동되어 푸쉬플레이트(20)가 상승 이동하게 되면, 상기 푸쉬플레이트(20) 상에 적재되어 있는 매체(M)가 롤러(41)의 하단에 접촉되면서 가이드플레이트(40)와 이에 결합된 브라켓(50)을 상승 이동시키게 되며, 상기 매체(M)는 픽업롤러(31)의 하단에 접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분리압 감지부(60)는 상승 이동한 브라켓(50)을 감지하게 되고, 상기 분리압 감지부(60)에서 감지한 신호는 제어부(80)로 송출되며, 상기 제어부(80)는 매체의 분리를 위한 분리압이 작용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분리부 구동부(92)에 제어 신호를 송출하여 분리부(30)가 회전 구동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분리부(30)의 회전 구동에 의해 최상단에 위치한 선행 매체(M1)의 분리가 시작되어 상기 선행 매체(M1)가 픽업롤러(31)와 이송롤러(32) 사이에 협지된 상태로 분리 동작이 시작되면, 상기 매체 분리 감지부(70)는 픽업롤러(31)가 회전되는 각도, 또는 마찰부재(31a)가 회전되는 각도를 감지하고, 상기 매체 분리 감지부(70)에서 감지된 신호는 제어부(80)로 송출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매체 분리 감지부(70)에서 감지된 신호를 기준으로, 상기 제어부(80)는 선행 매체(M1)의 분리 동작이 개시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푸쉬플레이트 구동부(92)를 역방향으로 구동시켜 푸쉬플레이트(20)가 소정 거리 하강 이동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때, 선행 매체(M1)와 후행 매체(M2) 간에는 소정의 이격 공간(G)이 형성되고, 이로써 선행 매체(M1)와 후행 매체(M2) 간에 마찰 및 정전기의 발생이 방지되어 매체(M)의 2매 분리, 스큐, 이송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분리부(30)의 구동이 개시된 시점으로부터 분리 중인 선행 매체(M1)의 분리가 완료되는 시점까지 상기 분리부(30)의 구동 상태가 유지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선행 매체(M1)가 상기 분리부(30)를 통과하여 분리되면,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푸쉬플레이트(20)를 후행 매체(M2)의 분리를 위한 분리 대기 위치로 이동되도록 푸쉬플레이트 구동부(92)를 다시 정방향으로 구동 제어하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 장치(1)는, 전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분리부(30)의 매체 진입 측에 매체 분리 감지부(70-1)를 추가로 구비한 점에 차이가 있고, 기타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픽업롤러(31)는 일부 구간에 마찰부재(31a)를 구비할 수도 있고, 픽업롤러(31)의 전체 구간이 마찰 소재로 구성된 것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매체 분리 감지부(70-1)는, 상기 분리부(30)의 매체 진입 측에 구비된 매체 감지 센서(70a,7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실시예로, 상기 매체 감지 센서(70a,70b)는 발광부(70a)와 수광부(70b)로 이루어진 광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매체 분리 감지부(70-1)는 광센서 이외에도 매체의 통과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감지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매체 감지 센서(70a,70b))에서 분리되는 매체(M1)의 선단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매체(M1)의 선단이 감지된 시점을 기준으로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 상기 분리압이 낮아지도록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푸쉬플레이트(20)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행 매체(M1)가 상기 분리부(30)를 통과하여 분리되면,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푸쉬플레이트(20)를 후행 매체(M2)의 분리를 위한 분리 대기 위치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 : 매체 처리 장치 10 : 매체 저장부
20 : 푸쉬플레이트 30 : 분리부
31 : 픽업롤러 31a : 마찰부재
32 : 이송롤러 40 : 가이드플레이트
41 : 롤러 42 : 탄성부재
50 : 브라켓 60 : 분리압 감지부
70,70-1 : 매체 분리 감지부 80 : 제어부
91 : 분리부 구동부 92 : 푸쉬플레이트 구동부
G : 이격 공간 M : 매체
M1 : 선행 매체 M2 : 후행 매체
S : 매체수납공간

Claims (10)

  1. 매체수납공간에 수납된 매체를 지지하며 승강되는 푸쉬플레이트;
    상기 매체를 낱장 분리하는 분리부;
    상기 분리부에서의 매체 분리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매체 분리 감지부; 및
    상기 매체 분리 감지부가 매체의 분리 동작을 감지한 경우, 분리 중인 선행 매체와 상기 매체수납공간에 수납되어 있는 후행 매체 간에 분리압이 낮아지도록 상기 푸쉬플레이트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매체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상기 매체를 낱장 분리하기 위한 픽업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매체 분리 감지부는 상기 픽업롤러가 회전되는 각도를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매체 분리 감지부가 감지한 픽업롤러의 회전 각도를 기준으로 상기 푸쉬플레이트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롤러는 원주방향의 일부 구간에 마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매체 분리 감지부는 상기 마찰 부재가 회전되는 각도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분리 감지부는, 상기 분리부의 매체 진입 측에 구비된 매체 감지 센서로 이루어지고,
    상기 매체 감지 센서에서 분리되는 매체의 선단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매체의 선단이 감지된 시점을 기준으로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 상기 분리압이 낮아지도록 푸쉬플레이트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행 매체가 상기 분리부를 통과하여 분리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푸쉬플레이트를 후행 매체의 분리를 위한 분리 대기 위치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처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집적공간의 상부에 구비되어 집적된 매체와 접촉되며 승강되는 가이드플레이트;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와 함께 승강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의 승강 이동을 감지하는 분리압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리압 감지부에서 상기 브라켓을 감지한 시점에 상기 분리부의 구동이 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처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리부의 구동이 개시된 시점으로부터 분리 중인 매체의 분리가 완료되는 시점까지 상기 분리부의 구동 상태가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처리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는 상기 매체집적공간에 집적된 매체와 접촉되는 롤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처리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를 상기 매체집적공간에 집적된 매체를 향하여 가압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처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를 회전 구동하는 분리부 구동부와,
    상기 푸쉬플레이트를 상승 이동하는 정방향과 하강 이동하는 역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동하는 푸쉬플레이트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처리 장치.
KR1020190155591A 2019-11-28 2019-11-28 매체 처리 장치 KR202100663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591A KR20210066396A (ko) 2019-11-28 2019-11-28 매체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591A KR20210066396A (ko) 2019-11-28 2019-11-28 매체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396A true KR20210066396A (ko) 2021-06-07

Family

ID=76374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5591A KR20210066396A (ko) 2019-11-28 2019-11-28 매체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639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81497A (en) Automatic document align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document feed equipment
WO2005087634A1 (ja) 紙葉類の繰出装置
US7975909B2 (en) Device of Supplying Paper Medium
JP2002128297A (ja) 板状部材の枚葉方法
KR100993752B1 (ko) 지엽류 분리 조출 기구
TW470708B (en) Automatic paper feeding system
KR20100056867A (ko) 매체수납장치 및 그의 매체기울기 보정방법, 그리고 그를 이용한 금융자동화기기
KR20210066396A (ko) 매체 처리 장치
JP2007145572A (ja) 紙葉類分離繰出機構
JP3191386B2 (ja) 紙葉類の分離機構
US10479625B2 (en) Sheet feeding apparatus and printing apparatus
JP6789857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記録装置
JPH05278902A (ja) 紙葉類分離給送装置
JP6518441B2 (ja) シート給紙装置
KR20200082845A (ko) 지폐 분리 장치
JP3573224B2 (ja) 紙葉類繰出し装置
JP2908852B2 (ja) 紙葉類堆積装置
JPH09278196A (ja) シート給送装置
KR102008574B1 (ko) 지폐집적장치
JP3638219B2 (ja) シート給送装置
JP4707442B2 (ja) 給紙装置
JP2020121844A (ja) 媒体供給装置
JPH065304Y2 (ja) 媒体繰出し機構
JPH0258176B2 (ko)
JPH08151135A (ja) 紙葉類取出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