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6316A - 전력 케이블의 절연층 조성물 및 성형품 - Google Patents

전력 케이블의 절연층 조성물 및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6316A
KR20210066316A KR1020190155400A KR20190155400A KR20210066316A KR 20210066316 A KR20210066316 A KR 20210066316A KR 1020190155400 A KR1020190155400 A KR 1020190155400A KR 20190155400 A KR20190155400 A KR 20190155400A KR 20210066316 A KR20210066316 A KR 202100663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ylene
propylene
power cable
insulating layer
polyprop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5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교운
노태경
이현섭
Original Assignee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5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6316A/ko
Publication of KR20210066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63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001Multistage polymerisa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a change in reactor conditions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 C08F297/0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using a catalyst of the coordination type
    • C08F297/0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using a catalyst of the coordination type polymerising mono-olefins
    • C08F297/08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using a catalyst of the coordination type polymerising mono-olefins the monomers being ethylene or propyl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4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 H01B3/441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from alke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20Applications use in electrical or conductive gadgets
    • C08L2203/202Applications use in electrical or conductive gadgets use in electrical wires or wire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20Applications use in electrical or conductive gadgets
    • C08L2203/206Applications use in electrical or conductive gadgets use in coating or encapsulating of electronic parts

Abstract

본 발명은 저온 충격강도가 우수한 전력 케이블용의 절연층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 된 성형품에 관한 것으로서,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내에 30 내지 35중량%의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공중합체가 분산된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65 내지 75중량% 및 프로필렌-에틸렌 고무 및 에틸렌-1-옥텐 고무의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25 내지 35중량%를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의 절연층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며, 상기 조성물로 된 절연층을 갖는 전력케이블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력 케이블의 절연층 조성물 및 성형품{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FOR INSULATING LAYER OF POWER CABLE AND ARTICLE PRODUCED THEREFROM}
본 발명은 저온 충격강도가 우수한 전력 케이블용의 절연층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 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 초고압용 전력케이블에는 고전압 절연재료로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에 유기가황제를 혼합하여 폴리에틸렌(PE)을 가교시켜 폴리에틸렌 구조를 가교시킴으로써 열경화성의 점탄성 성질이 부여된 XLPE(Cross Linking-Polyethylene)를 많이 사용하였다. 
최근, 높은 내열성을 가지면서도 재활용이 용이한 폴리프로필렌(PP) 소재를 이용한 절연층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PP는 XLPE와 비교하여 제조공법이 간편하고 비가교 형태로 재활용이 가능하며, 내열성 등의 성능과 활용성이 뛰어나 송전용량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PP 소재는 제조 공정상 메탄가스 등의 유독물질과 각종 부산물이 발생되지 않으며, 제조 공정상 발생하는 CO2 등의 온실가스도 XLPE와 대비하여 30% 가량 저감이 가능하여, 친환경적인 소재로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2018-0093808호는 투명성이 향상된 절연층을 구비한 전력케이블을 개시하고 있으며, 폴리프로필렌 블록 코폴리머 55중량부 내지 65중량부, 에틸렌-옥텐 고무 35중량부 내지 45중량부 및 폴리프로필렌 블록 코폴리머 및 에틸렌-옥텐 고무의 합 100중량부에 대하여 이온성 무기물 0.03중량부 이하로 포함하는 절연층을 개시하고 있다.
한편, 한국공개특허 제2018-0093807호는 유연성이 향상된 절연층을 구비한 전력케이블을 개시하고 있으며, 반응형 폴리프로필렌(reactor based polypropylene) 30중량부 내지 80중량부 및 폴리프로필렌 블록 코폴리머 20중량부 내지 70 중량부를 포함하며, 굴곡탄성율이 2000kg/㎠ 내지 4000kg/㎠인 절연층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전력 케이블은 폴리프로필렌 고유의 특성인 높은 강성으로 인하여 낮은 유연성, 굴곡성, 저온 충격강도 등의 다소 불충분한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폴리프로필렌의 높은 강성 및 낮은 저온 충격 강도가 개선된 절연층 조성물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유연성, 저온충격성이 우수한 전력 케이블의 절연층을 제조할 수 있는 전력 케이블의 절연층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저온충격성, 유연성과 같은 기계적 특성과 전기적 특성이 우수하며, 재활용이 가능하고, 용융점이 높아 고온에서 장시간 운영이 가능한 전력 케이블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저온 충격강도가 우수한 전력 케이블용의 절연층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 된 성형품에 관한 것으로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65 내지 70중량% 및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공중합체 30 내지 35중량%를 포함하고,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매트릭스에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의 도메인이 분산된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65 내지 75중량% 및 프로필렌-에틸렌 고무 및 에틸렌-1-옥텐 고무의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25 내지 35중량%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절연층 조성물은 내열성, 유연성, 저온충격성이 우수하여 전력 케이블의 절연층으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전력케이블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유연성, 저온충격성이 우수한 전력 케이블의 절연층을 제조할 수 있는 전력 케이블의 절연층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 제조된 절연층을 포함하는 전력케이블을 제공하고자 한다.
전력 케이블의 절연층 소재로서 사용되기 위해서는 유연성 및 굴곡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호모 폴리프로필렌(H-PP)은 유연성과 굴곡성이 낮아, 전력 케이블의 절연층으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에,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루프 반응기에서 프로필렌을 중합반응시켜 폴리프로필렌을 제조한 후, 연속중합으로, 상기 폴리프로필렌의 존재 하에 기상반응기에서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가스를 공중합반응시켜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공중합체(EPR)를 제조함으로써 얻어진 것으로서, 상기와 같이, 연속중합에 의해 제조함으로써,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내에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R)를 작은 사이즈의 도메인으로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에 포함되는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R)의 도메인은 0.5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0.7 내지 1.3㎛의 평균 도메인 사이즈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의 도메인이 0.2 내지 0.6,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5의 분산도로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
상기 도메인 사이즈 및 분산도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컴프레션 몰딩(220℃에서 4분)하여 제조된 시편을 폭 1㎜ 및 길이 10㎝로 재단한 후, 섭씨 60℃의 자일렌에 침지하여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공중합체를 용출시키고, 시편의 표면에 존재하는 공극에 대하여 SEM으로 분석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공중합체(EPR)는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전체 중량의 30 내지 35중량%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공중합체(EPR)의 함량이 30중량% 미만이면 굴곡탄성율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으며, 35중량%를 초과하면 내열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내에 포함된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공중합체의 함량은 자일렌 가용분(Xylene soluble, X.S(중량%))의 함량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자일렌 가용분의 함량은 30 내지 35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에틸렌 유래 반복단위를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전체 100중량% 중에 13 내지 16중량%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높은 함량의 에틸렌 유래 반복단위를 포함하고 있어 30중량% 이상의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공중합체를 포함하며, 이로 인해 높은 충격강도를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우수한 유연성 및 굴곡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공중합체는 상기 에틸렌 유래의 반복단위를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공중합체 전체 중량에 대하여 40 내지 50중량%의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력 케이블의 절연층 조성물은 상기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와 함께,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PO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POE)는 유연성과 저온충격강도를 향상시키는 개질제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POE)는, 에틸렌 유래의 반복단위, 프로필렌 유래의 반복단위 및 (C4-C12)의 알파-올레핀 유래의 반복단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과 프로필렌 또는 (C4-C12)의 알파-올레핀이 공중합된 엘라스토머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에틸렌과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1-옥텐 등의 알파-올레핀의 랜덤 또는 블록 공중합체 엘라스토머, 또는 이들 엘라스토머의 조합일 수 있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에틸렌 고무(PER) 및 에틸렌-1-옥텐 고무(EOR)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에틸렌 고무(PER) 및 에틸렌-1-옥텐 고무(EOR)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로서 프로필렌-에틸렌 고무(PER) 및 에틸렌-1-옥텐 고무(EOR)를 혼합 사용하는 경우,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고무(PER) 및 에틸렌-1-옥텐(EOR)는 프로필렌-에틸렌 고무(PER) 40 내지 60 및 에틸렌-1-옥텐(EOR) 40 내지 6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로 포함하는 경우에 전력케이블의 절연층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굴곡성과 저온충격강도를 가질 수 있는 것으로서, 프로필렌-에틸렌 고무(PER)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굴곡탄성율이 높아 케이블의 포설성이 악화되고, 에틸렌-1-옥텐 고무(EOR)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저온 충격강도가 악화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POE)는 절연층 조성물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25 내지 35중량%의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POE)의 함량이 25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케이블의 가요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35중량%를 초과하면 케이블의 내열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전력 케이블 절연층 조성물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루프반응기에서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를 중합한 후, 상기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존재 하에, 연속중합으로 기상반응기에서 프로필렌과 에틸렌을 공중합하여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공중합체를 생성시킴으로써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으며, 이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와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를 컴파운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본 발명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루프 반응기에 수소 및 프로필렌을 차례로 주입한 후, 60 내지 80℃ 및 30 내지 40기압 하에서 슬러리 벌크 중합을 실시하여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루프 반응기에서 중합된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존재하에서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가스를 기상 반응기에 넣고 연속공정으로 반응시켜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공중합체(EPR)를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에 있어서, 에틸렌의 함량은 에틸렌/(프로필렌+에틸렌)의 몰비로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서, 기상 반응기에서의 에틸렌 가스와 프로필렌 가스의 합에 대한 에틸렌 가스의 몰비가 0.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몰비가 0.30을 초과하면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내의 프로필렌 함량이 너무 낮아져 계면장력으로 인해 분산성이 저하되며, 이로 인해 충격강도가 약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상반응기에서의 에틸렌 가스와 프로필렌 가스의 합에 대한 에틸렌 가스의 몰비가 0.20 내지 0.30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전력 케이블의 절연층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산화방지제, 중화제, 수트리방지제 등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전력 케이블의 절연층 조성물은 용융점이 160 내지 170℃이고, 용융엔탈비가 50 내지 60J/g의 값을 갖는다.
또한, 전력 케이블의 절연층 조성물로 제조된 성형품은 ASTM D790 규격에 따라 측정된 굴곡탄성률이 3000 내지 4000kgf/㎠이고, ASTM D256 규격에 따라 측정된 IZOD 충격강도[-30℃]가 6.0 kgf·㎝/㎝ 이상이며, Dupont 충격강도[-30℃]가 200kg·㎝ 이상의 값을 갖는 것으로서, 유연성 및 굴곡성이 우수하고, 저온 충격강도가 우수하여, 전력 케이블의 절연층으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한 것으로서, 이에 의해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루프 반응기에 수소 및 프로필렌을 반응시켜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를 제조하고, 상기 루프 반응기에서 중합된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및 에틸렌과 프로필렌을 기상 반응기에 투입하여 연속공정으로 에틸렌-프로필렌의 공중합 반응을 실시하여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파우더를 제조하였다.
상기 얻어진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는 에틸렌 유래의 반복단위가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전체 중량에 대하여 14.2중량%이고, 자일렌 가용분의 함량이 31.3중량%이며,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공중합체(EPR)의 중량에 대하여 에틸렌 유래의 반복단위가 42중량%이었다.
또한,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는 용융점이 163.7℃이고, 용융 엔탈피가 77.4J/g이었다.
이후 트윈 압출기로 210℃의 온도에서 압출한 후 펠렛 형태의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를 제조하였다(PP-1).
상기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PP-1)에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로서 프로필렌-에틸렌 고무(PER, Exxonmobil chemical사제의 VistamaxxTM 3020FL, 용융점 60.2℃, 비중 0.874) 및 에틸렌-1-옥텐(EOR, Dow Elastomers 사제 Engage 8842, 용융점 38.1℃, 비중 0.857)을 아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함량으로 혼합하고, 트윈 압출기로 210℃의 온도에서 압출하여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펠렛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내지 5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전체 중량에 대하여 에틸렌 유래의 반복단위가 5.8중량%이고, 자일렌 가용분 함량이 11.8중량%이며, 용융점이 164℃이고, 용융 엔탈피가 95.5J/g인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PP-2)에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함량으로 프로필렌-에틸렌 고무(PER) 및 에틸렌-1-옥텐(EOR)으로 혼합하고, 트윈 압출기로 210℃의 온도에서 압출하여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펠렛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PP-1 70 - 80 50 70 70
PP-2 - 70 - - - -
PER 15 15 10 25 30 -
EOR 15 15 10 25 - 30
물성 측정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각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펠렛을 사용하여 시편을 제작하고, 각 시편에 대하여 다음의 물성을 측정하고 평가하였다. 각 물성의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1) 인장강도
인장강도는 ASTM D 638 규격에 따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2) 굴곡강도
굴곡강도는 ASTM D790 규격에 따라 각각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굴곡탄성율이 110kgf/㎠ 내지 120kgf/㎠ 경우 유연성 및 굴곡성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한다.
(3) 굴곡탄성률
굴곡탄성률을 ASTM D790 규격에 따라 각각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굴곡탄성율이 3,000kgf/㎠ 내지 4,000kgf/㎠ 경우 유연성 및 굴곡성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한다.
(4) 저온 충격강도
ASTM D256 규격에 따라 IZOD[-30℃] 및 Dupont[-30℃]의 충격강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IZOD 충격강도[-30℃]는 6.0kg·cm/cm 이상의 갖는 경우에, 그리고 Dupont 충격강도[-30℃]는 200kg·cm 이상의 값을 갖는 경우에 저온 충격강도가 우수하다고 판단한다.
(5) 용융 엔탈피 및 녹는점(Tm)
DSC를 이용하여 질소 분위기하에서 10℃/min의 속도로 0℃에서 200℃까지 2번 측정하였고, 결과 값은 2번째 측정 값으로 표 2에 나타내었다.
항목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인장강도(kgf/㎠) 168 211 185 144 160 176
굴곡탄성률(kgf/㎠) 3,600 5,800 4,600 2,300 3,300 4,200
IZOD[-30℃](kg·㎝/㎝) 6.1 3.5 5.2 6.8 4.3 6.2
Dupont[-30℃](kg·cm) ≥200 50 130 ≥200 120 ≥200
파단 신장율(%) 692 543 564 740 644 454
가열노화 후 신장잔율
(%)(135℃, 4주)
85 86 87 56 81 79
Tm(℃) 163 163 163 163 163 163
용융 엔탈피(J/g) 54.2 65.5 60.1 45.3 55.3 55.5
상기 표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에틸렌 유래의 반복단위 함량이 낮은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한 비교예 1은 굴곡탄성률이 높아 전력 케이블의 절연층으로 사용한 경우에 전력 케이블의 유연성 및 포설성이 나쁘고, 저온충격강도 또한 충분하지 않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 비교예 2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에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의 함량이 20중량%로 소량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서, 굴곡 탄성률이 높고 저온충격강도가 낮은 결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 3은 상기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에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함량이 50중량%로 과량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서, 굴곡탄성률이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지만, 가열 노화 후 신장잔율 값이 낮아 장기 내열성이 약함을 알 수 있는바, 전력 케이블의 절연층으로 사용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나아가, 비교예 4 및 5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에 프로필렌-에틸렌 고무 또는 에틸렌-1-옥텐 고무를 단독으로 포함하는 경우로서, 프로필렌-에틸렌 고무를 단독으로 포함하는 비교예 4는 저온 충격강도가 좋지 않으며, 에틸렌-1-옥텐 고무를 단독으로 포함하는 비교예 5는 굴곡탄성률이 충분하지 않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반면,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사용한 실시예 1은, 우수한 유연성 및 굴곡성을 가지면서도, 저온 충격강도, 내열성 또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어, 전력케이블용으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1: 도체
2: 내부 반도전층
3: 절연층
4: 외부 반도전층
5: 쉬스층

Claims (8)

  1.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내에 30 내지 35중량%의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공중합체(EPR)가 분산된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65 내지 75중량%; 및
    프로필렌-에틸렌 고무(PER) 및 에틸렌-1-옥텐 고무(EOR)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POE) 25 내지 35중량%
    를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의 절연층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루프 반응기에서 프로필렌을 반응시켜 폴리프로필렌을 중합한 후, 상기 폴리프로필렌의 존재 하에 기상반응기에서 프로필렌과 에틸렌을 연속중합하여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공중합체(EPR)를 제조함으로써 얻어진 것인 전력 케이블의 절연층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공중합체(EPR)는 0.5 내지 1.5㎛의 평균 도메인 사이즈를 가지는 전력 케이블의 절연층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공중합체(EPR)는 에틸렌 유래의 반복단위의 함량이 40 내지 50중량%인 전력 케이블의 절연층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100중량%에 대하여 에틸렌 유래의 반복단위를 13 내지 16중량%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것인 전력 케이블의 절연층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자일렌 가용분의 함량이 30 내지 35중량%인 전력 케이블의 절연층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는 프로필렌-에틸렌 고무(PER) 및 에틸렌-1-옥텐 고무(EOR)가 40 내지 60 : 60 내지 40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인 전력 케이블의 절연층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 된 절연층을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
KR1020190155400A 2019-11-28 2019-11-28 전력 케이블의 절연층 조성물 및 성형품 KR202100663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400A KR20210066316A (ko) 2019-11-28 2019-11-28 전력 케이블의 절연층 조성물 및 성형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400A KR20210066316A (ko) 2019-11-28 2019-11-28 전력 케이블의 절연층 조성물 및 성형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316A true KR20210066316A (ko) 2021-06-07

Family

ID=76374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5400A KR20210066316A (ko) 2019-11-28 2019-11-28 전력 케이블의 절연층 조성물 및 성형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631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45734A (zh) * 2021-10-22 2021-12-28 万华化学(宁波)有限公司 一种高压用热塑性聚丙烯电缆绝缘料及其制备方法
CN114716784A (zh) * 2022-05-13 2022-07-08 张家港绿洲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制备聚丙烯扎带用的母粒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23042958A1 (ko) * 2021-09-17 2023-03-23 한국전기연구원 유기성 경질 개질제를 포함하는 삼성분계 절연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절연 소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42958A1 (ko) * 2021-09-17 2023-03-23 한국전기연구원 유기성 경질 개질제를 포함하는 삼성분계 절연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절연 소재
CN113845734A (zh) * 2021-10-22 2021-12-28 万华化学(宁波)有限公司 一种高压用热塑性聚丙烯电缆绝缘料及其制备方法
CN113845734B (zh) * 2021-10-22 2023-09-19 万华化学(宁波)有限公司 一种高压用热塑性聚丙烯电缆绝缘料及其制备方法
CN114716784A (zh) * 2022-05-13 2022-07-08 张家港绿洲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制备聚丙烯扎带用的母粒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4716784B (zh) * 2022-05-13 2024-01-09 张家港绿洲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制备聚丙烯扎带用的母粒及其制备方法和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7609B1 (ko) 열가소성 절연체를 구비한 케이블
KR20210066316A (ko) 전력 케이블의 절연층 조성물 및 성형품
KR102038709B1 (ko) 전력 케이블
KR102225853B1 (ko) 가요성 전력 케이블 절연
KR101004251B1 (ko)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성형체 및 전선
KR101583106B1 (ko) 케이블 절연체의 제조에 유용한 다중상 중합체 조성물
CN107001730B (zh) 多峰聚乙烯
JP6306694B2 (ja) 光ファイバーケーブル構成要素
CN109912881B (zh) 包含异种橡胶成分的用于包覆电缆的聚烯烃树脂组合物
JP2011523968A (ja) ポリプロピレンおよびオレフィンインターポリマーの反応処理された高耐熱性組成物
US20230257564A1 (en) Power cable
KR102603200B1 (ko) 전력 케이블 절연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2082673B1 (ko) 유연성이 향상된 절연층을 구비한 전력케이블
KR20200077147A (ko) 전력 케이블의 절연층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전력 케이블
KR20180013507A (ko) 케이블 절연층용 이상 폴리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절연층, 전력케이블
CN109071720B (zh) 用于电缆附件的交联聚合物组合物
EP4053170A1 (en) Decrosslinked polyolefin resin for cable filler and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same
JP2628874B2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30075199A (ko) 내백화 특성이 우수한 전력 케이블의 절연층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EP3896128A1 (en) Olefin-based elastomer composite resin composition for airbag chute, comprising dendrimer
KR20240020533A (ko) 고온 내열안정성이 우수한 전력 케이블의 절연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20230075209A (ko) 유연성 및 전기적 특성이 우수한 친환경 전력 케이블의 절연층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20220068022A (ko) 전력 케이블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949643B1 (ko) 반도전성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반도전층을 갖는 전력 케이블
JP2002093239A (ja) 電線被覆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