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2877A - 가래떡 제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래떡 제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2877A
KR20210062877A KR1020190151074A KR20190151074A KR20210062877A KR 20210062877 A KR20210062877 A KR 20210062877A KR 1020190151074 A KR1020190151074 A KR 1020190151074A KR 20190151074 A KR20190151074 A KR 20190151074A KR 20210062877 A KR20210062877 A KR 202100628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usion
rice cake
screw
unit
barr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1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1820B1 (ko
Inventor
양동규
박영준
Original Assignee
양동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동규 filed Critical 양동규
Priority to KR1020190151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1820B1/ko
Publication of KR20210062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2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1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1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20Extrud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0Freez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래떡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가래떡 제조 시스템은, 떡 반죽을 공급하는 제1 호퍼, 상기 제1 호퍼에 연결된 실린더 형상의 제1 압출 바렐, 상기 제1 압출 바렐의 내부에 설치되는 쌍축 압출 스크류, 상기 압출 바렐의 끝단에 결합되는 압출 다이를 포함하고, 상기 떡 반죽을 압출하여 제1 압출물을 제조하는 제1 압출 유닛; 상기 제1 압출물을 공급하는 제2 호퍼, 상기 제2 호퍼에 연결된 실린더 형상의 제2 압출 바렐, 상기 제2 압출 바렐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 단축 스크류, 상기 제2 압출 바렐의 끝단에 결합되는 제2 압출 다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압출물을 압출하여 제2 압출물을 제조하는 제2 압출 유닛; 및 상기 제2 압출물을 공급하는 제3 호퍼, 상기 제3 호퍼에 연결된 실린더 형상의 제3 압출 바렐, 상기 제3 압출 바렐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2 단축 스크류, 상기 제3 압출 바렐의 끝단에 결합되는 제3 압출 다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압출물을 압출하여 가래떡을 제조하는 제3 압출 유닛;을 포함하는 압출 성형부를 포함하여 수회 반복적으로 가압하여 떡 반죽을 치대는 공정을 자동화하여 쫄깃한 식감의 가래떡을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래떡 제조 시스템{System for manufacturing rice cake}
본 발명은 수회 반복적으로 가압하여 떡 반죽을 치대는 공정을 자동화하여 쫄깃한 식감의 가래떡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가래떡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떡은 옥수수 및 밀과 더불어 세계 3대 작물 중 하나인 쌀로 만들어지는 우리민족의 대표적인 전통음식 중 하나로서,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대표적인 슬로우 푸드 중 하나인 떡은 빵 대신에 식사대용으로 소비될 정도로 그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흰떡이라 불리는 가래떡은, 주로 떡국용 또는 고추장 및 각종 양념에 의해 조리되는 떡볶이용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떡국과 떡볶이는 누구나 즐겨 먹는 대중적인 기호식품으로 활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가래떡은 세척한 쌀을 빻아서 쌀 분말을 제조하고, 제조한 쌀 분말을 쪄서 충분히 익힌 다음 압출기 등으로 성형하고, 성형한 가래떡을 규격에 맞게 절단하여 냉각수가 담지된 침지조에 침지시키거나 냉각수를 분사해 냉각시켜 제조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이와 같은 압출 및 냉각 등의 공정을 자동화하여 단시간에 떡 제품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형태의 떡 제조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일례로, 문헌1인 한국등록특허 제10-1294822호는, 이단으로 압출기가 형성된 제병기에 관한 것으로, 문헌 1에는, 제병기를 형성한 상부 및 하부압출기를 이단으로 형성하여 내부에서 각각 구동하는 한쌍의 압출스크류와 연결된 한쌍의 스크류 연결축을 체인이나 벨트로 각각 수직으로 분리되게 체인기어나 풀리에 걸어서 상부 및 하부 스크류 연결축이 동시에 구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으로 압출기가 형성된 제병기로서, 압출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모터의 동력을 상하 스크류 연결축으로 균등하게 분산시켜서 모터에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하는 제병기에 관한 기술 내용이 개시된 바 있다.
또 다른 예로, 문헌 2인 한국등록특허 제10-0896252호는, 가래떡 성형기에 관한 것으로, 문헌 2에는 지지틀에 고정설치되는 기어박스의 상하케이스에 각각 회전축을 통하여 한쌍으로 이루어진 이송스크류를 연결설치하여 모터에 의해 회전되게 하고, 한쌍의 이송스크류를 갖는 이송부는 각각 기어박스 측에 연결고정되는 하우징의 제1이송관과 제2이송관 내에 위치하도록 하며, 제2이송관 단부에는 성형틀이 분리가능케 결합구성되는 가래떡 성형기로서, 기어박스가 갖는 상하케이스는 각각 밀폐된 기어실을 갖도록 하여 제1,2이송스크류가 갖는 한쌍의 회전축은 각각 상하케이스 내에서 기어에 의해 치합되게 하여 독립적인 윤활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제1,2이송스크류가 갖는 한쌍의 회전축들 중 어느 한 회전축은 각각 케이스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하여 서로간에 체인벨트에 의해 연결되게 하되 그 중 어느 한 회전축은 모터와 연결되게 하여 제1,2이송스크류에 모터의 동력이 전달되게 하고, 하우징이 갖는 제1,2이송관은 연통관을 통하여 외부와 차단되게 연결하여 연통관 내에서도 제1이송스크류에 의한 압력이 작용하도록 구성하여, 제작을 간소화할 수 있고, 부품의 마모와 소음발생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가래떡 성형기에 관한 기술 내용이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문헌 1 및 2와 같이 기존에 개시된 떡 제조장치들은 떡의 조직감과 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여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94822호 (공고일 : 2013.08.08) 한국등록특허 제10-0896252호 (공고일 : 2009.05.08) 한국등록특허 제10-0320041호 (공개일 : 1999.10.05)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41223호 (공고일 : 2008.07.31)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떡 반죽을 수회 반복 압출하여 떡 반죽을 충분히 가압 반죽하도록 함에 따라 조직의 끈기와 탄력을 향상시켜 쫄깃한 식감이 우수한 가래떡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가래떡 제조 시스템에 관한 기술 내용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떡 반죽을 성형하여 가래떡을 제조하는 압출 성형부를 포함하되, 상기 압출 성형부는, 떡 반죽을 공급하는 제1 호퍼, 상기 제1 호퍼에 연결된 실린더 형상의 제1 압출 바렐, 상기 제1 압출 바렐의 내부에 설치되는 쌍축 압출 스크류, 상기 압출 바렐의 끝단에 결합되는 압출 다이를 포함하고, 상기 떡 반죽을 압출하여 제1 압출물을 제조하는 제1 압출 유닛; 상기 제1 압출물을 공급하는 제2 호퍼, 상기 제2 호퍼에 연결된 실린더 형상의 제2 압출 바렐, 상기 제2 압출 바렐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 단축 스크류, 상기 제2 압출 바렐의 끝단에 결합되는 제2 압출 다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압출물을 압출하여 제2 압출물을 제조하는 제2 압출 유닛; 및 상기 제2 압출물을 공급하는 제3 호퍼, 상기 제3 호퍼에 연결된 실린더 형상의 제3 압출 바렐, 상기 제3 압출 바렐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2 단축 스크류, 상기 제3 압출 바렐의 끝단에 결합되는 제3 압출 다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압출물을 압출하여 가래떡을 제조하는 제3 압출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래떡 제조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쌍축 압출 스크류는 일측에 디스크 형상의 반죽 블록이 복수 개 형성된 반죽부와 타측에 스크류 블레이드가 연결되어 형성된 이송부를 포함하는 2중 구조의 압출 스크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압출 유닛은, 내주면에 돌출 형성된 1개 이상의 가압 돌기를 포함하는 제2 압출 바렐 및 샤프트 노출부 및 스크류 블레이드부가 1개 이상 형성된 제2 단축 스크류를 포함하여 상기 제2 압출 바렐의 내부 수용공간에 2개 이상의 구획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압출 유닛은, 일측에 단면이 직사각형 또는 타원형인 배출구가 형성된 제2 압출 다이를 포함하여 판형상의 제2 압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압출 유닛 및 제3 압출 유닛은 각각 압출 바렐의 일측에 냉각수 유입공과 타측에 냉각수 배출공이 추가로 형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래떡 제조 시스템은 상기 제3 압출 유닛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3 압출 유닛에서 제조한 가래떡을 공급받아 냉각시키기 위해 냉각수가 담지된 냉각 챔버가 구비된 냉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떡 제조 시스템은, 떡 반죽을 압출하여 가래떡을 제조하는 공정을 자동화하여 균일한 식감을 갖는 가래떡을 연속적으로 대량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떡 제조 시스템은 가래떡을 압출하는 과정에서 떡 반죽을 수회 반복해 치대는 효과를 구현하여 쫄깃한 식감을 주고, 장시간 동안 보관시에도 물성 변화가 작은 가래떡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떡 제조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떡 제조 시스템에 구비되는 압출 성형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a)는, 일반적인 쌍축 압출 스크류, (b)는 반죽 블록이 형성된 쌍축 압출 스크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c)는 반죽 블록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제2 압출 유닛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떡 제조 시스템(10)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떡 제조 시스템에 구비되는 압출 성형부(1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떡 제조 시스템(10)은, 떡 반죽을 성형하여 가래떡을 제조하는 압출 성형부(100)를 포함하여 떡 반죽을 성형해 가래떡을 연속적으로 대량 제조할 수 있고, 떡 반죽을 수회 반복적으로 치대는 공정을 자동화하여 쫄깃한 식감을 갖는 가래떡을 제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떡 제조 시스템(10)은 제1 내지 제3 압출 유닛(110, 130, 150)을 포함하여 3중 압출 구조를 갖는 압출 성형부(100)를 포함한다.
압출 성형부(100)에 대한 구조를 상세히 살펴보면, 먼저, 제1 압출 유닛(110)은, 떡 반죽을 공급하는 제1 호퍼(111), 상기 제1 호퍼(111)와 연결된 실린더 형상의 제1 압출 바렐(113), 상기 제1 압출 바렐(113)의 내부에 설치되는 쌍축 압출 스크류(115a, 115b), 상기 압출 바렐(113)의 끝단에 결합되는 압출 다이(117)를 포함하고, 떡 반죽을 압출하여 제1 압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제1 압출 유닛은 점도가 높은 떡 반죽을 저온에서 압출하여 떡 반죽에 포함되어 있는 각각의 떡 원료를 균일하게 혼합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제1 압출 유닛(110)은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는 후술할 제1 압출 바렐(113)과 연결된 구조의 제1 호퍼(111)를 포함하여 증숙한 떡 반죽을 제1 압출 바렐(113)로 공급할 수 있다. 제1 호퍼(111)는 상부 개방면의 면적이 제1 압출 바렐(113)과 연결된 하부 개방면의 면적에 비해 넓고, 상부에서 하부로 비스듬하게 기울어지는 경사진 구조를 가지는 관체 형상의 구조물을 도입하여 형성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떡 반죽을 손쉽게 제1 압출 바렐(113)로 공급할 수 있고, 후술할 제2 호퍼 및 제3 호퍼 또한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압출 바렐(113)은 일측에 제1 호퍼(111)가 연결되고, 일단에 배출부, 즉, 노즐 형상의 압출 다이(117)가 구비된 실린더 형상의 구조물로서, 내부에 압출 스크류(115a, 115b)를 수용하여 제1 호퍼(111)에서 떡 반죽이 공급되면 압출 스크류(115a, 115b)가 회전하여 떡 반죽을 압출 다이(117) 방향으로 이송시키며, 이와 같은 과정에서 떡 반죽이 가압되어 혼합되면서 압출되어 제1 압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제1 압출 유닛(110)에 구비되는 쌍축 압출 스크류(115)는 제1 압출 바렐(113) 내부에 구비되며, 2개의 압출 스크류(115a, 115b)를 포함하고, 각각의 압출 스크류는 제1 압출 유닛(110)의 일측에 설치된 구동 모터와 구동축으로 연결되어 전원 공급부재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 모터에 의해 구동축이 회전하면, 구동축을 따라 회전하여 제1 호퍼(111)에서 공급되는 떡 반죽을 바렐(113) 내부의 수용공간을 통해 이송시켜 압출하고 이에 의해 떡 반죽에 포함되어 있는 각각의 떡 원료를 균일하게 혼합하는 역할을 한다.
도 3(a)는, 일반적인 쌍축 압출 스크류, (b)는 반죽 블록이 형성된 쌍축 압출 스크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c)는 반죽 블록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한 쌍축 압출 스크류(115a, 115b)는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떡 반죽을 압출하여 식품 가공을 위해 사용되는 통상적인 구조를 갖는 한 쌍의 압출 스크류를 사용할 수 있다.
또는,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쌍축 압출 스크류(115a′, 115b′)는 각각 일측에 디스크 형상의 반죽 블록(keading block, KB)이 복수 개 형성되고, 타측에 스크류 블레이드(screw blade, SB)가 연결 형성되어 디스크 형상의 반죽 블록이 복수 개 형성된 반죽부(kneading part, KP)와 타측에 스크류 블레이드가 연결되어 형성된 이송부(conveying part, CP)를 포함하는 2중 구조의 압출 스크류(115a′, 115b′)를 도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참고로, 반죽 블록(KB)은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출 스크류의 샤프트(S)를 따라 연결되어 형성되는 스크류 블레이드(SB)와 달리, 샤프트(S)의 일측에 디스크 형상의 반죽 블록(KB, KB′)이 복수 개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반죽 블록(KB)은 인접하는 반죽 블록(KB′)과 45° 또는 90° 각도로 기울어진 구조로 배치될 수 있으며, 2개 이상의 반죽 블록(KB)을 배치하여 반죽부(KP)를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반죽부(KP)가 형성된 쌍축 압출 스크류(115a′, 115b′)는 반죽 블록(KB)이 떡 반죽의 조직이 늘인 다음 혼합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스크류 블레이드(SB)가 형성된 부분에서 압출을 통해 재반죽되어 일반적인 타입의 쌍축 압출 스크류를 사용하는 것에 비해 떡 반죽을 단시간에 더욱 균일하게 반죽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반죽 블록(SB)이 형성된 쌍축 압출 스크류(115a′, 115b′)는 제1 호퍼(111)와 인접하는 부분에 반죽 블록(KB)이 형성되어 제1 호퍼(111)에서 공급되는 떡 반죽 조직을 늘려주고, 제1 압출 다이(117)와 인접하는 부분에 스크류 블레이드가 형성되어 늘어난 떡 반죽을 혼합하여 이송시키고, 떡 반죽을 압출하여 제1 압출물을 제조하도록 한다(도 3(b) 참조).
제1 압출 유닛(110)에 구비되는 제1 압출 다이(117)는 제1 압출 바렐(113)의 일측 끝단에 형성되며, 제1 압출물을 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압출 다이(117)는 배출유로(118) 및 제1 배출구(119)를 포함하는 배출부가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제1 배출구(119)는 배출 유로(118)를 통해 제1 압출 바렐(113)과 연결되며, 배출 유로(118)를 통해 떡 반죽을 유도하여 제1 배출구(119)를 통해 배출하여 후술할 제2 압출 유닛(130)에 공급되도록 구성할 수 있고, 제2 압출 유닛(130)의 제2 호퍼(131)에 제1 압출물을 낙하시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2 압출 유닛(130)은 상기 제1 압출 유닛(130)에서 제조한 제1 압출물을 공급하는 제2 호퍼(131), 상기 제2 호퍼(131)에 연결된 실린더 형상의 제2 압출 바렐(133), 상기 제2 압출 바렐(133)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 단축 스크류(135), 상기 제2 압출 바렐(133)의 끝단에 결합되는 제2 압출 다이(137)를 포함하고, 상기 떡 반죽을 압출하여 제2 압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제2 압출 유닛(130)은 호퍼, 바렐, 단축 압출 스크류 및 압출 다이를 포함하여 식품 가공을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다양한 압출 부재를 도입하여 형성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압출하는 과정에서 제1 압출물을 가압하여 치대는 효과를 극대화시켜 쫄깃한 식감을 갖는 가래떡을 제조할 수 있도록 가압 부재가 추가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 제2 압출 유닛(130)을 도입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a) 제2 압출 유닛(130) 및 (b) 제2 압출 유닛(130)에 구비되는 제1 단축 스크류(135)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제2 압출 유닛(130)은 내주면에 돌출된 가압 돌기(134)가 1개 이상 형성된 제2 압출 바렐(133)과, 샤프트 노출부(shaft exposure part, SE) 및 스크류 블레이드부(screw blade part, SBP)가 1개 이상 형성된 제2 단축 스크류(135)를 포함하여, 상기 제2 압출 바렐(133)의 내부 수용공간에 2개 이상의 구획된 공간(C1, C2, C3)이 형성되어 제2 압출 바렐(133)을 통해 제1 압출물을 압출하는 과정에서 압출 효과를 크게 향상시키고 이와 동시에 제1 압출물을 가압하여 치대는 효과를 극대화시켜 쫄깃한 식감을 갖는 가래떡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제2 압출 유닛(130)은 가압 돌기(134)가 제2 압출 바렐(133)의 내주면에 고정 형성되어 제2 압출 바렐(133)의 내부 수용공간을 구획하며, 제2 압출 바렐(133)의 내부에 직경이 감소되는 구간을 형성시킨다. 이와 같이 가압 돌기(134)가 형성된 제2 압출 유닛(130)은 제1 단축 스크류(135)의 회전에 따라 제2 호퍼(131)에서 공급되는 제1 압출물을 제2 압출 다이(137) 방향으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제1 압출물이 가압 돌기(134)에 의해 직경이 감소되는 구간에서 고밀도록 축적되도록 하고, 병목현상을 유발하여 제1 압출물을 강하게 가압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가압 돌기(134)는 떡 반죽을 떡메로 치는 펀칭 효과를 유도하여 쫄깃한 식감을 갖는 가래떡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가압 돌기(134)는 1개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가압 돌기(134)가 형성된 제2 압출 바렐(133)의 구간 마다 제1 압출물이 고밀도록 축적되어, 병목현상을 유발함에 따라 가압되는 횟수가 증가하여 쫄깃한 식감을 갖는 떡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제2 압출 바렐(133)에 구비되는 제1 단축 스크류(135)는 가압 돌기(134)가 형성된 구간 마다 샤프트에 스크류 블레이드(SB)가 구비되지 않은 샤프트 노출부(SE)와 스크류 블레이드부(SBP)가 각각 형성되고, 이로 인해, 가압 돌기(134)가 형성된 전면 부분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고, 형성된 공간에 제1 압출물이 누적되어 병목 현상이 발생되며, 이로 인해 제1 압출물이 기계적으로 강하게 가압되도록 한다.
그리고, 가압 돌기(134)는 제2 압출 바렐(133)의 내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링 형상의 부재로서, 가압되어 압출되는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서, 단면이 직각 삼각형인 삼각형 회전체 형상이거나 한 개의 변이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구조의 사각형인 사각형 회전체 형상의 구조를 갖는 것을 도입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가압 돌기(134)는 경사진 구조를 형성하여 제1 압출물이 공간(C1)을 스크류 블레이드부(SBP)를 통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제2 압출 바렐(133)의 내부 직경을 서서히 감소시켜 병목 현상을 강하게 유발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가압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제1 단축 스크류(135)는 스크류 블레이드(SB)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 압출 바렐(133)의 내면에 구획된 각각의 공간을 통과하는 압출물은 점진적으로 강하게 압력이 가해지게 되고, 고압으로 압축된 상태로 제2 압출 다이(137) 측으로 이송되어 압출된다.
일례로, 가압 돌기(134)에 의해 구획된 공간(C1) 영역에서 제1 단축 스크류(135)의 스크류 블레이드(SB)간 간격(r1), 공간(C2) 영역에서 제1 단축 스크류(135)의 스크류 블레이드(SB)간 간격(r2)과, 공간(C3) 영역에서 제1 단축 스크류(135)의 스크류 블레이드(SB)간 간격(r3)을 서로 상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C2 영역의 스크류 블레이드(SB)간 간격(r2)는 C1 영역의 스크류 블레이드(SB)간 간격(r1) 보다 짧도록 하고, 이와 마찬가지로, C3 영역의 스크류 블레이드(SB)간 간격(r3)는 C2 영역의 스크류 블레이드(SB)간 간격(r2) 보다 짧게 하여 가압 효과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동시에, 가압 돌기(134, 134′)에 의해 형성되는 배출부의 직경과 제2 배출구(139)의 직경을 조절하여 가압 효과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으며, 가압 돌기(134)는 가압 돌기(134)의 단면을 기준으로 삼각형 또는 사각형의 높이(h, h′)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가압 돌기(134)가 형성하는 배출구의 직경을 조절할 수 있다.
이는, C1 영역에서 압출되어 C2 영역으로 압출물이 이송될 때, C2 영역의 압출물이 C1 영역의 압출물에 비해 부피가 감소하게 되며, C2 영역의 배출구의 크기가 C2 영역의 배출구의 크기보다 작을 경우 압출물 부피 감소로 인한 가압 효과의 감소를 방지하고, 이로 인해 C2 및 C3 영역에서 추가적인 가압 효과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공간(C1)의 배출구 직경(d1), 공간(C2)의 배출구 직경(d2) 및 공간(C3)의 배출구인 제2 배출구의 직경(d3)이 3:2:1, 4:3:2, 5:4:3, 6:5:4, 7:6:5, 8:7:6, 9:8:7 또는 10:9:8 등의 길이비를 갖도록 조절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제2 압출 유닛(130)은 내주면에 2개의 가압 돌기(134)가 고정 형성되어 서로 구획된 공간(C1), 공간(C2) 및 공간(C3)이 형성되고, 스크류 블레이드(SB)간 간격(r1, r2, r3)이 9:8:7의 길이비를 갖는 제1 단축 스크류(135)를 도입하고, 공간(C1)의 배출구 직경(d1), 공간(C2)의 배출구 직경(d2) 및 공간(C3)의 배출구인 제2 배출구의 직경(d3)이 9:8:7의 길이비를 갖는 제2 압출 바렐(133) 및 제2 압출 다이(137)를 도입할 수 있다.
또한, 제2 압출 유닛(130)에 구비되는 제2 압출 다이(137)는 제1 단축 스크류(135)를 통해 이송되어 압출된 제2 압출물을 배출하기 위한 제2 배출구(139)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제2 배출구(139)는 단면이 원형, 사각형, 직사각형, 타원형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의 노즐 구조의 배출구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판상 또는 봉상 구조의 제2 압출물을 연속적으로 제조하여 제3 압출 유닛(150)으로 공급할 수 있다.
제2 배출구(139)는 직사각형 또는 타원형으로 제작되어 제2 압출물의 조직을 늘려 판형상의 제2 압출물을 제조하도록 하여 추가적으로 제2 압출 다이(137)의 제2 배출구(139)를 통해서 연출시켜 판상의 제2 압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2 압출 유닛(130)은 복수 개의 공간을 구획하고, 가압 돌기(134)에 의해 구획된 공간 별로 제1 압출물이 고밀도로 축적된 다음 압출되어 제1 압출물을 떡메로 치는 펀칭 효과를 유도할 수 있고 제2 압출물의 조직을 늘려 판상의 제2 압출물을 제조하도록 하는 제2 배출구(139)가 구비되어 보다 쫄깃한 식감을 갖는 가래떡을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제3 압출 유닛(150)은 상기 제2 압출 유닛(130)에서 제조한 제2 압출물을 공급하는 제3 호퍼(151), 상기 제3 호퍼(151)에 연결된 실린더 형상의 제3 압출 바렐(153), 상기 제3 압출 바렐(153)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2 단축 스크류(155), 상기 제3 압출 바렐(155)의 끝단에 결합되는 제3 압출 다이(157)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압출물을 압출 성형하여 가래떡을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압출 유닛(150)은 제2 압출 유닛(130)에서 압출을 통해 반죽한 제2 압출물을 압출하여 봉상 구조의 가래떡을 연속적으로 제조하기 위한 구성 요소로서, 제3 호퍼(151)를 통해 공급된 판상의 제2 압출물은 제3 압출 바렐(153)의 내부 구조를 통해 제2 단축 스크류(155)에 의해 이송시켜 압출시킨 다음 제3 압출 다이(157)에 형성된 원형의 제3 배출구(159)를 통해 배출 성형하여 가래떡을 제조할 수 있게 되며, 제3 압출 다이(157)에 형성된 제3 배출구(159)는 1개 이상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래떡 제조 시스템(10)에서 제2 압출 유닛(130) 및 제3 압출 유닛(150)은 각각 온도 조절 수단을 구비하여 압출 바렐(133, 153) 내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와 같은 온도 조절 수단은 냉각수 공급 펌프 등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으며, 냉각수를 제2 압출 유닛(130) 및 제3 압출 유닛(150)의 압출 바렐(133, 153) 내부에 공급하여 반죽 또는 압출물의 수분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압출 유닛(130) 및 제3 압출 유닛(150)은 압출 바렐(133, 153)의 일측에 각각 제1 냉각수 유입공(141) 및 제2 냉각수 유입공(161)이 형성되고, 타단의 압출 다이(137, 157)와 인접하는 부분에 제1 냉각수 배출공(143)과 제2 냉각수 배출공(163)이 각각 형성되어 냉각수가 유출입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가래떡에 수분을 공급하여 반복되는 압출에 의한 수분의 유실을 방지하고, 압출에 의한 가래떡의 온도 상승을 방지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냉각수 유입공(141) 및 제2 냉각수 유입공(161)은 각각 냉각수 공급 펌프와 배관 연결되어 냉각수 저장 수단 또는 냉각수 공급 수단에서 공급되는 냉각수를 제2 압출 바렐(133) 또는 제3 압출 바렐(153)의 내부 수용공간에 각각 공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와 같은 냉각수 유출공과 냉각수 배출공은 반죽을 가압하는 치댐 효과를 고려하여 제3 압출 유닛(150)에만 형성시킬 수 있으며, 이에 제한받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가래떡 제조 시스템(10)은 통상적인 단축 스크류를 사용하여 1회 이상 압출하는 기존의 떡 제조장치에 비해 떡 반죽을 충분히 반죽할 수 있어 가래떡의 끈기와 탄력을 향상시켜 쫄깃한 식감이 우수한 가래떡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떡 제조 시스템(10)은 냉각부(200)를 추가로 포함하여 가래떡을 냉각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냉각부(200)는 냉각수가 담지된 일면이 개방된 냉각 챔버(210)가 구비되고, 냉각 챔버(210)는 제3 압출 유닛(150)의 제3 압출 다이(157) 하부에 배치되어 압출 성형부(100)에서 제조된 다음 낙하되는 가래떡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공급받은 가래떡을 냉각수에 침지시켜 냉각시켜 가래떡에 쫄깃한 식감을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냉각 챔버(210)는 일측에 냉각수 공급 배관이 연결되어 냉각수 부족분을 보충할 수 있고, 타측에 배출구가 구비되어 사용된 냉각수를 배출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냉각 챔버(210)는 일측에 냉각 모듈이 구비되어 저장된 냉각수를 냉각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온도 센서가 구비되어 저장된 배출수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고, 감지한 온도를 후술할 냉각 모듈에 전송하여 냉각 모듈의 구동을 온오프 제어하여 냉각수의 온도를 일정하게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떡 제조 시스템(10)은 압출 성형부(100)를 통해 연속적으로 떡 반죽을 압출 성형하여 가래떡 형상의 떡을 제조할 수 있으며, 제조한 가래떡은 떡볶이용 떡, 떡국용 떡, 구이용 떡 등을 제조하기 위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떡 제조 시스템은 커터 등의 절단 수단이 구비된 절단부(미도시)를 추가로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절단부(미도시)는, 압출하여 제조한 가래떡을 절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통상적인 다양한 절단 장치를 도입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받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절단부(미도시)는 압출 성형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압출 성형부에서 압출하여 제조한 가래떡을 미리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거나, 또는, 냉각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냉각된 가래떡을 절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일례로, 절단부는 나이프, 일단에 나이프가 결합되는 회전축, 별도로 동력을 공급받아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져 압출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 제조되는 가래떡을 연속적으로 절단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절단부는 압출 성형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조되는 가래떡을 절단하여 냉각부에 공급하도록 하거나, 냉각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냉각시킨 가래떡을 절단하여 용도별로 제품화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절단부는 가래떡을 2 내지 20 cm 길이로 절단하여 떡볶이용 떡 또는 구이용 떡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떡 제조 시스템(10)은 압출 성형부(100)를 통해 연속적으로 제조되는 가래떡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부(미도시)를 추가로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동력을 공급받아 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여 적치물을 이송하는 컨베이어 벨트 등과 같은 이송수단을 통해 제조한 가래떡을 자동으로 이송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가래떡 제조 시스템(10)은 떡 반죽을 압출하여 가래떡을 제조하는 공정을 자동화하여 균일한 식감을 갖는 가래떡을 연속적으로 대량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가래떡을 압출하는 과정에서 떡 반죽을 수회 반복해 치대는 효과를 구현하여 쫄깃한 식감을 주고, 장시간 동안 보관시에도 물성 변화가 작은 가래떡을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떡 제조 시스템(10)은 곡물 분말을 포함하는 원료 혼합물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제조한 떡 반죽을 압출 성형부(100)에 공급하여 쫄깃한 식감을 갖는 가래떡을 제조할 수 있다.
떡 반죽은 곡물 분말을 포함하는 원료 혼합물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곡물 분말은 멥쌀, 보리, 현미, 귀리, 밀, 수수, 옥수수, 콩, 녹두, 율무, 조, 기장, 메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분쇄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곡물 분말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곡물 분말은, 곡물을 물로 세척한 다음 물에 일정시간(1 내지 12시간) 동안 침지시켜 곡물에 수분을 침투시키고 표면에 물기를 제거한 다음, 수분이 침투된 곡물을 롤러 밀 등의 분쇄 장치를 이용해 분쇄하는 방법을 통해 제조할 수 있으며, 분쇄는 1회 이상 반복 수행하여 곡물 분말의 평균입자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특히, 곡물 분말은 평균입자 크기가 50 내지 500 ㎛가 되도록 분쇄한 미분쇄 분말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받는 것은 아니고, 평균입자 크기가 50 내지 200 ㎛인 미분쇄 분말과 평균입자 크기가 1 내지 5 mm가 되도록 분쇄한 조분쇄 분말의 혼합 분말을 사용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곡물 분말은 찹쌀 및 멥쌀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곡물을 물에 침지시킨 다음 혼합 곡물을 평균입자 크기가 50 내지 200 ㎛가 되도록 분쇄한 미분쇄 분말 80 내지 95 중량%, 혼합 곡물을 평균입자 크기가 1 내지 5 mm가 되도록 분쇄한 조분쇄 분말 5 내지 20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한 혼합 분말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혼합 분말을 본 발명에 따른 가래떡 제조 시스템에 도입하는 경우 떡메를 이용해 쌀밥을 치는 펀칭 기법으로 제조한 전통 떡과 유사한 식감을 나타내는 가래떡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떡 반죽은 상기와 같은 곡물 분말 100 중량부, 밀가루 0.5 내지 5 중량부, 소금 0.1 내지 3 중량부 및 물 10 내지 50 중량부를 공급하고, 이들을 균질하게 혼합하여 떡 반죽을 제조할 수 있다.
떡을 제조하기 위한 원료인 밀가루는 장시간 동안 떡이 굳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떡 반죽에 밀가루가 혼합되어 반죽 조직에 부착성, 응집성 등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밀가루의 혼합비가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반죽의 부착성과 응집성이 크게 증가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반죽의 끈적임이 증가하고, 글루텐의 함량이 증가하여 소화 불량이 유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떡을 제조하기 위한 원료인 소금은 떡의 색상을 선명하게 하고 맛을 돋우는 역할을 하며, 미생물의 번식과 부패를 일정시간 동안 방지하기 위해 첨가하며, 곡물 분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3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제조한 떡 반죽은 85 내지 100 ℃의 증기를 공급하여 10 내지 30분 동안 증자시킬 수 있으며, 증자시간이 10분 미만일 경우 떡 반죽이 충분히 증자되기 힘든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30분을 초과하는 경우 수분함량이 증가하여 떡 반죽이 질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증자한 떡 반죽은 내부 온도가 50 내지 75 ℃가 되도록 냉각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방법으로 곡물 분말을 증자 및 냉각시켜 제조한 떡 반죽을 압출 성형부(100)에 공급하여 가래떡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제조예> 증자시킨 떡 반죽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기준 : 중량비)으로 떡 반죽 원료를 혼합하고 교반하여 떡 반죽을 제조하였다. 멥쌀 미분쇄 분말과 찹쌀 미분쇄 분말은 물에 침지시켜 불린 다음 건조한 멥쌀과 찹쌀을 기류식 분쇄기를 이용해 분쇄하여 평균 입자크기가 70 내지 100 ㎛로 분쇄한 것을 사용하였고, 멥쌀 조분쇄 분말은 멥쌀을 롤 밀링 방법을 이용해 분쇄하여 평균 입자크기가 1 내지 3 mm로 분쇄한 것을 사용하였다.
떡 반죽 원료를 혼합하여 떡 반죽을 제조하고 제조한 떡 반죽을 증련기에 투입한 다음, 100 ± 10 ℃의 증기를 공급하고 15분 동안 가열하여 떡 반죽을 증숙시켰다.
Figure pat00001
<실시예 1> 제1 가래떡 제조 시스템
가래떡 제조를 위한 제조 시스템은 쌍축 압출 스크류를 제1 압출 바렐에 설치하고, 제1 압출 바렐의 끝단에 배출 유로 및 배출공이 형성된 제1 압출 다이를 고정하여 제1 압출 유닛을 설계하였다. 쌍축 압출 스크류는 8개의 스크류 블레이드가 형성된 압출 스크류를 사용하도록 하였다.
또한, 단축 압출 스크류를 제2 압출 바렐에 설치하고, 제2 압출 바렐의 끝단에 직사각형 형상의 배출구가 형성된 제2 압출 다이를 고정하여 판형상의 압출물이 배출되도록 제2 압출 유닛을 설계하였으며, 단축 압출 스크류를 제3 압출 바렐에 설치하고, 제3 압출 바렐의 끝단에 2개의 원형 배출구가 형성된 제3 압출 다이를 고정하여 판상의 압출물이 배출되도록 제3 압출 유닛을 설계하여 가래떡 제조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가래떡 제조 시스템은 제1 압출 바렐에서 배출되는 제1 압출물은 낙하하여 제2 압출 유닛의 호퍼로 공급되도록 구성하고, 제2 압출 바렐에서 배출되는 제2 압출물은 낙하하여 제3 압출 유닛의 호퍼로 공급되도록 구성하여 연속적으로 떡 반죽이 압출되도록 구성하였다.
<실시예 2> 제2 가래떡 제조 시스템
단면이 직각 삼각형인 삼각형 회전체 형상의 가압 돌기 2개가 내부에 형성된 제2 압출 바렐을 사용하도록 하며, 가압 돌기가 형성된 부분에는 블레이드가 형성되지 않고, 가압 돌기가 구획하는 구간별로 스크류 블레이드간 이격거리(r1, r2, r3)와 공간(C1)의 배출구 직경(d1), 공간(C2)의 배출구 직경(d2) 및 공간(C3)의 제2 배출구의 직경(d3)이 각각 9:8:7의 길이비가 되도록 제작하여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제2 압출 유닛을 제작하여 설치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조의 가래떡 제조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실시예 3> 제3 가래떡 제조 시스템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조로 설계하여 일단에 5개의 반죽 블록과 6개의 스크류 블레이드가 형성된 쌍축 압출 스크류를 제1 압출 바렐에 설치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구조의 가래떡 제조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비교예 1> 제4 가래떡 제조 시스템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조의 제1 압출 유닛에 제3 압출 유닛과 동일한 압출 유닛이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계하여 상부 및 하부의 2단 압출 구조의 가래떡 제조 시스템을 설치하였다.
<비교예 2> 제4 가래떡 제조 시스템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조로 설계하여 일단에 5개의 반죽 블록과 6개의 스크류 블레이드가 형성된 쌍축 압출 스크류를 제1 압출 바렐에 설치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와 동일한 구조의 가래떡 제조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실험예>
(1) 가래떡의 물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구성으로 설계한 가래떡 제조 시스템을 이용해 가래떡을 제조하였으며, 제조예 1 내지 3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한 증숙시킨 떡 반죽을 100g/분의 속도로 각각 공급하여 가래떡을 제조하도록 하였으며, 제조한 가래떡은 제조 즉시 냉각수가 담지된 냉각 챔버에 공급하여 10분 동안 냉각시켰다.
제조한 각각의 가래떡을 일정 크기로 절단한 다음 텍스쳐 분석기(texture analyzer, TAXT2i)를 이용해 제조한 가래떡의 물성을 측정하였으며, 경도(hardness, kg), 탄력성(springiness), 씹힘성(chewiness, kg) 등을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2
각각의 가래떡 제조 시스템을 이용해 제조한 가래떡의 물성을 평가한 결과,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2 및 실시예 3에 따른 시스템을 통해 제조한 가래떡의 경우 시간이 경과하여도 경도, 탄력성 및 씹힘성 등의 물성 변화가 적으며, 특히, 실시예 2 및 3의 시스템으로 제조한 떡의 경우 압출 바렐 내부에 가압돌기가 형성되어 초기 경도 및 탄력성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으나, 24시간이 경과한 시점에도 가래떡의 물성 변화가 적어 가장 조직감이 우수한 떡을 제조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2 및 3의 시스템의 경우 제조예 1(A) 및 제조예 2(B)와 같이 미분쇄 분말과 조분쇄 분말을 모두 포함하는 떡 반죽을 이용해 가래떡을 제조하는 경우 물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제조예 3(C)과 같이 미분쇄 분말만을 포함하는 떡 반죽의 경우 물성 향상 효과가 혼합 곡물 분말에 비해 다소 떨어진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가래떡의 관능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가래떡 제조 시스템을 이용해 제조한 가래떡의 관능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의 표 3에 나타내었다. 가래떡은 제조 후 2시간 동안 상온에서 냉각시킨 가래떡을 절단하여 제공하였으며, 관능 평가는 20대 남성 및 여성 각 15인을 선별하여 평가하였으며, 맛, 조직감(쫄깃함)과 종합적 기호도를 각각 9점 평가법으로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은 매우 좋다 9점, 좋다 7점, 보통이다 5점, 좋지 않다 3점, 매우 좋지 않다 1점으로 평가하였다.
Figure pat00003
각각의 가래떡 제조 시스템을 이용해 제조한 가래떡의 관능성을 평가한 결과,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2 및 실시예 3에 따른 시스템을 통해 제조한 가래떡의 경우 쫄깃함이 우수하고, 종합적 기호도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조분쇄 분말을 함유하는 가래떡의 경우 미분쇄 분말 및 조분쇄 분말이 균일하게 혼합되어 식감이 개선됨에 따라 종합적인 기호도가 더욱 향상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상기와 같은 결과를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가래떡 제조 시스템을 이용해 가래떡을 제조하는 경우, 보관시 물성 변화가 적고, 조직감이 우수한 가래떡을 제조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미분쇄 분말과 조분쇄 분말을 혼합하여 제조한 가래떡을 실시예 2 및 3에 따른 시스템으로 제조하는 경우 가압 돌기에 의해 가압 횟수가 증가하여 종합적 기호도가 더욱 향상되며, 떡메를 이용해 떡을 제조하는 전통적인 떡 제조방법과 같은 효과를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 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0 : 가래떡 제조 시스템 100 : 압출 성형부
110 : 제1 압출 유닛 111 : 제1 호퍼
113 : 제1 압출 바렐 115 : 쌍축 압출 스크류
117 : 제1 압출 다이 118 : 배출 유로
119 : 제1 배출구 130 : 제2 압출 유닛
131 : 제2 호퍼 133 : 제2 압출 바렐
135 : 제1 단축 스크류 137 : 제2 압출 다이
139 : 제2 배출구 141 : 제1 냉각수 유입공
143 : 제1 냉각수 배출공 150 : 제3 압출 유닛
151 : 제3 호퍼 153 : 제3 압출 바렐
155 : 제2 단축 스크류 157 : 제3 압출 다이
159 : 제3 배출구 161 : 제2 냉각수 유입공
163 : 제2 냉각수 배출공 200 : 냉각부
210 : 냉각 챔버

Claims (6)

  1. 떡 반죽을 성형하여 가래떡을 제조하는 압출 성형부를 포함하되,
    상기 압출 성형부는,
    떡 반죽을 공급하는 제1 호퍼, 상기 제1 호퍼에 연결된 실린더 형상의 제1 압출 바렐, 상기 제1 압출 바렐의 내부에 설치되는 쌍축 압출 스크류, 상기 압출 바렐의 끝단에 결합되는 압출 다이를 포함하고, 상기 떡 반죽을 압출하여 제1 압출물을 제조하는 제1 압출 유닛;
    상기 제1 압출물을 공급하는 제2 호퍼, 상기 제2 호퍼에 연결된 실린더 형상의 제2 압출 바렐, 상기 제2 압출 바렐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 단축 스크류, 상기 제2 압출 바렐의 끝단에 결합되는 제2 압출 다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압출물을 압출하여 제2 압출물을 제조하는 제2 압출 유닛; 및
    상기 제2 압출물을 공급하는 제3 호퍼, 상기 제3 호퍼에 연결된 실린더 형상의 제3 압출 바렐, 상기 제3 압출 바렐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2 단축 스크류, 상기 제3 압출 바렐의 끝단에 결합되는 제3 압출 다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압출물을 압출하여 가래떡을 제조하는 제3 압출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래떡 제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쌍축 압출 스크류는 일측에 디스크 형상의 반죽 블록이 복수 개 형성된 반죽부와 타측에 스크류 블레이드가 연결되어 형성된 이송부를 포함하는 2중 구조의 압출 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래떡 제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압출 유닛은,
    내주면에 돌출 형성된 1개 이상의 가압 돌기를 포함하는 제2 압출 바렐 및
    샤프트 노출부 및 스크류 블레이드부가 1개 이상 형성된 제2 단축 스크류를 포함하여 상기 제2 압출 바렐의 내부 수용공간에 2개 이상의 구획된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래떡 제조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압출 유닛은,
    일측에 단면이 직사각형 또는 타원형인 배출구가 형성된 제2 압출 다이를 포함하여 판형상의 제2 압출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래떡 제조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압출 유닛 및 제3 압출 유닛은 각각 압출 바렐의 일측에 냉각수 유입공과 타측에 냉각수 배출공이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래떡 제조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압출 유닛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3 압출 유닛에서 제조한 가래떡을 공급받아 냉각시키기 위해 냉각수가 담지된 냉각 챔버가 구비된 냉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래떡 제조 시스템.
KR1020190151074A 2019-11-22 2019-11-22 가래떡 제조 시스템 KR102381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074A KR102381820B1 (ko) 2019-11-22 2019-11-22 가래떡 제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074A KR102381820B1 (ko) 2019-11-22 2019-11-22 가래떡 제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2877A true KR20210062877A (ko) 2021-06-01
KR102381820B1 KR102381820B1 (ko) 2022-03-31

Family

ID=76375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1074A KR102381820B1 (ko) 2019-11-22 2019-11-22 가래떡 제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182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0041B1 (ko) 1999-06-30 2002-01-10 정 복 이 떡 제조장치
KR200441223Y1 (ko) 2008-02-28 2008-07-31 권대근 제병기
KR100896252B1 (ko) 2008-09-25 2009-05-08 김수현 가래떡 성형기
KR100923120B1 (ko) * 2007-05-08 2009-10-23 성호정 떡볶이용 가래떡 제조장치
KR20100094698A (ko) * 2009-02-19 2010-08-27 박태식 가래떡 성형장치
KR20120049476A (ko) * 2010-11-09 2012-05-17 정명준 떡 제조방법
KR101294822B1 (ko) 2011-02-22 2013-08-08 강두석 이단으로 압출기가 형성된 제병기
KR101749689B1 (ko) * 2017-02-16 2017-06-23 백장미 곡물국수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0041B1 (ko) 1999-06-30 2002-01-10 정 복 이 떡 제조장치
KR100923120B1 (ko) * 2007-05-08 2009-10-23 성호정 떡볶이용 가래떡 제조장치
KR200441223Y1 (ko) 2008-02-28 2008-07-31 권대근 제병기
KR100896252B1 (ko) 2008-09-25 2009-05-08 김수현 가래떡 성형기
KR20100094698A (ko) * 2009-02-19 2010-08-27 박태식 가래떡 성형장치
KR20120049476A (ko) * 2010-11-09 2012-05-17 정명준 떡 제조방법
KR101294822B1 (ko) 2011-02-22 2013-08-08 강두석 이단으로 압출기가 형성된 제병기
KR101749689B1 (ko) * 2017-02-16 2017-06-23 백장미 곡물국수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1820B1 (ko) 2022-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0495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vegetable foodstuffs
US4038433A (en) Method for processing soft vegetable foodstuffs into crumbs
CN1037400C (zh) 面食品用面团的制作方法
KR100949167B1 (ko) 쌀국수 제조장치
RU2185077C2 (ru)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мучных изделий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S277062B6 (en) Process for producing raw dough for dough articles and a mixing kneading machine for making the same
CA2148016C (en) Manufacture of pasta
KR20120022486A (ko) 즉석 곡물 떡가루의 제조방법
KR100829120B1 (ko) 쌀국수제조기
KR200441547Y1 (ko) 제면기
KR100857184B1 (ko) 다양한 곡류의 면류 제조장치
KR102381820B1 (ko) 가래떡 제조 시스템
KR20110024093A (ko) 쌀국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217038847U (zh) 一种薯类杂粮全粉粉丝生产线
RU2005379C1 (ru) Мес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макаронных изделий из теста
KR101173086B1 (ko) 익힌 쌀국수 및 그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FI61121B (fi) Saett att behandla spannmaolsmjoel resp spannmaolskorn
KR101191106B1 (ko) 칼라 뻥튀기의 제조방법
KR101645523B1 (ko) 대량생산이 가능한 이중면 제조장치
KR100540705B1 (ko) 점성이 약한 곡물을 주성분으로 한 국수를 제조하는 장치
KR100821632B1 (ko) 산채찐빵 자동 제조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산채찐빵 제조방법
KR100340676B1 (ko) 곡물국수의 제조장치 및 그 방법
CN207978922U (zh) 一种采用烘焙工艺生产功能性宠物食品的系统
KR20010094346A (ko) 옥수수 국수의 제조장치와 그 제조방법 및 그 장치를이용하여 제조된 옥수수 국수
KR20160007775A (ko) 옥수수 및 메밀국수의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