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2805A - 진동소음 저감형 암레스트 장치 - Google Patents

진동소음 저감형 암레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2805A
KR20210052805A KR1020190138171A KR20190138171A KR20210052805A KR 20210052805 A KR20210052805 A KR 20210052805A KR 1020190138171 A KR1020190138171 A KR 1020190138171A KR 20190138171 A KR20190138171 A KR 20190138171A KR 20210052805 A KR20210052805 A KR 202100528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rest
storage box
panel
vibration noise
armres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8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0477B1 (ko
Inventor
연철희
Original Assignee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양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8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0477B1/ko
Publication of KR20210052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2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0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0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9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 B60N2/793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for use as stor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진동소음 저감형 암레스트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소음 저감형 암레스트 장치는, 차량에 마련된 보관함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축설되어 상기 보관함의 상방 개구부를 개폐하고, 탑승자의 팔이 거치되는 암레스트패널; 상기 보관함의 내측면에 인접하도록 상기 암레스트패널의 하부면에서 상기 보관함의 내부로 돌출되어 상기 암레스트패널의 유동을 규제하는 돌기부; 상기 하부면의 일측에 구비된 제1 자력부; 및 상기 제1 자력부와 접하게 되는 상기 보관함의 상단면에 매설되어 인력의 작용을 통해 차량의 주행중 상기 보관함에 대한 상기 암레스트패널의 진동을 감쇄시키는 제2 자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활하고 이질감 없는 암레스트 패널의 개폐작동이 이루어짐은 물론, 제조상의 과다한 작업공수나 비용을 들이지 않고서도 암레스트패널로 야기되는 광범위한 진동과 협범위의 진동까지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게 되어 차량 내 진동소음의 발생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진동소음 저감형 암레스트 장치{ARMREST DEVICE FOR REDUCING VIBRATION NOISE}
본 발명은 진동소음 저감형 암레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구비된 보관함의 개구부를 덮으며 탑승자의 팔을 거치하는 암레스트의 차량 진동에 따른 유동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암레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는 물품을 임시 보관하기 위한 콘솔박스 등의 보관함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보관함의 상부에는 뚜껑역할을 함과 동시에 시트에 앉은 차량의 탑승자가 편안하게 팔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암레스트가 설치되어 있다.
특히, 암레스트는 장거리 운전을 하는 운전자가 팔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기어의 변속 등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운전자의 피로를 경감시키는 구성이라는 점에서 중요도를 가진다.
하지만, 종래의 암레스트는 보관함에 대하여 단순히 상대회전하며 보관함을 개폐하도록 축설되는 구조여서 차량의 운행이나 공회전시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차량 진동에 구조적으로 취약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차량 진동에 대한 암레스트의 취약성으로 인해 암레스트는, 차량의 엔진 가동시 축설 부분을 기준으로 보관함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진동하면서 마찰음, 충돌음 등의 진동소음 즉, 떨림에 의한 소음(Buzz·Squeak·Rattle Noise, 이하 "BSR"이라 한다)을 유발하게 된다.
이때, 차량 내의 진동소음(BSR)은, 운전자나 탑승자의 신경을 날카롭게 만들어 안전사고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한편, 차량 내의 감성품질과 쾌적함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함에 따라 진동소음(BSR) 테스트는 근래 여러 나라에서 제품품질의 중요한 사항의 하나로 취급되고 있다.
이러한 진동소음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암레스트(5) 구조가 제안된 바 있는데, 이에 따르면 단순히 암레스트(5) 하부면에서 보관함(10) 쪽으로 돌출되어 보관함의 측벽단부에 의해 암레스트(5)의 좌우유동을 규제하는 하나 이상의 니플형 돌기(20)를 통해 진동소음을 구조적으로 줄이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니플형 돌기(20)는, 보관함에 대한 암레스트(5)의 이질감 없는 부드러운 폐쇄작동을 방해 내지 간섭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보관함(10)의 측벽단부로부터 대략 1mm 내지 2mm의 거리를 두고(유격) 돌출형성될 수밖에 없어 미소한 크기 즉, 1mm 미만의 잔진동은 효과적으로 규제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제조상의 과다한 작업공수나 비용이 요구되지 않으면서도 진동소음(BSR)의 발생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 내지 감쇄할 수 있는 암레스트 구조에 관한 다각적인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보관함에 대한 암레스트의 개폐작동이 원활하고 이질감 없이 이루어짐은 물론이고, 제조상의 과다한 작업공수나 비용을 들이지 않으면서도 진동소음의 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 내지 감쇄할 수 있는 진동소음 저감형 암레스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차량에 마련된 보관함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축설되어 상기 보관함의 상방 개구부를 개폐하고, 탑승자의 팔이 거치되는 암레스트패널; 상기 보관함의 내측면에 인접하도록 상기 암레스트패널의 하부면에서 상기 보관함의 내부로 돌출되어 상기 암레스트패널의 유동을 규제하는 돌기부; 상기 하부면의 일측에 구비된 제1 자력부; 및 상기 제1 자력부와 접하게 되는 상기 보관함의 상단면에 매설되어 인력의 작용을 통해 차량의 주행중 상기 보관함에 대한 상기 암레스트패널의 진동을 감쇄시키는 제2 자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소음 저감형 암레스트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제1 자력부는, 상기 하부면을 관통한 일단부를 통해 상기 제2 자력부와 인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하부면에 결합되는 상기 암레스트패널의 상부커버에 형성된 지지보스에 의해 타단부가 지지되어 상기 암레스트패널에 고정되는 영구자석; 및 상기 영구자석의 일단부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상단면과 접촉하며 상기 암레스트패널의 진동을 완충하는 탄성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자력부는, 차량의 주행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자력부에 대하여 작용하는 자기력이 제어전원에 의해 가변되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암레스트패널의 회전축에는, 상기 암레스트패널의 회전방향에 대응하여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작동감지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 자력부는, 상기 암레스트패널의 원활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작동감지부에서 생성된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전원을 가변적으로 인가받을 수 있다.
상기 진동소음 저감형 암레스트 장치는, 상기 내측면을 가압접촉하도록 상기 돌기부에 내설되어 차량 진동에 의한 상기 돌기부의 유동소음을 감쇄시키는 댐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퍼부는, 상기 내측면을 향해 돌출작동하도록 상기 돌기부에 구비되어 상기 내측면을 가압하는 가압부; 및 상기 돌기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부가 상기 내측면을 가압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암레스트패널의 하부면에서 보관함의 내부로 돌출되어 암레스트패널의 유동을 규제하는 돌기부와, 하부면의 일측에 구비된 제1 자력부와, 이와 접하게 되는 보관함의 상단면에 매설되어 인력의 작용을 통해 차량 주행중 보관함에 대한 암레스트패널의 진동을 규제하며 감쇄시키는 제2 자력부가 간이한 결합구조로 손쉽게 마련됨에 따라 원활하고 이질감 없는 암레스트 패널의 개폐작동이 이루어짐은 물론, 제조상의 과다한 작업공수나 비용을 들이지 않고서도 암레스트패널로 야기되는 광범위한 진동과 협범위의 진동까지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게 되어 차량 내 진동소음의 발생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소음 저감형 암레스트 장치의 개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와 제1,2 자력부에 대한 일부분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1,2 자력부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 영역에 구비된 돌기부 및 댐퍼부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암레스트 패널의 폐쇄작동 중 댐퍼부의 작동상태를 단계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진동소음 저감형 암레스트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종래기술에 따른 암레스트 진동소음 저감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소음 저감형 암레스트 장치의 개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와 제1,2 자력부에 대한 일부분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제1,2 자력부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A 영역에 구비된 돌기부 및 댐퍼부에 대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암레스트 패널의 폐쇄작동 중 댐퍼부의 작동상태를 단계별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진동소음 저감형 암레스트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종래기술에 따른 암레스트 진동소음 저감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등에서 방향을 지칭하는 상(위쪽), 하(아래쪽), 좌우(옆쪽 또는 측방), 전(정,앞쪽), 후(배,뒤쪽) 등은 권리의 한정의 용도가 아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면 및 구성 간의 상대적 위치를 기준으로 정한 것으로, 특별히 다르게 한정하는 경우 외에는 이에 따른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소음 저감형 암레스트 장치(100)는, 차량 보관함(10)에 대한 암레스트의 원활하고 이질감 없는 개폐작동이 가능하고, 제조상의 과다한 작업공수나 비용을 들이지 않으면서도 진동소음의 발생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 내지 감쇄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이다.
여기서 진동소음이란, 이하에서 언급되는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상대이동하는 부재들 간에 발생하는 유동소음과, 서로 밀착된 상태로 상대이동하는 부재들 간에 발생하는 마찰소음 등을 모두 포괄하는 개념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능 내지 작용을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진동소음 저감형 암레스트 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레스트패널(110), 돌기부(120), 서로 상호작용하는 제1,2 자력부(130,140) 및 댐퍼부(150) 등을 포함하는 실시예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된 제2 자력부(140)와 작동감지부(118)를 더 포함하는 변형예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암레스트패널(110)은, 보관함(10)의 개구부(12)를 개폐하며 탑승자의 팔이 직접 거치될 수 있도록 대체로 평평한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요소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보관함(1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축설됨으로써 보관함(10)의 상방 개구부(12)를 개폐하게 된다.
이때, 보관함(10)은, 탑승자의 소지 물건이나 차량 내에서 상용될 수 있는 물품을 임시로 보관 내지 비치하기 위해 차량 내에 설치되는 일정 크기의 수용공간을 갖는 함체형상의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보관함(10)은, 상방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뚫려 내부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개구부(12)와, 내부 수용공간과 개구부(12)를 형성하며 후술할 암레스트패널(110)과 접하게 되는 측벽(14)(상단면(16)과 내측면(18) 등을 포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차량용 보관함(10)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차량 내 수납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일례로, 차량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구비되는 콘솔 박스, 조수석 전방에 구비되는 글로브박스 또는 차량 뒷줄 좌석의 전방이나 중앙에 비치되는 후방 수납박스 등일 수 있다.
위와 같이 보관함(10)에 형성된 개구부(12) 전체를 덮을 수 있는 판형상으로 된 암레스트패널(1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보관함(10)의 후방 일측과 힌지결합될 수 있다.
돌기부(120)는, 차량의 엔진 가동에 따라 발생하는 상술한 암레스트패널(110)의 광범위 진동 내지 유동을 규제하고, 후술할 댐퍼부(150)가 구비되는 장착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로서,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함(10)의 내측면(18)에 인접하도록 암레스트패널(110)의 하부면(112)에서 보관함(10)의 내부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돌출형성되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돌기부(120)는, 내부에 댐퍼부(150)가 설치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돌출바디(122)와 지지핀(124) 등을 포함하여 암레스트패널(1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바디(122)에는, 후술할 댐퍼부(150)의 가압부(152)가 일부 수용된 상태에서 상술한 보관함(10)의 내측면(18)을 향해 돌출작동할 수 있도록, 관통공(122a)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핀(124)은, 후술할 코일스프링(154)의 탄성변형과 복원을 일정하게 안내하며 가압부(152)의 돌출작동 거리를 일정하게 제한하기 위해 돌출바디(122) 내측에 마련된 구성요소이다.
댐퍼부(150)는, 보관함(10)의 내측면(18)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돌출형성된 상술한 돌기부(120)와 내측면(18) 사이에서 발생하게 되는 차량 진동에 따른 유동소음을 감쇄 내지 방지하기 위해 돌기부(120)에 내설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댐퍼부(150)는, 보관함(10)에 대한 암레스트패널(110)의 개폐작동을 방해하거나 간섭하지 않으면서 보관함(10)의 내측면(18)에 가압접촉되며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는 수단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여기서 유동소음이란, 보관함(10)의 내측면(18)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이격배치된 돌기부(120)가 내측면(18)에 충돌하거나 또는 보관함(10)의 내부를 이루는 내측면(18)이 돌기부(120)에 충돌하여 발생하는 소음 등일 수 있다.
이러한 댐퍼부(150)(130)는, 상술한 바와 같은 가압접촉과 자유변형을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152) 및 코일스프링(15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가압부(152)는, 보관함(10)의 내측면(18)을 가압접촉하도록 돌기부(120)에 구비되어 내측면(18)을 향해 돌출작동하며 왕복하는 구성요소로서, 접촉단(152a) 및 지지판(152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접촉단(152a)은, 내측면(18)과의 밀착력을 증대하고, 차량 진동에 따른 돌기부(120)와 내측면(18) 간의 유동을 1차적으로 완충하기 위해 탄성변형되며 내측면(18)을 직접 가압하는 구성요소로서, 천연고무, 합성고무, 실리콘 또는 우레탄 등과 같은 탄성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접촉단(152a)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면(18)과 접촉하게 되는 접촉면이 아래쪽을 향할수록 보관함(10)의 안쪽으로 경사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개구부(12)에 대한 암레스트패널(110)의 폐쇄회동시 가압부(152)가 자연스럽게 돌기부(120)의 내부로 후퇴하며 개구부(12)로 원활히 인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지지판(152b)은, 후술할 코일스프링(154)의 탄성력을 상술한 접촉단(152a)에 전달하기 위해 접촉단(152a)에 결합되는 구성요소로서, 비탄성 소재로 제작되어 일단부가 코일스프링(154)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부가 접촉단(152a)에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판(152b)에는 코일스프링(154)의 일부가 수용되는 오목한 홈이 형성되어 수축과 복원을 반복하는 코일스프링(154)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되고, 지지판(152b)의 외주연은 상술한 관통공(122a)에 의해 걸리도록 접촉단(152a)보다 외측으로 확장형성되어 가압부(152)의 이탈 내지 분리를 저지하게 된다.
코일스프링(154)은, 돌기부(12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술한 가압부(152)가 내측면(18)을 가압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로서, 이로 인해 상술한 탄성 소재의 접촉단(152a)에 의해 1차적으로 완충된 내측면(18)과 돌기부(120) 간의 유동이 다시 2차적으로 완충됨으로써, 유동소음은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코일스프링(154)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120)의 내부에서 지지핀(124)에 안착된 상태로 가압부(152)의 지지판(152b)에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댐퍼부(150)는, 도 4의 (a)와 같이 암레스트패널(110)의 폐쇄회동에 따라 돌기부(120)와 함께 보관함(10)의 상단면(16)에 인접하게 되면, 도 4의 (b)와 같이 상단면(16)의 가장자리와 접촉한 가압부(152)는 경사형성된 접촉단(152a)의 안내에 따라 자연스럽게 돌기부(120)의 내측으로 압축되면서 개구부(12) 내로 진입하게 된다.
그리고 도 4의 (c)와 같이 암레스트패널(110)이 개구부(12)를 완전히 폐쇄하게 되면, 가압부(152)는 압축된 코일스프링(154)(134)의 탄성력에 의해 내측면(18)에 대한 가압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함에 따라 돌기부(120)와 내측면(18) 간의 유동은 억제될 수 있게 된다.
제1 자력부(130)는, 보관함(10)의 하부면(112) 일측에 구비되어 후술할 제2 자력부(140)와의 관계에서 인력이 미치도록 소정의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요소로서, 도 1 및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구자석(132) 및 탄성커버(134) 등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영구자석(132)은, 후술할 제2 자력부(140)와의 관계에서 인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일단부는 테이퍼 돌기(132a)로 이루어져 하부면(112)을 관통하고, 타단부는 테이퍼 돌기(132a)에서 외측으로 확장형성된 플랜지(132b)로 이루어져 하부면(112)에 걸림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플랜지(132b)에 의해 하부면(112)에 걸림고정된 영구자석(132)은, 하부면(112)에 결합되는 암레스트패널(110)의 상부커버(114)에 형성된 지지보스(114a)에 의해 타단부인 플랜지(132b)가 지지되어 암레스트패널(110)에 고정될 수 있다.
탄성커버(134)는, 암레스트패널(110)의 폐쇄작동시 접촉하게 되는 상단면(16)에 대한 충격을 완충하는 한편, 차량의 엔진 가동에 따라 발생하는 암레스트패널(110)의 진동 내지 유동을 저감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탄성커버(134)는, 천연고무, 합성고무, 실리콘 또는 우레탄 등과 같은 탄성 소재를 이용하여 영구자석(132)의 테이퍼 돌기(132a)와 플랜지(132b)의 일면을 둘러싸는 막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제2 자력부(140)는, 상술한 제1 자력부(130)와 접하게 되는 보관함(10)의 상단면(16)에 매설되어 제1 자력부(130)에 기인한 인력의 작용을 통해 차량 주행중 보관함(10)에 대한 암레스트패널(110)의 진동을 감쇄시키는 구성요소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형상으로 절곡된 강자성체인 매립철판(14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매립철판(142)은,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함(10)의 상단면(16) 아래쪽에서 일면이 상술한 제1 자력부(130)를 마주하도록 매설되어 제1 자력부(130)의 인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1,2 자력부(130,140)가 서로 인접하게 됨으로써 상호 간에 작용하게 된 인력으로 인해, 차량의 엔진 가동중 발생하는 광범위와 협범위에 걸친 암레스트패널(110)의 진동 또는 유동은, 상술한 댐퍼부(150) 및 돌기부(120)의 작용과 함께 중첩적으로 감쇄됨에 따라 암레스트패널(110)로 인한 진동소음은 더욱 효과적으로 저감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제2 자력부(1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60)를 통해 인가되는 제어전원에 의해 가변될 수 있는 전자석(14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제2 자력부(140)가 가변적인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144)으로 구성된 경우, 차량의 전자제어장치(ECU)인 제어부(160)는 주행속도나 노면상태 등과 같은 다양한 차량의 주행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기초로 제2 자력부(140)인 전자석(144)의 자기력과 그 방향을 다양하게 가변시키는 제어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차량이 노면상태가 열악한 비포장 도로를 주행하거나 차량 주행속도에 비례하여 차량의 진동이 증가하게 되면, 제어부(160)는 이러한 주행 환경과 속도에 대응한 강한 인력이 암레스트패널(110)에 설치된 제1 자력부(130)에 작용할 수 있도록 제2 자력부(140)인 전자석(144)에 소정의 제어전원을 인가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레스트패널(110)의 회전축(116)에는 암레스트패널(110)의 회전방향에 대응하여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작동감지부(11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작동감지부(118)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암레스트패널(110)의 회전방향(닫힘방향, 열림방향)을 인식 내지 감지하여 상술한 제어부(160)에 해당 정보로 제공할 수 있는 공지된 수단이면 충분하므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일례로서 작동감지부(118)는, 암레스트패널(110)의 회전축(116)과 연결되어 저속의 회전을 고속의 회전으로 변환할 수 있는 고속의 기어모듈과, 이와 연결되어 고속의 회전운동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발전기 구조의 전기생성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작동감지부(118)가 구비된 경우, 제어부(160)는 이와 연결되어 작동감지부(118)에 의해 생성된 전기적 신호를 기초로 제2 자력부(140)에 제어전원을 가변적으로 인가함으로써, 암레스트패널(110)의 원활한 개폐와 사용자 편의 등을 위한 다양한 제어작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작동감지부(118)에 의해 생성된 전기적 신호가 암레스트패널(110)이 닫히는 방향의 회전인 경우, 제어부(160)는 제1 자력부(130)에 대한 제2 자력부(140)의 인력이 강하게 작용하도록 전자석(144)에 제어전원을 인가하여 신속한 암레스트패널(110)의 폐쇄작동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위와 달리 제어부(160)는, 암레스트패널(110)의 폐쇄시 보관함(10)에 대한 충격 또는 충격소음의 저감을 위해, 제1 자력부(130)에 대하여 제2 자력부(140)가 척력을 발생시키도록 전자석(144)에 제어전원을 인가하다가 암레스트패널(110)과 보관함(10)의 상단면(16)이 서로 인접하게 되면, 제2 자력부(140)가 인력을 서서히 발생시키도록 전자석(144)에 제어전원을 인가하는 방식으로 암레스트패널(110)의 폐쇄작동을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작동감지부(118)에 의해 생성된 전기적 신호가 암레스트패널(110)이 열리는 방향의 회전인 경우, 제어부(160)는 신속하게 제1 자력부(130)에 대하여 제2 자력부(140)가 척력을 발생시키도록 전자석(144)에 제어전원을 인가함으로써 신속한 암레스트패널(110)의 열림작동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의하면, 암레스트패널(110)과 보관함(10) 사이에 작용하는 자기력이 차량의 주행 상황이나 암레스트패널(110)의 개폐에 대응하여 적절하게 가변됨에 따라 주행중 차량 내의 암레스트패널(110)로 인한 진동소음은 더욱 효과적으로 저감될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 등이 한층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5: 종래 암레스트 10: 보관함
12: 개구부 14: 측벽
16: 상단면 18: 내측면
20: 니플형 돌기
100: 진동소음 저감형 암레스트 장치
110: 암레스트패널 112: 하부면
114: 상부커버 114a: 지지보스
116: 회전축 118: 작동감지부
120: 돌기부 122: 돌출바디
122a: 관통공 124: 지지핀
130: 제1 자력부 132: 영구자석
132a: 테이퍼 돌기 132b: 플랜지
134: 탄성커버 140: 제2 자력부
142: 매립철판 144: 전자석
150: 댐퍼부 152: 가압부
152a: 접촉단 152b: 지지판
154: 코일스프링 160: 제어부

Claims (6)

  1. 차량에 마련된 보관함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축설되어 상기 보관함의 상방 개구부를 개폐하고, 탑승자의 팔이 거치되는 암레스트패널;
    상기 보관함의 내측면에 인접하도록 상기 암레스트패널의 하부면에서 상기 보관함의 내부로 돌출되어 상기 암레스트패널의 유동을 규제하는 돌기부;
    상기 하부면의 일측에 구비된 제1 자력부; 및
    상기 제1 자력부와 접하게 되는 상기 보관함의 상단면에 매설되어 인력의 작용을 통해 차량의 주행중 상기 보관함에 대한 상기 암레스트패널의 진동을 감쇄시키는 제2 자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소음 저감형 암레스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력부는,
    상기 하부면을 관통한 일단부를 통해 상기 제2 자력부와 인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하부면에 결합되는 상기 암레스트패널의 상부커버에 형성된 지지보스에 의해 타단부가 지지되어 상기 암레스트패널에 고정되는 영구자석; 및
    상기 영구자석의 일단부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상단면과 접촉하며 상기 암레스트패널의 진동을 완충하는 탄성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소음 저감형 암레스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력부는,
    차량의 주행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자력부에 대하여 작용하는 자기력이 제어전원에 의해 가변되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소음 저감형 암레스트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암레스트패널의 회전축에는,
    상기 암레스트패널의 회전방향에 대응하여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작동감지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 자력부는,
    상기 암레스트패널의 원활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작동감지부에서 생성된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전원을 가변적으로 인가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소음 저감형 암레스트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소음 저감형 암레스트 장치는,
    상기 내측면을 가압접촉하도록 상기 돌기부에 내설되어 차량 진동에 의한 상기 돌기부의 유동소음을 감쇄시키는 댐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소음 저감형 암레스트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는,
    상기 내측면을 향해 돌출작동하도록 상기 돌기부에 구비되어 상기 내측면을 가압하는 가압부; 및
    상기 돌기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부가 상기 내측면을 가압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소음 저감형 암레스트 장치.
KR1020190138171A 2019-10-31 2019-10-31 진동소음 저감형 암레스트 장치 KR102270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171A KR102270477B1 (ko) 2019-10-31 2019-10-31 진동소음 저감형 암레스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171A KR102270477B1 (ko) 2019-10-31 2019-10-31 진동소음 저감형 암레스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2805A true KR20210052805A (ko) 2021-05-11
KR102270477B1 KR102270477B1 (ko) 2021-06-30

Family

ID=75914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8171A KR102270477B1 (ko) 2019-10-31 2019-10-31 진동소음 저감형 암레스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047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1517B1 (ko) * 1995-12-26 1998-10-15 김태구 자동차 콘솔박스의 커버 자동 열림장치
KR20030085702A (ko) * 2002-05-01 2003-11-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트레이 커버 잠금장치
KR20130003709U (ko) * 2011-12-13 2013-06-21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의 암레스트 범퍼
KR101703143B1 (ko) * 2015-11-25 2017-02-07 주식회사 서연이화 소음 방지용 가이드유닛이 장착된 콘솔 암레스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1517B1 (ko) * 1995-12-26 1998-10-15 김태구 자동차 콘솔박스의 커버 자동 열림장치
KR20030085702A (ko) * 2002-05-01 2003-11-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트레이 커버 잠금장치
KR20130003709U (ko) * 2011-12-13 2013-06-21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의 암레스트 범퍼
KR101703143B1 (ko) * 2015-11-25 2017-02-07 주식회사 서연이화 소음 방지용 가이드유닛이 장착된 콘솔 암레스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0477B1 (ko) 2021-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3450B1 (ko) 차량용 슬라이딩 암레스트
US9598122B2 (en) Structure of tail gate guide bumper using magnetic force
CN109209080B (zh) 用于车辆的车门开度限位器装置
CN108454476B (zh) 用于车辆的中央控制台扶手组件
MX2011000765A (es) Componente de impulsion para una unidad de vehiculo de motor.
US9426550B2 (en) Speaker system for a motor vehicle
KR20210052805A (ko) 진동소음 저감형 암레스트 장치
KR102166325B1 (ko) 진동소음 저감형 암레스트 장치
KR102236884B1 (ko) 진동 억제형 암레스트 장치
CN107972591B (zh) 后包裹架布置结构
JP4665702B2 (ja) 車両用ドア構造
KR102145962B1 (ko) 진동소음 저감형 암레스트 장치
CN110466447B (zh) 车门装饰件
CN112780723A (zh) 用于车辆车轮的减振器
JP7401318B2 (ja) 開閉体装置及び収納装置
JP4666146B2 (ja) 跳ね上げ式フード構造
KR101151103B1 (ko) 진동감쇄 구조를 갖는 슬라이딩 타입 암레스트 모듈
JP2014008943A (ja) 車両用樹脂製トリムの構造
JP5440291B2 (ja) サイドドアを車室内こもり音抑制ダイナミックダンパとした車輌
JP2022167233A (ja) 車両用収納装置
JP2007331637A (ja) 自動車用内装部品
JP2005067364A (ja) 自動車用内装部品のポケット構造
KR20180130724A (ko) 자동차용 파슬 트레이 커버 고정장치
JPH0632177A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KR200163554Y1 (ko) 차량용 글로브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