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2387A - 컬러필터 - Google Patents

컬러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2387A
KR20210052387A KR1020207034845A KR20207034845A KR20210052387A KR 20210052387 A KR20210052387 A KR 20210052387A KR 1020207034845 A KR1020207034845 A KR 1020207034845A KR 20207034845 A KR20207034845 A KR 20207034845A KR 20210052387 A KR20210052387 A KR 20210052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gment
evaluation
yellow
composition
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4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이스케 사카모토
아키라 기무라
다츠야 시게히로
도루 이시이
Original Assignee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52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23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1Filters in the form of arr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41Optical brightening agents, organic pig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1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one nitrogen atom in the ring
    • C08K5/3415Five-membered rings
    • C08K5/3417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1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one nitrogen atom in the ring
    • C08K5/3432Six-membered rings
    • C08K5/3437Six-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02B5/223Absorbing filters containing organic substances, e.g. dyes, inks or pig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ptical Filters (AREA)
  • Materials For Photolithograph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측면은, C.I. 피그먼트 레드 269와, 440∼470㎚에 있어서의 투과율의 평균값이 6% 이하인 황색 색재를 포함하는 적색 화소부와, 할로겐화아연프탈로시아닌 안료 및 할로겐화알루미늄프탈로시아닌 안료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녹색 화소부를 구비하는 컬러필터이다.

Description

컬러필터
본 발명은, 컬러필터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의 색 규격으로서, 종래의 sRGB 규격에 더하여, 컬러필터의 적색 화소부와 녹색 화소부에 대하여 sRGB 규격보다도 더 선명한 색도 좌표로 설정되고, 보다 높은 색재현성을 실현할 수 있는 DCI-P3 규격(디지털 시네마 이니셔티브)이 주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규격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컬러필터에 있어서 특정의 파장만을 투과시켜서 선명한 색을 얻을 필요가 있다.
일본 특개평8-240708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컬러필터는, 상술한 DCI-P3 규격과 같은 고색재현성을 실현하기 위하여 충분한 특성을 반드시 갖고 있지 않고, 컬러필터의 색재현성을 높이는 것에 대한 요망은 여전히 존재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컬러필터의 색재현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따르면, 컬러필터의 색재현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적색 화소부의 색도 x를 크게 하는 것이 유효한데, 놀랍게도, 단체(單體)에서는 색도 x가 작은 C.I. 피그먼트 레드 269에, 특정의 황색 색재를 조합해서 사용함에 의해, 적색 화소부의 색도 x를 현저히 크게 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녹색 화소부에 특정의 녹색 안료를 사용함에 의해, 컬러필터의 색재현성 향상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즉, 본 발명의 일측면은, C.I. 피그먼트 레드 269와, 440∼470㎚에 있어서의 투과율의 평균값이 6% 이하인 황색 색재를 포함하는 적색 화소부와, 할로겐화아연프탈로시아닌 안료 및 할로겐화알루미늄프탈로시아닌 안료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녹색 화소부를 구비하는 컬러필터이다.
황색 색재는, C.I. 피그먼트 옐로 129, C.I. 피그먼트 옐로 138, C.I. 피그먼트 옐로 139, C.I. 피그먼트 옐로 150, C.I. 피그먼트 옐로 151, C.I. 피그먼트 옐로 185 및 C.I. 피그먼트 옐로 12의 설폰화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어도 된다.
녹색 화소부는, C.I. 피그먼트 그린 58 및 C.I. 피그먼트 그린 59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할로겐화아연프탈로시아닌 안료를 포함해도 된다.
녹색 화소부는, 하기 식(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더 포함해도 된다.
Figure pct00001
식(1) 중, X1∼X16은 각각 독립으로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이고, Y1 및 Y2는 각각 독립으로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이고, Z는 탄소수 1∼3의 알킬렌기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컬러필터의 색재현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표시 장치의 일 실시형태인 액정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컬러필터는,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표시 장치에 사용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컬러필터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우선, 표시 장치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표시 장치의 일 실시형태인 액정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 실시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1)는, 광원(2)과, 제1 편광층(3)과, 제1 기판(4)과, 제1 전극(5)과, 액정층(6)과, 제2 전극(7)과, 제2 편광층(8)과, 컬러필터(9)와, 제2 기판(10)을 이 순서로 구비하고 있다.
광원(2)은, 예를 들면, 백색 LED(발광 다이오드) 광원, 백색 유기 EL 광원, 백색 무기 EL 광원, 백색 양자 도트 광원 등이어도 된다. 광원(2)이 백색 LED 광원일 경우, 당해 백색 LED 광원은, 예를 들면, 적색 LED와 녹색 LED와 청색 LED를 조합해서 혼색에 의해 백색광을 얻는 백색 LED 광원, 청색 LED와 적색 LED와 녹색 형광체를 조합해서 혼색에 의해 백색광을 얻는 백색 LED 광원, 청색 LED와 적색 발광 형광체와 녹색 발광 형광체를 조합해서 혼색에 의해 백색광을 얻는 백색 LED 광원, 청색 LED와 YAG계 형광체와의 혼색에 의해 백색광을 얻는 백색 LED 광원, 자외선 LED와 적색 발광 형광체와 녹색 발광 형광체와 청색 발광 형광체를 조합해서 혼색에 의해 백색광을 얻는 백색 LED 광원, 적색 레이저를 조합한 백색 LED 광원, 양자 도트 기술을 이용한 백색 LED 광원 등이어도 된다.
형광체로서는, 이 분야에서 사용되는 형광체를 적의(適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청색 LED 또는 자외선 LED에서 여기(勵起) 가능한 형광체로서는, 세륨으로 부활(賦活)된 이트륨·알루미늄·가넷계 형광체(YAG : Ce), 세륨으로 부활된 루테튬·알루미늄·가넷계 형광체(LAG : Ce), 유로퓸 및/또는 크롬으로 부활된 질소 함유 알루미노규산칼슘계 형광체(예를 들면 CaO-Al2O3-SiO2 : Eu), 유로퓸으로 부활된 실리케이트계 형광체((Sr, Ba)2SiO4 : Eu), 사이알론계 형광체, CASN계 형광체(CaAlSiN3 : Eu), SCASN계 형광체((Sr, Ca)AlSiN3 : Eu) 등의 질화물계 형광체, KSF계 형광체(K2SiF6 : Mn), 황화물계 형광체, 양자 도트 형광체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사이알론계 형광체는, α형 사이알론 형광체여도 된다. α형 사이알론 형광체는, 예를 들면, 질화규소(Si3N4), 질화알루미늄(AlN), 탄산칼슘(CaCO3), 산화유로퓸(Eu2O3)을 소정의 몰비로 혼합하고, 1기압(0.1MPa)의 질소 중에 있어서 1700℃의 온도에서 1시간 유지하고 핫 프레스법에 의해 소성해서 제조되는, Eu이온을 고용(固溶)한 α형 사이알론 형광체여도 된다. 이 α형 사이알론 형광체는, 450∼500㎚의 청색광에서 여기되어 550∼600㎚의 황색의 광을 발하는 형광체이다. 사이알론계 형광체는, 예를 들면, β-Si3N4 구조를 갖는 β형 사이알론 형광체여도 된다. 이 β형 사이알론 형광체는, 근자외∼청색광에서 여기됨에 의해, 500∼600㎚의 녹색∼등색의 광을 발하는 형광체이다.
또한, 예를 들면, 형광체는, JEM상으로 이루어지는 산질화물 형광체여도 된다. 이 산질화물 형광체는, 근자외∼청색광에서 여기되어, 460∼510㎚에 발광 파장 피크를 갖는 광을 발한다.
제1 편광층(3) 및 제2 편광층(8)은, 공지의 편광층(편광판)이어도 되며, 예를 들면, 이색성 유기 색소 편광판, 도포형 편광층, 와이어 그리드형 편광판, 콜레스테릭 액정형 편광판 등이어도 된다. 제1 기판(4) 및 제2 기판(10)은, 예를 들면 유리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플라스틱 등의 유연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1 전극(5) 및 제2 전극(7)의 한쪽은 화소 전극이고, 다른 쪽은 공통 전극이다. 예를 들면, 제1 전극(5)이 화소 전극이고, 제2 전극(7)이 공통 전극이어도 된다. 제1 전극(5) 및 제2 전극(7)은, 예를 들면 ITO 등의 투명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액정층(6)은, 공지의 액정 조성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1 전극(5)과 액정층(6)과의 사이, 및, 제2 전극(7)과 액정층(6)과의 사이에는, 배향막이 더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광원(2)으로부터의 광(L)은, 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 유리 등으로 형성된 도광판(도시하지 않음)을 개재해서 제1 편광판(3)에 입사한다. 광원(2)은, 도광판의 측면에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엣지 백라이트 구조), 도광판의 주면(主面)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직하(直下) 백라이트 구조). 광원(2)으로부터의 광(L)은, 제1 편광판(3)에 입사한 후, 제1 기판(4), 제1 전극(5), 액정층(6), 제2 전극(7), 제2 편광층(8), 컬러필터(9), 및 제2 기판(10)을 이 순서로 통과한 후, 액정 표시 장치(1)의 외부에 출사된다. 이때, 광원(2)으로부터의 광(L)의 색이, 컬러필터(9)에 의해 변환된다.
계속해서, 컬러필터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컬러필터(9)는, 적색 화소부(적색 컬러필터)(9a)와, 녹색 화소부(녹색 컬러필터)(9b)와, 청색 화소부(청색 컬러필터)(9c)와, 차광부(블랙 매트릭스)(9d)를 갖고 있다. 적색 화소부(9a)와, 녹색 화소부(9b)와, 청색 화소부(9c)는, 이 순서로 반복하여 배치되어 있고, 각색 화소부 사이는 차광부에 의해서 서로 격리되어 있다.
적색 화소부(9a)는, C.I. 피그먼트 레드 269와, 440∼470㎚에 있어서의 투과율의 평균값이 6% 이하인 황색 색재를 포함한다. C.I. 피그먼트 레드 269는, 예를 들면, Clariant사제 C.I. 피그먼트 레드 269로서 입수 가능하다.
440∼470㎚에 있어서의 투과율의 평균값이 6% 이하인 황색 색재란, 황색 색재:수지의 질량비가 3:5인 막두께 1㎛의 평가용 착색막을 형성했을 때에, 440∼470㎚에 있어서의 투과율의 평균값이 6% 이하로 되는 황색 색재이다. 황색 색재의 투과율의 평균값은, 분광 광도계(예를 들면, 가부시키가이샤히타치하이테크사이언스제 U3900)를 사용해서, 측정 영역 : 380∼780㎚, 측정 간격 : 1㎚의 조건에서 측정된 상기 평가용 착색막의 투과 스펙트럼으로부터, 440∼470㎚에 있어서의 투과율의 평균값으로서 산출된다. 또, 평가용 착색막에 포함되는 수지에는, 바인더 수지 및 황색 색재를 바인더 수지 중에 호적하게 분산시키기 위한 분산제가 포함된다. 또한, 당해 수지로서는, 1㎛의 수지막을 형성했을 때에, 440∼470㎚에 있어서의 투과율의 평균값이 99% 이상인 수지를 사용한다.
상기 평가용 착색막은, 예를 들면 이하의 수순으로 제작된다.
황색 색재 0.55g을, 분산제(빅케미샤제 BYK-LPN21116, 고형분 : 40질량%) 0.83g,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3.20g과 함께, 0.3∼0.4㎜의 지르콘 비드를 사용해서, 쉐이커(도요세이키가부시키가이샤제 페인트 쉐이커)로 2시간 분산해서, 분산액을 얻는다. 이 분산액에, 바인더 수지(DIC가부시키가이샤제 유니딕ZL-295, 고형분 : 40질량%) 1.46g,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0.84g을 더하고, 쉐이커로 혼합함으로써, 황색 조성물을 얻는다. 이 황색 조성물을 소다 유리 기판 상에 스핀 코트한 후, 90℃에서 3분간 건조함으로써, 유리 기판 상에 평가용 착색막이 형성된 측정용 샘플을 제작한다. 또, 스핀 코트할 때의 스핀 회전수를 조정함에 의해, 90℃에서 3분간 가열한 후의 평가용 착색막의 두께를 1㎛로 한다.
황색 색재의 440∼470㎚에 있어서의 투과율의 평균값은, 적색 화소부(9a)의 색도 x를 더 크게 할 수 있는 관점에서, 작을수록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바람직하게는, 5% 이하, 4% 이하, 3% 이하, 2.5% 이하, 또는 2% 이하이다.
황색 색재는, 상기한 투과율을 갖는 황색 색재이면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황색 안료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C.I. 피그먼트 옐로 129, C.I. 피그먼트 옐로 138, C.I. 피그먼트 옐로 139, C.I. 피그먼트 옐로 150, C.I. 피그먼트 옐로 151, C.I. 피그먼트 옐로 185 및 C.I. 피그먼트 옐로 12의 설폰화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다. C.I. 피그먼트 옐로 12의 설폰화 유도체는,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일본 특개2014-228682호 공보의 「실시예 2」의 「디스아조계 화합물 C2」로서 기재되어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황색 색재는, 적색 화소부(9a)의 색도 x를 더 크게 할 수 있고, 색재현성이 더 높아지는 관점에서, 더 바람직하게는, C.I. 피그먼트 옐로 129, C.I. 피그먼트 옐로 139, C.I. 피그먼트 옐로 150 및 C.I. 피그먼트 옐로 185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C.I. 피그먼트 옐로 129, C.I. 피그먼트 옐로 139 및 C.I. 피그먼트 옐로 185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다.
황색 색재는, 황색 염료여도 된다. 황색 염료는, 예를 들면, 퀴놀린계 염료, 아조계 염료, 퀴노프탈론계 염료, 메틴계 염료, 쿠마린계 염료, 이소인돌린계 염료 등이어도 되며, 구체적으로는, C.I. 애시드 옐로 1, 3, 23, 29, 36, C.I. 솔벤트 옐로 2, 4, 7, 33, 56, 93, 98, C.I. 디스퍼스 옐로 5, 42, 49, 50, 54, 56, 64, 71, 104, 114, 149, 201 등이어도 된다.
적색 화소부(9a)에 있어서의 C.I. 피그먼트 레드 269와 상기 황색 색재와의 배합 비율은, 황색 색재의 종류 및 원하는 색도에 따라서 결정된다. 예를 들면, C.I. 피그먼트 레드 269/황색 색재의 배합 비율이 7/3(질량비)이고, C.I. 피그먼트 레드 269 및 황색 색재의 합계량/수지의 배합 비율이 3/5(질량비)인 막두께 3㎛의 도막으로 했을 때에, C광원에서 측정한 색도 x가 0.68 이상으로 된다.
컬러필터(9)가 DCI-P3 규격 및 sRGB 규격을 충족시키는 컬러필터로서 사용될 경우, 고휘도이면서 막두께가 얇은 적색 화소부(9a)가 호적하게 얻어지는 관점에서, 적색 화소부(9a)에 있어서의 C.I. 피그먼트 레드 269의 함유량은, C.I. 피그먼트 레드 269 및 상기 황색 색재의 합계량 100질량부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10질량부 이상, 15질량부 이상, 20질량부 이상, 또는 25질량부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90질량부 이하, 80질량부 이하, 70질량부 이하, 60질량부 이하, 50질량부 이하, 40질량부 이하, 또는 30질량부 이하이다.
적색 화소부(9a)는, 상기 이외의 그 밖의 성분을 더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그 밖의 성분은, 예를 들면, 상기 이외의 유기 안료, 유기 염료, 유기 안료 유도체 등이어도 된다.
상기 이외의 유기 안료로서는, 예를 들면, 아조계 안료, 디스아조계 안료, 아조메틴계 안료, 안트라퀴논계 안료, 퀴노프탈론계 안료, 퀴나크리돈계 안료, 디케토피롤로피롤계 안료, 디옥사진계 안료, 벤즈이미다졸론계 안료, 프탈로시아닌계 안료, 이소인돌린계 안료, 이소인돌리논계 안료, 페릴렌계 안료 등을 들 수 있다(단, C.I. 피그먼트 레드 269 및 상기한 황색 색재를 제외한다). 당해 유기 안료는, 바람직하게는, 아조계 안료, 디스아조계 안료, 안트라퀴논계 안료, 퀴노프탈론계 안료, 퀴나크리돈계 안료, 디케토피롤로피롤계 안료, 또는 페릴렌계 안료이다(단, C.I. 피그먼트 레드 269 및 상기한 황색 색재를 제외한다).
유기 염료로서는, 예를 들면, 잔텐계 염료, 아조계 염료, 디스아조계 염료, 안트라퀴논계 염료, 퀴노프탈론계 염료, 트리아릴메탄계 염료, 메틴계 염료, 프탈로시아닌계 염료, 로다민계 염료, 시아닌계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염료는, 바람직하게는 잔텐계 염료, 아조계 염료, 디스아조 염료, 안트라퀴논계 염료, 퀴노프탈론계 염료, 로다민계 염료, 또는 시아닌계 염료이다.
유기 안료 유도체는, 예를 들면, 공지의 유기 안료의 일부가, 설폰산기, 카르복시기, 아미노기, 프탈이미드메틸기 등으로 수식(치환)된 유도체여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Solsperse(등록상표명)5000, 동(同)12000, 동22000(루브리졸가부시키가이샤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안료 유도체의 함유량은, 안료의 합계량 100질량부에 대해서, 1질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40질량부 이하여도 된다.
적색 화소부(9a)는, 감광성 수지 등의 수지, 분산제, 로진, 계면활성제 등을 더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이들 성분은, 안료 표면에 처리(소위 표면 처리)되어 있어도 되고, 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안료 표면에 처리하는 방법으로서는, 로진 처리, 계면활성제 처리, 용제 처리, 수지 처리 등의 공지의 방법이어도 된다.
감광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우레탄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아미드산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스티렌말레산계 수지, 스티렌무수말레산계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나, 예를 들면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비스(아크릴옥시에톡시)비스페놀A, 3-메틸펜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2관능 모노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네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다관능 모노머 등의 광중합성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분산제로서는, 예를 들면 ANTI-TERRA(등록상표명) U/U100, 동204, DISPERBYK(등록상표명)106, 동108, 동109, 동112, 동130, 동140, 동142, 동145, 동161, 동162, 동163, 동164, 동167, 동168, 동180, 동182, 동183, 동184, 동185, 동2000, 동2001, 동2008, 동2009, 동2013, 동2022, 동2025, 동2026, 동2050, 동2055, 동2150, 동2155, 동2163, 동2164, 동9076, 동9077, BYK LPN-6919, 동21116, 동21324, 동22102(빅케미가부시키가이샤제), EFKA(등록상표명)46, 동47, 동4010, 동4020, 동4320, 동4300, 동4330, 동4401, 동4570, 동5054, 동7461, 동7462, 동7476, 동7477(BASF가부시키가이샤제), 아지스파PB(등록상표명)814, 동821, 동822, 동881(아지노모토파인테크노가부시키가이샤제), Solsperse(등록상표명)24000, 동28000, 동37500, 동76500(루브리졸가부시키가이샤제) 등을 들 수 있다. 분산제의 함유량은, 안료의 합계량 100질량부에 대해서, 10질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120질량부 이하여도 된다.
녹색 화소부(9b)는, 할로겐화아연프탈로시아닌 안료 및 할로겐화알루미늄프탈로시아닌 안료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하 「특정의 할로겐화프탈로시아닌 안료」라고도 한다)을 포함한다.
할로겐화아연프탈로시아닌 안료는, 컬러필터의 색재현성을 더 높이고, 또한, 고휘도이면서 막두께가 얇은 녹색 화소부(9b)가 호적하게 얻어지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C.I. 피그먼트 그린 58 및 C.I. 피그먼트 그린 59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C.I. 피그먼트 그린 59이다. 할로겐화알루미늄프탈로시아닌 안료는, 컬러필터의 색재현성을 더 높이고, 또한, 고휘도이면서 막두께가 얇은 녹색 화소부(9b)가 호적하게 얻어지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C.I. 피그먼트 그린 63이다.
녹색 화소부(9b)는, 황색 색재를 더 포함해도 된다. 특정의 할로겐화프탈로시아닌 안료와 황색 색재와의 배합비는, 각 안료 또는 색재의 종류 및 원하는 색도에 따라서 결정된다.
황색 색재는,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C.I. 피그먼트 옐로 138, 동129, 동139, 동150, 동185, 동231 등의 황색 안료여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C.I. 피그먼트 옐로 138 및 C.I. 피그먼트 옐로 185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황색 안료이다.
황색 색재는, 컬러필터의 색재현성을 더 높이는 관점에서,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기 식(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퀴노프탈론 화합물)로 구성되는 황색 안료(퀴노프탈론 안료)이다.
Figure pct00002
식(1) 중, X1∼X16은 각각 독립으로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이고, Y1 및 Y2는 각각 독립으로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이고, Z는 탄소수 1∼3의 알킬렌기이다.
상기 퀴노프탈론 화합물은, 퀴노프탈론 골격의 이량화에 의해, 선택적인 흡수·투과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퀴노프탈론 화합물은, 연결기 Z를 스페이서로 해서 퀴노프탈론 골격을 이량화하고 있고, 이에 의해 공역(共役)이 절단되고, 과잉의 적미화가 억제되어 있다. 또한, 상기 퀴노프탈론 화합물에서는, 이미드 구조의 도입에 의해 분산성이 향상되어 있다. 이들로부터, 상기 퀴노프탈론 화합물에 의하면, 우수한 휘도와 착색력을 나타내는 안료가 얻어진다.
식(1) 중의 할로겐 원자는,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또는 요오드 원자여도 되고,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또는 브롬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고, 염소 원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1) 중의 탄소수 1∼3의 알킬렌기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렌기, 에틸렌기(1,1-에탄디일기 또는 1,2-에탄디일기), 프로필렌기(1,1-프로판디일기, 2,2-프로판디일기, 1,2-프로판디일기 또는 1,3-프로판디일기)가 바람직하고, 메틸렌기, 1,1-에탄디일기, 1,1-프로판디일기, 2,2-프로판디일기가 보다 바람직하고, 메틸렌기가 더 바람직하다.
상기 퀴노프탈론 화합물에서는, X1∼X16 중, 적어도 하나가 할로겐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고, 둘 이상이 할로겐 원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X1∼X16에 할로겐 원자가 도입됨으로써, 상기 퀴노프탈론 화합물의 분산성이 한층 더 향상하고, 상술의 효과가 보다 현저히 얻어지는 경향이 있다.
X1∼X4 중, 적어도 하나가 할로겐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고, 둘 이상이 할로겐 원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모두가 할로겐 원자여도 된다. X2 및 X3 중 적어도 하나가 할로겐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고, X2 및 X3이 모두 할로겐 원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X5∼X8 중, 적어도 하나가 할로겐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고, 둘 이상이 할로겐 원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모두가 할로겐 원자여도 된다. X6 및 X7 중 적어도 하나가 할로겐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고, X6 및 X7이 모두 할로겐 원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X9∼X12 중, 적어도 하나가 할로겐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고, 둘 이상이 할로겐 원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모두가 할로겐 원자여도 된다. X10 및 X11 중 적어도 하나가 할로겐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고, X10 및 X11이 모두 할로겐 원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X13∼X16 중, 적어도 하나가 할로겐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고, 둘 이상이 할로겐 원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모두가 할로겐 원자여도 된다. X14 및 X15 중 적어도 하나가 할로겐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고, X14 및 X15가 모두 할로겐 원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Y1 및 Y2는,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상관없지만, 상기 퀴노프탈론 화합물의 합성이 용이하게 되는 관점에서는,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식(1)의 구조에는, 하기 식(1-i) 및 식(1-ii) 등의 구조의 호변(互變) 이성체가 존재하지만, 상기 퀴노프탈론 화합물은, 이들의 어느 구조여도 된다.
Figure pct00003
식(1-i) 및 식(1-ii) 중, X1∼X16, Y1, Y2 및 Z는 상술과 같다.
상기 퀴노프탈론 화합물의 구체예를 이하에 들지만, 상기 퀴노프탈론 화합물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상기 퀴노프탈론 화합물은,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의 화합물을 적의 선택해서 병용해도 된다.
상기 퀴노프탈론 화합물의 제조 방법은,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종래 공지의 방법을 적의 이용해서 제조할 수 있다. 이하, 퀴노프탈론 화합물의 제조 방법의 일 태양을 기재하지만, 제조 방법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퀴노프탈론 화합물은, 예를 들면 이하의 공정 I, 공정 II, 공정 III 및 공정 IV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공정 I>
우선, J.Heterocyclic, Chem, 30, 17(1993)에 기재된 방법 등에 의해, 비스아닐린류를 1당량에 대하여, 크로톤알데히드를 2∼3당량 더하고, 산화제 존재 하, 강산 중에 있어서 반응시켜서, 후기하는 식(A-1)의 화합물을 합성한다.
Figure pct00009
식(A-1) 중, Y1, Y2 및 Z는 상술과 같다.
강산으로서는, 염산, 황산, 질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제로서는, 요오드화나트륨, p-클로라닐, 니트로벤젠 등을 들 수 있다.
공정 I에 관하여, 반응 온도는, 80℃∼100℃, 바람직하게는 90℃∼100℃여도 되고, 반응 시간은, 1시간∼6시간, 바람직하게는 3시간∼6시간이어도 된다.
<공정 II>
또한, 얻어진 식(A-1)의 화합물과 질산 또는 발연 질산을 진한 황산 존재 하에 있어서 반응시킴으로써, 식(A-2)의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Figure pct00010
식(A-2) 중, Y1, Y2 및 Z는 상술과 같다.
공정 II에 관하여, 반응 온도는, -20℃∼70℃, 바람직하게는 0℃∼50℃여도 되고, 반응 시간은, 1시간∼4시간, 바람직하게는 1시간∼3시간이어도 된다.
<공정 III>
또한, 얻어진 식(A-2)의 화합물을 1당량에 대하여, 환원철을 6∼8당량 더하고, 반응시킴으로써, 식(A-3)의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Figure pct00011
식(A-3) 중, Y1, Y2 및 Z는 상술과 같다.
공정 III에 관하여, 반응 온도는, 60℃∼80℃, 바람직하게는 70℃∼80℃여도 되고, 반응 시간은, 1시간∼3시간, 바람직하게는 2시간∼3시간이어도 된다.
<공정 IV>
또한, 일본 특개2013-61622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 등에 의해, 얻어진 식(A-3)의 화합물 1당량에 대하여, 무수프탈산 및 할로겐 치환 프탈산무수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4∼6당량을 산촉매 존재 하에 있어서 반응시킴으로써, 식(1)의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산촉매로서는, 벤조산, 염화아연 등을 들 수 있다.
공정 IV에 관하여, 반응 온도는, 180℃∼250℃, 바람직하게는 210℃∼250℃여도 되고, 반응 시간은, 1시간∼8시간, 바람직하게는 3시간∼8시간이어도 된다.
녹색 화소부(9b)는, 상기 이외의 그 밖의 성분을 더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그 밖의 성분은, 구체적으로는, 적색 화소부(9a)에 있어서 설명한 그 밖의 성분과 마찬가지이다.
청색 화소부(9c)는, 예를 들면, 청색 안료와 염료를 포함한다. 청색 안료는, 청색 화소부에 사용되는 공지의 안료여도 된다. 청색 안료는, C.I. 피그먼트 블루 15, 동15:1, 동15:2, 동15:3, 동15:4, 동15:5, 동15:6 등이어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C.I. 피그먼트 블루 15:6이다.
염료는, 청색 화소부에 사용되는 공지의 염료여도 된다. 염료는, 예를 들면, 잔텐계 염료, 아조계 염료, 디스아조계 염료, 안트라퀴논계 염료, 퀴노프탈론계 염료, 트리아릴메탄계 염료, 메틴계 염료, 프탈로시아닌계 염료, 로다민계 염료, 시아닌계 염료 등이어도 된다. 청색 화소부가 청색 안료 및 염료를 포함할 경우, 청색 안료 및 염료의 배합비는, 이들의 종류 및 원하는 색도에 따라서 결정된다.
청색 화소부(9c)는, 상기 이외의 그 밖의 성분을 더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그 밖의 성분은, 구체적으로는, 적색 화소부(9a)에 있어서 설명한 그 밖의 성분과 마찬가지이다.
차광부(블랙 매트릭스)는, 공지의 조성이어도 되며, 예를 들면,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 중에 흑색 안료가 분산됨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컬러필터(9)는, DCI-P3 규격과 같은 높은 색재현성이 요구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호적하게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이 컬러필터를 사용함에 의해, xy 색도도에 있어서의 적색, 녹색 및 청색의 각 색도 좌표 3점을 각각 서로 직선으로 이어서 형성되는 삼각형의 면적이 커진다. 이하, 그 이유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적색 화소부(9a)에서는, 색도 x를 크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C.I. 피그먼트 레드 269 단체에서는 작은 색도 x밖에 표시할 수 없지만, 특정의 투과율을 갖는 황색 색재를 조합해서 사용함에 의해, 적색 화소부(9a)로서의 색도 x가 현저히 커진다. 이와 같은 효과는, 예를 들면 일반적인 적색 안료인 C.I. 피그먼트 레드 254에는 보이지 않는 것이고(즉, C.I. 피그먼트 레드 254 단체에서도, C.I. 피그먼트 레드 254와 특정의 투과율을 갖는 황색 색재와의 병용이어도, 적색 화소부의 색도 x는 동정도이고), C.I. 피그먼트 레드 269 특유의 놀라울만한 효과이다. C.I. 피그먼트 레드 254와 황색 색재의 조합에서는, 480㎚ 부근에서 흡수가 겹쳐 버리지만, C.I. 피그먼트 레드 269는, C.I. 피그먼트 레드 254보다도 장파장측에 가파른 흡수를 갖기 때문에, 황색 색재와의 흡수의 겹침이 작고, 보다 넓은 파장역에 효율적으로 적색 화소부에 필요한 흡수를 나타내는 것이 그 이유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C.I. 피그먼트 레드 269와 특정의 황색 색재의 조합에 의하면, C.I. 피그먼트 레드 254와 특정의 황색 색재의 조합에 비해서, 적색 화소부(9a)의 색도 y를 작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녹색 화소부(9b)에 있어서, 특정의 할로겐화프탈로시아닌 안료를 사용함에 의해, 예를 들면 일반적인 녹색 안료인 C.I. 피그먼트 그린 36 등의 할로겐화구리프탈로시아닌 안료에 비해서, 녹색 화소부(9b)로서, 색도 x가 작고, 색도 y가 큰 영역까지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효과는, 녹색 화소부(9b)에 있어서, 특정의 할로겐화프탈로시아닌 안료와, C.I. 피그먼트 옐로 138 등의 황색 색재를 병용한 경우에 현저히 얻어진다. 그리고, 적색 화소부(9a)와 녹색 화소부(9b)를 조합함에 의해, 적색 화소부(9a)의 색도와 녹색 화소부(9b)의 색도가, xy 색도도에 있어서 서로 정반대의 방향으로 고색재현화하면서 백색의 색도 좌표로부터 멀어져 가기 때문에, 상기한 삼각형의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특히, 녹색 화소부(9b)에 있어서, C.I. 피그먼트 그린 59와 상기한 퀴노프탈론 안료를 병용함에 의해, C광원에서 측정한 당해 삼각형의 면적을,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ittee)로 규정되는 삼각형의 면적(=0.1582)보다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컬러필터(9)에 의하면, 색재현성을 높일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거해서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 피그먼트 레드 269의 평가용 조성물]
Clariant사제 C.I. 피그먼트 레드 269 0.55g을, 빅케미샤제 BYK-LPN21116(고형분 : 40질량%) 0.83g,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3.20g과 함께, 0.3∼0.4㎜의 지르콘 비드를 사용하고, 도요세이키가부시키가이샤제 페인트 쉐이커로 2시간 분산해서, 분산액 1을 얻었다. 이 분산액 1에, DIC가부시키가이샤제 유니딕ZL-295(고형분 : 40질량%) 1.46g,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0.84g을 더하고, 페인트 쉐이커로 혼합함으로써 평가용 조성물을 얻었다.
[제조예 2 : 피그먼트 레드 254의 평가용 조성물]
C.I. 피그먼트 레드 269 대신에, BASF사제 C.I. 피그먼트 레드 254를 사용한 것 이외는, 제조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평가용 조성물을 얻었다.
(적색 안료의 투과율의 측정)
제조예 1∼2에서 얻어진 평가용 조성물을 소다 유리 기판 상에 스핀 코트한 후, 90℃에서 3분간 건조하고, 기판 상에 착색막이 형성된 투과율 측정용 샘플을 제작했다. 또, 스핀 코트할 때의 스핀 회전수를 조정함에 의해, 90℃에서 3분간 가열한 후의 착색막의 두께가 1㎛로 되도록 했다. 분광 광도계(가부시키가이샤히타치하이테크사이언스제 U3900)를 사용해서, 측정 영역 : 380∼780㎚, 측정 간격 : 1㎚의 조건에서, 투과율 측정용 샘플의 투과 스펙트럼을 측정했다. 얻어진 투과 스펙트럼으로부터, 440∼470㎚의 투과율의 평균값과, 530∼590㎚의 투과율의 평균값을 산출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pct00012
[제조예 3 : 피그먼트 옐로 139의 평가용 조성물]
C.I. 피그먼트 레드 269 대신에, BASF사제 C.I. 피그먼트 옐로 139를 사용한 것 이외는, 제조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평가용 조성물을 얻었다.
[제조예 4 : 피그먼트 옐로 138의 평가용 조성물]
C.I. 피그먼트 레드 269 대신에, 다이니찌세이카고교가부시키가이샤제 C.I. 피그먼트 옐로 138을 사용한 것 이외는, 제조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평가용 조성물을 얻었다.
[제조예 5 : 피그먼트 옐로 185의 평가용 조성물]
C.I. 피그먼트 레드 269 대신에, BASF사제 C.I. 피그먼트 옐로 185를 사용한 것 이외는, 제조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평가용 조성물을 얻었다.
[제조예 6 : 피그먼트 옐로 129의 평가용 조성물]
C.I. 피그먼트 레드 269 대신에, BASF사제 C.I. 피그먼트 옐로 129를 사용한 것 이외는, 제조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평가용 조성물을 얻었다.
[제조예 7 : 피그먼트 옐로 150의 평가용 조성물]
C.I. 피그먼트 레드 269 대신에, LANXESS사제 C.I. 피그먼트 옐로 150을 사용한 것 이외는, 제조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평가용 조성물을 얻었다.
[제조예 8 : 피그먼트 옐로 151의 평가용 조성물]
C.I. 피그먼트 레드 269 대신에, DIC사제 C.I. 피그먼트 옐로 151을 사용한 것 이외는, 제조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평가용 조성물을 얻었다.
[제조예 9 : 피그먼트 옐로 12의 설폰화 유도체의 평가용 조성물]
일본 특개2014-228682호 공보의 「실시예 2」에 따라서, 「디스아조계 화합물 C2」와 마찬가지로 해서, C.I. 피그먼트 옐로 12의 설폰화 유도체(이하 「피그먼트 옐로 12 유도체」라고도 한다)를 얻었다. C.I. 피그먼트 레드 269 대신에, 얻어진 C.I. 피그먼트 옐로 12의 설폰화 유도체를 사용한 것 이외는, 제조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평가용 조성물을 얻었다.
[제조예 10 : 피그먼트 옐로 109의 평가용 조성물]
C.I. 피그먼트 레드 269 대신에, BASF사제 C.I. 피그먼트 옐로 109를 사용한 것 이외는, 제조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평가용 조성물을 얻었다.
[제조예 11 : 피그먼트 옐로 110의 평가용 조성물]
C.I. 피그먼트 레드 269 대신에, DIC사제 C.I. 피그먼트 옐로 110을 사용한 것 이외는, 제조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평가용 조성물을 얻었다.
(황색 안료의 투과율의 측정)
제조예 1∼2에서 얻어진 적색 안료의 평가용 조성물 대신에, 제조예 3∼11에서 얻어진 황색 색재의 평가용 조성물을 사용한 것 이외는, 적색 안료의 투과율의 측정과 마찬가지로 해서, 각 황색 색재의 투과율을 측정하고, 440∼470㎚의 투과율의 평균값과, 530∼590㎚의 투과율의 평균값을 산출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표 2]
Figure pct00013
[평가예 1∼7]
제조예 1의 평가용 조성물 3.5g과, 제조예 3∼9의 어느 하나의 평가용 조성물 1.5g을 페인트 쉐이커로 혼합함으로써, 착색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각 착색 조성물을 소다 유리 기판 상에 스핀 코트한 후, 90℃에서 3분간 건조하여, 기판 상에 착색막이 형성된 평가용 샘플을 제작했다. 또, 스핀 코트할 때의 스핀 회전수를 조정함에 의해, 90℃에서 3분간 건조한 후의 착색막의 두께가 3㎛로 되도록 했다. 분광 광도계(가부시키가이샤히타치하이테크사이언스제 U3900)를 사용해서, C광원을 사용했을 때의 평가용 샘플의 색도를 측정했다.
[비교평가예 1]
제조예 1의 평가용 조성물과 제조예 3∼9의 어느 하나의 평가용 조성물과의 혼합물 대신에, 제조예 1의 평가용 조성물만을 사용한 것 이외는, 평가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평가용 샘플의 제작 및 색도의 측정을 행했다.
[비교평가예 2∼3]
제조예 3∼9의 어느 하나의 평가용 조성물 대신에, 제조예 10 또는 11의 평가용 조성물을 사용한 것 이외는, 평가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평가용 샘플의 제작 및 색도의 측정을 행했다.
각 평가예 및 비교평가예에 있어서의 적색 안료와 황색 색재와의 조합, 및 색도의 측정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표 3]
Figure pct00014
[비교평가예 4∼13]
제조예 1의 평가용 조성물 대신에, 제조예 2의 평가용 조성물을 사용한 것 이외는, 평가예 1∼7 및 비교평가예 1∼3과 각각 마찬가지로 해서, 평가용 샘플의 제작 및 색도의 측정을 행했다. 각 비교평가예에 있어서의 적색 안료와 황색 색재와의 조합, 및 색도의 측정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표 4]
Figure pct00015
이상과 같이, C.I. 피그먼트 레드 269와, 440∼470㎚에 있어서의 투과율의 평균값이 6% 이하인 황색 색재를 병용함에 의해서, 색도 x를 크게 할 수 있다.
[제조예 12 : 피그먼트 그린 58의 평가용 조성물]
C.I. 피그먼트 레드 269 대신에, DIC사제 C.I. 피그먼트 그린 58(할로겐화아연프탈로시아닌 안료)을 사용한 것 이외는, 제조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평가용 조성물을 얻었다.
[제조예 13 : 피그먼트 그린 59의 평가용 조성물]
C.I. 피그먼트 레드 269 대신에, DIC사제 C.I. 피그먼트 그린 59(할로겐화아연프탈로시아닌 안료)를 사용한 것 이외는, 제조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평가용 조성물을 얻었다.
[제조예 14 : 피그먼트 그린 36의 평가용 조성물]
C.I. 피그먼트 레드 269 대신에, DIC사제 C.I. 피그먼트 그린 36(할로겐화구리프탈로시아닌 안료)을 사용한 것 이외는, 제조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평가용 조성물을 얻었다.
[제조예 15 : 퀴노프탈론 안료 A의 평가용 조성물]
(퀴노프탈론 화합물의 합성)
우선, 이하의 수순에 따라서, 퀴노프탈론 화합물을 합성했다.
플라스크 중에 4,4'-메틸렌비스(2-클로로아닐린) 5.0g(56.1㎜ol), p-클로라닐 27.6g(112㎜ol), 물 150ml, 진한 염산 150ml, n-부탄올 100ml를 첨가하고 95℃에서 30분간 교반했다. 이 혼합물에, n-부탄올 12ml에 용해한 크로톤알데히드 11.8g(168㎜ol)을 적하하고, 1시간 더 교반했다. 온도를 80℃로 낮추고, 염화아연 15.3g(112㎜ol)을 소량씩 더한 후, THF 200ml를 첨가하고 80℃를 유지한 채 1시간 교반했다. 실온까지 방냉한 후, 감압 여과로 황토색 분말을 회수했다. 얻어진 황토색 분말을 THF 200ml로 세정하고, 다시 감압 여과로 황토색 분말을 회수했다. 또한, 얻어진 황토색 분말을 플라스크에 옮기고, 물 200ml와 28% 암모니아수 40ml를 더하고, 실온에서 2시간 교반했다. 감압 여과로 분말을 회수하여, 20.3g의 조생성물(粗生成物)을 얻었다. 얻어진 조생성물을 톨루엔에 용해하고 불용물을 여과에 의해 제거한 후에 재결정해서 중간체(4) 12.6g을 얻었다(수율 : 61%).
Figure pct00016
1H-NMR(CDCl3)δppm : 2.81(s, 6H), 4.24(s, 2H), 7.34(d, J=8.0Hz, 2H), 7.49(s, 2H), 7.67(s, 2H), 7.99(d, J=8.8Hz, 2H)
13C-NMR(CDCl3)δppm : 25.8, 41.1, 123.2, 126.2, 127.8, 130.9, 133.1, 136.3, 137.6, 143.1, 160.0
FT-IR ㎝-1 : 3435, 3054, 3030, 2915, 1603, 1487, 1206
FD-MS : 366M+
계속해서, 플라스크 중에 중간체(4) 4.15g(11.3㎜ol)과 진한 황산 7.55mL를 더하고, 45℃에서 20분간 교반했다. 그 후, 발연 질산 1.62mL를 적하하고, 온도를 유지하며 1시간 교반을 계속했다. 방냉 후, 빙수 250mL를 계 중에 천천히 부었다. 또한, 10wt%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해서, pH를 8∼9로 조정했다. 석출한 분말을 감압 여과로 회수하고, 증류수 200mL, 에탄올 100mL로 세정함으로써, 중간체(5) 4.86g(10.6㎜ol)을 얻었다(수율 : 94%).
Figure pct00017
1H-NMR(CDCl3)δppm : 2.86(s, 6H), 4.27(s, 2H), 7.56(d, J=8.8Hz, 2H), 7.62(s, 2H), 8.08(d, J=8.8Hz, 2H)
13C-NMR(CDCl3)δppm : 25.7, 32.4, 119.9, 125.6, 127.5, 130.1, 131.1, 137.3, 143.1, 145.9, 162.2
FT-IR ㎝-1 : 3465, 1604, 1530, 1487, 1362
계속해서, 플라스크 중에 중간체(5) 5.00g(10.9㎜ol)과 에탄올 23.3mL를 더하고, 실온에서 10분간 교반했다. 그 후, 환원철 4.88g(87.4㎜ol)을 계 중에 더하고, 실온에서 10분간 더 교반했다. 계속해서, 진한 염산 6.33mL를 적하하고, 온도를 80℃로 승온하고, 6시간 교반을 계속했다. 방냉 후, 증류수 150mL에 붓고, 1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해서, pH를 9로 조정했다. 석출한 분말을 감압 여과로 회수했다. 또한, 회수한 분말을 아세트산에틸 700mL 중에서 충분히 교반시키고, 감압 여과를 행했다. 거기서 얻어진 여과액의 용매를 감압 증류 제거함으로써, 황토색 분말인 중간체(6) 3.64g(9.16㎜ol)을 얻었다(수율 : 84%).
Figure pct00018
1H-NMR(CDCl3)δppm : 2.65(s, 6H), 3.97(s, 2H), 5.92(s, 4H), 7.32(s, 2H), 7.38(d, J=8.8Hz, 2H), 8.59(d, J=8.8Hz, 2H)
13C-NMR(CDCl3)δppm : 25.4, 31.9, 116.8, 117.7, 117.9, 121.0, 131.8, 132.2, 142.0, 143.1, 158.9
FT-IR ㎝-1 : 3476, 3373, 1627, 1605, 1409, 1359, 1250
계속해서, 질소 분위기 하, 플라스크 중에 벤조산 14.1g(116㎜ol)을 칭량하고, 140℃에서 용융시켰다. 거기에, 중간체(6) 1.44g(3.62㎜ol)과 테트라클로로프탈산무수물 5.53g(19.3㎜ol)을 더하고, 220℃에서 4시간 교반했다. 방냉 후, 반응 용액에 아세톤 300mL를 더하고, 1시간 교반한 후, 감압 여과로 황색 분말인 목적물(7)을 4.52g(3.08㎜ol) 얻었다(수율 : 85%).
Figure pct00019
FT-IR ㎝-1 : 3449, 1727, 1622, 1536, 1410, 1363, 1308, 1192, 1112, 737
FD-MS : 1467M+
(퀴노프탈론 화합물의 안료화)
얻어진 퀴노프탈론 이량체(7) 5질량부, 분쇄한 염화나트륨 50질량부, 디에틸렌글리콜 8질량부를 쌍완형 니더에 투입하고, 80℃에서 8시간 혼련(混練)했다. 혼련 후, 혼합물을 80℃의 물 6000질량부에 취출하고, 1시간 교반 후, 여과, 탕세, 건조, 분쇄함에 의해, 황색 안료인 퀴노프탈론 안료 A를 얻었다. 니혼덴시샤제 투과 전자현미경 JEM-2010으로 얻어진 퀴노프탈론 안료 A를 촬영했다. 이차화상 상의 응집체를 구성하는 일차입자 40개에 대하여 긴 쪽의 직경(장경)과 짧은 쪽의 직경(단경)의 평균값으로부터 평균 아스펙트비를 산출하고, 장경의 평균값을 평균 일차입자경으로 했다. 평균 아스펙트비는 3.00 미만이었다. 평균 일차입자경은 100㎚ 이하였다.
(평가용 조성물의 조제)
C.I. 피그먼트 레드 269 대신에, 얻어진 퀴노프탈론 안료 A를 사용한 것 이외는, 제조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평가용 조성물을 얻었다.
[제조예 16 : 퀴노프탈론 안료 B의 평가용 조성물]
(퀴노프탈론 화합물의 합성)
우선, 이하의 수순에 따라서, 퀴노프탈론 화합물을 합성했다.
플라스크 중에 진한 황산 55g을 투입하고, 빙냉 하에 교반하면서 문헌(Polymer, volume39, No.20(1998), p4949) 기재의 방법으로 얻어지는 6,6'-메틸렌디퀴날딘 7.0g(23.5㎜ol)을 첨가했다. 10℃ 이하를 유지하면서 60% 질산 6.1g을 적하하고, 10℃ 내지 20℃에서 1시간 교반을 계속했다. 반응액을 빙수 150ml에 붓고, 20wt%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해서 pH3으로 조정했다. 석출한 분말을 감압 여과로 회수하고, 물로 중성까지 세정했다. 얻어진 고체를 70℃에서 송풍 건조한 후, 조생성물을 열아세트산에틸 100ml, 이어서 열톨루엔 60ml로 세정 여과하여, 중간체(8) 6.52g(16.8㎜ol)을 얻었다(수율 : 72%).
Figure pct00020
1H-NMR(DMSO-d6)δppm : 2.70(s, 6H), 4.42(s, 2H), 7.58(d, J=8.8Hz, 2H), 7.63(d, J=8.8Hz, 2H), 8.09(d, J=8.8Hz, 2H), 8.13(d,J=8.8Hz, 2H)
13C-NMR(DMSO-d6)δppm : 24.5, 32.0, 117.7, 124.8, 127.5, 129.8, 130.5, 131.9, 145.8, 146.2, 160.7
FT-IR(KBr disk)㎝-1 : 3048, 1602, 1520, 1494, 1363
계속해서, 플라스크 중에 환원철 5.30g, 아세트산 135ml를 투입하고 교반하면서 50℃로 가열했다. 이어서 중간체(8) 4.50g(11.6㎜ol)을 70℃ 이하로 유지하도록 첨가했다. 첨가 종료 후 60℃에서 1hr 교반을 계속한 후, 반응액을 35℃ 이하로 냉각하고, 빙수 500ml에 붓고, 20% NaOH수로 pH9로 조제했다. 생성한 침전물을 셀라이트 상에서 감압 여과했다. 고형물을 회수하고, 70℃에서 송풍 건조 후, 디메틸설폭시드(DMSO) 100ml와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100ml의 혼합 용매에 더하고, 90℃에서 1hr 교반했다. 혼합물을 셀라이트 상에서 감압 여과하여, 얻어진 여과액을 물 1L에 교반하면서 더했다. 생성한 침전물을 감압 여과로 회수하고, 수세해서 중간체(9) 3.80g(11.6㎜ol)을 얻었다(수율 : >99%).
Figure pct00021
1H-NMR(DMSO-d6)δppm : 2.57(s, 6H), 3.45(s, 2H), 5.66(s, 4H), 7.06(d, J=8.2Hz, 2H), 7.16(d, J=8.2Hz, 2H), 7.23(d, J=8.2Hz, 2H), 8.49(d, J=8.2Hz, 2H)
13C-NMR(DMSO-d6)δppm : 24.6, 32.1, 115.8, 116.2, 119.5, 130.9, 131.8, 141.5, 147.4, 157.0
FT-IR(KBr disk)㎝-1 : 3464, 3363, 3315, 3192, 1640, 1591, 1573, 1415, 1365, 801
계속해서, 질소 분위기 하, 플라스크 중에 벤조산 135g을 칭량하고, 140℃에서 용융시켰다. 거기에, 중간체(9) 3.80g(11.6㎜ol)과 테트라클로로프탈산무수물 17.99g(62.9㎜ol), 무수염화아연 0.49g(3.6㎜ol)을 더하고, 220℃에서 6시간 교반했다. 반응 혼합물을 120℃로 냉각 후, 클로로벤젠 300mL를 더하여 1시간 교반하고, 감압 여과로 황색 분말인 목적물(10)을 10.5g(7.5㎜ol) 얻었다(수율 : 65%).
Figure pct00022
FT-IR ㎝-1 : 1788, 1729, 1688, 1638, 1607, 1537, 1420, 1310, 732
FD-MS : 1400M+
(퀴노프탈론 화합물의 안료화)
퀴노프탈론 이량체(7) 대신에, 퀴노프탈론 이량체(10)를 사용한 것 이외는, 제조예 14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안료화를 행하여, 퀴노프탈론 안료 B를 얻었다. 얻어진 퀴노프탈론 안료 B의 평균 아스펙트비는 3.00 미만이고, 평균 일차입자경은 100㎚ 이하였다.
(평가용 조성물의 조제)
C.I. 피그먼트 레드 269 대신에, 얻어진 퀴노프탈론 안료 B를 사용한 것 이외는, 제조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평가용 조성물을 얻었다.
[제조예 17 : 피그먼트 블루 15:6의 평가용 조성물]
C.I. 피그먼트 레드 269 대신에, DIC사제 C.I. 피그먼트 블루 15:6을 사용한 것 이외는, 제조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평가용 조성물을 얻었다.
[제조예 18 : 염료 A의 평가용 조성물]
일본 특개2010-254964호 공보의 「합성예 6 : 염료 A6의 합성」에 따라서, 잔텐계 염료인 염료 A를 합성했다. C.I. 피그먼트 레드 269 대신에, 얻어진 염료 A를 사용한 것 이외는, 제조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평가용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1-1]
(적색 착색막의 제작)
제조예 1의 피그먼트 레드 269의 평가용 조성물과 제조예 3의 피그먼트 옐로 139의 평가용 조성물을, 피그먼트 레드 269/피그먼트 옐로 139의 배합 비율(질량비)이 7/3으로 되도록, 페인트 쉐이커로 혼합함으로써, 착색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착색 조성물을 사용해서, 소다 유리 기판 상에 스핀 코트한 후, 90℃에서 3분간 건조하여, 기판 상에 적색 착색막이 형성된 평가용 샘플을 제작했다. 또, 스핀 코트할 때의 스핀 회전수를 조정함에 의해, 90℃에서 3분간 건조한 후의 착색막의 두께가 3㎛로 되도록 했다. 분광 광도계(가부시키가이샤히타치하이테크사이언스제 U3900)를 사용해서, C광원을 사용했을 때의 평가용 샘플의 색도를 측정했다.
(녹색 착색막의 제작)
제조예 1의 피그먼트 레드 269의 평가용 조성물과 제조예 3의 피그먼트 옐로 139의 평가용 조성물을 혼합하는 대신에, 제조예 12의 피그먼트 그린 59의 평가용 조성물과 제조예 4의 피그먼트 옐로 138의 평가용 조성물을, 피그먼트 그린 59/피그먼트 옐로 138의 배합 비율(질량비)이 6/4로 되도록 혼합한 것 이외는, 적색 착색막의 평가용 샘플과 마찬가지로 해서, 기판 상에 녹색 착색막이 형성된 평가용 샘플을 제작하고, 평가용 샘플의 색도를 측정했다.
(청색 착색막의 제작)
제조예 1의 피그먼트 레드 269의 평가용 조성물과 제조예 3의 피그먼트 옐로 139의 평가용 조성물을 혼합하는 대신에, 제조예 17의 피그먼트 블루 15:6의 평가용 조성물과 제조예 18의 염료 A의 평가용 조성물을, 피그먼트 블루 15:6/염료 A의 배합 비율이 4/6으로 되도록 혼합한 것 이외는, 적색 착색막의 평가용 샘플과 마찬가지로 해서, 기판 상에 청색 착색막이 형성된 평가용 샘플을 제작하고, 평가용 샘플의 색도를 측정했다.
(색재현성의 평가)
얻어진 적색 착색막, 녹색 착색막 및 청색 착색막의 xy 색도도 상에서의 색도 좌표 3점을 각각 서로 직선으로 잇고, 당해 직선에 의해 형성되는 삼각형의 면적을 계산했다. 산출된 삼각형의 면적을 표 5에 나타낸다. 또한, 표 5에는, NTSC로 규정되는 삼각형의 면적(=0.1582)에 대한 얻어진 삼각형의 면적의 비(NTSC비)도 아울러서 나타낸다. 삼각형의 면적 및 NTSC비가 클수록, 색재현성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1-2∼1-7 및 비교예 1-1∼1-2]
적색 착색막의 제작에 있어서, 제조예 3의 피그먼트 옐로 139의 평가용 조성물 대신에, 제조예 4∼11의 각 황색 색재의 평가용 조성물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1과 마찬가지로 해서, 평가용 샘플의 제작 및 색도의 측정을 행하고, 또한, 색재현성의 평가를 행했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비교예 1-3]
적색 착색막의 제작에 있어서, 제조예 1의 피그먼트 레드 269의 평가용 조성물 대신에, 제조예 2의 피그먼트 레드 254의 평가용 조성물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1과 마찬가지로 해서, 평가용 샘플의 제작 및 색도의 측정을 행하고, 또한, 색재현성의 평가를 행했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표 5]
Figure pct00023
[실시예 2-1∼2-7 및 비교예 2-1∼2-2]
녹색 착색막의 제작에 있어서, 제조예 13의 피그먼트 그린 59의 평가용 조성물과 제조예 4의 피그먼트 옐로 138의 평가용 조성물을 혼합하는 대신에, 제조예 12의 피그먼트 그린 58의 평가용 조성물과 제조예 15의 퀴노프탈론 안료 A의 평가용 조성물을, 피그먼트 그린 58/퀴노프탈론 안료 A의 배합 비율(질량비)이 8/2로 되도록 혼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1∼1-7 및 비교예 1-1∼1-2와 각각 마찬가지로 해서, 평가용 샘플의 제작 및 색도의 측정을 행하고, 또한, 색재현성의 평가를 행했다.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표 6]
Figure pct00024
[실시예 3-1∼3-7 및 비교예 3-1∼3-2]
녹색 착색막의 제작에 있어서, 제조예 13의 피그먼트 그린 59의 평가용 조성물과 제조예 4의 피그먼트 옐로 138의 평가용 조성물을 혼합하는 대신에, 제조예 13의 피그먼트 그린 59의 평가용 조성물과 제조예 15의 퀴노프탈론 안료 A의 평가용 조성물을, 피그먼트 그린 58/퀴노프탈론 안료 A의 배합 비율(질량비)이 7/3으로 되도록 혼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1∼1-7 및 비교예 1-1∼1-2와 각각 마찬가지로 해서, 평가용 샘플의 제작 및 색도의 측정을 행하고, 또한, 색재현성의 평가를 행했다. 결과를 표 7에 나타낸다.
[표 7]
Figure pct00025
[실시예 4-1∼4-7 및 비교예 4-1∼4-2]
녹색 착색막의 제작에 있어서, 제조예 13의 피그먼트 그린 59의 평가용 조성물과 제조예 4의 피그먼트 옐로 138의 평가용 조성물을 혼합하는 대신에, 제조예 12의 피그먼트 그린 58의 평가용 조성물과 제조예 16의 퀴노프탈론 안료 B의 평가용 조성물을, 피그먼트 그린 58/퀴노프탈론 안료 B의 배합 비율(질량비)이 8/2로 되도록 혼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1∼1-7 및 비교예 1-1∼1-2와 각각 마찬가지로 해서, 평가용 샘플의 제작 및 색도의 측정을 행하고, 또한, 색재현성의 평가를 행했다. 결과를 표 8에 나타낸다.
[표 8]
Figure pct00026
[실시예 5-1∼5-7 및 비교예 5-1∼5-2]
녹색 착색막의 제작에 있어서, 제조예 13의 피그먼트 그린 59의 평가용 조성물과 제조예 4의 피그먼트 옐로 138의 평가용 조성물을 혼합하는 대신에, 제조예 13의 피그먼트 그린 59의 평가용 조성물과 제조예 16의 퀴노프탈론 안료 B의 평가용 조성물을, 피그먼트 그린 59/퀴노프탈론 안료 B의 배합 비율(질량비)이 7/3으로 되도록 혼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1∼1-7 및 비교예 1-1∼1-2와 각각 마찬가지로 해서, 평가용 샘플의 제작 및 색도의 측정을 행하고, 또한, 색재현성의 평가를 행했다. 결과를 표 9에 나타낸다.
[표 9]
Figure pct00027
[비교예 6-1∼6-10]
녹색 착색막의 제작에 있어서, 제조예 13의 피그먼트 그린 59의 평가용 조성물과 제조예 4의 피그먼트 옐로 138의 평가용 조성물을 혼합하는 대신에, 제조예 14의 피그먼트 그린 36의 평가용 조성물과 제조예 4의 피그먼트 옐로 138의 평가용 조성물을, 피그먼트 그린 36/피그먼트 옐로 138의 배합 비율(질량비)이 8/2로 되도록 혼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1∼1-7 및 비교예 1-1∼1-3과 각각 마찬가지로 해서, 평가용 샘플의 제작 및 색도의 측정을 행하고, 또한, 색재현성의 평가를 행했다. 결과를 표 10에 나타낸다.
[표 10]
Figure pct00028
이상과 같이, 적색 화소부에 있어서, 피그먼트 레드 269와, 440∼470㎚에 있어서의 투과율의 평균값이 6% 이하인 황색 색재를 병용하며, 또한, 녹색 화소부에 있어서, 특정의 할로겐화프탈로시아닌 안료를 사용함에 의해서, xy 색도도에 있어서의 삼각형의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즉, 높은 색재현성이 얻어진다). 이와 같은 효과는, 특정의 할로겐화프탈로시아닌 안료로서 피그먼트 그린 59를 사용했을 경우에, 특히 현저히 얻어진다.
[실시예 7-1]
<컬러필터의 제작>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조제)
중합조 중에, 메타크릴산메틸(MMA)을 63질량부, 아크릴산(AA)을 12질량부, 메타크릴산-2-히드록시에틸(HEMA)을 6질량부,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DMDG)를 88질량부 투입하고,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을 7질량부 첨가하고, 균일하게 용해시켰다. 그 후, 질소 기류 하, 85℃에서 2시간 교반하고, 100℃에서 1시간 더 반응시켰다. 얻어진 용액에, 메타크릴산글리시딜(GMA)을 7질량부, 트리에틸아민을 0.4질량부, 및 하이드로퀴논을 0.2질량부 더 첨가하고, 100℃에서 5시간 교반하고, 공중합 수지 용액(고형분 : 50질량%)을 얻었다.
다음으로, 하기의 재료를 실온에서 교반, 혼합해서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조제했다.
·상기 공중합 수지 용액(고형분 : 50질량%) : 16질량부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사토마샤 SR399) : 24질량부
·오르토크레졸노볼락형 에폭시 수지(유카셸에폭시샤 에피코트180S70) : 4질량부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 4질량부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 52질량부
(차광부의 형성)
우선, 하기 조성으로 각 성분을 혼합하고, 샌드 밀로 충분히 분산하여, 흑색 안료 분산액을 조제했다.
·흑색 안료(미쓰비시케미컬샤제 #2600) : 20질량부
·고분자 분산재(빅케미·재팬가부시키가이샤제 Disperbyk 111) : 16질량부
·용제(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 64질량부
다음으로, 하기 조성으로 각 성분을 충분히 혼합해서, 차광부용 착색 조성물을 얻었다.
·상기 흑색 안료 분산액 : 50질량부
·상기 경화성 수지 조성물 : 20질량부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 30질량부
기판 상에 상기 차광부용 착색 조성물을 스핀 코터로 도포하고, 100℃에서 3분간 건조시켜서 층을 형성했다. 이 층을, 초고압 수은 램프로 포토 마스크 사용해서 차광 패턴에 노광한 후, 0.05wt% 수산화칼륨 수용액으로 현상하고, 그 후, 기판을 230℃의 분위기 하에 30분간 방치함에 의해 가열 처리를 실시해서, 차광부(블랙 매트릭스)를 형성했다.
(적색 화소부(RCF)의 형성)
제조예 1의 피그먼트 레드 269의 평가용 조성물과 제조예 3의 피그먼트 옐로 139의 평가용 조성물을, 피그먼트 레드 269/피그먼트 옐로 139의 배합 비율(질량비)이 21/79로 되도록 혼합한 혼합물 10g, 경화성 수지 조성물 3.19g,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1.83g을, 페인트 쉐이커로 혼합함으로써, 감광성 착색 조성물을 얻었다. 이 감광성 착색 조성물을 스핀 코팅법에 의해 도포해서, 도포막을 형성했다. 그 후, 상기 도포막을 90℃의 오븐 중에서 3분간 건조시켰다. 이어서, 도포막으로부터 100㎛의 거리에 포토 마스크를 배치하고, 프록시미티 얼라이너에 의해, 2.0kW의 초고압 수은 램프를 사용해서, 차광부의 형성 영역에 상당하는 영역에만 자외선을 10초간 조사했다. 이어서, 0.05질량% 수산화칼륨 수용액(액온 23℃) 중에 1분간 침지해서 알칼리 현상하고, 도포막의 미경화 부분만을 제거해서, RCF를 얻었다.
또, 피그먼트 레드 269/피그먼트 옐로 139의 배합 비율 및 화소부(도포막)의 막두께는, 백색 LED 광원(니찌아가가쿠고교가부시키가이샤제, NSSW304F-HG, 이하 「광원 A」라고도 한다)을 사용했을 때에, 화소부의 색도(현미 분광 광도계를 사용해서 측정)가 DCI-P3 규격의 (x, y)=(0.680, 0.320)으로 되며, 또한 화소부의 휘도 Y가 최대로 되도록 결정했다. 화소부(도포막)의 막두께는, 스핀 코트 시의 스핀 회전수를 조정함에 의해 조정했다.
(녹색 화소부(GCF)의 형성)
제조예 1의 피그먼트 레드 269의 평가용 조성물과 제조예 3의 피그먼트 옐로 139의 평가용 조성물을 혼합하는 대신에, 제조예 13의 피그먼트 그린 59의 평가용 조성물과 제조예 15의 퀴노프탈론 안료 A의 평가용 조성물을, 피그먼트 그린 59/퀴노프탈론 안료 A의 배합 비율(질량비)이 56/44로 되도록 혼합한 것 이외는, RCF와 마찬가지로 해서 GCF를 얻었다. 또, RCF와 마찬가지로, 피그먼트 그린 59/퀴노프탈론 안료 A의 배합 비율 및 화소부(도포막)의 막두께는, 광원 A를 사용했을 때에, 화소부의 색도가 (x, y)=(0.265, 0.690)으로 되며, 또한 화소부의 휘도 Y가 최대로 되도록 결정했다.
(청색 화소부(BCF)의 형성)
제조예 1의 피그먼트 레드 269의 평가용 조성물과 제조예 3의 피그먼트 옐로 139의 평가용 조성물을 혼합하는 대신에, 제조예 17의 피그먼트 블루 15:6의 평가용 조성물과 제조예 18의 염료 A의 평가용 조성물을, 피그먼트 블루 15:6/염료 A의 배합 비율(질량비)이 94/6으로 되도록 혼합한 것 이외는, RCF와 마찬가지로 해서 BCF를 얻었다. 또, RCF와 마찬가지로, 피그먼트 블루 15:6/염료 A의 배합 비율 및 화소부(도포막)의 막두께는, 광원 A를 사용했을 때에, 화소부의 색도가 DCI-P3 규격의 (x, y)=(0.150, 0.060)으로 되며, 또한 화소부의 휘도 Y가 최대로 되도록 결정했다.
이상과 같이 해서, 적색, 녹색 및 청색의 각색 화소부를 구비하는 컬러필터를 얻었다. 또, 광원 A를 사용하여, 각색 화소부의 가법 혼색에 의해 산출되는 색도가 DCI-P3 규격의 (x, y)=(0.3140, 0.3510)으로 되도록, 각색 화소부의 면적을 미조정했다.
<화소부의 막두께의 측정>
얻어진 각색 화소부의 두께를 가부시키가이샤히타치하이테크사이언스제의 백색 간섭 현미경 VS1330으로 측정했다. 결과를 표 11에 나타낸다.
<표시 장치의 구조 및 백색의 휘도 Y의 산출>
한 쌍의 기판의 각각에 배향막을 형성하고, 당해 한 쌍의 기판 간에 액정 조성물을 적하해서 첩합하여, 기판 간에 액정층을 형성했다. 한쪽의 기판측에 상기에서 얻어진 컬러필터를 더 첩합해서 표시부를 얻었다. 또한, 구동 기판이 마련된 케이싱에 복수의 광원 A를 부착해서 백라이트부를 얻었다. 상기 표시부의 컬러필터와 반대측과 백라이트의 발광측을 대향시켜서 배치함에 의해, 평가용 표시 장치를 얻었다. 이 평가용 표시 장치에 있어서, 각색 화소부의 휘도 Y의 가법 혼색에 의해 백색의 휘도 Y를 산출했다. 결과를 표 11에 나타낸다.
[실시예 7-2 및 비교예 7-1∼7-2]
RCF의 형성에 있어서, 제조예 1의 피그먼트 레드 269의 평가용 조성물과 표 11에 나타내는 황색 색재(황색 안료)의 평가용 조성물(조제 방법은 상기 제조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을, 표 11에 나타내는 배합 비율(피그먼트 레드 269/황색 색재(질량비))로 되도록 혼합하고, 또한, GCF의 형성에 있어서, 표 11에 나타내는 녹색 색재(녹색 안료)의 평가용 조성물(조제 방법은 상기 제조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과 제조예 5의 피그먼트 옐로 185의 평가용 조성물을, 표 11에 나타내는 배합 비율(녹색 색재/피그먼트 옐로 185(질량비))로 되도록 혼합한 것 이외는, 실시예 7-1과 마찬가지로 해서, 컬러필터의 제작, 화소부의 막두께의 측정, 표시 장치의 구조 및 백색의 휘도 Y의 산출을 행했다. 결과를 표 11에 나타낸다.
[실시예 8-1 및 비교예 8-1∼8-3]
광원으로서 백색 LED 광원(니찌아가가쿠고교가부시키가이샤제, NSSW157F, 이하 「광원 B」라고도 한다)을 사용하고, RCF의 형성에 있어서, 제조예 1 또는 2의 피그먼트 레드 269 또는 피그먼트 레드 254의 평가용 조성물과 표 12에 나타내는 황색 색재(황색 안료)의 평가용 조성물(조제 방법은 상기 제조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을, 표 12에 나타내는 배합 비율(피그먼트 레드 269 또는 254/황색 색재(질량비))로 되도록 혼합하고, 또한, GCF의 형성에 있어서, 표 12에 나타내는 녹색 색재(녹색 안료)의 평가용 조성물(조제 방법은 상기 제조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과 제조예 5의 피그먼트 옐로 185의 평가용 조성물을, 표 12에 나타내는 배합 비율(녹색 색재/피그먼트 옐로 185(질량비))로 되도록 혼합한 것 이외는, 실시예 7-1과 마찬가지로 해서, 컬러필터의 제작, 화소부의 막두께의 측정, 표시 장치의 구조 및 백색의 휘도 Y의 산출을 행했다. 결과를 표 12에 나타낸다. 또, 표 12 중, 원하는 색도로 조색할 수 없었던 경우는, 배합 비율 및 막두께의 란에 「조색 불가」로 기재하고 있다.
[실시예 9-1∼9-10 및 비교예 9-1]
각색 화소부의 색도 및 백색의 색도가 sRGB 규격으로 되도록 설계하고, RCF의 형성에 있어서, 제조예 1의 피그먼트 레드 269의 평가용 조성물과 표 13에 나타내는 황색 색재(황색 안료)의 평가용 조성물(조제 방법은 상기 제조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을, 표 13에 나타내는 배합 비율(피그먼트 레드 269/황색 색재(질량비))로 되도록 혼합하고, 또한, GCF의 형성에 있어서, 표 13에 나타내는 녹색 색재(녹색 안료)의 평가용 조성물(조제 방법은 상기 제조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과 표 13에 나타내는 황색 색재(황색 안료)의 평가용 조성물(조제 방법은 상기 제조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을, 표 13에 나타내는 배합 비율(녹색 색재/황색 색재(질량비))로 되도록 혼합한 것 이외는, 실시예 7-1과 마찬가지로 해서, 컬러필터의 제작, 화소부의 막두께의 측정, 표시 장치의 구조 및 백색의 휘도 Y의 산출을 행했다. 결과를 표 13에 나타낸다. 또, sRGB 규격에 따른 각색 화소부의 색도 및 백색의 색도는, 이하와 같다.
적색 (x, y)=(0.640, 0.330)
녹색 (x, y)=(0.300, 0.600)
청색 (x, y)=(0.150, 0.060)
백색 (x, y)=(0.3127, 0.3290)
[실시예 10-1∼10-3 및 비교예 10-1∼10-3]
광원으로서 광원 B를 사용하고, 각색 화소부의 색도 및 백색의 색도가 sRGB 규격으로 되도록 설계하고, RCF의 형성에 있어서, 제조예 1 또는 2의 피그먼트 레드 269 또는 피그먼트 레드 254의 평가용 조성물과 표 14에 나타내는 황색 색재(황색 안료)의 평가용 조성물(조제 방법은 상기 제조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을, 표 14에 나타내는 배합 비율(피그먼트 레드 269 또는 254/황색 색재(질량비))로 되도록 혼합하고, 또한, GCF의 형성에 있어서, 표 14에 나타내는 녹색 색재(녹색 안료)의 평가용 조성물(조제 방법은 상기 제조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과 제조예 4의 피그먼트 옐로 138의 평가용 조성물을, 표 14에 나타내는 배합 비율(녹색 색재/피그먼트 옐로 138(질량비))로 되도록 혼합한 것 이외는, 실시예 7-1과 마찬가지로 해서, 컬러필터의 제작, 화소부의 막두께의 측정, 표시 장치의 구조 및 백색의 휘도 Y의 산출을 행했다. 결과를 표 14에 나타낸다. 또, 표 14 중, 원하는 색도로 조색할 수 없었던 경우는, 배합 비율 및 막두께의 란에 「조색 불가」로 기재하고 있다.
[표 11]
Figure pct00029
[표 12]
Figure pct00030
[표 13]
Figure pct00031
[표 14]
Figure pct00032
이상과 같이, 적색 화소부에 있어서, 피그먼트 레드 269와, 440∼470㎚에 있어서의 투과율의 평균값이 6% 이하인 황색 색재를 병용하며, 또한, 녹색 화소부에 있어서, 특정의 할로겐화프탈로시아닌 안료를 사용함에 의해서, DCI-P3 규격 및 sRGB 규격에 있어서 휘도가 높아지도록 설계한 경우에도, 적색 화소부 및 녹색 화소부의 막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효과는, 특정의 할로겐화프탈로시아닌 안료로서 피그먼트 그린 59를 사용했을 경우에, 특히 현저히 얻어진다.
1 : 액정 표시 장치(표시 장치)
2 : 광원
3 : 제1 편광층
4 : 제1 기판
5 : 제1 전극
6 : 액정층
7 : 제2 전극
8 : 제2 편광층
9 : 컬러필터
10 : 제2 기판
L : 광원으로부터의 광

Claims (4)

  1. C.I. 피그먼트 레드 269와, 440∼470㎚에 있어서의 투과율의 평균값이 6% 이하인 황색 색재를 포함하는 적색 화소부와,
    할로겐화아연프탈로시아닌 안료 및 할로겐화알루미늄프탈로시아닌 안료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녹색 화소부를 구비하는 컬러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황색 색재가, C.I. 피그먼트 옐로 129, C.I. 피그먼트 옐로 138, C.I. 피그먼트 옐로 139, C.I. 피그먼트 옐로 150, C.I. 피그먼트 옐로 151, C.I. 피그먼트 옐로 185 및 C.I. 피그먼트 옐로 12의 설폰화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컬러필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녹색 화소부가, C.I. 피그먼트 그린 58 및 C.I. 피그먼트 그린 59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할로겐화아연프탈로시아닌 안료를 포함하는, 컬러필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녹색 화소부가, 하기 식(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컬러필터.
    Figure pct00033

    [식(1) 중, X1∼X16은 각각 독립으로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이고, Y1 및 Y2는 각각 독립으로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이고, Z는 탄소수 1∼3의 알킬렌기이다]
KR1020207034845A 2018-08-31 2019-08-21 컬러필터 KR202100523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63702 2018-08-31
JPJP-P-2018-163702 2018-08-31
PCT/JP2019/032699 WO2020045198A1 (ja) 2018-08-31 2019-08-21 カラーフィル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2387A true KR20210052387A (ko) 2021-05-10

Family

ID=69644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4845A KR20210052387A (ko) 2018-08-31 2019-08-21 컬러필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753556B2 (ko)
KR (1) KR20210052387A (ko)
CN (1) CN112424651B (ko)
WO (1) WO202004519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0708A (ja) 1995-03-01 1996-09-17 Toshiba Corp カラーフィルターおよび色表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53183A (ja) * 2010-08-31 2012-03-15 Dainippon Printing Co Ltd カラーフィルタ及び表示装置
JP2016114940A (ja) * 2014-12-12 2016-06-23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用着色組成物及びカラーフィルタ
JP2017116767A (ja) * 2015-12-25 2017-06-29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感光性着色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および有機el表示装置
JP2017167389A (ja) * 2016-03-17 2017-09-21 凸版印刷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8087956A (ja) * 2016-04-26 2018-06-07 Jsr株式会社 着色硬化膜の製造方法及びカラーフィルタの画素パターンの形成方法
JP2017201003A (ja) * 2016-04-28 2017-11-09 Jsr株式会社 着色組成物、着色硬化膜、カラーフィルタ、表示素子及び固体撮像素子
KR102475604B1 (ko) * 2016-08-25 2022-12-0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컬러필터 및 화상표시장치
JP6984123B2 (ja) * 2016-12-21 2021-12-17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用感光性着色組成物及びカラーフィルタ
JP6812872B2 (ja) * 2017-03-27 2021-01-13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有機el表示装置用緑色感光性着色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および有機el表示装置
JP6979254B2 (ja) * 2018-06-05 2021-12-08 東洋ビジュア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顔料分散剤、顔料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用着色組成物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
JP7354669B2 (ja) * 2018-08-31 2023-10-03 Dic株式会社 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0708A (ja) 1995-03-01 1996-09-17 Toshiba Corp カラーフィルターおよび色表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53556B2 (ja) 2020-09-09
CN112424651B (zh) 2023-02-21
WO2020045198A1 (ja) 2020-03-05
CN112424651A (zh) 2021-02-26
JPWO2020045198A1 (ja) 2020-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13186B (zh) 著色樹脂組成物,彩色濾光片,液晶顯示裝置及有機el顯示裝置
US10988619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rhodamine dye oligomer, solid color material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7047679B2 (ja) 顔料組成物、着色組成物及びカラーフィルタ
TWI739903B (zh) 著色樹脂組合物、硬化物及圖像顯示裝置
CN108602838A (zh) 化合物和包含其的色彩转换膜
KR20140122183A (ko) 착색 조성물, 착색 경화막 및 표시 소자
JP4539477B2 (ja) カラーフィルタ用顔料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カラーフィルタ
JP7354669B2 (ja) 表示装置
TWI655249B (zh) 著色組成物及其製造方法、著色硬化膜及顯示元件
WO2020045197A1 (ja) 顔料組成物、着色組成物及びカラーフィルタ
JP2020033521A (ja) 顔料組成物、着色組成物及びカラーフィルタ
JP2020033523A (ja) 顔料組成物、着色組成物及びカラーフィルタ
KR20210052387A (ko) 컬러필터
JP6179075B2 (ja) カラーフィルタ用赤色顔料分散液及びその製造方法、カラーフィルタ用赤色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カラーフィルタ、並びに、液晶表示装置及び有機発光表示装置
TW201207046A (en) Triarylmethane colorant, colored composition, color filter and display element
JP2020033522A (ja) 顔料組成物、着色組成物及びカラーフィルタ
WO2018186181A1 (ja) 遮光性顔料組成物及びディスプレイ用遮光性部材
JP7028388B1 (ja) カラーフィルタ及び表示装置
TW202134353A (zh) 四氮雜卟啉化合物、墨水組合物、膜、光學材料、光學膜、顯示器表面膜、及顯示裝置
KR102385559B1 (ko) 청색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 컬러 필터 및 표시 장치
JP2021105175A (ja) ハロゲン化フタロシアニン色材、色材液、着色硬化性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及び表示装置
WO2022080003A1 (ja) カラーフィルタ及び表示装置
TW201627414A (zh) 遮光性顏料組成物及顯示器用遮光性構件
JP2019077861A (ja) 着色樹脂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基板および表示装置
KR20190053548A (ko)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색변환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