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1418A - 산양산삼을 이용한 탁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산양산삼을 이용한 탁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1418A
KR20210051418A KR1020190136680A KR20190136680A KR20210051418A KR 20210051418 A KR20210051418 A KR 20210051418A KR 1020190136680 A KR1020190136680 A KR 1020190136680A KR 20190136680 A KR20190136680 A KR 20190136680A KR 20210051418 A KR20210051418 A KR 20210051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hours
water
wild ginse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6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5029B1 (ko
Inventor
김순옥
Original Assignee
김순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옥 filed Critical 김순옥
Priority to KR1020190136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5029B1/ko
Publication of KR20210051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1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5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50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2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 C12G3/021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of botanical family Poaceae, e.g. wheat, millet, sorghum, barley, rye, or corn
    • C12G3/022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of botanical family Poaceae, e.g. wheat, millet, sorghum, barley, rye, or corn of botanical genus Oryza, e.g. ric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양산삼을 이용한 탁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멥쌀을 8~9시간 동안 함초수에 침지시켜 불리고, 불린 맵쌀을 분쇄하고 100~105℃의 물에 투입한 후에 30~40분 동안 가열하여 죽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밀을 이용하여 누룩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 상기 죽 100중량부에 상기 누룩 100~120중량부, 산양산삼 5~10중량부 및 바이오세라믹 스톤 정제수 1,500~1,600중량부를 혼합한 후 13~15℃에서 24~26시간 동안 발효하여 밑술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3); 도라지추출액에 찹쌀을 1~2시간 동안 침지시켜 불리고, 불린 찹쌀을 찜기에 넣은 후 증자하여 고두밥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4); 상기 밑술 100중량부에 상기 고두밥 80~90중량부를 혼합하고 발효용기에 넣은 후 13~15℃에서 7~8일 동안 1차 발효하는 단계(단계 5); 상기 1차 발효물을 7~12℃에서 7~8일 동안 2차 발효하는 단계(단계 6); 및 상기 2차 발효물 10~12℃에서 2~3일 동안 숙성하는 단계(단계 7); 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며, 산양산삼의 영양성분을 섭취할 수 있으며, 맛이 부드러워 목넘김이 좋으며, 숙취 해소 효과가 우수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산양산삼을 이용한 탁주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Raw Rice Wine using Cultivated Wild Ginseng}
본 발명은 산양산삼을 이용한 탁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산양산삼의 영양성분을 섭취할 수 있으며 맛이 부드러워 목넘김이 좋으며, 숙취 해소 효과가 우수한, 산양산삼을 이용한 탁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탁주(막걸리라고도 한다)는 우리나라의 재래주로서 오래 전부터 양조되어 왔으며, 일반서민들이 많이 마시며 풍류를 즐겼던 우리나라 고유의 술이다. 좋은 탁주는 감미, 고미, 삽미, 산미 및 신미의 오미와 더불어 감칠맛과 청량미가 있는데, 특히 청량미는 갈증과 배고픔을 잊게 하는 효과가 있다.
최근 국내외적인 탁주 붐에 힘입어 탁주 소비량은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와 같은 증가세는 향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맥주, 소주 및 수입주류에 밀려 오랜 세월 동안 소비자의 외면을 받던 탁주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전통주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국내 잉여 쌀 소비문제가 국가적 관심사로 떠오르는 시점에서 이러한 탁주의 소비는 탁주 소비를 통한 전통주 산업의 육성, 쌀 소비 촉진 및 농촌경제 활성화로 대두되고 있어 그 어느 때보다 국민적 관심을 받고 있다.
탁주는 여러 가지 실험을 통하여 알려진 바와 같이, 암 예방 효과와, 손상된 간조직의 회복 효과, 갱년기 장애 해소 효과가 있으며, 또한 생효모가 많아 간경화, 지방간의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은 물론이고, 유효 성분으로서 각종 영양분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탁주의 영양뿐만 아니라 냄새 및 맛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성분이 막걸리에 첨가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황버섯, 솔, 인삼 등을 포함하는 탁주가 제조되어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312916호(2013.10.01.)에는 산양산삼 막걸리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산양산삼 막걸리는 산양산삼 특유의 풍미와 향미를 느낄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숙취 해소가 미흡한 단점이 있다.
KR 10-1312916 B1 2013.10.01.
본 발명의 목적은 산양산삼의 영양성분을 섭취할 수 있으며, 맛이 부드러워 목넘김이 좋으며, 숙취 해소 효과가 우수한, 산양산삼을 이용한 탁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멥쌀을 8~9시간 동안 함초수에 침지시켜 불리고, 불린 맵쌀을 분쇄하고 100~105℃의 물에 투입한 후에 30~40분 동안 가열하여 죽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밀을 이용하여 누룩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 상기 죽 100중량부에 상기 누룩 100~120중량부, 산양산삼 5~10중량부 및 바이오세라믹 스톤 정제수 1,500~1,600중량부를 혼합한 후 13~15℃에서 24~26시간 동안 발효하여 밑술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3); 도라지추출액에 찹쌀을 1~2시간 동안 침지시켜 불리고, 불린 찹쌀을 찜기에 넣은 후 증자하여 고두밥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4); 상기 밑술 100중량부에 상기 고두밥 80~90중량부를 혼합하고 발효용기에 넣은 후 13~15℃에서 7~8일 동안 1차 발효하는 단계(단계 5); 상기 1차 발효물을 7~12℃에서 7~8일 동안 2차 발효하는 단계(단계 6); 및 상기 2차 발효물 10~12℃에서 2~3일 동안 숙성하는 단계(단계 7); 를 포함하는, 산양산삼을 이용한 탁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단계 1에서, 상기 함초수는 함초 80중량%, 대추 15중량% 및 구기자 5중량%를 혼합한 혼합물 100중량부에 물 1,000중량부를 가하고 100~105℃에서 4~6시간 동안 가열한 후 여과하여 제조한다.
상기 단계 2에서, 상기 누룩은 밀 100중량부에 사과추출액 250~300중량부를 혼합하고 반죽하고 성형한 후, 성형물 100중량부에 누룩곰팜이 1~2중량부와 효모 2~3중량부를 접종하고, 26~30℃에서 4~5일 동안 발효시키고, 햇볕에 노출시켜 법제시켜 제조하며, 상기 사과추출액은 광천수 100중량부에 사과 50~60중량부를 넣고 90~95℃에서 1~2시간 동안 가열한 후 여과하여 수득한다.
상기 단계 3에서, 상기 바이오세라믹 스톤 정제수는 물 100중량부에 바이오세라믹 스톤 10~20중량부를 넣고 24~26시간 동안 방치하여 제조하며, 상기 바이오세라믹 스톤은 맥반석 20~30중량%, 견운모 25~35중량% 및 황토 40~50중량%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물에 넣고 혼련한 후 150~200℃의 온도에서 48~72시간 동안 숙성시킨 다음, 700~1200℃의 온도에서 3~8시간 동안 소성시키고, 얻어진 소성체에 1,000~1,250가우스의 자력을 조사하여 제조한다.
상기 단계 1에서, 멥쌀분말 100중량부에 옥수수분말 1~5중량부 및 고구마분말 1~5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혼합하며, 상기 단계 5에서, 상기 밑술 100중량부에 구절초 5~10중량부 및 곤드레 1~5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혼합하며, 상기 단계 6에서,상기 1차 발효물 100중량부에 생강 5~10중량부 및 솔잎 1~5중량부을 추가적으로 혼합하며, 상기 단계 7에서, 상기 2차 발효물 100중량부에 야콘분말 0.01~0.1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혼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양산삼을 이용한 탁주의 제조방법은 산양산삼의 영양성분을 섭취할 수 있으며, 맛이 부드러워 목넘김이 좋으며, 숙취 해소 효과가 우수한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산양산삼을 이용한 탁주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산양산삼을 이용한 탁주의 제조방법은,
멥쌀을 8~9시간 동안 함초수에 침지시켜 불리고, 불린 맵쌀을 분쇄하고 100~105℃의 물에 투입한 후에 30~40분 동안 가열하여 죽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밀을 이용하여 누룩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
상기 죽 100중량부에 상기 누룩 100~120중량부, 산양산삼 5~10중량부 및 바이오세라믹 스톤 정제수 1,500~1,600중량부를 혼합한 후 13~15℃에서 24~26시간 동안 발효하여 밑술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3);
도라지추출액에 찹쌀을 1~2시간 동안 침지시켜 불리고, 불린 찹쌀을 찜기에 넣은 후 증자하여 고두밥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4);
상기 밑술 100중량부에 상기 고두밥 80~90중량부를 혼합하고 발효용기에 넣은 후 13~15℃에서 7~8일 동안 1차 발효하는 단계(단계 5);
상기 1차 발효물을 7~12℃에서 7~8일 동안 2차 발효하는 단계(단계 6); 및
상기 2차 발효물 10~12℃에서 2~3일 동안 숙성하는 단계(단계 7);
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1은 멥쌀을 8~9시간 동안 함초수에 침지시켜 불리고, 불린 맵쌀을 분쇄하고 100~105℃의 물에 투입한 후에 30~40분 동안 가열하여 죽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함초수는 함초 80중량%, 대추 15중량% 및 구기자 5중량%를 혼합한 혼합물 100중량부에 물 1,000중량부를 가하고 100~105℃에서 4~6시간 동안 가열한 후 여과하여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는 죽 제조시 멥쌀을 물 대신 함초수에 침지함으로써 탁주의 맛을 부드럽게 한 장점이 있다.
상기 단계 1에서 멥쌀분말 100중량부에 옥수수분말 1~5중량부 및 고구마분말 1~5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혼합할 수 있다.
상기 옥수수와 고구마분말은 탁주의 맛과 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단계 2는 밀을 이용하여 누룩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누룩은 밀 100중량부에 사과추출액 250~300중량부를 혼합하고 반죽하고 성형한 후, 성형물 100중량부에 누룩곰팜이 1~2중량부와 효모 2~3중량부를 접종하고, 26~30℃에서 4~5일 동안 발효시키고, 햇볕에 노출시켜 법제시켜 제조한다. 상기 사과추출액은 광천수 100중량부에 사과 50~60중량부를 넣고 90~95℃에서 1~2시간 동안 가열한 후 여과하여 수득한다.
상기 사과추출액은 탁주의 맛과 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한다.
상기 단계 3은 상기 죽 100중량부에 상기 누룩 100~120중량부, 산양산삼 5~10중량부 및 바이오세라믹 스톤 정제수 1,500~1,600중량부를 혼합한 후 13~15℃에서 24~26시간 동안 발효하여 밑술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죽 100중량부에 상기 누룩 100중량부 미만 포함하면 밑술 제조시간이 너무 오래 소요되는 문제가 있고, 120중량부 초과되면 누룩의 향이 너무 강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산양산삼은 산삼 종자를 채취하여 깊은 산속에 씨앗 또는 묘를 심어 야생 상태로 재배한 것을 말한다. 한편 산양산삼은 면역기능 피로회복 작용, 심장기능 증진 작용, 간기능 향상, 항암 작용, 당뇨예방, 골다공증 개선 효과 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죽 100중량부에 산양산삼을 5중량부 미만 포함되면 산양산삼의 영양성분이 미흡해지는 문제가 있고, 10중량부 초과 포함되면 맛이 너무 쓰게 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바이오세라믹 스톤 정제수는 물 100중량부에 바이오세라믹 스톤 10~20중량부를 넣고 24~26시간 동안 방치하여 제조한다.
상기 바이오세라믹 스톤은 맥반석 20~30중량%, 견운모 25~35중량% 및 황토 40~50중량%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물에 넣고 혼련한 후 150~200℃의 온도에서 48~72시간 동안 숙성시킨 다음, 700~1200℃의 온도에서 3~8시간 동안 소성시키고, 얻어진 소성체에 1,000~1,250가우스의 자력을 조사하여 제조한다.
본 발명은 밑술 제조시 바이오세라믹 스톤 정제수를 사용함으로써 탁주의 맛을 향상시킨 장점이 있다.
상기 죽에 누룩, 산양산삼 및 자화수를 혼합한 후 13℃ 미만의 온도에서 발효하면 발효시간이 너무 오래 소요되는 문제가 있고, 15℃ 초과의 온도에서 발효하면 탁주를 마신 후 숙취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단계 4는 도라지추출액에 찹쌀을 1~2시간 동안 침지시켜 불리고, 불린 찹쌀을 찜기에 넣은 후 증자하여 고두밥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도라지 추출액은 물 100중량부에 도라지 30~50중량부를 넣고 80~90℃에서 5~6시간 동안 가열하여 제조한다.
본 발명은 고두밥 제조시 물 대신 도라지추출액을 사용함으로써 탁주의 향을 향상시킨 장점이 있다.
상기 단계 5는 상기 밑술 100중량부에 상기 고두밥 80~90중량부를 혼합하고 발효용기에 넣은 후 13~15℃에서 7~8일 동안 1차 발효하는 단계이다.
상기 밑술 100중량부에 상기 고두밥 80~90중량부를 혼합하고 발효용기에 넣은 후 13℃ 미만의 온도에서 발효하면 발효속도가 너무 늦어지는 문제가 있고, 15℃ 초과의 온도에서 발효하면 숙취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밑술 100중량부에 구절초 5~10중량부 및 곤드레 1~5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혼합할 수 있다.
상기 구절초는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구일초, 선모초 또는 들국화라고도 불린다. 구절초라는 이름은 아홉 번 꺾이는 풀, 또는 음력 9월 9일에 꺾는 풀이라는 뜻에서 유래하였으며, 학명은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KITAMURA.이다. 다자란 경우 높이는 40 내지 50㎝ 내외로 땅 속 줄기가 옆으로 길게 뻗으면서 번식한다. 꽃은 9∼11월에 담홍색 또는 백색으로 피며, 가지 끝에 여러 개의 꽃이 꽃대 끝에 모여서 난다. 높은 지대의 능선에서 군락을 형성하여 자라지만, 들에서도 흔히 자라며 우리나라에는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구절초는 모양이 아름다워 관상용으로 가치가 높으며, 재배도 가능하다. 구절초는 단맛과 쓴맛이 나는데, 예로부터 한방에서는 몸을 따뜻하게 보호하여 혈액순환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월경불순, 냉증, 불임 등의 부인병; 기침, 가래, 폐렴 등의 호홉기 질환; 소화불량, 설사 등의 위장질환; 및 두통, 치통 및 신경통 등에 효과가 있고, 다이어트와 동맥경화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구절초의 꽃과 줄기 등을 건조하여 베개 속에 넣고 자면 구절초의 방향효과로 인하여 잠이 잘 오며 탈모방지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곤드레는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높이 약 1m이고, 뿌리가 곧으며 가지가 사방으로 퍼져 있다. 상기 곤드레는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무기질 및 비타민 성분이 함유되어 있고, 항산화 효과, 항암 효과, 항염 효과 및 간 보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본 발명은 밑술에 구절초 및 곤드레를 혼합함으로써 탁주의 맛과 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단계 6은 상기 1차 발효물을 7~12℃에서 7~8일 동안 2차 발효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은 상기 1차 발효물을 7~12℃에서 7~8일 동안 2차 발효함으로써 탁주의 숙취 감소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1차 발효물 100중량부에 생강 5~10중량부 및 솔잎 1~5중량부을 추가적으로 혼합할 수 있다.
상기 1차 발효물에 생강 및 솔잎을 첨가함으로써 탁주의 맛과 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생강(Zingiber officinale)은 외떡잎식물 생강목 생강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동남아시아가 원산지이고 채소로 재배한다. 뿌리줄기는 옆으로 자라고 다육질이며 덩어리 모양이고 황색이며 매운맛과 향긋한 냄새가 있다. 고려시대 이전부터 재배했으리라 추정되고, 고려시대 문헌인《향약구급방》에는 약용 식물로 기록돼 있다. 뿌리줄기는 말려 갈아서 빵·과자·카레·소스·피클 등에 향신료로 사용하고, 껍질을 벗기고 끓인 후 시럽에 넣어 절이기도 하며 생강차와 생강주 등을 만들기도 한다. 한방에서는 뿌리줄기 말린 것을 건강(乾薑)이라는 약재로 쓰는데, 소화불량·구토·설사에 효과가 있고, 혈액 순환을 촉진하며, 항염증과 진통 효과가 있다.
상기 소나무(Pinus densiflora Seibold et Zuccarini)는 우리나라 전국의 산에 야생하고 있는 상록침엽교목으로, 주로 내륙지방에 많이 자라는 적송(육송)이 주를 이루며, 잣나무, 리기다소나무, 곰솔(해송), 백송 등이 있다. 소나무의 잎인 솔잎은 예로부터 한방 또는 민간 요법의 약용이나 건강식품으로 이용되고 있다. 동의보감에 의하면 솔잎은 위장병, 중풍, 고혈압, 신경통, 천식 등에 치료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솔잎의 이러한 약리작용은 솔잎에 함유되어 있는 정유 성분, 단백질, 비타민 A, 비타민 C, 비타민 K, 비타민 P(루틴), 인, 철분, 효소, 탄닌, 엽록소, 고미성 물질, 플라보노이드 등의 기능성 물질에 의해 이루어진다. 특히 비타민 P(루틴)는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고혈압과 노화를 방지하는 데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솔잎의 휘발성 정유는 살림욕시 피로를 해소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단계 7은 상기 2차 발효물 10~12℃에서 2~3일 동안 숙성하여 알콜 함유량 12도의 산양산삼을 이용한 탁주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2차 발효물 100중량부에 야콘분말 0.01~0.1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혼합할 수 있다.
상기 야콘(Yacon; Polymnia sonchifolia)은 베타카로틴, 칼슘, 탄수화물 등 14가지 필수 영양소를 함유하고 무게의 약 10%에 해당하는 올리고당을 함유하고 있는데 이는 올리고당을 풍부하게 함유한 것으로 알려진 양파의 올리고당 함유량에 비해 3배 이상에 해당하는 수치로서, 특히, 뿌리(괴근)에 올리고당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그 중에서도 요즈음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프락토 올리고당(fructo-oligo)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산양산삼을 이용한 탁주는 산양산삼의 영양성분을 섭취할 수 있으며, 맛이 부드러워 목넘김이 좋으며, 숙취 해소 효과가 우수한 장점이 있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 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멥쌀을 9시간 동안 함초수에 침지시켜 불리고, 불린 맵쌀을 분쇄하고 100℃의 물에 투입한 후에 30분 동안 가열하여 죽을 제조하였다. 상기 함초수는 함초 80중량%, 대추 15중량% 및 구기자 5중량%를 혼합한 혼합물 100중량부에 물 1,000중량부를 가하고 100℃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한 후 여과하여 제조하였다. 밀 100중량부에 사과추출액 300중량부를 혼합하고 반죽하고 성형한 후, 성형물 100중량부에 누룩곰팜이 2중량부와 효모 3중량부를 접종하고, 26℃에서 4일 동안 발효시키고, 햇볕에 노출시켜 법제시켜 누룩을 제조하였다. 상기 사과추출액은 광천수 100중량부에 사과 50중량부를 넣고 9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한 후 여과하여 수득하였다. 상기 죽 100중량부에 상기 누룩 100중량부, 산양산삼 10중량부 및 바이오세라믹 스톤 정제수 1,500중량부를 혼합한 후 13℃에서 24시간 동안 발효하여 밑술을 제조하였다. 상기 바이오세라믹 스톤 정제수는 물 100중량부에 바이오세라믹 스톤 20중량부를 넣고 24시간 동안 방치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바이오세라믹 스톤은 맥반석 25중량%, 견운모 30중량% 및 황토 45중량%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물에 넣고 혼련한 후 200℃의 온도에서 72시간 동안 숙성시킨 다음, 1200℃의 온도에서 8시간 동안 소성시키고, 얻어진 소성체에 1,000가우스의 자력을 조사하여 제조하였다. 도라지추출액에 찹쌀을 2시간 동안 침지시켜 불리고, 불린 찹쌀을 찜기에 넣은 후 증자하여 고두밥을 제조하였다. 상기 도라지 추출액은 물 100중량부에 도라지 50중량부를 넣고 90℃에서 6시간 동안 가열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밑술 100중량부에 상기 고두밥 90중량부를 혼합하고 발효용기에 넣은 후 13℃에서 7일 동안 1차 발효하였다. 상기 1차 발효물을 7℃에서 7일 동안 2차 발효하였다. 상기 2차 발효물 10℃에서 2일 동안 숙성하여 알콜 함유량 12도의 산양산삼을 이용한 탁주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상기 멥쌀분말 100중량부에 옥수수분말 5중량부 및 고구마분말 5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혼합한 것과, 상기 밑술 100중량부에 구절초 10중량부 및 곤드레 5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혼합한 것과, 상기 1차 발효물 100중량부에 생강 10중량부 및 솔잎 5중량부을 추가적으로 혼합한 것과, 상기 2차 발효물 100중량부에 야콘분말 0.1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동일하게 하여 알콜 함유량 12도의 산양산삼을 이용한 탁주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생쌀을 수돗물에 깨끗이 세척한 후 경도 150으로 탈염처리된 해양심층수에 3시간 불리고 15분 물빼기 한 다음 이 불린 쌀을 분쇄기에 넣고 분쇄하여 쌀가루 100kg을 준비하였다. 발효탱크에 탈염처리된 해양심층수 150㎏, 조효소제 2㎏, 효모 0.7㎏를 넣고 1차 발효물질을 PH6.0으로 맞추었다. 이후, 상기 1차발효물질이 저장된 발효탱크에 준비된 1차쌀가루 50kg을 넣고 혼합한 후 뚜껑을 닫은 상태에서 교반하면서 1차발효를 완료하였다. 이후, 1차발효를 마친 발효탱크에 2차발효물질을 투입하여 2차발효를 완료하였다. 2차발효 진행 중 저온숙성이 시작된 후 3일이 경과한 후 산양산삼분말 0.7㎏을 투입하였다. 2차발효 후 한외여과기를 이용하여 슬러지를 제거한 다음 이 원액을 제성탱크로 이송시키고 여기에 탈염된 해양심층수를 첨가하여 원액의 알콜 함유량을 7도로 맞춘 다음 이 원액을 저온탱크에 넣고 숙성시켰다. 저온숙성 중 추출된 산양산삼 향기성분 0.15㎏을 저온탱크에 공급하였다.
[실험예 1]
실시예 1, 2에서 제조한 산양산삼을 이용한 탁주와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산양산삼 막걸리에 대한 맛, 향, 색, 목넘김 및 전체적인 기호도를 애주가인 관능검사 요원 30인으로 5점 척도법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목넘김 전체적인 기호도
실시예 1 4.8 4.8 4.6 4.6 4.7
실시예 2 4.9 4.9 4.7 4.9 4.8
비교예 1 4.7 4.8 4.5 4.1 4.5
상기 표 1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산양산삼 막걸리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 2의 산양산삼을 이용한 탁주가 관능검사의 전체적인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다.
[실험예 2]
실시예 1, 2에서 제조한 산양산삼을 이용한 탁주와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산양산삼 막걸리에 대하여 실험예 1의 관능검사요원을 대상으로 숙취 개선 정도에 대하여 5점 척도법으로 하여 측정하였다. 측정한 결과를 평균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5점: 숙취가 없다, 1점: 숙취가 심하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숙취 개선 정도 4.6 4.9 2.6
상기 표 2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산양산삼 막걸리에 비하여 실시예 1, 2의 산양산삼을 이용한 탁주가 숙취 개선 정도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5)

  1. 멥쌀을 8~9시간 동안 함초수에 침지시켜 불리고, 불린 맵쌀을 분쇄하고 100~105℃의 물에 투입한 후에 30~40분 동안 가열하여 죽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밀을 이용하여 누룩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
    상기 죽 100중량부에 상기 누룩 100~120중량부, 산양산삼 5~10중량부 및 바이오세라믹 스톤 정제수 1,500~1,600중량부를 혼합한 후 13~15℃에서 24~26시간 동안 발효하여 밑술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3);
    도라지추출액에 찹쌀을 1~2시간 동안 침지시켜 불리고, 불린 찹쌀을 찜기에 넣은 후 증자하여 고두밥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4);
    상기 밑술 100중량부에 상기 고두밥 80~90중량부를 혼합하고 발효용기에 넣은 후 13~15℃에서 7~8일 동안 1차 발효하는 단계(단계 5);
    상기 1차 발효물을 7~12℃에서 7~8일 동안 2차 발효하는 단계(단계 6); 및
    상기 2차 발효물 10~12℃에서 2~3일 동안 숙성하는 단계(단계 7);
    를 포함하는,
    산양산삼을 이용한 탁주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에서,
    상기 함초수는 함초 80중량%, 대추 15중량% 및 구기자 5중량%를 혼합한 혼합물 100중량부에 물 1,000중량부를 가하고 100~105℃에서 4~6시간 동안 가열한 후 여과하여 제조하는,
    산양산삼을 이용한 탁주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에서,
    상기 누룩은 밀 100중량부에 사과추출액 250~300중량부를 혼합하고 반죽하고 성형한 후, 성형물 100중량부에 누룩곰팜이 1~2중량부와 효모 2~3중량부를 접종하고, 26~30℃에서 4~5일 동안 발효시키고, 햇볕에 노출시켜 법제시켜 제조하며,
    상기 사과추출액은 광천수 100중량부에 사과 50~60중량부를 넣고 90~95℃에서 1~2시간 동안 가열한 후 여과하여 수득하는,
    산양산삼을 이용한 탁주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에서,
    상기 바이오세라믹 스톤 정제수는 물 100중량부에 바이오세라믹 스톤 10~20중량부를 넣고 24~26시간 동안 방치하여 제조하며,
    상기 바이오세라믹 스톤은 맥반석 20~30중량%, 견운모 25~35중량% 및 황토 40~50중량%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물에 넣고 혼련한 후 150~200℃의 온도에서 48~72시간 동안 숙성시킨 다음, 700~1200℃의 온도에서 3~8시간 동안 소성시키고, 얻어진 소성체에 1,000~1,250가우스의 자력을 조사하여 제조하는,
    산양산삼을 이용한 탁주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에서, 멥쌀분말 100중량부에 옥수수분말 1~5중량부 및 고구마분말 1~5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혼합하며,
    상기 단계 5에서, 상기 밑술 100중량부에 구절초 5~10중량부 및 곤드레 1~5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혼합하며,
    상기 단계 6에서,상기 1차 발효물 100중량부에 생강 5~10중량부 및 솔잎 1~5중량부을 추가적으로 혼합하며,
    상기 단계 7에서, 상기 2차 발효물 100중량부에 야콘분말 0.01~0.1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혼합하는,
    산양산삼을 이용한 탁주의 제조방법.
KR1020190136680A 2019-10-30 2019-10-30 산양산삼을 이용한 탁주의 제조방법 KR102355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680A KR102355029B1 (ko) 2019-10-30 2019-10-30 산양산삼을 이용한 탁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680A KR102355029B1 (ko) 2019-10-30 2019-10-30 산양산삼을 이용한 탁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418A true KR20210051418A (ko) 2021-05-10
KR102355029B1 KR102355029B1 (ko) 2022-01-24

Family

ID=75917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6680A KR102355029B1 (ko) 2019-10-30 2019-10-30 산양산삼을 이용한 탁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502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5898A (ko) * 2009-10-28 2011-05-04 김병호 감탁주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16337A (ko) * 2010-04-19 2011-10-26 샘표식품 주식회사 함초누룩을 이용한 발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01010B1 (ko) * 2011-08-05 2011-12-29 소영남 막걸리 및 그 제조방법
KR101312916B1 (ko) 2013-06-11 2013-10-01 김광희 산양산삼 막걸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60016009A (ko) * 2014-08-01 2016-02-15 양현석 산양삼이 함유된 막걸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5898A (ko) * 2009-10-28 2011-05-04 김병호 감탁주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16337A (ko) * 2010-04-19 2011-10-26 샘표식품 주식회사 함초누룩을 이용한 발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01010B1 (ko) * 2011-08-05 2011-12-29 소영남 막걸리 및 그 제조방법
KR101312916B1 (ko) 2013-06-11 2013-10-01 김광희 산양산삼 막걸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60016009A (ko) * 2014-08-01 2016-02-15 양현석 산양삼이 함유된 막걸리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5029B1 (ko) 2022-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9286B1 (ko) 유자주의 제조방법
CN104774700A (zh) 一种金樱子精酿啤酒及其制备方法
KR101280455B1 (ko) 약초 고추장의 제조방법
KR102501735B1 (ko) 새싹, 식물성 생약재 및 홍삼을 함유한 기능성 발효혼합추출물의 제조방법
CN104138008A (zh) 一种黑番茄花香醋饮料及其制备方法
KR20120030267A (ko) 한약재를 이용한 약주 및 그 제조방법
CN103478686A (zh) 一种营养保健豆酱及其制备方法
CN102578528B (zh) 一种含有中草药配方的保健黑豆豆豉及其生产工艺
KR101037572B1 (ko) 복분자를 이용한 발효분말 제조방법
KR102279890B1 (ko) 염지제를 이용한 삼계탕의 제조방법
KR20190111592A (ko) 호장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및 그의 새로운 제조방법
KR101752571B1 (ko) 갈화 추출물을 이용하여 배양, 숙성시킨 청국장 및 이를 이용한 갈화고추장 제조방법
KR102355029B1 (ko) 산양산삼을 이용한 탁주의 제조방법
KR101203790B1 (ko) 머위 된장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머위 된장
KR101921721B1 (ko) 침출식 구아바 과실차 및 그 제조방법
KR102181883B1 (ko) 청국장을 이용한 곤드레 장아찌의 제조방법
KR102648858B1 (ko) 잣 크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잣 크림
CN102578538B (zh) 一种含有中草药配方的保健黑豆豆鼓及其生产工艺
CN102578493B (zh) 一种含有中草药配方的保健黑豆豆豉及其生产工艺
KR102275341B1 (ko) 연자육 된장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55566B1 (ko) 콩비지 막걸리의 제조방법
KR102423746B1 (ko) 꾸지뽕과 예덕나무 및 아마란스 성분을 함유하는 음료 및 그 제조방법
CN102578539B (zh) 一种含有中草药配方的保健黑豆豆鼓及其生产工艺
KR102275347B1 (ko) 연자육 고추장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63857B1 (ko) 된장의 속성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된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