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5307A - 커넥터 및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5307A
KR20210045307A KR1020200118456A KR20200118456A KR20210045307A KR 20210045307 A KR20210045307 A KR 20210045307A KR 1020200118456 A KR1020200118456 A KR 1020200118456A KR 20200118456 A KR20200118456 A KR 20200118456A KR 20210045307 A KR20210045307 A KR 20210045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acle
plug
shell
connecto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8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4892B1 (ko
Inventor
이용진
시로 스나가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45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5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4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4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2Resilient sockets forked sockets having two le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3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01R13/6583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with separate conductive resilient members between mating shield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5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4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shield being mounted on a PCB and connected to conductive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과제) 기판 간을 접속하는 종래의 커넥터 장치에서는, 커넥터끼리의 끼워맞춤 시에, 각 커넥터의 긴쪽 방향으로 연재하도록 형성된 실드가 서로 대향하고, 내외 이중으로 배치됨으로써, 전자 차폐 작용을 얻어, EMI 대책을 행하고 있다. 그러나, 실드의 내외 이중 구조는 각 커넥터의 짧은쪽 방향의 폭을 취해 버리기 때문에, 커넥터의 소형화, 고밀도 실장화의 방해가 된다.
(해결 수단)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단자를 긴쪽 방향으로 배열 보유지지한 하우징과, 당해 하우징의 긴쪽 방향을 따라 형성된 셸 평면을 갖는 실드를 각각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커넥터끼리의 끼워맞춤 시에, 서로 대향하는 셸 평면 중 한쪽의 평면으로부터 다른 한쪽의 평면측으로 연장 돌출된 접촉부에 의해, 양 평면이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실드 간의 전위차를 실질적으로 없앤 전자 차폐 작용을 얻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커넥터 및 커넥터 장치{CONNECTOR AND CONNECTOR APPARATUS}
본 발명은, 기판 간을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 장치로서, 전기 신호의 고속 전송에 적합한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끼워맞춤시켜 전기적으로 접속시켰을 때에, 각 커넥터의 단자로부터 발생하는 고주파의 전자파 노이즈 신호를 차폐하는 것이 가능한 커넥터 장치의 각 커넥터의 실드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단자가 하우징에 인서트 성형(일체 성형) 등에 의해, 긴쪽 방향으로 2열로 배열 보유지지(保持)된 직사각형 형상의 하우징을 구비하고, 기판 간을 접속하는 플러그측의 커넥터(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측의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로서, 예를 들면, 일본공개특허공보 2017-033909호(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커넥터 장치가 있다.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는, 각각 프린트 배선 기판 또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등에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면 실장 등에서 프린트 배선 기판에 형성된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단부에 형성된 플러그 커넥터를 서로 끼워맞춤함으로써, 기판 간을 접속할 수 있다.
최근, 스마트 폰 등의 휴대 단말의 전송 데이터의 대용량화나 전송 속도의 고속화 등에 수반하여, 그들 휴대 단말에 내장되어, 기판 간을 접속하는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장치는, 높은 주파수의 전기 신호를 하등 손실하는 일 없이 정확하게 전송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 때문에, 서로의 단자를 통하여 높은 주파수의 전기 신호를 송수신하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와의 사이의 전송은, 고주파 신호에 대한 특성(고주파 특성)으로의 요구를 만족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이러한 고주파 특성에 대한 요구의 방해가 되는 요인의 하나는, 커넥터의 단자로부터 발생하는 전자파 노이즈 신호 등의 소위 전자 방해(EMI)이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커넥터 장치의 하나의 종래예에서는,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의 각각에, 긴쪽 방향을 따라 연재하도록 형성된 실드 벽부가, 각 커넥터의 단자의 단부에 형성된 실장부(컨택트 접속부)로부터 발생하는 전자파 노이즈 신호에 대하여, 전자 차폐 작용을 발휘함으로써, 전자 방해에 대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커넥터 장치에서는,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가 끼워맞춤되었을 때에, 각 커넥터에 형성된 실드 벽부끼리가, 커넥터 폭 방향(짧은쪽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실드 벽부가 내외 이중으로 배치되는 것 등에 의해, 커넥터 장치의 종래예는 전자 차폐 작용을 얻어, EMI 대책을 행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17-033909호
일반적으로, 스마트 폰, 휴대 단말 등의 전자 기기의 소형화나 고기능화 등에 수반하여, 프린트 배선 기판에 있어서, 소자, 기판 간을 접속하는 커넥터 등의 부품의 고밀도 실장화가 진행되고 있어, 부품인 커넥터 자체의 소형화를 행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커넥터 장치에서는, 커넥터끼리의 끼워맞춤 시에, 각 커넥터의 긴쪽 방향으로 연재하도록 형성된 실드 벽부가 내외 이중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이 내외 이중 구조가 각 커넥터의 짧은쪽 방향의 폭을 취해버리기 때문에, 커넥터의 소형화의 방해가 된다. 즉, 기판에 있어서의 커넥터의 점유 면적을 보다 작게 할 수 없어, 고밀도 실장화의 방해가 된다.
또한, 종래의 커넥터 장치는, 한쪽의 커넥터의 실드 벽부의 측면에, 횡방향(기판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접촉부를 형성하여, 끼워맞춤 시에 대향하는 다른 한쪽의 커넥터의 실드 벽부에 맞닿게 함으로써, 전자 차폐 효과를 얻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실드 벽부의 내외 이중 구조는 필수의 구성이다. 그 때문에, 커넥터의 소형화를 위해, 실드 벽부의 내외 이중 구조를 제거할 수도 없다.
이상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드의 내외 이중 구조를 이용하는 일 없이, 복수의 단자를 긴쪽 방향으로 배열 보유지지한 하우징과, 당해 하우징의 긴쪽 방향을 따라 형성된 셸 평면을 갖는 실드를 각각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커넥터끼리의 끼워맞춤 시에, 서로 대향하는 셸 평면 중 한쪽의 평면으로부터 다른 한쪽의 평면측으로 연장 돌출된 접촉부에 의해, 양 평면이 서로 접촉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의 단자의 전자 차폐를 행하는 실드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단자의 전자 차폐를 행하는 실드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그에 따라, 실드 간의 전위차를 실질적으로 없애, 충분한 전자 차폐 작용을 얻는 것이 가능한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 장치는, 복수의 플러그 단자와, 긴쪽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플러그 단자를 보유지지하는 플러그 하우징과,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보유지지되는 플러그 셸을 구비하는 플러그 커넥터와,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와, 긴쪽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를 보유지지하는 리셉터클 하우징과,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에 보유지지되는 리셉터클 셸을 구비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셸은, 커넥터끼리의 끼워맞춤 시에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향하는 플러그 셸 평면과,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긴쪽 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판 형상의 제1 플러그 실드와,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짧은쪽 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판 형상의 제2 플러그 실드와,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보유지지되는 플러그 하우징 지지부와, 기판의 그라운드 전위에 접속되는 플러그 셸 실장부를 갖고,
상기 제1 플러그 실드는, 상기 복수의 플러그 단자의 각각과 짧은쪽 방향에서 대향하고,
상기 리셉터클 셸은, 커넥터끼리의 끼워맞춤 시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대향하는 리셉터클 셸 평면과,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긴쪽 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판 형상의 제1 리셉터클 실드와,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짧은쪽 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판 형상의 제2 리셉터클 실드와,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에 보유지지되는 리셉터클 하우징 지지부와, 기판의 그라운드 전위에 접속되는 리셉터클 셸 실장부를 갖고,
상기 제1 리셉터클 실드는, 상기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의 각각과 짧은쪽 방향에서 대향하고,
상기 플러그 셸 평면 및 상기 리셉터클 셸 평면 중 한쪽의 셸 평면은, 당해 셸 평면으로부터 연장 돌출되고,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맞춤 방향으로 굽혀 형성되고, 커넥터끼리의 끼워맞춤 시에 다른 한쪽의 셸 평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가 끼워맞춤된 상태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접촉부를 통하여, 상기 플러그 셸과 상기 리셉터클 셸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상기 접촉부는 탄성을 갖는 접촉편이고, 커넥터끼리의 끼워맞춤 시에 상기 다른 한쪽의 셸 평면과 접촉하여 압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접촉부를 구비한 상기 한쪽의 셸 평면을 포함하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 및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 중 한쪽의 커넥터는, 압하된 상기 접촉부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갖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상기 플러그 셸 평면 또는 상기 리셉터클 셸 평면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가 끼워맞춤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대 커넥터의 셸 평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긴쪽 방향으로 연재하는 제1 끼워맞춤 측벽 및 짧은쪽 방향으로 연재하는 제2 끼워맞춤 측벽으로 둘러싸인 끼워맞춤 오목부 및, 상기 제1 끼워맞춤 측벽 및 상기 제2 끼워맞춤 측벽을 둘러싸는, 긴쪽 방향으로 연재하는 제1 플러그 측벽과 짧은쪽 방향으로 연재하는 제2 플러그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 지지부는, 상기 제2 플러그 측벽에 형성된 제1 플러그 하우징 지지부와 상기 제2 끼워맞춤 측벽에 형성된 제2 플러그 하우징 지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은, 긴쪽 방향으로 연재하는 제1 리셉터클 측벽 및 짧은쪽 방향으로 연재하는 제2 리셉터클 측벽으로 둘러싸인 끼워맞춤 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 지지부는, 상기 제2 리셉터클 측벽에 형성된 제1 리셉터클 하우징 지지부와 상기 끼워맞춤 볼록부에 형성된 제2 리셉터클 하우징 지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가 끼워맞춤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러그 하우징 지지부와 상기 제2 플러그 하우징 지지부와의 사이에, 상기 제1 리셉터클 하우징 지지부가 끼워 넣어지고, 상기 제1 리셉터클 하우징 지지부와 상기 제2 리셉터클 하우징 지지부와의 사이에, 상기 제2 플러그 하우징 지지부가 끼워 넣어짐으로써, 상기 플러그 셸과 상기 리셉터클 셸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상기 플러그 셸은, 상기 제1 플러그 측벽과 상기 제2 플러그 측벽이 교차하는 모서리 부분 근방의 상기 제1 플러그 측벽에 형성된 플러그 측벽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 셸은, 상기 제1 리셉터클 측벽과 상기 제2 리셉터클 측벽이 교차하는 모서리 부분 근방의 상기 제1 리셉터클 측벽에 형성된 리셉터클 측벽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가 끼워맞춤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측벽 접속부와 상기 리셉터클 측벽 접속부가 접촉함으로써, 상기 플러그 셸과 상기 리셉터클 셸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상기 제1 플러그 실드를 덮은 제1 플러그 외벽과, 상기 제2 플러그 실드를 덮은 제2 플러그 외벽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셸 실장부는, 상기 제1 플러그 외벽 또는 상기 제2 플러그 외벽으로부터 노출되고,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은, 상기 제1 리셉터클 실드를 덮은 제1 리셉터클 외벽과, 상기 제2 리셉터클 실드를 덮은 제2 리셉터클 외벽을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 셸 실장부는, 상기 제1 리셉터클 외벽 또는 상기 제2 리셉터클 외벽으로부터 노출된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상기 복수의 플러그 단자는, 상기 제1 끼워맞춤 측벽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1 플러그 실드는, 상기 복수의 플러그 단자가 형성된 상기 제1 끼워맞춤 측벽과 동일한 간격을 두고 짧은쪽 방향에서 대향하고,
상기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는, 상기 제1 리셉터클 측벽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1 리셉터클 실드는, 상기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가 형성된 상기 제1 리셉터클 측벽과 동일한 간격을 두고 짧은쪽 방향에서 대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상기 제1 플러그 실드는, 상기 플러그 셸 평면에 대하여 직각으로 절곡된 상기 플러그 셸의 가장자리 부분이고,
상기 제1 리셉터클 실드는, 상기 리셉터클 셸 평면에 대하여 직각으로 절곡된 상기 리셉터클 셸의 가장자리 부분인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상기 플러그 셸 평면은,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의 양측에 긴쪽 방향으로 연재하고,
상기 리셉터클 셸 평면은, 상기 끼워맞춤 볼록부의 양측에 긴쪽 방향으로 연재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의 양측에 긴쪽 방향으로 연재한 상기 플러그 셸 평면의 각각에 2개 형성되고, 또는, 상기 끼워맞춤 볼록부의 양측에 긴쪽 방향으로 연재한 상기 리셉터클 셸 평면의 각각에 2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상기 플러그 셸은, 상기 플러그 셸 평면에 있어서 2개의 절목(切目)을 갖고, 상기 2개의 절목은, 끼워맞춤 방향의 중심축에 대하여 점대칭의 위치에 있고,
상기 리셉터클 셸은, 상기 리셉터클 셸 평면에 있어서 2개의 절목을 갖고, 상기 2개의 절목은, 끼워맞춤 방향의 중심축에 대하여 점대칭의 위치에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는, 복수의 단자와, 긴쪽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단자를 보유지지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보유지지되는 외부 도체 셸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도체 셸은, 끼워맞춤 시에 상대 커넥터에 대향하는 셸 평면과, 상기 하우징의 긴쪽 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판 형상의 제1 실드와, 상기 하우징의 짧은쪽 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판 형상의 제2 실드와, 상기 하우징에 보유지지되는 지지부와, 기판의 그라운드 전위에 접속되는 셸 실장부를 갖고,
상기 제1 실드는, 상기 복수의 단자의 각각과 짧은쪽 방향에서 대향하고,
상기 셸 평면은, 당해 셸 평면으로부터 연장 돌출되고,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맞춤 방향으로 굽혀 형성되고, 커넥터끼리의 끼워맞춤 시에 상기 상대 커넥터의 상대 셸 평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대 커넥터와 끼워맞춤된 상태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접촉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 도체 셸은, 상기 상대 커넥터의 상대 외부 도체 셸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상기 접촉부는 탄성을 갖는 접촉편이고, 커넥터끼리의 끼워맞춤 시에 상기 상대 커넥터의 상대 셸 평면과 접촉하여 압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커넥터는, 압하되도록 상기 접촉부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갖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상기 셸 평면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대 커넥터가 끼워맞춤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상대 커넥터의 상기 상대 셸 평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상기 하우징은, 끼워맞춤부와, 상기 끼워맞춤부를 둘러싸는, 긴쪽 방향으로 연재하는 제1 측벽과 짧은쪽 방향으로 연재하는 제2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 측벽에 형성된 제1 지지부와 상기 끼워맞춤부에 형성된 제2 지지부로 이루어지고,
상대 커넥터와 끼워맞춤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와의 사이에, 상기 상대 커넥터의 상대 지지부가 끼워 넣어짐으로써, 상기 외부 도체 셸은, 상기 상대 커넥터의 상대 외부 도체 셸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상기 외부 도체 셸은,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이 교차하는 모서리 부분 근방의 상기 제1 측벽에 형성된 측벽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대 커넥터와 끼워맞춤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측벽 접속부는, 상기 상대 커넥터의 상대 측벽 접속부에 접촉하고, 상기 외부 도체 셸은, 상기 상대 커넥터의 상대 외부 도체 셸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실드를 덮은 제1 외벽과, 상기 제2 실드를 덮은 제2 외벽을 포함하고,
상기 셸 실장부는, 상기 제1 외벽 또는 상기 제2 외벽으로부터 노출된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상기 복수의 단자는, 상기 제1 측벽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1 실드는, 상기 복수의 단자가 형성된 상기 제1 측벽과 동일한 간격을 두고 짧은쪽 방향에서 대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상기 제1 실드는, 상기 셸 평면에 대하여 직각으로 절곡된 상기 외부 도체 셸의 가장자리 부분인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상기 셸 평면은, 상기 끼워맞춤부의 양측에 긴쪽 방향으로 연재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끼워맞춤부의 양측에 긴쪽 방향으로 연재한 셸 평면의 각각에 2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상기 외부 도체 셸은, 상기 셸 평면에 있어서 2개의 절목을 갖고,
상기 2개의 절목은, 끼워맞춤 방향의 중심축으로 대하여 점대칭의 위치에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상기 커넥터는, 리셉터클 커넥터 또는 플러그 커넥터인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장치 및 커넥터는, 셸 평면의 가장자리 부분을 당해 평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절곡하여 각각 형성된, 플러그 커넥터의 단자의 전자 차폐를 행하는 실드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단자의 전자 차폐를 행하는 실드가, 커넥터끼리의 끼워맞춤 시에, 서로 대향하는 셸 평면 중 한쪽의 평면으로부터 다른 한쪽의 평면측으로 연장 돌출된 접촉부에 의해, 양 평면이 서로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실드 간의 전위차를 실질적으로 없애, 충분한 전자 차폐 작용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장치 및 커넥터는, 커넥터의 소형화를 저해하는 실드의 내외 이중 구조를 회피할 수 있어, 기판에 있어서의 커넥터의 점유 면적을 보다 작게 하여, 고밀도 실장화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커넥터 장치의 각 커넥터의 외부 도체 셸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커넥터 장치의 상하를 반대로 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커넥터 장치의 각 커넥터의 외부 도체 셸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내는 커넥터 장치를 긴쪽 방향의 중심축을 따라 절단하기 위한 선 A-A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선 A-A를 따라 긴쪽 방향으로 절단된 커넥터 장치를 짧은쪽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나타내는 커넥터 장치를 짧은쪽 방향의 중심축을 따라 절단하기 위한 선 B-B와, 커넥터 장치의 단 부분을 짧은쪽 방향으로 절단하기 위한 선 C-C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내는 선 B-B를 따라 짧은쪽 방향으로 절단된 커넥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나타내는 선 C-C를 따라 짧은쪽 방향으로 절단된 커넥터 장치의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든 도면에 있어서, 동일 부재에는 원칙으로서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각각의 실시 형태는, 독립적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서로의 구성 요소를 조합하여 커넥터를 구성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 장치를 나타낸다. 도 1은, 리셉터클 커넥터측(Z2측)으로부터 플러그 커넥터측(Z1측)을 보았을 때의 커넥터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커넥터 장치의 각 커넥터의 외부 도체 셸의 형상을 나타낸다. 도 3은, 도 1과는 상하가 역전되어, 플러그 커넥터측(Z1측)으로부터 리셉터클 커넥터측(Z2측)을 보았을 때의 커넥터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커넥터 장치의 각 커넥터의 외부 도체 셸의 형상을 나타낸다.
커넥터의 끼워맞춤 방향은, 도면 중의 Z1-Z2 방향(Z축 방향)이다. 플러그 커넥터(100)는, Z축 방향의 Z2측에 있는 상대 커넥터인 리셉터클 커넥터(200)와 끼워맞춤되고, 리셉터클 커넥터(200)는, Z축 방향의 Z1측에 있는 상대 커넥터인 플러그 커넥터(100)와 끼워맞춤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긴쪽 방향은 X1-X2 방향(X축 방향)이고, 짧은쪽 방향은 Y1-Y2 방향(Y축 방향)이다. 도 1에서는, 플러그 커넥터(100) 및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각각에 있어서의 복수의 단자 중 일부에 부호 「130」 또는 「230」을 붙이고, 그 외의 동일한 형상의 단자의 부호를 생략하여 나타낸다. 이상의 사항은, 그 외의 도면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도 1에 나타내는 커넥터 장치는, 플러그 커넥터(100)와 리셉터클 커넥터(200)를 포함한다. 각 커넥터는, 예를 들면, 휴대 전화나 스마트 폰, 디지털 카메라, 노트 PC 등의 소형 전자 기기에 있어서의 내부 부품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100) 및 리셉터클 커넥터(200)는, 프린트 배선 기판 또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등에 납땜되어 실장된다. 여기에서는, 프린트 배선 기판 및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등, 커넥터가 실장되는 것을, 간단히 「기판」이라고 부른다. 도 1에 나타내는 커넥터 장치에서는, 플러그 커넥터(100)는, 파선으로 나타난 플러그측 기판(10)에 실장되고, 리셉터클 커넥터(200)는, 파선으로 나타난 리셉터클측 기판(20)에 실장된다. 도 2 이후에 나타내는 커넥터 장치, 플러그 커넥터, 리셉터클 커넥터에서는, 기판을 생략하여 나타낸다. 플러그 커넥터(100) 및 리셉터클 커넥터(200)는, 액정 폴리머(LCP) 등의 절연 수지제의 하우징을 장방형 형상으로 성형하여 구성된다.
도 1과 함께 도 2를 참조하고, 도 3과 함께 도 4를 참조하면, 플러그 커넥터(100)는, 복수의 플러그 단자(130)와, 복수의 플러그 단자(130)를 보유지지하는 플러그 하우징(110)과, 플러그 하우징(110)에 보유지지되는 플러그 셸(120)을 구비한다. 플러그 커넥터(100)는, 장방형 형상의 플러그 하우징(110)의 중앙 부분에, 긴쪽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재하는 오목 형상의 끼워맞춤 오목부(112)를 구비하고, 끼워맞춤 오목부(112)의 짧은쪽 방향(Y축 방향)의 양측(Y1 및 Y2측)에는, 복수의 플러그 단자(130)를 각각 보유지지하는 제1 끼워맞춤 측벽(114)을 구비한다. 복수의 플러그 단자(130)는, 인청동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플러그 하우징(110)의 긴쪽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2개의 제1 끼워맞춤 측벽(114)에 각각 형성되어, 등간격으로 배열된다.
여기에서, 도 1 내지 4에 더하여,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 장치를 설명한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낸 플러그 커넥터(100)와 리셉터클 커넥터(200)을 포함하는 커넥터 장치를, 긴쪽 방향(X축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선 A-A는, 커넥터 장치를 긴쪽 방향(X축 방향)의 중심축을 따라 절단하는 위치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선 A-A를 따라 긴쪽 방향(X축 방향)으로 절단된 커넥터 장치를 짧은쪽 방향(Y축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나타낸 플러그 커넥터(100)와 리셉터클 커넥터(200)를 포함하는 커넥터 장치를, 짧은쪽 방향(Y축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선 B-B는, 커넥터 장치를 짧은쪽 방향(Y축 방향)의 중심축을 따라 절단하는 위치를 나타내고, 선 C-C는, 커넥터 장치를 플러그 측벽 접속부(129) 및 리셉터클 측벽 접속부(227) 부근에서, 짧은쪽 방향(Y축 방향)을 따라 절단하는 위치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내는 선 B-B를 따라 짧은쪽 방향(Y축 방향)으로 절단된 커넥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나타내는 선 C-C를 따라 짧은쪽 방향(Y축 방향)으로 절단된 커넥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플러그 단자(130)는, 내측 고정부(133), 정부(134) 및, 외측 고정부(135)로 이루어지는 대략 U자 형상으로 만곡한 부분을 포함하고, 내측 고정부(133)와 외측 고정부(135)는, 플러그 단자(130)의 내측에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단자(130)는, 플러그 커넥터(100)의 긴쪽 방향(X축 방향)의 제1 끼워맞춤 측벽(114)을, 실장부(132)와, 내측 고정부(133)와, 정부(134)와, 외측 고정부(135)로 감싸도록 하여, 플러그 하우징(110)에 보유지지된다. 이에 따라, 내측 고정부(133)와 외측 고정부(135)의 사이, 즉, 플러그 단자(130)의 내측에는 수지가 존재하거나, 혹은 충전되어 있다.
플러그 단자(130)는, 기판에 실장되는 측(Z1측)에, 내측 고정부(133)로부터 만곡한 부분을 거쳐, 플러그 커넥터(100)의 짧은쪽 방향(Y축 방향) 외측(내측 고정부(133)가 Y1측에 있으면 Y2측, 내측 고정부(133)가 Y2측에 있으면 Y1측)에 연재하고, 기판에 실장되는(납땜되는) 실장부(132)를 갖는다.
실장부(132)의 단부인 실장 단부(131)는, 제1 플러그 실드(121)와 마주본다. 플러그 하우징(110)의 한쪽의 측(예를 들면 Y1측)의 제1 끼워맞춤 측벽(114)으로 보유지지되는 플러그 단자(130)의 실장 단부(131)는, 동일한 측(Y1측)의 제1 플러그 실드(121)와 마주보고, 플러그 하우징(110)의 다른 한쪽의 측(예를 들면 Y2측)의 제1 끼워맞춤 측벽(114)으로 보유지지되는 플러그 단자(130)의 실장 단부(131)는, 동일한 측(Y2측)의 제1 플러그 실드(121)와 마주본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100)와 리셉터클 커넥터(200)가 끼워맞춤된 상태에 있어서, 플러그 셸(120)과 리셉터클 셸(220)이 짧은쪽 방향(Y축 방향)에서 겹치는 일이 없이 배치됨과 함께, 플러그 셸(120)과 리셉터클 셸(220)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여기에서, 짧은쪽 방향(Y축 방향)에서 겹치는 일이 없이 배치된다는 것은, 짧은쪽 방향(Y축 방향)에 있어서 플러그 셸과 리셉터클 셸(실드끼리)이 대향하여 접촉한 상태를 포함하지 않는 배치이다.
플러그 단자(130)와 플러그 하우징(110)의 인서트 성형에 의해, 플러그 단자(130)의 내측 고정부(133) 및 정부(134)는, 제1 끼워맞춤 측벽(114)의 표면과 동일한 표면을 이루도록, 내측 고정부(133)의 측면 및 정부(134)의 측면을 제1 끼워맞춤 측벽(114)에 매입한다. 외측 고정부(135)는, 상대 단자인 리셉터클 단자(230)와 접촉하기 위해, 짧은쪽 방향(Y축 방향) 외측(내측 고정부(133)가 Y1측에 있으면 Y1측, 내측 고정부(133)가 Y2측에 있으면 Y2측)의 표면을 오목하게 하여 형성된 형성된 접촉부(136)를 구비한다.
플러그 단자(130)의 내측 고정부(133)의 표면은, 리셉터클 단자(230)와 접촉하는 접촉부로서 기능하고, 리셉터클 단자(230)에 형성된 접촉부(238)와 접압을 갖고 접촉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단자(130)의 외측 고정부(135)에 형성된 접촉부(136)는, 리셉터클 단자(230)의 고정부(235)에 형성된 접촉 볼록부(229)에 접촉할 수 있다.
제1 끼워맞춤 측벽(114)은, 플러그 커넥터(100)의 긴쪽 방향(X축 방향)을 따라 2열 형성되고, 끼워맞춤 오목부(112)는, 그들 2열의 제1 끼워맞춤 측벽(114)의 사이에 형성된다. 즉, 끼워맞춤 오목부(112)는, 긴쪽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재하는 제1 끼워맞춤 측벽(114) 및 짧은쪽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재하는 제2 끼워맞춤 측벽(116)으로 둘러싸여 형성된다.
플러그 커넥터(100)의 플러그 하우징(110)은, 동일한 간격으로 긴쪽 방향(X축 방향)으로 2열로 배열한 동일한 형상의 복수의 플러그 단자(130)와 함께 인서트 성형(일체 성형)되어, 복수의 플러그 단자(130)를 보유지지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하우징(110)은, 끼워맞춤 오목부(112)의 제1 끼워맞춤 측벽(114) 및 제2 끼워맞춤 측벽(116)을 둘러싸는, 긴쪽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재하는 제1 플러그 측벽(118)과 짧은쪽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재하는 제2 플러그 측벽(119)을 포함한다.
외부 도체 셸인 플러그 셸(120)은, 플러그 하우징(110)의 긴쪽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판 형상의 제1 플러그 실드(121)와, 플러그 하우징(110)의 짧은쪽 방향(Y축 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제2 플러그 실드(122)를 갖는다. 플러그 셸(120)은, 제1 플러그 실드(121)를 양측(Y1측과 Y2측)에 구비하고, 제1 플러그 실드(121)는, 플러그 하우징(110)의 칸막이(仕切; 103)(플러그 셸(120)의 절목(切目))로 분할되어 있다. 제1 플러그 실드(121)는, 편측(Y1측 또는 Y2측)으로 분할된 2매로 형성되어 있지만, 1매의 실드로 형성해도 좋고, 추가로 분할하여 복수매로 하여 형성해도 좋다. 제1 플러그 실드(121)는, X-Z 평면과 평행한 면을 갖고, 긴쪽 방향(X축 방향)에 있어서 제1 끼워맞춤 측벽(114)보다 넓은 범위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플러그 셸(120)은, 제1 플러그 실드(121) 외에, 제2 플러그 실드(122)를 포함하고, 플러그 하우징(110)의 짧은쪽 방향(Y축 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판 형상의 제2 플러그 실드(122)를 양측(X1측과 X2측)에 1매씩 구비한다. 제2 플러그 실드(122)는, 편측(Y1측 또는 Y2측)에 1매로 형성되어 있지만, 1매의 실드를 분할하여 복수매로 하여 형성해도 좋다. 제1 플러그 실드(121)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기판의 그라운드부(도시하지 않음)에 실장하기 위한 플러그 셸 실장부(104, 105)가 형성되고, 제2 플러그 실드(122)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기판의 그라운드부(도시하지 않음)에 실장하기 위한 플러그 셸 실장부(106)가 형성된다. 플러그 셸 실장부(104, 105, 106)의 각각은, 플러그 셸(120)을 그라운드 전위(접지 전위)로 할 수 있다. 제2 플러그 실드(122)는, Y-Z 평면과 평행한 면을 갖고, 짧은쪽 방향(Y축 방향)에 있어서 제2 끼워맞춤 측벽(116)보다 넓은 범위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100)와 리셉터클 커넥터(200)가 끼워맞춤된 상태에 있어서, 플러그 셸(120)은, 상대 외부 도체 셸인 리셉터클 셸(220)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1에 더하여,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플러그 하우징(110)의 끼워맞춤 오목부(112)의 주위(X-Y 평면 상의 주위)는, 제1 플러그 실드(121) 및 제2 플러그 실드(122)에 의해 제1 간격(115) 및 제2 간격(117)을 두고 둘러싸인다. 제1 간격(115)은, 플러그 하우징(110)의 제1 끼워맞춤 측벽(114)에서 제1 플러그 실드(121)까지의 간격이고, 제2 간격(117)은, 플러그 하우징(110)의 제2 끼워맞춤 측벽(116)에서 제2 플러그 실드(122)까지의 간격이다. 제1 끼워맞춤 측벽(114)과 제1 플러그 실드(121)는 평행이고, 제2 끼워맞춤 측벽(116)과 제2 플러그 실드(122)는 평행이기 때문에, 제1 간격(115) 및 제2 간격(117)은, 각각 일정한 값이다. 제1 플러그 실드(121)는, 플러그 하우징(110)으로부터 노출된, 복수의 플러그 단자(130)와 짧은쪽 방향(Y축 방향)에서 동일한 간격을 두고 대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플러그 단자(130)의 각각의 외측 고정부(135)(도 8 참조)와 짧은쪽 방향(Y축 방향)에서 동일한 간격을 두고 대향한다.
플러그 셸(120)은, 플러그 하우징(110)의 긴쪽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플러그 셸 평면(123)을 양측(Y1측과 Y2측)에 구비한다. 제1 플러그 실드(121)는, 플러그 셸 평면(123)에 대하여 직각으로 절곡된 플러그 셸(120)의 가장자리 부분이다. 외부 도체 셸인 플러그 셸(120)은, 플러그 셸 평면(123)에 있어서 2개의 절목(플러그 하우징(110)의 칸막이(103))을 갖고, 당해 2개의 절목(플러그 하우징(110)의 칸막이(103))은, 끼워맞춤 방향(Z축 방향)의 중심축에 대하여 점대칭의 위치에 있다.
플러그 셸 평면(123)은, X-Y 평면 상에 끼워맞춤 오목부(112)의 양측(Y1측, Y2측)에 긴쪽 방향으로 연재하고, 커넥터끼리의 끼워맞춤 시에 상대 커넥터인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상대 셸 평면(리셉터클 셸 평면(223))에 대향한다. 플러그 셸 평면(123)은, 편측(Y1측 또는 Y2측)에서, 플러그 하우징(110)의 칸막이(103)(플러그 셸(120)의 절목)로 분할된 2매로 형성되어 있지만, 1매의 셸 평면으로 형성해도 좋고, 추가로 분할하여 복수매로 하여 형성해도 좋다. 플러그 셸 평면(123)은, X-Y 평면과 평행한 면을 갖고, 긴쪽 방향(X축 방향)에 있어서 제1 끼워맞춤 측벽(114)보다 넓은 범위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플러그 셸 평면(123)은, 당해 셸 평면으로부터 긴쪽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고, 상대 커넥터인 리셉터클 커넥터(200)과의 끼워맞춤 방향(Z축 방향의 Z2측)으로 굽혀 형성되고, 커넥터끼리의 끼워맞춤 시에 상대 커넥터인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상대 셸 평면(리셉터클 셸 평면(223))에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탄성을 갖는 접촉편인 접촉부(127)를 구비한다(도 8 중의 화살표). 플러그 커넥터(100)와 리셉터클 커넥터(200)가 끼워맞춤된 상태에 있어서, 적어도 접촉부(127)를 통하여, 플러그 셸(120)과 리셉터클 셸(220)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접촉부(127)는, 접촉편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커넥터끼리의 끼워맞춤 시에, 전기적인 접속을 유지할 수 있는 구성이면 좋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접촉부(127)는, 끼워맞춤 오목부(112)의 양측에 긴쪽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재한 플러그 셸 평면(123)의 각각에 2개 형성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편측(Y1측 또는 Y2측)의 플러그 셸 평면(123)에 1개만, 또는 3개 이상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접촉부(127)는, 플러그 셸 평면(123)이 아니라, 리셉터클 셸(220)의 리셉터클 셸 평면(223)에 형성할 수 있다. 즉, 접촉부(127)는, 플러그 셸 평면(123) 및 리셉터클 셸 평면(223) 중 한쪽의 셸 평면에, 1개 이상 형성하여, 다른 한쪽의 셸 평면과 접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접촉부(127)는, 플러그 셸 평면(123) 및 리셉터클 셸 평면(223)의 양쪽에 형성할 수도 있다.
접촉부(127)는, 일 예로서, 탄성을 갖는 접촉편으로 할 수 있고, 커넥터끼리의 끼워맞춤 시에 상대 셸 평면인 리셉터클 셸 평면(223)과 접촉하여 압하되도록 구성된다. 접촉부(127)를 구비한 플러그 셸 평면(123)을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100)는, 칸막이(103) 부근의 제1 플러그 측벽(118)을 제거하여 형성된, 상대 셸 평면에 의해 압하된 접촉부(127)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갖는다. 리셉터클 셸 평면(223)에 접촉부를 형성한 경우도 동일한 구성이다.
다시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플러그 셸 평면(123)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128)를 포함하고, 플러그 커넥터(100)와 리셉터클 커넥터(200)이 끼워맞춤된 상태에 있어서, 돌출부(128)는 상대 커넥터인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리셉터클 셸 평면(223)에 접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도 8 중의 화살표). 돌출부(128)는, 플러그 셸 평면(123)이 아니라, 리셉터클 셸(220)의 리셉터클 셸 평면(223)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28)는, 플러그 셸 평면(123) 및 리셉터클 셸 평면(223)의 양쪽에 형성할 수도 있다.
플러그 셸(120)은, 플러그 하우징(110)의 짧은쪽 방향(Y축 방향)의 측벽을 따라 연재하는 제1 플러그 하우징 지지부(124) 및 제2 플러그 하우징 지지부(126)로 이루어지는 플러그 하우징 지지부를 양측(X1측과 X2측)에 1개씩 구비한다. 제1 플러그 하우징 지지부(124)는, 제2 플러그 측벽(119)에 형성되고, 제2 플러그 하우징 지지부(126)는, 제2 끼워맞춤 측벽(116)에 형성된다. 플러그 셸 접속부(125)는, 제1 플러그 하우징 지지부(124)와 제2 플러그 하우징 지지부(126)에 끼워진 부분이다. 플러그 커넥터(100)와 리셉터클 커넥터(200)가 끼워맞춤된 상태에 있어서, 제1 플러그 하우징 지지부(124)와 제2 플러그 하우징 지지부(126)와의 사이에, 제1 리셉터클 하우징 지지부(224)가 끼워 넣어짐으로써, 플러그 셸(120)과 리셉터클 셸(220)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플러그 하우징 지지부(124) 및 제2 플러그 하우징 지지부(126)로 이루어지는 플러그 하우징 지지부는, 짧은쪽 방향(Y축 방향)의 측벽을 따라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플러그 하우징에 의해 보유지지된다면, 임의의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제1 플러그 하우징 지지부(124), 플러그 셸 접속부(125) 및 제2 플러그 하우징 지지부(126)는, 제2 플러그 실드(122)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끼워맞춤 오목부(112)를 향하여 연장 돌출된 부분에 형성된다. 플러그 셸 접속부(125)는, 플러그 하우징(110)의 짧은쪽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재하는 제2 플러그 측벽(119)과 제2 끼워맞춤 측벽(116)과의 사이, 구체적으로는, 플러그 하우징(110)의 제2 플러그 측벽(119)에 형성된 제1 플러그 하우징 지지부(124)와 제2 끼워맞춤 측벽(116)에 형성된 제2 플러그 하우징 지지부(126)와의 사이에 위치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서는, 플러그 셸 접속부(125)의 형상은 오목 형상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볼록 형상의 형상이라도 좋고,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리셉터클 하우징 지지부(224, 225)와 끼워맞춤 가능하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좋다.
리셉터클 커넥터(200)는,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230)와,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230)를 보유지지하는 리셉터클 하우징(210)과, 리셉터클 하우징(210)에 보유지지되는 리셉터클 셸(220)을 구비한다. 리셉터클 커넥터(200)는, 장방형 형상의 리셉터클 하우징(210)의 중앙 부분에, 긴쪽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재하는 볼록 형상의 끼워맞춤 볼록부(212)를 구비하고, 끼워맞춤 볼록부(212)의 짧은쪽 방향(Y축 방향)의 양측(Y1 및 Y2측)에는,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230)를 각각 보유지지하는 제1 리셉터클 측벽(214)을 구비한다.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230)는, 인청동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리셉터클 하우징(210)의 긴쪽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2개의 제1 리셉터클 측벽(214)에 각각 형성되어, 등간격으로 배열된다.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리셉터클 단자(230)는, 끼워맞춤 볼록부(212)측에,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맞춤 방향(Z축 방향)으로 연재하는 자유단이고 탄성을 갖는 가동부(237)를 포함한다. 가동부(237)는, 플러그 단자(130)의 내측 고정부(133)와 접촉하는 접촉부(238)와, 접촉부(238)보다도 단에 있고 끼워맞춤 볼록부(212)측을 향한 가동 단부(239)를 갖는다. 또한, 리셉터클 단자(230)는,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긴쪽 방향(X축 방향)의 제1 리셉터클 측벽(214)에 보유지지되는 정부(234)와, 정부(234)를 중심으로 상하 반대의 U자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을 구성하는 다리부(233) 및 고정부(235)를 포함하고, 고정부(235)는, 가동부(237)와 함께, 저부(236)를 중심으로 U자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을 구성한다.
리셉터클 단자(230)는, 기판에 실장되는 측(Z2측)에, 다리부(233)로부터 만곡한 부분을 거쳐,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짧은쪽 방향(Y축 방향) 외측(다리부(233)가 Y1측에 있으면 Y1측, 다리부(233)가 Y2측에 있으면 Y2측)에 연재하고, 기판에 실장되는(납땜되는) 실장부(232)를 갖는다.
실장부(232)의 단부인 실장 단부(231)는, 제1 리셉터클 실드(221)와 마주본다. 리셉터클 하우징(210)의 한쪽의 측(예를 들면 Y1측)의 제1 리셉터클 측벽(214)에서 보유지지되는 리셉터클 단자(230)의 실장 단부(231)는, 동일한 측(Y1측)의 제1 리셉터클 실드(221)와 마주보고, 리셉터클 하우징(210)의 다른 한쪽의 측(예를 들면 Y2측)의 제1 리셉터클 측벽(214)에서 보유지지되는 리셉터클 단자(230)의 실장 단부(231)는, 동일한 측(Y2측)의 제1 리셉터클 실드(221)와 마주본다.
리셉터클 단자(230)와 리셉터클 하우징(210)의 인서트 성형에 의해, 리셉터클 단자(230)는, 저부(236), 고정부(235), 정부(234) 및 다리부(233)에서, 리셉터클 하우징(210)의 긴쪽 방향(X축 방향)의 제1 리셉터클 측벽(214) 및 그의 주변 부분에서 보유지지된다. 제1 리셉터클 측벽(214)으로부터 노출된 상하 반대의 U자 형상 부분의 표면이, 제1 리셉터클 측벽(214)의 표면과 동일한 면을 이루도록, 리셉터클 단자(230)의 정부(234)의 이면(제1 리셉터클 측벽(214)에 대향하는 면)과, 고정부(235)의 이면(다리부(233)에 대향하는 면)과, 다리부(233)의 이면(고정부(235)에 대향하는 면)이, 제1 리셉터클 측벽(214)에 매입되어 보유지지된다.
리셉터클 단자(230)의 가동부(237)는, 고정부(235)측으로 돌출시켜 형성된 접촉부(238)를 선단 부분에 갖고, 접촉부(238)는, 플러그 커넥터(100)와의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 플러그 단자(130)의 내측 고정부(133)와 접압을 갖고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단자(230)의 고정부(235)는, 가동부(237)측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접촉 볼록부(229)가, 플러그 커넥터(100)와의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 플러그 단자(130)의 오목 형상의 접촉부(136)와 접압을 갖고 접촉할 수 있다.
제1 리셉터클 측벽(214)은,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긴쪽 방향(X축 방향)을 따라 2열 형성되고, 끼워맞춤 볼록부(212)는, 그들 2열의 제1 리셉터클 측벽(214)의 사이에 형성된다. 즉, 끼워맞춤 볼록부(212)는, 긴쪽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재하는 제1 리셉터클 측벽(214) 및 짧은쪽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재하는 제2 리셉터클 측벽(216)으로 둘러싸여 형성된다.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리셉터클 하우징(210)은, 동일한 간격으로 긴쪽 방향(X축 방향)으로 2열로 배열한 동일한 형상의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230)와 함께 인서트 성형(일체 성형)되어,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230)를 보유지지할 수 있다.
외부 도체 셸인 리셉터클 셸(220)은, 리셉터클 하우징(210)의 긴쪽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판 형상의 제1 리셉터클 실드(221)와, 리셉터클 하우징(210)의 짧은쪽 방향(Y축 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제2 리셉터클 실드(222)를 갖는다. 리셉터클 셸(220)은, 제1 리셉터클 실드(221)를 양측(Y1측과 Y2측)에 구비하고, 제1 리셉터클 실드(221)는, 리셉터클 하우징(210)의 칸막이(仕切; 203)(리셉터클 셸(220)의 절목)로 분할되어 있다. 제1 리셉터클 실드(221)는, 편측(Y1측 또는 Y2측)으로 분할된 2매로 형성되어 있지만, 1매의 실드로 형성해도 좋고, 추가로 분할하여 복수매로 하여 형성해도 좋다. 제1 리셉터클 실드(221)는, X-Z 평면과 평행한 면을 갖고, 긴쪽 방향(X축 방향)에 있어서 끼워맞춤 볼록부(212)보다 넓은 범위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리셉터클 셸(220)은, 제1 리셉터클 실드(221) 외에, 제2 리셉터클 실드(222)를 포함하고, 리셉터클 하우징(210)의 짧은쪽 방향(Y축 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판 형상의 제2 리셉터클 실드(222)를 양측(X1측과 X2측)에 1매씩 구비한다. 제2 리셉터클 실드(222)는, 편측(Y1측 또는 Y2측)에 1매로 형성되어 있지만, 1매의 실드를 분할하여 복수매로 하여 형성해도 좋다. 제1 리셉터클 실드(221)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기판의 그라운드부(도시하지 않음)에 실장하기 위한 리셉터클 셸 실장부(204, 205)가 형성되고, 제2 리셉터클 실드(222)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기판의 그라운드부(도시하지 않음)에 실장하기 위한 리셉터클 셸 실장부(206)가 형성된다. 리셉터클 셸 실장부(204, 205, 206)의 각각은, 리셉터클 셸(220)을 그라운드 전위(접지 전위)로 할 수 있다. 제2 리셉터클 실드(222)는, Y-Z 평면과 평행한 면을 갖고, 짧은쪽 방향(Y축 방향)에 있어서 끼워맞춤 볼록부(212)보다 넓은 범위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100)와 리셉터클 커넥터(200)가 끼워맞춤된 상태에 있어서, 리셉터클 셸(220)은, 상대 외부 도체 셸인 플러그 셸(120)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리셉터클 하우징(210)의 끼워맞춤 볼록부(212)의 주위를 둘러싸는 제1 리셉터클 측벽(214) 및 제2 리셉터클 측벽(216)은, 추가로, 제1 리셉터클 실드(221) 및 제2 리셉터클 실드(222)에 의해 제1 간격(215) 및 제2 간격(217)을 두고 둘러싸인다. 제1 간격(215)은, 리셉터클 하우징(210)의 제1 리셉터클 측벽(214)에서 제1 리셉터클 실드(221)까지의 간격이고, 제2 간격(217)은, 리셉터클 하우징(210)의 제2 리셉터클 측벽(216)에서 제2 리셉터클 실드(222)까지의 간격이다. 제1 리셉터클 측벽(214)과 제1 리셉터클 실드(221)는 평행이고, 제2 리셉터클 측벽(216)과 제2 리셉터클 실드(222)는 평행이기 때문에, 제1 간격(215) 및 제2 간격(217)은, 각각 일정한 값이다. 제1 리셉터클 실드(221)은, 리셉터클 하우징(210)으로부터 노출된,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230)와 짧은쪽 방향(Y축 방향)에서 동일한 간격을 두고 대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230)의 각각의 다리부(233)(도 8 참조)와 짧은쪽 방향(Y축 방향)에서 동일한 간격을 두고 대향한다.
리셉터클 셸(220)은, 리셉터클 하우징(210)의 긴쪽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리셉터클 셸 평면(223)을 양측(Y1측과 Y2측)에 구비한다. 제1 리셉터클 실드(221)는, 리셉터클 셸 평면(223)에 대하여 직각으로 절곡된 리셉터클 셸(220)의 가장자리 부분이다. 외부 도체 셸인 리셉터클 셸(220)은, 리셉터클 셸 평면(223)에 있어서 2개의 절목(리셉터클 하우징(210)의 칸막이(203))을 갖고, 당해 2개의 절목(리셉터클 하우징(210)의 칸막이(203))은, 끼워맞춤 방향(Z축 방향)의 중심 축에 대하여 점대칭의 위치에 있다.
리셉터클 셸 평면(223)은, X-Y 평면 상에 끼워맞춤 볼록부(212)의 양측(Y1측, Y2측)의 제1 리셉터클 측벽(214)을 따라 긴쪽 방향으로 연재하고, 커넥터끼리의 끼워맞춤 시에 상대 커넥터인 플러그 커넥터(100)의 상대 셸 평면(플러그 셸 평면(123))에 대향한다. 리셉터클 셸 평면(223)은, 편측(Y1측 또는 Y2측)에서, 리셉터클 하우징(210)의 칸막이(203)(리셉터클 셸(220)의 절목)로 분할된 2매로 형성되어 있지만, 1매의 셸 평면으로 형성해도 좋고, 추가로 분할하여 복수매로 하여 형성해도 좋다. 리셉터클 셸 평면(223)은, X-Y 평면과 평행한 면을 갖고, 긴쪽 방향(X축 방향)에 있어서 끼워맞춤 볼록부(212)보다 넓은 범위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리셉터클 셸(220)은, 리셉터클 하우징(210)의 짧은쪽 방향(Y축 방향)의 측벽을 따라 연재하는 제1 리셉터클 하우징 지지부(224) 및 제2 리셉터클 하우징 지지부(225)로 이루어지는 플러그 하우징 지지부를 양측(X1측과 X2측)에 1개씩 구비한다. 제1 리셉터클 하우징 지지부(224)는, 제2 리셉터클 측벽(216)에 형성되고, 제2 리셉터클 하우징 지지부(225)는, 끼워맞춤 볼록부(212)에 형성된다. 리셉터클 셸 접속부(213)는, 제1 리셉터클 하우징 지지부(224)와 제2 리셉터클 하우징 지지부(225)에 끼워진 부분이다. 플러그 커넥터(100)와 리셉터클 커넥터(200)가 끼워맞춤된 상태에 있어서, 제1 리셉터클 하우징 지지부(224)와 제2 리셉터클 하우징 지지부(225)와의 사이에, 제2 플러그 하우징 지지부(126)가 끼워 넣어짐으로써, 리셉터클 셸(220)과 플러그 셸(120)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리셉터클 하우징 지지부(224) 및 제2 리셉터클 하우징 지지부(225)로 이루어지는 리셉터클 하우징 지지부는, 짧은쪽 방향(Y축 방향)의 측벽을 따라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리셉터클 하우징에 의해 보유지지된다면, 임의의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제1 리셉터클 하우징 지지부(224), 리셉터클 셸 접속부(213) 및 제2 리셉터클 하우징 지지부(225)는, 제2 리셉터클 실드(222)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끼워맞춤 볼록부(212)를 향하여 연장 돌출된 부분에 형성된다. 리셉터클 셸 접속부(213)는, 리셉터클 하우징(210)의 짧은쪽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재하는 제2 리셉터클 측벽(216)과 끼워맞춤 볼록부(212)와의 사이, 구체적으로는, 리셉터클 하우징(210)의 제2 리셉터클 측벽(216)에 형성된 제1 리셉터클 하우징 지지부(224)와 끼워맞춤 볼록부(212)에 형성된 제2 리셉터클 하우징 지지부(225)와의 사이에 위치한다. 도 3및 도 4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서는, 리셉터클 셸 접속부(213)의 형상은 오목 형상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볼록 형상의 형상이라도 좋고, 플러그 커넥터(100)의 플러그 하우징 지지부(124, 126)와 끼워맞춤 가능하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좋다.
제1 리셉터클 하우징 지지부(224)는, 제2 플러그 하우징 지지부(126)와의 접촉면에, 돌출된 접점(226)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그 외의 하우징 지지부인 제2 리셉터클 하우징 지지부(225), 제1 플러그 하우징(124), 제2 플러그 하우징(126)에도, 동일하게, 상대측의 지지부와의 접촉면에,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접점(228)을 구비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플러그 셸(120)은, 제1 플러그 측벽(118)과 제2 플러그 측벽(119)이 교차하는 모서리 부분 근방의 제1 플러그 측벽(118)에 형성된 플러그 측벽 접속부(129)를 포함하고, 도 3 및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셸(220)은, 제1 리셉터클 측벽(214)과 제2 리셉터클 측벽(216)이 교차하는 모서리 부분 근방의 제1 리셉터클 측벽(214)에 형성된 리셉터클 측벽 접속부(227)를 포함한다. 도 9도 함께 참조하면, 플러그 커넥터(100)와 리셉터클 커넥터(200)가 끼워맞춤된 상태에 있어서, 플러그 측벽 접속부(129)와 리셉터클 측벽 접속부(227)가 접촉함으로써, 플러그 셸(120)과 리셉터클 셸(220)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리셉터클 측벽 접속부(227)는, 플러그 측벽 접속부(129)와의 접촉면에,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접점(228)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측벽 접속부(129)에도, 동일하게, 리셉터클 측벽 접속부(227)와의 접촉면에,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접점(228)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 도 3 및 도 9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플러그 하우징(110)은, 제1 플러그 실드(121)를 덮은 제1 플러그 외벽(101)과, 제2 플러그 실드(122)를 덮은 제2 플러그 외벽(102)을 포함하고, 플러그 셸 실장부(104, 105)는, 제1 플러그 외벽(101)으로부터 노출되고, 플러그 셸 실장부(106)은, 제2 플러그 외벽(102)으로부터 노출된다. 리셉터클 하우징(210)은, 제1 리셉터클 실드(221)를 덮은 제1 리셉터클 외벽(201)과, 제2 리셉터클 실드(222)를 덮은 제2 리셉터클 외벽(202)을 포함하고, 리셉터클 셸 실장부(204, 205)는, 제1 리셉터클 외벽(201)으로부터 노출되고, 리셉터클 셸 실장부(206)는, 제2 리셉터클 외벽(202)으로부터 노출된다.
도 7을 참조하면, 플러그 셸 실장부(104)는, 짧은쪽 방향(Y축 방향)으로부터 보면, 플러그 단자(130)의 실장부(132)의 사이에 배치되고, 리셉터클 셸 실장부(204)는, 리셉터클 단자(230)의 실장부(232)의 사이에 배치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의 범위에 있어서는, 커넥터 장치에 포함되는 2개의 커넥터를 구별하기 위해,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라고 부르고, 각각의 부재 또는 부품 등을, 플러그 하우징과 리셉터클 하우징, 플러그 단자와 리셉터클 단자, 플러그 셸과 리셉터클 셸, 플러그 실드와 리셉터클 실드, 플러그 셸 평면과 리셉터클 셸 평면이라고 부르고 있지만, 커넥터의 형상으로 구별하지 않고 부르는 경우에는, 플러그 및 리셉터클이라는 표현을 생략하여, 간단히 커넥터, 하우징, 단자, 셸(또는 외부 도체 셸), 실드, 셸 평면 등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
또한, 커넥터의 형상으로 구별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1 끼워맞춤 측벽과 제1 리셉터클 측벽, 제2 끼워맞춤 측벽과 제2 리셉터클 측벽, 제1 플러그 외벽과 제1 리셉터클 외벽, 제2 플러그 외벽과 제2 리셉터클 외벽, 끼워맞춤 오목부와 끼워맞춤 볼록부를, 간단히, 제1 측벽, 제2 측벽, 제1 외벽, 제2 외벽, 끼워맞춤부라고 부르기로 하고, 제1 플러그 하우징 지지부와 제1 리셉터클 하우징 지지부, 제2 플러그 하우징 지지부와 제2 리셉터클 하우징 지지부, 플러그 측벽 접속부와 리셉터클 측벽 접속부를, 간단히, 제1 지지부, 제2 지지부, 측벽 접속부라고 부르기로 한다. 제1 플러그 하우징 지지부와 제2 플러그 하우징 지지부, 제1 리셉터클 하우징 지지부와 제2 리셉터클 하우징 지지부,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 등은, 제1 및 제2를 생략하여, 단지 플러그 하우징 지지부, 리셉터클 하우징 지지부, 지지부 등이라고 부르는 일도 있다.
또한, 제1 플러그 실드 및 제1 리셉터클 실드를, 각각 간단히 플러그 실드, 리셉터클 실드라고도 부르고, 커넥터의 형상으로 구별하지 않는 경우에는, 간단히 실드라고 부른다. 커넥터의 형상으로 구별하지 않는 경우에는, 커넥터와 끼워맞춤되는 상대측의 커넥터를 상대 커넥터라고 부르고, 커넥터의 셸 평면, 외부 도체 셸, 측벽 접속부, 등에 대응하는, 상대 커넥터의 구성을, 상대 셸 평면, 상대 외부 도체 셸 등이라고도 부른다.
도 1 내지 도 9에 나타낸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하나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 장치 및 커넥터는, 커넥터끼리의 끼워맞춤 시에, 서로 대향하는 플러그 셸 평면(123) 및 리셉터클 셸 평면(223) 중 한쪽의 셸 평면으로부터 다른 한쪽의 셸 평면측으로 연장 돌출된 접촉부(127)에 의해, 양 평면이 서로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플러그 셸(120)과 리셉터클 셸(220)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플러그 커넥터(100)의 플러그 단자(130)의 전자 차폐를 행하는 제1 플러그 실드(121)와,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리셉터클 단자(230)의 전자 차폐를 행하는 제1 리셉터클 실드(221)와의 사이의 전위차를 실질적으로 없애, 충분한 전자 차폐 작용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100)와 리셉터클 커넥터(200)가 끼워맞춤된 상태에 있어서, 제1 플러그 하우징 지지부(124)와 제2 플러그 하우징 지지부(126)와의 사이에, 제1 리셉터클 하우징 지지부(224)가 끼워 넣어지고, 제1 리셉터클 하우징 지지부(224)와 제2 리셉터클 하우징 지지부(225)와의 사이에, 제2 플러그 하우징 지지부(126)가 끼워 넣어지고, 또한, 플러그 측벽 접속부(129)와 리셉터클 측벽 접속부(227)가 접촉함으로써, 플러그 셸(120)과 리셉터클 셸(220)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1 플러그 실드(121)와, 제1 리셉터클 실드(221)와의 사이의 전위차를 실질적으로 없애, 동일한 전자 차폐 작용을 얻을 수 있다.
도 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00)에서는, 실장 단부(131)와 제1 플러그 실드(121)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서 제1 간격(115)을 통하여, 실장 단부(131)와 제1 플러그 실드(121)가 마주봄으로써, 실장부(132) 부근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를 차폐하고, 당해 전자파가 플러그 커넥터(100)의 외부로 새는 것을 확실히 차폐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리셉터클 커넥터(200)에서는, 실장 단부(231)와 제1 리셉터클 실드(221)와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서 제1 간격(215)을 통하여, 실장 단부(231)와 제1 리셉터클 실드(221)가 마주봄으로써, 실장부(232) 부근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를 차폐하여, 당해 전자파가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외부로 새는 것을 확실히 차폐할 수 있다. 즉, 플러그 단자(130) 및 리셉터클 단자(230)에 고주파의 동축 신호나 차동 신호를 전송한 경우라도, 커넥터 장치로부터 전자파가 새는 일이 없어, 충분한 전자 차폐 작용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장치 및 커넥터는, 짧은쪽 방향(Y축 방향)으로 플러그 실드와 리셉터클 실드를 겹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커넥터의 소형화를 저해하는 실드의 내외 이중 구조를 회피할 수 있어, 기판에 있어서의 커넥터의 점유 면적을 보다 작게 하여, 고밀도 실장화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별의 실시 형태, 변형예 등은, 독립적인 것이 아니고, 각각 조합하여 적절히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전기 신호의 고속 전송을 행하는 스마트 폰, 휴대 전화 등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 기판 간을 플랫 케이블로 접속하는 등의 용도에 이용할 수 있다.
10 : 플러그측 기판
20 : 리셉터클측 기판
100 : 플러그 커넥터
101 : 제1 플러그 외벽
102 : 제2 플러그 외벽
103 : 칸막이
104 : 플러그 셸 실장부
105 : 플러그 셸 실장부
106 : 플러그 셸 실장부
107 : 접촉부
110 : 플러그 하우징
112 : 끼워맞춤 오목부
114 : 제1 끼워맞춤 측벽
115 : 제1 간격
116 : 제2 끼워맞춤 측벽
117 : 제2 간격
118 : 제1 플러그 측벽
119 : 제2 플러그 측벽
120 : 플러그 셸
121 : 제1 플러그 실드
122 : 제2 플러그 실드
123 : 플러그 셸 평면
124 : 제1 플러그 하우징 지지부
125 : 플러그 셸 접속부
126 : 제2 플러그 하우징 지지부
127 : 접촉부
128 : 돌출부
129 : 플러그 측벽 접속부
130 : 플러그 단자
131 : 실장 단부
132 : 실장부
133 : 내측 고정부
134 : 정부
135 : 외측 고정부
136 : 접촉 오목부
200 : 리셉터클 커넥터
201 : 제1 리셉터클 외벽
202 : 제2 리셉터클 외벽
203 : 칸막이
204 : 리셉터클 셸 실장부
205 : 리셉터클 셸 실장부
206 : 리셉터클 셸 실장부
210 : 리셉터클 하우징
212 : 끼워맞춤 볼록부
213 : 리셉터클 셸 접속부
214 : 제1 리셉터클 측벽
215 : 제1 간격
216 : 제2 리셉터클 측벽
217 : 제2 간격
220 : 리셉터클 셸
221 : 제1 리셉터클 실드
222 : 제2 리셉터클 실드
223 : 리셉터클 셸 평면
224 : 제1 리셉터클 하우징 지지부
225 : 제2 리셉터클 하우징 지지부
226 : 접점
227 : 리셉터클 측벽 접속부
228 : 접점
229 : 접촉 볼록부
230 : 리셉터클 단자
231 : 실장 단부
232 : 실장부
233 : 다리부
234 : 정부
235 : 고정부
236 : 저부
237 : 가동부
238 : 접촉부
239 : 가동 단부

Claims (21)

  1. 복수의 플러그 단자와, 긴쪽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플러그 단자를 보유지지(保持)하는 플러그 하우징과,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보유지지되는 플러그 셸을 구비하는 플러그 커넥터와,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와, 긴쪽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를 보유지지하는 리셉터클 하우징과,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에 보유지지되는 리셉터클 셸을 구비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셸은, 커넥터끼리의 끼워맞춤 시에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향하는 플러그 셸 평면과,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긴쪽 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판 형상의 제1 플러그 실드와,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짧은쪽 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판 형상의 제2 플러그 실드와,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보유지지되는 플러그 하우징 지지부와, 기판의 그라운드 전위에 접속되는 플러그 셸 실장부를 갖고,
    상기 제1 플러그 실드는, 상기 복수의 플러그 단자의 각각과 짧은쪽 방향에서 대향하고,
    상기 리셉터클 셸은, 커넥터끼리의 끼워맞춤 시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대향하는 리셉터클 셸 평면과,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긴쪽 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판 형상의 제1 리셉터클 실드와,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짧은쪽 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판 형상의 제2 리셉터클 실드와,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에 보유지지되는 리셉터클 하우징 지지부와, 기판의 그라운드 전위에 접속되는 리셉터클 셸 실장부를 갖고,
    상기 제1 리셉터클 실드는, 상기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의 각각과 짧은쪽 방향에서 대향하고,
    상기 플러그 셸 평면 및 상기 리셉터클 셸 평면 중 한쪽의 셸 평면은, 당해 셸 평면으로부터 연장 돌출되고,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맞춤 방향으로 굽혀 형성되고, 커넥터끼리의 끼워맞춤 시에 다른 한쪽의 셸 평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가 끼워맞춤된 상태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접촉부를 통하여, 상기 플러그 셸과 상기 리셉터클 셸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탄성을 갖는 접촉편이고, 커넥터끼리의 끼워맞춤 시에 상기 다른 한쪽의 셸 평면과 접촉하여 압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접촉부를 구비한 상기 한쪽의 셸 평면을 포함하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 및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 중 한쪽의 커넥터는, 압하된 상기 접촉부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갖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셸 평면 또는 상기 리셉터클 셸 평면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가 끼워맞춤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대 커넥터의 셸 평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긴쪽 방향으로 연재하는 제1 끼워맞춤 측벽 및 짧은쪽 방향으로 연재하는 제2 끼워맞춤 측벽으로 둘러싸인 끼워맞춤 오목부 및, 상기 제1 끼워맞춤 측벽 및 상기 제2 끼워맞춤 측벽을 둘러싸는, 긴쪽 방향으로 연재하는 제1 플러그 측벽과 짧은쪽 방향으로 연재하는 제2 플러그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 지지부는, 상기 제2 플러그 측벽에 형성된 제1 플러그 하우징 지지부와 상기 제2 끼워맞춤 측벽에 형성된 제2 플러그 하우징 지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은, 긴쪽 방향으로 연재하는 제1 리셉터클 측벽 및 짧은쪽 방향으로 연재하는 제2 리셉터클 측벽으로 둘러싸인 끼워맞춤 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 지지부는, 상기 제2 리셉터클 측벽에 형성된 제1 리셉터클 하우징 지지부와 상기 끼워맞춤 볼록부에 형성된 제2 리셉터클 하우징 지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가 끼워맞춤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러그 하우징 지지부와 상기 제2 플러그 하우징 지지부와의 사이에, 상기 제1 리셉터클 하우징 지지부가 끼워 넣어지고, 상기 제1 리셉터클 하우징 지지부와 상기 제2 리셉터클 하우징 지지부와의 사이에, 상기 제2 플러그 하우징 지지부가 끼워 넣어짐으로써, 상기 플러그 셸과 상기 리셉터클 셸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셸은, 상기 제1 플러그 측벽과 상기 제2 플러그 측벽이 교차하는 모서리 부분 근방의 상기 제1 플러그 측벽에 형성된 플러그 측벽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 셸은, 상기 제1 리셉터클 측벽과 상기 제2 리셉터클 측벽이 교차하는 모서리 부분 근방의 상기 제1 리셉터클 측벽에 형성된 리셉터클 측벽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가 끼워맞춤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측벽 접속부와 상기 리셉터클 측벽 접속부가 접촉함으로써, 상기 플러그 셸과 상기 리셉터클 셸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상기 제1 플러그 실드를 덮은 제1 플러그 외벽과, 상기 제2 플러그 실드를 덮은 제2 플러그 외벽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셸 실장부는, 상기 제1 플러그 외벽 또는 상기 제2 플러그 외벽으로부터 노출되고,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은, 상기 제1 리셉터클 실드를 덮은 제1 리셉터클 외벽과 상기 제2 리셉터클 실드를 덮은 제2 리셉터클 외벽을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 셸 실장부는, 상기 제1 리셉터클 외벽 또는 상기 제2 리셉터클 외벽으로부터 노출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플러그 단자는, 상기 제1 끼워맞춤 측벽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1 플러그 실드는, 상기 복수의 플러그 단자가 형성된 상기 제1 끼워맞춤 측벽과 동일한 간격을 두고 짧은쪽 방향에서 대향하고,
    상기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는, 상기 제1 리셉터클 측벽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1 리셉터클 실드는, 상기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가 형성된 상기 제1 리셉터클 측벽과 동일한 간격을 두고 짧은쪽 방향에서 대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러그 실드는, 상기 플러그 셸 평면에 대하여 직각으로 절곡된 상기 플러그 셸의 가장자리 부분이고,
    상기 제1 리셉터클 실드는, 상기 리셉터클 셸 평면에 대하여 직각으로 절곡된 상기 리셉터클 셸의 가장자리 부분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셸 평면은,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의 양측에 긴쪽 방향으로 연재하고,
    상기 리셉터클 셸 평면은, 상기 끼워맞춤 볼록부의 양측에 긴쪽 방향으로 연재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의 양측에 긴쪽 방향으로 연재한 상기 플러그 셸 평면의 각각에 2개 형성되고, 또는, 상기 끼워맞춤 볼록부의 양측에 긴쪽 방향으로 연재한 상기 리셉터클 셸 평면의 각각에 2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셸은, 상기 플러그 셸 평면에 있어서 2개의 절목(切目)을 갖고, 상기 2개의 절목은, 끼워맞춤 방향의 중심축에 대하여 점대칭의 위치에 있고,
    상기 리셉터클 셸은, 상기 리셉터클 셸 평면에 있어서 2개의 절목을 갖고, 상기 2개의 절목은, 끼워맞춤 방향의 중심축에 대하여 점대칭의 위치에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11. 복수의 단자와, 긴쪽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단자를 보유지지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보유지지되는 외부 도체 셸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도체 셸은, 끼워맞춤 시에 상대 커넥터에 대향하는 셸 평면과, 상기 하우징의 긴쪽 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판 형상의 제1 실드와, 상기 하우징의 짧은쪽 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판 형상의 제2 실드와, 상기 하우징에 보유지지되는 지지부와, 기판의 그라운드 전위에 접속되는 셸 실장부를 갖고,
    상기 제1 실드는, 상기 복수의 단자의 각각과 짧은쪽 방향에서 대향하고,
    상기 셸 평면은, 당해 셸 평면으로부터 연장 돌출되고,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맞춤 방향으로 굽혀 형성되고, 커넥터끼리의 끼워맞춤 시에 상기 상대 커넥터의 상대 셸 평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대 커넥터와 끼워맞춤된 상태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접촉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 도체 셸은, 상기 상대 커넥터의 상대 외부 도체 셸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탄성을 갖는 접촉편이고, 커넥터끼리의 끼워맞춤 시에 상기 상대 커넥터의 상대 셸 평면과 접촉하여 압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커넥터는, 압하된 상기 접촉부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갖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셸 평면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대 커넥터가 끼워맞춤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상대 커넥터의 상기 상대 셸 평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4.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끼워맞춤부와, 상기 끼워맞춤부를 둘러싸는, 긴쪽 방향으로 연재하는 제1 측벽과 짧은쪽 방향으로 연재하는 제2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 측벽에 형성된 제1 지지부와 상기 끼워맞춤부에 형성된 제2 지지부로 이루어지고,
    상대 커넥터와 끼워맞춤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와의 사이에, 상기 상대 커넥터의 상대 지지부가 끼워 넣어짐으로써, 상기 외부 도체 셸은, 상기 상대 커넥터의 상대 외부 도체 셸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도체 셸은,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이 교차하는 모서리 부분 근방의 상기 제1 측벽에 형성된 측벽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대 커넥터와 끼워맞춤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측벽 접속부는, 상기 상대 커넥터의 상대 측벽 접속부에 접촉하고, 상기 외부 도체 셸은, 상기 상대 커넥터의 상대 외부 도체 셸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6.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실드를 덮은 제1 외벽과, 상기 제2 실드를 덮은 제2 외벽을 포함하고,
    상기 셸 실장부는, 상기 제1 외벽 또는 상기 제2 외벽으로부터 노출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자는, 상기 제1 측벽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1 실드는, 상기 복수의 단자가 형성된 상기 제1 측벽과 동일한 간격을 두고 짧은쪽 방향에서 대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8.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드는, 상기 셸 평면에 대하여 직각으로 절곡된 상기 외부 도체 셸의 가장자리 부분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셸 평면은, 상기 끼워맞춤부의 양측에 긴쪽 방향으로 연재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끼워맞춤부의 양측에 긴쪽 방향으로 연재한 셸 평면의 각각에 2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0.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도체 셸은, 상기 셸 평면에 있어서 2개의 절목을 갖고,
    상기 2개의 절목은, 끼워맞춤 방향의 중심축에 대하여 점대칭의 위치에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1.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리셉터클 커넥터 또는 플러그 커넥터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200118456A 2019-10-16 2020-09-15 커넥터 및 커넥터 장치 KR1025848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89097 2019-10-16
JP2019189097A JP7214609B2 (ja) 2019-10-16 2019-10-16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5307A true KR20210045307A (ko) 2021-04-26
KR102584892B1 KR102584892B1 (ko) 2023-10-04

Family

ID=75403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8456A KR102584892B1 (ko) 2019-10-16 2020-09-15 커넥터 및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239612B2 (ko)
JP (1) JP7214609B2 (ko)
KR (1) KR102584892B1 (ko)
CN (2) CN112670770B (ko)
TW (1) TWI776207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2835A (ko) * 2021-05-10 2022-11-17 주식회사 센서뷰 Rf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하는 디바이스 연결 방법
KR20230158306A (ko) * 2022-05-11 2023-11-20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전기 커넥터
KR20230172872A (ko) * 2022-06-16 2023-12-26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전기 커넥터
KR20240137153A (ko) 2023-03-07 2024-09-20 주식회사 센서뷰 Rf 플러그커넥터, rf 리셉터클커넥터 및 rf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02129A1 (ja) * 2019-07-04 2021-01-07 I-Pex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7388901B2 (ja) * 2019-12-10 2023-11-29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US11495919B2 (en) * 2020-05-13 2022-11-0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assembly in which ground terminals are coupled to form a shielding
US11652323B2 (en) * 2020-05-13 2023-05-16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a connector encolsed by a shell and a mating connector enclosed by a mating shell
JP7417481B2 (ja) * 2020-06-29 2024-01-1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7484062B2 (ja) * 2020-08-17 2024-05-1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基板接続コネクタ
CN115377759A (zh) * 2021-05-17 2022-11-22 日本航空电子工业株式会社 连接器和连接器组装体
JP2022176435A (ja) * 2021-05-17 2022-11-3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CN217306840U (zh) * 2021-05-17 2022-08-26 日本航空电子工业株式会社 连接器和连接器组装体
WO2023053037A1 (en) * 2021-09-28 2023-04-06 Te Connectivity Solutions Gmbh Electrical connector system
JP2024071287A (ja) * 2022-11-14 2024-05-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コネクタアセンブリ、接続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6023A (ja) * 2004-11-26 2006-06-15 Hosiden Corp シールド付き基板接続用コネクタ
JP2017033909A (ja) 2015-07-29 2017-02-09 第一精工株式会社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装置
WO2018049686A1 (en) * 2016-09-19 2018-03-22 Huawei Technologies Co., Ltd. Shielded board-to-board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4216B2 (ja) * 1996-04-05 2001-07-30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電気コネクタ
JPH11329600A (ja) * 1998-05-19 1999-11-30 Hirose Electric Co Ltd グランド端子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CN2882007Y (zh) * 2006-01-28 2007-03-21 富港电子(东莞)有限公司 具有电磁屏蔽功能的板对板连接器
CN201072831Y (zh) * 2007-05-25 2008-06-11 富港电子(东莞)有限公司 板对板连接器
TWM435072U (en) * 2012-03-28 2012-08-01 Speedtech Corp Board to board connector
KR101496720B1 (ko) * 2013-11-08 2015-02-27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실드 및 체결형 보드 커넥터
JP6179564B2 (ja) * 2015-07-29 2017-08-16 第一精工株式会社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
DE102016113976A1 (de) * 2015-07-29 2017-02-02 Dai-Ichi Seiko Co., Ltd. Elektrische Platinenverbindungs-Verbindervorrichtung
JP6256426B2 (ja) * 2015-07-29 2018-01-10 第一精工株式会社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
TWM539713U (zh) * 2016-11-25 2017-04-11 Tarng Yu Enterprise Co Ltd 板對板連接器總成
JP6835687B2 (ja) * 2017-08-29 2021-02-2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CN108565584A (zh) * 2018-04-19 2018-09-21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屏蔽式板对板插头
CN208923402U (zh) * 2018-05-16 2019-05-31 电连技术股份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插头连接器和插座连接器
CN209029557U (zh) * 2018-08-30 2019-06-25 昆山雷匠通信科技有限公司 板对板式高频插座及插头
TWM576347U (zh) * 2018-09-14 2019-04-01 大陸商春源科技(深圳)有限公司 Board to board connector assembly
TWM581777U (zh) * 2019-03-06 2019-08-01 于國基 板連接器組合及其連接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6023A (ja) * 2004-11-26 2006-06-15 Hosiden Corp シールド付き基板接続用コネクタ
JP2017033909A (ja) 2015-07-29 2017-02-09 第一精工株式会社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装置
WO2018049686A1 (en) * 2016-09-19 2018-03-22 Huawei Technologies Co., Ltd. Shielded board-to-board connecto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2835A (ko) * 2021-05-10 2022-11-17 주식회사 센서뷰 Rf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하는 디바이스 연결 방법
KR20230158306A (ko) * 2022-05-11 2023-11-20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전기 커넥터
KR20230172872A (ko) * 2022-06-16 2023-12-26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전기 커넥터
KR20240137153A (ko) 2023-03-07 2024-09-20 주식회사 센서뷰 Rf 플러그커넥터, rf 리셉터클커넥터 및 rf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119386A1 (en) 2021-04-22
US11239612B2 (en) 2022-02-01
TWI776207B (zh) 2022-09-01
KR102584892B1 (ko) 2023-10-04
JP7214609B2 (ja) 2023-01-30
CN213425337U (zh) 2021-06-11
CN112670770A (zh) 2021-04-16
TW202118168A (zh) 2021-05-01
CN112670770B (zh) 2022-11-22
JP2021064545A (ja) 2021-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45307A (ko) 커넥터 및 커넥터 장치
JP7245052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KR102226482B1 (ko) 차폐 실드판 부착 커넥터
JP7267186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JP6749114B2 (ja) コネクタ
WO2021024941A1 (ja) コネクタ及び配線構造
KR20130039849A (ko) 커넥터 조립체
US20230411911A1 (en) Board connector
WO2017146198A1 (ja) コネクタ
US20240235080A9 (en) Connector
JP7100168B2 (ja) シールドされた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7086620B2 (ja)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システム
CN214204176U (zh) 电连接器
US20230006378A1 (en) Electrical connector pair
KR102219486B1 (ko) 노이즈 차단 기능을 갖는 소켓커넥터
US20240039215A1 (en) Board connector
JP2023183819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対
JP2023053901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対
KR20220029363A (ko) 기판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