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4860A - 시중 시스템 - Google Patents

시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4860A
KR20210044860A KR1020217008227A KR20217008227A KR20210044860A KR 20210044860 A KR20210044860 A KR 20210044860A KR 1020217008227 A KR1020217008227 A KR 1020217008227A KR 20217008227 A KR20217008227 A KR 20217008227A KR 20210044860 A KR20210044860 A KR 20210044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market
commercial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8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8081B1 (ko
Inventor
유키 카미야
타케히로 히라오카
사토시 시미즈
류 타카하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후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후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후지
Publication of KR20210044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4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8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8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13Lifting of patients by
    • A61G7/1017Pivoting arms, e.g. crane type mechanis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4Standing-up or sitting-down a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01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A61G7/1007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mounted on or in combination with a toil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13Lifting of patients by
    • A61G7/1019Vertical extending columns or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Devices carried or supported by
    • A61G7/1046Mobile bases, e.g. having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63Safety means
    • A61G7/1065Safety means with electronic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7/108Weighing mea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5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the patient is supported by a specific part of the body
    • A61G2200/52Under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61G2203/16Touch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61G2203/20Displays or moni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61G2203/32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for for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61G2203/44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for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rs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시중 시스템은, 피시중자의 동작을 시중드는 시중 장치의 사용에 관한 사용 정보가, 시중 장치를 사용한 일시에 관한 시간 정보 및 시중 장치를 사용한 사용자의 식별에 이용하는 사용자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 기록된 사용 기록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사용 기록 데이터에 포함되는 사용자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의 사용자에 관한 사용 정보 및 시간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와, 특정의 사용자에 관한 사용 정보의 시계열 변화를 파악 가능한 태양으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시중 시스템
본 발명은 시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에는, 피시중자의 이승(移乘) 동작을 시중드는 시중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시중 장치는, 이승 동작의 보조에 있어서, 좌위(座位) 자세의 피시중자의 엉덩이부를 좌면으로부터 상승시키는 기립 동작이 종료한 후에 방향 전환을 행하고, 피시중자의 엉덩이부를 하강시켜 착좌(着座)시키는 착좌 동작을 행한다. 이에 의해, 피시중자는, 예를 들면 침대로부터 휠체어로 이승된다.
일본국 특허공개 2008-073501호 공보
시중 장치의 도입선으로 되는 시설 등에서는, 피시중자를 시중드는 시중자 등이, 시중 장치의 사용자인 피시중자의 몸 상태 변화를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 점과 관련하여, 시중 장치의 사용 상황의 변화에 기초하여, 피시중자의 몸 상태 변화를 전조를 보았으면 하는 요청이 있다.
본 명세서는, 피시중자에 의한 시중 장치의 사용 상황의 변화를 파악함으로써, 피시중자의 몸 상태 변화를 전조를 볼 수가 있는 시중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에, 본 명세서는, 피시중자의 동작을 시중드는 시중 장치의 사용에 관한 사용 정보가, 상기 시중 장치를 사용한 일시에 관한 시간 정보 및 상기 시중 장치를 사용한 사용자의 식별에 이용하는 사용자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 기록된 사용 기록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사용 기록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의 상기 사용자에 관한 상기 사용 정보 및 상기 시간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와, 상기 특정의 상기 사용자에 관한 상기 사용 정보의 시계열 변화를 파악 가능한 태양으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시중 시스템을 개시한다.
제2에, 본 명세서는, 피시중자의 동작을 시중드는 시중 장치의 사용에 관한 사용 정보가, 상기 시중 장치를 사용한 일시에 관한 시간 정보 및 상기 시중 장치를 사용한 사용자의 식별에 이용하는 사용자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 기록된 사용 기록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사용 기록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의 상기 사용자에 관한 상기 사용 정보 및 상기 시간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와, 상기 특정의 상기 사용자에 관한 상기 사용 정보의 시계열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몸 상태 변화에 관한 분석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시중 시스템을 개시한다.
제1의 개시에 의하면, 표시부는 특정의 사용자에 관한 사용 정보의 시계열 변화를 파악 가능한 태양으로 표시한다. 이에 의해, 피시중자를 시중드는 시중자 등은, 피시중자에 의한 시중 장치의 사용 상황의 변화를 파악할 수가 있다. 그리고, 시중자 등은, 피시중자에 의한 시중 장치의 사용 상황의 변화에 기초하여, 당해 피시중자의 몸 상태 변화를 전조를 볼 수가 있다.
제2의 개시에 의하면, 표시부는, 특정의 사용자에 관한 사용 정보의 시계열 변화에 기초하여, 특정의 사용자의 몸 상태 변화에 관한 분석 결과를 표시한다. 이에 의해, 피시중자를 시중드는 시중자 등은, 피시중자에 의한 시중 장치의 사용 상황의 변화를 파악할 수가 있다. 그리고, 시중자 등은, 특정의 사용자의 몸 상태 변화에 관한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당해 피시중자의 몸 상태 변화를 전조를 볼 수가 있다.
도 1은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시중 시스템의 모식도이다.
도 2는 좌위 자세의 피시중자를 지지하는 시중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기립 준비 자세의 피시중자를 지지하는 시중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입위 자세의 피시중자를 지지하는 시중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사용 기록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시중 기록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피시중자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시중 장치의 사용 횟수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특정의 하중값 정보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하중 변동 정보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시중 장치의 사용 횟수의 추이 및 행동 내용별의 시중 기록 횟수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시중 장치의 일일당의 사용 정보, 용도 정보 및 시중 기록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1. 시중 시스템의 개요
시중 시스템은 피시중자의 동작을 시중드는 시중 장치의 사용시에 얻어진 사용 정보를 사용 기록 데이터로서 기록한다. 사용 기록 데이터에는, 사용한 사용자(즉, 피시중자)를 식별 가능한 사용자 식별 정보가, 사용 정보에 관련지어 기록된다. 따라서, 시중 시스템은 특정의 사용자의 사용 기록 데이터를 추출할 수가 있다. 또한, 사용 기록 데이터에는, 시중 장치를 사용한 일시에 관한 사용 시간 정보가, 사용 정보에 관련지어 기억된다. 이에 의해, 시중 시스템은 특정의 사용자에 관한 사용 정보의 시계열 변화를 파악할 수가 있다. 그리고, 시중 시스템은, 사용 정보의 시계열 변화, 또는 사용 정보의 시계열 변화에 기초하여 예측되는 사용자의 몸 상태 변화에 관한 분석 결과를 제시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인 피시중자를 시중드는 시중자 등은, 시중 시스템에 의해 제시된 사용 정보의 시계열 변화, 또는 사용자의 몸 상태 변화에 관한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인 피시중자의 몸 상태 악화를 전조를 볼 수가 있다. 이에 더하여, 시중자나 시중 장치의 개발자 등은, 시중 시스템에 의해 제시된 사용 정보의 시계열 변화, 또는 사용자의 몸 상태 변화에 관한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시중 장치를 사용하는 것에 의한 효과 측정을 행할 수가 있다.
2. 시중 시스템(1)의 개략 구성
이하, 시중 시스템을 구체화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최초에, 도 1을 참조하여, 시중 시스템(1)의 개략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듯이, 시중 시스템(1)은, 주로, 1이상의 시중 장치(10)와, 관리 서버(90)와, 1이상의 관리 장치(100)에 의해 구성된다. 시중 장치(10)는 피시중자의 동작을 시중들 때에 이용된다. 시중 시스템(1)에 있어서, 모든 시중 장치(10) 및 관리 장치(100)는 인터넷을 통해 관리 서버(90)에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고, 관리 장치(100)는 시중 시스템(1)에 설치된 모든 시중 장치(10)를 통괄 관리한다.
시중 장치(10)는, 사용자 H(도 2 참조)의 좌위(座位) 자세로부터 입위(立位) 자세로의 기립 동작의 보조 및 입위 자세로부터 좌위 자세로의 착좌(着座) 동작의 보조를 행한다. 또한, 사용자 H의 「입위 자세」란, 사용자 H의 하반신이 서 있는 자세를 의미하고, 상반신의 자세를 묻지 않는다. 즉, 사용자 H의 기립 동작은 사용자 H의 엉덩이부를 상승시켜 입위 자세로 하는 동작이다. 또, 사용자 H의 착좌 동작이란, 사용자 H의 엉덩이부를 하강시켜 좌위 자세로 하는 동작이다.
시중 장치(10)는, 예를 들면, 사용자 H의 신체의 일부(예를 들면, 사용자 H의 상반신)를 지지하여, 좌위 자세에 있는 사용자 H의 기립 동작을 보조한 후에 방향 전환을 행하고, 다른 위치에 다시 착좌하도록 착좌 동작을 보조하는 이승 동작의 보조를 행한다. 이러한 이승 동작은, 예를 들면 거실 내에 있어서 침대와 휠체어의 사이의 이승이나, 거실의 침대로부터 화장실의 변기와의 사이의 이승 등을 목적으로 하여 실행된다.
또, 시중 장치(10)는 사용자 H의 동작을 보조했을 때에 얻어진 각종 정보를 기록한다. 그리고, 시중 장치(10)는, 기록한 각종 정보는, 사용 기록 데이터 M1로서 관리 서버(90)에 업로드(up-load) 한다.
관리 서버(90)는 복수의 시중 장치(10)로부터 업로드 되는 사용 기록 데이터 M1을 기억한다. 그리고, 관리 서버(90)는, 관리 장치(100)의 요구에 응하여, 사용 기록 데이터 M1을 관리 장치(100)에 송신한다. 여기서, 관리 서버(90)는, 기억된 모든 사용 기록 데이터 M1 중, 요구에 응한 일부의 사용 기록 데이터 M1만을 관리 장치(100)에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관리 서버(90)는 특정의 사용자 H에 관한 사용 기록 데이터 M1만을 관리 장치(100)에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관리 서버(90)는, 사용 기록 데이터 M1에 복수 종류의 사용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에, 특정의 종류의 사용 정보만을 관리 장치(100)에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의해, 관리 장치(100)는 필요한 정보만을 관리 서버(90)로부터 적당히 다운로드(down-load) 할 수가 있다.
관리 장치(100)는, 시중 시스템(1)에 설치된 모든 시중 장치(10)를 관리 대상으로 하고, 각각의 시중 장치(10)가 기록한 사용 기록 데이터 M1을 관리 서버(90)로부터 취득한다. 그리고, 관리 장치(100)는, 취득한 사용 기록 데이터 M1에 기초하여, 여러 가지의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관리 장치(100)로서는, 시중 장치(10)가 도입된 시설에 설치된 퍼스널 컴퓨터나, 휴대 단말(스마트 폰, 태블릿 단말) 등의 단말 장치가 예시된다. 또, 관리 장치(100)는, 관리 서버(90)를 통해 시중 장치(10)로부터 취득한 사용 기록 데이터 M1에 시중 장치(10)의 외부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3. 시중 장치(10)의 구성
다음에, 도 2를 참조하여, 시중 장치(1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내듯이, 시중 장치(10)는, 기대(基臺)(20)와, 구동 장치(30)와, 지지 부재(40)와, 하중 센서(50)와, 조작 장치(60)와, 제어 장치(70)와, 사용자 정보 취득부(80)를 주로 구비한다.
기대(20)는, 프레임(frame)(21)과, 지주(22)와, 발 재치대(23)와, 종아리 댐부(24)와, 6개의 차륜(25-27)을 주로 구비한다. 프레임(21)은 바닥면 F의 가까이에 거의 수평으로 설치된다. 지주(22)는 프레임(21)의 앞쪽 가까이의 좌우 방향의 중앙에서 상방으로 연신한 상태로 프레임(21)에 고정된다. 지주(22)는, 바닥면 F에 대해서 연직이 되도록 설치되어도 좋고, 전후 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되도록 설치되어도 좋다.
발 재치대(23)는 수평으로 되도록 프레임(21)의 상면 후방에 고정된다. 종아리 댐부(24)는 발 재치대(23)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지주(22)에 고정된다. 종아리 댐부(24)는 사용자 H의 종아리가 접촉하는 부위에 쿠션(cushion) 부재를 가진다. 프레임(21)의 하측에는 좌우에 3개씩의 차륜(25-27)이 설치되어 있다. 각 차륜(25-27)은 이동 방향을 전환하는 전타(轉舵) 기능을 가진다. 시중 장치(10)는, 6개의 차륜(25-27)의 전타 기능에 의해, 전후 방향의 이동 및 방향 전환 뿐만이 아니라, 가로 이동(바로 옆으로의 이동)이나 스핀 턴(spin turn)(그 자리 선회)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동 장치(30)는, 사용자 H의 상반신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40)를 기대(20)의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구동장치(30)는 승강부(31)와 요동부(32)를 구비한다. 구동 장치(30)는 제어 장치(70)에 의해 승강부(31) 및 요동부(32)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동장치(30)는, 승강부(31)의 상하 운동 및 요동부(32)의 선회 운동을 협조시킴으로써, 지지 부재(40)를 소정의 이동 궤적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승강부(31)는 기대(20)에 대해서 상하 방향으로 직동(直動)한다. 승강부(31)는, 상하 방향으로 긴 장척 모양으로 형성되고, 지주(22)의 후면의 가이드(도시하지 않음)에 안내된다. 승강부(31)는 직동 장치(도시하지 않음)의 구동에 의해 지주(22)의 가이드를 따라 승강한다. 승강부(31)의 내부에는 요동부(32)를 선회시키는 모터(도시하지 않음)가 수용된다. 승강부(31)는 요동 지지부(311)를 가진다. 요동 지지부(311)는 요동부(32)를 중심축 A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요동부(32)는 승강부(31)에 설치된 중심축 A 주위를 선회하여 지지 부재(40)를 요동시킨다. 요동부(32)는 요동 본체(321)와 암(arm)(322)과 핸들(323)을 구비한다. 요동 본체(321)는 지지 부재(40)가 착탈되는 부착 부분이고, 암(322) 및 핸들(323)은 요동 본체(321)에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암(322)의 일단은 승강부(31)의 요동 지지부(311)의 중심축 A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핸들(323)은 대체로 사각형의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암(322)은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된다. 시중 장치(10)가 기립 동작의 보조를 행하는 경우에는, 암(322)은 후방으로 뻗은 상태로부터 주로 전(前)선회한다. 한편, 시중 장치(10)가 착좌 동작의 보조를 행하는 경우에는, 암(322)은 후방으로 뻗는 상태로 되도록 주로 후(後)선회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요동부(32)는, 기대(20)의 좌우 방향으로 평행한 수평축(중심축 A) 주위를 선회하고, 암(322)의 선단측의 요동 본체(321)에 부착된 지지 부재(40)를 요동시킨다.
핸들(323)은 암(322)의 후단 부근으로부터 앞 상방향으로 뻗도록 형성되어 있다. 핸들(323)의 측방 부분은 사용자 H의 양손에 의해 파지되는 부분으로서 이용된다. 또한, 핸들(323)의 측방 부분 및 전방 부분은, 시중자에 의해 시중 장치(10)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파지되는 부분으로서 이용된다.
지지 부재(40)는 사용자 H의 상반신을 지지하는 부재이다. 지지 부재(40)는 동체 지지부(41)와 한 쌍의 겨드랑이 지지부(42)를 구비한다. 동체 지지부(41)는, 사용자 H의 동체 형상에 가까운 면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유연한 변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동체 지지부(41)의 지지면은 사용자 H의 상반신 중 동체의 전면에 면접촉하여 동체를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동체 지지부(41)의 지지면은, 사용자 H에 있어서의 흉부로부터 복부에 걸치는 범위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한다. 또, 동체 지지부(41)는 요동 본체(321)에 부착되어 있다.
한 쌍의 겨드랑이 지지부(42)는, 동체 지지부(41)에 지지되고, 사용자 H의 겨드랑이를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겨드랑이 지지부(42)는, 동체 지지부(41)의 좌우 방향 양측에 있어서, 동체 지지부(41)에 대해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겨드랑이 지지부(42)는 봉상 부재에 의해 L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겨드랑이 지지부(42)의 표면은 유연한 변형이 가능한 재료에 의해 덮여 있다.
하중 센서(50)는 시중 장치(10)가 받은 하중을 검출 가능한 로드 셀(load cell)이다. 구체적으로, 하중 센서(50)는 승강부(31)에 설치된다. 즉, 승강부(31)는 시중 장치(10)의 동작 중에 있어서 사용자 H의 상반신을 받치는 부위이고, 하중 센서(50)는 시중 장치(10)의 동작 중에 승강부(31)가 사용자 H로부터 받는 하방으로의 하중을 검출한다. 이에 의해, 시중 장치(10)는 사용자 H의 상반신으로부터 시중 장치(10)에 가해지는 하중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하중 센서(50)에 의해 검출된 검출값은, 시중 장치(10)가 받은 하중값으로서 제어 장치(70)에 출력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시중 장치(10)가 하중 센서(50)를 1개 구비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시중 장치(10)는 복수의 하중 센서(50)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시중 장치(10)는, 시중 장치(10)의 동작 중에 승강부(31)가 사용자 H로부터 받는 전방으로의 하중을 검출하기 위한 하중 센서(50)를 승강부(31)에 설치해도 좋다. 이에 의해, 시중 장치(10)는 시중 장치(10)가 사용자 H로부터 받는 전방으로의 하중을 파악할 수가 있다.
또, 시중 장치(10)는 하중 센서(50)를 종아리 댐부(24)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시중 장치(10)는 사용자 H의 종아리로부터 시중 장치(10)에 가해지는 하중을 검출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시중 장치(10)는, 입위 자세인 사용자 H의 종아리를 종아리 댐부(24)에 의해 지지하는 구성인 경우에, 시중 장치(10)가 사용자 H로부터 받는 전방으로의 하중을 파악할 수가 있다.
또한, 시중 장치(10)는 하중 센서(50)를 발 재치대(23)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시중 장치(10)는 사용자 H의 하반신으로부터 시중 장치(10)에 가해지는 하방으로의 하중을 검출할 수가 있다. 이에 더하여, 시중 장치(10)는, 승강부(31)가 받는 하방으로의 하중과 발 재치대(23)가 받는 하방으로의 하중의 쌍방을 파악함으로써, 시중 장치(10)의 동작 중에 있어서, 사용자 H의 상반신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과 사용자 H의 하반신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의 비율을 파악할 수가 있다.
조작 장치(60)는 시중 장치(10)가 보조하는 각종 동작에 대응한 복수의 버튼을 가진다. 조작 장치(60)는 상승 동작에 대응하는 상승 버트(61)과 하강 동작에 대응하는 하강 버튼(62)을 구비한다. 조작 장치(60)는, 예를 들면, 신축 가능한 신호 케이블을 통해 제어 장치(70)에 접속된다. 조작 장치(60)는, 어느 하나의 버튼이 눌러졌을 경우에, 버튼의 종별에 응한 신호를 버튼이 눌러져 있는 기간, 제어 장치(70)에 송출한다.
제어 장치(70)는 구동장치(30)의 승강부(31) 및 요동부(32)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 장치(70)는, 사용자 H의 기립 동작이나 착좌 동작을 보조하는 동작 처리에 있어서, 조작 장치(60)에 대한 조작에 기초하여, 승강부(31) 및 요동부(32)를 동작시킨다. 제어 장치(70)는, 기립 동작 및 착좌 동작을 실행하는 경우에, 승강부(31)의 상하 운동 및 요동부(32)의 선회 운동을 협조시켜 지지 부재(40)의 이동을 제어한다.
상기에 아울러, 제어 장치(70)는 시중 장치(10)의 동작시에 취득한 정보를 기록한다. 구체적으로, 제어 장치(70)는 시중 장치(10)의 사용한 일시에 관한 사용 시간 정보 및 시중 장치(10)의 사용에 관한 사용 정보를 기록한다. 사용 시간 정보로서는, 조작 장치(60)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한 일시나, 동작중의 시중 장치(10)가 미리 설정된 특정의 자세로 된 일시 등이 예시된다. 또, 사용 정보로서는, 하중 센서(50)에 의해 검출된 하중값에 관한 하중값 정보가 예시된다.
사용자 정보 취득부(80)는, 시중 장치(10)를 사용하는 사용자 H를 식별 가능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제어 장치(70)에 보낸다. 또한, 사용자 정보 취득부(80)에 의한 사용자 식별 정보의 취득 방법은, 키보드나 마우스, 터치 패널, 카메라, 마이크로폰 등을 이용하는 방법이 예시된다. 또, 사용자 식별 정보는, 사용자 H인 피시중자마다 할당된 ID 정보나, 피시중자의 목소리, 얼굴 화상 등이 예시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 H인 피시중자는 사용자 식별 정보로서의 ID 정보를 가지고, 사용자 정보 취득부(80)는 키보드나 마우스, 터치 패널 등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입력된 ID 정보를 취득한다. 또, 사용자 정보 취득부(80)는, 사용자 H로서 미리 등록된 피시중자를 터치 패널 등에 표시하고, 표시된 사용자 H 중에서 시중자 등이 선택한 하나의 사용자 H의 사용자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 정보 취득부(80)는,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취득한 사용자 H의 목소리에 기초하는 음성 인증이나, 카메라를 이용하여 취득한 사용자 H의 얼굴 화상에 기초하는 얼굴 인증 등의 생체 인증을 행하고, 특정된 사용자 H의 사용자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4. 시중 장치(10)에 의한 보조 동작
다음에, 시중 장치(10)의 기립 보조의 동작에 대해서, 도 2로부터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시중 장치(10)는, 기립 보조의 동작에 있어서, 도 2에 나타내는 기립 보조 동작의 개시 상태로부터, 도 3에 나타내는 기립 준비 상태로 되고, 이 후에 도 4에 나타내는 기립 완료 상태로 된다.
도 2에 나타내듯이, 시중자는, 좌위 자세의 사용자 H(피시중자)의 가까이로 시중 장치(10)를 이동시킨다. 이 때에, 시중자는 시중 장치(10)를 동작시켜 좌위 자세의 사용자 H가 올라탈 수가 있는 상태로 한다. 또, 시중자는, 사용자 H의 높이에 응하여 승강부(31)의 높이를 조정한다. 이어서, 사용자 H는 양쪽 다리를 지지 부재(40)의 하측으로 비집고 들어가게 한다.
다음에, 사용자 H는, 양쪽 발을 발 재치대(23) 위에 싣고, 종아리를 종아리 댐부(24)에 접촉시킨다. 또한, 사용자 H는 동체를 동체 지지부(41)에 싣는다. 이 때에, 사용자 H의 상반신은, 지지 부재(40)에 지지된 상태에 있어서, 조금 앞으로 기운 자세로 된다. 동시에, 사용자 H는 겨드랑이에 겨드랑이 지지부(42)를 삽입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시중 장치(10)는 기립 보조 동작의 개시 상태로 설정된다. 그리고, 시중자는 사용자 H에 핸들(323)을 파지시킨다. 이 때의 사용자 H의 당해 자세가 기립 보조 동작의 개시 자세이다. 이어서, 시중자는 시중 장치(10)의 기립 보조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시중 장치(10)의 구동을 개시한다. 이에 의해, 승강부(31)의 승강과 요동부(32)의 전방으로의 경동(傾動)이 협조하여 행해진다.
기립 보조 프로그램이 실행됨으로써, 시중 장치(10)는 도 3에 나타내는 기립 준비 상태로 된다. 시중 장치(10)의 기립 준비 상태란, 좌위 자세의 사용자 H를 의자 C로부터 들어올리기 직전의 상태이다. 즉, 시중 장치(10)는, 도 2에 나타내는 개시 상태로부터, 승강부(31)는 하강하고, 또한, 요동부(32)가 앞으로 기움으로써, 도 3에 나타내는 기립 준비 상태로 된다. 여기서, 시중 장치(10)가 기립 준비 상태로 되었을 때, 사용자 H는, 엉덩이부를 의자 C의 좌면에 접촉시킨 상태로, 동체를 앞으로 기울이고, 또한, 신장시킨 상태로 된다. 이 때의 사용자 H의 당해 자세가 기립 준비 자세이다.
도 4에 나타내듯이, 기립 보조 프로그램이 더 계속되면, 승강부(31)가 상승하고, 또한, 요동부(32)가 더 앞으로 기운다. 그 결과, 사용자 H는 기립 준비 자세로부터 입위 자세로 된다. 즉, 입위 자세의 사용자 H의 상반신은, 크게 앞으로 기운 자세로 되고, 사용자 H의 엉덩이부의 위치는 의자 C의 좌면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한다. 그리고, 사용자 H의 다리부는 거의 펴진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 H가 시중 장치(10)에 올라탄 상태로 동체 지지부(41)가 전방으로 경동함으로써, 사용자 H는 좌위 자세에 있어서의 개시 자세로부터 기립 준비 자세를 통해 입위 자세로 이행한다. 또, 시중 장치(10)의 착좌 보조의 동작은, 기립 보조의 동작에 대해서 거의 반대의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된다. 즉, 동체 지지부(41)가 후방으로 경동하면서, 승강부(31)가 하강함으로써, 사용자 H를 입위 자세로부터 좌위 자세로 이행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좌위 자세의 사용자 H는 용이하게 겨드랑이 지지부(42)를 겨드랑이로부터 뽑을 수가 있다.
또한, 입위 자세는 사용자 H의 하반신에의 부하가 커지는 자세이다. 따라서, 입위 자세인 사용자 H의 상반신으로부터 시중 장치(10)가 받는 하중이 증가 경향이면, 다리 힘의 저하 등의 몸 상태 악화가 사용자 H인 피시중자에게 일어나고 있는 것이 염려된다. 즉, 시중자 등은, 시중 장치(10)가 사용자 H의 상반신으로부터 받는 하중의 변동을 파악함으로써, 사용자 H인 피시중자의 몸 상태 변화를 전조를 볼 수가 있다.
또, 시중 장치(10)는, 제어 장치(70)가 기록한 사용 정보 및 사용 시간 정보와 사용자 정보 취득부(80)가 취득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사용 기록 데이터 M1로서 관리 서버(90)에 업로드 한다. 이 때에, 사용 기록 데이터 M1에는, 사용 정보가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사용 시간 정보에 관련지어 기록된다.
5. 관리 장치(100)의 구성
이어서, 도 5를 참조하여, 관리 장치(1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내듯이, 관리 장치(100)는, 기억부(101)와, 입력부(102)와, 추출부(103)와, 표시부(104)와, 표시용 데이터 생성부(105)와, 분석부(106)를 주로 구비한다.
기억부(101)는, 하드 디스크 장치 등의 광학 드라이브 장치, 또는 플래쉬 메모리 등에 의해 구성된다. 기억부(101)에는, 관리 서버(90)를 통해 시중 장치(10)로부터 취득한 사용 기록 데이터 M1이 기억된다. 또, 사용 기록 데이터 M1에는, 시중 장치(10)의 외부로부터 취득한 정보로서 시중 장치(10)의 용도를 파악 가능한 용도 정보가, 사용 정보의 하나로서 기억되어 있다.
또한, 기억부(101)에는, 사용자 H인 피시중자에 대해서 행해진 시중 기록에 관한 시중 기록 데이터 M2가 기억되어 있다. 이 시중 기록 데이터 M2에는, 시중 장치(10)를 사용하지 않고 행해진 시중에 관한 시중 기록 정보가, 시중이 행해진 일시에 관한 시중 시간 정보 및 시중을 행한 피시중자에 관한 피시중자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 기록되어 있다. 또한, 피시중자 식별 정보는, 예를 들면, 피시중자의 이름이나, 피시중자마다 할당된 ID 정보 등이다. 또, 기억부(101)에는, 시중 장치(10)의 사용자 H로서 등록된 피시중자의 피시중자 식별 정보와 사용자 식별 정보의 연결에 이용하는 피시중자 데이터 M3이 기억되어 있다.
입력부(102)는 시중 시스템(1)을 이용하는 시중자 등이 조작 가능한 입력장치(도시하지 않음)로의 입력을 받아들인다. 관리 장치(100)에 설치되는 입력 장치는, 예를 들면, 키보드나 마우스, 터치 패널 등이다. 시중자 등은, 예를 들면, 기억부(101)에 기억된 각종 데이터 중에서 특정의 피시중자에 관한 정보를 추출할 때, 당해 피시중자의 피시중자 식별 정보를 입력한다. 또한, 입력 장치는 시중 장치(10)의 새로운 사용자로 되는 피시중자를 피시중자 데이터 M3에 등록할 때, 혹은, 시중 기록 데이터 M2에 새로운 시중 기록을 추가할 때에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추출부(103)는, 입력부(102)가 피시중자 식별 정보를 받아들였을 때에, 당해 피시중자 식별 정보에 연결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부(103)는, 당해 사용자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진 사용 정보 및 사용 시간 정보를 사용 기록 데이터 M1로부터 추출함과 아울러, 당해 피시중자 식별 정보에 연결된 시중 기록 정보 및 시중 시간 정보를 시중 기록 데이터 M2로부터 추출한다.
표시부(104)는, 추출부(103)가 추출한 특정의 피시중자에 관한 정보로서, 당해 피시중자가 사용자 H로서 시중 장치(10)를 사용했을 때의 사용 정보를 표시 장치(104a)(도 9 참조)에 표시한다. 이 때에, 표시부(104)는 당해 사용자 H에 관한 사용 정보의 시계열 변화를 파악 가능한 태양으로 표시한다.
표시용 데이터 생성부(105)는 사용 정보의 시계열 변화를 나타내는 데이터로서 표시부(104)가 표시하는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시중자 등은, 표시용 데이터를 특정의 사용자 H의 몸 상태 변화의 전조를 나타내는 데이터로서 이용할 수가 있다. 또한, 표시용 데이터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예를 들면서 후술한다.
분석부(106)는, 추출부(103)에 의해 추출된 특정의 사용자 H에 관한 사용 정보의 시계열 변화에 기초하여, 당해 사용자 H의 몸 상태 변화에 관한 분석을 행한다. 그리고, 표시부(104)는 분석부(106)에 의한 분석 결과를 표시 장치(104a)(도 9 참조)에 표시한다.
6. 사용 기록 데이터 M1의 구체적인 예
다음에, 도 6을 참조하여, 사용 기록 데이터 M1의 구체적인 예를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내는 사용 기록 데이터 M1에는, 사용 시간 정보와 사용자 식별 정보와 사용 정보가 포함된다. 그리고, 사용 기록 데이터 M1에는, 사용 정보가 사용 시간 정보 및 사용자 식별 정보와 관련지어 기록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사용 시간 정보는 사용자 정보 취득부(80)가 사용자 식별 정보를 취득한 일시에 관한 사용 일시 정보이다. 또한, 사용 기록 데이터 M1은, 사용 시간 정보로서 조작 장치(60)에 대한 조작이 행해진 일시, 시중 장치(10)가 소정의 자세(예를 들면, 사용자 H가 입위 자세로 되었을 때의 시중 장치(10)의 자세)로 되었을 때의 일시를 기록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시중 장치(10)는, 시중 장치(10)의 일련의 동작 중에 복수의 다른 타이밍(timing)에 사용 시간 정보를 취득하고, 사용 기록 데이터 M1은, 시중 장치(10)의 일련의 동작 중에 얻어진 복수의 사용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사용 기간 정보를 사용 시간 정보의 하나로서 기록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사용 기간 정보로서는, 입위 자세의 계속 시간이나, 기립 준비 상태로부터 기립 완료 상태로 이행할 때까지 필요한 시간 등이 예시된다.
사용자 식별 정보는, 상기한 것처럼, 피시중자 식별 정보에 연결된 정보이다. 도 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사용자 H로 되는 피시중자의 각각에 할당된 ID 정보가 사용자 식별 정보로서 기록되어 있다.
사용 정보는, 시중 장치(10)를 동작시켰을 때에 얻어진 정보이다. 도 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사용 기록 데이터 M1은, 사용 정보로서 시중 장치(10)의 사용시에 시중 장치(10)가 받은 하중값에 관한 하중값 정보와, 시중 장치(10)의 외부로부터 취득한 시중 장치(10)의 용도 정보를 포함한다.
하중값 정보는 시중 장치(10)의 동작 중에 하중 센서(50)에 의해 검출된 하중값이다. 도 6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사용 기록 데이터 M1에는, 복수의 하중값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복수의 하중값 정보는, 시중 장치(10)의 일련의 동작 중에 있어서 다른 타이밍에 하중 센서(50)가 검출한 하중값에 관한 정보이다. 이들 복수의 하중값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로서는, 동작 중의 시중 장치(10)가 특정의 자세로 되었을 때에 받은 하중값 정보, 기립 준비 상태로부터 기립 완료 상태로 이행할 때까지의 사이에 있어서 소정 시간 경과마다 검출한 하중값 정보, 기립 완료 상태로 되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마다 취득한 하중값 등이 예시된다. 또한, 사용 기록 데이터 M1은 하중값 정보로서 일련의 동작 중에 하중 센서(50)가 검출한 하중값의 최대치나 평균치를 기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더하여, 사용 기록 데이터 M1은, 시중 장치(10)의 동작 중에, 시중 장치(10)가 받은 하중값의 변동에 관한 하중 변동 정보를 기록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사용 기록 데이터 M1은, 시중 장치(10)의 일련의 동작 중에 있어서 복수회에 걸친, 또는 일정 기간 계속하여, 하중 센서(50)가 검출한 하중값의 변동을, 하중 변동 정보로서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용도 정보는, 사용자 H가 시중 장치(10)를 사용한 용도를 파악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도 6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용도 정보는, 사용자 H가 시중 장치를 사용하면서 행했던 행동에 관한 행동 기록 정보이다. 이에 의해, 시중자 등은, 사용자 H인 피시중자가 시중 장치(10)를 사용하는 용도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사용 기록 데이터 M1에는, 행동 내용에 응하여 할당된 행동 종별 코드가 행동 기록 정보로서 기록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행동 기록 정보는, 시중 장치(10)로부터 취득할 수가 없는 정보이고, 시중자 등이 관리 장치(100)에 기록한다.
또한, 사용 기록 데이터 M1은 용도 정보로서 시중 장치(10)가 사용된 위치에 관한 사용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시중 시스템(1)은, 시중 장치(10)에 GPS 발신기를 탑재하고, 시중 장치(10)의 동작시에 GPS 발신기로부터 발신된 정보를 사용 위치 정보로서 취득할 수가 있다. 이 경우, 시중 시스템(1)은, 용도 정보를 시중 장치(10)로부터 취득할 수 있으므로, 시중자 등에 의한 용도 정보의 기록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7. 시중 기록 데이터 M2의 구체적인 예
다음에, 도 7을 참조하여, 시중 기록 데이터 M2의 구체적인 예를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내는 시중 기록 데이터 M2에는, 피시중자 식별 정보별의 시중 기록 정보가 시중 시간 정보에 관련지어 기록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피시중자 식별 정보는, 상기한 것처럼, 사용자 식별 정보에 연결된 정보이다. 도 7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사용자 H로 되는 피시중자의 각각에 할당된 ID 정보(H11, H12,···)가 피시중자 식별 정보로서 기록되어 있다. 시간 정보는 피시중자에 대해서 시중을 행한 일시에 관한 시중 일시 정보이다. 시중 기록 정보는, 시중 장치(10)의 사용을 수반하지 않는 시중에 관한 기록 정보로서, 시중 장치(10)로부터 취득할 수가 없는 기록 정보이고, 도 7에 나타내는 시중 기록 데이터 M2에는, 시중 내용에 응하여 할당된 시중 종별 코드가 기록되어 있다. 또한, 시중 기록 정보로서 기록되는 시중 내용으로서는, 기저귀의 교환, 하제(下劑)의 투여 등이 예시된다.
8. 피시중자 데이터 M3의 구체적인 예
다음에, 도 8을 참조하여, 피시중자 데이터 M3의 구체적인 예를 설명한다. 피시중자 데이터 M3은, 시중 장치(10)의 사용자 H로서 미리 등록된 피시중자에 관한 피시중자 식별 정보가, 사용자 식별 정보와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다. 즉, 사용 기록 데이터 M1에 포함되는 사용자 식별 정보와, 시중 기록 데이터 M2에 포함되는 피시중자 식별 정보는, 피시중자 데이터 M3을 통해 연결된다. 또한, 피시중자 식별 정보는 사용자 식별 정보와 동일해도 좋다.
9. 추출부(103)에 의한 정보 추출의 흐름
다음에, 추출부(103)에 의한 정보 추출의 흐름에 대해서, 구체적인 예를 들면서 설명한다. 도 6으로부터 도 8에 나타내듯이, 입력부(102)가 피시중자 식별 정보의 입력을 받아들이면, 추출부(103)는 입력된 피시중자 식별 정보와 피시중자 데이터 M3을 조합한다. 그리고, 추출부(103)는 해당하는 피시중자 식별 정보에 관련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피시중자 데이터 M3으로부터 추출한다.
다음에, 추출부(103)는 추출한 사용자 식별 정보와 사용 기록 데이터 M1을 조합한다. 그리고, 추출부(103)는 추출한 사용자 식별 정보에 관련된 사용 정보 및 사용 시간 정보를 추출한다. 마찬가지로, 추출부(103)는, 피시중자 식별 정보와 시중 기록 데이터 M2를 조합하고, 해당하는 피시중자 식별 정보에 관련된 시중 기록 정보 및 시중 시간 정보를 추출한다. 이와 같이 하여, 추출부(103)는, 기억부(101)에 기억된 사용 기록 데이터 M1 및 시중 기록 데이터 M2 중에서, 사용자 H로서 등록된 피시중자에 관한 정보를 추출한다.
10. 표시용 데이터의 구체적인 예
다음에, 도 9로부터 도 13을 참조하여, 표시용 데이터의 구체적인 예를 설명한다. 표시용 데이터 생성부(105)는 추출부(103)가 추출한 각종 정보를 사용 정보의 시계열 변화를 파악 가능한 태양으로 가공한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한다. 도 9로부터 도 13에는, 표시부(104)가 표시 장치(104a)에 표시하는 표시용 데이터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9에는, 사용 정보의 시계열 변화를 나타내는 표시용 데이터(105a)로서 소정의 단위 기간당의 시중 장치(10)의 사용 횟수에 관한 사용 횟수 정보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표시용 데이터 생성부(105)는, 시간 정보에 포함되는 날짜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 기간마다의 시중 장치(10)의 사용 횟수를 산출하고, 그 산출 결과에 기초하여 표시용 데이터(105a)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추출부(103)는, 사용 기록 데이터 M1로부터, 특정의 사용자 H에 관한 4주간 분의 사용 정보 및 시간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표시용 데이터 생성부(105)는, 당해 4주간에 있어서의 1주간마다의 시중 장치(10)의 사용 횟수를 산출하고, 도 9에 예시되는 표시용 데이터(105a)를 생성한다.
시중자 등은 시중 장치(10)의 사용 횟수 정보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참조함으로써, 사용자 H인 피시중자의 몸 상태 변화를 전조를 볼 수가 있다. 즉, 표시용 데이터(105a)는, 특정의 사용자 H에 관하여, 시중 장치(10)의 사용 횟수의 증감이 있었을 경우에, 당해 사용자 H의 몸 상태가 회복 경향 또는 악화 경향인 것으로 시중자 등이 알아채는 계기를 줄 수가 있다.
도 10에는, 사용 정보의 시계열 변화를 나타내는 표시용 데이터(105b)로서, 특정의 하중값 정보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추출부(103)는 특정의 사용자 H에 관한 사용 시간 정보 및 특정의 하중값 정보를 사용 기록 데이터 M1로부터 추출한다. 이어서, 표시용 데이터 생성부(105)는, 사용 시간 정보와 특정의 하중값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의 하중값 정보의 추이를 나타내는 표시용 그래프로서 도 10에 예시되는 표시용 데이터(105b)를 생성한다. 또한, 특정의 하중값 정보란, 예를 들면, 특정의 타이밍에 하중 센서(50)가 검출한 하중값이고, 동작중의 시중 장치(10)가 특정의 자세(예를 들면, 사용자 H가 입위 자세로 되는 시중 장치(10)의 자세 등)로 되었을 때의 하중값 등이 예시된다.
시중자 등은, 특정의 하중값 정보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참조함으로써, 사용자 H인 피시중자의 몸 상태 변화를 전조를 볼 수가 있다. 즉, 표시용 데이터(105b)는, 특정의 사용자 H에 관해서, 특정의 하중값 정보의 증감이 있었을 경우에, 당해 사용자 H의 몸 상태가 회복 경향 또는 악화 경향인 것으로 시중자 등이 알아채는 계기를 줄 수가 있다. 구체적으로, 특정의 하중값 정보가 증가 경향에 있는 경우에, 시중자 등은 사용자 H인 피시중자의 하반신의 근력이 저하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알아챌 수가 있다. 또, 특정의 하중값 정보가 감소 경향에 있는 경우에, 시중자 등은 사용자 H인 피시중자의 하반신의 근력이 회복 경향일 가능성이 있는 것을 알아챌 수가 있다.
또, 표시부(104)는, 도 9에 나타내는 사용 횟수 정보의 추이를 나타내는 표시용 데이터(105a) 및 도 10에 나타내는 하중값 정보의 추이를 나타내는 표시용 데이터(105b)의 쌍방을, 표시 장치(104a)에 대해서 동시에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에, 표시부(104)는, 사용 횟수 정보의 추이를 나타내는 표시용 데이터(105a)와 하중값 정보의 추이를 나타내는 표시용 데이터(105b)의 횡축(시간축)의 단위를 맞춘 상태로 표시 장치(104a)에 표시할 수가 있다. 이에 의해, 시중자 등은, 예를 들면, 사용 횟수 정보의 증감과 하중값 정보의 증감이 연동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가 있다.
구체적으로, 특정의 사용자 H에 관해서, 특정의 하중값이 증가 경향에 있고, 또한, 시중 장치(10)의 사용 횟수가 감소 경향에 있으면, 시중자 등은, 당해 사용자 H인 피시중자의 몸 상태가 악화 경향에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아챌 수가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의 사용자 H에 관해서, 하중값이 증가 경향에 있고, 또한, 사용 횟수가 증가 경향이면, 시중자 등은 당해 사용자 H인 피시중자의 몸 상태가 회복 경향에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아챌 수가 있다.
이와 같이, 표시부(104)는 표시용 데이터 생성부(105)가 생성하는 복수의 그래프를 표시 장치(104a)에 동시에 나란히 표시할 수가 있다. 그리고, 관리 장치(100)는, 특정의 사용자 H의 사용 상황에 관한 복수 종류의 정보를, 표시 장치(104a)에 동시에 나란히 표시함으로써, 당해 사용자 H의 몸 상태 변화에 시중자 등이 조기에 알아채는 계기를 줄 수가 있다.
도 11에는, 사용 정보의 시계열 변화를 나타내는 표시용 데이터(105c)로서 시중 장치(10)의 하중 변동 정보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추출부(103)는 특정의 사용자 H가 특정의 타이밍에 시중 장치(10)를 사용했을 때의 복수의 하중값 정보를 사용 기록 데이터 M1로부터 추출한다. 이 때에, 추출부(103)는, 예를 들면, 소정 기간 내의 정해진 날짜(예를 들면, 매월 제1 월요일, 매월 10일 등)의 정해진 타이밍에 시중 장치(10)를 사용했을 때(예를 들면, 당해 정해진 날짜에 있어서 최초로 시중 장치(10)를 사용했을 때)의 하중값 정보를 복수 추출한다. 다음에, 표시용 데이터 생성부(105)는, 추출된 사용 시간 정보와 하중값 정보에 기초하여, 도 11에 예시되는 것과 같은 하중 변동 정보의 추이를 나타내는 복수의 그래프로 이루어지는 표시용 데이터(105c)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도 11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추출부(103)는, 시중 장치(10)의 일련의 동작 중에 있어서의 다른 타이밍에 하중 센서(50)가 검출한 6회의 하중값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표시용 데이터 생성부(105)는, 추출한 6회 분의 하중값 정보를 횡축 방향으로 시계열로 나란한 그래프를 추출한 사용 시간 정보 별로 생성한다. 또한, 도 11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하중값 번호 1은 기립 준비 상태로부터 기립 상태로의 이행을 개시한 직후에 하중 센서(50)가 검출한 하중값 정보이고, 하중값 번호 6은 기립 완료 상태에서 하중 센서(50)가 검출한 하중값이다. 또, 도 11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표시용 데이터(105c)는 시간 정보별로 생성한 복수의 그래프를 겹쳐서 표시한다. 이에 의해, 시중자 등은 시간의 경과에 수반하는 하중 변동 정보의 추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가 있다.
시중자 등은, 하중 변동 정보의 추이를 참조함으로써, 특정의 사용자 H인 피시중자의 몸 상태 변화를 전조를 볼 수가 있다. 즉, 표시용 데이터(105c)는, 특정의 사용자 H에 관해서, 하중 변동 정보에 변동이 있었을 경우에, 특정의 사용자 H인 피시중자의 몸 상태가 회복 경향 또는 악화 경향인 것을 시중자 등이 알아채는 계기를 줄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시간의 경과에 수반하여, 하중값의 증가하는 타이밍이 빨라지는 경향이 보여지는 경우에, 시중자 등은 사용자 H인 피시중자의 하반신의 근력이 저하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것을 알아챌 수가 있다. 또, 시간의 경과에 수반하여, 하중값의 증가하는 타이밍이 늦어지는 경향이 보여지는 경우에, 시중자 등은 사용자 H인 피시중자의 하반신의 근력이 회복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것을 알아챌 수가 있다.
도 12에는, 사용 정보의 시계열 변화를 나타내는 표시용 데이터(105d)로서 시중 장치(10)의 사용 횟수의 추이와 행동 내용별의 행동 기록 횟수의 추이를 정리하여 나타낸 그래프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추출부(103)는, 사용 기록 데이터 M1로부터, 특정의 사용자 H에 관한 사용 시간 정보를 추출한다. 다음에, 표시용 데이터 생성부(105)는, 추출한 사용 시간 정보에 포함되는 날짜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 기간마다의 시중 장치(10)의 사용 횟수를 산출하고, 시중 장치(10)의 사용 횟수 정보의 추이를 나타내는 표시용 데이터(105d)를 생성한다.
또, 추출부(103)는, 특정의 사용자 H가 가지는 사용자 식별 정보에 연결된 피시중자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의 사용자 H(피시중자)의 시중 기록 데이터 M2로부터, 시중 시간 정보 및 시중 기록 정보를 추출한다. 또한, 시중 기록 데이터 M2로부터 추출되는 시중 기록 정보 및 사용 기록 데이터 M1로부터 추출되는 사용 정보는, 각각에 관련지어진 사용 시간 정보 또는 시중 시간 정보에 포함되는 날짜 정보를 동일하게 한다. 이어서, 표시용 데이터 생성부(105)는, 추출한 시중 시간 정보에 포함되는 날짜 정보와 시중 기록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 기간마다의 시중 내용별의 시중 기록 횟수를 산출하고, 시중 내용별의 시중 기록 횟수 정보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생성한다.
그리고, 표시용 데이터 생성부(105)는, 시중 장치(10)의 사용 횟수 정보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와 시중 내용별의 시중 기록 횟수 정보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겹쳐서 도 12에 예시되는 표시용 데이터(105d)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표시부(104)는 시중 기록 정보의 시계열 변화를 사용 정보의 시계열 변화와 대비 가능한 태양으로 표시한다
시중자 등은, 도 12에 예시되는 표시용 데이터(105d)를 참조함으로써, 시중 장치(10)의 사용 횟수와 행동 내용별의 행동 횟수의 대비를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시중자 등은, 특정의 사용자 H에 관해서, 시중 장치(10)의 사용 횟수의 증감이 있었을 경우에, 행동 내용별의 행동 횟수의 증감을 참조하여, 사용 횟수가 증감한 요인을 추측할 수가 있다.
또한, 시중자 등은, 시중 장치(10)의 사용 횟수 및 행동 내용별의 행동 횟수에 기초하여, 피시중자가 시중 장치(10)를 사용하는 것에 의한 효과 측정을 행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시중자 등은, 복수의 사용자 H에 있어서, 시중 장치(10)의 사용 횟수의 증감과 특정의 행동 내용의 증감이 연동하는 경향이 보여진 경우에, 시중 장치(10)의 사용이 피시중자의 몸 상태에 주는 효과를 파악할 수가 있다.
도 13에는, 사용 정보의 시계열 변화를 나타내는 표시용 데이터(105e)로서, 시중 장치(10)의 사용자 H의 용도 정보 및 당해 사용자 H인 피시중자에 대한 시중 기록 정보와 당해 사용자가 시중 장치(10)를 사용한 시각 정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추출부(103)는 사용 기록 데이터 M1로부터 소정 기간 내의 정해진 복수의 날짜에 있어서의 용도 정보를 추출한다. 다음에, 표시용 데이터 생성부(105)는 추출한 용도 정보를 시계열로 나란히 표시한 그래프를 추출한 날짜별로 생성한다. 또한, 추출부(103)는 시중 기록 데이터 M2로부터 소정 기간 내에 정해진 복수의 날짜에 있어서의 시중 기록 정보를 추출한다. 또한, 시중 기록 데이터 M2로부터 추출된 시중 기록 정보와 사용 기록 데이터 M1로부터 추출된 용도 정보는, 각각에 관련지어진 사용 시간 정보 또는 시중 시간 정보에 포함되는 날짜 정보를 동일하게 한다. 다음에, 표시용 데이터 생성부(105)는, 추출한 시중 기록 정보를 시계열로 늘어놓으면서, 용도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프에 추가하고, 도 13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표시용 데이터(105e)를 생성한다.
시중자 등은, 도 13에 예시되는 표시용 데이터(105e)를 참조함으로써, 특정의 사용자 H가 시중 장치(10)를 사용하는 용도 및 1일당의 시중 장치(10)의 사용 횟수를 파악할 수가 있다. 이에 더하여, 시중자 등은 시중 장치(10)를 사용하는 용도 및 사용 횟수의 증감과 시중 기록의 추이의 대비를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이 경우, 시중자 등은, 특정의 피시중자에 관하여, 시중 기록의 변화가 있었을 경우에, 당해 시중 기록의 변화와 시중 장치(10)를 사용하는 용도 및 사용 횟수의 인과관계를 찾아낼 수가 있다. 즉, 시중자 등은 시중 장치(10)의 사용이 피시중자의 몸 상태에 주는 효과를 추측할 수가 있다.
11. 분석부(106)에 의한 분석
다음에, 분석부(106)에 의한 분석에 대해서 설명한다. 분석부(106)는, 시중 장치(10)의 사용 횟수의 추이, 하중값 정보의 추이, 하중 변동 정보의 추이 등에 기초하여, 상정되는 사용자 H의 몸 상태 변화를 분석한다. 그리고, 표시부(104)는 분석부(106)에 의한 분석 결과(106a)를 표시 장치(104a)에 표시한다.
예를 들면, 분석부(106)는, 도 9에 나타내는 시중 장치(10)의 사용 횟수 정보의 추이에 기초하여, 사용 횟수가 감소한 요인으로서 상정되는 사항을 분석 결과(106a)로서 열거할 수가 있다. 또한, 「사용 횟수가 감소한 요인으로서 상정되는 사항」으로서는, 피시중자의 하반신의 근력 저하에 수반하는 행동 의욕의 저하, 피시중자의 하반신의 근력 회복에 수반하여 시중 장치(10)를 사용하지 않고 행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 것 등이 예시된다.
이와 같이, 관리 장치(100)는, 분석부(106)에 의한 분석 결과(106a)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 H에 몸 상태 변화의 전조가 있는 것을 시중자 등에 알릴 수가 있다. 그 결과, 시중자 등은 사용자 H의 몸 상태 변화를 조기에 파악할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표시부(104)는, 표시 장치(104a)에 대해, 표시용 데이터 생성부(105)가 생성한 표시용 데이터(105a-105e)와, 분석부(106)에 의한 분석 결과(106a)의 쌍방을 표시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표시부(104)는 표시용 데이터(105a-105e) 및 분석 결과(106a)의 어느 일방만을 표시 장치(104a)에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분석부(106)는, 시중 장치(10)의 사용 횟수 정보의 추이에 돌발적인 변화(예를 들면, 사용 횟수의 급격한 감소)가 있었을 경우에, 사용자 H인 피시중자의 몸 상태가 무너지고 있을 우려가 있는 취지의 알림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분석부(106)는, 정기적으로 분석을 행하고, 일정 시간 내에 시중 장치(10)의 사용 이력이 없는 사용자 H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시중자 등은, 분석부(106)에 의한 통지나 리스트(list) 표시에 기초하여, 피시중자의 급격한 몸 상태 변화를 조기에 알아챌 수가 있다.
12. 실시 형태의 변형 태양
실시 형태에 있어서, 관리 장치(100)는 관리 서버(90)를 통해 시중 장치(10)가 기록한 사용 기록 데이터 M1을 취득하였다. 이에 대해서, 관리 장치(100)는, 예를 들면, LAN을 통해서 시중 장치(10)와 직접 통신함으로써 사용 기록 데이터 M1을 취득해도 좋다. 또한 시중 시스템(1)은 관리 장치(100)의 구성의 일부를 시중 장치(10) 또는 관리 서버(90)의 구성으로 해도 좋다. 예를 들면, 시중 시스템(1)은, 시중 장치(10) 또는 관리 서버(90)에 있어서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표시용 데이터를 관리 장치(100)의 기억부(101)에 기억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1:시중 시스템 10:시중 장치
50:하중 센서 101:기억부
103:추출부 104:표시부
105a-105e:표시용 데이터
106a:분석 결과 H:시중 장치의 사용자
M1:사용 기록 데이터
M2:시중 기록 데이터

Claims (12)

  1. 피시중자의 동작을 시중드는 시중 장치의 사용에 관한 사용 정보가, 상기 시중 장치를 사용한 일시에 관한 시간 정보 및 상기 시중 장치를 사용한 사용자의 식별에 이용하는 사용자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 기록된 사용 기록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사용 기록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의 상기 사용자에 관한 상기 사용 정보 및 상기 시간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와,
    상기 특정의 상기 사용자에 관한 상기 사용 정보의 시계열 변화를 파악 가능한 태양으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시중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정보는, 소정의 단위 기간당의 상기 시중 장치의 사용 횟수에 관한 사용 횟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사용 정보의 시계열 변화로서 상기 사용 횟수 정보의 추이를 표시하는 시중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정보는, 상기 시중 장치의 사용시에 상기 시중 장치가 받은 하중값에 관한 하중값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사용 정보의 시계열 변화로서 상기 하중값 정보의 추이를 표시하는 시중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값 정보는, 상기 시중 장치가 특정의 자세로 되었을 때에 받은 상기 하중값인 시중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정보는, 상기 시중 장치의 동작 중에 상기 시중 장치가 받은 하중값의 변동에 관한 하중 변동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사용 정보의 시계열 변화로서 상기 하중 변동 정보의 추이를 표시하는 시중 시스템.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중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상반신을 지지하는 부위로부터 받는 상기 하중값을 검출 가능한 하중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하중값은, 상기 하중 센서에 의해 검출된 검출값인 시중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정보는, 상기 시중 장치의 용도를 파악 가능한 용도 정보를 포함하는 시중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용도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시중 장치를 사용하면서 행한 행동에 관한 행동 기록 정보를 포함하는 시중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용도 정보는, 상기 시중 장치가 사용된 위치에 관한 사용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시중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사용 정보의 시계열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몸 상태 변화에 관한 분석 결과를 제시하는 시중 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는, 상기 사용자인 상기 피시중자에 대해서 행해지는 시중에 관한 정보로서 상기 시중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행해진 시중에 관한 시중 기록 정보가, 상기 시간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 기록된 시중 기록 데이터를 기억하고,
    상기 추출부는, 상기 시중 기록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의 상기 피시중자에 관한 상기 시중 기록 정보 및 상기 시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특정의 상기 피시중자에 관한 상기 시중 기록 정보를 상기 사용 정보의 시계열 변화와 대비 가능한 태양으로 표시하는 시중 시스템.
  12. 피시중자의 동작을 시중드는 시중 장치의 사용에 관한 사용 정보가, 상기 시중 장치를 사용한 일시에 관한 시간 정보 및 상기 시중 장치를 사용한 사용자의 식별에 이용하는 사용자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 기록된 사용 기록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사용 기록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의 상기 사용자에 관한 상기 사용 정보 및 상기 시간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와,
    상기 특정의 상기 사용자에 관한 상기 사용 정보의 시계열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몸 상태 변화에 관한 분석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시중 시스템.
KR1020217008227A 2019-03-05 2019-03-05 시중 시스템 KR1025880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9/008718 WO2020178992A1 (ja) 2019-03-05 2019-03-05 介助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4860A true KR20210044860A (ko) 2021-04-23
KR102588081B1 KR102588081B1 (ko) 2023-10-11

Family

ID=72337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8227A KR102588081B1 (ko) 2019-03-05 2019-03-05 시중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172832A1 (ko)
JP (1) JP7142147B2 (ko)
KR (1) KR102588081B1 (ko)
CN (1) CN113508435A (ko)
CA (1) CA3131236A1 (ko)
DE (1) DE112019006985T5 (ko)
WO (1) WO2020178992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8554A (ja) * 2004-08-06 2006-02-16 Biophilia Kenkyusho Kk 遠隔コンピューター在宅健康認識システム
JP2008073501A (ja) 2006-08-21 2008-04-03 Toshihiko Yasuda 移乗介助ロボット
JP2014083365A (ja) * 2012-10-26 2014-05-12 Japan Health Sciences Foundation 操作状態計測システム、操作状態計測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55608B2 (ja) * 2002-11-07 2005-06-02 株式会社コスモ計器 体力測定装置
JP2005332324A (ja) 2004-05-21 2005-12-02 Hitachi Software Eng Co Ltd 介助支援システム
JP4959260B2 (ja) * 2006-09-07 2012-06-20 アルケア株式会社 下肢訓練装置
JP2009201672A (ja) * 2008-02-27 2009-09-10 Xing Inc 運動支援システム、運動支援装置、運動支援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844073B2 (en) 2010-06-07 2014-09-30 Hill-Rom Services, Inc. Apparatus for supporting and monitoring a person
EP3006004B1 (en) * 2013-05-28 2020-07-22 FUJI Corporation Assistance robot
US20170024523A1 (en) * 2015-07-23 2017-01-26 Uptake Technologies, Inc. Requirement Forecast for Health Care Services
JP6674321B2 (ja) * 2015-08-25 2020-04-0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生活支援システム、方法、及び自動昇降型椅子
JP6573580B2 (ja) * 2016-06-06 2019-09-11 株式会社ソフトアップJ トレーニング支援装置
JP2018023681A (ja) * 2016-08-12 2018-02-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情報出力システム、情報出力方法、及び情報出力プログラム
CN109689000B (zh) * 2016-09-12 2021-05-28 株式会社富士 介助装置
JP6767566B2 (ja) * 2017-03-31 2020-10-14 株式会社Fuji 介助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8554A (ja) * 2004-08-06 2006-02-16 Biophilia Kenkyusho Kk 遠隔コンピューター在宅健康認識システム
JP2008073501A (ja) 2006-08-21 2008-04-03 Toshihiko Yasuda 移乗介助ロボット
JP2014083365A (ja) * 2012-10-26 2014-05-12 Japan Health Sciences Foundation 操作状態計測システム、操作状態計測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78992A1 (ja) 2020-09-10
CN113508435A (zh) 2021-10-15
CA3131236A1 (en) 2020-09-10
US20220172832A1 (en) 2022-06-02
KR102588081B1 (ko) 2023-10-11
JPWO2020178992A1 (ja) 2021-11-18
JP7142147B2 (ja) 2022-09-26
DE112019006985T5 (de) 2021-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79351B2 (ja) 生体状態推定システムおよび生体状態推定方法
JP2009201672A (ja) 運動支援システム、運動支援装置、運動支援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9058285A (ja) 活動支援方法、プログラム、及び活動支援システム
KR20210044860A (ko) 시중 시스템
KR102508332B1 (ko) 시중 정보 관리 시스템
KR20200119299A (ko) 시중 장치의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
JP7322831B2 (ja) 訓練システム、訓練計画生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H1099389A (ja) 歩行訓練機
JP6745400B2 (ja) 介助装置のデータ取得装置
CN115485712A (zh) 座椅应用管理装置、座椅体验系统及座椅应用管理程序
JP6934571B2 (ja) 介助装置の適合判定装置
JP6989701B2 (ja) 介助装置の管理装置
JP6974610B2 (ja) 介助装置の管理装置
JP2014168497A (ja) 車内運動支援装置、車内運動支援システム、および車内運動支援方法
JP7150321B2 (ja) 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TWI260147B (en) Mobile phone with detecting function for body fat and method for detecting body fat
JP2022051451A (ja) 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